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658A - 응축수 증발장치 - Google Patents

응축수 증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658A
KR20240008658A KR1020220085769A KR20220085769A KR20240008658A KR 20240008658 A KR20240008658 A KR 20240008658A KR 1020220085769 A KR1020220085769 A KR 1020220085769A KR 20220085769 A KR20220085769 A KR 20220085769A KR 20240008658 A KR20240008658 A KR 20240008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sponge
housing
frame
disk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민
Original Assignee
김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민 filed Critical 김철민
Priority to KR1020220085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658A/ko
Publication of KR2024000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65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기의 증발기 부근의 공기가 급격히 냉각되어 발생하는 응축수를 증발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수가 프레임 내부의 스펀지에 떨어져 흡수되고 하우징을 통과하는 고온의 기류가 스펀지에 흡수된 응축수를 증발시키며, 스펀지를 수용하는 프레임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하가 반전되어 스펀지 내부에 응축수를 오래 머금을 수 있어 적은 부피로도 증발효율이 뛰어난 응축수 증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축수 증발장치 {Condensate Evaporator}
본 발명은 냉동기의 증발기 부근의 공기가 급격히 냉각되어 발생하는 응축수를 증발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수가 프레임 내부의 스펀지에 떨어져 흡수되고 하우징을 통과하는 고온의 기류가 스펀지에 흡수된 응축수를 증발시키며, 스펀지를 수용하는 프레임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하가 반전되어 스펀지 내부에 응축수를 오래 머금을 수 있어 적은 부피로도 증발효율이 뛰어난 응축수 증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지만 대부분의 냉동기에서 사용하는 냉동사이클장치를 통하여 열을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배출할 수 있다.
냉동사이클장치는 기본적으로 압축과정, 응축과정, 팽창과정, 증발과정의 네가지 행정으로 이루어지며, 이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가 열을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시킨다.
압축과정에서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로 형성하며, 응축과정에서 냉매가 가진 열에너지를 외부와 열교환함으로써 냉매가 가진 열이 빼앗기고 기체에서 액체로 상변화한다. 팽창과정에서 냉매액을 증발하기 쉬운 상태로 변화시키며, 증발과정에서 냉매는 주변과 열교환을 통하여 열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액체에서 기체로 기화한다.
냉동사이클의 일례로 응축기는 통상 실외기로 부르는 구성으로서 열을 외부로 버리는 역할이며, 증발기는 실내기로 부르는 구성으로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시원하게 유지하는 역할이다.
이를 통해서 무더운 여름날에 가정에서 에어컨을 가동하여 실내의 공기를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산업에서는 신선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식품산업에서도 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처리하여 취급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냉동사이클을 적재적소에 활용하여 특정 목적을 달성한다.
냉동사이클장치에서 응축기를 통과하는 냉매는 열을 방출하여서 낮은 열에너지 가지고, 응축기 주변의 공기는 열을 공급받아 더 높은 열에너지를 가진다. 그리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는 열을 공급받아 높은 열에너지를 가지고, 증발기 주변의 공기는 열을 빼앗겨서 기온이 낮아진다.
이때, 증발기 주변의 공기는 온도가 낮아지면서 냉각되어 결로현상이 발생하는데,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던 수증기가 이슬점에 이르러 액화되면서 물방울이 되며, 이를 응축수라 한다. 냉동기가 지속적으로 가동됨에 따라 응축수가 계속 생성된다.
통상 증발기는 시원한 기류를 공급하기에 실내에 있는 경우가 많은데, 증발기에서 결로현상으로 발생한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해서 응축수를 담는 별도의 용기가 구비되고, 용기에 드레인관이 연통되며, 드레인관을 통해 응축수를 실외공간이나 별도의 처리 공간으로 배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응축수의 처리방법은 냉동기의 설치 환경에 따라서 실외공간으로 연통하기 위한 드레인관이 매우 길어야 하는 경우가 있고, 미관상으로 지저분해지고 정리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으며, 더욱이 실외공간으로 연통할 수 없는 제약도 존재한다.
따라서 등록특허공보 제10-1399268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에 따르면,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해 응축수를 흡수하는 응축수 증발부재가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하우징 내부의 팬에 의해 외기를 흡입하여 응축수 증발부재로 송풍하여 응축수를 증발시킨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외기를 통해 증발시켜서 처리한다. 그러나, 응축수가 과도하게 발생하는 경우에 증발시키는 방식으로는 한계용량이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드레인 호스를 구비하여 외부로 배출하고자 하였으나 이는 기존 방식인 드레인관을 통해 응축수를 실외로 배출하고자 하는 구성에 크게 다름이 없다.
따라서, 냉동기의 설치장소와 환경에 따라서 응축수의 발생량이 크게 달라지는 상황 속에서 응축수를 액상으로 배출하는 드레인관과 같은 구성이 없이도 다양한 배출량을 포괄적으로 커버하여 응축수를 증발시킬 수 있으면서도 부피가 작은 응축수 증발장치의 개발이 대두된다.
KR 10-1399268 (B1) 2014.05.19. KR 10-0845312 (B1) 2008.07.0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에서 결로현상으로 발생하는 응축수를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기류를 통해 증발시키되, 하우징 내에 구비된 스펀지로 흡수되도록 하고 기류를 스펀지를 관통하게 하여 스펀지 내에서 확산하는 응축수를 더욱 빠르게 증발시키며, 스펀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하가 반전되게 회전시킴으로써 스펀지 속에서 확산되며 하강하는 응축수의 체류시간을 증대시켜 적은 부피로도 많은 양의 응축수를 증발처리할 수 있는 응축수 증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다수 면이 개방되어 있고 각 모서리에서 돌출되는 결합대가 중심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디스크기어와 결합되어 있으며 프레임과 디스크기어의 외부에 배치된 회전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기류가 프레임과 디스크기어를 관통하는 개방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류와 응축수가 접촉되는 면적이 확대되어 증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응축수 증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송풍면 후방에 송풍기가 배치되고 송풍기는 스펀지가 수용되는 프레임을 회전모터가 회전시키기 위한 매개가 되는 디스크기어가 송풍기와 결합되어, 냉동기의 가동이 정지된 이후 하우징 내의 습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회전모터를 구동하여 프레임과 송풍기를 동시에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스펀지 내부의 응축수가 탈수되면서 송풍기에 의해 생성된 바람에 의해 증발되는 응축수 증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상부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유입가이드가 하우징의 내면과 이격되어 있는 스펀지로 낙하하여 흡수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는 응축수 증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펀지의 내부에 경질의 유동가이드가 구비되어 스펀지 내부에서 하강하는 응축수가 유동가이드를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므로 스펀지의 흡수면적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응축수의 스펀지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증발효율이 향상되는 응축수 증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동기의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응축수가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냉동기의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기류가 통과하는 통풍면(110)이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다수의 면이 개방되되 응축수는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내부로 낙하하고 기류는 개방된 전,후면을 관통하고, 전면 및 후면을 향해 각각 돌출되는 결합대(210)가 모서리에 다수 형성되는 프레임(200); 상기 프레임(2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200)과 함께 회전하며, 응축수가 상부에서 낙하하여 내부로 흡수되어 전,후면을 관통하는 기류가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스펀지(300); 상기 프레임(20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대(210)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통풍면(110)과 연통되게 배치되고, 중심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기류가 관통하며,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디스크기어(4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상기 프레임(200)의 외부에 배치되며, 동축으로 연결된 모터기어(510)가 상기 디스크기어(400)와 치합되고, 상기 냉동기의 가동시에 상기 프레임(20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스펀지(300)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하로 반전시키는 회전모터(5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스크기어(400)의 전면과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기어(400)와 함께 회전하며, 중심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관통공(610)을 통하여 기류가 관통하고, 상기 관통공(61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블레이드(620)가 회전하여 상기 관통공(610)과 통풍면(110)을 동시에 관통하는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기(6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동기의 가동이 정지되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제어부(700)에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710)로부터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상태를 전송받아 습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회전모터(500)를 고속으로 구동하여 상기 스펀지(300) 및 송풍기(600)를 동시에 회전시켜 탈수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과 이격되게 배치된 스펀지(3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가이드(120)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펀지(300)의 내부에는 응축수의 하강경로를 지그재그로 형성하여 상기 스펀지(300) 내부에서의 체류시간을 연장하는 유동가이드(310)가 다수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수가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13)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고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케이싱(110)이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를 흡수하는 스펀지(300)가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펀지(300)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상기 스펀지(300)를 따라 떨어지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물받이벽(16)가 구비되되 상기 물받이벽(16)에는 상기 케이싱(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세워진 물받이벽(16)벽이 상기 스펀지(300)의 전,후면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전처리모듈(10);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처리모듈(10)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다단으로 배치되되 상기 스펀지(300)가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어느 하나의 케이싱(110)에 형성된 배출구(14)는 다른 하나의 케이싱(110)에 형성된 유입구(13)와 연통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면과 연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증발장치는 증발기에서 결로현상으로 발생하는 응축수를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기류를 통해 증발시키되, 하우징 내에 구비된 스펀지로 흡수되도록 하고 기류를 스펀지를 관통하게 하여 스펀지 내에서 확산하는 응축수를 더욱 빠르게 증발시키며, 스펀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하가 반전되게 회전시킴으로써 스펀지 속에서 확산되며 하강하는 응축수의 체류시간을 증대시켜 적은 부피로도 많은 양의 응축수를 증발처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다수 면이 개방되어 있고 각 모서리에서 돌출되는 결합대가 중심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디스크기어와 결합되어 있으며 프레임과 디스크기어의 외부에 배치된 회전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기류가 프레임과 디스크기어를 관통하는 개방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류와 응축수가 접촉되는 면적이 확대되어 증발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송풍면 후방에 송풍기가 배치되고 송풍기는 스펀지가 수용되는 프레임을 회전모터가 회전시키기 위한 매개가 되는 디스크기어가 송풍기와 결합되어, 냉동기의 가동이 정지된 이후 하우징 내의 습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회전모터를 구동하여 프레임과 송풍기를 동시에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스펀지 내부의 응축수가 탈수되면서 송풍기에 의해 생성된 바람에 의해 증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상부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유입가이드가 하우징의 내면과 이격되어 있는 스펀지로 낙하하여 흡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펀지의 내부에 경질의 유동가이드가 구비되어 스펀지 내부에서 하강하는 응축수가 유동가이드를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므로 스펀지의 흡수면적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응축수의 스펀지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증발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응축수 증발장치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응축수 증발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응축수 증발장치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응축수 증발장치에서 응축수가 스펀지에 흡수되어 하강하는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응축수가 스펀지를 따라 하강하여 스펀지 하부에 위치한 상태의 정면도, (b)는 도 4(a)의 상태에서 스펀지를 상하로 반전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응축수 증발장치에서 스펀지 내부에 형성되는 유동가이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유동가이드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 모습의 정면도, (b)는 유동가이드가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된 모습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응축수 증발장치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응축수 증발장치에서 스펀지를 회전시키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응축수 증발장치에서 전처리모듈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측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응축수 증발장치에서 전처리모듈을 포함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증발장치는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냉동기에 있어서 증발기에서 결로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응축수가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냉동기의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기류가 통과하는 통풍면(110)이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다수의 면이 개방되되 응축수는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내부로 낙하하고 기류는 개방된 전,후면을 관통하고, 전면 및 후면을 향해 각각 돌출되는 결합대(210)가 모서리에 다수 형성되는 프레임(200);
상기 프레임(2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200)과 함께 회전하며, 응축수가 상부에서 낙하하여 내부로 흡수되어 전,후면을 관통하는 기류가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스펀지(300);
상기 프레임(20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대(210)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통풍면(110)과 연통되게 배치되고, 중심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기류가 관통하며,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디스크기어(4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상기 프레임(200)의 외부에 배치되며, 동축으로 연결된 모터기어(510)가 상기 디스크기어(400)와 치합되고, 상기 냉동기의 가동시에 상기 프레임(20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스펀지(300)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하로 반전시키는 회전모터(500);를 포함한다.
냉동사이클을 구비한 냉동기는 증발기와 응축기에서 이뤄지는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은 곳에서의 열에너지를 높은 곳으로 배출한다. 증발기에서는 냉매가 증발기 주변의 열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서 액화된다.
결로현상으로 인해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기류를 이용하여 응축수를 증발시켜 기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스펀지(300)로 흡수한 후, 응축기에서 발생한 뜨거운 기류를 상기 스펀지(300)로 통과시키게 하여 스펀지(300)에 흡수된 응축수를 증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은 개방된 상부를 통해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유입되고, 전,후면으로 개방된 통풍면(110)을 통해서 응축기에서 발생한 뜨거운 기류가 유입된다. 상기 응축수과 뜨거운 기류가 만나게 되어 응축수를 증발한다.
응축수는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스펀지(300)로 흡수되며, 스펀지(300) 내부에서 중력에 의해 점차 하강한다. 스펀지(300)의 하단까지 하강하면서 미처 증발되지 못한 응축수는 여전히 액상으로 존재하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고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펀지(300)는 위, 아래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전되어 스펀지(300) 하부에 위치한 응축수가 다시 스펀지(3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중력에 의해 하강함으로써, 응축수가 스펀지(300)에 계류하는 시간이 매우 길게 되고 그 시간동안 충분히 응축기에서 발생한 뜨거운 기류에 노출됨으로써 액상으로 존재하는 응축수 없이 모두 증발되어 기화될 수 있다.
상기 스펀지(300)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하를 반전시키기 위하여, 스펀지(300)는 프레임(20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프레임(200)은 결합대(210)를 통해서 디스크기어(400)와 결합된다. 회전모터(500)가 상기 디스크기어(400)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프레임(200) 및 프레임(200) 내부의 스펀지(30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모터(500)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180°씩 회전시킴으로써 스펀지(300)는 상하가 반전된다.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은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와, 응축기에서 발생한 뜨거운 기류를 유입받는다. 상기 하우징(100)의 위치는 응축기의 위치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와 이격된 위치에 있는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별도의 관(미도시)를 통해 공급받는다.
통상, 증발기는 실내공간에 위치하고 응축기는 실외공간에 위치하므로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상기 응축기가 위치한 실외공간에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응축기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한 기류는 실외로 배출되어야 하고 하우징(100)을 통과한 뜨거운 기류도 스펀지(300)를 거쳐 실외로 배출되어야 하기에 응축기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는 응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부면에는 응축수를 스펀지(300)로 흡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입가이드(120)가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된 스펀지(300)의 전면 및 후면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가 하우징(100) 내면과 스펀지(300)가 이격된 공간으로 낙하하면 스펀지(300)에 흡수되지 못하고 하우징(100) 바닥면에 응축수가 증발되지 못한 채 고여 있기에, 상기 유입가이드(120)를 통하여 응축수가 하우징(100) 내면과 스펀지(300)가 이격된 공간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스펀지(300)의 상부로 떨어져서 흡수되도록 가이드한다.
도 6을 참고하여서, 상기 유입가이드(120)는 하향으로 경사진 면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유입슬릿(121)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슬릿(121)은 스펀지(300)의 직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면으로 유입된 응축수는 유입가이드(120)의 하향경사진 면을 따라 유입슬릿(121)으로 향하고, 스펀지(300)의 직상부에 위치한 유입슬릿(121)을 통해 떨어져 하우징(100) 내면과 스펀지(300)가 이격된 공간이 아닌 스펀지(300) 내부로 흡수될 수 있다.
상기 유입슬릿(121)의 폭은 상기 프레임(200)의 상부면에서 노출된 스펀지(300)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슬릿(121)으로 하강하는 응축수는 상기 스펀지(300)의 외부로 튀지 않고 모두 상기 스펀지(300)에 흡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과 후면에는 기류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외부를 출입할 수 있도록 통풍면(110)이 형성된다. 상기 통풍면(110)을 통하여 응축기에서 발생한 뜨거운 기류가 하우징(100)을 출입하게 되고 응축수를 증발시킨다. 상기 통풍면(110)은 기류를 최대한 많이 받아들이기 위하여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200)은 응축수를 흡수하는 스펀지(300)를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스펀지(300)가 연질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스펀지(30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200)은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스펀지(300)를 상하로 반전시키기 위하여 회전하는데, 회전수단-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모터(500) 및 디스크기어(400)-를 연질의 스펀지(300)에 결합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아닌 경질의 프레임(200)에 결합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회전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견고한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0)은 내부에 스펀지(300)를 견고하게 파지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잘 밀착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펀지(300)로 응축수 및 기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면이 개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20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6면의 모든 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개방된 전면과 후면을 통하여 기류가 출입하며, 상하면 및 좌우면을 통해 응축수가 프레임(200)을 유입된다. 본 발명에서 응축수는 상부에서 떨어지므로 개방된 상면에서 응축수가 유입되지만, 프레임(200)이 회전함에 따라 반전되므로 상면은 하면으로, 하면은 상면으로 위치가 가변되기에 상,하면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200)이 회전하여 반전되면서 좌면은 우면으로, 우면은 좌면으로 배치되지만 반전되는 동작속도를 느리게 할 경우 좌,우면이 상면에 잠깐 위치하게 됨으로, 반전되는 순간에 개방된 좌,우면으로 상부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유입받을 수 있다. 그러나, 반전되는 동작시간을 빠르게 하면 좌,우면으로 유입되는 응축수의 양이 최소로 되기에 좌우면은 개방되지 않고 밀폐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프레임(2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펀지(300)도 상기 프레임(2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상의 육면체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펀지(300) 및 스펀지(300)를 지지하는 프레임(200)이 하우징(10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며, 응축수 및 기류가 출입가능하면 어떤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프레임(200)의 각 모서리에는 결합대(210)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프레임(200)의 전면에 위치한 결합대(210)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면 모서리에 위치한 결합대(210)는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결합대(210)는 프레임(200)이 하우징(10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프레임(200)의 후면에 위치한 결합대(210)는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에 형성된 통풍면(110)의 내경에 지지된다. 그리고, 프레임(200)의 전면에 위치한 결합대(210)는 디스크기어(400)와 결합되고, 디스크기어(400)는 송풍기(600)를 매개로 하여서 하우징(100)의 전면에 형성된 통풍면(110)의 내경에 지지된다.
상기 프레임(200)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대(210)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결합대(210)를 지지하는 통풍면(110)은 정원형으로 형성되나, 일실시예로서 프레임(200)의 후면이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면의 각 모서리-꼭지점- 에서 돌출된 결합대(210)는 정원형상의 통풍면(110)에 지지된다.
상기 프레임(200)이 회전하여도 상기 통풍면(110)에 지지받기 위하여, 상기 마주보는 대각선에 위치한 결합대(210) 사이의 거리는 통풍면(110)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200)이 회전하여도 마주보게 대각에 위치한 결합대(210) 사이의 거리는 통풍면(110)의 지름과 일치하므로 프레임(200)의 회전에 있어서 간섭이 없고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다. 도 3를 참고하여 하우징(100)을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로 본다면, 정사각 형상의 프레임(200)의 후면은 하우징(100) 후면에 위치한 정원형상의 통풍면(110)에 내접한다. 즉, 통풍면(110)의 원은 프레임(200)의 사각형에 외접하는 원이다.
이와 같은 관계는 프레임(200)의 전면에 위치한 결합대(210)와 하우징(100)의 전면에 위치한 통풍면(110)과도 동일하다. 프레임(200)의 전면 및 후면의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고, 하우징(100)의 전면 및 후면의 통풍면(110)의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기에, 프레임(200)의 정사각형상의 전면은 상기 하우징(100) 정원형의 통풍면(110)에 내접한다. 그러나, 프레임(200)의 전면에 위치한 결합대(2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 위치한 통풍면(110)과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디스크기어(400) 및 송풍기(600)를 거쳐 지지되기에 결합관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하우징(100) 전면의 결합대(210), 디스크기어(400) 및 송풍기(600)의 결합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에 끼워지는 스펀지(300)는 응축수를 유입받아 흡수하는 구성이다. 응축수는 증발기의 열교환기 부근에서 형성되고 본 발명의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면으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가이드(120)를 통해서 상기 스펀지(300)의 직상부에서 떨어져서 스펀지(300) 내부로 흡수된다. 그리고,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기류는 상기 스펀지(300)의 전면과 후면을 통과하면서 상기 스펀지(300) 내부에 계류하는 응축수를 증발시킨다.
응축수는 스펀지(300)의 상부면에서 내부로 흡수되며, 상기 스펀지(300)의 내부에서 전방향으로 확산되고, 중력에 의해 점차 하강한다. 응축수가 상기 스펀지(300)의 하단 부근까지 하강하면서 하우징(100) 내부로 출입하는 기류에 의해 증발되어 기화되고 대기중으로 날아간다. 미처 증발되지 못한 응축수는 상기 스펀지(300)의 하단에서 떨어져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도 4는 스펀지(300)의 내부에 흡수된 응축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a)에서 하부의 촘촘한 점들은 스펀지(300) 내부에 흡수된 응축수가 밀접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상부에 뜨문뜨문 형성된 점들은 응축수가 많이 분포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스펀지가 반전되어 뒤집힌 형상이다.
도 4를 참고하여본 발명은 응축수가 증발되지 못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고여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응축수를 상기 스펀지(300)에 오랜 시간동안 계류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대한 수단으로 스펀지(300)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하를 반전시킨다. 상기 스펀지(300)의 하단 부근까지 하강하였으나 미처 증발되지 못한 응축수는 상기 스펀지(300)가 반전되면서 다시 스펀지(3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다시 스펀지(300)를 따라 하강하면서 기류와 만나 접촉하여 증발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응축수는 증발될 때까지 스펀지(300)에 흡수된 채로 계류할 수 있다.
스펀지(300)는 흡수성이 뛰어나므로 응축수가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고여서 응집하여 있는 것보다 스펀지(300) 내부에서 확산되어 분포되어 있는 것이 더욱 빨리 증발될 수 있다.
응축수는 스펀지(300) 내부에서 스펀지(300)의 흡수력에 의해 전방향으로 확산되어 스펀지(300)의 전면적으로 분포되지만 중력에 의한 힘에 의하여 응축수의 주요 경로는 하강하는 경로이다. 따라서 스펀지(300)의 상하 높이에 따라 응축수가 스펀지(3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하강하는 시간이 결정된다.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스펀지(300)는 응축수의 하강속도를 지연시키고 오래 계류시켜 충분히 증발될 수 있도록 스펀지(300) 내부에 유동가이드(3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응축수를 흡수하는 스펀지(300)의 소재와는 달리 응축수를 흡수하지 않으며, 응축수가 상기 유동가이드(31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직하방으로 하강하는 것이 아닌 좌우 지그재그로 유동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도 5(a)와 같이 좌측과 우측에서 서로 번갈아가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 5(b)와 같이 마름모 형상의 유동가이드(310)가 서로 엇갈리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상부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의 스펀지(300)의 상하면이 반전되면 상부 경사면은 하부면이 되고 하부 경사면은 상부면이 되기에, 상향 경사진 하부면이 반전되어 하향 경사진 상부면이 된다. 따라서 반전되어도 하향 경사진 면을 따라서 응축수의 하강경로가 지그재그 유동을 그리며 하강하여서 스펀지(300) 내부에서의 체류시간이 연장되고, 증발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확보된다.
도 2, 도 4 및 도 6를 참고하여 상기 프레임(200)의 전면에 형성된 결합대(210)는 디스크기어(400)와 결합한다. 상기 디스크기어(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정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디스크기어(400)는 중심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개방되고,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기어가 형성된다. 개방된 중심부를 통해서 기류가 상기 디스크기어(400)를 관통한다. 개방된 중공의 중심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통풍면(110)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상기 디스크기어(400)는 회전모터(500)에 구비된 모터기어(510)와 치합되고, 회전모터(500)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디스크기어(400)가 회전모터(500)에 의해 회전하면서, 결합대(210)를 통해 연결된 프레임(200)을 회전시킨다.
회전모터(500)는 상기 디스크기어(400)의 중심축에 결합되지 않고 기어가 형성된 외주면과 치합되기에 상기 디스크기어(400)는 중심부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류가 상기 디스크기어(400)를 통과할 수 있는 개방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많은 기류량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기류가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출입할 때 충돌하는 구성이 없으며, 방해받지 않고 하우징(100)을 출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00)과 디스크기어(400)도 결합대(210)를 통해 결합되므로, 상기 디스크기어(400)와 결합대(210)가 회전 중심축으로 결합되지 않고서도 디스크기어(400)의 회전을 상기 결합대(210)를 통해 프레임(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기류가 디스크기어(400)의 중심부 및 프레임(200)의 넓게 확보된 개방된 면으로 출입하기에 유동을 방해받지 않고 많은 양이 출입하여서, 스펀지(300) 내부에 흡수된 응축수를 더욱 강하게 증발시킬 수 있다.
도 2, 도 6 및 도 7를 참고하여 상기 디스크기어(40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5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기어(400) 및 프레임(200)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모터(500)의 배치 위치가 기류가 하우징(100) 및 스펀지(300)를 출입하는 부분에 있지 않아 기류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회전모터(500)의 축과 결합되는 모터기어(510)는 상기 디스크기어(400)와 치합된다. 상기 회전모터(500)가 구동되면 모터기어(510)가 회전하여 디스크기어(400)를 회전시킨다. 도 6에서 회전모터(500)는 디스크기어(400)의 하부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측단면도인 도 6에서 회전모터(500)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회전모터(500)의 실제 위치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기어(40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모터(500)는 회전구동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200) 속에 장착된 스펀지(300)를 상하로 반전시킨다. 회전모터(500)는 모터기어(510) 및 디스크기어(400)의 기어비를 고려하여서 상기 프레임(200)이 180°로 반전될 수 있도록 구동된다. 또한,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구동되고 정지되고를 반복한다.
상기 스펀지(300)에서 응축수가 상단에서 하단까지 하강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스펀지(300)의 상단의 응축수가 하단에 도달할 때 회전모터(500)가 구동되어 스펀지(300)를 180°로 회전시키고, 재차 상단에 위치된 응축수가 상기 다시 또 하단에 도달할 때 회전모터(500)가 구동되어 스펀지(300)를 180°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구동과 정지를 반복하여서 응축수를 상기 스펀지(300)에 오래도록 계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모터(500)는 단일 구동에 프레임(200)을 180°씩 반전시킬 수 있으나, 또는 연속적으로 계속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상기 냉동기의 동작이 정지되어 응축기에서 뜨거운 기류가 더이상 발생하지 않을 때, 상기 스펀지(300) 내부에 흡수된 응축수를 탈수시키기 위하여 고속으로 회전시키고자 함이다. 이에 대하여는 송풍기(600)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기어(400)의 전면에는 송풍기(600)가 구비된다. 상기 송풍기(600)는 냉동기의 작동이 정지되어, 응축기에서 뜨거운 기류가 더이상 생성되지 않을 시에 회전하여서 상기 스펀지(300)로 송풍하여 잔여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송풍기(600)는 중심부가 개방된 관통공(610)이 형성되고, 송풍을 일으키는 블레이드(620)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10)을 통하여 기류가 상기 송풍기(600)를 통과하고, 블레이드(620)에서 형성된 송풍방향을 따라 유동한다.
상기 관통공(610) 내경의 크기는 상기 디스크기어(400)의 중심부 내경과 동일하여 상호 연통된다. 종래의 송풍기(600)는 중심축에 모터가 연결되고 모터축과 연결된 블레이드(620)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송풍기(600)는 회전력을 디스크기어(400)로부터 전달받고 블레이드(620)가 원주방향에 배열되어 있기에 중심부(관통공(610))에 배치되는 다른 구성이 없어 기류가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개방 면적을 제공한다.
상기 송풍기(600)의 관통공(610)은 상기 하우징(100) 전면에 형성된 통풍면(110)과 연통되어 있어 기류는 상기 통풍면(110)과 관통공(610)을 동시에 통과한다.
냉동기가 가동중일 때는 응축기에서 뜨거운 기류가 발생하여 본 발명의 하우징(100)으로 공급되어 응축수를 증발시키지만 냉동기가 가동 정지되면 응축기에서 뜨거운 기류가 발생하지 않아 하우징(100)으로 공급되는 기류가 없기 때문에, 회전모터(500)를 구동시켜 디스크기어(400)를 빠르게 연속적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디스크기어(400)와 결합된 송풍기(600)도 회전하면서 송풍을 생성하여 상기 스펀지(300)로 공급하므로 냉동기가 가동되고 있지 않더라도 스펀지(300) 내부의 응축수를 증발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기(6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 위치한 통풍면(1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지지된다. 이때, 송풍기(600)와 상기 통풍면(110)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200)의 후면에 위치한 결합대(210)는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에 위치한 통풍면(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200)의 전면에 위치한 결합대(210)는 상기 디스크기어(400)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기어(400)는 송풍기(600)와 결합되며, 상기 송풍기(600)가 하우징(100)의 전면에 위치한 통풍면(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우징(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710)가 구비되고, 상기 온습도센서(710)의 측정값을 전송받는 제어부(700)가 구비된다.
도 7를 참고하여, 상기 제어부(700)는 냉동기의 가동유무를 인식하여 회전모터(500)의 가동을 제어한다. 상기 냉동기가 가동되고 있으면, 상기 제어부(700)에서 냉동기의 가동을 인식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프레임(200)이 180°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모터(500)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냉동기의 가동이 정지된 것을 인식하면 상기 온습도센서(710)로부터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전송받는다. 이후, 습도 및 온도를 고려하여 상기 스펀지(300) 내부에 습도가 높다고 판별되면, 상기 회전모터(500)를 고속으로 계속 가동하여 상기 스펀지(300)와 송풍기(600)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상기 스펀지(300)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내부의 응축수를 원심력으로 탈수시키고, 상기 송풍기(600)에서 송풍을 생성하여 상기 스펀지(300) 및 하우징(100) 내부를 건조시킨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증발장치는 상기 하우징(100)으로 응축수가 유입되기 전 앞서서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전처리모듈(10)이 구비된다. 상기 전처리모듈(10)은 냉동기가 대형인 경우 발생하는 많은 양의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전처리모듈(10)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탈장착되게 올려지는 케이싱(110)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싱(110)은 상부면에 응축수를 받아들이는 유입구(13)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3)를 통해 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되고, 하부에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4)를 통하여 케이싱(110)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10)의 전,후면에는 응축기에서 형성되는 뜨거운 기류가 상기 케이싱(110)을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면(12)이 형성된다.
도 8(a)에는 유입구(13)가 도시되어 있고 배출구(14)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케이싱(11)의 상부에 유입구(13)가 다수 배열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케이싱(11)의 하부에 배출구(13)도 다수 배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는 응축수를 흡수하는 스펀지(300)가 구비되고, 상기 스펀지(300)는 상기 케이싱(110) 내부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물받이벽(16)에 거치된다. 또한, 상기 스펀지(300)는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상기 스펀지(30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물받이벽(16)도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입구(13)는 상기 스펀지(300)의 직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되는 응축수가 상기 스펀지(300)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케이싱(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4)는 상기 스펀지(300)가 치우친 배치위치와는 반대에 형성된다.
상기 물받이벽(16)는 상기 케이싱(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세워져 형성되는 물받이벽(16)벽이 형성된다. 상기 물받이벽(16)벽은 상기 스펀지(300)의 전,후면과 이격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스펀지(300)의 전,후면과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에서 응축수가 유입되면 상기 스펀지(300)로 흡수되어 상기 스펀지(300)를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케이싱(110)의 전,후면을 통과하는 뜨거운 기류에 의하여 증발된다. 상기 스펀지(300)를 따라 하강하면서 미처 증발되지 못한 응축수는 상기 스펀지(300)를 지지하는 물받이벽(16)통에 점차 고이게 되고, 상기 물받이벽(16)벽의 높이보다 더 높은 수위로 형성되어 상기 물받이벽(16)에 넘쳐 흐르게 되어 상기 배출구(14)를 통해 케이싱(11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전처리모듈(10)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장착되므로, 상기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된 응축수는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고, 스펀지(300)에 흡수되어 재차 증발작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처리모듈(1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서 다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모듈(10)이 다단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있는 전처리모듈(10)에 형성된 배출구(14)는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면과 연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전처리모듈(10)의 상부에 올려지는 다른 하나의 전처리모듈(10)에 형성된 배출구(14)는 하부의 전처리모듈(10)의 유입구(13)와 연통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올려지는 복수개의 전처리모듈(10)의 스펀지(300)들은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최상단에 배치된 전처리모듈(10)의 물받이벽(16)에 넘쳐흐르는 물은 배출구(14) 및 유입구(13)를 통해 하부에 배치된 전처리모듈(10)의 스펀지(300)로 유입된다.
상기 전처리모듈(10)은 산업용과 같은 대형으로 구비되는 냉동기에서 많은 양의 응축수가 발생할 경우에 필요한 용량에 따라서 그 배치갯수를 구비하며, 가장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100)에서 응축수를 증발시키면서 잔여 응축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하우징(100)의 상부에 배치된 전처리모듈(10)을 통해 응축수가 증발되고 난 후, 상기 하우징(100)에서 미처 증발되지 못한 응축수를 최종적으로 증발시키게 되므로, 증발효율이 향상되며 응축수 증발을 위한 장치의 부피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실내용 냉동기와 같이 응축수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처리모듈(10)을 장착하지 않고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00) 내부의 스펀지(300)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전되어 응축수를 증발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붙잡고 있으므로, 발생되는 응축수 양에 대비하여 적은 부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간의 효율성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100)이 실외기와 같은 응축장치 내부에 배치되어도,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응축수를 처리할 수 있기에 바람직하다.
또한, 냉동기 정지되어 응축기에서 더이상 뜨거운 기류가 생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하우징(100) 자체에서 송풍기(600)를 통하여 기류를 생성하여 잔여 응축수를 증발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를 건조시켜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10:전처리모듈 11:케이싱 12:개방면 13:유입구 14:배출구
15:물받이 16:물받이벽
100:하우징 110:통풍면 120:유입가이드 121:유입슬릿
200:프레임 210:결합대
300:스펀지 310:유동가이드
400:디스크기어
500:회전모터 510:모터기어
600:송풍기 610:관통공 620:블레이드
700:제어부 710:온습도센서

Claims (7)

  1. 냉동기의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응축수가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냉동기의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기류가 통과하는 통풍면(110)이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다수의 면이 개방되되 응축수는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내부로 낙하하고 기류는 개방된 전,후면을 관통하고, 전면 및 후면을 향해 각각 돌출되는 결합대(210)가 모서리에 다수 형성되는 프레임(200);
    상기 프레임(2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200)과 함께 회전하며, 응축수가 상부에서 낙하하여 내부로 흡수되어 전,후면을 관통하는 기류가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스펀지(300);
    상기 프레임(20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대(210)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통풍면(110)과 연통되게 배치되고, 중심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기류가 관통하며,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디스크기어(4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상기 프레임(200)의 외부에 배치되며, 동축으로 연결된 모터기어(510)가 상기 디스크기어(400)와 치합되고, 상기 냉동기의 가동시에 상기 프레임(20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스펀지(300)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하로 반전시키는 회전모터(500);를 포함하는
    응축수 증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기어(400)의 전면과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기어(400)와 함께 회전하며, 중심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관통공(610)을 통하여 기류가 관통하고, 상기 관통공(61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블레이드(620)가 회전하여 상기 관통공(610)과 통풍면(110)을 동시에 관통하는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기(600);를 더 포함하는
    응축수 증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기의 가동이 정지되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제어부(700)에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710)로부터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상태를 전송받아 습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회전모터(500)를 고속으로 구동하여 상기 스펀지(300) 및 송풍기(600)를 동시에 회전시켜 탈수작업을 수행하는
    응축수 증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과 이격되게 배치된 스펀지(3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가이드(120)가 더 구비되는
    응축수 증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300)의 내부에는 응축수의 하강경로를 지그재그로 형성하여 상기 스펀지(300) 내부에서의 체류시간을 연장하는 유동가이드(310)가 다수 구비되는
    응축수 증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응축수가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13)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고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케이싱(110)이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를 흡수하는 스펀지(300)가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펀지(300)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상기 스펀지(300)를 따라 떨어지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물받이벽(16)가 구비되되 상기 물받이벽(16)에는 상기 케이싱(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세워진 물받이벽(16)벽이 상기 스펀지(300)의 전,후면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전처리모듈(10);을 더 포함하는
    응축수 증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모듈(10)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다단으로 배치되되 상기 스펀지(300)가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어느 하나의 케이싱(110)에 형성된 배출구(14)는 다른 하나의 케이싱(110)에 형성된 유입구(13)와 연통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면과 연통되는
    응축수 증발장치.
KR1020220085769A 2022-07-12 2022-07-12 응축수 증발장치 KR20240008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769A KR20240008658A (ko) 2022-07-12 2022-07-12 응축수 증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769A KR20240008658A (ko) 2022-07-12 2022-07-12 응축수 증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658A true KR20240008658A (ko) 2024-01-19

Family

ID=89717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769A KR20240008658A (ko) 2022-07-12 2022-07-12 응축수 증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865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312B1 (ko) 2007-04-05 2008-07-10 박승민 엘리베이터용 에어컨디셔너의 응축수 제거장치
KR101399268B1 (ko) 2007-08-17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312B1 (ko) 2007-04-05 2008-07-10 박승민 엘리베이터용 에어컨디셔너의 응축수 제거장치
KR101399268B1 (ko) 2007-08-17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9379B2 (ja) 冷蔵庫
KR102346450B1 (ko) 수냉식 공조기에 기반한 이중 순환 풍냉 시스템 및 이의 수냉식 냉풍기
KR101338619B1 (ko) 공기조화기
KR20180098943A (ko) 개인용 에어컨
KR101231278B1 (ko) 제습기
KR20240008658A (ko) 응축수 증발장치
KR101235126B1 (ko) 쇼케이스의 응축수 증발장치
JP2004293872A (ja) ヒートポンプ及び熱利用装置
JP3136955U (ja) クーラにおける排水処理構造
CN104729195B (zh) 空间调湿装置及具有其的冰箱
JP2004028481A (ja) 除湿機
JP2009024927A (ja) 空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用の空調装置
KR101373027B1 (ko) 김 건조기
KR101534533B1 (ko)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JP2008309427A (ja) 冷蔵庫
KR200238250Y1 (ko) 제습기
KR0111176Y1 (ko) 가습기능을 가진 이동식 공기 조화기
WO2023228236A1 (ja) 空気調和装置
JP2004028482A (ja) 除湿機
KR20190084588A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JPS58153028A (ja) 冷風扇
KR200238251Y1 (ko) 제습기
KR101960806B1 (ko) 냉각장치의 응축수 증발장치
KR200148713Y1 (ko) 창문형 에어컨의 배수구조
KR20000033353A (ko) 냉장고 기계실의 공기 유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