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883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883A
KR20230167883A KR1020220068075A KR20220068075A KR20230167883A KR 20230167883 A KR20230167883 A KR 20230167883A KR 1020220068075 A KR1020220068075 A KR 1020220068075A KR 20220068075 A KR20220068075 A KR 20220068075A KR 20230167883 A KR20230167883 A KR 20230167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late
support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기
이재훈
표종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8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7883A/ko
Priority to PCT/KR2022/011366 priority patent/WO2023234470A1/ko
Priority to US18/093,461 priority patent/US20230393628A1/en
Publication of KR20230167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커브드 방향에서 서로 대향(opposite)하는 좌변과 우변을 지니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브라켓;으로서, 상기 브라켓의 둘레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브라켓; 그리고, 상기 브라켓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로서, 상기 브라켓의 중앙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리어 커버의 좌변으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사이드 파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좌변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밴딩부; 그리고, 상기 제1 밴딩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 리브;로서,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에 대하여 상기 제1 밴딩부에 대향(opposite)하는 제1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OLED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휘어짐에 따라서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와 같은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브라켓의 측면이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브라켓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에 대한 브라켓의 측면의 슬라이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휘어짐에 따라서, 리어 커버의 코너 부근에서, 리어 커버와 브라켓 사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커브드 방향에서 서로 대향(opposite)하는 좌변과 우변을 지니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브라켓;으로서, 상기 브라켓의 둘레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브라켓; 그리고, 상기 브라켓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로서, 상기 브라켓의 중앙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리어 커버의 좌변으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사이드 파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좌변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밴딩부; 그리고, 상기 제1 밴딩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 리브;로서,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에 대하여 상기 제1 밴딩부에 대향(opposite)하는 제1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휘어짐에 따라서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와 같은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브라켓의 측면이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브라켓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에 대한 브라켓의 측면의 슬라이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휘어짐에 따라서, 리어 커버의 코너 부근에서, 리어 커버와 브라켓 사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28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그리고 후(R)의 방향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OLED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개시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전방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장변(LS1, first long side),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LS2, second long side),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SS1, first short side),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S2, second short sid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장변(LS1, LS2)과 나란한 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단변(SS1, SS2)과 나란한 방향을 상하방향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장변(LS1, LS2) 및 단변(SS1, SS2)에 수직한 방향을 전후방향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하는 방향을 전방(F, z)이라 할 수 있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R)이라 할 수 있다. 제1 단변(SS1) 쪽을 오른쪽(Ri)이라 할 수 있다. 제2 단변(SS2) 쪽을 왼쪽(Le, x)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쪽을 위쪽(U, y)이라 할 수 있다. 제2 장변(LS2) 쪽을 아래쪽(D)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corner)라 칭할 수 있다.
제1 단변(SS1)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일 수 있다.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일 수 있다.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일 수 있다.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4)일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스탠드(200)는 베이스(200a)와 월(200b, wall)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00a)는 지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월(200b)은 베이스(200a)의 후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월(200b)은 플레이트(1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플레이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보드, 파워 서플라이 보드, 스피커 등과 같은 전자부품들은 월(200b)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OLED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제공할 수 있고,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소스 PCB(112, Source PCB)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변(110D)에 인접할 수 있고, 하변(110D)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소스 PCB(112)는 소스 COF(111, Source Chip On Film)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PCB(112)는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케이블(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소스 PCB(112a)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좌변(110L)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중앙부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FFC(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소스 PCB(112b)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우변(110R)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중앙부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FFC(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6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6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케이블 홀(160a, 160b)은 이너 플레이트(160)의 하변(160D)에 인접할 수 있고, 이너 플레이트(16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소스 PCB(112)와 연결된 FFC와 같은 케이블은 케이블 홀(160a, 160b)을 통과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홀들(160h)은 이너 플레이트(160)의 중앙부로부터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벗어나 위치할 수 있고, 이너 플레이트(160)의 상변(160U)과 하변(160D)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너 플레이트(16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프레스부들(160r, pressed parts)은 이너 플레이트(16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너 플레이트(160)의 상변(160U)과 하변(160D)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너 플레이트(16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프런트 접착부재들(161H, 161V)은 이너 플레이트(160)의 전면(161)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프런트 접착부재들(161H, 161V)의 일부는 이너 플레이트(160)의 엣지에 인접할 수 있다. 수평 접착부재들(161H)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 접착부재들(161V)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프런트 접착부재들(161H, 161V)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은 이너 플레이트(160)의 전면(16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복수개의 프런트 접착부재들(161H, 161V)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이너 플레이트(16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71)은 이너 플레이트(160)의 상변(160U)에 이웃할 수 있고, 상변(160U)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71)은 상변(160U)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71)은,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를 통해, 이너 플레이트(16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71)은 탑 커버(171) 또는 탑 프레임(171)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72)은 이너 플레이트(160)의 하변(160D)에 이웃할 수 있고, 하변(160D)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72)은 하변(160D)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72)은,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를 통해, 이너 플레이트(16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72)은 바텀 커버(172) 또는 바텀 프레임(172)이라 칭할 수 있다.
제3 프레임(173)은 이너 플레이트(160)의 좌변(160L)에 이웃할 수 있고, 좌변(160L)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73)은 좌변(160L)을 커버할 수 있다. 제3 프레임(173)은,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73)은 사이드 커버(173) 또는 사이드 프레임(173)이라 칭할 수 있다.
제4 프레임(174)은 이너 플레이트(160)의 우변(160R)에 이웃할 수 있고, 우변(160R)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4 프레임(174)은 우변(160R)을 커버할 수 있다. 제4 프레임(174)은,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4 프레임(174)은 사이드 커버(174) 또는 사이드 프레임(174)이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17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엣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171)은 제1 장변(LS1)을 정의할 수 있고, 제2 프레임(172)은 제2 장변(LS2)을 정의할 수 있으며, 제3 프레임(173)은 제2 단변(SS2)을 정의할 수 있고, 제4 프레임(174)은 제1 단변(SS1)을 정의할 수 있다(도 1 참조). 제1 프레임(171), 제2 프레임(172), 제3 프레임(173), 및 제4 프레임(174)은 코너들(C1, C2, C3, C4 도 1 참조)에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프레임(170)은 미들 캐비닛(170), 패널 가이드(170), 엔드 커버(170), 또는 케이스 탑(170)이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70)은 알루미늄(Al)과 같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레임(170)은 플라스틱 또는 레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3 프레임(173)과 제4 프레임(174)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71)과 제2 프레임(172)은 이너 플레이트(160)에 고정될 수 있고 이너 플레이트(160)와 함께 휘어지거나 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리어 접착부재들(162H, 162V)은 이너 플레이트(160)의 후면(162)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리어 접착부재들(162H, 162V)의 일부는 이너 플레이트(160)의 엣지에 인접할 수 있다. 수평 접착부재들(162H)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 접착부재들(162V)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리어 접착부재들(162H, 162V)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플레이트(120)의 전면은 이너 플레이트(160)의 후면(16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복수개의 리어 접착부재들(162H, 162V)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120)는 이너 플레이트(160)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 홀(120a, 120b)은 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플레이트(120)의 케이블 홀(120a, 120b)은 이너 플레이트(160)의 케이블 홀(160a, 160b)에 정렬될 수 있다.
사이드 고정부(162P)는 이너 플레이트(160)의 후면(162)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사이드 고정부(162P)는 팸넛일 수 있다. 복수개의 사이드 고정부들(162P) 중에 이너 플레이트(160)의 좌변에 인접하는 사이드 고정부들은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플레이트(120)를 관통할 수 있다. 복수개의 사이드 고정부들(162P) 중에 이너 플레이트(160)의 우변에 인접하는 사이드 고정부들은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플레이트(120)를 관통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160)의 우변에 인접하는 사이드 고정부들(162P)은 제1 사이드 고정부들(162P)이라 칭할 수 있고, 이너 플레이트(160)의 좌변에 인접하는 사이드 고정부들(162P)은 제2 사이드 고정부들(162P)이라 칭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센터 고정부(162F)는 이너 플레이트(16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센터 고정부(162F)는 팸넛일 수 있다. 복수개의 센터 고정부들(162F)은 이너 플레이트(16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120)를 관통할 수 있다. 한쌍의 제1 센터 고정부(162Fa)는 이너 플레이트(160)의 하변에 인접할 수 있다. 한쌍의 제2 센터 고정부(162Fb)는 한쌍의 제1 센터 고정부(162Fa)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쌍의 제3 센터 고정부(162Fc)는 한쌍의 제2 센터 고정부(162Fb)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쌍의 제4 센터 고정부(162Fd)는 한쌍의 제3 센터 고정부(162Fc)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걸림 홈(120F)은 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걸림 홈들(120F)은 센터 고정부(162F) 주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걸림 홈(120Fa), 제2 걸림 홈(120Fb), 제3 걸림 홈(120Fc), 제4 걸림 홈(120Fd), 제5 걸림 홈(120Fe), 및 제6 걸림 홈(120Ff)은 센터 고정부(162F) 주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걸림 홈(120Fa)과 제6 걸림 홈(120Ff) 사이의 간격은 제2 걸림 홈(120Fb)과 제5 걸림 홈(120Fe) 사이의 간격과 같을 수 있고, 제3 걸림 홈(120Fc)과 제4 걸림 홈(120Fd)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브라켓(180)은 플레이트(1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180)은 플레이트(12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180)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브라켓(180)은 제1 브라켓(181)과 제2 브라켓(18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브라켓(181)과 제2 브라켓(182)은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81)은 플레이트(120)의 하변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베이스(181a)는 제1 브라켓(181)의 평판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전후로 개구될 수 있다. 격벽(180P)은 제1 브라켓 베이스(181a)의 상기 개구를 제1 개구(181ha)와 제2 개구(181hb)로 구획할 수 있다. 제1 밴딩부(181b)는 제1 브라켓 베이스(181a)의 좌변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밴딩부(181c)는 제1 브라켓 베이스(181a)의 우변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밴딩부(181b)는 좌측 밴딩부(181b)라 칭할 수 있고, 제2 밴딩부(181c)는 제2 밴딩부(181c)라 칭할 수 있다.
제2 브라켓(182)은 제1 브라켓(181)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82)의 크기는 제1 브라켓(18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브라켓 베이스(182a)는 제2 브라켓(182)의 평판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전후로 개구될 수 있다(182h 참조). 제2 밴딩부(182b)는 제2 브라켓 베이스(182a)의 상변, 좌변, 및 우변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2 브라켓 베이스(182a)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걸림 돌기(180H)는 브라켓(180)의 전면에서 걸림 홈(120F, 도 6 참조)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걸림 돌기(180H)는 돌출부(180H1), 밴딩부(180H2), 그리고 삽입부(180H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80H1)는 브라켓(180)의 전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밴딩부(180H2)는 돌출부(180H1)의 전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밴딩될 수 있다. 삽입부(180H3)는 브라켓(180)의 전면과 밴딩부(180H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걸림 돌기(180H)의 최소 폭을 정의할 수 있다. 걸림 돌기(180H)는 걸림 홈(120F, 도 6 참조)에 삽입될 수 있고, 걸림 돌기(180H)의 돌출부(180H1)는 걸림 홈(120F)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걸림 돌기들(180H)은 브라켓(180)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걸림돌기(180Ha, 180Hb)는 제1 브라켓(181)의 좌변에 인접할 수 있고, 제3 걸림 돌기(180Hc)는 제2 브라켓(182)의 좌변에 인접할 수 있다. 제4 걸림 돌기(180Hd)는 제2 브라켓(182)의 우변에 인접할 수 있고, 제5 및 제6 걸림 돌기(180He, 180Hf)는 제1 브라켓(181)의 우변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걸림 돌기(180Ha)는 제1 걸림 홈(120Fa)에 걸릴 수 있고, 제2 걸림 돌기(180Hb)는 제2 걸림 홈(120Fb)에 걸릴 수 있다. 제3 걸림 돌기(180Hc)는 제3 걸림 홈(120Fc)에 걸릴 수 있고, 제4 걸림 돌기(180Hd)는 제4 걸림 홈(120Fd)에 걸릴 수 있다. 제5 걸림 돌기(180He)는 제5 걸림 홈(120Fe)에 걸릴 수 있고, 제6 걸림 돌기(180Hf)는 제6 걸림 홈(120Ff)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180)은 플레이트(120)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고정 홀(180Fa, 180Fb, 180Fc, 180Fd)은 브라켓(18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브라켓(18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 홀(180Fa, 180Fb, 180Fc, 180Fd)은 센터 고정부(162Fa, 162Fb, 162Fc, 162Fd, 도 6 참조)에 정렬될 수 있다. 한쌍의 제1 고정 홀(180Fa)은 한쌍의 제1 센터 고정부(162Fa)에 정렬될 수 있고, 한쌍의 제2 고정 홀(180Fb)은 한쌍의 제2 센터 고정부(162Fb)에 정렬될 수 있다. 한쌍의 제3 고정 홀(180Fc)은 한쌍의 제3 센터 고정부(162Fc)에 정렬될 수 있고, 한쌍의 제4 고정 홀(180Fd)은 한쌍의 제4 센터 고정부(162Fd)에 정렬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는 고정 홀(180Fa, 180Fb, 180Fc, 180Fd)을 관통하여 센터 고정부(162Fa, 162Fb, 162Fc, 162Fd)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180)은 플레이트(120)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B)는 마운트 플레이트(TBM)를 통해 제1 브라켓 베이스(181a)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소스 PCB(112a)와 연결된 제1 FFC(미도시)는 제1 케이블 홀(120a)과 제1 개구(181ha, 도 7 참조) 통해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소스 PCB(112b)와 연결된 제2 FFC(미도시)는 제2 케이블 홀(120b)과 제1 개구(181ha, 도 7 참조)을 통해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B)에 연결될 수 있다.
어퍼 커버(184)는 제2 브라켓 베이스(182a)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 커버(184)는 제2 밴딩부(182b)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구동 모듈(130)은 어퍼 커버(184)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 모듈(130)의 리어 브라켓(130R)은 리드 스크류(133)에 대하여 후술하는 프런트 브라켓(130F, 도 14 참조)에 대향(opposite)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3)는 프런트 브라켓(130F)과 리어 브라켓(130R)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윙 브라켓(131)의 일단은 프런트 브라켓(130F)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윙 브라켓(131)의 타단은 리어 브라켓(130R)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윙 브라켓(132)의 일단은 프런트 브라켓(130F)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윙 브라켓(132)의 타단은 리어 브라켓(130R)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리어 커버(185)는 구동 모듈(1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리어 브라켓(130R)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홀(185a)은 리어 커버(185)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스탠드(200)의 월(200b)은 리어 홀(185a)을 통해 리어 브라켓(130R)에 결합될 수 있다. 또, 케이블 등은 리어 홀(185a)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스탠드(200)의 월(200b)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 커버(183)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B)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브라켓(181)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커버(183)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B)를 커버할 수 있다. 리어 커버(183)는 로어 커버(183)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제1 사이드 프레임(153)은 플레이트(120)의 우변에 인접할 수 있고,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윙(143)은 슬라이딩 마운트(152)를 통해 제1 사이드 프레임(153)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윙 브라켓(131)에 피벗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 사이드 프레임(151)은 플레이트(120)의 좌변에 인접할 수 있고,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윙(141)은 슬라이딩 마운트(152)를 통해 제2 사이드 프레임(151)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윙 브라켓(132)에 피벗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20)는 플렉서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120)는 금속판일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플렉서블 플레이트(120), 프레임(120), 또는 모듈커버(120)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레이트(120)의 전방 또는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OLED 패널일 수 있다. 전술한 이너 플레이트(160)와 프레임(170)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도 5 참조). 예를 들면, 이너 플레이트(160)는 금속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제공할 수 있고,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가변 곡률을 지닐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좌우측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좌변과 우변은 디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브드 방향(curved direction)에서 서로 대향(opposite)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에서 화상을 보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오목하게 커브드 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동일한 곡률로 휘어질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레이트(120)의 곡률에 대응되어 휘어질 수 있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닐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 모듈(130)은 플레이트(12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 모듈(130)은 프런트 브라켓(130F), 베이스(130B), 그리고 윙 브라켓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브라켓(130F)은 플레이트(120)의 후방 또는 후면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프런트 브라켓(130F)은 직사각형 형상의 평편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130B)는 프런트 브라켓(130F)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고, 구동 모듈(130)의 바텀을 형성할 수 있다.
윙 브라켓(131,132)은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윙 브라켓(131,132)은 제1 윙 브라켓(131)과 제2 윙 브라켓(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윙 브라켓(131)은 프런트 브라켓(130F)에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고, 제2 윙 브라켓(132)과 대향(opposite)할 수 있다. 제2 윙 브라켓(132)도 프런트 브라켓(130F)에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윙 브라켓(131,132)은 V형상일 수 있다. 윙 브라켓(131,132)은 한쌍의 브라켓(131,132)일 수 있다. 윙 브라켓(131,132)의 어퍼 브라켓(131a,132a)은 로어 브라켓(131b,132b)에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핀(도 17의 핀(P) 참조)은 어퍼 브라켓(131a,132a)과 로어 브라켓(131b,13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핀은 어퍼 브라켓(131a,132a)과 로어 브라켓(131b,132b)의 꼭지점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윙(143)은 제1 윙 브라켓(131)에 피봇 연결될 수 있다. 제2 윙(141)은 제2 윙 브라켓(132)에 피봇 연결될 수 있다. 제1 윙(143)은 구동 유닛(130)에 대하여 제2 윙(141)과 선대칭일 수 있다. 제1 윙(143) 및 제1 윙 브라켓(131)에 대한 설명은 제2 윙(141) 및 제2 윙 브라켓(132)에 적용될 수 있다(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제1 윙(143)은 윙 플레이트(1431), 피봇축(PH), 그리고 레버(1435)를 포함할 수 있다.
윙 플레이트(1411,1431)는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일 수 있다. 레버(1415,1435)는 윙 플레이트(1411,143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레버(1415,1435)는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일 수 있다. 레버(1415,1435)의 길이는 윙 플레이트(1411,1431)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고, 레버(1415,1435)의 폭은 윙 플레이트(1411,1431)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윙 플레이트(1411,1431)의 두께는 레버(1415,1435)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피봇축(PH)은 윙 브라켓(131,132)의 상기 핀에 피봇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핀은 윙(141,143)의 피봇축(PH)에 삽입될 수 있다. 윙(141,143)은 상기 핀을 중심으로 윙 브라켓(131,132)에서 피봇할 수 있다.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리드 스크류(133)는 프런트 브라켓(130F)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드 스크류(133)는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외면에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3)는 슬라이더(134a)에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더(134a)는 리드 스크류(133)와 나사산 결합을 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3)가 회전하면 슬라이더(134a)는 리드 스크류(133)의 길이방향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 가이드(134b)는 슬라이더(134a)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더 가이드(134b)는 슬라이더(134a)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135a,135b)는 프런트 브라켓(130F)에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135a,135b)는 리드 스크류(134b)와 평행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135a,135b)는 제1 가이드 샤프트(135a)와 제2 가이드 샤프트(135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샤프트(135a)는 리드 스크류(133)에 대하여 제2 가이드 샤프트(135b)와 대향(opposite)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135a,135b)는 슬라이더 가이드(134b)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34a)는 리드 스크류(133)의 회전에 따라 안정적으로 리드 스크류(133)의 길이방향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모터(136)는 베이스(130B)에 장착될 수 있다. 모터(136)는 전기모터일 수 있다. 모터(136)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모터(136)는 회전각도에 대응하는 스텝 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136)의 회전축(136a)은 리드 스크류(133)의 길이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모터(136) 및 모터(136)의 회전축(136a)은 리드 스크류(133)와 베이스(13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웜(137d)은 모터(136)의 회전축(136a)에 고정될 수 있고, 모터(136)의 회전축(136a)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웜기어(137a)는 웜(137d)과 맞물릴 수 있다. 전달기어(137b)는 웜기어(137a)와 동축에서 회전할 수 있다. 구동기어(137c)는 리드 스크류(133)의 일단에 고정되어 리드 스크류(133)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구동기어(137c)는 전달기어(137b)와 맞물릴 수 있다. 구동기어(137c)의 직경은 전달기어(137b)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원판 인디케이터(136b)는 모터(136)의 회전축(136a)의 말단에 인접할 수 있고, 회전축(136a)에 고정될 수 있다. 원판 인디케이터(136b)는 인디케이터(136b)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홀들(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 센서(136c)는 원판 인디케이터(136b)에 인접할 수 있고, 베이스(130B) 또는 윙 브라켓(132)에 고정될 수 있다. 카운터 센서(136c)는 포토 센서(photo sensor)일 수 있다. 카운터 센서(136c)는 말굽(horseshoe)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카운터 센서(136c)의 발광부와 수광부는 서로 마주하되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원판 인디케이터(136b)는 회전축(136a)의 회전에 따라 카운터 센서(136c)의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를 통과하며 회전할 수 있다. 원판 인디케이터(136b)의 회전에 대응하여, 카운터 센서(136c)의 상기 발광부의 빛은 원판 인디케이터(136b)의 상기 홀을 통과하거나 인디케이터(136b)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운터 센서(136c)는 모터(136)의 회전수 및/또는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다.
마운트(130M)는 구동 기어(137c)의 외주에 인접할 수 있고, 리어 브라켓(130R)에 고정될 수 있다. 연장부(130M1,130M2)는 마운트(130M)로부터 리드 스크류(133)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30M1,130M2)는 슬라이더(134a) 또는 슬라이더 가이드(134b)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핀 인디케이터(138a, 도 14 참조)는 슬라이더(134a) 또는 슬라이더 가이드(134b)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핀 인디케이터(138a)는 핀(pin)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1 센서(138b)는 연장부(130M1)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1 센서(138b)는 프런트 브라켓(130F)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센서(138b)는 포토 센서(photo sensor)일 수 있다. 제1 센서(138b)는 말굽(horseshoe)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1 센서(138b)의 발광부와 수광부는 서로 마주하되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핀 인디케이터(138a)는 슬라이더(134a)의 직선 왕복 운동에 따라 제1 센서(138b)의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핀 인디케이터(138a)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1 센서(138b)의 상기 발광부의 빛은 제1 센서(138b)의 상기 수광부에 제공되거나 핀 인디케이터(138a)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센서(138b)는 핀 인디케이터(138a)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134a)가 프런트 브라켓(130F)에 인접하면, 제1 센서(138b)는 핀 인디케이터(138a)를 감지할 수 있다(도 16 및 17 참조). 이때, 도 18 내지 20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윙(141,143)과 사이드 프레임(151,153)을 통해 슬라이더(134a)에 결합된 플레이트(120)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최소 곡률을 가질 수 있고, 이 위치를 슬라이더(134a)의 시점(start point)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소 곡률은 '0' 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편평할 수 있다.
제2 센서(139b)는 제1 센서(138b)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고, 연장부(130M1)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2 센서(139b)는 리어 브라켓(130R)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센서(139b)는 포토 센서(photo sensor)일 수 있다. 제2 센서(139b)는 말굽(horseshoe)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2 센서(139b)의 발광부와 수광부는 서로 마주하되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핀 인디케이터(138a)는 슬라이더(134a)의 직선 왕복 운동에 따라 제2 센서(139b)의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핀 인디케이터(138a)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2 센서(139b)의 상기 발광부의 빛은 제2 센서(139b)의 상기 수광부에 제공되거나 핀 인디케이터(138a)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센서(139b)는 핀 인디케이터(138a)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134a)가 리어 브라켓(130R)에 인접하면, 제2 센서(139b)는 핀 인디케이터(138a)를 감지할 수 있다(도 16 및 17 참조). 이때, 도 18 내지 20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윙(141,143)과 사이드 프레임(151,153)을 통해 슬라이더(134a)에 결합된 플레이트(120)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최대 곡률을 가질 수 있고, 이 위치를 슬라이더(134a)의 종점(terminal point)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소 곡률반경은 1,000 mm, 800 mm, 또는 700 mm 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술한 카운터 센서(136c), 제1 센서(138b), 또는 제2 센서(139b)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윙 플레이트(1411)는 제1 파트(1411a), 제2 파트(1411b), 그리고 제3 파트(14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411a)는 피봇축(PH)에 대하여 레버(1415)와 대향(opposite)할 수 있다. 제1 파트(1411a)는 레버(1415)에서 굽어질 수 있고, 레버(1415)에 대하여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파트(1411b)는 제1 파트(1411a)에서 굽어질 수 있고, 레버(1415)와 대략적으로 나란할 수 있으며, 제1 파트(1411a)에 대하여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파트(1411c)는 제2 파트(1411b)에서 굽어질 수 있고, 제1 파트(1411a)와 대략적으로 나란할 수 있으며, 제2 파트(1411b)에 대하여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윙(141)은 커넥팅 로드(141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로드(1416)는 레버(1415)에 고정되거나 레버(1415)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1416)는 슬라이더(134a)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1416)는 슬라이더(134a)에 피봇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1416)는 장공(LH)을 구비할 수 있다. 장공(LH)은 슬라이더(134a)에 인접한 커넥팅 로드(1416)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134a)는 연결핀(GP)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핀(GP)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연결핀(GP)의 직경은 장공(LH)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3)가 회전하면서 슬라이더(134a)가 리드 스크류(133)의 길이방향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134a)에 커넥팅 로드(1416)에 의해 연결된 레버(1415)가 슬라이더(134a)와 함께 이동할 수 있고, 윙(141)은 피봇축(PH)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다. 이때, 연결핀(GP)은 장공(LH) 안에서 움직일 수 있다.
도 18 내지 20을 참조하면, 사이드 프레임(151, 153, 도 12 참조)은 플레이트(120)의 후방 또는 후면에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153)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가 제1 사이드 프레임(153)을 관통하여 플레이트(120)의 우변에 인접한 복수개의 사이드 고정부들(162P, 도 8 참조)에 체결됨으로써, 플레이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프레임(151)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가 제2 사이드 프레임(151)을 관통하여 플레이트(120)의 좌변에 인접한 복수개의 사이드 고정부들(162P, 도 8 참조)에 체결됨으로써, 플레이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51)은 슬라이딩 마운트(15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마운트(152)는 사이드 프레임(151) 상에 장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윙(141)은 슬라이딩 마운트(152)에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딩 마운트(152)에 결합될 수 있다. 윙(141)이 슬라이딩 마운트(152)에서 이동하면서, 윙 플레이트(1411)의 말단은 슬라이딩 마운트(152)와 접촉할 수 있다.
슬라이딩 마운트(152)는 사이드 월(152W)을 구비할 수 있다. 사이드 월(152W)은 윙 플레이트(1411)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윙 플레이트(1411)가 슬라이딩 마운트(152)에서 움직이면서 사이드 월(152W)과 접촉할 수 있다. 사이드 월(152W)은 윙 플레이트(1411)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52S)은 사이드 월(152W)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52S)은 윙 플레이트(1411)의 길이방향에서 사이드 월(152W)을 관통하여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슬롯(152S)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엔드 핀(1419)은 가이드 슬롯(152S)에 삽입될 수 있다. 엔드 핀(1419)은 가이드 슬롯(152S)에서 이동할 수 있다. 엔드 핀(1419)은 윙 플레이트(1411)의 움직임을 가이드 슬롯(152S)과 함께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드 핀(1419)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윙 플레이트(1411)가 사이드 프레임(151)에 전달하는 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플레이트(120)가 커브드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플레이트(120)의 양단에 인접한 영역이 플랫하게 펴지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윙(141)의 피벗 운동에 대응하여, 제2 사이드 프레임(151)은 플레이트(120)의 좌변에 인접한 위치에서 플레이트(120)를 전방으로 푸시하거나 후방으로 당길 수 있다. 또, 제1 윙(143)의 피벗 운동에 대응하여, 제1 사이드 프레임(153)은 플레이트(120)의 우변에 인접한 위치에서 플레이트(120)를 전방으로 푸시하거나 후방으로 당길 수 있다. 즉, 플레이트(120)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사이드 프레임(151,153)의 푸시에 따라 휘어지거나, 사이드 프레임(151,153)의 당김에 따라 펴질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마운트(152)는 말단이 굽힘되어 형성되는 스토퍼(152a)를 구비할 수 있다. 플레이트(120)가 평편하게 유지되는 경우, 윙 플레이트(411)의 말단은 슬라이딩 마운트(152)의 스토퍼(152a)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120)의 양단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방으로 향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이 볼록하게 커브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리브(181R)는 제1 밴딩부(181b)의 내측과 제2 밴딩부(181c)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181Ra, 181Rb)는 제1 밴딩부(181b)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리브(181Rc, 181Rd)는 제2 밴딩부(181c)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리브(181Ra, 181Rb)와 제2 리브(181Rc, 181Rd)는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제1 리브(181Ra, 181Rb)는 돌출부(181R1), 연장부(181R2), 및 접촉부(181R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81R1)는 제1 밴딩부(181b)의 내측으로부터 제2 밴딩부(181c)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1 밴딩부(181b)의 폭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81R2)는 돌출부(181R1)의 말단에서 돌출부(181R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촉부(181R3)는 연장부(181R2)의 후단에서 제1 밴딩부(181b)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후크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1 리브들(181Ra, 181Rb)은 제1 밴딩부(181b)의 길이방향인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리브(181Rc, 181Rd)는 돌출부(181R1), 연장부(181R2), 및 접촉부(181R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81R1)는 제2 밴딩부(181c)의 내측으로부터 제1 밴딩부(181b)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 밴딩부(181c)의 폭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81R2)는 돌출부(181R1)의 말단에서 돌출부(181R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촉부(181R3)는 연장부(181R2)의 후단에서 제2 밴딩부(181c)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후크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 리브들(181Rc, 181Rd)은 제2 밴딩부(181c)의 길이방향인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리어 커버(183)는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개구된 박스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리어 커버(183)는 리어 파트(183a), 탑 파트(183b), 바텀 파트(183c), 제1 사이드 파트(183d), 그리고 제2 사이드 파트(183e)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파트(183a)는 리어 커버(183)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파트(183a)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B, 도 21 참조)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탑 파트(183b)는 리어 파트(183a)의 상변에서 전방으로 밴딩될 수 있고, 탑 파트(183b)와 리어 파트(183a) 사이의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탑 파트(183b)의 일부는 컷-아웃될 수 있고, 어퍼 커버(184)의 하측(lower side)이 위치할 수 있다(도 9 참조).
바텀 파트(183c)는 리어 파트(183a)의 하변에서 전방으로 밴딩될 수 있고, 바텀 파트(183c)와 리어 파트(183a) 사이의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제1 사이드 파트(183d)는 리어 파트(183a)의 좌변에서 전방으로 밴딩될 수 있고, 리어 파트(183a)에 교차하거나 직교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파트(183d)는 좌측 파트(183d)라 칭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파트(183e)는 리어 파트(183a)의 우변에서 전방으로 밴딩될 수 있고, 리어 파트(183a)의 교차하거나 직교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파트(183e)는 우측 파트(183e)라 칭할 수 있다.
지지 리브(183R)는 제1 사이드 파트(183d)와 제2 사이드 파트(183e)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리브(183Ra, 183Rb)는 제1 사이드 파트(183d)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지지 리브(183Rc, 183Rd)는 제2 사이드 파트(183e)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지지 리브(183Ra, 183Rb)와 제2 지지 리브(183Rc, 183Rd)는 동일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1 지지 리브(183Ra, 183Rb)는 제1 사이드 파트(183d)의 내측과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1 지지 리브들(183Ra, 183Rb)은 제1 사이드 파트(183d)의 길이방향인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삼각형의 노치(183R9)는 제1 사이드 파트(183d)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지지 리브(183Ra, 183Rb)에 이웃할 수 있다. 노치(183R9)는 리어 커버(183)와 브라켓(180)의 조립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1 지지 리브(183Ra, 183Rb)의 제1 지지부(183R1)와 제2 지지부(183R2)는 제1 사이드 파트(183d)의 내측에서 제2 사이드 파트(183e)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83R1)의 돌출 높이는 제1 사이드 파트(183d)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제2 지지부(183R2)는 제1 지지부(183R1)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지지부(183R2)의 돌출 높이는 제1 지지부(183R1)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제2 지지부(183R2)의 길이는 제1 지지부(183R1)의 길이보다 클 수 있고, 제2 지지부(183R2)와 제1 지지부(183R1)의 경계는 제2 지지부(183R2)와 제1 지지부(183R1)의 최대 돌출 높이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지지 리브(183Ra, 183Rb)의 제3 지지부(183R3)와 제4 지지부(183R4)는 제1 사이드 파트(183d)의 외측에서 제1 지지부(183R1)와 제2 지지부(183R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지지부(183R3)는 제1 사이드 파트(183d)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거리(dr)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3 지지부(183R3)의 돌출 높이는 후방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제3 지지부(183R3)의 길이는 제2 지지부(183R2)의 길이에 대응(예를 들어, 동일)할 수 있다. 제4 지지부(183R4)는 제3 지지부(183R3)에 연결될 수 있고, 제4 지지부(183R4)의 돌출 높이는 제3 지지부(183R)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제4 지지부(183R4)의 길이는 제1 지지부(183R1)의 길이에 대응(예를 들어, 동일)할 수 있다. 제4 지지부(183R4)와 제3 지지부(183R3)의 경계는 제4 지지부(183R4)와 제3 지지부(183R3)의 최대 돌출 높이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지지부(183R4)와 제3 지지부(183R3)의 최대 돌출 높이는 제2 지지부(183R2)와 제1 지지부(183R1)의 최대 돌출 높이와 같거나 비슷할 수 있다.
제2 지지 리브(183Rc, 183Rd)는 제2 사이드 파트(183e)의 내측과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2 지지 리브들(183Rc, 183Rd)은 제2 사이드 파트(183e)의 길이방향인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삼각형의 노치(183R9)는 제2 사이드 파트(183e)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지지 리브(183Rc, 183Rd)에 이웃할 수 있다. 노치(183R9)는 리어 커버(183)와 브라켓(180)의 조립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2 지지 리브(183Rc, 183Rd)의 제1 지지부(183R1)와 제2 지지부(183R2)는 제2 사이드 파트(183e)의 내측에서 제1 사이드 파트(183d)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83R1)의 돌출 높이는 제2 사이드 파트(183e)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제2 지지부(183R2)는 제1 지지부(183R1)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지지부(183R2)의 돌출 높이는 제1 지지부(183R1)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제2 지지부(183R2)의 길이는 제1 지지부(183R1)의 길이보다 클 수 있고, 제2 지지부(183R2)와 제1 지지부(183R1)의 경계는 제2 지지부(183R2)와 제1 지지부(183R1)의 최대 돌출 높이를 정의할 수 있다.
제2 지지 리브(183Rc, 183Rd)의 제3 지지부(183R3)와 제4 지지부(183R4)는 제2 사이드 파트(183e)의 외측에서 제1 지지부(183R1)와 제2 지지부(183R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지지부(183R3)는 제2 사이드 파트(183e)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거리(dr)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3 지지부(183R3)의 돌출 높이는 후방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제3 지지부(183R3)의 길이는 제2 지지부(183R2)의 길이에 대응(예를 들어, 동일)할 수 있다. 제4 지지부(183R4)는 제3 지지부(183R3)에 연결될 수 있고, 제4 지지부(183R4)의 돌출 높이는 제3 지지부(183R)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제4 지지부(183R4)의 길이는 제1 지지부(183R1)의 길이에 대응(예를 들어, 동일)할 수 있다. 제4 지지부(183R4)와 제3 지지부(183R3)의 경계는 제4 지지부(183R4)와 제3 지지부(183R3)의 최대 돌출 높이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지지부(183R4)와 제3 지지부(183R3)의 최대 돌출 높이는 경계는 제2 지지부(183R2)와 제1 지지부(183R1)의 최대 돌출 높이와 같거나 비슷할 수 있다.
한편, 리어 커버(183)의 결합부(183F)는 리어 파트(183a)의 상변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는 결합부(183F)와 제1 브라켓(181)의 한쌍의 제3 고정홀(180Fc)을 관통하여 제3 센터 고정부(162Fc)에 체결될 수 있다(도 6 및 7 참조). 이에 따라, 리어 커버(183)는 플레이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183F)에 의한 리어 커버(183)와 플레이트(120)의 결합 위치는, 걸림 돌기(180H, 도 6 및 7 참조)에 의한 제1 브라켓(181)과 플레이트(120)의 결합 위치보다 플레이트(120)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21 및 2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1 리브들(181Ra, 181Rb) 각각은 복수개의 제1 지지 리브들(183Ra, 183Rb)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로어 리브(181Ra)는 제1 로어 지지 리브(183Ra)에 정렬되어 이와 마주할 수 있고, 제1 어퍼 리브(181Rb)는 제1 어퍼 지지 리브(183Rb)에 정렬되어 이와 마주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리브들(181Rc, 181Rd) 각각은 복수개의 제2 지지 리브들(183Rc, 183Rd)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어퍼 리브(181Rc)는 제2 어퍼 지지 리브(183Rc)에 정렬되어 이와 마주할 수 있고, 제2 로어 리브(181Rd)는 제2 로어 지지 리브(183Rd)에 정렬되어 이와 마주할 수 있다.
도 23 및 24를 참조하면, 제1 사이드 파트(183d)는 제1 리브(181Ra, 181Rb, 도 21 참조)와 제1 밴딩부(181b)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사이드 파트(183e, 도 22 참조)는 우측 리브(181Rc, 181Rd, 도 21 참조)와 제2 밴딩부(181c, 도 21 참조)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이하,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제1 사이드 파트(183d)는 제1 리브(181Ra, 181Rb)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설명은 제2 사이드 파트(183e)와 제2 리브(181Rc, 181Rd)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가 편평한 상태에서, 제1 사이드 파트(183d)의 전단은 제1 브라켓 베이스(181a)의 후면에 접촉하거나 이와 인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브(181Ra, 181Rb)의 접촉부(181R3)는 제1 사이드 파트(183d)의 제2 지지부(183R2)에 접촉하거나 이와 인접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브(181Ra, 181Rb)의 제3 지지부(183R3)와 제4 지지부(183R4)는 제1 밴딩부(181b)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25 및 2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20)가 휘어진 상태에서, 제1 브라켓 베이스(181a)는 제1 사이드 파트(183d)의 전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브(181Ra, 181Rb, 도 21 참조)의 접촉부(181R3)는 제1 사이드 파트(183d)의 제2 지지부(183R2) 상에서 제1 지지부(183R1) 쪽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브(181Ra, 181Rb)의 제3 지지부(183R3)와 제4 지지부(183R4)는 제1 밴딩부(181b)의 내측과 점차 가까워지고 이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120)가 휘어지더라도, 걸림 돌기(180H)를 통해 플레이트(120)에 고정된 제1 브라켓(181)의 제1 리브(181Ra, 181Rb)와 제1 밴딩부(181b)는 제1 사이드 파트(183d)에 의해 플레이트(120)가 편평한 상태일 때와 같이 전후방향에 나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 돌기(180H)는 제1 리브(181Ra, 181Rb) 부근에서 제1 리브(181Ra, 181Rb)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리브(181Ra, 181Rb)와 제1 밴딩부(181b)는 제1 사이드 파트(183d)에 의해 제1 브라켓 베이스(181a)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제1 브라켓(181)의 안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도 26의 화살표 참조). 즉, 플레이트(120)의 휨에 대응하여 제1 밴딩부(181b)가 제3 사이드 파트(183)로부터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1 밴딩부(181b)의 커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밴딩부(181b)와 제3 사이드 파트(183) 사이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1 밴딩부(181b)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1 밴딩부(181b)의 상변(181b2)은 전후방향에 나란한 선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예각(theta b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밴딩부(181b)의 하변(181b3)은 전후방향에 나란한 선에 대하여 위쪽으로 예각(theta b3)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쉴드(189Sa, 189Sc)는 제1 어퍼 쉴드(189Sa)와 제1 로어 쉴드(189S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어퍼 쉴드(189Sa)와 제1 로어 쉴드(189Sc)는 상하로 대칭될 수 있다.
제1 어퍼 쉴드(189Sa)는 제1 밴딩부(181b)에 이웃할 수 있고, 탑 파트(183b, 도 28 참조)와 전후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어퍼 쉴드(189Sa)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수평 쉴드(189S1)와, 수평 쉴드(189S1)에 교차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수직 쉴드(189S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쉴드(189S1)는 제1 브라켓 베이스(181a)의 상변에 인접할 수 있고, 제1 브라켓 베이스(181a)의 후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수직 쉴드(189S2)는 수평 쉴드(189S1)와 제1 밴딩부(181b)의 상변(181b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어퍼 쉴드(189Sa)는 탄성력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어퍼 쉴드(189Sa)는 PC(polycarbonate)와 같은 레진(resin)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쉴드(189S1)와 수직 쉴드(189S2)의 경계에서, 제1 어퍼 쉴드(189Sa)는 제1 브라켓 베이스(181a)를 향해 눌리며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력에 의해 접힌 상태로 다시 복원될 수 있다.
제1 로어 쉴드(189Sc)는 제1 밴딩부(181b)에 이웃할 수 있고, 바텀 파트(183c, 도 28 참조)와 전후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로어 쉴드(189Sc)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수평 쉴드(189S1)와, 수평 쉴드(189S1)에 교차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수직 쉴드(189S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쉴드(189S1)는 제1 브라켓 베이스(181a)의 하변에 인접할 수 있고, 제1 브라켓 베이스(181a)의 후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수직 쉴드(189S2)는 수평 쉴드(189S1)와 제1 밴딩부(181b)의 하변(181b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로어 쉴드(189Sc)는 탄성력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로어 쉴드(189Sc)는 PC(polycarbonate)와 같은 레진(resin)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쉴드(189S1)와 수직 쉴드(189S2)의 경계에서, 제1 로어 쉴드(189Sc)는 제1 브라켓 베이스(181a)를 향해 눌리며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력에 의해 접힌 상태로 다시 복원될 수 있다.
제2 밴딩부(181c)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2 밴딩부(181c)의 상변(181c2)은 전후방향에 나란한 선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예각(theta c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밴딩부(181c)의 하변(181c3)은 전후방향에 나란한 선에 대하여 위쪽으로 예각(theta c3)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쉴드(189Sb, 189Sd)는 제2 어퍼 쉴드(189Sb)와 제2 로어 쉴드(189S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어퍼 쉴드(189Sb)와 제2 로어 쉴드(189Sd)는 상하로 대칭될 수 있다.
제2 어퍼 쉴드(189Sb)는 제2 밴딩부(181c)에 이웃할 수 있고, 탑 파트(183b, 도 28 참조)와 전후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어퍼 쉴드(189Sb)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수평 쉴드(189S1)와, 수평 쉴드(189S1)에 교차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수직 쉴드(189S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쉴드(189S1)는 제1 브라켓 베이스(181a)의 상변에 인접할 수 있고, 제1 브라켓 베이스(181a)의 후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수직 쉴드(189S2)는 수평 쉴드(189S1)와 제2 밴딩부(181c)의 상변(181c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어퍼 쉴드(189Sb)는 탄성력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어퍼 쉴드(189Sb)는 PC(polycarbonate)와 같은 레진(resin)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쉴드(189S1)와 수직 쉴드(189S2)의 경계에서, 제2 어퍼 쉴드(189Sb)는 제1 브라켓 베이스(181a)를 향해 눌리며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력에 의해 접힌 상태로 다시 복원될 수 있다.
제2 로어 쉴드(189Sd)는 제2 밴딩부(181c)에 이웃할 수 있고, 바텀 파트(183c, 도 28 참조)와 전후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로어 쉴드(189Sd)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수평 쉴드(189S1)와, 수평 쉴드(189S1)에 교차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수직 쉴드(189S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쉴드(189S1)는 제1 브라켓 베이스(181a)의 하변에 인접할 수 있고, 제1 브라켓 베이스(181a)의 후면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수직 쉴드(189S2)는 수평 쉴드(189S1)와 제2 밴딩부(181c)의 하변(181c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로어 쉴드(189Sd)는 탄성력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로어 쉴드(189Sd)는 PC(polycarbonate)와 같은 레진(resin)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쉴드(189S1)와 수직 쉴드(189S2)의 경계에서, 제2 로어 쉴드(189Sd)는 제1 브라켓 베이스(181a)를 향해 눌리며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력에 의해 접힌 상태로 다시 복원될 수 있다.
도 27 및 28을 참조하면, 제1 브라켓(181)이 휘어지면, 제1 브라켓 베이스(181a)는 리어 커버(18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쉴드(189Sa, 189Sc)와 제2 쉴드(189Sb, 189Sd)는 도 27처럼 전개될 수 있고, 탑 파트(183b)와 제1 브라켓(181) 사이의 갭(G10a)과 바텀 파트(183c)와 제1 브라켓(181) 사이의 갭(G10c)을 커버할 수 있다(도 28의 왼쪽 그림으로부터 오른쪽 그림을 참조).
제1 브라켓(181)이 다시 편평하게 펴지면, 제1 브라켓 베이스(181a)는 리어 커버(18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쉴드(189Sa, 189Sc)와 제2 쉴드(189Sb, 189Sd)는 탑 파트(183b)와 바텀 파트(183c)에 의해 눌릴 수 있다(도 28의 오른쪽 그림으로부터 왼쪽 그림을 참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굽힘 또는 펼침 동작에 대응하여, 브라켓(180)의 내부는 리어 커버(183)와 쉴드(189S)에 의해 지속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브라켓(180)의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2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커브드 방향에서 서로 대향(opposite)하는 좌변과 우변을 지니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브라켓;으로서, 상기 브라켓의 둘레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브라켓; 그리고, 상기 브라켓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로서, 상기 브라켓의 중앙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리어 커버의 좌변으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사이드 파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좌변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밴딩부; 그리고, 상기 제1 밴딩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 리브;로서,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에 대하여 상기 제1 밴딩부에 대향(opposite)하는 제1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리어 커버의 우변으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향해 돌출되는 제2 사이드 파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우변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밴딩부; 그리고, 상기 제2 밴딩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리브;로서, 상기 제2 사이드 파트에 대하여 상기 제2 밴딩부에 대향(opposite)하는 제2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이드 파트는,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와 같은 형상을 지닐 수 있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1 리브와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이 변경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에 슬라이딩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과 마주하는 브라켓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밴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휘어짐에 따라서 상기 브라켓 베이스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사이드 파트를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사이드 파트는: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로서,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커지는 돌출 높이를 지니는 제1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로서,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돌출 높이를 지니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지지부의 길이보다 클 수 있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이 변경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에 슬라이딩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1 밴딩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말단에서 상기 돌출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에 대하여 상기 제1 밴딩부에 대향(opposite)하는 연장부; 그리고, 상기 연장부의 후단에서 상기 제1 사이드 파트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이드 파트는: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제3 지지부;로서, 후방으로 갈수록 커지는 돌출 높이를 지니는 제3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4 지지부;로서, 상기 제3 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돌출 높이를 지니는 제4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2 지지부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지지부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1 밴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휘어짐에 따라서 상기 제3 지지부와 상기 제4 지지부에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두께방향에서, 상기 제3 지지부와 상기 제4 지지부와 중첩될 수 있고, 상기 제1 사이드 파트는: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전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인접하는 삼각형의 노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좌변에 인접하고, 상기 브라켓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플렉서블 이너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센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센터 고정부에 대향(opposite)하고, 상기 센터 고정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리어 커버의 상변으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향해 돌출되는 탑 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밴딩부에 이웃하고, 상기 탑 파트와 전후로 중첩되는 제1 쉴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쉴드는, 탄성을 지닐 수 있고, 상기 탑 파트와 상기 브라켓 사이의 갭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쉴드는: 상기 브라켓에 교차하는 수평 쉴드; 그리고, 상기 수평 쉴드에 교차하는 수직 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쉴드는, 상기 수평 쉴드와 상기 수직 쉴드의 경계에서, 상기 탑 파트에 의해 눌리며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전자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대향(opposite)하고,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구동 모듈;로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구동 모듈;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일단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좌변에 인접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타단을 지니는 제1 윙;으로서, 상기 일단에 인접하는 제1 피봇축을 구비하는 제1 윙;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일단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우변에 인접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타단을 지니는 제2 윙;으로서, 상기 일단에 인접하는 제2 피봇축을 구비하는 제2 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커브드 방향에서 서로 대향(opposite)하는 좌변과 우변을 지니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브라켓;으로서, 상기 브라켓의 둘레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브라켓; 그리고,
    상기 브라켓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로서, 상기 브라켓의 중앙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리어 커버의 좌변으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사이드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좌변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밴딩부; 그리고,
    상기 제1 밴딩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 리브;로서,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에 대하여 상기 제1 밴딩부에 대향(opposite)하는 제1 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리어 커버의 우변으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향해 돌출되는 제2 사이드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우변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밴딩부; 그리고,
    상기 제2 밴딩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리브;로서, 상기 제2 사이드 파트에 대하여 상기 제2 밴딩부에 대향(opposite)하는 제2 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 파트는,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와 같은 형상을 지니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1 리브와 좌우로 대칭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이 변경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에 슬라이딩 접촉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과 마주하는 브라켓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휘어짐에 따라서 상기 브라켓 베이스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사이드 파트를 향해 기울어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파트는: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로서,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커지는 돌출 높이를 지니는 제1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로서,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돌출 높이를 지니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지지부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이 변경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에 슬라이딩 접촉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1 밴딩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말단에서 상기 돌출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에 대하여 상기 제1 밴딩부에 대향(opposite)하는 연장부; 그리고,
    상기 연장부의 후단에서 상기 제1 사이드 파트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에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파트는: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제3 지지부;로서, 후방으로 갈수록 커지는 돌출 높이를 지니는 제3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4 지지부;로서, 상기 제3 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돌출 높이를 지니는 제4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2 지지부의 길이에 대응하며,
    상기 제4 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지지부의 길이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밴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휘어짐에 따라서 상기 제3 지지부와 상기 제4 지지부에 가까워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두께방향에서, 상기 제3 지지부와 상기 제4 지지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1 사이드 파트는:
    상기 제1 사이드 파트의 전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인접하는 삼각형의 노치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좌변에 인접하고, 상기 브라켓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플렉서블 이너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센터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센터 고정부에 대향(opposite)하고, 상기 센터 고정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리어 커버의 상변으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향해 돌출되는 탑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밴딩부에 이웃하고, 상기 탑 파트와 전후로 중첩되는 제1 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쉴드는,
    탄성을 지니고, 상기 탑 파트와 상기 브라켓 사이의 갭을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쉴드는:
    상기 브라켓에 교차하는 수평 쉴드; 그리고,
    상기 수평 쉴드에 교차하는 수직 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쉴드는,
    상기 수평 쉴드와 상기 수직 쉴드의 경계에서, 상기 탑 파트에 의해 눌리며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전자부품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대향(opposite)하고,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구동 모듈;로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구동 모듈;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일단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좌변에 인접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타단을 지니는 제1 윙;으로서, 상기 일단에 인접하는 제1 피봇축을 구비하는 제1 윙;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일단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우변에 인접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타단을 지니는 제2 윙;으로서, 상기 일단에 인접하는 제2 피봇축을 구비하는 제2 윙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20068075A 2022-06-03 2022-06-0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67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075A KR20230167883A (ko) 2022-06-03 2022-06-0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CT/KR2022/011366 WO2023234470A1 (ko) 2022-06-03 2022-08-0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8/093,461 US20230393628A1 (en) 2022-06-03 2023-01-05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075A KR20230167883A (ko) 2022-06-03 2022-06-0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883A true KR20230167883A (ko) 2023-12-12

Family

ID=8897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075A KR20230167883A (ko) 2022-06-03 2022-06-0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93628A1 (ko)
KR (1) KR20230167883A (ko)
WO (1) WO202323447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3526A (ja) * 2012-12-28 2016-03-1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193921B1 (ko) * 2014-04-23 202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20170067368A (ko) * 2015-12-08 2017-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76556B1 (ko) * 2019-06-28 2024-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56094A (ko) * 2019-11-08 2021-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4470A1 (ko) 2023-12-07
US20230393628A1 (en)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0240B2 (en) Display device
US9420215B2 (en) Display apparatus
US10034399B2 (en) Display device
KR10256061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10272484A1 (en) Display device
KR20180022309A (ko)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6788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142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039275A1 (en) Display device
KR20130087341A (ko)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40267998A1 (en) Flexible cab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3016788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1817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8889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8889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40147813A1 (en) Display device
US11823596B2 (en) Display device
KR10269039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083552A1 (en) Display device
KR2024002995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12023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2938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7167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200490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6001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