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40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407A
KR20230131407A KR1020220028396A KR20220028396A KR20230131407A KR 20230131407 A KR20230131407 A KR 20230131407A KR 1020220028396 A KR1020220028396 A KR 1020220028396A KR 20220028396 A KR20220028396 A KR 20220028396A KR 20230131407 A KR20230131407 A KR 20230131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urse
unit
quiet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환
이청일
최운제
장진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407A/ko
Publication of KR2023013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40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6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0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기준값 이하로 방사될 수 있는 정숙코스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장치로 세탁기, 건조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근자에는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의류의 건조를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의류에 상기 히트펌프에서 발생한 열풍을 공급하였고, 동시에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의류가 고르게 열풍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의류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때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히트펌프에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에 수용된 의류가 낙하하거나 마찰될 때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에서 제거된 물을 저수탱크 또는 캐비닛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배수펌프가 작동될 때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가 물이 채워진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소음에 더욱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야간이나 아기 등의 수면시간 등과 같이 정숙을 요하는 상황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구매한 사용자가 퇴근 이후에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경우에는 의류처리장치를 활용할 수 있는 시간대가 결과적으로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렇다고 해서,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드럼을 느리게 회전하거나, 압축기를 저rpm으로 구동하면 건조행정이 감소되거나 건조시간이 과도하게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별도의 코스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가 설정된 시간대에 소음이 감소되도록 구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필요한 경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히트펌프 시스템, 송풍팬, 배수펌프 등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작동하는 구성의 구동력을 낮추어 구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야간 등 정숙이 필요한 시간대에서도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체 소음이 기준값 이하로 발생하거나, 기준값을 초과하는 시간이 기준시간 이내에 해당하는 정숙코스를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정숙이 필요한 경우에는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의 구동력을 낮추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구성들의 최대출력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 또는 외부단말과 통신하여 설정 시간대에서 정숙코스를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특정시간대를 설정하여 상기 특정시간대에서 정숙코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주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정숙코스에서는 드럼의 회전속도, 압축기의 구동속도를 임의의 건조코스 보다 낮추어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정숙코스에서는 응축수를 이동시키는 배수펌프의 구동횟수를 임의의 건조코스 보다 적게 구동 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정숙코스에서는 열교환기 등을 응축수로 세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정숙코스에서는 송풍팬의 구동속도를 임의의 건조코스에서 구동속도 보다는 더 높여 구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별도의 코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가 설정된 시간대에 소음이 감소되도록 구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필요한 경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히트펌프 시스템, 송풍팬, 배수펌프 등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작동하는 구성의 구동력을 낮추어 구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야간 등 정숙이 필요한 시간대에서도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감속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감속기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열풍공급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모터와 감속기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모터와 감속기의 축이 유지되는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행정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건조행정에서 드럼을 구동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정숙코스를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과 도17은 상기 컨트롤패널을 통해 상기 정숙코스를 설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할 것이다.
도18는 정숙코스에서 드럼의 회전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9은 정숙코스에서 압축기의 구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정숙코스에서 송풍팬의 구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21은 정숙코스에서 배수펌프의 구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배치된 온라인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를 건조하는 임의의 건조코스를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는 의류에 수분을 열풍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는 일련의 제어방법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제어부 또는 컨트롤패널(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를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제1인터페이스(P1)와,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 보다 소음 발생이 적으면서 의류를 건조하는 정숙코스를 설정할 수 있는 제2인터페이스(P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인터페이스(P1)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P2)는 터치패널 및 버튼 방식을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정보 또는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인터페이스(P1)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P2)는 후술하는 입력부와 표시부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또는 컨트롤패널(P)은 후술하는 의류처리장치 내부 구성들을 제어하여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 또는 상기 정숙코스를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외부와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모듈(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T)은 와이파이 모듈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와 통신하며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면 어떠한 모듈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통신모듈(T)을 통해 서버(50) 또는 외부단말(4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50) 또는 외부단말(4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와 통신하여 의류처리장치(1)은 원격에서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의류처리장치(1)에 시간정보, 지역정보, 날씨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T)은 실내에 구비된 공유기 또는 AP(30)와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AP(30)를 통해 상기 서버(50) 및 외부단말(40)과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서버(50)는 AP(30)의 포트정보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를 특정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단말(40)은 상기 통신모듈(T)와 AP(30)를 페어링 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T)이 상기 서버(50) 또는 외부단말(40)로부터 시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P)는 상기 시간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정숙코스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외부단말(40)은 후술하는 조용조용코스 또는 정숙코스를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0),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150) 및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패널(140)은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패널(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10)에는 캐비닛(10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개구부(111) 및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11)를 개폐하는 도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10)에는 컨트롤패널(P)에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하는 조작패널(11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은 일련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건조 코스 또는 건조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 또는 제어부(P)는 입력부(118)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어명령을 수행하도록 내부 구성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은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구성들과 연결되어 입력된 명령을 수행하도록 해당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8)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 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9)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을 별도로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저수탱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120)는 상기 전면패널(110)의 일측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120)는 건조 행정 중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저수탱크(120)를 상기 캐비닛(100)에서 인출하여 상기 응축수를 제거한 뒤, 다시 캐비닛(10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하수구 등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도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수탱크(120)는 상기 도어(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저수탱크(120)를 상기 전면패널(110)에서 인출할 때 허리를 상대적으로 적게 굽힐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3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과,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드럼(200)에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교환부(900) 및 순환유로부(820)가 구비되는 베이스(800)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유로부(820)는 상기 드럼(200)과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순환유로부(820)로 공급돨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는 다시 드럼(2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드럼(200)과 직접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구동부는 DD(Direct Drive unit)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는 벨트와 풀리 등의 구성을 생략하여 상기 드럼(200)을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드럼(200)의 회전 방향 또는 상기 드럼(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는 고속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드럼(200) 내부의 의류를 상기 드럼(200) 내벽에 부착된 채로 회전할 수 있는 RPM 보다 훨씬 더 큰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200) 내부의 의류는 상기 드럼(200) 내벽에 지속적으로 붙어 회전하면 드럼내벽에 부착된 부분이 열풍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건조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드럼(200) 내부에서 의류가 상기 드럼(200) 내벽에 부착되지 않고 구르거나 교반되기 위해 상기 로터(520)를 저속 RPM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부가 발생시킬 수 있는 출력이나 토크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는 RPM을 저감시켜 모터부(500)의 최대 출력을 활용하면서도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감속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200)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63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세탁에 이용되는 드럼과 달리, 건조에만 이용되는 상기 드럼(200) 내부에는 물이 투입될 필요가 없고, 상기 드럼(200) 내부에 응축된 액체 상태의 물이 드럼(200) 외부로 배출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드럼(200)에는 원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관통홀이 생략될 수 있다. 즉, 건조에만 이용되는 드럼(200)은 세탁에 이용되는 드럼(200)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은 일체의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원주면을 포함하는 드럼바디(210)와 후방면을 형성하는 드럼배면(220)이 결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드럼바디(210)의 전방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의 후방에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연결될 수 있다. 드럼바디(210)와 드럼배면(220)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드럼바디(210)와 드럼배면(22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드럼바디(210)에는 회전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의류가 섞일 수 있도록, 내부의 의류를 상부로 견인하는 리프트(213)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200)이 회전할 때, 내부에 수용된 의류는 리프트(213)에 의해 상승 및 낙하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드럼(200)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는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면서 열풍에 골고루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효율이 증가되고, 건조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드럼바디(210)의 원주면에는 강화비드(212)가 형성될 수 있다. 강화비드(212)는 드럼(200)의 원주면을 따라 내/외부에서 함몰 또는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강화비드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화비드는 일정한 패턴을 이루며 상기 원주면에의 내/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강화비드(212)에 의해 드럼바디(210)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바디(210)에 다량의 의류가 수용되거나, 상기 구동부를 통해 갑작스런 회전력을 전달받더라도 상기 드럼바디(210)가 비틀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강화비드(212)가 구비될 경우 드럼바디(210)의 원주면이 평탄한 면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의류와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드럼(200)에 공급되는 열풍이 더욱 효과적으로 의류와 드럼(200)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강화비드에 의해 드럼의 내구성이 높아지고, 의류처리장치의 건조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통상적으로 DD타입 세탁기인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200)을 수용하는 터브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드럼(200)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터브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드럼(200)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100)에 고정되는 터브(tub)가 생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0) 또는 상기 구동부를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하거나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드럼(200)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드럼(200)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플레이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200)의 전방과 후방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간격은 상기 드럼(2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드럼(2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상기 캐비닛(100)의 바닥면이나 베이스(80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캐비닛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과 드럼(20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에는 상기 투입구(211)와 연통하는 투입연통홀(4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에 투입연통홀(412)이 구비되므로, 드럼(200)의 전방면이 지지되면서도, 드럼(200)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상기 투입연통홀(412)의 하측에 구비되는 덕트연결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연결부(416)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의 하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덕트연결부(416)를 관통하는 덕트연통홀(417)을 포함할 수 있다. 덕트연통홀(417)은 중공의 형태로 구비되어 드럼의 투입구(21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드럼(200)의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드럼(21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드럼(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순환유로부(82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덕트연통홀(417)에는 의류에서 발생하는 린트 또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필터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는 드럼(2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여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이 축적되어 공기의 순환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투입구(211)가 전방에 배치되므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 보다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리어플레이트(420)에 장착되어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를 통해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드럼(200)의 전단 또는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드럼(200)의 전방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200)의 후방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이격되되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장착되는 상기 모터부(500)에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200)이 상기 지지부(400)에 접촉되거나 마찰되는 영역이 최소화되고 불필요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드럼(200)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모두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의 하부에는 상기 드럼(200)의 전방을 지지하는 지지휠(415)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휠(415)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휠(415)은 드럼(200)의 하부에 접촉된 채로 회전될 수 있다.
드럼(200)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경우 드럼(200)은 후방에 연결된 드럼회전축(63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면, 상기 의류에 의해 드럼회전축(6341)에 부과되는 하중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회전축(6341)은 하중에 의해 휘어질 위험이 있다.
지지휠(415)이 드럼(200)의 전방 하부를 지지할 경우 드럼회전축(6341)에 걸리는 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회전축(6341)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휠(415)은 드럼(20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드럼(2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휠(415)은 드럼(200)의 좌우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드럼(200)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드럼(200)의 작동 환경에 따라 더 많은 개수의 지지휠(4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00)에 구비되는 순환유로부(820)는 상기 드럼(200) 내부에 있는 공기를 순환시켜 다시 상기 드럼(200) 내부로 투입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821), 드럼(200)에 공기를 공급하는 배출덕트(823), 상기 유입덕트(821)와 배출덕트(823)를 연결하는 이동덕트(8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의 전방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이동덕트(822)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덕트(823)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823)는 순환유로부(820)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부(8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8231)는 상기 배출덕트(823)의 후방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8231)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드럼(2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상측에는 덕트커버부(830)가 결합되어, 순환유로부(820)의 개방된 상면을 일부 차폐할 수 있다. 덕트커버부(830)는 순환유로부(820)의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 덕트커버부(830)는 공기가 순환되는 유로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800)에 구비되는 열교환부(900)는 상기 순환유로부(82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냉각하는 제1열교환기(910)와 상기 순환유로부(82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서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9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하고, 상기 제2열교환기(920)는 제습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기는 다시 드럼(200)에 공급되어 드럼(200)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와 상기 제2열교환기(920)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될 수 있다.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될 경우 제1열교환기(910)는 증발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열교환기(920)는 응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가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와 열교환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900)는 순환유로부(820)에 설치되어 순환유로부(820)의 내부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9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900)는 송풍팬(950)을 회전시키는 순환유로팬모터(9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950)은 순환유로팬모터(951)에 의해 회전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다. 송풍팬(950)이 작동하면, 제1열교환기(910)에서 제습되고, 제2열교환기(920)에서 가열된 공기가 드럼(200)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송풍팬(950)은 유입덕트(821), 이동덕트(822), 배출덕트(823)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팬(950)은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송풍팬(950)이 작동할 때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송풍팬(950)이 순환유로부(8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950)은 상기 송풍부(823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유로팬모터(951)는 상기 송풍부(823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팬모터(951)에 의해 상기 송풍팬(950)이 회전하면, 상기 순환유로부(82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송풍부(8231)를 통해 상기 순환유로부(8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드럼(200) 내부에 위치한 의류를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200)의 투입구(211)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순환유로부(820) 및 상기 열교환부(900)는 상기 드럼(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드럼(200)의 후방에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를 드럼(200)으로 안내하는 리어플레이트(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배면(220)과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프론트플레이트(410)를 통하여 상기 드럼(200) 내부의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를 통해 상기 드럼(20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를 지나서 상기 드럼(200)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00)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리어플레이트(420)로 안내하는 커넥터(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배출되는 공기가 리어플레이트(420)의 전역으로 골고루 퍼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에 설치될수 있다. 즉, 커넥터(850)는 상기 송풍부(823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리어플레이트(420)에 안내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로 공급된 열풍은 상기 드럼배면(220)을 통해 드럼(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은 벨트 등에 결합되어 간접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드럼(200)의 후방에 위치되는 구동부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건조기의 드럼이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구비되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드럼의 후방은 차폐되어 상기 구동부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바디(210)와 상기 드럼바디(21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배면을 형성하는 드럼배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드럼바디(210)의 후방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와 직접 결합되는 결합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드럼(200)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바디(210) 중 전방은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211)가 형성되고 후방은 상기 드럼배면(220)으로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에는 상기 구동부와 드럼배면(220)을 연결하는 부싱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드럼배면(220)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00)의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드럼배면(220)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드럼배면(220) 보다 강성이나 내구성이 더 큰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상기 드럼배면(220)의 회전중심과 동축을 이루도록 상기 드럼배면(220)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드럼바디(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둘레부(221)와 상기 둘레부(2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와 결합될 수 있는 장착판(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300)는 장착판(222)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은 상기 부싱부(300)를 통해 장착판(222)에 결합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럼배면(22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둘레부(221)와 상기 장착판(222) 사이에 관통 형성되어, 드럼배면(220)의 전후방을 연통하는 흡입홀(2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은 상기 흡입홀(224)을 통해 상기 드럼바디(2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홀(224)은 상기 드럼배면(22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홀로 구비되거나 메쉬(MESH) 형태의 그물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500)와 상기 모터부(500)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드럼(200)에 전달하는 감속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는 모터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감속기(600)를 통해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의 배면에 고정되고, 모터부(500)는 감속기(60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420)는 상기 감속기(600) 또는 모터부(500)가 지지되는 지지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은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내부 구성들의 서로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 드럼의 전방면을 지지하는 프론트플레이트(410),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플레이트(420),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어 드럼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거나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응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800),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어 드럼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10, 520, 540), 모터부의 회전을 감속하여 드럼에 전달하는 감속기(600),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어커버(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00)는 드럼(200)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에서 공기가 유입되거나 상기 드럼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순환유로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411), 상기 프론트패널(411)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상기 드럼(200)과 연통되는 투입연통홀(41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상기 프론트패널(411)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연통홀(412)의 반경방향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바디(210)의 일부를 수용하는 전방가스켓(413) 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가스켓(413)은 상기 드럼바디(2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투입구(21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가스켓(413)은 상기 드럼바디(210)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 사이로 상기 드럼(200) 내부의 열풍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가스켓(413)은 플라스틱 수지 계열 또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실링부재가 상기 전방가스켓(413) 에 추가로 결합되어 상기 드럼바디(210)에서 의류 또는 열풍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투입연통홀(412)의 내주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덕트연통홀(41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덕트연통홀(417)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드럼바디(210)와 순환유로부(820)를 연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연결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연결부(416)는 덕트연통홀(417)을 통해 드럼바디(210)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바디(210)에서 배출된 공기는 덕트연통홀(417)을 통해 덕트연결부(416)로 유입되어, 순환유로부(820)로 안내될 수 있다. 드럼바디(210)에서 배출된 공기는 덕트연결부(416)에 의해 순환유로부(820)로 안내되므로, 드럼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덕트연결부(416)에는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된 공기에서 이물질 또는 린트를 여과하여, 순환유로부(82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상기 프론트패널(411)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럼(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휠(41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휠(415)이 상기 드럼(200)의 전방을 지지하여 드럼에 연결된 회전축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는 프론트패널(411)을 관통하게 구비되어 건조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120, 도 1참조)가 인출되거나 지지될 수 있는 저수탱크지지홀(414)이 구비될 수 있다. 저수탱크지지홀(414)이 상측에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저수탱크를 인출할 때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은 전방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211)가 구비되는 드럼바디(210)와, 후방면을 형성하는 드럼배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상기 드럼바디(210)와 연결되는 둘레부(221), 상기 둘레부(221)의 내측에서 드럼배면(220)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흡입홀(224) 및 드럼배면(220)의 회전 중심에 구비되어 회전축과 결합되는 장착판(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홀(224)을 통해 드럼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220)은 둘레부(221)로부터 회전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보강리브(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25)는 상기 흡입홀(224)을 회피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25)는 흡입홀(224)로 인해 상기 드럼배면(220)의 강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보강리브(225)는 상기 장착판(222)의 외주면에서 상기 둘레부(221)의 내주면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럼배면(220)은 상기 보강리브(225)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드럼배면(22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원주리브(2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홀(224)은 상기 보강리브(225)와 상기 원주리브(227) 및 상기 둘레부(221) 사이 마다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25)와 상기 원주리브(227)는 상기 드럼배면(220)이 상기 모터부(500)에서 회전력을 전달받더라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입덕트(821)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의 덕트연통홀(417)에 연통되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 내부에 설치된 유로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822)는 상기 유입덕트(821)의 말단에서 상기 드럼(20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덕트(823)는 상기 이동덕트(822)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를 드럼(200)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8231)는 상기 배출덕트(823)의 하류측에 위치비될 수 있으며, 송풍부(8231)는 순환유로팬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순환팬유로팬이 작동하면 유입덕트(821)로 유입된 공기가 송풍부(8231)의 상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800)에는 드럼(200)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를 냉각하고 가열할 수 있는 열교환부(9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900)는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에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9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930)는 순환되는 공기와 직접 열교환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으모로, 순환유로부(820)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는 송풍부(8231)의 후방에 지지되어 순환유로팬을 회전시키는 순환유로팬모터(9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팬모터(951)는 송풍부(8231)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에 결합되어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상기 드럼(200)의 후방 또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로 안내하는 커넥터(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배출덕트(823)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920)를 통과하여 가열된 열풍을 상기 배출덕트(823) 보다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의 상측에 구비된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순환유로팬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을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골고루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송풍부(8231)에서 멀어질수록 유로의 면적이 증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상기 베이스(800)에 결합되거나 상기 베이스(800)에 지지되어 상기 드럼(2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리어패널(421), 상기 리어패널(421)에서 함몰되게 구비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덕트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거나 지지되는 장착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25)는 리어패널(4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덕트부(423)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25)는 덕트부(423)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의 결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부(500)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동력을 발생시키고, 회전동력을 드럼에 전달하는 구성을 구동부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장착부(42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25)는 상기 구동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장착부(425)에 지지된 채로 상기 드럼(2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는 상기 드럼배면(22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는 상기 드럼배면(220)과 함께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덕트부(423)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장착부(425)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는 상기 덕트부(423)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장착부(425)에 설치되되, 후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는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510)와, 상기 스테이터(51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로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520)는 상기 스테이터(510)를 수용하며 상기 스테이터(5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아우터 로터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터(520)에는 구동축이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510)와 상기 장착부(425)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2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로터(520)가 직접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로터(520)는 와셔부(540)를 통해 구동축과 결합될 수 있다. 와셔부(540)는 구동축과 로터(520)를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와셔부(540)에 의해 로터(520)와 구동축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로터(520)의 회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모터부(500)와 상기 드럼(200)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모터부(500)의 동력을 변환하여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모터부(500)와 상기 드럼(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부(5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를 변환하여 상기 드럼(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로터의 RPM을 작은 RPM으로 변환하되 토크 값을 증가시켜 상기 드럼(200)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로터(520)와 결합되어 상기 로터(520)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내부에 상기 구동축과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구동축의 rpm을 변형하되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결합체는 상기 드럼(200)에 결합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530)이 회전하면 상기 드럼회전축 상기 구동축 보다는 느린 rpm으로 회전하지만 더 큰 토크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감속기(600)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이 동축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따라 그 성능이 좌우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이 서로 틀어지게 되면 상기 감속기(600) 내부의 기어결합체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이 느슨해지거나 결합이 해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의 동력이 상기 드럼회전축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거나, 상기 구동축이 헛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이 일시적이라도 틀어지게 되면, 상기 감속기(600) 내부의 기어들이 서로 어긋나 충돌되어 불필요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이 일시적이라도 틀어지는 각도가 심해질 경우 상기 감속기(600)가 정위치를 완전히 벗어나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감속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들은 통상적으로 외력이 발생하여도 변형이 없이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체에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세탁기의 경우에는 상기 드럼을 수용하는 터브를 캐비닛에 1차적으로 고정시킨 다음, 상기 터브 내부에 사출성형 방식으로 내장되어 있는 강체로 제작된 베어링 하우징에 상기 모터부와 상기 감속기를 2차적으로 고정시키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터브에 상당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감속기와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이나 상기 고정강판과 함께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감속기와 상기 구동부 자체는 항상 결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고, 상기 구동축과 회전축이 동축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로 구비되기 때문에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는 터브의 구성이 생략된다. 또한, 캐비닛의 배면패널은 상대적으로 얇은 판으로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터(510)가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로터(520)가 회전할 때 반발력으로 인해 상기 배면패널은 쉽게 진동하거나 휘어질 수 있다. 상기 배면패널이 진동하거나 일시적이라도 휘어지게 되면 상기 드럼(200)과 결합되어 배치되는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의 회전중심이 서로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패널은 얇은 강판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를 모두 지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가 나란하게 상기 배면패널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의 전체 길이 및 자중으로 인해 회전모멘트가 발생하여 상기 감속기(600)가 하부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에 결합된 드럼회전축 자체가 상기 감속기(600)와 틀어지게 되어 상기 구동축과 동축이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상기 스테이터(510)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500)가 지지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드럼(200) 내부에 의류가 다량으로 수용되거나, 편심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드럼(200)이 회전할 때마다 상기 드럼회전축이 상기 의류의 배치를 따라 틀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테이터(510)가 상기 드럼(200)과 별도로 분리되어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드럼회전축은 상기 스테이터(510)와 다른 폭으로 진동하거나 다른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의 동축이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드럼(200)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지지되어 설치된 위치가 일정수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200)과 결합된 드럼회전축의 위치도 일정수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200)에 진동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진동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 또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완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200)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모터부(500)까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상기 감속기(600) 및 상기 모터부(500)가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드럼회전축의 진동하는 진동폭 보다 상기 모터부(500) 및 상기 리어플레이트(420)가 진동하는 진동폭이 더 클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이 동축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모터부(500)를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감속기(600) 자체가 구동부 전체의 기준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600)가 상기 구동부 전체의 진동 및 기울어지는 각도량의 기준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구성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감속기(600)에만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에 진동이 전달되거나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감속기(600)가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때 상기 모터부(500)는 항상 상기 감속기(600)와 동시에 기울어지거나 동시에 진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는 하나의 진동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는 서로를 기준으로 상대 운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 중 상기 스테이터(510)가 직접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축(530)이 상기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설치된 위치가 가변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의 중심과 상기 감속기(600)의 중심은 서로 일치된 상태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구동축(530)은 상기 감속기(600)의 중심과 동축을 유지하는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제1축(M1)은 상기 드럼(200)의 회전중심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축(M1)은 X축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축(M2)과 제3축(M3)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축(M2) 및 제3축(M3)은 상기 XZ평면과 나란하게, 또는 Y축과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축(M1)과 제2축(M2)는 감속기(600)에서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축(M1)과 제3축(M3)은 상기 장착부(425)에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드럼(200)에 부하가 없거나 상기 모터부(50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면과 나란한 제1축(M1)을 따라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200) 또는 모터부(500)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감속기(600)에 진동이 전달되어 감속기(600)가 기울어짐으로써, 일시적으로 상기 감속기(600)가 제2축(M2)을 따라 기울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감속기(600)와 함께 진동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부(500)는 제2축(M2) 상에서 상기 감속기(60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도 상기 제2축(M2)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감속기(600)가 기울어진다고 하더라도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감속기(60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구동축과 상기 드럼회전축은 동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것이므로, 상기 리어플레이트(420)가 상기 감속기(600) 및 상기 모터부(500), 상기 드럼(200)을 포함하는 진동계의 중심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상기 감속기(600)에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 및 상기 드럼(200)이 제1축(M1)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가, 드럼(200)이나 모터부(500)의 진동에 의해 상기 감속기(600)는 제3축(M3)과 나란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3축(M3)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된 감속기(60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속기(600)와 상기 모터부(5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터부(500)도 상기 감속기(600)와 동일하게 제3축(M3)과 나란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결국, 상기 모터부(500)와 상기 드럼(200)은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500)와 상기 드럼(200)는 상기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기울어지거나 동시에 진동될 수 있다.
전술한 동축 및 일치의 의미는 물리적으로 완벽한 동축 및 일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공학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오차범위 또는 당업자가 동축 또는 일치라고 인정할 만한 수준의 범위는 허용하는 개념이다. 예를들어, 상기 구동축(530)과 상기 드럼회전축(6341)이 5도 이내로 틀어진 범위를 동축 또는 일치인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각도 값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설계상 허용되는 오차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이 상기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회전하지만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터(510)도 상기 감속기(6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테이터(510)와 상기 로터(520)의 간격은 항상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테이터(510)와 상기 로터(520)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로터(520)가 상기 스테이터(510)를 회전하면서 회전중심이 가변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이나 진동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상기 감속기(600) 내부에서 상기 드럼(200)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감속기(600)와 함께 진동하고 상기 감속기(600)와 함께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상기 감속기(600)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될 뿐 설치된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회전축(6341)과 상기 구동축(530)은 항상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드럼회전축(6341)의 중심과 상기 구동축(530)의 중심은 서로 일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배면(220)과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사이에는 실링부(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50)는 리어플레이트(420)의 덕트부(423)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흡입홀(224)로 유입되도록 드럼배면(220)과 리어플레이트(42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부(450)는 상기 덕트부(423)의 외측면과 내측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제1실링(451)이 구비될 수 있고, 반경방향 내측에는 제2실링(4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451)은 드럼배면(220)과 덕트부(423)의 사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열풍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2실링(452)은 드럼배면(220)과 덕트부(423)의 사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열풍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실링부(450)는 상기 흡입홀(224)의 반경방향 외측과 내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실링(451)은 흡입홀(224)의 반경방향 외측에, 제2실링은(452)은 흡입홀(224)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50)가 열풍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드럼배면(220)과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모두에 접촉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200)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회전하므로 실링부(450)에는 드럼배면(220)에 의해 지속적인 마찰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450)는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 마찰열에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드럼배면(220)과 덕트부(423) 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는 모터부(500) 또는 감속기(60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얇은 철판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감속기(600) 및 드럼(200)에 의해 감속기(600)에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즉, 상기 감속기(600), 모터부(500) 등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강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리어플레이트(420)는 결합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브라켓(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는 추가적으로 브라켓(700)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감속기(600) 및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브라켓(700)에 의해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될 수 있다.
감속기(600)는 브라켓(700) 및 리어플레이트(420)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감속기(600), 리어플레이트(420), 브라켓(700)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는 브라켓(700)이 결합되어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강성이 확보된 리어플레이트(420)에는 감속기(600), 모터부(500)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700)에 감속기(600)가 먼저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700)이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는 리어플레이트(420)에는 직접 결합되지 않고 브라켓(700)을 통해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모터부(500) 또는 감속기(600)가 결합될 경우 모터부(500)와 감속기(60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결합되어 모터부(50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덕트부(423)는 열풍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부(423)의 후면을 단열할 필요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리어커버(43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덕트부(423)와 상기 모터부(500) 또는 감속기(60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어커버(430)는 상기 덕트부(423) 및 상기 구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모터부(500)가 외부의 간섭을 받아 파손되거나, 덕트부(423)를 통해 열손실이 발생되어 건조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감속기(600)는 외관을 형성하는 감속기하우징(610, 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 하우징은 드럼과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제1하우징(610)과 모터부와 마주하는 제2하우징(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기어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는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터부의 RPM을 작은 RPM으로 변환하되 토크 값을 증가시켜 상기 드럼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는 대부분 상기 제2하우징(62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하우징(610)은 상기 감속기(600) 내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속기(600)의 전체적인 두께를 축소할 수 있다. 기어박스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하우징(610)은 상기 제2하우징(620)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와 상기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에서 제2하우징(6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하우징축수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축수부(612)는 드럼회전축(6341)을 수용할 수 있으며, 드럼회전축(634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10)은 모터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스테이터결합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는 상기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의 둘레면에서 상기 제1하우징축수부(6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는 모터부가 체결될 수 있는 스테이터체결홀(6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체결홀(615)은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에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체결홀(615)에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와 모터부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10)은 모터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결합가이드(6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가이드(614)는 상기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의 둘레면에서 상기 제1하우징축수부(6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가이드(614)는 스테이터결합부(613)와 연결되게 상기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가이드(614)는 상기 스테이터(510)를 스테이터결합부(613)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터(510)의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620)은 내부에 기어결합체를 수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되는 기어박스는 태양기어와, 상기 태양기어를 공전하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를 수용하여 상기 유성기어가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링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620)은 상기 제1하우징(610)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결합바디(621) 상기 2하우징결합바디(621)에서 상기 제1하우징(6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어박스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차단바디(622), 상기 제2하우징차단바디(622)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하우징(610)과 멀어지게 연장되어 구동축(530)을 지지하는 제2하우징축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10)의 중심과 상기 제2하우징(620)의 중심은 동축상에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동축(540)과 드럼회전축(6341)은 동축 상에 위치되는 것이 동력 전달에 유리하다. 따라서, 드럼회전축(634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하우징축수부(612)와 구동축(5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하우징축수부는 동축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축(530)은 상기 제2하우징(62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6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에는 상기 로터(5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와셔부(5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셔부(540)는 중심에 상기 구동축(530)이 수용되는 축지지홀(543)이 형성되는 수용바디(542) 상기 수용바디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로터가 결합되는 면을 형성하는 와셔결합바디(5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지지홀(543)은 상기 구동축(5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기가 결합될 수 있게 돌기와 대응되는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셔부(540)는 상기 와셔결합바디(541)에서 상기 감속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와셔결합돌기(5411)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와셔부(540)는 상기 와셔결합바디(541)를 관통하는 와셔결합홀(5412)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셔결합돌기(5411)는 상기 로터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셔결합홀(5412)은 상기 로터를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로터와 상기 와셔부(540)를 결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와셔결합돌기(5411)와 상기 와셔결합홀(5412)은 상기 와셔결합바디(541)의 표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가며 위치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는 구동부를 확대하여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구동부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500)와 모터부(50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드럼에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63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회전자계를 발생시키는 스테이터(510)와 상기 스테이터(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로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520)의 내주면에는 영구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510)에서 발생되는 회전자기에 의해 상기 로터(520)의 내주면에 위치한 영구자석은 특정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로터(520)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520)는 스테이터(510)의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로터(520)의 회전중심에는 로터(520)와 함께 회전하며 로터(520)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5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은 상기 로터(54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은 와셔부(540)를 통해 상기 로터(5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은 상기 로터(520)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와셔부(540)를 통해 연결될 경우 로터(520)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로, 상기 로터(520)의 회전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530)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부과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축(53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구동축(530)은 드럼과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구동축(530)은 로터(520)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므로 감속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530)은 감속기에 연결되고, 감속기가 드럼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는 구동축(530)의 회전을 감속하여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 및 구동축(530)의 동력을 감속하는 기어박스(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620)은 기어박스(6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제1하우징(610)은 제2하우징(620)이 제공하는 수용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620)은 제1하우징(610)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결합바디(621), 상기 제2하우징결합바디(621)의 내주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기어박스(630)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차단바디(622), 상기 제2하우징차단바디(62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동축(530)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제2하우징축수부(6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630)는 상기 제2하우징차단바디(622)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링기어(633)를 포함할 수 있다. 링기어(633)의 내주면에는 상기 링기어(633)와 기어결합되는 유성기어(632)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링기어(633)의 내측에는 유성기어(632)와 기어결합되며, 구동축(530)과 함께 회전하는 태양기어(631)가 구비될 수 있다.
테앵기어(631)는 구동축(530)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태양기어(631)는 구동축(530)과 별도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태양기어(631)는 구동축(53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태양기어(631), 유성기어(632) 및 링기어(633)는 헬리컬 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기어가 헬리컬 기어로 구비될 경우 소음이 저감되고, 동력전달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태양기어(631), 유성기어(632) 및 링기어(633)은 평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기어박스(630)의 작동례로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축(530)과 구동축(530)에 연결된 태양기어(631)가 회전하면, 태양기어(631)의 외주면에서 기어결합되는 유성기어(632)가 링기어(633)와 태양기어(631)의 사이에서 기어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632)는 자전중심에 삽입되는 유성기어축(6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축(6323)은 상기 유성기어(6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는 상기 유성기어축(6323)을 지지하는 제1케리어(6342)와 제2케리어(63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축(6323)은 전방에서는 제2케리어(6343)에 의해 지지되고, 후방에서는 제1케리어(6342)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상기 제2케리어(6343)의 회전중심에서 모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상기 제2케리어(6343)와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반면, 드럼회전축(6341)은 제2케리어(6343)에서 연장되어 제2케리어(634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드럼과 결합되어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부싱부와 같은 연결체를 매개하여 드럼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연결체 없이 직접 드럼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상기 제1하우징(6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10)은 제2하우징(620)의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와 제1하우징차단바디(611)에서 제2하우징(6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드럼회전축(6341)을 수용하는 제1하우징축수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축수부(612)의 내주면에는 제1베어링(660) 및 제2베어링(670)이 압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회전축(63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은 감속기체결부재(681)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감속기체결부재(681)는 상기 제1하우징(610)과 상기 제2하우징(620)을 동시에 관통하며 양 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체결부재(681)는 제1하우징(610), 제2하우징(620) 그리고 리어플레이트(420)를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1하우징(610) 과 제2하우징(620)을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감속기(600)를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두께가 얇은 철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감속기(600), 감속기(600)에 결합되는 모터부(500) 및 감속기(600)에 연결되는 드럼(200)을 모두 지지하기 위한 강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600)를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할 때 리어플레이트(42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브라켓(700)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700)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700)은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감속기(600)가 결합될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하고,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와 상기 브라켓(700)과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와 상기 브라켓(700) 그리고 상기 감속기를 결합하기 위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600)를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1하우징(610)과 상기 제2하우징(620)을 결합하는 데 이용되었던 상기 감속기체결부재(681)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체결부재(681)는 상기 제2하우징(620) 상기 제1하우징, 상기 리어플레이트(420) 및 브라켓(700)을 일거에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될 경우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전방에서는 브라켓(700)에 의해, 후방에서는 제1하우징(6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감속기(600)의 결합에 의하더라도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먼저 감속기체결부재(681)를 이용하여 제1하우징(610)과 제2하우징(620)만 결합한 뒤에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감속기(600)를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610)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모터부(500)가 결합될 수 있는 스테이터결합부(6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은 스테이터결합부(613)의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51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에 결합될 수도 있다. 스테이터(510)는 내주면에 구비되어 스테이터를 지지하는 고정리브(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512)는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에 결합되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512)와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는 스테이터 결합핀(617)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와 이격된 채로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모터부(500)와 상기 감속기(600)는 하나의 진동체를 형성할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로터(520)에 결합된 구동축(530)과 감속기(600)와 연결되는 드럼회전축(6341)이 동축을 유지하기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드럼회전축(6341)은 드럼(200)의 진동에 의해 축의 방향이 틀어질 위험이 있다. 그러나, 모터부(500)는 드럼회전축(6341)을 지지하는 제1하우징(61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드럼회전축(6341)의 축 방향이 틀어지더라도 상기 제1하우징(610)에 의해 상기 구동축(530)의 축 방향 또한 유사하게 틀어질 것이다. 즉, 모터부(500)는 상기 감속기(600)과 일체로 이동되어 상기 드럼회전축(6341)과 상기 구동축(530)은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동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해 상기 모터부(500)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상기 드럼(200)에 전달되는 효율성 및 신뢰성이 상승하고, 드럼회전축(6341)과 구동축(530)의 축 틀어짐에 의해 발생하는 기어박스(630)의 마모, 동력 전달의 효율 감소, 내구성 및 신뢰성이 감소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리어플레이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열풍을 드럼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어 열풍이 드럼 전체에 골고루 공급되도록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배면과 마주하는 리어패널(421)과, 상기 리어패널(421)에서 후방으로 함몰되게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는 리어패널(421)에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는 드럼배면을 일부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423)는 순환유로부 후방에 위치되는 유입부(4233)과 드럼 후방에 위치되는 유동부(4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는 드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는 드럼을 일부 수용하여, 드럼 후방에 구비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는 드럼배면에 형성되는 흡입홀과 마주하도록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는 리어패널(421)에서 함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부(4231)는 전방은 개방되도록 구비되고, 드럼의 배면과 함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의 전방이 개방되게 구비될 경우 상기 유동부(4231)로 이동된 열풍은 별도의 구성을 통과하지 않고 직접 드럼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열풍이 별도의 구성을 통과하면서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열풍의 열손실을 저감시켜 건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유동부(4231)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장착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25)는 감속기(600) 또는 모터부(500)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420)는 내측에 구비되는 장착부(425), 장착부(425)의 반경방향 외측에 환형으로 구비되는 유동부(42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부(4231)는 열풍이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유동외주부(423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동부(4231)는 열풍이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내측에서 둘러싸는 유동내주부(4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동외주부(4231a)는 유동부(4231)의 외측둘레를 형성하며 유동내주부(4231b)는 유동부(4231)의 내측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동부(4231)는 열풍이 이동하는 유로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유동함몰면(4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함몰면(4232)는 유동외주부(4231a)와 유동내주부(4231b)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동내주부(4231b), 유동외주부(4231a), 유동함몰면(4232)에 의해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열풍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동함몰면(4232)에 의해 열풍이 후방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드럼을 향해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유동함몰면(4232)은 유동부(4231)의 함몰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233)는 순환유로부(820)와 마주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는 송풍부(8231)와 마주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233)는 송풍부(8231)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리어패널(421)에서 후방으로 함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233)의 상측은 유동부(4231)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송풍부(8231)에 연결되는 커넥터(8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에서 배출된 열풍을 유동부(4231)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송풍부(4231)에서 배출된 열풍을 유동부(4231)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와 유동부(4231)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850)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송풍부(8231)와 멀어질수록 증가도되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유입부(4233)와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233)는 상기 커넥터(85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850)의 상단은 상기 유동부(4231)와 유입부(4233)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850)에서 배출된 열풍은 상기 유동부(4231)로 유입되되, 상기 유입부(4233)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유동부(4231)에 열풍을 골고루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에서 멀어질수록 너비가 증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의 상단은 상기 유동외주부(4231a)의 원주방향 연장선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850)에서 배출된 열풍은 유입부(4233)로 이동되지 않고 유동부(4231)에 전체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유동부(4231)의 일측에 열풍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드럼 내부에 열풍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의 건조 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류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증가하도록 구비되어 커넥터(850)를 따라 이동하는 열풍의 속도는 유동방향에 따라 감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넥터(850)는 열풍의 속도를 조절하는 디퓨저(diffuse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커넥터(850)는 열풍의 속도를 감소시켜, 열풍이 드럼을 특정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커넥터(850)의 형상에 의해, 상기 커넥터(850)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며, 커넥터(85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유입부(4233) 또한 송풍부(8231)와 멀어질수록 너비가 증가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233)의 형상에 의해 덕트부(423)는 전체적인 형상이 전방에서 바라볼 때'9'와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건조행정 중에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드럼은 상기 유동부(4231)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열풍이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는 드럼과 유동부(4231)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50)는 상기 유동부(4231)의 둘레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실링부(450)는 유동부(4231)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1실링(4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451)은 드럼과 유동부(4231)의 외측둘레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실링(451)은 드럼배면(220)과 리어플레이트(420) 모두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누설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실링(451)은 상기 커넥터(850)의 전방면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실링(451)은 상기 커넥터(850)의 상단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50)는 상기 유동부(4231)와 함께 열풍이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링(451)은 커넥터(850)와 접촉되게 구비되어 드럼과 커넥터(850) 사이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450)는 유동부(4231)의 내측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2실링(4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실링(452)은 드럼과 유동부(4231)의 내측둘레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실링(452)은 드럼배면(220)과 리어플레이트(420) 모두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452)은 유동부(4231)를 따라 이동하는 열풍이 장착부(425) 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드럼(200)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회전하므로 실링부(450)에는 드럼배면(220)에 의해 지속적인 마찰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실링부(450)는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 마찰열에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드럼배면(220)과 유동부(4231) 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와 감속기 및 모터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를 참고하면,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에 지지되고, 모터부(500)는 감속기(6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는 감속기(600)와 모터부(500)를 모두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는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00)와 모터부의 동력을 감속하여 드럼에 전달하는 감속기(6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덕트부(423) 내부에 위치되도록 리어플레이트(4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유동부(4231)와 간섭이 방지되도록, 유동부(4231)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31)를 따라 이동하는 열풍의 열기에 의해 감속기(600) 내부의 기어장치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부(4231)와 상기 감속기(600)는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 전방에 위치되는 드럼과 연결될 수 있다.
스테이터(510)는 감속기(6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510)는 감속기(600)에 결합되어 상기 리어플레이트(420)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감속기(600)는 드럼과 모터부 사이에 위치되어 드럼과 모터부를 리어플레이트(420)에서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600)가 상기 드럼과 모터부를 지지하는 중심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테이터(510)는 링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바디(511)와 상기 본체바디(511)의 내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감속기의 스테이터결합부(613)에 결합되는 고정리브(512)와, 상기 본체바디(511)의 둘레를 따라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코일이 감기도록 구비되는 티스(514)와, 상기 티스(514)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코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폴슈(515)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520)는 원통의 중공형상으로 구비되는 로터바디(5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터(520)는 로터바디(521)의 배면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는 설치바디(5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520)는 로터바디(521)의 내주면을 따라 영구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520)는 구동축(530)과 결합되어 로터(520)의 회전동력을 구동축(530)을 통해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530)은 와셔부(540)를 통해 상기 로터(5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모터부(500)는 구동축(530)을 지지하는 와셔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셔부(540)는 로터와 결합되는 와셔결합바디(541)를 포함할 수 있다. 와셔결합바디(541)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와셔부(540)는 로터에 수용되는 수용바디(5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542)는 와셔결합바디(54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를 포함할 수 있다. 와셔부(540)는 수용바디(542) 중앙에 관통되어 구비되는 축지지홀(54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530)은 축지지홀(543)에 삽입되어 와셔부(5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와셔부(540)는 와셔결합바디(541)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와셔결합홀(54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바디(522)는 와셔결합홀(54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로터결합홀(52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와셔부(540)와 로터(520)는 와셔결합홀(5412)과 로터결합홀(526)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와셔부(540)와 로터(520)는 서로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와셔부(540)는 와셔결합바디(54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와셔결합돌기(54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바디(522)는 와셔결합돌기(5411)와 대응되게 구비되는 와셔돌기수용홀(525)을 포함할 수 있다. 와셔결합돌기(5411)는 와셔돌기수용홀(525)에 삽입되어 와셔부(540)와 로터(520)의 결합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로터(520)는 설치바디(522)의 중앙에 관통되어 구비되는 로터설치홀(524)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설치홀(524)은 수용바디(542)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셔부(540)는 로터(520)에 의해 구동축(5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구동축(530)과 로터(520)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부(500) 전체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와 스테이터의 결합구조를 후방에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테이터(510)는 상기 감속기(600)에 고정되며 링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바디(511)와 상기 본체바디(511)의 내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감속기의 스테이터체결홀(615)에 결합되는 고정리브(512)와, 상기 본체바디(511)의 둘레를 따라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코일이 감기도록 구비되는 티스(514)와, 상기 티스(514)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코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폴슈(515)와,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터미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510)는 본체바디(511)를 관통하여 본체바디(5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공간(5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512)는 상기 본체바디(511) 내부에서 수용공간(513)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리브(512)의 내측에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고정리브홀(5121)이 구비되어 핀과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리브홀(5121)과 감속기의 스테이터체결홀(615)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510)가 상기 감속기(600)에 직접 결합될 경우 상기 감속기(600)의 일부는 상기 스테이터(510)에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속기(600)가 상기 스테이터(510)에 수용되면 상기 감속기와 상기 모터부를 모두 포함하는 구동부 전체의 두께가 축소되어 드럼의 용적을 더 확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감속기(600)는 상기 본체바디(511)의 직경보다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우징(610)과 상기 제2하우징(620)은 가장 큰 직경이 상기 본체바디(511)의 직경보다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속기(6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바디(511)에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는 상기 감속기의 하우징에서 상기 고정리브(512)에 중첩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테이터결합부(613)는 상기 고정리브(512)에 결합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620)의 일부는 상기 본체바디(51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와 모터부의 결합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테이터(510)는 상기 감속기(6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600)의 하우징에서 외부로 돌출된 스테이터결합부(613)에 결합되어 상기 감속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바디(51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본체바디(511)의 중심과 상기 구동축(530) 및 상기 감속기(600)의 중심이 항상 동축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터(520)는 상기 폴슈(515)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터(510)를 수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520)는 상기 구동축(530)이 상기 본체바디(511)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감속기(60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로터(520)와 상기 스테이터(510)의 간격(G1)이 항상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520)와 상기 스테이터(510)가 충돌하거나 상기 스테이터(510)에서 일시적으로 비틀어지며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소음 이나 불필요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속기(600)의 중심과 구동축(530)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1직경선(K1)과, 상기 본체바디(51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2직경선(K2)과 상기 로터(520)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3직경선(K3)이 모두 상기 감속기(600)의 회전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속기(600) 자체가 상기 구동축(530)의 회전중심이 되고, 상기 스테이터(510)가 상기 감속기(600)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축(530)이 상기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틀어지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감속기(600)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800)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12 추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800)는 베이스(8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800)의 타측에는 건조기의 작동에 필요한 구성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설치부(8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치설치부(810)는 상기 순환유로부(82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베이스(800) 상에 순환유로부(820)가 구비되었고, 베이스(800) 상에 드럼(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도 설치되었다. 구동부가 베이스(800)의 설치 공간 중 많은 부분을 차지했기 때문에, 순환유로부(820)를 제외한 베이스(800)의 공간에 형성되는 장치설치부(810)에는 공간이 협소하여 다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들이 설치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모터부(500)가 베이스(800)에서 이격되어 드럼(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모터부(500)가 설치되었던 베이스(800)의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상기 장치설치부(810)에는 열교환에 필요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93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800)는 상기 압축기(930)와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로부(820)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수집되는 집수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에 상기 제어부(190)가 구비되어도 무방하지만,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컨트롤패널(P)과 별도로 구비되어 장치설치부(81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베이스에 설치되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들을 연결하는 연결선 또한 베이스(80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860)는 압축기(930)와 순환유로부(820)사이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압축기(93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모터부가 배치되던 공간에 집수부(860)가 위치될 수 있으므로 집수부(860)의 부피를 확장할 수 있다. 집수부(860)의 부피가 증가되면, 수집된 응축수를 비우는 빈도가 감소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00)의 측면에는 캐비닛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은 좌측패널(141)과 우측패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장치설치부(810) 상에 설치되되 상기 측면패널 중 어느 하나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가 측면패널(141)에 인접하게 구비될 경우, 사용자는 측면패널(141)만 탈거하면 상기 컨트롤패널(P)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의 용이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순환유로부(820)의 상측에 위치되어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커버부(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부(830)는 순환유로부(820)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입덕트(821)와 상기 이동덕트(822)의 상면은 개방되어 개방된 상면을 통해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다. 덕트커버부(830)는 상기 이동덕트(822)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덕트커버부(830)는 상기 유입덕트(821)를 통해 드럼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유입덕트(821)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이동덕트(822)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덕트커버부(830)는 상기 유입덕트(8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덕트(823)까지 안내하는 유로의 일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823)은 상기 배출덕트(823)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부(8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8231)는 유입덕트(821)와 이동덕트(822)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덕트(823)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8231)는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95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950)은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켜 공기의 순환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의류의 건조 속도가 증가되어 소요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송풍팬(950)이 회전하면, 상기 송풍부(8231)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방식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8231)에서 배출된 공기는 다시 드럼 내부로 유입되어 의류를 건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950)은 다양한 형태의 팬이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시로코팬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 목적에 맞게 다양한 팬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부(830)는 유입덕트(821)의 상측에 결합되는 연통커버바디(8312)와 이동덕트(822)의 상측에 결합되는 차폐커버바디(8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는 상기 연통커버바디(8311)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는 연통커버바디(8312)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연통커버바디(8312)는 상기 드럼과 유입덕트(821)를 연통하는 유입연통홀(8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커버바디(8312)가 유입덕트(821)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유입연통홀(8314)은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덕트(821)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는 상기 이동덕트(822)의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므로, 유입덕트(82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이동덕트(822)를 통해 순환유로부(820)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배출덕트(823)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는 상면에 구비되어 물이 유동될 수 있는 세척유로부(8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로부(833)는 물을 공급받아 상기 덕트커버부(830) 하측에 위치하는 제1열교환기(910)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의 하류측에는 상기 차폐커버바디(8311)를 상하로 관통하는 커버관통홀(83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로부(833)를 따라 이동하는 물은 커버관통홀(8313)을 통해 차폐커버바디(8311)의 하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
커버관통홀(8313)의 하부에는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하는 제1열교환기(91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관통홀(8313)을 통과한 물은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향해 분사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로부(833)의 상측에는 노즐커버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커버부는 세척유로부(833)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노즐커버부는 이동덕트(822)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커버관통홀(8313)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커버부는 세척유로부(833)의 상면을 차폐하여 세척유로부(833)를 따라 이동되는 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덕트(821)를 통과한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덕트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필터(미도시)는 상기 유입덕트(821)와 상기 제1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의 전면에 이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제1열교환기의 건조 효율 및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덕트필터(미도시)에 이물질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유입덕트(821) 및 이동덕트(822)를 통과하는 공기의 순환을 방해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세척유로부(833)는 상기 덕트필터(미도시)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수압에 의해 상기 덕트필터(미도시)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상기 덕트필터(미도시)가 생략되게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세척유로부(833)에 결합되어 세척유로부(833)에 세척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공급하는 유로전환밸브(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급수원과 연결되어 세척유로부(833)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원은 상기 집수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집수부(860)와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집수부(860)에 수집된 물을 세척유로부(833)에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집수부(860)에 수집된 물을 저수탱크(120)로 안내할 수도 있다.
도 12은 상기 도 11의 베이스에서 덕트커버부와 집수커버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a)을 참고하면, 상기 덕트커버부(830)의 하부에는 드럼(200) 내부의 공기와 순차적으로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가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덕트(821)로 유입된 드럼(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서 열교환하며 수분이 제거되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제2열교환기(920)에서 열교환하며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된 공기는 상기 배출덕트(823)를 통과하여 다시 드럼(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820)는 제1열교환기(910)와 이동덕트(822)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는 워터커버(8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는 상기 이동덕트(822)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는 제1열교환기(9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1열교환기(9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는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상기 이동덕트(822)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서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습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가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배출되지 못하고 잔류할 경우 악취가 발생하거나 건조효율이 감소될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응축수를 제1열교환기(910) 또는 제2열교환기(920)와 이격된 채로 수집하고,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할 필요가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는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이동덕트(822)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여 이동덕트(822)의 바닥면과 상기 워터커버(826)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워터커버(82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따라 응축수가 상기 집수부(860)로 흘러갈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는 상기 제2열교환기(920)에서 가열되는데, 상기 제2열교환기(920)를 지나는 공기는 수분 함유량이 적고, 가열됨에 따라 포화수증기량이 증가하므로 응축수가 발생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워터커버(826)는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 인접한 하부면에 위치되고, 워터커버(826)는 제2열교환기(920)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12(b)를 참조하면, 상기 집수부(860)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집수바디(862)와, 집수바디(862)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집수커버(8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860)의 주변에는 수분에 취약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집수바디(862)에 수집된 응축수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 집수커버(863)는 집수바디(862)에 결합되어 응축수가 집수바디(862)의 상면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860)는 집수바디(862)의 내부에 수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배수펌프(8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861)가 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집수바디(862)의 내부가 충분히 밀폐되어야 한다. 상기 집수커버(863)는 상기 집수바디(862)의 내부를 밀폐시켜 펌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집수커버(863)는 상기 펌프가 장착되도록 구비되는 펌프설치부(86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설치부(8637)는 상기 집수커버(863)에서 함몰되어 상기 배수펌프(861)의 일부를 수용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집수커버(863)을 관통하여 상기 배수펌프(861)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구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861)는 상기 집수커버(86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집수부(860)의 물을 상기 유로전환밸브(870) 또는 상기 저수탱크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861)와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를 연결하는 호스(86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861)는 상기 저수탱크(120)에 바로 연결된 호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은 드럼(200)에 수용된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임의의 건조코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임의의 건조코스는 상기 구동부와, 열교환부(900)을 작동시켜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드럼(200)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가 수행되면, 상기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이 수행된다. 상기 건조행정은 열교환부(900)의 상태, 상기 열교환부(900)의 작동시간, 상기 순환유로부(820)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상기 의류의 건조도, 상기 모터부(500)의 작동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예열구간(preheating period) (A1), 항율건조구간(constant rate period) (A2), 감율건조구간(falling rate period) (A3), 냉각구간(cooling period)(A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예열구간(A1)은 상기 압축기(930)의 작동시간 이나 작동조건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압축기(930)는 구동을 시작하여 냉매를 압축하고 상기 제2열교환기(920)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93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시작온도(T0)에서 특정온도(Th)에 도달할 때까지 구간을 예열구간(A1)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특정온도(Th)는 상기 압축기(930)가 건조행정 중에서 토출할 수 있는 냉매의 최대온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섭씨 90도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온도(Th)는 상기 압축기(930)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제2열교환기(920)을 최대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온도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압축기(930)의 RPM이 예열rpm(RPM-H) 또는 최대HZ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할 때 까지를 예열구간(A1)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예열구간(A1)에서는 상기 압축기(930)는 건조행정 중 가장 높은 RPM인 예열RPM(rpm-H)까지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930)의 구동단위를 Hz로 표기하는 경우 상기 rpm은 hz로 전환되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930)가 작동된 후 초기시간에 도달할 때까지를 상기 예열구간(A1)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예열구간(A1)은 상기 순환유로부(930)를 흐르는 공기의 온도가 가열온도까지 도달할 때까지의 온도로 설정될 수 도 있다. 상기 가열온도는 상기 의류의 수분이 자연건조 되는 양보다 더 많이 건조될 수 있는 온도로서 섭씨 40도 이상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열교환부(900)가 작동하여 상기 순환유로부(930)로 토출되는 공기가 가열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구간을 예열구간(A1)으로 확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예열구간(A1)은 건조행정의 초기 구간으로서, 상기 압축기(930)가 작동하기 시작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920)를 특정온도까지 가열함으로써, 상기 드럼(200) 내부 또는 상기 순환유로부(930)를 흐르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의류의 수분을 충분히 건조시킬 수 있을 때까지 가열 및 준비되는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예열구간(A1)에는 상기 압축기(930) 및 송풍팬(950)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드럼(200) 내부에는 지속적으로 가열되고 있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200) 내부의 온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면서 상기 의류에서 수분이 증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열구간(A1)에서 상기 모터부(500)가 구동하여 상기 의류가 상기 드럼(200)에서 회전하므로, 상기 의류의 표면에 상기 공기가 고르게 노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예열구간(A1)에도 상기 의류의 건조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예열구간(A1) 이후에는 상기 항율건조구간(A2)이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예열구간(A1)과 상기 항율건조구간(A2)은 상기 의류의 건조도를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건조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센서는 상기 드럼(200) 내부의 의류와 접촉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센서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410)에 장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전방가스켓(413)의 내주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센서는 상기 의류와 접촉하여 상기 의류의 저항값 등을 측정하여 상기 의류의 건조도를 연산할 수 있는 전극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건조센서는 상기 의류의 건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의류의 건조도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상기 예열구간(A1)이 종료되고 상기 항율건조구간(A2)이 진입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일정수준의 건조도는 20%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항율건조구간(A2)은 열풍이 상기 드럼(200) 내부로 충분히 유입되어, 상기 의류에서 수분이 본격적으로 건조되는 구간일 수 있다.
상기 항율건조구간(A2)에서는 상기 압축기(930)는 구동 RPM이 낮춰질 수 있다. 즉, 상기 예열구간(A1)에서 압축기(930)가 최대치로 구동하여 냉매가 충분히 가열되었기 때문에, 상기 RPM을 항율RPM(rpm-FR)까지 낮출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항율건조구간(A2)에서 상기 드럼(200) 내부의 온도가 급상승하거나, 열풍의 온도가 과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항율건조구간(A2)에는 상기 의류에서 수분이 다량으로 지속적으로 증발되면서 기화열을 상기 열풍에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항율건조구간(A2)에는 상기 드럼(200) 내부 온도가 상기 예열구간(A1)보다 더 작은 폭으로 증가하거나, 일정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항율건조구간(A2)은 상기 드럼(200) 내부의 온도 또는 상기 순환유로부(930)로 토출되는 온도가 건조온도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온도는 상기 예열구간(A1)의 종료온도인 특정온도(Th)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항율건조구간(A2)에는 상기 드럼(200) 내부에 상기 특정온도(Th) 보다 높은 열풍이 공급되어도 상기 드럼(200) 내부의 온도는 특정온도(Th) 이하에 머무를 수 있다.
상기 항율건조구간(A2)에서도 상기 모터부(500)가 구동하여 상기 드럼(200)에 배치된 의류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가변함으로서, 상기 의류가 열풍에 고르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200)이 정지해 있을 때보다 더 많은 양의 수분이 상기 의류(200)에서 기화될 수 있다.
상기 항율건조구간(A2) 이후에 상기 감율건조구간(A3)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항율건조구간(A2)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의류에서 수분의 증발량이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의류에 함유된 수분이 기화되는 양이 작아지면서 상기 드럼(200)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의 온도를 충분히 낮추지 못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200) 내부의 온도는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상기 건조온도 보다 높게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율건조구간(A3)은 상기 드럼(200) 내부의 온도가 상기 건조온도 보다 상승하는 시점부터 진입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감율건조구간(A3)은 상기 의류의 건조가 어느정도 수행되어 상기 드럼(20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이므로, 상기 압축기(930)는 상기 항율RPM 보다 낮은 감율RPM(rpm-CR)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감율건조구간(A3)은 상기 항율건조구간(A2)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의류의 건조도가 설정값(A)에 도달하면 진입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의류가 상기 전극센서로 구비된 건조센서에 접촉하여 연산된 건조도가 설정값(A)에 도달하면 상기 감율건조구간(A3)이 진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설정값(A)은 50%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예를들어 80%로 설정될 수 있다. 의류의 건조도가 50% 이상이 되면, 의류에서 토출되는 수분양이 작아지기 때문에 기화열도 작아지므로 상기 열풍의 온도가 낮아지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감율건조구간(A3)에서도 상기 모터부(500)가 구동하여 상기 드럼(200) 내부에서 건조가 완료되지 않은 의류가 상기 열풍에 노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 중 건조가 완료된 부분이 상기 드럼(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200) 내벽이나 다른 의류에 가려짐으로써, 과건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중 건조가 완료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드럼(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200) 내부에 노출됨으로써, 건조되지 않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율건조구간(A3)에서 의류가 고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감율건조구간(A3) 이후에 상기 냉각구간(A4)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구간(A4)는 상기 의류의 건조가 완료되었으나, 상기 드럼(200) 내부가 아직 냉각되지 않아 사용자가 부상 등을 입을 여지가 있는 구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감율건조구간(A3)의 진행 중 의류의 건조도가 완료값(B)에 도달하면 상기 냉각구간(A4)에 진입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완료값(B)은 90프로 이상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냉각구간(A4)에는 상기 압축기(930)는 작동하지 않고, 상기 모터부(500)와 상기 송풍팬(950)이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200)에는 상기 열풍보다 온도가 낮은 냉풍이 공급되고, 상기 냉풍이 상기 드럼(200) 내부에서 회전하는 의류에 고르게 접촉되어 상기 의류가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각구간(A4)은 상기 드럼(200) 내부의 온도가 안전온도에 도달하면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안전온도는 사용자에게 화기가 노출되지 않은 온도로서 20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냉각구간(A4)에서도 모터부(500)가 구동하여 의류의 모든 영역이 냉풍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가 냉각될 뿐만 아니라, 의류의 유동으로 인해 상기 드럼(200) 내부의 공기도 냉풍과 혼합되어 냉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구간(A4)에는 드럼(200) 회전이 종료된 이후에 일정시간을 그대로 대기하는 대기단계가 더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냉각구간(A4) 말기에는 상기 드럼(200)의 회전없이 상기 송풍팬(950)만 구동하여 상기 드럼(200)에 냉풍만 유입되거나, 상기 송풍팬(950)도 구동하지 않고 의류가 자연냉각되도록 방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압축기(930)가 예열RPM, 항율RPM, 감율RPM으로 단계적을 구동하면서, 상기 냉매의 온도는 상기 예열구간(A1)에서 가장 높게 상승하다가 상기 항율건조구간(A2)과 상기 감율건조구간(A3)에서 단계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냉매의 온도는 상기 항율건조구간(A2)에서는 점차적으로 낮아실 수 있고, 상기 감율건조구간(A3)에서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930)는 상기 냉각구간(A4)에서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상기 냉매의 온도는 상기 냉각구간(A4)에서 급격하게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열교환기(920)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드럼(200)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송풍팬(950)은 상기 건조행정이 수행될 때 송풍RPM(RPM-FAN)으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송풍RPM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도 있지만, 상황에따라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950)은 상기 건조행정 중에 간헐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건조행정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집수부(830)에 물이 수집되면 상기 배수펌프(861)은 상기 물을 상기 저수탱크(120)로 안내하거나, 상기 세척유로부(833)에 공급하여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세척한다.
이때, 상기 배수펌프(861)가 자주 구동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항율건조구간(A2)에서 상기 집수부(830)에 물이 가득 차있거나, 상기 감율건조구간(A3) 또는 상기 냉각구간(A4)에서 상기 배수펌프(861)가 구동되어, 상기 집수부(830)에 수집된 물을 상기 저수탱크(120)에 전달하여 물을 수집하거나,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 공급하여 상기 열교환부(900)를 세척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건조행정 중에 구동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모터부(500)를 구동하여 상기 드럼(200)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500)가 감속기(600) 등에 의해 상기 드럼(200)을 직접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드럼(200)의 속도와 회전방향을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모터부(500)를 통해 상기 드럼(200)을 회전하는 다양한 모션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의류는 상기 드럼(200) 내부에서 교반되면서 열풍에 더 많이 노출되어 건조될 수 있다.
도14(b)를 참조하면, 상기 드럼(200) 내부에 의류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14(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0)을 1G 이상의 가속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제1속도(H1) 보다 낮은 속도인 제2속도(L1)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텀블링 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드럼(200)의 직경이 24인치 또는 27인치로 구비되는 경우, 제1속도(H1)는 50RPM 이상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제2속도(L1)는 상기 50RPM 또는 그 이하의 속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속도(H1)는 상기 드럼(200)이 회전할 때 상기 드럼(200)에 수용된 의류가 드럼 내벽에 붙어서 회전하는 속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이 상기 제1속도(H1) 보다 낮은 제2속도(L1)로 회전하는 텀블링 모션에서는 상기 드럼(200)에 수용된 의류는 상기 드럼(200)의 내벽에서 분리되며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드럼(200)에 수용된 의류가 상기 드럼(200)이 회전할 때마다 상기 드럼(200) 내벽에서 분리 및 낙하되어 열풍에 고르게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텀블링모션은 상기 드럼(200)이 상기 제2속도(L1)로 회전한다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상기 텀블링모션은 상기 드럼(200)의 회전방향은 바꾸지 않고 유지되어 상기 모터부(500)에 가해지는 부하를 절감할 수 있고, 의류가 갑자기 꼬이거나 뭉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19(c)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로써, 의류의 다양한 표면이 열풍에 노출되고, 의류가 뭉치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200)는 반시계방향으로 텀블링 모션을 수행했다가 시계방향으로 텀블링 모션을 수행하는 것을 반복할 수도 있으며, 의류를 열풍에 효과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면 드럼(200)을 제1속도(H1) 이상으로 회전시키는 구간도 배치하는 널기모션도 수행할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패널(P)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P46)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임의의 건조코스를 선택하는 조작부(P7)와, 상기 선택된 코스를 수행하거나 정지하는 수행부(P47), 상기 코스의 강도 및 지속시간 등을 설정하거나 의류처리장치의 기능을 선택하는 옵션부(P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P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P84)는 내부의 의류처리장치가 수행하는 코스정보를 표시하는 코스영역(D2), 의류처리장치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영역(D1),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이나 현재시간에 관한 시간정보를 표시하는 시간영역(D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P84)는 상기 조작부(P7) 내부에서 고정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옵션부(P19)는 선택된 코스의 옵션을 설정하는 옵션선택부(B)와, 의류처리장치의 부가기능을 설정하는 부가기능부(C)를 포함할 수 있다.
옵션선택부(B)는 건조행정의 전력사용을 조절하는 절약건조부(B1), 건조행정에서 압축기 및 구동부, 송풍팬의 구동력을 조절하는 건조강도부(B2), 상기 건조행정의 지속시간을 조절하는 시간건조부(B3)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옵션선택부(B)의 결과를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옵션 표시부(B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부(C)는 건조행정 중에 스팀을 공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스팀부(C3)와, 예약시간을 설정하여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예약부(C4)와,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고 건조하는 스팀코스를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스팀리프레쉬부(C1)와, 의류처리장치의 원격제어 등을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부가기능부(C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옵션부(P19)는 전술한 임의의 건조코스 및 스팀코스 보다 소음이 적게 발생하는 정숙코스를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정숙코스부(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숙코스는 임의의 건조코스 보다 전체 구간에서 소음이 적게 발생하도록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코스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정숙코스에서는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기준값 이하로 발생하도록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40데시벨에서 50데시벨로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정숙코스를 수행할 경우에는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적으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정숙코스를 통해 야간이나 아기 등이 자고 있을 경우에도 무리없이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숙코스는 상기 캐비닛(100)에서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 자체가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정숙코스는 상기 캐비닛(100)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감지되는 소음이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일정거리는 예를들어, 2m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킨 뒤에, 상기 일정거리 보다 더 이격된 위치에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소음의 피해를 입는 영역도 상기 캐비닛(100)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영역인 것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정숙코스는 모터부(500), 압축기(930), 배수펌프(861), 송풍팬(9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임의의 코스에서 모터부(500), 압축기(930), 배수펌프(861), 송풍팬(950)이 구동하는 것보다 더 약하거나 느리게 구동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정숙코스를 수행하면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 보다 건조행정의 시간은 더 길어질 수 있지만, 발생된 소음의 크기는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다.
도16은 상기 컨트롤패널(P)을 통해 상기 정숙코스를 설정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6(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정숙코스부(E)를 입력하여 정숙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정숙코스부(E)가 입력되면 상기 정숙코스가 선택되는 선택명령이 상기 제어부(19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P84)는 상기 정숙코스가 선택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코스영역(D2)에는 정숙코스를 의미하는 명칭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수행부(P47)가 입력되면 상기 정숙코스가 수행되어 건조행정 중에 소음이 기준값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야간 이나 수면 시간 뿐만 아니라 주간 이라도 소음발생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정숙코스를 직접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도16(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정숙코스부(E)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A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A1)에서 상기 정숙코스부(E)가 입력된 것이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조작부(p7)로 코스가 선택되고 수행부(P47)이 입력되면, 임의의 건조코스를 수행하는 일반코스단계(A2a)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일반코스단계(A2a)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세기와 상관없이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일반코스단계(A2a)는 상기 압축기(930)와 상기 모터부(500), 상기 송풍팬(950), 배수펌프(861)을 자유롭게 구동하므로 건조효율이 정숙코스 보다 높을 수 있고, 지속시간도 정숙코스 보다 짧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판단단계(A1)에서 상기 정숙코스부(E)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수행부(p47)의 입력시, 정숙코스를 수행하는 정숙코스단계(A2b)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숙코스단계(A2b)는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소음이 기준값 이하로 방사되는 단계로서, 상기 압축기(930), 모터부(500), 송풍팬(950), 배수펌프(86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 rpm 또는 구동속도를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 보다 낮게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상기 정숙코스단계(A2b)에서는 건조효율은 상대적으로 감소되고 건조행저의 수행시간도 임의의 건조코스 보다 더 길어질 수 있으나, 큰 소음 발생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정숙코스단계(A2b)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P84)에 상기 정숙코스가 수행 중인 상태정보가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의류처리장치가 조용하더라도 사용자는 건조행정이 수행 중인 사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17은 정숙코스를 설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7(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설정된 시간에 작동하면 정숙코스가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부가입력부(C4) 또는 상기 정숙코스부(E)를 입력하여 상기 정숙코스가 수행되는 설정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부가입력부(C4) 또는 상기 정숙코스부(E)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P84)의 시간영역(D3)에 설정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P7)와 상기 수행부(p47) 등을 입력하여 상기 설정시간을 설정하고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서버(50) 및 외부단말(40)을 통해 시간정보를 획득하여 설정시간에 도달하였는 지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면 상기 정숙코스가 수행되지 않으나, 설정시간에 도달한 경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면 상기 정숙코스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설정시간 전에 의류처리장치가 임의의 건조 코스가 수행되어 수행되더라도, 상기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설정시간이 종료될 때까지는 자동으로 정숙코스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시간에 정숙코스가 수행되더라도, 상기 정숙코스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설정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임의의 코스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들어, 표준코스로 전환될 수 있다.
물론, 한번 정숙코스가 수행되면, 건조행정이 종료될 때까지 설정시간이 종료여부와 상관없이 정숙코스가 지속될 수 있다.
또한, 설정시간 전에 임의의 건조코스가 선택되더라도, 상기 건조코스의 건조행정이 상기 설정시간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상기 정숙코스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P84)에 설정시간의 적어도 일부에 건조행정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정숙코스를 수행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을 요청하는 요청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17(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설정시간이 설정되었는지 여부 또는 상기 설정된 설정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점검단계(S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점검단계(S1)에서 상기 설정시간이 설정되지 않았거나, 상기 설정시간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를 수행하는 일반단계(S2b)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점검단계(S1)에서 설정시간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정숙코스를 수행하는 정숙단계(S2b)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숙단계(S2b)는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소음이 기준값 이하로 방사되는 단계로서, 상기 압축기(930), 모터부(500), 송풍팬(950), 배수펌프(86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 rpm 또는 구동속도를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 보다 낮게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상기 정숙단계(S2b)에서는 건조효율은 상대적으로 감소되고 건조행저의 수행시간도 임의의 건조코스 보다 더 길어질 수 있으나, 큰 소음 발생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정숙단계(S2b)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P84)에 상기 정숙코스가 수행 중인 상태정보가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의류처리장치가 조용하더라도 사용자는 건조행정이 수행 중인 사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점검단계(s1)에서 설정시간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시간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를 수행하였을 때 상기 건조행정이 상기 설정시간 범위 내에서 적어도 일부라도 수행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정숙단계(s2b)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정숙단계(S2b)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임의의 건조코스가 선택되는 것을 불활성화하거나, 임의의 건조코스가 선택되더라도 수행부(P47)가 불활성화되거나, 상기 수행부가(P47)가 입력되더라도 강제적으로 정숙코스가 수행되거나, 사용자에게 정숙코스를 수행할 것을 권유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P84)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일반단계(s2a)가 수행시 상기 설정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상기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정숙단계(s2b)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일반단계(s2a)의 항율건조구간(A2) 중에 설정시간에 진입하면 바로 상기 정숙단계(S2b)의 항율건조구간(A2)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설정시간 동안 의류처리장치를 작동하였을 때, 의류처리장치(1)에서 과도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8은 상기 모터부의 구동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8(a)를 참조하면,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가 수행될 때는 상기 제어부(190)는 텀블링 모션이 수행되도록 상기 모터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에서는 상기 의류가 상기 드럼(200)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절반 높이(R) 보다 상승하여 상기 드럼(200)의 고점보다 하부에서 낙하하도록, 상기 모터부(500)가 구동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의류가 상기 드럼(200)에서 낙하할 때 발생하는 낙차충격에 의한 소음이나, 상기 모터부(500)가 상기 드럼(200)이 제2속도(L1)로 회전하도록 구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은 기준값을 초과할 수 있다.
도18(b)를 참조하면, 상기 정숙코스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 때 보다 모터부(500)의 rpm이 감속되도록 상기 모터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모터부(500)가 상기 제2속도 보다 낮은 속도로 상기 드럼(200)을 회전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의류가 상기 드럼(200)의 절반 높이(R) 보다 상승하지 못하도록 상기 모터부(500)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모터부(500)를 상기 제2속보 보다 더 낮은 제3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3속도로 상기 드럼(200)이 회전하면, 상기 의류는 상기 드럼(200)의 중앙보다 하부에서 구르면서 열풍에 고르게 노출되어 건조 수 있고, 이를 롤링모션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정숙코스에서는 상기 드럼(200)을 롤링모션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정숙코스에서는 상기 드럼(200) 내부에서 의류가 낙하하지 않으므로, 낙하시에 발생하는 충격소음이 차단될 수 있고, 상기 모터부(500)가 텀블링 모션 보다 더 작은 부하로 구동하므로 구동소음이 더 감소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정숙코스에서는 상기 임의의 코스 보다 구동부 및 드럼(2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숙코스에서는 임의의 건조코스 보다 더 많이 드럼(200)이 간헐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정숙코스에서는 상기 건조행정 중에 상기 드럼(200)이 정지하는 구간이 배치될 수 있다.
도19은 상기 정숙코스가 수행될 때 압축기(930)의 구동속도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19(a)는 임의의 건조코스가 수행될 때 열교환부 및 송풍팬의 구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에서는 상기 건조행정은 예열단계(A1), 항율건조단계(A2), 감율건조단계(A3), 냉각단계(A4)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930)는 상기 예열단계(A1)에서 예열RPM(rpm-H)까지 상승하도록 구동되고, 항율건조단계(A2)에서는 항율RPM(rpm -FR)까지 감속되어 구동하고, 상기 감율건조단계(A3)에서는 감율RPM(rpm -CR)까지 더 감속되어 구동하며, 상기 냉각단계(A4)에서는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예열단계(A1)는 제1시간(T1) 동안 수행되고, 상기 항율건조단계(A2)는 상기 제1시간보다더 긴 제2시간(T2) 동안 수행되고, 상기 감율건조단계(A3)는 상기 제2시간보다 긴 제3시간(T3) 동안 수행되고, 상기 냉각단계(A4)는 상기 냉매의 온도가 급감할 때 까지 제4시간(T4)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950)은 상기 압축기(930)가 가열한 냉매의 열에 상기 순환유로부의 공기를 노출시켜 상기 드럼(200)으로 공급하도록 송풍RPM(rpm -FAN)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송풍RPM은 일정속도로 유지될 수도 있으나, 상황에 따라 가변될 수 도 있고, 간헐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압축기(930)는 냉매를 압축하여 가열시키므로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며, 상기 냉매를 압축할 때 상당히 큰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임의의 건조 코스와 같이 상기 압축기(930)를 가동하게 되면 전체 구간에서 압축기(930)에서 발생하여 캐니빗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이 기준값을 초과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19(b)를 참조하면,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압축기(930)는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 보다 더 낮은 rpm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압축기(930)의 구동 rpm은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 전체 구간에서 압축기의 구동 rpm 보다 작게 구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압축기(930)의 구동 rpm은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의 일부 구간에서만 압축기의 구동 rpm보다 작게 구동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정숙코스 전체 구간에서 상기 압축기(930)의 최대 rpm은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 전체 구간에서 압축기의 최대 rpm 보다 더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정숙코스의 상기 예열구간(A1)에서 상기 압축기(930)는 상기 예열RPM 보다 작은 정숙예열RPM(rpm-HL)으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예열구간(A1)에서 상기 압축기(93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압축기(930)가 상기 정숙예열RPM(rpm-HL)까지만 상승하여 구동되므로 상기 냉매의 온도를 확보하기 위해, 정숙코스에서 상기 예열구간(A1)의 지속시간은 상기 제1시간(T1)보다 더긴 제1정숙시간(T11)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예열구간(A1)에서 냉매의 온도를 특정온도(Th)까지 상승시켜 정숙코스에서도 의류의 건조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정숙코스의 상기 항율건조구간(A2)에서 상기 압축기(930)는 상기 항율RPM보다 작은 정숙항율RPM(rpm -FRL)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항율구간(A2)에서 상기 압축기(93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압축기(930)가 상기 정숙항율RPM(rpm-FRL)으로 구동되므로 상기 항율건조구간(A2)의 지속시간은 상기 제2시간(T2) 보다 더 긴 제2정숙시간(T22)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정숙코스의 상기 감율건조구간(A3)에서 상기 압축기(930)는 상기 감율RPM 보다 작은 정숙감율RPM(rpm-CRL)으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율건조구간(A3)에서 상기 압축기(93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압축기(930)가 상기 정숙감율RPM(rpm-CRL)까지만 상승하여 구동되므로, 상기 감율건조구간(A3)의 지속시간은 상기 제3시간(T3)보다 더긴 제3정숙시간(T33)으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감율건조구간(A3)에서 상기 압축기(930)가 상기 감율RPM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소음이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숙코스에서도 상기 압축기(930)가 상기 감율건조구간(A3)에서는 상기 감율RPM(rpm -CRL)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이로써,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효율을 확보할 수도 있다.
한편, 정숙코스에서 상기 냉각구간(A4)에서는 임의의 건조코스에서와 같이 상기 압축기(930)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의류의 완전한 건조를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냉각구간(A4)의 지속시간은 상기 제4시간(T4)보다 더 긴 제4정숙시간(T44)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냉각구간(A4의 지속시간은 상기 제4시간(T4)보다 동일하여도 무방하다.
이로써, 상기 정숙코스에서는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에서 보다 압축기(930)의 구동RPM이 적어도 일부 작게 설정되므로 압축기(930)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압축기(930)의 구동RPM이 감소하는 만큼 건조효율이 감소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정숙코스에서 건조행정의 지속시간은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에서 건조행정의 지속시간 보다 연장시간(Te)만큼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도20은 상기 정숙코스가 수행될 때 송풍팬의 구동속도가 달라질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0(a)는 기존의 임의의 건조코스에서 압축기와 송풍팬의 구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임의의 건조코스에서 상기 송풍팬(950)은 상기 송풍rpm(rpm-fan)까지 상승되어 구동될 수 있다.
도20(b)를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는 도18에서 설명한 정숙코스와 같이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송풍팬(950)의 최대 rpm은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에서의 송풍팬(950)의 최대 rpm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압축기(930)가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 보다 더 적은 rpm으로 구동되더라도 상기 드럼(200)에 유입되는 풍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건조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950)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상기 압축기(930)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상기 드럼(200) 내부에서 의류의 충격으로 발생하는 소음, 상기 모터부(500)에서 발생하는 소음, 상기 배수펌프(861)에서 발생하는 소음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상기 송풍팬(950)의 구동 rpm은 정숙코스에서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 보다 더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송풍팬(950)은 전체 구간에서 상기 송풍RPM 보다 더 높은 확대rpm(rpm-fanH)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송풍팬(950)의 소음까지 고려하여,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송풍팬(950)은 전체구간에서 상기 송풍RPM보다 낮은 저속RPM(rpm -fanL)로 구동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송풍팬(950)은 정숙코스에서 각 구간마다 다른 RPM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예열구간(A1)의 경우 임의의 건조코스에서 송풍RPM보다 더 높은 확대RPM(rpm -fanH)로 구동될 수 있다. 이로써, 압축기(930)가 정숙예열RPM(rpm-HL)로 구동되더라도 풍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제2열교환기(920)의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도 있고, 정숙코스에서 초기 의류의 건조도를 임의의 건조코스의 건조도와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숙코스에서 항율건조구간(A2) 또는 상기 감율건조구간(A3)에서는 상기 압축기(930)를 송풍RPM보다 더 낮은 저속RPM(RPM-fanL)로 구동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배수펌프(861)가 추가로 구동되더라도 전체 소음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21은 정숙코스에서 배수펌프의 제어방식을 도시한 것이다.(도면부호 변경)
도21(a)를 참조하면, 임의의 건조코스 수행 중에 상기 의류에서 증발된 물이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서 응축되면, 응축된 물은 집수부(860)로 수집된다. 상기 집수부(860)가 만수위가 되면 상기 배수펌프(861)가 구동되어 상기 집수부(860)에 수집된 물을 유로전환밸브(870)로 배출한다.
상기 유로전환밸브(870)는 상기 물을 상기 세척유로(833) 보내도록 제어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물은 커버관통홀(8313) 등을 통해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 공급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860)가 만수위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상기 감율건조구간(A3)이나 상기 냉각구간(A4)에서 상기 건조행정이 거의 완료되었으므로, 상기 배수펌프(861)는 구동하여 상기 집수부(860)에 수집된 물을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950)의 구동은 중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물이 상기 드럼(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습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861) 구동 시 상기 송풍팬(950)의 구동을 차단하여 전체 소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배수펌프(861)가 구동하면 상기 배수펌프(861)에서 작동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펌프(861)의 임펠러와 물이 충돌하는 충돌소음과, 물이 상기 제1열교환기(910)에 분사되는 분사소음 등이 발생한다.
도21(b)를 참조하면, 상기 정숙코스가 수행되면 상기 제1열교환기(910)를 세척하는 과정이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정숙코스가 수행되면 배수펌프(861)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집수부(860)가 만수위라고 하더라도, 상기 배수펌프(861)는 상기 집수부(860)의 물 전체를 상기 저수탱크(120)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물만 이동시킨 뒤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배수펌프(861)의 작동소음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충돌소음이나 분사소음 발생을 여전히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1) 전체에 발생하는 소음이 상기 정숙코스에서 기준값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0: 캐비닛 110: 전면패널
111: 개구부 117: 조작패널 118: 입력부
119: 표시부 120: 저수탱크 130: 도어
140: 측면패널 141: 좌측패널 142: 우측패널
190: 컨트롤박스 200: 드럼 210: 드럼바디
211: 투입구 220: 드럼배면 221: 둘레부
222: 장착판 224: 흡입홀 225: 보강리브
227: 원주리브 300: 부싱부 310: 부싱판
400: 지지부 410: 프론트플레이트 411: 프론트패널
412: 투입연통홀 413: 전방가스켓 414: 저수탱크지지홀
415: 지지휠 416: 덕트연결부 417: 덕트연통홀
420: 리어플레이트 421: 리어패널 423: 덕트부
4231: 유동부 4233: 유입부 425: 장착부
430: 리어커버 450: 실링부 451: 제1실링
452: 제2실링 500: 모터부 510: 스테이터
520: 로터 530: 구동축 540: 와셔부
600: 감속기 610: 제1하우징 620: 제2하우징
630: 기어박스 660: 제1베어링 670: 제2베어링
680: 체결부 700: 브라켓 800: 베이스
810: 장치설치부 811: 압축기 설치부 812: 스팀발생기
813: 컨트롤박스 설치부 820: 순환유로부

Claims (19)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드럼에 연통되어 상기 드럼의 공기가 순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순환유로부;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거나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순환유로부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
    상기 순환유로부의 공기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구동부,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여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임의의 건조코스와,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 보다 상기 구동부,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rpm을 낮추도록 제어하여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정숙코스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시간대에 상기 정숙코스가 수행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의 수행시간과 상기 설정된 시간대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면 상기 정숙코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서버 또는 외부단말과 통신가능하게 구비되어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설정된 시간대를 상기 제어부에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정숙코스를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정숙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숙코스의 수행시간은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의 수행시간 보다 더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구동부의 최대 rpm이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에서 상기 구동부의 최대 rpm 보다 낮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구동부의 평균 rpm이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에서 상기 구동부의 평균 rpm 보다 낮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의류가 상기 드럼의 높이 절반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압축기의 최대 rpm이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에서 상기 구동부의 최대 rpm 보다 낮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압축기의 평균 rpm이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에서 상기 구동부의 평균 rpm 보다 낮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드럼 내부의 평균온도는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에서 상기 드럼 내부의 평균온도 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송풍팬의 최대 rpm이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에서 상기 송풍팬의 최대 rpm 보다 더 높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송풍팬의 평균 rpm이 상기 임의의 건조코스에서 상기 송풍팬의 평균 rpm 보다 더 낮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부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집수부와,
    상기 물을 저장하여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저수탱크와,
    상기 집수부에 수집된 물을 상기 저수탱크로 이동시키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송풍팬을 동시에 구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와 연통되어 상기 열교환기에 상기 물을 공급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세척부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숙코스에서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구동부와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40데시벨 이상과 50 데시벨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28396A 2022-03-04 2022-03-04 의류처리장치 KR20230131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396A KR20230131407A (ko) 2022-03-04 2022-03-04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396A KR20230131407A (ko) 2022-03-04 2022-03-0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407A true KR20230131407A (ko) 2023-09-13

Family

ID=8802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396A KR20230131407A (ko) 2022-03-04 2022-03-0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14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60520A1 (en) Washing machine
KR2023013140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66A (ko) 의류처리장치
CN114908537B (zh)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KR202201142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554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7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2A (ko) 의류처리장치
TWI847096B (zh) 衣物處理裝置
KR2022011427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77A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25176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25176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251766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TWI847095B (zh) 衣物處理裝置
US2022025176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4227458A1 (en)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KR2022011427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1101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6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1111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0173A (ko) 의류 처리장치
KR20230000174A (ko) 의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