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827A -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827A
KR20230140827A KR1020220039566A KR20220039566A KR20230140827A KR 20230140827 A KR20230140827 A KR 20230140827A KR 1020220039566 A KR1020220039566 A KR 1020220039566A KR 20220039566 A KR20220039566 A KR 20220039566A KR 20230140827 A KR20230140827 A KR 20230140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measurement
input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미
강정원
Original Assignee
김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미 filed Critical 김영미
Priority to KR1020220039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0827A/ko
Publication of KR20230140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3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subjective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 A61B5/4827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assessing touch sensitivity, e.g. for evaluation of pain thresho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8Elder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측정정보(a)를 생성하는 측정부(100); 상기 측정정보(a)를 전달받아 분석정보(b)를 생성하는 분석모듈(200); 상기 측정정보(a) 및 상기 분석정보(b)를 저장하는 서버(300); 및 상기 서버(300) 상의 측정정보(a) 및 분석정보(b)를 전달받는 개별단말(400);을 포함하되, 상기 측정부(100)는 시각정보 측정부(110); 청각정보 측정부(120); 촉각정보 측정부(130); 공간지각평가 측정부(140); 및 고유수용감각평가 측정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인이나 노인과 같이 인지 능력이 일반인보다 떨어지는 대상층을 기준으로 쉽고 정확하게 인지능력을 테스트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속적으로 감각 인지 능력 평가 결과가 활용되어야 하는 경우 관련 내용을 평가 당사자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의료진에게 정기적으로 분석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Sensory perception abilit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sensory perception abilit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각, 청각 및 손가락과 같은 작은 근육만으로 인지 가능한 감각기관의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인이나 노령층과 같이 감각 인지 능력이 퇴화되어 가는 측정 대상자에 대하여 작은 근육의 움직임만으로도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족이나 의료진이 평가 대상의 감각 인지 능력 변화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노령층 등의 건간 증진 및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령 인구가 증대되면서 노인들의 인지능력 저하에 따른 사회적 문제점이 증대되고 있다. 치매나 노인 우울 등의 노인 정신 질환의 대부분은 인지능력의 저하에서 비롯되며 이로 인한 가족 등이 받는 물리적, 정식적 고통은 심각한 수준이다.
비단 노인뿐만 아니라 정상적 인지 능력 발달이 이루어지지 못한 장애인의 경우나 두뇌 발달이 진행 중인 유아의 경우 지속적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이 요구된다.
다만, 인지능력 향상 훈련은 참여자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전제되어야 훈련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대부분은 인지능력 훈련 프로그램은 의료적 관점에서 접근해 왔기 때문에 참여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어려웠고 훈련에 따른 효과를 충분히 얻기 힘든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감각 인지 능력을 테스트 하는 설문지나 테스트 과정이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인지 능력을 요구하여 노인이나 장애인이 수행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 대한민국 출원공보 제10-20121-0059530호 - 대한민국 출원공보 제10-2020-010274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이나 노인과 같이 인지 능력이 일반인보다 떨어지는 대상층을 기준으로 쉽고 정확하게 인지능력을 테스트 할 수 있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속적으로 감각 인지 능력 평가 결과가 활용되어야 하는 경우 관련 내용을 평가 당사자 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의료진에게 정기적으로 분석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측정정보(a)를 생성하는 측정부(100); 상기 측정정보(a)를 전달받아 분석정보(b)를 생성하는 분석모듈(200); 상기 측정정보(a) 및 상기 분석정보(b)를 저장하는 서버(300); 및 상기 서버(300) 상의 측정정보(a) 및 분석정보(b)를 전달받는 개별단말(400);을 포함하되, 상기 측정부(100)는 시각정보 측정부(110); 청각정보 측정부(120); 촉각정보 측정부(130); 공간지각평가 측정부(140); 및 고유수용감각평가 측정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시각정보 측정부(110)는 제1 입력정보(c1)를 입력받는 제1 입력부(111); 및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11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입력정보(c1)는 상기 발광부(112)의 발광 횟수 정보; 상기 발광부(112)의 발광 위치 정보; 및 상기 발광부(112)의 발광 갯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청각정보 측정부(120)는 제2 입력정보(c2)를 입력받는 제2 입력부(121); 및 음성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122);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입력정보(c2)는, 상기 음성신호 횟수 정보; 상기 음성신호 발생위치 정보; 및 상기 음성신호에 포함된 특정 신호 반복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촉각정보 측정부(130)는 제3 입력정보(c3)를 입력받는 제3 입력부(131); 및 외면에 돌기가 마련된 복수의 유닛(132);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유닛(132)은 상기 돌기의 개수, 두께 및 표면 거칠기가 각기 다르며, 상기 제3 입력정보(c3)는 상기 유닛(132) 상의 상기 돌기의 개수 정보; 상기 유닛(132)의 두께 정보; 및 상기 유닛(132)의 표면 거칠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지각정보 측정부(140)는 제4 입력정보(c4)를 입력받는 제4 입력부(141); 및 테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42);를 포함하되, 상기 테스트 정보는 2차원 도형정보; 3차원 도형정보; 및 경로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4 입력정보(c4)는 상기 2차원 도형정보에 나타난 도형과 같은 도형의 선택 정보; 상기 3차원 도형정보에 나타난 도형의 개수 정보; 및 상기 경로정보에 나타난 경로 파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유수용감각 측정부(150)는, 센싱정보(c5)를 생성하는 센서부(151); 색상이 각기 다른 복수의 칩(152); 및 상기 칩(152)이 인입되는 홀(153);을 포함하되, 상기 센싱정보(c5)는 상기 칩(152)이 상기 홀(153)에 인입되는 경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정보(a)는 상기 제1 입력정보(c1); 상기 제2 입력정보(c2); 상기 제3 입력정보(c3); 상기 제4 입력정보(c4); 및 상기 센싱정보(c5);를 포함하되, 상기 분석모듈(200)은 상기 측정정보(a)와 기준정보(d)를 비교하여 상기 분석정보(b)를 생성하며, 상기 분석정보(b)는 상기 측정정보(a)와 상기 기준정보(d)의 정합여부에 따라 백분율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100)를 통해 상기 측정정보(a)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분석모둘(200)을 통해 상기 분석정보(b)를 생성하는 제1 단계(S100); 및 상기 서버(300)에 저장된 상기 측정정보(a) 및 상기 분석정보(b)를 상기 개별단말(400)로 송신하는 제2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인이나 노인과 같이 인지 능력이 일반인보다 떨어지는 대상층을 기준으로 쉽고 정확하게 인지능력을 테스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속적으로 감각 인지 능력 평가 결과가 활용되어야 하는 경우 관련 내용을 평가 당사자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의료진에게 정기적으로 분석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구성 및 생성되는 측정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모듈을 통해 분석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정보 측정부를 통해 수행되는 제1 입력정보의 생성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정보 측정부를 통해 수행되는 제2 입력정보의 생성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정보 측정부를 통해 수행되는 제3 입력정보의 생성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정보 측정부를 통해 수행되는 제4 입력정보의 생성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정보 측정부를 통해 수행되는 센싱정보의 생성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수용감각 측정부의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각지각평가의 도형정보의 예시도.
본 발명에 따른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노인이나 장애인과 같이 인지 능력 테스트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곤란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고안된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은 측정정보(a)를 생성하는 측정부(100), 측정정보(a)를 전달받아 분석정보(b)를 생성하는 분석모듈(200), 측정정보(a) 및 상기 분석정보(b)를 저장하는 서버(300) 및 서버(300) 상의 측정정보(a) 및 분석정보(b)를 전달받는 개별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도 1).
측정부(100), 서버(300) 및 개별단말(40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측정부(100)는 평가 대상의 감각 인지 능력치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시각정보 측정부(110), 청각정보 측정부(120), 촉각정보 측정부(130), 공간지각평가 측정부(140) 및 고유수용감각평가 측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측정부(100)는 고유의 방법으로 감각 인지 능력을 측정하여 측정정보(a)를 생성하고 분석모듈(200)은 측정정보(a)를 전달받아 분석정보(b)를 생성한다.
분석모듈(200)은 서버(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각 측정부(100)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정보 측정부(110)는 제1 입력정보(c1)를 입력받는 제1 입력부(111) 및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입력정보(c1)는 발광부(112)의 발광 횟수 정보, 발광부(112)의 발광 위치 정보 및 발광부(112)의 발광 갯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각정보 측정부(110)의 제1 입력부(111)는 측정을 위한 각 단계를 설정하여 발광 횟수 정보, 발광 위치 정보 및 발광 개수 정보를 입력받는다.
제1 입력부(111)에 의한 입력 단계는 각 단계의 정답을 맞추는 경우에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방식을 채택하거나, 정답 여부와는 무관하게 각 단계의 입력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입력부(111)에 의한 입력 단계에 있어서 각 단계의 정답을 맞추는 경우에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오답 입력 횟수 정보 또는 정답 입력 소요 시간 정보 등과 같이 각 단계를 통과하는 데 소요한 시간이나 횟수를 정략적으로 측정 가능한 정보를 제1 입력부(111)에서 제1 정보(c1)와 함께 생성할 수 있다. 더하여 청각정보 측정부(120), 촉각정보 측정부(130), 공간지각평가 측정부(140) 및 고유수용감각평가 측정부(150)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입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정보 측정부(120)는 제2 입력정보(c2)를 입력받는 제2 입력부(121) 및 음성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입력정보(c2)는 음성신호 횟수 정보, 음성신호 발생위치 정보 및 음성신호에 포함된 특정 신호 반복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입력부(121)는 각 단계를 나누어 제2 입력정보(c2)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정보 측정부(130)는 제3 입력정보(c3)를 입력받는 제3 입력부(131) 및 외면에 돌기가 마련된 복수의 유닛(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닛(132)은 돌기의 개수, 두께 및 표면 거칠기가 각기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입력정보(c3)는 유닛(132) 상의 돌기의 개수 정보, 상기 유닛(132)의 두께 정보 및 유닛(132)의 표면 거칠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3 입력부(131)는 각 단계를 나누어 제3 입력정보(c3)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지각정보 측정부(140)는 제4 입력정보(c4)를 입력받는 제4 입력부(141) 및 테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테스트 정보는 2차원 도형정보, 3차원 도형정보 및 경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도 11).
제4 입력정보(c4)는 2차원 도형정보에 나타난 도형과 같은 도형의 선택 정보, 3차원 도형정보에 나타난 도형의 개수 정보 및 경로정보에 나타난 경로 파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4 입력부(141)는 각 단계를 나누어 2차원 도형정보, 3차원 도형정보 및 경로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수용감각 측정부(150)는 센싱정보(c5)를 생성하는 센서부(151), 색상이 각기 다른 복수의 칩(152) 및 칩(152)이 인입되는 홀(153)을 포함할 수 있다(도 10).
이 경우 센싱정보(c5)는 칩(152)이 홀(153)에 인입되는 경우 생성될 수 있다.
칩(152) 및 홀(153)은 실물로 제공되거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단계마다 타격의 대상이 되는 칩(152)과 홀(152)에 입입되는 칩(152)의 색상을 달리하여 센싱정보(c5)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의 측정정보(a)는 제1 입력정보(c1), 제2 입력정보(c2), 제3 입력정보(c3), 제4 입력정보(c4) 및 센싱정보(c5)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모듈(200)은 측정정보(a)와 기준정보(d)를 비교하여 분석정보(b)를 생성할 수 있다. 기준정보(d)는 평가자가 각 평가 단계에 맞추어 미리 입력하여둔 정답에 해당한다.
분석정보(b)는 측정정보(a)와 상기 기준정보(d)의 정합여부에 따라 백분율로 치환되거나 정답의 개수정보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여러번의 평가 과정을 거치면서 정답률의 변화 추이를 분석정보(b)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분석정보(b)를 가족이나 의료진이 개별 단말(400)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측정 대상자의 인지 능력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치료나 운동 등의 처방을 내리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은 측정부(100)를 통해 측정정보(a)를 생성함과 아울러 분석모둘(200)을 통해 분석정보(b)를 생성하는 제1 단계(S100) 및 서버(300)에 저장된 측정정보(a) 및 분석정보(b)를 개별단말(400)로 송신하는 제2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측정부
200 : 분석모듈
300 : 서버
400 : 개별단말

Claims (8)

  1. 측정정보(a)를 생성하는 측정부(100);
    상기 측정정보(a)를 전달받아 분석정보(b)를 생성하는 분석모듈(200);
    상기 측정정보(a) 및 상기 분석정보(b)를 저장하는 서버(300); 및
    상기 서버(300) 상의 측정정보(a) 및 분석정보(b)를 전달받는 개별단말(400);을 포함하되,
    상기 측정부(100)는
    시각정보 측정부(110);
    청각정보 측정부(120);
    촉각정보 측정부(130);
    공간지각평가 측정부(140); 및
    고유수용감각평가 측정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정보 측정부(110)는
    제1 입력정보(c1)를 입력받는 제1 입력부(111); 및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11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입력정보(c1)는
    상기 발광부(112)의 발광 횟수 정보;
    상기 발광부(112)의 발광 위치 정보; 및
    상기 발광부(112)의 발광 갯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정보 측정부(120)는
    제2 입력정보(c2)를 입력받는 제2 입력부(121); 및
    음성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122);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입력정보(c2)는,
    상기 음성신호 횟수 정보;
    상기 음성신호 발생위치 정보; 및
    상기 음성신호에 포함된 특정 신호 반복 횟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정보 측정부(130)는
    제3 입력정보(c3)를 입력받는 제3 입력부(131); 및
    외면에 돌기가 마련된 복수의 유닛(132);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유닛(132)은 상기 돌기의 개수, 두께 및 표면 거칠기가 각기 다르며,
    상기 제3 입력정보(c3)는
    상기 유닛(132) 상의 상기 돌기의 개수 정보;
    상기 유닛(132)의 두께 정보; 및
    상기 유닛(132)의 표면 거칠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지각정보 측정부(140)는
    제4 입력정보(c4)를 입력받는 제4 입력부(141); 및
    테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42);를 포함하되,
    상기 테스트 정보는
    2차원 도형정보;
    3차원 도형정보; 및
    경로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4 입력정보(c4)는
    상기 2차원 도형정보에 나타난 도형과 같은 도형의 선택 정보;
    상기 3차원 도형정보에 나타난 도형의 개수 정보; 및
    상기 경로정보에 나타난 경로 파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수용감각 측정부(150)는,
    센싱정보(c5)를 생성하는 센서부(151);
    색상이 각기 다른 복수의 칩(152); 및
    상기 칩(152)이 인입되는 홀(153);을 포함하되,
    상기 센싱정보(c5)는 상기 칩(152)이 상기 홀(153)에 인입되는 경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정보(a)는
    상기 제1 입력정보(c1);
    상기 제2 입력정보(c2);
    상기 제3 입력정보(c3);
    상기 제4 입력정보(c4); 및
    상기 센싱정보(c5);를 포함하되,
    상기 분석모듈(200)은 상기 측정정보(a)와 기준정보(d)를 비교하여 상기 분석정보(b)를 생성하며,
    상기 분석정보(b)는 상기 측정정보(a)와 상기 기준정보(d)의 정합여부에 따라 백분율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8. 제7항의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100)를 통해 상기 측정정보(a)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분석모둘(200)을 통해 상기 분석정보(b)를 생성하는 제1 단계(S100); 및
    상기 서버(300)에 저장된 상기 측정정보(a) 및 상기 분석정보(b)를 상기 개별단말(400)로 송신하는 제2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
KR1020220039566A 2022-03-30 2022-03-30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 KR20230140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566A KR20230140827A (ko) 2022-03-30 2022-03-30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566A KR20230140827A (ko) 2022-03-30 2022-03-30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827A true KR20230140827A (ko) 2023-10-10

Family

ID=8829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566A KR20230140827A (ko) 2022-03-30 2022-03-30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082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530A (ko) 2009-08-07 2012-06-08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살진균성 다이페닐-치환된 피리다진
KR20200102743A (ko) 2019-02-22 2020-09-01 한국과학기술원 냄새 시각화 커뮤니케이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530A (ko) 2009-08-07 2012-06-08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살진균성 다이페닐-치환된 피리다진
KR20200102743A (ko) 2019-02-22 2020-09-01 한국과학기술원 냄새 시각화 커뮤니케이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ustorp et al. Physical activity and self‐perception in school children assessed with the Children and Youth–Physical Self‐Perception Profile
Smedley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of first year bachelor of nursing students
Brown et al. Levels of empathy in undergraduat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Johnson et al. Autism knowledge among pre-service teachers specialized in children birth through age five: Implications for health education
Park et al. Effectiveness of a case-based computer program on students’ ethical decision making
Draugelis et al. Psychosocial predictors of well-being in collegiate dancers
Bradbard et al. An Alternate Multiple‐Choice Scoring Procedure in a Macroeconomics Course
Kountur Detecting careless responses to self-reported questionnaires
KR20230140827A (ko) 감각 인지 능력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감각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
Ryan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auditing tool for person‐centred psychotherapy and counselling for young people: The PCEPS‐YP
Waugh Measuring self‐reported studying and learning for university students: Linking attitudes and behaviours on the same scale
JP2019208758A (ja) 認知機能測定システム、認知機能測定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Ng et al. Assessing the internal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general movement competence assessment for children
Kulinna et al. Fitness portfolio calibration for first-through sixth-grade children
Cinaz et al.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wearable reaction time tests
Sahin et al.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coronavirus anxiety on their level of socialization through sports
Wion et al. Scoring of leisure activities for older adults according to cognitive, physical, and social components
Onder et al.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digital gaming in adolescents: problems, nursing interventions, and outcomes
Baird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coaching behaviors on an adolescent athlete's self-esteem
Shepherd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ofessional counseling performance evaluation
Rolfe The Patient‐Centredness Multi‐Choice Questionnaire: developing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patient‐centredness in student nurses
Moser The measurement of role taking in young adults
King et al. Classroom teachers’ accuracy in observing students’ motor performance
Burhaein et al. Reliability of instruments friendship activity observational test and adjective observational test for intellectual disability in unified sports
Prado et al. Laboratory Study of Directed Lie Polygraphs with Spanish Speaking Examine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