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828A - 계량 장치 - Google Patents

계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828A
KR20230131828A KR1020237020682A KR20237020682A KR20230131828A KR 20230131828 A KR20230131828 A KR 20230131828A KR 1020237020682 A KR1020237020682 A KR 1020237020682A KR 20237020682 A KR20237020682 A KR 20237020682A KR 20230131828 A KR20230131828 A KR 20230131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ing
abnormality
metering
value
s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키 오츠카
츠토무 코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이 앤 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이 앤 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이 앤 디
Publication of KR20230131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82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1Testing or calibrating of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이상의 발생을 알아챌 수 있는 계량 장치를 제공한다. 계량 장치(10)는, 직사각형의 계량대(12)와, 계량대(12)의 4 모서리에 배치된 계량 센서(42)와, 계량 센서(42)의 출력에 기초하여 계량대(12) 상의 피계량물의 계량치를 산출하는 제어부(38)와, 계량 센서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수단(39)을 구비하고, 계량 센서(42) 중, 계량대(12)의 한 변에 배치된 한 쌍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의 합을, 그 한 쌍의 계량 센서(42)의 과거의 출력치의 합과 비교함으로써 이상의 발생을 검지한다.

Description

계량 장치
본 발명은 체중계 등의 계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료 시설에서 사용되는 대형의 체중계에 관한 것이다.
의료 시설에서 사용되는 대형의 체중계는, 넓은 면적의 계량대를 가지고, 그 하면의 4 모서리에 계량 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계량 센서에 의해 전체 하중을 1개의 계측치로 환산하여, 표시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대형의 체중계에 있어서도, 근래에는, 고령의 피측정자가 계량대에 오르내리기 쉽도록 배려가 이루어지고 있어, 계량대는 가능한 한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계량대와 바닥면의 간극이 작아져서, 계량대가 바닥면의 요철에 접촉하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 계량대와 바닥면의 간극에 펜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 계량대의 하면에 접촉해 버린다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동일한 문제는, 가정용의 소형 체중계의 경우에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소형 체중계의 경우에는, 계량대가 가벼우므로, 계량대에 바닥이나 이물질이 접촉했을 때, 그것에 의한 오차의 비율이 커져, 이상의 발생을 알아챌 수 있다. 또, 소형 체중계의 경우에는, 계량대가 작아서 가벼우므로, 이상을 느꼈을 때에 계량대채로 들어 올려 확인할 수 있어, 이상의 원인을 발견할 수도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 2015-206681
그러나, 의료 시설용의 대형 체중계에서는, 계량대 자체가 무거우므로, 계량대가 바닥이나 이물질에 접촉했을 때의 오차의 비율이 작아, 이상의 발생을 알아채기 어렵다. 또, 대형 체중계에서는, 크고 무거운 계량대를 들어 올려서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여, 이상의 원인을 발견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종래의 대형 체중계에서는, 계량대가 바닥면이나 이물질에 접촉한 것에 의한 접촉 이상이 발생하여, 부정확한 값이 표시되어도, 알아채지 못하고 그 표시를 채용해 버릴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대형 체중계를 이동시켜 설치한 직후에 발생하기 쉽다. 즉, 대형 체중계를 사용 위치까지 이동시켜, 계량대를 바닥면에 설치했을 때, 그 계량대의 아래에 이물질 등을 끼워 넣거나 계량대가 벽 등에 접촉하거나 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동시켜 설치했을 때에 발생하는 이상을 검지할 수 있는 계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피계량물을 싣는 직사각형의 계량대와, 상기 계량대의 4 모서리에 배치된 계량 센서와, 상기 계량 센서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상기 계량대 상의 상기 피계량물의 계량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계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대의 한 변에 배치된 한 쌍의 계량 센서의 출력치의 합에 기초하여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계량대에 이물질 등이 접촉하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계량대의 한 변에 배치된 한 쌍의 계량 센서의 출력치의 합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아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계량대의 4 모서리에 계량 센서를 배치하여 각각의 센서로부터 출력한 경우, 전체의 출력치의 합은 이상이 있어도 변동량이 작은 경우가 있어, 이상의 검지에는 이용하기 어렵다. 한편, 각각의 출력치는 이상이 없어도 변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것도 이상의 검출에는 이용하기 어렵다. 그것에 대해, 계량대의 한 변에 배치된 한 쌍의 계량 센서의 출력치의 합은, 이물질 접촉 등에 의한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크게 변동하는 경우가 많고, 이상의 검지에 이용할 수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계량대의 한 변에 배치된 한 쌍의 계량 센서의 출력치의 합을 감시하도록 했으므로, 이상의 발생을 검지할 수 있다.
제2항의 발명은 제1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 수단은, 상기 한 쌍의 계량 센서의 출력치의 합을, 그 한 쌍의 계량 센서의 과거의 출력치의 합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이상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과거에 정상이었을 때의 과거의 출력치의 합을 기억해 두고, 그것과 비교함으로써 이상의 발생을 검지할 수 있다.
제3항의 발명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의 출력치는, 상기 계량대가 무하중의 상태에서의 출력치이고, 상기 이상 검지 수단은, 전원 입력시의 상기 출력치의 합을 상기 과거의 출력치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입력시에 이상을 검지할 수 있고, 특히 설치에 관한 이상을 검지할 수 있다.
제4항의 발명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 수단은, 상기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한 쌍의 계량 센서를 특정하여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상의 발생을 검지한 한 쌍의 계량 센서를 특정하여 알리므로, 이상이 발생한 지점도 파악할 수 있다.
제5항의 발명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장치는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이상 검지 수단은 상기 계량 장치를 이동시켜 설치했을 때의 설치 이상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체중계와 같이 이동 가능한 계량 장치에 있어서 유효하며, 설치한 직후의 이상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량 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차륜를 구비한 대형의 체중계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량대의 한 변에 배치된 한 쌍의 계량 센서의 합에 기초하여 이상을 검지하도록 했으므로, 계량대가 크거나 또는 무거운 대형의 계량 장치에 있어서도, 이상의 발생을 파악할 수 있어, 작업자는 곧바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계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계량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계량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이상 진단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와 상이한 이상 진단을 구비한 플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이상 진단의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관련된 계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계량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계량 장치(1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계량 장치(10)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계량 장치(10)는 주로, 계량대(12), 난간(14), 표시기(16)로 구성되어 있다. 계량대(12)는 큰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계량대(12)에 피측정자가 그대로 혹은 휠체어에 탑승한 채로 올라가게 되어 있다. 계량대(12)는, 평탄하고 또한 충분한 강성을 갖는 구조로, 예를 들면, 허니콤 형상의 보강판(도시하지 않음)을 철제의 프레임체와 철판으로 상하에 끼워 넣음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계량대(12)의 전후 양 단부에는, 슬로프(18, 18)가 설치되어 있고, 외측이 될수록 낮아져, 피측정자가 오르내리기 쉽게 되어 있다. 각 슬로프(18)에는, 미끄럼 방지(20)가 장착되어 있어, 피측정자가 오르내릴 때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량대(12)의 좌우 양단에는, 사이드 바(22, 24)가 연결되어 있다. 각 사이드 바(22, 24)는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배선이나 전자 기판 등이 수납되어 있다. 또, 각 사이드 바(22, 24)의 상면에는, 난간(14)이 장착되어 있어, 피측정자가 난간(14)을 잡고 승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이드 바(22, 24) 중, 일방의 사이드 바(22)의 외측면에는, 손잡이(26)가 장착되어 있고, 다른 일방의 사이드 바(24)의 외측면에는, 2개의 차륜(28)(도 2 참조)이 일정한 폭으로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바(22)가 상측, 사이드 바(24)가 하측이 되도록 계량대(12)를 넘어뜨려, 차륜(28)을 착지시킨 상태에서, 손잡이(26)를 잡고 계량대(12)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계량 장치(10)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사이드 바(22)의 상면에는, 난간(14)의 옆에 폴(30)이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또한 자유롭게 회동(回動)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폴(30)은 수직으로 기립한 후, 만곡되어 수평으로 되어 있고, 그 선단에 표시기(16)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폴(30)을 회동시킴으로써 표시기(16)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표시기(16)에는, 계량치나 설정 조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면(34)(도 3 참조)이나, 각종의 설정 등을 실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36)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기(16)의 내부에는, 다양한 연산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제어부(기반 등)(38)나 전원(전지 등(40))이 설치되어 있다.
각 사이드 바(22, 24)의 하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32)는 각 사이드 바(22, 24)의 양단, 즉 계량대(12)의 각 코너부에 배치되어 있다. 각 다리부(32)와 사이드 바(22, 24) 사이에는 계량 센서(42)(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계량 센서(42)를 통해 계량대(12)가 지지되어 있다. 계량 센서(42)는, 계량대(12)에 가해지는 하중을 계측하는 센서이며, 예를 들면 로드 셀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량 센서(4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별개로 출력을 실시하고, 그것을 앰프(44)로 증폭시켜, 표시기(16) 내의 제어부(38)에 송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38)에서는, 각 계량 센서(42)의 출력을 비교할 수 있고, 후술하는 이상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각 계량 센서(42)는, 제어부(38)(자세한 것은 제어부(38)에 포함되는 이상 검지 수단(39))에서 이상 진단이 실시되도록, 각각이 비교 가능한 양태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량 센서(42)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도면을 생략하지만), 로베르발형 로드 셀의 기왜체(起歪體)의 4개의 박육부에 4개의 게이지가 첩부되고, 이 4개의 게이지가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도록 접속되어 있고, 각각의 출력치(=계량치로의 환산이나 연산 처리 등을 하고 있지 않은 데이터)를 제어부(38)에서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어부(38)는, 적어도 CPU 및 메모리를 집적 회로에 실장한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4개의 계량 센서(42)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계량대(12) 상의 피계량물의 계량치를 산출하고, 그것을 표시기(16)의 표시 화면(3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상 검지 수단(39)은, 제어부(38)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8)에 입력된 상기 계량 센서(42)의 출력치나 메모리 내의 데이터 등도 이상 검지 수단(39)에 제공된다. 이상 검지 수단(39)은 이것들을 기초로 연산을 실시하고, 연산 결과로부터 이상의 발생을 검지한다. 이상 검지 수단(39)은, 4개의 계량 센서(42) 중, 계량대(12)의 한 변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계량 센서(42)의 합을 모두(즉 4개의 조합에서의 합을 모두) 산출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38)는, 각각의 합에 관한 기준치를 메모리에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상 검지 수단(39)은, 그 기준치와 합의 산출치를 비교함으로써 이상의 검출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이상 진단을 실시하는 제어 플로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이 투입되면(스텝 S1), 먼저, 초기 하중치 이상의 판정을 실시한다(스텝 S2). 이 판정에서는, 예를 들면 칭량치의 ±10% 를 초과하는 하중이 가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초기 하중치 이상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초기 하중치 이상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표시 화면(34)에 초기 하중치 이상을 나타내는 표시를 실시한다(스텝 S6). 이 초기 하중치 이상의 판정 기능은, 종래의 계량 장치에도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설치 이상의 판정을 실시한다(스텝 S3). 설치 이상의 판정에서는, 먼저, 4개의 계량 센서(42) 중, 계량대(12)의 한 변에 배치된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의 합을 각각 산출한다. 즉, 계량대(12)의 입구측(=피측정자가 올라가는 측)에 배치된 2개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의 합과, 출구측에 배치된 2개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의 합과, (입구에서 보아) 우측에 배치된 2개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의 합과, 좌측에 배치된 2개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의 합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합의 값(이하, 산출치라고 한다)이 각각, 기준치에 대해 허용 범위 내에 들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치란, 과거에 정상적인 상태에서 산출한 한 쌍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의 합으로, 미리 기억되어 있다. 허용 범위란, 계량 장치(10)의 종류별로 미리 시험 등으로 구해져서 설정된 값으로, 예를 들면, 칭량치의 0.1% 정도에 상당하는 출력치로 설정된다. 비교할 때에는, 동일한 조합의 계량 센서(42)에 대해서 기준치와 산출치가 비교된다. 비교의 결과, 어느 합에 있어서 허용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는, 설치 이상의 발생으로 판정된다. 판정된 경우에는, 설치 이상을 나타내는 표시가 표시 화면(34)에 행해진다(스텝 S7).
한편, 설치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계량 처리를 실시한다(스텝 S4). 계량 처리는, 피측정자가 계량대(12)에 올라가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계량이 개시된다. 그때, 표시 화면(34)에, 계량을 개시하도록 재촉하는 표시(즉 피측정자가 계량대(12)에 올라가도록 재촉하는 표시)를 실시하면 된다. 계량이 개시되면, 제어부(38)는, 4개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로부터 1개의 계량치를 산출하고, 산출한 계량치를 표시 화면(34)에 표시한다(스텝 S5).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계량 장치(1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계량 장치(10)는, 각 계량 센서(42) 내에서 게이지에 의한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고, 각각의 계량 센서(42)로부터 출력치가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출력치는 그 자체로는 의미가 없으므로, 곧바로 1개의 계량치로 환산된다. 그러나, 환산 후의 계량치에서는, 이물질 등이 계량대(12)에 접촉했을 때의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대형 체중계와 같이 계량대(12)의 중량이 큰 경우에는, 계량대(12)에 이물질 등이 접촉해도 계량치의 변동량이 작기 때문에, 이상을 검지하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발명자가 계량 센서(42)의 각각의 출력치를 조사한 결과, 출력치는 매우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어, 계량대(12)를 다시 놓거나, 계량대(12)에 일시적인 하중이나 충격을 주거나 한 것만으로도 전혀 다른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어떤 계량 센서(42)의 출력치가 「+100(계량치로 환산하기 전의 본래의 데이터)」이었던 경우에, 계량대(12)를 다시 놓은 후, 다시 그 계량 센서(42)의 출력치를 조사하면, (무하중인 것은 변하지 않지만) 「-100」이나 「+200」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계량 센서(42)의 출력치는, 이상의 발생의 유무에 상관없이 변화하므로, 이 출력치를 단순히 감시하는 것만으로는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정상적인 상태(=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면, 출력치의 변동에 어떤 일정한 법칙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정상적인 상태이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의 합은, 기준치(과거의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출력치의 합)에 대해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변동한다. 예를 들면, 어떤 한 쌍의 계량 센서(42)의 과거의 출력치가 각각 「+100」「+200」이고, 합이 「+300」이었던 경우, 정상적인 상태이면, 그 「+300」에 대해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2개의 출력치가 변화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상태이면, 일방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가 「+100」에서「-100」으로 변화하면, 합이「+300」이 되도록, 다른 일방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가「+400」의 근처에서 변화한다. 반대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합이 크게 변화한다. 예를 들면, 일방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가「-100」이 된 경우, 다른 일방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는「-100」이나「1000」등으로 변화하고, 합이 과거의 값「+300」으로부터 크게 벗어나 변화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의 합은, 정상이면 변화가 적고, 이상이 발생하면 변화가 커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의 합을, 동일한 한 쌍의 계량 센서(42)의 과거의 출력치의 합과 비교하여, 그 차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에 이상의 발생으로서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량 센서(42)의 출력치는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므로, 출력치의 합을 이상 진단에 이용함으로써, 이상의 발생을 상당한 확률로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용 체중계와 같이 계량대(12)가 무겁거나 또는 큰 경우여도, 이상의 발생을 검지할 수 있어, 이상을 알아채지 못하고 계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자동적으로 설치 이상을 진단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치 이상의 진단의 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 두고, 선택한 경우만 실시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표시 화면(34)에 표시하도록 했지만, 이상의 알림 수단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리를 발하거나, 빛을 점등 또는 점멸시킴으로써 작업자에게 이상의 발생을 알리도록 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준치로서 미리 시험 등으로 구해진 값, 혹은, 예를 들면 무하중 상태의 과거의 출력치를 설정하여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상(=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으로 판단했을 때에 출력치의 합을 새롭게 기억하고, 그 새롭게 기억한 값을 기준치로서 갱신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발생한 이상의 내용을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8)의 메모리에 미리, 이상이 발생했을 때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의 합(혹은 산출치와 기준치의 차)과 이상 내용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를 기억해 두고, 이상 검지 수단(39)이, 출력치의 합 및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이상 내용을 진단하고, 결과를 표시 화면(34)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의 합에 의해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도록 했지만, 그것에 추가로, 각각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에서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38)의 메모리에 각 계량 센서(42)의 과거의(정상시의) 출력치를 기억해 두고, 이상 검지 수단(39)이, 그 과거의 출력치와 계측 중인 출력치를 비교하여, 차가 허용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 이상의 발생으로서 판단해도 된다. 이 경우, 한 쌍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의 합에 의한 진단과 함께 실시함으로써, 이상의 검출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상 검지 수단(39)이, 각 계량 센서(42)의 출력치를 이용하여 다른 이상 검지를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5의 제어 플로는, 계량시의 이상(이하, 계량 이상이라고 한다)을 검지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제어 플로는, 도 4의 제어 플로와 비교하여, 스텝 S8, 스텝 S9가 추가되어 있다. 그 밖의 스텝은 동일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의 스텝 S4의 계량시에는, 각 계량 센서(42)의 출력치가 메모리에 기억되어, 그 기억된 출력치의 변동 상황이나 수속 상황에 따라 계량 이상이 판단된다(스텝 S8). 그리고, 계량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계량 이상을 나타내는 표시가 행해진다(스텝 S9).
도 6은, 그 계량 이상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6(a)~도 6(d)는 각각, 계량 이상의 발생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점선은 이상이 발생한 계량 센서의 출력치의 변동을 나타내고 있고, 실선은 다른(정상적인) 3 개의 계량 센서의 출력치의 변동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다른 3 개의 계량 센서의 출력치는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거의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의 T1은 피측정자가 계량대(12)에 올라간 시각이며, T2는 계량치가 안정된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6(a)의 예에서는, 1개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점선)가 다른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실선)에 비해, 불안정한 변동을 나타내고 있고,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6(b)의 예에서는, 1개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점선)만이 다른 계량 센서(42)의 출력(실선)과 비교하여 빠르게 수속되어 있고, 계량 센서(42)의 주변에서 계량대(12)가 바닥이나 이물질에 접촉한 것으로 판정된다. 도 6(c)의 예에서는, 1개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점선)만이 다른 계량 센서(42)의 출력(실선)과 비교하여 느리게 수속되어 있어, 계량대(12)가 바닥이나 이물질에 접촉하여 간섭을 받는 이상, 또는, 계량 센서(42)의 고정이 불안정해지는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6(d)의 예에서는, 1개의 계량 센서(42)의 출력(점선)의 수속치만이 다른 계량 센서(42)의 출력(실선)의 수속치와 비교하여 매우 작게 되어 있어, 계량 센서(42)의 고장이나 고정 불량이 발생하거나, 또는 계량 센서(42)의 주변에서 이물질에 접촉하는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각 계량 센서(42)의 출력치를 다른 계량 센서(42)의 출력치와 비교함으로써, 계량 처리 중에 있어서도 이상의 검출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비교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계량 센서를 특정하여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계량 장치(10)로서 의료용의 대형 체중계의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정용의 소형 체중계, 체지방계 부착 체중계, 신장계 부착 체중계 등 외에, 대칭(台秤)이나 천칭(天秤) 등의 다양한 계량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0: 계량 장치
12: 계량대
14: 난간
16: 표시기
18: 슬로프
20: 미끄럼 방지
22: 사이드 바
24: 사이드 바
26: 손잡이
28: 차륜
30: 폴
32: 다리
34: 표시 화면
36: 조작 버튼
38: 제어부
39: 이상 검지 수단
40: 전원
42: 계량 센서
44: 앰프

Claims (5)

  1. 피계량물을 싣는 직사각형의 계량대와, 상기 계량대의 4 모서리에 배치된 계량 센서와, 상기 계량 센서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상기 계량대 상의 상기 피계량물의 계량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계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대의 한 변에 배치된 한 쌍의 상기 계량 센서의 출력치의 합에 기초하여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 수단은, 상기 한 쌍의 계량 센서의 출력치의 합을, 그 한 쌍의 계량 센서의 과거의 출력치의 합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이상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의 출력치는, 상기 계량대가 무하중의 상태에서의 과거의 출력치이고, 상기 이상 검지 수단은, 전원 입력시의 상기 계량 센서의 출력치의 합을 상기 과거의 출력치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 수단은, 상기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한 쌍의 계량 센서를 특정하여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장치는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이상 검지 수단은 상기 계량 장치를 이동시켜 설치했을 때의 설치 이상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장치.
KR1020237020682A 2021-01-22 2022-01-18 계량 장치 KR202301318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09105 2021-01-22
JPJP-P-2021-009105 2021-01-22
PCT/JP2022/001529 WO2022158438A1 (ja) 2021-01-22 2022-01-18 計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828A true KR20230131828A (ko) 2023-09-14

Family

ID=8254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682A KR20230131828A (ko) 2021-01-22 2022-01-18 계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18125A1 (ko)
JP (1) JPWO2022158438A1 (ko)
KR (1) KR20230131828A (ko)
WO (1) WO2022158438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6458B2 (ja) * 1999-02-08 2011-07-0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荷重計測装置の状態報知方法
JP5944233B2 (ja) * 2012-06-06 2016-07-05 大和製衡株式会社 非自動はかり
JP6278514B2 (ja) * 2014-04-21 2018-02-14 株式会社エー・アンド・デイ 体重計
CN111351560A (zh) * 2020-03-27 2020-06-30 江苏联峰实业有限公司 一种称重传感器在线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8438A1 (ja) 2022-07-28
US20240118125A1 (en) 2024-04-11
JPWO2022158438A1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7486B2 (en) Weighing scale diagnostics method
CA2670114C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US8987616B2 (en) Weight scale for a patient lift system, a control system for the weight scale, and a method for weighing a patient supported on the weight scale
US20070268147A1 (en) Load-cell based hospital bed control
JP4879620B2 (ja) ベッドの荷重検出器
US9766115B2 (en) Balance 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balance ability measur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balance ability measurement program
EP2155597B2 (en) Load monitoring system
JP4632746B2 (ja) 運動量計測装置及び運動量計測プログラム
CN111847335B (zh) 高空作业平台车、承重监控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JP2017086897A (ja) 被測定者の体重及び少なくとも1つの更なる身体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ための複合測定デバイス
CN204330099U (zh) 一种具有秤脚支撑状况检测功能的电子秤
JP2010063594A (ja) 離床予測システム
JP2002257782A5 (ko)
KR20230131828A (ko) 계량 장치
JP3621091B1 (ja) 重心動揺検査システム及び重心動揺検査プログラム
JP2011154715A (ja) ベッドの在床監視システム
JP2010210296A (ja) 車両計量装置
JP2013101061A (ja) 計量装置
JP5191520B2 (ja) 重量測定装置
JP4801020B2 (ja) 重量測定装置
JP7154730B1 (ja) 被計量者の後退を検知して報知する大型体重計および方法
US20230126732A1 (en) Inclination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7154729B1 (ja) 床ずれの可能性を検知する大型体重計、および床ずれ検知方法
JP7453675B2 (ja) 計量装置
JP5679837B2 (ja) 計量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