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859A - The serum that contains the color powder capsule liquid crystal with a tone up function - Google Patents

The serum that contains the color powder capsule liquid crystal with a tone up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859A
KR20230174859A KR1020220075994A KR20220075994A KR20230174859A KR 20230174859 A KR20230174859 A KR 20230174859A KR 1020220075994 A KR1020220075994 A KR 1020220075994A KR 20220075994 A KR20220075994 A KR 20220075994A KR 20230174859 A KR20230174859 A KR 20230174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apsule
wound
dimensional shap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9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덕훈
Original Assignee
김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훈 filed Critical 김덕훈
Priority to KR1020220075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859A/en
Publication of KR20230174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859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상의 형태는 컬러파우다가 포함된 캡슐액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외상의 형태는 투명한 점액성의 제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내상의 액정 캡슐을 외상의 투명한 에센스 세럼속에 띄워 놓은 형태의 색조 기능의 캡슐형 톤업 에센스 세럼이다.
내상은 수중유형 타입이며, 상기 외상내에 포함된 세럼은 투명하여 캡슐이 입체적으로 보이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외상을 통해 상기 내상의 입체적 형상이 투시됨으로써 상기 내상의 입체적 형상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식별이 가능하고, 상기 외상은 25 내지 60 dyne/cm2 의 경도를 갖고, 상기 내상은 캡슐형태의 액정으로 외상내에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 형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he inner shell is composed of liquid crystal capsules containing color powder, and the outer shell is made of a transparent viscous formulation, so it is a capsule-type tone-up essence serum with a coloring function in which the liquid crystal capsules of the inner shell are floating in the transparent essence serum of the outer shell. .
The inner case is an underwater type, and the serum contained within the outer box is transparent so that the capsule has a three-dimensional appearance.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inner box is transparent through the outer box, allow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inner box to be visual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And, the outer layer has a hardness of 25 to 60 dyne/cm2, and the inner phase is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three-dimensional shape, characterized in that capsule-shaped liquid crystal is dispersed within the outer layer.

Description

컬러파우더의 캡슐 액정이 포함된 톤 업 기능의 세럼 {The serum that contains the color powder capsule liquid crystal with a tone up function}Serum with tone up function containing color powder capsule liquid crystal {The serum that contains the color powder capsule liquid crystal with a tone up function}

본 발명은 수중유형(oil-in-water, O/W) 타입의 입체적 형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투명한 제형의 외상 내에 입체적 캡슐형상의 내상을 포함하는, 독특한 심미감과 시각적 차별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oil-in-water (O/W) type three-dimensional shape, which includes a three-dimensional capsule-shaped inner shape within the outer shell of a transparent formulation, and has a unique aesthetic and visual differentiation. It relates to cosmetic compositions.

외상에 포함된 보습제와 영양성분은 피부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고, 내상의 캡슐에 포함된 컬러 파우더를 함유한 성분은 색조화장으로 표현해주어 톤 업을 시켜줌으로서 피부를 화사하게 만들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The moisturizer and nutrients contained in the outer shell protect the skin, and the ingredients containing color powder contained in the inner capsule have the function of brightening the skin by toning up the skin by expressing it as color makeup. .

화장품 분야는 제품의 기능, 효능뿐만 아니라 외관적 특성이 제품 판매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화장품을 시각적으로 차별화하고 외관상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In the cosmetics field, not only the function and efficacy of the product, but also its appearance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roduct sales, so the industry is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visually differentiating cosmetics and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exterior.

최근에는 화장품 패키지를 차별화하는 것에서 나아가, 화장료에 입체 형상을 표현하는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입체 형상을 가진 화장료는 내상과 외상의 혼합시 또는 충진시에 외부의 충격이나 충진시 노즐의 압력에 의하여 내상이 깨지거나 손상되어 입체감과 투명감이 사라져 제품 외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많다. 내상과 외상의 경계면이 단단하게 처리되지 못할 경우에는 또는 외상과 내상의 물성을 잘 조절하지 못할 경우 외상과 내상이 서로 혼합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내상의 물질이 내상의 경계면을 뚫고 이동하거나 무너져버리는 경시변화의 문제가 있다. Recently, technology that goes beyond differentiating cosmetic packages and expresses three-dimensional shapes in cosmetics is being attempted. In general, cosmetics with a three-dimensional shape have a high risk of damaging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as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transparency are lost due to the inner case being broken or damaged by external impact or the pressure of the nozzle during filling when mix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parts or when filling. If the interf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ounds is not treated firmly, or i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uter and inner wounds are not properly controll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uter and inner wounds are mixed togeth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change over time, in which the material of the inner lining moves through the boundary of the inner casing or collapses over time.

한편, 외상과 내상의 물성을 잘 조절하지 못할 경우 용기에서 토출된 후 외상과 내상이 서로 혼합이 안 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사용자의 피부에 고르게 펴 발라지지 않아서 생기는 퍼짐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uter layer and the inner layer are not properly controll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uter layer and the inner layer do not mix with each other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This may cause spreading problems as it is not spread evenly on the user's skin.

또한, 투명한 액상의 외상의 경우 계면활성제나 호환성 원료에 의하여 제형의 투명도가 떨어지거나 내상의 물질과 상호 작용하여 내상을 용해시켜 투명감을 상실할 우려가 있어서 기능성 성분 등을 넣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ransparent liquid trauma, there is a risk that the transparency of the formulation may decrease due to surfactants or compatible raw materials, or that interaction with substances in the inner phase may cause the inner phase to dissolve and lose transparency, making it impossible to add functional ingredients.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화장료에 최초로 적용함으로써, 종래 방식으로는 구현할 수 없었던 정교하고 상세하게 입체적 으로 캡슐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입체적 캡슐 형상이 어떠한 외부의 조건에서도 유지될 수 있도록 내상이 외상과 서로 섞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기능성 활성 성분을 안정적으로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외관상의 미감뿐만 아니라 캡슐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의 효능을 높일 수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smetic composition to solve these problems.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cosmetics for the first time, it made it possible to realize the shape of a capsule in a precise and detailed three-dimensional manner that could not be realized with conventional methods. 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maintain its shape without the internal phase mixing with the external wound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capsule shape can be maintained under any external conditions, and can stably contain functional active ingredients, so that the product appearance is It can increase not only the aesthetics but also the efficacy of the functional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apsule.

본 발명은 캡슐 형태의 내장제와 투명한 액상 형태의 외장제를 적절한 조합을 통하여 외부의 어떠한 조건에도 외상과 서로 섞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입체적 캡슐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으로 기술적으로 성분의 조합을 통하여 제형과 기능성 원료의 효능을 유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mulation and formulation through a technical combination of ingredients to maintain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capsule stably without mixing with trauma under any external conditions through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an internal agent in the form of a capsule and an external agent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liqui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that can maintain the efficacy of functional raw materials.

상기 안정된 제형을 용기의 펌푸를 통하여 토출된 후 내외상이 완벽하게 혼합되어 기능성 및 톤업기능등 내외상의 각각의 기능을 손실없이 피부에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is to deliver the internal and external functions, such as functionality and tone-up function, to the skin without loss by completely mix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parts after the stable formula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pump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제형의 외상과, 상기 외상 내에 포함되되, 상기 외상과 섞이지 않고 일정한 입체적 형상을 가지며 수중유형(oil-in-water, O/W) 타입의 내상을 포함하고, 상기 외상을 통해 상기 내상의 입체적 캡슐 형상이 투시됨으로써 상기 내상의 입체적 형상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n outer wound of a transparent formulation, and an inner wound of an oil-in-water (O/W) type that is included in the outer wound, has a constant three-dimensional shape without being mixed with the outer wound, and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capsule shape of the inner image is transparent through the external wound,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inner image can be visual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캡슐형의 내상 원료 구성과 제조를 별도로 하고, 내상 원료는 다시 캡슐형태로 만들어지기 위하여 전문적 기계의 도움을 받아 캡슐형태로 만들어진다. Apart from the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of the capsule-type inner case raw materials, the inner case raw materials are made into a capsule form with the help of a specialized machine in order to be made into a capsule form again.

캡슐을 감싸는 외상의 원료 구성과 제조를 별도로 하여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of the outer shell surrounding the capsule are done separately.

내상과 외상을 하나의 혼합물로 혼합시켜 한 제품에 두가지 상의 타입이 혼합되어 각각의 제형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띤다. By mix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wounds into one mixture, the two types of wounds are mixed in one product to form a separate dosage for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상은 수용성 타입이며, 내상은 액정 캡슐 제형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uter layer may be a water-soluble type, and the inner layer may be a liquid crystal capsule formula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외상을 살펴보면, 상기 외상은 보습제, 점증제, 중화제, 가용화제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traum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auma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oisturizer, a thickener, a neutralizer, a solubilizer, and an additi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증제는 상기 외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icken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5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raum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화제는 상기 외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mulsifier may be included from 0.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xternal woun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습제 5.0 내지 30.0 중량%, 식물성추출물 첨가제 1.0 내지 10.0 중량%, 향료제 0.1 내지 0.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may include 5.0 to 30.0% by weight of the moisturizer, 1.0 to 10.0% by weight of the vegetable extract additive, and 0.1 to 0.2% by weight of the flavoring agent.

일 실시예에 따라 내상을 살펴보면, 상기 내상은 산화철 색소, 이산화티탄, 유화제, 점증제,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inner ph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ner phase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ron oxide pigment, titanium dioxide, emulsifier, thickener, preservative, and fragran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화제는 상기 내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mulsifi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ner phas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색소 이산화티탄과 산화철은 상기 내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1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organic pigment titanium dioxide and iron oxid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1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ner phas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증제는 상기 내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0.3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icken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3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ner phas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상은 상기 내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유화제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ner phase may include 0.1 to 3.0% by weight of an emulsifi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ner phas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상 또는 내상은 효능성분, 색소, 펄, 캡슐, 금박 및 광택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xternal or internal injury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ffective ingredients, pigments, pearls, capsules, gold leaf, and glossy pig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의 외상을 준비하는 단계, 내상의 컬러커버형 제제 제조단계, 내상의 캡슐화 제조단계, 캡슐화가 된 내상을 외상 내에 투입 혼합하는 단계, 내외상이 혼합된 제제를 용기에 투입하여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적 형상의 색조 기능의 캡슐을 포함하는 세럼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preparing a transparent outer box, a manufacturing step of a color cover-type preparation of the inner box, a step of manufacturing an encapsulation of the inner box, a step of mixing the encapsulated inner box into the outer box, and a preparation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boxes are mix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smetic composition with a serum function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capsule with a coloring function can be provided, which includes the step of putting it into a container and completing it.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한 제형의 외상 내에 색조 기능의 입체적 캡슐을 형상으로 띄워 포현함으로써, 제형의 시각적 차별화가 가능하며 동시에 기초화장과 색조화장을 한번에 마무리 할 수 있는 타입의 제품으로 구매자의 소비 욕구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ype of product that allows for visual differentiation of the formulation by floating a three-dimensional capsule with a coloring function within the outer shell of a transparent formulation, and at the same time can complete basic makeup and color makeup at once, satisfying the consumer's consumption desir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내상이 외상과 서로 섞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그 형상 및 성분의 효능을 보존할 수 있다.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tably maintains its shape without mixing the internal wound with the external wound, but also preserves the shape and efficacy of the ingredients for a long period of time.

내상이 외상과 동일한 O/W 제형이어도, 내,외상 막을 형성하여 번짐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Even if the inner wound is the same O/W formulation as the outer wound, the spreading effect can be minimized by forming a film on the inner and outer wound.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능성 활성 성분을 공기와 접촉할 수 없는 내상 캡슐속에 안정적으로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미백, 항산화, 진정, 소염, 피부 개선 효과 등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다. Since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contain functional active ingredients in an inner capsule that cannot come into contact with air, it can increase functionality such as whitening, antioxidant, soothing, anti-inflammatory, and skin improvement effects.

수용성 색소, 펄, 캡슐, 금박 또는 광택안료 등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제형 외관에 다양한 시각적 변화를 줄 수 있다. By additionally including water-soluble pigments, pearls, capsules, gold leaf, or gloss pigments, various visual changes can be made to the appearance of the formulation.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기에서 토출할 때 펌푸를 통하여 토출되기 때문에 내상과 외상이 자연스럽게 혼합되어 토출됨으로서 내상의 컬러표현 성분과 외상의 보습영양 성분의 기능을 한꺼번에 사용이 가능하여 색조화장과 보습영양의 기초화장등 두가지 기능의 피부표현을 하나로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Since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harged through a pump when discharged from a container, the inner and outer layers are naturally mixed and discharged,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functions of the color expression component of the inner layer and the moisturizing and nutritional component of the outer layer at the same time, providing color makeup and moisturizing nutrition.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combining two functions, such as basic makeup, into one skin expression.

또한, 끈적이지 않고 사용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non-sticky and providing an excellent feeling of us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한 겔 타입의 외상에 캡슐형 내상을 투명한 수용성 외상에 충진한 화장료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한 액상 또는 겔 타입의 외상에 컬러파우다 캡슐의 내상을 혼합한 다음 충진한 화장료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한 겔 타입의 외상에 금박 성분을 추가하고, 내상 캡슐을 충진한 화장료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
도 4은 표 4의 성분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1:적합(4a)과 비교예1:번짐(4b), 비교예2분리(4c), 비교예3:일부분리(4d)의 내상의 유화제에 따른 제형안정도에 대한 사진이다.
도 5
도 5는 표5의 내상의 점증제 함량에 따른 용기 토출후 내외상 혼합도 비교한 제형사용감에 대한 사진이다.(좌측은 혼합도 양호, 우측은 혼합도 불량)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Figure 1
Figure 1 is a photograph showing a cosmetic composition in which a transparent gel-type external wound is filled with a capsule-type inner case in a transparent water-soluble external w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Figure 2 is a photograph showing a cosmetic composition filled by mixing the inner phase of a color powder capsule with a transparent liquid or gel-type outer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Figure 3 is a photograph showing a cosmetic composition in which a gold leaf component is added to a transparent gel-type outer shell and an inner capsule is fil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Figure 4 shows the emulsifier of the inner phase of Example 1: Suitable (4a), Comparative Example 1: Smearing (4b), Comparative Example 2 Separation (4c), and Comparative Example 3: Partial Separation (4d) prepared according to the ingredients in Table 4. This is a photo of the formulation stability according to .
Figure 5
Figure 5 is a photograph of the feeling of use of the formulation comparing the mixing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fter discharging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ckener content of the inner part in Table 5. (Good mixing on the left, poor mixing on the right)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general, the nomenclature used herein is well known and commonly used in the art.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입체적 형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형의 외상과, 상기 외상 내에 포함되되, 외상과 섞이지 않고 일정한 입체적 형상을 가지며 수중유형(oil-in-water, O/W) 타입인 내상을 포함하고, 상기 외상을 통해 상기 내상의 입체적 형상이 투시됨으로써 상기 내상의 입체적 형상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투명한 겔 타입의 외상에 캡슐형의 내상을 충진한 화장료 조성물을 도 1에 나타내었다.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is included in the external woun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formulation, but is not mixed with the external external wound, has a certain three-dimensional shape, and is oil-in-water (Oil-in-water, O). /W) type of inner wound, and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inner wound is transparent through the outer wound,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inner wound can be visual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As an example, a cosmetic composition in which a capsule-type inner case is filled into a transparent gel-type outer case is shown in Figure 1.

본 발명의 외상은 투명의 제형으로써, 입체적 캡슐 형상으로 구현된 내상을 내측에 포함하고 있다. 외상은 외상 내에 포함된 내상의 형상이 외상을 통해 투시되어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을 정도의 투명도를 가진다. The external w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parent dosage form and contains an internal wound implemented in a three-dimensional capsule shape on the inside. Trauma has transparency to the extent that the shape of the internal wound contained within the trauma can be seen through the trauma and visually identified.

또한, 본 발명의 외상은 내상의 입체적 형상이 외상 내에서 안정적으로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상을 지지할 수 있는 물성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external w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hysical properties capable of support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internal wound so that it can stably maintain its shape within the external wound.

일 실시예에 따라 외상을 살펴보면, 외상은 수용성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외상은 투명성을 가지면서도 끈적이지 않는 사용감을 갖기 위해, 비유화 타입이며, 가용화 겔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상은 수상 성분으로 물,점증제, 폴리올, 방부제 및 수용성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용화 성분으로 폴리올, 가용화제, 식물성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중화제상 성분으로 중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Looking at traum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auma may be of a receptive type. Additionally, the outer layer may be of a non-emulsified type and may be a solubilized gel formulation in order to have transparency and a non-sticky feel. The outer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thickener, polyol, preservative and water-soluble additive as an aqueous component, an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ol, solubilizer, and vegetable additive as a solubilizing component. It may contain a neutralizing agent as a neutralizing agent component.

본 발명의 외상에 있어서, 수상성분에 속하는 점증제는 카보머(Carbomer),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AlkylAcrylate Crosspolymer),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In the external w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ener belonging to the water phase component is Carbomer, Acrylates/C10-30 AlkylAcrylate Crosspolymer, Ammonium Acryloyldimethyl Taurate/Vpico Polymer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Sodium polyacrylate (Sodium

Polyacrylate), 잔탄검(Xanthan 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Polyacrylate) and xanthan gum.

상기 점증제는 외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점증제가 0.5 중량% 이하로 포함될 경우, 외상 내에서 내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상이 떠오르거나 가라앉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2.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끈적임에 의해 사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The thicken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preferably 0.5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rauma. If the thickener is included in less than 0.5% by weight, the inner wound may not remain stable and move within the trauma, and problems with the inner wound floating or sinking may occur. If it is included in more than 2.0% by weight, the feeling of use may be increased due to stickiness. This may not be good.

본 발명의 외상에 있어서, 수상성분에 속하는 폴리올은 보습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글리세린, 1가 또는 2가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헥산디올, 솔비톨 등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외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5.0 내지 3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external w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ol belonging to the water phase component acts as a moisturizer, and glycerin, monohydric or dihydric alcohol, or a mixture thereof can be use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butylene glycol, glycerin, propylene glycol, hexanediol, sorbitol, etc. The poly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0 to 3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xternal wound.

본 발명의 외상에 있어서, 수상성분으로 방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는 예를 들어,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소듐벤조에이트, 1,2-헥산디올 등일 수 있고, 이 외에도 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 방부제는 외상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trauma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ervative may be included as an aqueous component. The preservative may be, for example, phenoxyethanol, methylparaben, sodium benzoate, 1,2-hexanediol, etc. In addition,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the industry may be used. The preservativ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rauma.

본 발명은, 수상성분으로 수용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첨가제는 베타인, 알란토인,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판테놀, 히알루론산, 수용성콜라겐, 식물성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첨가제는 외상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soluble additive as an aqueous component. The water-soluble additive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taine, allantoin, arbutin, niacinamide, adenosine, panthenol, hyaluronic acid, water-soluble collagen, and vegetable extract. The water-soluble additiv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xternal wound.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외상은 수상성분에 있어서, 외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점증제 0.5 내지 2.0 중량%, 폴리올 5.0 내지 30.0 중량%, 방부제 0.1 내지 1.0 중량%, 수용성첨가제 1.0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uter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uter layer, 0.5 to 2.0% by weight of thickener, 5.0 to 30.0% by weight of polyol, 0.1 to 1.0% by weight of preservative, and 1.0 to 10.0% by weight of water-soluble additive. %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외상에 있어서, 가용화상으로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은 보습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글리세린, 1가 또는 2가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헥산디올, 솔비톨등일 수 있다. 폴리올은 외상 총 중량 기준으로, 5.0 내지 3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external w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polyol may be included as a soluble burn. Polyol acts as a humectant, and glycerin, monohydric or dihydric alcohol, or mixtures thereof can be use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butylene glycol, glycerin, propylene glycol, hexanediol, sorbitol, etc. Poly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0 to 3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xternal wound.

또한, 가용화상으로 가용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용화제는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40Hydrogenated Castor Oil),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옥틸도데세스-16(Octyldodeceth-16),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Polyglyceryl-10 Myristate), 폴리소르베이트80,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Polyglyceryl-10 Lau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용화제는 외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가용화제가 0.5 중량% 이하로 포함될 경우, 오일과 유용성 첨가제로 인해 탁도가 발생하고, 3.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끈적임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olubilizer may contain a solubilizing agent. Solubilizers include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Octyldodeceth-16, and poly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glyceryl-10 Myristate, Polysorbate 80, and Polyglyceryl-10 Laurate. The solubiliz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preferably 0.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xternal wound. If the solubilizer is included in an amount of 0.5% by weight or less, turbidity may occur due to oil and oil-soluble additives, and if it is included in an amount of 3.0% by weight or more, not only stickiness may occur, but it may also irritate the skin.

[0043] 본 발명의 외상은 일 실시예로, 외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점증제 0.5 내지 2.0 중량%, 중화제 0.1 내지 2.0 중량%, 가용화제 0.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0043] In one embodiment, the external w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0.5 to 2.0% by weight of a thickener, 0.1 to 2.0% by weight of a neutralizer, and 0.5 to 3.0% by weight of a solubiliz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xternal wound.

본 발명의 외상에 있어서, 중화제상 성분에 속하는 중화제는 점증제와 동일한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중화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트로메타민(Tromethamine),아르기닌(Argini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traum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utralizing agent, which is a component of the neutralizing agent, may be included in the same amount as the thickening agent. The type of neutraliz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riethanolamine, tromethamine, arginine, etc. may be used.

외상의 각 성분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외상은 투명성을 가지면서 끈적임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점도를 형성함으로써, 충진된 입체적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상은 점도가 25 내지 60 dyne/cm2 일 수 있다. When each component of the outer box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outer box is transparent and does not cause stickiness, thereby providing an excellent feeling of use. Additionally, by forming an appropriate viscosity, the filled three-dimensional shape can be stably maintained. The external w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viscosity of 25 to 60 dyne/cm2.

여기서, 경도는 후도 경도계(Fudoh rheo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cm 파이 스핀들을 사용하여 깊이 15 mm까지 30 cm/min의 속도로 가하여 눌렀을 때의 최대 하중값을 측정할 수 있다. Here, hardness can be measured using a Fudoh rheo meter. For example, using a 2cm pie spindle, the maximum load value can be measured when pressed at a speed of 30 cm/min to a depth of 15 mm.

본 발명의 외상은 상기 경도 범위에서, 외상 내에 투입된 캡슐이 안정하게 위치할 수있으며, 충진된 캡슐의 내상이 무너지거나 이동하지 않고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외상의 경도가 25 dyne/cm2이하인 경우, 내상이 외상 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고 이동할 수 있으며, 경도가 60 dyne/cm2이상인 경우 끈적임에 의해 사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In the trauma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above hardness range, the capsule inserted into the trauma can be positioned stably, and the inner shape of the filled capsule can stably maintain its shape without collapsing or moving. If the hardness of the trauma is less than 25 dyne/cm2, the inner wound may not be stably supported within the trauma and may move, and if the hardness is more than 60 dyne/cm2, there is a problem of poor usability due to stickiness.

본 발명의 외상은 효능성분, 색소, 펄, 캡슐, 금박 및 광택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젤 제형인 외상 내에 효능성분, 캡슐, 색소, 윤광효과를 내는 펄 등을 적용 시 제형 외관에 다양한 시각적 변화를 줄 수 있으며 구매자의 소비 욕구를 높일 수 있다. The cosmetic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ffective ingredients, pigments, pearls, capsules, gold leaf, and glossy pigments. When effective ingredients, capsules, pigments, pearls that create a glossy effect, etc. are applied to the transparent gel formulation, various visual changes can be made to the appearance of the formulation and increase the consumer's desire to consume.

구체적으로, 효능성분은 미백,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등에 효과가 있는 활성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외상에 직접 포함되거나, 캡슐화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색소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효능성분은 화장품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활성성분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타민 A, B, C, E, 콜라겐, 세라마이드, 펩타이드, 아데노신, 알부틴, 히아루론산, 콘드로이친설페이트로, 알파비사보롤, 구아이아줄렌, 코엔자임Q10, 유용성감초추출물, Hydroxydecyl Ubiquinone, 베타인, 알란토인, 우레아,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식물성추출물 등 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ffective ingredient refers to an active ingredient that is effective in whitening, antioxidant, wrinkle improvement, moisturizing, etc., and may be included directly in the outer skin or encapsulated, and may be included together with pigment. Activ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the cosmetics industry may be used, such as vitamins A, B, C, E, collagen, ceramide, peptide, adenosine, arbutin, hyaluronic acid, chondroitin sulfate, and alphavisabo. It may be roll, guaiazulene, coenzyme Q10, oil-soluble licorice extract, Hydroxydecyl Ubiquinone, betaine, allantoin, urea, niacinamide, adenosine, vegetable extract, etc.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외상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배합되는 향료, 방부제, 윤활제, 피부컨디셔닝제, 산화 방지제, 변색 방지제, 살균제, 안정제 및 각종 미용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ern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fragrances, preservatives, lubricants, skin conditioning agents, antioxidants, anti-discoloration agents, disinfectants, stabilizers and various cosmetic agents commonly mixed in cosmetics in the art, to the extent that they do not impai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ves, etc.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외상은 펄, 금박, 은박, 백금박, 광택안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펄, 금박, 은박은 투명한 겔 제형의 외상 내에서 반짝이는 광택감을 부여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심미감을 높이고 외관적 차별화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펄, 금박, 은박, 백금박 등은 외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0.0001 내지 0.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그림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한 겔 타입의 외상에 펄, 캡슐, 은박, 금박 성분을 추가하고, O/W 타입의 캡슐형 내상을 추가함으로써, 화려하면서도 다양한 시각적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outer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earl, gold leaf, silver leaf, platinum leaf, glossy pigment, etc. Pearl, gold leaf, and silver leaf can enhance the aesthetics of cosmetic compositions and provide external differentiation by imparting a sparkling gloss within the outer shell of a transparent gel formulation. The pearl, gold leaf, silver leaf, platinum leaf, etc.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01 to 0.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xternal wound. For example, as shown in the picture in Figure 3, pearl, capsule, silver foil, and gold leaf components are added to the transparent gel-type outer layer, and an O/W-type capsule-type inner layer is added, providing a colorful and diverse visual change. can do.

일 실시예에 따라 내상을 살펴보면, 내상의 가용화상으로 오일 및 유용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inner cas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oluble burn of the inner casing may include oil and oil-soluble additives.

내상의 오일은 조성물의 사용감 및 발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오일은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극성 오일, 비극성오일을 비롯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쿠알란, 미네랄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C12-15알킬벤조에이트등의 탄화수소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칸올,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올리브오일, 아보카도오일, 호호바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포도씨오일, 쌀겨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 라놀린 등의 동물성 오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등의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Oil on the inner layer can improve the feeling of use and spreadability of the composition. The type of oi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mmon oils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including polar oils and non-polar oils, can be used. For example, hydrocarbon oils such as squalane, mineral oil, hydrogenated polydecene, hydrogenated polyisobutene, and C12-15 alkyl benzoate; Caprylic/capric triglyceride, neopentyl glycol dicaprate, 2-octyldodecyl myristate, isopropyl myristate, isopropyl palmitate, isocetyl ethyl hexanoate, pentaerythrityl tetraethyl hexanoate, Ester oils such as butylene glycol dicaprylate/caprate, hexyl laurate, diisostearyl maleate, cetyl 2-ethylhexanoate, octyldodecanol, and glyceryl triethylhexanoate;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vocado oil, jojoba oil, macadamia oil, grape seed oil, and rice bran oil; Animal oils such as lanolin; and silicone oils such as dimethylpolysiloxane, methylphenylpolysiloxane, decamethylcyclopentasiloxane, methylctrimethicone, diphenylsiloxyphenyltrimethicone, caprylylmethicone, phenyltrimethicone, cyclomethicone, and dimethicone. One or more oils selected from the group may be used.

유용성 첨가제는 알파비사보롤, 비타민E, 비타민A, 구아이아줄렌, 코엔자임Q10, 유용성감초추출물,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Hydroxydecyl Ubiquin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il-soluble additive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pha-bisabolol, vitamin E, vitamin A, guaiazulene, coenzyme Q10, oil-soluble licorice extract, and hydroxydecyl ubiquinone.

내상의 오일 및 유용성 첨가제는 내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The oil and oil-soluble additives in the inner phas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ner phase.

본 발명의 내상은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은 보습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폴리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글리세린, 1가 또는 2가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헥산디올, 솔비톨, 디글리세린 등일 수 있다. 폴리올은 내상 총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The inner ph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polyol. Polyol acts as a humectant, and the type of polyo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glycerin, monohydric or dihydric alcohol, or mixtures thereof can be use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butylene glycol, glycerin, propylene glycol, hexanediol, sorbitol, diglycerin, etc. Poly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1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ner box.

본 발명의 내상은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상 성분에 속하는 점증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카보머(Carbomer),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Acrylate Crosspolymer),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잔탄검(Xanthan gum), 소듐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Sodium Polyacryloyldimethyl Taurate), 포타슘알지네이트(Potassium Algi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내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0.3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점증제가 0.3 중량% 이하로 포함될 경우, 고온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있으며, 2.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용기에서 토출시 혼합되지 않아서 잔량이 남아 사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The inner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thickening agent. The thickener belonging to the water phase compon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Carbomer, Acrylates/C10-30 AlkylAcrylate Crosspolymer, and ammonium acryloyldimethyl taurate. / Consisting of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Sodium Polyacrylate, Xanthan gum, Sodium Polyacryloyldimethyl Taurate, and Potassium Alginate.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The thicken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3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ner casing. If the thickener is included in less than 0.3%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of separation at high temperatures, and if it is included in more than 2.0% by weight, the thickener is not mixed when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so the remaining amount remains, resulting in a poor feeling of use.

본 발명의 내상에 있어서, 수상성분으로 방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페녹시에탄올, 유기산류, 에칠헥실글리세린, 펜틸렌글리콜, 1,2-헥산디올, 메틸파라벤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방부제는 내상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inner ph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ervative may be included as an aqueous phase component.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type of preservative, and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the industry can be used. For example, phenoxyethanol, organic acids, ethylhexyl glycerin, pentylene glycol, 1,2-hexanediol, methyl paraben, etc. can be used. The preservativ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ner box.

본 발명의 내상은 수용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첨가제는 베타인, 알란토인, 우레아,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판테놀, 다이메틸설폰, 히알루론산, 아스코빅애씨드, 수용성콜라겐, 식물성추출물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첨가제는 내상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The inner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soluble additive. Water-soluble additives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taine, allantoin, urea, niacinamide, adenosine, panthenol, dimethyl sulfone, hyaluronic acid, ascorbic acid, water-soluble collagen, vegetable extracts, etc. The water-soluble additiv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ner box.

본 발명의 내상에 있어서, 유상 성분에 속하는 유화제는 폴리소르베이트80 In the inner ph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ulsifier belonging to the oil phase component is polysorbate 80.

(Polysorbate 8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또는 레시틴계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는 빽빽한 구조의 조밀한 액정형성이 가능하여 오일입자가 더 조밀하게 쪼개진 형태의 고밀도 O/W형태를 구현함으로써 오일성분이 덜 베어나오는 안정한 에멀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유화제를 포함함으로써, 내상이 번지지 않고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use (Polysorbate 80), sorbitan sesquioleate, or lecithin-based emulsifier. The emulsifier is capable of forming dense liquid crystals with a dense structure, thereby realizing a high-density O/W form in which the oil particles are more densely split, thereby forming a stable emulsion with less oil components coming out. By including the emulsifi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maintain the shape without spreading the inner phase.

[0061] 레시틴계 유화제는,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소이레시틴(Hydrogenated Soy Lecithin) 등일 수 있다.[0061] The lecithin-based emulsifier may be lecithin, hydrogenated lecithin, hydrogenated soy lecithin, etc.

상기 유화제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그 함량은 내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유화제가 0.5 중량% 이하로 포함될 경우 상이 번지고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3.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캡슐형 내상이 용기 펌푸로 토출되었을 때 외상과 혼합되지 못하고, 끈적임으로 인해 사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It contains one or more of the above emulsifiers, and its content may be 0.1 to 3.0% by weight, preferably 0.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ner phase. If the emulsifier is included in less than 0.5% by weight, the image spreads and the shape cannot be maintained stably. If it is included in more than 3.0% by weight, the capsule-type inner phase is not mixed with the outer layer when discharged by the container pump, and the stickiness causes a feeling of use. There is this bad problem.

본 발명의 내상에 있어서, 유상 성분으로 왁스 및 고급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 및 고급알코올은 비즈왁스, 카나우바왁스, 칸델리안왁스,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In the inner ph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ax and higher alcohol may be included as oil phase components. The wax and high-grade alcohol include beeswax, carnauba wax, candelian wax, cetearyl alcohol, stearyl alcohol, behenyl alcohol, cetostearyl alcohol, cetyl alcohol, myristic acid, palmitic acid, and glyceryl stearate SE. , glyceryl stearate, and polyglyceryl-2 stearate.

상기 왁스 및 고급알코올은 내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0.3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왁스 및 고급알코올이 0.3 중량% 이하로 포함될 경우, 고온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있으며, 3.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용기에서 토출시 내상이 외상과 혼합이 되지 않아서 사용감과 피부 밀착감이 현저히 떨어진다. The wax and higher alcoho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3 to 3.0% by weight, preferably 0.5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ner phase. If wax and high-grade alcohol are included in less than 0.3%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of separation at high temperatures, and if they are included in more than 3.0% by weight, the inner casing does not mix with the outer shell when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so the feeling of use and adhesion to the skin is significantly reduced.

본 발명의 내상은 유상성분으로 오일 및 유용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시변화가 불안정한 원료 아스코빅애씨드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내상의 캡슐화를 통하여 원료의 고유기능을 장시간 안정되도록 유지하는 것도 포함한다. The inner ph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oil and oil-soluble additives as oily components, and may contain raw materials such as ascorbic acid, which are unstable in changes over time. In this case, the intrinsic function of the raw material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rough encapsulation of the inner phase. do.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내상은, 내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폴리올 1.0 내지 10.0 중량%, 점증제 0.3 내지 2.0 중량%, 유화제 0.1 내지 3.0 중량%, 왁스 및 고급알코올 0.3 내지 3.0 중량%, 오일 및 유용성첨가제 0.01 내지 5.0 중량%, 방부제 0.1 내지 1.0 중량%, 수용성첨가제 0.1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ner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ner phase, 1.0 to 10.0% by weight of polyol, 0.3 to 2.0% by weight of thickener, 0.1 to 3.0% by weight of emulsifier, 0.3 to 3.0% by weight of wax and higher alcohol, and oil. And it may include 0.01 to 5.0% by weight of an oil-soluble additive, 0.1 to 1.0% by weight of a preservative, and 0.1 to 10.0% by weight of a water-soluble additive.

본 발명의 내상에 있어서, 중화제상 성분에 속하는 중화제는 점증제와 동일한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화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트로메타민(Tromethamine), 아르기닌(Arginine) 등일 수 있다. In the inner ph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utralizing agent, which is a component of the neutralizing agent phase, may be included in the same amount as the thickener. The type of the neutraliz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triethanolamine, tromethamine, arginine, etc.

내상의 색소는 수용성 색소, 색상을 나타내면서 효능을 동시에 갖는 산화철이나 유용성 색소일 수 있으며, 천연 색소, 인공 색소 모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황색4호, 적색504호, 카라멜색소, 카카오색소, 황백추출물, 치자추출물, 산화철, 이산화티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내상 내에 색상을 나타내면서 효능을 동시에 갖는 유용성 색소를 포함시키거나, 특정 효능 성분과 함께 색소를 첨가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을 색상만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경우, 사용자가 색상 만으로 용이하게 화장료를 구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igment in the inner layer may be a water-soluble pigment, iron oxide or oil-soluble pigment that has color and efficacy at the same time, and both natural and artificial pigments can be applied. For example, Yellow No. 4, Red No. 504, caramel color, cacao color, yellow white extract, gardenia extract, iron oxide, titanium dioxide, etc. can be used. When an oil-soluble pigment that exhibits color and has efficacy at the same time is included in the inner layer, or when a pigment is added together with a specific efficacy ingredient, the func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an be distinguished only by color.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distinguish cosmetics only by color.

예를 들어, 투명한 겔 타입의 외상에 펄, 금박, 은박등 효능 성분을 포함한 캡슐형 내상을 추가함으로서, 캡슐형 내상에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For example, by adding a capsule-type inner layer containing effective ingredients such as pearl, gold leaf, or silver foil to a transparent gel-type outer layer, color can be given to the capsule-type inner layer.

캡슐은 특정 효능성분이 캡슐화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백, 주름개선, 보습 등에 효과가 있는 활성성분을 캡슐화한 것으로, 예를 들면, 콜라겐캡슐, 금실캡슐, 비타민캡슐, 다이메틸설폰캡슐, 구아이아줄렌 캡슐 등일 수 있다. 유용성 또는 수용성 효능 성분을 캡슐화하여 조성물에 포함시킴으로써, 화장료의 기능적 효능을 높이고, 시각적 다채로움을 부여할 수 있다. Capsules may be encapsulated with specific effective ingredients. Specifically, it encapsulates active ingredients that are effective in whitening, wrinkle improvement, moisturizing, etc., and may be, for example, collagen capsules, gold thread capsules, vitamin capsules, dimethyl sulfone capsules, guaiazulene capsules, etc. By encapsulating oil-soluble or water-soluble effective ingredients and including them in the composition, the functional efficacy of cosmetics can be increased and visual diversity can be provided.

구체적으로, 내상은 수중유형(oil-in-water,O/W) 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상은 수상 성분으로 물, 폴리올, 점증제, 방부제, 수용성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유상 성분으로 유화제, 왁스, 고급알코올, 오일 및 유용성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중화제상 성분으로 중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ner phase may be of the oil-in-water (O/W) type. The inner ph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polyol, thickener, preservative, and water-soluble additive as an aqueous phase component, and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mulsifier, wax, higher alcohol, oil, and oil-soluble additive as an oil phase component. It includes the above, and may include a neutralizing agent as a neutralizing agent component.

내상의 각 성분이 상기 범위인 경우, 외상에 둘러쌓인 내상은 용기의 펌푸를 통해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으며, 외상 내에서 번짐 현상 및 탁도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끈적임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내상의 경도가 25 내지 60 dyne/cm2일 수 있다. When each component of the inner phase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inner phase surrounded by the outer layer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pump of the container, and little spreading or turbidity occurs within the outer layer. In addition, it does not cause stickiness, providing an excellent feeling of use. At this time, the hardness of the inner phase may be 25 to 60 dyne/cm2.

상기 내상 캡슐은 외상의 총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3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The inner capsul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3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uter wound.

상기 경도 범위에서, 외상에 혼합된 내상은 용기 펌푸를 통해 용이하게 토출되어 나올 수 있고, 외상속에서 내상의 번짐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내상의 경도가 25 이하인 경우, 외상속에서 내상이 터져 뿌옇게 번지는 문제가 발생되며, 경도가 60 이상인 경우, 토출은 가능하나 용기에서 토출된 후 사용시 외상과 혼합이 안되어 피부에서 밀착성과 퍼짐성이 없고, 만족할 만한 톤업기능 및 색감을 줄 수가 없다. 본 발명은 내상의 각 성분의 종류와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경도 25 내지 60 dyne/cm2의 최적의 제형을 구현하였다. In the above hardness range, the internal wound mixed with the external wound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container pump, and the phenomenon of spreading of the internal wound in the external wound does not occur. If the hardness of the internal wound is less than 25, the internal wound bursts in the external wound and causes a cloudy spread problem. If the hardness is higher than 60, discharge is possible, but it does not mix with the external wound when used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so it has no adhesion and spread on the skin. , it cannot provide satisfactory tone-up function and color.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d an optimal formulation with a hardness of 25 to 60 dyne/cm2 by controlling the type and content of each component of the inner phase.

본 발명의 내상은 외상과 동일하게, 효능성분, 색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유용성 천연색소를 포함함으로써, 입체적 형상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O/W 타입의 내상에 유용성 색소 또는 색상을 갖는 유용성 효능성분을 안정화한 뒤, 투명한 겔 타입의 외상에 혼합함으로써, 입체적 형상에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The internal w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effective ingredients, pigments, etc., like the external wound. In particular, by including oil-soluble natural pigments, various colors can be imparted to the three-dimensional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2, color can be given to the three-dimensional shape by stabilizing the oil-soluble pigment or color-containing oil-soluble active ingredient in the O/W type inner phase and then mixing it with the transparent gel-type outer phase.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내상은 외상과 마찬가지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배합되는 향료, 방부제, 윤활제, 피부컨디셔닝제, 산화 방지제, 변색 방지제, 살균제, 안정제 및 각종 미용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inner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outer layer, may further include fragrances, preservatives, lubricants, skin conditioning agents, antioxidants, discoloration inhibitors, disinfectants, stabilizers, and various cosmetic additives commonly mixed in cosmetics in the art. Of course it exists.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외상을 준비하는 단계, 내상의 캡슐을 투명한 외상에 내에 투입하는 단계, 혼합된 내용물을 용기에 주입하면서 입체적 형상을 나타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eps of preparing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outer box, injecting the inner capsule into the transparent outer box, and injecting the mixed contents into the container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shape. .

본 발명의 내상은 외상 내로 혼합되는 것으로, 외상과 섞이지 않고 외상 내에서 일정한 형상을 가진다. 캡슐의 색상은 예를 들어, 제품의 특징, 성능, 컨셉 등을 암시하거나 표현할 수 있다. The inner w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ixed into the outer wound, and has a constant shape within the outer wound without being mixed with the outer wound. For example, the color of the capsule can suggest or express the product's features, performance, or concept.

본 발명의 내상은 펌푸 용기를 통해 토출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지며, 펌푸에 의해 용기 밖으로 토출되기 전까지는 외상과 섞이거나 형상이 번지지 않고,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The inner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hysical properties that allow it to be discharged through a pump container, and does not mix with the outer case or spread its shape until it is discharged out of the container by a pump, and its shape can be maintained stably.

또한 펌푸 용기를 통해 토출되어 자연스럽게 외상과 혼합되어 섞임으로서 피부 도포시 컬러커버 기능을 주어 자연스러운 톤업 화장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discharged through a pump container and naturally mixes with the outer layer, providing a color cover function when applied to the skin, allowing for natural tone-up makeup.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에센스 제형에 적합하며, 기초 화장품뿐만 아니라,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등 메이크업 화장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essence formulation and can be applied not only to basic cosmetics but also to makeup cosmetics such as makeup base and foundation.

화장료 조성물에 캡슐 형상을 부여하여 시각적으로 차별화함과 동시에, 기능성 유효성분들을 안정화시키는 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우며, 다양한 제형적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외상 및 내상의 물성을 최적화함으로써, 외상 내에서 내상이 안정적으로 입체적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상 또는 내상에 포함된 기능성 활성 성분의 효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It is technically very difficult to visually differentiate cosmetic compositions by giving them a capsule shape and at the same time stabilize the functional active ingredients, and various formulation techniques are required.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uter wound and the inner wound, so that the inner wound can stably maintain its three-dimensional shape within the outer wound, and the efficacy of the functional active ingredient contained in the outer wound or inner wound can be stably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xamples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re shown as follow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조공정 [외상]제조 설명관련 Manufacturing Process [Trade] Manufacturing Description Related

제조예1 : 외상 제조 (표 1)Manufacturing Example 1: External manufacturing (Table 1)

원료명Raw material name 함량%content% 글리세린glycerin 12.0012.00 에탄올ethanol 1.001.00 폴리소르베이트80Polysorbate 80 1.001.00 산탄검xanthan gum 1.001.00 메칠파라벤Methylparaben 0.300.30 식물혼합추출물Mixed plant extract 5.005.00 조합향료combination spices 0.100.10 카보머carbomer 0.200.20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200.20 pearl 0.050.05 정제수Purified water to 100.00to 100.00

사용성분 실시예1 설명 Ingredients used Example 1 Description

<수상> <Award>

물 정제수 TO100 Water Purified water TO100

폴리올 글리세린 12.0Polyol Glycerin 12.0

점증제 카보머, 산탄검 1.2Thickener Carbomer, Xanthan Gum 1.2

방부제 메칠파라벤 0.3Preservative methylparaben 0.3

방부제 용해제 에탄올 1.0Preservative solubilizer Ethanol 1.0

향료, 펄 적량Fragrance, pearl appropriate amount

첨가제 식물혼합추출물 5.0Additive plant mixture extract 5.0

가용화제 폴리소르베이트계 폴리소르베이트80 1.0Solubilizer polysorbate type polysorbate 80 1.0

중화제상 중화제 트리에탄올아민 0.2 Neutralizing agent Triethanolamine 0.2

상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 및 함량에 따라 투명한 겔 타입의 외상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함량은 중량%이다. A transparent gel-type external wound wa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ingredients and contents listed in Table 1 above. The content of each ingredient is expressed in weight percent.

구체적인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반응기 내에 점증제와 물을 투입한 후 10 ~ 20 분간 방치하여 습윤시키고, 습윤 완료 후 3000 ~ 5000 rpm으로 약 5 ~ 10분 간 교반하면서 점증제를 완전 분산시켰다. 폴리올, 방부제, 수용성 첨가제를 차례로 투입 후 약 70 ~ 80 ℃에서 가온 및 용해하고 다시 약 40 ~ 50 ℃로 냉각하여 수상부를 준비하였다. 수상부에 중화제 상을 천천히 투입하고 온도를 약 40 ~ 50 ℃로 유지하면서 3000 ~ 5000 rpm으로 약 5 ~ 10분 간 교반하여 젤 성상의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여기에 가용화상을 투입하고 온도를 약 40 ~ 50 ℃로 유지하면서 3000 ~ 5000 rpm으로 약 5 ~ 10분 간 교반하여 완전 균일 분산된 가용화 젤 혼합물을 만들었다. 이를 탈포하여 기포없는 성상으로 완성하였다. The specific manufacturing process is as follows. After adding the thickener and water into the reactor, it was left for 10 to 20 minutes to wet it. After wetting was completed, the thickener was completely dispersed by stirring at 3000 to 5000 rpm for about 5 to 10 minutes. The water phase was prepared by sequentially adding polyol, preservative, and water-soluble additives, heating and dissolving them at about 70 to 80 °C, and then cooling them to about 40 to 50 °C. The neutralizer phase was slowly added to the water phase and stirred at 3000 to 5000 rpm for about 5 to 10 minute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about 40 to 50°C to form a gel-like mixture. The solubilized gel was added thereto and stirred at 3000 to 5000 rpm for about 5 to 10 minute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about 40 to 50°C to create a completely uniformly dispersed solubilized gel mixture. This was degassed and completed into a bubble-free form.

한편, 외상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함량에 따른 물성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 1 내지 7을 제조하였다. Meanwhile, in order to compare differences in physical propertie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external wou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were prepared.

구체적으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는 점증제의 함량을 실시예 범위와 달리하여 제조한 것이며, 비교예 5 내지 7은 가용화제의 함량을 실시예 범위와 달리하여 제조한 것이다. 중화제는 점증제와 동일한 함량으로 추가하였으며, 나머지 성분은 실시예와 동일함 함량으로 제조하였다.Specifically,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content of the thickener from the range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5 to 7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content of the solubilizer from the range of the Examples. The neutralizer was added in the same amount as the thickener, and the remaining ingredients were prepared in the same amount as in the example.

실험예 1: 점증제 및 가용화제 함량에 따른 외상의 경도 및 탁도 측정 Experimental Example 1: Measurement of hardness and turbidity of trauma according to thickener and solubilizer content

기본 처방은 제조예1(표1)과 동일하며 점증제와 가용화제의 함량의 구성 예(표2)The basic recipe is the same as Preparation Example 1 (Table 1), and the composition example of the thickener and solubilizer content (Table 2)

표 2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7에 따른 조성물의 경도 및 탁도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경도는 후도 경도계(Fudoh rheo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cm 파이 스핀들을 사용하여 깊이 15 mm까지 30 cm/min의 속도로 가하였을 때의 값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육안으로 탁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The hardness and turbidity of the compositions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of Table 2 were measured. Here, hardness can be measured using a Fudoh rheo meter. For example, the value was measured when applied at a speed of 30 cm/min to a depth of 15 mm using a 2cm pie spindle. Then, turbidity was measured visually.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외상의 경도(dyne/cm2) 탁도(표2) Hardness of trauma (dyne/cm2) Turbidity (Table 2)

구분division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3Example 3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점증제(카보머, 잔탄검)Thickeners (carbomer, xanthan gum) 0.70.7 1.21.2 1.41.4 0.10.1 0.30.3 가용화제(폴리소르베이트80)Solubilizer (polysorbate 80) 0.80.8 1One 1.51.5 1One 1One <외관 및 결과치><Appearance and results> 탁도 Turbidity 투명Transparency 투명Transparency 투명Transparency 투명Transparency 투명Transparency 경도(dyne/cm2)Hardness (dyne/cm2) 적당(25)Moderate (25) 적당(40)Moderate (40) 적당(60)Moderate (60) 묽음(5)Thin (5) 묽음(10)Thin (10) 사용감feeling of use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판정Judgment 적합fitness 적합fitness 적합fitness 부적합incongruity 부적합incongruity 구분division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6Comparative Example 6 비교예7Comparative Example 7 점증제(카보머, 잔탄검)Thickeners (carbomer, xanthan gum) 22 33 1.21.2 1.21.2 1.21.2 가용화제(폴리소르베이트80)Solubilizer (polysorbate 80) 1One 1One 0.10.1 22 33 <외관 및 결과치><Appearance and results>   탁도 Turbidity 투명Transparency 투명Transparency 미세탁도Non-washiness 투명Transparency 투명Transparency 경도(dyne/cm2)Hardness (dyne/cm2) 강함(80)Strong(80) 강함(120)Strong(120) 적당(40)Moderate (40) 적당(40)Moderate (40) 적당(40)Moderate (40) 사용감feeling of use 끈적임stickiness 끈적임stickiness 끈적임stickiness 끈적임,자극Stickiness, irritation 판정Judgment 부적합incongruity 부적합incongruity 부적합incongruity 부적합incongruity 부적합incongruity

# 외상의 나머지 원료함량은 제조예1(표1)의 함량과 동일함.# The remaining raw material content of the outer box is the same as that of Manufacturing Example 1 (Table 1).

실시예를 종합해보면, 실시예1 내지 3의 경우처럼 경도 기준 25 내지 60 dyne/cm2가 적당하며 비교예1 내지 7의 경우는 경도, 투명도가 부적합한 것을 보여준다.A summary of the examples shows that, as in Examples 1 to 3, a hardness standard of 25 to 60 dyne/cm2 is appropriate, 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7, hardness and transparency are inadequate.

실시예1 25 dyne/cm2 투명 점도 적당Example 1 25 dyne/cm2 Transparency Viscosity appropriate

실시예2 40 dyne/cm2 투명 점도 적당 : 적합Example 2 40 dyne/cm2 Transparency Viscosity Appropriate: Suitable

실시예3 60 dyne/cm2 투명 점도 적당Example 3 60 dyne/cm2 Transparency Viscosity appropriate

비교예1 5 dyne/cm2 투명 점도 묽음Comparative Example 1 5 dyne/cm2 Transparency Viscosity Thin

비교예2 10 dyne/cm2 투명 점도 묽음Comparative Example 2 10 dyne/cm2 Transparency Viscosity Thin

비교예3 80 dyne/cm2 투명 점도 강함Comparative Example 3 80 dyne/cm2 Transparency Strong viscosity

비교예4 120 dyne/cm2 투명 점도 강함Comparative Example 4 120 dyne/cm2 Transparency Strong viscosity

비교예5 40 dyne/cm2 미세탁도Comparative Example 5 40 dyne/cm2 Non-turbidity

비교예6 40 dyne/cm2 투명(끈적임)Comparative Example 6 40 dyne/cm2 Transparent (sticky)

비교예7 40 dyne/cm2 투명(끈적임, 자극)Comparative Example 7 40 dyne/cm2 Transparency (stickiness, irritation)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증제가 0.1 중량%로 포함된 비교예 1 및 0.3 중량% 포함된 비교예 2의 경우, 투명도는 높았으나, 경도가 극히 낮아 제형의 유동성이 지나치게 높은 문제가 있었다 점증제가 2.0 중량%로 포함된 비교예 3의 경우, 투명도는 높았으나, 끈적임이 발생하여 사용감이 좋지 않았다. 점증제가 3.0 중량%로 포함된 비교예 4의 경우, 투명도는 높았지만,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용기에서 토출시 내상과 혼합력이 저하되어 퍼짐성이 약하여 기대하는 톤업효능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As shown in Table 2,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containing 0.1% by weight of thickener and Comparative Example 2 containing 0.3% by weight, transparency was high, but hardness was extremely low, so there was a problem of excessively high fluidity of the formulation.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which contained 2.0% by weight of me, transparency was high, but stickiness occurred and the feeling of use was not goo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4, in which the thickener was included at 3.0% by weight, transparency was high, but the hardness was too high, so when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the internal image and mixing power were reduced, resulting in poor spreadability, which limited the expected tone-up effect.

가용화제가 0.1 중량%로 포함된 비교예 5의 경우, 가용화제가 지나치게 소량으로 첨가되어 향료 유용성 첨가제로 인하여 탁도가 발생하였다. 반면, 가용화제가 2.0 중량%로 포함된 비교예 6의 경우, 탁도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끈적거림으로 인해 사용감이 좋지 않았다. 가용화제가 3.0 중량%로 포함된 비교예 7 또한 끈적임과 동시에 피부 자극감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5, in which the solubilizer was included at 0.1% by weight, the solubilizer was added in an excessively small amount, causing turbidity due to the flavor oil-soluble additiv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6, in which the solubilizer was included at 2.0% by weight, turbidity did not occur, but the feeling of use was not good due to stickiness. Comparative Example 7, which contained 3.0% by weight of solubilizer, also had the problem of being sticky and causing high skin irritation.

결론적으로, 외상을 이루는 구성성분의 함량이 실시예 1 내지 3의 범위인 경우, 점증제 0.7 내지 1.4중량%, 가용화제 0.8 내지 1.5중량% 일 때, 투명도가 높고 끈적이지 않는 사용감을 가지며, 내상을 토출할 때 용기의 펌푸 노즐에 저항받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갖고, 용기 밖으로 토출후 내외상 혼합도 양호한 것을 확인하였다. In conclusion, when the content of the components forming the external wound is in the range of Examples 1 to 3, the thickener is 0.7 to 1.4% by weight, and the solubilizer is 0.8 to 1.5% by weight, it has high transparency and a non-sticky feeling, and the internal wound has a high transparency and a non-sticky feeling. When discharging,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enough hardness to move freely without resistance from the pump nozzle of the container, and that mixing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surfaces was also good after discharging out of the container.

따라서 점증제와 가용화제의 중간값으로 구성된 실시예 2의 경우가 가장 우수한 안정성과 점도, 사용감을 가진 원료 구성의 적절한 예라고 평가할 수 있었다. Therefore, Example 2, which consisted of an intermediate value of thickener and solubilizer, could be evaluated as an appropriate example of a raw material composition with the best stability, viscosity, and feeling of use.

내상 제조예 2 : 내상 제조 (표 3) Inner box manufacturing example 2: Inner box manufacturing (Table 3)

사용성분 실시예1 Ingredients used Example 1

<수상> <Award>

물 정제수 TO100 Water Purified water TO100

폴리올 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8.0Polyol propylene glycol, glycerin 8.0

점증제 카보머, 포타슘알지네이트 0.7Thickener Carbomer, Potassium Alginate 0.7

방부제 페놀시에탄올 0.3Preservative phenol ethanol 0.3

향료 적량Spice Proper Amount

첨가제 다이메틸설폰, 아스코빅애씨드 1.0Additives dimethyl sulfone, ascorbic acid 1.0

<유상><Paid>

유화제 폴리소르베이트계 폴리소르베이트80 2.0Emulsifier polysorbate type polysorbate 80 2.0

왁스 비즈왁스 0.5Wax Beeswax 0.5

오일 올리브오일, 포도씨오일, 2.0Oil olive oil, grape seed oil, 2.0

중화제상 중화제 아르기닌 0.2 Neutralizer Arginine 0.2

제조예 1: 내상 제조 기본 처방 구성 예(표 3) Manufacturing Example 1: Example of basic prescription composition for internal manufacturing (Table 3)

원료명Raw material name 함량content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3.503.50 산화철iron oxide 7.007.00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3.003.00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2.002.00 글리세린glycerin 5.005.00 페놀시에탄올phenol ethanol 0.300.30 조합향료combination spices 0.200.20 카보머carbomer 0.200.20 포타슘알지네이트Potassium alginate 0.500.50 비즈왁스beeswax 0.500.50 포도씨오일grape seed oil 1.001.00 올리브오일olive oil 1.001.00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00.10 다이메틸설폰Dimethylsulfone 0.500.50 아스코빅애씨드Ascorbic Acid 0.500.50 pearl 0.100.10 아르기닌arginine 0.200.20 정제수Purified water to 100.00to 100.00

상기 표 3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 및 함량에 따라, O/W(oil-in-water, 수중유형) 타입의 내상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함량은 중량%이다. 구체적인 내상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반응기 내에 물과 이산화티탄, 산화철색소를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점증제를 투입하여 완전 분산시키고, 폴리올, 방부제를 차례로 투입 후 약 70 ~ 80 ℃에서 가온 및 용해하여 균일화시켰다. 유상 반응기 내에 각각의 종류 별 유화제, 왁스, 오일을 투입한 후 약 70 ~ 80 ℃에서 가온 및 용해하고 균일화하여 유상부를 형성하였다. 본 반응기 내에 수상부에 유상 반응기 내의 유상부를 천천히 투입한 후, 온도를 약 70 ~ 80 ℃로 유지하면서 3000 ~ 4000 rpm으로 약 5 ~ 10분 간 유화시켜 에멀전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유화 후 중화제 상을 천천히 투입하고 온도를 약 70 ~ 80 ℃로 유지하면서 3000 ~ 4000 rpm으로 약 2 ~ 4분 간 중화시켰다. 이를 교반하면서 약 35-40 ℃로 냉각시킴으로써, 균일하고 조밀한 입자를 갖도록 안정화시켰다. 이를 탈포함으로써 기포없는 성상으로 완성하였다. An O/W (oil-in-water) type inner bed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ingredients and contents listed in Table 3 above. The content of each ingredient is expressed in weight percent. The specific inner wound manufacturing method is as follows. After adding water, titanium dioxide, and iron oxide pigment into the reactor, a thickener was added while stirring to completely disperse, and polyol and preservative were sequentially added and then heated and dissolved at about 70 to 80 ° C to homogenize. Each type of emulsifier, wax, and oil was added into the oil phase reactor, then heated and dissolved at about 70 to 80°C and homogenized to form an oil phase. The oil phase in the oil phase reactor was slowly added to the water phase in the reactor, and then emulsified at 3000 to 4000 rpm for about 5 to 10 minute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about 70 to 80°C to form an emulsion mixture. After emulsification, the neutralizer phase was slowly added and neutralized at 3000 to 4000 rpm for about 2 to 4 minute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about 70 to 80 °C. By cooling it to about 35-40°C while stirring, it was stabilized to have uniform and dense particles. By defoaming it, it was completed into a bubble-free form.

일반적으로, 수중유형(O/W) 타입의 외상에 수중유형(O/W) 제형의 내상을 충진하는 경우 두 제형 모두 수분산형이기 때문에 제형이 서로 섞여 형태가 번지는 문제가 있다. 번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카보머, 포타슘알지네이트를 투입하여 외상과 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번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화제 선택이 중요하다. 이에, 유화제 별 물성을 비교하고 최적의 유화제를 찾기 위하여, 소르비탄계, 레시틴계, 당지질계, 글루코스계 유화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공통적으로, 수상 성분으로는 물, 점증제, 폴리올, 방부제를 이용하였고, 유상성분으로 왁스, 오일을 포함하였으며, 중화제상으로 중화제를 첨가하였다. Generally, when filling the inner case of an oil-in-water (O/W) formulation into an outer case of an oil-in-water (O/W) type, there is a problem of the formulations mixing together and spreading because both formulations are water-dispersible. To minimize the spreading phenomenon, carbomer and potassium alginate were added to form a scar and a film. It is also important to select an emulsifier that can minimize the spreading phenomenon. Therefore, in order to compare the physical properties of each emulsifier and find the optimal emulsifier,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ere prepared using sorbitan-based, lecithin-based, glycolipid-based, and glucose-based emulsifiers. In common, water, thickener, polyol, and preservatives were used as water phase components, wax and oil were included as oil phase components, and a neutralizing agent was added as a neutralizing agent.

상기 제조된 내상을 칼슘염 수용액에 일정량으로 떨어뜨려 저어주면서 캡슐의 형태를 만든후 캡슐액정을 체로 거른후 모아서 내상으로 완성하였다. A certain amount of the prepared inner phase was dropped into the calcium salt aqueous solution and stirred to form a capsule, and then the capsule liquid crystals were filtered through a sieve and collected to form the inner phase.

실험예 2: 내상의 유화제 종류 별 번짐 및 탁도 측정 Experimental Example 2: Measurement of spreading and turbidity by type of emulsifier in the inner phase

투명도 및 분리현상 (내상)Transparency and separation phenomenon (internal damage) 표4. 원료별 함량%에 따른 투명도, 분리현상의 비교예Table 4. Comparative example of transparency and separation phenomenon according to content % of each raw material 구분division 실시예1Example 1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레시틴계 유화제 Lecithin-based emulsifier  -- 2.02.0  --  -- 당지질계 유화제Glycolipid-based emulsifier  --  -- 2.02.0  -- 소르비탄계 유화제Sorbitan-based emulsifier 2.02.0  --  --  -- 글루코스계 유화제Glucose-based emulsifier -  -  --  -- 2.02.0 <외관 및 결과치><Appearance and results>   투명도 transparency 투명Transparency 미세탁도Non-washiness 미세탁도Non-washiness 투명Transparency 내외상 번짐Smearing of internal and external wounds 양호Good 번짐smear 번짐smear 일부번짐Some smearing 내외상 분리현상Internal and external separation phenomenon 양호Good 양호Good 분리separation 양호Good 판정Judgment 적합fitness 부적합incongruity 부적합incongruity 부적합incongruity

# 내상의 나머지 원료함량은 실시예3(표3)의 함량과 동일함.# The remaining raw material content in the inner case is the same as that in Example 3 (Table 3).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내상을 외상 혼합한 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외상 내로 내상 캡슐을 주입하면서 입체적 형상을 만들었다. 외상은 상기 실시예 1의 외상을 이용하였다. 내상과 외상이 혼합이 완료된 후, 내상이 외상 내에서 번짐 현상이 발생하는지, 내상에 탁도가 발생하였는지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After externally mixing the internal phase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the internal phase capsule was injected into the external phase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shape. The trauma of Example 1 was used as the trauma. After the mixing of the inner and outer wounds was completed, it was observed with the naked eye to see whether the inner wound spread within the outer wound or whether turbidity occurred in the inner wound.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사진으로 순서대로 도 4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 2, 비교예 3)에 나타내었다.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re sequentially shown in photographs in Figure 4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3).

그 결과, 도 4 및 하기 표 4에서와 같이, 실시예 1의 내상은 번짐현상이나 탁도가 거의 발생하지 않은 반면, 비교예 1 내지 3은 미세번짐 현상 또는 탁도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소르비탄계 유화제를 사용한 경우 빽빽한 구조의 조밀한 액정형성이 가능하여 오일입자가 더 조밀하게 쪼개진 형태의 고밀도 O/W형태를 구현함으로써 오일성분이 덜 베어나오는 안정한 에멀젼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4) As a result, as shown in FIG. 4 and Table 4 below, it was confirmed that the inner case of Example 1 hardly caused any bleeding or turbidity, while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fine bleeding or turbidity occurred. In conclusion, when a sorbitan-based emulsifier is used, it is possible to form dense liquid crystals with a dense structure, realizing a high-density O/W form in which the oil particles are more densely split, thereby forming a stable emulsion with less oil components coming out. Confirmed. (Table 4)

번짐 및 탁도, 분리 발생 여부 Whether bleeding, turbidity, or separation occurs

실시예1 번짐 없음, 탁도 없음 : 적합Example 1 No bleeding, no turbidity: suitable

비교예1 번짐 및 탁도 발생 : 부적합Comparative Example 1 Smearing and turbidity: unsuitable

비교예2 미세번짐 및 분리 발생 : 부적합Comparative Example 2 Occurrence of fine smearing and separation: unsuitable

비교예3 탁도 없음, 미세번짐 발생 : 부적합Comparative Example 3 No turbidity, fine smearing: unsuitable

실험예 3: 내상의 제형 안정도 및 토출후 내외상 혼합도 측정(표5) Experimental Example 3: Measurement of formulation stability of the inner phase and mixing degree of the inner and outer phase after discharge (Table 5)

표5. 점증제 함량에 따른 안정성, 용기토출 및 사용감의 비교예Table 5. Comparative example of stability, container discharge, and feeling of use according to thickener content 구분division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3Example 3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카보머carbomer 0.20.2 0.150.15 0.250.25 0.050.05 0.10.1 포타슘알지네이트Potassium alginate 0.50.5 0.60.6 0.40.4 0.30.3 0.40.4 <외관 및 결과치> <Appearance and results> 투명도 transparency 투명Transparency 미세탁도Non-washiness 미세탁도Non-washiness 미세탁도Non-washiness 미세탁도Non-washiness 고온 안정성(40℃)High temperature stability (40℃) 안정stability 안정stability 안정stability 분리separation 분리separation 외상내 번짐여부Whether it spreads within the external wound 안정stability 안정stability 안정stability 번짐smear 번짐smear 토출시 혼합여부Whether to mix when discharging 혼합양호Mixed good 혼합양호Mixed good 혼합양호Mixed good 혼합양호Mixed good 혼합양호Mixed good 사용감feeling of use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경도(dyne/cm2)Hardness (dyne/cm2) 5050 4040 2525 1010 1515 판정Judgment 적합fitness 적합fitness 적합fitness 부적합incongruity 부적합incongruity
구분division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6Comparative Example 6 비교예7Comparative Example 7 카보머carbomer 0.250.25 0.30.3 0.350.35 0.40.4 0.50.5 포타슘알지네이트Potassium alginate 0.60.6 0.70.7 0.80.8 0.90.9 1One <외관 및 결과치> <Appearance and results> 투명도 transparency 투명Transparency 투명Transparency 투명Transparency 투명Transparency 투명Transparency 고온 안정성(40℃)High temperature stability (40℃) 안정stability 안정stability 안정stability 안정stability 안정stability 외상내 번짐여부Whether it spreads within the external wound 안정stability 안정stability 안정stability 안정stability 안정stability 토출시 혼합여부Whether to mix when discharging 혼합불량Poor mixing 혼합불량Poor mixing 혼합불량Poor mixing 혼합불량Poor mixing 혼합불량Poor mixing 사용감feeling of use 퍼짐성 불량Poor spreadability 퍼짐성 불량Poor spreadability 퍼짐성 불량Poor spreadability 퍼짐성 불량Poor spreadability 퍼짐성 불량Poor spreadability 경도(dyne/cm2)Hardness (dyne/cm2) 7070 8080 9090 100100 110110 판정Judgment 부적합incongruity 부적합incongruity 부적합incongruity 부적합incongruity 부적합incongruity

내상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함량에 따른 물성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 1 내지 7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 및 비교예 7은 점증제의 함량을 실시예 범위와 달리하여 제조한 것이다. 중화제는 점증제와 동일한 함량으로 추가하였으며, 나머지 성분은 실시예(표3)와 동일함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In order to compare differences in physical propertie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inner phase, Comparative Examples 1 to 7 were prepared. Comparative Examples 1 and 7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content of the thickener from the range of the examples. The neutralizer was added in the same amount as the thickener, and the remaining ingredients were prepared in the same amount as in the Example (Table 3).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7에 따른 내외상의 제형 안정도 및 용기 토출시 혼합도를 평가하였다. 제형 안정도는 화장료 조성물을 투명 용기에 담고 25℃ 상온 온도 조건 하에서, 1개월이 경과한 후 온도조건에 따른 분리 현상 등을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내상 캡슐을 외상에 혼합한 뒤, 상온보관하면서 상번짐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에서 바를 때 퍼짐성과 밀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용기에서 펌푸로 토출시 내외상의 혼합도를 평가하였다.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on the inside and outside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and the degree of mixing when discharging from the container were evaluated. Formulation stability was evaluated by putting the cosmetic composition in a transparent container and visually observing separation according to temperature conditions after one month under room temperature conditions of 25°C. After mixing the inner capsule with the outer capsule, it was stored at room temperature and visually checked to see if it had spread. In addition, in order to determine spreadability and adhesion when applied to the skin, the degree of mixing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phases was evaluated when discharging from the container with a pump.

경도는 25 내지 60 dyne/cm2 일때가 가장 안정적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중에서 실시예 1의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였다. The hardness was judged to be most stable when it was 25 to 60 dyne/cm2, and among them, Example 1 was the most preferable.

경도(dyne/cm2) 제형 안정도 및 토출시 혼합도(표 5) Hardness (dyne/cm2), formulation stability and mixing degree upon discharge (Table 5)

실시예1 50 이상없음 이상없음 : 적합Example 1 50 No abnormality No abnormality: suitable

실시예2 40 이상없음 이상없음 : 적합Example 2 40 No abnormality No abnormality: suitable

실시예3 25 이상없음 이상없음 : 적합Example 3 25 No abnormality No abnormality: suitable

비교예1 10 상 번짐, 이상없음 : 부적합Comparative Example 1 10 No blurring, no abnormality: unsuitable

비교예2 15 상 번짐, 이상없음 : 부적합Comparative Example 2 15 phase bleeding, no abnormality: unsuitable

비교예3 70 이상없음, 혼합불량 : 부적합Comparative Example 3 70 No abnormalities, poor mixing: unsuitable

비교예4 80 이상없음, 혼합불량 : 부적합 Comparative Example 4 80 No abnormalities, poor mixing: unsuitable

비교예5 90 이상없음, 혼합불량 : 부적합 Comparative Example 5 90 No abnormalities, poor mixing: unsuitable

비교예6 100 이상없음, 혼합불량 : 부적합 Comparative Example 6 No more than 100, poor mixing: unsuitable

비교예7 110 이상없음, 혼합불량 : 부적합 Comparative Example 7 110 No abnormalities, poor mixing: unsuitable

실험예 3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의 경우, 점증제 0.7 중량% 일 때가 50 dyne/cm2의 경도를 나타내어 가장 안정적인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이를 표 5 및 도 7 에 나타내었다. Looking at the results of Experimental Example 3, in Example 1, when the thickener was 0.7% by weight, the hardness was 50 dyne/cm2, showing the most stable results. This is shown in Table 5 and Figure 7.

용기 토출후 내외상 혼합도 비교 도 5[(혼합도 양호(좌), 혼합도 불량(우)] Comparison of internal and external mixing degrees after discharging the container (Figure 5) (good mixing (left), poor mixing (right))

점증제의 총량이 0.5 중량%로 포함된 비교예 2의 경우, 고온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점증제의 총량이 0.85 중량%로 포함된 비교예 3의 경우, 경도가 높아 노즐을 통해 내상이 버겁게 토출되어 피부에 바를 때 내외상이 골고루 혼합이 안되어 퍼짐성이 좋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where the total amount of the thickener was 0.5% by weight, separation occurred at high temperature, 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where the total amount of the thickener was 0.85% by weight, internal damage occurred through the nozzle due to the high hardness.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dispersion being poor because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were not evenly mixed when applied to the skin due to the heavy discharge.

점증제의 총량이 0.65 중량%의 실시예 3과 0.75 중량%의 실시예 2의 경우 전체적으로 안정된 상태와 사용감을 보였다. 따라서 최적범위는 점증제의 총량이 0.7중량%의 실시예1의 상태가 가장 안정적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Example 3, where the total amount of thickener was 0.65% by weight, and Example 2, where the total amount of thickener was 0.75% by weight, showed an overall stable state and feeling of use. Therefore, the optimal range was that Example 1, where the total amount of thickener was 0.7% by weight, was the most stable.

점증제의 총량이 0.85 중량% 이상인 비교예 3 내지 7의 경우, 내상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 용기 펌푸를 통해 토출되었을 때 내상이 외상과 혼합되지 못하고 따로 겉도는 문제가 있었다.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3 to 7 in which the total amount of the thickener was 0.85% by weight or more, the hardness of the inner casing was too high, so when discharged through the container pump,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ner casing could not be mixed with the outer casing and was released separately.

결론적으로, 내상을 이루는 구성성분의 함량이 실시예 1 및 3의 범위인 경우, 노즐을 통해 토출되어 나올 수 있는 정도의 경도를 가지며, 외상에 충진되었을 때 고온에서 분리되거나 번짐 없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conclusion, when the content of the components forming the inner case is within the range of Examples 1 and 3, it has a hardness that allows it to be discharged through a nozzle, and when filled in the external case, it remains stable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separating or spreading at high temperatur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is can be done.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As above, specific parts of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nd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clear that these specific technique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Accordingly, the actu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3)

입체적 형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외상은 투명 제형이며, 내상은 수중유형(oil-in-water, O/W) 타입이며, 상기 외상 내에 포함되되, 상기 외상과 섞이지 않고 일정한 입체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상을 통해 상기 내상의 입체적 형상이 투시됨으로써 상기 내상의 입체적 형상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하고, 상기 외상은 투명 점액상 제형으로 보습제와 영양성분은 피부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고, 내상의 캡슐에 포함된 컬러 파우더를 함유한 성분은 피부를 색조화장으로 표현해주어 톤업을 시켜줌으로서 화사하게 만들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In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three-dimensional shape, the outer shell is a transparent formulation, the inner shell is an oil-in-water (O/W) type, and is contained within the outer shell, but is not mixed with the outer shell and has a certain three-dimensional shape. ,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inner case is transparent through the external wound,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internal case can be visual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the external external wound is a transparent mucus-like formulation, and the moisturizer and nutrients serve to protect the skin, and the internal external wound is A cosme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ingredient containing color powder included in the capsule has the function of making the skin bright by expressing it with color makeup and tone-up.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외상은 수용성 액상 제형으로 25 내지 60 dyne/cm2 의 경도를 갖고, 내상은 컬러파우다가 캡슐화되어 포함된 입체적 형상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outer phase is a water-soluble liquid formulation and has a hardness of 25 to 60 dyne/cm2, and the inner phase is a three-dimensional shape containing encapsulated color powder. 빛과 공기중 노출시 산화로 인하여 경시변화가 불안정한 원료들을 내상의 캡슐에 넣어 외상으로 둘러쌓여 빛과 공기를 차단함으로서 사용자가 사용할 때까지 그 성분의 고유 기능을 잃지 않고 보전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that can be preserved without losing its original function until the user uses it by placing raw materials that are unstable over time due to oxidation when exposed to light and air in an inner capsule and surrounding it with an outer shell to block light and air.
KR1020220075994A 2022-06-22 2022-06-22 The serum that contains the color powder capsule liquid crystal with a tone up function KR202301748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94A KR20230174859A (en) 2022-06-22 2022-06-22 The serum that contains the color powder capsule liquid crystal with a tone up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94A KR20230174859A (en) 2022-06-22 2022-06-22 The serum that contains the color powder capsule liquid crystal with a tone up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859A true KR20230174859A (en) 2023-12-29

Family

ID=8933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994A KR20230174859A (en) 2022-06-22 2022-06-22 The serum that contains the color powder capsule liquid crystal with a tone up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85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92193A1 (en) Encapsulated cosmetic composition
KR101965883B1 (en) Li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il micro-capsule
US11273119B2 (en) Lipid mixture of octyldodecanol and hydrogenated rapeseed oil
KR101898244B1 (en) Water in oil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s solid cream type
KR102161465B1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increased skin contact and make-up persisten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MX2009001531A (en) Personal care composition.
KR102223207B1 (en) Non-aqueous oil balm type cosmetics composition
KR102188422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three-dimensional shape of Water-in-oil type
KR101145018B1 (en) Water-in-oil type lip makeup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pigments
KR102359729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Reducing Stickiness and Improving Transparency of Emulsion Formulation
KR101557369B1 (en) Clear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skin moisturizing and skin improvement of water-in-silicone type containing capsu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050055114A (en) The cosmetic products of phospholipid liposome with nano-particle siz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261590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apsule absorbed Water Soluble Extraction
KR102188412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three-dimensional shape of Oil-in-water type
KR100814035B1 (en) Oil-Dispersion 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Lip Wrinkles Containing Adenosin Base
KR20220012090A (en) Stick type cosmetic composition with dual structrue
KR101620294B1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high hardness which is possible for filling in room temperature
KR102365617B1 (en) Lip cosme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Color-durability and formulation stability
KR20230174859A (en) The serum that contains the color powder capsule liquid crystal with a tone up function
JP2005036001A (e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oily particle
EP3626229A1 (en)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KR101815127B1 (en) Thermo-sensitive color cosmetic composition and th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2174691A1 (en) Cosmetic core stick with a water based hard core part
KR101338503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weighting agent
KR102668880B1 (en) Transparent ge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ilicone in which inorganic pigment capsule particles are disper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