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179A - Inkjet print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inthead - Google Patents

Inkjet print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inthe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179A
KR20230133179A KR1020220169557A KR20220169557A KR20230133179A KR 20230133179 A KR20230133179 A KR 20230133179A KR 1020220169557 A KR1020220169557 A KR 1020220169557A KR 20220169557 A KR20220169557 A KR 20220169557A KR 20230133179 A KR20230133179 A KR 20230133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nozzle
voltage
voltag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9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도영
부닷귀엔
박치현
임병직
이형동
유현웅
정재우
Original Assignee
엔젯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젯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젯 주식회사
Priority to EP23151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41995A1/en
Priority to US18/180,541 priority patent/US20230286272A1/en
Publication of KR20230133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1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201Structure of print heads with piezoelectric elements
    • B41J2/14233Structure of print heads with piezoelectric elements of film type, deformed by bending and disposed on a diaphrag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6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electric or magnetic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201Structure of print heads with piezoelectr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314Structure of ink jet print heads with electrostatically actuated membrane

Landscapes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상기 프린트헤드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기판에 잉크가 유입되도록 관통하는 인렛 및 복수의 멤브레인이 형성되는 제1 층, 상기 제1 층 아래에 배치되며, 기판에 상기 인렛과 연통되도록 관통하거나 상측면에서 파여진 형태의 매니폴드 및 상기 매니폴드에서 이송된 잉크가 유동하며 상기 멤브레인 하측에서 관통하는 복수의 노즐 유로가 형성된 제2 층, 상기 제2 층 아래에 배치되며, 기판에 복수의 상기 노즐 유로와 연통하는 복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제3 층, 상기 멤브레인이 형성된 상기 제1 층 상측면에 형성되어, 하부의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부의 압전체 및 상기 압전체 상부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압전 구동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멤브레인을 진동시키는 제1 전압제어기, 상기 제3 층의 하측면에 각 노즐 주위에 절연층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3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유도전기력에 의해 상기 잉크의 액적을 토출시키는 제2 전압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jet printhea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inthead. The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let penetrating to allow ink to flow into the substrate, a first layer where a plurality of membranes are formed, and below the first layer. A second layer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has a manifold that penetrates the substrate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or is hollowed out from the upper side, and a plurality of nozzle passages through which the ink transferred from the manifold flows and penetrat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membrane. A third layer disposed below the second layer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nozzle passages on the substrat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ayer on which the membrane is formed, a lower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at the bottom. A piezoelectric actuator including a piezoelectric body on top of one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on top of the piezoelectric body, a first voltage controller that vibrates the membrane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 lower side of the third lay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hird electrode formed around each nozzle surrounded by an insulating layer, and a second voltage controller that applies a voltage to the third electrode to eject the ink droplets by induced electric force.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상기 프린트헤드의 제작방법{INKJET PRINT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INTHEAD}Inkjet print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inthead {INKJET PRINT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INTHEAD}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상기 프린트헤드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노즐을 가지고 압전 방식과 노즐 끝의 액면에 유도되는 정전기력으로 하전된 용액을 토출시키는 유도 전기수력학 방식을 조합하여 복합 방식으로 잉크를 토출시키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상기 프린트헤드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jet printhea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inthead,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mbination of a piezoelectric method with multiple nozzles and an induction electrohydrodynamic method that discharges a charged solution by electrostatic force induced on the liquid surface at the tip of the nozzle. It relates to an inkjet printhead that ejects ink in a complex mann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inthead.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잉크의 미소한 액적(droplet)을 인쇄 매체의 원하는 위치에 토출시켜서 인쇄 매체 표면에 소정 색상의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최근에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유기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분야, 전자종이(E-Paper) 등과 같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분야, 금속 배선 등과 같은 인쇄 전자공학(Printed electronics) 분야, 및 바이오 분야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로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In general, an inkjet printhead is a device that prints an image of a predetermined color on the surface of a printing medium by ejecting tiny droplets of ink at a desired location on the printing medium. Inkjet printheads have recently been used in flat display field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LC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OLED), flexible displays such as electronic paper, and metal wiring, etc. The scope of application is expanding to various fields such as printed electronics and bio fields.

Drop-on-demand(DOD)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헤드에는 토출 방식에 따라 압전체의 변형에 의한 압력파로 잉크를 토출시키는 압전 방식(piezoelectric)의 잉크젯 프린트헤드와, 정전기력에 의하여 잉크를 토출시키는 전기수력학 방식(electrohydrodynamics)의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있다. Drop-on-demand (DOD) type inkjet printheads include piezoelectric inkjet printheads that discharge ink using pressure waves caused by deformation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depending on the discharge method, and electrohydraulic inkjet printheads that discharge ink by electrostatic force. There is an inkjet printhead with electrohydrodynamics.

압전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멤브레인을 압전체로 진동시켜 잉크를 수용하는 챔버에 압력을 가하여 잉크를 토출시키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노즐 표면 잉크의 표면 장력 및 점성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을 가하면 액적이 토출되고, 추가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은 이들 액적을 인쇄 매체 상에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속도로 방출 액적을 가속시키기에 충분히 커야 한다. 압전 구동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헤드에서는 수 피코리터 이하의 액적을 구현하기 위해 압력 챔버 내에서의 변형 에너지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나, 이 경우 토출되는 액적의 단위 체적당 토출 에너지도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 액적의 토출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액적의 토출 속도가 줄어들게 되면 원하는 위치에 액적이 정확하게 토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The piezoelectric inkjet printhead discharges ink by vibrating the membrane with a piezoelectric material to apply pressure to the chamber containing the ink. In general, droplets are ejected when enough pressure is applied to overcome the surface tension and viscosity of the nozzle surface ink, and additional pressure is applied to accelerate the ejected droplets to a speed that can accurately seat them on the printing medium. It must be big enough. In a piezoelectric-driven inkjet printhead,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mount of strain energy within the pressure chamber in order to produce droplets of several picoliters or less. However, in this case, the ejection energy per unit volume of the ejected droplet is also reduced, and as a result, The discharge speed of the droplet decreases. If the discharge speed of the droplet is reduced in this way,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droplet is not accurately discharged at the desired location.

압전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프린팅 작업을 제어하기가 용이하고, 압전체의 기계적인 변형에 의하여 토출 에너지를 제공하므로 사용되는 잉크에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압전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수 피코리터(picoliter) 이하의 초 미세 액적을 구현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통상 10cPs 수준의 점도 잉크만을 토출시킬 수 있고 고점도의 잉크는 토출시킬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토출 에너지의 한계로 인하여 80 피코리터 이상의 큰 액적을 토출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등 인쇄전자 공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그래픽 인쇄와는 달리 복수의 노즐간 토출 액적의 부피 균일도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압전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한계가 있다.The piezoelectric inkjet printhea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control the printing operation and providing ejection energy through mechanical deformation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so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ink used. However, piezoelectric inkjet printheads have difficulty in producing ultra-fine droplets of several picoliters or less, and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can only discharge ink with a viscosity of about 10 cPs and cannot discharge ink with high viscosity. . Additionally, due to limitations in discharge energy,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large droplets larger than 80 picoliters. In particular, for application to printed electronic processes such as displays, unlike conventional graphic printing, volume uniformity of discharged liquid droplets between multiple nozzles is very important, but piezoelectric inkjet printheads have limitations.

전기수력학 잉크젯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노즐 끝단에 형성되는 잉크의 액면에 정전기력을 인가하여 토출 에너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수 피코리터 이하 또는 펨토리터의 초미세 액적을 구현할 수 있으며, 1,000cPs 수준의 고점도 잉크의 액적도 토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80 피코리터 이상의 큰 액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노즐에 형성하는 전기장의 분포를 이용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구동 방식도 단순하고, 토출된 잉크 액적의 방향성도 우수하여 정밀 프린팅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기수력학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전기장의 집중을 위하여 돌출된 노즐 구조를 이용하므로 공정 중에 수행해야 하는 노즐의 세정(cleaning) 과정에 어려움이 있다. 잉크젯 헤드의 경우에 주로 wiping 등의 공정으로 노즐 주변에 오염된 잉크를 제거하여 액적 제팅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노즐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cleaning 공정을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전기수력학 잉크젯 방식으로 액적을 토출시킬 경우에 수백 V 내지는 수 kV의 전압을 인가하는데 Drop-on-Demand(DOD) 방식으로 액적을 토출하기 위해서는 매우 빠른 slew rate를 갖는 전압제어기를 이용해야 한다. 이 때문에 충분한 토출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서 높은 주파수의 액적 토출에 한계를 갖게 된다. 약 1kHz의 제팅 주파수가 최대치로 알려져 있다. 이는 앞에서 언급한 압전 잉크젯 방식의 100 kHz의 높은 제팅 주파수에 비하여 매우 낮은 성능이다.The electrohydrodynamic inkjet type inkjet printhead provides discharge energy by applying electrostatic force to the liquid surface of the ink formed at the end of the nozzle, so it can create ultra-fine droplets of several picoliters or less or femtoliters, and has a high viscosity of 1,000 cP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scharge ink droplets as well.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form large droplets of 80 picoliters or more. Since it is controlled using the distribution of the electric field formed in the nozzle, the driving method is simple and the directionality of the ejected ink droplets is excellent, which is advantageous for precision printing. However, since the electrohydrodynamic inkjet printhead uses a protruding nozzle structure to concentrate the electric field,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nozzle during the process. In the case of inkjet heads, the stability of droplet jetting is secured by removing contaminated ink around the nozzle through processes such as wiping. If the nozzle protrudes, it is not easy to apply this cleaning process. When ejecting droplets using the electrohydrodynamic inkjet method, a voltage of hundreds of V to several kV is applied. In order to eject droplets using the Drop-on-Demand (DOD) method, a voltage controller with a very fast slew rate must be used. For this reason, there is a limit to the discharge of droplets at high frequencies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discharge energy. A jetting frequency of approximately 1 kHz is known to be the maximum. This is very low performance compared to the high jetting frequency of 100 kHz of the piezoelectric inkjet method mentioned above.

이 때문에 위의 두 방식의 단점을 최소화하고 장점을 활용하기 위하여 결합하는 방식의 제안되어 왔다.For this reason, a method that combines the above two methods has been proposed to minimize the disadvantages and utilize the advantages.

그러나 두 방식을 결합함에 있어서 노즐 내부 또는 잉크 챔버 내부 또는 잉크 주입구 내부에 전기수력학 방식의 고전압 전극을 배치해 왔는데, 잉크와 전극 간의 접촉으로 전기-화학적 반응(electro-chemical reaction)이 초래되어,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한 발열로 잉크의 변성, 버블 발생, 노즐의 막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압전체 멤브레인 구조와 전기수력학 잉크젯 구동을 위한 전극 등의 가공상의 어려움을 포함하는 많은 기술적 난제들이 있어 왔다.However, in combining the two methods, an electrohydrodynamic high-voltage electrode has been placed inside the nozzle, inside the ink chamber, or inside the ink inlet, and an electro-chemical reaction occurs due to contact between the ink and the electrode. Heat generation due to electro-chemical reactions may cause problems such as denaturation of ink, generation of bubbles, and clogging of nozzles. Additionally, there have been many technical challenges, including difficulties in processing the piezoelectric membrane structure and electrodes for electrohydrodynamic inkjet operation.

나아가, 멀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액적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여 인쇄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어왔다. Furthermore, there has been a problem of poor printing quality because the size of the liquid droplets discharged through the multi-nozzle is not uniform.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17279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091727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층 구조의 멀티 노즐을 가지는 잉크젯 장치로서, 압전체의 진동에 의한 압력파가 노즐 끝단에서의 액면을 제어하고, 액면에 유도 전기장에 의한 정전기력을 인가하여 액적을 토출시키도록 하여, 압전체의 기계적 구동력과 정전기력의 합력에 의해 초미세 액적을 토출시키거나 큰 액적을 토출시키는데 요구되는 점성력 및 표면장력의 극복이 가능하며, 각 노즐 별 정전기력의 제어를 이용하여 노즐간 액적의 크기에 대한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conventional problems, and is an inkjet device having a multi-nozzle structure in which the pressure wave caused by the vibration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controls the liquid level at the end of the nozzle, and an induced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the liquid surface. By applying electrostatic force to discharge droplets,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viscous force and surface tension required to discharge ultra-fine droplets or large droplets by the combined force of the mechanical driving force of the piezoelectric body and electrostatic force, and for each nozzle To provide an inkjet print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improve the uniformity of the size of droplets between nozzles by controlling electrostatic for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판에 잉크가 유입되도록 관통하는 인렛 및 복수의 멤브레인이 형성되는 제1 층; 상기 제1 층 아래에 배치되며, 기판에 상기 인렛과 연통되도록 관통하거나 상측면에서 파여진 형태의 매니폴드 및 상기 매니폴드에서 이송된 잉크가 유동하며 상기 멤브레인 하측에서 관통하는 복수의 노즐 유로가 형성된 제2 층; 상기 제2 층 아래에 배치되며, 기판에 복수의 상기 노즐 유로와 연통하는 복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제3 층; 상기 멤브레인이 형성된 상기 제1 층 상측면에 형성되어, 하부의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부의 압전체 및 상기 압전체 상부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압전 구동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펄스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멤브레인을 진동시키는 제1 전압제어기; 상기 제3 층의 하측면에 각 노즐 주위에 절연체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3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유도전기력에 의해 상기 잉크의 액적을 토출시키는 제2 전압제어기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layer in which an inlet penetrating through the substrate to allow ink to flow and a plurality of membranes are formed; A manifold is disposed below the first layer and penetrates the substrate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or is hollowed out from the upper side, and a plurality of nozzle passages are formed through which ink transferred from the manifold flows and penetrat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membrane. second layer; a third layer disposed below the second layer and forming a plurality of nozzles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nozzle passages on the substrate; a piezoelectric actuator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layer on which the membrane is formed, and including a lower first electrode, a piezoelectric body above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bove the piezoelectric body; a first voltage controller that vibrates the membrane by applying a pulse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third electrod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third layer and surrounded by an insulator around each nozzle; And it can be achieved by an inkjet printhead including a second voltage controller that applies a voltage to the third electrode to eject the ink droplet by induced electric force.

여기서, 상기 제1 층에는 상기 잉크가 저장되도록 하측면에서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상측에 상기 멤브레인이 형성되는 복수의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a plurality of chambers in which the membran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may be formed in the first layer in a shape that is dug inward from the lower side to store the ink.

여기서, 상기 챔버의 일측은 상기 매니폴드와 연통되고, 상기 챔버의 타측은 상기 노즐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Here, one side of the chamber may communicate with the manifold, and the other side of the chamber may communicate with the nozzle passage.

여기서, 상기 절연층 하층에 소수성 물질로 코팅된 소수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a hydrophobic coating layer coated with a hydrophobic material may be further included under the insulating layer.

여기서, 상기 소수성 코팅층은 노즐 끝단에서 노즐 내측으로도 코팅될 수 있다.Here, the hydrophobic coating layer may be coated from the tip of the nozzle to the inside of the nozzle.

여기서, 상기 제1 전압제어기와 상기 제2 전압제어기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은 동기화될 수 있다. Here, the voltages applied by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and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may be synchronized.

여기서, 상기 제1 전압제어기에 의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펄스 전압을 인가시켜 상기 압전 구동기가 상기 멤브레인을 진동하게 하여 상기 노즐 끝단에 매니스커스가 형성될 때 상기 제2 전압제어기에 의해 상기 제3 전극에 전압을 인가시켜 액적을 토출시키고, 토출된 액적이 제3 전극을 통과한 이후에 상기 제2 전압제어기는 상기 제3 전극에 토출 전압과 반대 극성의 전압을 인가시키거나 0V의 전압을 인가시킬 수 있다. Here, when a pulse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by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to cause the piezoelectric driver to vibrate the membrane and a meniscus is formed at the end of the nozzle,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A voltage is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to discharge a droplet, and after the discharged droplet passes the third electrode,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applies a voltage of opposite polarity to the discharge voltage to the third electrode. A voltage of 0V can be applied.

여기서, 상기 제3 전극 아래에 절연층으로 둘러싸여 상기 노즐 개구보다 큰 직경의 토출구 주위를 둘러 쌓여 배치되는 제4 전극; 및 상기 제4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3 전압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a fourth electrode is disposed under the third electrode, surrounded by an insulating layer, and surrounding an outlet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nozzle opening;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voltage controller that applies voltage to the fourth electrode.

여기서, 상기 제2 전압제어기와 상기 제3 전압제어기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은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oltages applied by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and the third voltage controller are synchronized.

여기서, 상기 제3 전극과 상기 노즐 사이의 수평거리보다 상기 제4 전극과 상기 노즐 사이의 수평거리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ourth electrode and the nozzle is greater tha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electrode and the nozzle.

여기서, 복수의 노즐은 행렬로 배치되고, 행 방향 또는 열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3 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전압제어기에 의해 동시에 전압이 인가되고, 행 방향 또는 열 방향 중 타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4 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3 전압제어기에 의해 동시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Here, a plurality of nozzles are arranged in a matrix, and the third electrodes arranged in either the row direction or the column direc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a voltage is applied simultaneously by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and the third electrodes are arranged in either the row direction or the column direction. The fourth electrodes arranged in the other direc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so that voltage can be applied simultaneously by the third voltage controller.

여기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절연층으로 둘러싸인 제5 전극; 및 상기 제5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4 전압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a fifth electrode surrounded by an insulating layer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voltage controller that applies voltage to the fifth electrode.

여기서, 상기 제1 전압제어기는 각 멤브레인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압전 구동기에 대하여 동일한 펄스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압제어기는 각 노즐에 따라서 상기 제3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다르게 제어하여 각 노즐에서 토출되는 액적의 크기를 균일화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applies the same pulse voltage to each of the piezoelectric drivers corresponding to each membrane, and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controls the voltag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nozzle to provide each nozzle. The size of the liquid droplets discharged from the nozzle can be uniformized.

여기서, 상기 제4 전압제어기는 상기 제5 전극에 상기 제2 전압제어기와 반대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시킬 수 있다. Here, the fourth voltage controller may apply a voltage of opposite polarity to that of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or ground the fifth electrode.

여기서, 상기 제1 전압제어기에 의해 인가되는 펄스 전압과 상기 제4 전압제어기에 인가되는 펄스 전압을 동기화시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5 전극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정전력이 상기 멤브레인의 진동을 보강시킬 수 있다. Here, by synchronizing the pulse voltage applied by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and the pulse voltage applied to the fourth voltage controller, electrostatic force due to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fth electrode causes vibration of the membrane. It can be reinforced.

여기서, 상기 제3 전극은 복수의 노즐에 대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third electrode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a plurality of nozzles.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판에 잉크가 유입되도록 관통하는 인렛 및 복수의 멤브레인이 형성되고, 상기 멤브레인 상측면에 압전 구동기의 제1 전극이 형성된 제1 층, 기판에 상기 인렛과 연통되도록 관통하거나 상측면에서 파여진 매니폴드 및 상기 매니폴드에서 이송된 잉크가 유동하며 상기 멤브레인 하측에서 관통하는 복수의 노즐 유로가 형성된 제2 층, 및 기판에 복수의 상기 노즐 유로와 연통하는 복수의 노즐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각 노즐 주위에 절연체로 둘러 쌓여 형성되는 제3 전극이 형성된 제3 층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층, 제2 층, 제3 층 순으로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 상부에 압전 구동기를 구성하는 압전체 및 제2 전극을 순서대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제작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let and a plurality of membranes are formed through which ink flows into the substrate, a first layer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embrane, and the inlet and the substrate are formed. A second layer formed with a manifold penetrating or cut out from the upper side so as to communicate, and a plurality of nozzle passages through which ink transferred from the manifold flows and penetrat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membrane, and a plurality of nozzle passages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nozzle passages on the substrate. manufacturing a third layer in which nozzles are formed and a third electrod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surrounded by an insulator around each nozzle; Bonding the first layer, second layer, and third layer in that order; and sequentially forming a piezoelectric element constituting a piezoelectric actuator and a second electrode on the first electrode.

여기서, 상기 제1 층에는 상기 잉크가 저장되도록 하측면에서 내측으로 파여지고 상측에 상기 멤브레인이 형성되는 복수의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a plurality of chambers may be formed in the first layer, which are hollowed out from the lower side inward to store the ink, and where the membran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여기서, 상기 제3 층을 제작할 때, 상기 절연체 하층에 소수성 물질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when manufacturing the third layer, the step of coating a hydrophobic material on the lower layer of the insulator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소수성 물질로 코팅된 소수성 코팅층은 노즐 끝단에서 노즐 내측으로도 코팅될 수 있다. Here, the hydrophobic coating layer coated with the hydrophobic material may be coated from the tip of the nozzle to the inside of the nozzle.

여기서, 상기 제3 층을 제작할 때, 상기 제3 전극 아래에 절연체로 둘러싸여 상기 제3 전극보다 큰 직경의 제4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when manufacturing the third layer, the step of forming a fourth electrode surrounded by an insulator under the third electrode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ird electrode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제2 층을 제작할 때, 제2 층 상측면에 절연체로 둘러싸인 제5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when manufacturing the second layer, the step of forming a fifth electrode surrounded by an insulator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상기 프린트헤드의 제작방법에 따르면 압전체의 구동에 의한 압력파로 노즐 끝단에 형성되는 매니스커스에 유도 정전기력에 의하여 액적을 생성시킴으로써 통상의 압전체 구동에 의한 잉크젯 헤드보다 더욱 강력한 토출 힘을 생성시킬 수 있어서, 기존의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토출할 수 있는 10cP 보다 높은 30cP 이상의 고점도 잉크, 크게는 100 cPs 이상의 고점도 잉크도 토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inkjet print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inthead as described above, droplets are generated by induced electrostatic force on the meniscus formed at the end of the nozzle by a pressure wave caused by driving the piezoelectric material, thereby producing inkjet by driving the conventional piezoelectric material. Since it can generate a more powerful ejection force than the hea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ject high-viscosity ink of over 30 cPs, which is higher than the 10 cPs that existing inkjet printheads can eject, and even high-viscosity ink of over 100 cPs.

또한, 토출력이 강하기 때문에 기존의 잉크젯 프린트헤드보다 노즐의 직경이 작아도 액적 토출이 가능하여, 펨토리터 수준의 잉크 액적을 토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기존의 잉크젯의 경우에는 1 picoliter (지름 12.4 um 수준) 이하의 액적을 안정적으로 토출하는 것이 어려움).In addition, because the discharge force is strong, droplets can be discharged even if the nozzle diameter is small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inkjet printhead,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scharge femtoliter-level ink droplet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inkjet, 1 picoliter (diameter 12.4 It is difficult to stably discharge droplets below the um level).

또한, 멀티 노즐에 대하여 압전체를 구동하는 전기 신호는 동일하게 유지하되 각 노즐별 전기 수력학 방식의 제팅을 위한 전극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크기를 다르게 제어하여, 각 노즐별 토출되는 액적의 크기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ical signal that drives the piezoelectric material for the multi-nozzle is kept the same, but the size of the high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for electrohydrodynamic jetting for each nozzle is controlled differently, so that the size of the droplet discharged from each nozzle is uniform.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controllable.

또한, 제3 전극 아래에 제4 전극을 추가로 배치시켜 토출력 및 토출 방향을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scharge force and discharge direction can be controlled more precisely by additionally disposing the fourth electrode below the third electrode.

또한, 유로 층과 챔버 층 사이에 제5 전극을 추가로 배치시켜 제3 전극에 의한 유도 정전기력을 보강시키거나, 제1 전극과 제5 전극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력에 의한 멤브레인의 진동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a fifth electrode is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low path layer and the chamber layer to reinforce the electrostatic force induced by the third electrode, or to strengthen the vibration of the membrane due to the electrostatic force acting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fth electrode. There is also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i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압전체에 의한 멤브레인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압제어기와 제2 전압제어기의 동기화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노즐과 제3 전극 사이의 수평거리에 따른 매니스커스의 형상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5는 노즐과 제3 전극 사이의 수직거리에 따른 전기장이 분포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전극과 제4 전극의 전압 인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노즐 중 일부 노즐에서만 잉크를 토출시킬 때의 전압 인가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압전체 및 제5 전극에 의한 멤브레인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챔버 층의 제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유로 층의 제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노즐 층의 제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embrane by the piezoelectric material in FIG. 1.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synchronization signals of a first voltage controller and a second voltag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simulating the shape of the meniscus according to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nozzle and the third electrode.
Figure 5 shows the results of simulating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nozzle and the third electrode.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voltage application structure of the third electrode and the fourth electrode, and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voltage application operation when ink is ejected from only some of the nozzles.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embrane by the piezoelectric material and the fifth electrode in FIG. 9.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hamber layer.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ow path layer.
15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zzle layer.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상기 프린트헤드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explaining an inkjet printhea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inthea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압전체에 의한 멤브레인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embrane by the piezoelectric material in FIG. 1.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제1 층(110), 제2 층(120), 제3 층(130), 압전 구동기(140), 제1 전압제어기(145), 전기수력학 방식의 제팅을 위한 전극(제3 전극(152)) 및 제2 전압제어기(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ayer 110, a second layer 120, a third layer 130, a piezoelectric actuator 140, a first voltage controller 145, and electrohydraulic pow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lectrode (third electrode 152) and a second voltage controller 155 for jetting.

제1 층(이하, 챔버 층이라고 함)(110)에는 외부로부터 잉크가 유입되는 인렛(inlet)(111) 및 압전 구동기(140)에 의해 진동하는 복수의 멤브레인(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인렛(111)은 챔버 층(110)을 형성하는 기판의 소정 위치에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는 소정 두께의 얇은 멤브레인(115)이 형성된다. 인렛(111)은 도시되지 않은 잉크 저장탱크에 저장된 잉크를 프린팅 헤드 내부로 유입시키는 입구이다. The first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hamber layer) 110 may be formed with an inlet 111 through which ink flows from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membranes 115 that vibrate by the piezoelectric actuator 140. The inlet 111 i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ubstrate forming the chamber layer 110, and a thin membrane 115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on the substrate. The inlet 111 is an entrance through which ink stored in an ink storage tank (not shown) flows into the printing head.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기판 하측면에서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인렛(111)을 통해 공급된 잉크가 채워지는 챔버(11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챔버(112)의 상측에 멤브레인(1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1의 지면 방향으로 복수 개의 챔버(112)가 상호 이격 배치되어 복수 노즐(131)에 대응하는 각각의 챔버(112) 및 멤브레인(115)을 형성하게 된다. As shown, a chamber 112 filled with ink supplied through the inlet 111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i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and a membrane 115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112. can be formed.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chambers 112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paper of FIG. 1 to form each chamber 112 and membrane 115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nozzles 131.

챔버 층(110)의 멤브레인(115) 상측면에는 압전 구동기(140)를 구성하는 제1 전극(141), 제1 전극(141) 상부의 압전체(142), 압전체(142) 상부의 제2 전극(143)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41)과 제2 전극(143) 사이에는 제1 전압제어기(145)를 통해 펄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On the upper side of the membrane 115 of the chamber layer 110, a first electrode 141 constituting the piezoelectric actuator 140, a piezoelectric material 142 on top of the first electrode 141, and a second electrode on the piezoelectric material 142 (143) can be stacked sequentially. Additionally, a pulse voltage may be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3 through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145.

제1 전극(141)은 공통 전극의 역할을 하고 제2 전극(143)은 압전체(142)에 펄스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 전극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전극(143)은 복수 개의 노즐(131)에 대해 개별적으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전체(142)는 소정의 압전 물질, 예를 들어 PZT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41 serves as a common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43 serves as a driving electrode that applies a pulse voltage to the piezoelectric body 142. Accordingly,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143 may be individually arranged for the plurality of nozzles 131 . The piezoelectric body 142 may be made of a certain piezoelectric material, for example, PZT.

이때, 압전체(142) 상부의 제2 전극(143)이 공통 전극으로 형성되고, 압전체(142) 하부의 제1 전극(141)이 복수 개의 노즐(131)에 대해 복수 개 배치되어 펄스 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143 above the piezoelectric body 142 is formed as a common electrode, and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141 below the piezoelectric body 142 are arranged for the plurality of nozzles 131 to apply a pulse voltage. It may be configured as such.

제1 전압제어기(145)가 압전 구동기(140)를 구성하는 두 전극(141, 143) 사이에 펄스 전압을 인가하면 압전체(142)의 구동에 의해 멤브레인(115)은 상하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멤브레인(115)은 멤브레인(115)의 변형에 의해 챔버(112) 내에 압력파를 발생시키는 진동판의 역할을 한다. When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145 applies a pulse voltage between the two electrodes 141 and 143 constituting the piezoelectric actuator 140, the membrane 115 can be de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driving the piezoelectric body 142. . At this time, the membrane 115 serves as a vibration plate that generates a pressure wave within the chamber 112 by deformation of the membrane 115.

제1 전압제어기(145)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은 일정 높이의 양의 전압 또는 음의 전압이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펄스 전압일 수 있다. 또는, 일정 높이의 양의 전압과 음의 전압이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펄스 전압일 수 있다. 또는 정현파, 삼각파와 같이 소정 파형을 가지는 교류 전압이 인가될 수도 있다. The voltage applied by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145 may be a pulse voltage in which a positive voltage or a negative voltage of a certain height is periodically generated. Alternatively, it may be a pulse voltage in which positive and negative voltages of a certain height are periodically generated. Alternatively, an alternating current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waveform, such as a sine wave or a triangle wave, may be applied.

제2 층(이하, 유로 층이라고 함)(120)은 챔버 층(110) 아래에 배치되며, 소정 두께의 기판에 상기 인렛(111)과 연통하도록 관통하는 매니폴드(121) 및 매니폴드(121) 일측에서 이송된 잉크가 유동하는 복수 개의 노즐 유로(12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챔버(112)의 일측 아래는 매니폴드(121)와 연통되는 리스트릭터(restrictor)(113)가 형성되고 챔버(112)의 타측 아래 노즐 유로(122)와 연통될 수 있다. The second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low path layer) 120 is disposed below the chamber layer 110 and includes a manifold 121 and a manifold 121 penetrating a substrat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111. ) On one side, a plurality of nozzle passages 122 through which the transferred ink flows may be formed. As shown, a restrictor 113 is formed under one side of the chamber 112 and communicates with the manifold 121,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nozzle passage 122 under the other side of the chamber 112.

따라서, 챔버 층(110)에서 인렛(111)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잉크는 노즐 층(130) 상측면과 함께 형성하는 매니폴드(121)의 공간에 저장되고, 매니폴드(121)에 저장된 잉크는 리스트릭터(113)를 통해 각 챔버(112)로 이송되어 노즐 유로(122)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유로(122)는 챔버 층(110)의 챔버(112)와 노즐 층(130)의 노즐(131) 사이에 배치된다. Therefore, ink flowing i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111 in the chamber layer 110 is stored in the space of the manifold 121 formed together with the upper side of the nozzle layer 130, and the ink stored in the manifold 121 Can be transferred to each chamber 112 through the restrictor 113 and transferred to the nozzle passage 122. The nozzle passage 122 is disposed between the chamber 112 of the chamber layer 110 and the nozzle 131 of the nozzle layer 130.

리스트릭터(113)는 압전체(142)의 변형에 의한 압력파가 노즐 방향으로 진행되고 매니폴드(121)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리스트릭터(113)의 단면적은 노즐 유로(122)의 단면적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strictor 113 serves to restrict the pressure wave caused by deformation of the piezoelectric body 142 from proceeding in the nozzle direction and in the manifold 121 direction. For this purpo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strictor 113 is preferably form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passage 122.

도면에서 매니폴드(121)는 기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제3 층(130)의 상측면과 함께 잉크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나, 관통하지 않고 상측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파여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drawing, the manifold 121 is formed to penetrate the substrate to form a space in which ink is stored together with the upper side of the third layer 130. However, it does not penetrate but is formed to be dug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ide. It may be possible.

제3 층(이하, 노즐 층(130)이라 함)은 유로 층(120) 아래에 배치되며, 소정 두께의 기판에 노즐 유로(122)와 연통하는 복수의 노즐(131)이 형성된다. 상기 노즐(131)을 통해 노즐(131) 아래에 배치되는 인쇄 매체(미도시)를 향하여 잉크가 액적을 형성하며 토출될 수 있다. The third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nozzle layer 130) is disposed below the flow path layer 120, and a plurality of nozzles 131 communicating with the nozzle flow path 122 are formed on a substrat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nk may be ejected through the nozzle 131 to form droplets toward a printing medium (not shown) disposed below the nozzle 131.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노즐(131)은 노즐 층(130)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노즐 층(130) 내부의 하단부에는 관통 직경이 커지는 단차를 형성하여 상단부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노즐(13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토출구(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압전 구동기(140)의 동작으로 토출구(154) 끝단이 아니라 노즐(131) 끝단에 매니스커스가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the nozzle 131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nozzle layer 130, and a step of increasing penetration diameter is formed at the lower end inside the nozzle layer 130, so that the nozzle 131 with a relatively small diameter is formed at the upper end. A discharge port 154 with a relatively large diameter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With the above structure, a meniscus can be formed at the end of the nozzle 131 rather than at the end of the discharge port 154 by the operation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140.

노즐 층(130) 하측면에는 절연층(151)으로 둘러 쌓인 복수 개의 제3 전극(152)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전극(152)은 각 노즐(131)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전극(152)은 원형, 말발굽형, 사각형, 마름모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각 노즐(131)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에워쌀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152 surrounded by an insulating layer 15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layer 130. The third electrode 152 may be formed for each nozzle 131. At this time, the third electrode 15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horseshoe shape, square, or diamond shape, but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that can surround all or part of each nozzle 131.

또한, 각 노즐(131)에 형성되는 제3 전극(152)은 각각 분리 형성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각 노즐(131)에 대하여 제3 전극(152)이 형성되되 제3 전극(15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구조가 형성되어, 제3 전극(15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각 노즐(131)에 대하여 제3 전극(152)이 각각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third electrode 152 formed in each nozzle 131 may not be formed separately, but may be formed integrally. That is, a third electrode 152 is formed for each nozzle 131, and a connection structure is formed to connect the third electrodes 152, so that the third electrode 152 can be formed integrally. Alternatively, the third electrode 152 may be separated and formed individually for each nozzle 131.

노즐 층(130) 하측면에 제1 절연층을 형성하고, 제1 절연층 하측에 제3 전극(152)을 배치하고, 그 하측에 다시 제2 절연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노즐 층(130) 하측면에 절연층(151)으로 둘러 쌓인 제3 전극(152)을 배치시킬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노즐 층(130)이 글라스 웨이퍼로 제작되는 경우 글라스 웨이퍼는 절연 소재이므로 노즐 층(130) 바로 아래 제3 전극(152)을 배치시키고 제3 전극(152) 아래 절연층(151)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The nozzle layer 130 is formed by forming a first insulating layer o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layer 130, placing the third electrode 152 under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forming a second insulating layer below the first insulating layer. A third electrode 152 surrounded by an insulating layer 151 can be placed on the lower side. As shown, when the nozzle layer 130 is made of a glass wafer, the glass wafer is an insulating material, so the third electrode 152 is placed directly below the nozzle layer 130 and the insulating layer 151 is placed under the third electrode 152. ) can also be produced by forming a method.

이때, 절연층은 노즐 층(130) 하측면뿐만 아니라 토출구(154)와 노즐(131) 내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not only o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layer 130 but also on the inn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154 and the nozzle 131.

제3 전극(152)에는 제2 전압제어기(155)가 연결되어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A second voltage controller 155 is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so that a high voltage can be applied.

나아가, 절연층(151) 하층에는 소수성 물질로 코팅된 소수성 코팅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소수성 코팅층(160)에 의해 액체와 접촉할 수 있는 프린트헤드 하단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소수성 코팅층(160)은 토출구(154)의 내측면에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a hydrophobic coating layer 160 coated with a hydrophobic material may be formed under the insulating layer 151. The hydrophobic coating layer 160 can prev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printhead, which may come in contact with liquid, from being contaminated. At this time, the hydrophobic coating layer 16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54.

나아가,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노즐(131) 끝단에서 내측으로도 소정 깊이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131) 끝단 내측에 소수성 코팅층(160)이 형성되는 경우 액적이 노즐(131) 안쪽에서 형성시킬 수 있어 프린팅 안정성을 높이고 유지보수 측면에서 더 뛰어날 수 있다. Furthermore, as shown, it is desirable to coat the inside from the end of the nozzle 131 to a predetermined depth. When the hydrophobic coating layer 160 is formed inside the end of the nozzle 131, droplets can be formed inside the nozzle 131, thereby increasing printing stability and improving maintenance.

이때, 챔버 층(110), 유로 층(120), 노즐 층(130)은 실리콘 웨이퍼로 제작이 가능하나 유로 층(120) 및 노즐 층(130)은 글래스(glass) 웨이퍼로 제작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chamber layer 110, the flow path layer 120, and the nozzle layer 130 can be manufactured from a silicon wafer, but the flow path layer 120 and the nozzle layer 130 can also be manufactured from a glass wafer.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전압제어기(145)에 의해 압전 구동기(140)의 제1 전극(141)과 제2 전극(143) 사이에 펄스 전압이 인가되면 압전체(142)가 구동하여 멤브레인(115)을 상하 진동시킬 수 있다. 멤브레인(115)의 진동에 의해 노즐 유로(122)로 압력파가 전달되며 노즐(131)의 끝단에서 압력파에 의하여 매니스커스가 음압 또는 양압에 따라서 concave 또는 convex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when a pulse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3 of the piezoelectric driver 140 by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145, the piezoelectric body 142 is driven. The membrane 115 can be vibrated up and down. A pressure wave is transmitted to the nozzle passage 122 by the vibration of the membrane 115, and the meniscus may be formed into a concave or convex depending on the negative or positive pressure by the pressure wave at the end of the nozzle 131.

압전 구동기(140)에 의해 압력파가 노즐(131) 끝단에서 매니스커스의 형태를 양압 형태로 돌출시켰을 때, 제2 전압제어기(155)에 의해 제3 전극(152)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유도 전하에 의한 정전기력으로 매니스커스로부터 액적을 토출시킬 수 있다. 다시 압전 구동기(140)에 의해 멤브레인(112)이 상승하여 챔버(112)의 부피가 커지면 압력 변화로 리스트릭터(113)를 통해 챔버(112) 내부로 매니폴더(121)에 저장된 잉크가 유입될 수 있다. When the pressure wave by the piezoelectric actuator 140 protrudes the shape of a meniscus in the form of positive pressure at the end of the nozzle 131,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by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155, it is induced. Droplets can be discharged from the meniscus using electrostatic force caused by electric charges. When the membrane 112 is raised again by the piezoelectric actuator 140 and the volume of the chamber 112 increases, the ink stored in the manifold 121 will flow into the chamber 112 through the restrictor 113 due to a change in pressure. You can.

제3 전극(152)에 인가되는 전압은 일정 높이의 양의 전압 또는 음의 전압일 수 있다. 또는, 펄스 형태로 인가시켜 압전체(142)에 의한 압력파와 동기화를 시킬 수도 있다. 또는, 양의 전압과 음의 전압을 교차하는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노즐(131) 끝단에서의 액적 토출을 위한 전하를 안정화시킬 수도 있다. 또는, 제3 전극(152)에는 bias 형태로 일정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정전기력에 의해 액적을 토출하는 전기수력학 잉크젯 장치에는 특정한 크기의 노즐(131)과 특정 유전율을 갖는 잉크에 대해서 토출을 시작하도록 하는 on-set voltage가 있다. 상기 bias 전압은 on-set volatage와 같거나 낮은 크기의 전압일 수 있다.The voltag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may be a positive voltage or a negative voltage at a certain height. Alternatively, it may be applied in the form of a pulse to synchronize with the pressure wave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body 142. Alternatively, an alternating voltage alternating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voltages may be applied to stabilize the charge for discharging droplets from the tip of the nozzle 131. Alternatively, a constant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in the form of a bias. An electrohydrodynamic inkjet device that ejects droplets by electrostatic force has a nozzle 131 of a specific size and an on-set voltage that starts ejection of ink with a specific dielectric constant. The bias voltage may be a voltage equal to or lower than the on-set voltage.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압전체(142) 구동을 위한 전압 펄스가 제1 전압제어기(145)로부터 인가되고 압력파가 노즐(131) 끝단으로 전달되어 노즐(131) 끝단의 매니스커스가 양압 형태로 돌출되기 시작할 때부터 제2 전압제어기(155)로부터 제3 전극(152)에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즉, 노즐(131) 끝단에 있는 액체 표면에 convex 형태의 매니스커스가 형성되면, 실제 전기 수력학적 방출 과정이 개시될 수 있다. 주어진 노즐(131)에서의 방출은 제3 전극(152)에 의해 노즐(131)의 주변 영역에 전기장을 가하여 개시될 수 있다. 전기장의 생성은 바람직하게는 접지 또는 특정 극성으로 하전된 잉크와 제3 전극(152) 사이에 가해지는 전기 포텐셜 차로 인해 생기게 된다. 잉크가 접지되지 않아도 무방하나 전하를 띄는 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잉크 등의 전위차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접지를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 voltage pulse for driving the piezoelectric material 142 is applied from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145, and a pressure wave is transmitted to the end of the nozzle 131, so that the meniscus at the end of the nozzle 131 is in a positive pressure form. A high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from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155 from the time it starts to protrude. That is, when a convex-shaped meniscus is formed on the liquid surface at the end of the nozzle 131, the actual electrohydrodynamic discharge process can be initiated. Emission from a given nozzle 131 may be initiated by applying an electric field to the surrounding area of the nozzle 131 by the third electrode 152. The generation of the electric field is preferably caused by an electric potential difference applied between the ground or the ink charged to a specific polarity and the third electrode 152. It is okay if the ink is not grounded, but it can be grounded to equalize the potential difference of ink containing charged particles.

제3 전극(152)에 고전압이 인가될 때 발생하는 전기장으로 인해, convex 형태의 매니스커스에 있는 잉크 표면이 대전될 수 있다. 대전된 잉크 매니스커스와 전기장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매니스커스의 외형을 변화시키는 힘이 발생된다. 매니스커스 표면에서 전기적으로 유도된 응력이 잉크의 표면 장력을 극복할 때까지 제3 전극(152)과 사이의 포텐셜 차를 증가시켜 볼록한 매니스커스의 전기장을 더 강화시키면 액적의 방출이 일어날 수 있다.Due to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the ink surface on the convex-shaped meniscus may be charg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harged ink meniscus and the electric field generates a force that changes the appearance of the meniscus. Ejection of droplets can occur by further strengthening the electric field of the convex meniscus by increasing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it and the third electrode 152 until the electrically induced stress at the meniscus surface overcomes the surface tension of the ink. there is.

이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인쇄 매체의 하측에는 제3 전극(152)과 함께 전기장 생성을 위한 별도의 전극이 추가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electrode for generating an electric field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printing medium along with the third electrode 152.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노즐(131) 끝단에 형성된 매니스커스로부터 제3 전극(152)에 인가되는 전압(V)에 의해 액적이 토출되어 제3 전극(152)을 통과한 이후에 제3 전극(152)에 인가되는 전압이 0V로 바뀌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는,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노즐(131) 끝단에 형성된 매니스커스로부터 제3 전극(152)에 인가되는 전압(V)에 의해 액적이 토출되어 제3 전극(152)을 통과한 이후에 인가되는 전압이 반대 극성(-V')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3, a droplet is discharged from the meniscus formed at the end of the nozzle 131 by the voltage (V)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electrode 152. After this, the voltag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can be controlled to change to 0V. Alternatively, as shown in (b) of FIG. 3, droplets are discharged by the voltage (V)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from the meniscus formed at the end of the nozzle 131 to form the third electrode 152. The voltage applied after passing through can be controlled so that a voltage of opposite polarity (-V') is applied.

액적이 제3 전극(152)을 통과한 이후에도 제3 전극(152)에 동일 극성의 전압이 연속적으로 인가되면 토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인력으로 작용하여 액적 유동이 불안정해지고 wetting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액적이 제3 전극(152)을 통과할 때 제3 전극(152)에 인가되는 전압을 0V 또는 반대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액적이 제3 전극(152)을 통과한 후 반대 극성의 전압이 인가될 때에는 제3 전극(152)에 의해 액적에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Even after the droplet passes through the third electrode 152, if a voltage of the same polarity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it acts as an attractive force pull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scharge direction, making the droplet flow unstable and wetting may occur. .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by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when the droplet passes through the third electrode 152 to 0V or a voltage of the opposite polarity. When a voltage of opposite polarity is applied after the droplet passes through the third electrode 152, a repulsive force may be applied to the droplet by the third electrode 152.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전압제어기(145)와 제2 전압제어기(155)는 압전 구동기(140)의 두 전극(141, 142)과 제3 전극(152)에 각각 동기화된 전압을 인가시킬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145 and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155 are connected to the two electrodes 141 and 142 and the third electrode 152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140. Synchronized voltages can be applied to each.

본 발명에서 제3 전극(152)은 노즐(131) 하측에 절연층(151)으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절연층(151)에 의해 제3 전극(152)과 잉크는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제3 전극(152)에 고전압이 인가될 때 잉크 용액과 제3 전극(152) 사이에 발생하는 산화환원 반응을 방지할 수 있고, 산화환원 반응에 따른 발열, 용액의 변성, 버블 발생, 노즐의 막힘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lectrode 15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131, separated by an insulating layer 151. Therefore,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ink can be separated by the insulating layer 151, so that the redox occurring between the ink solution and the third electrode 152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Reactions can be prevented and problems such as heat generation due to redox reactions, solution denaturation, bubble generation, and nozzle clogging can be solved.

절연층(151)으로 분리된 제3 전극(152)을 통해 노즐(131)의 액면에 직접 전하를 가하지는 않더라도, 노즐(131)의 액면에 유도 전하를 집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3 전극(152)에 고전압이 인가될 때 유도 전하에 의한 정전기력으로 인쇄 매체를 향하여 액적을 토출시킬 수 있다. Even if charge is not directly applied to the liquid surface of the nozzle 131 through the third electrode 152 separated by the insulating layer 151, induced charges can be concentrated on the liquid surface of the nozzle 131.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liquid droplets can be ejected toward the printing medium using electrostatic force caused by induced charges.

본 발명에서 노즐(131)을 멀티 노즐로 형성된다. 멀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액적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가 있다. 압전체의 구동력 만을 이용한 종래의 잉크젯 프린트헤드에서는 100kHz의 초고속의 액적 토출이 가능하나 멀티 노즐 사이의 액적 크기의 편차가 큰 문제가 있었다. 각 개별 노즐의 압전체를 별도로 제어하는 DPN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개발되고 있으나, 제어가 어렵고 각 노즐 별로 압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펄스의 형태를 최적화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각 노즐(131)에 대응하는 각각의 압전 구동기(140)에 대하여 제1 전압제어기(145)가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고 제2 전압제어기(155)는 각 노즐(131)에 따라서 제3 전극(152)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 및 주파수를 다르게 제어하여 멀티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액적의 크기가 모두 균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 전극(152)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크기로 액적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은 압전 구동기(140)의 개별 펄스 전압을 제어하는 것보다 훨씬 단순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131 is formed as a multi-nozzle. The size of the droplets discharged through the multi-nozzle may be different. The conventional inkjet printhead using only the driving force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is capable of discharging liquid droplets at an ultra-high speed of 100 kHz, but there is a problem of large droplet size variation between multiple nozzles. A DPN inkjet printhead that separately controls the piezoelectric material of each individual nozzle is being developed, but control is difficult and it is difficult to optimize the shape of the pulse to control the piezoelectric material for each nozzl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145 applies the same voltage to each piezoelectric driver 140 corresponding to each nozzle 131, and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155 applies the same voltage to each nozzle 131. By controlling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differently, the size of the droplets discharged from the multi-nozzle can be controlled to be uniform. Controlling the size of the droplet by the size of the high voltag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is much simpler than controlling the individual pulse voltage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140.

본 발명에서 액적의 직경은 액적이 방출되는 노즐(131)의 직경 보다 상당히 더 작을 수 있다. 볼록한 매니스커스는 일반적으로 노즐(131) 입구의 외경으로 주어지는 직경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액적의 직경은 노즐(131)에 가해지는 전압을 변화시켜 노즐(131) 직경의 약 1/20 내지 노즐 직경의 1 배로 조절될 수 있는데, 하지만 원리적으로는 노즐(131) 직경의 1/20 보다 작은 액적도 생성시킬 수 있다. 전압이 변하면 다른 크기의 액적이 생기게 된다. 가해지는 전압이 액적 방출에 필요한 최소 추출 전압과 이 최소 추출 전압의 대략 2배인 추출 전압 사이에서 전압 증가에 따라 액적의 직경은 증가하며, 추출 전압이 증가할수록 액적 직경의 변화는 줄어든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droplet may b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nozzle 131 from which the droplet is emitted. The convex meniscus generally has a diameter given by the outer diameter of the nozzle 131 inle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droplet can be adjusted to about 1/20 to 1 times the diameter of the nozzle 131 by chang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nozzle 131. However, in principle, the diameter of the nozzle 131 can be adjusted to about 1/20 to 1 times the diameter of the nozzle 131. Droplets smaller than 1/20 can also be generated. When the voltage changes, droplets of different sizes are created. The diameter of the droplet increases as the applied voltage increases between the minimum extraction voltage required to release the droplet and an extraction voltage that is approximately twice this minimum extraction voltage, and as the extraction voltage increases, the change in droplet diameter decreases.

훨씬 더 작은 액적을 발생시키기 위해 직경이 큰 노즐(131)을 사용하면 여러 가지 이점이 얻어진다. 먼저, 직경이 큰 노즐(131)은 기존의 제조 방법으로 훨씬 더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해상도 요건이 낮아지므로, 프린트헤드 제조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다. 다음, 주어진 해상도의 구조로 기판 상의 소정 영역을 인쇄할 때, 직경이 큰 노즐(131)로 더 빠르게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방출된 액적이 노즐(131) 직경 보다 상당히 작은 직경을 가지면, 방출량 및 액적 크기는 전압의 변화에 훨씬 영향을 작게 받게 된다. 이리하여, 노즐(131) 직경의 크기에 약간의 제조차가 있더라도, 각 노즐(131)로부터 증착된 액적은 모두 동일한 직경을 갖게 되며 또한 동일한 주파수로 방출될 수 있다. 나아가, 프린트헤드에 부착되어 건조된 잉크 또는 오염물질로 인한 노즐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직경이 큰 노즐(131)은 세척하기가 더 쉽다.Several advantages are obtained by using a large diameter nozzle 131 to generate much smaller droplets. First, the nozzle 131 with a large diameter can be manufactured much more easily using existing manufacturing methods. The lower resolution requirement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st and time required to manufacture printheads. Next, when printing a predetermined area on a substrate with a structure of a given resolution, printing can be done faster using the nozzle 131 with a larger diameter. Additionally, if the emitted droplet has a diameter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nozzle 131 diameter, the emitted amount and droplet size are much less affected by changes in voltage. In this way, even if there is a slight manufacturing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diameter of the nozzle 131, the droplets deposited from each nozzle 131 all have the same diameter and can be emitted at the same frequency. Furthermore, nozzle clogging due to dried ink or contaminants adhering to the printhead does not occur. Additionally, larger diameter nozzles 131 are easier to clean.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3 전극(152)은 노즐(131) 끝단 아래에서 노즐(131)을 에워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3 전극(152)과 노즐(131) 사이의 수평거리(b)에 따라 매니스커스 액면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제3 전극(152)과 노즐(131) 사이의 수평거리(b)가 50㎛, 30㎛, 10㎛로 근접할수록 제3 전극(152)에 의해 매니스커스 가장자리를 잡아 당겨 wetting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전극(152)에 의한 인력으로 wett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3 전극(152)과 노즐(131) 사이의 수평 거리(b)는 소정의 최소거리 이상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노즐(131) 직경이 커질수록 상기 최소거리는 커질 수가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third electrode 152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nozzle 131 below the end of the nozzle 131.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simulating the effect on the meniscus liquid level according to the horizontal distance (b)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nozzle 131. As the horizontal distance (b)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nozzle 131 approaches 50㎛, 30㎛, and 10㎛, the edge of the meniscus is pulled by the third electrode 152 and wetting occurs. You can check it.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horizontal distance (b)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nozzle 131 be designed to be more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distance to prevent wetting from occurring due to the attractive force of the third electrode 152. At this time, as the diameter of the nozzle 131 increases, the minimum distance may increase.

도 5에서는 제3 전극(152)과 노즐(131) 끝단 사이의 수직거리(a)에 따른 전기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다. 제3 전극(152)과 노즐(131) 사이의 수직거리(a)가 가까워질수록 전기장의 영향을 많이 받아 액적 토출 에너지가 커지겠지만 전기장의 집중도가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도 5의 (a)). 반면에, 제3 전극(152)과 노즐(131) 사이의 수직거리(a)가 멀어질수록 액적의 토출 에너지는 작아지고 전기장의 집중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도 5의 (b)). 전기장의 집중도가 떨어지는 경우 액적이 불안정해질 수 있으므로, 액적의 토출 에너지와 전기장 집중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3 전극(152)과 노즐(131) 사이의 수직거리(b)는 최적화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5 shows the results of simulating the effect on electric field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distance (a)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end of the nozzle 131. As the vertical distance (a)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nozzle 131 becomes closer, the droplet discharge energy increas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lectric field, bu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ic field decreases ((a) in Figure 5) ).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as the vertical distance (a)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nozzle 131 increases, the discharge energy of the droplet decreases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ic field increases (Figure 5(b)). If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ic field is low, the droplet may become unstable, so it is desirable to optimize the vertical distance (b)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nozzle 131 by considering the discharge energy of the droplet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ic field. .

나아가, 제3 전극(152)과 노즐(131) 끝단 사이의 수직 거리(a)는 프린트헤드와 인쇄 매체 사이의 거리 보다 훨씬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린트헤드와 인쇄 매체 사이의 간격이 아닌 노즐(131)의 근처에서 국부적으로 제3 전극(152)에 의해 강한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distance (a)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end of the nozzle 131 is made much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rint head and the printing medium. Accordingly, a strong electric field can be generated by the third electrode 152 locally near the nozzle 131 rather than at the gap between the printhead and the printing medium.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제3 전극과 제4 전극의 전압 인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노즐 중 일부 노즐에서만 잉크를 토출시킬 때의 전압 인가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voltage application structure of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and Figure 8 shows ink ejected from only some of the nozzles.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voltage application operation when applying.

제2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도 챔버 층(110), 유로 층(120) 및 노즐 층(130) 3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well, the chamber layer 110, the flow path layer 120, and the nozzle layer 130 may be formed in a three-layer structure.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 층(130) 하측면에는 절연층(151)으로 코팅된 제3 전극(152)이 배치된다. 제3 전극(152)과 제4 전극(153)은 노즐 층(130) 아래에 모두 절연층(151) 내부에 배치되되, 제4 전극(153)은 제3 전극(152) 아래에 이격 배치되고, 제4 전극(153)과 노즐(131) 사이의 수평거리는 제3 전극(152)과 노즐(131) 사이의 수평거리보다 크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electrode 152 coated with the insulating layer 151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layer 130.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fourth electrode 153 are both disposed inside the insulating layer 151 below the nozzle layer 130, and the fourth electrode 153 is disposed spaced apart below the third electrode 152. ,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ourth electrode 153 and the nozzle 131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nozzle 131.

제3 전극(152)과 제4 전극(153)을 둘러싸는 절연층(151) 아래에는 소수성 물질로 코팅된 소수성 코팅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A hydrophobic coating layer 160 coated with a hydrophobic material may be formed under the insulating layer 151 surrounding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fourth electrode 153.

제3 전압제어기(157)는 제4 전극(153)에 전압을 인가시킨다. The third voltage controller 157 applies voltage to the fourth electrode 153.

제1 전압제어기(145)가 압전 구동기(140)의 전극(141, 143)에 전압을 인가시키고 제2 전압제어기(155)가 제3 전극(152)에 전압을 인가시켜, 압전체(142)에 의한 압력파와 제3 전극(152)의 유도 정전기력에 의한 힘으로 액적이 형성되어 토출될 때, 제3 전압제어기(157)가 제4 전극(153)에 정전기력을 형성할 수 있는 전압을 인가시키면 액적의 토출 각도를 줄이고 토출 속도를 보강시킬 수 있다. 이때, 제4 전극(153)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3 전극(152)에 인가되는 전압과 같은 위상을 갖도록 동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145 applies voltage to the electrodes 141 and 143 of the piezoelectric driver 140, and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155 applies voltage to the third electrode 152, When droplets are formed and discharged by the force caused by the pressure wave and the electrostatic force induced by the third electrode 152, the third voltage controller 157 applies a voltage capable of forming an electrostatic force to the fourth electrode 153. You can reduce the enemy's discharge angle and enhance the discharge speed.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synchronize the voltage applied to the fourth electrode 153 to have the same phase as the voltag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제3 전극(152)과 노즐(131) 끝단 사이의 수직 거리는 프린트헤드와 인쇄 매체 사이의 거리 보다 훨씬 더 작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린트헤드와 인쇄 매체 사이의 간격이 아닌 노즐(131)의 근처에서 국부적으로 제3 전극(152)에 의해 강한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end of the nozzle 131 is arranged to be much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rint head and the printing medium. Accordingly, a strong electric field can be generated by the third electrode 152 locally near the nozzle 131 rather than at the gap between the printhead and the printing medium.

제3 전극(152)의 폭을 제한하면, 강한 전기장 영역을 개별 노즐(131)이 위치되어 있는 곳으로 횡 방향으로 국한시킬 수 있으며, 노즐(131)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웃하는 제3 전극(15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면 이웃하는 노즐(131)의 전기장에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이에, 제4 전극(153)은 이웃하는 제3 전극(152) 사이의 전기장 영향에 따른 전기장 불균질, 횡 방향 편향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By limiting the width of the third electrode 152, the strong electric field area can be localiz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where the individual nozzles 131 are located, and the gap between the nozzles 131 can be reduced. However, if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third electrodes 152 becomes closer, the electric field of the neighboring nozzle 131 may be affected. Accordingly, the fourth electrode 153 can help prevent electric field heterogeneity and lateral deflect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neighboring third electrodes 152.

제3 전극(152)은 의도된 방향, 즉 방출 방향을 따라 가속되어 방출된 액적에 대해 액적 방출 중에 액체 포텐셜에 대한 가해지는 추출 포텐셜과 비교하여 동일한 극성 및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진폭을 가져야 한다. 액적이 횡 방향으로 편향됨이 없이 프린트헤드 표면에 수직으로 가속되도록, 가속 전기장은 인쇄 매체 또는 프린트헤드의 표면에 정확히 직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electrode 152 should have the same polarity and preferably a higher amplitude compared to the extraction potential applied to the liquid potential during droplet ejection for the accelerated ejected droplet along the intended direction, i.e. the ejection direction. It is desirable for the accelerating electric field to be exact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print medium or printhead so that the droplet is accelerated perpendicular to the printhead surface without being deflected laterally.

제4 전극(153)에 인가되는 전압은 직류 전압의 형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또는 가변적인 진폭을 갖는 연속 신호의 형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인가되는 전압은 교류 전압의 형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Hz 내지 20 kHz의 주파수를 갖는 주기 함수의 형태일 수 있다.The voltage applied to the fourth electrode 153 may be in the form of a direct current voltage, and preferably may be in the form of a continuous signal with a constant or variable amplitude. Alternatively, the applied voltage may be in the form of an alternating voltage, preferably in the form of a periodic function with a frequency of 20 Hz to 20 kHz.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복수 개의 노즐(131)이 행렬로 배열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3행 7열 형태로 노즐(131)이 배열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lurality of nozzles 131 arranged in a matrix in the row and column directions. In Figure 7, the nozzles 131 are arranged in 3 rows and 7 columns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각각의 노즐(131) 아래에는 절연층(151)으로 둘러 쌓인 제3 전극(152)과 제4 전극(153)이 배열될 수 있다. 이때, 행 방향 또는 열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3 전극(152)은 일직선 형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행 방향의 7개의 제3 전극(152) 각각이 전기적으로 연결(a, b, c로 표시)되어 3행으로 제2 전압제어기(155)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다. 또한, 제4 전극(153)도 행 방향 또는 열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4 전극(153)은 일직선 형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 전극(152)과 제4 전극(154)은 직교하는 형태로 제3 전극(153)이 행 방향으로 연결될 때 제4 전극(154)은 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열 방향의 3개의 제4 전극 각각이 전기적으로 연결(1, 2, 3, 4, 5, 6, 7로 표시)되어 7열로 제3 전압제어기(157)에 연결된다. A third electrode 152 and a fourth electrode 153 surrounded by an insulating layer 151 may be arranged under each nozzle 131.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152 arranged in either the row direction or the column direct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he drawing shows that each of the seven third electrodes 152 in the row direc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indicated by a, b, and c) and connected to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155 in three rows. Additionally, a plurality of fourth electrodes 153 arranged in either the row direction or the column direct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At this time,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fourth electrode 154 are orthogonal, and when the third electrode 153 is connected in the row direction, the fourth electrode 15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column direction. In the drawing, each of the three fourth electrodes in the column direc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indicated by 1, 2, 3, 4, 5, 6, and 7) and connected to the third voltage controller 157 in 7 rows.

복수 개의 제3 전극(152)과 제4 전극(153)이 각각 제2 전압제어기(155) 및 제3 전압제어기(154)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전압 연결 구조(회로)가 복잡해 질 수 있다. 전압 연결 구조가 복잡해지면 각 노즐(131)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컴팩트하게 복수 개의 노즐(131)을 배치시킬 수 없게 된다. 나아가, 제3 전극(152)과 제4 전극(153)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는데 각 전극(152, 153)에 개별적으로 고전압을 인가시키는 경우 전압제어기(155, 157)의 용량에 부담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제3 전극(152)과 제4 전극(153)에 대하여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압 연결 구조가 간단해 지며 전압제어기(155, 157)의 용량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다. When the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152 and fourth electrodes 153 ar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155 and the third voltage controller 154, the voltage connection structure (circuit) may become complicated. As the voltage connection structure becomes more complicated, the distance between each nozzle 131 increases, making it impossible to compactly arrange a plurality of nozzles 131. Furthermore,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fourth electrode 153, and if a high voltage is applied individually to each electrode 152 and 153, it may place a burden on the capacity of the voltage controllers 155 and 157. .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connection structure is simplifi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rranged in the row or colum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152 and the fourth electrode 153, and a voltage controller ( 155, 157) can alleviate the capacity burden.

복수 배치되는 노즐(131) 중 일부의 노즐(131)을 통해 액적을 토출시키는 경우 해당 노즐(131)에 대응되는 전극(152, 153)과 연결되는 라인에 전압을 인가시켜 액적을 토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복수 개의 노즐(131) 중에서 검은색으로 표시된 노즐(131)을 통해서만 액적을 토출시키는 경우, 제2 전압제어기(155)와 제3 전압제어기(157)은 상기 노즐(131)에 대응되는 제3 전극(142) 및 제4 전극(15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라인 b, c, 1, 2, 3을 통해 전압을 인가시킬 수 있다. 즉, b, c, 1, 2, 3 라인은 on 상태이고 a, 4, 5, 6, 7 라인은 off 상태일 수 있다. 이때, 검은색으로 표시된 노즐(131)에 대응하는 압전 구동기(140)만 동작시키고 나머지 노즐(131)에 대응하는 압전 구동기(140)를 동작시키지 않으면, 라인 b, c, 1, 2, 3을 통해 전압이 인가시킬 때 전압이 인가되는 나머지 노즐(131)(점선으로 표시)에서는 액적이 토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discharging droplets through some of the nozzles 131 among the plurality of nozzles 131, the droplets can be ejected by applying voltage to the line connected to the electrodes 152 and 153 corresponding to the nozzles 131. . For example, when liquid droplets are discharged only through the nozzle 131 indicated in black among the plurality of nozzles 131 in FIG. 8,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155 and the third voltage controller 157 operate on the nozzle 131. ) A voltage can be applied through lines b, c, 1, 2, and 3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142 and the fourth electrode 153 corresponding to ). That is, lines b, c, 1, 2, and 3 may be in the on state, and lines a, 4, 5, 6, and 7 may be in the off state. At this time, if only the piezoelectric driver 140 corresponding to the nozzle 131 displayed in black is operated and the piezoelectric driver 140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nozzles 131 is not operated, lines b, c, 1, 2, and 3 When voltage is applied, droplets can be controlled not to be ejected from the remaining nozzles 131 (indicated by dotted lines) to which voltage is applied.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압전체 및 제5 전극에 의한 멤브레인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embrane by the piezoelectric material and the fifth electrode in FIG. 9.

제3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embodiment,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도 챔버 층(110), 유로 층(120) 및 노즐 층(130) 3층 구조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as well, a three-layer structure of the chamber layer 110, the flow path layer 120, and the nozzle layer 130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유로 층(120) 상측면에 절연층(170)으로 둘러 쌓인 제5 전극(171)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챔버 층(110)과 유로 층(120) 사이에 절연층(170)으로 둘러 쌓인 제5 전극(171)이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a fifth electrode 171 surrounded by an insulating layer 170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ow path layer 120. Accordingly, the fifth electrode 171 surrounded by the insulating layer 17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hamber layer 110 and the flow path layer 120.

제4 전압제어기(175)는 제5 전극(171)에 전압을 인가시킨다. The fourth voltage controller 175 applies voltage to the fifth electrode 171.

제3 전극(152)은 각 노즐(131)마다 개별적으로 복수 개 배치되는데 반하여, 본 실시예의 제4 전극(153)은 복수의 노즐(131)에 대하여 공통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전극(153)은 제3 전극(152)에 의한 유도전기력을 보강하여 잉크의 매니스커스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액적 방출의 실제 촉발은 제3 전극(152)에 가해지는 정전기력과의 전위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데, 제4 전극(153)에 의해 제3 전극(152)의 최소 방출 전압은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While a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152 are individually arranged for each nozzle 131, the fourth electrode 153 in this embodiment may form a common electrode for a plurality of nozzles 131. The fourth electrode 153 can help form a meniscus of ink by reinforcing the induced electric force generated by the third electrode 152. The actual triggering of droplet emission may be caused by a potential difference with the electrostatic forc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minimum emission voltage of the third electrode 152 can be reduced in magnitude by the fourth electrode 153. there is.

제4 전극(153)은 제3 전극(152)에 의한 정전기력과 전위차를 발생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4 전극(153)에는 제3 전극(152)에 인가되는 전압과 반대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잉크의 접지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fourth electrode 153 may serve to generate electrostatic force and potential difference by the third electrode 152. Optionally, a voltage of opposite polarity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may be applied to the fourth electrode 153 or it may serve as a ground for ink.

또한, 제4 전극(153)은 압전 구동기(140)의 제1 전극(141)과 함께 정전(electrostatic)력을 발생시켜 정전력에 의해 멤브레인(115)은 진동시킬 수 있다. 압전체(142)의 구동에 의한 힘에 제1 전극(141)과 제4 전극(153) 사이의 정전력을 보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멤브레인(115)의 진동을 보강하며 멤브레인(115) 진동에 의한 토출력을 정밀 제어할 수 있게 된다. Additionally, the fourth electrode 153 generates an electrostatic force together with the first electrode 141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140, and the membrane 115 can be vibrated by the electrostatic force. The electrostatic for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fourth electrode 153 can be strengthened by the force generated by driving the piezoelectric body 142. Accordingly, the vibration of the membrane 115 is reinforced and the discharge force due to the vibration of the membrane 115 can be precisely controlled.

이하, 도 1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단면도이다.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도 챔버 층(110), 유로 층(120) 및 노즐 층(130) 3층 구조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as well, a three-layer structure of the chamber layer 110, the flow path layer 120, and the nozzle layer 130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제4 전극(153)이 추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 층(130) 하측면에는 절연층(151)으로 코팅된 제3 전극(152)이 배치된다. 제3 전극(152)과 제4 전극(153)은 노즐 층(130) 아래에 모두 절연층(151) 내부에 배치되되, 제4 전극(153)은 제3 전극(152) 아래에 이격 배치되고, 제4 전극(153)과 노즐(131) 사이의 수평거리는 제3 전극(152)과 노즐(131) 사이의 수평거리보다 크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fourth electrode 153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electrode 152 coated with the insulating layer 151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layer 130.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fourth electrode 153 are both disposed inside the insulating layer 151 below the nozzle layer 130, and the fourth electrode 153 is disposed spaced apart below the third electrode 152. ,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ourth electrode 153 and the nozzle 131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nozzle 131.

제3 전극(152)과 제4 전극(153)을 둘러싸는 절연층(151) 아래에는 소수성 물질로 코팅된 소수성 코팅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A hydrophobic coating layer 160 coated with a hydrophobic material may be formed under the insulating layer 151 surrounding the third electrode 152 and the fourth electrode 153.

제3 전압제어기(157)는 제4 전극(153)에 전압을 인가시킨다. The third voltage controller 157 applies voltage to the fourth electrode 153.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3 실시예의 제5 전극(171)이 추가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fifth electrode 171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보다 자세히는 유로 층(120) 상측면에 절연층(170)으로 코팅된 제5 전극(171)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챔버 층(110)과 유로 층(120) 사이에 절연층(170)이 배치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a fifth electrode 171 coated with an insulating layer 170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ow path layer 120. Accordingly, the insulating layer 17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hamber layer 110 and the flow path layer 120.

제4 전압제어기(175)는 제5 전극(171)에 전압을 인가시킨다. The fourth voltage controller 175 applies voltage to the fifth electrode 171.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전압제어기(145) 및 압전 구동기(140)에 의한 압전체(142)의 진동에 의한 압력파의 힘, 제2 전압제어기(155) 및 제3 전극(152)에 의한 유도 정전기력에 의한 힘, 제3 전압제어기(157) 및 제4 전극(153)에 의한 유도 정전기력의 보조력, 제4 전압제어기(175) 및 제5 전극(171)에 의한 유도 정전기력 또는 정전력에 의한 압력파의 힘을 조합하여 노즐(131) 끝단에 액적을 생성하고 액적의 토출 속도와 방향을 정밀 제어하며 토출시킬 수 있다. As such, in this embodiment, the force of the pressure wave caused by the vibration of the piezoelectric body 142 by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145 and the piezoelectric driver 140,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155, and the third electrode 152 force due to the induced electrostatic force, auxiliary force of the induced electrostatic force by the third voltage controller 157 and the fourth electrode 153, induced electrostatic force or electrostatic force by the fourth voltage controller 175 and the fifth electrode 171. By combining the force of the pressure wave, droplets can be generated at the end of the nozzle 131, and the discharge speed and direction of the droplets can be precisely controlled and discharged.

이하, 도 12 내지 도 15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5.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3은 챔버 층의 제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유로 층의 제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5는 노즐 층의 제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1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hamber layer, and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ow path layer. 15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zzle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제작방법은 챔버 층(110)(제1 층), 유로 층(120)(제2 층), 및 노즐 층(130)(제3 층)을 제작하는 단계(S10), 챔버 층(110), 유로 층(120), 노즐 층(130)을 접합하는 단계(S20) 및 챔버 층(110) 상측에 압전 구동기(140)를 구성하는 압전체(142) 및 제2 전극(143)을 형성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kjet print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a chamber layer 110 (first layer), a flow path layer 120 (second layer), and a nozzle layer 130 (third layer). A step (S10), a step of joining the chamber layer 110, the flow path layer 120, and the nozzle layer 130 (S20), and the piezoelectric body 142 constituting the piezoelectric actuator 140 on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layer 110. and forming the second electrode 143 (S30).

챔버 층(110)을 제작하는 단계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The steps for fabricating the chamber layer 110 are shown in FIG. 13.

챔버 층(110)은 SOI(Silicon on insulator) 웨이퍼(S)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SOI 웨이퍼(S)의 두께를 CMP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 수치에 맞춘 후에 포토 공정과 에칭 공정으로 Si를 식각하여 복수의 챔버(112)를 가공하여 각 챔버(112) 상측에 멤브레인(11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통하는 인렛(111)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 챔버 층(110) 상측면에는 쉐도우 마스크(shadow mask)와 스퍼터(sputter)를 이용하여 압전 구동기(140)의 하부 전극인 제1 전극(141)을 형성한다. The chamber layer 11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silicon on insulator (SOI) wafer (S). After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SOI wafer (S) to the design value using a CMP process, Si is etched through a photo process and an etching process to process a plurality of chambers 112 to form a membrane 115 on the upper side of each chamber 112. can do. Additionally, a penetrating inlet 111 may be formed. Next, the first electrode 141, which is the lower electrode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14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layer 110 using a shadow mask and sputter.

유로 층(120)을 제작하는 단계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The steps for manufacturing the flow path layer 120 are shown in FIG. 14.

유로 층(120)의 경우에는 Si 웨이퍼(S) 또는 Grass 웨이퍼(S)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Si 웨이퍼(S)의 경우 매니폴드(121) 및 복수의 노즐 유로(122)를 형성할 때 챔버 층(110) 제작 방법과 동일하게 포토 공정과 에칭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때 유로 층(120)의 두께는 400~500um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lass 웨이퍼(S)를 이용하여 제작할 경우 화학적 식각 또는 물리적인 식각이 가능한 Sand blast를 이용하여 식각을 진행할 수 있다. 유로 층(120) 상측면에 절연층(170)으로 둘러 쌓인 제5 전극(171)을 추가하여 유도 정전기력을 보강시킬 수 있으며, 정전력에 의해 멤브레인(115)의 진동을 보강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flow path layer 120, it can be manufactured from either a Si wafer (S) or a grass wafer (S). In the case of a Si wafer (S), when forming the manifold 121 and the plurality of nozzle passages 122, a photo process and an 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hamber layer 110, and at this time, the passage layer 120 It is desirable to produce a thickness of 400~500um. When manufacturing using a glass wafer (S), etching can be performed using sand blast, which is capable of chemical etching or physical etching. By adding the fifth electrode 171 surrounded by the insulating layer 170 to the upper side of the flow path layer 120, the induced electrostatic force can be strengthened, and the vibration of the membrane 115 can be strengthened by the electrostatic force.

이때, 제5 전극(171)은 유전체 물질로 절연시킬 수 있다. 유로 층(120) 웨이퍼의 상측면에 SiO2의 절연층(170)을 증착시킨 후 쉐도우 마스크(shadow mask)를 정렬시켜 스퍼터(Sputter)를 이용하여 메탈층(제5 전극(171))을 형성시키고 그 다음 다시 SiO2의 절연층(170)으로 메탈층이 잉크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보호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Glass 웨이퍼(S)의 경우 이미 절연물질 이기 때문에 바로 쉐도우 마스크와 스퍼터를 이용하여 메탈층을 증착시킨 후 잉크하고 접촉되지만 않게 메탈층의 전면에 절연층(170)을 증착시켜 메탈층을 보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fth electrode 171 can be insulated with a dielectric material. After depositing an insulating layer 170 of SiO 2 on the upper side of the flow path layer 120 wafer, a shadow mask is aligned and a metal layer (fifth electrode 171) is formed using sputtering. Then, it is desirable to protect the metal layer from direct contact with the ink with the SiO 2 insulating layer 170. In the case of the glass wafer (S), since it is already an insulating material, the metal layer can be deposited using a shadow mask and sputtering, and then the insulating layer 170 can be deposi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metal layer to prevent it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ink to protect the metal layer. there is.

전술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절연층(171) 및 제5 전극(171)은 생략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insulating layer 171 and the fifth electrode 171 may be omitted.

노즐 층(130)을 제작하는 단계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The steps for manufacturing the nozzle layer 130 are shown in FIG. 15.

노즐 층(130)의 제작 방법은 챔버 층(110) 제작 방법과 유사하다. 노즐 층(130)은 Si 웨이퍼(S)로 제작될 수 있다. 좀 더 정밀한 제작을 위해서는 SOI 웨이퍼(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lass 웨이퍼를 사용할 수도 있다. 노즐 층(130)의 두께는 200~400um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의 경우 포토 공정과 식각 공정으로 노즐(131) 유로를 형성한다. 그 다음 웨이퍼(S) 하부에 별도의 포토 공정과 식각 공정을 통하여 토출구(154)를 형성할 수 있다. 노즐(131)의 크기는 토출시키고자 하는 액적의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수 피코리터 이하의 액적인 초미세 액적의 토출을 위해서는 10 um 이하가 바람직하다. 큰 액적의 토출을 위해서는 50 um 이상의 노즐 지름이 바람직하다. 노즐 층(130) 하측면은 절연층(151)으로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iO2를 증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절연층(151)은 토출구(154) 내측면 및 노즐(131) 내측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ozzle layer 130 is similar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hamber layer 110. The nozzle layer 130 may be made of a Si wafer (S). For more precise manufacturing, it is desirable to use an SOI wafer (S). Glass wafers can also be used. The thickness of the nozzle layer 130 is preferably 200 to 400 μm. In the case of the upper part, the nozzle 131 flow path is formed through a photo process and an etching process. Next, the discharge hole 154 can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fer S through a separate photo process and an etching process. The size of the nozzle 131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liquid droplet to be discharged. For ejection of ultra-fine droplets of several picoliters or less, 10 um or less is preferable. For ejection of large droplets, a nozzle diameter of 50 um or more is desirable.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layer 130 may be protected with an insulating layer 151. For example, SiO 2 can be deposited. At this time, the insulating layer 151 may be formed including the inn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154 and the inner side of the nozzle 131.

노즐 층(130) 하부에 유도 정전기력을 형성하기 위한 제3 전극(1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전극(152)는 절연층(151)으로 둘러 쌓여 잉크와 접촉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3 전극(15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노즐(131)에 대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 노즐(131)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분리 형성될 수도 있다. A third electrode 152 may be formed under the nozzle layer 130 to generate induced electrostatic force. At this time, the third electrode 152 is surrounded by the insulating layer 151 and can be separated without contacting the ink. At this time, the third electrode 15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lurality of nozzles 131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formed separately for each nozzle 131.

제3 전극(152)에 제2 전압제어기(155)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노즐(131) 내부 잉크에 유도 전하가 형성되어 노즐(131) 주위의 전기장의 힘으로 노즐(131) 개구를 통해 액적을 토출시킬 수가 있다. 이때, 제3 전극(152)에는 직류 전압, 직류 펄스 전압, 또는 교류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잉크에 유도되는 전하가 지속적으로 소멸되고 재유도되는 과정을 통하여 액적이 토출될 수 있고, 이 과정을 전기적으로는 유도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from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155, an induced charge is formed in the ink inside the nozzle 131 and a droplet is drawn through the opening of the nozzle 131 by the force of the electric field around the nozzle 131. It can be ejected. At this time, direct current voltage, direct current pulse voltage, or alternating current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152. Droplets can be ejected through a process in which the electric charge induced in the ink is continuously dissipated and re-induced, and this process can be understood electrically as an induced current flowing.

연속적인 직류 전압과 압전체(142)에 인가되는 펄스에 의한 압전체(142) 작동으로 액적을 토출하면, 토출되는 액적이 유도된 전하를 소멸시키면서 인쇄 매체로 탄착되기 때문에 연속적인 액적의 토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직류 전압은 정전기력으로만 액적을 토출시킬 수 있는 onset 전압보다 같거나 낮을 수 있다.When liquid droplets are discharged by operating the piezoelectric material 142 by continuous direct current voltage and pulse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material 142, the discharged liquid droplets dissipate the induced electric charge and attach to the printing medium, making continuous discharge of liquid droplets possible. do. At this time, the direct current voltage may be equal to or lower than the onset voltage that can discharge droplets only by electrostatic force.

제3 전극(152)에 직류 펄스를 인가하고 압전체(142)를 작동시켜서 연속적인 액적을 토출시켜도 액적의 생성 및 토출에 의한 유도 전하의 생성을 연속시킬 수 있다.Even when continuous liquid droplets are discharged by applying a direct current pulse to the third electrode 152 and operating the piezoelectric body 142, the generation of droplets and the generation of induced charges by discharge can be continued.

유도 전하의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전압은 교류 전압으로서 양전하 및 음전하를 반복적으로 생성하면 유도전하의 연속적 생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직류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액면에서 액적이 토출됨으로써 유도전하를 함께 소멸시키면 새로운 유도전하가 잉크에 형성되므로 연속적인 잉크젯 구동에 문제는 없다.In terms of induced charges, the most desirable voltage is alternating current voltage, which can facilitate the continuous generation of induced charges by repeatedly generating positive and negative charges. However, as described above, even if a direct current voltage is applied, if the induced charge is extinguished by discharging the droplet from the liquid surface, a new induced charge is formed in the ink, so there is no problem in continuous inkjet operation.

제3 전극(152)은 노즐 층(130) 하측면에 형성된 절연층(131) 위에 전극층을 증착한 후 포토 공정과 에칭 공정을 통해 노즐(131)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의 제3 전극(152)을 형성한다. 이때, 제3 전극(152)의 형상은 원형, 말발굽형, 사각형, 마름모형 등 다양할 수 있으나, 노즐(131)을 전부 또는 일부 에워쌀 수 있으면 된다. 원형이라고 가정할 때 제3 전극(152)의 내경은 노즐(131)의 외경보다 같거나 클 수가 있다. 가공된 제3 전극(152) 상부에 절연층(151)을 증착시켜 절연층(151)로 둘러 쌓인 형태의 제3 전극(152)을 배치시킬 수 있다. 절연막으로는 SiO2, SiNx 등을 증착할 수 있고, Polyimide 등과 같은 폴리머 층을 증착할 수도 있다.The third electrode 152 is formed by depositing an electrode layer on the insulating layer 131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layer 130 and then surrounding the nozzle 131 through a photo process and an etching process. ) is formed.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third electrode 152 may vary, such as a circle, horseshoe shape, square, or diamond shape, as long as it can completely or partially surround the nozzle 131. Assuming it is circular, the inner diameter of the third electrode 152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nozzle 131. The insulating layer 151 may be deposited on the processed third electrode 152 to dispose the third electrode 152 surrounded by the insulating layer 151 . As an insulating film, SiO 2 , SiNx, etc. can be deposited, and a polymer layer such as polyimide can also be deposited.

노즐 층(130)이 절연 재질인 glass 웨이퍼로 제작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노즐 층(130) 하측면에 절연층 없이 제3 전극(152)을 직접 형성하고, 제3 전극(152) 위에 절연층(151)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절연층(151)은 토출구(154) 및 노즐(131) 내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nozzle layer 130 is made of a glass wafer, which is an insulating material, the third electrode 152 is formed directly o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layer 130 without an insulating layer, as shown in FIG. 15, and the third electrode 152 ) It can also be manufactured by forming an insulating layer 151 on top. At this time, the insulating layer 151 may also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54 and the nozzle 131.

또한, 상기 절연층(151)로 둘러 쌓인 제3 전극(152) 하측에는 제4 전극(154)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제4 전극(154) 아래에 절연층(151)이 도포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ourth electrode 154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low the third electrode 152 surrounded by the insulating layer 151, and the insulating layer 151 is applied under the fourth electrode 154. This can be added.

다음, 절연층(151) 아래에 발수 효과를 내기 위하여 Fluoropolymer 계통의 소수성 물질로 소수성 코팅층(160)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프레이(Spray) 코팅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e-beam evaporator나 스퍼터(sputter)와 같은 진공 증착으로 발수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Next, a hydrophobic coating layer 160 can be formed under the insulating layer 151 using a fluoropolymer-based hydrophobic material to achieve a water-repellent effect. Spray coating may be used, and the water-repellent layer may be formed through vacuum deposition such as an e-beam evaporator or sputter.

소수성 코팅층(160)은 노즐(131) 끝단에서 내측으로 소정 깊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소수성 코팅층(160)을 형성할 때 노즐(131)을 통해 공기를 분사시키며 소수성 코팅층(160)을 코팅하게 되는데, 분사되는 공기 속도에 따라 노즐(131) 내부에 코팅되는 소수성 코팅층(160)의 코팅 깊이를 제어할 수 있다. The hydrophobic coating layer 160 is preferably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ward from the end of the nozzle 131. In this case, when forming the hydrophobic coating layer 160, air is sprayed through the nozzle 131 to coat the hydrophobic coating layer 160. The hydrophobic coating layer 160 is coated inside the nozzle 131 according to the sprayed air speed. ) can control the coating depth.

전술한 바와 같이 챔버 층(110), 유로 층(120), 노즐 층(130)을 각각 제작한 후에 챔버 층(110), 유로 층(120), 노즐 층(130)을 접합시킨다. 먼저, 챔버 층(110)과 유로 층(120)을 Anodic bonding으로 접합시키고, 다음 노즐 층(130)을 유로 층(120) 아래에 Anodic bonding으로 접합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chamber layer 110, the flow path layer 120, and the nozzle layer 130 are each manufactured, the chamber layer 110, the flow path layer 120, and the nozzle layer 130 are bonded. First, the chamber layer 110 and the flow path layer 120 can be bonded by anodic bonding, and then the nozzle layer 130 can be bonded under the flow path layer 120 by anodic bonding.

접합시키는 두 층이 모두 실리콘 웨이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direct bonding으로 접합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유로 층(120)이 글래스 웨이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anodic bonding으로 접합시킬 수 있고, 유로 층(120)이 Si 웨이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Si Direct boinding으로 접합시킬 수도 있다. If both layers to be bonded are made of silicon wafers, they can also be bonded by direct bonding. Furthermore, if the flow path layer 120 is made of a glass wafer, it can be bonded by anodic bonding, and if the flow path layer 120 is made of a Si wafer, it can be bonded by Si direct bonding.

다음, 완성된 소자의 상부에는 압전 구동기(140)의 하부 전극(제1 전극(14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전극(141) 상부에 압전체(142)를 형성하고 압전체(142) 제2 전극(143)을 증착시키면 압전 구동기(140)가 완성될 수 있다. 압전체(142)는 벌크 압전체(142)를 본딩으로 챔버 층(110)의 멤브레인(115)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스퍼터 장치를 이용하여 압전체(142)를 증착시킨 이후에 포토 및 에칭 공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스크린 프린팅 등의 프린팅 방법을 통해 압전체(142) 물질을 도포하여 압전체(142)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Next, the lower electrode (first electrode 141)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14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completed device. The piezoelectric actuator 140 can be completed by forming the piezoelectric body 142 on the first electrode 141 and depositing the second electrode 143 on the piezoelectric body 142. The piezoelectric material 142 may b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membrane 115 of the chamber layer 110 by bonding the bulk piezoelectric material 142. Alternatively, the piezoelectric body 142 may be deposited using a sputtering device and then formed through a photo and etching process. Alternatively, the piezoelectric material 142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piezoelectric material 142 through a printing method such as screen printing.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110: 챔버 층(제1 층)
111: 인렛
112: 챔버
113: 리스트릭터
115: 멤브레인
120: 유로 층(제2 층)
121: 매니폴드
122: 노즐 유로
130: 노즐 층(제3 층)
131: 노즐
140: 압전 구동기
141: 제1 전극
142: 압전체
143: 제2 전극
145: 제1 전압제어기
151: 절연층
152: 제3 전극
153: 제4 전극
154: 토출구
155: 제2 전압제어기
157: 제3 전압제어기
160: 소수성 코팅층
170: 절연층
171: 제5 전극
175: 제4 전압제어기
110: Chamber layer (first layer)
111: inlet
112: chamber
113: Restrictor
115: membrane
120: Euro layer (second layer)
121: manifold
122: Nozzle flow path
130: Nozzle layer (third layer)
131: nozzle
140: Piezoelectric actuator
141: first electrode
142: Piezoelectric material
143: second electrode
145: First voltage controller
151: insulating layer
152: third electrode
153: fourth electrode
154: discharge port
155: Second voltage controller
157: Third voltage controller
160: Hydrophobic coating layer
170: insulating layer
171: fifth electrode
175: Fourth voltage controller

Claims (22)

기판에 잉크가 유입되도록 관통하는 인렛 및 복수의 멤브레인이 형성되는 제1 층;
상기 제1 층 아래에 배치되며, 기판에 상기 인렛과 연통되도록 관통하거나 상측면에서 파여진 형태의 매니폴드 및 상기 매니폴드에서 이송된 잉크가 유동하며 상기 멤브레인 하측에서 관통하는 복수의 노즐 유로가 형성된 제2 층;
상기 제2 층 아래에 배치되며, 기판에 복수의 상기 노즐 유로와 연통하는 복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제3 층;
상기 멤브레인이 형성된 상기 제1 층 상측면에 형성되어, 하부의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부의 압전체 및 상기 압전체 상부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압전 구동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펄스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멤브레인을 진동시키는 제1 전압제어기;
상기 제3 층의 하측면에 각 노즐 주위에 절연제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3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유도전기력에 의해 상기 잉크의 액적을 토출시키는 제2 전압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A first layer in which an inlet passing through the substrate to allow ink to flow and a plurality of membranes are formed;
A manifold is disposed below the first layer and penetrates the substrate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or is hollowed out from the upper side, and a plurality of nozzle passages are formed through which ink transferred from the manifold flows and penetrat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membrane. second layer;
a third layer disposed below the second layer and forming a plurality of nozzles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nozzle passages on the substrate;
a piezoelectric actuator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layer on which the membrane is formed, and including a lower first electrode, a piezoelectric body above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bove the piezoelectric body;
a first voltage controller that vibrates the membrane by applying a pulse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third electrod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third layer and surrounded by an insulating material around each nozzle; and
An inkjet printhead comprising a second voltage controller that applies a voltage to the third electrode to eject the ink droplets by induced electric fo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는 상기 잉크가 저장되도록 하측면에서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상측에 상기 멤브레인이 형성되는 복수의 챔버가 형성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According to claim 1,
An inkjet printhead in which a plurality of chambers are formed in the first layer with the membrane formed on the upper side in a shape that is hollowed inward from the lower side to store the ink.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일측은 상기 매니폴드와 연통되고, 상기 챔버의 타측은 상기 노즐 유로와 연통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According to claim 2,
An inkjet printhead in which one side of the chamber communicates with the manifold and the other side of the chamber communicates with the nozzle flow pa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하층에 소수성 물질로 코팅된 소수성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According to claim 1,
An inkjet printhead further comprising a hydrophobic coating layer coated with a hydrophobic material under the insulating lay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코팅층은 노즐 끝단에서 노즐 내측으로도 코팅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According to claim 4,
An inkjet printhead in which the hydrophobic coating layer is coated from the tip of the nozzle to the inside of the nozz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제어기와 상기 제2 전압제어기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은 동기화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According to claim 1,
An inkjet printhead wherein the voltages applied by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and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are synchroniz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제어기에 의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펄스 전압을 인가시켜 상기 압전 구동기가 상기 멤브레인을 진동하게 하여 상기 노즐 끝단에 매니스커스가 형성될 때 상기 제2 전압제어기에 의해 상기 제3 전극에 전압을 인가시켜 액적을 토출시키고,
토출된 액적이 제3 전극을 통과한 이후에 상기 제2 전압제어기는 상기 제3 전극에 토출 전압과 반대 극성의 전압을 인가시키거나 0V의 전압을 인가시키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According to claim 6,
When a pulse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by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to cause the piezoelectric driver to vibrate the membrane and a meniscus is formed at the end of the nozzle,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causes the membrane to vibrate. Applying voltage to the third electrode to discharge droplets,
After the ejected droplet passes through the third electrode,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applies a voltage of opposite polarity to the ejection voltage or a voltage of 0V to the third electr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 아래에 절연층으로 둘러싸여 상기 노즐 개구보다 큰 직경의 토출구 주위를 둘러 쌓여 배치되는 제4 전극; 및
상기 제4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3 전압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According to claim 1,
a fourth electrode disposed below the third electrode, surrounded by an insulating layer, and surrounding an outlet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nozzle opening; and
The inkjet printhead further includes a third voltage controller that applies voltage to the fourth electrod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제어기와 상기 제3 전압제어기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은 동기화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According to claim 8,
An inkjet printhead wherein the voltages applied by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and the third voltage controller are synchroniz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과 상기 노즐 사이의 수평거리보다 상기 제4 전극과 상기 노즐 사이의 수평거리가 더 큰 잉크젯 프린트헤드.
According to claim 8,
An inkjet printhead in which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ourth electrode and the nozzle is greater tha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electrode and the nozzle.
제 8 항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은 행렬로 배치되고, 행 방향 또는 열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3 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전압제어기에 의해 동시에 전압이 인가되고,
행 방향 또는 열 방향 중 타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4 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3 전압제어기에 의해 동시에 전압이 인가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According to claim 8,
A plurality of nozzles are arranged in a matrix, and third electrodes arranged in either a row or column direc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a voltage is applied simultaneously by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An inkjet printhead in which fourth electrodes arranged in either the row or column direc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voltage is simultaneously applied by the third voltage controller.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절연층으로 둘러싸인 제5 전극; 및
상기 제5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4 전압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According to claim 1 or 8,
a fifth electrode surrounded by an insulating layer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nd
The inkjet printhead further includes a fourth voltage controller that applies voltage to the fifth electr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제어기는 각 멤브레인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압전 구동기에 대하여 동일한 펄스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압제어기는 각 노즐에 따라서 상기 제3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다르게 제어하여 각 노즐에서 토출되는 액적의 크기를 균일화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applies the same pulse voltage to each of the piezoelectric drivers corresponding to each membrane,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controls the voltag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nozzle to equalize the size of the droplet ejected from each nozzl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전압제어기는 상기 제5 전극에 상기 제2 전압제어기와 반대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시키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According to claim 12,
The fourth voltage controller applies a voltage of opposite polarity to that of the second voltage controller to the fifth electrode or grounds i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제어기에 의해 인가되는 펄스 전압과 상기 제4 전압제어기에 인가되는 펄스 전압을 동기화시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5 전극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정전력이 상기 멤브레인의 진동을 보강시키는 잉크젯 프린트 헤드.
According to claim 12,
By synchronizing the pulse voltage applied by the first voltage controller and the pulse voltage applied to the fourth voltage controller, electrostatic force due to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fth electrode reinforces the vibration of the membrane. Inkjet print he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은 복수의 노즐에 대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잉크젯 프린트 헤드.
According to claim 1,
An inkjet print head wherein the third electrode is formed integrally with a plurality of nozzles.
기판에 잉크가 유입되도록 관통하는 인렛 및 복수의 멤브레인이 형성되고, 상기 멤브레인 상측면에 압전 구동기의 제1 전극이 형성된 제1 층, 기판에 상기 인렛과 연통되도록 관통하거나 상측면에서 파여진 매니폴드 및 상기 매니폴드에서 이송된 잉크가 유동하며 상기 멤브레인 하측에서 관통하는 복수의 노즐 유로가 형성된 제2 층, 및 기판에 복수의 상기 노즐 유로와 연통하는 복수의 노즐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각 노즐 주위에 절연체로 둘러쌓여 형성되는 제3 전극이 형성된 제3 층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층, 제2 층, 제3 층 순으로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 상부에 압전 구동기를 구성하는 압전체 및 제2 전극을 순서대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제작방법.
An inlet that penetrates the substrate to allow ink to flow in and a plurality of membranes are formed, a first layer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embrane, and a manifold that penetrates the substrate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or is dug out in the upper side. and a second layer in which the ink transferred from the manifold flows and a plurality of nozzle passages penetrat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membrane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nozzles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nozzle passages are formed on the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nozzles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around each nozzle. manufacturing a third layer formed with a third electrode surrounded by an insulator;
Bonding the first layer, second layer, and third layer in that order; and
An inkjet printhead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sequentially forming a piezoelectric element constituting a piezoelectric actuator and a second electrode on the first electrod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는 상기 잉크가 저장되도록 하측면에서 내측으로 파여지고 상측에 상기 멤브레인이 형성되는 복수의 챔버가 형성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제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1,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kjet printhead in which a plurality of chambers are formed in the first layer inward from the lower side to store the ink and in which the membran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을 제작할 때, 상기 절연체 하층에 소수성 물질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제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7,
When manufacturing the third layer, the inkjet printhead manufacturing method further includes coating a hydrophobic material on the lower layer of the insulator.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물질로 코팅된 소수성 코팅층은 노즐 끝단에서 노즐 내측으로도 코팅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제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9,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kjet printhead in which the hydrophobic coating layer coated with the hydrophobic material is coated from the tip of the nozzle to the inside of the nozzl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을 제작할 때,
상기 제3 전극 아래에 절연체로 둘러싸여 상기 제3 전극보다 큰 직경의 제4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제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7,
When manufacturing the third layer,
An inkjet printhead manufactu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fourth electrode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ird electrode surrounded by an insulator below the third electrode.
제 17 항에 있어서,
제2 층을 제작할 때,
제2 층 상측면에 절연체로 둘러싸인 제5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제작방법.
According to claim 17,
When producing the second layer,
An inkjet printhead manufactu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fifth electrode surrounded by an insulator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ayer.
KR1020220169557A 2022-03-10 2022-12-07 Inkjet print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inthead KR2023013317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3151377.1A EP4241995A1 (en) 2022-03-10 2023-01-12 Inject print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8/180,541 US20230286272A1 (en) 2022-03-10 2023-03-08 Inkjet print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786 2022-03-10
KR20220029786 2022-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179A true KR20230133179A (en) 2023-09-19

Family

ID=8093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9557A KR20230133179A (en) 2022-03-10 2022-12-07 Inkjet print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inthe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317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279B1 (en) 2009-01-14 2009-09-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jetting dropl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279B1 (en) 2009-01-14 2009-09-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jetting drop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5551B (en) Ink gun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KR102504707B1 (en) multi-nozzle print head
JP6327493B2 (en) Printing device
KR101567506B1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3033234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o provide multi-pulse waveforms with meniscus control for droplet ejection
KR19980033257A (en) Inkjet record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941168B1 (en) Inkjet rinting device
KR100596200B1 (en) Apparatus for jetting droplet using electrostatic field and the method thereof
US6120124A (en) Ink jet head having plural electrodes opposing an electrostatically deformable diaphragm
KR101366076B1 (en) Inkjet printing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7992975B2 (en) Non-conductive fluid droplet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US8807678B2 (en) Methods of driving an inkjet printing apparatus
KR100917279B1 (en) Apparatus for jetting droplet
US20080074476A1 (en) Ink-jetting apparatus and ink-jetting method
KR101569837B1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3182844B (en) Liquid spray head
JP5366367B2 (en) Ink jet print head and method for removing bubbles
US8191994B2 (en) Liquid ejection head utilizing deflection members
CN1328050C (en) Liquid discharging head and liquid discharging device
KR100948954B1 (en) Droplet jetting apparatus using electrostatic forc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ink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230133179A (en) Inkjet print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inthead
KR102111682B1 (en) Ink circulation type inkjet head unit and ink circulation type inkjet hea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method of manufacturing ink circulation type inkjet head unit
EP4241995A1 (en) Inject print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286272A1 (en) Inkjet print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11300975A (en) Liquid atomiz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