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068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068A
KR20240010068A KR1020240003106A KR20240003106A KR20240010068A KR 20240010068 A KR20240010068 A KR 20240010068A KR 1020240003106 A KR1020240003106 A KR 1020240003106A KR 20240003106 A KR20240003106 A KR 20240003106A KR 20240010068 A KR20240010068 A KR 20240010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control unit
button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자연
김명선
오주현
염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03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068A/ko
Publication of KR20240010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06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포인터의 실 좌표가 상기 메뉴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흔들리는 포인터 입력에도 불구하고 포인터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mart TV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smart TV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최근에는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포인터를 이동함으로써 각종 제어를 수행하는 기술이 나타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를 손에 쥐고, 원격 제어 장치를 움직임으로써 각종 제어를 수행한다.
다만 사용자의 팔의 흔들림 때문에 원격 제어 장치의 이동 방향이나 움직임의 정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포인터가 삐뚤 빼뚤 하게 이동하거나, 포인터의 이동 거리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게 되며, 따라서 포인터를 원하는 메뉴로 이동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흔들리는 포인터 입력에도 불구하고 포인터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인터가 메뉴에 근접한 경우, 사용자의 제어 없이도 포인터를 메뉴로 이동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포인터의 실 좌표가 상기 메뉴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a 및 도 5b는,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포인터를 이동하는 제어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메뉴의 다양한 배열에 따른 포인터의 이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의 표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 내 식별자를 가리지 않도록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영역에 진입한 포인터가 고정된 높이로 이동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좌표의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메뉴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포인터의 이탈을 경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포인터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포인터의 이탈을 경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실 좌표에 대응하는 제2 포인터를 표시함으로써 포인터의 이탈을 경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이동 모드에 따라 포인터가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영역에 포인터를 끌어들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에 포인터를 끌어들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마그네틱 영역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네틱 영역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마그네틱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영역 또는 마그네틱 영역 밖에서의 포인터의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보드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의 이동에 따른 특정 문자(2711)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다음 문자를 결정하는 방법 및 마그네틱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다음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다음 문자로 포인터를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자동 완성 단어를 결정하는 방법 및 마그네틱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자동 완성 문자를 포함하는 버튼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속도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모니터, 프로젝터 또는 이를 포함하는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카메라(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 (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외부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33), 또는 카메라(16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 (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 (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 (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 (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 (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 (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 (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포인터를 이동하는 제어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손에 쥐고, 원격 제어 장치를 움직임으로써 각종 제어를 수행한다.
다만 사용자의 팔의 흔들림 때문에 원격 제어 장치의 이동 방향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어 포인터(51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나, 팔이 흔들리거나 팔의 수평 유지를 실패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 역시 수평을 유지 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가 삐뚤 빼뚤 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이동하기를 원하는 메뉴로 포인터를 이동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610) 및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포인터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하는 단계(S6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6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를 움직이는 경우, 제어부는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될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면, 제어부는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포인터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하는 단계(S630)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면은 메뉴 영역(7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영역(710)은 복수의 메뉴(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1721, 7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뉴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메뉴(710,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1721, 722)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포인터(720)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710)에 위치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포인터(720)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710)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포인터(720)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720)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메뉴(710,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1721, 722)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720)를 수평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한 제1 방향(73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실 좌표의 이동 방향을 것이고, 특정 방향(740)은 포인터(720)가 실제 움직이면서 디스플레이 되는 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포인터의 실 좌표란,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되는 좌표와 관계 없이,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결정되는 좌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실 좌표의 이동 방향은, 포인터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하는 것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포인터가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720)가 이동하는 특정 방향(740)은,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포인터의 실 좌표의 이동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가 위 아래로 흔들리면서 수평으로 이동한 경우를 가정하면, 포인터의 실 좌표가 우측 방향으로부터 45도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포인터(72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포인터의 실 좌표가 우측 방향으로부터 -30도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포인터(72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가 위 아래로 흔들리면서 수평으로 이동했음에도 불구하고, 포인터(720)는 특정 방향(수평)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720)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720)의 이동 거리는, 원격 제어 장치의 특정 방향으로의 움직임 성분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터가 우측 방향에서 60도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2만큼 움직인 경우, 포인터(720)는 우측 방향으로 1만큼 움직일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메뉴의 다양한 배열에 따른 포인터의 이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 따르면,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포인터(840)의 실 좌표가 제1 메뉴 영역(810)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포인터(840)의 좌표가 제1 메뉴 영역(810)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포인터(840)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840)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메뉴 영역(810) 내의 복수의 메뉴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840)를 수평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8a에 따르면,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포인터(840)의 실 좌표가 제2 메뉴 영역(820)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포인터(840)의 좌표가 제2 메뉴 영역(820)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포인터(840)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840)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메뉴 영역(820) 내의 복수의 메뉴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840)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포인터(840)의 실 좌표가 복수의 영역(제1 메뉴 영역 및 제2 메뉴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840)의 실 좌표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수평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하거나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인터(840)의 실 좌표의 이동 방향의 수평 성분보다 실 좌표의 이동 방향의 수직 성분이 큰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8b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1 포인터(870)의 실 좌표가 제1 메뉴 영역(850)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1 포인터(870)의 좌표가 제1 메뉴 영역(850)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1 포인터(870)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포인터(870)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포인터(870)의 실 좌표의 이동 방향의 수평 성분이 실 좌표의 이동 방향의 수직 성분보다 큰 경우, 제어부는 제1 포인터(870)를 수평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이동 후의 포인터인 제2 포인터(880)의 실 좌표가 제1 메뉴 영역(850)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포인터(880)의 좌표가 제1 메뉴 영역(850)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2 포인터(880)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제2 포인터(880)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포인터(880)의 실 좌표의 이동 방향의 수직 성분이 실 좌표의 이동 방향의 수평 성분보다 큰 경우, 제어부는 제2 포인터(880)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8c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포인터(870)의 실 좌표가 제1 메뉴 영역(890)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메뉴 영역(890) 내에는 복수의 메뉴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포인터(891)의 실 좌표가 제1 메뉴 영역(890)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포인터(891)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891)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포인터를 직선으로 이동시켜 포인터를 원하는 메뉴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메뉴가 수평으로 나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인터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고, 메뉴가 수직으로 나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인터를 수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포인터를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의 표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920)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910) 내에 진입하면, 도 9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포인터를 고정된 높이(h)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뉴 영역(920)에 포함되는 복수의 메뉴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고 포인터(920)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920) 내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포인터(920)를 고정된 높이(h)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메뉴 영역(920)에 진입한 포인터가 고정 된 높이(h)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메뉴 영역(920)에 진입한 포인터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뉴 영역(920)에 진입한 포인터가 새로운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포인터가 이동한 새로운 위치의 좌표를 보정 좌표라고 명칭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920)가 고정된 높이(h)에서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920)를 수평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즉 포인터가 좌우로 이동하더라도, 포인터는 항상 고정된 높이(h)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실시 예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메뉴에도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 내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포인터를 고정된 너비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메뉴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메뉴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 내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포인터(920)를 고정된 너비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메뉴 영역에 진입한 포인터가 고정 된 너비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메뉴 영역에 진입한 포인터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뉴 영역에 진입한 포인터가 새로운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포인터가 고정된 너비에서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즉 포인터가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포인터는 항상 고정된 너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 내 식별자를 가리지 않도록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는 메뉴 영역 내의 메뉴에 포함되는 식별자를 고정된 높이 또는 너비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포인터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 내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포인터를 고정된 높이(h1)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된 높이(h1)는 메뉴 내 식별자(1011)가 위치한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뉴를 식별하기 위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포인터를 메뉴 내 식별자 아래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포인터에 의하여 식별자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1020)가 특정 메뉴(715) 상에 위치하면, 제어부는 포인터(1020)가 특정 메뉴(715)를 나타내는 식별자(1021)를 가리지 않도록 특정 메뉴(715)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메뉴(715)를 나타내는 식별자(1021)가 표시되는 높이와 포인터(1020)가 표시되는 높이가 동일한 경우, 포인터(1020)는 특정 메뉴(715)를 나타내는 식별자(1021) 위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자(1021)가 포인터(1020)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포인터(1020)가 특정 메뉴(715) 상에 위치하면, 제어부는 식별자(1021)와 포인터(1020)가 동일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특정 메뉴(715)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특정 메뉴(715)가 이동하는 경우 특정 메뉴(715)에 포함되는 식별자(1021) 역시 이동하기 때문에, 식별자(1021)와 포인터(1020)의 중첩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설명은, 포인터가 고정된 너비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실시 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 내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포인터를 고정된 너비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된 너비는 메뉴 내 식별자가 위치한 너비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포인터를 메뉴 내 식별자 옆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포인터에 의하여 식별자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가 특정 메뉴 상에 위치하면, 제어부는 포인터가 특정 메뉴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가리지 않도록 특정 메뉴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메뉴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표시되는 너비와 포인터가 표시되는 너비가 동일한 경우, 포인터는 특정 메뉴를 나타내는 식별자 위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자가 포인터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포인터가 특정 메뉴 상에 위치하면, 제어부는 식별자와 포인터가 동일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특정 메뉴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특정 메뉴가 이동하는 경우 특정 메뉴에 포함되는 식별자 역시 이동하기 때문에, 식별자와 포인터의 중첩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영역에 진입한 포인터가 고정된 높이로 이동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포인터의 실좌표가 메뉴 영역(910)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포인터 역시 메뉴 영역(910) 내에서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다만 포인터는 메뉴 영역(910)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포인터가 메뉴 영역(910)을 벗어나 다른 메뉴 영역(1190)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910) 외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를 실 좌표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의 실 좌표(1130)가 메뉴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 포인터(1120)는 아래로 이동하여 고정된 높이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포인터의 실 좌표(1130)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된 포인터(1120)의 위치로 인식하게 된다. 다만 포인터의 실 좌표(1130)는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910)에 진입한 시점과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의 조작에 조금만 부주의 하게 되도 포인터의 실 좌표(1130)가 제1 방향(1150)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 좌표가 메뉴 영역(910)을 벗어날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910)을 벗어나게 되면, 포인터(1140)는 메뉴 영역(910) 밖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포인터(1120)가 수평 방향(1170)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대하였으나, 실제로는 메뉴 영역(910) 밖에 디스플레이 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 내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실 좌표를 고정된 높이에 대응하는 좌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따르면, 포인터의 실 좌표(1130)가 메뉴 영역(910) 내에 진입한 경우, 제어부는 고정된 높이로 이동한 포인터(11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의 실 좌표(1130)를 새로운 실 좌표(1140)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실 좌표(1140)는, 고정된 높이에 대응하는 좌표, 즉 이동한 포인터(1120)가 디스플레이 되는 좌표일 수 있다.
즉, 실제 디스플레이 된 포인터(1120)의 위치와 포인터의 실 좌표(1140)의 위치는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포인터(1120)의 위치를 포인터의 실 좌표(1140)의 위치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포인터(1120)가 디스플레이 되는 높이는, 메뉴 영역(910)의 전체 높이의 중간 높이일 수 있다. 또는 포인터(1120)가 디스플레이 되는 높이는, 포인터가 메뉴 영역(910)으로 진입한 지점으로부터 중간 높이와 가깝게 이동한 높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의 조작을 잘못하여 포인터의 실 좌표(1140)가 제1 방향(1210)으로 이동하더라도, 포인터의 실 좌표(1140)가 메뉴 영역(910)을 이탈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되며, 따라서 포인터(1120)는 특정 방향(1220)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2의 설명은, 포인터가 고정된 너비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 내에 진입한 경우, 제어부는 고정된 너비로 이동한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의 실 좌표를 새로운 실 좌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실 좌표는, 고정된 너비에 대응하는 좌표, 즉 이동한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되는 좌표일 수 있다.
즉, 실제 디스플레이 된 포인터의 위치와 포인터의 실 좌표의 위치는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포인터의 위치를 포인터의 실 좌표(의 위치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되는 너비는, 메뉴 영역의 전체 너비의 중간 너비일 수 있다. 또는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되는 너비는, 포인터가 메뉴 영역으로 진입한 지점으로부터 중간 너비와 가깝게 이동한 너비일 수 있다.
도 13은 도 11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앞서,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910)을 이탈하면, 포인터가 메뉴 영역(910) 밖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설명한 바 있다.
다만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910)을 이탈하는 것에 관계 없이, 실 좌표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포인터의 메뉴 영역(910)의 이탈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면은 다른 메뉴 영역(1360)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메뉴 영역(1360)은, 하나 이상의 메뉴(1360a, 1360b, 1360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의 실 좌표의 이동 방향(1350)이 다른 메뉴 영역(1360)을 향하는 방향(1330)이면, 제어부는 포인터를 실 좌표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의 실 좌표의 이동 방향(1370)이 다른 메뉴 영역(1360)을 향하는 방향(1330)과 특정 방향(1340) 사이의 방향(1320)이면, 제어부는 포인터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포인터의 실 좌표의 이동 방향(1350)이 다른 메뉴 영역(1360)을 향하는 방향(1330)이라는 것은, 사용자의 의도가 메뉴 영역(910) 내에서의 포인터의 이동이 아닌 다른 메뉴 영역(1360)으로의 포인터의 이동임을 추단하게 한다.
또한 포인터의 실 좌표의 이동 방향(1350)이 다른 메뉴 영역(1360)을 향하는 방향(1330)과 특정 방향(1340) 사이의 방향(1320)이라는 것은, 사용자의 의도가 메뉴 영역(910) 내에서의 포인터의 이동이나 제어가 올바르게 되지 않았음을 추단케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인터의 실 좌표의 이동 방향에 따라 포인터를 이탈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의 이탈을 경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인터의 실 좌표와 포인터가 실제로 디스플레이 되는 보정 좌표는 서로 상이하게 되며, 포인터의 실 좌표는 사용자가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를 잘 못 움직이는 경우에는 포인터가 메뉴 영역에서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포인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가 필요하다.
도 14 내지 도 15에서는, 메뉴(715)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포인터의 이탈을 경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910)을 벗어나려 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가 위치한 메뉴의 형상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고 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의 실 좌표(1420)가 메뉴 영역(910)의 경계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밖인 경우(즉 메뉴 영역(910)의 경계로부터 거리가 먼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4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의 실 좌표(1420)가 메뉴 영역의 경계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즉 메뉴 영역(910)의 경계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14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포인터(1410)가 위치하고 있는 메뉴(715)를 틸팅(tilting)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1410)가 위치하고 있는 메뉴(715)는 입체적인 영상일 수 있으며,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입체적 영상이 기울어지는 효과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910)을 벗어나려 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가 위치한 메뉴의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의 실 좌표(1420)가 메뉴 영역(910)의 경계로부터 먼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의 실 좌표(1420)가 메뉴 영역(910)의 경계로부터 가까운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의 실 좌표(1420)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1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포인터(1410)가 위치하고 있는 메뉴(715)의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7에서는, 포인터(1410)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포인터의 이탈을 경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910)을 벗어나려 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의 형상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고 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6a에서는 포인터의 실 좌표(1420)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 아닌 상태, 도 16b에서는 포인터의 실 좌표(1420)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고 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16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포인터(1410)를 틸팅(tilting)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1410)는 입체적인 영상일 수 있으며,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입체적 영상이 기울어지는 효과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910)을 벗어나려 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고 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7a에서는 포인터의 실 좌표(1420)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 아닌 상태, 도 17b에서는 포인터의 실 좌표(1420)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고 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17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포인터(1410)의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변경되는 포인터(1410)의 위치는 변경 전의 포인터(1410)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일 수 있다. 즉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던 포인터(1410)가 위로 움직임으로써, 경고가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18에서는, 실 좌표에 대응하는 제2 포인터를 표시함으로써 포인터의 이탈을 경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8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포인터(1810)와 함께 포인터의 실 좌표에 대응하는 제2 포인터(18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 좌표에 디스플레이 되는 포인터(1810)와는 달리, 제2 포인터(1820)는 포인터의 실 좌표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제2 포인터(1820)는 포인터(1810)와 다른 크기 또는 다른 색상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터(1810)는 유채색인데 반해, 제2 포인터(1820)는 높은 명도의 무채색이거나 낮은 명도의 무채색일 수 있다.
한편,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910)을 벗어나려고 하는 경우에만 제2 포인터(1820)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18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910)의 경계로부터 가까운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의 실 좌표가 메뉴 영역을 벗어나려 하는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1910)와 함께 포인터의 실 좌표에 대응하는 제2 포인터(19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도 18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엘라스틱(elastic) 효과를 사용하여 제2 포인터(19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포인터의 이탈을 사용자에게 경고함으로써, 실 좌표의 이탈에 따른 포인터의 갑작스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이동 모드에 따라 포인터가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포인터 이동 모드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드 및 제2 모드는, 사용자 입력을 전송하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기울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도 19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제1 기울임 상태에서 움직이는 모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2 모드는, 도 20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제2 기울임 상태에서 움직이는 모드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 및 원격 제어 장치의 모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b에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 및 원격 제어 장치가 제1 모드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0b에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 및 원격 제어 장치가 제2 모드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9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 제어부는 포인터(1910)를 실 좌표의 이동 방향(1920)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20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 제어부는 포인터(1910)를 실 좌표의 이동 방향(1920)과는 관계 없이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를 쥐는 방법을 변경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하여, 포인터의 이동 방법을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1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를 끌어들이는 마그네틱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영역에 포인터를 끌어들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면은 마그네틱 영역(21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네틱 영역(2110)은 메뉴 영역(9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네틱 영역(2110)의 크기는 메뉴 영역(91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네틱 영역(2110)은,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도 포인터가 메뉴 영역(910)으로 움직이는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1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2120)가 메뉴 영역(910)을 포함하는 마그네틱 영역(2110)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포인터(2120)를 메뉴 영역(910) 내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1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2120)가 메뉴 영역(910)을 포함하는 마그네틱 영역(2110)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없이도 포인터(2120)를 메뉴 영역(910) 내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도 2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마그네틱 영역(2110)에 진입한 포인터(2120)가 메뉴 영역(910) 내로 이동하여 새로운 위치에 표시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2130)가 위치한 곳의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에 포인터를 끌어들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는 선택 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2211)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제2 마그네틱 영역(2210)은 버튼(22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마그네틱 영역(2210)의 크기는 버튼(221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 22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2220)가 버튼(2211)을 포함하는 제2 마그네틱 영역(2210)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포인터(2220)를 버튼(2211)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포인터(2220)가 버튼(2211)을 포함하는 제2 마그네틱 영역(2210)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없이도 포인터(2220)를 버튼(2211)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도 22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제2 마그네틱 영역(2210)에 진입한 포인터(2220)가 버튼(2211)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위치에 표시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2250)가 위치한 곳의 버튼(2211)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는 버튼(2211)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포인터 이동 모드에 따라 마그네틱 영역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에서, 제어부는 마그네틱 영역을 비 활성화 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인터(2220)가 버튼(2211)을 포함하는 제2 마그네틱 영역(2210)에 진입하더라도, 포인터(2220)를 버튼(2211)으로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어야 포인터(2220)가 버튼(2211)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2 모드에서, 제어부는 마그네틱 영역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인터(2220)가 버튼(2211)을 포함하는 제2 마그네틱 영역(2210)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포인터(2220)를 버튼(2211)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을 이용하는 제어 환경에서, 사용자가 메뉴 또는 버튼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3은 마그네틱 영역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마그네틱 영역의 크기는, 버튼의 중요도 및 사용 빈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선택 시 제1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버튼(2211) 및 선택 시 제2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버튼(2311)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제1 마그네틱 영역(2210)은 제1 버튼(22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마그네틱 영역(2210)의 크기는 버튼(221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 마그네틱 영역(2310)은 제2 버튼(2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마그네틱 영역(2310)의 크기는 제2 버튼(231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제1 마그네틱 영역(2210)의 크기는, 제1 버튼(2211)의 중요도 및 사용 빈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그네틱 영역(2310)의 크기는, 제2 버튼(2311)의 중요도 및 사용 빈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2211)의 중요도가 제2 버튼(2311)의 중요도보다 높으면, 제1 버튼(2211)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영역(2210)의 크기는 제2 버튼(2311)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영역(231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버튼(2211)의 사용 빈도가 제2 버튼(2311)의 사용 빈도보다 잦으면, 제1 버튼(2211)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영역(2210)의 크기는 제2 버튼(2311)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영역(231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네틱 영역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마그네틱 영역의 크기는, 다른 버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선택 시 제1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버튼(2411), 선택 시 제2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버튼(2421) 및 선택 시 제3 기능을 수행하는 제3 버튼(2431)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제1 마그네틱 영역(2410)은 제1 버튼(24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마그네틱 영역(2420)은 제2 버튼(24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마그네틱 영역(2430)은 제3 버튼(24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마그네틱 영역(2410)의 크기는, 제1 버튼(2411)과 다른 버튼 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그네틱 영역(2420)의 크기는, 제2 버튼(2421)과 다른 버튼 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버튼(2411)과 제2 버튼(2421)과의 거리 또는 제1 버튼(2411)과 제3 버튼(2431)과의 거리는, 제2 버튼(2421)과 제3 버튼(2431)과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버튼(2411)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영역(2410)의 크기는, 제2 버튼(2421)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영역(242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마그네틱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복수의 버튼(2511, 2512, 2513)이 각각 자신의 마그네틱 영역을 가질 수도 있지만, 복수의 버튼(2511, 2512, 2513)이 하나의 마그네틱 영역(2520)을 가질수도 있다.
그리고 포인터(2530)가 복수의 버튼(2511, 2512, 2513)을 포함하는 마그네틱 영역(2520)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포인터(2530)를 복수의 버튼(2511, 2512, 2513)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의 진입 방향에 기초하여, 포인터(2530)를 복수의 버튼(2511, 2512, 2513)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인터(2530)의 진입 방향이 제1 방향(2541)인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2530)를 제1 방향(2541)에 위치한 제1 버튼(2511)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2530)의 진입 방향이 제2 방향(2542)인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2530)를 제2 방향(2542)에 위치한 제2 버튼(2512)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영역(910) 또는 마그네틱 영역 밖에서의 포인터의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는 포인터(2610)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2610)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2610)의 이동 경로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의 주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이 상하 이동을 위한 입력인지, 좌우 이동을 위한 입력인지, 대각선 이동을 위한 입력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의 실 좌표에 대응하는 이동 경로(2625, 2635, 2645, 2655) 대신 보정된 이동 경로(2630, 2620, 2640, 2650)에 따라 포인터(2610)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포인터 이동 모드에 따라 포인터의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에서, 제어부는 포인터의 실 좌표에 대응하는 이동 경로(2625, 2635, 2645, 2655)로 포인터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에서, 제어부는 보정된 이동 경로(2630, 2620, 2640, 2650)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보드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고하면, 제어부는 텍스트(문자, 숫자, 특수 기호) 입력을 위한 카보드 UI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특정 문자(271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문자(2711)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입력창(2730)에 특정 문자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정 문자(2711)를 선택하기 위하여 포인터가 이동한 경우 제어부는 특정 문자(2711)가 포인터(272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포인터(27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터의 실 좌표가 특정 문자(2711)가 디스플레이 된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제어부는 특정 문자(2711)의 아래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의 이동에 따른 특정 문자(2711)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정 문자(2711)를 선택하기 위하여 포인터(2720)가 이동한 경우 제어부는 특정 문자(2711)를 포함하는 아이콘(271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터(2720)의 실 좌표가 특정 문자(2711)가 디스플레이 된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키보드 UI 상에 특정 문자(2711)를 포함하는 아이콘(271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문자(2711)를 포함하는 아이콘(2710)은, 포인터(2720)와 중첩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되거나, 포인터(2720) 위에 디스플레이 되어 포인터(27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릴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다음 문자를 결정하는 방법 및 마그네틱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맥락적 확률이란, 특정 문자가 선택된 경우 어느 문자가 특정 문자의 다음에 올 수 있는 확률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맥락적 확률은, 특정 문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어 각각의 중요도, 특정 문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어 각각의 사용 빈도, 특정 문자와 다음 문자가 조합되는 빈도 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특정 문자(2711)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특정 문자(2711) 다음에 올 문자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A”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A” 다음에 올 제1 우선 순위의 문자를 “T”로, 제2 우선 순위의 문자를 “N”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특정 문자와 관련된 제1 문자를 나타내는 제1 버튼(3011) 및 특정 문자와 관련된 제2 문자를 나타내는 제2 버튼(3021)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문자와 관련된 문자란, 복수의 문자 중 특정 문자(2711) 다음에 올 우선 순위가 높은 문자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제1 버튼(3011)을 포함하는 제1 마그네틱 영역(3010) 및 제2 버튼(3021)을 포함하는 제2 마그네틱 영역(3020)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가 제1 버튼(3011)을 포함하는 제1 마그네틱 영역(3010)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포인터를 제1 버튼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가 제2 버튼(3021)을 포함하는 제2 마그네틱 영역(3020)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포인터를 제2 버튼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제1 마그네틱 영역(3010)과 제2 마그네틱 영역(3020)의 크기는 맥락적 확률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문자가 제2 문자보다 맥락적 확률이 높아서 제1 문자의 우선 순위가 제2 문자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제1 문자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영역의 크기는 제2 문자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영역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다음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정 문자(2711)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특정 문자(2711) 다음에 올 문자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특정 문자와 관련된 제1 문자를 나타내는 제1 버튼(3111)을 식별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특정 문자와 관련된 제1 문자를 나타내는 제1 버튼(3111)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다음 문자로 포인터를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정 문자(2711)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특정 문자(2711) 다음에 올 문자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특정 문자와 관련된 제1 문자를 나타내는 제1 버튼(3111)에 포인터(321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정 문자(2711)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특정 문자(2711) 다음에 올 문자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포인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의 이동 경로에 우선 순위가 낮은 문자(3321)가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우선 순위가 낮은 문자(3321)를 통과하도록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자동 완성 단어를 결정하는 방법 및 마그네틱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맥락적 확률이란, 특정 문자가 선택된 경우 특정 문자를 포함하는 어느 단어로 완성될 수 있는 확률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맥락적 확률은, 특정 문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어 각각의 중요도, 특정 문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어 각각의 사용 빈도 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특정 문자(2711)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특정 문자(2711)를 포함하는 단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A”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제1 우선 순위의 자동 완성 단어를 “april”으로, 제2 우선 순위의 자동 완성 단어를 “apple”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특정 문자와 관련된 제1 자동 완성 단어를 나타내는 제1 버튼(3421) 및 특정 문자와 관련된 제2 자동 완성 단어를 나타내는 제2 버튼(3411)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문자와 관련된 자동 완성 단어란, 특정 문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자동 완성 단어 중 우선순위가 높은 자동 완성 단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제1 버튼(3421)을 포함하는 제1 마그네틱 영역(3420) 및 제2 버튼(3411)을 포함하는 제2 마그네틱 영역(3410)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가 제1 버튼(3421)을 포함하는 제1 마그네틱 영역(3420)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포인터를 제1 버튼(3421)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가 제2 버튼(3411)을 포함하는 제2 마그네틱 영역(3410)에 진입하면, 제어부는 포인터를 제2 버튼(3411)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제1 마그네틱 영역(3420)과 제2 마그네틱 영역(3410)의 크기는 맥락적 확률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자동 완성 단어가 제2 자동 완성 단어보다 맥락적 확률이 높아서 제1 자동 완성 단어의 우선 순위가 제2 자동 완성 단어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제1 자동 완성 단어에 대응하는 제1 마그네틱 영역의 크기는 제2 자동 완성 단어에 대응하는 제2 마그네틱 영역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자동 완성 문자를 포함하는 버튼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정 문자(2711)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맥락적 확률에 기초하여 특정 문자(2711)를 포함하는 자동 완성 단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특정 문자와 관련된 제1 자동 완성 단어를 포함하는 제1 버튼(3421) 및 특정 문자와 관련된 제2 자동 완성 단어를 포함하는 제2 버튼(3411)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제1 버튼(3421)의 크기와 제2 버튼(3411)의 크기는 맥락적 확률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자동 완성 단어가 제2 자동 완성 단어보다 맥락적 확률이 높아서 제1 자동 완성 단어의 우선 순위가 제2 자동 완성 단어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제1 자동 완성 단어에 대응하는 제1 버튼(3421)의 크기는 제2 자동 완성 단어에 대응하는 제2 버튼(341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제1 버튼(3421)에 포함되는 제1 자동 완성 단어의 크기와 제2 버튼(3411)에 포함되는 제2 자동 완성 단어의 크기는 맥락적 확률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자동 완성 단어가 제2 자동 완성 단어보다 맥락적 확률이 높아서 제1 자동 완성 단어의 우선 순위가 제2 자동 완성 단어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제1 버튼(3421)에 포함되는 제1 자동 완성 단어의 크기는 제2 버튼(3411)에 포함되는 제2 자동 완성 단어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포인터 이동 모드에 따라 특정 문자와 관련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 또는 특정 문자와 관련된 자동 완성 단어를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에서 특정 문자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특정 문자와 관련된 문자를 포함하는 버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반면에, 제2 모드에서 특정 문자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는 특정 문자와 관련된 자동 완성 단어를 포함하는 버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속도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면은 가속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영역(3630)은 버튼(36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속도 영역(3630)의 크기는 버튼(362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영역(3630)은 마그네틱 영역(3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속도 영역(3630)의 크기는 마그네틱 영역(362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도 36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3640)가 가속도 영역(3630)에 진입하고 포인터(3640)의 이동 방향이 버튼(3621)이 위치하는 방향인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3640)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포인터(3640)에 가속도를 계속적으로 가할 수 있다. 즉 포인터(3640)에 가속도가 계속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포인터(3640)의 이동 속도는 점점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도 36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인터(3640)가 마그네틱 영역(3620)에 진입한 경우, 도 36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포인터(3640)를 버튼(3621)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가속도 영역의 크기는 버튼(3621)과 다른 버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3621)과 다른 버튼과의 거리가 먼 경우 가속도 영역(3630)의 크기는 클 수 있다.
즉 버튼(3621)과 다른 버튼과의 거리가 멀수록 포인터의 이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버튼과의 거리에 따라 가속도 영역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포인터의 빠른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마그네틱 영역의 경계와 가속도 영역의 경계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도,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경계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화면의 복잡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경계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경계의 위치를 파악하고 포인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5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170: 제어부 180: 디스플레이부

Claims (1)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커서를 움직이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영역에서 커서를 움직이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커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제1 움직임 속도로 움직이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커서를 움직이는 사용자 입력과 상기 커서가 상기 제1 기능 버튼으로부터 제1 거리에 있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커서가 상기 제1 기능 버튼 방향으로 제2 움직임 속도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2 움직임 속도는 상기 커서에서부터 상기 제1 기능 버튼까지 제1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커서를 움직이는 사용자 입력과 상기 커서가 상기 제1 기능 버튼으로부터 제2 거리에 있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커서가 상기 제1 기능 버튼 방향으로 제3 움직임 속도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3 움직임 속도는 상기 커서에서부터 상기 제1 기능 버튼까지 제2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40003106A 2018-02-05 2024-01-08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10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3106A KR20240010068A (ko) 2018-02-05 2024-01-08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163A KR102624185B1 (ko) 2018-02-05 2018-02-05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40003106A KR20240010068A (ko) 2018-02-05 2024-01-08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163A Division KR102624185B1 (ko) 2018-02-05 2018-02-05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068A true KR20240010068A (ko) 2024-01-23

Family

ID=674783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163A KR102624185B1 (ko) 2018-02-05 2018-02-05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40003106A KR20240010068A (ko) 2018-02-05 2024-01-08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163A KR102624185B1 (ko) 2018-02-05 2018-02-05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789547B2 (ko)
KR (2) KR102624185B1 (ko)
DE (1) DE112018006791T5 (ko)
WO (1) WO2019151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185B1 (ko) * 2018-02-05 2024-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4020386A (zh) * 2021-11-01 2022-02-0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1075B2 (en) * 2003-05-21 2010-02-09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isplay for set-top box device
KR100735558B1 (ko) 2005-10-18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터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00028012A (ko) * 2007-06-20 2010-03-11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제어 장치, 입력 장치, 제어 시스템, 핸드헬드형 정보 처리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354020B1 (ko) * 2007-08-08 2014-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어 db 생성 방법, 단어 자동 완성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KR20100078366A (ko) * 2008-12-30 201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JP4737296B2 (ja) 2009-01-19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204810A (ja) * 2009-03-02 2010-09-16 Panasonic Corp 携帯情報端末
US8756502B2 (en) * 2010-09-08 2014-06-17 Sony Corporation Minimal and preferential option user interface
JP5095021B2 (ja) 2011-04-04 2012-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130072638A (ko) 2011-12-22 201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370834B1 (ko) 2012-10-18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문자 입력 방법
EP2752758A3 (en) 2013-01-07 2016-10-26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91879B1 (ko) 2013-01-07 2021-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40240225A1 (en) * 2013-02-26 2014-08-28 Pointgrab Ltd. Method for touchless control of a device
KR20150037014A (ko) * 2013-09-30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KR102145739B1 (ko) * 2014-02-28 202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050784B2 (ja) * 2014-05-28 2016-12-2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の動作方法
KR20160084146A (ko) * 2015-01-05 201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전자장치
KR20160139810A (ko) * 2015-05-28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따른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54328B1 (ko) * 2015-09-22 2022-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24185B1 (ko) * 2018-02-05 2024-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185B1 (ko) 2024-01-15
US20210041960A1 (en) 2021-02-11
KR20190094701A (ko) 2019-08-14
WO2019151570A1 (ko) 2019-08-08
DE112018006791T5 (de) 2020-11-12
US11789547B2 (en) 2023-10-17
US20230418393A1 (en)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9575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2801215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3417630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44963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005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10068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327030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501047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09354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9400568B2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EP3902269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600953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818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7722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74292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EP4350692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6649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735094B2 (en) Display device
EP424342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9845284B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KR2024004400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5662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