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852A -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852A
KR20240007852A KR1020220084470A KR20220084470A KR20240007852A KR 20240007852 A KR20240007852 A KR 20240007852A KR 1020220084470 A KR1020220084470 A KR 1020220084470A KR 20220084470 A KR20220084470 A KR 20220084470A KR 20240007852 A KR20240007852 A KR 20240007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pattern
display device
bridge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승화
김도엽
정승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852A/ko
Priority to US18/321,612 priority patent/US20240015908A1/en
Priority to CN202310783781.5A priority patent/CN117373344A/zh
Priority to EP23182723.9A priority patent/EP4303694A1/en
Publication of KR2024000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85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면 및 제2 면, 상기 제1 면에 위치하고,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외측 패턴, 및 상기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내측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패턴과 상기 내측 패턴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SUPPORTING MEMBER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본 개시는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이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휴대 전화, 네비게이션, 디지털 사진기, 전자 북, 휴대용 게임기, 또는 각종 단말기 등과 같이 다양한 전자 기기들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경량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고,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휘거나 접는 것이 가능한 가요성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가요성 표시 장치는 유리 기판 대신 플라스틱 등과 같은 가요성 기판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보호를 위해 표시 패널의 일측 면에 지지 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장치를 접거나 구부리는 과정에서 지지 부재의 폴딩 영역에는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으며, 표시 장치의 내구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시예들은 가요성 표시 장치를 접거나 구부리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면 및 제2 면, 상기 제1 면에 위치하고,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외측 패턴, 및 상기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내측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패턴과 상기 내측 패턴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평면 상에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3 영역에서 제1 방향에 나란한 폴딩 축을 따라 접히고, 상기 외측 패턴 및 상기 내측 패턴은 상기 제3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면이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면이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패턴은 상기 지지 부재의 제1 면의 표면으로부터 패여 있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패턴은 상기 지지 부재의 제2 면의 표면으로부터 패여 있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패턴과 상기 내측 패턴이 중첩하는 부분에 상기 지지 부재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패턴 및 상기 내측 패턴은 평면 상에서 막대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도록 복수의 외측 패턴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도록 복수의 내측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외측 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 브릿지, 및 상기 복수의 내측 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브릿지와 상기 내측 브릿지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브릿지와 상기 내측 브릿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의 두께에 대한 상기 외측 패턴의 깊이의 비율은 60% 이상이고, 70% 이하이고, 상기 지지 부재의 두께에 대한 상기 내측 패턴의 깊이의 비율은 30% 이상이고, 4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외측 패턴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내측 패턴은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서로 중첩하는 제1 서브 지지 부재 및 제2 서브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패턴은 상기 제1 서브 지지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패턴은 상기 제2 서브 지지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서브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지지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 면 위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면 및 제2 면, 상기 제1 면에 위치하고,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외측 패턴, 및 상기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내측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패턴과 상기 내측 패턴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평면 상에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3 영역에서 제1 방향에 나란한 폴딩 축을 따라 접히고, 상기 외측 패턴 및 상기 내측 패턴은 상기 제3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면이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면이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패턴은 상기 지지 부재의 제1 면의 표면으로부터 패여 있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패턴은 상기 지지 부재의 제2 면의 표면으로부터 패여 있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패턴과 상기 내측 패턴이 중첩하는 부분에 상기 지지 부재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패턴 및 상기 내측 패턴은 평면 상에서 막대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도록 복수의 외측 패턴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도록 복수의 내측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외측 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 브릿지, 및 상기 복수의 내측 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브릿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브릿지와 상기 내측 브릿지는 지그재그 형태 또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요성 표시 장치를 접거나 구부리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접은 상태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의 일측 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의 타측 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X-X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XI-X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서 XII-XII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의 XII-XI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참고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의 일측 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의 타측 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서 XXII-XXII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XXII-XXI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에서 XXIV-XXIV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2의 XXIV-XXIV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의 일측 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의 타측 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에서 XXX-XXX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도 29에서 XXXI-XXXI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접은 상태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0), 표시 패널(100)의 일측 면 위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2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과 지지 부재(200) 사이에는 보호 부재(101)가 더 위치할 수 있고, 보호 부재(101)와 지지 부재(200) 사이에는 접착 부재(102)가 더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두 변과 제1 방향(DR1)에 수직한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두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표시 패널(100)의 평면 형상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00)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의 코너부는 곡선 또는 직선으로 모따기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수직한 제3 방향(DR3)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가요성 물질로 이루어져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렛쳐블(stretch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100)이 폴더블한 경우를 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접기 전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접은 후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방향(DR1)에 나란한 폴딩 축(FA)을 따라 접힐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을 접은 상태에서 폴딩 축(FA)의 양측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100)의 부분들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100)의 화상이 표시되는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화상이 표시되는 면이 바깥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을 수도 있다. 또한, 폴딩 축(FA)의 양측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100)의 부분들이 소정의 각을 가지도록 접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폴딩 축(FA)의 양측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100)의 부분들이 약 45도, 약 90도, 또는 약 135도를 각을 가지는 상태에서 고정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기판, 및 기판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및 이에 연결되어 있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는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다만, 표시 패널(10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00)은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전기 습윤 표시 패널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은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Micro LED)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표시 패널, 양자점 유기 발광 다이오드(QD-OLED) 표시 패널 등의 차세대 표시 패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표시 패널(100) 위에는 편광층, 커버 윈도우 등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표시 패널(10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0)와 표시 패널(100)은 제3 방향(DR3)으로 인접하도록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표시 패널(100)과 유사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200)는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두 변과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두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부재(200)와 표시 패널(100)의 평면 형상이 상이할 수도 있다.
지지 부재(200)는 가요성 물질로 이루어져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렛쳐블(stretch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00)가 폴더블한 경우를 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지지 부재(200)는 제1 방향(DR1)에 나란한 폴딩 축(FA)을 따라 접힐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제1 영역(LA1)과 제2 영역(LA2) 및 제1 영역(LA1)과 제2 영역(LA2)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OA)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0)의 제3 영역(OA)은 폴딩 축(FA)을 따라 접힐 수 있다. 지지 부재(200)의 제1 영역(LA1) 및 제2 영역(LA2)은 접히지 않고, 플랫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를 접은 상태에서 제1 영역(LA1)과 제2 영역(LA2)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면(201) 및 제2 면(20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0)의 제1 면(201)보다 제2 면(202)이 표시 패널(100)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0)의 제2 면(202)은 접착 부재(102)와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접은 상태에서 지지 부재(200)의 제1 면(201)은 최외측에 위치하여 나머지 구성요소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200)의 제2 면(202)은 제1 면(201)보다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지지 부재(200)의 제1 면(201)을 외측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면(202)을 내측면이라 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금속 물질 또는 비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부재(200)가 비금속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아라미드 섬유 강화 플라스틱(AFRP, Aramid Fiber Reinforced Plasti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 부재(101)는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을 보호할 수 있다. 보호 부재(101)는 표시 패널(100)과 유사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호 부재(101)는 표시 패널(100)과 제3 방향(DR3)으로 서로 중첩할 수 있다. 보호 부재(101)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부재(101)는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102)는 보호 부재(101)와 지지 부재(200) 사이에 위치하여, 지지 부재(200)가 보호 부재(101)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접착 부재(102)는 표시 패널(100)과 유사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착 부재(102)는 표시 패널(100)과 제3 방향(DR3)으로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접으면, 지지 부재(200)는 표시 패널(100) 및 보호 부재(101)에 고정되어 함께 접힐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디지타이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는 그림이나 도형의 위치 관계를 부호화하여 입력하는 장치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부면 위에서 펜을 이동시키면 그 좌표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바꾸어 입력한다. 디지타이저는 그림, 도표, 설계 도면 등을 입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는 보호 부재(101) 또는 지지 부재(20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는 표시 패널(100)과 제3 방향(DR3)으로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200)에 대해 더욱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의 일측 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의 타측 면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제3 영역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제1 면 즉, 외측면을 나타내고,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제2 면 즉, 내측면을 나타낸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X-X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의 XI-X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에서 XII-XII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도 9의 XII-XI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제1 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00)는 제1 영역(LA1), 제2 영역(LA2), 및 제1 영역(LA1)과 제2 영역(LA2)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OA)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0)의 제3 영역(OA)은 폴딩 축(FA)을 따라 접힐 수 있다.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영역(LA1)과 제2 영역(LA2)은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는 제1 영역(LA1)과 제2 영역(LA2)이 제3 방향(DR3)으로 인접할 수 있으며, 서로 중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200)는 제3 영역(OA)에 위치하는 외측 패턴(210)을 포함한다. 외측 패턴(210)은 지지 부재(200)의 제1 면(201)에 위치할 수 있다. 외측 패턴(210)은 지지 부재(200)의 제1 면(201)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패여 있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패턴(210)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외측 패턴(210)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외측 패턴(210)의 평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복수의 외측 패턴(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측 패턴(210)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외측 패턴(210)은 제1 외측 패턴(212) 및 제2 외측 패턴(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 패턴(212)의 제1 방향(DR1)에 따른 길이는 제2 외측 패턴(214)의 제1 방향(DR1)에 따른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외측 패턴(214)의 제1 방향(DR1)에 따른 길이는 지지 부재(200)의 제1 방향(DR1)에 따른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외측 패턴(212)과 제2 외측 패턴(214)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수 번째 행에 제1 외측 패턴(212)이 배치될 수 있고, 짝수 번째 행에 제2 외측 패턴(214)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홀수 번째 행에 9개의 제1 외측 패턴(212)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짝수 번째 행에 1개의 제2 외측 패턴(214)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각 행에 배치되는 제1 외측 패턴(212)의 개수 및 제2 외측 패턴(214)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외측 패턴(212) 및 제2 외측 패턴(214)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rib)(230)와 리브(230)들 사이를 연결하는 외측 브릿지(216)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230)는 제1 외측 패턴(212)과 제2 외측 패턴(21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외측 패턴(212)과 제2 외측 패턴(214)은 리브(230)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외측 브릿지(216)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외측 패턴(2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외측 패턴(212)은 외측 브릿지(216)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지지 부재(200)의 제3 영역(OA)의 양측 단부를 살펴보면, 리브(230)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지지 부재(200)의 제3 영역(OA)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외측 패턴(210)은 오픈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0)의 제3 영역(OA)의 양측 단부에는 브릿지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200)는 제3 영역(OA)에 위치하는 내측 패턴(220)을 포함한다. 내측 패턴(220)은 지지 부재(200)의 제2 면(202)에 위치할 수 있다. 내측 패턴(220)은 지지 부재(200)의 제2 면(202)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패여 있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패턴(220)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내측 패턴(220)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내측 패턴(220)의 평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복수의 내측 패턴(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내측 패턴(220)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내측 패턴(220)은 제1 내측 패턴(222) 및 제2 내측 패턴(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 패턴(222)의 제1 방향(DR1)에 따른 길이는 제2 내측 패턴(224)의 제1 방향(DR1)에 따른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내측 패턴(224)의 제1 방향(DR1)에 따른 길이는 지지 부재(200)의 제1 방향(DR1)에 따른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내측 패턴(222)과 제2 내측 패턴(224)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짝수 번째 행에 제1 내측 패턴(222)이 배치될 수 있고, 홀수 번째 행에 제2 내측 패턴(224)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짝수 번째 행에 9개의 제1 내측 패턴(222)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홀수 번째 행에 1개의 제2 내측 패턴(224)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각 행에 배치되는 제1 내측 패턴(222)의 개수 및 제2 내측 패턴(224)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측 패턴(222) 및 제2 내측 패턴(224)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rib)(230)와 리브(230)들 사이를 연결하는 내측 브릿지(226)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230)는 제1 내측 패턴(222)과 제2 내측 패턴(22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내측 패턴(222)과 제2 내측 패턴(224)은 리브(230)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내측 브릿지(226)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내측 패턴(2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내측 패턴(222)은 내측 브릿지(226)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지지 부재(200)의 제3 영역(OA)의 양측 단부를 살펴보면, 리브(230)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지지 부재(200)의 제3 영역(OA)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내측 패턴(220)은 오픈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0)의 제3 영역(OA)의 양측 단부에는 브릿지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외측 패턴(210)과 내측 패턴(220)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200)의 제1 면(201)을 살펴보면, 외측 패턴(210)과 내측 브릿지(226)가 중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 외측 패턴(214)이 내측 브릿지(226)와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200)의 제2 면(202)을 살펴보면, 내측 패턴(220)과 외측 브릿지(216)가 중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 내측 패턴(224)이 외측 브릿지(216)와 중첩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0)의 제3 영역(OA)에서는 예를 들면 홀수 번째 행에는 제1 외측 패턴(212), 외측 브릿지(216), 및 제2 내측 패턴(224)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짝수 번째 행에는 제2 외측 패턴(214), 제1 내측 패턴(222), 및 내측 브릿지(226)가 위치할 수 있다.
외측 패턴(210)과 내측 패턴(220)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외측 패턴(210)과 내측 패턴(220)이 서로 중첩하는 위치에서는 지지 부재(200)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측 패턴(210)의 깊이와 내측 패턴(220)의 깊이의 합은 지지 부재(200)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외측 패턴(210) 및 내측 패턴(220)의 깊이, 지지 부재(200)의 두께 등에 대해서는 추후에 다시 설명하고자 한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200)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외측 패턴(210) 및 내측 패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패턴(210)들 사이에 리브(230) 및 외측 브릿지(216)가 위치할 수 있다. 내측 패턴(220)들 사이에 리브(230) 및 내측 브릿지(226)가 위치할 수 있다.
인접한 리브(230)는 외측 브릿지(21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내측 패턴(224)은 리브(230) 및 외측 브릿지(216)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내측 패턴(224)의 양 측면은 리브(230)에 의해 덮여 있고, 상부면은 외측 브릿지(216)에 의해 덮여 있을 수 있다. 제2 외측 패턴(214)과 제1 내측 패턴(222)은 서로 중첩하여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인접한 리브(230)는 내측 브릿지(22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외측 패턴(214)은 리브(230) 및 내측 브릿지(226)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외측 패턴(214)의 양 측면은 리브(230)에 의해 덮여 있고, 하부면은 내측 브릿지(226)에 의해 덮여 있을 수 있다. 제1 외측 패턴(212)과 제2 내측 패턴(224)은 서로 중첩하여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외측 패턴(210) 및 내측 패턴(220)은 지지 부재(200)에 소정의 가공을 진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블라스트 공정, 습식 식각 공정 등을 이용하여 지지 부재(200)에 외측 패턴(210) 및 내측 패턴(220)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0)의 제1 면(201)을 가공하여 외측 패턴(210)을 형성할 수 있고, 지지 부재(200)의 제2 면(202)을 가공하여 내측 패턴(220)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0)에 외측 패턴(210)을 형성하는 공정과 내측 패턴(220)을 형성하는 공정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측 패턴(210)을 형성하는 공정과 내측 패턴(220)을 형성하는 공정이 별도로 진행될 수도 있다.
외측 패턴(210)과 내측 패턴(220)이 서로 중첩하지 않은 부분에 외측 브릿지(216) 또는 내측 브릿지(226)가 위치할 수 있다. 외측 패턴(210)의 깊이(Do)는 외측 브릿지(216)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외측 패턴(210)의 깊이(Do)는 외측 브릿지(216)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외측 패턴(212)의 깊이와 제2 외측 패턴(214)의 깊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내측 패턴(220)의 깊이(Di)는 내측 브릿지(226)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내측 패턴(220)의 깊이(Di)는 내측 브릿지(226)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내측 패턴(222)의 깊이와 제2 내측 패턴(224)의 깊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외측 패턴(210)의 깊이(Do)와 내측 패턴(220)의 깊이(Di)의 합은 지지 부재(200)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외측 패턴(210)의 깊이(Do)와 내측 패턴(220)의 깊이(Di)의 합은 지지 부재(20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외측 패턴(210)의 깊이(Do)와 내측 패턴(220)의 깊이(Di)는 유사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측 패턴(210)의 깊이(Do)와 내측 패턴(220)의 깊이(Di)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200)의 두께에 대한 외측 패턴(210)의 깊이(Do)의 비율은 약 60% 이상이고, 약 70%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200)의 두께에 대한 내측 패턴(220)의 깊이(Di)의 비율은 약 30% 이상이고, 약 40% 이하일 수 있다. 외측 패턴(210)의 깊이(Do)를 내측 패턴(220)의 깊이(Di)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폴딩시 지지 부재(200)의 제3 영역(OA)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와 참고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5는 참고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20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구부러지는 폴딩부(FD)를 포함할 수 있다. 폴딩부(FD)의 외측면에는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이 가해져 늘어나게 되고, 폴딩부(FD)의 내측면에는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이 가해져 수축하게 된다. 폴딩부(FD)에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외측 패턴(210)과 내측 패턴(220)이 형성되어 있다. 일부 영역에서는 외측 패턴(210)과 내측 패턴(220)이 중첩하고, 다른 일부 영역에서는 외측 패턴(210)과 내측 패턴(220)이 중첩하지 않는다. 이러한 외측 패턴(210) 및 내측 패턴(220)에 의해 지지 부재의 폴딩부(FD)는 원활하게 구부러질 수 있고, 안정적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구부러지는 굴곡부(CV)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굴곡부(CV)는 폴딩부(FD)와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굴곡부(CV)의 외측면에는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이 가해져 수축하게 되고, 굴곡부(CV)의 내측면에는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이 가해져 늘어나게 된다. 굴곡부(CV)에도 소정의 패턴(2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외측면에만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패턴(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턴(240)의 깊이는 지지 부재(200)의 외측 패턴(210)의 깊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고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1200)는 폴딩부(FD) 및 굴곡부(CV)를 포함할 수 있다. 폴딩부(FD)에는 지지 부재(1200)를 관통하는 홀(1210)이 형성될 수 있고, 굴곡부(CV)에는 소정의 패턴(1240)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1200)의 폴딩부(FD)에는 외측면과 내측면에 별도의 패턴이 형성되지 않고, 단일의 홀(1210)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홀(1210)의 폭을 일정 이하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지지 부재(1200)의 두께 향상에 한계가 있다. 또는, 지지 부재(1200)의 두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홀(1210)의 폭을 일정 이상으로 해야 공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홀(1210)의 폭이 커지면, 폴딩부(FD)의 곡률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폴딩부(FD)가 찌그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200)는 양 면에 외측 패턴(210)과 내측 패턴(220)을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패턴의 폭을 일정 이하로 줄일 수 있으며, 폴딩부(FD)의 곡률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패턴(210)과 내측 패턴(220)을 엇갈리도록 배치함으로써, 폴딩부(FD)를 더욱 원활하게 구부릴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는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브의 단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200)는 외측 패턴(210) 및 내측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패턴(210)은 제1 외측 패턴(212) 및 제2 외측 패턴(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 패턴(212)들 사이에는 외측 브릿지(216)가 위치할 수 있고, 제2 외측 패턴(214)은 내측 브릿지(226)와 중첩할 수 있다. 제1 외측 패턴(212)과 제2 외측 패턴(214) 사이에는 리브(230)가 위치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00)의 리브(230)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00)의 리브(230)의 단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200)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외측 패턴(212)의 상측에 위치하는 리브(230)와 하측에 위치하는 리브(23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지지 부재(200)의 단부에 외측 브릿지(216)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200)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외측 패턴(212)이 닫혀 있을 수 있다. 지지 부재(200)의 단부에서 제2 외측 패턴(214)은 오픈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2 외측 패턴(214)도 닫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외측 패턴(214)의 상측에 위치하는 리브(230)와 하측에 위치하는 리브(230)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는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패턴 및 내측 패턴의 제2 방향(DR2)에 따른 폭이 일정하지 않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200)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외측 패턴(210) 및 내측 패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패턴(210)들 사이에 리브(230) 및 외측 브릿지(216)가 위치할 수 있다. 내측 패턴(220)들 사이에 리브(230) 및 내측 브릿지(226)가 위치할 수 있다.
인접한 리브(230)는 외측 브릿지(21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내측 패턴(224)은 리브(230) 및 외측 브릿지(216)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인접한 리브(230)는 내측 브릿지(22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외측 패턴(214)은 리브(230) 및 내측 브릿지(226)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외측 패턴(210) 및 내측 패턴(220)은 제2 방향(DR2)에 따른 폭이 일정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외측 패턴(210) 및 내측 패턴(220)은 제2 방향(DR2)에 따른 폭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외측 패턴(210)은 제3 방향(DR3)을 따라 깊어질수록 제2 방향(DR2)에 따른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즉, 외측 패턴(210)의 측면은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측 패턴(220)은 제3 방향(DR3)을 따라 깊어질수록 제2 방향(DR2)에 따른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즉, 내측 패턴(220)의 측면은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측 패턴(210)과 내측 패턴(220)이 서로 중첩하는 위치에서는 지지 부재(200)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이러한 홀의 단면은 모래시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외측 패턴(214)과 제1 내측 패턴(222)이 중첩하는 부분은 모래시계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외측 패턴(212)과 제2 내측 패턴(224)이 중첩하는 부분은 모래시계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9 내지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는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패턴 및 내측 패턴의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의 일측 면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의 타측 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제3 영역을 나타낸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제1 면 즉, 외측면을 나타내고,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제2 면 즉, 내측면을 나타낸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서 XXII-XXII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3은 도 22의 XXII-XXII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에서 XXIV-XXIV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5는 도 22의 XXIV-XXIV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2200)는 제3 영역에 위치하는 외측 패턴(2210)을 포함한다. 외측 패턴(2210)은 지지 부재(2200)의 제1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외측 패턴(2210)은 지지 부재(2200)의 제1 면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패여 있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패턴(2210)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외측 패턴(2210)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부재(2200)는 복수의 외측 패턴(2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측 패턴(2210)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복수의 외측 패턴(2210)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복수의 외측 패턴(2210)은 일렬로 배치되지 않고,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220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2230)와 리브(2230)들 사이를 연결하는 외측 브릿지(2216)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2230)는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복수의 외측 패턴(2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복수의 외측 패턴(2210)은 리브(2230)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외측 브릿지(2216)는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복수의 외측 패턴(2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복수의 외측 패턴(2210)은 외측 브릿지(2216)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2200)는 제3 영역에 위치하는 내측 패턴(2220)을 포함한다. 내측 패턴(2220)은 지지 부재(2200)의 제2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내측 패턴(2220)은 지지 부재(2200)의 제2 면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패여 있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패턴(2220)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내측 패턴(2220)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부재(2200)는 복수의 내측 패턴(2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내측 패턴(2220)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복수의 내측 패턴(2220)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복수의 내측 패턴(2220)은 일렬로 배치되지 않고,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220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2230)와 리브(2230)들 사이를 연결하는 내측 브릿지(2226)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2230)는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복수의 내측 패턴(2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복수의 내측 패턴(2220)은 리브(2230)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내측 브릿지(2226)는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복수의 내측 패턴(2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복수의 내측 패턴(2220)은 내측 브릿지(2226)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외측 패턴(2210)과 내측 패턴(2220)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2200)의 제1 면을 살펴보면, 외측 패턴(2210)과 내측 브릿지(2226)가 중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2200)의 제2 면을 살펴보면, 내측 패턴(2220)과 외측 브릿지(2216)가 중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외측 패턴(2210)과 내측 패턴(2220)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외측 패턴(2210)과 내측 패턴(2220)이 서로 중첩하는 위치에서는 지지 부재(2200)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외측 브릿지와 내측 브릿지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외측 브릿지(2216)와 내측 브릿지(2226)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외측 브릿지(2216)와 내측 브릿지(2226)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2200)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외측 패턴(2210) 및 내측 패턴(2220)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패턴(2210)들 사이에 리브(2230) 및 외측 브릿지(2216)가 위치할 수 있다. 내측 패턴(2220)들 사이에 리브(2230) 및 내측 브릿지(2226)가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부재(2200)의 단부를 살펴보면, 리브(2230)의 단부는 외측 브릿지(2216)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부재(2200)의 단부에는 내측 브릿지(2216)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인접한 리브(2230)는 외측 브릿지(221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내측 패턴(2220)은 리브(2230) 및 외측 브릿지(2216)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리브(2230)는 내측 브릿지(22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외측 패턴(2210)은 리브(2230) 및 내측 브릿지(2226)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외측 패턴(2210)과 내측 패턴(2220)은 서로 중첩하여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외측 패턴(2210)의 깊이는 외측 브릿지(2216)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내측 패턴(2220)의 깊이는 내측 브릿지(22260)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외측 패턴(2210)의 깊이와 내측 패턴(2220)의 깊이의 합은 지지 부재(2200)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외측 패턴(2210)의 깊이와 내측 패턴(2220)의 깊이는 유사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측 패턴(2210)의 깊이와 내측 패턴(2220)의 깊이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2220)의 두께에 대한 외측 패턴(2210)의 깊이의 비율은 약 60% 이상이고, 약 70%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2220)의 두께에 대한 내측 패턴(2220)의 깊이의 비율은 약 30% 이상이고, 약 40% 이하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는 도 19 내지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브의 단부가 전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2200)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외측 패턴(2210) 및 내측 패턴(2220)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패턴(2210)들 사이에 리브(2230) 및 외측 브릿지(2216)가 위치할 수 있다. 내측 패턴(2220)들 사이에 리브(2230) 및 내측 브릿지(2226)가 위치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200)의 리브(2230)의 단부 중 일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지지 부재(2200)의 리브(2230)의 단부가 전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200)의 리브(2230)의 단부는 외측 브릿지(2216)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200)의 리브(2230)의 단부가 외측 브릿지(2216) 및 내측 브릿지(222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지지 부재(2200)의 단부에 외측 브릿지(2216) 및 내측 브릿지(2226)가 일렬로 교대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부재(2200)의 리브(2230)의 단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지지 부재(2200)의 단부에 브릿지가 전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2200)의 단부에 위치하는 외측 패턴(2210) 및 내측 패턴(2220)은 오픈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7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7 내지 도 3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는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패턴 및 내측 패턴의 형상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설명한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의 일측 면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의 타측 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제3 영역을 나타낸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제1 면 즉, 외측면을 나타내고,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제2 면 즉, 내측면을 나타낸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에서 XXX-XXX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1은 도 29에서 XXXI-XXXI선을 따라 자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3200)는 제3 영역에 위치하는 외측 패턴(3210)을 포함한다. 외측 패턴(3210)은 지지 부재(3200)의 제1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외측 패턴(3210)은 지지 부재(3200)의 제1 면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패여 있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패턴(3210)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외측 패턴(3210)은 평면 상에서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측 패턴(3210)은 제1 방향(DR1)에 나란한 대각선과 제2 방향(DR2)에 나란한 대각선을 포함하는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DR1)에 나란한 대각선의 길이가 제2 방향(DR2)에 나란한 대각선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지지 부재(3200)는 복수의 외측 패턴(3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측 패턴(3210)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3200)는 복수의 외측 패턴(3210) 사이를 구분하는 외측 브릿지(3216)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브릿지(3216)는 그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3200)는 제3 영역에 위치하는 내측 패턴(3220)을 포함한다. 내측 패턴(3220)은 지지 부재(3200)의 제2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내측 패턴(3220)은 지지 부재(3200)의 제2 면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패여 있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패턴(3220)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내측 패턴(3220)은 평면 상에서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측 패턴(3220)은 제1 방향(DR1)에 나란한 대각선과 제2 방향(DR2)에 나란한 대각선을 포함하는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DR1)에 나란한 대각선의 길이가 제2 방향(DR2)에 나란한 대각선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지지 부재(3200)는 복수의 내측 패턴(3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내측 패턴(3220)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3200)는 복수의 내측 패턴(3220) 사이를 구분하는 내측 브릿지(3226)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브릿지(3226)는 그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측 패턴(3210)과 내측 패턴(3220)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3200)의 제1 면을 살펴보면, 외측 패턴(3210)과 내측 브릿지(3226)가 중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3200)의 제2 면을 살펴보면, 내측 패턴(3220)과 외측 브릿지(3216)가 중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외측 패턴(3210)과 내측 패턴(3220)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외측 패턴(3210)과 내측 패턴(3220)이 서로 중첩하는 위치에서는 지지 부재(3200)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패턴(3210)과 내측 패턴(3220)이 중첩하여 형성하는 홀은 평면 상에서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3200)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외측 패턴(3210) 및 내측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패턴(3210)들 사이에 외측 브릿지(3216)가 위치할 수 있다. 내측 패턴들 사이에 내측 브릿지(3226)가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부재(3200)의 단부를 살펴보면, 외측 패턴(3210)의 일부는 닫혀 있고, 다른 일부는 오픈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3200)의 단부에 위치하는 내측 패턴의 일부는 닫혀 있고, 다른 일부는 오픈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부재(3200)의 단부에 위치하는 외측 패턴(3210) 및 내측 패턴이 모두 닫혀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지지 부재(3200)의 단부에 위치하는 외측 패턴(3210) 및 내측 패턴이 모두 오픈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제3 영역에 형성되는 외측 패턴 및 내측 패턴은 앞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2 내지 도 3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2 내지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2 내지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가 접히는 영역 및 그 주변을 나타내고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4200)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면에 각각 형성되는 외측 패턴(4210) 및 내측 패턴(422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4200)를 접은 상태에서 외측 패턴(4210)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외측면이 될 수 있고, 내측 패턴(4220)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내측면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외측 패턴(4210)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내측면이 될 수도 있고, 내측 패턴(4220)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외측면이 될 수도 있다.
외측 패턴(4210)과 내측 패턴(4220)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외측 패턴(4210)과 내측 패턴(4220)은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외측 패턴(4210)과 내측 패턴(4220)이 일부 영역에서는 서로 중첩하고, 다른 일부 영역에서는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외측 패턴(4210)의 깊이(Do)와 내측 패턴(4220)의 깊이(Di)가 유사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측 패턴(4210)의 깊이(Do)와 내측 패턴(4220)의 깊이(Di)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외측 패턴(4210)의 깊이(Do)가 내측 패턴(4220)의 깊이(Di)보다 클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5200)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면에 각각 형성되는 외측 패턴(5210) 및 내측 패턴(522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5200)를 접은 상태에서 외측 패턴(5210)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외측면이 될 수 있고, 내측 패턴(5220)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내측면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외측 패턴(5210)과 내측 패턴(5220)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외측 패턴(5210)과 내측 패턴(5220)이 일부 영역에서는 서로 중첩하고, 다른 일부 영역에서는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외측 패턴(5210)의 폭과 내측 패턴(5220)의 폭은 상이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패턴(5210)의 폭이 내측 패턴(5220)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외측 패턴(5210)의 폭이 내측 패턴(5220)의 폭보다 넓을 수도 있다. 외측 패턴(5210)의 깊이(Do)와 내측 패턴(5220)의 깊이(Di)는 상이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패턴(5210)의 깊이(Do)가 내측 패턴(5220)의 깊이(Di)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외측 패턴(5210)의 깊이(Do)가 내측 패턴(5220)의 깊이(Di)보다 클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6200)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면에 각각 형성되는 외측 패턴(6210) 및 내측 패턴(622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6200)를 접은 상태에서 외측 패턴(6210)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외측면이 될 수 있고, 내측 패턴(6220)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내측면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외측 패턴(6210)과 내측 패턴(6220)은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외측 패턴(6210)과 내측 패턴(6220)이 일부 영역에서는 서로 중첩하고, 다른 일부 영역에서는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외측 패턴(6210)의 폭과 내측 패턴(6220)의 폭은 상이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패턴(6210)의 폭이 내측 패턴(6220)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외측 패턴(6210)의 폭이 내측 패턴(6220)의 폭보다 넓을 수도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외측 패턴의 깊이와 내측 패턴의 깊이의 합이 지지 부재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패턴(6210)의 깊이(Do)와 내측 패턴(6220)의 깊이(Di)의 합이 지지 부재(620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외측 패턴(6210)의 깊이(Do)와 내측 패턴(6220)의 깊이(Di)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7200)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면에 각각 형성되는 외측 패턴(7210) 및 내측 패턴(722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7200)를 접은 상태에서 외측 패턴(7210)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외측면이 될 수 있고, 내측 패턴(7220)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내측면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외측 패턴(7210)과 내측 패턴(7220)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7200)는 제1 서브 지지 부재(7310) 및 제2 서브 지지 부재(7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지지 부재(7310)와 제2 서브 지지 부재(7320)는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7200)는 제1 서브 지지 부재(7310)와 제2 서브 지지 부재(732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부재(7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7400)에 의해 제1 서브 지지 부재(7310)가 제2 서브 지지 부재(7320)에 고정될 수 있다.
외측 패턴(7210)은 제1 서브 지지 부재(7310)에 형성될 수 있고, 내측 패턴(7220)은 제2 서브 지지 부재(7320)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패턴(7210)과 내측 패턴(7220) 사이에는 접착 부재(7400)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외측 패턴(7210)과 내측 패턴(7220)이 중첩하는 부분에서 지지 부재(7200)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8200)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면에 각각 형성되는 외측 패턴(8210) 및 내측 패턴(822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8200)를 접은 상태에서 외측 패턴(8210)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외측면이 될 수 있고, 내측 패턴(8220)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내측면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외측 패턴(8210)과 내측 패턴(8220)은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8200)는 제1 서브 지지 부재(8310) 및 제2 서브 지지 부재(8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지지 부재(8310)와 제2 서브 지지 부재(8320)는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8200)는 제1 서브 지지 부재(8310)와 제2 서브 지지 부재(832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부재(8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8400)에 의해 제1 서브 지지 부재(8310)가 제2 서브 지지 부재(8320)에 고정될 수 있다.
외측 패턴(8210)은 제1 서브 지지 부재(8310)에 형성될 수 있고, 내측 패턴(8220)은 제2 서브 지지 부재(8320)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패턴(8210)과 내측 패턴(8220) 사이에는 접착 부재(8400)가 위치하게 된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9200)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면에 각각 형성되는 외측 패턴(9210) 및 내측 패턴(922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9200)를 접은 상태에서 외측 패턴(9210)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외측면이 될 수 있고, 내측 패턴(9220)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내측면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외측 패턴(9210)과 내측 패턴(9220)은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외측 패턴(9210)과 내측 패턴(9220)이 일부 영역에서는 서로 중첩하고, 다른 일부 영역에서는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9200)는 제1 서브 지지 부재(9310) 및 제2 서브 지지 부재(9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지지 부재(9310)와 제2 서브 지지 부재(9320)는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9200)는 제1 서브 지지 부재(9310)와 제2 서브 지지 부재(932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부재(9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9400)에 의해 제1 서브 지지 부재(9310)가 제2 서브 지지 부재(9320)에 고정될 수 있다.
외측 패턴(9210)은 제1 서브 지지 부재(9310)에 형성될 수 있고, 내측 패턴(9220)은 제2 서브 지지 부재(9320)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패턴(9210)과 내측 패턴(9220) 사이에는 접착 부재(9400)가 위치하게 된다.
외측 패턴(9210)의 폭과 내측 패턴(9220)의 폭은 상이할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패턴(9210)의 폭이 내측 패턴(9220)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외측 패턴(9210)의 폭이 내측 패턴(9220)의 폭보다 넓을 수도 있다.
외측 패턴(9210)의 깊이와 내측 패턴(9220)의 깊이는 상이할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패턴(9210)의 깊이가 내측 패턴(9220)의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외측 패턴(9210)의 깊이가 내측 패턴(9220)의 깊이보다 클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지지 부재
201: 지지 부재의 제1 면
202: 지지 부재의 제2 면
210: 외측 패턴
216: 외측 브릿지
220: 내측 패턴
226: 내측 브릿지
230: 리브

Claims (20)

  1. 서로 마주보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 위치하고,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외측 패턴, 및
    상기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내측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패턴과 상기 내측 패턴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2. 제1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평면 상에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3 영역에서 제1 방향에 나란한 폴딩 축을 따라 접히고,
    상기 외측 패턴 및 상기 내측 패턴은 상기 제3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3. 제2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면이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면이 내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4. 제2항에서,
    상기 외측 패턴은 상기 지지 부재의 제1 면의 표면으로부터 패여 있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패턴은 상기 지지 부재의 제2 면의 표면으로부터 패여 있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패턴과 상기 내측 패턴이 중첩하는 부분에 상기 지지 부재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5. 제2항에서,
    상기 외측 패턴 및 상기 내측 패턴은 평면 상에서 막대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6. 제2항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도록 복수의 외측 패턴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도록 복수의 내측 패턴이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7. 제6항에서,
    상기 복수의 외측 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 브릿지, 및
    상기 복수의 내측 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8. 제7항에서,
    상기 외측 브릿지와 상기 내측 브릿지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9. 제7항에서,
    상기 외측 브릿지와 상기 내측 브릿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10. 제2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두께에 대한 상기 외측 패턴의 깊이의 비율은 60% 이상이고, 70% 이하이고,
    상기 지지 부재의 두께에 대한 상기 내측 패턴의 깊이의 비율은 30% 이상이고, 40% 이하인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11. 제2항에서,
    상기 외측 패턴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내측 패턴은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12. 제2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서로 중첩하는 제1 서브 지지 부재 및 제2 서브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패턴은 상기 제1 서브 지지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패턴은 상기 제2 서브 지지 부재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 서브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지지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14.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 면 위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면 및 제2 면,
    상기 제1 면에 위치하고,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외측 패턴, 및
    상기 제2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내측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패턴과 상기 내측 패턴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평면 상에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3 영역에서 제1 방향에 나란한 폴딩 축을 따라 접히고,
    상기 외측 패턴 및 상기 내측 패턴은 상기 제3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면이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면이 내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7. 제15항에서,
    상기 외측 패턴은 상기 지지 부재의 제1 면의 표면으로부터 패여 있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패턴은 상기 지지 부재의 제2 면의 표면으로부터 패여 있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패턴과 상기 내측 패턴이 중첩하는 부분에 상기 지지 부재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표시 장치.
  18. 제15항에서,
    상기 외측 패턴 및 상기 내측 패턴은 평면 상에서 막대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19. 제15항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도록 복수의 외측 패턴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도록 복수의 내측 패턴이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외측 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 브릿지, 및
    상기 복수의 내측 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브릿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브릿지와 상기 내측 브릿지는 지그재그 형태 또는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KR1020220084470A 2022-07-08 2022-07-08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40007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470A KR20240007852A (ko) 2022-07-08 2022-07-08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8/321,612 US20240015908A1 (en) 2022-07-08 2023-05-22 Support member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310783781.5A CN117373344A (zh) 2022-07-08 2023-06-29 显示装置用支承部件以及包括其的显示装置
EP23182723.9A EP4303694A1 (en) 2022-07-08 2023-06-30 Support member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470A KR20240007852A (ko) 2022-07-08 2022-07-08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852A true KR20240007852A (ko) 2024-01-17

Family

ID=8706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470A KR20240007852A (ko) 2022-07-08 2022-07-08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15908A1 (ko)
EP (1) EP4303694A1 (ko)
KR (1) KR20240007852A (ko)
CN (1) CN117373344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2832B1 (ko) * 2016-12-30 2024-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EP3477424B1 (en) * 2017-10-31 2021-09-15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US20220103670A1 (en) * 2019-02-01 2022-03-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upport sheet used for foldable terminal device and foldable terminal device
CN111862824A (zh) * 2020-08-27 2020-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组件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15908A1 (en) 2024-01-11
EP4303694A1 (en) 2024-01-10
CN117373344A (zh)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7826B2 (en) Cover window of flexible display devic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280176B2 (en) Display device
US1069117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444798B2 (en) Flexible window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1105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50021167A (ko) 접이식 표시 장치
CN107819008B (zh) 显示装置
US20160221294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window substrate
EP3671703B1 (en) Foldable cover plate, foldable display module, and foldable terminal device
CN106782088A (zh) 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CN111416056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949045B2 (en) Flexible touch substrate and touch device that have reduced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different signal lines
CN114902317A (zh) 可折叠显示装置
CN114694495B (zh) 可折叠显示装置
CN114913769A (zh) 显示装置
KR20240007852A (ko)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177458B2 (en) Display device having shock absorbing layer
KR102384285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20230244276A1 (en) Display panel suppor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35711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965179A1 (en) Display device
US11800658B2 (en) Display device
KR20240050995A (ko) 표시 장치
KR20210132579A (ko) 탄성 부재
KR20240048734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