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824A - electromagnetic contactor - Google Patents

electromagnetic cont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824A
KR20240011824A KR1020237044806A KR20237044806A KR20240011824A KR 20240011824 A KR20240011824 A KR 20240011824A KR 1020237044806 A KR1020237044806 A KR 1020237044806A KR 20237044806 A KR20237044806 A KR 20237044806A KR 20240011824 A KR20240011824 A KR 20240011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depth direction
connecting spring
spring
arm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4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이시 와가이
고우에츠 다카야
마사시 세키야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1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8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접점 지지부(12)는 미리 정한 깊이 방향의 앞쪽에 마련되며, 홈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플런저(14)는 깊이 방향의 안쪽에 마련되며, 전자석부(13)에 의해서 구동된다. 연결 스프링(16)은 판스프링이며, 중앙이 가동 플런저(14)에 고정되고, 장방향의 선단 측이 단방향을 따라서 홈부(22)에 삽입된다. 홈부(22)에는 볼록부(36)가 형성되고,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에는 오목부로 되는 간극(42)이 형성되어, 홈부(22)에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삽입될 때에, 간극(42)과 볼록부(36)가 서로 감합한다.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is provided at the front in a predetermined depth direction, and a groove portion 22 is formed. The movable plunger 14 is provided inside in the depth direction and is driven by the electromagnet portion 13. The connecting spring 16 is a leaf spring, the center of which is fixed to the movable plunger 14, and the longitudinal tip sid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22 along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A convex portion 36 is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22, and a gap 42 that becomes a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so that when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22. , the gap 42 and the convex portion 36 fit together.

Description

전자 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전자 접촉기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접점 지지부에 가동 플런저가 연결 스프링을 통해 연결된다. 연결 스프링은, 장방향 및 단방향을 갖는 판스프링이며, 장방향의 중앙에 가동 플런저가 고정되고, 장방향의 양단 측이 단방향을 따라서 접점 지지부의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연결된다. In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for example,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 movable plunger is connected to the contact support portion through a connecting spring. The connecting spring is a leaf spring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unidirectional direction, and a movable plunger is fixed at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nnected by inserting into the groove of the contact support portion along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6075508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6075508

연결 스프링은, 접점 지지부의 홈부에 삽입될 뿐인 구조이기 때문에, 진동이나 조립 불량으로 인해서 위치 어긋남이 생겨, 전자 접촉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었다. Since the connection spring has a structure that is only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contact suppor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ositional misalignment may occur due to vibration or poor assembly, thereby affect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연결 스프링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misalignment of the connecting spring in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 접촉기는, 접점 지지부와 가동 플런저와 연결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접점 지지부는 미리 정한 깊이 방향의 앞쪽에 마련되며, 연결 스프링용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플런저는 깊이 방향의 안쪽에 마련되며, 전자석부에 의해서 구동된다. 연결 스프링은 판스프링이며, 중앙이 가동 플런저에 고정되고, 장방향의 선단 측이 단방향을 따라서 연결 스프링용 홈부에 삽입된다. 연결 스프링용 홈부에는 오목부 및 볼록부 중 한쪽이 형성되고, 연결 스프링의 선단 측에는 오목부 및 볼록부 중 다른 쪽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스프링용 홈부에 연결 스프링의 선단 측이 삽입될 때에,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감합한다.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support portion, a movable plunger, and a connecting spring. The contact support portion is provided at the front in a predetermined depth direction, and a groove portion for the connection spring is formed. The movable plunger is provided inside in the depth direction and is driven by an electromagnet unit. The connecting spring is a leaf spring, the center of which is fixed to the movable plunger, and the longitudinal tip sid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 the connecting spring along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One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for the connecting spring, and the other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When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 the connecting spring,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fit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 스프링용 홈부에 연결 스프링의 선단 측이 삽입될 때에,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감합함으로써, 연결 스프링에 있어서의 단방향의 삽입 위치가 규제된다. 따라서, 연결 스프링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spring groove,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fit with each other, thereby regulating the unidirectional insertion position of the connecting spring. Therefor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spring can be suppressed.

도 1은 전자 접촉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접점 지지부 및 가동 플런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접점 지지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홈부 및 홈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아마추어 및 연결 스프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접점 지지부와 가동 플런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홈부 및 홈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아마추어 및 연결 스프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의 홈부 및 홈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형태의 아마추어 및 연결 스프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4 실시형태의 접점 지지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4 실시형태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5 실시형태의 접점 지지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5 실시형태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contact support and a movable plunger.
3 is a diagram showing a contact support por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groove portion and a groove por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armature and connecting spring.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tact support portion and the movable plunger.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ative example.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groove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Fig. 9 is a diagram showing the armature and connecting spring of the second embodiment.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 groove portion and a groove portion of the third embodiment.
Fig. 12 is a diagram showing the armature and connecting spring of the third embodiment.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third embodiment.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contact support por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ourth embodiment.
Fig. 16 is a diagram showing a contact support portion of the fifth embodiment.
Fig. 1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fth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장치나 방법을 예시하는 것으로, 구성을 하기의 것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Additionally, each drawing is schematic and may differ from the actual drawing.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illustrate devices and methods for embody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specify the configuration as follows. That i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within the technical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구성》"composition"

이하의 설명에서는, 서로 직교하는 3 방향을 편의상 세로 방향, 폭 방향 및 깊이 방향으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hree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are referred to as the vertic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epth direction for convenience.

도 1은 전자 접촉기(11)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

여기서는, 전자 접촉기(11)를, 세로 방향의 일측, 폭 방향의 타측 및 깊이 방향의 앞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자 접촉기(11)는 접점 지지부(12)와 전자석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접점 지지부(12)는 깊이 방향의 앞쪽에 마련되고, 전자석부(13)는 깊이 방향의 안쪽에 마련되어 있다. Here,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 is shown as viewed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 is provided with a contact support part 12 and an electromagnet part 13.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is provided at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and the electromagnet portion 13 is provided at the inside in the depth direction.

도 2는 접점 지지부(12) 및 가동 플런저(14)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act support 12 and the movable plunger 14.

여기서는, 접점 지지부(12) 및 가동 플런저(14)를, 세로 방향의 일측, 폭 방향의 타측 및 깊이 방향의 앞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Here,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and the movable plunger 14 are shown viewed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접점 지지부(12)는 수지제이며, 폭 치수 및 깊이 치수에 비해서 세로 치수가 작은 대략 직방체형으로 형성되어, 도시하지 않는 가동 접촉자를 지지한다.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is made of resi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ith a vertical dimension smaller than the width dimension and depth dimension, and supports a movable contactor (not shown).

전자석부(13)는 깊이 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가동 플런저(14)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플런저(14)는,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형의 철심이며, 전자석부(13)의 온/오프에 따라서 깊이 방향으로 진퇴한다. 가동 플런저(14)에는,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앞쪽의 단부에, 아마추어(15) 및 연결 스프링(16)에 고정되어 있다. The electromagnet portion 13 is provided with a movable plunger 14 that can advance and retreat in the depth direction. The movable plunger 14 is a cylindrical iron core extending in the depth direction, and advances and retreats in the depth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on/off of the electromagnet portion 13. The movable plunger 14 is fixed to an armature 15 and a connecting spring 16 at the front end in the depth direction.

아마추어(15)는, 두께가 균일하고 폭 방향 및 세로 방향을 따르는 판형의 자성체이며, 깊이 방향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는 요크나 가동 플런저(14)와 함께 자로(磁路)를 형성한다. 연결 스프링(16)은, 두께가 대략 균일하고 폭 방향 및 세로 방향을 따르는 금속제의 판스프링이며, 폭 방향을 장방향으로 하고, 세로 방향을 단방향으로 하고 있다. 아마추어(15)에 있어서의 깊이 방향의 앞쪽에 연결 스프링(16)이 겹쳐져 함께 가동 플런저(14)에 고정되어 있다. 아마추어(15) 및 연결 스프링(16)은, 세로 방향을 따라서 접점 지지부(12)에 있어서의 깊이 방향의 안쪽에 삽입됨으로써, 접점 지지부(12)에 가동 플런저(14)가 연결된다. The armature 15 is a plate-shaped magnetic material whose thickness is uniform and follows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in the depth direction, and forms a magnetic path together with a yoke or movable plunger 14 (not shown). forms. The connecting spring 16 is a metal leaf spring whose thickness is approximately uniform and along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with the width direction be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ing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A connecting spring 16 is overlapped on the front of the armature 15 in the depth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movable plunger 14 together. The armature 15 and the connecting spring 16 are inserted in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connecting the movable plunger 14 to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도 3은 접점 지지부(1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도면에서의 (a)는, 접점 지지부(12)를, 세로 방향의 일측, 폭 방향의 타측 및 깊이 방향의 앞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의 (b)는, 접점 지지부(12)를, 세로 방향의 일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접점 지지부(12)에는, 깊이 방향의 안쪽에, 아마추어(15)가 삽입되는 한 쌍의 홈부(21)(아마추어용 홈부)와, 연결 스프링(16)이 삽입되는 한 쌍의 홈부(22)(연결 스프링용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아마추어(15)가 삽입되는 한 쌍의 홈부(21)는, 연결 스프링(16)이 삽입되는 한 쌍의 홈부(22)보다 폭 방향의 간격이 넓고, 또한 깊이 방향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다. (a) in the drawing shows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as viewed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b) in the drawing shows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viewed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includes, on the inside in the depth direction, a pair of groove portions 21 (armature groove portions) into which the armature 15 is inserted, and a pair of groove portions 22 into which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serted ( A groove for the connection spring) is formed. The pair of grooves 21 into which the armature 15 is inserted has a wider gap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pair of grooves 22 into which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serted, and is formed inside in the depth direction.

도 4는 홈부(21) 및 홈부(2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groove portion 21 and the groove portion 22.

도면에서의 (a)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홈부(21) 및 홈부(22)를, 세로 방향의 일측, 폭 방향의 타측 및 깊이 방향의 앞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의 (b)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홈부(22)를 지나, 폭 방향 및 세로 방향을 따르는 단면을, 깊이 방향의 앞쪽에서 본 상태이다. (a) in the drawing shows the groove portion 21 and the groove portion 22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s seen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b) in the drawing is a cross-section along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viewed from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groove portion 22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아마추어(15)가 삽입되는 홈부(21)는,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한 측면(25)과, 깊이 방향의 앞쪽을 향한 바닥면(26)과, 깊이 방향의 안쪽을 향한 천장면(27)과, 세로 방향의 일측을 향한 종단면(28)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홈부(21)는 세로 방향의 일측 및 폭 방향의 내측이 개방되어 있다. 바닥면(26)에서부터 천장면(27)까지의 거리는 아마추어(15)의 두께보다 크다. 바닥면(26)과 천장면(27)으로 사이에 끼워진 영역 중, 세로 방향의 일단에서부터 종단면(28)에 이르기까지가 아마추어(15)의 삽입 자리가 된다. The groove 21 into which the armature 15 is inserted has a side 25 fac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 bottom surface 26 facing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a ceiling surface 27 facing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and , and i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cross-section 28 facing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groove portion 21 is open on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n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distance from the floor surface 26 to the ceiling surface 27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rmature 15. Among the areas sandwiched between the floor surface 26 and the ceiling surface 27, the area from the longitudinal end to the longitudinal surface 28 serves as the insertion site for the armature 15.

연결 스프링(16)이 삽입되는 홈부(22)는,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한 측면(31)과, 깊이 방향의 앞쪽을 향한 바닥면(32)과, 깊이 방향의 안쪽을 향한 천장면(33)과, 세로 방향의 일측을 향한 종단면(34)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홈부(22)는 세로 방향의 일측 및 폭 방향의 내측이 개방되어 있다. 바닥면(32)에서부터 천장면(33)까지의 거리는 연결 스프링(16)에 있어서의 깊이 방향의 높이보다 크다. 바닥면(32)과 천장면(33)으로 사이에 끼워진 영역 중, 세로 방향의 일단에서부터 종단면(34)에 이르기까지의 범위가 연결 스프링(16)의 삽입 자리가 된다. 홈부(22)의 입구 측에는, 세로 방향의 타측으로 향할수록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향하여 경사진 안내면(35)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32)에는, 폭 방향의 외측에,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볼록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6)는, 폭 방향의 내측에서 볼 때,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의 하저(下底)보다 앞쪽의 상저(上底)가 짧은 사다리꼴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저에 있어서의 양단의 내각이 서로 같아지는 등변사다리꼴이다. 볼록부(36)의 높이는 연결 스프링(16)의 두께 정도이다. The groove 22 into which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serted has a side 31 fac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 bottom surface 32 facing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and a ceiling surface 33 facing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cross-section 34 facing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groove portion 22 is open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distance from the floor surface 32 to the ceiling surface 33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n the depth direction. Among the areas sandwiched between the floor surface 32 and the ceiling surface 33, the range from one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longitudinal surface 34 serves as an insertion site for the connecting spring 16. On the entrance side of the groove 22, a guide surface 35 is formed that slopes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as it moves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32, a convex portion 36 is form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convex toward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nvex portion 36 is a trapezoid with an upper bottom in front shorter than the inner bottom in the depth direction, and more specifically, both ends of the lower bottom. It is an equilateral trapezoid in which the interior angles are equal. The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36 is approximately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spring 16.

도 5는 아마추어(15) 및 연결 스프링(16)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armature 15 and the connecting spring 16.

도면에서의 (a)는, 아마추어(15) 및 연결 스프링(16)을, 깊이 방향의 앞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의 (b)는, 아마추어(15) 및 연결 스프링(16)을, 세로 방향의 일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아마추어(15)에는, 폭 방향의 양단 측에서 세로 방향의 중앙이 되는 위치에, 폭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홈부(21)에 삽입할 수 있는 삽입편(41)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스프링(16)은, 폭 방향의 중앙이 가동 플런저(14)에 고정되고, 폭 방향의 선단 측이 중앙보다 단차를 통해 깊이 방향의 앞쪽이 되도록 세로 방향에서 볼 때 크랭크형으로 굽힘 가공되어 있다. 외부로부터의 하중이 없는 경우,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과 아마추어(15)의 이격 거리(D)는, 홈부(21)의 천장면(27)에서부터 홈부(22)의 바닥면(32)까지의 깊이 치수(L)보다 작다(도 6의 (a)).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은, 세로 방향으로 간극(42)(오목부)을 두고서 두 조각으로 나뉘어져 있다. 간극(42)은, 연결 스프링(16)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중심 위치에 있고, 깊이 방향에서 볼 때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열린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간극(42)의 세로 치수는 볼록부(36)에 있어서의 상저의 세로 치수보다 크다. (a) in the drawing shows the armature 15 and the connecting spring 16 as seen from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b) in the drawing shows the armature 15 and the connecting spring 16 as seen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rmature 15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iece 41 that protrud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21 at a position at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nnecting spring 16 is bent in a crank shape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is fixed to the movable plunger 14 and the tip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s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through a step beyond the center. . When there is no load from the outside,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and the armature 15 is from the ceiling surface 27 of the groove portion 21 to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groove portion 22. It is smaller than the depth dimension (L) up to ((a) in FIG. 6).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divided into two pieces with a gap 42 (recesse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gap 42 is located at the longitudinal center position of the connecting spring 16 and is formed in a U shape that open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depth direction.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gap 42 is larger than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convex portion 36.

도 6은 접점 지지부(12)와 가동 플런저(14)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and the movable plunger 14.

도면에서의 (a)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홈부(21) 및 홈부(22)를, 세로 방향의 일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홈부(21)에 아마추어(15)의 삽입편(41)을 삽입하며 또한 홈부(22)에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을 삽입하면,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안내면(35) 및 바닥면(32)에 의해서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밀려 올라가 휜다. 그 때문에, 연결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아마추어(15)가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끌어 당겨져, 홈부(21)의 바닥면(26)으로부터 이격한다. 이때, 아마추어(15)와 연결 스프링(16)으로 접점 지지부(12)에 있어서의 천장면(27)과 바닥면(32)의 사이를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이, 아마추어(15)가 홈부(21)의 천장면(27)을 압박함과 더불어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홈부(22)의 바닥면(32)을 압박함으로써, 접점 지지부(12)에 가동 플런저(14)가 연결된다. (a) in the drawing shows the groove portion 21 and groove portion 22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s seen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insertion piece 41 of the armature 15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1 and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2,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connected to the guide surface 35 and It is pushed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by the bottom surface 32 and bends. Therefore, the armature 15 is pulled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and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26 of the groove portion 21. At this time, the armature 15 and the connecting spring 16 are sandwiched between the ceiling surface 27 and the floor surface 32 of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In this way, the armature 15 presses the ceiling surface 27 of the groove 21 and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presses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groove 22, so that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 is connected to the movable plunger (14).

도면에서의 (b)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홈부(22)를 지나, 폭 방향 및 세로 방향을 따르는 단면을, 깊이 방향의 앞쪽에서 본 상태이다. 홈부(22)에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을 삽입할 때, 연결 스프링(16)은, 간극(42)을 두고서 갈라진 두 조각 중 세로 방향의 타측이, 볼록부(36)에 있어서의 사면(사다리꼴의 다리) 및 상면(상저)에 의해서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밀려 올라가 휜다. 그리고, 두 조각 중 세로 방향의 타측이 볼록부(36)의 상면을 타고 넘어, 볼록부(36)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중심 위치와 간극(42)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중심 위치가 일치하면, 형상이 회복된다. 이렇게 해서, 연결 스프링(16)에 있어서의 선단 측의 간극(42)이 홈부(22)의 볼록부(36)에 감합함으로써, 연결 스프링(16)은 세로 방향의 위치가 규제되고 있다. (b) in the drawing is a cross-section along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viewed from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groove portion 22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hen inserting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nto the groove portion 22, the oth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wo pieces divided by the gap 42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on the slope of the convex portion 36. It is pushed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by the (trapezoid legs) and upper surface (upper bottom) and bends. Then, if the other side of the two pieces in the vertical direction passes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36, and the vertical center position in the convex portion 36 coincides with the vertical center position in the gap 42, , the shape is restored. In this way, the gap 42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fits into the convex portion 36 of the groove portion 22, so tha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regulated.

《작용 효과》《Operation effect》

이어서, 제1 실시형태의 주요한 작용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main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explained.

전자 접촉기(11)는 접점 지지부(12)와 가동 플런저(14)와 연결 스프링(16)을 구비하고 있다. 접점 지지부(12)는 미리 정한 깊이 방향의 앞쪽에 마련되며, 홈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플런저(14)는 깊이 방향의 안쪽에 마련되며, 전자석부(13)에 의해서 구동된다. 연결 스프링(16)은 판스프링이며, 중앙이 가동 플런저(14)에 고정되고, 장방향의 선단 측이 단방향을 따라서 홈부(22)에 삽입된다. 홈부(22)에는 볼록부(36)가 형성되고,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에는 오목부가 되는 간극(42)이 형성되어, 홈부(22)에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삽입될 때에, 간극(42)과 볼록부(36)가 서로 감합한다. 이와 같이, 홈부(22)에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삽입될 때에, 간극(42)과 볼록부(36)가 서로 감합함으로써, 연결 스프링(16)에 있어서의 단방향의 삽입 위치가 규제된다. 따라서, 연결 스프링(16)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 has a contact support 12, a movable plunger 14, and a connecting spring 16.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is provided at the front in a predetermined depth direction, and a groove portion 22 is formed. The movable plunger 14 is provided inside in the depth direction and is driven by the electromagnet portion 13. The connecting spring 16 is a leaf spring, the center of which is fixed to the movable plunger 14, and the longitudinal tip sid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22 along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A convex portion 36 is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22, and a gap 42 that becomes a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so that when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22. , the gap 42 and the convex portion 36 fit together. In this way, when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22, the gap 42 and the convex portion 36 fit with each other, thereby regulating the unidirectional insertion position of the connecting spring 16. do. Therefor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spring 16 can be suppressed.

홈부(22)에는, 깊이 방향의 앞쪽을 향한 바닥면(32)에 볼록부(36)가 형성되고, 연결 스프링(16)은, 선단 측이 단방향으로 간극(42)을 두고서 두 조각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간극(42)에 의해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간극(42) 및 볼록부(36)가 확실하게 감합하여, 연결 스프링(16)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시에는, 간극(42) 및 볼록부(36)가 감합할 때의 손에의 반응(절도감)이 얻어짐으로써 삽입이 완료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In the groove portion 22, a convex portion 36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32 facing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spring 16 is divided into two pieces with a gap 42 unidirectionally on the distal end side. , a concave portion is formed by the gap 42. Accordingly, the gap 42 and the convex portion 36 are reliably fitted, and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spring 16 can be suppressed. Additionally, during assembly, a response (feeling of snap) to the hand is obtained when the gap 42 and the convex portion 36 fit together,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at insertion has been completed.

볼록부(36)는, 장방향의 내측에서 볼 때,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의 저변(하저)보다 앞쪽의 저변(상저)이 짧은 사다리꼴이며, 간극(42)이 감합된다. 이에 따라, 홈부(22)에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을 삽입할 때에, 연결 스프링(16)은, 간극(42)을 두고서 갈라진 두 조각 중 삽입 방향의 안쪽이 볼록부(36)를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다. When viewed from the in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vex portion 36 is a trapezoid with a front bottom (upper bottom) shorter than the inner bottom (lower bottom) in the depth direction, and a gap 42 is fitted. Accordingly, when inserting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nto the groove 22, the connecting spring 16 easily forms a convex portion 36 on the inside in the insertion direction among the two pieces separated by the gap 42. You can ride it easily.

홈부(22)의 입구 측에는, 삽입 방향을 따라서 안쪽으로 향할수록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향하여 경사진 안내면(35)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홈부(22)에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을 삽입할 때에,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안내면(35)에 의해서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서서히 들려 올려가,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을 홈부(22)로 유도할 수 있다. On the entrance side of the groove portion 22, a guide surface 35 is formed that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as it goes inwar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Accordingly, when inserting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nto the groove portion 22,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gradually lifted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by the guide surface 35, and the connecting spring 16 ) can be guided to the groove portion 22.

접점 지지부(12)에는, 홈부(22)보다 깊이 방향의 안쪽에 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전자 접촉기(11)는 아마추어(15)를 구비하고 있다. 아마추어(15)는 판형의 자성체이며, 연결 스프링(16)과 함께 가동 플런저(14)에 고정되고, 면방향을 따라서 홈부(2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아마추어(15)가 홈부(21)에 삽입되며 또한 연결 스프링(16)이 홈부(22)에 삽입됨으로써, 접점 지지부(12)에 대하여 가동 플런저(14)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I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a groove portion 21 is formed deeper than the groove portion 22 in the depth directio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 has an armature 15. The armature 15 is a plate-shaped magnetic material, is fixed to the movable plunger 14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spring 16, an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21 along the surface direction. In this way, the armature 15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1 and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2, so that the movable plunger 14 can be firmly connected to the contact support 12.

이어서, 비교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Next, a comparative example will be described.

비교예에서는, 홈부(22)의 볼록부(36)를 생략하며 또한 연결 스프링(16)에 있어서의 선단 측의 간극(42)을 생략하고 있으며, 그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공통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convex portion 36 of the groove portion 22 is omitted and the gap 42 on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omitted, and other than that,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Common parts are given the same symbol and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7은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ative example.

도면에서의 (a)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홈부(21) 및 홈부(22)를, 세로 방향의 일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의 (b)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홈부(22)를 지나, 폭 방향 및 세로 방향을 따르는 단면을, 깊이 방향의 앞쪽에서 본 상태이다. 홈부(22)에 연결 스프링(16)을 삽입할 뿐인 구조에서는, 진동이나 조립 불량으로 인해서 위치 어긋남이 생겨, 전자 접촉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었다. (a) in the drawing shows the groove portion 21 and groove portion 22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s seen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b) in the drawing is a cross-section along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viewed from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groove portion 22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spring 16 is simply inserted into the groove 22, positional misalignment may occur due to vibration or poor assembly, which may affect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변형예》 《Variation》

제1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간극(42)을 두고서 두 조각으로 나뉘어져 있는 구성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선단 측이 두 조각으로 나뉘어져 있지 않더라도 볼록부(36)에 감합하는 형상이라면, 깊이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이나 깊이 방향의 안쪽으로 향하여 오목하게 되는 바닥을 가진 오목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In the first embodimen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divided into two pieces with a gap 42 has been described, but the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even if the tip side is not divided into two pieces, as long as it has a shape that fits the convex portion 36, a hole penetrating in the depth direction or a concave portion with a bottom that is concave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may be formed.

제1 실시형태에서는 폭 방향에서 볼 때 사다리꼴이 되는 볼록부(36)를 형성하는 구성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연결 스프링(16)의 오목부에 감합하는 형상이라면, 절두체나 반구형으로 되는 볼록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for forming the convex portion 36 that is trapezoidal when viewed in the width direction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as long as it has a shape that fits into the concave part of the connecting spring 16, the convex par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frustum or a hemisphere.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구성》 "composition"

제2 실시형태는 홈부(22) 및 연결 스프링(16)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그 이외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공통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second embodiment shows a different aspect of the groove portion 22 and the connecting spring 16, and otherwis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so common par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given. Omit it.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홈부(21) 및 홈부(2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groove portion 21 and the groove portion 22 of the second embodiment.

도면에서의 (a)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홈부(21) 및 홈부(22)를, 세로 방향의 일측, 폭 방향의 타측 및 깊이 방향의 앞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의 (b)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홈부(22)를 지나, 폭 방향 및 세로 방향을 따르는 단면을, 깊이 방향의 앞쪽에서 본 상태이다. 홈부(22)의 입구 측에는, 세로 방향의 타측으로 향할수록 폭 방향의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진 안내면(51)이 형성되어 있다. 홈부(22)의 측면(31)에는,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폭 방향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오목부(52)가 형성되어 있다. (a) in the drawing shows the groove portion 21 and the groove portion 22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s seen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b) in the drawing is a cross-section along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viewed from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groove portion 22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entrance side of the groove 22, a guide surface 51 is formed that slop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s it moves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ide surface 31 of the groove portion 22 is concave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oncave portion 52 is formed when viewed in the width direction.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아마추어(15) 및 연결 스프링(16)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9 is a diagram showing the armature 15 and the connecting spring 16 of the second embodiment.

도면에서의 (a)는, 아마추어(15) 및 연결 스프링(16)을, 세로 방향의 일측, 폭 방향의 타측 및 깊이 방향의 앞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의 (b)는, 아마추어(15) 및 연결 스프링(16)을, 깊이 방향의 앞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연결 스프링(16)의 선단에는,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볼록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53)는 연결 스프링(16)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중심 위치에 있고, 볼록부(53)의 선단은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코너부가 모따기되어 있다. (a) in the drawing shows the armature 15 and the connecting spring 16 as seen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b) in the drawing shows the armature 15 and the connecting spring 16 as seen from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At the tip of the connecting spring 16, a convex portion 53 is formed that protrud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nvex portion 53 is located at the longitudinal center position of the connecting spring 16, and the tip of the convex portion 53 is chamfered at both corn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도면에서의 (a)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홈부(21) 및 홈부(22)를, 세로 방향의 일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의 (b)는, 오목부(52) 및 볼록부(53)를 지나, 폭 방향 및 깊이 방향을 따르는 단면을, 세로 방향의 일측에서 본 상태이다. 홈부(22)에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을 삽입하면, 연결 스프링(16)의 볼록부(53)가 안내면(51)에 접촉하며 또한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안내면(35)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안내면(51) 및 안내면(35)에 의해서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밀려 올라가 휜다. 볼록부(53)의 선단이 측면(31)에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바닥면(32)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볼록부(53)의 선단이 오목부(52)에 도달하면, 연결 스프링(16)에 있어서의 선단 측의 휘어짐이 경감되어, 바닥면(32)에 접촉한다. 이렇게 해서, 연결 스프링(16)에 있어서의 선단의 볼록부(53)가 홈부(22)의 오목부(52)에 감합함으로써, 연결 스프링(16)은 세로 방향의 위치가 규제되고 있다. (a) in the drawing shows the groove portion 21 and groove portion 22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s seen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b) in the drawing is a cross-section along the width and depth directions, passing through the concave portion 52 and the convex portion 53, as seen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22, the convex portion 53 of the connecting spring 16 contacts the guide surface 51, and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contacts the guide surface 35. contact. Accordingly,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pushed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by the guide surface 51 and the guide surface 35 and bends. When the tip of the convex portion 53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31, the tip of the connecting spring 16 does not contact the bottom surface 32. When the tip of the convex portion 53 reaches the concave portion 52, the bending of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reduced, and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32. In this way, the convex portion 53 at the tip of the connecting spring 16 fits into the concave portion 52 of the groove portion 22, so tha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regulated.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작용 효과》 《Operation effect》

이어서, 제2 실시형태의 주요한 작용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main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explained.

홈부(22)에는, 연결 스프링(16)의 선단에 대향하는 측면(31)에 오목부(52)가 형성되고, 연결 스프링(16)에는, 선단에 볼록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홈부(22)에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삽입될 때에, 오목부(52) 및 볼록부(53)가 감합하여, 연결 스프링(16)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시에는, 오목부(52) 및 볼록부(53)가 감합할 때의 손에의 반응(절도감)이 얻어짐으로써 삽입이 완료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In the groove portion 22, a concave portion 52 is formed on the side 31 opposite to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spring 16, and a convex portion 53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spring 16. Accordingly, when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2, the concave portion 52 and the convex portion 53 fit together, and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spring 16 can be suppressed. Additionally, during assembly, a response (feeling of snap) to the hand is obtained when the concave portion 52 and the convex portion 53 fit together,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at insertion has been completed.

다른 작용 효과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Other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구성》 "composition"

제3 실시형태는 홈부(22) 및 연결 스프링(16)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그 이외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공통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third embodiment shows a different aspect of the groove portion 22 and the connecting spring 16, and otherwis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so common par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given. Omit it.

도 11은 제3 실시형태의 홈부(21) 및 홈부(2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1 is a diagram showing the groove portion 21 and the groove portion 22 of the third embodiment.

도면에서의 (a)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홈부(21) 및 홈부(22)를, 세로 방향의 일측, 폭 방향의 타측 및 깊이 방향의 앞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의 (b)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홈부(22)를 지나, 폭 방향 및 세로 방향에 따른 단면을, 깊이 방향의 앞쪽에서 본 상태이다. 홈부(22)의 바닥면(32)에는, 깊이 방향의 안쪽으로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깊이 방향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오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a) in the drawing shows the groove portion 21 and the groove portion 22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s seen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b) in the drawing is a cross-section along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seen from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groove portion 22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groove 22 is concave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and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oncave portion 55 is formed when viewed in the depth direction.

도 12는 제3 실시형태의 아마추어(15) 및 연결 스프링(16)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2 is a diagram showing the armature 15 and the connecting spring 16 of the third embodiment.

도면에서의 (a)는, 아마추어(15) 및 연결 스프링(16)을, 세로 방향의 일측, 폭 방향의 타측 및 깊이 방향의 앞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의 (b)는, 연결 스프링(16)을, 세로 방향의 일측, 폭 방향의 타측 및 깊이 방향의 안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에는, 깊이 방향의 안쪽을 향한 면 중, 가장 깊이 방향의 안쪽으로 튀어나온 위치에, 깊이 방향의 안쪽으로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볼록부(56)가 더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56)는 연결 스프링(16)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중심 위치에 있다. 볼록부(56)는, 드로잉 가공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깊이 방향의 앞쪽을 향한 면에서는, 깊이 방향의 안쪽으로 향하여 움푹 들어가 있다.(a) in the drawing shows the armature 15 and the connecting spring 16 as seen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b) in the drawing shows the connection spring 16 as viewed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inside in the depth direction.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a convex portion 56 that is convex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is further formed at a position that protrudes most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among the surfaces facing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The convex portion 56 is located at the longitudinal center position of the connecting spring 16. The convex portion 56 is formed by drawing, and the surface facing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is recessed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third embodiment.

도면에서의 (a)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홈부(21) 및 홈부(22)를, 세로 방향의 일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의 (b)는, 오목부(55) 및 볼록부(56)를 지나, 폭 방향 및 깊이 방향을 따르는 단면을, 세로 방향의 일측에서 본 상태이다. 홈부(22)에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을 삽입하면, 연결 스프링(16)의 볼록부(56)가 안내면(35)에 접촉하고,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안내면(35)에 의해서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밀려 올라가 휜다. 볼록부(56)의 선단이 오목부(55)에 도달하면, 연결 스프링(16)에 있어서의 선단 측의 휘어짐이 경감되어, 바닥면(32)에 접촉한다. 이렇게 해서, 연결 스프링(16)에 있어서의 선단 측의 볼록부(56)가 홈부(22)의 오목부(55)에 감합함으로써, 연결 스프링(16)은 세로 방향의 위치가 규제되고 있다. (a) in the drawing shows the groove portion 21 and groove portion 22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s seen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b) in the drawing is a cross-section along the width and depth directions, passing through the concave portion 55 and the convex portion 56, as seen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22, the convex portion 56 of the connecting spring 16 contacts the guide surface 35, and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contacts the guide surface 35. It is pushed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and bends. When the tip of the convex portion 56 reaches the concave portion 55, the bending of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reduce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32. In this way, the convex portion 56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fits into the concave portion 55 of the groove portion 22, so tha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regulated.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작용 효과》 《Operation effect》

이어서, 제3 실시형태의 주요한 작용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main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explained.

홈부(22)에는, 깊이 방향의 앞쪽을 향한 바닥면(32)에 오목부(55)가 형성되고,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에는,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을 향한 면에 볼록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홈부(22)에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삽입될 때에, 오목부(55) 및 볼록부(56)가 감합하여, 연결 스프링(16)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시에는, 오목부(55) 및 볼록부(56)가 감합할 때의 손에의 반응(절도감)이 얻어짐으로써 삽입이 완료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In the groove portion 22, a concave portion 55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32 facing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an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a convex portion 56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 is formed. Accordingly, when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2, the concave portion 55 and the convex portion 56 fit together, and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spring 16 can be suppressed. Additionally, during assembly, a response (feeling of snap) to the hand is obtained when the concave portion 55 and the convex portion 56 fit together,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at insertion has been completed.

다른 작용 효과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Other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제4 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구성》 "composition"

제4 실시형태는 접점 지지부(12)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그 이외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공통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fourth embodiment shows another aspect of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and otherwis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refore, common par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14는 제4 실시형태의 접점 지지부(1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of the fourth embodiment.

도면에서의 (a)는, 접점 지지부(12)를, 세로 방향의 일측, 폭 방향의 타측 및 깊이 방향의 안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의 (b)는, 접점 지지부(12)를, 세로 방향의 타측, 폭 방향의 타측 및 깊이 방향의 안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접점 지지부(12)에는, 홈부(22)의 입구 측에, 깊이 방향의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한 간섭부(61)(연결 스프링용 간섭부)가 형성되어 있다. 간섭부(61)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홈부(22)에서부터 타측의 홈부(22)까지 연장되어 있다. (a) in the drawing shows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as viewed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inside in the depth direction. (b) in the drawing shows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inside in the depth direction. I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an interference portion 61 (interference portion for connection spring) is formed on the entrance side of the groove portion 22, protruding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The interference portion 61 extends from the groove portion 22 on one side to the groove portion 22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도 15는 제4 실시형태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ourth embodiment.

도면에서의 (a)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홈부(21) 및 홈부(22)를, 세로 방향의 일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의 (b)는, 접점 지지부(12)에 있어서, 간섭부(61)를 지나 세로 방향 및 깊이 방향을 따르는 A-A 단면을, 폭 방향의 내측에서 본 상태이다. 홈부(22)에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을 삽입하면,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안내면(35) 및 바닥면(32)에 의해서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밀려 올라가 휜다. 이때,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간섭부(61)에 의해서 눌려지기 때문에, 선단 측을 폭 방향의 외측으로 늘려 간섭부(61)를 빠져나갈 수 있게 변형한다. 그리고,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간섭부(61)를 넘으면,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서 선단 측을 폭 방향의 내측으로 되돌리도록 복원한다. 이때, 도면에서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은, 가장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튀어나온 부위가 간섭부(61)의 하단보다 깊이 방향의 앞쪽에 위치하게 된다. (a) in the drawing shows the groove portion 21 and groove portion 22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s seen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b) in the drawing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along the longitudinal and depth directions passing through the interference portion 61, viewed from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2,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pushed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by the guide surface 35 and the bottom surface 32 and bends. At this time, since the tip side of the connection spring 16 is pressed by the interference portion 61, the tip side is stretch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deformed so that it can pass through the interference portion 61. Then, when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exceeds the interference portion 61, the tip side is restored to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by its own elastic force. At this time, as shown in (b) in the drawing, the por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on spring 16 that protrudes most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lower end of the interference portion 61 in the depth direction.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작용 효과》 《Operation effect》

이어서, 제4 실시형태의 주요한 작용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main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explained.

전자 접촉기(11)는 접점 지지부(12)와 가동 플런저(14)와 연결 스프링(16)을 구비하고 있다. 접점 지지부(12)는 미리 정한 깊이 방향의 앞쪽에 마련되며, 홈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플런저(14)는 깊이 방향의 안쪽에 마련되며, 전자석부(13)에 의해서 구동된다. 연결 스프링(16)은 판스프링이며, 중앙이 가동 플런저(14)에 고정되고, 장방향의 선단 측이 단방향을 따라서 홈부(22)에 삽입된다. 접점 지지부(12)에는, 홈부(22)의 입구 측에 마련되어, 홈부(22)에 삽입된 연결 스프링(16)이 입구 측으로 변위할 때에, 연결 스프링(16)에 간섭하여 탈락을 저지하는 간섭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 스프링(16)이 홈부(22)의 입구 측으로 변위하더라도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간섭부(61)에 걸려, 홈부(22)로부터의 탈락을 저지할 수 있다. 즉, 연결 스프링(16)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 has a contact support 12, a movable plunger 14, and a connecting spring 16.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is provided at the front in a predetermined depth direction, and a groove portion 22 is formed. The movable plunger 14 is provided inside in the depth direction and is driven by the electromagnet portion 13. The connecting spring 16 is a leaf spring, the center of which is fixed to the movable plunger 14, and the longitudinal tip sid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22 along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is provided on the inlet side of the groove portion 22, and when the connecting spring 16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22 is displaced toward the inlet side, an interference portion interferes with the connecting spring 16 to prevent it from falling off. (61) is formed. Accordingly, even i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displaced toward the inlet side of the groove portion 22,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caught by the interference portion 61 and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groove portion 22. In other words,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spring 16 can be suppressed.

간섭부(61)는 깊이 방향의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해 있다.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은, 홈부(22)에 삽입될 때, 간섭부(61)를 빠져나갈 수 있게 변형하고, 간섭부(61)를 넘으면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서 복원된다. 이에 따라, 연결 스프링(16)을 홈부(22)에 삽입할 때에는, 간섭부(61)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홈부(22)에 삽입된 후에 연결 스프링(16)이 입구 측으로 변위하고자 할 때에는, 홈부(22)로부터의 탈락을 저지할 수 있다. The interference portion 61 protrudes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When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2, it deforms so as to pass through the interference portion 61, and when it passes the interference portion 61, it is restored by its own elastic force. Accordingly, when inserting the connection spring 16 into the groove 22, it can be allowed to pass through the interference portion 61, an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22, the connection spring 16 is not intended to be displaced toward the inlet side. When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falling out of the groove portion 22.

다른 작용 효과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Other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변형예》 《Variation》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를 베이스로 하여 간섭부(61)를 추가하는 구성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실시형태나 제3 실시형태를 베이스로 하여 간섭부(61)를 추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나아가서는, 제1 실시형태의 비교예를 베이스로 하여 간섭부(61)를 추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연결 스프링(16)의 위치 어긋남은, 간섭부(61)에 의해서 억제되기 때문에, 홈부(22)의 볼록부(36)나 연결 스프링(16)의 간극(42)은 생략하여도 좋다. In the fourth embodiment, a configuration for adding the interference portion 61 based on the firs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a configuration may be made in which the interference portion 61 is added based on the second or third embodiment. Furthermore, a configuration may be made in which the interference portion 61 is added based on the comparative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since th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suppressed by the interference portion 61, the convex portion 36 of the groove portion 22 or the gap 42 between the connecting spring 16 may be omitted.

《제5 실시형태》《Fifth Embodiment》

《구성》 "composition"

제5 실시형태는 접점 지지부(12)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그 이외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공통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fifth embodiment shows another aspect of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and otherwis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refore, common par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16은 제5 실시형태의 접점 지지부(1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of the fifth embodiment.

도면에서의 (a)는, 접점 지지부(12)를, 세로 방향의 일측, 폭 방향의 타측 및 깊이 방향의 안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의 (b)는, 접점 지지부(12)를, 세로 방향의 타측, 폭 방향의 타측 및 깊이 방향의 안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접점 지지부(12)에는, 홈부(21)의 입구 측에, 깊이 방향의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한 간섭부(62)(아마추어용 간섭부)가 형성되어 있다. 간섭부(62)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 및 타측 양쪽에 마련되어 있다. (a) in the drawing shows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as viewed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inside in the depth direction. (b) in the drawing shows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inside in the depth direction. I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an interference portion 62 (interference portion for armature) is formed on the entrance side of the groove portion 21, protruding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The interference portion 62 is provided on bo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도 17은 제5 실시형태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fth embodiment.

도면에서의 (a)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홈부(21) 및 홈부(22)를, 세로 방향의 일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의 (b)는, 접점 지지부(12)에 있어서, 세로 방향 및 깊이 방향을 따르는 B-B 단면을, 폭 방향의 내측에서 본 상태이다. 홈부(21)에 아마추어(15)의 삽입편(41)을 삽입하며 또한 홈부(22)에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을 삽입하면, 연결 스프링(16)의 선단 측이 안내면(35) 및 바닥면(32)에 의해서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밀려 올라가 휜다. 그 때문에, 연결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아마추어(15)가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끌어 당겨져, 홈부(21)의 바닥면(26)으로부터 이격한다. 이때, 도면에서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아마추어(15)는 깊이 방향의 앞쪽을 향한 상면이 간섭부(62)의 하단보다 깊이 방향의 앞쪽에 위치하게 된다. (a) in the drawing shows the groove portion 21 and groove portion 22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s seen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b) in the drawing is a B-B cross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and depth directions of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viewed from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insertion piece 41 of the armature 15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1 and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2,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connected to the guide surface 35 and It is pushed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by the bottom surface 32 and bends. Therefore, the armature 15 is pulled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and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26 of the groove portion 21. At this time, as shown in (b) in the dra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rmature 15 facing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lower end of the interference portion 62 in the depth direction.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작용 효과》 《Operation effect》

이어서, 제5 실시형태의 주요한 작용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main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fifth embodiment will be explained.

전자 접촉기(11)는 접점 지지부(12)와 가동 플런저(14)와 연결 스프링(16)을 구비하고 있다. 접점 지지부(12)는 미리 정한 깊이 방향의 앞쪽에 마련되며, 홈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플런저(14)는 깊이 방향의 안쪽에 마련되며, 전자석부(13)에 의해서 구동된다. 연결 스프링(16)은 판스프링이며, 중앙이 가동 플런저(14)에 고정되고, 장방향의 선단 측이 단방향을 따라서 홈부(22)에 삽입된다. 접점 지지부(12)에는, 홈부(22)보다 깊이 방향의 안쪽에 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전자 접촉기(11)는 아마추어(15)를 구비하고 있다. 아마추어(15)는 판형의 자성체이며, 연결 스프링(16)과 함께 가동 플런저(14)에 고정되고, 면방향을 따라서 홈부(21)에 삽입된다. 접점 지지부(12)에는, 홈부(21)의 입구 측에 마련되며, 홈부(21)에 삽입된 아마추어(15)가 입구 측으로 변위할 때에, 아마추어(15)에 간섭하여 탈락을 저지하는 간섭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아마추어(15)가 홈부(21)의 입구 측으로 변위하더라도 아마추어(15)가 간섭부(62)에 걸려, 홈부(21)로부터의 탈락을 저지할 수 있다. 즉, 아마추어(15)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스프링(16)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 has a contact support 12, a movable plunger 14, and a connecting spring 16.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is provided at the front in a predetermined depth direction, and a groove portion 22 is formed. The movable plunger 14 is provided inside in the depth direction and is driven by the electromagnet portion 13. The connecting spring 16 is a leaf spring, the center of which is fixed to the movable plunger 14, and the longitudinal tip sid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22 along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I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a groove portion 21 is formed deeper than the groove portion 22 in the depth directio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 has an armature 15. The armature 15 is a plate-shaped magnetic material, is fixed to the movable plunger 14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spring 16, an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21 along the surface directio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12 is provided on the inlet side of the groove portion 21, and when the armature 15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21 is displaced toward the inlet side, an interference portion ( 62) has been formed. Accordingly, even if the armature 15 is displaced toward the entrance of the groove 21, the armature 15 is caught by the interference portion 62 and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groove 21. That is, positional misalignment of the connection spring 16 can be suppressed indirectly through the armature 15.

간섭부(62)는 깊이 방향의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해 있다. 아마추어(15)는, 홈부(21)에 삽입될 때, 간섭부(62)를 넘으면 연결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서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변위한다. 이에 따라, 아마추어(15)를 홈부(21)에 삽입할 때에는, 간섭부(62)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홈부(21)에 삽입된 후에 아마추어(15)가 입구 측으로 변위하고자 할 때에는, 홈부(21)로부터의 탈락을 저지할 수 있다. The interference portion 62 protrudes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When the armature 15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1, if it exceeds the interference portion 62, it is displaced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spring 16. Accordingly, when the armature 15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1, it can be allowed to pass through the interference portion 62, and when the armature 15 is intended to be displaced toward the inlet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21, , it is possible to prevent falling off from the groove portion 21.

다른 작용 효과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Other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변형예》 《Variation》

제5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를 베이스로 하여 간섭부(62)를 추가하는 구성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실시형태나 제3 실시형태를 베이스로 하여 간섭부(62)를 추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나아가서는, 제1 실시형태의 비교예를 베이스로 하여 간섭부(62)를 추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연결 스프링(16)의 위치 어긋남은, 간섭부(62)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억제되기 때문에, 홈부(22)의 볼록부(36)나 연결 스프링(16)의 간극(42)은 생략하여도 좋다. In the fifth embodiment, a configuration for adding the interference portion 62 based on the firs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In other words, a configuration may be made in which the interference portion 62 is added based on the second or third embodiment. Furthermore, a configuration may be made in which the interference portion 62 is added based on the comparative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since the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spring 16 is indirectly suppressed by the interference portion 62, the convex portion 36 of the groove portion 22 or the gap 42 between the connecting spring 16 can be omitted. good night.

이상, 한정된 수의 실시형태를 참조하면서 설명했지만, 권리 범위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개시에 기초한 실시형태의 개변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limited number of embodiments,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to these, and modifications to the embodiment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disclosure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1: 전자 접촉기, 12: 접점 지지부, 13: 전자석부, 14: 가동 플런저, 15: 아마추어, 16: 연결 스프링, 21: 홈부, 22: 홈부, 25: 측면, 26: 바닥면, 27: 천장면, 28: 종단면, 31: 측면, 32: 바닥면, 33: 천장면, 34: 종단면, 35: 안내면, 36: 볼록부, 41: 삽입편, 42: 간극, 51: 안내면, 52: 오목부, 53: 볼록부, 55: 오목부, 56: 볼록부, 61: 간섭부, 62: 간섭부.11: electromagnetic contactor, 12: contact support, 13: electromagnet, 14: movable plunger, 15: armature, 16: connection spring, 21: groove, 22: groove, 25: side, 26: bottom, 27: ceiling. , 28: longitudinal section, 31: side surface, 32: bottom surface, 33: ceiling surface, 34: longitudinal section, 35: guide surface, 36: convex part, 41: insertion piece, 42: gap, 51: guide surface, 52: concave part, 53: convex portion, 55: concave portion, 56: convex portion, 61: interference portion, 62: interference portion.

Claims (11)

전자 접촉기로서,
미리 정한 깊이 방향의 앞쪽에 마련되며, 연결 스프링용 홈부가 형성된 접점 지지부와,
상기 깊이 방향의 안쪽에 마련되며, 전자석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가동 플런저와,
판스프링이며, 중앙이 상기 가동 플런저에 고정되고, 장방향의 선단 측이 단방향을 따라서 상기 연결 스프링용 홈부에 삽입되는 연결 스프링
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스프링용 홈부에는 오목부 및 볼록부 중 한쪽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스프링의 선단 측에는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 중 다른 쪽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스프링용 홈부에 상기 연결 스프링의 선단 측이 삽입될 때에,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가 서로 감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s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 contact support portion provided at the front in a predetermined depth direction and having a groove for a connection spring formed thereon,
a movable plunger provided inside the depth direction and driven by an electromagnet unit;
A connecting spring that is a leaf spring, the center of which is fixed to the movable plunger, and the long end side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 the connecting spring along a unidirectional direction.
Equipped with
One of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is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for the connection spring,
The other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wherein when the tip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 the connecting spring,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fit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프링용 홈부에는, 상기 깊이 방향의 앞쪽을 향한 면에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스프링은, 선단 측이 상기 단방향으로 간극을 두고서 두 조각으로 나뉘어져 있고, 상기 간극에 의해서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connection spring groove portion,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spring is divided into two pieces with a gap in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at the tip side, and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by the ga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장방향의 내측에서 볼 때, 상기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의 저변보다 앞쪽의 저변이 짧은 사다리꼴이며, 상기 간극이 감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ccording to paragraph 2,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wherein the convex portion is trapezoidal with a front base shorter than an inner base in the depth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in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gap is fi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프링용 홈부에는, 상기 연결 스프링의 선단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스프링에는, 선단에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groove for the connection spring,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tip of the connection spr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at the tip of the connecting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프링용 홈부에는, 상기 깊이 방향의 앞쪽을 향한 면에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스프링의 선단 측에는, 상기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을 향한 면에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groove for the connection spring,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wherein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on a front end side of the connecting spring on a surface facing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프링용 홈부의 입구 측에는, 삽입 방향을 따라서 안쪽으로 향할수록 상기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향하여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haracterized in that, on the entrance side of the groove for the connection spring, a guide surface is formed that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in the depth direction as it goes inwar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전자 접촉기로서,
미리 정한 깊이 방향의 앞쪽에 마련되며, 연결 스프링용 홈부가 형성된 접점 지지부와,
상기 깊이 방향의 안쪽에 마련되며, 전자석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가동 플런저와,
판스프링이며, 중앙이 상기 가동 플런저에 고정되고, 장방향의 선단 측이 단방향을 따라서 상기 연결 스프링용 홈부에 삽입되는 연결 스프링
을 구비하고,
상기 접점 지지부에는, 상기 연결 스프링용 홈부의 입구 측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 스프링용 홈부에 삽입된 상기 연결 스프링이 입구 측으로 변위할 때에, 상기 연결 스프링에 간섭하여 탈락을 저지하는 연결 스프링용 간섭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s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 contact support portion provided at the front in a predetermined depth direction and having a groove for a connection spring formed thereon,
a movable plunger provided inside the depth direction and driven by an electromagnet unit;
A connecting spring that is a leaf spring, the center of which is fixed to the movable plunger, and the long end side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 the connecting spring along a unidirectional direction.
Equipped with
I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an interference portion for the connection spring is formed, which is provided on the inlet side of the connection spring groove portion and interferes with the connection spring to prevent it from falling off when the connection spr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ring groove portion is displaced toward the inlet side.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프링용 간섭부는, 상기 깊이 방향의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연결 스프링의 선단 측은, 상기 연결 스프링용 홈부에 삽입될 때, 상기 연결 스프링용 간섭부를 빠져나갈 수 있게 변형하고, 상기 연결 스프링용 간섭부를 넘으면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In clause 7,
The interference portion for the connection spring protrudes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The tip side of the connection spring is de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connection spring interference portion when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ring groove, and is restored by its own elastic force when it exceeds the connection spring interference portion.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지지부에는, 상기 연결 스프링용 홈부보다 상기 깊이 방향의 안쪽에 아마추어용 홈부가 형성되고,
판형의 자성체이며, 상기 연결 스프링과 함께 상기 가동 플런저에 고정되고, 면방향을 따라서 상기 아마추어용 홈부에 삽입되는 아마추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a groove for an armature is formed inside the groove for the connection spring in the depth direction,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which is a plate-shaped magnetic material, is fixed to the movable plunger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spring, and has an armature inserted into the armature groove along a surface direction.
전자 접촉기로서,
미리 정한 깊이 방향의 앞쪽에 마련되며, 연결 스프링용 홈부가 형성된 접점 지지부와,
상기 깊이 방향의 안쪽에 마련되며, 전자석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가동 플런저와,
판스프링이며, 중앙이 상기 가동 플런저에 고정되고, 장방향의 선단 측이 단방향을 따라서 상기 연결 스프링용 홈부에 삽입되는 연결 스프링
을 구비하고,
상기 접점 지지부에는, 상기 연결 스프링용 홈부보다 상기 깊이 방향의 안쪽에 아마추어용 홈부가 형성되고,
판형의 자성체이며, 상기 연결 스프링과 함께 상기 가동 플런저에 고정되고, 면방향을 따라서 상기 아마추어용 홈부에 삽입되는 아마추어를 구비하고,
상기 접점 지지부에는, 상기 아마추어용 홈부의 입구 측에 마련되어, 상기 아마추어용 홈부에 삽입된 상기 아마추어가 입구 측으로 변위할 때에, 상기 아마추어에 간섭하여 탈락을 저지하는 아마추어용 간섭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s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 contact support portion provided at the front in a predetermined depth direction and having a groove for a connection spring formed thereon,
a movable plunger provided inside the depth direction and driven by an electromagnet unit;
A connecting spring that is a leaf spring, the center of which is fixed to the movable plunger, and the long end side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 the connecting spring along a unidirectional direction.
Equipped with
I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a groove for an armature is formed inside the groove for the connection spring in the depth direction,
It is a plate-shaped magnetic material, is fixed to the movable plunger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spring, and has an armature inserted into the armature groove along a surface directio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is provided on the entrance side of the armature groove, and when the armature inserted into the armature groove is displaced toward the entrance, an armature interference portion is formed to interfere with the armature and prevent it from falling off. electromagnetic contact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용 간섭부는 상기 깊이 방향의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아마추어는, 상기 아마추어용 홈부에 삽입할 때, 상기 아마추어용 간섭부를 넘으면 상기 연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ccording to clause 10,
The armature interference portion protrudes inward in the depth direction,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wherein, when inserted into the armature groove, the armature is displaced forward in the depth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spring when it exceeds the armature interference portion.
KR1020237044806A 2022-01-21 2022-11-21 electromagnetic contactor KR2024001182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07695 2022-01-21
JPJP-P-2022-007695 2022-01-21
PCT/JP2022/043018 WO2023139912A1 (en) 2022-01-21 2022-11-21 Electromagnetic conta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824A true KR20240011824A (en) 2024-01-26

Family

ID=8734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806A KR20240011824A (en) 2022-01-21 2022-11-21 electromagnetic contac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487853B2 (en)
KR (1) KR20240011824A (en)
CN (1) CN117616534A (en)
WO (1) WO2023139912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5508U (en) 1983-10-31 1985-05-27 富士ピー・エス・コンクリート株式会社 Thermal insulation for PC concrete floor slab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886Y2 (en) * 1988-03-14 1995-05-31 富士電機株式会社 Electromagnetic contactor
JP2012015088A (en) * 2010-06-01 2012-01-19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Electromagnetic contactor
KR101529588B1 (en) * 2013-10-18 2015-06-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agnetic Contactor
WO2015177962A1 (en) * 2014-05-20 2015-11-26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Electromagnetic contactor
CN105637610B (en) * 2014-09-25 2017-07-18 三菱电机株式会社 The assemble method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5508U (en) 1983-10-31 1985-05-27 富士ピー・エス・コンクリート株式会社 Thermal insulation for PC concrete floor slab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87853B2 (en) 2024-05-21
WO2023139912A1 (en) 2023-07-27
CN117616534A (en) 2024-02-27
JPWO2023139912A1 (en)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75268B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471859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383455B1 (en) Electric connector
WO2015194385A1 (en) Probe pin
US7094112B2 (en) Spring connector having elastic terminal
US8821174B2 (en) Floating connector small in size and improved in strength
CN107799932B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US20170011864A1 (en) Contact Bridge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Switching Element
JP5020155B2 (en) contact
KR20180025188A (en) Regulation metal fitting for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US9330873B2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JP7183014B2 (en) Electromagnetic re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magnetic relay
KR20240011824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JP5737375B2 (en) connector
KR101725380B1 (en)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20220399654A1 (en) Terminal
JP4476072B2 (en) Electromagnetic relay
CN107104303B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CN106816737B (en) Connecting terminal and connecting assembly
JP2002015806A (en) Connector
JP2017174595A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JP2011204550A (en) Operating device
KR102442194B1 (en) Clip connector
US20170093060A1 (en) Connector
DE3823852A1 (en) Re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