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922A - 피부장벽 회복 및 가려움증 감소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장벽 회복 및 가려움증 감소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922A
KR20240011922A KR1020220089009A KR20220089009A KR20240011922A KR 20240011922 A KR20240011922 A KR 20240011922A KR 1020220089009 A KR1020220089009 A KR 1020220089009A KR 20220089009 A KR20220089009 A KR 20220089009A KR 20240011922 A KR20240011922 A KR 20240011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de
cosmetic composition
liquid crystal
paragraph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지영
안다님
박효진
공병준
김지은
남영욱
Original Assignee
(주)아쿠아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쿠아렉스 filed Critical (주)아쿠아렉스
Priority to KR1020220089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922A/ko
Publication of KR20240011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92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품은 구아이아줄렌, 세라마이드, 아미노산 복합체를 함유한 피부장벽 회복 및 가려움증 개선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가려움증 및 상기 가려움으로 인한 피부 병견을 개선 혹은 완화 시켜 피부 장벽을 회복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장벽 회복 및 가려움증 감소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restoring skin barrier and reduction fo itch}
본 발명은 피부 장벽 회복과 가려움증 감소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토피등 피부 병변 환자나 피부건조증을 가진 사람의 피부 장벽 회복과 건조에 의한 가려움증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만성 알레르기 염증 질환으로 소아에서는 10~20% 성인에서는 2~10%등의 유병률로 최근 다른 알레르기 질환과 함께 국내외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한 소아 알레르기 호흡기학회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생의 아토피피부염 진단이 1995년 13.7%에서 2015년 29.2%로 증가한다고 보고 있으며,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아토피 피부염 연구에서 측정한 유병률은 7.1%로 보고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피부 건조증이 특징적이며, 소양증, 홍반 등의 양상으로 다양한 피부 질환을 동반한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의 완화를 위해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제, 면역억제제와 같은 국소 및 전신 약제가 적용되고 있으나, 상기 약제들의 피부 안전성, 졸림 등의 문제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시점이다.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화장품 영역에서는 세포간지질등을 보충하여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 하여 안정성을 높인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세포간지질은 각질층의 수분투과장벽(water permeability barrier)에 기여하며, 이는 세라마이드(Ceramide), 콜레스테롤(Cholestrol) 및 지방산(Fatty acid)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들은 피부 표피에서 라멜라 구조로 존재하며 피부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고 이물의 침입을 막는 등 외부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성분중 세라마이드는 각질세포간지질의 과반수를 차지하여 세라마이드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아토피피부염 등 건조함에 기인한 피부 병변들이 다수 발견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화장품 영역에선 라멜라 액정을 형성하여 내부에 세라마이드를 보충하는 형태로 아토피 혹은 건조 피부 병변의 해결책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세라마이드는 용융점이 높아 용해도가 낮아 결정화될 위험이 높고, 입자를 작게 제조하면 입자간 표면에너지가 크게 되어 세라마이드끼리 결합하여 겔링되는 현상(겔화, gelation)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화장품 제형의 점도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점도가 낮을수록 세라마이드 결정화가 더 잘 일어나 석출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실제 화장품 제형에 적용 시 스킨, 로션과 같은 저점도 제형에는 세라마이드를 사용할 수 있는 함량에 제한이 있다.
이에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입자에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집하여 우수한 제형 안정성과 피부장벽 회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안되었다. 그러나 제안된 기술은 세라미이드를 고함량이기는 하지만 광범위한 미세 결정으로 존재하여, 피부흡수율 및 효능이 현저히 떨어지고, 다층 라멜라 구조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2362035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세라마이드 및 체내에서 세라마이드를 형성할 수 있는 아미노산을 다층 라멜라 액정 입자에 함께 포집하여 지속적으로 아토피 개선 및 가려움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는 수상성분 및 세라마이드와 구아이아줄렌, 아미노산 복합체를 포함하는 유효성분; 및
상기 수상성분들에 분산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상층과 유상층을 포함하고, 내부에 세라마이드 및 아미노산 복합체가 유효성분으로 포집된 다층 라멜라 액정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세라마이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6wt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1(Ceramide Eos), 세라마이드 2(Ceramide NS), 세라마이드 3(Ceramide NP), 세라마이드 4, 세라마이드 5, 세라마이드 6, 세라마이드 7 및 세라마이드 8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 복합체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wt%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 복합체는 글라이신(Glycine) 및 세린(Serin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멜라 액정입자에 구아이아줄렌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아이아줄렌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내지 1 wt%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층 라멜라 액정입자는 레시틴 계열의 계면활성제와 고급알코올로 이루어진 액정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층 라멜라 액정입자의 평균입경은 0.01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아토피 및 가려움증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품 조성물은 세라마이드가 라멜라 액정구조 내에 포함되어 세라마이드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면서도 결정화되어 석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구아이아줄렌을 통해 피부 항염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아미노산 복합체를 통하여 세라마이드 발현량을 높여 아토피등 피부 병변과 건조 피부 개선에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 할 수 있다.
도 1 은 세라마이드의 생성 기전 및 체내 세린과 글라이신의 상호 변화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 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생성된 입자를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 한 사진이다.
도 3 은 실시예 1의 경표피수분손실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는 실시예 1 의 피부 수분 함유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는 실시예 1의 가려움 평가 분석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를 해석함에 있어서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반드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할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바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및 아미노산이 포집된 라멜라 액정구조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 라멜라 액정입자, 및 유효성분을 포함한다.
수상부는 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의 적용시 수분을 공급하며, 시원하고 촉촉한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의 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함량에 대하여 50 내지 85 중량%이다.
라멜라 액정입자는 친수성층과 친유성층의 이중 층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라멜라 액정입자는 수상부에서 고르게 분산되며, 평균입경은 0.1㎛내지 30㎛이다. 입경이 30㎛를 초과하면 유화 입자가 안정화 되지 않고 석출 될 수 있으며, 0.1㎛미만일 경우 세라마이드와 구아이아줄렌을 포함한 액정 구조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라멜라 액정입자는 레시틴계열의 계면활성제과 고급알코올로 이루어지며 라멜라 액정구조를 가진다. 레시틴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경화레시틴, 레시틴, 소이빈포스포리피드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고급알코올은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및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아라키딜알코올, 옥틸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급 지방족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급알코올의 함량이 0.1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 0.1 내지 5중량%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멀티 라멜라 구조의 액정을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추가의 계면활성제로서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Arachidyl Glucoside), 폴리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솔비탄올리베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솔비탄라우레이트(sorbitanlaurate),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디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로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강화하기 위하여 액정 강화제를 추가할 수 있다. 액정막 강화제는 유화입자의 계면에서 라멜라 액정 구조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고급알코올, 고급지방산,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및 왁스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급지방산은 탄소수 12 내지 20의 지방산이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익산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라멜라 액정구조의 특성상 내부에는 친수성 유효성분과 친유성 유효성분을 모두 포집할 수 있다.
친수성 유효성분은 아미노산 복합체이고, 라멜라액정구조의 친수층에 포함된다. 아미노산 복합체는 세라마이드를 체내에서 생성시키기 위해서 포함된다. 이 때, 아미노산은 히스티딘(Histidine), 알라닌(Alanine), 글라이신(Glycine), 세린(Serine), 아르기닌(Arginine), 시스테인(Cysteine), 발린(Valine), 류신(Leucine)중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글라이신(Glycine), 세린(Serine)을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은 체내의 세라마이드 생성 메커니즘과, 및 세린과 글라이신의 상호반응을 도시한다. 이에 따르면, 세라마이드의 생성 기전에서 먼저 아미노산인 세린(Serine)과 지방산 조효소 A인 팔미토일 CoA (Palmitoyl CoA)를 전구체로 하여 세린 팔미토일전환효소(Serine palmitoyltransferase,SPT)의 작용에 의해 스핑고지질 모핵인 3-케토디하이드로스핑고신(3-Ketohidhyrosphingsine)을 생성한 후 환원되어 디히드로스핑고신(Dihydrosphingosine)이 되고, 지방산이 축합된 디하이드로세라마이드(Dihydroceramide)를 생성하며 이어서 이중 결합이 포함된 스핑고신(Sphingosine)의 골격 구조를 가지는 세라마이드로 전환된다.
또한 글라이신은 체내에서 세린과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며, 세라마이드 합성 및 발현량을 증대하기 위해 사용된다. 세린은 세라마이드 생성경로의 출발물질이며, 글라이신은 체내에서 세린으로 변환할 수 있는 아미노산이기 때문에 글라이신(Glycine), 세린(Serin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노산 복합체는 세라마이드 발현량을 증가시켜 아토피 피부염으로 인한 피부 장벽 손상과 가려움증으로 인한 피부 방변이 효과적으로 개선 될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복합체는 라멜라 액정 내에서 세라마이드의 결정화를 방지한다. 이는 아미노산 복합체가 결정화되지 않은 세라마이드의 액정구조 생성에 관여하면서, 액정 구조 내 세라마이드 입자 사이에 아미노산 복합체가 존재하여 기존의 세라마이드의 동결 및 결정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미노산 복합체는 0.01내지 1wt%로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01 내지 0.2wt%이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 생성 메커니즘에 따라 세라마이드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아미노산 복합체 함유로 인하여 결정화를 방지하는 기능이 낮아진다.
친유성 유효성분은 세라마이드와 구아이아줄렌을 포함하며, 라멜라 액정 입자의 친유층에 포집된다. 피부 외곽에서 피부 장벽을 이루고 있는 각질 세포간 지질중 하나인 세라마이드는 피부 투과 장벽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세라마이드가 감소됨에 따라 피부내 수분량 감소 및 수분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와 더불어 피부 장벽이 손상됨에 따라 상기 피부 병변들이 발생 할 수 있다.
사용되는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1(Ceramide Eos), 세라마이드 2(Ceramide NS), 세라마이드 3(Ceramide NP), 세라마이드 4, 세라마이드 5, 세라마이드 6, 세라마이드 7 및 세라마이드 8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세라마이드는 0.5 내지 6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피부 장벽층의 건조함을 개선시키기 어려우며,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액정구조가 안정화 되지 않고 석출되거나 피부 자극의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세라마이드는 4 내지 6wt%의 고함량으로도 포함되면서도 결정화나 겔화되지 않는 특성을 유지한다.
구아이아줄렌(Guiazulene)은 진한 파란색 결정질 탄화수소이며 azulene의 유도체이며 항염증 성분이 있어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으며, 화학식은 아래와 같다.
(화학식 1)
손상된 피부에 적용되어 세라마이드를 통해 피부회복을 하는 동시에 구아이아줄렌을 적용하여 피부 염증을 완화한다.
구아이아줄렌의 효능을 측정하고자 RAW 264.7 셀을 이용하여 TNF-α 로 염증을 유발시킨 후에 구아이아줄렌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IL-8에 대해 염증 유발 측정치 대비 감소율을 분석기기(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1, 2에 따르면 구아이아줄렌의 농도가 증감함에 따라 염증유발 사이토카인인 IL-6과 IL-8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이는 아토피 등의 피부 염증을 동반한 피부 병변에서 구아이아줄렌이 유의미한 효과를 가진 것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즉, 구아이아줄렌은 항염 효과로 인한 피부 병변을 효과적으로 개선 할 수 있다.
한편, 레시틴 계열 계면활성제와 구아이아줄렌은 모두 양쪽성 화합물로 안정한 커플링을 형성하는데, 구아이아줄렌은 레시틴 계열 계면 활성제의 에지활성제(Edge Activator)로 작용하여 라멜라 액정구조의 안정성, 경피 투과성을 향상시킨다.
구아이아줄렌은 0.01내지 1wt%, 보다 바람직하게 0.01 내지 0.3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항염효과가 발생되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피부에 착색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피부보습성분 등의 기능성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피부자극완화, 보습감, 컨디셔닝 및 영양감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부자극완화 성분은 예를 들어 알란토인, 알로에베라, 우엉뿌리 추출물, 녹차 추출물, 화이트윌오우, 윌로우허브, 윌로우껍질, 캐모마일 추출물, 포도추출물, 감초뿌리 추출물 및 금은화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보습 성분은 글리세린, 에리스리톨, 아이소펜틸다이올, 히아루론산, 1,3-부틸렌글라이콜, 글루코스, 하이드록시에틸우레아, 우레아, 솔비톨, 젖산, 갈락토스, 프로필렌글라이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하는 오일성분은 상기 세라마이드 멀티 라멜라 구조에 포함되는 성분으로,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일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성분은 구체적으로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성 오일 중에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시클로도데칸, 이소옥탄, 리퀴드파라핀, 바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스쿠알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에틸라우레이트(Ethyl Laurate), 에틸미리스테이트(Ethyl Myristate),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부틸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상기 식물성 오일은 호호바오일, 해바라기씨오일, 아몬드오일, 올리브오일, 참기름, 밀배아유, 사플라워유, 동백기름, 피마자유, 포도씨유, 녹차씨유, 마카다미아넛츠, 메도우폼씨유, 야자유, 로즈힙오일, 아르간오일, 아르간트리커넬유, 라벤더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 성분중 피부의 피지선에서 분비하는 피지 조성물과 유사한 스쿠알란(Squalane),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혹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와 같은 중쇄지방산오일(Middle Chain Triglycerides)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합물에 사용하는 오일군은 조성물에 대하여 5내지 80 wt%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존제 또는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존제 또는 방부제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부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미만으로 함유되면 보존의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피부자극이 우려되고 비경제적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보존제 또는 방부제는 예를 들어 클로로페네신(Chlorphenesin), 트리소듐이디티에이(Trisodium EDTA), 4-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4-Hydroxyacetophenone), 3-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3-Hydroxyacetophenone), 포타슘솔베이트(Potassium Sorbate),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벤질알코올, 클로로실레놀(Chloroxylenol),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Imidazolidinyl Urea), 시트르산,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에 점도를 부여하기 위해 고분자 화합물등 점증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에 의해 조성물의 점도가 부여되면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구아이아줄렌, 아미노산 성분들의 액정입자가 고르게 분산되어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만일 조성물의 점도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입자를 제조하게 될 시 입자가 분리 혹은 석출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안정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 카보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등의 점증제중 1개이상 선택하거나 선택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성분들은 크게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으로 나뉘며, 수상성분은 정제수, 아미노산, 점증제, 피부자극완화 성분, 피부보습성분, 보존제이고, 유상성분은 계면활성제, 오일성분 이다.
이하에서는 구아이아줄렌, 세라마이드, 아미노산 복합체를 함유한 피부장벽 회복 및 가려움증 개선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 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품 조성물 제조: 로션제형>
하기 표 3에 따라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탱크에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수상성분(1~5)를 투입하여 50내지 75℃까지 가온 하여 용해하였다. 또한, 세라마이드와 구아이아줄렌을 함유하는 유상성분(6~16)은 유상탱크에 투입하여 60내지 90℃의 온도로 가온 교반 한 후 두 탱크의 내용물을 1000내지 3000rpm으로 교반하여 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처방은 최종 30℃까지 냉각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2는 세라마이드의 함량을 차이를 두었고, 실시예 3은 아미노산의 함량 차이를 나타낸다.
원료 No.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1 비교예2
1 정제수 83.36 79.36 83.28 79.36 83.4
2 글라이신 0.01 0.01 0.05 0.01 -
3 세린 0.01 0.01 0.05 0.01 -
4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5 0.5 0.5 0.5 0.5
5 글리세린 4 4 4 4 4
6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6 0.6 0.6 0.6 0.6
7 스쿠알란 2 2 2 2 2
8 베헤닐알코올 0.7 0.7 0.7 0.7 0.7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8 0.8 0.8 0.8 0.8
10 세라마이드 1 5 1 5 1
11 구아이아줄렌 0.02 0.02 0.02 0.02 -
12 스테아릭에시드 0.5 0.5 0.5 0.5 0.5
13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 1 1 1 1
14 호호바씨오일 0.5 0.5 0.5 0.5 0.5
15 메도우폼씨오일 2 2 2 2 2
16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3 3 3 3 3
실험예 1. 라멜라 액정입자 확인.
1) 입자 형태 확인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라멜라 액정 입자를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2는 살펴보면 실시예 1~3, 비교예 2는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액정 입자가 편광현미경에서 입자 외벽이 구분되는 특정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만 비교예 1의 경우 세라마이드가 액정 구조를 형성하지 못하며 단순히 지질형태가 뭉쳐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비교예 2는 실시예 1에 구아이아줄렌과 아미노산을 제외한 실험예이나 액정 구조 약간 불안정한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실험예 2. 제형 안정성 확인
앞서 제조한 실시예 1~3과 비교예1,2 의 조성물을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장기간 보관하여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조성물을 각 25℃, 0℃, 45℃ 인큐베이트에 장기 보관하고, 일정기간 뒤 육안분석을 통하여 제품의 안정성(이물감, 내용물 균질성, 성상 변화)을 확인하였다. 제형 안정성이 좋은 경우 ◎점, 보통인 경우 ○ 불량한 경우 △ 으로 평가하였고, 평가 결과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조건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25 (℃) 1주
2주
3주
2개월
4개월
0 (℃) 1주
2주
3주
2개월
4개월
45 (℃) 1주
2주
3주
2개월
4개월
상기 표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실시예 1과 실시예 3 화장품 조성료의 안정성은 모든 온도 조건에서 라멜라 액정입자가 안정하게 존재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실시예 2의 경우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높아 고온에서 실시예 1과 3에 비해 다소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으나, 분리되지 않고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 0℃를 제외한 모든 군에서 분리, 석출되는등 불안정한 안정성을 띄었다. 비교예 2는 상온과 저온에서 약 한달가량은 안정한 상태를 유지 하였으나 서서히 불안정한 모습을 띄었으며, 고온에선 액정입자가 겔화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실험예 3. 가려움증의 개선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피부 장벽 회복과 가려움증에 대한 개선평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중 세라마이드와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낮은 실시예 1을 사용하여 인체 적용 시험을 진행 하였다. 4주간 건조한 피부를 가진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 대상자의 시험부위의 경피수분손실량, 피부수분 함유량에 대한 기기 평가 및 가려움 평가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상기 기기 평가 중 경피수분손실량(Trans Epidermal Water Loss; TEWL)은 Tewameter®TM300 (C+K,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기기는 probe 의 위 아래가 개방된 open chamber 형태로 probe 안에 수분이 누적되지 않아 장시간 측정이 가능하다. Probe 안의 온도와 습도 센서가 시험 부위의 단위 면적 당 시간 경과에 따른 수분 증발량(g/hm2)을 측정하는 것으로 즉, 수분 확산(diffusion) 원리를 이용하여 probe 내에서 증가하는 상대적인 습도(RH)로부터 수분손실량이 계산된다. 또한, TEWL 측정 시 초반에는 피부 자체의 수분이 측정되기 때문에 약 30~60 초 정도 지나 안정화가 된 다음 정확한 수치를 측정한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제품 사용 전, 2주 및 4주사용 후에 연구대상자의 양 팔 오금 또는 다리 오금부위를 측정하였다. 상기기기를 통해 경피수분손실량에 대한 분석결과 실시예1은 2주사용 및 4주 사용 후에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5, 도 3)
측정시점 제품사용전 2주사용 후 4주사용 후
실시예 1 13.14 ± 0.88 10.49±1.42 9.17±0.81
변화량 - -2.65±1.11 -3.97±0.86
변화율 - -20.25 -30.13
상기 기기 평가 중 피부 수분함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Corneometer® CM825 (C+K, Germany)를 이용하였다. 이 기기는 각질층 내 수분 함량을 측정한다. 모든 전기적 현상은 전하에 의해 일어나는데, 정전용량(Capacitance)은 이 전하를 저장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probe 의 양극판이 대전 상태에 놓이면 그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전하를 저장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에 대한 높은 저항을 갖고 있는 표피의 각질층 내 수분 함량을 측정한다. 측정된 정전용량은 피부의 수분 함량에 따라 변화하며, 정전용량과 각질층 내 수분 함량은 비례하므로 측정값이 높을수록 수분 함량도 높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제품 사용 전, 2주 및 4주사용 후에 연구대상자의 양 팔 오금 또는 다리 오금부위를 측정하였다. 상기 피부수분함유량에 대한 분석 결과, 제품 사용전과 비교하여 실시예 1은 2주 사용 및 4주 사용 후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표 6, 도 4)
측정시점 제품사용전 2주사용 후 4주사용 후
실시예 1 30.62± 6.30 39.54±6.26 46.03±5.61
변화량 - 8.93±2.95 15.41±4.16
변화율 - 31.12 54.15
상기 가려움 평가(점수)는 매 방문 시 시험대상자는 24 시간 동안의 평균 및 최대 가려움에 대한 10 점 척도를 가려움 평가 도구인 visual analogue scale (VAS,=표 6)로 평가하였다. 시험대상자가 느끼는 가려움의 정도를 0(=가려움이 없음)~10(=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가려움증)으로 10cm 선분 위에 시험대상자가 직접 표시하도록 하고, 그 길이를 측정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시험 대상자들이 표시한 선분의 길이를 비교하여 가려움 개선 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24시간 동안 평균 가려움 평가에 대한 분석결과 제품 사용전과 비교하여 실시예 2주사용 및 4주 사용 후에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24시간동안 최대 가려움에 대한 평가는 제품 사용전과 비교하여 2주사용 및 4주 사용 후에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표 7, 도 5)
24시간 동안의 평균 가려움 측정시점 제품사용전 2주사용 후 4주사용 후
실시예 1 6.44± 1.58 4.90±1.77 3.57±1.64
변화량 - -1.54±1.31 -2.86±1.50
변화율 - -23.83 -44.62
24시간 동안의 최대 가려움 실시예 1 7.46± 1.51 5.86±1.72 4.50±1.67
변화량 - -1.61±1.10 -2.66±1.45
변화율 - -21.97 -39.98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물을 포함하는 수상성분 및 세라마이드와 구아이아줄렌, 아미노산 복합체를 포함하는 유효성분; 및
    상기 수상성분들에 분산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상층과 유상층을 포함하고, 내부에 세라마이드 및 아미노산 복합체가 유효성분으로 포집된 다층 라멜라 액정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6wt량%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1(Ceramide Eos), 세라마이드 2(Ceramide NS), 세라마이드 3(Ceramide NP), 세라마이드 4, 세라마이드 5, 세라마이드 6, 세라마이드 7 및 세라마이드 8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복합체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wt%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복합체는 글라이신(Glycine) 및 세린(Serine)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멜라 액정입자에 구아이아줄렌이 더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아이아줄렌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내지 1 wt%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라멜라 액정입자는 레시틴 계열의 계면활성제와 고급알코올로 이루어진 액정구조인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라멜라 액정입자의 평균입경은 0.01내지 30㎛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89009A 2022-07-19 2022-07-19 피부장벽 회복 및 가려움증 감소 화장료 조성물 KR20240011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009A KR20240011922A (ko) 2022-07-19 2022-07-19 피부장벽 회복 및 가려움증 감소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009A KR20240011922A (ko) 2022-07-19 2022-07-19 피부장벽 회복 및 가려움증 감소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922A true KR20240011922A (ko) 2024-01-29

Family

ID=89717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009A KR20240011922A (ko) 2022-07-19 2022-07-19 피부장벽 회복 및 가려움증 감소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92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035B1 (ko) 2018-01-19 2022-0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035B1 (ko) 2018-01-19 2022-0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276B1 (ko)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24686B2 (en) Occlusive formulations
DE202012013021U1 (de) Hautpflegeformulierung
KR101838642B1 (ko) 피부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473198B1 (ko) 투명 세라마이드 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4532A (ko)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회복을 위한 다중층 액정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E202012013018U1 (de) Kombination von Pflanzenextrakten zur Verbesserung des Hauttons
CN108186679B (zh) 一种祛痘组合物
EP2769709B1 (en) Pseudolipid complex mixture and a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101848474B1 (ko) 아토피 피부 가려움증 완화를 위한 천연 유래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1752137A2 (de) Hydrophile bzw. ambiphile Grundlagen und Zubereitungen
US20050063930A1 (en) Topical formulation of the oil-in-water type, comprising galactolipid material as emulsifier, with a prolonged effect of an incorporated active substance
KR20110052095A (ko)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6549309A (zh) 一种可形成液晶结构的乳化剂组合物及其应用
JP5306725B2 (ja) 皮膚外用剤
CN115040438B (zh) 促进皮肤屏障修护功能的皮肤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240011922A (ko) 피부장벽 회복 및 가려움증 감소 화장료 조성물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1175897A2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Formulierung zur Pflege und Kühlung der Haut nach einem Sonnenbad
KR20180107836A (ko) 아토피 억제 및 완화를 위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US11510856B2 (en) Pramoxine compositions
EP2399648B1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DE102006040450B3 (de) Verwendung einer Zusammensetzung für die Hautbehandlung nach Röntgenbestrahlung
EA039464B1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мест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KR102575751B1 (ko) 보습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