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921A - 전자 계전기 및 전자 계전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및 전자 계전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921A
KR20230131921A KR1020237027730A KR20237027730A KR20230131921A KR 20230131921 A KR20230131921 A KR 20230131921A KR 1020237027730 A KR1020237027730 A KR 1020237027730A KR 20237027730 A KR20237027730 A KR 20237027730A KR 20230131921 A KR20230131921 A KR 20230131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coil
spool
dispos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타 미노와
신이치 오가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1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9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relay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전자 계전기는, 접점 장치, 구동 장치 및 코일 단자를 구비한다. 구동 장치는, 코일, 스풀, 제1 요크 및 제2 요크를 포함한다. 코일은 접점 장치에 대해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풀은 제1 방향을 따른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코일이 권취된다. 제1 요크는 코일에 대해서 제1 방향에 배치된다. 제2 요크는 코일의 주위에 배치되며 제1 요크에 연결된다. 제2 요크는, 제1 측부, 제2 측부, 중앙부 및 코일 단자를 인출하기 위한 노치를 포함한다. 제1 측부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요크에 접촉한다. 제2 측부는 제1 측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1 요크에 접촉한다. 중앙부는 접점 장치와 스풀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측부와 제2 측부를 연결한다. 노치는 제1 측부에서 제1 요크에 접촉하는 부분보다 접점 장치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 계전기 및 전자 계전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 및 전자 계전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접점 장치와 전자력에 의해 접점 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구비한 전자 계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접점 장치는 가동 접촉편을 포함한다. 구동 장치는, 코일, 코일이 권취(捲取)되는 스풀, 접점 장치와 스풀 사이에 배치된 제1 요크 및 제1 요크에 연결되는 U자형의 제2 요크를 포함한다. 제1 요크 및 제2 요크는 코일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요크는 제1 요크에 접촉하는 한 쌍의 측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측부는 코일 단자를 인출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고, 가동 접촉편의 장변 방향으로 서로 대향한다. 개구는 제1 요크와 제2 요크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76728호 공보
종래의 전자 계전기에서는, 제1 요크와 제2 요크가 접촉하는 부분에 코일 단자를 인출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요크와 제2 요크가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져 전자석의 자기 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자 계전기에서 전자석의 자기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는, 접점 장치, 구동 장치 및 코일 단자를 구비한다. 접점 장치는 가동 접촉편을 포함한다. 구동 장치는, 코일, 스풀, 제1 요크 및 제2 요크를 포함한다. 코일은 접점 장치에 대하여 제1 방향에 배치된다. 스풀은 제1 방향을 따른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코일이 권취된다. 제1 요크는 코일에 대하여 제1 방향에 배치된다. 제2 요크는 코일의 주위에 배치되며 제1 요크에 연결된다. 제2 요크는, 제1 측부, 제2 측부, 중앙부 및 코일 단자를 인출하기 위한 노치를 포함한다. 제1 측부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요크에 접촉한다. 제2 측부는 제1 측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1 요크에 접촉한다. 중앙부는 접점 장치와 스풀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측부와 제2 측부를 연결한다. 노치는 제1 측부에서 제1 요크에 접촉하는 부분보다 접점 장치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전자 계전기에서는, 코일 단자를 인출하기 위한 노치가 제1 측부에서 제1 요크에 접촉하는 부분보다 접점 장치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보다 제1 요크와 제2 요크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전자석의 자기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단자는 제1 요크보다 접점 장치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인출되므로, 코일 단자와 코일 단자에 연결되는 외부 단자의 연결이 용이해진다.
제1 측부는 제1 요크에 접촉하는 광폭부와 가동 접촉편의 단변 방향에서의 치수가 가동 접촉편의 단변 방향에서의 광폭부의 치수보다 작은 협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는 협폭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는, 협폭부에 의해 제1 요크를 제2 요크에 코킹 고정하는 지그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노치가 협폭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지그의 공간을 확보하면서, 전자석의 자기 효율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스풀은 제2 요크의 중앙부와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부, 코일과 제1 요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부,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 및 제1 플랜지부에 형성되며, 코일 단자를 지지하는 단자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스풀에 의해 코일 단자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단자가 접점 장치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게 되므로, 코일 단자와 코일 단자에 연결되는 외부 단자와의 연결이 더욱 용이해진다.
제1 플랜지는, 주연부, 및 주연부에 형성되며, 중앙부와 제1 측부의 경계 및 및 중앙부와 제2 측부의 경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후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는 제2 플랜지부보다 축선 방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단 지지부의 형성이 용이해짐과 함께, 가동 접촉편의 장변 방향에서의 제2 요크의 치수, 또는 축선 방향에서의 제2 요크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제1 측부는 제2 측부와 가동 접촉편의 장변 방향에 대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가동 접촉편의 단변 방향에서 전자 계전기를 박형화할 수 있다.
전자 계전기는 커넥터 하우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은 코일 단자에 연결되는 커넥터가 삽입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는 제2 요크의 제2 측부로부터 제2 요크의 제1 측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예를 들면, 축선 방향으로부터 커넥터 하우징에 빗물 등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동 장치는 제2 요크의 중앙부에 고정되는 고정 철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풀은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고정 철심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치는 가동 접촉편의 단변 방향에서의 제1 측부의 일단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스풀을 제2 요크에 설치한 후 스풀을 제2 요크에 대해서 회전시킴으로써 코일 단자를 노치에 배치할 수 있다.
스풀은 제2 요크에 설치될 때, 제1 측부와 제2 측부 사이의 위치에서 제2 요크에 대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제1 요크에 대하여 위치 결정될 수 있다. 간단한 구성으로 스풀을 요크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제조 방법은, 제1 공정, 제2 공정 및 제3 공정을 구비한다. 제1의 공정은 스풀 조립체와 제2 요크를 준비하는 공정이다. 스풀 조립체는, 코일, 코일이 권취된 스풀 및 스풀에 지지된 코일 단자를 포함한다. 제2 요크는, 제1 측부, 제1 측부와 대향하는 제2 측부, 제1 측부와 제2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부 및 제1 측부에서 중앙부와의 경계 부근에 형성된 노치를 포함한다. 제2 공정은 중앙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풀의 축선 방향에서 코일 단자가 제1 측부 및 제2 측부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서 축선 방향으로부터 제1 측부와 제2 측부 사이에 스풀 조립체를 배치하는 공정이다. 제3 공정은, 제2 공정 후, 스풀 조립체를 스풀의 축선 둘레로 회전시켜, 코일 단자를 노치에 배치하는 공정이다.
제2 양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제조 방법에서는, 코일 단자를 인출하기 위한 노치가 제1 측부에서 중앙부와의 경계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전자 계전기가 제2 요크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1 요크를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요크와 제1 요크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자석의 자기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단자와 코일 단자에 연결되는 외부 단자의 연결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계전기에서 전자석의 자기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 계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 계전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구동 장치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구동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플랜지부의 외주연(外周緣)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전자 계전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전자 계전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전자 계전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전자 계전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00)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면을 참조할 때, X1 방향을 좌측 방향, X2 방향을 우측 방향, Y1 방향을 전방, Y2 방향을 후방, Z1 방향을 상방, Z2 방향을 하방으로 설명한다. 이들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정의되는 것이며, 전자 계전기(100)의 배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Z2 방향은 제1 방향의 일 예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100)는, 케이스(2), 접점 장치(3), 구동 장치(4) 및 코일 단자(5)를 구비한다.
케이스(2)는 대략 사각형의 상자형이며,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케이스(2)는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다. 케이스(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의 치수가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 작다.
케이스(2)는, 좌벽(21a), 우벽(21b), 상벽(21c), 하벽(21d), 전벽(21e), 도시 생략한 후벽을 포함한다. 좌벽(21a), 우벽(21b), 상벽(21c), 하벽(21d), 전벽(21e) 및 후벽은 케이스(2)에서의 외벽이다. 좌벽(21a) 및 우벽(21b)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벽(21a)은 우벽(21b)과 좌우 방향으로 대향한다. 상벽(21c) 및 하벽(21d)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벽(21c)은 하벽(21d)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한다. 전벽(21e) 및 후벽은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벽(21e)은 후벽과 전후 방향으로 대향한다.
케이스(2)는 케이스 본체부(21), 덮개부(22), 내측 지지부(23, 24) 및 외측 지지부(25, 26)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부(21)는 전방이 개구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부(21)는, 좌벽(21a), 우벽(21b), 상벽(21c), 하벽(21d) 및 후벽을 포함한다. 덮개부(22)는, 전벽(21e)을 포함한다. 덮개부(22)는 케이스 본체부(21)의 개구를 막도록 케이스 본체부(21)에 장착된다.
내측 지지부(23)는 좌벽(21a)의 내면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측 지지부(24)는 우벽(21b)의 내면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측 지지부(23, 24)의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외측 지지부(25)는 케이스 본체부(2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 지지부(25)는 좌벽(21a)의 외면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외측 지지부(25)는 내측 지지부(23)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 지지부(26)는 우벽(21b)의 외면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외측 지지부(26)는 내측 지지부(24)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 지지부(25, 26)의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접점 장치(3)는, 제1 고정 단자(6), 제2 고정 단자(7) 및 가동 접촉편(8)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판 형상의 단자이며,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굴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케이스(2)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제1 고정 단자(6)는, 제1 고정 접점(6a), 접점 지지부(6b), 연신부(6c) 및 외부 연결부(6d)를 포함한다. 제1 고정 접점(6a)은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접점 지지부(6b)는 제1 고정 접점(6a)을 지지한다. 연신부(6c)는 접점 지지부(6b)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신부(6c)는 내측 지지부(23)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외부 연결부(6d)는 케이스 본체부(21)의 좌측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외부 연결부(6d)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외측 지지부(25)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외부 연결부(6d)는 버스바 등 도시 생략한 외부 단자에 연결된다.
제2 고정 단자(7)는 제1 고정 단자(6)와 좌우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제2 고정 단자(7)는, 제2 고정 접점(7a), 접점 지지부(7b), 연신부(7c) 및 외부 연결부(7d)를 포함한다. 제2 고정 단자(7)는 제1 고정 단자(6)와 좌우 대칭 형상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동 접촉편(8)은 일 방향으로 긴 판 형상의 단자이며,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케이스(2)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제1 고정 접점(6a) 및 제2 고정 접점(7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가동 접촉편(8)은 좌우 방향의 치수가 전후 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가동 접촉편(8)의 장변 방향은 좌우 방향과 일치한다. 가동 접촉편(8)의 단변 방향은 전후 방향과 일치한다.
가동 접촉편(8)은 제1 가동 접점(8a) 및 제2 가동 접점(8b)을 포함한다. 제1 가동 접점(8a)은 제1 고정 접점(6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가동 접점(8b)은 제2 고정 접점(7a)에 대항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4)는 케이스(2)에 수용되어 있다. 구동 장치(4)는 가동 접촉편(8)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장치(4)는, 가동 기구(11), 코일(12), 스풀(13), 가동 철심(14), 고정 철심(15), 제1 요크(16), 제2 요크(17) 및 복귀 스프링(18)을 포함한다.
가동 기구(11)는 가동 접촉편(8)에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기구(11)는, 홀더(11a), 구동축(11b) 및 접점 스프링(11c)을 포함한다. 홀더(11a)는 가동 접촉편(8)을 지지하고 있다. 홀더(11a)는 가동 접촉편(8)과 일체로 이동한다. 구동축(11b)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동축(11b)은 가동 접촉편(8)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축(11b)은 홀더(11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홀더(11a)에 연결되어 있다. 접점 스프링(11c)은 홀더(11a)와 구동축(11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접점 스프링(11c)은 홀더(11a)를 통하여 가동 접촉편(8)을 상방으로 부세(付勢)한다.
코일(12)은 전압이 인가되어 여자되면, 가동 철심(14)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전자력을 발생시킨다. 코일(12)은 접점 장치(3)에 대해서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13)은 코일(12)이 권취된다. 스풀(1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13)의 축선 방향은 상하 방향과 일치한다. 스풀(13)은, 제1 플랜지부(13a), 제2 플랜지부(13b), 본체부(13c), 수용부(13d) 및 단자 지지부(13e)를 포함한다.
제1 플랜지부(13a)의 외경 및 제2 플랜지부(13b)의 외경은, 본체부(13c)의 외경보다 크다. 제1 플랜지부(13a) 및 제2 플랜지부(13b)는 단자 지지부(13e)를 제외한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형이다. 제1 플랜지부(13a)는, 본체부(13c)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13b)는 본체부(13c)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13b)는 제1 플랜지부(13a)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한다.
본체부(13c)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외주에 코일(12)이 권취된다. 본체부(13c)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체부(13c)는 제1 플랜지부(13a)와 제2 플랜지부(13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부(13d)는 본체부(13c)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3d)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용부(13d)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형의 구멍이다. 수용부(13d)는 본체부(13c)의 중앙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지지부(13e)는 제1 플랜지부(13a)에 형성되어 있다. 단자 지지부(13e)는 제1 플랜지부(13a)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자 지지부(13e)는 좌벽(21a)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좌벽(21a)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제1 요크(16)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아 직사각 형상이며,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요크(16)는 코일(12)에 대하여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요크(16)는 제2 플랜지부(13b)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코일(12)을 하방으로부터 덮는다.
제2 요크(17)는 코일(12)의 주위에 배치되며, 제1 요크(16)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요크(17)는 U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2 요크(17)는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아 U자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요크(17)는 좌우 방향 및 상방으로부터 코일(12)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요크(17)는, 제1 측부(31), 제2 측부(32), 중앙부(33) 및 노치(34)를 포함한다. 제1 측부(31) 및 제2 측부(32)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측부(31)는 코일(12)의 좌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측부(31)는 하단이 제1 요크(16)에 접촉한다.
제1 측부(3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폭부(31a) 및 협폭부(31b)를 포함한다. 광폭부(31a)는 제1 측부(31)에서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광폭부(31a)는 하단이 제1 요크(16)에 접촉한다. 광폭부(31a)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코일(12)의 전후 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협폭부(31b)는 광폭부(31a)보다 전후 방향의 치수가 작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협폭부(31b)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코일(12)의 전후 방향의 치수보다 작다. 협폭부(31b)는 광폭부(31a)에서부터 중앙부(33)까지 연장되어 있다. 협폭부(31b)는 제1 요크(16)를 제2 요크(17)에 코킹 고정하는 지그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제2 측부(32)는 코일(12)의 우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측부(32)는 제1 측부(31)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2 측부(32)의 하단은, 제1 요크(16)에 접촉한다. 제2 측부(32)는 광폭부(32a) 및 협폭부(32b)를 포함한다. 제2 측부(32)는 제1 측부(31)와 대략 좌우 대칭 형상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중앙부(33)는, 상하 방향에서 접점 장치(3)와 스풀(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부(33)는, 좌우 방향에서 제1 측부(31)와 제2 측부(3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측부(31)와 제2 측부(32)를 연결한다. 중앙부(33)와 제1 측부(31)의 경계 및 중앙부(33)와 제2 측부(32) 연결부의 경계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33)는 제1 요크(16)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한다. 중앙부(33)는 제1 플랜지부(13a)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방으로부터 코일(12)을 덮는다.
노치(34)는 코일 단자(5)를 인출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노치(34)는 제1 측부(31)에서 제1 요크(16)에 접촉하는 부분보다 접점 장치(3)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치(34)는 제1 측부(31)와 중앙부(33)의 경계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노치(34)는 제1 측부(31)의 협폭부(31b)의 일부를 도려내어 형성되어 있다. 노치(34)는 전후 방향에서의 제1 측부(31)의 일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노치(34)는 협폭부(31b)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도려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치(34)는 전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노치(34)는 중앙부(33)의 일부도 도려내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철심(14)은 구동축(11b)에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가동 철심(14) 및 고정 철심(15)은 스풀(13)의 수용부(13d)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철심(14) 및 고정 철심(15)은 수용부(13d)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 가동 철심(14) 및 고정 철심(15)은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형이다. 고정 철심(15)은 제2 요크(17)의 중앙부(33)에 코킹 고정되어 있다. 고정 철심(15)은 가동 철심(14)의 상방에서 가동 철심(14)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18)은 가동 철심(14)을 하방으로 부세한다.
코일 단자(5)는 코일(12)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으며, 코일(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코일 단자(5)는 노치(34)로부터 케이스(2)의 외부로 인출된다. 코일 단자(5)는 케이스(2)의 좌벽(21a)으로부터 케이스(2)의 외부에 노출된다. 코일 단자(5)는 노치(34) 및 케이스(2)의 좌벽(21a)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코일 단자(5)는 단자 지지부(13e)에 지지되어 있다. 단자 지지부(13e)는 노치(34)를 통하여 제1 측부(31)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단자(5)는 한 쌍의 탭 단자(5a) 및 코일(12)에 연결되는 한 쌍의 코일 연결부(5b)를 포함한다. 한 쌍의 탭 단자(5a)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선단이 케이스(2)의 외부에 노출된다. 한 쌍의 코일 연결부(5b)는 코일(12)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한 쌍의 코일 연결부(5b)는 노치(34) 부근에서 한 쌍의 탭 단자(5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코일 연결부(5b)는 중앙부(33)보다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자 계전기(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38)을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38)은 코일 단자(5)에 연결되는 도시 생략한 커넥터가 삽입된다. 한 쌍의 탭 단자(5a)는 커넥터 하우징(38)의 내측에 배치된다. 커넥터 하우징(38)은 케이스(2)의 좌벽(21a)에 고정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38)은 케이스(2)의 좌벽(21a)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38)은 커넥터가 삽입되는 개구(38a)를 포함한다. 개구(38a)는 제2 요크(17)의 제2 측부(32)로부터 상기 제2 요크(17)의 제1 측부(31)를 향하는 방향(여기서는 좌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개구(38a)로부터 커넥터가 삽입되어 커넥터가 코일 단자(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커넥터 하우징(38)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5는 스풀(13)의 제1 플랜지부(13a)의 외주연 부근의 확대도이다. 제1 플랜지부(13a)는 주연부(42)와 후퇴부(43)를 포함한다. 주연부(42)는 제1 플랜지부(13a)의 외주연이다. 후퇴부(43)는 중앙부(33)와 제1 측부(31)의 경계 및 중앙부(33)와 제2 측부(32)의 경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후퇴부(43)는 주연부(42)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후퇴부(43)는 주연부(42)의 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후퇴부(43)는 주연부(42)의 상부 주연을 도려내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플랜지부(13a)는 제2 플랜지부(13b)보다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자 계전기(100)의 제조 공정, 특히 구동 장치(4)의 제조 공정의 일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 장치(4)의 제조 공정은, 제1 공정, 제2 공정, 제3 공정 및 제4 공정을 포함한다. 제1 공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요크(17)와 스풀 조립체(60)를 준비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스풀 조립체(60)는, 코일(12), 스풀(13) 및 코일 단자(5)를 포함한다. 스풀 조립체(60)는 스풀(13)에 코일(12)이 권취되어 있고, 단자 지지부(13e)에 의해 코일 단자(5)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공정은 제2 요크(17)에 고정 철심(15)을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고정 철심(15)은, 예를 들면 코킹 고정에 의해 제2 요크(17)에 고정된다.
제2 공정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 방향에서 코일 단자(5)가 제1 측부(31) 및 제2 측부(32)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서 축선 방향으로부터 스풀 조립체(60)를 제1 측부(31)과 제2 측부(32) 사이에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즉, 스풀 조립체(60)는 축선 방향에서 코일 단자(5)가 제2 요크(17)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스풀(13)의 수용부(13d)가 고정 철심(15)에 수용되도록 제2 요크(17)에 설치된다.
제3 공정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공정 후에 스풀 조립체(60)를 스풀(13)의 축선 둘레로 회전시켜, 코일 단자(5)를 노치(34)에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코일 단자(5)가 노치(34)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코일 단자(5)가 노치(34)를 통하여 제1 측부(31)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다. 또한, 제3 공정은 스풀(13)을 제2 요크(17)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스풀(13)은, 스풀(13)과 제2 요크(17) 사이에 마련된 스토퍼(64)에 의해 제2 요크(17)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스토퍼(64)는 스풀(13)의 단자 지지부(13e)에 형성되어 있다.
제4 공정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요크(16)를 준비하는 공정 및 제3의 공정의 후에 제1 요크(16)를 제2 요크(17)에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제1 요크(16)는, 예를 들면, 도시 생략한 지그에 의해 제2 요크(17)에 코킹 고정된다.
상기 구성의 전자 계전기(100)에서는, 코일 단자(5)를 인출하기 위한 노치(34)가 제1 측부(31)에서 제1 요크(16)에 접촉하는 부분보다 접점 장치(3)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보다 제1 요크(16)와 제2 요크(17)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전자석의 자기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단자(5)는 제1 요크(16)보다 접점 장치(3)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인출되므로, 코일 단자(5)와 코일 단자(5)에 연결되는 외부 단자의 연결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치(34)가 협폭부(31b)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협폭부(31b)의 일부가 노치(34)를 겸하게 되므로, 노치(34)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협폭부(31b)에 의해 지그의 공간을 확보하면서, 전자석의 자기 효율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측부(31)와 제2 측부(32)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었지만, 제1 측부(31)와 제2 측부(32)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제2 요크(17)를 배치할 수도 있다.
3: 접점 장치 4: 구동 장치
5: 코일 단자 8: 가동 접촉편
12: 코일 13: 스풀
13a: 제1 플랜지부 13b: 제2 플랜지부
13c: 본체부 13d: 수용부
13e: 단자 지지부 15: 고정 철심
16: 제1 요크 17: 제2 요크
31: 제1 측부 32: 제2 측부
33: 중앙부 31a: 광폭부
31b: 협폭부 38: 커넥터 하우징
38a: 개구 42: 주연부
43: 후퇴부 100: 전자 계전기

Claims (9)

  1. 가동 접촉편을 포함하는 접점 장치;
    상기 접점 장치에 대하여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코일이 감기는 스풀, 상기 코일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에 배치된 제1 요크 및 상기 코일의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요크에 연결된 제2 요크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및
    상기 코일에 연결되는 코일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요크에 접촉하는 제1 측부, 상기 제1 측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요크에 접촉하는 제2 측부, 상기 접점 장치와 상기 스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를 연결하는 중앙부, 및 상기 제1 측부에서 상기 제1 요크에 접촉하는 부분보다 상기 접점 장치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 단자를 인출하기 위한 노치를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는 상기 제1 요크에 접촉하는 광폭부 및 상기 가동 접촉편의 단변 방향의 치수가 상기 가동 접촉편의 단변 방향의 상기 광폭부의 치수보다 작은 협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협폭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자 계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제2 요크의 상기 중앙부와 상기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부;
    상기 코일과 상기 제1 요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1 플랜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 단자를 지지하는 단자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주연부, 및 상기 주연부에 형성되며, 중앙부와 제1 측부의 경계 및 중앙부와 제2 측부의 경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후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부보다 상기 축선 방향의 두께를 가지는 전자 계전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는 상기 제2 측부와 상기 가동 접촉편의 장변 방향에 대향하는 전자 계전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코일 단자에 연결되는 커넥터가 삽입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제2 요크의 상기 제2 측부로부터 상기 제2 요크의 상기 제1 측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전자 계전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제2 요크의 상기 중앙부에 고정되는 고정 철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풀은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 철심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가동 접촉편의 단변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측부의 일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전자 계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제2 요크에 설치될 때,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2 요크에 대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1 요크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는 전자 계전기.
  9. 코일, 상기 코일이 권취된 스풀 및 상기 스풀에 지지된 코일 단자를 포함하는 스풀 조립체를 준비함과 함께, 제1 측부, 상기 제1 측부와 대향하는 제2 측부,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부 및 상기 제1 측부에서 상기 중앙부와의 경계 부근에 형성된 노치를 포함하는 제2 요크를 준비하는 제1 공정;
    상기 중앙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스풀의 축선 방향에서 상기 코일 단자가 상기 제1 측부 및 상기 제2 측부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축선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 사이에 상기 스풀 조립체를 배치하는 제2 공정; 및
    상기 제2 공정 후에, 상기 스풀 조립체를 상기 스풀의 축선 둘레로 회전시켜, 상기 코일 단자를 상기 노치에 배치하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의 제조 방법.
KR1020237027730A 2021-03-05 2022-01-18 전자 계전기 및 전자 계전기의 제조 방법 KR202301319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35749A JP7415983B2 (ja) 2021-03-05 2021-03-05 電磁継電器及び電磁継電器の製造方法
JPJP-P-2021-035749 2021-03-05
PCT/JP2022/001514 WO2022185752A1 (ja) 2021-03-05 2022-01-18 電磁継電器及び電磁継電器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921A true KR20230131921A (ko) 2023-09-14

Family

ID=8315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7730A KR20230131921A (ko) 2021-03-05 2022-01-18 전자 계전기 및 전자 계전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45198A1 (ko)
JP (1) JP7415983B2 (ko)
KR (1) KR20230131921A (ko)
CN (1) CN116897407A (ko)
DE (1) DE112022000429T5 (ko)
WO (1) WO202218575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6728A (ja) 2014-03-14 2015-10-05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0193B4 (de) 2013-05-31 2019-02-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Anordnung für ein elektrisches Schaltelement, insbesondere Schütz oder Relais, und elektrisches Schaltelement mit einem Steuerungsmodul zwischen Jochschenkel und Spule
KR101626365B1 (ko) 2014-09-30 2016-06-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용 액츄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
JP2020087567A (ja) * 2018-11-19 2020-06-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石装置、及び電磁継電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6728A (ja) 2014-03-14 2015-10-05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45198A1 (en) 2024-05-02
JP2022135743A (ja) 2022-09-15
DE112022000429T5 (de) 2023-10-26
CN116897407A (zh) 2023-10-17
WO2022185752A1 (ja) 2022-09-09
JP7415983B2 (ja)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4243B2 (ja) 電磁継電器
US20220293378A1 (en) Electromagnetic relay
CN104979659A (zh) 连接器装置
EP4037157A1 (en) Stator of electric machine and electric machine
KR20230131921A (ko) 전자 계전기 및 전자 계전기의 제조 방법
CN111756152B (zh) 马达用定子
CN102725814A (zh) 电磁接触器和用于该电磁接触器的组装方法
US20220293374A1 (en) Electromagnetic relay
JP2019176540A (ja) モータ用ステータ
WO2019082667A1 (ja) 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JP3205376U (ja) コイル部材
WO2022185749A1 (ja) 電磁継電器
CN113012987A (zh) 电磁继电器
CN112805802A (zh) 电磁继电器
JP2017199884A (ja) スプール及び電磁接触器
JP7310508B2 (ja) リレー
KR102566024B1 (ko) 차량용 구동모터의 보빈
JP7277895B2 (ja) ソレノイド用ボビンおよびソレノイド
JP4757901B2 (ja) 電磁ソレノイド
JP5953176B2 (ja) 直流電動機の製造方法
CN116888701A (zh) 电磁继电器
WO2018123810A1 (ja) 電磁継電器
JP6646821B2 (ja) 電磁リレー
JP6631946B2 (ja) 電磁リレー
JP2023088604A (ja) 電磁継電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