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423A -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423A
KR20240007423A KR1020220084291A KR20220084291A KR20240007423A KR 20240007423 A KR20240007423 A KR 20240007423A KR 1020220084291 A KR1020220084291 A KR 1020220084291A KR 20220084291 A KR20220084291 A KR 20220084291A KR 20240007423 A KR20240007423 A KR 20240007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fire extinguisher
fire
sensor
oper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휘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휘성
Priority to KR1020220084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423A/ko
Priority to US18/071,772 priority patent/US20240009499A1/en
Publication of KR2024000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4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2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e.g. rod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A62C37/48Thermally sensitive initi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9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pplied to measurement of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in two or more dimens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0Healthcare; Welfa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영상 카메라(21), 열화상 카메라(22), 전자파 센서(31), 3축 가속도 센서(32), CO 가스 센서(33), 자외선 센서(34) 및 초음파 센서(35) 중에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110);
상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징후를 연산하는 처리부(120); 및
상기 처리부(120)에서 화재 발생 징후로 판단하면 트리거(40)를 작동시켜 온도 감응 소화기(50)의 온도 감지부(52)를 가열시키도록 하는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Device for forcing a fire extinguisher in response to temperature}
본 발명은 온도를 감응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온도 감응 소화기를 강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기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소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소화기는 화재 발생을 예상하는 장치, 장소 등에 설치하고, 화재로 의심되는 상황에서 소화기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초기 화재를 진압하도록 한다.
소화기 종류에 따라 온도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확산식 소화기로 알려져 있다.
종래에 알려진 확산식 소화기는 제품을 설치할 때, 또는 소화기 제조사에서 설정한 반응 온도 값이 고정된다.
확산식 소화기는 화재 발생주의 지역, 배전반, 컴퓨터 서버 등의 특정한 설비나 장소에 설치하고, 대부분은 설치가 완료된 후에 확산식 소화기의 유효기간 만료될 때까지 예컨대 교체될 때까지 반응 온도 값을 수정하지 않는다.
확산식 소화기는 제조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섭씨 160도에 맞춰져 있고, 소비자가 특정 반응 온도 값을 요구하면 그 반응 온도 값으로 조절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산식 소화기는 한번 설치되면 교체하기 전까지 반응 온도 값을 수정하지 않고, 관리자는 거의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있으며, 확산식 소화기가 설치되어 있으니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확산식 소화기가 작동하면 화재가 확대되지 않을 것이라고 방심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재는 관리자가 예상하지 못한 장소에서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고, 모든 장소, 모든 구성요소에 대응하기 위하여 확산식 소화기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면 온도가 상승하고 불길은 주변으로 확산할 수 있으며 주변 온도가 반응 온도 값에 도달하기 전에는 확산식 소화기가 작동하지 않는다.
즉, 종래에 알려진 확산식 소화기는 불길이 이미 크게 번진 다음에 반응할 수 있고, 이러하면 초기 화재 진압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서 설명된 확산식 소화기는 반응 온도가 섭씨 160도에 맞춰져 있지만, 확산식 소화기로부터 거리가 먼 곳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확산식 소화기의 주변 온도가 반응 온도에 도달할 때는 불길이 이미 크게 확대된 후이므로 초기 화재 진압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비특허 문헌 1의 영상을 재생하여 확인하면, 확산식 소화기 실험 영상에서 화재를 발생시키고 화재가 진압될 때까지 소화 시간은 대략 30초 내외 소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동영상 사이트에서 다른 소화기 소화 실험 영상을 찾아보더라도 소화 시간은 대부분 짧게는 30초의 시간이 소요되고, 길게는 1분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소화 시간은 너무 기므로 실제 화재 현장이라면 화재가 더 크게 번질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즉, 종래에 알려진 확산식 소화기는 초기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설치되었음에도, 임의 화재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확산식 소화기의 온도 감지기의 주변 온도가 반응 온도 값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화재 진압을 시도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산업설비는 화재 예방을 위하여 확산식 소화기를 캐비닛 내부에 또는 장치 내부에 설치할 수 있으나, 화염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오를 수 있고, 특정한 구성요소에서 비정상적으로 온도가 상승하여 화재 발생이 예상되더라도 확산식 소화기는 곧바로 예컨대 1~2초 이내에 즉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산업설비의 구성요소마다 위험한 온도는 저마다 다를 수 있고,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 정상적인 온도인지 비정상 온도인지 판단할 수 없어서 실제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대응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으로, 하나의 관찰대상의 설비 내에서도 구성요소마다 발화점 온도가 다를 수 있고, 예컨대 제1 구성요소의 발화점 온도가 다른 제2 구성요소의 정상 발열 온도일 수 있으므로, 관찰대상 설비의 전체적인 분위기에서 온도를 발화 가능성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은 화재 예방에 적절하지 못할 수 있고, 어떤 때는 정상 발열임에도 화재 발생으로 추정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좀 더 정교한 화재 예방 방안이 필요하다.
KR 10-2060568 B1 KR 10-1440492 B1 KR 10-2346594 B1 KR 10-2339920 B1 KR 20-0403498 Y1
유튜브 동영상: AFC 스티커 이노션팩토리 www.gfin.co.kr 바로가기 주소: https://youtu.be/FvUBwNZgULw?t=63 게시일: 2018.06.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록 확산식 소화기의 온도 감지부 주변 온도가 반응 온도 값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화재 발생 징후가 있거나, 화재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거나, 특정 설비 또는 설비 구성요소에서 화염이 없더라도 관찰 대상물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반응 온도 값에 도달하면 온도 감응 소화기를 강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찰대상 설비의 특정 구성요소에서 발열 온도가 정상범위인지 이상고온인지를 정교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의 진단을 좀 더 정교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영상 카메라(21), 열화상 카메라(22), 전자파 센서(31), 3축 가속도 센서(32), CO 가스 센서(33), 자외선 센서(34) 및 초음파 센서(35) 중에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110); 상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징후를 연산하는 처리부(120); 및 상기 처리부(120)에서 화재 발생 징후로 판단하면 트리거(40)를 작동시켜 온도 감응 소화기(50)의 온도 감지부(52)를 가열시키도록 하는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상기 출력부(130)는 원격 제어부(60)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포트(36)를 더 포함하고, 원격 제어부(60)에서 상기 트리거(40)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처리부(120)에 작동 신호를 강제로 입력시켜 상기 트리거(40)를 강제로 작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전자파 센서(31), 3축 가속도 센서(32), CO 가스 센서(33), 자외선 센서(34) 및 초음파 센서(35)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설치된 보디 박스(10); 및 상기 보디 박스(10)에 설치되어 관찰 대상물을 향하도록 조절되어 고정되고, 영상 카메라(21)와 열화상 카메라(22)가 관찰 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영상 카메라(21)와 열화상 카메라(22)가 설치된 스윙 보디(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상기 영상 카메라(21) 또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22)의 한쪽에 설치되어 관찰 대상물을 비추도록 하여 영상 이미지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조명(23)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반응 온도 값을 임의로 설정하고, 각종 센서로부터 화재 발생 가능성을 진단하여 화재 징후가 있을 때, 시간을 지체하지 않고 즉각 강제로 온도 감응 소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초기 화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불길이 번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으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부터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입력부(110), 처리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영상 카메라(21), 열화상 카메라(22), 전자파 센서(31), 3축 가속도 센서(32), CO 가스 센서(33), 자외선 센서(34) 및 초음파 센서(35) 중에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영상 카메라(21)는 관찰 대상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이미지는 처리부(12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처리부(120)는 영상 이미지를 바탕으로 화염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22)는 관찰 대상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는 처리부(12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처리부(120)는 열화상 이미지를 바탕으로 비정상 온도가 발생 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관찰대상의 구성요소는 저마다 적정한 발열이 발생하고, 허용 온도보다 높게 고온이 발생하면 화재 위험이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전자파 센서(31)는 관찰 대상 구성 요소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감지하고, 주파수가 허용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면 이상 징후로 간주할 수 있다.
전자파 센서(31)는 관찰 대상 구성 요소에서 아크나 코로나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감지하고, 그 크기가 허용범위를 벗어날 정도로 크면, 이상 징후로 간주할 수 있다.
3축 가속도 센서(32)는 온도 감응 소화기(50)가 설치된 대상물이 임의 방향으로 허용범위를 벗어날 날 정도로 움직이면 이상 징후가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CO 가스 센서(33)는 화재가 발생하여 일산화탄소 가스가 농도가 허용 농도보다 높아지면 이상 징후가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자외선 센서(34)는 빛의 파장을 감지하여 화염으로 추정되는 빛의 파장이 감지되면 이상 징후가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5)는 관찰대상 구성요소가 고열로 인하여 변형이 발생할 때 특정 대역의 소리가 발생할 수 있는데, 그러한 특정 대역의 소리를 감지하면 이상 징후가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5)는 관찰대상 구성요소가 아크나 코로나 화재 전조 현상이 발생하여, 초음파가 발생하는데, 허용범위를 벗어날 정도 크면, 이상 징후가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처리부(120)는 앞서 설명된 각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징후를 연산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상기 처리부(120)에서 화재 발생 징후로 판단하면 트리거(40)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작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작동 신호는 트리거(40)를 작동시키고 트리거(40)는 온도 감응 소화기(50)의 온도 감지(52)를 매우 짧은 시간에 고온으로 가열시킬 수 있다.
이로써 온도 감응 소화기(50)는 온도 감지부(52)가 반응 온도 값을 감지하여 소화제를 확산시켜 초기 화재를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화재 징후가 발생했을 때, 온도 감지부(52)의 주변 온도가 반응 온도 값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거의 실시간으로 즉각적으로 온도 감지부(52)에서 반응 온도 값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가 크게 번지기 전에 초기 화재를 적극적이고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130)는 원격 제어부(60)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포트(36)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통신 포트(36)는 근거리 통신망, 인터넷망, 무선통신망 등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앞서 설명된 각종 감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를 통하여 화재 발생 현장 또는 구성요소를 지켜볼 수 있고, 현재 상황을 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관리자에 의해 인위적으로 작동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작동 신호는 통신 포트(36)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원격 제어부(60)에서 상기 트리거(40)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처리부(120)에 작동 신호를 입력시켜 상기 트리거(40)를 강제로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원격 관리실에서 관찰 대상물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실질적인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예컨대 화염이 보이지 않거나 연기가 보이지 않더라도 화재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이 추정되면 작동 신호를 발생시켜 트리거(40)를 강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화재 데이터는 관찰 대상물마다 또는 구성요소마다 화재가 발생하는 온도 정보를 기록한 자료일 수 있고,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하나의 설비를 관찰하더라도 설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마다 발화점 온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관찰대상 설비 내에서 다수의 구성요소가 있을 때, 구성요소마다 발화점 온도 값을 기록한 화재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고,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화재사고를 예방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설치 위치를 예를 들면, 관찰 대상물의 문짝, 내부 벽체, 기둥 등에 설치되어 발열이 일어나는 구성요소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보디 박스(10)와 스윙 보디(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보디 박스(10)는 앞서 설명된 각종 감지 장치가 설치되는 것으로써 예컨대, 전자파 센서(31), 3축 가속도 센서(32), CO 가스 센서(33), 자외선 센서(34) 및 초음파 센서(35)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윙 보디(20)는 상기 보디 박스(10)에 설치되어 관찰 대상물을 향하도록 조절되어 고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스윙 보디(20)는 보디 박스(10)에 체결된 고정 볼트(24)에 설치될 수 있고, 고정 볼트(24)가 헐겁게 조여져 있을 때 회전할 수 있고, 고정 볼트(24)를 단단하게 조임으로써 보디 박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스윙 보디(20)를 소망하는 자세로 회전시키고 고정 볼트(24)를 조여서 스윙 보디(20)가 소망하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소망하는 자세는, 영상 카메라(21) 또는 열화상 카메라(22)가 관찰대상 구성요소를 촬영하는 방향을 향하는 자세일 수 있다. 이로써 관찰대상 구성요소가 많더라도 그 많은 구성요소 중에 화재 발생 가능성이 크거나 발화점 온도가 낮은 구성요소를 특정하여 스윙 보디(20)의 자세가 설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윙 보디(20)는 영상 카메라(21)와 열화상 카메라(22)가 설치될 수 있다.
영상 카메라(21)는 관찰 대상물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얻는 장치이다. 화재가 발생하여 불꽃이 발생하거나 연기가 피어오르면 영상 카메라(21)를 통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화재 발생을 알아차릴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22)는 관찰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관찰 대상물에서 특정한 구성요소의 온도 값이 설정 온도 값에 도달하거나 높아지면 화재 발생으로 알아차리거나 화재 발생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하나의 설비 내에서도 발화점 온도가 낮은 구성요소를 집중하여 관찰할 수 있고, 관찰 대상물의 전반적인 온도 예를 들어 주변의 온도가 위험한 온도가 아니더라도 특정 구성요소의 온도가 발화점 온도에 도달하거나 도달할 가능성이 있을 때 이러한 사실을 좀 더 빨리 인식할 수 있고, 실제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 조처하거나 실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초기 화재진화 대응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조명(23)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조명(23)은 상기 영상 카메라(21) 또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22)의 한쪽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조명(23)이 관찰 대상물을 비추도록 하여 영상 이미지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영상 이미지는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고, 고품질의 영상 이미지는 판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는 관찰 대상물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반응 온도 값에 도달하면 온도 감응 소화기를 강제로 작동시켜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보디 박스 20: 스윙 보디
21: 영상 카메라 22: 열화상 카메라
23: 조명 24: 고정 볼트
31: 전자파 센서 32: 3축 가속도 센서
33: CO 가스 센서 34: 자외선 센서
35: 초음파 센서 36: 통신 포트
40: 트리거 50: 확산식 소화기
52: 온도 감지부 60: 원격 제어부
110: 입력부 110: 처리부
130: 출력부

Claims (4)

  1. 영상 카메라(21), 열화상 카메라(22), 전자파 센서(31), 3축 가속도 센서(32), CO 가스 센서(33), 자외선 센서(34) 및 초음파 센서(35) 중에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110);
    상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징후를 연산하는 처리부(120); 및
    상기 처리부(120)에서 화재 발생 징후로 판단하면 트리거(40)를 작동시켜 온도 감응 소화기(50)의 온도 감지부(52)를 가열시키도록 하는 출력부(130);
    를 포함하는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30)는 원격 제어부(60)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포트(36); 를 더 포함하고,
    원격 제어부(60)에서 상기 트리거(40)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처리부(120)에 작동 신호를 강제로 입력시켜 상기 트리거(40)를 강제로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자파 센서(31), 3축 가속도 센서(32), CO 가스 센서(33), 자외선 센서(34) 및 초음파 센서(35)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설치된 보디 박스(10); 및
    상기 보디 박스(10)에 설치되어 관찰 대상물을 향하도록 조절되어 고정되고, 영상 카메라(21)와 열화상 카메라(22)가 관찰 대상물을 촬영하도록 영상 카메라(21)와 열화상 카메라(22)가 설치된 스윙 보디(20);
    를 포함하는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카메라(21) 또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22)의 한쪽에 설치되어 관찰 대상물을 비추도록 하여 영상 이미지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조명(23);
    을 더 포함하는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
KR1020220084291A 2022-07-08 2022-07-08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 KR20240007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291A KR20240007423A (ko) 2022-07-08 2022-07-08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
US18/071,772 US20240009499A1 (en) 2022-07-08 2022-11-30 Device for forcing the operation of a temperature sensitive fire extingui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291A KR20240007423A (ko) 2022-07-08 2022-07-08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423A true KR20240007423A (ko) 2024-01-16

Family

ID=8943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291A KR20240007423A (ko) 2022-07-08 2022-07-08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09499A1 (ko)
KR (1) KR2024000742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98Y1 (ko) 2005-09-16 2005-12-09 최지영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
KR101440492B1 (ko) 2014-04-29 2014-09-18 (주)더블유제이이엔에스 전기화재 예방 및 과부하 차단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2060568B1 (ko) 2018-11-20 2020-02-11 이기현 확산식 소화기 및 화재감시 시스템이 적용된 수배전반 어셈블리
KR102339920B1 (ko) 2021-04-27 2021-12-16 주식회사 신의이엔지 화재 소화 모듈과 연동하는 배전선로 수배전반 제어 방법
KR102346594B1 (ko) 2021-04-21 2022-01-03 (주)엠에스제이텍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98Y1 (ko) 2005-09-16 2005-12-09 최지영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
KR101440492B1 (ko) 2014-04-29 2014-09-18 (주)더블유제이이엔에스 전기화재 예방 및 과부하 차단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2060568B1 (ko) 2018-11-20 2020-02-11 이기현 확산식 소화기 및 화재감시 시스템이 적용된 수배전반 어셈블리
KR102346594B1 (ko) 2021-04-21 2022-01-03 (주)엠에스제이텍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
KR102339920B1 (ko) 2021-04-27 2021-12-16 주식회사 신의이엔지 화재 소화 모듈과 연동하는 배전선로 수배전반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게시일: 2018.06.21
바로가기 주소: https://youtu.be/FvUBwNZgULw?t=63
유튜브 동영상: AFC 스티커 이노션팩토리 www.gfin.co.k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09499A1 (en)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8146B2 (en) Contextual fire detection and alarm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090045937A1 (en) Hazard and Threat Assessment System
KR100985804B1 (ko)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
JP2007241631A (ja) ビル監視システム
KR20130119662A (ko)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97055A (ko) 다기능 화재 감지기
KR200417542Y1 (ko) 미세물분무 소화설비용 화재감지 경보장치
KR101138212B1 (ko) 영상인식 및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40431B1 (ko)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의 오동작 방지 방법
JP2008507054A (ja) 煙アラームシステム
JP2015114930A (ja) 火災検知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方法
KR20240007423A (ko) 온도 감응 소화기의 강제 작동 장치
Chiu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of video-based fire detection system in tunnel environment
KR100596204B1 (ko) 랙용 화재징후 복합 감지 시스템
JP6317116B2 (ja) 火災検知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方法
KR20070018485A (ko)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야간 화재 및 침입자 경고 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KR102228765B1 (ko) 화재 예지 기능을 탑재한 소화 장치
KR102386036B1 (ko) 소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9936B1 (ko) 화재 감시용 연기 검출장치
Takahashi et al. Improvement of automatic fire extinguisher system for residential use
KR20220089446A (ko) 화재 감지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선박
JP2007026126A (ja) 監視通知システム
KR100589663B1 (ko) 화재 감지 시스템
CN106530565A (zh) 安防告警***及方法
US20230264057A1 (en) Fire extinguishing devices with fire predict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