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423A -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423A
KR20230134423A KR1020230019345A KR20230019345A KR20230134423A KR 20230134423 A KR20230134423 A KR 20230134423A KR 1020230019345 A KR1020230019345 A KR 1020230019345A KR 20230019345 A KR20230019345 A KR 20230019345A KR 20230134423 A KR20230134423 A KR 20230134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tacle
construction machinery
zone
construction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유준
이명훈
이지혁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to US18/118,21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287659A1/en
Priority to EP23160876.1A priority patent/EP4245927A1/en
Priority to CN202310244289.0A priority patent/CN116752607A/zh
Publication of KR20230134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93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7/931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의 일 측면은 하부주행체, 상기 하부주행체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 및 상기 상부선회체에 장착되는 작업장치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 인근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장애물 감지시스템 및 상기 장애물 감지시스템에서 생성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DISPLAY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 개시는 인근의 장애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다른 차량 유형 중에서 트럭, 버스 및 건설 장비와 같은 대형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특정 차량에 대해 설명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임의의 특정 차량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기계는 하부주행체에 상부선회체가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건설기계의 동작 시, 즉, 상부선회체가 하부주행체에 대해 선회되거나 또는 하부주행체가 후진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운전석에서 건설기계를 동작시키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존재하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건설기계의 상부선회체 등에 구비된 미러를 보거나 직접 해당 이동경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건설기계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 굴삭기에는 상부선회체의 좌우측방 또는 후방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사각지대에 위치된 장애물을 인식하였으나, 해당 방향의 영상을 모니터에 표시할 뿐 장애물과의 거리 등에 관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하부주행체, 상기 하부주행체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 및 상기 상부선회체에 장착되는 작업장치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 인근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장애물 감지시스템 및 상기 장애물 감지시스템에서 생성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기술적 이점은 작업자가 건설기계 인근의 장애물의 위치, 거리 및 방향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부 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건설기계 인근의 장애물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장애물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장애물 위치정보는, 상기 장애물 감지시스템의 감지영역에 대응하며, 일 지점을 중심으로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구역을 포함하고, 각 구역은 상기 일 지점의 반경방향을 따라 복수의 섹터로 분할되고, 각 구역에서 장애물이 위치하는 섹터를 다른 섹터와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일 지점에는 가상의 건설기계가 표시되고, 상기 가상의 건설기계는 장애물이 위치하는 섹터와 라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각 섹터는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장애물 감지시스템의 감지영역은 각 구역별로 소정의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표시부를 통해 입력된 섹터를 상기 장애물 감지시스템의 감지영역의 상한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건설기계 인근의 장애물 방향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장애물 방향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장애물 방향정보는, 상기 장애물 감지시스템의 감지영역에 대응하며, 일 지점을 중심으로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구역을 포함하고, 장애물이 위치하는 구역을 다른 구역과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일 지점의 전방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0~45도 범위는 제 1 구역, 45~90도 범위는 제 2 구역, 90도~135도는 제 3 구역, 135~180도는 제 4 구역, 180~225도는 제 5 구역, 225~270도는 제 6구역, 270~315 도는 제 7 구역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정상작동 유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시스템 상태 정보는, 중심에 배치되는 기호 및 상기 기호를 중심으로 둘레에 배치되며 연속적으로 변하도록 표시되는 바(ba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기호는 체크 또는 느낌표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장애물 감지시스템은, 상기 건설기계의 전방 및 양측방에서 상기 건설기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부터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건설기계 인근의 장애물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장애물 위치정보, 상기 건설기계 인근의 장애물 방향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장애물 방향정보 및 상기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정상작동 유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개시된 양태, 실시예(임의의 바람직한 실시예 포함) 및/또는 수반하는 청구범위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서로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다.
추가 기능과 이점은, 하기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개시되어 있고, 부분적으로는 이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하거나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개시를 실시함으로써 인식될 것이다.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건설기계의 기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 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 은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장애물 감지영역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4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의 표시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장애물 위치정보의 복수개의 구역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 은 장애물 위치정보의 복수개의 섹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 은 장애물 방향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 은 장애물 감지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의 시스템 상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 는 장애물 감지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의 시스템 상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아래에 설명된 양태들은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나타낸다.
도 1은 건설기계의 기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개시 내용의 측면에 따른 건설기계(10)는 하부주행체(11), 상기 하부주행체(11)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부선회체(12), 및 각각의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붐(13a), 아암(13b) 및 어태치먼트(13c)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선회체(12)에 지지되는 작업장치(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주행체(11)는 상부선회체(12)와 작업장치(13)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작업목적을 위하여 건설기계를 앞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상부선회체(12)는 하부주행체(11) 상에서 지지되는 구성이며, 스윙모터, 스윙감속기어 등을 포함하는 선회장치에 의하여 하부주행체(11) 상에서 회전하도록 설계된다.
상부선회체(12) 상에는 건설기계(10)의 캐빈(12a)이 설치될 수 있으며, 캐빈(12a)에는 오퍼레이터(Construction equipment operator)가 탑승하여 앉을 수 있는 운전석이 마련될 수 있다. 운전석의 전방에는, 건설기계(10)의 작업이나 주행을 조작하는 핸들이나 페달 등이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작업장치(13)는 상부선회체(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건설기계(10)의 작업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때, 작업은 토목, 건설현장에서의 다양한 작업을 의미할 수 있다. 작업장치(13)는 각각의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붐(13a), 암(13b), 어태치먼트(1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선회체(12)의 전방을 향하여 지지된 채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부선회체(12)가 회전하는 경우에, 작업장치(13)는 상부선회체(12)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2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1)은 상기 건설기계(10) 인근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 및 상기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은 센서부(110), 촬영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물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다수의 센서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레이다(Rada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10)는 오브젝트에 조사되는 초음파의 수신량 또는 도달 시간을 토대로 장애물과 차량, 장애물과 버켓 사이의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도출되는 거리 정보를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촬영부(120)는 건설기계(10)에 장착되어 건설기계(10)의 전후좌우면을 촬영가능한 화각을 갖는 다수의 카메라를 포함한다. 주행 및 작업시 건설기계(10)의 전방 또는 후방의 영상을 취득하며, 취득된 촬영 영상을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다수의 카메라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건설기계(10)의 전방, 후방, 좌측, 우측을 각각 촬상하는 전방 카메라, 후방 카메라, 좌측 카메라, 우측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은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장애물 감지영역의 일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기계(10)의 전방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대략 0~315도 범위에 위치하는 장애물의 경우 센서부(110) 또는 촬영부(120)에 의해 그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다만, 건설기계(10)의 대략 315~360도의 구역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장애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센서부(110) 또는 촬영부(120)로 해당 영역의 장애물을 감지할 필요가 없다. 즉, 건설기계(10)의 전방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대략 0~315도의 구역은 장애물 감지 시스템이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장애물 감지영역(D)의 일부이고, 건설기계(10)의 전방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대략 315~360도의 구역은 장애물 감지 시스템이 장애물을 감지할 수 없는 비감지영역(B)의 일부이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의 센싱 정보와 촬영부(120)의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아울러, 촬영부(120)의 다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영상을 결합시켜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건설기계(10)의 전후방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어라운드 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표시부(20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이 전방 및 양측방에서 너무 가까운 거리까지 감지하게 되면 작업장치의 선회시 하부주행체가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에 감지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에,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은 건설기계(10)의 전방 및 양측방에서는 건설기계(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부터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부(200)는 운전실의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표시화면일 수도 있으며,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표시부(200)는 제어부(130)에서 생성된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의 표시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00)에는, 장애물 위치정보(210), 장애물 방향정보(220) 및 시스템 상태 정보(230)가 표시될 수 있다.
장애물 위치정보(210)는, 건설기계 인근의 장애물과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정보로서, 표시부(2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장애물 위치정보의 복수개의 구역의 일 예를 도시한다.
장애물 위치정보(210)는, 전술한 건설기계의 장애물 감지영역에 대응하며 일 지점(P)을 중심으로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지점(P)의 전방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0~45도 범위는 제 1 구역(211), 45~90도 범위는 제 2 구역(212), 90도~135도는 제 3 구역(213), 135~180도는 제 4 구역(214), 180~225도는 제 5 구역(215), 225~270도는 제 6구역(216), 270~315 도는 제 7 구역(217)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지점(P)에는 가상의 건설기계(M)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제 1 구역(211) 내지 제 7 구역(217)은 도 3 에 도시된 건설기계(10)의 전방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대략 0~315도 범위에 해당하는 장애물 감지영역(D)에 대응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설기계의 전방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315~360도의 범위의 경우, 작업자가 위치하는 캐빈에 근접한 구역으로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장애물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해당 영역에는 별도의 구역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각 구역은 총 5 개의 섹터(S1~S5)로 분할될 수 있다. 도 6 은 장애물 위치정보의 복수개의 섹터의 일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역은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제 1 섹터 내지 제 5 섹터(S1~S5)로 구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섹터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섹터가 중심측에 가까울수록 장애물이 건설기계로부터 가깝다는 것을 나타내고, 섹터가 중심측에서 멀수록 장애물이 건설기계로부터 멀리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섹터는 건설기계로부터의 이격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장애물 감지시스템은 건설기계의 전방 및 양측방에서는 일정거리 이격한 위치부터 감지하기 때문에, 건설기계의 후방에 위치한 구역과 전방,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구역은 각 섹터가 커버하는 범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설기계의 전방,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제 1 구역(211) 내지 제 3 구역(213), 제 6 구역(216) 및 제 7구역(217)에서 제 1 섹터(S1)는 건설기계로부터 2~3m 범위를 의미하고, 제 2 섹터(S2)는 건설기계로부터 3~4m 범위를 의미하고, 제 3 섹터(S3)는 건설기계로부터 4~5m 범위를 의미하고, 제 4 섹터(S4)는 건설기계로부터 5~6m 범위를 의미하고, 제 5 섹터(S5)는 건설기계로부터 6~7m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건설기계의 후방에 위치한 제 4구역(214) 및 제 5 구역(215)에서 제 1 섹터(S1)는 건설기계로부터 0~2m 범위를 의미하고, 제 2 섹터(S2)는 건설기계로부터 2~3m 범위를 의미하고, 제 3 섹터(S3)는 건설기계로부터 3~4m 범위를 의미하고, 제 4 섹터(S4)는 건설기계로부터 4~5m 범위를 의미하고, 제 5 섹터(S5)는 건설기계로부터 5~7m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각 섹터는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섹터는 중심에 가까울수록 붉은색, 중심에서 멀수록 노란색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장애물 위치정보(210)가 표시될 때, 각 구역별로 장애물이 위치하는 섹터가 다른 섹터와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애물 위치정보(210)가 표시될 때, 각 구역별로 건설기계와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응되는 하나의 섹터만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 제 1 구역(211)에서 2~3m 내에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제 1 섹터(S1)가 표시될 수 있다. 제 2 구역(212)에서 3~4m 내에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제 2 섹터(S2)가 표시될 수 있다. 제 3 구역(213)에서 4~5m 내에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제 3 섹터(S3)가 표시될 수 있다. 제 4 구역(214)에서 4~5m 내에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제 4 섹터(S4)가 표시될 수 있다. 제 5 구역(215)에서 5~7m 내에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제 5 섹터(S5)가 표시될 수 있다. 제 6 구역(216)에서 5~6m 내에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제 4 섹터(S4)가 표시될 수 있다. 제 7 구역(217)에서 4~5m 내에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제 3 섹터(S3)가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물 위치정보(210)는 각 섹터(S)와 중심에 위치하는 가상의 건설기계(M)를 연결하는 라인(L)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장애물 위치정보(210)를 통해 건설기계와 장애물과의 거리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이 장애물이 감지할 수 있는 감지영역은 소정의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의 감지영역이 0~3m 로 제한되는 경우, 건설기계를 중심으로 0~3m의 범위의 장애물은 감지되고, 그 이상 범위의 장애물은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의 감지영역은 각 구역별로 개별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업자는 표시부(200)를 통해 하나의 섹터를 선택하여 감지영역의 상한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제 4 구역(214)을 기준으로, 제 3 섹터(S3)가 선택되면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의 감지영역은 건설기계로부터 0~4m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업자는 표시부(200)를 통해 둘 이상의 섹터를 선택하여 감지영역의 하한 및 상한을 제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제 4 구역(214)을 기준으로, 제 2 섹터(S2) 및 제 4 섹터(S4)가 선택되면 장애물 감지 시스템(100)의 감지영역은 건설기계로부터 3~5m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물 방향정보(220)는, 건설기계 인근의 장애물 유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정보로서, 표시부(200)의 좌측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 은 장애물 방향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장애물 방향정보(220)는, 전술한 장애물 위치정보(210)의 구역과 대응되는 구역을 가지지만, 장애물 방향정보(220)의 각 구역은 섹터로 분할되지 않는다. 장애물 방향정보(220)의 중심에는 가상의 건설기계(M)가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애물 방향정보(220)는 해당 구역내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장애물이 감지된 구역을 다른 구역과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은 구역은 제 1 색상, 장애물이 감지된 구역은 제 2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기계 인근에서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장애물 방향정보(220)의 모든 구역이 제 1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구역(224)에서만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 장애물 방향정보(220)는 제 4 구역(224)을 다른 구역과 구분되는 제 2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구역에서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 장애물 방향정보(220)의 모든 구역을 제 2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상태 정보(230)는,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정상작동 유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정보로서, 표시부(200)의 우측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 은 장애물 감지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의 시스템 상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 은 장애물 감지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의 시스템 상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상태 정보(230a)는 체크 표시의 기호(231a) 및 체크 표시의 기호(231a)를 중심으로 둘레에 배치되는 바(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장애물 감지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시스템 상태 정보(230a)는, 체크 표시의 기호(231a)와 함께 바(232)가 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즉, 바가 연속해서 변하지 않는 경우 운전자는 화면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상태 정보(230b)는 느낌표 표시의 기호(231b) 및 느낌표 표시의 기호(231b)를 중심으로 둘레에 배치되는 바(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카메라가 고장이 발생하여 화면이 제대로 표시를 못할 경우와 같이 장애물 감지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시스템 상태 정보(230b)는, 느낌표 표시의 기호(231b)와 함께 바(232)가 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즉, 바가 연속해서 변하지 않는 경우 운전자는 화면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양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인 “한, “하나”, “그”는,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열거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한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한다"(includes) 및/또는 "포함하는"(including)이라는 용어들은, 본원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기능부, 정수, 행동,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부, 정수, 행동, 단계, 작업,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요소는 이러한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용어는 한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는 데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를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를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 있다.
"아래" 또는 "위" 또는 "상측" 또는 "하측" 또는 "수평" 또는 "수직"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한 요소와 다른 요소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용어 및 위에서 논의된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에 더하여 장치의 상이한 방향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요소가 다른 요소에 "연결된" 또는 "결합된"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것은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거나, 개재하는 요소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대조적으로,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된" 또는 "직접 결합된"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개재하는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 및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그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원에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화되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는 전술하고 도면에 예시한 양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오히려,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면 및 명세서에서는, 제한의 목적이 아닌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양태가 개시되어 있으며, 개시의 범위는 다음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Claims (15)

  1. 하부주행체, 상기 하부주행체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 및 상기 상부선회체에 장착되는 작업장치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 인근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장애물 감지시스템; 및
    상기 장애물 감지시스템에서 생성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건설기계 인근의 장애물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장애물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위치정보는,
    상기 장애물 감지시스템의 감지영역에 대응하며, 일 지점을 중심으로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구역을 포함하고,
    각 구역은 상기 일 지점의 반경방향을 따라 복수의 섹터로 분할되고,
    각 구역에서 장애물이 위치하는 섹터를 다른 섹터와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지점에는 가상의 건설기계가 표시되고,
    상기 가상의 건설기계는 장애물이 위치하는 섹터와 라인에 의해 연결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각 섹터는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시스템의 감지영역은 각 구역별로 소정의 범위 내로 제한가능한,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를 통해 입력된 섹터를 상기 장애물 감지시스템의 감지영역의 상한으로 제한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건설기계 인근의 장애물 방향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장애물 방향정보를 표시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방향정보는,
    상기 장애물 감지시스템의 감지영역에 대응하며, 일 지점을 중심으로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구역을 포함하고,
    장애물이 위치하는 구역을 다른 구역과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10. 제3 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일 지점의 전방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0~45도 범위는 제 1 구역, 45~90도 범위는 제 2 구역, 90도~135도는 제 3 구역, 135~180도는 제 4 구역, 180~225도는 제 5 구역, 225~270도는 제 6구역, 270~315 도는 제 7 구역인,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정상작동 유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상태 정보는,
    중심에 배치되는 기호 및 상기 기호를 중심으로 둘레에 배치되며 연속적으로 변하도록 표시되는 바(bar)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는 체크 또는 느낌표인,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시스템은,
    상기 건설기계의 전방 및 양측방에서 상기 건설기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부터 감지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건설기계 인근의 장애물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장애물 위치정보,
    상기 건설기계 인근의 장애물 방향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장애물 방향정보 및
    상기 장애물 감지 시스템의 정상작동 유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KR1020230019345A 2022-03-14 2023-02-14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KR20230134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118,218 US20230287659A1 (en) 2022-03-14 2023-03-07 Display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EP23160876.1A EP4245927A1 (en) 2022-03-14 2023-03-09 Display system for a construction machine
CN202310244289.0A CN116752607A (zh) 2022-03-14 2023-03-13 用于建筑机械的显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31579 2022-03-14
KR1020220031579 2022-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423A true KR20230134423A (ko) 2023-09-21

Family

ID=8818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345A KR20230134423A (ko) 2022-03-14 2023-02-14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44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6491B2 (ja) 作業機械の周囲監視装置
WO2006106685A1 (ja) 作業機械の周囲監視装置
KR101895830B1 (ko) 작업 기계의 주변 감시 장치
US105445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rotatable implement of a machine
US9457718B2 (en) Obstacle detection system
US20140293051A1 (en) Device for displaying rearward field of view of hydraulic shovel
CA2980693C (en) Working machine
AU2011242919B2 (en) Integrated object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JP6734485B2 (ja) 作業機械
WO2018043301A1 (ja) 作業機械の画像表示システム
US8315789B2 (en) Method for planning and executing obstacle-free paths for rotating excavation machinery
US20150070498A1 (en) Image Display System
JP2008144378A (ja) 遠隔操縦作業機の制御装置
KR20210089039A (ko) 건설기계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2158476A2 (en) Machine display system
WO2016140016A1 (ja) 車両の周囲監視装置
US1079316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bject detection warning
JP4196826B2 (ja) 旋回式作業車両の後方視野表示装置
US202102982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the presence of proximate objects in a working area
KR20230134423A (ko) 건설기계의 표시 시스템
EP4245927A1 (en) Display system for a construction machine
CA278134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ndication of an object within an operating ambit of heavy loading equipment
CN116752607A (zh) 用于建筑机械的显示***
WO2021075580A1 (ja) 作業機械の周辺監視システム、作業機械、及び作業機械の周辺監視方法
KR20220010221A (ko) Avm 기반 굴삭기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