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133A - Air Cooling Container System - Google Patents

Air Cooling Contain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133A
KR20230171133A KR1020220071316A KR20220071316A KR20230171133A KR 20230171133 A KR20230171133 A KR 20230171133A KR 1020220071316 A KR1020220071316 A KR 1020220071316A KR 20220071316 A KR20220071316 A KR 20220071316A KR 20230171133 A KR20230171133 A KR 20230171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rt
container
air conditioner
air
out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0480B1 (en
Inventor
강인호
Original Assignee
강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호 filed Critical 강인호
Priority to KR102022007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480B1/en
Publication of KR2023017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1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4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기와 실내기가 컨테이너에 일체로 구비되어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하고, 별도의 실외기가 없는 올인원(All-in-One) 구조로 이루어져 외부의 복사열에 의한 실외기의 고압차단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기 파트와 실외기 파트, 그리고 기계실 파트를 20ft, 40ft 등의 해상용 컨테이너에 일체식으로 구비한 새로운 형태의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를 구현함으로써, 컨테이너 구조로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하고, 현장 조립이나 배관공사없이 설치 및 시운전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외부의 복사열에 의한 실외기 고압차단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실외기 파트를 보호함과 더불어 실외기 파트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integrated into a container, making it easy to move and install, and has an all-in-one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outdoor unit, preventing high-pressure blocking of the outdoor unit due to external radiant heat. This relates to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new type of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indoor unit part, the outdoor unit part, and the machine room part are integrated into a maritime container of 20ft, 40ft, etc., making it convenient to move and install due to the container structure, and can be easily assembled or installed on site. A container that can dramatically shorten the installation and test run period without piping work, protects the outdoor unit part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secures the performance of the outdoor unit parts by preventing high-pressure blocking of the outdoor unit due to external radiant heat. Provides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Description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Air Cooling Container System}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Air Cooling Container System}

본 발명은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컨테이너에 일체로 구비되어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하고, 별도의 실외기가 없는 올인원(All-in-One) 구조로 이루어져 외부의 복사열에 의한 실외기의 고압차단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More specifically,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integrated into a container, making it convenient to move and install, and have an all-in-one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outdoor unit, thereby providing external radiant heat. This relates to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that can prevent high pressure shutoff of the outdoor unit.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는 공기를 유동시키면서 냉방, 난방, 청정 또는 가습하여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장치로서, 계절에 따른 기후 조건과 실내 환경 등에 따라 최적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냉방 기능이나 난방 기능을 주로 수행한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changes an indoor environment into a comfortable environment by cooling, heating, purifying or humidifying the air while moving it. It maintains the optimal temperature and humidity according to seasonal climate conditions and indoor environment. It mainly performs cooling or heating functions.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여과기, 가열기, 냉각기, 제습기, 가습기, 송풍기 등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실내 온도나 습도 따위의 공기 상태를 보건에 알맞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These air conditioners use mechanical devices such as filters, heaters, coolers, dehumidifiers, humidifiers, and blowers to adjust air conditions such as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to suit health.

보통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흐름방향을 응축기와 증발기로 선택적으로 전환하거나,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응축기와 증발기로 나누어 흐르도록 하는 공기흐름 전환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Usually, air conditioners use an air flow conversion method that selectively switches the flow direction of indoor air and outdoor air into a condenser and evaporator, or mixes indoor air and outdoor air in an appropriate ratio and flows them separately into a condenser and evaporator.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 중에서 실내의 냉방 또는 항온항습을 위한 냉방기는 순환하는 냉매가 증발기에서 저열원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압축기를 거친 후에 응축기에서 고열원으로 열을 버린 다음, 팽창밸브를 거쳐 다시 증발기로 되돌아가는 사이클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면서 실내로 제공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방식이다. Among such air conditioners, in air conditioners for indoor cooling 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circulating refrigerant absorbs heat from a low heat source in the evaporator, passes through the compressor, discards the heat from the condenser to the high heat source, and then passes through the expansion valve to the evaporator again. This method cools the air provided indoors by sequentially repeating the return cycle.

이러한 사이클을 구현하기 위해서 냉방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o implement this cycle,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compressor, condenser, evaporator, expansion valve, etc.

통상적으로 건축물 등에 냉방기 설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계실을 필요로 하는데, 기계실은 건축물 내부의 일부 공간을 구획하여 설치하거나 별도로 건축된 구조물을 이용한다.Typically, a machine room is required to install air conditioning equipment in a building, etc., and the machine room is installed in a partitioned space inside the building or uses a separately built structure.

이렇게 냉방기 설비의 설치를 위하여 건축물 내부 공간 일부를 기계실로 구축하여 사용함으로써, 건축물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게 되고, 별도의 시간과 비용을 들여 기계실을 시공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In this way, part of the space inside the building is constructed as a machine room to install air conditioning equipment,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reducing the utilization of space inside the building and requiring separate time and cost to construct the machine room.

한편, 냉방기 제작 업체가 수요처에 냉방기를 공급하는 경우, 운송 파레트, 컨테이너 등을 이용하여 운반한 후, 기계실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파레트 또는 컨테이너로부터 냉방기를 하역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고, 기계실 통로 등의 공간이 협소하면 냉방기의 각 부품, 즉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 감압장치 등의 부품을 개별 하역하여 기계실 내부에서 재조립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n air conditioner manufacturing company supplies air conditioners to a customer, there are inconveniences such as having to unload the air conditioner from the pallet or container to install it in the machine room after transporting it using a transportation pallet or container, and the machine room passage, etc. If the space is small,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each part of the air conditioner, such as the compressor, evaporator, condenser, and pressure reducing device, must be unloaded individually and reassembled inside the machine room.

그리고, 실외기의 경우 기계실 외부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실외기의 운반을 위해 별도의 운송 파레트 또는 컨테이너를 필요로 하며, 하역 및 설치를 위한 별도의 수고와 시간이 요구되는 등 운반 및 설치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불리한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utdoor unit must be installed outside the machine room, not only does it require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but it also requires a separate transportation pallet or container to transport the outdoor unit, and requires additional effort and time for unloading and installation. The required transport and installation workab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re are disadvantages in terms of cost.

등록특허공보 제10-0769541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769541 등록특허공보 제10-0805904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805904 등록특허공보 제10-0915340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15340 등록특허공보 제10-1437635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37635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실내기 파트와 실외기 파트, 그리고 기계실 파트를 20ft, 40ft 등의 해상용 컨테이너에 일체식으로 구비한 새로운 형태의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를 구현함으로써, 컨테이너 구조로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하고, 현장 조립이나 배관공사없이 설치 및 시운전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외부의 복사열에 의한 실외기 고압차단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실외기 파트를 보호함과 더불어 실외기 파트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with these points in mind, and by implementing a new type of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indoor unit part, the outdoor unit part, and the machine room part are integrated into a maritime container of 20ft, 40ft, etc., The structure makes it easy to move and install, and the installation and test run period can be dramatically shortened without on-site assembly or piping work. It also protects the outdoor unit part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by preventing high-pressure blocking of the outdoor unit due to external radiant heat.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that can secure the performance of the outdoor unit p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상기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는 컨테이너로 이루어져 있으며 컨테이너 내부는 격벽에 의해 실내기 파트와 실외기 파트로 구획되고 실내쪽을 향하는 전면에는 리턴 에어가 들어오고 공급 에어가 나가는 유입구와 공급구가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실외쪽을 향하는 후면에는 외부 공기가 들어오고 배기 공기가 나가는 흡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냉방기 본체와, 상기 냉방기 본체의 실내기 파트에 설치되는 압축기, 증발기 및 급기팬과, 상기 냉방기 본체의 실외기 파트에 설치되는 응축기 및 배기팬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is made up of a container, an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divided into an indoor unit part and an outdoor unit part by a partition, and an inlet and a supply port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toward the indoor side, where return air enters and supply air goes out, and at the same time, the outdoor side is formed. An air conditioner main body in which an inlet and an outlet are formed on the rear side for external air to enter and exhaust air to exit, respectively, a compressor, evaporator, and air supply fan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part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and a condenser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part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and an exhaust fan.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는 실내기 파트와 실외기 파트가 컨테이너로 이루어진 냉방기 본체 내에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트레일러 차량, 항공기, 선박 등으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고, 현장에서 조립 없이 바로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refore,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has the indoor unit part and the outdoor unit part integrated into the air conditioner body made of a container, so it can be conveniently transported on trailer vehicles, aircraft, ships, etc., and can be installed immediately without assembly on site. .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는 냉방기 본체의 격벽에 설치되어 실내기 파트측의 차가운 공기를 실외기 파트측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개도 조절이 가능한 바이패스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able opening degree bypass damper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of the air conditioner body to selectively provide cool air from the indoor unit side to the outdoor unit part.

이러한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는 실내기 파트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는 개도 조절이 가능한 리턴 댐퍼, 실내기 파트의 공급구에 설치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먼거리의 거주구역까지 보내주는 서플리 노즐, 실외기 파트의 흡입구에 설치되어 외부 먼지를 제거하는 롤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s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s include a return damper that is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indoor unit and can adjust the opening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inflow, a supply nozzle that is installed at the supply port of the indoor unit and sends the air supplied indoors to a distant residential area, and an outdoor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roll filter installed at the intake port of the part to remove external dust.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실내기 파트에 보조 격벽을 설치하여 실내기 파트의 내부 공간에서 급기팬이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고, 상기 실외기 파트에도 보조 격벽을 설치하여 실외기 파트의 내부 공간에서 배기팬이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an auxiliary partition wall is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part to partition the space where the air supply fan is install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indoor unit part, and an auxiliary partition wall is also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part to allow the exhaust fan to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door unit part.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divided.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는 실내기 파트와 실외기 파트의 각 내부 바닥에서부터 냉방기 본체의 전면 및/또는 후면의 하단부까지 이어지는 구조로 설치되어 각 파트의 부품에서 생기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수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extends from the inner bottom of each indoor unit part and the outdoor unit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front and/or rear of the air conditioner body, and is provided with a drain that can discharge water generated from each part to the outside. It can be included.

한편, 압축기는 실외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지역에서는 응축기와 냉매 배관 설계를 고려할 때 실내기 파트가 아닌 실외기 파트에 설치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areas where the outdoor temperature is not relatively high, the compressor may be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part rather than the indoor unit part when considering the design of the condenser and refrigerant piping.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를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실내기 파트, 실외기 파트 및 기계실 파트를 완벽하게 분리하면서 컨테이너, 예를 들면 해상용 컨테이너 등과 같은 컨테이너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트레일러 차량을 이용한 육상 운반, 선박이나 화물기를 이용한 항공/해상 운반(예컨대, 수출을 위한 운반)에 유리하며, 현장에서 조립이나 각종 배관공사 없이 바로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및 시운전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예컨대, 흡수식 냉온수시스템 대비 90%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현장 설치 시의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by completely separating the indoor unit part, outdoor unit part, and machine room part and providing them as an integrated piece inside a container, such as a maritime container, land transportation using a trailer vehicle and air/sea transportation using a ship or cargo plane It is advantageous for transportation for export (e.g., transportation for export), and can be installed right away without assembly or various piping works on site, thereby dramatically shortening the installation and test run period (e.g., 90% improvement compared to absorption-type cold and hot water systems).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costs and eliminating risk factors during field installation.

둘째, 별도의 실외기가 없는 올인원(All-in-One) 구조를 채택함과 더불어 외기온 급상승 시 실내온도를 이용하여 실외기 온도를 떨어뜨려주는 바이패스 댐퍼를 채택함으로써, 외부의 복사열에 의한 실외기의 고압차단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실외기 파트를 보호함과 더불어 실외기 파트의 지속적인 성능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Second, by adopting an all-in-one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outdoor unit and by adopting a bypass damper that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outdoor unit by using the indoor temperature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rises rapidly, the high pressure of the outdoor unit due to external radiant heat is adopted. It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outdoor unit part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preventing blocking, and ensuring continuous performance of the outdoor unit parts.

셋째, 자동 롤 필터를 이용하여 외부먼지로부터 열교환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there is an effect of protecting the heat exchanger from external dust by using an automatic roll filter.

넷째, 설치공간에 맞게 적층 설치가 용이하여 건축물의 층고에 관계없이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Fourth, it is easy to install in a stacked manner to fit the installation space, so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respond regardless of the floor height of the building.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4와 달리 압축기가 실내기 파트가 아닌 실외기 파트에 설치된 것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Figure 4, the compressor is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part rather than the indoor unit par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s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는 실내기 파트, 실외기 파트 등의 냉방기 설비를 해상용 컨테이너 등과 같은 컨테이너의 내부에 일체식으로 구비하여,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고 현장 조립이나 배관공사없이 설치 및 시운전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is equipped with cooling equipment such as an indoor unit part and an outdoor unit part inside a container such as a maritime container,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transported and can be assembled or assembled on site. It is structured to shorten the installation and commissioning period without piping work.

이를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는 실외기 설비, 실내기 설비, 기타 냉방기 부품 등을 내부에 탑재하는 수단으로 냉방기 본체(17)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includes an air conditioner body 17 as a means for mounting outdoor equipment, indoor equipment, and other air conditioner parts inside.

상기 냉방기 본체(17)는 해상, 육상, 항공 등 수송기관에 적재 할 수 있는 일정한 용적을 가지고, 용도에 따른 강도를 가져 반복 사용을 견딜 수 있는 컨테이너로 이루어지게 된다.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7 is made of a container that has a certain volume that can be loaded in transportation facilities such as sea, land, and air, and has strength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can withstand repeated use.

이러한 냉방기 본체(17)의 내부에는 컨테이너 공간의 약 1/2 정도로 구획하는 위치에 수직의 격벽(10)이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격벽(10)에 의해 냉방기 본체(17)의 내부는 2개의 분리되어 있는 영역, 즉 실내기 파트(11)와 실외기 파트(12)로 구획된다. Inside the air conditioner body 17, a vertical partition wall 10 is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divides approximately 1/2 of the container space, and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7 is divided into two parts by the partition wall 10 installed in this way. It is divided into separate areas, that is, the indoor unit part 11 and the outdoor unit part 12.

이렇게 구획되는 실내기 파트(11)와 실외기 파트(12)는 격벽(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완전히 차단된 각각의 구역으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예컨대, 바이패스 댐퍼가 완전히 닫힌 상태). The indoor unit part 11 and the outdoor unit part 12 divided in this way can be separated into respective zones that are completely blocked from each other with the partition wall 10 in between (for example, the bypass damper is completely closed).

그리고, 상기 냉방기 본체(17)의 실내쪽을 향하는 전면에는 실내기 파트(11)가 있는 쪽으로 유입구(13)와 공급구(14)가 양옆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유입구(13)에 의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실내기 파트(11)측으로 들어오게 되는 동시에 공급구(14)에 의해 실내기 파트(11)에서 만들어진 찬 공기가 실내로 나가게 된다. In addi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air conditioner body 17 facing the indoor side, an inlet 13 and a supply port 14 are form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toward the indoor unit part 11, and the inlet 13 formed in this way Hot indoor air enters the indoor unit part 11, and at the same time, cold air created in the indoor unit part 11 exits the room through the supply port 14.

즉, 상기 유입구(13)와 공급구(14)를 통해 실내측과 실내기 파트(11)측 간에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찬 공기가 실내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air is circulated between the indoor side and the indoor unit part 11 side through the inlet 13 and the supply port 14, allowing cold air to be supplied into the room.

그리고, 상기 냉방기 본체(17)의 실외쪽을 향하는 후면에는 실외기 파트(12)가 있는 쪽으로 흡입구(15)와 배출구(16)가 양옆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흡입구(15)와 배출구(16)에 의해 실외측과 실외기 파트(12)측 간에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on the rear side of the air conditioner body 17 facing the outdoor side, an inlet 15 and an outlet 16 are form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toward the outdoor unit part 12, and the inlet 15 and outlet formed in this way ( 16) allows air to flow between the outdoor side and the outdoor unit part 12 side.

특히, 상기 실내기 파트(11)의 유입구(13)에는 리턴 댐퍼(24)가 설치되며, 이때의 리턴 댐퍼(24)는 개도 조절이 가능한 댐퍼로서, 유입구(13)의 전체 면적에 걸쳐 설치되면서 실내에서 리턴되어 들어오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particular, a return damper 24 is installed at the inlet 13 of the indoor unit part 11. In this case, the return damper 24 is a damper whose opening degree is adjustable, and is install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inlet 13, It plays a role in controlling the inflow of air returned from the incoming air.

여기서, 상기 리턴 댐퍼(24)는 수동식 또는 액추에이터(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식을 적용할 수 있다. Here, the return damper 24 can be either manual or automatic operated by an actuator (not shown).

이때, 자동식 리턴 댐퍼(24)의 경우, 실내측 온도, 팬의 부하 등에 따라 자동으로 개도가 조절되어 리턴 에어의 풍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return damper 24, the opening degree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ndoor temperature, the load of the fan, etc., so that the return air volum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이와 더불어, 상기 실내기 파트(11)의 공급구(14)에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먼거리의 거주구역까지 보내주는 적어도 1개의 서플리 노즐(25), 바람직하게는 위아래 2개 정도의 서플리 노즐(25)이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supply port 14 of the indoor unit part 11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upply nozzle 25 that sends the air supplied indoors to a distant residential area, preferably about two supply nozzles above and below. (25) is installed.

이때의 서플리 노즐(25)은 제트 노즐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퓨져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먼거리의 거주 구역까지 도달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supply nozzle 25 may be of the jet nozzle type, and serves to allow the air supplied from the diffuser to reach a distant residential area.

여기서, 상기 서플리 노즐(25)은 전기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취출 방향의 조정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supply nozzle 25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xtraction direction can be adjusted electrically or manually.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실외기 파트(12)의 흡입구(15)에는 외부 먼지를 제거하는 롤 필터(26)가 설치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a roll filter 26 to remove external dust is installed at the inlet 15 of the outdoor unit part 12.

상기 롤 필터(26)는 대기 중의 오염된 먼지 등을 1차 여과하는 부직포 소재 등의 필터로서, 흡입구(15)의 전체 면적에 걸쳐 설치되며,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여 응축기(21) 등의 냉방기 설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roll filter 26 is a filter made of non-woven material that primarily filters polluted dust in the air, and is install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intake port 15, and removes dust in the air coming from the outside to the condenser 21. It plays a role in protecting air conditioning equipment, etc.

이러한 롤 필터(26)는 롤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필터지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감거나 풀어서 오염된 부분을 쉽게 교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is roll filter 26 is in a roll format,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replace the contaminated portion by automatically or manually winding or unwinding the filter paper.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냉방기 본체(17)에는 증발기(19), 응축기(21) 등의 냉방기 설비에서 발생하여 밑으로 떨어지는 물을 냉방기 본체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28)가 형성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ir conditioner body 17 is provided with a drain 28 for discharging water generated from air conditioner equipment such as the evaporator 19 and condenser 21 and falling down out of the air conditioner body.

이러한 배수구(28)는 실내기 파트(11)의 내부 바닥과 실외기 파트(12)의 내부 바닥에서부터 냉방기 본체(17)의 하단부 전면쪽 및/또는 후면쪽으로 이어지는 통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This drain 28 is formed as a passage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indoor unit part 11 and the inner bottom of the outdoor unit part 12 toward the front and/or rea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7.

이에 따라, 상기 실내기 파트(11)의 증발기(19)에서 바닥으로 떨어지는 물과 실외기 파트(12)의 응축기(21)에서 바닥으로 떨어지는 물은 각각의 배수구(28)를 통해 외부로 배출 처리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water that falls to the floor from the evaporator 19 of the indoor unit part 11 and the water that falls to the floor from the condenser 21 of the outdoor unit part 12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each drain hole 28. There will be.

여기서, 상기 배수구(28)는 냉방기 본체(17)의 바닥체, 즉 컨테이너의 바닥체를 그대로 활용한 구조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배수구(28)는 냉방기 본체(17)의 내부 바닥에 물이 빠질 수 있는 홀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한 홀이 냉방기 본체(17)의 바닥체 내에 조성되어 있는 빈 공간부와 통하게 하며, 이때의 바닥체 빈 공간부의 전면쪽 및/또는 후면쪽을 뚫어서 외부로 노출되게 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Here, the drain 28 may have a structure that utilizes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7, that is, the bottom of a container. For example, the drain 28 is designed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7. A removable hole is formed, and the hole formed in this way communicates with the empty spac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er body 17, and the front and/or rear side of the empty space of the bottom is drilled to the outside. It can be made into an exposed structure.

이와 같이, 상기 배수구(28)의 형성 시 컨테이너 구조물 자체를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하부배관 등과 같은 설비 없이도 배수구(28)를 단순한 구조 및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구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is way, by using the container structure itself when forming the drain 28,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rain 28 can be easily constructed with a simple structure and low cost without the need for equipment such as separate lower pipes.

또한, 상기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는 실내에 찬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수단으로 압축기(18), 증발기(19), 응축기(21), 팽창밸브(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mpressor 18, an evaporator 19, a condenser 21, and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as means of forming a refrigeration cycle to provide cold air indoors.

여기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18), 증발기(19), 응축기(21), 팽창밸브 등은 배관(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이러한 냉동 사이클은 냉매를 압축-응축-팽창-증발시키는 일반적인 냉동 사이클의 계통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compressor 18, evaporator 19, condenser 21, and expansion valve that constitute the refrigeration cyc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pipes (not shown), and this refrigeration cycle compresses, condenses, expands, and evaporates the refrigerant. Since the general refrigeration cycle system can be appli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압축기(18)와 증발기(19)는 냉방기 본체(17)의 실내기 파트(11) 내에 설치된다. The compressor 18 and the evaporator 19 are installed within the indoor unit part 11 of the air conditioner body 17.

상기 압축기(18)의 경우 저온,저압의 기체가스를 고온,고압의 기체가스로 압축하여 사이클에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실외기 파트(12)측 대비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환경으로 조성되는 실내기 파트(11)의 내부, 즉 실내기 공기 흐름 영역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압축기(18)의 압축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compressor 18, it serves to compress low-temperature, low-pressure gas into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 and circulate it in a cycle, and the indoor unit part ( It is installed inside 11), that is, in the indoor unit air flow area, and thus the compression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18 can be maximized.

특히, 상기 증발기(19)는 실내기 파트(11)의 내부 공간에 수직 설치되면서 실내기 파트 공간, 예를 들면 격벽(10)과 보조 격벽(27a) 사이에 조성되어 실내기 파트 공간을 구획하는 보조 격벽(27c)에 지지되면서 수직 자세를 유지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압축기(18)는 보조 격벽(27c)과 격벽(10) 사이에 조성되는 실내기 파트 공간 내에 설치된다. In particular, the evaporator 19 i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inner space of the indoor unit part 11, and is formed between the indoor unit part space, for example, the partition wall 10 and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27a, and divides the indoor unit part space. The compressor 18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maintains a vertical position while being supported by 27c), while the compressor 18 is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part space created between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27c and the partition wall 10.

그리고, 상기 실내기 파트(11)의 내부에는 실내 더운 공기를 흡입하고 찬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급기팬(20)이 설치된다. Also, an air supply fan 20 is installed inside the indoor unit part 11 to suck in hot indoor air and discharge cold air.

이러한 급기팬(20)은 실내기 파트(11)의 내부 일측 공간에서 받침대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is air supply fan 20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on a pedestal in one inner space of the indoor unit part 11.

즉, 증발기(19)가 설치되어 있는 보조 격벽(27c)과 실내기 파트(11)의 측면 벽체 사이에 보조 격벽(27a)이 수직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보조 격벽(27a)과 실내기 파트(11)의 측면 벽체 사이에 조성되는 구획된 공간 내에 급기팬(20a)이 설치된다. That is, the auxiliary partition 27a is installed vertically between the auxiliary partition 27c on which the evaporator 19 is installed and the side wall of the indoor unit part 11, and the auxiliary partition 27a and the indoor unit part 11 installed in this way are An air supply fan (20a) is installed in the partitioned space created between the side walls.

여기서, 상기 실내기 파트(11)의 내부에 서로 간에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2개의 보조 격벽(27a,27c)이 설치됨으로써, 실내기 파트(11)의 내부에는 2개의 보조 격벽(27a,27c) 사이에 조성되는 완충 영역이 만들어지게 되고, 이러한 완충 영역으로 인해 급기팬(20)은 충분한 풍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Here, two auxiliary partition walls 27a and 27c are installed inside the indoor unit part 11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so that between the two auxiliary partition walls 27a and 27c inside the indoor unit part 11. A buffer area is created, and due to this buffer area, the air supply fan 20 can secure sufficient air volume.

이때, 상기 급기팬(20)의 흡입측은 보조 격벽(27c)을 관통하여 완충 영역과 통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uction side of the air supply fan 20 can be connected in a structure that penetrates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27c and communicates with the buffer area.

이에 따라, 상기 급기팬(20)의 가동 시 유입구(13)로 들어온 더운 공기는 증발기(19)를 통과하면서 찬 공기로 전환되고, 계속해서 찬 공기는 완충 영역을 거쳐 급기팬(20)으로 흡입된 후에 급기팬(20)의 토출측과 연결되어 있는 공급구(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air supply fan 20 is operated, the hot air entering the inlet 13 is converted into cold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9, and the cold air is continuously sucked into the air supply fan 20 through the buffer area. After that, it can be supplied indoors through the supply port 14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air supply fan 20.

상기 응축기(21)는 냉방기 본체(17)의 실외기 파트(12) 내에 설치된다. The condenser 21 is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part 12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7.

특히, 상기 응축기(21)는 실외기 파트(12)의 내부 공간에 수직 설치되면서 실외기 파트 공간, 예를 들면 격벽(10)과 보조 격벽(27b) 사이에 조성되어 실외기 파트 공간을 구획하는 보조 격벽(27d)에 지지되면서 수직 자세를 유지하는 구조로 설치된다.In particular, the condenser 21 i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door unit part 12 and is formed between the outdoor unit part space, for example, the partition wall 10 and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27b, and divides the outdoor unit part space.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maintains a vertical position while being supported by 27d).

그리고, 상기 실외기 파트(12)의 내부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응축작용을 마친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배기팬(22)이 설치된다. Also, an exhaust fan 22 is installed inside the outdoor unit part 12 to suck in external air and discharge the air that has completed the condensation process.

이러한 배기팬(22)은 실외기 파트(12)의 내부 일측 공간에서 받침대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is exhaust fan 22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on a pedestal in one inner space of the outdoor unit part 12.

즉, 응축기(21)가 설치되어 있는 보조 격벽(27d)과 실외기 파트(12)의 측면 벽체 사이에 보조 격벽(27b)이 수직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보조 격벽(27b)와 실외기 파트(12)의 측면 벽체 사이에 조성되는 구획된 공간 내에 배기팬(22)이 설치된다. That is,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27b is installed vertically between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27d on which the condenser 21 is installed and the side wall of the outdoor unit part 12, and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27b and the outdoor unit part 12 installed in this way are An exhaust fan 22 is installed in the partitioned space created between the side walls.

여기서, 상기 실외기 파트(12)의 내부에 서로 간에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2개의 보조 격벽(27b,27d)이 설치됨으로써, 실외기 파트(12)의 내부에는 2개의 보조 격벽(27b,27d) 사이에 조성되는 또 하나의 완충 영역이 만들어지게 되고, 이러한 완충 영역으로 인해 배기팬(22)은 충분한 풍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Here, two auxiliary partition walls 27b and 27d are installed inside the outdoor unit part 12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so that between the two auxiliary partition walls 27b and 27d inside the outdoor unit part 12. Another buffer area is created, and this buffer area allows the exhaust fan 22 to secure sufficient air volume.

이때, 상기 배기팬(22)의 흡입측은 보조 격벽(27d)을 관통하여 완충 영역과 통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uction side of the exhaust fan 22 can be connected to the buffer area through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27d.

이에 따라, 상기 배기팬(22)의 가동 시 흡입구(15)로 들어온 외부 공기는 응축기(21)를 거친 후에 완충 영역을 경유하여 배기팬(22)으로 흡입된 후에 배기팬(22)의 토출측과 연결되어 있는 배출구(16)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exhaust fan 22 is operated, the outside air that enters the intake port 15 passes through the condenser 21, is sucked into the exhaust fan 22 via the buffer area, and then flows into the discharge side of the exhaust fan 22.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gain through the connected outlet (16).

또한, 상기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는 실내기 파트(11)측의 찬 공기를 실외기 파트(12)측에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외부의 복사열로부터 실외기 설비를 보호하는 수단으로 바이패스 댐퍼(23)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includes a bypass damper 23 as a means of protecting the outdoor unit equipment from external radiant heat by selectively providing cold air from the indoor unit part 11 to the outdoor unit part 12.

상기 바이패스 댐퍼(23)는 실내기 파트(11)와 실외기 파트(12)를 구획짓고 있는 격벽(10)에 설치된다. The bypass damper 23 is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10 dividing the indoor unit part 11 and the outdoor unit part 12.

이러한 바이패스 댐퍼(23)는 개도 조절이 가능한 댐퍼로서, 실내기 파트(11)의 내부에서 실외기 파트(12)의 내부로 공급되는 찬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is bypass damper 23 is a damper whose opening can be adjusted, and serves to control the supply amount of cold air supplied from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part 11 to the inside of the outdoor unit part 12.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 댐퍼(23)는 수동식 또는 액추에이터(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식을 적용할 수 있다. Here, the bypass damper 23 may be of a manual type or an automatic type operated by an actuator (not shown).

이때, 자동식 바이패스 댐퍼(23)의 경우, 외부 온도 등에 따라 자동으로 개도가 조절되어 실내기 파트측에서 실외기 파트측으로 보내지는 찬 공기의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bypass damper 23, the opening degree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etc., so that the amount of cold air sent from the indoor unit part to the outdoor unit par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예를 들면, 상기 냉방기 본체(17)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외기온 센서(미도시)가 외부 온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미도시)측에 보내고, 컨트롤러에서는 외기온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공기 온도값과 기설정되어 있는 설정 온도값을 비교한 후, 이때의 결과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출력 제어하여 바이패스 댐퍼(23)의 개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실내기 파트측에서 실외기 파트측으로 넘어가는 찬 공기의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an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ir conditioner body 17 detects the outside temperature and sends it to the controller (not shown), and the controller calculates the outside air temperature value input from the outside temperature sensor and the After comparing the set temperature values, the actuator outpu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esults,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damper 23 is appropriately adjusted, so that the amount of cold air passing from the indoor unit part to the outdoor unit par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t becomes possible.

이에 따라, 평상 시 바이패스 댐퍼(23)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외부 공기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 예를 들면 외부 공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외부 공기의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바이패스 댐퍼(23)가 열리면서 개도량 조절을 통해 실내기 파트(11)측의 찬 공기가 실외기 파트(12)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bypass damper 23 can normally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s high,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exceeds the preset outside air temperature, the bypass damper 23 can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As the damper 23 opens, cold air from the indoor unit part 11 can be supplied into the outdoor unit part 12 by adjusting the opening amount.

이렇게 실외기 파트(12)의 내부에 찬 공기가 공급되고, 이때의 찬 공기가 실외기 파트측의 냉방기 설비, 특히 응축기(21)를 식혀줄 수 있게 되므로서, 결국 실외기 파트측 설비가 외부의 복사열을 받아 고압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외부 온도의 급상승 시 응축기 등의 실외기 파트측 냉방기 설비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cold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outdoor unit part 12, and the cold air at this time can cool the air conditioner equipment on the outdoor unit part side, especially the condenser 21. As a result, the equipment on the outdoor unit part side absorbs external radiant heat.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tect the air conditioner equipment on the outdoor unit parts such as the condenser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rises rapidly, preventing high pressure shutoff.

즉, 상기 바이패스 댐퍼(23)를 채택함에 따라 외부 공기 온도 급상승 시 실내 온도를 이용하여 냉방기 설비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by adopting the bypass damper 23,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air conditioner equipment by using the indoor temperature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suddenly rise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방 모드 시 실내의 공기는 실내기 파트(11)를 통해 순환되고 외부의 공기는 실외기 파트(12)를 통해 순환된다. As shown in FIG. 4, in the cooling mode, indoor air is circulated through the indoor unit part 11 and external air is circulated through the outdoor unit part 12.

그리고, 상기 실내기 파트(11)를 경유하는 실내의 공기는 찬 공기로 전환되어 실내로 공급되고, 실외기 파트(12)를 경유하는 외부의 공기는 더운 공기로 전환되어 실외로 배출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indoor unit part 11 is converted into cold air and supplied indoors, and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outdoor unit part 12 is converted into hot air and discharged outdoors, and this process is carried out. Indoor cooling is achieved through this.

이를 위하여, 급기팬(20)의 가동 시, 유입구(13)→증발기(19)가 속해 있는 실내기 파트(11)의 내부→증발기(19)→완충 영역→급기팬(20)의 흡입측→급기팬(20)의 배출측→공급구(14)를 경유하는 실내 공기의 흐름이 만들어지게 된다. For this purpose, when the air supply fan 20 is operated, the inlet 13 →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part 11 to which the evaporator 19 belongs → the evaporator 19 → the buffer area → the suction side of the air supply fan 20 → air supply. A flow of indoor air is created from the discharge side of the fan 20 to the supply port 14.

이때, 증발기(19)에서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는 완전히 기화 할 때까지 주위의 열을 빼앗으며 증발하여 저온저압의 기체상태로 2차 상태변화, 즉 모세관에서 유입된 저압액체의 냉매가 공기 중의 열을 흡수하면서 저압의 기체로 되어 증발 잠열로 실내를 냉각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in the evaporator 19 evaporates, taking away the surrounding heat until it is completely vaporized, and changes its secondary state into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gaseous state, that is,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flowing in from the capillary is in the air. As it absorbs heat, it becomes a low-pressure gas and cools the room through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이와 동시에, 배기팬(22)의 가동시, 흡입구(15)→응축기(21)가 속해 있는 실외기 파트(12)의 내부→응축기(21)→완충 영역→배기팬(22)의 흡입측→배기팬(22)의 배출측→배출구(16)를 경유하는 외부 공기의 흐름이 만들어지게 된다. At the same time, when the exhaust fan 22 is running, the intake port 15 → the inside of the outdoor unit part 12 to which the condenser 21 belongs → the condenser 21 → the buffer area → the suction side of the exhaust fan 22 → exhaust. A flow of external air is created through the discharge side of the fan 22 → the discharge port 16.

이때, 압축기(18)에서 토출 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액체상태로 만들기 위해 외부 공기로 열을 방출시키는 1차 상태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At this time, a primary change of state occurs that releases heat to the outside air in order to turn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8 into a liquid state.

이러한 과정에서, 외부의 기온이 급상승하는 경우, 이때의 온도에 맞춰 바이패스 댐퍼(23)가 적절히 열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실내기 파트(11)측의 찬 공기, 즉 실내를 순환하는 공기(예컨대, 외부 공기 대비 상대적으로 찬 실내 공기)가 바이패스 댐퍼(23)를 통과하여 실외기 파트(12)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결국 이렇게 공급되는 실내측 찬 공기가 실외기 파트측 설비, 예를 들면 응축기(21)를 적절히 식혀줄 수 있게 되므로서, 실외기 고압 차단 등과 같은 설비 이상을 사전에 막을 수 있게 된다. In this process,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rises rapidly, the bypass damper 23 is open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t this time, and at the same time, the cold air on the indoor unit part 11 side, that is, the air circulating inside the room (e.g., the outside air) Indoor air (relatively cold compared to air) passes through the bypass damper 23 and enters the interior of the outdoor unit part 12, and eventually the indoor cold air supplied in this way is used in facilities on the outdoor unit part, such as the condenser 21. By being able to cool the system properly, it is possible to prevent equipment problems such as high pressure blocking of the outdoor unit in advance.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s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100)는 실내기/실외기 컨테이너 일체화 구조로 이루어져 상하 적층 구조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건축물의 다양한 층고에 맞게 적극 대응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100 has an indoor unit/outdoor unit container integrated structur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top-bottom stacked structure, allowing it to actively respond to various floor heights of buildings.

즉, 설치 현장의 층고에 맞춰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100)를 차곡차곡 쌓는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100 can be installed in a stack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floor height of the installation site.

일 예로서, 상기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100)는 W 6,058mm × L 2,438mm × H 2,591mm의 규격으로 이루어진 해상용 20 feet 컨테이너로 제작할 수 있으며, H 2,591mm의 높이로 1개의 20 feet 컨테이너를 설치할 수 있거나, H 5,182mm의 높이로 2개의 20 feet 컨테이너를 적층 설치할 수 있거나, H 7,773mm의 높이로 3개의 20 feet 컨테이너를 적층 설치할 수 있거나, H 10,364mm의 높이로 4개의 20 feet 컨테이너를 적층 설치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100 can be manufactured as a 20-foot maritime container with dimensions of W 6,058 mm × L 2,438 mm × H 2,591 mm, and one 20-foot container can be installed at a height of H 2,591 mm. Alternatively, two 20-foot containers can be stacked to a H height of 5,182 mm, or three 20-foot containers can be stacked to a H height of 7,773 mm, or four 20-foot containers can be stacked to a H height of 10,364 mm. Can be installed.

이렇게 적층 구조로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100)를 설치하여 최소한의 공간만을 점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현장 내의 공간 활용도 또한 높일 수 있다. By installing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100 in this stacked structure so that it occupies only a minimum amount of space, space utilization within the installation site can also be increased.

이러한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100)는 설치공간에 맞는 구성 및 설치비 절감(예컨대, 냉매 및 물배관 공사를 배제할 수 있다)이 가능하다. This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100 can be configured to fit the installation space and reduce installation costs (for example, refrigerant and water piping work can be eliminated).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100)의 컨테이너, 즉 냉방기 본체(17)는 기존 콘트리트 외벽 대신에 벽체 EPS 판넬 50mm를 적용하여 외부 구조를 강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설비 강화는 물론 운송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of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100, that is, the air conditioner body 17, can strengthen the external structure by applying a 50 mm EPS wall panel instead of the existing concrete outer wall, thereby strengthening facilities and ensuring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can do.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내기 파트, 실외기 파트, 기계실 파트 등을 컨테이너에 일체식으로 구비한 새로운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를 제공함으로써, 수출 등을 위한 운반이 편리함은 물론 적층 구조를 통해 설치 공간에 맞춰 쉽게 설치할 수 있고, 현장 조립이나 배관공사없이 설치 및 시운전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각 설비들을 보호하여 지속적인 기능 확보는 물론 내구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indoor unit part, outdoor unit part, machine room part, etc. are integrated into a container, making it convenient to transport for export, etc., and can be easily installed to fit the installation space through the laminated structure. The installation and test run period can be shortened without on-site assembly or piping work, and by protecting each facility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secure continuous functionality and extend its durabilit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와 다른 점은, 압축기(18)가 실내기 파트(11)가 아닌 실외기 파트(12)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압축기(18)는 응축기(21)와 리턴 댐퍼(24) 사이의 공간으로 보조 격벽(27d)과 격벽(10) 사이에 조성되는 실외기 파트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실외의 온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기(18)를 실내기 파트에 설치하는 것이 압축기(18)의 수명과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실외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지역에서 응축기(21)와의 냉매 배관 설계를 고려하여 실외기 파트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š문이다.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of this embodiment and the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shown in FIGS. 3 and 4 is that the compressor 18 is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part 12 rather than the indoor unit part 11. Specifically, the compressor 18 may be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part space created between the auxiliary partition wall 27d and the partition wall 10 in the space between the condenser 21 and the return damper 24. This means that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very high, installing the compressor 18 in the indoor unit part can improve the lifespan and compression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18, as described above, but in areas where the outdoor temperature is not relatively high, the condenser This is because it is desirable to install it on the outdoor unit part considering the refrigerant piping design with (21).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10 : 격벽
11 : 실내기 파트
12 : 실외기 파트
13 : 유입구
14 : 공급구
15 : 흡입구
16 : 배출구
17 : 냉방기 본체
18 : 압축기
19 : 증발기
20 : 급기팬
21 : 응축기
22 : 배기팬
23 : 바이패스 댐퍼
24 : 리턴 댐퍼
25 : 서플리 노즐
26 : 롤 필터
27a,27b,27c,27d : 보조 격벽
28 : 배수구
10: Bulkhead
11: Indoor unit part
12: Outdoor unit part
13: inlet
14: Supply port
15: intake port
16: outlet
17: Air conditioner body
18: Compressor
19: Evaporator
20: air supply fan
21: condenser
22: exhaust fan
23: bypass damper
24: return damper
25: Supply nozzle
26: roll filter
27a,27b,27c,27d: Auxiliary bulkhead
28: drain

Claims (9)

컨테이너로 이루어져 있으며, 컨테이너 내부는 격벽(10)에 의해 실내기 파트(11)와 실외기 파트(12)로 구획되고, 실내쪽을 향하는 전면에는 리턴 에어가 들어오고 공급 에어가 나가는 유입구(13)와 공급구(14)가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실외쪽을 향하는 후면에는 외부 공기가 들어오고 배기 공기가 나가는 흡입구(15)와 배출구(16)가 각각 형성되는 냉방기 본체(17);
상기 냉방기 본체(17)의 실내기 파트(11)에 설치되는 압축기(18), 증발기(19) 및 급기팬(20);
상기 냉방기 본체(17)의 실외기 파트(12)에 설치되는 응축기(21) 및 배기팬(22);
을 포함하며, 상기 실내기 파트와 실외기 파트가 컨테이너로 이루어진 냉방기 본체 내에 일체로 구비되어 편리하게 운반 및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
It is made up of a container, an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divided into an indoor unit part 11 and an outdoor unit part 12 by a partition 10, and the front facing indoors has an inlet 13 through which return air enters and supply air goes out. An air conditioner body (17) in which openings (14) are formed, and at the rear side facing outdoors, an inlet (15) and an outlet (16) for external air to enter and exhaust air to exit are formed, respectively;
A compressor 18, an evaporator 19, and an air supply fan 20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part 11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7;
A condenser 21 and an exhaust fan 22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part 12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7;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oor unit part and the outdoor unit part are integrally provided in an air conditioner body made of a container, allowing 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방기 본체(17)의 격벽(10)에 설치되어 실내기 파트(11)측의 차가운 공기를 실외기 파트(12)측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개도 조절이 가능한 바이패스 댐퍼(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
In claim 1,
It is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10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7 and further includes an adjustable opening degree bypass damper 23 that selectively provides cool air on the indoor unit part 11 side to the outdoor unit part 12 side. Features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파트(11)의 유입구(13)에 설치되어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는 개도 조절이 가능한 리턴 댐퍼(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
In claim 1,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return damper (24) installed at the inlet (13) of the indoor unit part (11)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inflow.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파트(11)의 공급구(14)에 설치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먼거리의 거주구역까지 보내주는 서플리 노즐(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
In claim 1,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supply nozzle (25) installed at the supply port (14) of the indoor unit part (11) to send air supplied indoors to a distant residential are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파트(12)의 흡입구(15)에 설치되어 외부 먼지를 제거하는 롤 필터(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
In claim 1,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roll filter (26) installed at the intake port (15) of the outdoor unit part (12) to remove external dus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파트(11)에 보조 격벽(27a)을 설치하여 실내기 파트(11)의 내부 공간에서 급기팬(20)이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
In claim 1,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n auxiliary partition wall (27a) is installed on the indoor unit part (11) to partition the space where the air supply fan (20) is installed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indoor unit part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파트(12)에 보조 격벽(27b)을 설치하여 실외기 파트(12)의 내부 공간에서 배기팬(22)이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
In claim 1,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n auxiliary partition wall (27b) is installed on the outdoor unit part (12) to partition the space where the exhaust fan (22) is installed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outdoor unit part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방기 본체(17)의 하단부에는 실내기 파트(11)와 실외기 파트(12)의 각 내부 바닥까지 이어지는 배수구(2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
In claim 1,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 drain hole (28) extending to the bottom of each of the indoor unit part (11) and the outdoor unit part (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ir conditioner body (17).
컨테이너로 이루어져 있으며, 컨테이너 내부는 격벽(10)에 의해 실내기 파트(11)와 실외기 파트(12)로 구획되고, 실내쪽을 향하는 전면에는 리턴 에어가 들어오고 공급 에어가 나가는 유입구(13)와 공급구(14)가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실외쪽을 향하는 후면에는 외부 공기가 들어오고 배기 공기가 나가는 흡입구(15)와 배출구(16)가 각각 형성되는 냉방기 본체(17);
상기 냉방기 본체(17)의 실내기 파트(11)에 설치되는 증발기(19) 및 급기팬(20);
상기 냉방기 본체(17)의 실외기 파트(12)에 설치되는 압축기(18), 응축기(21) 및 배기팬(22);
을 포함하며, 상기 실내기 파트와 실외기 파트가 컨테이너로 이루어진 냉방기 본체 내에 일체로 구비되어 편리하게 운반 및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일체형 냉방기.
It is made up of a container, an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divided into an indoor unit part 11 and an outdoor unit part 12 by a partition 10, and the front facing indoors has an inlet 13 through which return air enters and supply air goes out. An air conditioner body (17) in which openings (14) are formed, and at the rear side facing outdoors, an inlet (15) and an outlet (16) for external air to enter and exhaust air to exit are formed, respectively;
An evaporator 19 and an air supply fan 20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part 11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7;
A compressor 18, a condenser 21, and an exhaust fan 22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part 12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7;
A container-integrated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oor unit part and the outdoor unit part are integrally provided in an air conditioner body made of a container, allowing 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KR1020220071316A 2022-06-13 2022-06-13 Air Cooling Container System KR1026404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316A KR102640480B1 (en) 2022-06-13 2022-06-13 Air Cooling Contain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316A KR102640480B1 (en) 2022-06-13 2022-06-13 Air Cooling Contain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133A true KR20230171133A (en) 2023-12-20
KR102640480B1 KR102640480B1 (en) 2024-02-23

Family

ID=8937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316A KR102640480B1 (en) 2022-06-13 2022-06-13 Air Cooling Contain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480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490A (en) * 2000-05-02 2001-11-26 박춘경 Air handling unit
KR20070034027A (en) * 2007-02-27 2007-03-27 유종이 Air conditioner with improved discharge method
KR100769541B1 (en) 2007-07-04 2007-10-23 백상기 Cold and heat air conditioner
KR100805904B1 (en) 2007-07-04 2008-02-20 백상기 Cold and heat air conditioner
KR20090008542A (en) * 2007-07-18 2009-01-22 문종식 Air conditioner having a noise reduction structure
KR100915340B1 (en) 2007-12-05 2009-09-03 백상기 Cold and heat air conditioner
KR101437635B1 (en) 2013-02-19 2014-09-05 터보만 주식회사 Containor packaged turbo chiller
KR101603904B1 (en) * 2015-07-22 2016-03-16 주식회사 범양공조 A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one body heat pump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490A (en) * 2000-05-02 2001-11-26 박춘경 Air handling unit
KR20070034027A (en) * 2007-02-27 2007-03-27 유종이 Air conditioner with improved discharge method
KR100769541B1 (en) 2007-07-04 2007-10-23 백상기 Cold and heat air conditioner
KR100805904B1 (en) 2007-07-04 2008-02-20 백상기 Cold and heat air conditioner
KR20090008542A (en) * 2007-07-18 2009-01-22 문종식 Air conditioner having a noise reduction structure
KR100915340B1 (en) 2007-12-05 2009-09-03 백상기 Cold and heat air conditioner
KR101437635B1 (en) 2013-02-19 2014-09-05 터보만 주식회사 Containor packaged turbo chiller
KR101603904B1 (en) * 2015-07-22 2016-03-16 주식회사 범양공조 A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one body heat pump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480B1 (en) 202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748B2 (en) Industrial fluid circuit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industrial fluid circuits using variable speed drives on the fluid pumps of the industrial fluid circuits
JP5236009B2 (en) Air conditioner
KR100671912B1 (en) Ventilator and air conditioner
US6644049B2 (en) Space conditioning system having multi-stage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capability
US20060174560A1 (en) Multi-zone HVAC system
CN101614422A (en) Built-in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5050839B (en) Air conditioner for motor vehicle
CN105835895B (en) Railway vehicle air conditioner system and air-treatment method
WO2014055914A1 (en) Load estimator for control of vapor compression cooling system with pumped refrigerant economization
JP2012096634A (e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heat pump
KR102023829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129910B1 (en) Dehumidification air conditioner for swimming pool
GB2376291A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air conditioner
KR102640480B1 (en) Air Cooling Container System
US7624590B2 (en) Multi-type air conditioner
KR102167073B1 (en) Geothermal heat system comprising heat recovery typ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apparatus
KR100567416B1 (en) Separated type ventilation withdrawal rate adjustment waste heat withdrawal combined cold and heat air conditioner
JP2020199805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TWI677652B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8204823A (en) Ventilation system
KR20220098604A (e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ir conditioner using heat pump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8196642B2 (en) Packaged small-duct, high-velocity air conditioner and heat pump apparatus
US20200200461A1 (en) Hvac system for buildings
US20150251743A1 (en) Marine vessel dehumidification system
KR102061760B1 (en) Hybrid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