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792A -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792A
KR20230138792A KR1020220036857A KR20220036857A KR20230138792A KR 20230138792 A KR20230138792 A KR 20230138792A KR 1020220036857 A KR1020220036857 A KR 1020220036857A KR 20220036857 A KR20220036857 A KR 20220036857A KR 20230138792 A KR20230138792 A KR 20230138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terminal
display device
information
informa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062B1 (ko
Inventor
남기모
윤승현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스
Priority to KR1020220036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062B1/ko
Publication of KR20230138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60K3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60K2360/187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according to vehicle situations
    • B60K2370/152
    • B60K2370/187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차량 정보 표시 장치는, 차량의 인증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상기 인증 정보를 확인하는 인증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이 승인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되는 서비스에 대응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AR INFORMA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로 차량의 운행에 연관되는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된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자동차의 운행 관련 정보는 운전자 중심으로 표출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동차와 모바일 장치 간의 연결도 모바일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자동차 내의 디스플레이나 오디오 장치로 제공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차량의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일정 레벨 이상의 자율주행이 구현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반드시 운전석에 앉아야 할 필요도 사라지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동차의 운행 상태에 연관되는 정보는 사용자에게 표시해야 하는 상황은 여전히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724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차량 내에 존재하는 계기판(Instrument Cluster)이나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 등을 활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장치로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는, 차량의 인증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상기 인증 정보를 확인하는 인증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이 승인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되는 서비스에 대응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연관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부가 수집한 상기 차량에 연관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가 제시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집부는 상기 미리 지정되는 룰셋(Ruleset)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연관되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고유 부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도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부는, 수신된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차량이 제공하는 고유 부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승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 정보 표시 장치는 외부 기상 조건이 미리 지정되는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 주행 모드 변경 여부 알림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정보 표시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표시 장치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정보 표시장치로 인증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 정보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가능 목록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차량 정보 표시장치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이전 연결 이력이 있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에 재연결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도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현재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효시되는 정보의 위치, 크기, 비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인증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이 승인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되는 서비스에 대응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표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차량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차량 내 디지털 클러스터가 아닌 사용자 단말에서 원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장치간 인증을 수행하여,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 여부를 구분하고, 실제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에 한해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제3자의 차량 제어를 방지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차량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차량 정보 표시 장치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차량의 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와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연결 단계에서 나타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서 서비스 가능한 목록을 나타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 길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 차량의 후방카메라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 코드(embedded code), 및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차량 정보 표시 장치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차량의 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는 차량(100)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최근 출시되는 차량들은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를 통해 차량의 상태 또는 운행정보를 표시하고, 디지털화된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사용 방법이나, 특정 부품의 결함 여부, 날씨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는 차량의 앞좌석 인근에 부착되어 동작하기 때문에 뒷좌석에서는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를 조작하거나 차량용 디지털 클러스터가 제공하는 정보를 확인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이러한 어려움은 자율주행 시대가 도래하는 경우에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실질적인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사용자 중 1인은 디지털 클러스터의 제어를 위해 반드시 앞좌석에 탑승해야 한다거나, 뒷좌석에 앉는 사람은 운행 정보 등을 확인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는 상술한 어려움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차량에 부착되는 차량용 클러스터가 아닌 사용자의 단말로 정보를 프로젝션할 수 있다.
도 1에서 살펴보면, 차량 정보 표시 장치는 차량(100)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 표시 장치는 사용자 단말(300)로 차량의 속도나 RPM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다르면 차량 정보 표시 장치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차량(100)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차량(100)과 함께 동작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차량(100)에 기본 옵션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차량(100)의 내부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별도의 기기로서 차량(100)에 부착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차주가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를 별도 구매하여 차량(100)에 부착하고 차량(100)과 연동하여 구현되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차량(100)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제1 통신부(210), 제1 인증부(220), 수집부(230), 프로세서(240), 제1 저장부(250), 그리고 촬영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의 제1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30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통신 방식이 유선인 경우에는, 시리얼 통신, USB 연결, 차량(100)용 캔(CAN) 통신, 이더넷(Ethernet) 등의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의 경우,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NFC 등의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일뿐 상술한 통신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다양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300)과 필요한 정보들을 송수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300)로 인증 요청을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300)로 서비스 가능 목록을 송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차량(100)의 제어 명령이나 정보 제공 명령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로 요청받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인증부(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인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가 수신한 인증 정보가 차량(100)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에 올바른 접속으로 승인할 수 있으며, 차량(100)의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정상 접속으로서 승인을 불허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증부(220)는 인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100)의 고유 부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고유 부호로서 “123456”이 부여된 경우에,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인증 정보가 고유 부호 “123456”에 대응하는 경우에만 접속을 승인할 수 있다. 차량(100)의 고유 부호는 숫자 또는 문자일 수 있으며, 고유 부호는 차량(10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거나 차량(100) 내 음향 시스템을 통해 차량(100)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유 부호는 하나의 차량(100)이라고 하더라도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에 차량(100)의 고유 부호 “123456”을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입력된 정보를 인증 정보로서 제1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다. 제1 인증부(220)는 제1 통신부(210)가 수신한 인증 정보가 차량(100)의 고유 부호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인증부(220)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접속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생체 정보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차량(100)에 탑승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즉각적으로 수집된 정보일 수 있다. 생체 정보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만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암호화키와 함께 인증 정보로써 제1 인증부(22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암호화키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생성되어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 및 제1 인증부(220)는, 초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 등록시 생성된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키를 생성하거나, 암호화키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1 인증부(220)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측정한 생체 정보 및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인증승인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때, 생체 정보와 암호화키는 전술한 고유 부호를 대신하여 제1 인증부(220)에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생체 정보와 암호화키는 별도로 차량(1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된 고유 부호와 함께 제1 인증부(220)에 전달되어 인증 정보로써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사용자 단말(300)의 인증이 승인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300)에서 선택되는 서비스에 대응하여 차량(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4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 등에 따라 차량(100) 내부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거나 창문을 개폐할 수 있고 또는 차량(100)의 도어를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 차량(100)의 가속 및 감속 등 주행에 관한 제어도 가능하다.
프로세서(240)가 제어 가능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6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수집부(230)는 차량(100)에 연관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제원, 현재속도, 타이어별 공기압, 배터리 잔량, 연료 잔량, 외부 온도, 내부 온도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일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수집부(230)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표시될 수 있는 차량(100)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부(230)는 자동차 내의 다른 부품 또는 장치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부(230)가 데이터를 수집할 때에 자동차 데이터 설정부(미도시)에서 정한 특정 룰셋(Ruleset)에 따라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동차 데이터 설정부(미도시)는 어떤 데이터를 어떤 수요에 의하여 어떤 주기로 수집하고 전송을 해 줄 것인지를 룰셋(Ruleset)을 기초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시동이 켜지는 경우에 연료의 잔량 정보를 수집하고, 엔진 점화 플러그의 동작여부를 수집하고, 외기온도를 측정하고, 타이어 공기압을 측정하는 동작을 미리 정해진 룰셋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료의 잔량 정보를 수집한 뒤, 엔진의 토크 및 속력에 따라 예측되는 주행가능 키로수를 산출하는 동작과 같이, 이전 동작과 연계되는 후속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데이터 설정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차량(100)의 현재 타이어 공기압 정보를 수집하도록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차량(100)의 엔진오일 잔량 정보를 수집하도록 하거나, 미리 설정된 주기로 차량(100) 보조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자동차 데이터 분석부(미도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를 활용하는 구성이다. 이 때, 자동차 데이터 분석부는 자동차에서 주고 받는 데이터의 데이터 프로토콜이나 캔(CAN) 통신 데이터베이스 등을 참고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제1 저장부(250)는 수집부(230)에서 수집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250)는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클라우드 저장장치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부 클라우드 저장장치를 제1 저장부(250)로 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저장할 정보를 제1 통신부(210)를 통해 외부 클라우드 저장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촬영부(260)는 예시적으로 차량(100)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0)의 후방 카메라 또는 서라운드뷰 카메라일 수 있다. 촬영부(260)가 촬영한 이미지는 제1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될 수 있다. 촬영부(260)가 촬영한 이미지는 동영상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1 통신부(210)가 영상을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촬영부(260)가 촬영한 이미지를 수신하여 표시부(도 3의 34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자동차 데이터 추상화부(미도시), 자동차 데이터 GUI 구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 데이터 추상화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3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자동차 데이터의 원천 데이터(Raw data)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의미가 해석된 추상화된 정보를 보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자동차 데이터 추상화부(미도시)는 원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0)에서 바로 표시가 가능한 가공 데이터로 변환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자동차 데이터 추상화부(미도시)는, 원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자동차 데이터 추상화부(미도시)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며,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의 시스템 부하를 줄이고 사용자 단말(300)에서 복잡한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자동차 데이터 추상화부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의 연산량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가공이 완료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자동차 데이터 추상화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동차 데이터 GUI 구성부(미도시)는 수집된 자동차 데이터를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있는 형태로 구성하여 비디오 스트림 등의 형태로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자동차 데이터 GUI 구성부(미도시)는 자동차 데이터 추상화부와 같이 시스템의 구성이나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는 구성이다. 사용자 단말(300)은 자동차 데이터 GUI 구성부(미도시)에서 제공되는 GUI를 스트리밍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시부(3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하여 자동차 데이터 추상화부(미도시)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300)의 성능이 뛰어난 경우, 자동차 데이터 추상화부(미도시)를 비활성화시켜 차량(100)의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의 성능이 다소 낮으나 빠른 무선통신이 가능한 경우, 자동차 데이터 추상화부(미도시)를 활성화시켜 차량(100)의 연산량을 증가시키되 사용자 단말(300)의 연산량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데이터 추상화부(미도시)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에서 사용자 단말(300)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종류 및 데이터 크기는 서로 상이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제2 통신부(310), 제2 프로세서(320), 제2 저장부(330), 및 표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310)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와 필요한 정보들을 송수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부(310)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로 인증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로부터 서비스 가능 목록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서비스 명령을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제어 명령 또는 정보 요청 명령을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320)는 제2 통신부(310)가 송수신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2 저장부(330)에 저장되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부(340)가 어떤 방식으로 표시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저장부(330)는 제2 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저장부(330)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의 고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고유 정보는 다음번 연결시에 사용자의 별도 입력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로 제공되어 인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저장부(330)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와의 연결을 위한 차량(100)정보, 개인키 또는 암호화키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40)는 제2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종류를 가리지 않으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면 충분하다.
표시부(340)가 표시하는 정보의 형태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와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서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과 사용자 단말(300) 사이에 신호를 주고받는 흐름을 설명한다.
최초에, 사용자 단말(300)은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로 연결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S410). 즉,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탑승한 차량(100)에 자신의 사용자 단말(300)을 연결하기 위해 연결 요청을 송신한다(S410). 예를 들어 무선으로 단말을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주변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기기 리스트 중에서 자신이 탑승한 차량(100)을 선택하여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연결 요청을 수신한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300)의 연결을 수락한다(S420).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은 연결 수락과 함께, 사용자 단말(300)로 인증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S430).
인증 요청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300)은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로 인증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440). 예를 들어, 인증 정보는 차량(100)에 대응하는 정보이며, 차량(10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차량(100)의 고유 번호나 고유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100)의 고유 번호(또는, 고유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300)에 차량(100)의 고유 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고유 번호가 입력되면, 단말(300)은 입력된 고유 번호를 인증 정보로 하여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S440).
다른 예로, 인증 정보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예를 들어, 생체 정보 및/또는 생체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암호화키)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즉각적으로 수집하여 암호화키와 함께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에 전달하고,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정보를 수신한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445). 예를 들어, 차량(100)의 고유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인증 절차는 차량(100) 정보 제공 장치에 포함되는 인증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증 절차에 따라 인증이 승인되는 경우 인증 확인 신호를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S450). 이와 함께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300)로 서비스 가능 목록을 전달할 수 있다(S460). 만약 인증이 승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연결을 종료할 수 있으며, 또는 다시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로 돌아갈 수도 있다.
이때,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에서 사용자 단말(300)로 전달되는 서비스 가능 목록에는, 현재 주행 중인 차량(100)의 속도, 목적지까지의 남은 거리, 현재 주행의 도로의 명칭, 현재 주행 방향, 주변 교통 상황(예를 들어, V2X를 통해 전송 받은 데이터 또는 차량(100)의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재가공한 데이터), 위치 기준 주변 POI(Point of Interest), 차량(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에 해당하는 정보(Telltale 정보), 내연기관 차량(100)의 경우 RPM, 전기차 등 환경차의 경우 회생제동 정보, 전기차 등 환경차의 경우 잔여 배터리 용량, 주행 가능 거리 (DTE), 기타 차량(100)의 현재 상태 또는 주행 상태, 경로와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내용일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차량(100)과 연관되는 다양한 서비스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가능 목록은, 차량(100)의 현재 상황(예를 들어, 주행상태, 연료상태, 외부환경)에 따라 필터링되어 사용자에게 현재 필요한 정보로만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서비스 가능 목록은, 차량(100)의 주행상태나 차량(100)의 특정 파라미터에 따라, 구성항목이 상이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수신한 서비스 가능 목록을 표시부(3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300)은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로부터 제시된 서비스 기능의 목록 중에서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항목(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거나, 사용자가 확인해야하는 항목)만이 표시되도록 GUI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들이 실제 사용자 앱의 GUI 화면에 적절히 배치될 수 있도록, 각 기능의 화면 위치 및 크기 등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도 게이지가 선택된 경우, GUI의 왼쪽 위에 위치하고 그 크기를 AAA x BBB 픽셀로 표시할 수 있다. 속도 게이지가 선택되지 않고 경로정보가 선택된 경우에는, 경로 정보가 화면의 왼쪽 전체에 CCC x DDD 픽셀로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예시적인 구성이며, 사용자가 선택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또는 사용자가 몇 가지의 서비스를 선택하는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00)은 현재 차량(100)의 상태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의 화면 표시를 자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이 제한 속도 이상으로 운행중인 경우에, 사용자 단말(300)은 현재 차량(100)의 속도를 화면 중앙에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다.
상술한 예시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은 차량(100)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정보의 표시 크기, 표시 위치, 표시 비율, 표시 컬러 등을 자동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간에서 주행모드를 변경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300)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온/온도/날씨가 미리 설정된 기준조건에 충족하는 경우, 해당 조건에 대응되는 주행모드로 운전할 것을 제안하는 알림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알람을 확인하고 제안된 주행모드로 동작하도록 명령을 내리거나, 직접 주행 상황을 판단하여 다양한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서비스 목록을 비교할 수 있고(S461), 나열된 서비스 목록 중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S462).
예를 들어, 원하는 목적지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고, 차량(100)의 속도를 높이거나 줄일 수 있다. 또는 차량(100)의 실내 온도, 창문 개폐 들을 설정이나 내비게이션 화면을 표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요청받은 데이터만 사용자 단말(300)로 전달할 수도 있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요청받은 서비스와 상관없이 제공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300)에서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기능만을 GUI 상에 표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명령 또는 서비스 요청 중 사용자의 임의의 요구에 의하여 차량(100)의 운행에 변경을 줄 수 있는 요청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현재 주행중인 경로 상에서 경유지 등의 추가로 경로의 변경 사항이 발생하거나, 특정 구간에서 주행 모드를 변경하여 주행 특성을 변경하는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하여, 미리 등록된 관광 명소나 외부 경관이 수려한 장소를 지나는 경우 주행속도를 낮추어 운행하라는 명령을 미리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미리 입력한 명령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미리 입력된 사용자 단말(3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차량(100)의 제어와 관련된 사항을 사전에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과, 입력된 제어 명령의 수행시점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동작 우선순위에 따라 차량(100)의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저장된 장소를 지나는 경우, 차량(100)의 주행속도를 최저속도로 낮추어 진행해줄 것을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미리 입력 받더라도, 해당 장소를 지날 때 주변차량(100)의 평균속도 및 도로상황, 안전규칙 등을 고려하여 차량(100)의 주행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행속도로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과, 미리 입력된 안전 주행 관련 제어 규칙이 충돌이 있는 경우, 안전 주행 관련 제어 규칙이 우선순위를 갖게 되며, 이를 기초로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차량(100)을 제어한다.
한편,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명령을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S470).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전송되는 명령은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차량(100)의 현재 속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일 수 있다.
명령을 수신한 차량(100)은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차량(100) 또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는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여 목적지를 향해 차량(100)이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차량(100)의 현재 속도 정보를 단말(300)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75).
단말(300)로부터 S470 단계에서 수신한 명령이 정보 요청인 경우에, 차량(100)은 요청한 정보를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S480). 이 경우 단말(300)은 전달받은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485).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연결 단계에서 나타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단말(300)은 차량(100)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에 예시된 화면과 같이 차량(100)에 연결 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300)에 표시된 차량(100)의 번호가 자신이 연결하고자 하는 차량(100)의 차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예” 버튼을 눌러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차량(100)과 단말이 연결된 경우에,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의 제1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300)로 인증 요청을 송신하게 되고,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정보에 대해 제1 인증부(220)가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수신된 인증 정보가 차량(100)이 제공하는 고유 부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승인할 수 있다. 접속이 승인된 경우에 한해,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단말로 송신하게 되고, 고유 부호가 일치하지 않아 접속이 거절된 경우에는 연결을 종료하거나 다시 인증 절차를 처음부터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서 서비스 가능한 목록을 나타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은 차량(100)의 현재 연료 상태 또는 배터리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현재 운행중인 차량(100)의 속력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의 에어컨 가동 설정, 도어 잠금 설정, 실내 온도 조절, 차량(100) 제어, 충전 현황, 차량(100) 위치, 차량(100) 호출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주행 정보를 비롯한 차량(100)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각종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잠금의 해제나, 창문의 개폐, 혹은 현재 위치로 차량(100)을 호출하는 등의 제어도 가능하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 길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서비스 목록 중 내비게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에, 단말은 차량(10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100)의 주행 경로나 현재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 차량(100)의 후방카메라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에서는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이 후방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로 도시하였으나, 서라운드 카메라, 전방 카메라, 후측방 카메라 등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카메라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차량(100) 제어 명령으로서 차선을 변경하는 명령을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은 변경하려는 차선쪽 방향의 후측방 카메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가 차량(100) 제어 명령으로서 주차 명령을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은 후방카메라 또는 서라운드 영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 영상을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단말이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했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차량 정보 표시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차량(100)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100)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 및 제조사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자율 주행이 가능한 차량(100)의 경우에 운전자가 불필요하게 되고, 탑승자가 굳이 앞좌석에 앉을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는 원하는 자리에 앉아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 편리하게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인증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상기 인증 정보를 확인하는 인증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이 승인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되는 서비스에 대응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연관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부가 수집한 상기 차량에 연관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미리 지정되는 룰셋(Ruleset)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연관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집부가 수집하는 정보, 수집 주기, 수집 방식을 제어하고,
    상기 수집부가 수집된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가 상기 기준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를 변경할 것을 알리는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수신된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차량이 제공하는 고유 부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승인하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에서 수집된 원천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가공 데이터로 변환하는 자동차 데이터 추상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자동차 데이터 추상화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명령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종류 및 데이터 크기는 서로 상이해지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
  7. 차량 정보 표시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표시 장치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정보 표시장치로 인증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 정보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가능 목록을 현재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차량 정보 표시장치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이전 연결 이력이 있는 차량 정보 표시 장치에 재연결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현재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정보의 위치, 크기, 비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환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10. 차량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인증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이 승인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되는 서비스에 대응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표시 방법.
KR1020220036857A 2022-03-24 2022-03-24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640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857A KR102640062B1 (ko) 2022-03-24 2022-03-24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857A KR102640062B1 (ko) 2022-03-24 2022-03-24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792A true KR20230138792A (ko) 2023-10-05
KR102640062B1 KR102640062B1 (ko) 2024-02-27

Family

ID=8829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857A KR102640062B1 (ko) 2022-03-24 2022-03-24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0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167A (ko) * 2006-07-19 200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처리장치
KR20130063409A (ko) * 2011-12-06 201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3571A (ko) * 2015-07-28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연결 단말기, 차량, 이들을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연결 방법
KR20170017111A (ko) * 2015-08-05 201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7245B1 (ko) 2013-01-17 2019-10-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차 계기판 장치 및 자동차 계기판 제어 방법
KR20210087575A (ko) * 2019-12-26 2021-07-1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 급발진 발생시 사고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167A (ko) * 2006-07-19 200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처리장치
KR20130063409A (ko) * 2011-12-06 201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7245B1 (ko) 2013-01-17 2019-10-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차 계기판 장치 및 자동차 계기판 제어 방법
KR20170013571A (ko) * 2015-07-28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연결 단말기, 차량, 이들을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연결 방법
KR20170017111A (ko) * 2015-08-05 201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87575A (ko) * 2019-12-26 2021-07-1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 급발진 발생시 사고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062B1 (ko)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9761B1 (en) Passenger profiles for autonomous vehicles
JP6857920B2 (ja) 車両及び携帯情報端末
US9953283B2 (en)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s in connection with transport services
US9807547B1 (en) Relationship management for vehicle-sharing systems
US9240019B2 (en)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vehicle and device
JP6828740B2 (ja) 車両の電子インタフェースを介した通信を容易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10549991A (zh) 管理服务器、管理***、以及管理方法
CN106427828A (zh) 用于***式无线安全装置的方法和设备
US108169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to restricted areas by an autonomous vehicle
CN110276974A (zh) 远程终点下车导航引导
US20110155803A1 (en) User-specific personalization of vehicle functionality
US10229601B2 (en) System and method to exhibit vehicle information
CN110857073A (zh) 提供遗忘通知的***和方法
KR20180052077A (ko) 완전 자율주행에서의 사용자와 자율주행 시스템 간 인터랙션 방법
KR102317862B1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원격 주행차의 해킹방지 기법
KR102640062B1 (ko) 차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JP7439810B2 (ja) サーバ、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0200525B2 (en) Method and information system for informing a driver of a vehicle regarding the availability of a communication l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