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925A -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 - Google Patents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925A
KR20230168925A KR1020220069826A KR20220069826A KR20230168925A KR 20230168925 A KR20230168925 A KR 20230168925A KR 1020220069826 A KR1020220069826 A KR 1020220069826A KR 20220069826 A KR20220069826 A KR 20220069826A KR 20230168925 A KR20230168925 A KR 20230168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stopper
operator
variabl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6913B1 (ko
Inventor
강현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모
Priority to KR102022006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913B1/ko
Priority to KR1020230180924A priority patent/KR102668227B1/ko
Publication of KR20230168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3C2009/0041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 B63C2009/0052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by wat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부력 발생 장치는 일부 개방 가능한 하우징, 하우징 내에 내장된 팽창 튜브 및 팽창 튜브에 팽창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플레이터는 외부와 연통된 수용 공간, 수용 공간 내부에 수용된 가변 포켓, 가변 포켓에 연결된 스토퍼, 스토퍼에 의해서 작동이 제한된 작동자 및 작동자의 작동에 따라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부를 포함하며, 가변 포켓이 대기압 이상의 환경에서 수용 공간 내에서 수축되면, 스토퍼가 작동자로부터 해제되고, 해제된 작동자가 작동하여 가스 발생부는 팽창 가스의 발생을 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 {BUOYANCY GENERATING DEVICE AND INFLATOR THEREFOR}
본 발명은 수상 또는 수중에서 인명 구조 및 부력 발생에 가능한 부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심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부력 발생 장치 및 이를 위한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51443호는 인명 구조용 투척식 튜브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투척식 튜브는 수분을 감지하여 튜브 팽창장치가 물과의 접촉을 감지하면, 가스를 팽창시켜 튜브를 충전하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48189호는 사용자의 자가 의지 또는 수압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는 수중 자가구명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자가구명기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수압센서를 이용하여 위급상황에 즉각 자가 구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1641호도 구명 손목 밴드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구명 손목 밴드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수압 이상에서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20728호는 자동팽창형 구명조끼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구명조끼의 작동제어장치는 수압이 아닌 수분 감지를 통해서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상기 구명 장비들은 수압 또는 수분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가스를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수압센서 및 수분센서는 모두 배터리 등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충분한 전압을 형성하지 못한다면 작동이 안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중 또는 수상에서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이 배터리나 전원에 의지 않는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척 또는 발사를 통해 원거리 전송이 가능한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 작동 외에도 수동 작동이 가능한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참고로, 센서 등을 이용한 자동 구명 장비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방식과 분리되어 있어 위급한 상황에서 1차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력 발생 장치는 일부 개방 가능한 하우징, 하우징 내에 내장된 팽창 튜브 및 팽창 튜브에 팽창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플레이터는 외부와 연통된 수용 공간, 수용 공간 내부에 수용된 가변 포켓, 가변 포켓에 연결된 스토퍼, 스토퍼에 의해서 작동이 제한된 작동자 및 작동자의 작동에 따라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부를 포함하며, 가변 포켓이 대기압 이상의 환경에서 수용 공간 내에서 수축되면, 스토퍼가 작동자로부터 해제되고, 해제된 작동자가 작동하여 가스 발생부는 팽창 가스의 발생을 시작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의 수용 공간은 외부의 기압과 동일 또는 비례하는 기압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포켓은 대기압 이하에서는 팽창하여 스토퍼의 해제와 무관하게 움직일 수 있으나, 대기압 이하에서는 수축하여 스토퍼와 함께 이동하거나 스토퍼를 자유 상태로 해제할 수 있다.
스토퍼가 이동하거나 자유 상태로 되면, 작동자(operation trigger)가 해제되어 가스 발생부의 팽창 가스 발생을 시작하게 할 수 있다. 가스 발생부는 화학 반응에 의한 가스 발생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압축 가스 또는 액화 가스를 충전할 수도 있다. 물론, 이들의 하이브리드식도 가능하다.
가스 발생물질로는 고온, 고압 가스를 발생할 수 있는 종래의 인플레이터의 화학물질을 참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생성하기 위해서 부스터 화약 또는 작동 점화약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화약 또는 점화약의 발열 반응을 통해서 가스 발생제(gas generant)를 연소시킬 수 있다.
인플레이터에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외부의 기압 또는 수압에 대응하여 수용 공간의 압력도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비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가변 포켓도 부피 변화를 할 수 있는데, 가변 포켓은 벨로우즈(bellows) 또는 주름관 형태로 제공되어 부피 변화가 1차원적인 길이 변화에 충분히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가변 포켓이 일정 길이 이상 수축되면 스토퍼를 잡아당기거나 같이 움직여 스토퍼를 작동자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가변 포켓이 팽창하는 경우, 즉 가변 포켓이 높은 상공에 있거나 대기압 이하의 환경에 노출된 경우에는 스토퍼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거나 스토퍼의 해제와 무관하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토퍼는 가변 포켓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된 차단판 및 차단판에 형성된 긴 슬릿 형상의 핀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단판은 작동자를 향해 연장되어 작동자를 일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판과 차단판이 작동자 쪽으로 움직여도 작동자는 해제되지 않고 차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가변 포켓이 급격히 수축되면 고정판과 차단판이 수용 공간 내부로 완전히 이동하고, 그와 동시에 작동자를 가리고 있던 차단판이 없어지면서 작동자의 스트라이커가 작동자를 타격하여 기폭이 시작될 수 있다.
핀 홀에는 인플레이터의 하우징을 통과한 안전 핀이 삽입될 수 있으며, 안전 핀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기압 또는 수압의 변화가 있어도 스토퍼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면, 가변 포켓을 이용한 자동 작동과 사용자의 수동 작동을 모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의 하우징은 절개 안내선을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찢어짐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수압이 일정 이상 도달하지 않거나 인플레이터가 작동하지 급히 작동하지 않아도, 사용자는 하우징을 찢어 가변 포켓이 수동적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변 포켓의 일면을 찢어지는 하우징의 일부에 고정시켜 찢어짐과 동시에 가변 포켓과 스토퍼가 같이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통과하는 수동 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동 핀은 가변 포켓 또는 스토퍼를 강제로 움직이도록 하여 스토퍼가 작동자로부터 해제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동 핀을 잡아당겨 스토퍼를 강제로 잡아당길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가변 포켓이 부분적으로 찢어져 스토퍼가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작동자와 가스 발생부 사이에는 시간 지연을 위한 기폭부가 개재될 수 있으며, 가스 발생부는 복수의 가스 발생 챔버를 포함하여 다단계로 팽창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우징에 팽창 튜브를 내장하고 있어서, 응급상황에서 구조자는 부력 발생 장치를 요구조자 또는 그 주변으로 던져 구조 활동을 할 수 있으며, 부력 발생 장치는 수면에서 일정 수심(ex. 1m 정도)에 가라앉으면서, 자동으로 팽창되도록 하여 요구조자가 빨리 부력 발생 장치를 확보하여 구조되도록 할 수 있다.
부력 발생 장치는 던지거나 별도의 발사 장비를 통해서 원거리 투척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 가스 발생을 통해 부력 발생 장치를 충진하는 인플레이터는, 외부와 연통된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수용 공간 내부에 수용된 가변 포켓, 가변 포켓에 연결된 스토퍼, 스토퍼에 의해서 작동이 제한된 작동자, 및 작동자의 작동에 따라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부를 포함하며, 가변 포켓이 대기압 이상의 환경에서 수용 공간 내에서 수축되면, 스토퍼가 작동자로부터 해제되고, 해제된 작동자가 작동하여 가스 발생부는 팽창 가스의 발생을 시작할 수 있다.
가변 포켓은 일방향으로 가변되며 부피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일 예로, 가변 포켓은 벨로우즈나 주름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의 하우징은 절개 안내선을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찢어짐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하우징이 찢어짐에 따라 가변 포켓이 수동적으로 움직여 스토퍼가 작동자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스토퍼는 가변 포켓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된 차단판 및 차단판에 형성된 긴 슬릿 형상의 핀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단판은 작동자의 작동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며, 인플레이터의 하우징을 통과한 안전 핀은 핀 홀을 통과하여 스토퍼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력 발생 장치는 수중 또는 수상에서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이 배터리나 전원에 의지 않아 보관 기간이 길 수 있다. 또한, 투척이 가능하고, 활이나 기타 발사장비를 이용한 원거리 전송이 가능하여 인명 구조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플레이터는 팽창 튜브 또는 기타 팽창 가능한 구명 장비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명조끼, 구명튜브는 물론 크기에 따라서 구명 보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부력을 형성하기 위한 장비의 인플레이터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력 발생 장치는 구명 장치 외에도 해저 케이블, 해저 유물, 침몰선 등을 인양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자동차나 컨테이너 등이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는 자동 작동 외에도 수동 작동이 가능하다. 기존의 수분센서, 수압센서 등을 이용한 자동 구명 장비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방식이 없거나 수동과 자동 작동이 분리되어 그 작동이 복잡하고 불안하였으나 본 발명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는 수동과 작동 작동이 서로 연계되어 수동 작동의 구현이 어렵지 않으며, 오작동의 염려도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가 대기압 이하에 노출되었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의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가 대기압 이하에 노출되었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의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100)는 구조가 필요한 상황에 부력 발생 장치(100)를 요구조자의 근처로 던지고, 장비가 수중으로 가라앉다가 약 1미터 정도의 수심에서 자동으로 가스 발생이 시작되어 팽창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부력 발생 장치(100)는 하부가 개방 가능한 하우징(110), 하우징(110) 내에 내장된 팽창 튜브(120) 및 팽창 튜브(120)에 팽창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인플레이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하부 커버(112)가 고정되어 있으며, 소정의 힘에 의해서 쉽게 찢어지도록 절개선(11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우징(110) 내부에는 팽창 튜브(120)가 내장되어 있으며, 팽창 튜브(120)는 인플레이터(130)의 작동에 대응하여 팽창되고, 폭발하듯 팽창하면서 하부 커버(112)를 개방하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팽창 튜브(120)의 팽창된 형상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긴 바 형태 또는 도우넛 형태 또는 플레이트 형상 등이 가능하다. 또한, 팽창 튜브(120)에는 압력 밸브가 추가될 수 있으며, 튜브의 허용 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하면 내부 가스를 부분적으로 배출하도록 하여 특정 압력 한계 이하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130)는 하우징(110)에 나사 결합 등으로 결합이 가능하며, 밀봉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130)는 외부와 연통된 수용 공간(134)을 제공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32), 수용 공간(134) 내부에 수용된 가변 포켓(136), 가변 포켓(136)의 하부에 연결된 스토퍼(140), 스토퍼(140)에 의해서 작동이 제한된 작동자(160) 및 작동자(160)의 작동에 따라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부(172, 174)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포켓(136)이 수용된 수용 공간(134)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이 대기압 보다 낮은 환경에 노출될 수 있으면 수용 공간(134)의 내부도 대기압 보다 낮거나 그에 준하는 환경이 될 수 있으며,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이 대기압 보다 높은 환경에 노출될 수 있으면, 예를 들어 수중으로 가라앉으면 수용 공간(134)의 내부도 대기압 보다 높거나 그에 준하는 환경이 될 수 있다.
가변 포켓(136)은 벨로우즈(bellows)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대기압 이상의 환경에서 수축될 수 있다. 또한, 벨로우즈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수축에 의한 변화는 1차원적으로 가변 포켓(136)의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반영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포켓(136)이 짧아져서 스토퍼(140)는 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스토퍼(140)는 작동자(160)의 스트라이커(162)로부터 분리되고, 스트라이커(162)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서 작동자(160)를 타격할 수 있다.
타격된 작동자(160)에 의해서 화약 등의 발열 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폭제(164) 등을 통해서 기체 발생제가 내장된 제1 기체 발생 챔버(172) 및 제2 기체 발생 챔버(174)로 순차적으로 기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와 같이, 인플레이터(130)가 노출된 환경이 대기압보다 낮으면, 가변 포켓(136)을 팽창되기만 할 뿐, 스토퍼(140)로부터 작동자(160) 또는 스트라이커(162)가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안전 핀(150)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을 관통하여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퍼(140)가 작동자(16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스토퍼(140)는 고정판(142) 및 차단판(1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단판(144)에는 상하로 긴 슬롯 형상의 핀 홀(146)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판(144)은 고정판(142)의 중앙 하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전체적을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핀 홀(146)이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도 1 및 도 2와 같이, 가변 포켓(136)이 정상 상태 또는 팽창 상태로 전환되어도 안전 핀(150)에 의해서 고정판(142) 등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고 어느 정도 자연스럽게 반영될 수 있다.
하지만, 안전 핀(150)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5와 같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30)이 대기압보다 높은 환경에 노출되어도, 즉 수중으로 가라앉아도 인플레이터(130)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안전 핀(150)을 제거하거나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인플레이터(130)가 작동할 수 있다.
도 4를 보면, 구조가 필요한 상황에서 구조자는 도 1의 부력 발생 장치(100)로부터 안전 핀(150)을 제거하고, 부력 발생 장치(100)를 요구조자의 근처로 던질 수 있다. 요구조자는 도 6에서와 같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을 고의로 훼손하여 인플레이터(130)를 작동시킬 수 있지만, 도 4의 (b)와 같이, 구조 장비가 물속으로 가라앉으면서 가변 포켓(136)이 수축되고, 일정 수심(d)에 도달하면 인플레이터가 작동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투척식 구조 장비(100)의 비중을 물보다 크게 할 수 있고, 하우징(110)의 무제 중심이 아래를 향하도록 설계를 할 수도 있다.
도 5를 보면, 스토퍼(140)의 차단판(144)마저 상부로 이동하면, 작동자(160)의 스트라이커(162)가 해제되고, 해제된 스트라이커(162)가 작동자(160)를 타격하여 화약에 의한 발열 반응 및 그에 따른 가스 발생을 연쇄적으로 시작할 수 있다.
가스 발생부에 내장되는 가스 발생물질로는 고온, 고압 가스를 발생할 수 있는 종래의 인플레이터의 화학물질을 참조할 수 있으며, 화약 또는 점화약의 발열 반응을 통해서 가스 발생제(gas generant)를 연소시키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작동자(160)와 가스 발생부 사이에는 시간 지연을 위한 기폭부(164)가 개재될 수 있으며, 가스 발생부는 제1, 2 가스 발생 챔버(172, 174)를 포함하여 2단계 이상으로 팽창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단 폭발에 의한 가스 발생은 1차 발생에 의해 급격히 상승한 온도가 수중에서 낮아지면 오히려 팽창 튜브(120)가 수축될 수 있기 때문에, 단계적인 추가 폭발을 통해서 팽창 튜브(120)의 가스의 온도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고, 지속적으로 가스가 충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가 일체형으로 제공되지만, 스토퍼는 와이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가변 포켓이 팽창하였을 때는 와이어 또는 실이 늘어져 작동자의 작동과 무관하며, 가변 포켓이 수축하였을 때는 와이어 또는 실이 작동자를 가로막고 있던 차단 요소를 한쪽으로 당기거나 끊어지도록 하여 작동자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용 공간(134)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은 절개 안내선(138)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플레이터(130)의 일측에 파지부(139)를 형성하여 요구조자가 쉽게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을 뜯어내도록 할 수 있다. 파지부(139)는 고리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요구조자가 파지부(139)를 잡고 수용 공간(134)의 벽을 찢으면, 수압이 일정 이상 도달하지 않거나 인플레이터(130)가 작동하지 급히 작동하지 않아도, 요구조자는 가변 포켓(136)을 수동적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인플레이터(130)를 즉각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변 포켓(136)의 상면을 찢어지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의 상부에 고정시키고, 가변 포켓(136)의 저면을 스토퍼(140)의 고정판(142)에 고정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의 찢어짐과 동시에 가변 포켓(136)과 스토퍼(140)가 같이 분리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용 공간(134)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132)의 외부에 수동 핀(139')이 제공될 수 있다. 수동 핀(139')은 와이어(138')를 통해서 스토퍼(140)의 고정판(142)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인플레이터(130)의 일측에 형성된 수동 핀(139')을 잡아당기면, 수동 핀(139') 및 와이어(138')는 가변 포켓(136) 및 스토퍼(140)를 강제로 들어올려 인플레이터(130)를 즉각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수동 핀 또는 와이어에 가변 포켓을 부분적으로 찢을 수 있는 구조를 부가할 수 있으며, 가변 포켓이 쉽게 찌그러지도록 할 수도 있다.
수동 핀 또는 파지부에 의해서 수동이 작동된 경우 바로 가스 발생이 시작될 수 있지만, 기폭부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가스 발생이 시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구명 튜브(220)에 장착되는 인플레이터(230)는 수용 공간(234)을 제공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232), 수용 공간(234) 내부에 수용되는 벨로우즈 형태의 가변 포켓(236), 가변 포켓(236)에 연결된 스토퍼(240), 스토퍼(240)와 연동하여 스트라이커(262)의 작동을 제한하는 작동자(260), 작동자(260)의 작동에 따라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 인플레이터는 부력 발생 장치에 장착되었지만,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의 인플레이터(230)는 구명 튜브, 구명조끼, 구명 보트 등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구명의 목적이 아니더라도 부력을 형성하기 위한 장비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 형상의 구명 튜브(220)를 예시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는 투척 가능한 방식이어서 활이나 발사 장치를 통해서 원거리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력 발생 장치는 구명 장치 외에도 해저 케이블, 해저 유물, 침몰선 등을 인양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자동차나 컨테이너 등이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력 발생 장치를 원하는 대상이나 물체에 고정시키고, 안전 핀을 제거하면 바로 작동이 가능하며, 추가로 수동 핀이나 파지부를 잡아당겨 즉각 인플레이터가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부력 발생 장치 110 : 하우징
120 : 팽창 튜브 130 : 인플레이터
134 : 수용 공간 136 : 가변 포켓
140 : 스토퍼 150 : 안전 핀
160 : 작동자

Claims (17)

  1. 일부 개방 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내장된 팽창 튜브; 및
    상기 팽창 튜브에 팽창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플레이터는 외부와 연통된 수용 공간,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 수용된 가변 포켓, 상기 가변 포켓에 연결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 의해서 작동이 제한된 작동자 및 상기 작동자의 작동에 따라 상기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포켓이 대기압 이상의 환경에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수축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작동자로부터 해제되고, 해제된 상기 작동자가 작동하여 상기 가스 발생부는 상기 팽창 가스의 발생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포켓은 일방향으로 가변되며 부피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포켓은 벨로우즈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대기압 이하에서의 상기 가변 포켓의 변화는 상기 스토퍼의 해제와 무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은 절개 안내선을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찢어짐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며,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이 찢어짐에 따라 상기 가변 포켓이 수동적으로 움직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작동자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통과하는 수동 핀이 제공되며, 상기 수동 핀은 상기 가변 포켓 또는 상기 스토퍼를 강제로 움직이도록 하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작동자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변 포켓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된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에 형성된 긴 슬릿 형상의 핀 홀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판은 상기 작동자의 작동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통과한 안전 핀은 상기 핀 홀을 통과하여 상기 스토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자와 상기 가스 발생부 사이에 기폭부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부는 복수의 가스 발생 챔버를 포함하여, 다단계로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발생 장치.
  10. 팽창 가스 발생을 통해 부력 발생 장치를 충진하는 인플레이터에 있어서,
    외부와 연통된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 수용된 가변 포켓;
    상기 가변 포켓에 연결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 의해서 작동이 제한된 작동자; 및
    상기 작동자의 작동에 따라 상기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포켓이 대기압 이상의 환경에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수축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작동자로부터 해제되고, 해제된 상기 작동자가 작동하여 상기 가스 발생부는 상기 팽창 가스의 발생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포켓은 일방향으로 가변되며 부피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포켓은 벨로우즈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은 절개 안내선을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찢어짐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며,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이 찢어짐에 따라 상기 가변 포켓이 수동적으로 움직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작동자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통과하는 수동 핀이 제공되며, 상기 수동 핀은 상기 가변 포켓 또는 상기 스토퍼를 강제로 움직이도록 하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작동자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변 포켓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된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에 형성된 긴 슬릿 형상의 핀 홀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판은 상기 작동자의 작동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통과한 안전 핀은 상기 핀 홀을 통과하여 상기 스토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자와 상기 가스 발생부 사이에 기폭부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부는 복수의 가스 발생 챔버를 포함하여, 다단계로 팽창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터.
KR1020220069826A 2022-06-08 2022-06-08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 KR102616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826A KR102616913B1 (ko) 2022-06-08 2022-06-08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
KR1020230180924A KR102668227B1 (ko) 2022-06-08 2023-12-13 부력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826A KR102616913B1 (ko) 2022-06-08 2022-06-08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0924A Division KR102668227B1 (ko) 2022-06-08 2023-12-13 부력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925A true KR20230168925A (ko) 2023-12-15
KR102616913B1 KR102616913B1 (ko) 2023-12-21

Family

ID=891250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826A KR102616913B1 (ko) 2022-06-08 2022-06-08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
KR1020230180924A KR102668227B1 (ko) 2022-06-08 2023-12-13 부력 발생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0924A KR102668227B1 (ko) 2022-06-08 2023-12-13 부력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69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2980A (zh) * 1997-03-12 1998-09-16 崔庆安 落水人员自动救助保安器
KR20140111460A (ko) * 2013-03-11 2014-09-19 연승모 수상 인명 구조장치
KR20150057525A (ko) * 2013-11-19 2015-05-28 정예찬 투척식 익수자 구명 장치
CN204846327U (zh) * 2015-08-28 2015-12-09 卢然 一种溺水救生装置
CN204979192U (zh) * 2015-07-01 2016-01-20 刘美婷 一种救生项链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2980A (zh) * 1997-03-12 1998-09-16 崔庆安 落水人员自动救助保安器
KR20140111460A (ko) * 2013-03-11 2014-09-19 연승모 수상 인명 구조장치
KR20150057525A (ko) * 2013-11-19 2015-05-28 정예찬 투척식 익수자 구명 장치
CN204979192U (zh) * 2015-07-01 2016-01-20 刘美婷 一种救生项链
CN204846327U (zh) * 2015-08-28 2015-12-09 卢然 一种溺水救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8227B1 (ko) 2024-05-22
KR102616913B1 (ko) 2023-12-21
KR20230172449A (ko) 202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3116A1 (ja)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小型飛行体
US8171873B2 (en) Assembly for deploying a payload from a submarine
US20120312215A1 (en) Buoyancy system
CN111295334A (zh) 飞行体用安全装置及飞行体
AU2009326856A1 (en) A controllable buoyancy system
CN101817403A (zh) 带有应急气囊的可漂浮黑匣子
WO2002054895A3 (en) Inflatable safety vest with a cartridge actuation mechanism
KR102616913B1 (ko) 부력 발생 장치 및 인플레이터
KR101630737B1 (ko)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KR20090055280A (ko) 개인용 구명 장치
JPH11342893A (ja) エアーバック方式による船舶の転覆防止装置
US3510895A (en) Life saver for swimmers
US4309786A (en) Buoy flotation system
KR102162640B1 (ko) 작동 스위치로 동작하는 인플레이터를 내장한 수상 인명 구조용 튜브
WO1998054539A1 (en) Launching apparatus and projectile
CN105799626A (zh) 救援用浮囊装置、汽车紧急救援漂浮装置及救援方法
KR102117078B1 (ko) 팽창 튜브가 구비된 구명부환
CN113479310B (zh) 一种潜水器水下应急自救装置
KR101649802B1 (ko)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KR20180115649A (ko) 휴대가 용이한 수해 구조용 구명기구 발사장치
US3874325A (en) Search and recovery device
JP2002137790A (ja) 水難者の救助具および救助方法
EP3865391B1 (en) Buoyancy generator for vehicle occupant
KR101285594B1 (ko)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RU17743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расывания спасательного надувного плота с борта суд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