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141A -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141A
KR20240010141A KR1020220087308A KR20220087308A KR20240010141A KR 20240010141 A KR20240010141 A KR 20240010141A KR 1020220087308 A KR1020220087308 A KR 1020220087308A KR 20220087308 A KR20220087308 A KR 20220087308A KR 20240010141 A KR20240010141 A KR 20240010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over
housing
protruding
rack ba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141A/en
Priority to EP23181827.9A priority patent/EP4306883A1/en
Publication of KR2024001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1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7Pressure equali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05Y2201/462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와 냉장고는, 랙 바의 일단에 연결되어 도어 어셈블리의 후면을 푸쉬하는 헤드 커버는, 도어 개방장치에 포함되어 헤드 커버 후면에 대응되도록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 리브에 의해서 수평이 정렬될 수 있기 때문에, 도어 개방장치와 별도의 구조물 간의 조립 단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수평 정렬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In the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cover tha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ack bar and pushes the rear of the door assembly is included in the door opening device and includes a pair of protrusions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rear of the head cover. Since horizontal alignment can be achieved by the protruding rib, horizontal misalignment that may occur due to assembly steps between the door opening device and a separate structur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명은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거나 도어의 개방을 보조하는 도어 개방장치를 가지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door open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ns the door or assists in opening the door.

냉장고는 냉매의 순환을 이용하여 생성한 냉기를 저장실에 공급하여, 다양한 종류의 보관 대상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저장실에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supplies cold air generated through the circulation of refrigerant to a storage room, thereby keeping various types of objects fresh in the storage room for a long period of time.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The refrigerator includes a cabinet forming a storage room and a door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room.

일반적으로 도어와 캐비닛 간의 대향면에는 저장실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켓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Generally, an additional gasket can be placed on the opposite side between the door and the cabinet to prevent cold air leakage from the storage room.

저장실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스켓은 압축 가능한 재질과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어를 캐비닛에 밀착시킬 수 있다.In order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storage room, the gasket is made of a compressible material and shape to allow the door to adhere closely to the cabinet.

가스켓의 밀착력은 저장실 내의 냉기 누설량과 반비례하기 때문에, 저장실의 냉기 누설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가스켓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Since the adhesion of the gaske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cold air leakage in the storage compartment, the adhesion of the gasket can be increased to reduce the amount of cold air leakage in the storage compartment.

하지만 가스켓의 밀착력이 높아지게 되면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데 큰 힘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However, if the gasket's adhesion increases, the user may need a lot of force to open the door.

따라서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를 냉장고에 도입하여, 저장실의 높은 기밀성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가 작은 힘만으로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Therefore, by introducing a door open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ns the door to the refrigerator, it is possible to assist the user in easily opening the door with a small amount of force while maintaining high airtightness of the storage room.

도어 개방장치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 및 복귀되도록 이동하는 랙 바의 전단에 연결된 헤드 커버가 도어의 후면을 푸쉬함으로써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The door opening device can open the door by pushing the rear of the door with a head cover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a rack bar that moves to protrude and retur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도어는 양 측 중에서 힌지부가 있는 일 측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개방되고, 도어의 후면을 푸쉬하는 헤드 커버는 도어의 후면에 접촉한 상태로 돌출되기 때문에, 헤드 커버는 랙 바의 일단에서 회전하면서 돌출되게 된다.The door is opened to rotate based on the side with the hinge part among the two sides, and the head cover that pushes the rear of the door protrudes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door, so the head cover rotates and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rack bar. It will happen.

도어가 개방된 이후에 랙 바가 복귀하는 경우 회전된 상태로 돌출된 헤드 커버도 랙 바와 함께 복귀하게 된다.When the rack bar returns after the door is opened, the head cover that protrudes in a rotated state also returns along with the rack bar.

이 경우 회전된 상태의 헤드 커버의 전면이 수평이 되도록 복귀시킬 필요가 있다.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return the front of the rotated head cover to be horizontal.

예를 들어, 도어 개방장치의 전면에는 랙 바의 돌출 및 복귀의 통로가 되는 돌출공을 포함하는 케이스 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 case cover including a protruding hole that serves as a passage for protruding and returning the rack bar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door opening device.

돌출공에 대응되는 케이스 커버에는 돌출공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받침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랙 바가 복귀하는 경우 헤드 커버의 테두리부가 받침턱에 걸림으로써 헤드 커버의 전면이 수평 정렬되도록 할 수도 있다.A support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protruding hole may be formed on the case cover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hole, and when the rack bar returns, the edge of the head cover is caught by the support so that the front of the head cover is aligned horizontally. .

하지만 케이스 커버는 도어 개방장치와 별개의 구조물이기 때문에, 케이스 커버와 도어 개방장치가 각각 냉장고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조립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because the case cover is a separate structure from the door opening device, assembly steps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case cover and the door opening device to the refrigerator.

이와 같이 케이스 커버와 도어 개방장치 사이에 조립 단차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설계시 의도한 대로 헤드 커버의 테두리부가 케이스 커버의 받침턱에 제대로 걸리지 못하게 될 수 있어, 헤드 커버의 전면이 수평 정렬되지 못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an assembly step occurs between the case cover and the door opening device, the edge of the head cover may not be properly caught on the support of the case cover as intended during design, and the front of the head cover may not be aligned horizontally. You can.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단차에 의한 헤드 커버의 수평 정렬 불량을 개선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opening device that can improve horizontal misalignment of the head cover due to assembly steps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랙 바의 복귀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의 센싱 편차를 보정하여 헤드 커버의 수평 정렬 불량을 개선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opening device that can improve horizontal misalignment of a head cover by correcting the sensing deviation of a hall sensor that detects the return position of a rack ba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 및 냉장고는, 헤드 커버 후면에 대응되도록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 door opening device and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re technically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air of protruding ribs that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rear of the head cover.

구체적으로는, 랙 바의 일단에 연결되어 도어 어셈블리의 후면을 푸쉬하는 헤드 커버는, 도어 개방장치에 포함되어 헤드 커버 후면에 대응되도록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 리브에 의해서 수평이 정렬될 수 있기 때문에, 도어 개방장치와 별도의 구조물 간의 조립 단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수평 정렬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ead cover,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ack bar and pushes the rear of the door assembly, is included in the door opening device and is horizontally aligned by a pair of protruding ribs that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rear of the head cover. Since this can be done, horizontal misalignment that may occur due to assembly steps between the door opening device and a separate structure can be improved.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어셈블리, 및 상기 도어 어셈블리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되도록 이동하는 랙 바, 상기 랙 바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후면을 푸쉬하는 헤드 커버, 및 상기 헤드 커버 후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 리브를 포함한다.The refrigerator includes a cabinet including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assembly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a door open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ns the door assembly, and the door open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and an inside of the housing. A rack bar that protrudes from the housing or moves to return to the housing, a head cov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ack bar to push the rear of the door assembly, and a head cover that protrudes forward of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rear of the head cover. It includes a pair of protruding rib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랙 바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이후에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은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에 접촉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ack bar returns to the housing after protruding from the housing,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may contact the pair of protruding rib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protruding ribs may have shape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protruding ribs may be disposed in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가장자리부와 접촉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protruding ribs may contact an edge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좌우 방향 중심선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protruding ribs may b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네 개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protruding ribs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four corners of the edge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상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 커버 후면과 접촉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protruding ribs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upper reg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and contact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좌우 방향 중심선을 지나도록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protruding ribs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area of the back of the head cover to pass the left and right center lines of the back of the head co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랙 바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랙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랙 커버의 전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rack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rack bar, and the pair of protruding ribs may be located at a front end of the rack co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protruding ribs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을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protruding ribs may be locat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facing the rear of the head co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하우징은, 하부와 일부 측면을 형성하는 하부 베이스, 및 상기 하부 베이스 상에 결합되어 상부와 일부 측면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을 마주하는 상기 상부 커버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ncludes a lower base forming a lower part and some side surfaces,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the lower base to form an upper part and some side surfaces, and the pair of protruding ribs. may be located on the front of the upper cover facing the rear of the head co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랙 바가 돌출되는 돌출공을 포함하는 케이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돌출공의 내측 둘레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받침턱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커버의 전면에는 상기 헤드 커버의 외측 둘레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받침 리브가 배치되고, 상기 랙 바가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받침 리브는 소정 거리 이격된 갭을 갖도록 상기 받침턱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case cover located in front of the door opening device and including a protruding hole through which the rack bar protrudes, and the case cover includes a support formed to protrude around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protruding hole. It includes a chin, and a support rib formed to protrude from an outer periphery of the head cover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head cover. When the rack bar returns to the housing, the support rib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support rib to have a gap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It can be located in the fro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랙 바가 돌출되는 돌출공을 포함하는 케이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이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헤드 커버의 전면은 상기 케이스 커버의 전면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cov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door opening device and includes a protruding hole through which the rack bar protrude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is in contact with the pair of protruding ribs. The front of the head cover may be maintained horizontally with the front of the case cover.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되도록 이동하는 랙 바, 상기 랙 바의 일측에 연결된 헤드 커버, 상기 랙 바의 타측에 위치하는 자석, 상기 하우징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홀 센서, 및 상기 헤드 커버 후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 리브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ncludes a housing, a rack bar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nd protruding from the housing or moving to return to the housing, and the rack. A head cov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r, a magnet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rack bar, a hall sensor located in the rear area of the housing to detect the magnet, and a head cover protruding forward of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rear of the head cover. Contains a pair of protruding rib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랙 바가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하여 상기 홀 센서가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헤드 커버 후면과 상기 돌출 리브가 설정된 이격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랙 바는 설정된 후퇴 거리만큼 더 복귀하도록 동작한 후에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ack bar returns to the housing and the Hall sensor detects the magnet, if the back of the head cover and the protruding ri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more than a set separation distance, the rack bar retracts by a set distance. The movement may be stopped after operating to return a further distan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랙 바가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하여 상기 홀 센서가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헤드 커버 후면과 상기 돌출 리브가 설정된 이격 거리 이하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랙 바는 추가적으로 더 복귀하도록 동작하되 상기 헤드 커버 후면과 상기 돌출 리브가 서로 접촉하는 경우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ack bar returns to the housing and the hall sensor detects the magnet, if the back of the head cover and the protruding ri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less than a set separation distance, the rack bar is further It operates to return, but the movement may be stopped when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and the protruding rib contact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랙 바가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하여 상기 홀 센서가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헤드 커버 후면과 상기 돌출 리브가 서로 접촉하면 상기 랙 바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ack bar returns to the housing and the Hall sensor detects the magnet, movement of the rack bar may be stopped when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and the protruding rib contact each other.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랙 바, 상기 랙 바의 일단에 연결된 헤드 커버, 및 상기 헤드 커버의 후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 리브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s accommodated inside a housing, and protrudes from the housing or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to return to the housing. It includes a rack bar, a head cov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ack bar, and a pair of protruding ribs that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back of the head cover.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 및 냉장고는, 헤드 커버가 복귀하는 경우 도어 개방장치에 포함되어 헤드 커버 후면에 대응되도록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 리브에 의해서 수평이 정렬될 수 있기 때문에, 도어 개방장치와 별도의 구조물 간의 조립 단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수평 정렬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Because the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horizontally aligned by a pair of protruding ribs included in the door opening device and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rear of the head cover when the head cover is returned, Horizontal misalignment that may occur due to assembly steps between the door opening device and a separate structure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 및 냉장고는, 조립 신뢰성을 확보하고 조립부 단차를 개선함으로써, 도어 개방장치의 헤드 커버의 수평 정렬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horizontal misalignment of the head cover of the door opening device by ensuring assembly reliability and improving the level difference in the assembly part.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 및 냉장고는, 홀 센서의 감지 이후에도 랙 바를 소정 거리 추가적으로 복귀시키는 동작 로직을 실행함으로써, 랙 바의 복귀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의 센싱 편차를 보정하여 헤드 커버의 수평 정렬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operation logic to additionally return the rack bar a predetermined distance even after detection by the hall sensor, thereby correcting the sensing deviation of the hall sensor that detects the return position of the rack bar to horizontally align the head cover. Defects can be improv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과 도 2는 각각 도어 어셈블리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의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어 어셈블리와 캐비닛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각각 랙 바의 이동에 따라서 도어 어셈블리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의 냉장고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캐비닛으로부터 도어 개방장치와 케이스 커버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어 개방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어 개방장치의 일부 내부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랙 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랙 커버의 돌출에 의해서 헤드 커버가 도어 어셈블리의 배면을 푸쉬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랙 커버의 복귀에 의해서 헤드 커버가 돌출 리브에 의해서 수평이 정렬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헤드 커버가 돌출 리브에 의해서 수평이 정렬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도어 개방 장치에 형성되는 돌출 리브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8은 홀 센서가 랙 커버의 자석을 감지하는 경우, 헤드 커버 후면과 돌출 리브가 설정된 이격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으면, 랙 바가 추가적으로 더 복귀하도록 동작하는 복귀 동작 로직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홀 센서가 랙 커버의 자석을 감지하는 경우, 헤드 커버 후면과 돌출 리브가 설정된 이격 거리 이하 이격되어 있으면, 랙 바가 추가적으로 더 복귀하도록 동작하는 복귀 동작 로직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홀 센서가 랙 커버의 자석을 감지하는 경우, 헤드 커버 후면과 돌출 리브가 서로 접촉하면, 랙 바가 추가적으로 더 복귀하지 않고 이동이 정지되는 것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1 and 2 are front perspective views of the refrigerator with the door assembly in a closed state and an open state, respectively.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ith the door assembly and cabinet separated.
Figures 4 and 5 are enlarged views showing the refrigerator with the door assembly in a closed state and an open stat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ack bar.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opening device and case cover separated from the cabinet.
Figure 7 shows a door opening device, and Figure 8 is a view showing some internal areas of the door opening device.
Figure 9 shows a rack cover.
Figure 10 shows the head cover pushing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ssembly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rack cover.
Figure 11 shows that the head cover is horizontally aligned by the protruding ribs due to the return of the rack cover.
Figure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head cover being horizontally aligned by the protruding ribs.
13 to 17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protruding ribs formed in a door opening device.
Figure 18 shows step-by-step the return operation logic that operates to additionally return the rack bar when the Hall sensor detects the magnet of the rack cover and the rear of the head cover and the protruding rib are separated by more than the set separation distance.
Figure 19 shows step by step the return operation logic that operates to additionally return the rack bar when the hall sensor detects the magnet of the rack cover and the rear of the head cover and the protruding rib are spaced less than the set separation distance.
Figure 20 shows step by step that when the Hall sensor detects the magnet of the rack cover and the back of the head cover and the protruding rib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ack bar does not return further and the movement is stopped.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top (or bottom)” of a component or the arrangement of any component on the “top (or bottom)” of a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component. Additionally,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include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dditionally, 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include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referred to as “A and/or B”, this means A, B or A and B,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when referred to as “C to D”, this mean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Unless absent, it means C or higher and D or low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 및 냉장고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oor assembly and a refrigerato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어 어셈블리(20)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30)와, 도어 개방장치(30)의 전면에 배치되는 케이스 커버(14)를 포함하는 냉장고(1)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1 to 6, a refrigerator (1) including a door opening device (30) that automatically opens the door assembly (20) and a case cover (14) disposed in front of the door opening device (30). Let me explain.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 공간인 저장실(13)을 포함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 어셈블리(20)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실(13)은 하나 이상의 선반(131) 및/또는 서랍(132)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1 may be formed by a cabinet 10 including a storage compartment 13 as a storage space inside, and a door assembly 20 that can open and close the open front of the cabinet 10. The storage compartment 13 may include one or more shelves 131 and/or drawers 132.

캐비닛(10)은 냉장고(1)의 외표면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11)와 내표면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binet 10 may include an outer case 11 that forms the oute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1 and an inner case 12 that forms the inner surface.

외부 케이스(11)와 내부 케이스(12)는 서로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격된 공간 내에는 단열재가 발포되어 빈 공간은 단열재로 채울 수 있다.The outer case 11 and the inner case 12 are formed to have a sp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insulating material is foamed in the spaced space, so that the empty space can be filled with the insulating material.

저장실(13)은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저장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storage compartment 13 may be box-shaped with an open front, and may be divided into one or more storage spaces.

캐비닛(10)의 상부 내측에는 도어 어셈블리(20)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30)가 배치될 수 있다.A door opening device 30 that automatically opens the door assembly 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10.

사용자가 도어 어셈블리(20)의 전면에 있는 버튼부(20b)를 터치하면 도어 개방장치(30)의 랙 바(37)가 냉장고(1)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도어 어셈블리(20)를 푸쉬(Push)함으로써,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냉장고(1)를 개방할 수 있다.When the user touches the button portion 20b on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20, the rack bar 37 of the door opening device 30 is pulled out to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1 and pushes the door assembly 20. ), the user can open the refrigerator 1 without exerting much force.

도어 어셈블리(20)는 터치 어셈블리(미도시), 터치 어셈블리(미도시)를 수용하는 바디 어셈블리(21), 및 바디 어셈블리(21)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패널 어셈블리(22)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22)와 바디 어셈블리(21)의 상단에 데코 커버(24)를 추가로 결합시킬 수 있다.The door assembly 20 may include a touch assembly (not shown), a body assembly 21 accommodating the touch assembly (not shown), and a panel assembly 22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ody assembly 21. You can. A decor cover 24 can be additionally coupled to the top of the panel assembly 22 and the body assembly 21.

터치 어셈블리(미도시)는 버튼부(20b)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assembly (not shown)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recognizes the touch of the button portion 20b.

캐비닛(10)에는 도어 개방장치(30)가 배치될 수 있다.A door opening device 30 may be disposed in the cabinet 10.

도어 개방장치(30)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캐비닛(10)의 중심부와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수용 케이스(301)에 수용될 수 있다.The door opening device 30 may be accommodated in a receiving case 301 located at the top of the cabinet 10 so as to overlap the center of the cabinet 10.

수용 케이스(301)는 전면이 개구된 형태를 갖고, 도어 개방장치(30)는 전면이 개구된 수용 케이스(30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receiving case 301 has an open front, and the door opening device 30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eceiving case 301 with an open front.

도어 개방장치(30)는 도어 어셈블리(20)의 상측 배면을 푸쉬하여 도어 어셈블리(20)를 개방하는 랙 바(37)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device 30 may include a rack bar 37 that opens the door assembly 20 by pushing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door assembly 20 .

도어 개방장치(30)의 전방에는 도어 개방장치(30)의 전면을 마감하는 케이스 커버(14)가 캐비닛(10)에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 case cover 14 that closes the front of the door opening device 3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door opening device 30 to be coupled to the cabinet 10.

케이스 커버(14)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고 설정할 수 있는 조작 패널(142)이 부착될 수 있다.An operation panel 142 that can display and set various information may be attached to the case cover 14.

케이스 커버(14)는 냉장고(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 마감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case cover 14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refrigerator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front finishing shape.

케이스 커버(14)는 랙 바(37)가 돌출되어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인 돌출공(141)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cover 14 may include a protruding hole 141, which is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which the rack bar 37 protrudes and passes.

따라서 도어 어셈블리(20)를 개방하는 경우 랙 바(37)는 돌출공(141)을 지나서 외부로 인출됨으로써 도어 어셈블리(20)를 푸쉬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oor assembly 20 is opened, the rack bar 37 passes through the protruding hole 141 and is drawn out, thereby pushing the door assembly 20.

돌출공(141)과 랙 바(37)는 도어 어셈블리(20)의 중심을 푸쉬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 어셈블리(20)의 개방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도 추가적인 설정의 변경 없이 도어 어셈블리(20)를 일정한 각도와 힘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protruding hole 141 and the rack bar 37 can be positioned to push the center of the door assembly 20, and accordingly, even whe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oor assembly 20 is changed, the door assembly 20 is maintained without additional setting changes. ) can be opened at a certain angle and force.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도어 개방장치(30)는 하부 베이스(311)와 상부 커버(312)로 구성되는 하우징(31) 내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랙 바(37)를 포함하고, 랙 바(37)는 랙 커버(352)에 의해서 보호될 수 있다.7 and 8, the door opening device 30 includes a rack bar 37 that is inserted or withdrawn into a housing 31 composed of a lower base 311 and an upper cover 312, and the rack bar (37) can be protected by a rack cover (352).

도어 개방장치(30)의 양측 전단에는 체결단(33)이 형성되어 수용 케이스(301)와 스크류 결합이 되어 고정될 수 있다.Fastening ends 33 are formed on both front ends of the door opening device 30 and can be screw-coupled with the receiving case 301 and fixed thereto.

도어 개방장치(3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제1 체결부(321)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후방을 향하는 한 쌍의 제2 체결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first fastening parts 32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oor opening device 30, and a pair of second fastening parts 322 facing rear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제1 체결부(321)에는 제1 쿠션 부재(321a)가 형성되고, 제2 체결부(322)에는 제2 쿠션 부재(322a)가 형성되어 도어 개방장치(30)의 충격을 완화하고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A first cushion member 321a is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part 321, and a second cushion member 322a is formed in the second fastening part 322 to alleviate the shock of the door opening device 30 and prevent vibration. can be reduced.

제2 쿠션 부재(322a)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 케이스(301)의 배면 양측에 위치하는 안착 기둥을 감싸도록 체결되어 도어 개방장치(3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econd cushion member 322a may be formed in a U-shape, and is fastened to surround the seating pillar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case 301 to determine the position when the door opening device 30 is coupled in a sliding manner. It can play a guiding role.

랙 바(37)의 일 측면에는 랙 기어(376)가 형성될 수 있다.A rack gear 376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rack bar 37.

랙 기어(376)는 내부의 노출공(351)을 통해서 노출되는 피니언 기어(391)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랙 바(37)가 전후 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rack gear 376 is installed to mesh with the pinion gear 391 exposed through the internal exposed hole 351, allowing the rack bar 37 to be drawn in or out in the front-back direction.

즉 랙 바(37)는 하우징(31)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하우징(31)으로 복귀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That is, the rack bar 37 can protrude from the housing 31 or move to return to the housing 31.

랙 바(37)의 선단에는 랙 헤드(37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 rack head 371 may be rotatably installed at the tip of the rack bar 37.

랙 헤드(371)는 랙 바(37)의 선단에서 회전핀(372)을 기준으로, 어느 한 측으로 회전될 수 있는 제1회전 범위와 다른 한 측으로 회전될 수 있는 제2회전 범위를 포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rack head 371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rack bar 37 to include a first rotation range that can be rotated to one side and a second rotation range that can be rotated to the other side, based on the rotation pin 372. It can be.

제1회전 범위는 좌 열림 구조의 도어가 회전될 때 움직이는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제2회전 범위는 우 열림구조의 도어가 회전될 때 움직이는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The first rotation range may be set as the range in which the left-opening structure door moves when it is rotated. The second rotation range can be set as the range in which the right-opening structure door moves when it is rotated.

예컨대, 랙 헤드(371)는 어느 한 측으로 제1회전 범위만큼 회전되고, 다른 한 측으로는 제2회전 범위만큼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 범위와 제2회전 범위는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rack head 371 may be configured to rotate by a first rotation range on one side and by a second rotation range on the other side.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on range and the second rotation range may be set to be the same or may be set differently.

랙 바(37)의 전단에는 헤드 커버(374)가 부착되어 도어 어셈블리(20)의 후면을 푸쉬하는 경우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A head cover 374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rack bar 37 to alleviate impact when the rear of the door assembly 20 is pushed.

헤드 커버(374)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헤드 커버(374)의 손상시 헤드 커버(374)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고, 랙 헤드(371)의 잦은 회전이 이루어지더라도 찢어지거나 깨지는 등의 손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The head cover 374 may be made of urethane material. Due to this structure, when the head cover 374 is damaged, only the head cover 374 can be replaced, and damage such as tearing or breaking can be prevented even if the rack head 371 is rotated frequently.

헤드 커버(374)의 전단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받침 리브(375)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 리브(375)는 헤드 커버(374)의 둘레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support rib 375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end of the head cover 374. The support rib 375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head cover 374.

랙 바(37) 상부의 개방된 상면에는 랙 커버(352)가 배치되어, 하우징(31)에 수용된 랙 바(37)가 의도치 않게 상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방된 상면이 폐쇄될 수 있다.A rack cover 352 is disposed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rack bar 37, so that the open upper surface can be closed to prevent the rack bar 37 accommodated in the housing 31 from being unintentionally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

랙 커버(352)는 도어 개방장치(3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랙 바(37)를 덮는 긴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rack cover 352 may have the shape of a long bar extending lo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door opening device 30 and covering the rack bar 37.

본 발명에서 도어 개방장치(30)의 전후 방향은 랙 바(37)가 돌출 및 복귀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도어 개방장치(30)의 좌우 방향은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door opening device 30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ck bar 37 protrudes and returns, and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door opening device 30 refers to a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front-back direction.

따라서 랙 커버(352)는 전후 방향의 폭은 길고, 좌우 방향의 폭은 짧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the rack cover 352 may have a long width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and a short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랙 커버(352)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3521)이 형성될 수 있다.One or more fastening holes 3521 may be formed in the rack cover 352.

하우징(31)에는 랙 커버(352)의 체결홀(3521)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35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홀(3521)과 체결공(354)이 정렬되도록 위치된 후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3522)에 의해서 랙 커버(352)는 하우징(3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In the housing 31, fastening holes 354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3521 of the rack cover 352, and after the fastening holes 3521 and fastening holes 354 are aligned, The rack cover 35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housing 31 by a fastening member 3522 such as a screw.

헤드 커버(374)의 후면과 마주하는 랙 커버(352)의 전단부에는 한 쌍의 돌출 리브(353)가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protruding ribs 353 may be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rack cover 352 facing the rear of the head cover 374.

랙 커버(352)가 하우징(31)에 결합된 상태에서 한 쌍의 돌출 리브(353)는 하우징(31)의 전면 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When the rack cover 352 is coupled to the housing 31,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may protrude outward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31.

따라서 한 쌍의 돌출 리브(353)는 헤드 커버(374)의 후면에 대응되도록 하우징(31)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 리브(353)의 전단면(3531)이 헤드 커버(374)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31 to correspond to the rear of the head cover 374, and the front end surface 3531 of the protruding ribs 353 faces the rear of the head cover 374. can be contacted.

한 쌍의 돌출 리브(353) 사이에는 랙 바(37)가 복귀한 경우 랙 헤드(371)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인 수용부(3532)가 형성될 수 있다.An accommodating portion 3532, which is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rack head 371 can be accommodated when the rack bar 37 is returned, may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케이스 커버(14)의 돌출공(141)을 통과하여 도어 어셈블리(20)의 후면을 푸쉬하는 랙 바(37)의 돌출 이동과, 랙 바(37)가 복귀하는 경우 수평이 정렬되는 랙 바(37)의 복귀 이동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10 and 11, the protruding movement of the rack bar 37 passing through the protruding hole 141 of the case cover 14 and pushing the rear of the door assembly 20, and the return of the rack bar 37 In this case, the return movement of the horizontally aligned rack bar 37 will be further explained.

예를 들어, 도어 개방장치(30)에 도어 개방에 대한 동작 신호가 인가되면, 동작 신호를 받은 도어 개방장치(30)는 랙 바(37)의 헤드 커버(374)는 도어 어셈블리(20)를 푸쉬하도록 하여 도어 어셈블리(20)가 일정 각도까지 열리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operation signal for door opening is applied to the door opening device 30, the door opening device 30 that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opens the head cover 374 of the rack bar 37 and the door assembly 20. By pushing, the door assembly 20 can be opened to a certain angle.

이 경우 헤드 커버(374)는 제1 회전 범위 또는 제2 회전 범위로 회전된 상태에서 도어 어셈블리(20)의 후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head cover 374 is rotated to the first or second rotation range and protrudes forward while contacting the rear of the door assembly 20.

한편, 도어 개방장치(30)에 복귀 신호가 인가되면, 도어 개방장치(30)는 랙 바(37)를 복귀시키게 된다.Meanwhile, when a return signal is applied to the door opening device 30, the door opening device 30 returns the rack bar 37.

이와 같이 랙 바(37)가 하우징(31)으로부터 돌출된 이후에 다시 하우징(31)으로 복귀하는 경우, 헤드 커버 후면(3741)은 한 쌍의 돌출 리브(353)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rack bar 37 returns to the housing 31 after protruding from the housing 31, the rear side of the head cover 3741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구체적으로, 랙 바(37)가 복귀하는 경우 헤드 커버 후면(3741)은 한 쌍의 돌출 리브(353) 중 하나에 먼저 접촉을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rack bar 37 returns, the rear side of the head cover 3741 may first contact one of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그리고 하나의 돌출 리브(353)와 접촉된 상태에서 랙 바(37)가 더 복귀되는 경우 회전핀(372)을 중심으로 헤드 커버(374)는 수평이 되도록 회전하게 되고, 나머지 돌출 리브(353)도 헤드 커버 후면(3741)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And when the rack bar 37 is further returned while in contact with one protruding rib 353, the head cover 374 rotates to be horizontal around the rotation pin 372, and the remaining protruding ribs 353 It may also come into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한 쌍의 돌출 리브(353)가 헤드 커버 후면(3741)과 접촉하는 경우 랙 바(37)는 복귀 동작을 멈추게 될 수 있다.When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contact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the rack bar 37 may stop returning.

한 쌍의 돌출 리브(353)가 각각 헤드 커버 후면(3741)의 테두리부를 후면에서 가압하도록 지지하기 때문에, 헤드 커버(374)의 전면은 수평으로 정렬될 수 있다.Since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each support the edge portion of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to be pressed from the back, the front of the head cover 374 can be aligned horizontally.

헤드 커버(374)가 수평으로 정렬되는 경우, 케이스 커버(14)의 전면과도 수평을 유지하게 되어 외관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When the head cover 374 is aligned horizontally, it remains level with the front of the case cover 14,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quality.

한편, 케이스 커버(14)는 돌출공(141)의 내측 둘레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받침턱(141a)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se cover 14 may include a support 141a formed to protrude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rotruding hole 141.

랙 바(37)가 하우징(31)으로 복귀하는 경우, 헤드 커버 후면(3741)이 한 쌍의 돌출 리브(353)에 접촉하게 되면 받침 리브(375)는 소정 거리 이격된 갭(g)을 갖도록 받침턱(141a)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rack bar 37 returns to the housing 31, when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contacts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the support ribs 375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have a gap g. It may be located ahead of the support 141a.

헤드 커버(374)가 수평으로 정렬되는 경우, 냉장고(1)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케이스 커버(14)의 받침턱(141a)은 받침 리브(375)의 후면과 중첩되도록 더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When the head cover 374 is aligned horizontally,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1, the support 141a of the case cover 14 may protrude further inward to overlap the rear of the support rib 375. .

따라서 받침턱(141a)은 외부에서 돌출공(141)을 통해서 내부가 인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refore, the support 141a can serve to prevent the inside from being recogniz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protruding hole 141.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30)는 헤드 커버(374)가 복귀하는 경우 헤드 커버 후면(3741)에 대응되도록 하우징(31)의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 리브(353)에 의해서 수평이 정렬될 수 있기 때문에, 도어 개방장치(30)와 별도의 구조물 간의 조립 단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수평 정렬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oor opening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by a pair of protruding ribs 353 that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31 to correspond to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when the head cover 374 returns. Since the horizontal can be aligned, horizontal misalignment that may occur due to assembly steps between the door opening device 30 and a separate structure can be improved.

예를 들어, 헤드 커버(374)의 받침 리브(375)가 케이스 커버(14)의 받침턱(141a)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정렬이 되는 경우에는, 도어 개방장치(30)와 별도의 구조물로 조립되는 케이스 커버(14)간의 조립 단차가 발생하게 되면 헤드 커버(374)의 수평 정렬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support rib 375 of the head cover 374 is aligned by being caught on the support 141a of the case cover 14, it is assembled as a separate structure from the door opening device 30. If an assembly step between the case covers 14 occurs, horizontal misalignment of the head cover 374 may occur.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헤드 커버(374)의 수평 정렬을 위한 구조물을 도어 개방장치(30)와 별도의 구조물이 아닌 도어 개방장치(30)에 형성함으로써, 케이스 커버(14)의 받침턱(141a)과 같은 별도의 수평 정렬 구조물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조립 단차를 감소시켜 수평 정렬 불량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for horizontal alignment of the head cover 374 is formed in the door opening device 30 rather than a separate structure from the door opening device 30, so that the support 141a of the case cover 14 Horizontal misalignment can be greatly improved by reducing assembly steps that may occur due to separate horizontal alignment structures such as .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받침 리브(375)가 소정 거리 이격된 갭(g)을 갖도록 받침턱(141a)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명 및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rib 375 is described and shown to be located ahead of the support ledge 141a so as to have a gap g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돌출 리브(353)에 의한 수평 정렬과 받침턱(141a)에 의한 수평 정렬이 함께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받침 리브(375)의 후면은 받침턱(141a)에 걸리게 되어 갭(g)이 없는 상태로 서로 접촉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horizontal alignment by the protruding rib 353 and horizontal alignment by the support ledge 141a are performed together, the rear of the support rib 375 is caught by the support ledge 141a, so that there is no gap g. They can also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다만 이 경우에도 돌출 리브(353)에 의한 수평 정렬이 주된 것이며 받침턱(141a)에 의한 수평 정렬은 보조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horizontal alignment by the protruding rib 353 is the main thing, and the horizontal alignment by the support 141a should be understood as auxiliary.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7을 더 참조하여, 한 쌍의 돌출 리브(353)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12 to 17.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한 쌍의 돌출 리브(353)는 헤드 커버(374)의 후면의 상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헤드 커버(374)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2 and 13 ,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region of the rear of the head cover 374 and contact the rear of the head cover 374.

한 쌍의 돌출 리브(353)는 헤드 커버(374)의 후면의 상하 방향 중심선(c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may have shape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line c2 of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374.

또한 한 쌍의 돌출 리브(353)는 헤드 커버(374)의 후면의 상하 방향 중심선(c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may have shape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line c2 of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374.

한 쌍의 돌출 리브(353)는 헤드 커버(374)의 후면을 지지하여 수평으로 정렬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한 쌍의 돌출 리브(353)가 헤드 커버(374)의 후면에 가하는 가압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must support the rear of the head cover 374 and be aligned horizontally, the pressing force applied by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to the rear of the head cover 374 is substantially the same. It is desirable that it works effectively.

따라서 한 쌍의 돌출 리브(353)가 상하 방향 중심선(c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가압력이 양 측에서 최대한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밀한 수평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are arranged in position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line (c2), or have shape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so that the pressing force can be applied as evenly as possible on both sides, thereby achieving more precise horizontal alignment. We can make this happen.

한 쌍의 돌출 리브(353)는 헤드 커버(374)의 후면의 가장자리부와 접촉할 수 있다.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may contact the edge of the rear side of the head cover 374.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헤드 커버(374)의 후면의 가장자리부는 최외각부를 한정하도록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rear edge of the head cover 374 a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meant to limit the outermost portion.

예를 들어, 헤드 커버(374)의 후면의 가장자리부는 최외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최외각부로부터 소정 거리 내측에 위치하는 둘레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rear edge of the head cover 374 may mean including the outermost part, or may mean a peripheral par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most part.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한 쌍의 돌출 리브(353)는 헤드 커버(374)의 후면의 좌우 방향 중심선(c1)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line c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rear of the head cover 374.

예를 들어, 랙 커버(352)의 전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 리브(353)는 헤드 커버(374)의 후면의 상부 영역에서부터 좌우 방향 중심선(c1)을 지나도록 하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For example, a pair of protruding ribs 353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rack cover 352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area of the rear of the head cover 374 to pass through the center line c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 리브(353)는 헤드 커버(374)의 후면을 지지하여 수평으로 정렬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한 쌍의 돌출 리브(353)가 헤드 커버(374)의 후면에 가하는 가압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previously,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must support the rear of the head cover 374 and be aligned horizontally, so the pressure exerted by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on the rear of the head cover 374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force acts substantially the same.

따라서 한 쌍의 돌출 리브(353)가 헤드 커버(374)의 후면의 좌우 방향 중심선(c1)을 지나도록 배치됨으로써, 헤드 커버(374)의 후면의 상부 영역이나 하부 영역과 같이 일부 영역에 치우치도록 가압하는 것 대비하여 중심 영역을 가압하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수평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are arranged to pass the left and right center line c1 of the rear of the head cover 374, so that they are biased in some areas, such as the upper or lower areas of the rear of the head cover 374. Since the central area is pressed compared to the central area, more precise horizontal alignment can be achieved.

한 쌍의 돌출 리브(353)는 랙 커버(352) 이외에 도어 개방장치(30)의 다른 구조물에도 형성될 수 있다.The pair of protruding ribs 353 may be formed on other structures of the door opening device 30 in addition to the rack cover 352.

예컨대, 한 쌍의 돌출 리브(353)는 하우징(31)의 전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pair of protruding ribs 353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housing 31.

예를 들어,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면 한 쌍의 돌출 리브(353)는 하부 베이스(311) 상에 결합되어 상부와 일부 측면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312)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6 and 17 , a pair of protruding ribs 353 may be formed on the upper cover 312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base 311 to form the upper portion and some side surfaces.

도 16을 참조하면, 헤드 커버(374)의 후면의 상부 영역에 대응되도록 랙 커버(352)의 전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 리브)에 추가적으로, 상부 커버(312)의 전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 리브(353)가 더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in addition to a pair of protruding ribs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rack cover 352 to correspond to the upper area of the rear of the head cover 374, a pair of protruding ribs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upper cover 312. A pair of protruding ribs 353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이에 따라 돌출 리브(353)들은 헤드 커버(374)의 후면의 가장자리부의 네 개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truding ribs 353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our corners of the rear edge of the head cover 374.

도 17을 참조하면, 상부 커버(312)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 리브(353)는 헤드 커버(374)의 후면의 좌우 방향 중심선(c1)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7, a pair of protruding ribs 353 formed on the upper cover 312 may be disposed to pass the left and right center line c1 of the rear of the head cover 374.

이 경우 랙 커버(352)에는 별도의 돌출 리브(353)가 없이 상부 커버(312)에 형성된 돌출 리브(353)로 헤드 커버(374)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ack cover 352 does not have a separate protruding rib 353, and the level of the head cover 374 can be adjusted with the protruding rib 353 formed on the upper cover 312.

이하에서는 도어가 개방된 이후에, 헤드 커버(374)의 수평이 정렬되는 로직에 대해서 각 상황에 따라 나누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Below, the logic by which the head cover 374 is aligned horizontally after the door is open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each situation.

도어 개방장치(30)의 랙 바(37)의 일측에는 헤드 커버(374)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자석(377)이 연결되어 위치할 수 있다.A head cover 374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ack bar 37 of the door opening device 30, and a magnet 377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도어 개방장치(30)의 하우징(31)의 후방 영역에는 자석(377)을 감지하는 홀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A Hall sensor that detects the magnet 377 may be located in the rear area of the housing 31 of the door opening device 30.

홀 센서(38)는 랙 바(37)의 타측에 연결된 자석(377)을 감지하여 랙 바(37)의 후퇴 이동을 제한하여 랙 바(37)의 과도한 인입을 방지할 수 있다.The Hall sensor 38 can prevent excessive retraction of the rack bar 37 by detecting the magnet 377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ack bar 37 and limiting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rack bar 37.

예를 들어, 홀 센서(38)가 위치한 곳에서는 센서 라인(381)이 형성되고 자석(377)이 센서 라인(381)에 감지되는 경우 랙 바(37)를 강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의 구동이 정지되어 랙 바(37)의 후퇴가 정지될 수 있다.For example, a sensor line 381 is formed where the Hall sensor 38 is located, and when the magnet 377 is detected in the sensor line 381, a driving source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o forcibly move the rack bar 37 The driving of may be stopped and the retraction of the rack bar 37 may be stopped.

하지만 자석(377) 자체가 갖는 가우스 값 편차가 있을 수 있는 바, 이러한 가우스 값 편차가 있는 경우 자석(377)이 홀 센서(38)에 의해서 인식되는 위치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the magnet 377 itself may have a Gaussian value deviation, and if such a Gaussian value deviation exists, an error in the position of the magnet 377 recognized by the Hall sensor 38 may occur.

이렇게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랙 바(37)의 자석(377)이 센서 라인(381)에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미리 랙 바(37)의 이동이 정지되거나, 랙 바(37)의 자석(377)이 센서 라인(381)을 통과하는 경우에도 랙 바(37)의 이동이 정지되지 않을 수도 있다.If an error occurs in this way, even if the magnet 377 of the rack bar 37 is not detected by the sensor line 381, the movement of the rack bar 37 is stopped in advance, or the magnet 377 of the rack bar 37 is Even when ) passes through the sensor line 381, the movement of the rack bar 37 may not stop.

도 18은 홀 센서(38)가 랙 커버(352)의 자석(377)을 감지하는 경우, 헤드 커버 후면(3741)과 돌출 리브(353)가 설정된 이격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으면, 랙 바(37)가 추가적으로 더 복귀하도록 동작하는 복귀 동작 로직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18 shows that when the Hall sensor 38 detects the magnet 377 of the rack cover 352, if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and the protruding rib 353 are separated by more than a set separation distance, the rack bar 37 The return operation logic that operates to further return is shown step by step.

구체적으로, (a)와 같이 홀 센서(38)가 랙 커버(352)의 자석(377)을 감지하는 경우, 헤드 커버 후면(3741)과 돌출 리브(353)가 설정된 이격 거리(d1) 이상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설정된 이격 거리(d1)는 1mm 이상의 거리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when the Hall sensor 38 detects the magnet 377 of the rack cover 352 as shown in (a),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and the protruding rib 35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more than the set separation distance d1. It may be. In this case, the set separation distance (d1) may be set to a distance of 1 mm or more, but is not limited to this.

다음으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후퇴 거리만큼 랙 바(37)가 더 복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된 후퇴 거리는 1mm로 설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as shown in (b), the rack bar 37 may be operated to return further by the set retreat distance. In this case, the set retreat distance can be set to 1mm, but is not limited to this.

다음으로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후퇴 거리만큼 더 복귀한 랙 바(37)는 이동을 멈추고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c), the rack bar 37, which has returned further by the set retreat distance, stops moving and remains in a standby state.

이 경우 헤드 커버 후면(3741)과 돌출 리브(353)는 접촉하지 않고 소정의 이격 거리(d2)를 갖도록 이격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and the protruding rib 353 may be spaced apart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d2 without contacting each other.

이러한 동작 로직은 자석(377)의 큰 가우스 값 편차로 인하여 발생할 수도 있는 경우에 대비한 것으로, 기계 장치의 안전율을 고려하여 과도한 랙 바(37)의 복귀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operation logic is prepared for cases that may occur due to a large Gaussian value deviation of the magnet 377, and is intended to prevent excessive return operation of the rack bar 37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factor of the mechanical device.

도 19는 홀 센서(38)가 랙 커버의 자석을 감지하는 경우, 헤드 커버 후면(3741)과 돌출 리브(353)가 설정된 이격 거리 이하 이격되어 있으면, 랙 바(37)가 추가적으로 더 복귀하도록 동작하는 복귀 동작 로직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19 shows that when the Hall sensor 38 detects the magnet of the rack cover and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and the protruding rib 353 are spaced less than the set separation distance, the rack bar 37 operates to return further. The return operation logic is shown step by step.

구체적으로, (a)와 같이 홀 센서(38)가 랙 커버(352)의 자석(377)을 감지하는 경우, 헤드 커버 후면(3741)과 돌출 리브(353)가 설정된 이격 거리(d3) 이하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설정된 이격 거리(d3)는 1mm 이하의 거리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when the Hall sensor 38 detects the magnet 377 of the rack cover 352 as shown in (a),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and the protruding rib 353 are separated by less than the set separation distance d3. It may be. In this case, the set separation distance (d3) may be set to a distance of 1 mm or less, but is not limited to this.

다음으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후퇴 거리만큼 랙 바(37)가 더 복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 커버 후면(3741)과 돌출 리브(353)는 d3보다 감소된 이격 거리(d4)로 좁혀질 수 있다. 이 경우 설정된 후퇴 거리는 1mm로 설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as shown in (b), the rack bar 37 may be operated to return further by the set retreat distance. Accordingly, the rear side of the head cover 3741 and the protruding rib 353 can be narrowed to a distance d4 that is less than d3. In this case, the set retreat distance can be set to 1mm, but is not limited to this.

다음으로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커버 후면(3741)은 돌출 리브(353)에 의해서 접촉하게 될 수 있고,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바(37)의 추가 복귀는 정지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c),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can be brought into contact by the protruding rib 353, and as shown in (d), further return of the rack bar 37 is stopped. It can be.

예를 들어, 헤드 커버 후면(3741)이 돌출 리브(353)에 의해서 접촉하게 되는 경우 랙 바(37)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원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힘의 증가는 장애물 감지로 인식되어 랙 바(37)의 복귀 동작이 멈추게 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is contacted by the protruding rib 353,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source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rack bar 37 increases, and this increase in force is used to detect obstacles. It may be recognized and the return operation of the rack bar 37 may be stopped.

다음으로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커버 후면(3741)은 돌출 리브(353)에 의해서 접촉하게 되어 수평이 정렬된 상태로,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e),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is contacted by the protruding rib 353 to maintain a horizontal alignment and standby state.

도 20은 홀 센서(38)가 랙 커버(352)의 자석(377)을 감지하는 경우, 헤드 커버 후면(3741)과 돌출 리브(353)가 서로 접촉하면, 랙 바(37)가 추가적으로 더 복귀하지 않고 이동이 정지되는 것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20 shows that when the Hall sensor 38 detects the magnet 377 of the rack cover 352, when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and the protruding rib 353 contact each other, the rack bar 37 returns further. It shows step by step how movement is stopped without doing so.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센서(38)가 랙 커버(352)의 자석(377)을 감지하는 경우, 헤드 커버 후면(3741)과 돌출 리브(353)가 서로 접촉한 상태일 수 있다.As shown in (a), when the Hall sensor 38 detects the magnet 377 of the rack cover 352,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and the protruding rib 353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이렇게 되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바(37)의 추가 복귀는 정지되게 되고,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커버 후면(3741)은 돌출 리브(353)에 의해서 접촉하게 되어 수평이 정렬된 상태로,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b), further return of the rack bar 37 is stopped, and as shown in (c), the back of the head cover 3741 is contacted by the protruding rib 353. With the level aligned, the standby state is maintain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 및 냉장고는, 홀 센서의 감지 이후에도 랙 바를 소정 거리 추가적으로 복귀시키는 동작 로직을 실행함으로써, 랙 바의 복귀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의 센싱 편차를 보정하여 헤드 커버의 수평 정렬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an operation logic that returns the rack bar to a predetermined distance additionally even after detection by the hall sensor, thereby correcting the sensing deviation of the hall sensor that detects the return position of the rack bar and protecting the head cover. Horizontal misalignment can be impro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iv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ransformation can occur.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explained while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it is natural that the predictable effects due to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 냉장고
10: 캐비닛
11: 외부 케이스
12: 내부 케이스
13: 저장실
131: 선반
132: 서랍
14: 케이스 커버
141: 돌출공
141a: 받침턱
142: 조작 패널
20: 도어 어셈블리
20b: 버튼부
21: 바디 어셈블리
22: 패널 어셈블리
24: 데코 커버
30: 도어 개방장치
301: 수용 케이스
31: 하우징
311: 하부 베이스
312: 상부 커버
321: 제1 체결부
321a: 제1 쿠션 부재
322: 제2 체결부
322a: 제2 쿠션 부재
33: 체결단
351: 노출공
352: 랙 커버
3521: 체결홀
3522: 체결 부재
353: 돌출 리브
3531: 전단면
3532: 수용부
354: 체결공
37: 랙 바
371: 랙 헤드
372: 회전핀
374: 헤드 커버
375: 받침 리브
376: 랙 기어
377: 자석
38: 홀 센서
381: 센서 라인
391: 피니언 기어
1: refrigerator
10: cabinet
11: External case
12: Inner case
13: Storage room
131: shelf
132: Drawer
14: Case cover
141: Protruding hole
141a: Support jaw
142: Operation panel
20: Door assembly
20b: Button portion
21: body assembly
22: Panel assembly
24: Deco cover
30: Door opening device
301: Acceptance case
31: housing
311: lower base
312: top cover
321: first fastening part
321a: first cushion member
322: second fastening part
322a: second cushion member
33: fastening end
351: exposed ball
352: Rack cover
3521: fastening hole
3522: fastening member
353: Protruding ribs
3531: Shear section
3532: receiving part
354: Fastener
37: rack bar
371: rack head
372: Rotating pin
374: Head cover
375: support rib
376: rack gear
377: magnet
38: Hall sensor
381: sensor line
391: pinion gear

Claims (20)

저장실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어셈블리; 및
상기 도어 어셈블리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되도록 이동하는 랙 바;
상기 랙 바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후면을 푸쉬하는 헤드 커버; 및
상기 헤드 커버 후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 리브; 를 포함하는, 냉장고.
cabinets containing storage compartments;
a door assembly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a door open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ns the door assembly; Including,
The door opening device is,
housing;
a rack bar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nd protruding from the housing or moving to return to the housing;
a head cov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ack bar and pushing the rear of the door assembly; and
a pair of protruding ribs protruding forward of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Including refrige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 바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이후에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은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에 접촉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rack bar returns to the housing after protruding from the housing,
A refrigerator, wherein the back of the head cover contacts the pair of protruding rib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냉장고.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ir of protruding ribs have shape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rear of the head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상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ir of protruding ribs are disposed in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rear side of the head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가장자리부와 접촉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paragraph 1,
A refrigerator, wherein the pair of protruding ribs contacts an edge of a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좌우 방향 중심선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use 5,
The pair of protruding ribs ar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left and right center lines of the rear of the head cov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네 개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use 5,
The pair of protruding ribs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four corners of the edge of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상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 커버 후면과 접촉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ir of protruding ribs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upper reg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and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좌우 방향 중심선을 지나도록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냉장고.
According to clause 8,
The pair of protruding ribs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area of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so as to pass through the left and right center lin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랙 바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랙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랙 커버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oor open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rack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rack bar,
The pair of protruding ribs is located at a front end of the rack cov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냉장고.
According to clause 10,
The pair of protruding ribs protrudes outward from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을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ir of protruding ribs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facing the rear of the head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부와 일부 측면을 형성하는 하부 베이스; 및
상기 하부 베이스 상에 결합되어 상부와 일부 측면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는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을 마주하는 상기 상부 커버의 전면에 위치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ousing is,
a lower base forming the lower part and some sides;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the lower base to form a top and some sides; Including,
The pair of protruding ribs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upper cover facing the rear of the head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랙 바가 돌출되는 돌출공을 포함하는 케이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돌출공의 내측 둘레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받침턱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커버의 전면에는 상기 헤드 커버의 외측 둘레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받침 리브가 배치되고,
상기 랙 바가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받침 리브는 소정 거리 이격된 갭을 갖도록 상기 받침턱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case cover located in front of the door opening device and including a protruding hole through which the rack bar protrudes,
The case cover includes a support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protruding hole,
A support rib formed to protrude from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head cover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head cover,
When the rack bar returns to the housing, the support rib is positioned ahead of the support ledge to have a gap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랙 바가 돌출되는 돌출공을 포함하는 케이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 커버 후면이 상기 한 쌍의 돌출 리브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헤드 커버의 전면은 상기 케이스 커버의 전면과 수평을 유지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paragraph 2,
It further includes a case cover located in front of the door opening device and including a protruding hole through which the rack bar protrudes,
A refrigerator, wherein the front of the head cover remains level with the front of the case cover when the rear of the head cover contacts the pair of protruding ribs.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되도록 이동하는 랙 바;
상기 랙 바의 일측에 연결된 헤드 커버;
상기 랙 바의 타측에 위치하는 자석;
상기 하우징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홀 센서; 및
상기 헤드 커버 후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 리브; 를 포함하는, 도어 개방장치.
housing;
a rack bar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nd protruding from the housing or moving to return to the housing;
a head cov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ack bar;
A magnet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rack bar;
a Hall sensor located in the rear area of the housing to detect the magnet; and
a pair of protruding ribs protruding forward of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Including, a door opening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랙 바가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하여 상기 홀 센서가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헤드 커버 후면과 상기 돌출 리브가 설정된 이격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랙 바는 설정된 후퇴 거리만큼 더 복귀하도록 동작한 후에 이동이 정지되는, 도어 개방장치.
According to clause 16,
When the rack bar returns to the housing and the Hall sensor detects the magnet,
If the back of the head cover and the protruding rib are separated by more than a set separation distance, the rack bar operates to return further by the set retreat distance and then stops moving.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랙 바가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하여 상기 홀 센서가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헤드 커버 후면과 상기 돌출 리브가 설정된 이격 거리 이하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랙 바는 추가적으로 더 복귀하도록 동작하되 상기 헤드 커버 후면과 상기 돌출 리브가 서로 접촉하는 경우 이동이 정지되는, 도어 개방장치.
According to clause 16,
When the rack bar returns to the housing and the Hall sensor detects the magnet,
When the back of the head cover and the protruding ri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less than a set separation distance, the rack bar operates to return further, but the movement is stopped when the back of the head cover and the protruding rib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랙 바가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하여 상기 홀 센서가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헤드 커버 후면과 상기 돌출 리브가 서로 접촉하면 상기 랙 바의 이동이 정지되는, 도어 개방장치.
According to clause 16,
When the rack bar returns to the housing and the Hall sensor detects the magnet,
A door opening device in which movement of the rack bar is stopped when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and the protruding rib contact each other.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 복귀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랙 바;
상기 랙 바의 일단에 연결된 헤드 커버; 및
상기 헤드 커버의 후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 리브; 를 포함하는, 도어 개방장치.
housing;
a rack bar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nd protruding from the housing or moving in a front-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to return to the housing;
a head cov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ack bar; and
a pair of protruding ribs protruding forward of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cover; Including, a door opening device.
KR1020220087308A 2022-07-15 2022-07-15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4001014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308A KR20240010141A (en) 2022-07-15 2022-07-15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EP23181827.9A EP4306883A1 (en) 2022-07-15 2023-06-27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308A KR20240010141A (en) 2022-07-15 2022-07-15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141A true KR20240010141A (en) 2024-01-23

Family

ID=8700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308A KR20240010141A (en) 2022-07-15 2022-07-15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4306883A1 (en)
KR (1) KR20240010141A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3323A (en) * 1993-11-30 1996-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a pressure equilbrium apparatus
US7819488B2 (en) * 2006-10-09 2010-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0280673B2 (en) * 2015-06-11 2019-05-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KR101871057B1 (en) * 2016-11-03 2018-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448499B1 (en) * 2017-06-02 2022-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of refrigerator door
US11668130B2 (en) * 2020-12-08 2023-06-0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with push-to-open door op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6883A1 (en)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82539B (en) Refrigerator with baffle
US8814284B2 (en) Refrigerator
CA2270241C (en) Articulating hinge covering door stop
CN112282540B (en) Refrigerator with movable plate
CN112282541B (en) Refrigerator with special-shaped plate
US10098456B2 (en) Built-i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assembly and built-in furniture unit for a household appliance
RU2416062C2 (en) Door for domestic appliance
KR102285845B1 (en) Refrigerator
CN112304007A (en) Refrigerator with door opening stop structure
CN112360267A (en) Hinge assembly with movable plate and refrigerator with hinge assembly
CN112282546A (en) Hinge assembly with baffle and refrigerator with hinge assembly
EP3722713B1 (en) Refrigerator
US20230114344A1 (en) Hinge and refrigeration equipment
KR20240010141A (en)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20190024967A1 (en) Refrigerator
AU2020319114B2 (en) Hinge assembly having movable plate, and refrigerator having hinge assembly
KR101717525B1 (en) A refrigerator
CN112444082B (en) Side-by-side combination refrigerator capable of increasing opening degree
JP2009185576A (en) Casing with shutter door
KR20230027665A (en) refrigerator
JPH0620068Y2 (en)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for storage
EP4265989A1 (en) Refrigerator
CN220017840U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EP4261481A1 (en) Refrigerator and door assembly thereof
JPH069824Y2 (en) Control panel storage device such as injection mol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