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940A - 치아 보철물 - Google Patents

치아 보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940A
KR20240012940A KR1020220090513A KR20220090513A KR20240012940A KR 20240012940 A KR20240012940 A KR 20240012940A KR 1020220090513 A KR1020220090513 A KR 1020220090513A KR 20220090513 A KR20220090513 A KR 20220090513A KR 20240012940 A KR20240012940 A KR 20240012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ure
gums
gum
artificial
dental pros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호
Original Assignee
김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호 filed Critical 김시호
Priority to KR1020220090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940A/ko
Priority to PCT/KR2023/008815 priority patent/WO2024019347A2/ko
Publication of KR2024001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9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26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255Frames for partial dentures; Lingu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3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to residual teeth by using bolt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7Telescopic anchoring, i.e. using spring biased de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의 장기간 경과에 따른 잇몸뼈의 소실을 보완하기 위하여 치아 보철물과 잇몸 사이에 탄성부재를 삽입한 구조를 개시한다. 개선된 구조는 치아 보철물과 틀니에 두루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보철물{Dental prosthesis}
본 발명은 치아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발치된 치아의 잇몸뼈 소실을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치아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상악에 16개의 치아와 하악에 16개의 치아를 포함하여 총 32개의 치아를 가지며, 유아시기에 생성된 유치가 성장기에 접어들면서 영구치로 교체된 후 평생동안 영구치를 이용하여 구강활동을 수행한다. 영구치의 생성 후에 예를 들어 충치 등과 같은 구강질병으로 인해 1개 혹은 그 이상의 치아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에는 원활한 저작 기능을 보충하기 위해 결손치아 보충형 치아 보철물이 착용된다.
결손치아 보충형 치아 보철물은 치아의 커다란 실질결손, 또는 치아 결손에 의한 구강기능의 저하, 형태 이상에 대해서 결손치아를 인공치아(의치)로 보충함으로써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틀니, 부분틀니, 착탈식 치아보호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결손치아 보충형 치아보철물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29117호(2015.03.18. 공개)는 잇몸이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된 결합부와, 결합부의 상측을 따라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의치를 구비하는 틀니본체 및 상기 결합부가 상기 잇몸에 탄력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하단을 따라 매립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착탈식 틀니를 개시하고 있다.
출원인은 특허 제10-1890884호(2018년 8월 16일 등록)에서,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의치(20')의 상면으로부터 중앙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관통공(21')에 나사와 같은 체결도구(13')를 삽입하여 사용자의 잇몸 상태에 대응되게 치아보철물(1')의 높이를 조절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치아보철물 또는 틀니를 이용하여 치아를 치료 또는 교정한 경우, 발치 부분의 잇몸뼈는 1년에 약 1mm 정도 흡수되어 없어진다. 발치 후 5년이 경과하면 보철물이나 틀니가 헐거워져서 이탈하거나 자세가 어긋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에는 발치 부분의 의치의 하부면을 채우거나 또는 보철물이나 틀니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치아가 결손된 공간에 남은 자연 잇몸의 잇몸뼈 소실을 보충할 수 있는 치아보철물과 틀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잇몸 위에 안착되는 치아 보철물로서, 상기 치아 보철물은: 치아가 결손된 공간을 덮도록 잇몸 위에 장착되는 중앙의 의치; 및 결손된 치아의 주위의 치아를 덮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의 의치; 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의치는, 중앙 의치가 잇몸에 접하는 면의 중앙 부근에서 소정 높이까지 형성된 체결공과, 체결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보철물은 볼트의 하면과 잇몸 사이에 소정 높이를 가지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잇몸뼈의 소실에 의해 발생하는 중앙 의치와 잇몸 사이의 간극을 빈틈없이 메꾸도록 한, 치아 보철물을 제공한다.
상기 체결공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에는 이 나사산과 상보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 의치와, 인공 의치를 지지하는 인공 잇몸을 포함하는 틀니로서, 상기 틀니는 결손된 치아의 공간을 덮는 인공 잇몸에, 결손된 치아의 잇몸에 접하는 면의 중앙 부근에서 소정 높이까지 형성된 체결공과, 체결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고, 볼트의 하면과 잇몸 사이에 소정 높이를 가지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잇몸뼈의 소실에 의해 발생하는 인공 잇몸과 잇몸 사이의 간극을 빈틈없이 메꾸도록 한, 틀니를 제공한다.
상기 틀니의 인공 의치는 서로 분리된 2개의 인공 의치열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의치열을 지지하도록 연한 재질의 인공 잇몸이 형성되어, 상기 틀니는 부분 틀니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틀니는 전체 틀니일 수 있다.
치아 보철물 또는 틀니에서, 볼트의 하단이 탄성부재를 관통하여 잇몸을 향하거나 잇몸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잇몸뼈의 소실이 있어도 치아 보철물이나 틀니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거나 수리할 필요 없이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으며, 장기간에 걸쳐 여러 번 시술이 필요한 경우에도 탄성부재를 교환하면 충분하므로, 경제적이며 간편하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보철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치아 보철물이 탄성패드를 개재하여 잇몸에 장착되는 것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보철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틀니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틀니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선행 기술의 치아 보철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치아 보철물>
본 발명에서 “치아 보철물”은 치아의 발치, 결손이나 치료 등을 위하여 제작된 의치를 포함하는 인공 보철물로서, 자연 치아나 잇몸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을 말한다. 따라서 치아나 잇몸에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결합되는 임플란트나 브릿지(bridge)에 사용되는 보철물은 제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치아”나 “잇몸” 등의 신체 부위는 “인공” “합성”과 같은 수식어가 없는 경우에는 자연 치아나 자연 잇몸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보철물(1)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치아 보철물(1)은 잇몸(A)위에 안착된다. 치아 보철물(1)은 치아의 형상에 따라 자연스러운 형태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치아 보철물(1)의 외관은 예를 들어 연속 배열된 3개의 치아의 외관을 가지는 프레임(100)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00)의 내부는 사용자의 치열 구조에 대응하여 조절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된 탄성 연결부(17)가 개재되어 크게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3개의 치아로 이루어지는 치열 가운데 중앙 치아가 발치 또는 결손되어 없다고 가정하면, 그 좌우의 치아가 중앙의 인공 치아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치아 보철물(1)의 중앙의 의치(10)는 치아 결손으로 인한 공간을 덮는 인공 치아로, 그리고 좌측의 의치(30) 및 우측의 의치(32)는 결손된 치아의 좌우에 존재하는 치아를 덮어 씌우도록 제작된다. 이들 치아는 좌측 및 우측의 의치(30, 32)에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미리 절삭 가공되어 브릿지의 어버트먼트(abutment)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중앙 의치(10)를 덮는 프레임(100)의 상부면에는 스테인리스스틸, 티타늄 합금과 같은 금속면(100a)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 의치(10)가 잇몸에 접하는 하면의 중앙 부근에서 소정 높이 까지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공(12)에 상보하는(complementary)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 컬럼 형상의 긴 볼트(50)가 체결공(12)에 나사 결합된다. 체결공(12)과 볼트(50)가 최종 결합되는 높이에 따라 중앙 의치(10)가 위치하는 높이가 달라지므로, 사용자의 잇몸 형상과 치열 상태를 고려하여 체결공(12) 또는 볼트(50)의 크기나 스펙을 결정한 다음, 좌측 및 우측의 의치(30, 32)의 크기와 높이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결손 중앙 치아의 잇몸이 볼록한 경우에는 길이가 짧은 나사를 이용한다.
본 발명은 볼트(50)의 하면과 잇몸(A) 사이에 소정 높이를 가지는 탄성부재(20)를 개재시켜 중앙 의치(10)와 잇몸(A) 사이의 간극을 빈틈없이 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부재(20)는 인체에 전혀 유해하지 않은 실리콘, 고무 또는 섬유 등 어느 정도 구부러지고 휘어질 수 있는 물성의 재료로 제작된다.
탄성부재(20)는 환자에게 처음 치아 보철물(1)을 심는 경우에는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발치 부분의 잇몸뼈가 1년에 약 1mm 정도 흡수되어 소실되는 결과 치아 보철물을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유효하게 활용된다.
이 경우 환자의 치아에서 치아 보철물(1)을 분리한 다음, 발치된 치아의 잇몸(A) 부위에 탄성부재(20)를 올려 놓는다. 탄성부재(20)의 크기와 높이는 환자의 치열 사진을 토대로 결정될 수 있다. 다음,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치아 보철물(1)을 치아열에 맞추어 결합시킨다. 볼트(50)의 하면인 헤드부(52)는 탄성부재(20)를 가압하여 잇몸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잇몸뼈의 소실이 있어도 치아 보철물(1)을 다른 것으로 교체하거나 수리할 필요 없이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다. 또 장기간에 걸쳐 여러 번 시술이 필요한 경우에도 탄성부재(20)를 교환하면 충분하므로, 저렴하고 간편하다.
탄성부재(20)를 미리 잇몸(A)에 거치하지 않고 볼트(50)의 헤드부(52)에 닿도록 중앙 의치(10)의 하면에 밀착시킨 다음, 치아 보철물(1)을 결합하여도 좋다.
체결공(12)과 볼트(50)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나사산이 없도록 제작하여 두 부재를 강제 압입시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분 틀니>
“틀니”는 광범위한 의미에서는 치아 보철물에 해당하지만, 의치를 지지하는 인공 잇몸이 형성된 점에서 다르며 이러한 점에서 별도의 실시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잇몸뼈 소실을 보완하는 탄성부재(20)를 이용한 부분 틀니(200)의 사시도이다. 부분틀니(200)는, 예를 들어 좌측의 4개의 의치열(202)과, 우측의 3개의 의치열(204)과, 두 의치열(202, 204)을 연결하는 금속 재질의 연결구(206)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의치열(202, 204) 하부에는 연한 재질의 인공 잇몸(B)이 형성되며, 인공 잇몸(B)의 하면이 잇몸(A)과 접한다. 인공 잇몸(B)이 잇몸(A)에 접하는 하면의 중앙 부근에서 소정 높이 까지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212)이 형성되며, 체결공(212)에 상보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 컬럼 형상의 긴 볼트(250)가 체결공(212)에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은 앞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볼트(250)의 하면과 잇몸(A) 사이에 소정 높이를 가지는 탄성부재(20)를 개재시켜 인공 잇몸(B)과 잇몸(A) 사이의 간극을 빈틈없이 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부재(20)는 환자가 처음 부분틀니(200)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발치 부분의 잇몸뼈가 1년에 약 1mm 정도 흡수되어 소실되는 결과 치아 보철물을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유효하게 활용된다.
이 경우 환자의 치아에서 부분 틀니(200)를 분리한 다음, 인공잇몸(B)과 접촉하는 잇몸(A)의 부위에 탄성부재(20)를 올려 놓는다. 다음, 부분 틀니(200)를 치아열에 맞추어 결합시킨다. 볼트(250)의 하면인 헤드부는 탄성부재(20)를 가압하여 잇몸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공 잇몸(B)에는 복수의 체결공(212)을 형성하여 복수의 볼트(250)와 결합시키고, 복수의 볼트(250)가 탄성부재(20)를 가압하도록 해도 좋다.
또, 잇몸뼈의 소실 부분이 여러 부분인 경우에는 각각의 해당하는 인공 잇몸(B)에 체결공-볼트-탄성부재의 조합을 이용해도 좋다. 탄성부재(20)는 잇몸(A)의 모든 부분을 덮을 필요는 없고 필요한 경우에는 잇몸뼈가 소실된 부분만을 덮도록 그 치수가 결정되어도 좋다.
<전체 틀니>
도 5는 본원발명의 잇몸뼈 소실을 보완하는 탄성부재(20)를 이용한 전체 틀니(300)의 사시도이다. 전체틀니(300)는, 치아 모두를 대체하는 인공 의치와, 인공 의치를 지지하는 연한 재질의 연속하는 형상의 인공 잇몸(B)으로 이루어진다.
인공 잇몸(B)이 도시하지 않은 잇몸(A)에 접하는 하면의 중앙 부근에서 소정 높이 까지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212)이 형성되며, 체결공(212)에 상보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 컬럼 형상의 긴 볼트(250)가 체결공(212)에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은 앞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볼트(250)의 하면과 잇몸(A) 사이에 소정 높이를 가지는 탄성부재(20)를 개재시켜 인공 잇몸(B)과 잇몸(A) 사이의 간극을 빈틈없이 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서는 잇몸뼈의 소실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좌우 그리고 상하의 4개의 어금니 의치열을 지지하는 인공 잇몸(B)에 볼트(250)를 결합한 것과, 도시하지 않은 대응하는 잇몸 부위에 안착될 탄성부재(20)를 도시하였다. 전체 틀니(300)에 있어서도 볼트(250)의 숫자와 설치 위치는 환자의 잇몸 상태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볼트의 하면이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볼트의 하단이 탄성부재를 관통하여 잇몸 쪽으로 향하거나 잇몸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영역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Claims (6)

  1. 잇몸 위에 안착되는 치아 보철물로서, 상기 치아 보철물은:
    치아가 결손된 공간을 덮도록 잇몸 위에 장착되는 중앙의 의치; 및
    결손된 치아의 주위의 치아를 덮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의 의치; 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의치는, 중앙 의치가 잇몸에 접하는 면의 중앙 부근에서 소정 높이까지 형성된 체결공과, 체결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보철물은 볼트의 하면과 잇몸 사이에 소정 높이를 가지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잇몸뼈의 소실에 의해 발생하는 중앙 의치와 잇몸 사이의 간극을 빈틈없이 메꾸도록 한, 치아 보철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에는 이 나사산과 상보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된, 치아 보철물.
  3. 인공 의치와, 인공 의치를 지지하는 인공 잇몸을 포함하는 틀니로서,
    상기 틀니는 결손된 치아의 공간을 덮는 인공 잇몸에, 결손된 치아의 잇몸에 접하는 면의 중앙 부근에서 소정 높이까지 형성된 체결공과, 체결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고, 볼트의 하면과 잇몸 사이에 소정 높이를 가지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잇몸뼈의 소실에 의해 발생하는 인공 잇몸과 잇몸 사이의 간극을 빈틈없이 메꾸도록 한, 틀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의 인공 의치는 서로 분리된 2개의 인공 의치열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의치열을 지지하도록 연한 재질의 인공 잇몸이 형성되어, 상기 틀니는 부분 틀니로 이루어지는, 틀니.
  5. 제 1항에 있어서,
    볼트의 하단이 탄성부재를 관통하여 잇몸을 향하거나 잇몸에 접촉된, 치아 보철물.
  6. 제 3항에 있어서,
    볼트의 하단이 탄성부재를 관통하여 잇몸을 향하거나 잇몸에 접촉된 틀니.
KR1020220090513A 2022-07-21 2022-07-21 치아 보철물 KR20240012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513A KR20240012940A (ko) 2022-07-21 2022-07-21 치아 보철물
PCT/KR2023/008815 WO2024019347A2 (ko) 2022-07-21 2023-06-26 치아 보철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513A KR20240012940A (ko) 2022-07-21 2022-07-21 치아 보철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940A true KR20240012940A (ko) 2024-01-30

Family

ID=8961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513A KR20240012940A (ko) 2022-07-21 2022-07-21 치아 보철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2940A (ko)
WO (1) WO2024019347A2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9347A2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5434B2 (en) Dental bridge
US6431867B1 (en) Dental implant system
US4360342A (en) Method for replacing lost teeth
US20040166476A1 (en) Components for permanent removable and adjustable dentures and bridges
AU2005286092A1 (en) Temporary dental prosthesis
US5897320A (en) Hydrostatic pressure relieved abutment post
KR100407796B1 (ko) 핀유지 인레이 브리지로 되는 의치용 보철물
KR20090081847A (ko) 미니 임플란트.
KR20200082806A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KR200178291Y1 (ko) 치과용 보철물
KR100416247B1 (ko) 치과용 보철물
KR101540559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지지플레이트
KR100698931B1 (ko) 치과용 보철물
US5419701A (en) Endosteal dental implant with supplementary stabilizer
KR100544272B1 (ko) 즉시 고정 가능한 임플란트
KR100950627B1 (ko) 즉시 계속 가공의치
KR20240012940A (ko) 치아 보철물
KR20140026132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CA2377042A1 (en) A device for dental implantation
KR100614975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설치방법
KR20150086699A (ko) 멀티플 어버트먼트
US3624904A (en) Template for implant denture
KR200242258Y1 (ko) 핀유지 인레이 브리지로 되는 의치용 보철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