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416A - 헬멧용 버클 - Google Patents

헬멧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416A
KR20230162416A KR1020220062274A KR20220062274A KR20230162416A KR 20230162416 A KR20230162416 A KR 20230162416A KR 1020220062274 A KR1020220062274 A KR 1020220062274A KR 20220062274 A KR20220062274 A KR 20220062274A KR 20230162416 A KR20230162416 A KR 20230162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ocking
helmet
operating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5017B1 (ko
Inventor
임형욱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 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220062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501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6227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85017B1/ko
Priority to PCT/KR2023/005526 priority patent/WO2023224281A1/ko
Publication of KR2023016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5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53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A44B11/258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combined with one buckle element rotating or pivoting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멧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헬멧용 버클은 밴드부(400)의 진입 또는 후퇴시 밴드부(400)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베이스부(100), 베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밴드부(400)와 체결되는 잠금부(200), 및 베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잠금부(200)를 회동시켜 잠금부(200)를 밴드부(400)와 분리시키는 작동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헬멧용 버클{Buckle for helmet}
본 발명은 헬멧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헬멧용 버클은 오토바이 헬멧이나 스키 헬멧 등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헬멧에 이용되는 것으로, 헬멧에 구비된 밴드의 체결/분리 또는 길이조절 등에 이용되는 장치이다. 이때, 헬멧용 버클은 밴드의 체결시 견고하게 고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체결/분리 또는 길이조절시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버클은 탄지부(114)를 가압하면 수 버클(120)의 후크를 압박하여 암 버클(110)과 수 버클(120)의 체결이 해제된다. 하지만, 단순히 탄지부(114)를 가압하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체결이 해제되므로, 오토바이를 운전하거나 스키 등 스포츠를 수행하면서 오작동으로 인하여 버클의 체결이 해제되어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1629928 B1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동부가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작동부가 잠금부를 회동시켜 잠금부를 밴드부와 분리시키는 헬멧용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은 밴드부의 진입 또는 후퇴시 상기 밴드부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밴드부와 체결되는 잠금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상기 잠금부를 회동시켜 상기 잠금부를 상기 밴드부와 분리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일측에 제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일측에 상기 제1 걸림부에 걸리는 제2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소정각도까지 회동되는 동안,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는 이격되고,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상기 제1 걸림부에 상기 제2 걸림부가 걸린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일측에 소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소정공간의 경계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소정각도까지 회동되는 동안,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소정공간 내에서 상기 작동부에 대해서 이동되고,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상기 제1 걸림부에 상기 제2 걸림부가 걸린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작동부의 측면에 함몰된 함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함몰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정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밴드부와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양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양측면에 함몰되도록 형성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로 제2 걸림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소정각도까지 회동되는 동안,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함몰부 내에서 상기 작동부에 대해서 이동되고,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상기 제1 걸림부에 상기 제2 걸림부가 걸린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제1 회동축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는 제2 회동축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회동축은 상기 제1 회동축에 비해서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로부터 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회동되기 전,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잠금부를 가압하여 상기 밴드부와 체결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일측에 제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일측에 상기 제1 걸림부에 걸리는 제3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회동되기 전, 상기 제1 걸림부에 상기 제3 걸림부가 걸린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일측에 소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걸림부는 상기 소정공간의 경계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작동부의 측면에 함몰된 함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걸림부는 상기 함몰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정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판형으로 연장된 저부, 및 상기 저부의 양측으로부터 한 쌍이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일측에 상기 잠금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작동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격벽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곡선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에 상기 밴드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토션 스프링이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작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잠금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회동축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부가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작동부가 잠금부를 회동시켜 잠금부를 밴드부와 분리시킴으로써, 오작동으로 인하여 잠금부와 밴드부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및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의 최초 체결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은 오토바이 헬멧이나 스키 헬멧 등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헬멧에 채용되는 것으로, 헬멧에 구비된 밴드의 체결/분리 또는 길이조절 등에 이용되는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은 밴드부(400)의 진입 또는 후퇴시 밴드부(400)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베이스부(100), 베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밴드부(400)와 체결되는 잠금부(200), 및 베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잠금부(200)를 회동시켜 잠금부(200)를 밴드부(400)와 분리시키는 작동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밴드부(400)의 진입 또는 후퇴시 밴드부(400)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며, 잠금부(200)와 작동부(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베이스부(100)는 저부(110)와 한 쌍의 격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부(110)는 밴드부(400)에 대응하도록 판 형상으로 연장되고, 격벽(120)은 저부(110)의 양측(길이방향의 테두리)으로부터 한 쌍이 마주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격벽(120)에는 일측(밴드부(400)가 진입하는 측으로부터 먼 영역)에 잠금부(20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밴드부(400)가 진입하는 측으로부터 가까운 영역)에 작동부(300)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격벽(120)의 일측에는 제1 회동축(220)이 결합되어, 잠금부(200)는 제1 회동축(220)에 의해서 베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격벽(120)의 타측에는 제2 회동축(340)이 결합되어, 작동부(300)는 제2 회동축(340)에 의해서 베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베이스부(100)는 밴드나 벨트 등에 연결되어 헬멧에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서 밴드나 벨트가 연결되는 연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30)는 격벽(120)의 말단(밴드부(400)가 진입하는 방향의 반대쪽 말단)으로부터 작동부(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00, 저부(110))는 착용자의 턱 형태에 대응하도록 곡률을 갖는 곡선으로 연장됨으로써, 착용 이질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0)는 착용자와 직접 접촉되므로, 예를 들어 인체에 무해한 SS316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잠금부(200)는 밴드부(400)와 체결되어 밴드부(4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부(200)는 제1 회동축(220)에 의해서 베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저부(11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도 3 참조), 베이스부(100)의 저부(110)와 잠금부(200)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밴드부(400)가 진입하거나 후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200)는 일측에 제1 걸림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부(200)는 체결부(205), 및 제1 걸림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205)는 밴드부(400)와 체결되는 것으로, 제1 회동축(220)에 의해서 베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205)의 일면(하면)에는 제2 요철부(230)가 형성되는데, 제2 요철부(230)는 밴드부(400)에 형성된 제1 요철부(410)에 결합됨으로써, 체결부(205)가 밴드부(40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부(210)는 작동부(300)의 양측면으로부터 일방향(제1 회동축(2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밴드부(400)의 진입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작동부(300)의 제2 걸림부(310) 또는 제3 걸림부(320)에 걸려 체결부(205)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 걸림부(210)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작동부(300)의 양측면에 형성된 함몰부(335)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걸림부(210)에 작동부(300)의 제3 걸림부(320)가 걸려, 잠금부(200)가 밴드부(400)와 체결되거나, 또는 작동부(300)의 회동에 따라 제1 걸림부(210)에 작동부(300)의 제2 걸림부(310)가 걸려, 체결부(205)가 밴드부(400)와 분리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부(300)는 잠금부(200)를 회동시켜 잠금부(200)를 밴드부(400)와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부(300)는 제2 회동축(340)에 의해서 베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작동부(300)는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잠금부(200)를 회동시켜 잠금부(200)를 밴드부(400)와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부(300)는 일측에 잠금부(200)의 제1 걸림부(210)에 걸리는 제2 걸림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소정각도까지 회동되는 동안, 잠금부(200)의 제1 걸림부(210)와 작동부(300)의 제2 걸림부(310)는 이격된다. 따라서, 작동부(3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소정각도까지 회동되는 동안, 잠금부(200)는 회동되지 않는다. 단,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잠금부(200)의 제1 걸림부(210)에 작동부(300)의 제2 걸림부(310)가 걸린다. 따라서, 작동부(3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작동부(300)와 함께 잠금부(200)가 회동되면서 밴드부(400)와 분리될 수 있다. 결국, 작동부(3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될 때만, 잠금부(200)를 회동시켜 잠금부(200)를 밴드부(400)와 분리시킴으로써, 오작동으로 인하여 잠금부(200)와 밴드부(400)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00)는 일측에 소정공간(330)이 형성되고, 제2 걸림부(310)는 소정공간(330)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부(300)의 소정공간(330)은 작동부(300)의 측면(양측면)에 형성된 함몰부(335)에 형성될 수 있고, 작동부(300)의 제2 걸림부(310)는 함몰부(335)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337)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판형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210)는 작동부(300)의 소정공간(330, 함몰부(335))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부(3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소정각도까지 회동되는 동안(도 3 내지 4 참조), 제1 걸림부(210)는 소정공간(330, 함몰부(335)) 내에서 작동부(30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잠금부(200)는 회동되지 않는다. 단, 작동부(3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도 5 내지 도 6 참조), 잠금부(200)의 제1 걸림부(210)에 작동부(300)의 제2 걸림부(310, 함몰부(335)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337))가 걸림으로써, 작동부(300)와 함께 잠금부(200)가 회동되면서 밴드부(400)와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작동부(300)가 회동되는 상기 소정각도(잠금부(200)가 회동되지 않는 오작동 방지 구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0° 내지 30°일 수 있고, 상기 소정각도 이후에 작동부(300)가 회동되는 최대각도(잠금부(200)가 회동되는 작동 구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35° 내지 50°일 수 있다.
한편, 잠금부(200)는 제1 회동축(220)에 의해서 베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부(300)는 제2 회동축(340)에 의해서 베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제2 회동축(340)은 제1 회동축(220)에 비해서 제1,2 걸림부(210, 310, 걸림영역)로부터 멀다. 따라서, 작동부(300)의 제2 회동축(340)으로부터 걸림영역까지의 거리가 잠금부(200)의 제1 회동축(220)으로부터 걸림영역까지의 거리보다 크므로, 작동부(300)의 회동량은 잠금부(200)의 회동량에 비해서 크다. 이와 같이, 작동부(300)의 회동량이 잠금부(200)의 회동량에 비해서 크므로, 착용자가 작동부(300)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잠금부(200)에서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00)는 잠금부(200)를 가압하여 밴드부(400)와 체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작동부(300)는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회동되기 전, 탄성수단(500)의 탄성력에 의해서 잠금부(200)를 밴드부(40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작동부(300)에 의해서 잠금부(200)가 가압되면, 밴드부(400)의 제1 요철부(410)와 잠금부(200)의 제2 요철부(230)가 결합되면서, 잠금부(200)가 벤트부(400)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부(300)는 일측에 잠금부(200)의 제1 걸림부(210)에 걸리는 제3 걸림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작동부(3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회동되기 전, 제1 걸림부(210)에 제3 걸림부(320)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작동부(3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회동되기 전, 작동부(300)가 잠금부(200)를 가압함으로써, 잠금부(200)를 밴드부(400)와 체결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00)는 일측에 소정공간(330)이 형성되고, 제3 걸림부(320)는 소정공간(330)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부(300)의 소정공간(330)은 작동부(300)의 측면(양측면)에 형성된 함몰부(335)에 형성될 수 있고, 작동부(300)의 제3 걸림부(320)는 함몰부(335)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337)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판형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210)는 작동부(300)의 소정공간(330, 함몰부(335))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부(3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회동되기 전(도 3 참조), 잠금부(200)의 제1 걸림부(210)에 작동부(300)의 제3 걸림부(320, 함몰부(335)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337))가 걸림으로써, 작동부(300)가 잠금부(200)를 가압하여 잠금부(200)를 밴드부(400)와 체결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00)의 측면(양측면)에 형성된 하나의 함몰부(335)를 통해서, 제2 걸림부(310)와 제3 걸림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부(300)에 형성된 함몰부(335)의 하측 경계에 형성된 단차(337)로 제2 걸림부(310)가 형성되고, 작동부(300)에 형성된 함몰부(335)의 상측 경계에 형성된 단차(337)로 제3 걸림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잠금부(200)의 제1 걸림부(210)는 제2 걸림부(310)와 제3 걸림부(320) 사이의 소정공간(33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부(3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회동되기 전(도 3 참조), 잠금부(200)의 제1 걸림부(210)의 상측에 작동부(300)의 제3 걸림부(320)가 걸릴 수 있고, 작동부(3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도 5 내지 도 6 참조), 제1 걸림부(210)의 하측에 제2 걸림부(310)가 걸릴 수 있다.
한편, 작동부(300)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아노다이징 처리를 통해서 작동부(300)는 특정 색상(예를 들어, 적색)을 구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작동부(300)에 밴드부(40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50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수단(500)은 토션 스프링일 수 있고, 이때 토션 스프링(500)의 원통형 본체는 작동부(300)를 베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회동축(34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토션 스프링(500)의 일단은 작동부(300)의 삽입홈(350)에 결합되고, 토션 스프링(500)에 타단은 잠금부(200)를 베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회동축(220)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500)은 타단이 제1 회동축(220)에 지지되어, 제2 회동축(34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력(탄성력)을 일단을 통해서 작동부(3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착용자가 작동부(300)를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부(300)의 말단에는 당김수단(600)이 구비될 수 있다(도 1 참조). 따라서, 착용자는 당김수단(600)을 당김으로써, 작동부(300)를 베이스부(100)에 대해서 쉽게 회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의 최초 체결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400)의 제1 요철부(410)의 요철 중, 밴드부(400)가 베이스부(100)에 진입할 때, 잠금부(200)의 제2 요철부(230)의 요철과 첫번째로 만나는 제1 요(凹) 영역(413)은 제2 요철부(230) 중 밴드부(400)가 베이스부(100)에 진입할 때, 잠금부(200)의 제1 요철부(410)의 요철과 첫번째로 만나는 제1 철(凸) 영역(233)보다 폭이 좁다(W1<W2). 또한, 상기 제1 요 영역(413)은 제2 요철부(230)의 요철 중, 밴드부(400)가 베이스부(100)에 진입할 때, 제1 요철부(410)의 요철과 두번째로 만나는 제2 철(凸) 영역(235)과 폭이 같거나(W1=W3) 또는 제2 철 영역(235)보다 폭이 넓다(W1>W3). 즉, 제1 요철부(410)의 최선단에 배치된 제1 요 영역(413)은 제2 요철부(230)의 최선단에 배치된 제1 철 영역(233)보다 폭이 좁고(W1<W2), 제1 철 영역(233) 다음에 배치된 제2 철 영역(235)과 폭이 같거나(W1=W3) 또는 제2 철 영역(235)보다 폭이 넓다(W1>W3).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제1 철 영역(233)은 제1 요 영역(413)에 체결되지 않고(도 7b 참조), 제2 철 영역(235)이 제1 요 영역(413)에 체결된다(도 7c 참조). 따라서, 밴드부(400)와 잠금부(200)는 하나의 요 영역과 하나의 철 영역만으로 체결되지 않고(도 7b 참조), 적어도 두 개의 요 영역과 두 개의 철 영역이 체결되므로(도 7c 참조), 밴드부(400)와 잠금부(200) 사이에 견고한 체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제1 요 영역(413)이 제1 철 영역(233)보다 폭이 좁고(W1<W2), 제2 철 영역(235)과 폭이 같거나(W1=W3), 또는 제2 철 영역(235)보다 폭이 넓게(W1>W3) 하기 위해서, 다양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요 영역(413)의 폭을 제한할 수 있도록, 제1 요 영역(413)의 폭 방향 양단에는 돌출부(413a)가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베이스부 110: 저부
120: 격벽 130: 연결부
200: 잠금부 205: 체결부
210: 제1 걸림부 220: 제1 회동축
230: 제2 요철부 233: 제1 철 영역
235: 제2 철 영역 300: 작동부
310: 제2 걸림부 320: 제3 걸림부
330: 소정공간 335: 함몰부
337: 단차 340: 제2 회동축
350: 삽입홈 400: 밴드부
410: 제1 요철부 413: 제1 요 영역
413a: 돌출부 500: 탄성수단
600: 당김수단

Claims (16)

  1. 밴드부의 진입 또는 후퇴시 상기 밴드부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밴드부와 체결되는 잠금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상기 잠금부를 회동시켜 상기 잠금부를 상기 밴드부와 분리시키는 작동부;
    를 포함하는 헬멧용 버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일측에 제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일측에 상기 제1 걸림부에 걸리는 제2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소정각도까지 회동되는 동안,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는 이격되고,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상기 제1 걸림부에 상기 제2 걸림부가 걸리는 헬멧용 버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일측에 소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소정공간의 경계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소정각도까지 회동되는 동안,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소정공간 내에서 상기 작동부에 대해서 이동되고,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상기 제1 걸림부에 상기 제2 걸림부가 걸리는 헬멧용 버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작동부의 측면에 함몰된 함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함몰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로 형성되는 헬멧용 버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정공간에 배치되는 헬멧용 버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밴드부와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양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된 제1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양측면에 함몰되도록 형성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로 제2 걸림부가 형성되는 헬멧용 버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소정각도까지 회동되는 동안,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함몰부 내에서 상기 작동부에 대해서 이동되고,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소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상기 제1 걸림부에 상기 제2 걸림부가 걸리는 헬멧용 버클.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제1 회동축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는 제2 회동축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회동축은 상기 제1 회동축에 비해서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로부터 먼 헬멧용 버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회동되기 전,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잠금부를 가압하여 상기 밴드부와 체결시키는 헬멧용 버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일측에 제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일측에 상기 제1 걸림부에 걸리는 제3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회동되기 전, 상기 제1 걸림부에 상기 제3 걸림부가 걸리는 헬멧용 버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일측에 소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걸림부는 상기 소정공간의 경계에 형성되는 헬멧용 버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작동부의 측면에 함몰된 함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걸림부는 상기 함몰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로 형성되는 헬멧용 버클.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정공간에 배치되는 헬멧용 버클.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판형으로 연장된 저부; 및
    상기 저부의 양측으로부터 한 쌍이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일측에 상기 잠금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작동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격벽;
    을 포함하는 헬멧용 버클.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에 상기 밴드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을 더 포함하는 헬멧용 버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토션 스프링이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작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잠금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회동축에 지지되는 헬멧용 버클.
KR1020220062274A 2022-05-20 2022-05-20 헬멧용 버클 KR102685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274A KR102685017B1 (ko) 2022-05-20 헬멧용 버클
PCT/KR2023/005526 WO2023224281A1 (ko) 2022-05-20 2023-04-24 헬멧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274A KR102685017B1 (ko) 2022-05-20 헬멧용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416A true KR20230162416A (ko) 2023-11-28
KR102685017B1 KR102685017B1 (ko) 2024-07-16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928B1 (ko) 2015-11-30 2016-06-13 주식회사 산청 소방 헬멧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928B1 (ko) 2015-11-30 2016-06-13 주식회사 산청 소방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4281A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0618B2 (en) Adjustment mechanism for a helmet
EP1781130B1 (en) Adjustable helmet
CN110650643B (zh) 头盔
US4641382A (en) Helmet fastening device
US20090222978A1 (en) Buckle strap adjustment assembly for safety helmets
PT2421393E (pt) Revestimento de absorção de impacto com dispositivo de ajustamento
AU713262B2 (en) Goggles
KR102685017B1 (ko) 헬멧용 버클
KR101995947B1 (ko)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US6070272A (en) Goggles with connecting plate assembly at outer ends
KR20230162416A (ko) 헬멧용 버클
WO2010076817A1 (en) A device for the detachable connection of protective goggles of the mask type to protective helmets for sports use and a helmet including the device
KR101900422B1 (ko) 손목 보호대
US6971190B2 (en) Foot retention device
ES2774907T3 (es) Hebilla para casco
US5343640A (en) Ski boot
AU2001285138B2 (en) Foot retention device
CN210278161U (zh) 泳镜扣带
AU2001285138A1 (en) Foot retention device
CN113543670A (zh) 头盔下颚带分隔器
EP3777590A1 (en) Helmet retention system with adjustment mechanism
TW201014539A (en) Lining head strap adjusting structure of helmet
KR101681106B1 (ko) 헤드밴드 조절장치가 부착된 스키고글
US9636569B2 (en) Adjustment system for straps on snowboard bindings
WO2008139240A1 (en) Sports crash helmet having hear protecting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