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344A -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344A
KR20230168344A KR1020220068701A KR20220068701A KR20230168344A KR 20230168344 A KR20230168344 A KR 20230168344A KR 1020220068701 A KR1020220068701 A KR 1020220068701A KR 20220068701 A KR20220068701 A KR 20220068701A KR 20230168344 A KR20230168344 A KR 20230168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ower
signal
wirelessly
information re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344A/ko
Priority to US18/204,000 priority patent/US20230397124A1/en
Priority to EP23176386.3A priority patent/EP4290943A3/en
Publication of KR20230168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5Monitoring of client processing errors or hardware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3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taking into account loading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제1 안테나와,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제2 안테나와,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로 처리된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제1 안테나가, 제1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제2 안테나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통신 수행 중에 무선 수신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Transceiv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통신 수행 중에 무선 수신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장치는,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특히, 무선 통신 장치는,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 장치는, 영상표시장치 등에 채용되어, 컨텐츠 데이터 수신 등에 사용된다.
한편, 통신 장치가, 복수의 무선 통신 규격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주파수 대역이 유사한 경우, 무선 통신이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복수의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통신 수행 중에 무선 수신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제1 통신 규격에 의한 데이터 전송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제1 안테나와,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제2 안테나와,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로 처리된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제1 안테나가, 제1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제2 안테나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가, 제1 데이터인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제2 안테나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가,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다가, 제2 안테나에 소정 시간 이상 동안 무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2 파워 보다 높은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양이 증가하거나,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전송 기간이 증가할수록, 제2 파워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양이 증가하거나,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전송 기간이 증가할수록,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되,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전송 간격이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안테나에서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기간은, 제2 안테나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기간 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제2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파워는, 제1 파워 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제2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파워는, 제2 파워 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제2 안테나의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주파수 채널이 홉핑(hopping)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가 무선 전송인 상태에서, 제2 안테나가 무선 수신되며, 제1 안테나의 무선 전송 통신량이 설정 레벨 이상인 경우, 제1 안테나의 무선 전송 파워가, 설정 파워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가 무선 전송인 상태에서, 제2 안테나가 무선 수신되며, 제1 안테나의 무선 전송 통신량이 설정 레벨 미만인 경우, 제1 안테나의 무선 전송 파워가, 설정 파워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제1 통신 규격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제2 통신 규격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를 구비하고,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제1 안테나와,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제2 안테나와,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로 처리된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제1 안테나가, 제1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제2 안테나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통신 장치는, 제1 안테나를 통해,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제1 데이터인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며, 제2 안테나를 통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는, 제1 안테나를 통해,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제1 데이터인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며, 제2 안테나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통신 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 장치를 통해,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는,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1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송 중에,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1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송 중에, 제2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제1 파워의 무선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경우, 무선 신호 불안정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1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송 중에, 제2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가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제1 안테나와,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제2 안테나와,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로 처리된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제1 안테나가, 제1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제2 안테나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통신 수행 중에 무선 수신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통신 규격에 의한 데이터 전송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가, 제1 데이터인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제2 안테나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가,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다가, 제2 안테나에 소정 시간 이상 동안 무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2 파워 보다 높은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양이 증가하거나,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전송 기간이 증가할수록, 제2 파워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양이 증가하거나,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전송 기간이 증가할수록,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되,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전송 간격이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안테나에서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기간은, 제2 안테나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기간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파워는, 제1 파워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파워는, 제2 파워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안테나의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주파수 채널이 홉핑(hopping)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가 무선 전송인 상태에서, 제2 안테나가 무선 수신되며, 제1 안테나의 무선 전송 통신량이 설정 레벨 이상인 경우, 제1 안테나의 무선 전송 파워가, 설정 파워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는, 제1 안테나가 무선 전송인 상태에서, 제2 안테나가 무선 수신되며, 제1 안테나의 무선 전송 통신량이 설정 레벨 미만인 경우, 제1 안테나의 무선 전송 파워가, 설정 파워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통신 규격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면서,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제1 통신 규격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제2 통신 규격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를 구비하고,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제1 안테나와,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제2 안테나와,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로 처리된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제1 안테나가, 제1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제2 안테나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통신 수행 중에 무선 수신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통신 규격에 의한 데이터 전송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 장치는, 제1 안테나를 통해,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제1 데이터인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며, 제2 안테나를 통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 장치는, 제1 안테나를 통해,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제1 데이터인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며, 제2 안테나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무선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통신 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 장치를 통해,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 장치는,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1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송 중에,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1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송 중에, 제2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제1 파워의 무선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경우, 무선 신호 불안정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1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송 중에, 제2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가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상태를 즉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7a 내지 도 8c는 도 6a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도 11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도 2의 180)와,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 처리 장치(도 2의 170)와,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이동 단말기(600)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도 2의 155)를 구비한다.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통신 장치(도 2의 155)는,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통신 장치(도 2의 155)는, 제1 통신 규격의 제1 데이터를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고,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는,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통신 장치(도 2의 155)는, 제2 통신 규격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이동 단말기(600)와 페어링되고, 제2 통신 규격에 기초한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1 통신 규격의 주파수 대역과, 제2 통신 규격의 주파수 대역이 유사하거나, 중첩되는 경우, 제2 통신 규격에 기초한 무선 신호 수신이 불안정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통신 수행 중에 무선 수신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통신 장치(도 2의 155)는, 제1 통신 규격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제1 통신 규격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a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한편,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TV, 모니터, 차량용 디스플레이, 태블릿, 노트북, 상업용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장치가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신호 처리 장치(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방송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도 2의 1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셋탑 박스(250)로부터의 방송 신호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도 2의 135)를 통해 수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50)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신호 처리 장치(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개시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 장치(17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메모리(140)가 신호 처리 장치(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140)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 장치(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 장치(170)에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복수 규격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15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달리, 통신 장치(155)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 내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등과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2D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신호 처리 장치(17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디스플레이(180)는,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추가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안경(glass) 등이 없이, 디스플레이(18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디스플레이(180) 외에 시청장치(미도시)로서 추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시청장치(미도시)는, 입체 영상 시청이 가능한 3D용 글래스일 수도 있다. 3D용 글래스(미도시)는, 패시브 방식의 편광 글래스 또는 액티브 방식의 셔터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헤드 마운트 타입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호 처리 장치(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225), 및 스케일러(2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2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190)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영상 신호 또는 튜너부(110)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방송 영상 신호가,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후의 신호 처리 장치(170), 특히 영상 처리부(320) 등에서 신호 처리되어, 각각 2D 영상 신호,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의 혼합 신호, 3D 영상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다양한 포맷의 3D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으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복수 시점 영상 신호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 등일 수 있다. 복수 시점 영상 신호는, 예를 들어,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은,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를 좌,우로 배치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상,하로 배치하는 탑 다운(Top / Down) 포맷, 시분할로 배치하는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라인 별로 혼합하는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박스 별로 혼합하는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된 3D 영상의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3D 시청 장치(미도시)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개방을 위한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믹서(3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다양한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 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 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되어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맷터(360) 이후에,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신호 처리를 위한 3D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3D 프로세서(미도시)는, 3D 효과의 개선을 위해,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프로세서의 기능은, 포맷터(360)에 병합되거나 영상처리부(320) 내에 병합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OSD 생성부(340)와 영상 처리부(320)으로부터의 신호를 믹서(345)에서 믹싱한 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 등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믹서가 포맷터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 처리부(320)의 출력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하고, OSD 생성부(340)는 OSD 생성과 함께 3D 처리를 수행한 후, 믹서(345)에서 각각의 처리된 3D 신호를 믹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신호 처리 장치(170)의 블록도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신호 처리 장치(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의 (b)), 앞뒤(도 4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5),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통신 장치(155) 내의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통신 장치(155) 내의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신호 처리 장치(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55)는,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제1 안테나(ANTa)와,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제2 안테나(ANTb)와, 제1 안테나(ANTa) 또는 제2 안테나(ANT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1 안테나(ANTa) 또는 제2 안테나(ANTb)로 처리된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세서(710)를 포함한다.
제1 안테나(ANTa)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와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제2 안테나(ANTb)는,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이동 단말기(600)와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통신 규격은, WiFi 통신 규격일 수 있으며, 제2 통신 규격은 블루투스 통신 규격일 수 있다.
WiFi 통신 규격의 주파수 대역은, 대략 2.4GHz 와 5GHz의 듀얼 밴드일 수 있으며, 블루투스 통신 규격의 주파수 대역은, 대략 2.4GHz 일 수 있다.
특히, 통신 장치(155)가, WiFi 통신 규격에 의해, 대략 2.4GHz의 대역으로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 정보 전송 중에,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기초한 원격 제어 신호 등을 수신하는 경우,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기초한 원격 제어 신호의 수신이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의 안정적인 수신을 위해,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시의 파워가 낮아지도록 하는 방안을 채용한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55) 내의 프로세서(710)는, 제1 안테나(ANTa)가, 제1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제2 안테나(ANTb)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통신 수행 중에 무선 수신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통신 규격에 의한 데이터 전송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 장치(155) 내의 프로세서(710)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어, 한편, 프로세서(710)는, 제1 안테나(ANTa)가, 제1 데이터인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제2 안테나(ANTb)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6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6b의 통신 장치(155b)는, 도 6a의 통신 장치(155)와 유사하나, 통신 장치(155b) 내에 제1 프로세서(710a)와 제2 프로세서(710b)가 구비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제1 프로세서(710a)는, 제1 안테나(ANT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1 안테나(ANTa)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1 안테나(ANTa)로 처리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2 프로세서(710b)는, 제2 안테나(ANT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2 안테나(ANTb)로 처리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55) 내의 제1 프로세서(710a)는, 제1 안테나(ANTa)가, 제1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제2 안테나(ANTb)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통신 수행 중에 무선 수신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통신 규격에 의한 데이터 전송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7a 내지 도 8c는 도 6a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a 내지 도 7d는 도 6a의 통신 장치(155)의 다양한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통신 장치(155) 내의 제1 안테나(ANTa)가,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으로부터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안테나(ANTb)가, 원격제어장치(200)로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7b는 통신 장치(155) 내의 제1 안테나(ANTa)가,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으로부터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안테나(ANTb)가,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7c는 통신 장치(155) 내의 제1 안테나(ANTa)가,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으로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제2 안테나(ANTb)가, 원격제어장치(200)로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7d는 통신 장치(155) 내의 제1 안테나(ANTa)가,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으로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제2 안테나(ANTb)가,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8a는, 도 7d와 같이, 통신 장치(155)가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과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무선 파워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의 파워는, GRax로 나타나며,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의 파워는 GRax 보다 훨신 큰 GRbx로 나타날 수 있다.
즉,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의 파워는, 가로축의 주파수 채널에 걸쳐, 상당히 높게 나타나게 된다.
도 8b는, 도 7d와 같이,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주파수 채널 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7d와 같이, 통신 장치(155)가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과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통신 규격의 주파수 채널 중 중앙 영역(Armax)의 주파수 채널은,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의 파워로 인하여, 채널 여유가 없는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 규격의 주파수 채널 중 중앙 영역(Armax)을 제외한 양 사이드 영역(Armbx,Armcx)은, 채널 여유가 일부 있는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 규격에 따르면, 통신 장치(155)가 제2 안테나(ANTb)의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주파수 채널이 홉핑(hopping)되어야 하는데, 도 8b와 같이, 중앙 영역(Armax)이 아닌, 양 사이드 영역(Armbx,Armcx) 내에서만 홉핑할 수 있으므로, 제2 통신 규격에 기초한 무선 신호의 수신이 불안정하게 된다.
도 8c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 표시(810) 중에, 제2 통신 규격에 기초한 무선 신호의 수신이 불안정한 경우, 무선 신호 불안정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815)가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통신 장치(155)에서 제2 통신 규격에에 따른 무선 신호의 수신이 불안정한 경우, 무선 신호 불안정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815)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1 통신 규격에 기초한 무선 신호의 전송과 제2 통신 규격에 기초한 무선 신호의 수신이 동시 수행되는 경우, 제2 통신 규격에 기초한 무선 신호의 수신이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55) 내의 프로세서(710)는, 제1 통신 규격과 제2 통신 규격이 동시에 사용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91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통신 장치(155) 내의 프로세서(710)는, 제1 통신 규격에 의한 전송이지 여부를 판단하고(S915), 해당하는 경우, 제1 통신 규격에 의한 데이터 전송량 또는 통신량이 설정 레벨 이상인 지 여부를 판단하고(S925), 해당하는 경우, 제1 통신 규격에 의한 무신 신호 전송시의 무선 파워가 작아지도록 제어한다(S925).
즉, 도 7d와 같이, 통신 장치(155)가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전송하면서, 제2 통신 규격에 기초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의 불안정을 저감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55)는, 제1 통신 규격에 의한 무신 신호 전송시의 무선 파워가 작아지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통신 수행 중에 무선 수신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통신 규격에 의한 데이터 전송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915 단계(S915) 또는 제920(S920)에서,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이 아니거나,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시의 데이터 전송량 또는 통신량이 설정 레벨 미만인 경우,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시의 파워를 설정 파워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30).
예를 들어, 프로세서(710)는,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시의 데이터 전송량 또는 통신량이 설정 레벨 미만인 경우,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시의 파워를 설정 파워인 제1 파워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710)는,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시의 데이터 전송량 또는 통신량이 설정 레벨 이상에서 설정 레벨 미만으로 가변되는 경우,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에 큰 영향이 없으므로,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시의 파워를 설정 파워인 제1 파워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710)는,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시의 데이터 전송량 또는 통신량이 설정 레벨 이상인 경우,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시의 파워를 제1 파워 보다 작은 제2 파워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시의 데이터 전송량 또는 통신량이 설정 레벨 미만인 상태에서,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시의 파워를 설정 파워인 제1 파워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710)는,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시의 데이터 전송량 또는 통신량이 설정 레벨 이상인 상태에서,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되는 경우,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 전송시의 파워를 제1 파워 보다 작은 제2 파워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a는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설정 파워로 전송하는 경우의 주파수 채널별 파워 그래프(GRay)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설정 파워로 전송하는 경우, 다양한 주패수 채널에서, 무선 파워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이 불안정하게 된다.
도 10b는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설정 파워 보다 낮은 파워로 전송하는 경우의 주파수 채널별 파워 그래프(GRa)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설정 파워 보다 낮은 파워로 전송하는 경우, 다양한 주패수 채널에서, 무선 파워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 수신이 안정적으로 수행되게 된다.
도 10c는 도 8c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 표시(810) 중에, 제2 통신 규격에 기초한 무선 신호의 수신이 안정적인 경우, 도 8c의 알림 메시지(815)가 사라지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1 안테나(ANTa)를 통해, 무선 전송 중에, 제2 안테나(ANTb)를 통해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제1 파워의 무선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경우, 도 8c와 같이, 무선 신호 불안정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815)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1 안테나(ANTa)를 통해, 무선 전송 중에, 제2 안테나(ANTb)를 통해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경우, 도 10c와 같이, 알림 메시지(815)가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상태를 즉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d는 도 11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원격제어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서버((500)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서버((500)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제1 데이터인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통신 장치(155)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를 거쳐 서버((500)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에 접속하고, 통신 장치(155) 내의 제1 안테나(ANTa)가,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부터 서버((500)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가 제공하는 제1 데이터인 컨텐츠 데이터(Sa)를, 도 12a와 같이, 제1 통신 규격에 기초하여,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S1110).
한편,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통신 장치(155)에서 수신되는 컨텐츠 데이터(Sa)에 기초하여 컨텐츠 영상(1210)을, 도 12a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15).
한편,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통신 장치(155)를 통해, 컨텐츠 영상 또는 컨텐츠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Sb)를, 도 12b와 같이, 서버((500)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영상 또는 컨텐츠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는, 시청 시간, 선호도 등을 포함하는 시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장치(155)는, 제1 통신 규격에 기초하여, 컨텐츠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Sb)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S1120).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55) 내의 제1 안테나(ANTa)가,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Sb)를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2c는, 제1 통신 규격에 기초한 컨텐츠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Sb)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제2 통신 규격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원격제어신호 또는 정보(Sc)가 수신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특히, 도 12c는 제1 통신 규격에 기초한 컨텐츠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Sb)의 무선 파워가, 설정 파워인 제1 파워(TPa)인 것을 예시한다. 특히, 제1 파워(Tpa)의 하이 레벨이 Lv1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1 통신 규격에 기초한 컨텐츠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제2 통신 규격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원격제어신호 또는 정보(Sc)가 수신되는 경우(S1125), 통신 장치(155)는, 도 12d와 같이, 제1 통신 규격에 기초한 컨텐츠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Sd) 전송시의 무선 파워가 낮아지도록 제어한다(S1130).
도 12d는,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원격제어신호 또는 정보(Sc)가 수신되므로, 제1 통신 규격에 기초한 컨텐츠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Sd)의 무선 파워가, 도 12c의 제1 파워(Tpa) 보다 작은 제2 파워(Tpb)인 것을 예시한다. 특히, 제2 파워(Tpb)의 하이 레벨인 Lv2가, 제1 파워(Tpa)의 하이 레벨인 Lv1 보다 작은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기초한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 또는 정보(Sc)가 안정적으로 수신되게 된다.
한편, 통신 장치(155) 내의 프로세서(710)는, 제1 안테나(ANTa)가, 제1 데이터인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제2 안테나(ANTb)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 장치(155) 내의 프로세서(710)는, 제1 안테나(ANTa)가,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다가, 제2 안테나(ANTb)에 소정 시간 이상 동안 무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2 파워 보다 높은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 장치(155) 내의 프로세서(710)는,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양이 증가하거나,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전송 기간이 증가할수록, 제2 파워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 장치(155) 내의 프로세서(710)는,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양이 증가하거나,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전송 기간이 증가할수록,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되,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전송 간격이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안테나(ANTa)에서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기간은, 제2 안테나(ANTb)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기간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안테나(ANTb)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Sc)의 파워는, 제1 안테나(ANTa)에서 전송되는 무선 파워인 제1 파워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안테나(ANTb)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Sc)의 파워는, 제1 파워 보다 작은 제2 파워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안테나(ANTb)의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주파수 채널이 홉핑(hopping)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안테나(ANTa)가,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제2 안테나(ANTb)의 무선 신호의 주파수 채널이 홉핑하더라도, 주파수 채널 전반에 걸쳐, 채널 여유가 발생되므로,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통신 장치(155)는, 제1 안테나(ANTa)를 통해,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부터 제1 데이터인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며, 제2 안테나(ANTb)를 통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통신 장치(155)는, 제1 안테나(ANTa)를 통해,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부터 제1 데이터인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며, 제2 안테나(ANTb)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무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로부터의 무선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7)

  1. 제1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제1 안테나;
    제2 통신 규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제2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상기 제2 안테나로 처리된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가, 제1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상기 제2 안테나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안테나가, 상기 제1 데이터인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에, 상기 제2 안테나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안테나가, 상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다가, 상기 제2 안테나에 소정 시간 이상 동안 무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파워 보다 높은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통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양이 증가하거나, 상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전송 기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제2 파워가 작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인 통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양이 증가하거나, 상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전송 기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되, 상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전송 간격이 길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인 통신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에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기간은, 상기 제2 안테나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기간 보다 작은 것인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파워는, 상기 제1 파워 보다 작은 것인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파워는, 상기 제2 파워 보다 작은 것인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의 무선 신호 수신 중에, 주파수 채널이 홉핑(hopping)되는 것인 통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안테나가 무선 전송인 상태에서, 상기 제2 안테나가 무선 수신되며, 상기 제1 안테나의 무선 전송 통신량이 설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안테나의 무선 전송 파워가, 설정 파워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인 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안테나가 무선 전송인 상태에서, 상기 제2 안테나가 무선 수신되며, 상기 제1 안테나의 무선 전송 통신량이 설정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안테나의 무선 전송 파워가, 상기 설정 파워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통신 장치.
  12.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장치;
    제1 통신 규격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제2 통신 규격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제1항 내제 제11항의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제1 데이터인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상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제1 데이터인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상기 컨텐츠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송 중에,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송 중에,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제1 파워의 무선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경우, 무선 신호 불안정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송 중에,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워 보다 낮은 제2 파워의 무선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인 영상표시장치.

KR1020220068701A 2022-06-07 2022-06-07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230168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701A KR20230168344A (ko) 2022-06-07 2022-06-07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US18/204,000 US20230397124A1 (en) 2022-06-07 2023-05-31 Communication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23176386.3A EP4290943A3 (en) 2022-06-07 2023-05-31 Communication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701A KR20230168344A (ko) 2022-06-07 2022-06-07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344A true KR20230168344A (ko) 2023-12-14

Family

ID=8664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701A KR20230168344A (ko) 2022-06-07 2022-06-07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97124A1 (ko)
EP (1) EP4290943A3 (ko)
KR (1) KR20230168344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5400B2 (en) * 2010-09-22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transmit power for wireless radio coexistence
US20120327869A1 (en) * 2011-06-23 2012-12-27 Qualcomm Incorporated Coexistence management scheme for multi-radio co-existence
KR101710960B1 (ko) * 2012-09-26 2017-02-28 애플 인크. 무선 통신 기술들 간의 디바이스 내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송신 전력 변조
US20140274105A1 (en) * 2013-03-14 2014-09-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existence in wlan and lte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90943A2 (en) 2023-12-13
US20230397124A1 (en) 2023-12-07
EP4290943A3 (en)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92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11034207B (zh) 图像显示设备
US10631039B2 (en) Image display device
EP2930685A2 (en) Providing a curved effect to a displayed image
KR20130007824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397513B2 (en) Content transmiss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transmission of content
KR10231330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102295970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278183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3003106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2623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168344A (ko)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US11899854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6006247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60081650A (ko) 영상제공장치
KR2013003060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70105B1 (ko) 영상제공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152418A (ko) 영상표시장치
KR20130026235A (ko) 영상표시장치, 미디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90323B1 (ko) 영상표시장치, 셋탑 박스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4742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90041090A (ko) 영상표시장치
KR2013005177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4418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71624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