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464A -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464A
KR20230141464A KR1020230022921A KR20230022921A KR20230141464A KR 20230141464 A KR20230141464 A KR 20230141464A KR 1020230022921 A KR1020230022921 A KR 1020230022921A KR 20230022921 A KR20230022921 A KR 20230022921A KR 20230141464 A KR20230141464 A KR 20230141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temporary
handle
ca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익환
Original Assignee
장익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익환 filed Critical 장익환
Publication of KR2023014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는 엘리베이터 시공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동작하도록 구성된 임시카의 상부빔 측부에 고정설치되며, 내측으로 회전가능한 보빈이 구비된 장치본체부; 상기 보빈의 회전에 따라 권취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말단부는 임시카의 하부빔 측부에 구성된 비상정지장치를 동작시키는 작동레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보빈에 권취됨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를 당겨 상기 비상정지장치가 동작되게 하는 비상당김줄; 상기 장치본체부의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임시카의 카천장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조작함에 따라 상기 보빈을 회전시켜 상기 작동레버의 당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상제동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fall Prevention Device for Elevator temporary Ca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시공등의 엘리베이터 시공시, 조속기의 고장이나 오동작 또는 조속기 로프의 분리발생으로 인해 임시카 비상정지장치가 정상동작하지 않아 임시카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속기의 동작과는 별도로 임시카의 카천장에서 수동핸들조작으로 임시카 비상정지장치의 동작레버가 당겨지도록 하여 임시카 비상정지장치가 동작하게 함으로써 임시카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시공시, 임시카를 이용하여 시공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작업자는 임시카의 카천장 위에 올라서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임시카(10)는 하부빔(11)과, 하부지지빔의 양측부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는 옆체대(12)와, 옆체대(12)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빔(13)과, 하부빔(11)의 상단에 지지되게 고정되고 양측부가 옆체대(12)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플랫폼(14)과, 상부빔(13)의 하단에 밀착되게 고정되며 양측부가 옆체대(12)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카천장(1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옆체대(12)는 가이드슈가 구비되어 가이드레일(R)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임시카(10)는 승하강을 위해 승강로 천장부에 설치된 전동윈치(30)의 윈치와이어(32)와 연결되어 전동윈치(30)의 구동에 의해 상하 위치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임시카(10)의 하부빔(11)의 측부에는 비상정지장치(20)가 구성되고, 이 비상정지장치(20)는 승강로의 상부 및 하부에 구성된 조속기(40)와 하부텐션풀리(42)를 연결하는 조속기로프(43)에 연결되어 과속운동에 의해 조속기(40)가 동작하는 경우 가이드레일(R)를 물어서 가이드레일(R)과의 마찰에 의해 임시카(10)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비상정지장치(20)에는 비상정지장치(20)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작동레버(22)는 레버풀바(24)를 통해 과속기로프(43)의 하측단부(44)와 상측단부(45)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임시카(10)의 이상 상승 또는 이상 하강시 조속기(40)의 과속스위치가 작동(trip)이 발생되면 조속기로프(43)가 정지하고 이로 인해 레버풀바(24)와 연결된 작동레버(22)가 당겨지게 되어 비상정지장치(20)가 멈춤동작을 수행하여 임시카(10)의 승강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에는 임시카(10)의 하단부에 비상정지장치(20)가 구성되고, 이 비상정지장치(20)를 조속기로프(43)와 연결하여 조속기(40)가 임시카(10)의 비정상적인 승하강을 감지하여 비상정지장치(20)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임시카(10)의 추락을 방지해 엘리베이터 시공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하지만, 조속기(40)의 고정이나 오동작이 발생하거나, 조속기로프(43)와 레버풀바(24)의 결합부위가 손상되거나 조속기로프(43)가 레버풀바(24)에서 분리되게 되면 임시카(10)의 이상 하강에도 작동레버(22)가 당겨지지 않아 비상정지장치(20)가 동작하지 않게 됨으로써 카천장(15)에 올라 작업중인 작업자는 어떠한 대처를 하지도 못한 상태에서 속수무책으로 추락하여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10-2014-0013624호 공개특허 10-2018-0018083호 등록특허 10-1996595호 등록특허 10-1949243호 등록특허 10-192054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조속기의 동작과는 무관하게 별도로 임시카의 카천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수동 핸들 조작으로 임시카에 하부에 구성된 비상정지장치의 작동레버를 동작시키도록 하여 임시카의 비상하강시 추락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시카의 승강을 위한 전동윈치의 윈치와이어가 끊겼을 때, 수동핸들이 자동으로 조작되도록 하여 작업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는, 엘리베이터 시공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동작하도록 구성된 임시카의 상부빔 측부에 고정설치되며, 내측으로 회전가능한 보빈이 구비된 장치본체부; 상기 보빈의 회전에 따라 권취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말단부는 임시카의 하부빔 측부에 구성된 비상정지장치를 동작시키는 작동레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보빈에 권취됨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를 당겨 상기 비상정지장치가 동작되게 하는 비상당김줄; 상기 장치본체부의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임시카의 카천장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조작함에 따라 상기 보빈을 회전시켜 상기 작동레버의 당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상제동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본체부는, 상기 보빈을 사이에 두고 상기의 보빈 양측에 나란히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보빈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보빈지지패널; 상기 한 쌍의 보빈지지패널의 상단을 연결고정시키는 연결패널; 상기 연결패널의 상단에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보빈지지패널을 상기 임시카의 상부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보빈의 회전축의 일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보빈지지패널 중 하나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말단부에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가 구성되는 연장축;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는, 상기 연장축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제1래치휠; 상기 연장축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패널과, 상기 회전패널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조작하도록 구성된 손잡이로 이루어진 핸들바디; 상기 회전패널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핸들바디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제1래치휠을 타고 넘어 상기 핸들바디가 상기 연장축에 대해 회전이 이루어지게하고, 상기 핸들바디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제1래치휠에 걸려 상기 핸들바디와 함께 상기 연장축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1래치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부와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보빈이 상기 비상당김줄을 권취하는 권취방향으로만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권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구속시키는 회전방향 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향 제한수단은, 상기 장치본체부와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장축에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장축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래치휠; 상기 장치본체부의 상부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핸들바디의 타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2래치휠을 타고 넘어 상기 제2래치휠이 상기 보빈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은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래치휠에 걸려 상기 보빈이 권출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구속하는 제2래치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당김줄의 단부에는 "U"자 형태로 구부리고 겹쳐지는 부위를 납봉에 의해 결합한 고리부가 구성되며, 상기 고리부는 상기 작동레버와 조속기로프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조속기로프의 상측단부가 결합고정되는 레버풀바의 상측 고정홀에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부는, 상기 한 쌍의 보빈지지패널의 하단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연결하는 간격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시카의 승강을 위해 상기 임시카의 상부빔과 연결설치되는 전동윈치의 윈치와이어와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임시카의 상부빔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윈치로프 와이어의 끊김시 자동으로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를 회동시켜 상기 비상정지장치가 동작되게 하는 핸들 작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와 연결되어 전후 동작에 따라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를 밀어 회동시키도록 하는 전후 이동바; 상기 임시카의 상부빔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전후 이동바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전후 이동바를 전후진되게 하는 회동 링크절; 상기 회동 링크절의 타단부와 상기 윈치와이어를 연결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전후 이동바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 이동바가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를 밀어주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작동 수단은, 상기 윈치와이어가 끊김이 없는 정상상태에서 상기 연결수단이 상기 윈치와이어에 연결설치된 경우, 상기 연결수단의 장력에 의해 상기 회동 링크절은 상기 탄성수단이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게 위치하며, 상기 윈치와이어의 끊김 발생시, 상기 연결수단이 걸린 장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후 이동바가 전진하여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를 밀어 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조속기의 동작과는 무관하게 별도로 임시카의 카천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수동으로 조작하여 임시카에 구성된 비상정지장치의 작동레버를 당겨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조속기의 고장이나 조속기로프가 비상정지장치와 연결이 풀려 임시카의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엘리베이터 시공을 진행할 수 있는 작업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회전조작에 의해 보빈에 비상당김줄이 권취되면서 비상정지장치의 동작레버가 당겨지는 방식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임시카의 추락인지시 보다 신속한 대처가 가능할 뿐 아니라, 비상당김줄이 보빈에 감겨 동작레버가 당겨진 상태에서는 보빈이 비상당김줄을 권출하는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되기 때문에 권취된 비상당김줄이 풀려서 동작레버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비상정지장치의 제동이 풀리는 것이 방지되어 보다 안전한 비상제동이 이루어지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손잡이를 완전히 360도 회전조작하는 불편함이 없이 손잡이를 위아래로 반복적으로 반복회동조작하는 것에 의해 보빈이 비상당김줄을 권취하여 동작레버를 당겨주는 방식이므로, 작업자의 조작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공작업용 임시카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가 임시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임시카 추락방지장치가 임시카의 상부빔에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임시카 추락방지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임시카 추락방지장치의 비상당김줄과 비상정지장치의 작동레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비상당김줄과 비상정지장치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가 임시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추락방지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100)는 장치본체부(110), 비상당김줄(120), 비상제동 핸들부(130), 회전방향 제한수단(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본체부(110)는 임시카(10)의 상부빔(13)의 측단부에 고정설치되며, 비상당김줄(120)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보빈(114)이 회전되게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장치본체부(110)는 서로 나란히 병렬로 배치되며, 보빈(114)의 회전축(11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보빈지지패널(111)과, 이 한 쌍의 보빈지지패널(111)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패널(115)과, 이 연결패널(115)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빔(13)의 일측에 구성된 브라켓(13a)이 삽입된 상태에서 브라켓(13a)에 고정핀(116a)으로 고정이 이루어지는 고정부재(116)와, 보빈(114)의 회전축(112)으로부터 일측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한 쌍의 보빈지지패널(111) 중 일측의 보빈지지패널(111)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보빈(114)의 회전축(112)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연장축(112a)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장치본체부(110)는 한 쌍의 보빈지지패널(111)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한 쌍의 보빈지지패널(111)의 사이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117)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장치본체부(110)는 고정부재(116)가 연결패널(115)에 구성되어, 이 고정부재(116)를 통해 상부빔(13)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연결패널(115)이나 보빈지지패널(111)을 상부빔(13) 일측에 직접 고정설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상당김줄(120)은 보빈(114)에 감겨지도록 구성되며, 말단부는 하부빔(11)의 측부에 구성된 비상정지장치(20)를 동작시키는 동작레버(22)와 조속기 로프(43)를 연결하는 레버풀바(24)에 결합고정되도록 구성되어, 보빈(114)이 비상당김줄(120)을 권취할 경우, 비상당김줄(120)이 레버풀바(24)와 함께 동작레버(22)를 당겨 비상정지장치(20)에 의한 임시카(10)의 비상제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임시카(10)는 레버풀바(24)의 상하단에 고정홀(h1,h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의 고정홀(h1)에는 조속기 로프(43)의 상측단부(45)가 결합되고, 하측의 고정홀(h2)에는 조속기 로프(43)의 하측단부(44)가 결합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비상당김줄(120)의 말단부는 레버풀바(24)의 상측 고정홀(h1)에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124,126)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비상당김줄(120)의 말단부는 "U"자 형태로 구부려서 겹쳐지는 단부를 납봉(123)에 의해 결합하여 형성되는 고리부(122)가 구성되며, 레버풀바(24)의 상측 고정홀(h1)에 볼트(124)를 끼운 상태에서 볼트(124)를 고리부(122)에 통과시키고, 볼트(124)에 너트(126)를 체결함으로써 고리부(122)를 레버풀바(24)의 상측 고정홀(h1)에 고정결합할 수 있다.
이때, 볼트(124)의 볼트헤드와 레버풀바(24) 사이 및 고리부(122)와 너트(126) 사이에는 볼트(124)에 이탈방지와셔(127)를 개재시킴으로써 이탈방지와셔(127)에 의해 볼트헤드나 너트(126)가 상측 고정홀(h1)를 통과해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상제동 핸들부(130)는 장치본체부(110)의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임시카(10)의 카천장(15)에 올라서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조작함에 따라 보빈(114)을 회전시켜 비상당김줄(120)이 보빈(114)에 권취되게 하여 레버풀바(24)와 함께 작동레버(22)가 위로 당겨지도록 해주기 위한 구성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비상제동 핸들부(130)는 핸들바디(131), 제1래치휠(134), 제1래치폴(136)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핸들바디(131)는 후측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32)와, 손잡이(132)의 전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연장축(112a)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패널(133)로 구성된다.
회전패널(133)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회전패널(133)은 소정간격 이격되게 병렬로 나란히 배치되며 연장축(112a)이 관통되어, 연장축(112a)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래치휠(134)은 한 쌍의 회전패널(133) 사이에 배치되며 연장축(112a)의 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연장축(112a)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제1래치폴(136)은 한 쌍의 회전패널(133)의 측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1고정핀(125)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핸들바디(131)의 일방향 회전시 제1래치휠(134)의 톱니를 타고 넘어가면서 핸들바디(131)가 연장축(112a)에 대해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핸들바디(131)의 타방향 회전시 제1래치휠(134)의 톱니에 걸려 핸들바디(131)와 함께 연장축(112a)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이때, 제1래치폴(136)은 토션스프링 등의 탄성수단에 의해 제1래치휠(134)에 접촉되게 탄성바이어스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핸들바디(131)를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만 연장축(112a)이 핸들바디(131)와 함께 보빈(114)이 비상당김줄(120)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하고, 핸들바디(131)를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핸들바디(131)가 연장축(112a)에 대해 상대적인 공회전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작업자는 비상당김줄(120)이 보빈(114)에 권취되도록 핸들바디(131)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이 소정각도 상하로 반복 회동조작을 하게 되면 보빈(114)이 비상당김줄(120)을 권취하는 회전방향으로 소정각도씩 반복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비상당김줄(120)의 권취조작이 용이해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작업자가 손잡이(132)를 잡고 핸들바디(131)를 위로 올리는 경우, 제1래치폴(136)이 제1래치휠(134)에 걸리면서 핸들바디(131)의 회전과 함께 연장축(112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러한 연장축(112a)의 시계방향 회전과 함께 보빈(114)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비상당김줄(120)이 권취되어 동작레버(22)의 당김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반면, 작업자가 손잡이(132)를 잡고 핸들바디(131)를 아래로 내리는 경우, 제1래치폴(136)이 제1래치휠(134)에 걸리지 않고 제1래치휠(134)을 타고 넘어가면서 핸들바디(131)는 연장축(112)에 대해 상대적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잡이(132)를 잡고 위아래로 회전조작을 반복하게 되면 소정각도씩 연장축(112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보빈(114)이 소정각도씩 회전하면서 비상당김줄(120)을 권취하게 된다.
회전방향 제한수단(140)은 장치본체부(110)와 비상제동 핸들부(130) 사이에 구성되어, 보빈(114)이 비상당김줄(120)을 권취하는 권취방향으로만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보빈(114)이 비상당김줄(120)을 권취한 상태에서 권출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기 위한 구성이다.
회전방향 제한수단(140)은 장치본체부(110)와 비상제동 핸들부(130) 사이에 배치되며 연장축(112a)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연장축(112a)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2래치휠(141)과, 일측의 보빈지지패널(111)의 상부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제2래치휠(141)이 보빈(114)의 권출방향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제2래치폴(143)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2래치폴(143)은 한 쌍의 보빈지지패널(111)의 상단과 연결패널(115)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2고정핀(142)에 회전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제2래치폴(143)은 토션스프링 등의 탄성수단에 의해 제2래치휠(141)에 접촉되게 탄성바이어스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손잡이(132)를 잡아 위로 올려 연장축(112a)과 함께 제2래치휠(141)도 연동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이 경우, 제2래치폴(143)은 제2래치휠(141)의 톱니를 타고 넘어가면서 제2래치휠(141)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고 제2래치휠(141)의 시계반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손잡이(132)를 위로 올려 연장축(112a)과 제2래치휠(1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함께 보빈(11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비상당김줄(120)이 보빈(114)에 권취됨으로써, 작동레버(22)가 당겨져서 비상정치장치(20)가 동작하여 임시카(10)의 비상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보빈(11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비상당김줄(120)이 권취된 상태에서, 보빈(114)은 시계반대방향(비상당김줄의 풀림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더라도 제2래치휠(141)에 제2래치폴(143)에 걸리게 되어 회전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의 사용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동윈치(30)의 고장이나 윈치와이어(32)의 끊김 등으로 임시카(10)의 비정상적인 급속한 추락 하강이 발생한 상황에서, 조속기(40)의 고장이나, 오동작 또는 조속기로프(43)가 레버풀바(24)와 결속이 분리되는 것으로 인해, 비상정지장치(20)가 작동하지 않아 임시카(10)의 비상정지장치(20)에 의한 제동이 이루지지 않는 경우, 임시카(10)의 카천장(15)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비상제동 핸들부(130)의 손잡이(132)를 일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비상당김줄(120)이 보빈(114)에 권취되게 하고 이로 인해 비상당김줄(120)이 레버풀바(24)를 당겨줌으로써 비상정지장치(20)가 작동하여 임시카(10)가 제동되어 승강로 하측까지 추락하여 충격되지 않도록 해줄 수 있다.
이하, 손잡이(132)를 회전조작하여 보빈(114)에 비상당김줄(120)이 권취되게 하는 권취조작동작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작업자는 손잡이(132)를 잡아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보빈(114)이 비상당김줄(120)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고, 이에 보빈(114)이 비상당김줄(120)을 소정길이만큼 권취할 수 있으며, 이때 보빈(114)은 권취방향과 반대되는 권출방향으로는 제2래치휠(141)의 톱니에 제2래치폴(143)이 걸려 회전이 구속되게 된다.
한편, 보빈(114)이 권출방향으로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잡이(132)를 잡아 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래치폴(136)이 제1래치휠(134)의 톱니를 타고 넘어가면서 보빈의 회전축(112)에 연장된 연장축(112a)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렇게 작업자는 손잡이(132)를 잡아 소정각도 타방향으로 회전한 후, 다시 소정각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복회동조작을 수행함으로써 보빈(114)이 계속해서 비상당김줄(120)을 권취하게 하고, 이로 인해 비상당김줄(120)은 비상정지장치(20)이 작동할 만큼 레버풀바(24)를 당겨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비상당김줄(120)이 비상정지장치(20)가 작동할 만큼 레버풀바(24)를 잡아당겨 주기 위해서 핸들바디(131)의 손잡이(132)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여러번 반복 회동조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핸들바디(131)의 손잡이(132)를 소정각도 1회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해서도 비상당김줄(120)이 레버풀바(24)를 잡아 당겨 비상정지장치(20)의 정지동작을 일으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윈치로프 와이어(32)의 끊김에 따라 자동으로 핸들바디(131)를 회전시켜 비상정지장치의 정지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핸들 작동 수단(20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핸들 작동 수단(200)은 핸들바디(131)와 윈치와이어(32)의 말단부를 연결하도록 상부빔(13)의 측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핸들 작동 수단(200)은 전후 이동바(210), 회동 링크절(220), 탄성수단(230), 연결수단(2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전후 이동바(210)는 상부빔(13)의 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전후 이동하면서 핸들바디(131)를 밀거나 당겨주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핸들바(131)를 밀어 핸들바디(131)를 회동시킴으로써 비상당김줄(120)이 비상정지장치(20)의 레버풀바(24)를 잡아당겨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전후 이동바(210)의 일단부(211)는 고정핀(215)에 의해 핸들바디(131)에 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전후 이동바(210)의 전후 이동에 따라 핸들바(131)가 소정각도 회동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핀(215)은 핸드바디(131)와 전후 이동바(210)의 일단부(211)에 각각 구성된 핀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후 이동바(210)의 타단부(212)는 회동 링크절(220)의 단부에 핀(223)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회전 링크절(220)은 소정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빔(13)의 측면에 구성된 힌지부(222)에 힌지연결되어 회전가능하고 구성된다.
회전 링크절(220)의 일단부(하단부)는 전후 이동바(210)의 타단부(212)와 핀(223)에 의해 연결되어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회전 링크절(220)이 힌지부(222)에 대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전후 이동바(21가 전진 또는 후진시키되도록 구성된다.
탄성수단(230)은 전후 이동바(210)가 핸들 바디(131)를 밀어주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탄성수단(230)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전후 이동바(210)가 관통되게 설치되며,도 7과 같이 핸들 바디(131)가 수직배치된 상태에서 압축된 상태로 세팅되고, 이 압축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에 의해 전후 이동바(210)가 핸들 바디(220)를 밀어주도록 해준다.
상부빔(13)의 측면에는 탄성수단(230)의 일측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브라켓(232)이 고정설치되고, 전후 이동바(210)에는 탄성수단(230)을 압축하고, 탄성수단(230)의 탄성력에 의해 전후 이동바(210)를 전진시키는 스프링 지지디스크(234)가 고정설치되며, 이때, 전후 이동바(210)는 스프링 지지브라켓(232)에 형성된 상하 길게 형성된 장공(232a)을 관통하여 회동 링크절(23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 지지디스크(234)는 전후 이동바(210)의 전후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탄성수단(230)을 지지브라켓(232) 측으로 가압하여 압축되게 할 수 있고, 탄성수단(230)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밀려서 전후 이동바(210)의 전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연결수단(240)은, 로프, 면바(슬링밴드), 와이어 등 합성수지, 금속재 등 다양한 플렉서블하거나 연질의 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 링크절(220)의 타단부(상단부)와 연결와이어(32)의 말단부를 연결하기위한 구성이다.
통상, 임시카를 승강을 위해 연결되는 윈치와이어(32)는 상부빔(13)에 면바(51, "슬링밴드"라고도 함)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면바(51)를 상부빔(13)에 길이 중간부분에 감싸고, 양측 상단부를 샤클(53)에 연결한 다음, 이 샤클(53)을 윈치와이어(32)의 말단부에 구성된 후크 도르레(33)의 후크(33a)에 걸어주는 방식으로 상부빔(13)과 윈치와이어(32)을 연결한다.
본 발명에서 연결수단(240)은 면바(51)를 위치와이어(32)의 말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샤클(53)에 함께 연결하고, 이 샤클(53)을 윈치 와이어(32)의 말단부에 구성된 후크(33a)에 걸어 연결설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수단(240)을 직접 후크(33a)에 걸어줄 수도 있고, 윈치와이어(32)에 말단에 후크 도르레(33)가 아닌 다른 형태의 도르레(ex 샤클형 도르레), 또는 도르레가 아닌 다른 형태의 고리연결부재가 구성되는 경우, 해당 적용 구성에 연결수단(240)을 연결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윈치와이어(32)의 말단에 연결수단(240)을 직접 연결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연결수단(240)의 하단부는 회동 링크절(220)의 단부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링크절(220)의 단부에 핀부재(245)에 의해 연결되는 보조 연결판(242)을 구성하고, 이 보조연결판(242)에 샤클로 이루어진 연결고리(243)를 연결하여 이 연결고리(243)에 연결수단(240)이 연결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임시카가 윈치와이어(32)에 매달리도록 면바(51)가 윈치와이어(32)의 말단부에 팽팽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연결수단(240)과 회동링크절(220)은 윈치와이어(32)의 말단부를 향하는 일직선형태를 이루면서 연결수단(240)이 윈치와이어(32)의 말단부에 팽팽하게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후 이동바(210)는 초기상태로서, 스프링 지지디스크(234)가 탄성수단(230)을 가압하여 탄성수단(230)이 압축된 상태에 있다.
본 발명은, 전후 이동바(210)와 핸들 바디(131)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부빔(13)을 감싼 면바(51)와 연결수단(240)을 함께 샤클(53)을 이용하여 윈치와이어(32)의 하단에 마련된 후크(53)에 걸어주고, 전동윈치(30)를 동작시켜 윈치와이어(32)를 상승시키면, 임시카의 하중에 의해 면바(51)가 팽팽해지고, 연결수단(240)도 팽팽해지면서 도 7과 같이, 회동링크절(220)이 연결수단(240)과 일직선 형태를 이루면서 탄성수단(230)이 압축되고, 전후 이동바(210)가 원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전후 이동바(210)의 일단부(211)와 수직배치된 핸들바디(131)를 고정핀(215)으로 핀고정하여 세팅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윈치와이어(32)의 끊어지는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작업자가 핸들바디(131)를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윈치와이어(32)와 연결되어 있던 연결수단(240)의 팽팽했던 장력이 해제되어, 도 8과 같이 탄성수단(230)의 탄성력에 의해 전후 이동바(210)가 전진하면서 핸들 바디(131)를 밀어주게 됨으로써 비상당김줄(120)의 당김동작에 의해 비상정지장치의 레버풀바를 당겨져서 임시카의 추락을 제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임시카
11…하부빔
12…옆체대
13…상부빔
14…플랫폼
15…카천장
20…비상정지장치
22…작동레버
24…레버풀바
30…전동윈치
32…윈치와이어
40…조속기
42…하부텐션풀리
43…조속기로프
100…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110…장치본체부
111…보빈지지패널
112…보빈의 회전축
112a…연장축
114…보빈
115…연결패널
116…고정부재
117…간격유지부재
120…비상당김줄
122...고리부
124,126…체결수단
127…이탈방지와셔
130…비상제동 핸들부
131…핸들바디
132…손잡이
133…회전패널
134…제1래치휠
135…제1고정핀
136…제1래치폴
140…회전방향 제한수단
141…제2래치휠
142…제2고정핀
143…제2래치폴
200…핸들 작동 수단
210…전후 이동바
220…회동 링크절
230…탄성수단
240…연결수단

Claims (9)

  1. 엘리베이터 시공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동작하도록 구성된 임시카의 상부빔에 설치되며, 회전가능한 보빈이 구비된 장치본체부;
    상기 보빈의 회전에 따라 권취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말단부는 임시카의 하부빔 측부에 구성된 비상정지장치를 동작시키는 작동레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보빈에 권취됨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를 당겨 상기 비상정지장치가 동작되게 하는 비상당김줄;
    상기 장치본체부의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임시카의 카천장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조작함에 따라 상기 보빈을 회전시켜 상기 작동레버의 당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상제동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부는,
    상기 보빈을 사이에 두고 상기의 보빈 양측에 나란히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보빈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보빈지지패널;
    상기 한 쌍의 보빈지지패널의 상단을 연결고정시키는 연결패널;
    상기 연결패널의 상단에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보빈지지패널을 상기 임시카의 상부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보빈의 회전축의 일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보빈지지패널 중 하나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말단부에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가 구성되는 연장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는,
    상기 연장축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제1래치휠;
    상기 연장축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패널과, 상기 회전패널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조작하도록 구성된 손잡이로 이루어진 핸들바디;
    상기 회전패널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핸들바디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제1래치휠을 타고 넘어 상기 핸들바디가 상기 연장축에 대해 회전이 이루어지게하고, 상기 핸들바디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제1래치휠에 걸려 상기 핸들바디와 함께 상기 연장축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1래치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부와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보빈이 상기 비상당김줄을 권취하는 권취방향으로만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권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구속시키는 회전방향 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향 제한수단은,
    상기 장치본체부와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장축에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장축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래치휠;
    상기 장치본체부의 상부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핸들바디의 타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2래치휠을 타고 넘어 상기 제2래치휠이 상기 보빈의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은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래치휠에 걸려 상기 보빈이 권출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구속하는 제2래치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당김줄의 단부에는 "U"자 형태로 구부리고 겹쳐지는 부위를 납봉에 의해 결합한 고리부가 구성되며,
    상기 고리부는 상기 작동레버와 조속기로프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조속기로프의 상측단부가 결합고정되는 레버풀바의 상측 고정홀에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임시카의 승강을 위해 상기 임시카의 상부빔과 연결설치되는 전동윈치의 윈치와이어와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임시카의 상부빔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윈치로프 와이어의 끊김시 자동으로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를 회동시켜 상기 비상정지장치가 동작되게 하는 핸들 작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와 연결되어 전후 동작에 따라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를 밀어 회동시키도록 하는 전후 이동바;
    상기 임시카의 상부빔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전후 이동바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전후 이동바를 전후진되게 하는 회동 링크절;
    상기 회동 링크절의 타단부와 상기 윈치와이어를 연결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전후 이동바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 이동바가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를 밀어주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작동 수단은,
    상기 윈치와이어가 끊김이 없는 정상상태에서 상기 연결수단이 상기 윈치와이어에 연결설치된 경우, 상기 연결수단의 장력에 의해 상기 회동 링크절은 상기 탄성수단이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게 위치하며,
    상기 윈치와이어의 끊김 발생시, 상기 연결수단이 걸린 장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후 이동바가 전진하여 상기 비상제동 핸들부를 밀어 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KR1020230022921A 2022-03-30 2023-02-21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KR202301414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932 2022-03-30
KR20220039932 2022-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464A true KR20230141464A (ko) 2023-10-10

Family

ID=8829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921A KR20230141464A (ko) 2022-03-30 2023-02-21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146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3624A (ko) 2012-07-25 2014-02-05 (주)모든엘리베이터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KR20180018083A (ko) 2016-08-12 2018-02-21 (주)모든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하부체대 비상정지장치
KR101920546B1 (ko) 2014-04-09 2018-11-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49243B1 (ko) 2017-09-20 2019-02-19 (주)디 앤드 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KR101996595B1 (ko) 2018-09-19 2019-07-04 주식회사 휴먼엔티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3624A (ko) 2012-07-25 2014-02-05 (주)모든엘리베이터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점차 작동형 비상정지장치
KR101920546B1 (ko) 2014-04-09 2018-11-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20180018083A (ko) 2016-08-12 2018-02-21 (주)모든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하부체대 비상정지장치
KR101949243B1 (ko) 2017-09-20 2019-02-19 (주)디 앤드 디 엘리베이터 세이프티 플랭크
KR101996595B1 (ko) 2018-09-19 2019-07-04 주식회사 휴먼엔티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9401A (en) Counterbalance device, in particular for a medical x-ray unit, having plural safety devices
JPS61172984A (ja) 竪方向蛇腹型ドアの安全兼緊急アクチユエ−タ装置
EA017125B1 (ru) Лифт
US3887038A (en) Lift apparatus
JPS6017753B2 (ja) 動力駆動昇降機用の落下自動防止装置
JP2004523441A (ja) リフトまたは吊り下げ荷物用の非常ブレーキ装置および緩衝装置
KR101783323B1 (ko) 리프트 낙하 방지장치
US20200198931A1 (en) Elevator safety actuator systems
US2270441A (en) Elevator safety device
KR101181345B1 (ko) 권상기의 와이어로프 탈선방지 장치
KR20230141464A (ko) 엘리베이터 임시카 추락방지장치
US20210139277A1 (en) Elevator
JP6522564B2 (ja) 調速機、および、試験装置
US3232382A (en) Workman hoisting machine
JP2019006573A (ja) 非常停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CN109516335B (zh) 一种无机房限速器
CN112794233B (zh) 一种斜向运输安全装置
CN207390723U (zh) 新型无机房双向限速器
CN207390725U (zh) 新型有机房双向限速器
JP4115035B2 (ja) 建設工事用リフトの安全装置
CN209536730U (zh) 一种无机房限速器
JP5403525B2 (ja) 連結構造
KR100709506B1 (ko) 자동복귀 및 수동트립형 조속기
CN211946046U (zh) 一种混凝土搅拌机用松绳防冲顶保护装置
US20190127181A1 (en) Wind turbines with elevator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