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006A - Development of untact busking program using the platform - Google Patents

Development of untact busking program using the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006A
KR20240011006A KR1020220088473A KR20220088473A KR20240011006A KR 20240011006 A KR20240011006 A KR 20240011006A KR 1020220088473 A KR1020220088473 A KR 1020220088473A KR 20220088473 A KR20220088473 A KR 20220088473A KR 20240011006 A KR20240011006 A KR 20240011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ound source
sound
product
exp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4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대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위드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위드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위드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088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006A/en
Publication of KR20240011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006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8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e.g. radio, light, infrar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터넷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강연이나 공연등에 동영상을 촬영하고 공연에서 공연되어진 악기로 연주된 원음을 개인의 취향이나 상품으로 편집사용시 본 플렛폼을 통하여 구매와 편집 그리고, 영상과 음원제공자와 영상은 영상대로 음원은 음원대로 필요로 하는 구매자를 본 고안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용자의 단말기의 표시화면상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장르별 구성된 영상정보와 함께 음원정보 출력창과 음원노출상품을 위한 상품 출력창을 동시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가 독립적으로 제작 재생되어진 영상음원재생을 편집 프로그램에서 자신이 필요한 영상노출상품과 음원노출상품을 용이하게 구매하여 편집 할 수 있도록 하며, 음원의 재생에 따른 시간과 음질 그리고, 악기별로 맞추어 노출상품저장부에 상품코드를 맞추어 직접 음원 정보를 편집하여 업로드 하는 방식과 자체 서버내에 있는 음원 편집 프로세싱의 툴을 이용하여 재생 및 다운로드 시간별 기본 음원 툴을 이용할 수 있다. 픽셀의 강약의 단위로 분리하여 선택된 음원으로 인지하여 최소의 픽셀손실을 기반으로 각각에 악기로 연주가 된 음원과 영상이미지를 프레임 단위로 뽑아내어 상품으로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고 자동으로 상품이미지에 저장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또한, 각각 분산처리 된 영상과 악기별 음원은 소비자가 원하는 스타일별로 배경영상을 바꾸어 사용할 수 있으며, 음원믹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합하고 구성하여 소비자가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과 음원을 편집 및 저장 그리고, 판매 연결하는 영상과 음원 믹싱 프로그램이다.This design uses the Internet and smart devices to shoot videos for lectures or performances, and when editing the original sound played by the instrument performed at the performance as a personal preference or product, purchase and edit through this platform, and cooperate with video and sound source providers. The platform of this invention provides services to buyers who need the video as the video and the sound source as the sound source, and provides video information organized by genre that runs independently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s terminal, as well as a sound source information output window and sound source exposure. By providing product output windows for products at the same time, users can easily purchase and edit the video exposure products and audio exposure products they need in an editing program to play video sound sources that have been produced and played independently, and playback of sound sources. A method of directly editing and uploading sound source information by matching the product code to the exposure product storage according to the time and sound quality and each instrument, and using a sound source editing processing tool within the own server to use basic sound source tools by playback and download time. You can. It is recognized as a selected sound source by separating it into units of pixel strength and weakness, and based on minimal pixel loss, the sound source and video image played by each instrument are extracted in frame units so that they can be purchased as a product and automatically saved in the product image. Configure it in this way. In addition, each distributedly processed video and sound source for each instrument can be used by changing the background video according to the style desired by the consumer. By combining and organizing the video and sound source for the consumer to use directly using a sound source mixing program, the video and sound source can be edited, stored, and used. , a video and sound mixing program that connects sales.

Description

플랫폼을 활용한 온택 버스킹 프로그램개발{Development of untact busking program using the platform}Development of untact busking program using the platform}

본 고안은 각각에 거리공연 및 스튜디오 공연장에서 라이브 콘서트, 온라인 팬미팅, 온라인 패션쇼, 종교행사, 강연회, 온라인 지역 축제공연을 포함하는 대면 및 비대면 공연 등으로 제작 되어지는 음원과 영상 등을 필요에 따라 편집하며 홍보성 이미지를 언어, 문장, 영상 등에 개인별 취향과 목적에 따라 편집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작에 관한 것이다. 이는 공연을 목적으로 하는 이들의 소리와 멜로디 그리고, 영상과 음악을 이용하여 각각의 제작되어진 개인별 공연컨텐츠를 각국가별 개인순위를 유저들 스스로 정하여 홍보되게 하는 컨텐츠 제공 기술이다. 영상과 소리로 만들어진 공연이미지를 소비자에게 보다 폭넓게 전달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필요한 분야에 원활하게 짧은 시간에 소비자 및 기업 등에 제공하기 위하여 플랫폼을 이용하여 음원과 영상의 각 분야별로 분산처리 된 소리, 멜로디, 그리고, 배경영상 및 음악의 음원을 소비자가 직접 악기별로 장르별로 선택할 수 있게 하였으며, 배경 및 영상 그리고, 음원의 내용을 선택하여 원하는 음원을 악기별로 지정하여 구매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또한, 선택한 영상과 음원을 소비자가 직접 선택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배경과 악기들로 공연을 조합하여 보다 폭넓은 분야에서 소비자에 취향이나 의도에 따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This design is designed to provide sound sources and videos produced throug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performances, including live concerts, online fan meetings, online fashion shows, religious events, lectures, and online local festival performances in street performances and studio performance halls. It is about creating a program that can edit and manage promotional images in language, sentences, video, etc. according to individual tastes and purposes. This is a content provision technology that uses the sounds, melodies, videos, and music of those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to promote each individual performance content produced by ranking each country individually. The purpose is to deliver performance images created with video and sound to consumers more broadly. In order to provide them to consumers and businesses in a smooth and short time in the areas where they are needed, the sound and melody are distributed and processed for each field of sound and video using the platform. , and it is a technology that allows consumers to directly select background video and music sound sources by instrument and genre, and allows consumers to purchase and use the desired sound source by selecting the content of the background, video, and sound source by instrument. In addition, it is a technology that allows consumers to directly select the selected video and sound source and combine the performance with the background and instruments desired by the consumer, allowing consumers to easily use it in a wider range of fields according to their taste or intention.

이는 분산처리로 재생을 목적으로 하는 공연의 영상과 음원을 개인별 목적의 음원으로 편집하여 판매를 목적으로 추출한 장르별 영상과 음원을 지정된 표시장치 영역에 분산하여 선택 배치시켜, 프로그램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추출한 음원 속에 판매 목적의 공간과의 연결 노드를 자동으로 생성 저장하며, 노출 되어진 이미지의 클릭을 통하여 구매가 가능한 시스템이며, 검색 메뉴에 의해서 노출된 상품을 선택시 저장 공간에서 인위적으로 국가별 장르별 개인순위가 매월 결정되게 된다. 플랫폼을 이용하는 각국가별 개인별로 선택된 이미지나 영상등을 이용하여 편집프로그램으로 이동되고 선택된 공연 영상과 음악에서 소비자가 각각의 악기로 연주된 음원을 조합시켜 오케스트라 같은 효과를 각각의 악기나 음으로 연주된 음원으로 편집 조합한 다양한 음악의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제공되는 음원에서 각각에 연주된 악기를 취향이나 필요 선택에 의해서 편집의 영역에서 삭제 후 자동보관 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영상과 이미지와 악기 트랙을 독립적으로 다운로드받아 재편집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의 구간을 지정하여 다운로드 받아 재편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웹사이트 내에서 편집프로그램을 돌려서 각각의 모아진 영상과 음원으로 새로운 음원을 편집해내고 미리 들어볼 수 있다. 선택 편집되어 재생 되어지는 배경이미지와 영상 그리고, 소리로 편집되어진 멜로디와 음악을 장르별로 찾아가는 기능을 겸비한 구매편집시스템의 구현이다.This is distributed processing, which edits the video and sound source of the performance intended for playback into sound source for individual purposes, distributes and selectively arranges the video and sound source by genre extracted for sale in a designated display area, and extracts the video and sound source for sale from the program. It is a system that automatically creates and stores a connection node with the space for sales purposes in the sound source, and allows purchases by clicking on the exposed image. When a product exposed through the search menu is selected, the storage space artificially creates a personal ranking by country and genre. is decided every month. Images or videos selected for each country using the platform are moved to an editing program, and from the selected performance video and music, consumers combine sound sources played with each instrument to create an orchestra-like effect played with each instrument or sound. You can create a variety of music effects by editing and combining sound sources, and each instrument played in the provided sound sources can be deleted from the editing area according to your taste or need and automatically stored, and each video, image, and instrument track can be saved. can be downloaded and re-edited independent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signate a section of the sound source, download it, and re-edit it, and you can run the editing program within the website to edit a new sound source with each collected video and sound source and listen to it in advance. It is an implementation of a purchase editing system that has the ability to search for background images and videos that are selected and edited and played, and melodies and music that have been edited with sound by genre.

구현되는 내용으로는 제공되는 영상 및 이미지 무료/유료, 고화질 영상 매칭 및 편집 프로그램, 제공되어지는 장르별 음원, 공연 편집시 사용되는 악기매칭, 공연시 사용되는 악기의 조합매칭프로그램 연결, 공연노출에 따른 홍보 및 순위결정The implemented content includes free/paid videos and images provided, high-definition video matching and editing programs, sound sources by genre provided, instrument matching used when editing performances, connection to a combination matching program for instruments used during performances, and depending on performance exposure. Promotion and ranking

순위별 광고노출도에 따른 가상화폐 지급프로그램Cryptocurrency payment program based on advertising exposure by ranking

본 발명은 인터넷 및 스마트기기를 통해 제작되어진 각각의 공연 및 버스킹 등의 영상과 악기로 연주되어진 음원을 소비자에게 서비스 제공함에 있어서, 이용자의 취향과 목적에 따른 환경에 맞는 편집장치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제공 되어지는 영상과 음원을 연결된 화면과 분할되어 제공하는 선택화면 속 영상음원상품들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화면상에서 선택한 음원을 들으면서 자신의 편집에 필요한 배경 및 영상과 음원 노출상품을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인터넷 및 스마트기기를 통한 구매시스템과 독립적으로 제작되어진 음원 속에 노출되어지는 악기별 음원 노출상품을 편집하여 조합한 음원과 각각의 악기로 연주된 상품으로 분리하여 구성하며, 선택 노출되어진 상품을 가상의 공간에서 플랫폼을 이용하여 각나라별 각장르별 순위를 제공하며, 이순위에 따른 산정이된 순위별 금액을 지급함이 원칙이 되게 그리고, 구매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한 컨텐츠 제공 편집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ervices to consumers with videos of performances and buskings produced through the Internet and smart devices and sound sources played with musical instruments, using an editing device suited to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purpose, By simultaneously providing independently produced and provided video and sound source products in a connected screen and a separate selection screen, consumers can listen to the selected sound source on the screen and experience the background, video, and sound source exposure products necessary for their own editing. It consists of a purchasing system through the Internet and smart devices that allows for easy purchasing, and separate sound sources into products played with each instrument by editing and combining sound source exposure products for each instrument that are exposed in independently produced sound sources. Content that includes the process of providing selectively exposed products using a platform in a virtual space to rank each genre in each country, paying the amount calculated according to this ranking as a rule, and enabling purchase. Editing technology provided.

본 발명은 종래에 많은 강연과 공연 및 버스킹 등에 연주자들의 음원과 배경으로 사용되어지는 영상을 필요로 하는 개인이나 광고 제작자, 전자기기 제조사, 드라마 제작자, 그 외에 영상과 음원을 필요로 하는 기업들이 인터넷 및 스마트기기를 통해 독립적인 음원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용자의 표시장치의 화면을 통해서 음원 재생출력영역과 음원을 하나에 상품화 시킨 구매 창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청취하면서 실시간으로 자신이 필요한 노출상품을 구매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여야하며, 음원 노출상품이 재생 중에만 시청과 청취하는 것이 아닌, 상품구매를 통하여 그 상품이 취향과 목적에 따라 편집되어 배경이미지와 영상과 음원이 종합적으로 구성 및 조합된 음원에서 오케스트라 효과를 낼 수 있는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의 악기로 연주가 된 음원을 추가 및 삭제시켜 음원을 구매한 소비자의 필요와 취향에 맞게 편집을 할 수 있도록 배경영상이나 이미지의 삽입과 음원 편집이 가능하도록 영상의 스트리밍 타임과 연주를 씬 단위로 연주자들에게 제공받은 음원들을 저장 하는 저장 편집프로그램을 포함하며, 독립적으로 연주 및 제작되어진 영상과 이미지와 음원 중 선택된 노출 상품만을 인터넷상에서 최대치를 설정하여 원하는 영상과 화질 그리고 음질 청취도로 잘라내어서 분리된 표시장치에 표시 저장하는 엣지 프로세싱의 플랫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용자가 노출 상품을 실시간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기술적인 목적이 있으며, 본인이 입력한 구매데이터를 플랫폼을 통하여 본인이 선택한 상품을 구매전 간단하게 음원 편집 및 재생 청취하는 기능적인 부분을 첨부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individuals who need sound sources and videos used as backgrounds for performers in many lectures, performances, and busking, as well as advertising producers, electronic device manufacturers, drama producers, and other companies that need video and sound sources. In providing an independent sound source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and smart devices, a sound source playback output area and a purchase window that commercializes the sound source are simultaneously provided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s display device, allowing the user to listen to the selected sound source in real time. A platform must be provided where people can purchase exposed products that they need. Rather than just watching and listening to sound source exposed products while they are playing, through product purchase, the products are edited according to taste and purpose and are displayed as background images, videos, and sound sources. Using an editing program that can create an orchestral effect from this comprehensively composed and combined sound source, the background video can be edited to suit the needs and tastes of the consumer who purchased the sound source by adding and deleting the sound source played by each instrument. It includes a storage editing program that saves the streaming time of the video and the sound sources provided by the performers by scene to allow insertion of images and sound source editing, and select exposure among independently performed and produced videos, images, and sound sources. It consists of an edge processing platform that sets the maximum limit for products on the Internet, cuts them to the desired video, picture quality, and sound quality and stores them on a separate display device, and includes a process that allows users to purchase exposed products in real time. The technical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that uses the purchase data entered by the user through the platform to add a functional part that allows users to simply edit and play music before purchasing the product of their choice.

상 및 음원 재생을 위하여 필요한 부분과 노출상품의 편집 및 재생 청취를 위하여 필요한 부분을 분산 처리가 가능하도록 저장하는 방법과 연결 주소 저장부분을 나누어 주어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이며, 시스템의 구성 영상 음원저장부(100), 노출상품 정보저장부(110), 고객 구매 플랫폼(120) 및 편집 영상과 음원저장부(100)에 있는 음원코드와 함께 저장되어지는 영상 음원 스트리밍 타임과 노출상품 정보저장부(110)의 음원코드를 연결하여 영상과 음원 스트리밍 시간 과 wav파일, mp3파일로 저장되며, 각각의 영상과 음원 노출상품의 연결 주소를 함께 저장하고 있는 통합저장부(130)를 갖는 노출상품 편집 구매시스템이다. It is a system that minimizes the system load by dividing the connection address storage section and a method of storing the parts necessary for playing images and sound sources and the parts needed for editing, playing, and listening to exposed products to enable distributed processing. The system consists of video and sound sources. Storage unit 100, exposure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customer purchase platform 120, and video sound source streaming time and exposure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ed with the sound source code in the edited video and sound source storage unit 100. By connecting the sound source code of (110), the video and sound source streaming time, wav file, and mp3 file are saved, and the exposure product editing has an integrated storage unit 130 that stores the connection address of each video and sound source exposure product together. It is a purchasing system.

영상 및 음원 재생 요구가 이용자 측면에서 인식되었을 때 시스템은 재생요구 음원별 코드번호를 찾아가 각 필요한 요소를 버퍼로 불러온 후, 요구되는 정보를 매칭 시켜주는 방식이며, 구매한 영상은 배경을 프레임단위로 변경 편집할 수 있으며, 구매한 음원은 각각의 악기로 연주된 형태의 음원을 편집하기 위하여 wav파일과 mp3파일로 저장하고, 저장되어진 음원을 취향이나 요구에 맞게 편집하기 위하여 시간을 설정하여 분과 초등으로 관리되도록 하고 시간 설정값으로 각각의 악기로 연주된 음원들을 나눈 후 한 개의 음원을 여러 장르와 영역의 픽셀의 값 차이로 노출상품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싱으로 상품을 최대 화질의 배경화면 영상과 음질의 음원으로 저장하는 편집 구매 시스템이다. When a request to play a video or sound source is recognized from the user's perspective, the system searches for the code number for each sound source requested for playback, loads each necessary element into a buffer, and then matches the requested information. For the purchased video, the background is frame-by-frame. You can change and edit purchased sound sources, and save them as wav files and mp3 files to edit sound sources played with each instrument, and set the time to edit the saved sound sources to suit your tastes or needs. It is managed in elementary order, and the sound sources played by each instrument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time setting value, and then the product is proces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an exposed product based on the difference in pixel values of various genres and areas. It is an edit purchase system that saves sound sources of high quality.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시간설정으로 저장이 된 영상과 원음속에는 배경영상과 원음 그리고 이미지등으로 구분이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여 인터넷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영상 및 음원등을 본인이 취향이나 목적에 따라 간편하게 변경 및 편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저장 제공하며, 이용자가 직접 연출한 공연이나 버스킹을 인터넷이나 휴대폰 단말기를 이용하여 표시화면상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영상 및 음악 정보 출력창과 음원 노출상품을 위한 영상 재생 및 음원상품 출력창을 동시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가 독립적으로 제작 및 재생 되어지는 영상 및 음원을 편집프로그램에서 자신이 필요한 배경의 이미지나 영상 및 음원노출상품을 개인 및 상품으로서 변경 및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 및 판매하고, 또한,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에서 용이하게 음원을 구매하여 구매자가 직접 원하는 악기로의 음원만을 편집 및 저장하여 구매자의 취향이나 용도에 따라서 구룹싸운드를 결성하는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영상과 음원을 제작하는 영상제작자나 음원제작자와의 직거래 형태를 본 영상 음원 편집 플랫폼 싸이트를 통하여 다양한 방법의 사업화 모델로 정착하게 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video and original sound stored at a single time setting are divided into background video, original sound, and im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deo and sound sources can be viewed according to one's taste or purpose using the Internet and smart devices. It provides storage services that can be easily changed and edited, and provides independently operated video and music information output windows and video for sound source exposure products on the display screen by using the Internet or mobile phone terminal for performances or buskings directly produced by the user. By providing playback and sound source product output windows at the same time, users can change, modify, and edit the background images or video and sound source exposure products they need as individuals and products in the editing program for independently produced and played video and sound sources. In addition, we provide and sell materials so that the buyer can easily purchase sound sources on the Internet using an editing program, edit and store only the sound sources for the instruments that the buyer wants, and form a group sound according to the buyer's taste or use. It will be established as a commercialization model in various ways through the video sound source editing platform site, which allows direct transactions with video producers or sound source producers who produce the video and sound source.

또한, 종래에 영상과 음원을 구매자가 사용하기 위해서는 음원을 찾기위해 장시간의 시간투자와 편집의 어려움 그리고, 음원 제작자와의 명도를 위한 법적절차 등에 어려움을 본 음원 편집 플랫폼을 통하여 필요로 하는 음원을 싸이트에서 청취하며 원하는 영상만으로도 선택 구매가 가능하며, 또는, 악기로 연주된 음원만을 단시간 선택 구매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ast, in order for buyers to use video and sound sources, they had to invest a long time to find the sound source, had difficulty editing it, and had difficulty in legal procedures for clearing the name with the sound source producer. You can listen to the site and select and purchase only the video you want, or you can select, purchase, edit, and use only the sound source played on the instrument for a short period of time.

도1은 본 개발에 따른 서비스 제공장치의 구성도이다.
도2은 본 개발에 따른 영상 및 음원저장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3은 본 개발에 따른 노출상품저장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4은 본 개발에 따른 고객정보저장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5는 인터넷 및 스마트기기의 화면 표시장치의 화면 구성도이다.
도6은 이용자의 시스템 이용시 단계별 진행 플로우이다.
도7은 이용자가 선택한 노출상품저장부의 구성도이다.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ice provision device according to this development.
Figure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video and sound storage unit according to this development.
Figure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xposed product storage unit according to this development.
Figure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ustomer information storage unit according to this development.
Figure 5 is a screen configuration diagram of a screen display device for the Internet and smart devices.
Figure 6 is a step-by-step progress flow when a user uses the system.
Figure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xposed product storage unit selected by the us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측면에서 개발의 첫 단계인 독립적으로 제작 및 연주가 삽입이된 영상과 이미지와 소리, 멜로디 등의 음악과 분할된 음원 노출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분할된 표시장치의 부분, 음원노출 상품을 선택된 음악에서 추출하기 위한 편집 프로그램 및 영상 추출을 할 수 있는 영상편집 연동 프로그램의 저장서버, 추출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플랫폼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 구매자가 직접 입력하여 자동보관 되는 영상은 영상대로 음원은 음원대로 재생 및 편집기능을 두어 음악 자체에 입체감과 생동감을 보기 1,2,3을 두어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과 음원을 각기다른 장소에서 시청 및 청취 했을때의 느낌을 대리충족 할 수 있도록 대리만족의 기능을 인터넷 및 스마트기기를 단말기 등에 포함시켜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st stage of development from the user's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vided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music such as video, image, sound, and melody with independently produced and performed music, and divided sound source exposure products. It consists of an editing program for extracting partial and sound exposure products from the selected music, a storage server for a video editing linkage program that can extract video, and a platform for selling the extracted products, which are entered directly by the user and automatically stored. The video is played according to the video and the sound source is played and edited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gi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liveliness to the music itself. By placing 1, 2, and 3, it represents the feeling of watching and listening to the video and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user in different place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function of vicarious satisfaction is comprised of the Internet and smart devices in terminals, etc.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단계인 영상 및 음원 노출상품 구매방법은 인터넷 및 스마트기기로 제공하는 인터넷 화면상에 배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영상노출상품과 음원노출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음원노출상품을 제공자와의 제작 동의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제공 되어지는 공연등의 영상과 음원은 분할된 표시장치에 의해서 다양한 방식의 쇼핑방식에 의해서 판매되어 진다. 제공 되어지는 영상과 음악에 있어서, 영상노출상품과 음원노출상품의 등록 방식이 판매자 우선으로 선정되어 직접 촬영되어지는 영상과 연주 및 제작된 음원을 판매하는 방식과 믹싱 프로세싱 하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체 제작된 영상과 음악을 바탕으로 각 픽셀의 음원을 활용하여 영상과 음원을 나누어 최상의 화질과 음질의 음원을 판매가 가능 하도록 창에 나열하는 방식으로 나누어지며, 나누어진 상품의 구매 방식은 구매플랫폼을 이용하여 구매하는 방식이다. In addition, the second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purchasing video and sound exposure products, is to provide video exposure products that can be used as backgrounds on Internet screens provided on the Internet and smart devices, and sound source exposure products that provide information on sound source exposure products, with the provider. It is made with the consent of the production, and the provided videos and sound sources of performances are sold through various shopping methods using divided display devices. In the video and music provided, the method of registering video exposure products and sound source exposure products is given priority by sellers, and sells directly filmed videos and sound sources performed and produced, and uses a server program for mixing and processing to provide self-registration. Based on the video and music produced, the sound source of each pixel is used to divide the video and sound source and list them in the window so that the sound source with the best picture and sound quality can be sold. The method of purchasing the divided products is through a purchase platform. This is how you purchase it.

구매 플랫폼을 통하여 제공되는 음원은 일반적인 스테레오로 믹싱된 버전과 각각의 악기를 멀티 트랙으로 받은 버젼을 포함한다. 멀티음원은 독립적으로 다운로드 할 수 있고 다운로드 한후 재편집하여 여러 컨텐츠에 새롭게 가공하여 쓸수잇으며, 웹사이트상에서 미리 여러트랙을 조합하여 새로운 구성을 만들어서 들어볼수있도록 편집 툴을 제공한다.이때 bpm(빠르기)과 pitch(음정) 이 다른곡들은 각각 타임스트레치 기능과 피치스트레치 기능을 이용하여 어떤 트랙이든 음정과 빠르기를 같게 조정하여 들어볼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다운로드 트랙을 결정해서 받게된다. 저장과 다운로드는 시간으로 관리규정되며 시간은 분과 초로 나누며,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의 음악의 총길이(몇분 몇초)로 기준을 정하여 관리된다. The sound source provided through the purchase platform includes a version mixed in general stereo and a multi-track version of each instrument. Multi-sound sources can be downloaded independently, and after downloading, they can be re-edited to be processed and used in various contents. An editing tool is provided on the website so that you can listen to a new composition by combining multiple tracks in advance. At this time, bpm (fast) is provided. ) and pitch. You can listen to songs with different pitches by adjusting the pitch and speed of any track to be the same using the time stretch and pitch stretch functions, respectively. Through this simulation, the download track is determined and received. Storage and downloading are managed by time, divided into minutes and seconds, and managed based on the total length of the music (minutes and seconds) at the start and end times.

영상은 화질별 프레임에 따라 관리 규정되며, 영상제작자의 동의하에 영상프레임별 이미지별로 추출할 수 있다. 공연영상에 본 영상의 사용으로 본촬영지와는 별개로 회외 촬영 등의 효과 및 공연배경으로 특수효과 등의 효과를 영상편집실을 거치지않고 영상제작자나 촬영자가 직접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다. Videos are managed and regulated according to frames for each quality, and can be extracted for each video frame and image with the consent of the video producer. By using this video in a performance video, the video producer or photographer can directly edit and use effects such as extraverted shooting and special effects as a background for the performance, independently of the main filming location, without going through a video editing room.

음질의 퀄리티는 보통 44.1khz /16bit stereo로 규정하여 관리하며, 음원을 작곡, 녹음, 편집, 편곡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여러가지 퀄리티로 바운스(추출) 할 수 있다.The sound quality is usually managed by specifying 44.1khz / 16bit stereo, and in programs that compose, record, edit, and arrange sound sources, it is possible to bounce (extract) to various qualities.

현행 음악작업을 하는 녹음실 에서는 보통 48 khz /24bit stereo로 기준을 삼고 있으며, 본 고안의 편집프로그램에서의 저장은 wav파일과 mp3파일의 두가지 형태로 녹음실의 퀄리티로 음원을 저장 및 다운로드 한다.Currently, recording studios that work on music usually use 48 kHz/24bit stereo as the standard, and the editing program of this design saves and downloads sound sources in two formats, wav file and mp3 file, with recording studio quality.

음원을 믹싱하기 이전의 멀티트랙(악기별 트랙)은 악기에 따라서 mono로 저장해 놓을 수 도 있다. (44.1khz/16bit mono)Multitracks (tracks for each instrument) before mixing sound sources may be saved as mono depending on the instrument. (44.1khz/16bit mono)

음원중에 베이스 라던가 드럼의 스네어 같은 음원은 스테레오가 필요 없으므로 데이터의 양을 줄이기 위해 모노로 저장한다.Sound sources such as bass or drum snare do not need stereo, so they are stored in mono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저장 및 다운로드 되는 음악파일 포맷 별 퀄리티 나열은 다음과 같다. The quality list for each music file format saved and downloaded is as follows.

wav파일wav file

rate(khz) -11.025/12.000/22.050/32.000/44.100/48.000/64.000/88.200/96.000~ rate(khz) -11.025/12.000/22.050/32.000/44.100/48.000/64.000/88.200/96.000~

resolution (bit) - 8bit/ 16bit/24bit resolution (bit) - 8bit/ 16bit/24bit

file type - stereo/mono file type - stereo/mono

mp3 파일mp3 file

bit rate stereo(kbps) -32/40/48/56/64/80/96/112/128/160/192/224/256/320 kbpsbit rate stereo(kbps) -32/40/48/56/64/80/96/112/128/160/192/224/256/320 kbps

bit rate mono(kbps) -32/40/48/56/64/80/96/112/128/160/192/224/256/320 kbpsbit rate mono(kbps) -32/40/48/56/64/80/96/112/128/160/192/224/256/320 kbps

플랫폼상에서의 편집일 경우 데이타의 양을 줄이기 위해 낮은 퀄리티나 모노로 전송되며 편집 툴에 전송하여 영상과 음원을 편집한다.In the case of editing on the platform, it is transmitted in low quality or mono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and is sent to an editing tool to edit the video and sound source.

도면 1에 의한 본 개발 시스템 단계적인 흐름은 영상저장부(100), 음원저장부(100), 노출상품 정보저장부(110), 고객 구매 플랫폼(120) 및 음원저장부(100)에 있는 음원스트림과 노출상품정보저장부(110)의 영상저장부와 음원코드를 연결하여 재생시간과 씬, 프레임단위로 음원의 노출상품의 연결 주소를 저장하고 있는 통합저장부(130)로 시스템 구성이 나누어 진다.The step-by-step flow of this development system according to Figure 1 is the video storage unit 100,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100, the exposed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the customer purchase platform 120, and the sound source in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100. The system configuration is divided into an integrated storage unit (130) that connects the video storage unit and sound source code of the stream and exposure product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and stores the connection address of the exposure product of the sound source in units of playback time, scene, and frame. Lose.

영상저장부와 음원 저장부(100)의 구성은 실시간 시청과 청취 스트리밍의 제공과 고객 요구형 서비스로 나누어지며, 음원코드번호(101)를 부여하여 코드화 저장을 하며, 영상과 음원에 대한 일반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 내용은 영상과 음악 및 제목(102), 관리번호(104), 재생시간,BPM(빠르기),KEY(음정)(103) ,제작일시(105), 제작 및 연주자(106), 청취 및 영상재생 프레임 횟차(107) 등을 저장한다. 노출상품저장부(110)는 분할된 화면에 영상코드와 음원의 코드(101)와 함께 시간단위로 저장하며, 음원코드 뒤에 부여되는 상품번호(111), 상품명(112), 상품설명(113), 판매자정보(114), 판매자연결노드(115)로 나누어 저장 한다. 주문이력(123), 결제정보(124), 구매정보(125)등을 저장한다. The composition of the video storage unit and the sound storage unit 100 is divided into providing real-time viewing and listening streaming and customer-requested services. The sound source code number (101) is assigned to code and store, and general data about the video and sound source is stored. Save it. The contents include video, music and title (102), management number (104), playback time, BPM (speed), KEY (pitch) (103), production date (105), production and performer (106), listening and video. Stores the number of playback frames (107), etc. The exposure product storage unit 110 stores the video code and the sound source code 101 on a divided screen in units of time, and the product number 111, product name 112, and product description 113 assigned after the sound source code. , Store it divided into seller information (114) and seller connection node (115). Stores order history (123), payment information (124), purchase information (125), etc.

서버 내에 구성되어지는 통합 저장부(130)는 음원 저장부와 고객정보 플랫폼(120)은 이용객 ID(121), 연락처(122), (100)와 노출상품 편집 저장부(110)의 연결정보를 저장하며, 음원별 검색의 단위로 사용되어지는 시간, 씬, 프레임 단위로 영상과 노출상품의 연결정보를 저장 및 편집하고 있다. The integrated storage unit 130, which is configured within the server, contains the music storage unit and the customer information platform 120, which stores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D 121, contact information 122, 100, and the exposure product editing storage unit 110. It stores and edits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video and exposure products in units of time, scene, and frame, which are used as a unit of search for each sound source.

영상과 음원 저장부(100)은 독립적인 믹싱 제작 방식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영상은 프레임별 빠르기컷과 음원은 각 장르별 음원을 코드화하여 저장하고, 그 코드를 기반으로 영상검색과 음원의 검색 및 상품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저장소의 최상의 화질과 음질과 프레임비트를 이용하여 음원 코드번호(101)를 부여한다. 저장되어지는 영상과 음원은 장르별 재생시간이 주요한 정보이므로, 영상과 음원의 제목(102)은 음원정보의 시간 정보(103)를 저장하고, 씬(sine)(104)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여 이용자가 재생 시간단위 검색과 악기별, 장르별 검색을 통하여, 통합저장부(130)의 주소를 찾아 상기 장르별로 저장되어진 음악을 분할되어진 독립된 화면에 선택 되어진 영상이미지와 장르별 악기별로 조합 재생이 되어진다.The video and sound storage unit 100 codes and stores video cuts by frame and sound sources for each genre using an independent mixing production method, and performs video search, sound source search, and product search based on the codes. Design to make this possible. A sound source code number (101) is assigned using the best picture and sound quality and frame bit of the storage. Since the playback time by genre is the main information for the saved video and sound source, the title 102 of the video and sound source stores the time information 103 of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scene 104 is stored so that the user can Through a playback time unit search and a search by instrument and genre, the address of the integrated storage unit 130 is found and the music stored by the genre is played in combination with the video image selected and the instrument by genre on a divided, independent screen.

도면5는 인터넷 연결용 단말기 및 스마트 기기의 표시화면에 분할 형태를 도식화한 도면으로 영상과는 별개로 음원 출력부분(200)과 특정 음원을 부각 시키기 위한 상품노출 광고창(210)으로 독립된 화면 표시 장치를 가지며, 노출 상품 광고창(210)에 나오는 상품을 클릭하여 독립된 화면의 선택 위시리스트(220)에 저장하여,영상재생중이나 음원 재생 중이나 음원 재생이 종료된 후 도면7의 위시리스트(220)에서 상품 클릭시 클릭하는 경우 노출상품 저장부(110)의 연결노드(115)을 통하여 판매하는 장소로 연결된다.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ivision form on the display screen of an Internet-connected terminal and smart device, and shows an independent screen with a sound source output part 200 and a product exposure advertisement window 210 to highlight a specific sound source separately from the video. It has a device, clicks on a product that appears in the exposed product advertisement window 210, and saves it in the selection wish list 220 on an independent screen, so that the wish list 220 in Figure 7 is displayed during video playback, sound source playback, or after sound source playback ends. When clicking on a product, the product is connected to a place of sale through the connection node 115 of the exposed product storage unit 110.

고객정보플랫폼(120)은 이용자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로그인하여 상품의 주문에 대한 정보가 저장 가능한 것으로 고객의 주문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며, 구매 한 물건에 대한 구매 성향의 분석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필드를 부여하여 구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customer information platform 120 allows users to log in through various paths to store customer order information, and provides a separate field to enable analysis of purchase tendencies for purchased products. Provided to store information about purchased products.

또한, 저장 되어진 고객의 구매성향은 이용자가 아이디로 접근하여 독립적으로 제작되어진 해당 음원의 재생이 유사물건에 대한 상품의 돌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ored customer's purchase tendency includes the user accessing the ID and playing the independently produced sound source so that the product can be displayed on similar products.

상기 노출상품저장부(110)의 노출상품은 영상과 음원 재생시에 노출된 에피소드 및 설명을 포함한다.The exposed products in the exposed product storage unit 110 include episodes and descriptions exposed when playing video and sound sources.

노출상품저장부(110)의 상품이미지(113)에 저장되어지는 상품이미지의 추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영상과 음원 저장부(100)의 상품코드(101)과 노출상품저장부(110)에 상품코드(101)를 맞추어 영상과 음원의 재생에 따른 시간과 씬, 프레임에 맞추어 직접 영상을 보며 음원 및 정보를 업로드 하는 방식과 자체 서버내에 있는 엣지 프로세싱의 툴을 이용하여 저장은 wav파일과 mp3파일의 두가지 형태로 저장 및 다운로드하며, 지정값을 준 기본 단위 음원을 편집툴을 이용하여 픽셀의 강약의 단위로 분리하여 선택한 음원의 지정 시간과 효과 및 음질을 최소의 픽셀 손실 만이 발생하도록 영상과 음원을 뽑아내어 상품으로 인지하여 자동으로 상품이미지(113)에 저장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Regarding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product image stored in the product image 113 of the exposed product storage unit 110, the product code 101 of the video and sound storage unit 100 and the product image stored in the exposed product storage unit 110 By matching the code (101), you can watch the video directly and upload the sound source an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 scene, and frame according to the playback of the video and sound source, and save it as a wav file and mp3 file using the edge processing tool in your own server. It is saved and downloaded in two forms, and the basic unit sound source with a specified value is separated into units of pixel strength and weakness using an editing tool, so that the specified time, effect, and sound quality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are stored in the video and sound source with minimal pixel loss. It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it is recognized as a product and automatically stored in the product image 113.

고객정보플랫폼(120)은 인터넷 및 스마트기기의 이용자의 정보 저장 및 이용 내역, 주문 내역 등의 기본 정보 저장 영역이며, 노출 상품에 대한 직접 구매 정보의 저장 부분이다. 해당 저장 데이터는 추후 로그인시 유사 물건 및 선호 영상과 음원의 타킷 광고에 활용하며, 고객서비스를 위한 중요 데이터이다.The customer information platform 120 is a storage area for basic information such as Internet and smart device users' information storage, usage history, and order details, and is a storage area for direct purchase information for exposed products. The saved data is used for targeted advertising of similar products and preferred videos and sound sources when you log in later, and is important data for customer service.

도6는 영상제작자 및 음원 제공자와 스마트기기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이용자 화면표시장치의 상호 관계이다.Figure 6 show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video producers and sound source providers, smart devices and Internet service providers, and user screen display devices.

상기 통합저장부(130)는 이용자의 스마트기기 및 인터넷 접속용 단말기와의 영상과 음원 전송용 접속처리를 수행하여 스마트기기 및 인터넷 접속용 단말기로 독립 제작 되어진 영상과 음원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과 음원저장부 (100)는 노출상품저장부(110)에서 스마트기기 및 인터넷 접속용 단말기로부터 재생 서비스가 요구되는 영상 추출정보와 음원 정보와 영상관련 음원의 내용과 관련된 노출상품정보를 상품코드를 통하여 검색하고, 검색 되어진 다수의 노출상품에 대한 상품 메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과 음원 저장부(100)는 영상과 음원의 내용과 노출상품 저장부(110)의 노출상품의 정보를 독립된 표시장치 영역(200,210)과 결합하여 스마트기기 및 인터넷 접속용 단말기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영상과 음원 저장부 (100)는 검색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스마트기기 및 인터넷 접속용 단말기로부터 소정 상품메뉴정보가 선택되면, 이를 근거로 노출상품저장부 (110)에서 해당 노출상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스마트기기 및 인터넷 접속용 단말기의 분할된 노출상품화면 표시부분 (210)으로 표시 출력하게 된다. The integrated storage unit 130 performs connection processing for video and sound transmission between the user's smart device and Internet access terminal and provides independently produced video and sound sources to the smart device and Internet access terminal. In other words, the image and sound source storage unit 100 extracts video extraction information and sound source information that require playback services from smart devices and Internet access terminals in the exposure product storage unit 110, and exposure products related to the contents of video-related sound sources. Information is searched through product codes, and product menu information is created for the multiple searched exposed products. In addition, the video and sound source storage unit 100 combines the contents of the video and sound sources and the exposed product information of the exposed product storage unit 110 with the independent display device areas 200 and 210 to provide them to smart devices and terminals for Internet access. do. Here, the video and sound storage unit 100 provides a search function and, when predetermined product menu information is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or Internet access terminal, the exposed product storage unit 11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exposed product based on this. Detailed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output on the divided exposure product screen display portion 210 of smart devices and Internet access terminals.

도면7의 화면표시 장치의 화면 내용은 위시리스트의 화면 구성으로, 영상 및 음원출력 분할영역(200)과 위시리스트(220)을 나타낸 것으로, 영상이 프레임별로 진행시 음원 청취 중 클릭한 위시상품이 저장되어 표시되어 진다.The screen content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in Figure 7 is a wish list screen configuration, showing the video and sound source output partition area 200 and the wish list 220. When the video progresses frame by frame, the wish product clicked while listening to the sound source is displayed. It is saved and displayed.

먼저, 독립된 영상과 음원 제공자(400)는 제작된 영상과 음원을 서비스 제공장치 서버(100,110,120,130)로 제공한다(ST1).First, the independent video and sound source provider 400 provides the produced video and sound source to the service provision device servers 100, 110, 120, and 130 (ST1).

또한, 영상과 음원의 장르 내에 있는 영상과 음원 제공자(300)라 하고, 노출상품관리자는 영상 편집 프로그램과 음원 편집 프로그램 제작 시 판매를 목적으로 제작되어진 영상 노출상품과 음원 노출상품정보를 통합저장소(130)을 포함하고 있는 서비스제공장치-서버(100,110,120,130) 제공한다(ST2).In addition, it is referred to as a video and sound source provider 300 within the genre of video and sound source, and the exposure product manager stores video exposure product and sound source exposure product information produced for sale when producing a video editing program and a sound source editing program in an integrated repository ( 130) and provides a service provision device-server (100, 110, 120, 130) (ST2).

그리고, 상기 서비스제공장치-서버(100,110,120,130)구성은 영상저장부와 음원저장부(100)에는 음원 제공자(2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음원정보와 노출상품제공사(300)로부터 제공된 영상 노출정보와 음원 노출상품정보를 노출상품저장부(110)로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server (100, 110, 120, 130) configuration includes video sound sour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ound source provider 200, image exposur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exposure product provider 300, and sound source exposure in the video storage unit and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100. Produc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exposed product storage unit 110.

상기한 상태에서, 분할된 표시장치(200,210,220)를 통해 서비스제공장치-서버(100,110,120,130)에 접속하고, 원하는 영상과 음원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영상정보와 음원정보를 포함하는 노출상품이 함께 제공된다.In the above state, whe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server (100, 110, 120, 130) is accessed through the divided display device (200, 210, 220) and the desired video and sound source are selected, an exposure product including the corresponding video information and sound source information is provided together. .

노출상품저장부(120)에서 해당 제작되어진 영상정보와 음원정보 및 이 음원내용에 관련된 영상 노출상품정보와 음원 노출상품정보를 영상 출력창과 음원 출력창(200)과 노출상품출력창(210)으로 출력되도록 분할된 음원 신호가 스마트기기 및 인터넷 접속용 단말기로 제공하게 된다.In the exposure product storage unit 120, the produced video information, sound source information, video exposure product information, and sound source exposure produ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nd source contents are sent to the video output window, the sound source output window 200, and the exposure product output window 210. The sound source signal divided to be output is provided to smart devices and terminals for Internet access.

즉, 사용자는 영상과 음원 노출상품 출력창(210)으로 출력되는 영상과 음원 노출상품 종류정보 중 자신이 원하는 영상과 음원 노출상품 항목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게 되고, 그 선택한 상품의 정보는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의 배경과 악기로 연주가 된 음원을 삭제 및 추가하여 고객정보저장부(120)에 저장되어지며, 구매자가 원할 경우 편집후 열어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위시리스트(220)을 구성한다.In other words, the user sequentially selects the video and sound source exposure product items he or she wants among the video and sound source exposure product type information output to the video and sound source exposure product output window 210, and th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product is stored in the editing program. The sound sources played with each background and instrument are deleted and added and stored in the customer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and a wish list 220 is created so that the buyer can open and check after editing if desired.

서비스제공장치-서버(100,110,120,130) 의 고객정보저장부 (120)는 스마트기기 및 인터넷 접속용 단말기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상품구매요구정보를 근거로 소정 결제요구정보를 스마트기기 및 인터넷 접속용 단말기로 제공한다.The customer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of the service provision device-server (100, 110, 120, 130) provides predetermined payment request information to the smart device and Internet access terminal based on product purchase reques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put means of the smart device and Internet access terminal. do.

이에 대해 사용자는 스마트기기 및 인터넷 접속용 단말기의 일련의 결제처리를 수행하게 된다.In response, the user performs a series of payment processing using smart devices and Internet access terminals.

100: 영상과 음원 저장부 110: 영상과 음원 노출상품 저장부
120:고객정보 저장부 101: 영상과 음원코드번호
111: 영상과 음원 상품분류 121: 이용자ID
102: 영상과 음원정보(제목) 112: 영상과 음원 상품명
122:연락처 103: 영상과 음원 연주 재생시간
113:영상과 음원 상품이미지 123: 주문이력
104: 영상과 음원 제작 스토리 114: 판매자정보
124:결재정보 105: 영상과 음원 제작일시
115:고객 연결노드 125:다운로드 정보관리
106: 영상과 음원 제작자정보 107: 다운로드 회차
200: 개별 영상과 음원을 위한 분할 영역
210: 영상과 음원 상품출력을 위한 분할영역
220: 위시리스트 / 찜 리스트 음원 출력을 위한 영역
300: 노출상품 판매자영역
400: 영상과 음원 편집 프로그램영역
100: Video and sound source storage unit 110: Video and sound source exposed product storage unit
120: Custom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Video and sound source code number
111: Video and sound product classification 121: User ID
102: Video and sound source information (title) 112: Video and sound source product name
122: Contact 103: Video and sound performance playback time
113: Video and sound product image 123: Order history
104: Video and sound production story 114: Seller information
124: Payment information 105: Video and sound production date and time
115: Customer connection node 125: Download information management
106: Video and sound producer information 107: Download times
200: Split area for individual video and sound sources
210: Split area for video and sound product output
220: Wishlist / Area for wishlist sound source output
300: Exposure product seller area
400: Video and sound editing program area

Claims (1)

터넷을 이용하여 영상과 음원을 연주하는 제공자와 배경으로 사용할 영상과 음원을 필요로 하는 구매자간에 플랫폼을 이용하여 로얄티 프리마켓으로 영상과 음원을 복잡한 법적인 절차없이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한 각각의 영상관련 음악을 악기로 제작되어진 음원을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소리의 질감, 프레임, 각각의 장르와 악기로 연주된 음원의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음원 편집 구매시스템이다.By using the platform between providers who play video and sound sources using the Internet and buyers who need video and sound sources to use as background, video and sound sources can be easily purchased without complicated legal procedures through the royalty free market, and each purchased It is a video sound source editing and purchase system that allows you to add and delete sound textures, frames, and sound sources played with each genre and instrument using an editing program for video-related music produced with musical instruments.
KR1020220088473A 2022-07-18 2022-07-18 Development of untact busking program using the platform KR202400110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473A KR20240011006A (en) 2022-07-18 2022-07-18 Development of untact busking program using the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473A KR20240011006A (en) 2022-07-18 2022-07-18 Development of untact busking program using the plat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006A true KR20240011006A (en) 2024-01-25

Family

ID=8972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473A KR20240011006A (en) 2022-07-18 2022-07-18 Development of untact busking program using the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00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10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und and music mixing on a network
US106220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custom track
US7707231B2 (en) Creating standardized playlists and maintaining coherency
JP5259212B2 (en) Music-linked advertisement distribu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88181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custom track
US20080098032A1 (en) Media instance content objects
US20110131493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distributing alternate versions of content
US11151190B2 (en) Generating playlists using calendar, location and event data
US200801475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ospective licensees and/or purchasers with access to licensable media content
US200301648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media content, stored in a computer-accessible storage medium, based on various user-specified parameters related to the content
US201203081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loading and downloading a video file and synchronizing videos with an audio file
US20120323716A1 (en) System for Production, Distribution and Promotion of Performance Recordings
US8751527B1 (e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KR2013002043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multimedia packag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package service
KR20240011006A (en) Development of untact busking program using the platform
JP2003255956A (en) Music providing method and its system, and music production system
Cremer et al. Machine-assisted editing of user-generated content
JP2002026845A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JP3621906B2 (en) Karaoke performance device for karaoke video work contests
KR1026089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l-time audio mixing service based on user information
KR20040012182A (en) An Internet Music Room Providing MultiEntertainment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1025348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udio mixing interface using a plurality of audio stems
Purbantina et al. Mapping Global Creative Value Chain for K-Pop Idol Industry: The Case of the BTS (2018-2020)
JP2003108157A (en) Method, video server and karaoke playing terminal for receiving and using contribution of karaoke video work on karaoke playing terminal
JP4444070B2 (en) A karaoke performance device that allows you to select and play a single karaoke video from a number of karaoke videos dedicated to mus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