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325A - 항원 전달용 재조합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이용 - Google Patents

항원 전달용 재조합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325A
KR20240017325A KR1020230099504A KR20230099504A KR20240017325A KR 20240017325 A KR20240017325 A KR 20240017325A KR 1020230099504 A KR1020230099504 A KR 1020230099504A KR 20230099504 A KR20230099504 A KR 20230099504A KR 20240017325 A KR20240017325 A KR 20240017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gen
psbd
fusion protein
protein
tum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제
민경식
김대희
김영목
신도운
류수정
김한별
김다은
장성웅
박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4001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32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1Cance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85Haptens or antigens, bound to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6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the entire peptide or protein drug conjugate elicits an immune response, e.g. conjugate vac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48Tumour specific antigens; Tumour rejection antigen precursors [TRAP], e.g. M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62DNA sequences coding for fusion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31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2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tag with affinity for a non-protein ligand
    • C07K2319/2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tag with affinity for a non-protein ligand containing a His-ta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55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fusion with a toxin, e.g. diphteria toxin

Abstract

T 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하는 펩티드 항원, 상기 펩티드 항원의 N-말단에 연결된 제1 캐리어 단백질, 및 상기 펩티드 항원의 C-말단에 연결된 제2 캐리어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상기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상기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상기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 및 상기 융합단백질, 핵산 분자, 발현 벡터,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원 전달용 재조합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이용 {Recombinant fusion protein for antigen delivery and uses thereof}
T 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하는 펩티드 항원, 상기 펩티드 항원의 N-말단 또는 C-말단 또는 둘 다에 연결된 캐리어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상기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상기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상기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 및 상기 융합 단백질, 핵산 분자, 발현 벡터,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 세포 면역 유도를 위해 여러 형태로 항원을 전달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형태에 따라 장단점이 있다. 펩티드 형태로 항원을 전달하는 경우 다양한 항원 서열에 따라 합성 및 정제가 어렵고 용해도와 짧은 반감기에 따른 낮은 노출의 단점이 있다. mRNA 형태로 항원을 전달하는 경우 제조의 일관성의 장점이 있으나 체내 불안정성에 따른 제형이 필수이며 일정 양의 항원전달(다양한 서열의 생체 내 일정 발현)이 불확실한 단점이 있다. DNA 형태로 항원을 전달하는 경우 mRNA 보다 체내 안정성이 좋으나 핵까지 전달되어야 하여 항원 발현 효율이 낮고 DNA가 게놈에 삽입될 가능성이 단점이다. 바이러스 벡터는 체내 전달과 높은 면역원성에 대한 장점이 있으나 바이러스 표면에 대한 강한 항체 생성으로 추가 접종에서 항-약물 항체로 인한 약효 감소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항원을 체내 전달하면서 보다 강력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백신의 개발 요구된다.
미국특허등록 제10023657호 (2018.7.17.)
본 발명은 항원의 발현, 물성, 안정성 및/또는 면역원성을 향상시키고 항원을 면역반응세포로 전달을 개선하는 항원 전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항원의 서열을 제조, 발현, 정제 및 전달할 수 있고, 체내에서 보다 강력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 전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예는, 펩티드 항원, 및 상기 펩티드 항원의 N-말단, C-말단, 또는 둘 다에 연결된 캐리어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 펩티드 항원, 상기 펩티드 항원의 N-말단에 연결된 제1 캐리어 단백질, 및 상기 펩티드 항원의 C-말단에 연결된 제2 캐리어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상기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를 제공한다.
다른 예는, 상기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제공한다.
다른 예는, 상기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제공한다.
다른 예는, 상기 융합단백질, 핵산 분자, 발현 벡터,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또는 면역원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상기 융합단백질, 핵산 분자, 발현 벡터,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라 펩티드 항원, 및 상기 펩티드 항원의 N-말단, C-말단, 또는 둘 다에 연결된 캐리어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로, 펩티드 항원, 상기 펩티드 항원의 N-말단에 연결된 제1 캐리어 단백질, 및 상기 펩티드 항원의 C-말단에 연결된 제2 캐리어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이의 N-말단, C-말단, 또는 둘 다에 친화성 태그(affinity tag)가 연결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 펩티드 항원과 제1 캐리어 단백질 사이에 링커가 존재하거나, 펩티드 항원과 제2 캐리어 단백질 사이에 링커가 존재하거나, 둘 다일 수 있다.
일 구현예로, 펩티드 항원이 T 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로, 펩티드 항원이 종양 항원, 감염원의 항원, 자가 항원 또는 알레르기 유발 항원에서 유래한,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로, 캐리어 단백질은 펩티드 항원의 재조합적 발현을 개선시키거나, 또는 펩티드 항원의 정제를 개선시키는 단백질일 수 있다.
일 구현예로, 제1 캐리어 단백질은 펩티드 항원의 재조합적 발현을 개선시키고, 제2 캐리어 단백질은 펩티드 항원의 개선을 개선시키는 단백질일 수 있다.
일 구현예로, 종양 항원이 종양-관련 항원(Tumor-associated antigen; TAA), 종양-특이적 항원(Tumor-specific antigen; TSA) 또는 종양유래 신생항원(neoantigen)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 종양유래 신생항원(neoantigen)이 암 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로, 종양-관련 항원(TAA)이 CT (Cancer-testis) 항원, EGFR, M12, M20, M21, M30, M44, Ova, Melan-A, PSMA(Prostate Specific Membrane Antigen), 서바이빈(Survivin), MAGE-A, ADAbp (adenosine deaminase-binding protein), 사이클로필린 b (cyclophilin b), gp100, CRC (Colorectal associated antigen)-C017-1 A/GA733, CEA (carcinoembryonic antigen), CAP-1, CAP-2, etv6, AML1, PSA (Prostate Specific Antigen), PSA-1, PSA-2, PSA-3, MAGE (흑색종 항원 E), GAGE (G 항원), BAGE (B 흑색종 항원), RAGE (신장 종양 항원), LAGE (L 항원), NAG, GnT-V, MUM-1, CDK4, p53, 티로시나아제, Muc1(뮤신1), HER2/neu, p21ras, N-RAS, K-RAS, RCAS1, α-페토프로테인, E-카드헤린, α-카테닌, β-카테닌, γ-카테닌, p120ctn, PRAME, NY-ESO-1, TRP2, 맘마글로빈-A(Mammaglobin-A), 메탈로판스티뮬린-1(metallopanstimulin-1, MPS-1), 시토크롬 P450 이소형(isoform) 1B1, 90K/Mac-2 결합 단백질, Ep-CAM (MK-1), HSP-70, hTERT (TRT), LEA, TAGE-1, 5T4, gp70, SCP-1, c-myc, 사이클린 B1, MDM2, p62, Koc, IMP1, TA90, OA1, CT-7, HOM-MEL-40/SSX-2, SSX-1, SSX-4, HOM-TES-14/SCP-1, HOM-TES-85, HDAC5, MBD2, TRIP4, NY-CO-45, KNSL6, HIP1R, Seb4D, KIAA1416, IMP1, 90K/Mac-2 결합 단백질, MDM2, 또는 LMNA 일 수 있다.
일 구현예로, 감염원의 항원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또는 진균에서 유래한 항원일 수 있다.
일 구현예로, 제1 캐리어 단백질 및 제2 캐리어 단백질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NDPK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B), CSTA(Cystatin-A), Trx(Thioredoxin), RPL7Am (50S ribosomal protein L7Ae), Samp2a (Small archaeal modifier protein 2), TE (Tenascin), TM1112 (Thermotoga maritima Cupin_3 domain-containing protein), TrxA (Thioredoxin 1), TTrx (Thermosipho africanus Thioredoxin), 또는 PSBD(peripheral subunit-binding domain)이거나 이들의 단편이거나, 이들 중 2종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로, 친화성 태그는 His 또는 스트렙타비딘(streptavidin) 일 수 있다.
일 구현예로, 링커는 (GS)n, (G2S)n, (G3S)n, (G4S)n, Gn, LE, SSGG 또는 GGGGSGGGGG (여기서, G는 Gly, S는 Ser, L 은 Leu, E는 Glu, n은 적어도 1의 정수임)일 수 있다.
일 구현예로, 융합 단백질은 30kDa 이하의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융합단백질, 핵산 분자, 발현 벡터,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융합단백질, 핵산 분자, 발현 벡터,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들은 면역보조제(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융합 단백질, 백신 조성물 및/또는 면역원성 조성물의 유효량을 환자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일으키거나, 유도하거나, 및/또는 촉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융합 단백질, 백신 조성물 및/또는 면역원성 조성물의 유효량을 환자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또는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융합 단백질의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일으키거나, 유도하거나, 또는 촉진하기 위한 용도 또는 면역반응을 일으키거나, 유도, 또는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융합 단백질의 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또는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 용도 또는 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또는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청구범위를 포함) 에서 "포함하다(comprise, comprises)", "포함되는(comprised)"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의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기재된 특징, 정수,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를 배제하지는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문헌, 법령, 재료, 장치, 및 물품 등에 관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에 대한 맥락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포함된다. 이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종래 기술 기반의 일부를 형성한다거나 본 출원의 각각의 청구항에 대한 우선일 전에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인 일반 지식이었던 것을 제시하거나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예는, 펩티드 항원, 및 상기 펩티드 항원의 N-말단, C-말단, 또는 둘 다에 연결된 캐리어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로, 펩티드 항원, 상기 펩티드 항원의 N-말단에 연결된 제1 캐리어 단백질, 및 상기 펩티드 항원의 C-말단에 연결된 제2 캐리어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용어, "항원"은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임의의 분자를 말한다. 일예로, 항원은, T 세포 수용체 및/또는 B 세포 수용체에 의해 인식될 수 있고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 특히 T 세포 반응 및/또는 B 세포 반응을 자극할 수 있는 에피토프를 함유하는 임의의 분자를 말할 수 있다.
용어 "에피토프"는 즉 T-세포 수용체 및/또는 B-세포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항원의 영역을 지칭한다.
바람직한 일 예로, 본원의 펩티드 항원은 T 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펩티드 항원은, MHC 클래스 I 및/또는 II 결합 모티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로, 본원의 펩티드 항원은, MHC 클래스 II 결합 모티프를 포함하며 MHC 클래스 II 분자에 의해 항원제시세포의 표면에 제시될 수 있는 펩티드 서열인 CD4+ T 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할 수 있다. 본원의 펩티드 항원은 또한 MHC 클래스 I 결합 모티프를 포함하며 MHC 클래스 I 분자에 의해 세포 표면에 제시될 수 있는 펩티드 서열인 CD8+ T 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할 수 있다. 본원의 펩티드 항원은 또한 CD4+ T 세포 에피토프 및 CD8+ T 세포 에피토프 둘 다를 함유할 수 있다.
용어, "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또는 "주조직적합성복합체"는 면역 세포가 자기, 비자기 분자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항원 조각을 면역 세포에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서, MHC 클래스 I 과 MHC 클래스 II의 두 종류가 있으며, MHC 클래스 I은 핵이 있는 모든 세포에 있는 반면, MHC 클래스 II는 항원제시세포에서 발견된다. MHC 클래스 I 분자는 CD8+ 세포독성 T 세포와 상호작용을 하며 장기이식의 거부반응이나 감염된 세포를 파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MHC 클래스 II 분자는 CD4+ 보조 T 세포와 상호작용을 통해 비자기 항원을 인지하여 세포성 면역을 야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후천적(adaptive) 면역 반응에서, 항원이 체내에 들어오면 항원제시세포가 이를 섭취하여 짧은 펩티드 단편으로 분해시키고, 펩티드는 세포 내에서 MHC 클래스 I 또는 MHC 클래스 II 분자와 결합하여 세포 표면으로 운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항원의 펩티드가 MHC 클래스 I 또는 MHC 클래스 II에 결합하여 항원제시세포의 세포 표면에 제시되면, T 세포가 T 세포 수용체(TCR)를 통해 이를 인식하여 활성화되고 면역 반응을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원의 펩티드 항원은 T 세포의 에피토프에 해당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에서, 펩티드 항원은 종양 항원, 예컨대 종양-관련 항원(Tumor-associated antigen; TAA), 종양-특이적 항원(Tumor-specific antigen; TSA) 또는 종양유래 신생항원(neoantigen); 감염원의 항원, 예컨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또는 진균에서 유래한 항원; 자가면역을 유발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의심되는 자가 항원; 또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의심되는 알레르기 유발 항원 (알레르겐)에서 유래한 펩티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펩티드 항원은 MHC 클래스 I 또는 MHC 클래스 II 분자에 결합하는 것으로 인 실리코 예측되거나 알려진 종양 항원, 감염원의 항원, 자가 항원 또는 알레르기 유발 항원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항원들은 CD8+ 또는 CD4+ T 세포 에피토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펩티드 항원은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 예컨대 T 세포 또는 B 세포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 서열, 번역 후 변형을 갖는 아미노산, 또는 펩티드 모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펩티드 항원은 약 5 내지 약 100개, 또는 약 5 내지 약 50개의 아미노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펩티드 항원은 약 7 내지 35개의 아미노산, 예를 들어,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또는 35개의 아미노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종양 항원(tumor antigen)" 은 "암 항원(cancer antigen)"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종양(암)에서 발현하는 항원으로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분자를 말한다. 이러한 면역 반응은 항체 생성, 또는 특정 면역학적-적격 세포의 활성화, 또는 둘 모두를 수반할 수 있다.
종양 항원은 종양을 가진 유기체, 사멸되거나 비활성화된 전체 종양 세포, 또는 용해질로부터 유래될 수 있으며, 종양에서 유래한 임의의 항원을 포함한다. 용해질은 세포의 정상 구조의 분열을 야기시키는 과정의 적용으로부터 발생하는 물질을 말한다. 또한, 종양 항원은 종양 세포에 포함되고 정상 세포에서와는 상이하게 발현되는, 항원 특성을 지니는 임의의 단백질 또는 기타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종양 항원은 종양-관련 항원(Tumor-associated antigen; TAA), 종양-특이적 항원(Tumor-specific antigen; TSA) 또는 종양유래 신생항원(neoantigen)을 포함할 수 있다.
종양-관련 항원(TAA)은 정상 세포보다 암 세포에서 많이 나타나거나 정상 세포와 다른 분화단계에서 나타나는 항원으로, 정상 세포에서도 미량이 존재하는 종양 공유 항원(tumor shared antigen)이다. 따라서 이를 이용한 면역반응은 자기 세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면역억제 기전인 자가관용에 의해 무산될 가능성이 높고 혹은 반대로 자가면역으로 인해 원치 않는 장기가 공격받을 수 있다.
종양-관련 항원(TAA)의 예로는, CT (Cancer-testis) 항원, EGFR, M12, M20, M21, M30, M44, Ova, Melan-A, PSMA(Prostate Specific Membrane Antigen), 서바이빈(Survivin), MAGE-A, ADAbp (adenosine deaminase-binding protein), 사이클로필린 b (cyclophilin b), gp100, CRC (Colorectal associated antigen)-C017-1 A/GA733, CEA (carcinoembryonic antigen), CAP-1, CAP-2, etv6, AML1, PSA (Prostate Specific Antigen), PSA-1, PSA-2, PSA-3, MAGE (흑색종 항원 E)[예를 들어, MAGE-A1, MAGE-A2, MAGE-A3, MAGE-A4, MAGE-A5, MAGE-A6, MAGE-A7, MAGE-A8, MAGE-A9, MAGE-A10, MAGE-A11, MAGE-A12, MAGE-Xp2(MAGE-B2), MAGE-Xp3(MAGE-B3), MAGE-Xp4(MAGE-B4), MAGE-C1, MAGE-C2, MAGE-C3, MAGE-C4, MAGE-C5 등], GAGE (G 항원) [예를 들어, GAGE-1, GAGE-2, GAGE-3, GAGE-4, GAGE-5, GAGE-6, GAGE-7, GAGE-8, GAGE-9 등], BAGE (B 흑색종 항원), RAGE (신장 종양 항원), LAGE (L 항원), NAG, GnT-V, MUM-1, CDK4, p53, 티로시나아제, Muc1(뮤신1), HER2/neu, p21ras, N-RAS, K-RAS, RCAS1, α-페토프로테인, E-카드헤린, α-카테닌, β-카테닌, γ-카테닌, p120ctn, PRAME, NY-ESO-1, TRP2, 맘마글로빈-A(Mammaglobin-A), 메탈로판스티뮬린-1(metallopanstimulin-1, MPS-1), 시토크롬 P450 이소형(isoform) 1B1, 90K/Mac-2 결합 단백질, Ep-CAM (MK-1), HSP-70, hTERT (TRT), LEA, TAGE-1, 5T4, gp70, SCP-1, c-myc, 사이클린 B1, MDM2, p62, Koc, IMP1, TA90, OA1, CT-7, HOM-MEL-40/SSX-2, SSX-1, SSX-4, HOM-TES-14/SCP-1, HOM-TES-85, HDAC5, MBD2, TRIP4, NY-CO-45, KNSL6, HIP1R, Seb4D, KIAA1416, IMP1, 90K/Mac-2 결합 단백질, MDM2, 또는 LMNA 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종양-특이적 항원(Tumor-specific antigen; TSA)은 암 세포에만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항원을 말한다. 특히, 암 환자에서 종양이 증식할 때 암 세포 특이적인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T 세포를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항원 에피토프가 생성되는데 이를 신생항원(neoantigen)이라고 한다. 즉, 신생항원(neoantigen)은 암세포 특이적인 유전자 돌연변이를 포함하며, 정상 세포에서도 미량 발현되는 종양 공유 항원과는 달리 암 세포에서만 선별적으로 발현되기 때문에 자가면역체계에 의해 비-자기 외부 에피토프(non-self foreign epitope)로 인식되어 강한 항암 면역활성을 유발한다.
변이가 일어난 DNA를 통해 생성된 펩타이드가 세포 표면의 MHC에 전시되면 T 세포의 수용체(TCR)가 이를 인식하는데, 정상 세포나 조직에서는 돌연변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신생항원-특이적 T 세포는 자가관용이나 자가면역 문제에서 자유롭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신생항원은 T 세포 기반의 암 면역치료에 이상적인 타깃으로 여겨지고 있다.
신생항원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DNA를 이루는 뉴클레오티드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부가 또는 결실됨으로써 유전 암호의 해독이 어긋나는 프레임-시프트(frame-shift deletion or insertion), 하나의 뉴클레오티드가 다른 것으로 치환됨으로써 발생하는 점 돌연변이(point mutation), 그 외 미스센스 돌연변이, 스플라이스 부위(splice-site) 돌연변이, 리드쓰루(read-through)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융합(gene-fusion) 돌연변이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신생항원은 개별 암 환자의 특정 암세포 유전체 분석을 통해 예측되며, 일예로, 환자의 종양에서 암세포를 얻어 DNA를 추출한 뒤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이를 정상 세포의 염기서열과 비교 분석해 변이가 발생한 부분을 선별한 후, 변이가 발생한 여러 부분의 염기 서열 가운데 T 세포를 자극하는 신생항원을 동정할 수 있다. 여기에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ext gene sequencing, NGS), 전체 엑솜 시퀀싱(whole-exome sequencing, WES) 또는 RNA 시퀀싱(RNA sequencing)과 같은 빅데이터의 처리, MHC 결합 예측 컴퓨터프로그램, 또는 신생항원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등이 활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환자마다 변이 형태가 공유되지 않기 때문에 신생항원은 개인 맞춤형 항암 백신(personalized cancer vaccine)으로 제작 가능하다.
일 구체예로, 종양 항원은 서열번호 1 내지 44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감염원의 항원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또는 진균에서 유래한 항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 유래 항원은 수두 바이러스, 천연두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마르부르그 바이러스(Marburg virus), 뎅기열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 홍역 바이러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인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단순포진 바이러스,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엡스타인-바(Epstein-Barr) 바이러스, JC 바이러스, 랍도바이러스(rhabdovirus), 로타바이러스(rotavirus), 리노바이러스(rhino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유두종바이러스, 파보바이러스(parvovirus), 피코르나바이러스(picornavirus), 소아마비바이러스(poliovirus), 유행성 이하선염(mumps) 유발 바이러스, 광견병(rabies) 유발 바이러스, 레오바이러스(reovirus), 풍진바이러스(rubella virus), 토가바이러스(togavirus), 오르토믹소바이러스(orthomyxovirus),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 헤파드나바이러스(hepadnavirus),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virus), 마 뇌염 바이러스(equine encephalitis virus), 일본 뇌염 바이러스, 황열 바이러스(yellow fever virus), 리프트 계곡 열 바이러스(Rift Valley fever virus), A형 간염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D형 간염 바이러스 또는 E형 간염 바이러스 유래 항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박테리아 유래 항원은 보렐리아 종(Borrelia species), 탄저균(Bacillus anthracis), 부르그도르페리(burgdorferi),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 캠필로박터 제주니(Camphylobacter jejuni), 클라미디아 종(Chlamydia species), 클라미디아 시타시(Chlamydial psittaci),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Chlamydial trachomatis), 클로스트리듐 종(Clostridium species), 파상풍균(Clostridium tetani), 클로스트리듐 바툴리늠(Clostridium botulinum),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e), 콕시엘라 종(Coxiella species), 장구균 종(Enterococcus species), 엘리키아 종(Erlichia species), 대장균(Escherichia coli), 야토균(Francisella tularensis), 헤모필루스 종(Haemophilus species),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 헤모필루스 파라인플루엔자(Haemophilus parainfluenzae), 유산균 종(Lactobacillus species), 레지오넬라 종(Legionella species), 레지오넬라 병(Legionella pneumophila), 렙토스피라 인테로간스(Leptospirosis interrogans), 리스테리아 종(Listeria species), 리스테리아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미코박테리움 종(Mycobacterium species),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나병균(Mycobacterium leprae), 미코플라즈마 종(Mycoplasma species), 미코플라즈마 폐렴(Mycoplasmapneumoniae), 나이세리아 종(Neisseria species), 수막염(Neisseria meningitidis), 임균(Neisseria gonorrhoeae), 폐렴균 종(Pneumococcus species), 슈도모나스 종(Pseudomonas specie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살모넬라 종(Salmonella species), 장티푸스 균(Salmonella typhi),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erica), 리케차 종(Rickettsia species), 리케챠 리케츠시(Rickettsia ricketsii), 리케챠 티피(Rickettsia typhi), 시겔라 종(Shigella species), 포도상구균 종(Staphylococcus species),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연쇄상구균 종(Streptococcus species), 연쇄상구균 폐렴(Streptococccus pnuemoniae), 농화성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rogenes), 골저원성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mutans), 트레포네마 종(Treponema species), 매독 트레포네마(Treponema pallidum), 비브리오 시피시스(Vibrio species),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e), 또는 예르시니아 페스트(Yersinia pestis)유래 항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진균 유래 항원은 칸디다 (Candida) 종, 크립토코쿠스 (Cryptococcus) 종, 코시디오이데스 (Coccidioides) 종, 히스토플라즈마 (Histoplasma) 종 및 아스퍼길러스 (Aspergillus) 종으로부터 선택된 진균류 유래 항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생충 유래 항원은 플라스모디움 (Plasmodium), 트립파노솜 (Trypanosome), 스키스토솜(Schistosome) 또는 레이쉬마니아 (Leishmania) 유래 항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캐리어 단백질"은 펩티드 항원에 연결되어 펩티드 항원의 재조합적 발현을 개선시키거나 (예를 들어, 높은 발현율, 일관성 있는 발현율 등), 정제를 개선시키거나, 물성을 향상시키거나, 안정화하거나, 면역원성을 증가시키거나, 및/또는 면역반응세포로 전달을 개선하는 단백질을 말한다. 본원에서 캐리어 단백질은 펩티드 항원의 N-말단과 C-말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각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라고 칭하기로 한다.
캐리어 단백질은 N-말단, C-말단, 또는 둘 다에 각각 하나 이상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 2개 또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캐리어 단백질이 N-말단, C-말단, 또는 둘 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캐리어 단백질 및 제2 캐리어 단백질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NDPK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B), CSTA(Cystatin-A) [예를 들어, human CSTA (hCSTA) 또는 mouse CSTA (mCSTA) 등], Trx(Thioredoxin) [예를 들어, human Trx (hTRx) 또는 mouse TRx (mTRx) 등], RPL7Am (50S ribosomal protein L7Ae), Samp2a (Small archaeal modifier protein 2), TE (Tenascin)[예를 들어, TE1, TE2, TE3.1, TE3.2, TE4 등], TM1112 (Thermotoga maritima Cupin_3 domain-containing protein), TrxA (Thioredoxin 1), TTrx (Thermosipho africanus Thioredoxin), 또는 PSBD(peripheral subunit-binding domain) 또는 이들의 단편 중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은 숙주세포에 대해 코돈 최적화되거나, 기능 또는 구조 안정성 개선을 목적으로 일부 서열에 대한 돌연변이를 포함하거나 개시 메티오닌을 포함하도록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형은, 이량체화(dimerization)의 발생 또는 산화환원반응(Redox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잔기를 제거하거나, 핵산 결합을 저해시키거나, Desampylase (UniProt: Q8U1Y4)와의 결합을 저해시키거나, 인간 혈청 알부민에 대한 과도한 결합 친화력을 감소시키거나, 정량화를 용이하게 하거나, 탈아미드화(Deamidation)를 억제하기 위한 목적 등을 위해, 서열의 일부를 결실, 치환 또는 부가함으로써 도입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구현예로, N-말단에 위치하는 제1 캐리어 단백질은, 종양 항원의 서열에 따라 항원의 재조합적 발현이 어려울 수 있는 문제를 고려하여, 항원의 발현을 개선시키는 측면에서 제1 캐리어 단백질을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캐리어 단백질은 숙주 발현 시스템에서 항원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발현시키고 및/또는 일관되게 발현시키고 및/또는 안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캐리어 단백질은, TrxA, Trx (예, tTrx, mTrx 등), CSTA (예, tCSTA, mCSTA), TT-CSTA, TE, RPL7Am, Samp2a, TM1112, TT-TM1112, TT-Trx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로, C-말단에 위치하는 제2 캐리어 단백질은, 종양 항원의 서열에 따라 항원의 정제 (또는 불순물 제거)가 어려울 수 있는 문제를 고려하여, 항원의 정제를 개선시키는 측면에서 제2 캐리어 단백질을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캐리어 단백질은 통상적인 정제 시스템에서 융합 단백질 C-말단 구조를 안정화시켜 정제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캐리어 단백질은, NDPK, TrxA, CSTA (예, tCSTA, mCSTA), PSBD, PSBD-TT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캐리어 단백질은 pan HLA DR 결합 에피토프 (PADRE), 파상풍 톡소이드(Tetanus toxin epitope, TT) 또는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또는 그의 재조합 생산된, 유전적으로 무독화된 변이체, 포도상구균 엑소톡신 또는 톡소이드, 또는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엑소톡신 A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로, 종양 항원은 서열번호 45 내지 69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단백질 (예컨대, 캐리어 단백질 및/또는 융합 단백질) 및/또는 폴리펩타이드는 천연에서 분리 및/또는 정제되거나, 재조합적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단백질 (예컨대, 캐리어 단백질 및/또는 융합 단백질) 또는 폴리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이 N-말단으로부터 첫 번째 아미노산 잔기로서 메티오닌 (Met, M)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백질 또는 폴리펩타이드가 재조합적으로 생산된 것일 수 있고, 상기 N-말단으로부터 첫 번째 아미노산 위치의 메티오닌은 개시코돈에 의하여 코딩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단백질 (예컨대, 캐리어 단백질 및/또는 융합 단백질) 또는 폴리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이 N-말단에 재조합적 생산에 의한 메티오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백질 또는 폴리펩타이드가 다른 방법 (예컨대, 화학적 합성 또는 천연에서 분리)으로 얻어지거나 융합 단백질 내에서 N 말단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재조합적 생산에 의한 N-말단 첫 번째 위치의 메티오닌을 제외한 두 번째 아미노산 잔기로부터 시작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원의 융합 단백질의 일예는, 이의 N-말단, C-말단, 또는 둘 다에 친화성 태그(affinity tag)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용어 "친화성 태그"는 상기 융합 단백질의 생체 외부에서, 즉, 상기 융합 단백질을 실험적으로 정제를 하는 경우, 특정 기질에 대한 융합 단백질의 부착을 위한 부위를 제공하는 물질을 말한다. 친화성 태그는 상기 융합 단백질의 일부로서, 면역원성을 유발하거나 융합 단백질의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본원의 융합 단백질은, 친화성 태그를 포함함으로써 항원 서열에 따른 특성과 관계없이 정제가 가능할 수 있고, 친화성 정제를 통해 융합 단백질을 쉽게 정제하도록 하므로 초고속 단백질 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친화성 태그는 폴리 히스티딘(Histidine, His), 폴리 페닐알라닌, 폴리 알라닌, 스트렙타비딘(streptavidin), 말토스 결합 단백질(Maltose Binding Protein, MBP), 인테인(Intein), 티오레독신(thioredoxin, Trx), 프로틴 A (protein A), NusA(N utilization substance A), 베타-갈락토시다제(β-galactosidase), 또는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라제(Glutathione-S-transferase, GST)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 히스티딘 태그의 경우 히스티딘이 5개 내지 8개 연속적으로 배열된 서열의 펩티드를 사용하며(예를 들어 His-His-His-His-His-His), 히스티딘 태그는 2가 금속이온과 친화력을 가지기 때문에 Nickel immobilized bead, Cobalt immobilized bead 등을 사용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융합 단백질을 정제할 수 있다.
친화성 태그는 세포외 또는 세포내 조건 하에서 절단되거나 절단되지 않을 수 있다. 친화성 태그가 절단되지 않더라도 이들은 생체내에서 안전할 뿐 아니라, 융합 단백질 구조 변화를 유발하지 않고 융합 단백질이 세포 내에서 그 기능을 발휘하는데 영향을 실질적으로 미치지 않는다.
본원의 융합 단백질의 일예는, 펩티드 항원과 제1 캐리어 단백질 사이에 링커가 존재하거나, 펩티드 항원과 제2 캐리어 단백질 사이에 링커가 존재하거나, 둘 다일 수 있다.
용어 "링커"는 둘 이상의 성분을 함께 연결 또는 커플링 또는 결합시키는 분자 또는 원자 군을 말한다. 본원에서 융합 단백질의 각 성분들은, 예를 들어 펩티드 항원과 캐리어 단백질, 또는 캐리어 단백질과 친화성 태그는 각각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통해 함께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링커는 수용해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 연결하는 두 성분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켜 유연성을 부여하거나 안정성을 높이는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가질 수는 있으나, 면역원성을 유발하거나 융합 단백질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커는 펩티드 링커일 수 있고, 1 내지 10개, 또는 2 내지 10개 아미노산, 예컨대 1, 2, 3, 4, 5, 6, 7, 8, 9, 10개 또는 그 초과 (예컨대 20개 이하)의 아미노산 길이, 예컨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개 아미노산 길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예로, 펩티드 링커는, 중성 아미노산(보다 구체적으로, Gly, Ser, Ala, Thr 또는 이들 4가지 아미노산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GS)n, (G2S)n, (G3S)n, (G4S)n, Gn, LE, SSGG 또는 GGGGSGGGGG (여기서, G는 Gly, S는 Ser, L 은 Leu, E는 Glu, n은 적어도 1의 정수이다)일 수 있고, 예를 들어, GS, GGGGS, LE, SSGG, GG, GGGGG 또는 GGGGSGGGGG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링커는 세포내 효소, 예를 들어 프로테아제에 의해 절단가능한 분해성 펩티드 서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링커의 절단은 링커에 연결된 임의의 성분, 예를 들어 친화성 태그나 캐리어 단백질의 방출을 초래할 수 있다.
용어 "연결된"은 구성요소들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함께 연결된 것을 의미한다. 각 구성요소들은 공유적으로 또는 비-공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된"은 세포, 예를 들어 항원제시세포 또는 면역세포와 접촉 및 면역화 후에, 각 구성성분들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결합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원제시세포와 면역세포가 접촉할 때까지, 성분들이 서로 자유롭게 분산되지 않도록 회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성분은 서로 공유적으로 연결되어, 이러한 2개의 성분이 별도로 분산 또는 확산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본원의 융합 단백질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정제 과정에서 불순물을 제거를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크기가 작은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융합 단백질의 전체 크기는 500 kDa 이하, 400 kDa 이하, 300 kDa 이하, 200 kDa 이하, 100 kDa 이하, 90 kDa 이하, 80 kDa 이하, 70 kDa 이하, 60 kDa 이하, 50 kDa 이하, 예컨대 10 kDa 내지 100 kDa, 10 kDa 내지 90 kDa, 총 10 kDa 내지 80 kDa, 10 kDa 내지 70 kDa, 10 kDa 내지 60 kDa, 10 kDa 내지 50 kDa, 10 kDa 내지 40 kDa, 10 kDa 내지 30 kDa의 크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의 다른 예는, 상기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에 관한 것이다.
용어, "핵산 분자", "핵산", 또는 "핵산 서열" 은 단일가닥 또는 이중가닥 형태로 존재하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또는 리보뉴클레오티드의 중합체를 말한다. 상기 핵산 분자는 RNA 게놈 서열, cDNA 및 이로부터 전사되는 RNA 서열을 포괄하며, 특별하게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천연의 핵산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상기 핵산 분자는 상기 융합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뿐만 아니라, 그 서열에 상보적인(complementary) 서열도 포함한다. 상기 상보적인 서열은 완벽하게 상보적인 서열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서열도 포함하며,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엄격 조건(stringent conditions) 하에서, 예를 들어, 상기 융합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과 혼성화될 수 있는 서열을 의미한다.
본원의 융합 단백질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재조합적 방법에 의하여 발현 및 정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융합 단백질의 발현 및 정제를 위하여,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및 이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또한 제공한다.
본원의 다른 예는, 상기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에 관한 것이다.
용어, "발현 벡터"는 목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핵산 구조물을 말한다. 일 구현예로, 발현 벡터는 2 이상의 목적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선형 또는 원형, 또는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의 DNA, cDNA, RNA 등일 수 있다. 발현 벡터는 숙주를 형질전환, 형질감염 또는 트랜스펙션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벡터의 일부를 이룰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자체로 인비트로에서 전사 및/또는 번역될 수 있다.
용어, "작동가능하게 연결된"은 핵산 서열간의 결합이 기능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코딩 서열(예, 목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서열)은 이의 복제, 전사 및/또는 번역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조절 요소들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딩 서열은 프로모터가 그 코딩 서열의 전사를 추진할 수 있는 경우 프로모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조절 요소들은 이것이 올바르게 기능하기만 한다면 코딩 서열에 인접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번역되지 않지만 전사되는 개재 서열이 프로모터 서열과 코딩 서열 사이에 존재할 수 있으며, 프로모터 서열은 여전히 코딩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발현 벡터 내의 각 구성요소는 서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이들 구성요소 서열의 연결은 편리한 제한 효소 부위에서 라이게이션(연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그러한 부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통상의 방법에 따른 합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어댑터(oligonucleotide adaptor) 또는 링커(linker)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발현 벡터는, 해당 유전자가 선택된 숙주 내에서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전사 및 해독 발현 조절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발현 조절 서열로는, 전사를 실시하기 위한 프로모터, 그러한 전사를 조절하기 위한 임의의 오퍼레이터 서열, 및/또는 전사 및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 코돈 및 종결 코돈은 일반적으로 목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의 일부로 간주되며, 유전자 작제물이 투여되었을 때 개체에서 작용을 나타내야 하며 코딩 서열과 인프레임(in frame)에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프로모터는 전사조절인자들이 결합하는 DNA 염기서열 부위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목적상 유전자 발현율을 높이기 위하여 강력하고 안정적인 유전자 발현을 유도할 수 있는 프로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모터는 구성적 또는 유도성일 수 있다. 프로모터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아데노바이러스의 초기 및 후기 프로모터들, 원숭이 바이러스 40(SV40), 마우스 유방 종양 바이러스(MMTV) 프로모터, HIV의 긴 말단 반복부(LTR) 프로모터, 몰로니 바이러스, 시토메갈로바이러스(CMV) 프로모터, 엡스타인 바이러스(EBV) 프로모터, 로우스 사코마 바이러스(RSV) 프로모터, RNA 폴리머라제 ±프로모터, T3 및 T7 프로모터들, 파지 람다의 주요 오퍼레이터 및 프로모터 영역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외에, 발현 벡터는 어댑터 또는 링커, 인핸서, 선별 마커(예컨대, 항생제 내성 마커), 복제가능단위, polyA 서열, 정제용 태그 또는 원핵세포 또는 진핵 세포 또는 이들의 바이러스의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구성과 유도의 기타 다른 서열 및 이들의 여러 조합을 등을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발현 벡터는 플라스미드, 바이러스 벡터, 박테리오파지 벡터, 코즈미드 벡터, 등 다양한 형태의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예는, 상기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형질전환된 세포는 상기 발현 벡터를 안정되면서 연속적으로 클로닝 또는 발현시킬 수 있는 숙주 세포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숙주 세포도 이용할 수 있으며, 원핵 세포로는, E. coli, 예를 들어 E. coli JM109, E. coli BL21, E. coli RR1, E. coli LE392, E. coli B, E. coli X 1776, E. coli W3110,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츄린겐시스와 같은 바실러스 속 균주, 그리고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세라티아 마르세슨스 및 다양한 슈도모나스 종과 같은 장내균과 균주 등이 있으며, 진핵 세포에 형질 전환시키는 경우에는 숙주 세포로서, 효모(Saccharomyce cerevisiae), 곤충 세포, 식물 세포 및 동물 세포, 예를 들어, CHO 세포주 (Chinese hamster ovary), W138, BHK, COS-7, 293, HepG2, 3T3, RIN 및 MDCK 세포주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현 벡터를 세포에 도입하는 것은,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적합한 표준 기술, 예들 들어,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전기주입법(electroinjection), 미세주입법(microinjection), 인산칼슘공동-침전법(calcium phosphate co-precipitation), 염화캄슘/염화루비듐법, 레트로바이러스 감염(retroviral infection), DEAE-덱스트란(DEAE-dextran), 양이온 리포좀(cationic liposome)법, 폴리에틸렌 글리콜 침전법(polyethylene glycol-mediated uptake), 유전자총(gene gun)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원형의 구조물을 적절한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선형의 형태로 도입할 수 있다.
상기 형질전환된 세포를 선별하는 방법은 선택 표지에 의해 발현되는 표현형을 이용하여,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 표지가 특정 항생제 내성 유전자인 경우에는, 상기 항생제가 함유된 배지에서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형질전환체를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다.
형질 전환된 세포의 배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질 전환된 세포를 배양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을 실시한 다음, 세포 밀도가 일정 수준에 도달한 시점에서 IPTG를 배지에 첨가하여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고 배양함으로써, 세포 내 또는 배지로 분비된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
세포 내 또는 배지로 분비된 단백질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정제 방법에 따라 정제된 형태로 얻을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친화성 태그를 이용한 친화성 크래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융합 단백질이 GST에 융합된 경우에는 글루타티온이 결합된 레진 칼럼, His에 융합된 경우에는 IMAC(immobilized Metal Affinity Chromatography)을 이용하여 원하는 단백질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예는, 상기 융합단백질, 핵산 분자, 발현 벡터,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또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또 다른 예는, 상기 융합단백질, 핵산 분자, 발현 벡터,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또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용어 "면역원성 조성물"이란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임의의 조성물을 의미한다. 용어 "백신"은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질환 또는 감염의 위험을 감소 또는 예방하거나, 기존의 질환 또는 감염을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면역원성 조성물을 말한다.
이들 조성물은 면역 반응을 유발하기 위하여 본원에 따른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고 피검체에 투여될 수 있는 형태의 제형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질환을 예방하거나 개선시키거나 치료하기 위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피검체 또는 숙주로 도입된 후, 조성물은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T-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은 종양 항원, 예를 들어 환자종양 분석에서 얻어진 종양항원 서열, 특히 신생항원 서열 (neoantigen sequence)을 포함하는 항암 백신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환자맞춤형 항암 T 세포의 증식 및 활성화를 최대한으로 촉발하여 항암 면역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원의 백신 조성물은 또한 백신의 유효성을 증강시키는 추가의 면역보강제(adjuvant)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면역보강제는 (1) 알루미늄염 (명반),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등; (2) 수중유 에멀젼 제제 (뮤라밀 펩티드 또는 세균 세포벽 성분과 같은 특정 면역자극제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음), 예를 들어 (a) 마이크론 이하의 입자로 제제화된 5% 스쿠알렌, 0.5% 트윈 80 및 0.5% 스팬 85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선택적으로 다양한 양의 N-아세틸뮤라밀-L-알라닐-D-이소글루타미닐-L-알라닌-2-(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히드록시포스포릴옥시)-에틸아민(MTP-PE)을 함유함)를 포함하는 MF59 (WO90/14837), (b) 마이크론 이하의 입자로 마이크로유체화되거나 큰 입자 크기의 에멀젼을 생성하도록 진탕된, 10% 스쿠알렌, 0.4% 트윈 80, 5% 플루로닉-블록화 중합체 및 N-아세틸-뮤라밀-L-트레오닐-D-이소글루타민 (thr-MDP)을 포함하는 SAF, 및 (c) 모노포스포릴리피드 A (MPL), 트레할로오스 디마이콜레이트 (TDM), 및 세포벽 골격(CW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세균 세포벽 성분, 2% 스쿠알렌, 및 0.2% 트윈 80을 포함하는 RibiTM 면역보강제 시스템 (RAS); (3) 사포닌 면역보강제; (4) 프로인트의 완전 면역보강제(CFA) 및 불완전 면역보강제 (IFA); (5) 사이토카인, 예를 들어 인터루킨 (예를 들어, IL-1, IL-2, IL-4, IL-5, IL-6, IL-7, IL-12 등), 인터페론 (예를 들어, 감마 인터페론),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M-CSF), 종양 괴사 인자 (TNF) 등; (6) 세균의 ADP-리보실화 독소, 예를 들어 콜레라 독소 (CT), 백일해 독소 (PT), 또는 대장균 (E. coli)의 열에 불안정한 독소(LT), 특히 LT-R72, CT-S109, PT-K9/G129의 탈독소화된 돌연변이체 (WO93/13302 및 WO92/19265); 및 (7) 백신의 유효성을 증강시키는 면역자극제로서 작용하는 기타 물질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조성물들은 필요에 따라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융합 단백질 또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신 조성물은 현탁되거나 용해된 통상적인 염수 또는 완충된 수용액 배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희석제, 예를 들어 물, 염수,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 물질, 예를 들어 습윤제, 유화제, pH 완충제 등이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주사용으로 적합한 형태는 멸균 주사용액 또는 분산액의 즉석 제조용 멸균 수성용액 (수용성) 또는 분산액 및 멸균분말을 포함한다. 이들은 제조 조건하에서 안정해야 하고, 세균 또는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에 대항하여 보존되어야 한다. 미생물의 오염은 다양한 항세균제 및 항진균제, 예를 들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티메로살 등을 사용하여 예방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서, 등장화제, 예를 들어 당 또는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사 조성물의 장시간 흡수는 흡수를 지연시키는 약제, 예를 들어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젤라틴을 조성물 중에 사용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용매 중에 필요량의 융합 단백질과 앞에서 열거한 다양한 기타 성분을 결합시키고, 필요에 따라 융합 단백질 및/또는 열에 민감한 면역보강제 사이토카인 등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들, 예를 들면 PBS와 같은 완충용액을 여과 멸균함으로써 멸균 주사용액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분산배지 및 전술한 것으로부터 필요한 기타 성분을 함유하는 멸균 비히클 내로 다양한 멸균화 활성성분을 포함시킴으로써 분산액을 제조한다. 멸균 주사용액의 제조용 멸균분말의 경우,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진공건조 및 동결건조 기법이다. 이러한 기법에 의해 활성성분, 및 전술한 이의 멸균-여과된 용액으로부터 임의의 목적하는 성분의 분말을 얻는다.
상기 융합 단백질 또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 대상 환자는 포유류, 예컨대 인간, 원숭이 등을 포함하는 영장류, 래트, 마우스 등을 포함하는 설치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융합 단백질, 백신 조성물 및/또는 면역원성 조성물의 유효량을 환자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일으키거나, 유도하거나, 또는 촉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일으키거나, 유도하거나, 또는 촉진하는 방법은 암 환자에서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일으키거나, 유도하거나, 또는 촉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암 환자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용어 "면역반응"은 세포성 또는 사이토카인 중개를 통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자극의 결과로서, 면역 체계의 세포, 예컨대 B 세포, T 세포 또는 단핵구의 활성에 있어서의 변화를 말한다. 상기 면역반응은 특이적 (T 세포 및/또는 B 세포) 및/또는 비특이적 면역반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용을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따라 융합 단백질을 전달하는 것은 면역반응을 유도하는데, 특히 T 세포 반응, 예를 들어 항원에 대한 CD4+ T 세포 반응 또는 CD8+ T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CD4+ T 세포 반응과 CD8+ T 세포 반응은 체액성 반응 또는 기타 특이적이거나 비특이적인 면역반응과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질병 상태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융합 단백질을 사용하는 것에 관계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의 예로는 각종 암 질환,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및 알레르기성 질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암은 고형암 또는 혈액암일 수 있고,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유방암, 폐암, 전립선암, 난소암, 뇌암, 간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자궁암, 결장암, 대장암, 결장직장암, 직장암, 신장암, 콩팥모세포종, 피부암, 경구 편평 상피암, 표피암, 비인두암, 두경부암, 골암, 식도암, 방광암, 림프관암(예를들어, 호지킨 림프종 또는 비-호지킨 림프종), 위암, 췌장암, 고환암, 갑상선암, 갑상샘소포암, 흑색종, 골수종, 다발성 골수종, 중피종, 골육종, 골수이형성 증후군, 간엽 기원의 종양, 연조직 육종, 지방육종, 위장 기질 육종, 악성 말초 신경집 종양 (MPNST), 유잉 육종, 평활근육종, 간엽 연골육종, 림포육종, 섬유육종, 횡문근육종, 기형암종, 신경모세포종, 수모 세포종, 신경교종, 피부의 양성 종양, 또는 백혈병일 수 있다. 폐암은, 예를 들어 소세포폐암종(SCLC) 또는 비-소세포폐암종(NSCLC)일 수 있다. 백혈병은, 예를 들어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또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일 수 있다. 치료되는 피검체는 2차적인 항-과다증식 요법을 받고 있는 피검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적인 항-과다증식 요법은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면역요법, 광선요법, 냉동요법, 독소요법, 호르몬요법, 또는 외과수술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융합 단백질, 백신 조성물 및/또는 면역원성 조성물의 유효량을 환자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또는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은 면역반응을 증강시킴으로써 질환, 예를 들어 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또는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융합 단백질, 백신 조성물 및/또는 면역원성 조성물의 유효량을 환자에 투여하는 것은, 질병 상태의 발병 또는 진행을 저해하거나, 중지시키거나, 지연시키거나, 예방하는 면역반응을 일으키거나, 유도하거나 또 다르게는 촉진한다.
조성물의 직접 전달은 일반적으로 전신적, 피하, 피내, 복강내, 혈관내(정맥내), 근육내 또는 국소 전달될 수 있고, 또는 조직의 간극으로 전달된다. 조성물은 또한 병변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요법은 단일 용량 또는 다중 용량 스케줄일 수 있다.
용어 "유효량"은 인간을 비롯한 개체에게 투여하였을 때,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는데 충분한 양, 예를 들어 암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양을 의미한다. 유효량은 개체의 질환 상태, 연령, 성별 및 체중 등의 인자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투여량 또는 치료 용법은 당업자들이 이해하는 바와 같이 최적의 치료 반응을 제공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치료학적 유효량을 이용한 개체의 치료 용법은 1회 투여로 구성되거나, 또는 다른 예로, 일련의 적용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기의 기간은 질환의 중증도, 개체의 연령, 백신의 농도, 백신에 대한 환자의 반응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치료에 사용되는 백신의 유효 투여량은 개별 치료 용법의 코스 동안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투여량에 변화가 생길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표준 진단 분석을 통해 명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예를 들어 암 백신은, 통상적인 항암제, 방사선치료, 호르몬 치료, 바이오테라피 및/또는 외과적 종양 절제를 이용한 치료 전에, 치료 중에 또는 치료 후에,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T 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하는 펩티드 항원, 상기 펩티드 항원의 N-말단 또는 C-말단 또는 둘 다에 연결된 캐리어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상기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상기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상기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 및 상기 융합 단백질, 핵산 분자, 발현 벡터,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항원의 발현, 물성, 안정성 및/또는 면역원성을 향상시키고 항원을 면역반응세포로 전달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융합 단백질의 제조를 확인한 SDS-PAGE 결과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융합 단백질의 순도시험(SE-HPLC) 결과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융합 단백질의 크기 배제 크로마토 그래피 분획에 따른 내독소 함량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암 백신을 MC38 마우스 모델에 투여시 종양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암 백신을 CT26 마우스 모델에 투여시 종양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암 백신을 MC38 마우스 모델에 투여에 따른 TIL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암 백신을 CT26 마우스 모델에 투여에 따른 TIL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암 백신을 B16-F10 마우스 모델에 투여에 따른 TIL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합 단백질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피토프의 선정
마우스의 돌연변이 동정과 MHC에 결합하는 에피토프의 선정을 위하여, 암세포와 정상세포의 전체 엑솜 시퀀싱(whole exome sequencing, WES) 그리고, 돌연변이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동정하기 위해 mRNA 시퀀싱을 수행하였다. WES 결과 분석으로 단백질 서열이 바뀐 돌연변이(missense mutation, frameshift mutation, insertion-deletion)와 마우스의 MHC type을 동정하였다.
구제적으로, 정상세포는 마우스의 꼬리 조직을 이용하였고, 암세포의 경우 마우스 흑색종 세포주 B16-F10과 마우스 대장 암종 세포주 MC38 및 CT26을 이용하여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을 수행하였다. NGS는 마크로젠에서 수행하였고, WES는 미스센스 단일 염기 다형성(Missense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SNP)) 돌연변이를 Mutect2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였다. SNP를 기준으로 앞뒤 13mer 서열을 붙여 27mer 아미노산을 찾아내었다.
mRNA 시퀀싱에서 발현 레벨 즉, RPKM(Reads Per Kilobase Million)값이 10이상인 유전자만 WES 시퀀싱 결과에서 골라내었다.
결과에서 나온 에피토프 서열을 NetMHCCons와 NetMHCPanII의 공개프로그램에 입력하였다. MHC type은 마우스에 맞는 표현형으로 입력하고, Strong Binding(SB) 및 Weak Binding(WB) 기준은 기본으로 설정하였다. NetMHCCons는 9mer 씩, NetMHCPanII는 13mer씩 분석하였다. 또 다른 프로그램인 IEBD Immunogenicity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9mer씩 분석하여 스코어를 입력하였다.
예측 Score = 10 × NetMHCCons Binder 개수
+ NetMHCPanII Binder 개수
+ IEDB Immunogenicity Score
예측 스코어가 높을수록 약효를 보일 확률이 크다고 보고, 상위 20개를 선정하여 모두 면역반응을 확인하였고, 그 중 면역반응이 나타난 물질 또는 제조가 용이한 물질을 선별하여 항암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이들 선정된 에피토프를 이용하여 항암 백신용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였다.
에피토프 (아래 표에서, "CT+숫자"는 CT26 대장암 세포주의 Neoantigen 번호를 임의로 명명한 것이고, "M + 숫자"는 Melanoma 세포주 (B16-F10)의 Neoantigen 번호를 임의로 명명한 것이고, "OVA"는 Ovalbumin 의 항원을 의미하며, Cpne1, Irgq, Aatf는 MC38 대장암 세포주의 Neoantigen을 나타냄)
번호 에피토프 이름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 CT1 RNNSYTSYIMAICGMPL 1
2 CT2 CWKYLSVQSQLFRGSSL 2
3 CT3 GGISVKEHIEVNVVPLT 3
4 CT20 MANQVIRCTAAVAWEAG 4
5 CT24 PLEAMYMQWPVIAVNNG 5
6 CT25 LHLEETLAGFWARLLER 6
7 CT4 GGISVKEHIEVNVVPLT 7
8 CT5 IYLESVAIMPQLFMVSK 8
9 CT6 PLEAMYMQWPVIAVNNG 9
10 EGFR+12mer TSTVQLIMQLMPFGCLLDYVREH 10
11 EGFR+4mer QLIMQLMPFGCLLDY 11
12 EGFR+8mer TVQLIMQLMPFGCLLDYVR 12
13 EGFRwt IMQLMPFGCLL 13
14 M12 TPPPEEAMPFEFNGPAQGDHSQPPLQV 14
15 M20 FRRKAFLHWYTGEAMDEMEFTEAESNM 15
16 M21 SSPDEVALVEGVQSLGFTYLRLKDNYM 16
17 M22 PKPDFSQLQRNILPSNPRVTRFHINWD 17
18 M30 PSKPSFQEFVDWENVSPELNSTDQPFL 18
19 M30.2 DWENVSPELNSTDQP 19
20 M30.3 FVDWENVSPELNSTDQPFL 20
21 M30.4 QEFVDWENVSPELNSTDQPFLPS 21
22 M30.5 SFQEFVDWENVSPELNSTDQPFLPSAP 22
23 M44 EFKHIKAFDRTFANNPGPMVVFATPGM 23
24 melanA_short HGHSYTTAEELAGIGILTV 24
25 MelanA_long YPKKGHGHSYTTAEELAGIGILTVILG 25
26 melanA+4mer HGHSYTTAEELAGIGILTVILGV 26
27 OVA27 DEVSGLEQLESIINFEKLTEWTSSNVM 27
28 OVA27.2(DKVS) DKVSGLEQLESIINFEKLTEWTSSNVM 28
29 OVA27.3(DRVS) DRVSGLEQLESIINFEKLTEWTSSNVM 29
30 OVA27.4(DRVK) DRVKGLEQLESIINFEKLTEWTSSNVM 30
31 OVA8.1 SIINFEKL 31
32 OVA8.2 LESIINFEKLTE 32
33 OVA8.3 EQLESIINFEKLTEWT 33
34 OVA8.4 GLEQLESIINFEKLTEWTSS 34
35 PSMA+12mer LCAGALVLAGGFFLLGFLFGW 35
36 PSMA+12mer_C2S LSAGALVLAGGFFLLGFLFGW 36
37 PSMA+4mer ALVLAGGFFLLGF 37
38 PSMA+8mer AGALVLAGGFFLLGFLF 38
39 PSMAwt VLAGGFFLL 39
40 Survivin KKQFEELMLGEFLKLDRERAKNKIAKE 40
41 Cpne1 GSNGDPSSPYSLHYLSPTGVNEYLTAL 41
42 Irgq PGDSQNAAKARDETAALLNSAVLGAAP 42
43 Aatf HVLSKLLSFMAPIDHTTMSDDARTELF 43
44 AFP EAYEEDRETFMNKFIYEIARRHPFLYA 44
실시예 2. 캐리어 단백질(Carrier Protein)의 선정
2-1. 캐리어 단백질의 설계(Design)
신생항원은 MHC-I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I) 또는 MHC-II 단백질과 결합하여 T-세포 면역을 유도하는데, 신생항원을 포함한 Synthetic Long Peptide (SLP)를 항원으로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체내 반감기가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서열에 따라 용해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SLP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신생항원과 캐리어 단백질의 융합단백질의 제조를 시도하였고 융합단백질은 대장균에서 발현하고 정제 공정을 통하여 생산하고자 하였다.
신생항원은 (CP1) - (링커1) - (신생항원) - (링커2) - (CP2) - (링커3) - (His-tag) 으로 구성된 ORF(Open Reading Frame)로 발현하였다. 환자 마다 신생항원이 다르기 때문에 대장균에서 일정 수준 이상으로 일관되게 발현시키기 위해 ORF N-말단에는 대장균에서 발현이 잘 되는 CP1을 배치하였다. 또한, 신생항원 서열에 따라 정제가 어려운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ORF C-말단에는 구조적으로 안정한 CP2 를 배치하였다. 또한, 발현된 항원의 서열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다르므로 항원 서열 특성에 관계없이 항원을 정제할 수 있도록 친화성 태그인 His-tag을 ORF-C 말단에 배치하였다. CP2는 임의의 항원 서열이 친화성 태그에 의한 정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항원과 His-Tag 사이에 배치한 것이고 ORF의 주요 구성 요소는 Glycine과 Serine으로 구성된 링커로 연결하였다. 발명에 실시된 캐리어 단백질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캐리어 단백질
서열번호 캐리어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
45 human CSTA
(Cystatin-A)
MIPGGLSEAKPATPEIQEIVDKVKPQLEEKTNETYGKLEAVQYKTQVVAGTNYYIKVRAGDNKYMHLKVFKSLPGQNEDLVLTGYQVDKNKDDELTGF
46 human CSTA(codon optimized)
47 hTrx.v1
(human Thioredoxin)
MVKQIESKTAFQEALDAAGDKLVVVDFSATWCGPCKMIKPFFHSLSEKYSNVIFLEVDVDDSQDVASESEVKSMPTFQFFKKGQKVGEFSGANKEKLEATINELV
- Mutant (C62S, C69S, C73S)
48 hTrx.v2(human Thioredoxin) MVKQIESKTAFQEALDAAGDKLVVVDFSATWCGPCKMIKPFFHSLSEKYSNVIFLEVDVDDCQDVASECEVKSMPTFQFFKKGQKVGEFSGANKEKLEATINELV
- Mutant (C73S)
49 hTrx.v3(human Thioredoxin) MVKQIESKTAFQEALDAAGDKLVVVDFSATWSGPSKMIKPFFHSLSEKYSNVIFLEVDVDDSQDVASESEVKSMPTFQFFKKGQKVGEFSGANKEKLEATINELV
- Mutant (C32S, C35S, C62S, C69S, C73S)
50 hTrx.wt(human Thioredoxin) MVKQIESKTAFQEALDAAGDKLVVVDFSATWCGPCKMIKPFFHSLSEKYSNVIFLEVDVDDCQDVASECEVKCMPTFQFFKKGQKVGEFSGANKEKLEATINELV
51 mCSTA.midGGGGG(mouse Cystatin-A) MIPGGLTEARPATAEVQEIADRVKAQLEEETNEKYEIFKAVQYKTQVGGGGGVNYFIKMDVGGGCFTHIKVFKDLSGKNNLELTGYQTNKTEDDELTYF
-Mutant (GGGGG 치환)
52 mCSTA(mouse Cystatin-A) MIPGGLTEARPATAEVQEIADRVKAQLEEETNEKYEIFKAVQYKTQVVAGVNYFIKMDVGGGCFTHIKVFKDLSGKNNLELTGYQTNKTEDDELTYF
53 RPL7Am(50S ribosomal protein L7Ae) MAVYVKFKVPEEIQKELLDAVAKAQKIKKAANEVTKAVERGIAKLVIIAEDVKPEELVAHLPYLCEEKGIPYAYVASKQDLGKAAGLEVAASSVAIINEGDAEELKVLIEKVNVLKQ
- Mutant (G30A, V57L)
54 Samp2a(Small archaeal modifier protein 2) MKMIKVKVVGRNIEKEIEWREGMKVRDILRAVGFNTESAVAKVNGKVVLEDDEVKDGDFVEVIPVWT
- Mutant (I9V, I40V, V66W, S67T)
55 TE1(Human Tenascin 1) MPPKDLVVTEVTEETVNLAWDNEMRVTEYLVVYTPTHEGGLEMQFRVPGDQTSTIIQELEPGVEYFIRVFAILENKKSIPVSARVATYLPAP
(Tenascin 625-715 (UniProt P24821); 에피토프의 N-terminal에 발현시, M(methionine)을 삽입함)
56 TE2(Human Tenascin 1) MEGLKFKSIKETSVEVEWDPLDIAFETWEIIFRNMNKEDEGEITKSLRRPETSYRQTGLAPGQEYEISLHIVKNNTRGPGLKRVTTTRLD
(Tenascin 716-804; 에피토프의 N-terminal에 발현시, M(methionine)을 삽입함)
57 TE3.1-TE4(Human Tenascin 1) MAPSQIEVKDVTDTTALITWFKPLAEIDGIELTYGIKDVPGDRTTIDLTEDENQYSIGNLKPDTEYEVSLISRRGDMSSNPAKETFTTGLDAPRNLRRVSQTDNSITLEWRNGKAAIDSYRIKYAPISGGDHAEVDVPKSQQATTKTTLTGLRPGTEYGIGVSAVKEDKESNPATINAATELDTPKD
(Tenascin 805-990; 에피토프의 N-terminal에 발현시, M(methionine)을 삽입함)
58 TE3.1(Human Tenascin 1) MAPSQIEVKDVTDTTALITWFKPLAEIDGIELTYGIKDVPGDRTTIDLTEDENQYSIGNLKPDTEYEVSLISRRGDMSSNPAKETFTTGLD
(Tenascin 805-894; 에피토프의 N-terminal에 발현시, M(methionine)을 삽입함)
59 TE3.2-TE4(Human Tenascin 1) MLDAPSQIEVKDVTDTTALITWFKPLAEIDGIELTYGIKDVPGDRTTIDLTEDENQYSIGNLKPDTEYEVSLISRRGDMSSNPAKETFTTGLDAPRNLRRVSQTDNSITLEWRNGKAAIDSYRIKYAPISGGDHAEVDVPKSQQATTKTTLTGLRPGTEYGIGVSAVKEDKESNPATINAATELDTPKD
(Tenascin 803-990; 에피토프의 N-terminal에 발현시, M(methionine)을 삽입함)
60 TE3.2(Human Tenascin 1) MLDAPSQIEVKDVTDTTALITWFKPLAEIDGIELTYGIKDVPGDRTTIDLTEDENQYSIGNLKPDTEYEVSLISRRGDMSSNPAKETFTTGL
(Tenascin 803-893; 에피토프의 N-terminal에 발현시, M(methionine)을 삽입함)
61 TE4(Human Tenascin 1) MAPRNLRRVSQTDNSITLEWRNGKAAIDSYRIKYAPISGGDHAEVDVPKSQQATTKTTLTGLRPGTEYGIGVSAVKEDKESNPATINAATELDTPKD
(Tenascin 895-990; 에피토프의 N-terminal에 발현시, M(methionine)을 삽입함)
62 TM1112(Thermotoga maritima Cupin_3 domain-containing protein) MEVKIEKPTPEKLKELSVEKWPIWEKEVSEFDWYYDTNRTAYILEGKVEVTTEDGKKYVIEKGDLVTFPKGLRSRWKVLEPVRMHYNLF
-Mutant (E39R, C41A, C74S, K84M)
63 TrxA.v2(Escherichia coli, Thioredoxin 1) MSDKIIHLTDDSFDTDVLKADGAILVDFWAEWSGPSKMIAPILDEIADEYQGKLTVAKLNIDQNPGTAPKYGIRGIPTLLLFKNGEVAATKVGALSKGQLKEFLDANLA
- TrxA mutant (C33S, C36S)
64 TrxA(Escherichia coli, Thioredoxin 1) MSDKIIHLTDDSFDTDVLKADGAILVDFWAEWCGPCKMIAPILDEIADEYQGKLTVAKLNIDQNPGTAPKYGIRGIPTLLLFKNGEVAATKVGALSKGQLKEFLDANLA
65 TTrx(Thermosipho africanus Thioredoxin) MKIEYFKNDKSSVSKAMLPKIQTIAKNFDIDIEVIDVIENPSYPAQKLVFTVPTVIILDKEFEIKRFARNFSISEVINTIERYLEISNKE
-Mutant (C11S, C14S)
66 PSBD(peripheral subunit-binding domain) VIAMPSVRKYAREKGVDIRLVQGTGKNGRVLKEDIDAWLA
- Mutant (F166W)
67 PSBD_G VIAMPSVRKYAREKGVDIRLVQGTGKGGRVLKEDIDAWLA- Mutant (N155G, F166W)
68 NDPK(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B [Mus musculus]) MANLERTFIAIKPDGVQRGLVGEIIKRFEQKGFRLVAMKFLRASEEHLKQHYIDLKDRPFFPGLVKYMNSGPVVAMVWEGLNVVKTGRVMLGETNPADSKPGTIRGDFCIQVGRNIIHGSDSVESAEKEIHLWFKPEELIDYKSCAHDWVYE
-wild type
69 TT (Tetanus Toxoid antigen) QYIKANSKFIGITEL
- Tetanus Toxin (830-844) peptidic epitope : as part of Tetanus toxin from Clostridium tetani
2-2. 캐리어 단백질 별 신생항원 융합단백질의 제조 결과
항암백신의 신생항원의 단백질 서열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캐리어 단백질과 융합하더라도 pI 과 소수성(Hydrophobicity)이 신생항원 단백질 서열에 따라 다르므로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Chromatography)나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로 모든 항원을 정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런 이유로 친화성(Affinity)를 이용하여 항원단백질을 정제하고자 하였으며, 6개의 히스티딘 아미노산으로 Tag Size가 작고 Resin 1 mL에 20 mg의 높은 단백질 결합능(Protein Binding Capacity)을 가지는 His-tag을 친화성 태그로 선택하여 정제를 수행하였다. 또한 신생항원이 N-말단에 배치하는 구조도 만들어 비교하고자, N-말단에 MBP tag을 도입하여 발현 및 정제한 뒤, TEV 프로테아제로 절단(cut)하여 항원을 제조하였다. 친화성 태그로 1차 정제된 항원들은 2차 크기배제 크로마토 그래피(SEC, Size-Exclusion Chromatograpy)를 이용하여 폴리싱(Polishing) 하였다. 클로닝, 배양 및 정제 방법은 실시예 3과 같다. 각 캐리어 단백질이 결합된 신생항원 융합단백질의 제조 결과는 아래와 같다.
캐리어 단백질별 신생항원 융합단백질의 제조 결과
CP1 CP2 Neoantigen Lot No Construction 제조 항원 농도 (mg/mL) 제조량 (mg)
hCSTA
- M12 pc0726 hCSTA-M12-His 3.1 29.8
- M21 pc0725 hCSTA-M21-His 3.41 6.2
- M30 pc0721 hCSTA-M30-His 3.78 79.4
- M44 pc0722 hCSTA-M44-His 3.04 21.6
- MelanA pc0638 CSTA-GGGGS-melanA0mer-SS-GG-His 4.55 14.1
- OVA27 pc0637-P01 CSTA-GGGGS-OVA27-SS-GG-His 6.36 21.6
- OVA27 pc0637-P02 CSTA-GGGGS-OVA27-SS-GG-His 3 43.6
- OVA27 pc0637-P03 CSTA-GGGGS-OVA27-SS-GG-His 3.9 44.8
- OVA27 pc0666 CSTA-GGGGS-OVA-GGGGS-GG-His 9.54 49.6
- OVA27 pc0695 CSTA-GGGGS-OVA27-SS-GG-His 2.79 27.9
- OVA27.2 pc0700 CSTA-GGGGS-OVA27.2(DKVS)-SS-GG-His 3.49 36.7
- OVA27.3 pc0701 CSTA-GGGGS-OVA27.3(DRVS)-SS-GG-His 3.4 35.7
- OVA27.4 pc0702 CSTA-GGGGS-OVA27.4(DRVK)-SS-GG-His 3.7 38.1
hTrx.v1
- M30 pc0764 hTrx.v1-M30-His 2.37 22.7
- M44 pc0761 hTrx.v1-M44-His 2.49 19.4
- MelanA pc0993 hTrx.v1-MelanA-His 0.733 3.5
PSBD melanA pc0995 hTrx.v1-melanA-PSBD_G-His 2.21 25.5
hTrx.v3
- CT1 pc0822 hTrx.v3-CT1-His 2.28 9.8
PSBD CT1 pc0868 hTrx.v3-CT1-PSBD-His 6.2 47.1
- CT2 pc0814 hTrx.v3-CT2-His 2.39 9.8
PSBD CT2 pc0882 hTrx.v3-CT2-PSBD-His 1.91 24.9
- CT20 pc0793 hTrx.v3-CT20-His 3.5 15.8
- CT24 pc0801 hTrx.v3-CT24-His 1.57 16.5
PSBD CT24 pc0888 hTrx.v3-CT24-PSBD-His 2.43 31.6
PSBD-TT CT24 pc0970 hTrx.v3-CT24-PSBD-TT-His 3.3 11.5
- CT25 pc0813 hTrx.v3-CT25-His 1.44 19.4
PSBD CT25 pc0889 hTrx.v3-CT25-PSBD-His 2.08 30.1
- CT4 pc0823 hTrx.v3-CT4-His 6.51 91.2
PSBD CT4 pc0885 hTrx.v3-CT4-PSBD-His 2.77 27.1
PSBD-TT CT4 pc0968 hTrx.v3-CT4-PSBD-TT-His 3.74 15
- CT5 pc0824 hTrx.v3-CT5-His 2.43 21.9
PSBD CT5 pc0886 hTrx.v3-CT5-PSBD-His 2.29 20.8
PSBD-TT CT5 pc0969 hTrx.v3-CT5-PSBD-TT-His 3.56 31.7
PSBD - pc0908 hTrx.v3-PSBD-His 3.43 41.2
- M12 pc0811 hTrx.v3-M12-His 5.09 61.1
PSBD M12 pc0883 hTrx.v3-M12-PSBD-His 3.58 36.9
PSBD-TT M12 pc0965 hTrx.v3-M12-PSBD-TT-His 4 46.4
- M21 pc0812 hTrx.v3-M21-His 2 19
PSBD M21 pc0869 hTrx.v3-M21-PSBD-His 4.84 62.9
PSBD-TT M21 pc0966 hTrx.v3-M21-PSBD-TT-His 2.54 28.2
- M30 pc0792 hTrx.v3-M30-His 3.79 13.6
PSBD M30 pc0890 hTrx.v3-M30-PSBD-His 2.27 21.5
PSBD-TT M30 pc0973 hTrx.v3-M30-PSBD-TT-His 3 33.3
PSBD M44 pc0895 hTrx.v3-M44-PSBD-His 3.11 32.1
PSBD-TT M44 pc0967 hTrx.v3-M44-PSBD-TT-His 2.78 28.7
PSBD Cpne1 pc1304 hTrx.v3-Cpne1-PSBD-His 2.46 67.6
PSBD Irgq pc1307 hTrx.v3-Irgq-PSBD-His 4.01 109.6
PSBD Aatf pc1308 hTrx.v3-Aatf-PSBD-His 1.84 36.7
MBP 포함하여 발현 후, TEV protease 로 Cut 함. CSTA M30 pc0690 M30-GsGs-CystatinA-GG-His 3.63 65.3
mCSTA M30 pc0733 M30-mCSTA-His 1.91 3.3
TrxA M30 pc0693 M30-GsGs-TrxA-GG-His 4.46 73.6
CSTA M44 pc0691 M44-GsGs-CystatinA-GG-His 6.73 50.4
TrxA M44 pc0692 M44-GsGs-TrxA-GG-His 3.22 22.5
PSBD melanA pc0988 melanA-PSBD_G-His 0.524 4.6
CSTA OVA27 pc0688 OVA-GsGs-CystatinA-GG-His 3.1 4.7
NDPK  OVA27 pc0588 OVA-Gs-NDPK 9.52 19
TrxA OVA27 pc0689 OVA-GsGs-TrxA-GG-His 3.1 4
PSBD survivin pc0989 survivin-PSBD_G-His 0.591 3
mCSTA
- CT2 pc0706 mCSTA-CT2-His 2.8 2.6
- CT3 pc0707 mCSTA-CT3-His 4.63 30.1
- CT4 pc0708 mCSTA-CT4-His 2.39 1.9
- CT5 pc0709 mCSTA-CT5-His 2.86 19.4
- CT6 pc0710 mCSTA-CT6-His 3.49 26.1
- M30 pc0712 mCSTA-M30-His 3.35 20.1
- M30 pc0723 mCSTA-M30-His 4.51 33.8
- M30 pc0748 mCSTA-GGGGG-M30-His 2.7 21.6
- M44 pc0720 mCSTA-M44-His 2.47 54.7
- OVA8.1 pc0715 mCSTA-OVA8.1-His 10.99 35.2
- OVA8.1 pc0747 mCSTA-GGGGG-OVA8.1-His 3.08 24.6
- OVA8.2 pc0714 mCSTA-OVA8.2-His 2.04 15.3
- OVA8.3 pc0713 mCSTA-OVA8.3-His 4.44 33.3
- OVA8.4 pc0704 mCSTA-OVA8.4-His 3.78 20.8
RPL7Am
PSBD CT1 pc0874 RPL7Am-CT1-PSBD-His 1.53 14.5
PSBD CT5 pc0875 RPL7Am-CT5-PSBD-His 1.24 7.9
Samp2a
PSBD CT1 pc0880 Samp2a-CT1-PSBD-His 0.29 2.2
PSBD CT5 pc0881 Samp2a-CT5-PSBD-His 0.66 9.9
TE3.1
- CT2 pc0804 TE3.1-CT2-His 2.91 11.1
- CT24 pc0807 TE3.1-CT24-His 2.31 24.5
- CT25 pc0808 TE3.1-CT25-His 1.81 36.1
- CT4 pc0805 TE3.1-CT4-His 3.64 40
- M12 pc0809 TE3.1-M12-His 3.9 52.7
- M21 pc0810 TE3.1-M21-His 3.6 46.7
- M30 pc0754 TE3.1-M30-His 2.87 13.3
- M44 pc0755 TE3.1-M44-His 2.94 25.6
TE3.1-4 - M30 pc0776 TE3.1-4-M30-His 3.69 9.2
TM1112
PSBD CT1 pc0878 TM1112-CT1-PSBD-His 1.33 15.3
PSBD CT24 pc0939 TM1112-CT24-PSBD-His 4.65 60.5
PSBD-TT CT24 pc0962 TM1112-CT24-PSBD-TT-His 3.02 42.3
PSBD CT25 pc0934 TM1112-CT25-PSBD-His 2.61 39.7
PSBD-TT CT25 pc0952 TM1112-CT25-PSBD-TT-His 3.07 12.9
PSBD CT4 pc0922 TM1112-CT4-PSBD-His 5.87 96.2
PSBD-TT CT4 pc0942 TM1112-CT4-PSBD-TT-His 4.43 62
PSBD CT5 pc0879 TM1112-CT5-PSBD-His 2.29 31
PSBD-TT CT5 pc0943 TM1112-CT5-PSBD-TT-His 3 42
PSBD M12 pc0903 TM1112-M12-PSBD-His 4.18 52.3
PSBD-TT M12 pc0961 TM1112-M12-PSBD-TT-His 4.54 56.7
PSBD M21 pc0933 TM1112-M21-PSBD-His 3.53 19.4
PSBD-TT M21 pc0951 TM1112-M21-PSBD-TT-His 5.33 75.2
PSBD M30 pc0923 TM1112-M30-PSBD-His 3.05 38.4
PSBD-TT M30 pc0940 TM1112-M30-PSBD-TT-His 2.76 33.9
PSBD M44 pc0924 TM1112-M44-PSBD-His 3.55 50.1
PSBD-TT M44 pc0941 TM1112-M44-PSBD-TT-His 6.6 99.7
TrxA
- CT1 pc0727 TrxA-CT1-His 2.44 15.6
- CT2 pc0728 TrxA-CT2-His 2.57 8.2
- CT20 pc0731 TrxA-CT20-His 2.57 19.5
- CT24 pc0737 TrxA-CT24-His 2.67 50.2
- CT25 pc0732 TrxA-CT25-His 3.48 19.5
- CT4 pc0729 TrxA-CT4-His 3.72 52.9
- CT5 pc0730 TrxA-CT5-His 1.85 26.6
- M12 pc0734 TrxA-M12-His 4.99 49.4
- M21 pc0736 TrxA-M21-His 3.3 40.6
- M30 pc0735 TrxA-M30-His 4.1 47.6
- M44 pc0738 TrxA-M44-His 2.37 76.6
TrxA.v2
- CT2 pc0816 TrxA.v2-CT2-His 1.03 10.7
- CT20 pc0791 TrxA.v2-CT20-His 2.93 35.1
- CT5 pc0821 TrxA.v2-CT5-His 0.85 6.4
- M30 pc0802 TrxA.v2-M30-His 4.05 20.3
TT-hCSTA
- CT24 pc0785 TT-Gs-hCSTA-CT24-His 2.56 26.6
PSBD CT24 pc0931 TT-Gs-hCSTA-CT24-PSBD-His 4.08 50.6
PSBD CT25 pc0932 TT-Gs-hCSTA-CT25-PSBD-His 2.97 44.6
- CT5 pc0783 TT-Gs-hCSTA-CT5-His 1 6.8
PSBD CT5 pc0935 TT-Gs-hCSTA-CT5-PSBD-His 3.27 36.6
- M12 pc0787 TT-Gs-hCSTA-M12-His 4.35 52.2
PSBD M12 pc0926 TT-Gs-hCSTA-M12-PSBD-His 6.98 97
- M21 pc0788 TT-Gs-hCSTA-M21-His 2.7 4.5
PSBD M21 pc0927 TT-Gs-hCSTA-M21-PSBD-His 3.26 40.7
- M44 pc0746 TT-Gs-hCSTA-M44-His 2.49 19.9
PSBD M44 pc0929 TT-Gs-hCSTA-M44-PSBD-His 5.91 88.6
TT-hTrx.v3
PSBD CT24 pc0957 TT-hTrx-CT24-PSBD-His 4.72 59.2
PSBD CT25 pc0949 TT-hTrx-CT25-PSBD-His 2.7 23.7
PSBD CT4 pc0947 TT-hTrx-CT4-PSBD-His 4.98 66.2
PSBD CT5 pc0948 TT-hTrx-CT5-PSBD-His 3.27 39.2
PSBD M12 pc0953 TT-hTrx-M12-PSBD-His 7.32 107.6
PSBD M21 pc0954 TT-hTrx-M21-PSBD-His 2.33 27.6
PSBD M30 pc0955 TT-hTrx-M30-PSBD-His 3.6 49.3
PSBD M44 pc0956 TT-hTrx-M44-PSBD-His 4.4 64.2
TT-TM1112
PSBD CT24 pc0960 TT-TM1112-CT24-PSBD-His 3.12 45.9
PSBD CT25 pc0964 TT-TM1112-CT25-PSBD-His 2.4 35.8
PSBD CT4 pc0936 TT-TM1112-CT4-PSBD-His 3.45 44.9
PSBD CT5 pc0959 TT-TM1112-CT5-PSBD-His 3.59 52
PSBD M12 pc0950 TT-TM1112-M12-PSBD-His 4.56 61.6
PSBD M21 pc0963 TT-TM1112-M21-PSBD-His 2.04 25.7
PSBD M30 pc0937 TT-TM1112-M30-PSBD-His 3.99 54.2
PSBD M44 pc0958 TT-TM1112-M44-PSBD-His 4.02 56.3
실시예 3. 치료용 재조합 항암 백신의 제조
3-1. 벡터의 제작
융합 단백질을 합성할 때 Insert 길이가 짧은 경우(400mer 이내) 60-90mer의 oligo 6개 이내를 얻은 뒤 overlap PCR을 수행했고, 길이가 긴 경우에는 gene 합성을 통해서 앞 뒤에 제한효소 site가 붙은 서열을 확보하였다. 각각의 construct 제작에 필요한 primer와 backbone 서열은 표 5 및 표 6에 정리하였다. 해당 서열과 Backbone 벡터를 제한효소를 1시간 처리 후 gel extraction을 수행하였으며, 얻어낸 gene fragment를 ligase 1시간 처리 후 E. coli Transformation을 수행하였다.
융합 단백질 서열은 캐리어 단백질과 에피토프, 그리고 정제를 위한 택 서열로 구성된다. 제작하려는 서열을 모두 overlap PCR 혹은 gene 합성을 통해 제작한 뒤 벡터에 삽입하거나, 암 종의 시퀀싱 분석에 따라 선별된 에피토프 서열이 지속적으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융합 단백질의 서열 및 순서를 결정한 뒤 에피토프가 들어갈 위치 앞 뒤에는 따로 제한효소 site를 넣어서 원하는 에피토프 서열을 올리고 합성을 통해 편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에피토프 등 추가 서열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5’> 3’, 3’> 5’ 두 개의 단일 염기서열(일부가 서로 상보적으로 붙는 두 올리고 염기서열)을 annealing 과정을 통해 붙인 뒤 그것을 insert로 클로닝을 수행하여 제작하였고, 추가 서열이 길어질 경우에는 insert의 개수를 여러 개로 늘려서 제작하였다.
PCR의 경우 primer 및 template, polymerase premix와 DW를 넣고 95도 1분 denaturation, 25 cycle로 95℃ 10초, 60℃ 10초, 72℃ 30초 진행한 뒤, extension으로 72℃로 2분, 마지막으로 12℃ 5분을 PCR machine에서 진행하였다. 해당 서열과 Backbone 벡터를 제한효소로 1시간 처리 후 gel extraction을 수행하고 얻어낸 gene fragment를 ligase 1시간 처리 후 E. coli Transformation을 수행하였다. Insert를 oligo annealing으로 제작할 경우, 서로 상보적으로 붙는 두 올리고 염기서열을 1uM 같은 농도로 섞고 95℃ 5분, ramp rate 0.1℃/sec로 설정하고 50℃까지 내린 뒤 10분 incubation 처리하였다. 각각의 construct 제작에 필요한 primer와 backbone 서열 및 제한효소 site는 표 5에 정리하였다.
먼저 제작된 모든 벡터 backbone은 pMAL-c2x, pRK793, pET-Duet 그리고 pET28a(+) 유래이며, pET28a(+)의 경우 제한 효소 site를 바꾸기 위해 pET-Duet 벡터를 template로 backbone F1과 backbone R1 primer를 사용해 PCR한 뒤 제한효소 XbaI과 XhoI site를 이용해 자른 fragment를 pET-28a(+)에 삽입해 기존과 다른 enzyme site로 사용할 수 있는 pET-Backbone벡터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Ubiquitin fusion으로 Epitope를 발현하기 위해 코스모진텍에서 gene 합성을 의뢰한 pTr-Ub-E1 fragment를 template로 UB_NdeI F와 UB_SalI R로 PCR한 뒤 앞서 만든 pET-Backbone 벡터와 함께 NdeI-SalI으로 잘라 pUB-E1 벡터를 제작하였다. 해당 벡터는 NdeI-SacI site를 이용할 수 있어 다른 벡터를 이 enzyme site를 이용해서 제작하는데 사용되었다.
항암백신 효능평가에 사용한 두 가지 융합 단백질(hTrx-epitope-PSBD, TM1112-epitope-PSBD)을 발현하기 위한 벡터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hTrx fusion 벡터의 경우, (효능평가에 사용된 hTrx는 모두 표 2의 hTrx.v3와 같다) hTrx-BsaI enzyme site-PSBD-His의 순서로 두 carrier protein 사이에 위치한 두 개의 BsaI site를 이용해서 epitope을 삽입할 수 있게 설계된 Backbone 벡터를 제작한 뒤 다양한 epitope을 삽입함으로써 제작하였다. 벡터의 제작을 위해서는 overlap PCR이 수행되었다. 코스모진텍에서 합성된 hTrx.v1의 염기서열을 template로 hT NdeI F(GCGCATATGGTTAAACAAATTGAGTCGAAAAC: 서열번호 108) 와 hTrx.v3 R(TATCATTTTAGATGGACCAGACCAAGTGGCTGAGAAGTCAACTACGAC: 서열번호 109)을 primer로 PCR한 것을 첫 번째 template, 앞선 hTrx.v1 서열을 template로 hTrx.v3 F(CACTTGGTCTGGTCCATCTAAAATGATAAAGCCTTTTTTCCACTCGTTGAG: 서열번호 110) 와 hT BsaI R1(TGAGACCCAGCGTTGCGGGTCTCTTCCTCCACCACCACCGACCAGTT: 서열번호 111)을 primer로 PCR한 것을 위의 hT NdeI F과 hT BsaI R을 두 번째 template로 해서 앞선 hTrx.v3 F 와 hT BsaI R을 primer로 overlap PCR을 수행하고, 해당 overlap PCR product를 다시 첫 번째 template, 그리고 코스모진텍에서 gene 합성을 수행한 PSBD 서열을 template로 BsaI F(agagaccCGCAACGCTGggtctcaGGTGGTGGTGgaGgaGTTATCGCT: 서열번호 100)와 PSBD R(CGACGAGCTCTCAATGGTGGTGATGGTGATGTCCGCCAGCCAGCCACGCGTCGATGTCTTCTTTCAGAACACGG: 서열번호 101)로 PCR한 것을 두 번째 template로 하고, 해당 앞선 PCR product forward primer 인 hT NdeI F와 뒤쪽 PCR product의 reverse primer인 PSBD R을 primer로 overlap PCR이 insert가 되었고, 이를 pET-28과 pET-Duet 기반으로 만들어진 backbone 벡터에 각각 NdeI-SacI으로 잘라 ligation해서 hTrx-BsaI enzyme site-PSBD-His 벡터를 제작하였다.
추후 hTrx-BsaI enzyme site-PSBD-His 벡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epitope 발현 벡터들이 다른 carrier protein보다 여러 epitope 발현에서 좋은 물성을 보였으나, MASS 분석에서 PSBD 27번째 glutamine이 cleavage되는 현상이 관찰되어 해당 서열을 A/S/T/G로 치환할 경우 해당 현상이 감소한다는 논문을 기반으로 MBP-TEV-PSBD의 발현 후 TEV cleavage를 통해 각 치환체의 안정성을 확인했으나 단독 발현으로는 큰 효과를 보이지 않아 가장 효율적으로 예상되는 N27G 치환체를 PSBD_G로 명명하고 제작하였다. 해당 벡터의 제작은 원래의 hTrx-BsaI enzyme site-PSBD-His 벡터를 template로 G (TCAGGGTACCGGTAAAGGTGGCCGTGTTCTGAAAGAAGACATCG: 서열번호 142) 와 T7 R 63(TTCGCCAATCCGGATATAGTTCCTCCTTTC: 서열번호 120)을 primer로 PCR 후 연결할 원래 벡터인 hTrx-BsaI enzyme site-PSBD-His와 함께 KpnI-BlpI으로 잘라 ligation 해서 hTrx.v3-BsaI-PSBD_G-His 벡터를 제작하였다.
hTrx.v3-BsaI-PSBD_G-His 를 기반으로 제작된 PSBD_G로 치환된 벡터들이 효과를 cleavage 가 줄어든 효과를 보였으나, 좀 더 물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epitope과 carrier protein 사이 linker 길이 GGGGS에서 총 10개 아미노산의 GS linker로 늘린 형태를 제작하였다. hTrx.v3-BsaI-PSBD_G-His 벡터를 template로 T7 F 63(GTCCGGCGTAGAGGATCGAGATCTC: 서열번호 131) 과 G10R(tgagaccCAGCGTTGCGggtctctgcCgcCaCCgCCaCCgcttcCACCACCACCGACCAGTTCATTAATCGTAGCTTCTAAT: 서열번호 143)을 primer로 첫 번째 template, 마찬가지로 hTrx.v3-BsaI-PSBD_G-His 벡터를 template로 하고 G10F(agagaccCGCAACGCTGggtctcaGGcGGTGGcGgtGgtagcGGTGGTGgaGgaGTTATCGCTATGCCGTCCGTACGCAAAT: 서열번호 144)와 T7 R 63(TTCGCCAATCCGGATATAGTTCCTCCTTTC: 서열번호 120)을 primer로 PCR한 것을 두 번째 template로 하고, T7 F 63과 T7 R 63을 primer로 overlap PCR이 insert가 되었고, 이를 hTrx.v3-BsaI-PSBD_G-His 벡터에 각각 BglII-SacI으로 잘라 ligation해서 hTrx.v3-G10_BsaI-PSBD_G-His 벡터를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TM1112 fusion 벡터의 경우, 처음 제작된 플랫폼은 TM1112-BsaI-PSBD-His로, 두 carrier protein 사이에 위치한 두 개의 BsaI site를 이용해서 epitope을 삽입할 수 있게 설계된 벡터로 carrier protein 1-epitope-carrier protein 2-his 형태에서 TM1112 외에 다양한 앞쪽의 carrier protein을 screening 하는 과정에서 제작되었다. 벡터의 제작을 위해서는 overlap PCR이 수행되었다. 코스모진텍에서 합성된 TM1112의 염기서열을 template로 TM F(TAGCGCATATGGAAGTTAAAATCGAGAAACCGACTCCGGAAAA: 서열번호 98)와 TM 1R(TGAGACCCAGCGTTGCGGGTCTCTTCCTCCACCACCACCGAACAGGTT: 서열번호 99)을 primer로 PCR한 것을 첫 번째 template, 코스모진텍에서 gene 합성을 수행한 PSBD 서열을 template로 BsaI F와 PSBD R을 primer로 PCR한 것을 두 번째 template로 하고, 해당 TM F와 PSBD R을 primer로 overlap PCR이 insert가 되었고, 이를 pET-28과 pET-Duet 기반으로 만들어진 backbone 벡터에 각각 NdeI-SacI으로 잘라 ligation해서 TM1112-BsaI-PSBD-His 벡터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TM1112-BsaI-PSBD-His를 기반으로 제작된 epitope 발현 벡터들이 다른 carrier protein보다 여러 epitope 발현에서 좋은 물성을 보였으나, hTrx 벡터와 마찬가지로 MASS 분석에서 PSBD 27번째 glutamine이 cleavage되는 현상이 관찰되어 해당 서열을 A/S/T/G로 치환할 경우 해당 현상이 감소한다는 논문을 기반으로 MBP-TEV-PSBD의 발현 후 TEV cleavage를 통해 각 치환체의 안정성을 확인했으나 단독 발현으로는 큰 효과를 보이지 않아 가장 효율적으로 예상되는 N27G 치환체를 PSBD_G로 명명하고 제작하였다. 해당 벡터의 제작은 TM1112-BsaI-PSBD-His을 벡터로, 먼저 PSBD를 G로 치환한 hTrx.v3-BsaI-PSBD_G-His을 insert로 KpnI-BlpI으로 잘라 ligation 해서 TM1112-BsaI-PSBD_G-His 벡터를 제작하였다.
TM1112-BsaI-PSBD_G-His을 기반으로 제작된 PSBD_G 치환된 벡터들이 효과를 cleavage 가 줄어든 효과를 보였으나, 좀 더 물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epitope과 carrier protein 사이 linker 길이 GGGGS에서 총 10개 아미노산의 GS linker로 늘린 형태를 제작하였다. TM1112-BsaI-PSBD_G-His 벡터를 template로 T7 F 63(GTCCGGCGTAGAGGATCGAGATCTC: 서열번호 131) 과 TM_G10_R(TGAGACCCAGCGTTGCGGGTCTCTTCCTCCACCACCACCGCTTCCACCACCACCGAACAGGTTGTAGTGCATACGAACAGG: 서열번호 145)을 primer로 첫 번째 template, 마찬가지로 pc1068벡터를template로 하고 TM_G10_F(AGAGACCCGCAACGCTGGGTCTCAGGTGGCGGCGGTGGTAGCGGTGGTGGAGGAGTTATCGCTATGCCGTCCGTACGCAAAT: 서열번호 146)와 T7 R 63(TTCGCCAATCCGGATATAGTTCCTCCTTTC: 서열번호 120)을 primer로 PCR한 것을 두 번째 template로 하고, T7 F 63과 T7 R 63을 primer로 overlap PCR이 insert가 되었고, 이를 TM1112-BsaI-PSBD_G-His 벡터에 각각 BglII-SacI으로 잘라 ligation해서 TM1112-G10_BsaI-PSBD_G-His 벡터를 제작하였다.
정제 실시예로 사용된 항암백신 10 종 및 다른 epitope 발현 벡터들은 해당은 다BsaI site에 oligo 두 개를 annealing 한 것을 ligation하여 제조되었다.
TM-M30-PS의 경우 TM1112-BsaI-PSBD-His를 BsaI으로 자르고, M30 F(aGgaCCGAGCAAACCGTCGTTTCAGGAATTTGTGGACTGGGAAAACGTGTCGCCGGAACTGAaCAGCACCGATCAGCCGTTTCTG: 서열번호 102)와 M30 R(CACCCAGAAACGGCTGATCGGTGCTGtTCAGTTCCGGCGACACGTTTTCCCAGTCCACAAATTCCTGAAACGACGGTTTGCTCGG: 서열번호 103) 뉴클레오티드 올리고머 두 개를 annealing 과정을 통해 붙인 뒤 앞서 자른 벡터와 ligation해서 완성하였다.
TM-CT5-PS의 경우 3개 fragment의 overlap PCR을 통해서 insert를 제작하였다. 3개 fragment 중 첫 번째 fragment는 코스모진텍에 gene 합성한 TM 서열을 template로 TM F와 TM R5(GCTCACCATAAACAGCTGCGGCATAATCGCCACGCTTTCCAGATAAATTCCTCCACCACCACCGAACAGGTTGT: 서열번호 104)를 primer로 PCR하고, 두 번째 fragment는 코스모진텍에서 gene 합성 한 PSBD 서열을 template로 CT5 F2(GCGATTATGCCGCAGCTGTTTATGGTGAGCAAAGGCGGTGGTGGAGGAGTTATCGCTATGCCGTCCGTACGCAAATATGCACGTGAAA: 서열번호 105)와 PSBD R를 primer로 PCR한 것이며, 이 두 개의 fragment를 template로 TM F와 PSBD R을 primer로 overlap PCR을 수행하였다. 이것과 pET-backbone 벡터를 NdeI-SacI의 제한효소 처리 후 ligation을 통해서 벡터를 제작하였다.
hT-M12-PS는 hTrx-BsaI-PSBD-His 벡터를 BsaI으로 자르고, M12 F(aGgaACCCCGCCGCCGGAAGAAGCGATGCCGTTTGAATTTAATGGTCCGGCGCAGGGTGATCATAGCCAGCCGCCGCTGCAGGTG: 서열번호 115)와 M12 R (CACCCACCTGCAGCGGCGGCTGGCTATGATCACCCTGCGCCGGACCATTAAATTCAAACGGCATCGCTTCTTCCGGCGGCGGGGT: 서열번호 116)뉴클레오티드 올리고머 두 개를 annealing 과정을 통해 붙인 뒤 앞서 자른 벡터와 ligation해서 완성하였다.
hT-CT25-PS은 hTrx-BsaI-PSBD-His 벡터를 BsaI으로 자르고, CT25 F(aGgaCTGCATCTGGAAGAAACCCTGGCGGGCTTTTGGGCGCGCCTGCTGGAAcgc: 서열번호 117)와 CT25 R(CACCgcgTTCCAGCAGGCGCGCCCAAAAGCCCGCCAGGGTTTCTTCCAGATGCAG: 서열번호 118) 뉴클레오티드 올리고머 두 개를 annealing 과정을 통해 붙인 뒤 앞서 자른 벡터와 ligation해서 완성하였다.
TT-hT-M30-PS는 먼저 hT-M30-PS를 앞서 제작한 hTrx-BsaI-PSBD-His 벡터를 BsaI으로 자르고 M30 F(aGgaCCGAGCAAACCGTCGTTTCAGGAATTTGTGGACTGGGAAAACGTGTCGCCGGAACTGAaCAGCACCGATCAGCCGTTTCTG: 서열번호 102)와 M30 R(CACCCAGAAACGGCTGATCGGTGCTGtTCAGTTCCGGCGACACGTTTTCCCAGTCCACAAATTCCTGAAACGACGGTTTGCTCGG: 서열번호 103) 뉴클레오티드 올리고머 두 개를 annealing 과정을 통해 붙인 뒤 앞서 자른 벡터와 ligation해서 제작한 뒤, 앞쪽 TT 서열을 붙이기 위해 htrx TT F(GCAAATTTATTGGCATTACCGAACTGGGCGGCGGCGGGTCTATGGTTAAACAAATTGAGTCGAAAACCG: 서열번호 119)와 T7 R 63 primer로 PCR을 1회 수행 후, TT F(GCGGCATATGCAGTATATTAAAGCGAACAGCAAATTTATTGGCATTACCGAACTG: 서열번호 121) 와 T7 R 63 primer로 다시 한 번 PCR을 수행한 뒤 pET-Backbone 벡터와 함께 NdeI-SacI site를 통해서 벡터를 제작하였다.
TT-hT-CT5-PS는 먼저 hT-CT5-PS를 앞서 제작한 hT-BsaI-PS를 BsaI으로 자르고 CT5 F(aGgaATTTATCTGGAAAGCGTGGCGATTATGCCGCAGCTGTTTATGGTGAGCAAA: 서열번호 122)와 CT5 R(CACCTTTGCTCACCATAAACAGCTGCGGCATAATCGCCACGCTTTCCAGATAAAT: 서열번호 123) 뉴클레오티드 올리고머 두 개를 annealing 과정을 통해 붙인 뒤 앞서 자른 벡터와 ligation해서 제작한 뒤, 앞쪽 TT 서열을 붙이기 위해 htrx TT F와 T7 R primer로 PCR을 1회 수행 후, TT F 와 T7 R primer로 다시 한 번 PCR을 수행한 뒤 pET-Backbone 벡터와 함께 NdeI-SacI site를 통해서 벡터를 제작하였다.
TT-CS-M21-PS는 먼저 CSTA를 template로 CSTA F(gcgaCTAGtAATAATTTTGTTTAACTTTAAGAAGGAGATATACCATGATCCCAGGAGGTCTGTCTGAAGCTAAGcc: 서열번호 124) 와 CS_OVA R(CTGTTCCAGACCGCTAACTTCATCGGATCCACCACCACCAAAACCCGTCAGCTCATCATCTTT: 서열번호 125)로 PCR을 수행해 첫 번째 fragment, 그리고 OVA 서열을 template로 CS_OVA F(GGTGGATCCGATGAAGTTAGCGGTCTGGAACAG: 서열번호 126)와 OVA R(GACGAGCTCTCAGTGATGATGGTGGTGATGACCTCCACTAGACATAACATTGCTGCTGGTCCATTCGGT: 서열번호 127)로 PCR 수행한 것을 두 번째 fragment로 CSTA F와 OVA R을 primer로 overlap PCR을 수행해 얻은 PCR product를 SpeI-SacI으로 잘라 insert로 사용하고, pET-backbone을 XbaI-SacI으로 자른 것을 벡터로 ligation하여 CSTA-OVA를 제작하였다. 그 뒤 M21 F(AGGAAGCAGCCCGGATGAAGTGGCGCTGGTTGAAGGTGTGCAGAGCCTGGGTTTTACCTATCTGCGTCTGAAAGATAATTATATG: 서열번호 147)와 M21 R(CACCCATATAATTATCTTTCAGACGCAGATAGGTAAAACCCAGGCTCTGCACACCTTCAACCAGCGCCACTTCATCCGGGCTGCT: 서열번호 148)을 annealing 해서 만든 서열을 template로 M21 BamHI F(GCGGGATCCAGCAGCCCGGATGAAGTGGC: 서열번호 128)와 M21 SacI R(CGCGAGCTCTCAGTGATGATGGTGGTGATGACCTCCCATATAATTATCTTTCAGACGCAGATAGGTAAAACCC: 서열번호 129)을 primer로 PCR을 수행한 것을 CSTA-OVA와 함께 BamHI-SacI site로 잘라서 CSTA-M21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CSTA-M21 벡터를 template로 hCS TT F2(GCGCATATGGGCGGCGGCGGGTCTATGATCCCAGGAGGTCTGTCTGAAG: 서열번호 149)와 T7 R 63 primer로 PCR을 1회 수행 후, PCR product를 template로 TT F(GCGCATATGCAGTATATTAAAGCGAACAGCAAATTTATTGGCATTACCGAACTGGGCGGCGGCGGGTCTATGAT: 서열번호 121) 와 T7 R 63 primer로 다시 한 번 PCR을 수행한 뒤 pET-Backbone 벡터와 함께 NdeI-SacI site를 통해서 TT-CS-M21 벡터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TT-CS-M21 벡터를 template로 T7 F 63과 CS-M21 R primer(GCGTACGGACGGCATAGCGATAACTCCTCCACCACCACCCATATAATTATCTTTCAGACGCAGATAGGTA: 서열번호 132)로 PCR 한 것을 첫 번째 fragment로, PSBD 서열을 template로 PSBD F2(GGTGGTGGTGGAGGAGTTATCGCTAT: 서열번호 133)와 T7 R 63 primer로 PCR한 것을 두 번째 fragment로 T7 F와 T7 R을 primer로 overlap PCR을 수행한 것을 pET-Backbone과 NdeI-SacI으로 잘라서 TT-CS-M21-PS 벡터를 완성하였다.
TT-CS-CT5-PS는 위에서 만들어진 CSTA-OVA를 BamHI-SacI site로 자르고 CT5 BamHI F(GATCCATTTATCTGGAAAGCGTGGCGATTATGCCGCAGCTGTTTATGGTGAGCAAAGGCGGACATCACCATCACCACCATTGAGAGCT: 서열번호 134)와 CT5 SacI R(CTCAATGGTGGTGATGGTGATGTCCGCCTTTGCTCACCATAAACAGCTGCGGCATAATCGCCACGCTTTCCAGATAAATG: 서열번호 135)을 annealing으로 연결한 것을 insert로 ligation 해서 CSTA-CT5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CSTA-CT5 벡터를 template로 hCS TT F와 T7 R primer로 PCR을 1회 수행 후, PCR product를 template로 TT F 와 T7 R primer로 다시 한 번 PCR을 수행한 뒤 pET-Backbone 벡터와 함께 NdeI-SacI site를 통해서 TT-CS-CT5 벡터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TT-CS-CT5 벡터를 template로 T7 F과 CS-CT5 R primer로 PCR 한 것을 첫 번째 fragment로, PSBD 서열을 template로 PSBD F2와 T7 R primer로 PCR한 것을 두 번째 fragment로 T7 F와 T7 R을 primer로 overlap PCR을 수행한 것을 pET-Backbone과 NdeI-SacI으로 잘라서 TT-CS-CT5-PS 벡터를 완성하였다.
TT-TM-M44-PS는 TM1112-BsaI-PSBD-His를 BsaI으로 자르고, M44 F(aGgaGAATTTAAACATATTAAAGCGTTTGATCGTACCTTTGCGAATAACCCGGGTCCGATGGTGGTGTTTGCGACCCCGGGTATG: 서열번호 137)와 M44 R(CACCCATACCCGGGGTCGCAAACACCACCATCGGACCCGGGTTATTCGCAAAGGTACGATCAAACGCTTTAATATGTTTAAATTC: 서열번호 138) 뉴클레오티드 올리고머 두 개를 annealing 과정을 통해 붙인 뒤 앞서 자른 벡터와 ligation해서 제작 후, 앞쪽 TT 서열을 붙이기 위해 앞서 제작한 벡터를 template로 htrx TT F와 T7 R primer로 PCR을 1회 수행 후, TT F 와 T7 R 63 primer로 다시 한 번 PCR을 수행한 뒤 pET-Backbone 벡터와 함께 NdeI-SacI site를 통해서 벡터를 제작하였다.
TT-TM-CT25-PS는 TM1112-BsaI-PSBD-His를 BsaI으로 자르고, CT25 F(aGgaCTGCATCTGGAAGAAACCCTGGCGGGCTTTTGGGCGCGCCTGCTGGAAcgc: 서열번호 140)와 CT25 R(CACCgcgTTCCAGCAGGCGCGCCCAAAAGCCCGCCAGGGTTTCTTCCAGATGCAG: 서열번호 141) 뉴클레오티드 올리고머 두 개를 annealing 과정을 통해 붙인 뒤 앞서 자른 벡터와 ligation해서 제작 후, 앞쪽 TT 서열을 붙이기 위해 앞서 제작한 벡터를 template로 htrx TT F와 T7 R primer로 PCR을 1회 수행 후, TT F 와 T7 R primer로 다시 한 번 PCR을 수행한 뒤 pET-Backbone 벡터와 함께 NdeI-SacI site를 통해서 벡터를 제작하였다.
항암백신 효능평가에 사용된 항암백신 10종은 정제 실시예로 사용된 벡터처처럼 BsaI site에 oligo 두 개를 annealing 한 것을 ligation하여 제조되었다.
hTrx.v3-CT4-PSBD-His, hTrx.v3-CT5-PSBD-His, hTrx.v3-CT24-PSBD-His 중hT-CT5-PS는 hTrx.v3-CT5-PSBD-His와 같으며, hTrx.v3-CT4-PSBD-His 와 hTrx.v3-CT24-PSBD-His 는 각각 앞서 제작한 hT-BsaI-PS를 BsaI으로 자르고 CT4 F(aGgaGGCGGCATTAGCGTGAAAGAACATATTGAAGTGAACGTGGTGCCGCTgACC: 서열번호 156)와 CT4 R(CACCGGTcAGCGGCACCACGTTCACTTCAATATGTTCTTTCACGCTAATGCCGCC: 서열번호 157)를 쌍으로, 그리고 CT24 F(aGgaCCGCTGGAAGCGATGTATATGCAGTGGCCGGTGATTGCGGTGAACAACgGC: 서열번호 158)와 CT24 R(CACCGCcGTTGTTCACCGCAATCACCGGCCACTGCATATACATCGCTTCCAGCGG: 서열번호 159)를 다른 쌍으로 하는 뉴클레오티드 올리고머 두 개를 annealing 과정을 통해 붙인 뒤 앞서 자른 벡터와 ligation해서 제작하였다.
hTrx.v3-Cpne1-PSBD-His, hTrx.v3-Irgq-PSBD-His, hTrx.v3-Aatf-PSBD-His는 hTrx.v3-G10_BsaI-PSBD_G-His 벡터를 BsaI으로 자르고 Aatf F(CGGCCATGTGCTGAGCAAACTGCTGAGCTTTATGGCGCCGATTGATCATACCACCATGAGCGATGATGCGCGCACCGAACTGTTT: 서열번호 150) Aatf R(CaCCAAACAGTTCGGTGCGCGCATCATCGCTCATGGTGGTATGATCAATCGGCGCCATAAAGCTCAGCAGTTTGCTCAGCACATG: 서열번호 151)를 쌍으로, Cpne F(CGGCGGCAGCAACGGCGATCCGAGCAGCCCGTATAGCCTGCATTATCTGAGCCCGACCGGCGTGAACGAATATCTGACCGCGCTG: 서열번호 152)와 Cpne R(CaCCCAGCGCGGTCAGATATTCGTTCACGCCGGTCGGGCTCAGATAATGCAGGCTATACGGGCTGCTCGGATCGCCGTTGCTGCC: 서열번호 153)를 또 다른 쌍으로, 그리고 Irgq F(CGGCCCGGGCGATAGCCAGAACGCGGCGAAAGCGCGCGATGAAACCGCGGCGCTGCTGAACAGCGCGGTGCTGGGCGCGGCGCCG: 서열번호 154)와 Irgq R(CaCCCGGCGCCGCGCCCAGCACCGCGCTGTTCAGCAGCGCCGCGGTTTCATCGCGCGCTTTCGCCGCGTTCTGGCTATCGCCCGG: 서열번호 155)를 또 다른 쌍으로 하는 뉴클레오티드 올리고머 두 개를 annealing 과정을 통해 붙인 뒤 앞서 자른 벡터와 ligation해서 제작하였다.
TM1112-M44-PSBD-His, TM1112-M30-PSBD-His, TM1112-M12-PSBD-His, TM1112-M21-PSBD-His 중 TM1112-M30-PSBD-His는 TM-M30-PS과 같으며, 나머지는 TM1112-BsaI-PSBD-His를 BsaI으로 자르고, M44 F와 M44 R을 쌍으로, M12 F(aGgaACCCCGCCGCCGGAAGAAGCGATGCCGTTTGAATTTAATGGTCCGGCGCAGGGTGATCATAGCCAGCCGCCGCTGCAGGTG: 서열번호 115)와 M12 R(CACCCACCTGCAGCGGCGGCTGGCTATGATCACCCTGCGCCGGACCATTAAATTCAAACGGCATCGCTTCTTCCGGCGGCGGGGT: 서열번호 116)를 쌍으로, 그리고 M21 F(aGgaAGCAGCCCGGATGAAGTGGCGCTGGTTGAAGGTGTGCAGAGCCTGGGTTTTACCTATCTGCGTCTGAAAGATAATTATATG: 서열번호 147)와 M21 R(CACCCATATAATTATCTTTCAGACGCAGATAGGTAAAACCCAGGCTCTGCACACCTTCAACCAGCGCCACTTCATCCGGGCTGCT: 서열번호 148)을 쌍으로 뉴클레오티드 올리고머 두 개를 annealing 과정을 통해 붙인 뒤 앞서 자른 벡터와 ligation해서 완성하였다.
각각의 construct의 정제 용이성을 위해 His tag을 뒤에 붙였으며, 앞선 요소들과 His tag 사이에는 tag이 앞선 단백질의 물성에 영향을 적게 하기 위해 Glycine 두 개 linker가 삽입되었으며, fusion protein과 epitope 사이에도 같은 목적으로 GGGGG나 GGGGS, 혹은 그 두 가지가 연결된 linker가 삽입되었다.
Transformation을 위한 Comp.cell은 DH5alpha(엔지노믹스)를 사용했고, heat shock을 1분 30초 가한 뒤 LB media에 1시간 안정화 후 항생제 marker가 들어있는 고체 배지에 spreading 하여 selection을 수행하였다. Overnight(12-16h)으로 37도에서 놓아둔 배지에서 1-2개의 colony를 2ml의 LB media에 6-8시간 키운 후 mini-prep을 수행하여 벡터를 얻어낸 뒤, 일정량을 seq 분석에 사용하였다.
링커
서열번호 링커명 아미노산 서열
- GS GS
70 GGGGS GGGGS
- LE LE
71 SSGG SSGG
- GG GG
72 GGGGG GGGGG
73 G10 GGGGSGGGGG
백본 서열
서열번호 캐리어 단백질 nucleotide 서열
74 Mouse CSTA(Cystatin A) ATGATCCCAGGTGGTCTGACCGAAGCGCGCCCGGCGACCGCGGAAGTGCAGGAAATTGCGGATCGCGTGAAAGCGCAGCTGGAAGAAGAAACCAACGAAAAATATGAAATTTTTAAAGCCGTTCAGTACAAAACCCAGGTCGTAGCGGGTGTGAACTATTTTATTAAAATGGATGTGGGCGGCGGCTGCTTTACCCATATTAAAGTGTTTAAAGATCTGAGCGGCAAAAACAACCTGGAACTGACCGGCTATCAGACCAACAAAACCGAAGATGATGAACTGACCTATTTT
75 human CSTA(codon optimized) ATGATCCCAGGAGGTCTGTCTGAAGCTAAGCCTGCAACGCCGGAAATTCAAGAAATTGTTGACAAAGTGAAGCCGCAGCTGGAAGAGAAAACCAACGAAACCTACGGTAAGCTGGAAGCCGTTCAGTACAAAACCCAGGTCGTAGCGGGTACCAATTACTATATCAAAGTGCGTGCGGGTGACAACAAGTATATGCACCTGAAAGTTTTCAAAAGCCTCCCGGGACAGAATGAAGATCTGGTCTTGACTGGTTATCAAGTGGACAAGAACAAAGATGAtGAGCTGACGGGTTTT
76 hTrx.v1 ATGGTTAAACAAATTGAGTCGAAAACCGCCTTCCAAGAAGCTCTTGATGCTGCTGGTGATAAGTTGGTCGTAGTTGACTTCTCAGCCACTTGGTGCGGTCCATGCAAAATGATAAAGCCTTTTTTCCACTCGTTGAGTGAGAAGTATTCAAACGTAATTTTTTTAGAAGTGGATGTCGATGATTCACAAGATGTTGCAAGTGAGAGCGAAGTCAAGTCTATGCCCACGTTTCAATTTTTCAAAAAAGGTCAGAAGGTGGGCGAGTTTTCAGGTGCTAATAAAGAAAAATTAGAAGCTACGATTAATGAACTGGTC
77 hTrx.v2 ATGGTTAAACAAATTGAGTCGAAAACCGCCTTCCAAGAAGCTCTTGATGCTGCTGGTGATAAGTTGGTCGTAGTTGACTTCTCAGCCACTTGGTGCGGTCCATGCAAAATGATAAAGCCTTTTTTCCACTCGTTGAGTGAGAAGTATTCAAACGTAATTTTTTTAGAAGTGGATGTCGATGATTGCCAAGATGTTGCAAGTGAGTGCGAAGTCAAGTCTATGCCCACGTTTCAATTTTTCAAAAAAGGTCAGAAGGTGGGCGAGTTTTCAGGTGCTAATAAAGAAAAATTAGAAGCTACGATTAATGAACTGGTC
78 hTrx.v3 ATGGTTAAACAAATTGAGTCGAAAACCGCCTTCCAAGAAGCTCTTGATGCTGCTGGTGATAAGTTGGTCGTAGTTGACTTCTCAGCCACTTGGTCTGGTCCATCTAAAATGATAAAGCCTTTTTTCCACTCGTTGAGTGAGAAGTATTCAAACGTAATTTTTTTAGAAGTGGATGTCGATGATTCACAAGATGTTGCAAGTGAGAGCGAAGTCAAGTCTATGCCCACGTTTCAATTTTTCAAAAAAGGTCAGAAGGTGGGCGAGTTTTCAGGTGCTAATAAAGAAAAATTAGAAGCTACGATTAATGAACTGGTC
79 mCSTA.midGGGGG ATGATCCCAGGTGGTCTGACCGAAGCGCGCCCGGCGACCGCGGAAGTGCAGGAAATTGCGGATCGCGTGAAAGCGCAGCTGGAAGAAGAAACCAACGAAAAATATGAAATTTTTAAAGCCGTTCAGTACAAAACCCAGGTCGGCGGCGGCGGGGGGGTGAACTATTTTATTAAAATGGATGTGGGCGGCGGCTGCTTTACCCATATTAAAGTGTTTAAAGATCTGAGCGGCAAAAACAACCTGGAACTGACCGGCTATCAGACCAACAAAACCGAAGATGATGAACTGACCTATTTT
80 Samp2a ATGAAGATGATCAAGGTTAAAGTAGTTGGTCGTAACATCGAGAAAGAGATCGAATGGCGCGAGGGTATGAAAGTGCGTGACATTCTGCGTGCAGTTGGTTTCAACACCGAGTCTGCTGTAGCAAAAGTGAACGGTAAAGTCGTGCTGGAAGACGACGAAGTAAAAGATGGTGACTTCGTGGAAGTTATTCCGGTTTGGACT
81 TE1(Tenascin 625-715) CCACCGAAAGACCTGGTTGTTACCGAGGTGACTGAGGAAACCGTTAATCTGGCCTGGGACAACGAAATGCGTGTCACCGAGTATCTGGTTGTGTATACTCCGACCCATGAAGGTGGCCTGGAAATGCAGTTCCGTGTTCCGGGCGATCAGACCAGCACCATCATCCAGGAACTGGAGCCAGGCGTGGAGTATTTCATCCGTGTTTTCGCCATCCTGGAAAATAAAAAATCTATCCCGGTTTCCGCGCGTGTAGCGACCTATCTGCCAGCACCG
82 TE2(Tenascin 716-804) GAAGGCCTGAAATTCAAAAGCATCAAAGAGACCTCCGTTGAAGTAGAATGGGACCCGCTGGACATCGCTTTTGAAACCTGGGAAATCATTTTCCGCAACATGAACAAAGAGGATGAAGGTGAAATCACGAAAAGCCTGCGTCGTCCGGAAACCTCTTATCGTCAGACTGGTCTGGCTCCGGGCCAGGAATATGAAATCTCTCTGCACATCGTGAAAAACAACACTCGCGGTCCTGGTCTGAAACGTGTCACTACTACTCGTCTGGAC
83 TE3.1-TE4(Tenascin 805-990) GCTCCGTCCCAGATCGAAGTGAAGGACGTAACGGATACCACCGCACTGATCACTTGGTTCAAACCGCTGGCAGAAATTGATGGCATTGAACTGACCTATGGCATCAAAGACGTGCCGGGTGACCGTACCACCATTGATCTGACGGAAGATGAGAACCAGTATTCCATCGGCAACCTGAAACCGGACACGGAATACGAAGTGTCTCTGATCTCCCGTCGCGGCGACATGTCCTCTAACCCGGCTAAAGAAACTTTCACTACCGGTCTGGATGCACCGCGCAACCTGCGTCGTGTATCTCAGACCGATAACTCTATTACCCTGGAATGGCGTAATGGTAAAGCTGCGATCGACTCCTACCGTATCAAATACGCGCCGATCTCCGGTGGTGATCATGCAGAAGTAGATGTACCTAAATCTCAGCAGGCTACGACGAAAACCACTCTGACTGGCCTGCGTCCGGGTACTGAGTATGGTATCGGTGTTTCTGCTGTTAAAGAAGATAAAGAATCCAACCCAGCGACCATCAACGCGGCTACTGAACTGGATACGCCAAAAGAT
84 TE3.1(Tenascin 805-894) GCTCCGTCCCAGATCGAAGTGAAGGACGTAACGGATACCACCGCACTGATCACTTGGTTCAAACCGCTGGCAGAAATTGATGGCATTGAACTGACCTATGGCATCAAAGACGTGCCGGGTGACCGTACCACCATTGATCTGACGGAAGATGAGAACCAGTATTCCATCGGCAACCTGAAACCGGACACGGAATACGAAGTGTCTCTGATCTCCCGTCGCGGCGACATGTCCTCTAACCCGGCTAAAGAAACTTTCACTACCGGTCTGGAT
85 TE3.2-TE4(Tenascin 803-990) CTGGATGCTCCGTCCCAGATCGAAGTGAAGGACGTAACGGATACCACCGCACTGATCACTTGGTTCAAACCGCTGGCAGAAATTGATGGCATTGAACTGACCTATGGCATCAAAGACGTGCCGGGTGACCGTACCACCATTGATCTGACGGAAGATGAGAACCAGTATTCCATCGGCAACCTGAAACCGGACACGGAATACGAAGTGTCTCTGATCTCCCGTCGCGGCGACATGTCCTCTAACCCGGCTAAAGAAACTTTCACTACCGGTCTGGATGCACCGCGCAACCTGCGTCGTGTATCTCAGACCGATAACTCTATTACCCTGGAATGGCGTAATGGTAAAGCTGCGATCGACTCCTACCGTATCAAATACGCGCCGATCTCCGGTGGTGATCATGCAGAAGTAGATGTACCTAAATCTCAGCAGGCTACGACGAAAACCACTCTGACTGGCCTGCGTCCGGGTACTGAGTATGGTATCGGTGTTTCTGCTGTTAAAGAAGATAAAGAATCCAACCCAGCGACCATCAACGCGGCTACTGAACTGGATACGCCAAAAGAT
86 TE3.2(Tenascin 803-893) CTGGATGCTCCGTCCCAGATCGAAGTGAAGGACGTAACGGATACCACCGCACTGATCACTTGGTTCAAACCGCTGGCAGAAATTGATGGCATTGAACTGACCTATGGCATCAAAGACGTGCCGGGTGACCGTACCACCATTGATCTGACGGAAGATGAGAACCAGTATTCCATCGGCAACCTGAAACCGGACACGGAATACGAAGTGTCTCTGATCTCCCGTCGCGGCGACATGTCCTCTAACCCGGCTAAAGAAACTTTCACTACCGGTCTG
87 TE4(Tenascin 895-990) GCACCGCGCAACCTGCGTCGTGTATCTCAGACCGATAACTCTATTACCCTGGAATGGCGTAATGGTAAAGCTGCGATCGACTCCTACCGTATCAAATACGCGCCGATCTCCGGTGGTGATCATGCAGAAGTAGATGTACCTAAATCTCAGCAGGCTACGACGAAAACCACTCTGACTGGCCTGCGTCCGGGTACTGAGTATGGTATCGGTGTTTCTGCTGTTAAAGAAGATAAAGAATCCAACCCAGCGACCATCAACGCGGCTACTGAACTGGATACGCCAAAAGAT
88 TM1112 ATGGAAGTTAAAATCGAGAAACCGACTCCGGAAAAACTGAAGGAACTGTCTGTCGAAAAGTGGCCGATCTGGGAGAAAGAAGTGTCTGAGTTCGACTGGTACTACGATACCAACCGTACTGCATACATCCTGGAGGGCAAGGTTGAAGTTACCACCGAAGATGGTAAGAAATACGTTATCGAAAAAGGCGACCTGGTAACTTTTCCTAAAGGCCTGCGTTCTCGTTGGAAAGTTCTGGAACCTGTTCGTATGCACTACAACCTGTTC
89 TrxA.v2 ATGAGCGATAAAATTATTCACCTGACTGACGACAGTTTTGACACGGATGTACTCAAAGCGGACGGGGCGATCCTCGTCGATTTCTGGGCAGAGTGGTCTGGTCCGTCTAAAATGATCGCCCCGATTCTGGATGAAATCGCTGACGAATATCAGGGCAAACTGACCGTTGCAAAACTGAACATCGATCAAAACCCTGGCACTGCGCCGAAATATGGCATCCGTGGTATCCCGACTCTGCTGCTGTTCAAAAACGGTGAAGTGGCGGCAACCAAAGTGGGTGCACTGTCTAAAGGTCAGTTGAAAGAGTTCCTCGACGCTAACCTGGCC
90 TrxA MSDKIIHLTDDSFDTDVLKADGAILVDFWAEWCGPCKMIAPILDEIADEYQGKLTVAKLNIDQNPGTAPKYGIRGIPTLLLFKNGEVAATKVGALSKGQLKEFLDANLA
91 TTrx(Thioredoxin from T. africanus) ATGAAAATCGAATACTTTAAGAATGACAAAaGCTCTGTTaGCAAAGCTATGCTGCCGAAAATCCAAACTATTGCAAAAAACTTTGATATTGATATTGAGGTAATTGACGTTATAGAAAATCCTTCTTATCCAGCTCAAAAACTGGTTTTTACAGTACCAACAGTAATCATTCTGGATAAAGAATTTGAAATCAAACGtTTTGCACGtAATTTTAGTATTAGTGAaGTAATcAATACAATTGAACGTTACCTGGAAATAAGTAATAAAGAA
92 PSBD VIAMPSVRKYAREKGVDIRLVQGTGKNGRVLKEDIDAWLA
93 PSBD_G VIAMPSVRKYAREKGVDIRLVQGTGKGGRVLKEDIDAWLA
프라이머 서열
서열번호 primer 이름 염기서열
94 backbone F1 GCGTCTAGAAATAATTTTGTTTAACTTTAAGAAGGAGATATACATATGGCAGATCTCAATTGGAT
95 backbone R1 CAGCGGTTTCTTTACCAGACTCGAG
96 UB_NdeI F GCGCATATGCAGATTTTTGTGAAAACCCTGACC
97 UB_SalI R GACTAGTTCTAGAGTCGACGAGCTCTC
98 TM F TAGCGCATATGGAAGTTAAAATCGAGAAACCGACTCCGGAAAA
99 TM 1R AGAGACCCGCAACGCTGGGTCTCAGAACAGGTTGTAGTGCATACGAACA
100 BsaI F AGAGACCCGCAACGCTGGGTCTCAGGTGGTGGTGGAGGAGTTATCGCT
101 PSBD R CGACGAGCTCTCAATGGTGGTGATGGTGATGTCCGCCAGCCAGCCACGCGTCGATGTCTTCTTTCAGAACACGG
102 M30 F AGGACCGAGCAAACCGTCGTTTCAGGAATTTGTGGACTGGGAAAACGTGTCGCCGGAACTGAACAGCACCGATCAGCCGTTTCTG
103 M30 R CACCCAGAAACGGCTGATCGGTGCTGTTCAGTTCCGGCGACACGTTTTCCCAGTCCACAAATTCCTGAAACGACGGTTTGCTCGG
104 TM R5 GCTCACCATAAACAGCTGCGGCATAATCGCCACGCTTTCCAGATAAATTCCTCCACCACCACCGAACAGGTTGT
105 CT5 F2 GCGATTATGCCGCAGCTGTTTATGGTGAGCAAAGGCGGTGGTGGAGGAGTTATCGCTATGCCGTCCGTACGCAAATATGCACGTGAAA
106 CT5 R2 TTTACCGGTACCCTGAACCAGGCGGATATCAACGCCtTTTTCACGTGCATATTTGCGTACGGA
107 PSBD F GCAAATATGCACGTGAAAAAGGCGTTGATATCCGCCTGGTTCAGGGTACCGGTAAAAACGGCCGTGTTCTGAAAGAAGACATCGACGC
108 hT NdeI F GCGCATATGGTTAAACAAATTGAGTCGAAAAC
109 hTrx.v3 R TATCATTTTAGATGGACCAGACCAAGTGGCTGAGAAGTCAACTACGAC
110 hTrx.v3 F CACTTGGTCTGGTCCATCTAAAATGATAAAGCCTTTTTTCCACTCGTTGAG
111 hT BsaI R1 TGAGACCCAGCGTTGCGGGTCTCTTCCTCCACCACCACCGACCAGTT
112 hT BsaI F AGAGACCCGCAACGCTGGGTCTCAGGTGGTGGTGGAGGAGTTATCGCT
113 hT BsaI R2 CCGGTACCCTGAACCAGGCGGATATCAACGCCTTTTTCACGTGCATATTTGCGTACGGACGGCATAGCGATAACTCCTCCACCACCACC
114 hT PSBD F GCAAATATGCACGTGAAAAAGGCGTTGATATCCGCCTGGTTCAGGGTACCGGTAAAAACGGCCGTGTTCTGAAAGAAGACATCGACGC
115 M12 F AGGAACCCCGCCGCCGGAAGAAGCGATGCCGTTTGAATTTAATGGTCCGGCGCAGGGTGATCATAGCCAGCCGCCGCTGCAGGTG
116 M12 R CACCCACCTGCAGCGGCGGCTGGCTATGATCACCCTGCGCCGGACCATTAAATTCAAACGGCATCGCTTCTTCCGGCGGCGGGGT
117 CT25 F AGGACTGCATCTGGAAGAAACCCTGGCGGGCTTTTGGGCGCGCCTGCTGGAACGC
118 CT25 R CACCGCGTTCCAGCAGGCGCGCCCAAAAGCCCGCCAGGGTTTCTTCCAGATGCAG
119 htrx TT F GCAAATTTATTGGCATTACCGAACTGGGCGGCGGCGGGTCTATGGTTAAACAAATTGAGTCGAAAACCG
120 T7 R TTCGCCAATCCGGATATAGTTCCTCCTTTC
121 TT F GCGGCATATGCAGTATATTAAAGCGAACAGCAAATTTATTGGCATTACCGAACTG
122 CT5 F aGgaATTTATCTGGAAAGCGTGGCGATTATGCCGCAGCTGTTTATGGTGAGCAAA
123 CT5 R CACCTTTGCTCACCATAAACAGCTGCGGCATAATCGCCACGCTTTCCAGATAAAT
124 CSTA F GCGACTAGTAATAATTTTGTTTAACTTTAAGAAGGAGATATACCATGATCCCAGGAGGTCTGTCTGAAGCTAAGcc
125 CS_OVA R CTGTTCCAGACCGCTAACTTCATCggatCCACCACCACCAAAACCCGTCAGCTCATCATCTTT
126 CS_OVA F GGTGGatccGATGAAGTTAGCGGTCTGGAACAG
127 OVA R GACGAGCTCTCAGTGATGATGGTGGTGATGACCTCCACTAGACATAACATTGCTGCTGGTCCATTCGGT
128 M21 BamHI F GCGGGATCCAGCAGCCCGGATGAAGTGGC
129 M21 SacI R CGCGAGCTCTCAGTGATGATGGTGGTGATGACCTCCCATATAATTATCTTTCAGACGCAGATAGGTAAAACCC
130 hCS TT F GCGCATATGGGCGGCGGCGGGTCTATGATCCCAGGAGGTCTGTCTGAAG
131 T7 F GTCCGGCGTAGAGGATCGAGATCTC
132 CS-M21 R GCGTACGGACGGCATAGCGATAACTCCTCCACCACCACCCATATAATTATCTTTCAGACGCAGATAGGTA
133 PSBD F2 GGTGGTGGTGGAGGAGTTATCGCTAT
134 CT5 BamHI F GATCCATTTATCTGGAAAGCGTGGCGATTATGCCGCAGCTGTTTATGGTGAGCAAAGGCGGACATCACCATCACCACCATTGAGAGCT
135 CT5 SacI R CTCAATGGTGGTGATGGTGATGTCCGCCTTTGCTCACCATAAACAGCTGCGGCATAATCGCCACGCTTTCCAGATAAATG
136 CS-CT5 R GCGTACGGACGGCATAGCGATAACTCCTCCACCACCACCTTTGCTCACCATAAACAGCTGCGG
137 M44 F AGGAGAATTTAAACATATTAAAGCGTTTGATCGTACCTTTGCGAATAACCCGGGTCCGATGGTGGTGTTTGCGACCCCGGGTATG
138 M44 R CACCCATACCCGGGGTCGCAAACACCACCATCGGACCCGGGTTATTCGCAAAGGTACGATCAAACGCTTTAATATGTTTAAATTC
139 htrx TT F GCAAATTTATTGGCATTACCGAACTGGGCGGCGGCGGGTCTATGGAAGTTAAAATCGAGAAACCGACTCC
140 CT25 F AGGACTGCATCTGGAAGAAACCCTGGCGGGCTTTTGGGCGCGCCTGCTGGAACGC
141 CT25 R CACCGCGTTCCAGCAGGCGCGCCCAAAAGCCCGCCAGGGTTTCTTCCAGATGCAG
142 G TCAGGGTACCGGTAAAGGTGGCCGTGTTCTGAAAGAAGACATCG
143 G10R tgagaccCAGCGTTGCGggtctctgcCgcCaCCgCCaCCgcttcCACCACCACCGACCAGTTCATTAATCGTAGCTTCTAAT
144 G10F agagaccCGCAACGCTGggtctcaGGcGGTGGcGgtGgtagcGGTGGTGgaGgaGTTATCGCTATGCCGTCCGTACGCAAAT
145 TM_G10_R TGAGACCCAGCGTTGCGGGTCTCTTCCTCCACCACCACCGCTTCCACCACCACCGAACAGGTTGTAGTGCATACGAACAGG
146 TM_G10_F AGAGACCCGCAACGCTGGGTCTCAGGTGGCGGCGGTGGTAGCGGTGGTGGAGGAGTTATCGCTATGCCGTCCGTACGCAAAT
147 M21 F aGgaAGCAGCCCGGATGAAGTGGCGCTGGTTGAAGGTGTGCAGAGCCTGGGTTTTACCTATCTGCGTCTGAAAGATAATTATATG
148 M21 R CACCCATATAATTATCTTTCAGACGCAGATAGGTAAAACCCAGGCTCTGCACACCTTCAACCAGCGCCACTTCATCCGGGCTGCT
149 hCS TT F2 GCGCATATGCAGTATATTAAAGCGAACAGCAAATTTATTGGCATTACCGAACTGGGCGGCGGCGGGTCTATGAT
150 Aatf F CGGCCATGTGCTGAGCAAACTGCTGAGCTTTATGGCGCCGATTGATCATACCACCATGAGCGATGATGCGCGCACCGAACTGTTT
151 Aatf RF CaCCAAACAGTTCGGTGCGCGCATCATCGCTCATGGTGGTATGATCAATCGGCGCCATAAAGCTCAGCAGTTTGCTCAGCACATG
152 Cpne F CGGCGGCAGCAACGGCGATCCGAGCAGCCCGTATAGCCTGCATTATCTGAGCCCGACCGGCGTGAACGAATATCTGACCGCGCTG
153 Cpne R CaCCCAGCGCGGTCAGATATTCGTTCACGCCGGTCGGGCTCAGATAATGCAGGCTATACGGGCTGCTCGGATCGCCGTTGCTGCC
154 Irgq F CGGCCCGGGCGATAGCCAGAACGCGGCGAAAGCGCGCGATGAAACCGCGGCGCTGCTGAACAGCGCGGTGCTGGGCGCGGCGCCG
155 Irgq R CaCCCGGCGCCGCGCCCAGCACCGCGCTGTTCAGCAGCGCCGCGGTTTCATCGCGCGCTTTCGCCGCGTTCTGGCTATCGCCCGG
156 CT4 F aGgaGGCGGCATTAGCGTGAAAGAACATATTGAAGTGAACGTGGTGCCGCTgACC
157 CT4 R CACCGGTcAGCGGCACCACGTTCACTTCAATATGTTCTTTCACGCTAATGCCGCC
158 CT24 F aGgaCCGCTGGAAGCGATGTATATGCAGTGGCCGGTGATTGCGGTGAACAACgGC
159 CT24 R CACCGCcGTTGTTCACCGCAATCACCGGCCACTGCATATACATCGCTTCCAGCGG
3-2. 배양
서열이 확인된 벡터는 배양을 위해 clearcoli BL21(DE3) 균주에 transformation을 수행하였다. 해당 균주의 comp.cell은 electroporation을 사용하기 때문에 DNA를 넣어준 뒤 별도의 cuvette에 넣고 Electric shock을 가하고 LB media에 1시간 안정화 후 항생제 marker가 들어있는 고체 배지에 spreading하여 selection을 수행하였다. Overnight(16-20h)으로 37℃에서 놓아둔 배지에서 자란 colony를 하나 3ml 항생제가 들어있는 LB media에 접종해서 overnight으로 키운 뒤, 다음 날 오전에 1.2L 배지에 2차접종을 수행하였다. OD가 0.7~1.2 정도 자랐을 때 IPTG 0.2mM induction을 수행함과 배양 온도를 37℃ > 25℃로 낮추고 overnight 배양 후 다음 날 세포를 회수하였다.
3-3. 균체 회수 및 파쇄
치료용 재조합 항암백신 발현시킨 배양액을 1L 원심분리용 병에 담은 뒤, 7000 rpm, 5±3℃,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은 버리고 침전된 균체를 회수하였다. 원심분리 후 회수된 균체를 파쇄용액(20 mM Sodium phosphate, 0.3M NaCl, 10 mM Imidazole, 1mM PMSF pH8.0)으로 현탁한 뒤, 초음파분쇄기를 이용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파쇄 후, 세포파쇄액은 50 mL 원심분리용 병에 담은 뒤, 40,000xg, 5±3℃ 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Akta pure system 으로 정제하였다.
3-4. 정제
치료용 재조합 항암백신의 정제는 여과 및 2단계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단계 1: 금속 이온 친화력 크로마토그래피 (IMAC)
20 mM 인산나트륨 / 0.3M 염화나트륨 / 10 mM 이미다졸 완충액을 사용하여 금속 이온 친화력 컬럼(Cobalt immobilized column)을 평형화시켰다. 파쇄 후 원심분리 상등액을 0.22㎛ 필터를 통해서 여과 시킨 뒤, 컬럼에 로딩하고 20 mM 인산나트륨 / 0.3M 염화나트륨 / 10 mM 이미다졸 완충액(pH8.0)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20 mM 인산나트륨 / 0.3M 염화나트륨 / 150 mM 이미다졸 완충액(pH8.0)을 사용하여 재조합 항암백신을 용출시켰다.
단계 2: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인산완충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컬럼(Hiload Superdex G75)을 평형화시켰다. 금속 이온 친화력 컬럼에서 용출된 용출액을 컬럼에 로딩 한 뒤, 자외선 흡광도(280 nm)를 모니터링 하고 약 20kD 용출 시점의 분획을 수집하였다.
단계 3: 멸균 여과
얻어진 분획에 대해 제조과정 중 조절(항암백신 단백질농도)을 실시하였다. 단백질 농도 목표를 충족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농축이 필요한 지의 여부를 결정하였다. 필요한 경우, 단백질의 최종 농도가 2.0mg/mL 이상이 되도록 농축시켰다.
마지막으로, 항암백신 단백질을 여과시키고(0.22㎛), 멸균된 1.5 mL Polyethylene(Cryotube) 용기 속에 소분하였다. 이 단계에서, 제조과정 중 조절(In process control, IPC)로서 확인시험(SDS-PAGE), 단백질 함량(UV법), 엔도톡신 함량(kinetic 법), 순도시험(SE-HPLC)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1, 도 2 및 표 7에 나타내었다(도 1은 hT-CT25-PSBD에 대한 결과이고, 도 2는 TM-CT5-PSBD에 대한 결과임). 멸균된 최종 항암백신 활성물질은 -70±10℃에서 보관하였다.
시험항목 단백질 농도
(mg/mL)
생산량
(mg)
순도시험 (%) 엔도톡신 (EU/0.2mg) 확인시험
물질명
(lot No)
Abs. at 280nm Abs. at 280nm SE-HPLC Kinetic MS 분석 SDS-PAGE
TM-M12-PSBD(pc0903) 4.33 59.3 100.0 2.74 확인 확인
TM-M21-PSBD(pc0933) 4.64 115.9 100.0 0.17 확인 확인
TM-M30-PSBD(pc0923) 3.06 15.3 100.0 0.62 확인 확인
hT-M12-PSBD(pc0883) 3.58 36.9 99.3 0.40 확인 확인
hT-CT4-PSBD(pc0885) 4.42 131.0 100.0 0.25 확인 확인
hT-CT5-PSBD(pc0886) 3.27 81.9 100.0 0.23 확인 확인
hT-CT24-PSBD(pc0888) 4.54 136.3 100.0 0.06 확인 확인
hT-Cpne1-PSBD(pc1304) 2.46 67.6 100.0 0.11 N/A 확인
hT-Iraq-PSBD(pc1307) 4.01 109.6 100.0 0.05 N/A 확인
hT-Aatf-PSBD(pc1308) 1.84 36.7 100.0 0.05 N/A 확인
TT-hT-M30-PSBD(pc0955) 3.60 49.3 99.6 0.05 확인 확인
TT-hT-CT5-PSBD(pc0948) 3.27 39.2 99.6 2.07 확인 확인
TT-CS-M21-PSBD(pc0927) 3.26 40.7 100.0 0.06 확인 확인
TT-CS-CT5-PSBD(pc0935) 3.27 36.6 100.0 1.34 확인 확인
TT-TM-M44-PSBD(pc0958) 4.02 56.3 99.7 2.00 확인 확인
TT-TM-CT25-PSBD(pc0964) 2.40 35.8 99.8 2.79 확인 확인
(위 표에서, TM은 TM1112, hT은 human Trx을 나타내고, TT-hT은 Tetanus Toxoid - human Trx을 나타내고, TT-CS 은 Tetanus Toxoid - CSTA을 나타내고, TT-TM 은 Tetanus Toxoid- TM1112을 나타냄)
3-5. 치료용 재조합 항암백신 단백질의 제제화
치료용 재조합 항암백신 단백질의 제제화는 모두 생물안전작업대(Biosafety cabinet, BSC) 내에서 실시하였다. 배치 부피 및 항암백신 단백질 농도에 기초하여 각 항암백신 활성물질의 필요한 부피를 계산하였다. 추가로, 염화나트륨, 인산(pH 7.4) 및 폴르소르베이트80 함유 완충제를 첨가함으로써, 조합된 항암백신 단백질을 목표 농도로 희석시켰다. 충분히 혼합한 후, 제제화된 치료용 항암백신을 Poly IC 와 혼합하여 동물에 투여하였다.
하기 표 8은 어쥬번트된 형태 치료용 재조합 항암백신의 최종 조성을 보여준다.
어쥬번트된 재조합 항암백신 제제의 조성
성분 투여용 제제 (1 mL / 바이알당)
활성성분 신생항원이 포함된 재조합 단백질 단백질 함량 기준 : 0.2 ~ 1.0 mg
신생항원 1 ~ 5 종 : 각 0.2 mg
어쥬번트 Poly IC 0.5 mg
부형제 폴리소르베이트80 0.02 %
인산 10 mM
염화나트륨 150 mM
주사용수 Q.S*
*1.0 mL 가 될 때까지의 충분량
실시예 4. 크기 배제 크로마토 그래피를 이용한 엔도톡신 제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숙주세포인 E.coli는 그람 음성 세균으로 내독소(Endotxoxin)를 분비하며 이는 체내에 주입되었을 때, 안전성에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물질이다. 그러므로 E.Coli를 숙주세포로 사용하는 단백질의약품은 내독소에 대한 품질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으며, 내독소 제거 공정을 검증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미량의 내독소로 품질 관리하였다.
그람 음성 세균의 내독소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Lipopolysaccharide) 형태로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지며 일정 농도 및 조건에서 마이셀을 형성하고 내독소 마이셀 형성을 통해 내독소의 크기는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공정에서 내독소 마이셀과 목적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도록 가급적 작은 분자량의 물질로 설계하였으며, 실제로 머무름 시간에 따른 분획을 수집하여 내독소 함량을 분석한 결과, 머무름 시간이 짧은(크기가 큰) 분획에서 머무름 시간이 긴(크기가 작은) 분획으로 갈수록 내독소 함량이 낮았다. 본 공정을 통하여 항암백신 단백질 크기에 해당하는 분획은 미량의 내독소를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크기 배제 크로마토 그래피 분획에 따른 내독소 함량을 도 3 및 표 9에 나타내었다 (도 3은 TrxA-M30-His에 대한 결과이며, SEC Fraction에 따른 엔도톡신 차이를 보기 위한 배치이며, 표 3에 기재된 Lot No: pc0735 배치에 해당함).
단 위 공 정 엔도톡신 함량 (EU/mL) 볼륨 (mL) 엔도톡신 총량 (EU)
Cell Extract 500,000 이상 80 40,000,000
2nd SEC Fraction #2 29346 3 88037
Fraction #3 8191 3 24573
Fraction #4 2505 3 7515
Fraction #5 1228 3 3684
Fraction #6 811 3 2434
Fraction #7 514 3 1542
Fraction #8 215 3 644
Fraction #9 465 3 1394
Fraction #10 474 3 1422
Fraction #11 201 3 603
Fraction #12 166 3 497
Fraction #13 90 3 271
Fraction #14 56 3 167
Fraction #15 37 3 111
실시예 5. 항암백신의 면역원성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항암백신 조성물이 마우스에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면역반응은 인터페론감마(IFN-γ) 농도를 ELISPOT에 의해 확인하였다.
또한, 항암백신 단백질을 각 1~10 nmol씩, 최소 1개부터 최대 4개까지 섞어 피하주사를 진행하였다. 항암백신 단백질에 poly IC(invivogen)를 마우스당 50ug 섞어 투여하였고, 1주일에 2회씩 2주간 투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 접종 후 4~5일에 마우스의 비장으로부터 면역원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5-1. 마우스 동종 항암모델
6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 및 Balb/c 마우스를 코아텍 로부터 구입하여 연구 시작전에 1주간 적응시켰다. 마우스 흑색종 세포주 B16-F10 (5X104) 또는 마우스 대장 암종 세포주 CT26(1X106)을 마우스의 우측 옆구리에 100ul 피하이식 하였다. 접종 전, 세포를 10% 우태아혈청(FBS), 2mM L-글루타민이 첨가된 DMEM 또는 RPMI 배지에서 5번 이하로 계대 배양하였다. 세포는 37℃, 5% CO2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80~90% 세포가 차면 세포를 수확하고, 무혈청 배지 및 마트리겔의 1:1 혼합물로 재현탁시켰다.
마우스를 세포 이식 후 매주 3회씩 측정을 진행하였다. 종양측정을 위해, 각 종양의 길이 및 폭을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부피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종양부피(mm3) = (폭(mm)2X길이(mm)/2). 접종 후 5~10일 사이에 모든 종양을 측정하고, 군분리(8~10마리/그룹)를 수행하였다. 모든 동물의 평균 종양 부피는 50~100mm3이었다. 항암백신 물질(10nmol)과 polyIC(50ug)를 300ul씩 1주일에 2회씩 2주간 피하주사로 투여하였고, 종양부피가 1000 ~ 2000mm3이 도달할 때까지 종양을 계속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MC38 모델의 경우 TCV001 및 peptide mixture가 동등의 tumor regression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vehicle control대비 통계적 유의하게 나타났다. CT26모델의 경우 TCV001에서 강력한 항암효능을 보여주었고, peptide mixture 대비하여 통계적 유의하게 종양이 감소하였다.
마우스 동종 항암 모델에 사용된 TCV001의 시료는 표 3의 신생항원 및 구조를 가지는 항원 전달용 재조합 단백질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CT26 모델은 pc0885(CT4), pc0886(CT5), pc0888(CT24) 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MC38 모델은 pc1304(Cpne1), pc1307(Irgq), pc1308(Aatf)을 혼합하여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Peptide mixture의 경우, 표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합성 펩타이드 항원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CT26 모델은 CT4, CT5, CT24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MC38 모델은 Cpne1, Irgq, Aatf를 혼합하여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5-2. TIL 분석
종양에 있는 lymphocyte의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FACS analysis를 진행하였다(4마리/그룹). 마우스의 종양이 적절한 크기로 성장하면 적출 후 가위로 chopping을 진행하였다. Collagenase를 이용하여 37℃ 200rpm에서 한 시간동안 shaking을 진행하였다. 원심분리 및 HBSS로 세척 후 fercoll을 이용하여 lymphocyte 부분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Lymphocyte는 PMA, ionomycin, transport inhibitor를 처리 후 4시간동안 37℃, 5% CO2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Permeablization 및 fixation을 진행 후 CD45, CD4, CD8, IFN-r 항체를 15분간 염색한다. 한번 워시과정을 거친 후 FACS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6 및 도 7,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hTrx-epitope-PSBD 및 TM1112-epitope-PSBD는 peptide mixture 대비 TIL에서 활성화된 T 세포를 증가시켰다. 이 결과는 모든 동물모델에서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T세포의 활성화를 증가시켰다.
TIL 분석에서 사용된 hTrx-epitope-PSBD의 시료는 표 3의 신생항원 및 구조를 가지는 항원 전달용 재조합 단백질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CT26 모델은 pc0885(CT4), pc0886(CT5), pc0888(CT24) 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MC38 모델은 pc1304(Cpne1), pc1307(Irgq), pc1308(Aatf)을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B16F10 모델은 pc924(M44), pc923(M30), pc903(M12), pc933(M21)을 혼합하여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Peptide mixture의 경우, 표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합성 펩타이드 항원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CT26 모델은 CT4, CT5, CT24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MC38 모델은 Cpne1, Irgq, Aatf를 혼합하여 항원으로 사용하였으며, B16F10 모델은 M44, M30, M12, M21을 혼합하여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TM1112-epitope-PSBD의 시료는pc0924(M44), pc0923(M30), pc0903(M12), pc0933(M21)을 혼합하여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펩티드 항원, 및
    상기 펩티드 항원의 N-말단, C-말단, 또는 둘 다에 연결된 캐리어 단백질
    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2. 제1항에 있어서,
    펩티드 항원, 상기 펩티드 항원의 N-말단에 연결된 제1 캐리어 단백질, 및 상기 펩티드 항원의 C-말단에 연결된 제2 캐리어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인, 융합 단백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이의 N-말단, C-말단, 또는 둘 다에 친화성 태그(affinity tag)가 연결된 것인, 융합 단백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 항원과 제1 캐리어 단백질 사이에 링커가 존재하거나, 상기 펩티드 항원과 제2 캐리어 단백질 사이에 링커가 존재하거나, 둘 다인, 융합 단백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 항원이 T 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한 것인, 융합 단백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 항원이 종양 항원, 감염원의 항원, 자가 항원 또는 알레르기 유발 항원에서 유래한,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 항원이 종양-관련 항원(Tumor-associated antigen; TAA), 종양-특이적 항원(Tumor-specific antigen; TSA) 또는 종양유래 신생항원(neoantigen)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유래 신생항원(neoantigen)이 암 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것인, 융합 단백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관련 항원(TAA)이 CT (Cancer-testis) 항원, EGFR, M12, M20, M21, M30, M44, Ova, Melan-A, PSMA(Prostate Specific Membrane Antigen), 서바이빈(Survivin), MAGE-A, ADAbp (adenosine deaminase-binding protein), 사이클로필린 b (cyclophilin b), gp100, CRC (Colorectal associated antigen)-C017-1 A/GA733, CEA (carcinoembryonic antigen), CAP-1, CAP-2, etv6, AML1, PSA (Prostate Specific Antigen), PSA-1, PSA-2, PSA-3, MAGE (흑색종 항원 E), GAGE (G 항원), BAGE (B 흑색종 항원), RAGE (신장 종양 항원), LAGE (L 항원), NAG, GnT-V, MUM-1, CDK4, p53, 티로시나아제, Muc1(뮤신1), HER2/neu, p21ras, N-RAS, K-RAS, RCAS1, α-페토프로테인, E-카드헤린, α-카테닌, β-카테닌, γ-카테닌, p120ctn, PRAME, NY-ESO-1, TRP2, 맘마글로빈-A(Mammaglobin-A), 메탈로판스티뮬린-1(metallopanstimulin-1, MPS-1), 시토크롬 P450 이소형(isoform) 1B1, 90K/Mac-2 결합 단백질, Ep-CAM (MK-1), HSP-70, hTERT (TRT), LEA, TAGE-1, 5T4, gp70, SCP-1, c-myc, 사이클린 B1, MDM2, p62, Koc, IMP1, TA90, OA1, CT-7, HOM-MEL-40/SSX-2, SSX-1, SSX-4, HOM-TES-14/SCP-1, HOM-TES-85, HDAC5, MBD2, TRIP4, NY-CO-45, KNSL6, HIP1R, Seb4D, KIAA1416, IMP1, 90K/Mac-2 결합 단백질, MDM2, 또는 LMNA인, 융합 단백질.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원의 항원이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또는 진균에서 유래한 항원인, 융합 단백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단백질은 펩티드 항원의 재조합적 발현을 개선시키거나, 또는 펩티드 항원의 정제를 개선시키는 단백질인, 융합 단백질.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단백질은 펩티드 항원의 재조합적 발현을 개선시키고, 상기 제2 캐리어 단백질은 펩티드 항원의 개선을 개선시키는 단백질인, 융합 단백질.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단백질 및 제2 캐리어 단백질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NDPK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B), CSTA(Cystatin-A), Trx(Thioredoxin), RPL7Am (50S ribosomal protein L7Ae), Samp2a (Small archaeal modifier protein 2), TE (Tenascin), TM1112 (Thermotoga maritima Cupin_3 domain-containing protein), TrxA (Thioredoxin 1), TTrx (Thermosipho africanus Thioredoxin), PSBD(peripheral subunit-binding domain), 또는 이들의 단편 중 1종 이상인, 융합 단백질.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친화성 태그는 His 또는 스트렙타비딘(streptavidin)인, 융합 단백질.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GS)n, (G2S)n, (G3S)n, (G4S)n, Gn, LE, SSGG 또는 GGGGSGGGGG (여기서, G는 Gly, S는 Ser, L 은 Leu, E는 Glu, n은 적어도 1의 정수임)인, 융합 단백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30kDa 이하의 크기인, 융합 단백질.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18. 제17항의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19. 제18항의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
  20.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융합 단백질;
    상기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상기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또는
    상기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면역보조제(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KR1020230099504A 2022-07-29 2023-07-31 항원 전달용 재조합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이용 KR202400173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094 2022-07-29
KR20220095094 2022-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325A true KR20240017325A (ko) 2024-02-07

Family

ID=8970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9504A KR20240017325A (ko) 2022-07-29 2023-07-31 항원 전달용 재조합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이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7325A (ko)
WO (1) WO202402539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3657B2 (en) 2010-10-01 2018-07-17 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Ltd. Reversible protein multimers,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E026000T2 (en) * 2003-12-17 2016-04-28 Wyeth Llc Immunogenic peptide-bearing conjugat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9409987B2 (en) * 2011-04-15 2016-08-09 Compugen Ltd Polypeptides and polynucleotides, and uses thereof for treatment of immune related disorders and cancer
SG11201808196UA (en) * 2016-03-31 2018-10-30 Neon Therapeutics Inc Neoantigens and methods of their use
FI3773689T3 (fi) * 2018-04-11 2023-01-31 Antigeenisiä peptidejä syövän ehkäisyyn ja hoitoon
SI4021487T1 (sl) * 2019-11-15 2024-03-29 Enterome S.A., Antigenski peptidi za preprečevanje in zdravljenje b-celične malignosti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3657B2 (en) 2010-10-01 2018-07-17 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Ltd. Reversible protein multimers,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5397A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59220C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to elicit multivalent immune responses against dominant and subdominant epitopes, expressed on cancer cells and tumor stroma
US10385120B2 (en) Molecular complex for targeting antigens towards cells comprising antigens and uses thereof for vaccination
US20190054145A1 (en) Synergistic tumor treatment with il-2, an integrin-binding-fc fusion protein, and a cancer vaccine
US11071778B2 (en) Combination product for use in tumor vaccination
WO2014183649A1 (zh) 针对低免疫原性蛋白的表位疫苗及其制法和用途
JP2015530369A (ja) 多量体融合タンパク質ワクチン及び免疫療法
CN105085684B (zh) Pcsk9靶向重组疫苗设计及其应用
NO309798B1 (no) Peptidblanding, samt farmasoytisk sammensetning og kreftvaksine som innbefatter peptidblandingen
EP2118128B1 (en) Fusion proteins comprising the tumor rejection antigens ny-eso-1 and lage-1
CN106632694B (zh) 一种重组蛋白及药物组合物与应用
US11235032B2 (en) Combination immunotherapy dosing regimen for immune checkpoint blockade
JP6698541B2 (ja) 細胞性の細胞傷害性免疫応答を誘導または延長する方法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医薬
JP2003519668A (ja) 熱ショックタンパク質融合タンパク質による、cd4+t細胞非依存性のインビボctl惹起による個別atp結合ドメインのマッピング
US8309096B2 (en) Fusion protein
US20050063952A1 (en) Immunogenic CEA
WO2018162450A1 (en) New inmunostimulatory compositions comprising an entity of cold inducible rna-binding protein with an antigen for the activation of dendritic cells
KR20240017325A (ko) 항원 전달용 재조합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이용
CA2583361A1 (en) Gene immunization using an antigen-chaperonin fusion
MX2011005915A (es) Uso de modulinas solubles en fenol para el desarrollo de vacunas.
CN113318225B (zh) 肿瘤免疫增强剂及其制法和应用
US10286050B2 (en) Multi-epitope TARP peptide vaccine and uses thereof
AU2021363436A1 (en) Chimeric antigen comprising the extracellular domain of pd-l1
AU2008206463B2 (en) Fusion proteins comprising the tumor rejection antigens NY-ESO-1 and LAGE-1
CN117355328A (zh) 金黄色葡萄球菌疫苗组合物
WO2009126355A2 (en) Methods of increasing recombinant production of bacillus anthracis protective anti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