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605A - 분석물 모니터링 장치용 삽입 장치 - Google Patents

분석물 모니터링 장치용 삽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605A
KR20230173605A KR1020230076324A KR20230076324A KR20230173605A KR 20230173605 A KR20230173605 A KR 20230173605A KR 1020230076324 A KR1020230076324 A KR 1020230076324A KR 20230076324 A KR20230076324 A KR 20230076324A KR 20230173605 A KR20230173605 A KR 20230173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applicator
transmitter
needle carri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근
박효림
이원철
이준황
홍순민
Original Assignee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834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44064A1/ko
Publication of KR20230173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중공 기둥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버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2 버튼; 상기 제2 버튼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원위 및 근위 사이를 직선 운동하는 니들 캐리어; 및 상기 제1 버튼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니들 캐리어의 직선 운동의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석물 모니터링 장치용 삽입 장치{Insertion Device for Analyte Monitoring Device}
본 개시는 분석물 모니터링 장치용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체내 분석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의 삽입 장치의 상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가공 식품에 대한 기호가 높아지면서, 사람들은 단당류에 쉽게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탓에, 당뇨 역시 급증하고 있다. 급격하게 혈당이 저하되거나 급격하게 혈당이 상승하게 될 경우, 당뇨병 환자는 쇼크에 이를 수 있고, 드문 경우지만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로 인해, 당뇨병 환자들은 지속적으로 혈당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혈당 측정 기구의 경우, 란셋(lancet)을 이용해 손가락 단부를 절개하여, 절개된 틈 사이로 나오는 당뇨병 환자의 피를 혈당 분석 장치에 삽입하여 혈당을 계산한다.
이러한 방식의 혈당 측정 기구는 사용자에게 고통과 두려움을 제공한다. 또한, 매 시간 자신의 손가락에 상처를 내어 피를 나게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속 혈당 모니터링(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미세한 두께를 갖는 센서와, 센서에서 측정되는 분석물(이하, "혈당")을 분석하기 위한 전자 장치(이하, "트랜스미터")를 당뇨병 환자의 피부에 부착하면, 일주일 내지 열흘 사이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혈당이 측정된다.
트랜스미터의 센서는 두께가 매우 얇아 직접 피부를 관통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피부에 니들을 삽입하여 그 틈으로 센서를 삽입하고, 니들은 인출하는 구성(이하, "어플리케이터")이 필요하다.
어플리케이터 사용시,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US 2021-0038131 A1 문헌에 따르면, 센서 도입기(sensor introducer 106)를 센서 인서터(sensor inserter 500)에 삽입하여야 한다. 이때, 센서 도입기의 방향을 맞추어 센서 인서터에 삽입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피로감을 느낄 우려가 크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는 쉬운 조작법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플리케이터는 니들이 직접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위생을 위하여 일회만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최대한 제조 원가를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니들이 직접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재사용이 방지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 구조적으로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플리케이터 사용 시,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니들의 삽입 및 인출되는 과정이 최대한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부 사용자는 사용 설명서를 면밀하게 읽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사용 방법이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조립된 어플리케이터가 분해될 경우, 사용자는 정상적인 트랜스미터까지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이 있더라도, 어플리케이터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플리케이터 내부에서 트랜스미터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어야, 외부의 충격이 있더라도 트랜스미터가 빠지지 않는 어플리케이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불의로 격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개시는 외부 충격에 의해 어플리케이터가 격발되지 않도록 안전 장치가 구비된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외부 충격이 있더라도 트랜스미터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중공 기둥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버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2 버튼; 상기 제2 버튼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원위 및 근위 사이를 직선 운동하는 니들 캐리어; 및 상기 제1 버튼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니들 캐리어의 직선 운동의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압축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권취된 스프링; 일면이 상기 스프링과 대면하며, 상기 스프링의 회전에 구속되는 휠; 상기 휠의 타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휠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호 형상의 격발 방지부; 및 상기 휠의 타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격발 방지부보다 방사상 내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캐리어는 횡측 가이드; 및 상기 횡측 가이드의 일면으로부터 형성되어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종측 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제1 버튼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버튼의 방사상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되, 상기 격발 방지부와 대면하도록 구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 버튼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며, 상기 제1 버튼이 가압될 경우,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제1 버튼의 하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격발 방지부가 배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니들 캐리어는 상기 종측 가이드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후크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2 버튼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방사상 내측을 향해 배치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버튼의 방사상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되, 상기 후크 돌기와 대면하도록 구성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제2 버튼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며, 상기 제2 버튼이 가압될 경우, 상기 후크와 상기 제2 버튼의 하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후크 돌기가 배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니들 캐리어의 직선 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가압되면 상기 구동부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니들 캐리어가 원위에서 근위로 이동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니들 캐리어에 의해 가압되어 원위에서 근위로 이동하며, 트랜스미터를 홀딩하도록 구성된 트랜스미터 홀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트랜스미터 홀더는 상기 트랜스미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트랜스미터 지지부; 및 상기 트랜스미터 홀더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푸셔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푸셔의 일단은 상기 트랜스미터 홀더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셔의 타단은 상기 트랜스미터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푸셔의 일단은 상기 트랜스미터 홀더의 하면보다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트랜스미터 홀더가 상기 니들 캐리어에 의해 원위에서 근위로 이동하면, 상기 푸셔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저면에 접하고, 상기 푸셔의 타단은 상기 트랜스미터의 상면을 가압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트랜스미터 지지부와 상기 트랜스미터는 마찰결합된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가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 분석물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얻어진 체내 분석물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트랜스미터; 및 상기 센서 및 상기 트랜스미터를 근위에서 원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터로서, 저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중공 기둥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버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2 버튼; 상기 제2 버튼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원위 및 근위 사이를 직선 운동하는 니들 캐리어; 및 상기 제1 버튼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니들 캐리어의 직선 운동의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센서 삽입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어플리케이터는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이 모두 가압되어야 격발되기에, 외부 충격 등의 불의에 따른 격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버튼과 제2 버튼은 순서와 상관없이 가압될 수 있어, 사용자 친화적이고 사용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은 도 1a를 Ⅰ-Ⅰ'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a를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b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도 5b를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5b를 Ⅲ-Ⅲ'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저면을 확대한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내부 구성요소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의 체결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a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도 16a를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16a를 Ⅲ-Ⅲ'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6 내지 도 27은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격발 방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트랜스미터 홀더 및 트랜스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격발 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1은 본 개시의 제5-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2는 본 개시의 제6-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33a 및 도 33b는 본 개시의 제6-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4는 도 32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및 이를 확대한 것이다.
도 35는 본 개시의 제6-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제6-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9는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니들 캐리어의 정면도이다.
도 40은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격발 방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원위(distal position)"는 "근위(proximal position)"보다 상대적으로 피부에서 더 멀리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한편, 원위와 근위는 서로 상대적인 위치에 대한 개념으로서,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에 대해 근위이면서, 동시에 원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초기 상태(initial state)"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기 전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서, "격발(fire)"은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켜 니들이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후퇴"는 니들이 사용자의 피부에 관통 삽입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상방(upward)"은 근위에서 원위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하방(downward)"은 원위에서 근위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수평"은 어플리케이터가 사용될 때, 어플리케이터가 접촉하는 평면이며, 피부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피부면의 굴곡은 고려되지 아니하였으며, 사용자의 피부면은 평면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1. 제1 실시예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캡(120)이 장착된 상태를, 도 1b는 캡(120)이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0)는 핸들(110) 및 핸들(110)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캡(120)을 포함한다(도 1a 참조).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캡(120)이 핸들(110)로부터 탈거되면, 지지부(130)의 일부가 드러난다(도 1b 참조). 지지부(130)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며, 핸들(11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은 도 1a를 Ⅰ-Ⅰ'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a를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0)의 구성요소와 구성요소간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0)는 핸들(110), 캡(120), 지지부(130), 하나 이상의 기어(140), 니들 캐리어(150), 니들 홀더(160), 니들(170) 및 트랜스미터 홀더(18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핸들(110)은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구성되며, 대략 원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110)은 후크 홀(111), 하나 이상의 가압 로드(112), 제1 랙(113) 및 후크 안착홈(114)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후크 홀(111)은 핸들(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후크(132)가 걸리도록 구성된다. 후크 홀(111)은 바람직하게는 핸들(110)의 높이 절반보다 위측, 즉, 상부에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가압 로드(112)는 핸들(110)의 내부 천장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로드(rod)이다(도 3a 참조). 하나 이상의 가압 로드(112)는 니들 캐리어(150)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하나 이상의 가압 로드(112)는 핸들(110)의 중심에 대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 로드(112,1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핸들(110)에 의해 니들 캐리어(150)가 가압될 때,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체적으로 동일한 힘으로 니들 캐리어(150)를 가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니들 캐리어(150)가 원위에서 근위로 이동할 때, 또는 근위에서 다시 원위로 이동할 때,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1 랙(113)은 핸들(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핸들(110) 내주면에 형성된다. 제1 랙(113)은 하나 이상의 기어(140)와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a 참조).
후크 안착홈(114)은 핸들(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후크(132)가 걸리도록 구성된다. 후크 안착홈(114)은 바람직하게는 핸들(110)의 높이 절반보다 아래측, 즉, 하부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초기 상태에서 후크(132)는 후크 안착홈(114)에 고정될 수 있다(도 3b 참조).
한편, 후크(132)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면과 나란한 하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후크 안착홈(114)은 이러한 후크(132)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크(132)가 초기 상태에서 후크 안착홈(114)과의 걸림을 제공함으로써, 니들 캐리어(150)는 핸들(110)에 대해 근위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된다.
캡(120)은 지지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며, 외부 오염물이나 충격으로부터 어플리케이터(100)의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캡(120)을 핸들(110)로부터 탈거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어플리케이터(100)를 사용할 준비가 된다.
지지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핸들(110)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핸들(110)이 가압됨에 따라, 핸들(110)의 내부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지지부(130)는 기어 홀(131) 및 후크(13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홀(131)은 하나 이상의 기어(140)가 장착되도록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지지부(130)의 높이 절반보다 위측, 즉, 상부에 형성된다. 기어 홀(131) 내에서 하나 이상의 기어(140)는 일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기어 홀(131)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132)는 지지부(130)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후크(132)는 초기 상태에서 후크 안착홈(114)에 걸릴 수 있으며(도 3b 참조), 후크(132)는 핸들(110)이 끝까지 가압되었을 때에는 후크 홀(111)에 걸릴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기어(140)는 지지부(130)에 배치되며, 일 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하나 이상의 기어는 바람직하게는 스퍼 기어(spur gear)이며, 한 쌍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기어(140)는 핸들(110)의 일부를 따라 회전하거나, 니들 캐리어(150)의 일부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110)의 제1 랙(113) 또는 니들 캐리어(150)의 제2 랙(152)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니들 캐리어(150)는 지지부(130)의 내부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니들 캐리어(150)는 하나 이상의 기어(140)와 맞물려, 하나 이상의 기어(140)의 회전에 의해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니들 캐리어(150) 운동과 관련하여,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니들 캐리어(150)는 로드 그립부(151), 제2 랙(152) 및 스루홀(153)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로드 그립부(151)는 핸들(110)이 가압됨에 따라, 가압 로드(112)에 의해 1차적으로 접촉하여 핸들(110)의 가압력을 니들 캐리어(15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도 3a 참조). 이때, 로드 그립부(151)에 의해 핸들(110)과 니들 캐리어(150)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핸들(110)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가압되었을 때부터 로드 그립부(151)는 가압 로드(112)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가압 로드(11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핸들(110)과 니들 캐리어(150) 사이의 거리는 점차 감소할 수 있다. 로드 그립부(151)와 가압 로드(112) 사이의 관계에 관련해서,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로드 그립부(151)는 핸들(110)의 중심에 대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로드 그립부(151,15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 쌍의 로드 그립부(151,151')는 한 쌍의 가압 로드(112,112')와 각각 대면하도록 배치될 것이다.
로드 그립부(151)는 가압 로드(112)를 감싸기 위하여, 단부가 대략 클램프(clamp)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초기 상태에서는 가압 로드(112)에 의해 가압되어 아래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클램프의 양 단부 사이의 거리 중 가장 짧은 거리는 가압 로드(112)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랙(152)은 니들 캐리어(15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니들 캐리어(150)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2 랙(152)은 하나 이상의 기어(140)와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a 참조).
스루홀(153)은 니들 캐리어(150)의 중심에 형성되며, 니들 캐리어(1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스루홀(153)에는 니들 홀더(160)가 압입될 수 있다.
니들 홀더(160)는 니들 캐리어(150)의 직선 운동에 구속되어, 함께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니들 캐리어(150)는 스루홀(153)에 마찰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접착제에 의한 결합 또는 구조적으로 결합되는 방식 중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니들(170)은 니들 홀더(160)와 결합하여, 니들 홀더(160)의 직선 운동에 구속되어, 함께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니들(170)은 사용자의 피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트랜스미터 홀더(180)는 트랜스미터(10)와 결합하여, 트랜스미터(10)를 원위에서 근위까지 직선 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트랜스미터 홀더(180)는 원위에서 근위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4에서는 어플리케이터(100)의 구조를 더 자세히 나타내기 위하여 트랜스미터(10)는 도면에서 생략되었음을 유의한다.
도 4의 (a)는 핸들(110)이 가압되기 전의 상태, 즉, 초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초기 상태에서 핸들(110), 니들 캐리어(150), 니들 홀더(160), 니들(170) 및 트랜스미터 홀더(180)는 원위에 배치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기어(140)는 제2 랙(152)과 대면하고 있는 상태이며, 제1 랙(113)과는 대면하고 있지 않는다.
또한, 로드 그립부(151)는 가압 로드(112)와 접촉하기만 한 상태이다.
도 4의 (b)는 핸들(110)이 절반정도 가압되어 니들(170)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핸들(110)이 가압될 때, 가압 로드(112)는 로드 그립부(151)를 가압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드 그립부(151)의 양단부의 최단 이격거리는 가압 로드(112)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핸들(110)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그대로 로드 그립부(151)를 통해 니들 캐리어(150), 니들 홀더(160) 및 니들(170)에 전달된다. 이때, 로드 그립부(151)는 가압 로드(112)에 의해 가압되기는 하였으나, 클램프 양단부 사이로 가압 로드(112)가 삽입된 상태는 아니다. 이로 인해, 초기 상태에서 핸들(110)과 니들 캐리어(150) 사이의 거리와, 핸들(110)이 절반 정도 가압된 상태에서 핸들(110)과 니들 캐리어(150) 사이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니들 캐리어(150)가 근위로 이동하면서, 하나 이상의 기어(140)는 제2 랙(152)과 맞물려 회전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기어(14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좌측에 도시된 기어(140)는 시계 방향으로, 우측에 도시된 기어(14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니들(170)이 최대 깊이로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었을 때 하나 이상의 기어(140)는 제2 랙(152)의 원위 단부와 대면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트랜스미터 홀더(180)는 니들 캐리어(150)의 이동에 의해, 함께 원위에서 근위로 이동한다.
도 4의 (c)는 핸들(110)이 끝까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핸들이 일정 수준 이상 가압되면, 가압 로드(112)는 로드 그립부(151)의 양단부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가압 로드(112)는 로드 그립부(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핸들(110)이 가압됨에 따라 핸들(110)과 니들 캐리어(150) 사이의 거리는 감소한다.
하나 이상의 기어(140)는 제1 랙(113)과 대면하게 되면서, 제1 랙(113)이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기어(140)의 회전 방향은 도 4의 (b)에서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좌측에 도시된 기어(140)는 반시계 방향으로, 우측에 도시된 기어(14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하나 이상의 기어(140)가 회전하면서, 제2 랙(152)과 다시 맞물린다. 한편, 하나 이상의 기어(140)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인해, 니들 캐리어(150)는 근위에서 원위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니들 홀더(160) 및 니들(170)이 근위에서 원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니들(170)은 사용자의 피부에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트랜스미터 홀더(180)는 니들 캐리어(150)와 별도로 체결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니들 캐리어(150)가 근위에서 다시 위로 이동하더라도, 트랜스미터 홀더(180)는 근위에 남아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0)는 사용자가 핸들(110)을 파지하여 원위에서 근위로 한 번 누르는 동작 만으로, 내부의 기어 및 랙의 체결 관계에 따라 니들(170)이 피부로 삽입 및 인출될 수 있어, 조작법이 간단하고, 부품 수가 적어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2. 제2 실시예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캡(220)이 장착된 상태를, 도 5b는 캡(220)이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200)는 핸들(210) 및 핸들(210)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캡(220)을 포함한다(도 5a 참조).
캡(220)이 핸들(210)로부터 탈거되면, 지지부(230)의 전부 또는 일부가 드러난다(도 5b 참조). 지지부(230)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며, 핸들(21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b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200)의 구성요소와 구성요소간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200)는 핸들(210), 지지부(230), 하나 이상의 크랭크(240), 하나 이상의 커넥팅 로드(250), 니들 캐리어(260), 니들(270), 트랜스미터 홀더(280) 및 캡(22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핸들(210)은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구성되며, 대략 원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230)는 적어도 일부가 핸들(210)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핸들(210)이 가압됨에 따라, 핸들(210) 내부에서 직선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23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1 구성(230a) 및 제2 구성(230b)이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제1 구성(230a)과 제2 구성(230b)이 조립되어 지지부(230)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230)는 일 면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크랭크 축(231)을 포함한다. 크랭크 축(231)에는 하나 이상의 크랭크(240)가 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크랭크(240)는 핸들(210)의 내부에서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 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크랭크(240)가 두 개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크랭크는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일 수도 있으며, 이는 설계자에 의해 적절히 설계변경 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하나 이상의 크랭크(240)는 제1 크랭크(241) 및 제2 크랭크(242)를 포함한다. 제1 크랭크(241)와 제2 크랭크(242)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크랭크는 제1 조립체(241a,242a)와 제2 조립체(241b,242b)가 조립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크랭크(240)는 핸들(210) 내부에 형성된 랙(211, 도 7 참조)을 따라 회전운동할 수 있다. 랙(211)은 핸들(210)의 내저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랙(211)은 서로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방사상 서로 반대 방향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제1 크랭크(241)와 제2 크랭크(242)는 각각의 랙(211)에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지지부(230)와 크랭크(240)가 두 개의 부품의 조립으로 형성되는 경우, 어플리케이터(200)의 제조 난이도가 낮아지고 제조 단가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하나 이상의 커넥팅 로드(250)는 일단이 크랭크(240)에 체결되고, 타단이 니들 캐리어(260)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커넥팅 로드(250)는 일단에 형성된 제1 삽입홀(253)을 포함하며, 제1 삽입홀(253)에는 제1 로드돌기(244)가 삽입된다. 또한, 하나의 커넥팅 로드(250)는 타단에 형성된 제2 삽입홀(254)을 포함하며, 제2 삽입홀(254)에는 로드 고정돌기(261)가 삽입된다.
하나 이상의 커넥팅 로드(250)는 제1 커넥팅 로드(251) 및 제2 커넥팅 로드(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팅 로드(251)는 제1 크랭크(241)에 체결되고, 제2 커넥팅 로드(252)는 제2 크랭크(242)에 체결된다.
니들 캐리어(260)는 하나 이상의 크랭크(240)의 회전 및 직선 운동에 종속되어, 원위와 근위 사이에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이때, 니들 캐리어(260)는 하나 이상의 크랭크(240)와 커넥팅 로드(250)를 통해 연결된다.
니들 캐리어(260)는 니들(270)과 결합하여, 니들(270)을 원위에서 근위까지 직선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니들 캐리어(260)가 근위에서 원위로 이동할 때, 니들(270)도 함께 근위에서 원위로 이동한다.
니들 캐리어(260)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부품(260a,260b)이 조립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트랜스미터 홀더(280)는 트랜스미터(20)와 결합하여, 트랜스미터(20)를 원위에서 근위까지 직선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트랜스미터 홀더(280)는 원위와 근위 사이를 왕복 이동하나, 트랜스미터(20)는 원위에서 근위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a)는 핸들(210)이 가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크랭크(240)는 랙(211)의 원위단부에 배치된다. 지지부(230)는 피부에 접촉한 상태이며, 트랜스미터(20)와 트랜스미터 홀더(280)는 피부로부터 이격된 원위 상태이다. 또한, 커넥팅 로드(250)의 일단은 하나 이상의 크랭크(240)에 대하여 가장 원위에 배치된 상태이다.
도 8의 (b)는 핸들(210)이 절반정도 가압되어 니들(270)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핸들(210)이 가압되면서, 하나 이상의 크랭크(240)는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오른쪽에 배치된 크랭크(240)는 시계방향으로, 왼쪽에 배치된 크랭크(2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1회전 한 것이 아니라 절반 정도만 회전한 상태이며, 랙(211)의 중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핸들(210)은 지지부(230)를 따라 총 이동거리의 정도만 이동한 상태일 것이다.
도 8의 (b) 상태에서 트랜스미터(20)와 트랜스미터 홀더(280)는 피부에 접촉한 근위 상태이다. 또한, 커넥팅 로드(250)의 일단은 하나 이상의 크랭크(240)에 대하여 가장 근위에 배치된 상태이다.
도 8의 (c)는 핸들(210)이 끝까지 가압되어, 니들(270)이 피부로부터 후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핸들(210)이 더 가압되면서, 하나 이상의 크랭크(240)는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오른쪽에 배치된 크랭크(240)는 시계방향으로, 왼쪽에 배치된 크랭크(240)는 반시계방향으로 나머지 반 바퀴를 회전한 상태이며, 랙(211)의 원위단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핸들(210)은 지지부(230)를 따라 총 이동거리를 모두 이동한 상태일 것이다. 또한, 커넥팅 로드(250)의 일단은 하나 이상의 크랭크(240)에 대하여 다시 원위에 배치된다.
도 8의 (c) 상태에서 트랜스미터(20)는 피부에 부착된 상태이고, 니들 캐리어(260)는 커넥팅 로드(250)의 이동에 종속되어 함께 원위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피부에 삽입되었던 니들(270)은 피부로부터 인출된다.
정리하면, 도 8의 (a) 내지 (c)의 과정을 거치면서, 핸들(210)이 원위에서 근위로 편도로 이동하는 동안, 니들 캐리어(260)는 원위에서 근위로, 다시 근위에서 원위로 왕복 이동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핸들 가압이라는 행위 하나만으로 니들(270)이 삽입 및 인출되는 왕복 행정이 가능하다.
도 9a는 도 5b를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핸들(210)은 제1 걸림부(212) 및 제2 걸림부(213)를 포함한다.
제1 걸림부(212)는 핸들(210)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 걸림부(213)는 핸들(210)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제1 걸림부(212)보다 원위에 형성된다. 제2 걸림부(213)의 하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지만, 상면은 수평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30)는 리브(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232)는 지지부(230)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9a의 (a)는 핸들(210)이 가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9a의 (a)를 참조하면, 지지부(230)의 리브(232)는 핸들(210)의 제1 걸림부(212)에 걸리고, 리브(232)의 근위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 걸림부(212)에 리브(232)가 걸려 있어, 핸들이 도 9a의 (a)의 상태에서 원위로, 즉, 위로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a의 (b)는 핸들(210)이 끝까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a의 (b)를 참조하면, 지지부(230)의 리브(232)는 핸들(210)의 제2 걸림부(213)에 걸리고, 리브(232)의 근위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2 걸림부(213)에 리브(232)가 걸려 있어, 핸들이 도 9a의 (b) 상태에서 위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만약, 도 9a의 (b) 상태에서 핸들(210)이 지지부(230)로부터 탈거된다면, 재사용 우려가 있을 수 있으나, 제2 걸림부(213)에 의해 재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9b는 도 5b를 Ⅲ-Ⅲ'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때, 도 9b는 핸들(210)이 완전히 가압된 상태의 어플리케이터(2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30)는 고정홈(2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홈(233)은 지지부(230)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되, 지지부(230)의 저면으로부터 트랜스미터 홀더(280)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랜스미터 홀더(280)는 이탈 방지 돌기(281)를 포함한다. 이탈 방지 돌기(281)는 트랜스미터 홀더(280)의 상면에 형성되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트랜스미터 홀더(280)는 고정홈(233)에 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홈(233)의 상면은 수평면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트랜스미터 홀더(280)는 근위로 이동한 다음, 다시 원위로 이동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머물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저면을 확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a)는 핸들(210)이 가압되기 전의 상태를, 도 10의 (b)는 핸들(210)이 끝까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30)는 지지부(230)의 내저면에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 돌기(234)를 더 포함한다.
또한, 트랜스미터 홀더(280)는 트랜스미터 지지부(230) 및 후크(2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미터 지지부(230)는 원위에서 트랜스미터(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근위에서는 트랜스미터(20)에 제공하던 지지력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트랜스미터 지지부(230)는 바람직하게는 캔틸레버(cantilever) 형상으로 구성되며, 트랜스미터 지지부(230)의 자유단에는 후크(283)가 배치될 수 있다.
후크 돌기(234)는 후크(283)와 걸리도록 형성되며, 후크 돌기(234)에 후크(283)가 걸림으로써, 트랜스미터 지지부(230)의 자유단이 방사상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다(도 10의 (b) 참조).
3. 제3 실시예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a는 상부캡(310)과 하부캡(312)이 모두 장착된 상태를, 도 11b는 하부캡(312)이 탈거된 상태를, 도 11c는 상부캡(310)과 하부캡(312)이 모두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300)는 상부캡(310) 및 상부캡(310)과 결합되는 하부캡(312)을 포함한다(도 11a 참조).
하부캡(312)이 상부캡(310)으로부터 탈거되면, 하단부가 상부캡(310)과 하부캡(312)에 의해 커버되도록 구성된 지지부(320)가 드러난다(도 11b 참조).
상부캡(310)이 지지부(320)로부터 탈거되면, 지지부(320), 푸시캡(330) 및 회전 가이드(340)가 드러난다(도 11c 참조). 이때, 회전 가이드(340)는 푸시캡(330)과 지지부(320)의 사이에서, 푸시캡(330)의 외주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푸시캡(330)은 회전 가이드(340)와 결합되어, 회전 가이드(340)를 따라 직선운동하도록 구성된다.
회전 가이드(340)는 지지부(320)에 의해 둘러 싸인다.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캡(310), 하부캡(312), 지지부(320) 및 푸시캡(330)은 대략 원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300)의 구성요소와 구성요소간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300)는 상부캡(310), 하부캡(312), 지지부(320), 푸시캡(330), 회전 가이드(340), 회전 블록(350), 니들부(360) 및 스프링(370) 및 트랜스미터 홀더(38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상부캡(310)과 하부캡(312)은 지지부(32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며, 외부 오염물이나 충격으로부터 어플리케이터(300)의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지지부(320)는 적어도 일부가 상부캡(310) 및 하부캡(312)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푸시캡(330)의 외주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지지부(320)는 어플리케이터(300)의 사용 중,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부분이 된다.
푸시캡(330)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며, 지지부(3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하도록 구성된다.
회전 가이드(340)는 푸시캡(330)의 외주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푸시캡(330)은 회전 가이드(340)의 상부홀(341)에 삽입된다. 또한, 푸시캡(330)은 회전 가이드(340)를 따라 직선운동할 수 있다. 이때, 푸시캡(330)의 외주면에 형성된 푸시캡 가이드 돌기(331)가 회전 가이드(340)의 상면에 형성된 푸시캡 가이드(342)에 삽입되어 푸시캡(330)의 직선 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푸시캡 가이드 돌기(331)는 푸시캡(330)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만 있어도 충분하다.
푸시캡(330)은 푸시바(334, push ba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시바(334)는 초기 상태에서 회전 블록(350)과 접촉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압력을 회전 블록(350)에 전달할 수 있다.
회전 블록(350)은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이드(340)의 내부에 배치되며, 푸시캡(330)의 압입에 따라 원위에서 근위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회전 블록(350)은 회전 가이드(340) 내에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한 회전 블록(350)은 회전 가이드(340)를 따라 근위에서 원위로 직선운동한다. 관련하여, 도 1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회전 블록(350)은 바디(351)와 가이드 날개(352)를 포함한다.
바디(351)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원기둥 형상이다. 바디(351)는 회전 가이드(340)의 내부에서 회전 및 직선운동한다.
가이드 날개(352)는 바디(351)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 날개(352)는 회전 가이드(340)의 메인홀(345, 도 15 참조)을 통해 회전 가이드(340)에 개재된다. 가이드 날개(352)의 상면은 경사면(353)으로 구성된다. 경사면(353)의 경사 방향은 제1 안착홀(343, 도 15 참조) 및 제2 안착홀(344, 도 15 참조)의 형상에 상응한다. 가이드 날개(352)의 운동과 관련하여, 도 1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푸시바(334)의 단부는 가이드 날개(352)의 경사면(353)과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푸시바(334)의 하부면은 경사면으로 구성되되, 회전 블록(350)의 경사면(353)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니들부(360)는 회전 블록(350)과 결합하여, 니들(362)을 원위에서 근위로 직선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니들부(360)가 근위에서 원위로 이동할 때, 니들(362)도 함께 근위에서 원위로 이동한다. 니들부(360)는 회전 블록(350)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361)와 피부를 관통하는 니들(362)을 포함한다.
결합부(361)는 원형의 판상형 부재와, 판상형 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로드(rod)를 포함하며, 이때 로드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61)는 회전 블록(350)에 결합되며, 회전 가이드(340)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스프링(370)은 일단이 푸시캡(330)과 체결되며, 타단은 회전 블록(350)에 체결된다. 초기 상태에서 스프링(370)은 인장된 상태로 푸시캡(330)과 회전 블록(350) 사이에 배치된다.
트랜스미터 홀더(380)는 트랜스미터(30)와 결합하여, 트랜스미터(30)를 원위에서 근위까지 직선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트랜스미터 홀더(380)는 원위와 근위 사이를 왕복 이동하나, 트랜스미터(30)는 원위에서 근위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300)의 내부 구성요소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3a는 푸시캡(330), 회전 가이드(340), 회전 블록(350) 및 트랜스미터 홀더(380)가 결합된 상태로서, 초기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b는 회전 블록(350)과 니들부(36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푸시캡(330)은 회전 가이드(340)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홀(341)을 통해 회전 가이드(340)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 블록(350)의 가이드 날개(352)는 회전 가이드(340)에 형성된 홀에 개재될 수 있다.
니들부(360)는 결합부(361)가 회전 가이드(3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니들 가이드(346)에 개재됨으로써, 회전 가이드(340)와 결합될 수 있다. 니들 가이드(346)는 복수의 메인홀(345, 도 15 참조)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트랜스미터 홀더(380)는 회전 가이드(340)의 메인홀(345)에 개재됨으로써, 회전 가이드(340)와 결합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회전 블록(350)은 외저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니들 거치부(3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니들 거치부(355)에는 니들의 결합부(361)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의 체결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스프링(370)이 푸시캡(330)과 회전 블록(350)과 체결하는 상세한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의 (a)는 푸시캡(330)과 스프링(37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푸시캡(330)의 내부면과 스프링(370)을 정면 사시도 관점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푸시캡(330)은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스프링 거치부(332)를 포함한다. 스프링(370)의 일단은 제1 스프링 거치부(332)에 걸릴 수 있다.
도 14의 (b)는 회전 블록(350)과 스프링(37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회전 블록(350)과 스프링(370)을 정면 사시도 관점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회전 블록(350)은 내부 바닥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2 스프링 거치부(354)를 포함한다. 스프링(370)의 타단은 제2 스프링 거치부(354)에 걸릴 수 있다. 이때, 제2 스프링 거치부(354)는 바디(351)의 내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즉, 푸시캡(330)과 회전 블록(350)은 그 사이에 스프링(370)을 두고 연결된 상태이고, 이때 스프링(370)은 초기 상태에서 인장된 상태이며, 바람직하게는 인장 및 일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스프링(370)은 압축 및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포텐셜(potential)을 지닌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초기 상태에서 푸시캡(330)과 회전 블록(350) 사이의 거리는 푸시캡(330)의 푸시바(334, 도 12 참조)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첫번째 행은 어플리케이터(300)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고, 두번째 행은 어플리케이터(3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단면은 도 11c의 푸시캡(330)과 회전 가이드(340)가 결합된 상태를 I-I'를 따라 절단한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푸시캡(330)은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333)는 회전 가이드(340)의 외측 상면에 걸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불의로 푸시캡(330)을 가압하여 어플리케이터(300)가 격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걸림돌기(333)에 소정의 압력 이상이 가해질 경우, 걸림돌기(333)와 푸시캡(330) 사이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300)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힘 이상으로 푸시캡(330)을 누르도록 자연스레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가이드(340)는 제1 안착홀(343), 제2 안착홀(344) 및 메인홀(3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홀(343)은 회전 가이드(34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가이드 날개(352)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1 안착홀(343)은 가이드 날개(352)의 경사면(353)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안착홀(344)은 회전 가이드(34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가이드 날개(352)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 안착홀(344)은 제1 안착홀(343)과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2 안착홀(344)과 제1 안착홀(343) 사이의 각도는 스프링(370)이 초기 상태에서 회전되어 있는 각도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홀(345)은 회전 가이드(34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제1 안착홀(343) 및 제2 안착홀(344)보다 하부에 형성된다. 제1 안착홀(343)과 제2 안착홀(344)은 하부에서 메인홀(345)로 합쳐지는 형상이다. 다시 말해, 제1 안착홀(343)과 제2 안착홀(344)은 메인홀(345)로부터 분기된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어플리케이터(300)의 작동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의 (a)는 푸시캡(330)이 가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의 (a)의 정면도를 참조하면, 푸시캡(330)과 회전 블록(350)은 원위에 배치된 상태이다. 이때, 회전 블록(350)의 가이드 날개(352)는 제1 안착홀(343)에 안착되어 있다. 도 15의 (a)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초기 상태에서 푸시바(334)가 가이드 날개(352)의 경사면(353)을 누르고 있어, 푸시캡(330)과 회전 블록(350)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370)은 인장 및 회전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15의 (b)는 푸시캡(330)이 가압된 상태로서, 회전 블록(350)이 원위에서 근위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회전 블록(350)의 가이드 날개(352)는 제1 안착홀(343)에 나란하게 배치된 채로 근위로 이동한 상태이다. 도 15의 (b)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푸시바(334)가 여전히 가이드 날개(352)의 경사면(353)을 누르고 있고, 푸시캡(330)과 회전 블록(350)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370)은 여전히 인장 및 회전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15의 (c)는 푸시캡(330)이 가압된 상태에서 회전 블록(350)이 근위에서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회전 블록(350)의 가이드 날개(352)는 근위 상태에서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는, (b) 과정까지 스프링(370)이 보유하고 있던 포텐셜에 의해 스프링(37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스프링(370)의 회전으로 인해, 스프링(370)과 체결되어 있는 회전 블록(350)까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15의 (c)의 정면도 및 단면도를 모두 참조하면, 회전 블록(350)의 회전으로 인해, 가이드 날개(352)의 경사면(353)은 더 이상 푸시바(334)에 대면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가이드 날개(352)의 원위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스프링(370)은 압축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5의 (d)는 푸시캡(330)이 가압된 상태에서 회전 블록(350)이 근위에서 원위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스프링(370)이 압축하면서 회전 블록(350)은 제2 안착홀(344)에 안착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푸시바(334)와 가이드 날개(352)는 서로 엇갈린 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회전 블록(350)은 원위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도 15의 (a) 단계 내지 (d) 단계가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가지고 수행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b) 내지 (d) 단계는 사용자가 푸시캡(330)을 누르는 순간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평균적인 사용자의 인식속도보다 빠르게 수행되기에, 사용자는 간편하고 큰 고통 없이 어플리케이터(300)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30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푸시캡(330)을 압입하는 동작만으로, 니들이 피부에 삽입 및 인출될 수 있어, 직관적이고 간단하며, 통증이 최소화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제4 실시예
도 16a 및 도 16b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6a는 캡(420)이 장착된 상태를, 도 16b는 캡(420)이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400)는 핸들(410)과 핸들(410)에 탈착될 수 있는 캡(420)을 포함한다(도 16a 참조).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캡(420)이 핸들(410)로부터 탈거되면, 실린더(430)의 일부가 드러난다(도 16b 참조). 이때, 피스톤(440)의 적어도 일부는 핸들(41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a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400)의 구성요소와 구성요소간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 한편, 도 18은 어플리케이터(400)가 제조된 후 사용 전 모습이며, 여기서 캡(420)이 제거되면 사용을 위한 초기 상태가 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400)는 핸들(410), 캡(420), 실린더(430), 피스톤(440) 및 트랜스미터 홀더(45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핸들(410)은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구성되며, 대략 원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 커버(411)에 의해 상면이 커버된다. 핸들(410)에 핸들 커버(411)가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어플리케이터(400)의 내부 조립 후, 마지막 단계에서 핸들 커버(411)만 조립하면 되기에, 조립 과정이 더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핸들(410)과 핸들 커버(411)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캡(420)은 핸들(410)에 장착 또는 탈거되도록 구성되며 외부 오염물이나 충격으로부터 어플리케이터(400)의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캡(420)은 대략 원기둥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430)는 적어도 일부가 핸들(410)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실린더(430)는 제1 바디(431) 및 제1 바디(431)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2 바디(43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바디(431)의 직경은 제2 바디(43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실린더(430)는 어플리케이터(400)의 사용 시,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구성이다.
피스톤(440)은 적어도 일부가 실린더(430)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피스톤(440)의 외경은 제1 바디(431)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미소하게 작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피스톤(440)은 제1 바디(431)에 압입되고, 제1 바디(431)와 피스톤(4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외기와 유체연통이 제한된다.
피스톤(440)의 단부에는 고무 패킹(441)이 결합된다. 피스톤(440)이 삽입된 제1 바디(431)의 내부는 고무 패킹(441) 및 패킹(430a)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한편, 고무 패킹(441)은 제조 단계에서 피스톤(440)에 이중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스톤(440)은 일면에 플랜지(443)가 형성된다. 플랜지(443)의 직경은 제1 바디(431)의 내경보다 크고, 제2 바디(43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의 일면에는 니들(442)이 부착된다. 니들(442)은 사용자의 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트랜스미터 홀더(450) 및 트랜스미터(미도시)를 관통할 수 있다.
트랜스미터 홀더(450)는 트랜스미터(미도시)와 결합하여, 트랜스미터를 원위에서 근위까지 직선 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트랜스미터 홀더(450)와 트랜스미터는 원위에서 근위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랜스미터 홀더(450)는 피스톤(440)의 원위에서 근위로의 가압에 의해 운동하도록 구성되며, 관련하여 도 19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9는 어플리케이터(400)가 작동하는 과정을 도 16a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핸들(410)은 일단이 자유단인 캔틸레버 형상의 후크(413)를 포함한다. 후크(413)는 핸들(410)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피스톤(440)의 플랜지(443)에 걸어맞춤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후크(413)의 고정단은 자유단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후크(413)는 피스톤(440)이 원위에서 근위로 이동하는 동안, 플랜지(443)를 이동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실린더(430)는 후크 저항부(433)를 포함한다. 후크 저항부(433)는 실린더(430)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후크 저항부(433)는 후크(413)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며, 이하에서, 후크(413) 및 후크 저항부(433)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의 (a)는 핸들(410)이 가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의 (a)를 참조하면, 핸들(410)은 사용자의 피부에서 이격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440)은 실린더(430)의 제1 바디(431)에 압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피스톤(440)과 제1 바디(431) 사이에는 극소량의 공기가 존재하고 있어 아진공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410)의 후크(413)는 플랜지(443)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트랜스미터 홀더(450)는 핸들(410)에 의해 지지되어, 원위에 배치되어 있다. 트랜스미터 홀더(450)가 핸들(410)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은 도 2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의 (b)는 핸들(410)이 가압되어 니들(442)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핸들(410)은 가압하면서, 피스톤(440)이 원위에서 근위로 이동한다. 한편, 핸들(410)이 근위로 이동하면서 후크(413)는 후크 저항부(433)에 접촉하게 되며, 핸들(410)이 더 근위로 더 이동하면 후크(413)가 외측으로 이동한다. 다시 말해, 후크 저항부(433)에 의해 후크(413)가 제껴지면서, 후크(413)와 플랜지(443)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더이상 트랜스미터 홀더(450)는 피스톤(440)의 운동에 구속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피스톤(440)의 원위에서 근위로의 이동으로 인해 니들(442)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다.
도 19의 (b)의 상태에서는 피스톤(440)과 제1 바디(431) 사이의 부피가 증가하면서, 내부 압력이 매우 작아진다. 이로 인해, 피스톤은 다시 원위로 후퇴하는 힘을 받는다. 이때, 더 이상 핸들(410)의 후크(413)가 피스톤(440)의 플랜지(443)를 구속하지 않기에, 피스톤(440)은 다시 원위로 복귀할 수 있는 상태이다.
한편, 피스톤(440)의 플랜지(443)가 더 이상 후크(413)와 체결되지 않기에, 피스톤(440)은 핸들(410)의 가압에 구속되지 아니한다. 이로 인해, 설령 핸들(410)이 다시 가압되더라도, 피스톤(440)은 실린더(430)의 원위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태가 변하지 않게 될 것이다. 즉, 어플리케이터(400)의 재사용이 불가능해진다.
니들은 한 번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기에, 재사용 시 각종 질병 감염 등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의 재사용이 불필요한 경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400)는 재사용이 구조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9의 (c)는 니들(442)이 피부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의 (c)를 참조하면, 핸들(410)은 근위에 위치하고, 피스톤(440)은 근위에서 원위로 이동한다. 피스톤(440)의 이동으로 인해, 사용자 피부에 삽입되어 있던 니들(442)은 인출될 수 있다. 피스톤(440)은 제1 바디(431)의 내부로 다시 삽입된다.
트랜스미터 홀더(450)는 근위, 즉 피부와 가까운 상태를 유지한다.
도 20은 도 16a를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20은 초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0을 참조하여 초기 상태에서 격발을 방지하는 구성과, 트랜스미터 홀더(450)와 핸들(41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핸들(410)은 제1 전진 방지 돌기(414)를 포함한다. 제1 전진 방지 돌기(414)는 핸들(410)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430)는 제2 전진 방지 돌기(434)를 포함한다. 제2 전진 방지 돌기(434)는 실린더(430)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초기 상태에서, 제1 전진 방지 돌기(414)와 제2 전진 방지 돌기(434)는 대면한 상태이되, 구체적으로는, 제1 전진 방지 돌기(414)의 하부면과 제2 전진 방지 돌기(434)의 상부면이 서로 대면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진 방지 돌기(414)의 하부면과 제2 전진 방지 돌기(434)의 상부면은 원위에서 근위를 향해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일정 크기 미만의 힘에 의해서는 핸들(410)이 가압되지 않고,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만 핸들(410)이 원위에서 근위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초기 상태에서 불의의 충격 등으로 인해 핸들(410)이 가압됨으로써 어플리케이터(400)가 격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사용 의도가 있을 때에는 끝까지 가압될 수 있는 수준 이상의 가압력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핸들(410) 가압 시 중간에 멈춰서 니들(442)이 미삽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핸들(410)은 제1 고정돌기(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돌기(412)는 핸들(410)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트랜스미터 홀더(450)는 제2 고정돌기(451)를 포함한다. 제2 고정돌기(451)는 트랜스미터 홀더(450)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초기 상태에서, 제1 고정돌기(412)와 제2 고정돌기(451)는 서로 걸어맞추어진 상태이되, 구체적으로는, 제1 고정돌기(412) 위에 제2 고정돌기(451)가 배치된다. 이로 인해, 트랜스미터 홀더(450)가 핸들(4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돌기(412)의 상부면과 제2 고정돌기(451)의 하부면은 수평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초기 상태에서 트랜스미터 홀더(450)는 원위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21은 도 16a를 Ⅲ-Ⅲ'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21은 격발 후 니들이 복귀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1을 참조하여 어플리케이터(400)의 재사용을 방지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핸들(410)은 제1 후퇴 방지 돌기(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퇴 방지 돌기(415)는 핸들(410)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430)는 제2 후퇴 방지 돌기(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후퇴 방지 돌기(435)는 실린더(430)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사용 완료된 상태에서, 제1 후퇴 방지 돌기(415)와 제2 후퇴 방지 돌기(435)는 대면한 상태이되, 구체적으로는, 제2 후퇴 방지 돌기(435)가 제1 후퇴 방지 돌기(415) 상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핸들(410)이 근위로 이동한 상태에서 다시 원위로 후퇴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후퇴 방지 돌기(415)의 상부면과 제2 후퇴 방지 돌기(435)의 하부면은 수평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사용 완료된 상태에서 핸들(410) 및 피스톤(440)은 근위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피스톤(440)은 더 이상 근위에서 원위로 이동이 불가능해지므로, 니들(442)이 어플리케이터(400)의 외부로 다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사용 후 오염된 니들(442)에 찔리거나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5. 제5-1 실시예
도 22는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500)는 하우징(510)을 포함한다.
하우징(510)은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구성되며, 중공 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전체적으로 파지하기 쉽도록, 하우징(510)의 중간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500)는 앞선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다르게 사용자가 직접 가압하여 격발하는 것이 아니라, 버튼을 가압하면 자동으로 격발되는 자동 격발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를 위하여, 어플리케이터(500)는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을 더 포함한다.
제1 버튼(520)은 하우징(510)의 상면에 배치되며,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제2 버튼(530)은 하우징(510)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하우징(510)의 내측을 향해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도 23은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500)의 구성요소와 구성요소간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500)는 하우징(510), 제1 버튼(520), 제2 버튼(530), 구동부(540), 니들 캐리어(550), 니들(560) 및 트랜스미터 홀더(57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하우징(510)의 저면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며, 트랜스미터(50)에 실장된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51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1 구성(510a) 및 제2 구성(510b)이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제1 구성(510a)과 제2 구성(510b)이 조립되어 하우징(510)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510)은 하우징 고정부(511), 드럼(512) 및 휠 고정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고정부(511)는 제1 구성(510a) 및 제2 구성(510b)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고정부(511)는 제1 구성(510a) 및 제2 구성(510b)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상단부에 외주면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제1 구성(510a) 및 제2 구성(510b)의 조립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500)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게 될 경우, 조립식으로 제조된 하우징(510)이 분해될 우려가 있으나, 하우징 고정부(511)가 제1 구성 (510a) 및 제2 구성(510b)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기에, 어플리케이터(500)의 분해 등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드럼(512)은 스프링(541)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스프링의 전체적인 형상에 상응하여 형성된다. 후술하겠지만,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541)은 권취된 롤 스프링 형상이므로, 드럼(512)은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512) 외주면에는, 스프링의 외측 단부(541a)가 거치되도록 구성된 스프링 고정홈(512a)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고정홈(512a)은 드럼(512)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된 형상일 수 있다.
휠 고정부(513)는 드럼(512)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제2 구성(510b)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휠 고정부(513)에는 휠(542)의 중심이 관통되어 휠(542)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또한, 휠 고정부(513)를 중심으로 휠(54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휠 고정부(513)는 외주면이 매끄러운 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버튼(520)은 하우징(510)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원위에서 근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제2 버튼(530) 하우징(510)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수평한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이 모두 가압되어야 어플리케이터(500)는 격발될 수 있다. 이때,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이 가압되는 순서는 상관없다. 즉, 제1 버튼(520)과 제2 버튼(530)은 안전잠금 해제 버튼 또는 가압 버튼으로서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동부(540)는 제1 버튼(520)과 제2 버튼(530)의 가압에 상응하여, 니들 캐리어(550)와 니들(560)을 원위와 근위 사이를 직선 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구동부(540)는 스프링(541), 휠(542) 및 가이드 돌기(54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541)은 일단이 휠(542)과 체결되며, 타단은 드럼(512)의 일면에 체결된다. 여기서, 일단은 스프링(541)의 내측에 배치되는 단부를 의미하며, 타단은 스프링(541)의 외측에 배치되는 단부를 의미한다. 일단은 휠(542)에 형성된 돌기(544, 도 26 참조)에 걸려서 고정되며, 타단은 드럼의 일면에 별도로 마련된 고정 돌기(미도시)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541)은 니들 캐리어(550)의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이다. 이때, 스프링(541)은 권취된 롤 스프링(roll spring)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541)은 초기 상태에서 압축되어 조립된다.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의 가압에 의해 스프링(541)의 압축을 고정하던 체결부가 해제되면서, 스프링(541)은 원래 상태로 돌아가기 위하여 인장된다. 이로써, 스프링(541)의 내측 단부가 압축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스프링(541)의 회전 운동이 니들 캐리어(550)와 니들(56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는 일종의 스카치 요크(Scotch Yoke) 또는 더블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의 원리가 적용된 것일 수 있다. 관련하여, 도 2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휠(542)은 드럼(512)과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휠(542)과 드럼(512) 사이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는 스프링(541)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휠(542)은 스프링(541)과 체결되어, 스프링(541)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돌기(543)는 휠(542)의 일면으로부터, 어플리케이터(50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니들 캐리어(550)는 하우징(510)의 내부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니들 캐리어(550)의 직선 운동은 구동부(54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니들 캐리어(550)는 횡측 가이드(551) 및 종측 가이드(553)를 포함할 수 있고, 니들 캐리어(550)는 전체적으로 영문자 T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24 참조).
횡측 가이드(551)에는 구동부(540)의 가이드 돌기(543)가 삽입될 수 있다. 휠(542)이 회전하면서 가이드 돌기(543)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가이드 돌기(543)가 횡측 가이드(551)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니들 캐리어(550)가 원위와 근위 사이를 직선 운동하게 된다.
횡측 가이드(551)는 제1 버튼(520)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제1 버튼(520)과의 체결이 해제되어야 이동 가능해진다. 관련하여, 도 2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종측 가이드(553)는 횡측 가이드(551)의 일면으로부터 원위에서 근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종측 가이드(553)는 니들(560)과 결합하며 니들(560)을 고정할 수 있다.
종측 가이드(553)는 제2 버튼(530)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제2 버튼(530)과의 체결이 해제되어야 이동 가능해진다. 관련하여, 도 2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니들(560)은 니들 캐리어(550)와 결합하여, 니들 캐리어(550)의 직선 운동에 구속되어 함께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니들(560)은 사용자의 피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트랜스미터 홀더(570)는 트랜스미터(50)와 결합하여, 트랜스미터(50)를 원위에서 근위까지 직선 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트랜스미터 홀더(570)는 종측 가이드(553)에 의해 원위에서 근위로 가압된다. 한편, 트랜스미터 홀더(570)는 원위에서 근위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하우징(510)이 두 개의 파츠(parts)로 분리 제조되기에, 어플리케이터(500)의 제조 과정에서 제2 구성(510b)에 차례대로 스프링(541), 휠(542), 니들 캐리어(550), 제1 구성(510a) 및 제2 버튼(530)의 순서로 적층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어플리케이터(500)의 조립 과정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25는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의 (a)는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 즉, 초기 상태일 때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의 (a)를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543)가 가장 원위에 배치된 상태이고, 이에 따라 니들 캐리어(550) 역시 원위에 배치된 상태일 것이다. 한편, 이때의 스프링(541)은 인장된 상태일 것이다.
한편,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기에, 니들 캐리어(550)는 제1 버튼(520) 또는 제2 버튼(530)에 의해 근위로의 운동이 제한된다. 이로 인해, 니들 캐리어(550)와 직/간접적으로 체결된 가이드 돌기(543), 휠(542) 그리고 스프링(541)의 운동까지 제한된 상태이다.
도 25의 (b)는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이 모두 가압되어 니들(560)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의 (b)를 참조하면,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이 모두 가압되면서, 제1 버튼(520)과 횡측 가이드(551) 사이의 체결과 제2 버튼(530)과 종측 가이드(553) 사이의 체결이 해제된다. 이로 인해, 니들 캐리어(550)의 원위에서 근위로의 운동이 더 이상 제한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니들 캐리어(550)와 직/간접적으로 체결된 가이드 돌기(543), 휠(542) 그리고 스프링(541)의 운동이 가능해진다.
스프링(541)은 일 방향(본 개시의 도 25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 방향이더라도 무방하다)으로 회전한다. 다만,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스프링(541)의 타단에 형성된 후크의 방향이 반대 방향이어야 할 것이다.
가이드 돌기(543)는 가장 근위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니들 캐리어(550) 역시 근위에 배치된다. 한편, 스프링(541)은 절반 정도 인장이 풀린 상태일 것이다.
니들 캐리어(550)가 근위로 이동하면서, 니들(560)도 근위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5의 (c)는 니들(560)이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의 (c)를 참조하면, 스프링(541)은 일 방향으로 더 회전한다.
이로 인해, 가이드 돌기(543)는 다시 원위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니들 캐리어(550) 역시 원위에 배치된다. 한편, 스프링(541)은 완전히 인장이 풀려, 스프링(541)에 의한 구동력은 발생하지 않는 상태일 것이다.
니들 캐리어(550)가 다시 원위로 이동하면서, 니들(560)이 원위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7은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격발 방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6은 제1 버튼(520)과 종측 가이드(553) 사이의 체결을 나타낸 것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 버튼(520)은 연장부(521) 및 걸림돌기(5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521)는 제1 버튼(52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종측 가이드(553)의 일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부(521)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522)는 연장부(52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때, 돌출되는 방향은 어플리케이터(500)가 조립되었을 때, 어플리케이터(500)의 방사상 외측을 향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돌기(522)는 제1 버튼(52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버튼(520)의 하면과 걸림돌기(52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하에서 설명할 격발 방지부(545)가 배치될 수 있다.
걸림돌기(522)는 구동부(540), 그 중에서도 휠(542)의 일부와 대면하여 휠(54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540)는 스프링 고정돌기(544) 및 격발 방지부(5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고정돌기(544)가 휠(542)의 일면에 형성된다. 이때, 휠(542)의 일면은 스프링(541)이 배치되는 면을 의미한다. 스프링 고정돌기(544)에는 스프링(541)의 일단이 체결되며, 이를 통해 스프링(541)과 휠(542)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스프링(541)의 단부는 스프링(541)의 내측에 배치되는 단부를 의미한다. 스프링(541)이 인장된 상태에서 원래 상태로 돌아가기 위하여 압축하는 동안, 스프링(541)의 내측 일단이 회전한다. 스프링 고정돌기(544)와 스프링(541)은 체결되어 있어, 스프링(541)의 압축 과정에 상응하여 휠(542)이 회전할 수 있다.
격발 방지부(545)는 휠(542)의 타면에 형성된다. 이때, 휠(542)의 타면은 일면에 반대되는 방향에 형성된 면으로, 니들 캐리어(550)와 대면하는 면을 의미한다. 격발 방지부(545)는 휠(542) 타면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원호 형상을 그리며, 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되는 방향은 어플리케이터(500)가 조립되었을 때, 어플리케이터(500)의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돌기(522)와 격발 방지부(545)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니들 캐리어(550)는 제1 버튼 결합부(5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 결합부(554)는 횡측 가이드(551)의 상면에 형성된 일종의 홈(groove) 또는 홀(hole)이며, 이 홈에 제1 버튼(520)의 연장부(52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초기 상태에서 제1 버튼(520)의 연장부(521)는 제1 버튼 결합부(554)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제1 버튼(520)이 가압되면, 연장부(521)는 제1 버튼 결합부(554)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1 버튼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보장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초기 상태에서 제1 버튼(520)의 걸림돌기(522)는 휠(542)의 격발 방지부(545)에 걸려있는 상태이다. 이때, 제1 버튼(520)이 가압되면, 연장부(521)가 제1 버튼 결합부(554)에 삽입되면서, 제1 버튼(520)이 근위로 이동한다. 이때, 걸림돌기(522)도 근위로 이동하면서, 격발 방지부(545)와 걸림돌기(522)의 걸림은 해제된다. 이로 인해, 휠(542)은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니들 캐리어(550)는 삽입홈(5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552)은 종측 가이드(553)의 일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홈이다. 이때, 종측 가이드(553)의 일면은 휠(542)과 대면하는 면을 의미한다. 삽입홈(552)에는 휠(542)의 가이드 돌기(543)가 삽입되며, 가이드 돌기(543)가 삽입홈(552)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7은 제2 버튼(530)과 횡측 가이드(551) 사이의 체결을 나타낸 것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2 버튼(530)은 연장부(531) 및 후크(5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531)는 제2 버튼(53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횡측 가이드(551)의 일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돌출되는 방향은 어플리케이터(500)가 조립되었을 때, 어플리케이터(500)의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부(531)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크(532)는 연장부(531)의 내면으로부터 제2 버튼(530)의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후크(532)는 제2 버튼(53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버튼(530)의 하면과 후크(53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하에서 설명할 후크 돌기(555)가 배치될 수 있다.
후크(532)는 니들 캐리어(550), 그 중에서도 종측 가이드(553)와 대면함으로써 니들 캐리어(550)의 직선 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니들 캐리어(550)는 후크 돌기(5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돌기(555)는 종측 가이드(553)의 일면으로부터 제2 버튼(530)의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후크(532)와 후크 돌기(555)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호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초기 상태에서 제2 버튼(530)의 후크(532)는 니들 캐리어(550)의 후크 돌기(555)에 걸려있는 상태이다. 이때, 제2 버튼(530)이 가압되면서 제2 버튼(530)이 어플리케이터(500)의 방사상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서 후크(532)도 함께 이동하고, 후크 돌기(555)와 후크(532)의 걸림은 해제된다. 이로 인해, 니들 캐리어(550)는 직선 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500)는 격발을 위하여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이 모두 가압되어야 한다.
즉,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은 먼저 눌리는 것이 안전 잠금 해제 버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어서 눌리는 것이 격발 버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버튼(520)의 압입과 제2 버튼(530)의 압입은 서로 독립적인 메커니즘이므로, 순서에 상관없이 가압될 수 있다.
도 28은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터(500)는 저면에 개구(514)가 형성된다. 이때, 개구(514) 직경은 트랜스미터(50)의 최대 직경과 같거나, 미소하게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어플리케이터(500)의 내부에 오염물 등이 들어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9는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트랜스미터 홀더 및 트랜스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격발 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트랜스미터 홀더(570)는 트랜스미터 지지부(57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의 (a)는 트랜스미터 홀더(570)의 사시도이고, 도 29의 (b)는 도 29의 (a)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트랜스미터 지지부(571)는 트랜스미터 홀더(570)의 일면에 형성되며, 트랜스미터(50)를 잡아서(hold) 지지(support)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미터 지지부(571)는 오링(o-ring)일 수 있다(도 30 참조). 이러한 경우, 오링과 트랜스미터(50) 사이에는 마찰력이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 또는 체결 해제 구조가 없더라도 트랜스미터(50)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트랜스미터 지지부(571)와 트랜스미터(50) 사이에는 마찰에 의한 결합력이 형성되기에, 트랜스미터(50)를 근위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트랜스미터 홀더(570)는 푸셔(5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셔(572)는 트랜스미터 홀더(570)의 상면에 배치되며, 수평면에 평행한 축에 대해 회동하도록 구성된다(도 29의 (b) 참조). 한편, 충분한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푸셔(572)는 복수 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셔(572)의 제1 단부(573)는 트랜스미터 하우징(510)의 외부에 배치되며, 제2 단부(574)는 트랜스미터 홀더(570)의 내부에 배치된다. 트랜스미터 홀더(570)가 가압되면서(도 29의 (b)의 화살표 방향), 제1 단부(573)는 하우징(510)의 내저면에 부딪히게 된다. 이로 인해, 푸셔(572)는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이란 도 29의 (b)에서 곡선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푸셔(572)가 회전하면서 제2 단부(574)는 트랜스미터(50)를 강하게 가압한다. 이로 인해, 트랜스미터 지지부(571)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트랜스미터(50)는 트랜스미터 홀더(57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6. 제5-2 실시예
도 31은 본 개시의 제5-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제5-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제5-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500)와 구동부(540')를 제외한 타 구성을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본 개시에서는 구동부(540')에 관해서만 설명함에 유의한다.
본 개시의 제5-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구동부(540')는 탄성체(541'), 휠(542'),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롤러(544')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탄성체(541')는 탄성력이 있어, 인장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탄성체(541')는 고무 밴드(rubber band)일 수 있으나, 설계자에 의해 적절히 그 재료는 변경될 수 있다.
탄성체(541')는 일단이 휠(542')과 체결되며, 타단은 드럼의 일면에 체결된다. 여기서, 일단은 탄성체(541')가 권취된 상태에서 내측에 배치되는 단부를 의미하며, 타단은 외측에 배치되는 단부를 의미한다.
탄성체(541')는 초기 상태에서 인장되어 조립된다.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의 가압에 의해 탄성체(541')의 인장을 고정하던 체결부가 해제되면서, 탄성체(541')는 원래 상태로 돌아가기 위하여 압축된다. 이로써, 탄성체(541')의 일단이 회전하게 된다.
제5-2 실시예에 따른 휠(542') 및 가이드 돌기(미도시)는 제5-1 실시예에 따른 휠(542) 및 가이드 돌기(543)와 구성,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한바, 상세한 설명은 제5-1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가이드 롤러(544')는 하우징의 내부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탄성체(541')가 거치될 수 있도록 휠(542')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544')는 대략 원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탄성체(541')가 가이드 롤러(544')의 외주면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도 31의 (a)는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 즉, 초기 상태일 때를 나타낸 것이다.
도 31의 (a)를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미도시)가 가장 원위에 배치된 상태이고, 이에 따라 니들 캐리어(550') 역시 원위에 배치된 상태일 것이다. 한편, 이때의 탄성체(541')는 인장된 상태일 것이다.
한편, 도 31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기에, 니들 캐리어(550')는 제1 버튼(520) 또는 제2 버튼(530)에 의해 근위로의 운동이 제한된다. 이로 인해, 니들 캐리어(550')와 직/간접적으로 체결된 가이드 돌기, 휠(542') 그리고 탄성체(541')의 운동까지 제한된 상태이다.
도 31의 (b)는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이 모두 가압되어 니들(560)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1의 (b)를 참조하면,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이 모두 가압되면서, 제1 버튼(520) 및 제2 버튼(530)과 니들 캐리어(550') 사이의 체결이 해제된다. 이로 인해, 니들 캐리어(550')의 원위에서 근위로의 운동이 더 이상 제한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니들 캐리어(550')와 직/간접적으로 체결된 가이드 돌기, 휠(542') 그리고 탄성체(541')의 운동이 가능해진다.
탄성체(541')는 일 방향(본 개시의 도 31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 방향이더라도 무방하다)으로 회전한다. 다만,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탄성체(541')가 가이드 롤러(544')에 배치되는 방향 등이 모두 바뀌어야 할 것이다.
가이드 돌기는 가장 근위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니들 캐리어(550') 역시 근위에 배치된다. 한편, 탄성체(541')는 절반 정도 인장이 풀린 상태일 것이다.
니들 캐리어(550')가 근위로 이동하면서, 니들(560')도 근위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1의 (c)는 니들(560')이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의 (c)를 참조하면, 탄성체(541')는 일 방향으로 더 회전한다.
이로 인해, 가이드 돌기는 다시 원위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니들 캐리어(550') 역시 원위에 배치된다. 한편, 탄성체(541')는 완전히 인장이 풀려, 탄성체(541')에 의한 구동력은 발생하지 않는 상태일 것이다.
니들 캐리어(550')가 다시 원위로 이동하면서, 니들(560')이 원위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7. 제6-1 실시예
도 32는 본 개시의 제6-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6-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600)는 하우징(610)을 포함한다.
하우징(610)은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구성되며, 중공 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전체적으로 파지하기 쉽도록, 하우징(610)의 중간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제6-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600)는 앞선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다르게 사용자가 직접 가압하여 격발하는 것이 아니라, 버튼을 가압하면 자동으로 격발되는 자동 격발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를 위하여, 어플리케이터(600)는 버튼(620)을 더 포함한다.
버튼(620)은 하우징(610)의 상면에 배치되며,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버튼(620)이 눌려서 불의로 격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터(600)는 안전핀(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핀(630)은 하우징(610)에 삽입 또는 탈거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하기 쉽도록 손잡이(knob) 형상인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3a 및 도 33b는 본 개시의 제6-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3a는 내부 구성요소들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후면사시도 시점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33b는 내부 구성요소이 분해되어 있는 상태를 정면 분해사시도 시점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3a 및 도 33b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6-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600)의 구성요소와 구성요소간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
제6-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600)는 하우징(6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부(640), 니들 캐리어(650) 및 트랜스미터 홀더(6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구동부(640)는 스프링(641) 및 휠(642)을 포함한다.
제6-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641)과 휠(642)은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500)의 스프링(541) 및 휠(542)과 구성,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한바, 제5-1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니들 캐리어(650)는 하우징(610)의 내부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니들 캐리어(650)의 직선 운동은 구동부(64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니들 캐리어(650)는 횡측 가이드(651) 및 종측 가이드(653)를 포함할 수 있고, 니들 캐리어(650)는 전체적으로 영문자 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횡측 가이드(651)에는 구동부(640)의 가이드 돌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휠(642)이 회전하면서 가이드 돌기가 따라서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가이드 돌기가 횡측 가이드(651)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니들 캐리어(650)가 원위와 근위 사이를 직선 운동하게 된다.
횡측 가이드(651)는 버튼(620)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버튼(620)과의 체결이 해제됨으로써, 격발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620)과 횡측 가이드(651)의 체결은 본 개시의 제5-1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튼(520)과 횡측 가이드(551) 사이의 체결 관계가 적용될 수 있는바, 제5-1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종측 가이드(653)는 안전핀(630)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안전핀(630)과의 체결이 해제되어야 이동 가능해진다. 관련하여, 도 3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트랜스미터 홀더(660)는 트랜스미터(미도시)와 결합하여, 트랜스미터를 원위에서 근위까지 직선 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트랜스미터 홀더 (660)는 종측 가이드(653)에 의해 원위에서 근위로 가압되며, 트랜스미터 홀더(660)는 원위에서 근위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도 34는 도 32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및 이를 확대한 것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안전핀(630)은 그립부(631), 제1 핀(632) 및 제2 핀(63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631)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제1 핀(632)은 그립부(631)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가느다란 핀(pin)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핀(633)은 그립부(631)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제1 핀(632)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이때, 제1 핀(632)과 제2 핀(633)이 돌출되는 방향은 동일하다.
제1 핀(632)과 제2 핀(633)은 하우징(610)의 일면에 삽입되며, 제1 핀(632) 및 제2 핀(633)에 의해 격발이 방지된다.
제2 핀(633)의 단부에는 후크(634)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634)는 제2핀 홀(612)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안전핀(63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후크(634)는 안전핀(630)이 어플리케이터(600)로부터 탈거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일정 힘 이상으로 안전핀(630)을 당겨야 안전핀(630)이 탈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후크(634)는 제2핀 홀(612)과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하우징(610)은 제1핀 홀(611), 제2핀 홀(612), 스프링 거치부(613) 및 제1핀 홈(6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핀 홀(611)은 하우징(6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홀(hole)로, 제1 핀(632)이 삽입될 수 있다.
니들 캐리어(650)는 제1핀 관통홀(6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핀 관통홀(652)은 니들 캐리어(650)의 횡측 가이드(651) 중앙에 형성되며, 제1핀 관통홀(652)을 통해 제1 핀(632)이 니들 캐리어(650)를 관통할 수 있다.
스프링 거치부(613)는 스프링(641)이 거치되는 구성으로, 전체적으로 보스(boss) 형상일 수 있다. 스프링 거치부(613)의 플랜지 부분에는 제1핀 홈(614)이 형성된다.
상기한 제1핀 홀(611), 제1핀 관통홀(652) 및 제1핀 홈(614)은 그 직경이 모두 같은 원형이며, 동축으로 배열된다. 이로 인해, 제1 핀(632)이 한 번에 하우징(610), 니들 캐리어(650) 및 구동부(640)를 모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핀(632)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버튼(620)의 단부는 제1 핀(632)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핀(632)이 삽입되어 있는 한, 제1 버튼(620)은 가압될 수 없을 것이다.
제2핀 홀(612)은 하우징(6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홀로, 제2 핀(633)이 삽입되되, 제1핀 홀(611)보다 하부에 형성된다.
제6-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600)는 안전핀(630)이 삽입되어 있을 때, 버튼(620)의 가압도 방지되며, 구동부(640)의 회전과 니들 캐리어(650)의 직선 운동 역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안전핀(630)의 후크(634)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핀이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을 더 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8. 제6-2 실시예
도 35는 본 개시의 제6-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35의 (a)는 그립부(631')가 펼쳐진 상태를, 도 35의 (b)는 그립부(631')가 모아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6-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600')는 하우징(610'), 버튼(620') 및 안전핀(6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제6-2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610') 및 버튼(620')은 제6-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610) 및 버튼(620)과 구성,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한바, 제6-1 실시예에 따른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6-2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630')은 그립부(631')가 두 개의 구성으로 형성되며, 그립부(631')는 펼쳐지거나 모아질 수 있다. 그립부(631')가 펼쳐짐으로써, 어플리케이터(600')의 전체 부피가 감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포장재의 저감 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36은 제6-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6-2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630')은 제1 핀(632'), 제2 핀(633'), 후크(634') 및 지지핀(6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핀(632'), 제2 핀(633') 및 지지핀(635')은 하우징(6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된다.
제1 핀(632')은 제1핀 홀(611')에 삽입되며, 제2 핀(633')은 제2핀 홀(612')에 삽입되고, 지지핀(635')은 지지핀 홀(613')에 삽입된다.
제1 핀(632') 및 제2 핀(633'), 후크(634')의 구성, 형상 및 기능은 제6-1 실시예에 따른 제1 핀(632), 제2 핀(633) 및 후크(634)와 동일한바, 제6-1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지지핀(635')은 안전핀(630')이 하우징(6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트랜스미터의 하면과 접촉함으로써, 트랜스미터와 트랜스미터 홀더가 근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9. 제7 실시예
도 37은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700)는 하우징(710)을 포함한다. 하우징(710)은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구성되며, 중공 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전체적으로 파지하기 쉽도록, 하우징(710)의 중간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700)는 앞선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다르게 사용자가 직접 가압하여 격발하는 것이 아니라, 버튼을 가압하면 자동으로 격발되는 자동 격발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를 위하여, 어플리케이터(700)는 버튼(720)을 더 포함한다.
버튼(720)은 하우징(710)의 상면에 배치되며,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도 38은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700)는 캡(730), 구동부(740), 니들 캐리어(750) 및 트랜스미터 홀더(7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캡(730)은 하우징(710)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캡(730)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터(700)를 사용하기 전 외부의 오염물로부터 어플리케이터(700)의 내부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캡(730)의 최대 직경은 하우징(710) 저면에 형성된 개구의 직경과 같거나, 미소하게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730)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 polymer) 수지, PC(Polycarbonate) 수지, PE(Polyethylene)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나, 어플리케이터와 같은 의료기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PC 수지와 ABS 수지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캡(730)은 지지로드(731) 및 실링부(7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로드(731)는 트랜스미터에 접촉하여, 트랜스미터 및 트랜스미터 홀더(760)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실링부(732)는 하우징(710) 저면에 형성된 개구를 실링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740)는 버튼(720)의 가압에 상응하여, 니들 캐리어(750)와 니들(미도시)원위와 근위 사이를 직선 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구동부(740)는 휠(74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7 실시예에 따른 휠(741)은 제5-1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500)의 휠(542)과 구성,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한바, 제5-1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니들 캐리어(750)는 하우징(710)의 내부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니들 캐리어(750)의 직선 운동은 구동부(74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트랜스미터 홀더(760)는 트랜스미터(미도시)와 결합하여 트랜스미터를 원위에서 근위까지 직선 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트랜스미터 홀더(760)는 니들 캐리어(750)에 의해 원위에서 근위로 가압된다. 한편, 트랜스미터 홀더(760)는 원위에서 근위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도 38의 (a)는 캡(730)이 제거되기 전의 상태를, 도 38의 (b)는 캡(730)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8의 (a)를 참조하면, 캡(730)은 원위 방향으로 트랜스미터 홀더(760)를 지지한다. 이로 인해, 직선 운동이 가능한 구성, 즉 니들 캐리어(750) 역시 원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도 38의 (b)를 참조하면, 캡(730)이 제거되면서 니들 캐리어(750)와 트랜스미터 홀더(760)는 근위로 약간 내려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버튼(720)을 가압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터(700)는 격발 준비가 완료된다.
도 39는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니들 캐리어의 정면도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니들 캐리어(750)는 횡측 가이드(751), 삽입홈(752) 및 종측 가이드(753)를 포함한다.
횡측 가이드(751)에는 구동부(740)의 가이드 돌기(742, 도 40 참조)가 삽입될 수 있다. 휠(741)이 회전하면서 가이드 돌기(74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가이드 돌기(742)가 횡측 가이드(751)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니들 캐리어(750)가 원위와 근위 사이를 직선 운동하게 된다.
삽입홈(752)은 횡측 가이드(751)의 저면에 형성되며, 가이드 돌기(742)가 통과할 정도의 너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측 가이드(753)는 횡측 가이드(751)의 일면으로부터 원위에서 근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종측 가이드(753)는 니들과 결합하여 니들을 고정할 수 있다.
도 40은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격발 방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0의 (a)는 캡(730)이 제거되기 전의 상태를, 도 40의 (b)는 캡(730)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0의 (a)를 참조하면, 캡(730)이 제거되기 전에는, 니들 캐리어(750)가 원위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니들 캐리어(750)가 원위로 미소하게 이동해 있는 상태이다. 이로 인해, 가이드 돌기(742)가 니들 캐리어(750)의 삽입홈(752)에 걸쳐져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횡측 가이드(751)는 횡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하다. 한편, 가이드 돌기(742)의 횡방향 이동은 원운동의 특성 상, 종방향 이동에 상호 구속되는데, 횡방향 이동이 불가하기에, 가이드 돌기(742)의 종방향 이동 역시 제한된다. 이로 인해, 격발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0의 (b)를 참조하면, 캡(730)이 제거되면 니들 캐리어(750)를 지지하는 구성이 제거되어, 니들 캐리어(750)가 근위로 미소하게 이동한다. 가이드 돌기(742)는 횡측 가이드(751)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횡측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600, 600', 700: 어플리케이터
110, 210, 410: 핸들
120, 220, 420, 730: 캡
130, 230: 지지부
140: 기어
150, 260, 550, 550', 650, 750: 니들 캐리어
160: 니들 홀더
170, 270, 362, 560, 560': 니들
180, 280, 380, 450, 570, 660, 760: 트랜스미터 홀더
240: 크랭크
250: 커넥팅 로드
310: 상부캡
312: 하부캡
330: 푸시캡
340: 회전 가이드
350: 회전 블록
370: 스프링
430: 실린더
440: 피스톤
520: 제1 버튼
530: 제2 버튼
540, 540', 640, 740: 구동부
620, 620', 720: 버튼
630, 630': 안전핀

Claims (10)

  1. 저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중공 기둥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버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2 버튼;
    상기 제2 버튼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원위 및 근위 사이를 직선 운동하는 니들 캐리어; 및
    상기 제1 버튼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니들 캐리어의 직선 운동의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압축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권취된 스프링;
    일면이 상기 스프링과 대면하며, 상기 스프링의 회전에 구속되는 휠;
    상기 휠의 타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휠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호 형상의 격발 방지부; 및
    상기 휠의 타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격발 방지부보다 방사상 내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캐리어는
    횡측 가이드; 및
    상기 횡측 가이드의 일면으로부터 형성되어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종측 가이드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제1 버튼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버튼의 방사상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되, 상기 격발 방지부와 대면하도록 구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 버튼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며,
    상기 제1 버튼이 가압될 경우,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제1 버튼의 하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격발 방지부가 배치되는,
    어플리케이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캐리어는
    상기 종측 가이드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후크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2 버튼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방사상 내측을 향해 배치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버튼의 방사상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되, 상기 후크 돌기와 대면하도록 구성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제2 버튼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며,
    상기 제2 버튼이 가압될 경우, 상기 후크와 상기 제2 버튼의 하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후크 돌기가 배치되는,
    어플리케이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니들 캐리어의 직선 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가압되면 상기 구동부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니들 캐리어가 원위에서 근위로 이동하는,
    어플리케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캐리어에 의해 가압되어 원위에서 근위로 이동하며, 트랜스미터를 홀딩하도록 구성된 트랜스미터 홀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트랜스미터 홀더는,
    상기 트랜스미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트랜스미터 지지부; 및
    상기 트랜스미터 홀더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푸셔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일단은 상기 트랜스미터 홀더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셔의 타단은 상기 트랜스미터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푸셔의 일단은 상기 트랜스미터 홀더의 하면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터 홀더가 상기 니들 캐리어에 의해 원위에서 근위로 이동하면, 상기 푸셔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저면에 접하고,
    상기 푸셔의 타단은 상기 트랜스미터의 상면을 가압하는,
    어플리케이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터 지지부와 상기 트랜스미터는 마찰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
  10. 적어도 일부가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 분석물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얻어진 체내 분석물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트랜스미터; 및
    상기 센서 및 상기 트랜스미터를 근위에서 원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터로서,
    저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중공 기둥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버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2 버튼;
    상기 제2 버튼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원위 및 근위 사이를 직선 운동하는 니들 캐리어; 및
    상기 제1 버튼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니들 캐리어의 직선 운동의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센서 삽입 장치.
KR1020230076324A 2022-06-17 2023-06-14 분석물 모니터링 장치용 삽입 장치 KR20230173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8346 WO2023244064A1 (ko) 2022-06-17 2023-06-16 분석물 모니터링 장치용 삽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384 2022-06-17
KR20220074384 2022-06-17
KR20220077474 2022-06-24
KR20220077473 2022-06-24
KR1020220077473 2022-06-24
KR1020220077474 2022-06-24
KR1020220087608 2022-07-15
KR20220087608 2022-07-15
KR20220166655 2022-12-02
KR1020220166656 2022-12-02
KR1020220166655 2022-12-02
KR20220166657 2022-12-02
KR1020220166657 2022-12-02
KR20220166656 2022-12-02
KR1020230001205 2023-01-04
KR20230001205 2023-0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605A true KR20230173605A (ko) 2023-12-27

Family

ID=8937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324A KR20230173605A (ko) 2022-06-17 2023-06-14 분석물 모니터링 장치용 삽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6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0151B2 (en) Lancet device with lance retraction
EP2258267B1 (en) A lancet
EP1868501B1 (en) Finger activated lancet device
EP1827234B1 (en) Skin pricking apparatus
US8858582B2 (en) Push activation lancet device
EP1755454B1 (en) Squeeze-activated medical puncturing device
JP7268118B2 (ja) 第1液滴を除去するランセット装置
EP2163199B1 (en) Cam-actuated medical puncturing device and method
KR20230173605A (ko) 분석물 모니터링 장치용 삽입 장치
EP2653099B1 (en) Lancet device capable of lancet detac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