KR20240021556A -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 Google Patents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556A
KR20240021556A KR1020220100016A KR20220100016A KR20240021556A KR 20240021556 A KR20240021556 A KR 20240021556A KR 1020220100016 A KR1020220100016 A KR 1020220100016A KR 20220100016 A KR20220100016 A KR 20220100016A KR 20240021556 A KR20240021556 A KR 20240021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shoe sole
shoe
sole body
prop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훈
Original Assignee
안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훈 filed Critical 안태훈
Priority to KR102022010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1556A/ko
Publication of KR20240021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들만 추진력증강돌기부에 걸려져 지지됨에 따라 보행 또는 주행 시에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에 편중되는 압력이 분산될 수 있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에 발생되는 통증이 해소됨과 동시에 추진력의 밸런스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신발착용자의 발바닥에 대응되는 신발창본체와, 상기 신발창본체의 선단부에 신발착용자의 발가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발가락대응부와, 상기 신발창본체의 후단부에 신발착용자의 발뒤축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발뒤축대응부와, 상기 신발창본체 상에서 상기 발가락대응부의 후단부에 신발착용자의 중지발가락, 약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의 발가락오목부가 안착지지지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추진력증강돌기부와, 상기 신발창본체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 상기 추진력증강돌기부의 후단에서부터 상기 발뒤축대응부의 선단에 이르기까지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좌우밀림방지돌기부를 포함하는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을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SHOE SOLE REDUCES THE PRESSURE ON TOE}
개시된 내용은 예를 들어 아웃솔, 미드솔, 인솔, 깔창 등과 같이 신발의 바닥을 구성하는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보행은 크게 입각기와 유각기로 구분된다.
입각기는 발이 지면에 닿아 있는 시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상 보행 주기의 약 60%를 차지한다. 입각기는 발뒤꿈치 닿기, 발바닥 닿기, 입각 중기, 입각 말기 및 발끝 떼기의 5 단계로 이루어진다.
입각기의 첫번째 단계인 발뒤꿈치 닿기는 발뒤꿈치가 땅에 닿는 동작이다. 이 때 고관절이 구부려지고 슬관절이 펴지며, 발목관절은 발등을 약간 위쪽으로 끌어당긴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반대쪽 발은 입각 말기 상태이다. 즉, 동시 입각기이다.
입각기의 두 번째 단계인 발바닥 닿기는 발뒤꿈치가 땅에 닿은 후 바로 이어지는 단계이다. 이 때 체중은 전방에 배치된 하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체중이 과도하게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슬관절은 전방으로 이동된 체중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약간 구부린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발목관절은 아래쪽으로 펴는 동작을 수행하고, 반대쪽 발은 발끝 떼기 동작을 수행한다.
입각기의 세번째 단계인 입각 중기는 신체의 무게 중심이 발바닥의 중심을 지나가는 시기이다. 이 단계에서는 체중을 한쪽 발로 지지하게 되고, 고관절은 구부려진 상태에서 펴지는 상태로 변화한다. 이 때, 발목관절은 발등을 위쪽으로 끌어 올리는 동작을 수행하고, 반대쪽 발은 유각 중기 동작을 수행한다.
입각기의 네번째 단계인 입각 말기에는 고관절과 슬관절은 점차로 펴지는 상태를 유지하고, 발목 관절은 점차 발등을 아래로 쭉 펴면서 신체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반대쪽 발은 유각기의 감속기 상태로 발 뒤꿈치 닿기를 준비한다.
입각기의 마지막 단계인 발끝 떼기는 발가락 끝이 지면에서 떨어지는 시기이다. 이 단계는 발뒤꿈치 닿기와 마찬가지로 동시 입각기이다. 이 때, 고관절과 슬관절은 점차적으로 구부려지고, 발목관절은 발등이 아래쪽으로 쭉 펴지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반대쪽 발은 발바닥 닿기를 수행한다.
그리고, 유각기는 발이 지면에서 떨어져 앞으로 나아가는 시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상 보행 주기의 약 40%를 차지한다. 유각기는 가속기, 유각 중기 및 감속기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각기의 첫번째 단계인 가속기는 발끝이 떨어진 이후 발이 공중에서 스윙하는 동작으로 점차적으로 스윙속도가 증가하고, 고관절과 슬관절은 굴곡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발목관절은 단순히 발등을 위쪽으로 끌어당기는 동작(배측굴곡)을 수행하며, 반대쪽 발은 입각 중기의 초기 단계에 있다.
유각기의 두번째 단계인 유각 중기는 가속기의 마지막 단계이자 감속기의 초기단계이다. 고관절과 슬관절이 신체의 중심선을 지나면서 점차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펴지는 동작으로 바뀐다. 이 때 발목관절은 가속기의 상태인 발등을 위쪽으로 끌어당기는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쪽 발은 입각 중기의 마지막 단계에 있다.
유각기의 마지막 단계인 감속기는 발 뒤꿈치가 지면과 닿을 준비를 하는 단계이다. 이 때, 고관절은 약간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지만 슬관절은 완전히 펴진 상태가 되고, 발목관절은 발등이 위쪽으로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반대쪽 발은 입각 말기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사람은 이동할 때 신체 일부분의 무게를 자신의 앞에 두어 무게 중심의 위치를 앞으로 이동하고 보행한다. 보행 또는 주행 시에 신체의 일부분을 자신의 무게 중심 앞에 둘 때 다리를 들어올리고 상체는 꼿꼿이 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보행 속도가 빠르거나, 하지의 근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머리를 앞으로 내밀게 된다. 머리가 앞으로 나오면 자연스럽게 등이 굽게 되어 이상적인 보행 동작이 흐트러지면서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족저근막염과 같이 보행이나 달리기에 연관된 근육이나 근섬유 등에 장애가 발생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적의 보행자세를 유지함과 동시에 보행추진력을 제공하고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함과 동시에 압력 밸런스를 극대화함으로써 잘못된 보행자세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기 위한 신발창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신발창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357936호(2022.02.07. 공고)에는 아치 및 베이스 발포체와, 상기 아치 및 베이스 발포체의 상면 전면부에 결합되는 전면부 탄성 발포체와, 상기 전면부 탄성 발포체의 상면 뒷꿈치부에 결합되는 뒷꿈치부 발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면부 탄성 발포체는 발의 뼈 마디와 대응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착화감과 보행성능이 우수한 3중 구조의 고기능성 신발창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341961호(2021.12.23. 공고)에는 경질 소재로서 이루어진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에 접착되는 요철부를 형성한 경질 소재의 미드솔과, 상기 미드솔의 상면에 접착시킨 연질 소재의 인솔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인솔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전방경사면은 얇은 두께로 구성되고, 상면에서 저면으로 수평으로 힘이 가해지는 후방경사면은 두꺼운 두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력과 완충효과를 증강시킨 신발창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980760호(2018.10.04. 공고)에는 착용자의 발바닥에 대응하는 발바닥대응부와, 상기 발바닥대응부의 선단부에 착용자의 발가락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발가락대응부와, 상기 발바닥대응부의 후단부에 착용자의 발뒤축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발뒤축대응부와, 상기 발바닥대응부와 발뒤축대응부의 좌우방향 중간부를 지나는 중앙선을 따라 상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롤링작용부와, 상기 발바닥대응부의 선단부와 발가락대응부의 후단부 사이에 착용자의 오목부에 대응하여 상면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추진력증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력증강부는 엄지발가락 오목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낮고, 새끼발가락 오목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향하여 점차 높아지게 형성되는 신발 아웃솔이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신발창의 경우에는 추진력증강부가 신발창의 거의 전체 폭에 걸쳐 돌출형성됨에 따라 엄지발가락에서부터 새끼발가락에 이르기까지 모든 발가락이 추진력증강부에 지지되어 보행시 추진력이 증가되는 반면, 다른 발가락에 비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에 상대적으로 과도한 압력이 쏠리게 됨에 따라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에 통증이 발생되고 무지외반증이나 족저근막염과 같은 질환까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357936호(2022.02.07. 공고)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341961호(2021.12.23. 공고)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980760호(2018.10.04. 공고)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들만 추진력증강돌기부에 걸려져 지지됨에 따라 보행 또는 주행 시에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에 편중되는 압력이 분산될 수 있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에 발생되는 통증이 해소됨과 동시에 추진력의 밸런스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신발착용자의 발바닥에 대응되는 신발창본체와, 상기 신발창본체의 선단부에 신발착용자의 발가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발가락대응부와, 상기 신발창본체의 후단부에 신발착용자의 발뒤축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발뒤축대응부와, 상기 신발창본체 상에서 상기 발가락대응부의 후단부에 신발착용자의 중지발가락, 약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의 발가락오목부가 안착지지지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추진력증강돌기부와, 상기 신발창본체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 상기 추진력증강돌기부의 후단에서부터 상기 발뒤축대응부의 선단에 이르기까지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좌우밀림방지돌기부를 포함하는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을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발창본체 상에서 상기 좌우밀림방지돌기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하부방향으로 함입형성되는 다수쌍의 완충홈부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발창본체는 아웃솔, 미드솔, 인솔 및 깔창 중 하나이다.
개시된 내용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추진력증강돌기부의 일측에는 신발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이 접하는 평면 또는 오목부 형상의 발가락안착부가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가락대응부는 상기 신발창본체의 선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발뒤축대응부는 상기 신발창본체의 후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추진력증강돌기부는 신발착용자의 새끼발가락 측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점차 높아지게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우밀림방지돌기부는 상기 신발창본체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 연장되는 선형요철돌기의 형태로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에 의하면, 신발창본체 상에서 발가락대응부의 후단부에 추진력증강돌기부가 신발착용자의 중지발가락, 약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의 발가락오목부가 안착지지지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됨에 따라 보행 또는 주행 시에 중지발가락, 약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에 가해지는 힘이 미끄럼없이 신발창을 통해 지면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추진력이 발생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에 의하면, 보행 또는 주행 시에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들만 추진력증강돌기부에 걸려져 지지되고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은 추진력증강돌기부에 걸려지지 않게 됨에 따라 보행 또는 주행 시에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에 편중되는 압력이 다른 발가락들로 분산될 수 있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에 발생되는 통증이 해소됨과 동시에 추진력의 밸런스가 극대화될 수 있으며 무지외반증이나 족저근막염과 같은 질환이 예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에 의하면, 신발창본체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 좌우밀림방지돌기부가 추진력증강돌기부의 후단에서부터 발뒤축대응부의 선단에 이르기까지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됨에 따라 보행 또는 주행 시에 신발창본체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힘이 편중되더라도 해당 방향으로 발이 밀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의 사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의 평면구조도.
도 5는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에 있어서, 도 4의 선 A-A'에 따른 단면구조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에 있어서, 도 4의 선 B-B'에 따른 단면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1)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발창본체(10)와, 신발창본체(1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발가락대응부(20)와, 신발창본체(1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발뒤축대응부(30)와, 신발창본체(10) 상에서 발가락대응부(20)의 후단부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추진력증강돌기부(40)와, 신발창본체(10)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좌우밀림방지돌기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신발창본체(1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아웃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미드솔, 도 3에 도시되는 인솔 또는 깔창과 같이 신발의 바닥을 구성하는 것으로, 신발착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신발착용자의 발바닥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통상 아웃솔은 지면에 접촉하여 지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충격을 받는 신발밑창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쿠션기능, 경량성 및 내마모성이 요구되며, 예를 들어 천연고무, 합성고무, 발포가황고무, 발포EVA,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제조된다.
미드솔은 아웃솔의 상면에 부착되는 중간창에 해당되는 것으로, 신발의 비틀림방지기능과 쿠션기능이 요구되며, 예를 들어 EVA스폰지, 파일론,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제조된다.
인솔은 미드솔의 상면에 부착되어 신발착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안창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발바닥 보호기능이 요구되며, 예를 들어 라텍스 폼, EVA스폰지,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제조된다. 또한 깔창은 갑피 내로 삽입되어 인솔의 상부면에 끼워져 인솔의 역할을 보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라텍스 폼, EVA스폰지,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제조된다.
전술한 신발창본체(10)의 선단부에는 발가락대응부(20)가 신발착용자의 발가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발가락대응부(20)는 신발착용자의 모든 발가락의 하부면이 안착되어 밀착지지될 수 있도록 엄지발가락에 대응하는 부분은 낮게 형성되고 새끼발가락에 대응하는 부분을 향하여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가락대응부(20)의 형상은 보행 또는 주행 시에 착용자의 엄지발가락, 검지발가락, 중지발가락, 약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 모두가 발가락대응부(20)에 균등한 힘으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엄지발가락에 대응하는 부분에 가해지는 힘에 의한 추진력 뿐만 아니라 검지발가락, 중지발가락, 약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에 대응하는 부분에 가해지는 힘이 모두 추진력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추진력의 증가를 통해 힘차고 빠른 보행 및 주행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신발착용자의 체력소모를 감소시킨다.
또한 발가락대응부(20)는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보행 또는 주행 시에 신발착용자의 발이 신발에 대해 전방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함으로써, 신발갑피에 의해 발가락에 압력이 가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한다.
전술한 신발창본체(10)의 후단부에는 발뒤축대응부(30)가 신발착용자의 발뒤축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발뒤축대응부(30)는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보행 또는 주행 시 신발착용자의 발이 신발에 대해 전방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신발착용자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시기에는 하방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고 신발착용자의 힘이 소멸되는 시기에는 상방으로 탄성복원되면서 신발착용자의 발을 들어올림으로써 신발착용자가 발을 떼는 동작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신발창본체(10) 상에서 발가락대응부(20)의 후단부에는 추진력증강돌기부(40)가 형성된다. 추진력증강돌기부(40)는 보행 또는 주행 시에 힘이 편중되는 신발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 반면에 신발착용자의 중지발가락, 약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의 발가락오목부가 안착지지되도록 신발착용자의 중지발가락, 약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의 발가락오목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추진력증강돌기부(40)는 신발착용자의 발가락오목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신발착용자의 중지발가락의 발가락오목부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부터 신발착용자의 새끼발가락의 발가락오목부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점차 높아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전후방 폭이 접차 좁아지는 형태로 후방으로 만곡되게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추진력증강돌기부(40)의 형상으로 인해 중지발가락, 약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의 발가락오목부가 추진력증강돌기부(4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보행 또는 주행 시에 신발착용자의 중지발가락, 약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이 추진력증강돌기부(40)에 걸려서 후방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됨에 따라 추진력이 증가되는 반면에, 신발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은 추진력증강돌기부(40)에 지지되지 않게 됨에 따라 신발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에 편중되는 힘이 다른 발가락으로 분산되어 통증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신발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의 지지를 위해 신발창본체(10) 상에서 추진력증강돌기부(40)의 일측에는 신발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이 접하는 평면 또는 오목부 형상의 발가락안착부(41)가 형성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신발창본체(10)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 좌우밀림방지돌기부(50)가 추진력증강돌기부(40)의 후단에서부터 발뒤축대응부(30)의 선단에 이르기까지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좌우밀림방지돌기부(50)는 보행 및 주행 시에 신발창본체(10)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에 힘이 편중되는 경우에 신발착용자의 발이 신발창본체(10)를 기준으로 롤링되도록 유도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밀려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신발창본체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 연장되는 선형돌기, 특히 선형요철돌기의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신발창본체(10) 상에서 좌우밀림방지돌기부(50)를 기준으로 양측에 다수쌍의 완충홈부(60)가 하부방향으로 함입형성된다.
이러한 완충홈부(60)는 보행 또는 주행에 따라 신발착용자의 힘이 신발창본체(10)와 발뒤축대응부(30)에 가해질 때 신발창본체(10)의 탄성변형을 유도하고 신발착용자에 의한 힘이 소멸될 때 신발창본체(10)의 탄성복원을 유도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지면으로부터 신발착용자의 발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홈부(60)는 도 4에 신발창본체(10) 상에서 좌우밀림방지돌기부(50)를 기준으로 양측에 5쌍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신발창본체(10)의 길이 또는 완충홈부(60)의 개개 면적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1)의 경우에는, 신발창본체(10) 상에서 발가락대응부(20)의 후단부에 추진력증강돌기부(40)가 신발착용자의 중지발가락, 약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의 발가락오목부가 안착지지지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됨에 따라 보행 또는 주행 시에 중지발가락, 약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에 가해지는 힘이 미끄럼없이 신발창본체(10)를 통해 지면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추진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1)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행 또는 주행 시에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들만 추진력증강돌기부(40)에 걸려져 지지되고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은 추진력증강돌기부(40)에 걸려지지 않게 됨에 따라 보행 또는 주행 시에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에 편중되는 압력이 다른 발가락들로 분산될 수 있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에 발생되는 통증이 해소됨과 동시에 추진력의 밸런스가 극대화될 수 있으며 무지외반증이나 족저근막염과 같은 질환이 예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1)의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발창본체(10)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 좌우밀림방지돌기부(50)가 추진력증강돌기부(40)의 후단에서부터 발뒤축대응부(30)의 선단에 이르기까지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됨에 따라 보행 또는 주행 시에 신발창본체(10)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힘이 편중되더라도 해당 방향으로 발이 밀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10 : 신발창본체
20 : 발가락대응부
30 : 발뒤축대응부
40 : 추진력증강돌기부
41 : 발가락안착부
50 : 좌우밀림방지돌기부
60 : 완충홈부

Claims (7)

  1. 신발착용자의 발바닥에 대응되는 신발창본체;
    상기 신발창본체의 선단부에 신발착용자의 발가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발가락대응부;
    상기 신발창본체의 후단부에 신발착용자의 발뒤축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발뒤축대응부;
    상기 신발창본체 상에서 상기 발가락대응부의 후단부에 신발착용자의 중지발가락, 약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의 발가락오목부가 안착지지지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추진력증강돌기부; 및
    상기 신발창본체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 상기 추진력증강돌기부의 후단에서부터 상기 발뒤축대응부의 선단에 이르기까지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좌우밀림방지돌기부를 포함하는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본체 상에서 상기 좌우밀림방지돌기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하부방향으로 함입형성되는 다수쌍의 완충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본체는 아웃솔, 미드솔 및 인솔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증강돌기부의 일측에는 신발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이 접하는 평면 또는 오목부 형상의 발가락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대응부는 상기 신발창본체의 선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발뒤축대응부는 상기 신발창본체의 후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진력증강돌기부는 신발착용자의 새끼발가락 측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우밀림방지돌기부는 상기 신발창본체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 연장되는 선형요철돌기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KR1020220100016A 2022-08-10 2022-08-10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KR20240021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016A KR20240021556A (ko) 2022-08-10 2022-08-10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016A KR20240021556A (ko) 2022-08-10 2022-08-10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556A true KR20240021556A (ko) 2024-02-19

Family

ID=9005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016A KR20240021556A (ko) 2022-08-10 2022-08-10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155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076B1 (ko) 2017-09-19 2018-10-04 안태훈 신발 아웃솔
KR102341961B1 (ko) 2020-10-07 2021-12-23 안태화 추진력과 완충효과를 증강시킨 신발창
KR102357936B1 (ko) 2020-11-09 2022-02-07 이시혁 착화감과 보행성능이 우수한 3중 구조의 고기능성 신발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076B1 (ko) 2017-09-19 2018-10-04 안태훈 신발 아웃솔
KR102341961B1 (ko) 2020-10-07 2021-12-23 안태화 추진력과 완충효과를 증강시킨 신발창
KR102357936B1 (ko) 2020-11-09 2022-02-07 이시혁 착화감과 보행성능이 우수한 3중 구조의 고기능성 신발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9069C2 (ru) Подошва для полуботин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кроссовки
US8474154B2 (en) Footwear for walking or running with rolling action
EP0860121B1 (en) Shoe sole and shoe and sandal including the sole
WO2004100693A1 (en) Cantilevered shoe construction
JPH0449401B2 (ko)
WO2015056958A1 (ko)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EP2454959A1 (en) A multicomponent sole support assembly for sports footwear
EP2399475A2 (en) Footwear with Rocker Sole
CN104366896A (zh) 一种基于生物力学的童鞋鞋底
KR100995491B1 (ko) 덧댐부를 가지는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US20110138659A1 (en) Shoe Sole for Losing Weight and Shoe Having the Same
JP7500024B2 (ja) 衝撃吸収層の構造を有する靴底
KR101898076B1 (ko) 신발 아웃솔
KR20240021556A (ko)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KR100952153B1 (ko) 기능성 신발
KR101032640B1 (ko) 편심중량 밑창을 갖는 하지정렬교정 및 다이어트 겸용 신발
KR20110004571A (ko) 신발 밑창
KR101957213B1 (ko) 탄성력을 이용한 기능성 인솔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102540003B1 (ko)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
KR100984270B1 (ko) 전방이나 내측 또는 외측이 무거운 셀프워킹형 다이어트신발
US20170303634A1 (en) Footwear Heel Design
JP3211541U (ja) 履物
JPH0898701A (ja) 変形性膝関節症患者用の履物
JPH0838529A (ja) 変形性膝関節症患者用の履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