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8989A -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 및 그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 및 그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989A
KR20230128989A KR1020230026917A KR20230026917A KR20230128989A KR 20230128989 A KR20230128989 A KR 20230128989A KR 1020230026917 A KR1020230026917 A KR 1020230026917A KR 20230026917 A KR20230026917 A KR 20230026917A KR 20230128989 A KR20230128989 A KR 20230128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lice
network
slice
interface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6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넷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넷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넷큐브
Publication of KR20230128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5Configuration of virtualised networks or elements, e.g. virtualised network function or OpenFlow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는, 5G 핵심망으로부터 제공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의 슬라이스 별로 destination IP 주소에 따른 PDU 세션을 생성하는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슬라이스 별로 상기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라우팅 및 PDU 세션을 설정하는 슬라이스 연결 관리부;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위하여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각각의 데이터 네트워크(DN) 라우팅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매니저; 및 상기 5G 핵심망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이 사용해야 하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업데이트 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 및 그 지원 방법{DEVICE FOR PROVIDING NETWORK SLIC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5세대 이동통신(5G)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별도의 에이전트 소프트웨어의 설치없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을 구동할 수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시스템에는 급증하는 데이터 트래픽(data traffic)과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다. 현재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5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는 기존 4세대 LTE보다 월등히 빠른 속도 및 초저지연 등 기술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기초로 V2X(자율주행차), 드론 제어, 원격 의료 등 기존에 불가능했던 모바일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실현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한편, 기존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내의 모든 가입자가 공통의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에 특정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차별화된 조건으로 보장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그러나, 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추구하는 미래형 애플리케이션은 전송 속도 혹은 통신망의 응답 지연 시간 등의 측면에서 특정 기준 이상이 보장된 상태에서만 운용이 가능하다.
공통의 네트워크 자원을 수평적으로 공유하여 제공하는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애플리케이션과 구분하기 위해, 각각 다른 네트워크 조건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버티컬 애플리케이션(vertical application)이라고도 부른다.
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러한 버티컬 애플리케이션을 수용하기 위해 가상화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해상도, 빠른 속도 등 높은 네트워크 조건을 충족시키는 가상의 폐쇄망인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를 버티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마다 각각 할당할 수 있다.
LTE와 같은 기존 이동통신 시스템과 달리 5G의 어플리케이션은 종단간 트래픽 분리 및 리소스 분리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마다 요구되는 성능이 보장되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에 가상의 전용 이동 통신망 기반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5G는 이동통신망으로 이용하여 특정 속도와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보안이 강화된 폐쇄망을 특정 기관의 내부 WIFI와과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에이전트 소프트웨어가 5G 기능이 있는 단말에서 탑재 및 구동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에이전트 소프트웨어는 단말의 OS 레벨에서 지원이 되어야 하나, OS 제조사가 이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에이전트 소프트웨어의 설치가 어렵고, 따라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 앱을 동작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이 OS 제조사의 지원여부에 독립적으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지원 장치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에 있어서, OS 제조사의 지원과 네트워크 슬라이스 에이전트 소프트웨어의 설치 없이도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를 높은 호환성으로 지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업데이트 및 추가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를 동적으로 대응가능한 네트워크 지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는, 5G 핵심망으로부터 제공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의 슬라이스 별로 destination IP 주소에 따른 PDU 세션을 생성하는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슬라이스 별로 상기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라우팅 및 PDU 세션을 설정하는 슬라이스 연결 관리부;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위하여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각각의 데이터 네트워크(DN)로의 라우팅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매니저; 및 상기 5G 핵심망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이 사용해야 하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업데이트 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는 5G 모뎀 장치와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PCI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USB 인터페이스, 유선 LAN 및 무선 LAN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하여 가상의 네트워크 어댑터의 기능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의 패킷을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라우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에이전트는, URSP(User Equipment Route Selection Policy)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하며,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PDU 세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DU 세션을 통해 전달되는 패킷은 각각의 데이터 네트워크에 포함된 UPF(User Plane function)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 모뎀과 통합되어 구현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방법은, 5G 핵심망의 URSP(User Equipment Route Selection Policy)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구동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에 대응하는 슬라이스 서비스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는 가상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가상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의 패킷을 라우팅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를 위한 PDU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는 destination IP 주소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RSP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되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를 내장 또는 외장으로 연결함으로써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능과 5G 이동통신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중인 단말을 이용하여 5G 특화망을 그대로 접속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를 내장 탑재한 사용자 단말은 5G 특화망용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전용 단말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의 동작 개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가 PDU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컨대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컨대 모듈은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표준을 제정하고 있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TS23.501의 Chapter 5.15는 버티컬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싱(3gpp TS23.501 chapter 5.15) 및 각 버티컬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자신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접속하는 가입자를 독자적인 인증체계를 통해 관리할 수 있는 기술 표준(3gpp TS23.501 chapter 5.15.10)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특정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는 공급(provisioning)에 전문화된 네트워크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의 동작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PC, 데스크탑 PC 등의 장치를 포함하며, 후술할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11)을 설치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11)은 복수개가 될 수 있으며, 각각이 다른 전용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 내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11)이 접속해야 할 서비스의 destination IP 주소를 통해 연결 및 통신을 시도하면, 해당 destination IP 주소와 매칭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PDU 세션을 수립시킨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는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전용으로 처리하는 전용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5G 모뎀과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의 PCI 인터페이스로 통신하는 내장 5G 모뎀 형태로 구현되거나, USB 인터페이스로 통신하는 동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5G 모뎀 형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는 라우터의 형태로 유선 LAN 혹은 무선 LAN을 통해 한 대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 될 수도 있다.
이동 통신망(20)은 5G 통신 표준을 따른 이동통신망이다. 5G 이동통신망(20)은 기지국(21)과 네트워크 기능 단위로 AUSF(22), PCF(23), SMF(24), AMF(25) 및 UPF(26)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를 위하여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25)는 가입자 인증 데이터를 가지고 이동성을 지원하며, AUSF(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22)는 가입자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한다.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24)는 다수의 연결 세션에 대해서 세션 유지/해제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며, PCF(Policy Control Function)(23)은 상기 이동성과 세션 관리에 관한 정책을 결정한다.
UPF(User Plane function)(26)은 사용자 단말에서 전달되는 패킷을 데이터 네트워크(DN)로 전달한다. UPF(26)은 복수의 데이터 네트워크에 패킷을 전달할 수 도 있으며, 각각의 데이터 네트워크에 각각 구비되어 패킷을 전달할 수도 있다.
URSP(User Equipment Route Selection Policy)(27)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이 사용해야 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PDU 세션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URSP(27)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PDU 세션의 정보는 주기적으로 제공되어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것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 시스템(300)은 특정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의의 서비스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자율 주행 전용 서비스, 스마트 팩토리 IoT 서비스, 5G 이동통신망에 구현된 가상의 기관 내부 폐쇄망 서비스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는 5G 이통통신을 지원하는 5G 모뎀과 구성을 구비하여 통합될 수 있다(도시 생략).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은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 슬라이스 연결 관리부(120), 네트워크 매니저(130), 네트워크 슬라이스 에이전트(140)을 포함한다.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에이전트(140)를 통해 5G 핵심망으로부터 제공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될 수 있다.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데이터 네트워크의 destination 별로 라우팅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은 destination IP 주소에 따라 PDU 세션을 만들어 유지하는 일종의 가상의 네트워크 어댑터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A1, A2, A3)은 슬라이스별로 destination IP 주소에 따른 PDU 세션을 생성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가상 네트워크(110)은 각각의 슬라이스 별로 슬라이스 가상 인터페이스(V1, V2, V3)를 생성하고 적합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로 라우팅을 수행한다.
슬라이스 연결 관리부(120)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슬라이스 별로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의 라우팅 및 PDU 세션을 설정하다.
네트워크 매니저(130)은 슬라이스 각각의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위하여 각각의 데이터 네트워크(DN)의 라우팅을 설정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에이전트(130)은 초기에 5G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인증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인증과 초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NSOS(Network slice onboarding system) 또는 NSSF(Network Slicing Selection Function)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에이전트(130)는 URSP(User Equipment Route Selection Policy)(27)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이 사용해야 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PDU 세션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통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은 5G 모뎀의 구성과 상호 연계되어 슬라이스 전용앱에 적합한 가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조작없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에 접속하여 PDU 세션을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와 무관한 destination IP 주소로의 통신 요청에 관한 세션은 당연히 범용의 5G 이동 통신을 이용하여 수립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가 PDU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A1~An)을 구비하고,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과 내부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로서 연결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PCI 인터페이스와 같은 내부 인터페이스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때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 내장 5G 모뎀 형태로 사용자 단말(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USB 인터페이스이며,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는 동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5G 모뎀 형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는 라우터의 형태로 유선 LAN 혹은 무선 LAN을 통해 한대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 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의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은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A1~An)에 대하여 슬라이스 가상 인터페이스(V1~Vn)을 형성하고 5G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5G 이동통신망(20)에 접속된다.
5G 이동통신망(20)은 액세스망의 기지국의 슬라이스 처리 인스턴스를 통해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처리하여, 코어망의 AMF, SMF UPF를 이용하여 복수의 PDU 세션을 수립하고, 패킷을 데이터 네트워크로 전달한다.
이때 데이터 네트워크(DN2)와 같이 코어망이 아닌 데이터 네트워크 내에서 UPF(26)을 구현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생성된 PDU 세션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의 서비스를 위한 터널을 생성하게 되고, 상기 PDU 세션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기반의 가상 전용망의 데이터를 유통하는 것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8K 고품질의 미디어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가상의 전용망이 생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품질의 고품질 미디어 스트리밍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기관 또는 기업의 내부 폐쇄망에 접속할 수 있는 전용망을 생성하게 되고, 상기 폐쇄망의 특정 폴더 등에 접속 가능한 권한을 가진 PDU 세션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단계(S100)에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는 URSP(27)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의 정책 정보와 슬라이스와 PDU 세션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초기에 제공된 이후에도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제공되어 새로운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PDU 세션을 수립할 수 있는 정보를 네트워크 지원 장치(100)이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100)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에이전트에서 수신하여 이후 슬라이스 가상 인터페이스 선택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면, 단계(S110)에서 슬라이스 서비스를 식별한다. 슬라이스 서비스의 식별은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식별이 가능한 destination IP를 통해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S120)에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는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식별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위해 가상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
단계(S130) 에서는 선택된 가상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으로부터 패킷을 라우팅한다.
단계(S150)에서는 5G 이동 통신망을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를 위한 PDU 세션이 수립된다. PDU 세션 수립의 구체적은 동작은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과 같이, 액세스망의 슬라이스 처리 인스턴스와 코어망의 AMF, SMF UPF를 이용하여 복수의 PDU 세션을 수립하고, 패킷을 데이터 네트워크로 전달하게 된다.
생성된 PDU 세션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의 서비스를 위한 터널을 생성하게 되고, 상기 PDU 세션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기반의 가상 전용망의 데이터를 유통하는 것을 지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장치(100)은 5G 모뎀과 일체로 구현되어, OS의 지원 없이도 인터페이스를 통한 결합을 통해 5G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자기테이프 등의 자기기록 매체, CD-ROM, DVD 등의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디스크 등의 자기-광 매체,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기계어 코드, 인터프리터를 사용하여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처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전자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등의 휴대용 통신 장치,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가전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 예컨대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서브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브 구성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구성요소들(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에 있어서,
    5G 핵심망으로부터 제공받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의 슬라이스 별로 destination IP 주소에 따른 PDU 세션을 생성하는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슬라이스 별로 상기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라우팅 및 PDU 세션을 설정하는 슬라이스 연결 관리부;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위하여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각각의 데이터 네트워크(DN)로의 라우팅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매니저; 및
    상기 5G 핵심망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이 사용해야 하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업데이트 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에이전트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는 5G 모뎀 장치와 통합되어 구현되는 것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PCI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것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USB 인터페이스, 유선 LAN 및 무선 LAN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것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하여 가상의 네트워크 어댑터의 기능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의 패킷을 대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라우팅을 수행하는 것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에이전트는, URSP(User Equipment Route Selection Policy)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하며,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PDU 세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DU 세션을 통해 전달되는 패킷은 각각의 데이터 네트워크에 포함된 UPF(User Plane function)에 의해 전달되는 것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
  8. 5G 모뎀과 통합되어 구현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방법에 있어서,
    5G 핵심망의 URSP(User Equipment Route Selection Policy)로부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구동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에 대응하는 슬라이스 서비스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하는 가상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가상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전용앱의 패킷을 라우팅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를 위한 PDU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비스는 destination IP 주소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것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URSP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되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것인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방법.
KR1020230026917A 2022-02-28 2023-02-28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 및 그 지원 방법 KR202301289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25958 2022-02-28
KR1020220025958 2022-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989A true KR20230128989A (ko) 2023-09-05

Family

ID=8776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6917A KR20230128989A (ko) 2022-02-28 2023-02-28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 및 그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8989A (ko)
WO (1) WO20231635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313B1 (ko) * 2017-06-19 2021-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가상화 및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9743766B (zh) * 2018-02-13 2020-06-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路由选择的方法及装置
CN113708947B (zh) * 2020-05-21 2023-02-28 华为技术有限公司 切片接入方法、装置及***
CN116827790A (zh) * 2020-05-29 2023-09-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接入网络切片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3571A1 (ko)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9776B2 (en) Application-based user equipment route selection policy mapping
EP3557913B1 (en) Network slice selection policy updating method and apparatus
US11811625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EP3886404B1 (en) Domain name server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US20200323029A1 (en) Sess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7200264A1 (en) Roaming support for next generation slice architecture
CN109548082B (zh) 业务重定向方法及装置
KR102093524B1 (ko)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확장 가능한 프레임워크
WO2018232570A1 (zh) 一种注册及会话建立的方法、终端和amf实体
EP3732846A1 (en) Quality of service (qos) control in mobile edge computing (mec)
EP3823389B1 (en) User plane resource management method, user plane network element, and control plane network element
JP2021519040A (ja) 車両通信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電子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4012066A (zh) 电信核心网的跨功能虚拟化
JP7043631B2 (ja) Sscモード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178802B2 (en) Hosting device-specific edge applications at the edge of a mobile data network
US20220264440A1 (en) Network-slice control server, service server, and respective control methods thereby
US98259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service data
US2023009404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ssociated communication apparatus, medium, and chip
CN112566164A (zh) 一种通信***及服务质量控制方法
CN110024358B (zh) 对由分布式数据存储***提供的服务的访问
WO2022068771A1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KR20230034113A (ko) 폐쇄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온보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28989A (ko)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장치 및 그 지원 방법
CN114501493A (zh) 网络切片更新方法及***、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5516996A (zh) 虚拟运营商网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