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158A - 층간소음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158A
KR20230149158A KR1020220048520A KR20220048520A KR20230149158A KR 20230149158 A KR20230149158 A KR 20230149158A KR 1020220048520 A KR1020220048520 A KR 1020220048520A KR 20220048520 A KR20220048520 A KR 20220048520A KR 20230149158 A KR20230149158 A KR 20230149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space
case
grains
thin meta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9619B1 (ko
Inventor
이광우
Original Assignee
이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우 filed Critical 이광우
Priority to KR1020220048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619B1/ko
Publication of KR2023014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소음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건물의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층간소음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수용공간부에 눕혀져 설치되며 수용공간부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는 금속박판과, 케이스의 바닥에 형성되어 금속박판을 관통하며 금속박판이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지지봉과, 금속박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수용공간부에 설치되는 감쇠체와, 금속박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수용공간부에 설치되는 흡음패드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용공간부를 밀폐시키는 커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층간소음 저감장치{apparatus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본 발명은 층간소음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건물의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층간소음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 빌라,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 있어서 소음공해는 거주자의 주거환경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층간 바닥충격음은 직접적으로 거주자의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어 주거환경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적인 공동주택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면에 단열성능을 위한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타설 완료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상부면에 난방배관을 설치하여 시멘트 몰탈로 마감하고 있다. 이러한 바닥구조가 적용된 공동주택은 바닥충격음이 바닥슬래브 및 벽체를 통해 그대로 하층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1573호에는 건물의 층간흡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건물의 층간흡음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웨이트부재를 스프링으로 매달아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웨이트부재만으로 층간소음을 저감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1573호: 건물의 층간흡음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건물의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수용공간부에 눕혀져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부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는 금속박판과;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금속박판을 관통하며, 상기 금속박판이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지지봉과; 상기 금속박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에 설치되는 감쇠체와; 상기 금속박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에 설치되는 흡음패드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부를 밀폐시키는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감쇠체는 박판의 금속띠가 뭉쳐져 형성되며, 상기 금속띠는 나선형으로 비틀려서 형성된다.
상기 감쇠체는 상기 수용공간부에 충진된 다수의 알갱이들로 형성된다.
상기 알갱이들은 적어도 2개의 그룹들로 분류되며, 상기 그룹들은 서로 접촉되거나 분리된 제 1그룹과, 상기 제 1그룹에 속한 알갱이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그룹에 속한 알갱이들보다 크기 또는 비중이 작은 제 2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감쇠체는 상기 금속띠의 공극에 삽입된 알갱이들을 더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는 고무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고주파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각 층의 바닥에 매립되어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을 감쇠시킴으로써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쇠체, 금속박판, 흡음패드를 적층하는 구조를 통해 층간소음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면서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물, 특히나 아파트, 빌라,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바닥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건물의 바닥에 매립되는 층간소음 저장장치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부(11)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수용공간부(11)에 눕혀져 설치되며 수용공간부(11)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는 금속박판(20)과, 케이스(10)의 바닥에 형성되어 금속박판(20)을 관통하며 금속박판(20)이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지지봉(25)과, 금속박판(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수용공간부(11)에 설치되며 박판의 금속띠(31)가 뭉쳐져 형성되어 충격을 감쇠시키는 감쇠체(30)와, 금속박판(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수용공간부(11)에 설치되며 다수의 셀들이 형성된 흡음패드(40)와, 케이스(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용공간부(11)를 밀폐시키는 커버(15)를 구비한다.
케이스(11)는 박스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빈 공간인 수용공간부(11)가 마련된다. 케이스(11)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케이스(11)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무 소재로 형성된다. 고무 소재의 케이스(11)는 방진 효과가 우수하다.
커버(15)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커버(15)는 나사에 의해 케이스(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커버(15)는 진동이 수용공간부(20)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버(15)에는 엠보싱 구조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 요철은 커버(15)의 바깥 표면 또는 내측 표면에 형성된다. 또한, 엠보싱 요철은 커버(15)의 바깥 표면 및 내측 표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15)에 엠보싱 요철을 형성할 경우 표면적이 커져 수용공간부(11)로의 진동 전달효과를 높일 수 있다.
케이스(11)의 내부에는 다수의 지지봉(25)이 설치된다. 지지봉(25)은 케이스(11)와 일체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지지봉(25)은 케이스(11)의 내측 바닥에서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지지봉(25)의 높이는 케이스(11)의 높이보다 다소 낮게 형성된다. 지지봉(25)은 금속박판(2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운반 및 시공시 지지봉(25)은 금속박판(20)을 지지하여 금속박판(20)이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금속박판(20)은 수용공간부(11)에 눕혀져서 수평하게 설치된다. 금속박판(20)은 감쇠체(30)와 흡음패드(40)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금속박판(20)에는 지지봉(25)이 관통하는 관통홀(21)이 형성된다. 관통홀(21)의 직경은 지지봉(25)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금속박판(20)은 케이스(10)의 내부 단면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금속박판(20)의 전후좌우 가장자리는 케이스(10)의 내측면과 이격된다. 이는 금속박판(20)이 소음 충격에 의해 진동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금속박판(20)은 외부에서 수용공간부(11)로 전달되는 소음 충격에 의해 진동을 일으킬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얇은 두께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금속박판(20)은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박판(20)의 두께는 0.1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박판(20)의 두께가 0.1mm 미만이면 내구성이 약하고, 금속박판(20)의 두께가 5mm를 초과하면 진동의 감쇠효과가 낮다.
금속박판(20)으로 소음이 전달되면 얇은 금속박판(20)이 진동하면서 소음의 일부를 상쇄시키고 나머지의 소음은 감쇠체(30)로 전달한다.
감쇠체(30)는 금속박판(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수용공간부(11)에 설치된다. 감쇠체(30)는 박판의 금속띠(31)가 뭉쳐져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금속띠(31)가 뭉쳐져 사각의 판상 형태를 갖는 감쇠체(30)를 나타내고 있다. 지지봉(25)은 감쇠체(30)를 관통한다.
금속띠(31)는 나선형으로 비틀려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두께 0.01 내지 1mm인 금속띠(31)를 나선형으로 말아서 스프링과 같은 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금속띠(31)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미세한 진동을 발생시켜 충격음을 감쇠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금속띠(31)의 두께는 0.01 내지 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띠(31)의 두께가 0.2mm 미만이면 내구성이 약하고, 금속띠(31)의 두께가 2mm를 초과하면 진동의 감쇠효과가 낮다. 금속띠(31)의 폭은 0.5 내지 5mm일 수 있다.
흡음패드(40)는 일정한 두께의 사각판으로 형성된다. 가령, 흡음패드(39)는 2 내지 30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흡음패드(40)에는 지지봉(25)이 삽입되는 삽입홀(45)이 형성된다.
흡음패드(40)는 금속박판(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으로서, 상판(15)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흡음패드(40)를 통해 일부의 소음은 금속박판(20)으로 전달된다.
흡음패드(40)는 흡음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된다. 가령, 흡음패드(40)는 발포소재 예를 들면, 발포 우레탄 수지, 발포고무, EPS, EPP, PE, EVA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흡음패드(40)는 내부와 표면에 다수의 셀들(41)이 형성된 다공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예에서 셀(cell)은 육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셀(41)은 구형, 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흡음패드(40)에 형성된 셀들(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달아 형성되거나, 이와 달리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셀들(41)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셀들(41)은 모두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모두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흡음패드(40)에 형성된 셀들(41)은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 오픈셀(open cell) 구조를 갖는다. 흡음패드(40)에 형성된 셀들(41)은 각각이 서로 연결된 오픈셀 구조이므로 소음을 각 셀들(53)로 전달하는데 효과적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상부에 놓인 흡음패드(40)에서 1차로 소음을 흡수한 후 나머지 소음은 금속박판(20)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금속박판(20)은 진동하면서 소음의 일부를 상쇄시키고 나머지의 소음은 주위로 전달한다. 그리고 감쇠체(30)는 케이스(10)의 바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종적으로 차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건물의 각 층의 바닥에 매립되어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을 감쇠시킴으로써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에서부터 감쇠체, 금속박판, 흡음패드를 적층하는 구조를 통해 층간소음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면서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층간소음 저감장치는 감쇠체를 제외하고는 도 1과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쇠체(50)는 수용공간부의 하부에 충진된 다수의 알갱이들(51)로 형성된다.
알갱이(51)는 평균입경 1 내지 20mm의 입상 형태로 이루어진다. 알갱이들(51)은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정형화되어 있거나, 비정형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알갱이들(51)은 크기가 균일하거나 불균일할 수 있다.
알갱이(51)로 모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알갱이(51)로 구형의 비드를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된 예는 알갱이(51)로 구형의 비드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알갱이(51)는 모래, 금속, 세라믹, 유리, 합성수지, 광물 등의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알갱이(51)가 금속박판(20) 하부의 수용공간부에 충진되어 감쇠체(50)를 형성하는 경우, 충격음이 알갱이들(51)에 부딪히면서 산란되고, 알갱이들(51) 사이의 공극을 통과하면서 충격음의 에너지가 줄어들면서 감쇠된다.
감쇠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한 감쇠체의 다른 예를 도 4에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감쇠체(60)를 구성하는 알갱이는 적어도 2개의 그룹들로 분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알갱이는 2개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크기가 큰 알갱이들(61)이 속하는 제 1그룹과, 제 1그룹에 속한 알갱이들(61)보다 크기가 작은 알갱이들(63)이 속하는 제 2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제 1그룹에 속하는 알갱이들(61)은 평균입경이 5 내지 20mm이고, 제 2그룹에 속하는 알갱이들(63)은 평균입경이 1 내지 10mm일 수 있다. 제 1그룹의 알갱이(61)와 제 2그룹의 알갱이(63)가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은 1: 0.1~1일 수 있다.
제 1그룹의 알갱이들(61)은 서로 접촉되어 있거나 분리되어 있다. 또한, 제 2그룹의 알갱이들(63) 역시 서로 접촉되어 있거나 분리되어 있다.
2그룹의 알갱이(63)는 제 1그룹의 알갱이들(61) 사이의 형성된 공극의 크기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그룹의 알갱이들(63)은 제 1그룹의 알갱이들(61) 사이의 공극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 2그룹의 알갱이들(63)은 제 1그룹의 알갱이들(61)이 형성하는 공극을 다수로 쪼개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 1그룹의 알갱이들(61) 사이의 공극은 다시 여러 개의 공극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공극 분할효과에 의해 소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그룹의 알갱이(63)는 다공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제 1그룹의 알갱이(61)는 모래나 유리비드 또는 금속비드로 이루어지고, 제 2그룹의 알갱이(63)는 펄라이트나 제롤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충격소음은 제 1그룹의 알갱이들(61)에 부딪히면서 산란되고, 제 1그룹의 알갱이들(61) 사이의 공극을 통과한다. 이때 제 1그룹의 알갱이들(61) 사이의 공극에 위치하는 제 2그룹의 알갱이들(63)의 다공체 구조에 충격소음의 일부는 흡수되고, 나머지는 제 2그룹의 알갱이들(63) 사이의 미세한 공극을 통해 전달되면서 점차 소멸된다.
한편, 제 2그룹의 알갱이(63)는 제 1그룹의 알갱이(61)보다 비중이 더 작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제 1그룹의 알갱이(61)는 비중이 2 내지 10이고, 제 2그룹의 알갱이(63)는 0.5 내지 2일 수 있다. 제 1그룹의 알갱이(61)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더 작아서 가벼운 제 2그룹의 알갱이(63)는 제 1그룹의 알갱이들(61) 사이에서 충격음에 진동을 하면서 소음을 감쇠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감쇠체의 모습을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쇠체(70)는 뭉쳐져 있는 박판의 금속띠(31)와, 금속띠(31)의 공극에 삽입된 알갱이들(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뭉쳐져서 사각의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박판의 금속띠(31)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박판의 금속띠(41)는 나선형으로 비틀어진 특성상 감쇠체(70)의 내부에는 많은 공극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극에 알갱이(51)가 삽입된다.
도시된 감쇠체(70)는 충격음이 전달되면, 금속띠(31)가 미세한 진동을 발생시켜 충격음을 감쇠시킨다. 이와 동시에 충격음은 알갱이들(51)에 부딪히면서 주위로 산란되고, 알갱이들(51) 사이의 공극을 통과하면서 충격음은 감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스(10)의 외측면에는 차단막(13)이 형성된다. 차단막(13)은 케이스(10)를 통과하는 고주파 소음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이다.
차단막(13)은 합성수지 소재의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 소재로 폴리염화비닐이나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차단막(13)은 0.01 내지 0.1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또는 열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차단막(13)을 케이스(10)의 외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
차단막(13)은 고주파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 외에도 케이스(1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동시에 갖는다. 특히나, 방진 효과를 위해 케이스(10)를 고무 소재로 형성시 보호 효과가 유용하다.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장치는 건물의 바닥 콘크리트층에 매립되는 특성상 고무 소재의 케이스(10)는 경화가 빨리 진행된다. 고무가 경화되면 케이스(10)는 방진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하지만, 케이스(10)의 외측면에 차단막(13)이 형성될 경우 케이스(10)는 콘크리트로부터 단절되어 경화가 억제된다.
상술한 도 6의 차단막은 도 3 내지 도 5에 적용된 케이스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케이스 11: 수용공간부
15: 커버 20: 금속박판
25: 지지봉 30: 감쇠체
40: 흡음패드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수용공간부에 눕혀져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부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는 금속박판과;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금속박판을 관통하며, 상기 금속박판이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지지봉과;
    상기 금속박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에 설치되는 감쇠체와;
    상기 금속박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에 설치되는 흡음패드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부를 밀폐시키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체는 박판의 금속띠가 뭉쳐져 형성되며,
    상기 금속띠는 나선형으로 비틀려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체는 상기 수용공간부에 충진된 다수의 알갱이들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갱이들은 적어도 2개의 그룹들로 분류되며,
    상기 그룹들은 서로 접촉되거나 분리된 제 1그룹과, 상기 제 1그룹에 속한 알갱이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그룹에 속한 알갱이들보다 크기 또는 비중이 작은 제 2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체는 상기 금속띠의 공극에 삽입된 알갱이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고무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고주파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장치.
KR1020220048520A 2022-04-19 2022-04-19 층간소음 저감장치 KR102669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520A KR102669619B1 (ko) 2022-04-19 2022-04-19 층간소음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520A KR102669619B1 (ko) 2022-04-19 2022-04-19 층간소음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158A true KR20230149158A (ko) 2023-10-26
KR102669619B1 KR102669619B1 (ko) 2024-05-24

Family

ID=8850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520A KR102669619B1 (ko) 2022-04-19 2022-04-19 층간소음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96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145A (ko) * 2012-03-13 2013-09-25 김석규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20160104507A (ko) * 2015-02-26 2016-09-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음방지재
KR101735764B1 (ko) * 2017-01-04 2017-05-16 (주)일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20180056036A (ko)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제이케이테크 지엠앤 건축물 층간소음 저감용 방음 패널
KR20190090105A (ko) * 2018-01-23 2019-08-01 정현갑 펄라이트를 충진재로 이용한 층간소음이 저감된 뜬바닥 구조의 시공방법
KR102061573B1 (ko) 2016-12-19 2020-01-09 이광우 건물의 층간흡음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145A (ko) * 2012-03-13 2013-09-25 김석규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20160104507A (ko) * 2015-02-26 2016-09-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음방지재
KR20180056036A (ko)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제이케이테크 지엠앤 건축물 층간소음 저감용 방음 패널
KR102061573B1 (ko) 2016-12-19 2020-01-09 이광우 건물의 층간흡음장치
KR101735764B1 (ko) * 2017-01-04 2017-05-16 (주)일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20190090105A (ko) * 2018-01-23 2019-08-01 정현갑 펄라이트를 충진재로 이용한 층간소음이 저감된 뜬바닥 구조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9619B1 (ko) 202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100653596B1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형 다층부상구조
KR101482904B1 (ko) 층간소음 방지장치 및 방법
KR101929628B1 (ko) 층간소음 차음재
KR20180136766A (ko) 층간소음방지 및 충격흡수구조
RU2544182C2 (ru) Сейсмостойкая конструкция здания
KR20010027935A (ko) 충격음 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뜬바닥 구조 및 뜬바닥 시공방법
KR101794095B1 (ko) 방음 및 완충을 위한 층간구조
KR102669619B1 (ko) 층간소음 저감장치
KR100429103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뜬바닥층 구조 및 건축용 바닥재
KR200433766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473834B1 (ko) 뜬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0730700B1 (ko) 다층건물의 바닥충격소음 감쇄구조
KR102546126B1 (ko)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100806728B1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KR102077089B1 (ko) 층간소음 저감재
KR200453109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100875598B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용한 충격음 저감장치 및 저감재의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
KR102557477B1 (ko) 층간소음 저감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건물바닥의 시공방법
KR102557475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패널
KR102420058B1 (ko)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KR20240028175A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물바닥용 흡음보드
KR20130104320A (ko)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부상 구조용 샌드위치 판넬
KR100523876B1 (ko) 차음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