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868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868A
KR20240006868A KR1020220083675A KR20220083675A KR20240006868A KR 20240006868 A KR20240006868 A KR 20240006868A KR 1020220083675 A KR1020220083675 A KR 1020220083675A KR 20220083675 A KR20220083675 A KR 20220083675A KR 20240006868 A KR20240006868 A KR 20240006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or
connector
contact
signal terminal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6868A/ko
Publication of KR20240006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8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기판에 실장되며, 상대 커넥터(20)와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10)가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10)는, 몰드부(10-5); 및 적어도 제1 벽부(10-5-w1)에 설치되는 금구(10-1)를 포함한다.
상기 금구(10-1)는, 단면부(end surface portion)(10-1-E), 측면부(10-1-E), 저면부(10-1-B) 및 접촉부(10-1-C)를 포함한다.
상기 단면부(10-1-E)는, 상기 몰드부(10-5)의 제1 벽부(10-5-w1)의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저면부(10-1-B)는, 저면 연결부(10-1-BC)를 통해서 상기 단면부(10-1-E)와 연결된다.
상기 접촉부(10-1-C)는, 상기 저면부(10-1-B)로부터, 상기 전기 커넥터(10)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soldering)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소켓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에 단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피치를 줄이거나 부품을 작게 하여 커넥터를 소형화 및 저배화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한편, 커넥터가 소형화되면서 커넥터의 내구성을 확보하기가 전보다 어려워진 측면도 있다. 부재가 작으므로 이전보다 작은 힘에도 파손되거나 변형되기가 쉽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변형의 일종으로서, 커넥터끼리의 결합 과정 중에, 또는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금속 재질의 단자가 특정의 형상으로 계속 유지되고 있으면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소성 변형이란 탄성 변형의 반대 개념으로, 재질에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더라도 재료가 가지고 있는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변형을 유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모든 재료는 일반적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으나 응력이 발생하면 모양에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점점 미세화되고 있는 커넥터의 단자에 있어서, 이러한 소성 변형을 방지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그리고, 커넥터의 수지 몰드(하우징)를 인서트 성형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 수지의 흐름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하우징의 성형이 제대로 되는지가 결정되므로, 수지의 흐름성을 개선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금속 재질인 단자를 제작함에 있어서 제조의 방식(예컨대, 딥드로잉 방식의 사용 여부)에 따라서도 단자 자체 및 수지 몰드의 구조의 한계가 존재하는 바, 이러한 점을 고려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또한, 인서트 성형 등에 있어서, 수지 사출물이 금속 재질을 덮는 문제점을 고려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면 금속 제거 구조에 있어서, 한번의 사출(한번의 인서트 성형)만으로도 수지재의 제1 절연부(10-5-I1)와 제2 절연부(10-5-I2)를 모두 채우는 것이다.
다른 과제는, 그 형상 자체로서, 강도를 높이는 것이다.
또한, 다른 과제는, 상면에서의 금속끼리의 접촉에 의한 마모나, 굴곡부의 곡률 계산(또는 실제의 벤딩 실행)의 오류에 따른 들뜸을 줄이는 것이다.
또한, 다른 과제는, 커넥터(10)의 높이를 줄이면서도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에 실장되며,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벽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신호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단자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접속부, 제1 굴곡부, 연결부, 제2 굴곡부,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 상기 제1 굴곡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상기 몰드부의 일부인 제1 절연부가 채워져 있고,
상기 연결부, 상기 제2 굴곡부, 상기 접촉부의 사이에 상기 몰드부의 일부인 제2 절연부가 채워져 있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기판에 실장하고, 상기 실장되는 부분을 하방이라 할 때, 상기 접촉부의 최상단, 상기 제2 절연부의 최상단, 상기 제1 굴곡부의 최상단은 동일한 높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기판에 실장하고, 상기 실장되는 부분을 하방이라 할 때,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방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상기 신호 단자는 상기 제2 절연부에 의해 단절되어 보이는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굴곡부는 상기 기판에의 실장부로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기판에 실장하고, 상기 실장되는 부분을 하방이라 할 때, 상기 제1 굴곡부는 상기 접속부의 상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굴곡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부와 상기 접촉부의 하부를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부, 상기 제1 굴곡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상기 몰드부의 일부인 제1 절연부가 인서트 성형되어 채워지고, 상기 연결부, 상기 제2 굴곡부, 상기 접촉부의 사이에 상기 몰드부의 일부인 제2 절연부가 인서트 성형되어 채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컨대 도 4와 같이, 접속부(10-3-C), 상부의 제1 굴곡부(10-3-B1), 연결부(10-3-I), 하부의 제2 굴곡부(10-3-B2), 접촉부(10-3-T)가 존재하면, 한번의 사출(한번의 인서트 성형)만으로도 수지재의 제1 절연부(10-5-I1)와 제2 절연부(10-5-I2)를 모두 채울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본 발명과 같은 구조의 효과 중의 하나는, 2중 사출 없이 상면 금속 제거 형상을 구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른 효과로서는, 도 4에 나타난 신호 단자(10-3)의 그 형상 자체(제1 및 제2 절연부(10-5-I1, 10-5-I2) 포함)로서, 강도를 좋아지게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상면 금속 제거 형상이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20)의 신호 단자(20-3)와는 접촉부(10-3-T) 및 접속부(10-3-C)에서 주로 결합하고, 상면에서는 대부분 수지에 의해 접촉한다(제1 굴곡부(10-3-B1)에서 일부 접하지만, 상면 전체가 금속인 것에 비해 좁은 영역임). 따라서, 상면에서의 금속끼리의 접촉에 의한 마모나, 굴곡부의 곡률 계산(또는 실제의 벤딩 실행)의 오류에 따른 들뜸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의 높이를 줄이면서도 강도를 유지하는 데에도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플러그 커넥터(1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소켓 커넥터(2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의 우측 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에서 하우징(10-5)을 제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과 도 7은 도 5에서 하나의 신호 단자(10-3)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2의 소켓 커넥터(20)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 및 도 8에서 신호 단자(20-3)만을 추출하여 확대한 것이다.
도 10은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플러그 커넥터(1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일예로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 하우징(10-5; 몰드부)이 도시되어 있다.
전원 단자(10-1)는 커넥터(10)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금속제의 구조체임과 동시에,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신호 단자(10-3)는 데이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단, 이는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원 단자(10-1)는 별도의 금구와 전원 단자로서 분리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신호 단자(10-3)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4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0.3A를 초과하여, 예컨대, 전원 단자로 기능하도록 5A의 전류까지 허용되는 단자일 수 있다. 단, PIN의 갯수가 4개라는 것은 일예이다. 참고로, 도 1의 예에서 신호 단자(10-3)의 갯수는 6개이다.
하우징(10-5)은 기저부를 갖는다. 하우징(10-5)은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벽부를 가지며, 벽부에,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 등이 형성된다.
벽부는 크게 4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며, 제1 벽부(10-5-w1), 제2 벽부(10-5-w2), 제3 벽부(10-5-w3), 제4 벽부(10-5-w4)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벽부(10-5-w1)-제2 벽부(10-5-w2)-제3 벽부(10-5-w3)-제4 벽부(10-5-w4)의 순으로 연결되며, 제4 벽부(10-5-w4)는 다시 제1 벽부(10-5-w1)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하우징(10-5; 몰드부)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5)은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구리일 수도 있고,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소켓 커넥터(2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소켓 커넥터(20)는 리셉터클 커넥터(20)라고도 한다.
도 2의 소켓 커넥터(20)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와 서로 끼워맞춰져 결합되는 구조이다. 물론, 도 1 및 도 2의 방향(특히, 상하 방향)은 구조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정된 것이며, 도 1에 나타난 방향 및 도 2에 나타난 방향 그대로 끼울 수는 없고,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를 상하 반전(Z 방향이 상하 반전되도록)시켜 도 2의 소켓 커넥터(20)에 끼우거나, 도 2의 소켓 커넥터(20)를 상하 반전(Z 방향이 상하 반전되도록)시켜 도 1의 플러그 커넥터(20)에 끼우는 것임은 당연하다.
도 2에는, 일예로 소켓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 하우징(20-5; 몰드부)이 도시되어 있다.
전원 단자(20-1)는 커넥터(20)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금속제의 구조체임과 동시에,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신호 단자(20-3)는 데이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단, 이는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원 단자(20-1)는 별도의 금구와 전원 단자로서 분리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신호 단자(20-3)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4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0.3A를 초과하여, 예컨대, 전원 단자로 기능하도록 5A의 전류까지 허용되는 단자일 수 있다. 단, PIN의 갯수가 4개라는 것은 일예이다. 참고로, 도 2의 예에서 신호 단자(20-3)의 갯수는 24개이다.
하우징(20-5)은 기저부를 갖는다. 하우징(20-5)은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벽부를 가지며, 벽부에,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 등이 형성된다. 또한, 기저부로부터 돌출되는 (가장자리의) 벽부 뿐만이 아니라 (가운데에) 섬부(20-5-I)도 갖는다.
벽부는 크게 4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며, 제1 벽부(20-5-w1), 제2 벽부(20-5-w2), 제3 벽부(20-5-w3), 제4 벽부(20-5-w4)를 포함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벽부(20-5-w1)-제2 벽부(20-5-w2)-제3 벽부(20-5-w3)-제4 벽부(20-5-w4)의 순으로 연결되며, 제4 벽부(20-5-w4)는 다시 제1 벽부(20-5-w1)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의 하우징(20-5; 몰드부)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5)은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러그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구리일 수도 있고,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의 우측 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는 하우징(10-5; 몰드부), 신호 단자(10-3), 전원 단자(10-1)가 도시되어 있다.
전원 단자(10-1)는 금구(10-1)라고도 한다.
도 3은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면서 보는 각도를 다소 달리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3에는 A-A' 선이 표시되어 있고, 도 4는 그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며, 특히 A-A' 단면 중에서도 A쪽에 있는 신호 단자(10-3)를 위주로 하여 단면을 나타낸다.
신호 단자(10-3)의 구조는 후술하는 도 6, 도 7을 통해서도 나타나며, 도 4에서는 그 단면이 도시된다.
도 4에서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가면서, 실장부(10-3-M), 접속부(10-3-C), 제1 굴곡부(10-3-B1), 연결부(10-3-I), 제2 굴곡부(10-3-B2), 접촉부(10-3-T)가 존재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부(10-3-M)는 기판(미도시)에의 실장을 위한 부분이며, 접속부(10-3-C), 연결부(10-3-I), 접촉부(10-3-T)는 바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실장부(10-3-M)가 있는 -Z 방향을 하방(하부)이라고 하면, 접속부(10-3-C)의 상부와 연결부(10-3-I)의 상부는 제1 굴곡부(10-3-B1)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연결부(10-3-I)의 하부와 접촉부(10-3-T)의 하부는 제2 굴곡부(10-3-B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필요에 따라, 제2 굴곡부(10-3-B2)는 (실장부(10-3-M) 외에도) 추가의 실장부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4의 단면에서, 접속부(10-3-C), 제1 굴곡부(10-3-B1), 연결부(10-3-I)로 둘러싸인 공간은 하우징(10-5)(즉, 제1 절연부(10-5-I1))에 의해 채워져 있으며, 연결부(10-3-I), 제2 굴곡부(10-3-B2), 접촉부(10-3-T)로 둘러싸인 공간도 마찬가지로 하우징(10-5)(즉, 제2 절연부(10-5-I2))에 의해 채워져 있다. 접속부(10-3-C), 제1 굴곡부(10-3-B1), 연결부(10-3-I)로 둘러싸인 하우징(10-5)의 일부(제1 절연부(10-5-I1)), 연결부(10-3-I), 제2 굴곡부(10-3-B2), 접촉부(10-3-T)로 둘러싸인 하우징(10-5)의 일부(제2 절연부(10-5-I2))는, 도 4의 단면상에서는 서로 나뉘어진 별개의 영역인 것처럼 보이지만,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제1 절연부(10-5-I1)와 제2 절연부(10-5-I2)는 둘 다 하우징(10-5)의 일부로서, 도 4의 단면이 아닌 다른 부분에서는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 E 영역에는 금속 재질(즉, 신호 단자(10-3))이 없이 수지재의 하우징(10-5)(제2 절연부(10-5-I2))만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도 4의 E 영역을 다른 각도에서 보면 도 3의 E 영역과 같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를 상부에서 보았을 때에, 제2 측벽(10-5-w2)과 제4 측벽(10-5-w4)의 A-A' 단면 전체를 신호 단자(10-3)가 덮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하우징(10-5)(제2 절연부(10-5-I2)이 그 상부를 상당 부분 덮고 있음(채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접속부(10-3-C)(외측 접촉부라고도 함)와 접촉부(10-3-T)(내측 접촉부라고도 함)의 사이에 연결부(10-3-I)가 있으며, 상방에 제1 굴곡부(10-3-B1), 하방에 제2 굴곡부(10-3-B2)가 있음으로써 가능하다.
다만 제1 비교예로서, 비록 본원의 도 4와 같이 하부의 실장부(10-3-M), 접속부(10-3-C), 상방의 제1 굴곡부(10-3-B1), 연결부(10-3-I), 하방의 제2 굴곡부(10-3-B2), 접촉부(10-3-T)가 있는 구조라 하더라도, '접속부(10-3-C), 제1 굴곡부(10-3-B1), 연결부(10-3-I)로 둘러싸인 공간'과 '연결부(10-3-I), 제2 굴곡부(10-3-B2), 접촉부(10-3-T)로 둘러싸인 공간'에 하우징(10-5)이 채워져 있지 않은 경우를 상정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제1 비교예(즉, 도 4에서 수지재의 제1 절연부(10-5-I1) 및/또는 제2 절연부(10-5-I2)가 존재하지 않고, 빈 공간인 경우)에서는, 내측 접촉부와 외측 접촉부가 상대 커넥터(20)의 신호 단자(20-3)과 결합함에 있어서, 폭 방향(Y 방향)으로 적합한 지지력을 제공하지 못하고, 예를 들어 내측 접촉부와 외측 접촉부가 너무 가까워져 버리는 단점이 있다. 즉, 도 4에는 존재하는 수지재의 제1 절연부(10-5-I1) 및/또는 제2 절연부(10-5-I2)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내측 접촉부와 외측 접촉부를 폭 방향으로 지지해 주는 힘이 작용하기 힘들고, 내측 접촉부, 연결부, 외측 접촉부가 지나치게 약한 스프링처럼 작용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다른 비교예인 제2 비교예로서, 도 4에서 (i) 수지재의 제1 절연부(10-5-I1) 및/또는 제2 절연부(10-5-I2)가 존재하지 않고, 빈 공간이면서, 동시에 (ii) 부재(10-3-T)의 내측(폭방향 내측)이 비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이 덧대어져 있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비교예의 경우, 사실상 부재(10-3-T)는 상대 커넥터(20)의 신호 단자(20-3)와의 접촉부로서 기능하지 않고, 오직 부재(10-3-C)만이 상대 커넥터(20)의 신호 단자(20-3)와의 접촉부로서 기능하는데, 이 경우, 결합의 강도에 다소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으로 돌아가면, 도 4에서 상대 커넥터(20)의 신호 단자(20-3)과 결합하는 부위는 접촉부(10-3-T)(내측 접촉부)와 접속부(10-3-C)(외측 접촉부)이며, 그 사이의 연결부(10-3-I)는 상대 커넥터(20)와의 결합에 직접 이용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연결부(10-3-I)가 없이 상면 금속 제거 구조(즉, 도 4에서 E 영역이 금속이 아니라 수지인 구조)와 함께 내측 접촉부 및 외측 접촉부를 만들려면, 이중 사출(two shot injection)을 행할 필요가 있고 이는 제조 공정의 복잡화 및 제조 단가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반면에, 본 발명(도 4)과 같이, 접속부(10-3-C), 상부의 제1 굴곡부(10-3-B1), 연결부(10-3-I), 하부의 제2 굴곡부(10-3-B2), 접촉부(10-3-T)가 존재하면, 한번의 사출(한번의 인서트 성형)만으로도 수지재의 제1 절연부(10-5-I1)와 제2 절연부(10-5-I2)를 모두 채울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본 발명과 같은 구조를 안출한 이유(효과) 중의 하나는, 2중 사출 없이 상면 금속 제거 형상을 구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이유(효과)로서는, 도 4에 나타난 신호 단자(10-3)의 그 형상 자체(제1 및 제2 절연부(10-5-I1, 10-5-I2) 포함)로서, 강도를 좋아지게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상면 금속 제거 형상이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20)의 신호 단자(20-3)와는 접촉부(10-3-T) 및 접속부(10-3-C)에서 주로 결합하고, 상면에서는 대부분 수지에 의해 접촉한다(제1 굴곡부(10-3-B1)에서 일부 접하지만, 상면 전체가 금속인 것에 비해 좁은 영역임). 따라서, 상면에서의 금속끼리의 접촉에 의한 마모나, 굴곡부의 곡률 계산(또는 실제의 벤딩 실행)의 오류에 따른 들뜸이 줄어들 수 있다. 접속된 상황에 대해서는 도 10, 도 11을 통해 추가로 후술한다.
또한, 커넥터(10)의 높이를 줄이면서도 강도를 유지하는 데에도 유리하다.
한편, 도 4의 E 영역에서 접촉부(10-3-T)의 최상단, 제2 절연부(10-5-I2)의 최상단, 제1 굴곡부(10-3-B1)의 최상단은 동일한 높이이다. 이는, 후술할 도 10, 도 11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상대 커넥터(10)와의 원활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4의 하단에서 제2 굴곡부(10-3-B2)의 최하단 및 하우징(10-5)의 최하단은, 실장부(10-3-M)의 최하단보다 높게 위치한다. 즉, 일종의 몰드 살빼기(박육화)가 적용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굴곡부(10-3-B2)가 추가의 실장부로서 사용될 수도 있고, 납땜 강도를 높이고, 접촉 저항을 낮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도 3에서 하우징(10-5)을 제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단자(10-3)가 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부(-Z 방향)의 실장부(10-3-M), 접속부(10-3-C), 상방(+Z 방향)의 제1 굴곡부(10-3-B1), 연결부(10-3-I), 하방(-Z 방향)의 제2 굴곡부(10-3-B2), 접촉부(10-3-T)가 있는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도 5에서 하나의 신호 단자(10-3)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단자(10-3)가 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부(-Z 방향)의 실장부(10-3-M), 접속부(10-3-C), 상방(+Z 방향)의 제1 굴곡부(10-3-B1), 연결부(10-3-I), 하방(-Z 방향)의 제2 굴곡부(10-3-B2), 접촉부(10-3-T)가 있는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접속부(10-3-C)(즉, 외측 접촉부)와 접촉부(10-3-T)(즉, 내측 접촉부)가 상대 커넥터(20)의 신호 단자(20-3)와 결합되는 양상은 도 10, 도 11을 통해 후술한다.
도 8은 도 2의 소켓 커넥터(20)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소켓 커넥터(20)는 중앙에 돌출 섬부, 및 제1~제4 측벽을 갖는 하우징(20-5),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를 포함한다.
도 9는 도 2 및 도 8에서 신호 단자(20-3)만을 추출하여 확대한 것이다.
도 9에 나타난 신호 단자(20-3)의 오목한 부분에, 도 4에 도시된 신호 단자(10-3)의 내측 접촉부 및 외측 접촉부 등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러한 결합은 도 10, 도 11을 통해 후술한다.
도 10은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소켓 커넥터(20)의 하면이 -Z 방향을 향하고(즉, 도 2의 좌표계와 동일), 플러그 커넥터(10)의 상면이 -Z 방향을 향하도록(즉, 도 1의 좌표계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상하 반전함) 하여 서로 결합한 것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1에서, 아래에 소켓 커넥터(20), 위에 플러그 커넥터(10)가 있고,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10의 B-B' 단면 중에서도 도 11은 B 쪽에 더 가까운 신호 단자(10-3, 20-3)끼리의 결합 모습을 보여준다.
접촉부(10-3-T)는 내측 접촉부로서 기능하여 소켓 커넥터(20)의 신호 단자(20-3)에 결합되고, 접속부(10-3-C)는 외측 접촉부로서 기능하여 소켓 커넥터(20)의 신호 단자(20-3)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 굴곡부(10-3-B1), 제2 절연부(10-5-B2), 접촉부(10-3-T)의 최하단 높이(도 11을 기준으로는 최하단 높이이며, 도 11과는 상하반전 관계인 도 4를 기준으로는 최상단 높이)는 모두 동일하므로, 신호 단자(20-3)의 바닥면에 타이트하게 접촉하며, 대부분은 플러그 커넥터(10)의 제2 절연부(10-3-I2)인 수지 부분이 소켓 커넥터(20)의 신호 단자(20-3)에 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전체가 수지는 아니며, 접촉부(10-3-T)의 최하단면, 제1 굴곡부(10-3-B1)의 최하단면 등으로 일부는 금속이 접촉한다.
참고로, 내측 접촉부인 접촉부(10-3-T)와 신호 단자(20-3)가 일부 중첩되어 있는 부분은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실제로는 이렇게 중첩될 수는 없고, 신호 단자(20-3)가 탄성에 의해 내측(-Y 방향)으로 다소 이동하여 접촉부(10-3-T)에 접하는 식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플러그 커넥터
10-1: 전원 단자
10-3: 신호 단자
10-3-M: 실장부
10-3-C: 접속부(외측 접촉부)
10-3-I: 연결부
10-3-T: 접촉부(내측 접촉부)
10-5: 하우징(몰드부)
10-5-w1: 제1 벽부
10-5-w2: 제2 벽부
10-5-w3: 제3 벽부
10-5-w4: 제4 벽부
10-5-I1: 제1 절연부
10-5-I2: 제2 절연부
20: 리셉터클 커넥터(소켓 커넥터)
20-1: 전원 단자
20-3: 신호 단자
20-5: 하우징(몰드부)
20-5-w1: 제1 벽부
20-5-w2: 제2 벽부
20-5-w3: 제3 벽부
20-5-w4: 제4 벽부

Claims (6)

  1. 기판에 실장되며,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벽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신호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단자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접속부, 제1 굴곡부, 연결부, 제2 굴곡부,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 상기 제1 굴곡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상기 몰드부의 일부인 제1 절연부가 채워져 있고,
    상기 연결부, 상기 제2 굴곡부, 상기 접촉부의 사이에 상기 몰드부의 일부인 제2 절연부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기판에 실장하고, 상기 실장되는 부분을 하방이라 할 때,
    상기 접촉부의 최상단, 상기 제2 절연부의 최상단, 상기 제1 굴곡부의 최상단은 동일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기판에 실장하고, 상기 실장되는 부분을 하방이라 할 때,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방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상기 신호 단자는 상기 제2 절연부에 의해 단절되어 보이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굴곡부는 상기 기판에의 실장부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기판에 실장하고, 상기 실장되는 부분을 하방이라 할 때,
    상기 제1 굴곡부는 상기 접속부의 상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굴곡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부와 상기 접촉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상기 제1 굴곡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상기 몰드부의 일부인 제1 절연부가 인서트 성형되어 채워지고,
    상기 연결부, 상기 제2 굴곡부, 상기 접촉부의 사이에 상기 몰드부의 일부인 제2 절연부가 인서트 성형되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220083675A 2022-07-07 2022-07-07 전기 커넥터 KR20240006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675A KR20240006868A (ko) 2022-07-07 2022-07-07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675A KR20240006868A (ko) 2022-07-07 2022-07-07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868A true KR20240006868A (ko) 2024-01-16

Family

ID=8971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675A KR20240006868A (ko) 2022-07-07 2022-07-07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68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35137B (zh) 电连接器
KR20040071603A (ko) 전기 커넥터
JP7507567B2 (ja) プラグコネクター
JP7385771B2 (ja) ソケット補強部材、基板対基板ソケット及び基板対基板コネクタ組立体
JPH10189181A (ja) プラグコネクタ
US11114791B1 (en) Connector
CN211605467U (zh) 插塞连接器
KR20240006868A (ko) 전기 커넥터
US792250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H10154542A (ja) 電気コネクタ
KR20240029877A (ko) 전기 커넥터
KR20040078681A (ko) 기판용 전기 커넥터, 기판용 전기 커넥터 하우징의 성형방법 및 기판용 전기 커넥터 하우징의 사출 성형용 금형
KR20230172873A (ko) 전기 커넥터
US648531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2644055B1 (ko) 전기 커넥터
KR102644059B1 (ko) 전기 커넥터
KR20240093079A (ko) 전기 커넥터
KR20230172872A (ko) 전기 커넥터
KR20240011002A (ko) 플로팅 커넥터
CN221201564U (zh) 电连接器
KR20240115068A (ko) 전기 커넥터
KR20240035111A (ko) 전기 커넥터
KR20240050161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230158309A (ko) 전기 커넥터
KR20240055358A (ko) 리셉터클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