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931A - 운동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931A
KR20230126931A KR1020220024389A KR20220024389A KR20230126931A KR 20230126931 A KR20230126931 A KR 20230126931A KR 1020220024389 A KR1020220024389 A KR 1020220024389A KR 20220024389 A KR20220024389 A KR 20220024389A KR 20230126931 A KR20230126931 A KR 20230126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g
backrest
coupled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철운
권대규
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스메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스메이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스메이커
Priority to KR1020220024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931A/ko
Publication of KR20230126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9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3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wound-up and unwound during exercise, e.g. from a r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8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other bio-electrical sig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운동 베드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여 맞춤형 운동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등받이 지지부, 등받이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 및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등받이 베드를 포함하는 등받이부 및 등받이 프레임에 길이 조절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리 프레임,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리 베드 및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리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 보조 장치{EXERCISE ASSISTANCE APPARATUS}
본 발명은 운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운동 베드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여 맞춤형 운동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용으로 사용되는 도립기 또는 꺼꾸리는 사용 용도에 따라서 물구나무서기, 윗몸 일으키기, 앞 굽혀 펴기 등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구이다.
물구나무서기, 윗몸 일으키기, 앞 굽혀 펴기 등의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게 되면 발목의 관절을 이완시켜 체중 압력으로 손상된 연골을 회복시켜 통증과 함께 피로를 해소하게 된다.
또한, 복부의 근육을 강화시켜 줌으로서 날씬한 허리를 유지시키게 되고, 허리 통증 예방과 함께 척추와 척추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넓혀주어 신경 조직의 압박 해소 및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운동 장치는 지지대에 회전식 도립 등판을 회전 자유롭게 장착하고, 사용시에 도립 등판을 상부에 위치시키고 발 고정대를 하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립 등판에 등을 기대고 양 발을 발 고정대에 걸 수 있다.
이후 윗 몸측에 힘을 주어 도립 등판을 뒤쪽으로 젖히거나 도립 등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터를 통해 도립 등판 전체를 도립시켜 윗몸일으키기 등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운동 장치는 사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지 않고 제작되고 있어 사용자의 운동 능력에 맞추어 알맞게 운동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16708호(2016.04.25,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운동 베드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여 맞춤형 운동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는 등받이 지지부, 등받이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 및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등받이 베드를 포함하는 등받이부 및 등받이 프레임에 길이 조절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리 프레임,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리 베드 및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리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는, 일단이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길이 조절부재 및 길이 조절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도 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리 프레임은 제1 다리 프레임 및 제2 다리 프레임을 포함하고, 다리 베드는 제1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다리 베드 및 제2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다리 베드를 포함하며, 다리부는 일단이 제1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간격 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지지부와 등받이부에 연결되는 인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장부는, 등받이 지지부에 결합되는 인장 프레임, 인장 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회전 드럼, 인장 프레임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 회전 드럼, 제1 회전 드럼과 제2 회전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는 이동 로프, 등받이 프레임을 이동 로프에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이동 로프에 연결되는 인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 및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근전도 센서 및 등받이 프레임에 설치되고 근전도 센서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운동 베드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여 맞춤형 운동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의 인장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의 인장부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100)는 등받이 지지부(110), 등받이부(120) 및 다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 지지부(110)는 지면에 접촉하여 설치될 수 있다. 등받이 지지부(110)에는 등받이부(12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등받이 지지부(110)는 등받이부(12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지지부(110)는 제1 등받이 지지 프레임(111) 및 제2 등받이 지지 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등받이 지지 프레임(111)은 지면에 접촉하여 설치되고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등받이 지지 프레임(111)에는 제2 등받이 지지 프레임(112)이 높이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등받이 지지 프레임(112)은 제1 등받이 지지 프레임(1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등받이 지지 프레임(112)에는 등받이부(120)의 등받이 프레임(121)이 등받이 회전부재(123)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등받이 지지 프레임(112)은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등받이 지지 프레임(112)은 텔레스코프 구조로 형성되어 등받이부(1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등받이부(120)는 등받이 지지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등받이부(120)는 등받이 지지부(110)의 제2 등받이 지지 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등받이부(120)는 등받이 회전부재(123)를 통해 제2 등받이 지지 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등받이부(120)는 등받이 프레임(121), 등받이 베드(122), 등받이 회전부재(123) 및 등받이 손잡이(124)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121)은 등받이 지지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121)은 복수의 기둥 또는 적어도 하나의 판을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121)에는 등받이 베드(122), 등받이 회전부재(123) 및 등받이 손잡이(124)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프레임(121)은 길이 조절부재(134)로 다리부(130)의 다리 프레임(131)과 연결될 수 있다.
등받이 베드(122)는 등받이 프레임(121)에 결합될 수 있다. 등받이 베드(122)는 사용자가 등을 대고 누울 수 있는 형태로, 일정 길이와 일정 폭을 가질 수 있다. 등받이 베드(122)는 쿠션감 있는 매트리스로 제작될 수 있다.
등받이 회전부재(123)는 제2 등받이 지지 프레임(112)과 등받이 프레임(12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등받이 회전부재(123)는 제2 등받이 지지 프레임(112)과 등받이 프레임(121)의 연결 구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설치될 수 있다.
등받이 회전부재(123)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 또는 별도의 모터 등을 통해 제2 등받이 지지 프레임(112)으로부터 등받이 프레임(121)이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 손잡이(124)는 등받이 프레임(121)에 결합될 수 있다. 등받이 손잡이(124)는 운동 보조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받이 손잡이(124)는 높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받이 손잡이(124)는 다단의 텔레스코프 구조로 형성되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리부(130)는 등받이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리부(130)는 다리 프레임(131), 다리 베드(132), 다리 지지 프레임(133), 길이 조절부재(134) 및 각도 조절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 프레임(131)은 등받이 프레임(121)에 길이 조절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리 프레임(131)은 길이 조절부재(134)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121)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고, 각도 조절부재(135)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121)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다리 프레임(131)은 복수의 기둥 또는 적어도 하나의 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리 프레임(131)에는 다리 베드(132), 다리 지지 프레임(133) 및 길이 조절부재(134)가 연결될 수 있다.
다리 베드(132)는 다리 프레임(131)에 결합될 수 있다. 다리 베드(132)는 사용자가 다리를 거치할 수 있는 형태로, 일정 길이와 일정 폭을 가질 수 있다. 다리 베드(132)는 쿠션감 있는 매트리스로 제작될 수 있다.
다리 지지 프레임(133)은 다리 프레임(131)에 결합될 수 있다. 다리 지지 프레임(133)에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될 수 있다. 다리 지지 프레임(133)은 발목 고정 프레임(1331) 및 발목 고정부재(1332)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목 고정 프레임(1331)은 발목 고정부재(1332)를 다리 지지 프레임(133)에 연결할 수 있다. 발목 고정 프레임(1331)은 다리 지지 프레임(133)으로부터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발목 고정 프레임(1331)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발목 고정부재(1332)가 사용자의 발에 가까워져 사용자의 발을 누르도록 하고,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사용자의 발에서 발목 고정부재(1332)가 멀어지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발목 고정부재(1332)는 발목 고정 프레임(1331)에 고정될 수 있다. 발목 고정부재(1332)는 사용자의 발목과 발등을 지지할 수 있다. 발목 고정부재(1332)는 쿠션감 있는 매트리스로 제작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재(134)는 등받이부(120)에 연결되는 다리부(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재(134)의 일단은 등받이 프레임(121)에 결합되고 길이 조절부재(134)의 타단은 다리 프레임(131)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길이 조절부재(134)는 다리 프레임(131)에 고정되고, 등받이 프레임(12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등받이 프레임(121)에는 길이 조절부재(134)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조절부재(134)는 리니어 모터, 유압 실린더, 모터 등 자동으로 길이 조절 가능한 장치 중 하나이거나, 탄성부재 등 수동으로 길이 조절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즉, 길이 조절부재(134)는 스위치 등의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길이 조절되거나, 사용자가 다리 지지 프레임(133)을 밀어내는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길이 조절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재(134)의 사이에는 각도 조절부재(135)가 설치될 수 있다.
각도 조절부재(135)는 길이 조절부재(13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각도 조절부재(135)는 등받이부(120)의 내측, 즉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다리부(130)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등받이부(120)의 외측, 즉 지면 방향으로 다리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부재(135)는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각도 조절부재(135)는 각도 조절을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통해 다리부(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부재(135)는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의 다리 힘에 따라 수동으로 다리부(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각도 조절부재(135)가 길이 조절부재(134)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등받이부(120)로부터 다리부(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각도 조절부재(135)는 사용자의 허리,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의 체형, 즉 사용자의 키에 따라 등받이부(120)로부터 다리부(130)의 길이를 조절하여 도립 운동시 키가 큰 사용자와 키가 작은 사용자 모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운동 보조 장치(100)는 등받이부(120)로부터 다리부(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도립 운동시 다리나 허리 근육에 더욱 집중된 운동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200)는 등받이 지지부(210), 등받이부(220) 및 다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지지부(210), 등받이부(220) 및 다리부(23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지지부(110), 등받이부(120) 및 다리부(13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부(230)의 다리 프레임(231)은 제1 다리 프레임(2311) 및 제2 다리 프레임(2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리 프레임(2311) 및 제2 다리 프레임(2312)은 각각 등받이 프레임(221)에 길이 조절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다리 프레임(2311) 및 제2 다리 프레임(2312)은 각각 길이 조절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 다리 프레임(2311)은 제1 길이 조절부재(2341)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221)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고, 제1 각도 조절부재(2351)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221)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다리 프레임(2311)에는 제1 다리 베드(2321) 및 제1 다리 지지 프레임(2331)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다리 프레임(2312)은 제2 길이 조절부재(2342)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221)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고, 제2 각도 조절부재(2352)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221)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다리 프레임(2312)에는 제2 다리 베드(2322) 및 제2 다리 지지 프레임(2332)이 연결될 수 있다.
다리부(230)는 간격 조절부재(2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조절부재(236)는 제1 다리 프레임(2311)과 제2 다리 프레임(23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간격 조절부재(236)의 일단은 제1 다리 프레임(2311)에 결합되고, 간격 조절부재(236)의 타단은 제2 다리 프레임(2312)에 결합될 수 있다.
간격 조절부재(236)는 제1 다리 프레임(2311)과 제2 다리 프레임(231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조절부재(236)는 리니어 모터, 유압 실린더, 모터 등일 수 있다.
간격 조절부재(236)에 의해 제1 다리 프레임(2311)과 제2 다리 프레임(2312)의 간격이 멀어지면 사용자의 다리는 벌어지고, 간격 조절부재(236)에 의해 제1 다리 프레임(2311)과 제2 다리 프레임(2312)의 간격이 가까워지면 사용자의 다리는 모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200)는 간격 조절부재(236)로 사용자의 다리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허벅지의 내측 및 외측에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도립 운동시 허벅지 운동을 병행하거나 또는 도립 운동과는 별도로 허벅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의 인장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의 인장부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300)는 등받이 지지부(310), 등받이부(320), 다리부(330) 및 인장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지지부(310), 등받이부(320) 및 다리부(33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지지부(110), 등받이부(120) 및 다리부(13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장부(340)는 등받이 지지부(310)와 등받이부(320)에 연결될 수 있다. 인장부(340)는 인장 프레임(341), 제1 회전 드럼(342), 제2 회전 드럼(343), 이동 로프(344), 연결부재(345) 및 인장부재(346)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장 프레임(341)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등받이 지지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인장 프레임(341)에는 제1 회전 드럼(342), 제2 회전 드럼(343), 연결부재(345) 및 인장부재(346)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장 프레임(341)은 높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인장 프레임(341)은 높이 방향으로의 길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장 프레임(341)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인장력이 강해지고, 인장 프레임(341)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인장력이 약해질 수 있다.
제1 회전 드럼(342)은 인장 프레임(341)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회전 드럼(342)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 로프(344)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제1 회전 드럼(342)은 이동 로프(344)로 제2 회전 드럼(343)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 드럼(343)은 인장 프레임(341)의 타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회전 드럼(343)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 로프(344)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제2 회전 드럼(343)은 이동 로프(344)로 제1 회전 드럼(342)과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로프(344)의 일단은 제1 회전 드럼(342)에 연결되고, 이동 로프(344)의 타단은 제2 회전 드럼(34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로프(344)는 제1 회전 드럼(342)과 제2 회전 드럼(343) 각각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이동 로프(344)에는 등받이 프레임(321) 및 인장부재(346)가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로프(344)는 제1 회전 드럼(342)과 제2 회전 드럼(343) 사이에서 폐 루프(loop)를 유지할 수 있다. 이동 로프(344) 중 하나에는 연결부재(345)로 등받이 프레임(321)이 연결되고, 이동 로프(344) 중 다른 하나에는 인장부재(346)의 인장 연결부재(346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로프(344)는 등받이 프레임(321)이 하향 회전하면 제1 회전 드럼(342)과 제2 회전 드럼(343)에 감기거나 풀려서 연결부재(345)를 하향시키고 인장 연결부재(3461)를 상향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로프(344)는 등받이 프레임(321)이 상향 회전하면 제1 회전 드럼(342)과 제2 회전 드럼(343)에 감기거나 풀려서 연결부재(345)를 상향시키고 인장 연결부재(3461)를 하향시킬 수 있다.
이동 로프(344)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321)과 인장부재(346)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인장부재(346)의 인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동 로프(344)는 연결부재(345)와 인장 연결부재(3461)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1 회전 드럼(342)과 제2 회전 드럼(3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연결부재(345)는 등받이 프레임(321)을 이동 로프(344)에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345)는 등받이 프레임(321)의 회전에 따라 등받이 프레임(321)과 인장 프레임(341)의 간격이 달라지더라도 이동 로프(344)를 당기지 않도록 일정 길이를 가지는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인장부재(346)는 이동 로프(344)에 연결될 수 있다. 인장부재(346)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관절을 인장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인장부재(346)는 인장 연결부재(3461) 및 인장 밴드(346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장 연결부재(3461)는 인장 밴드(3462)를 이동 로프(344)에 연결할 수 있다.
인장 밴드(3462)는 인장 연결부재(3461)에 연결되는 제1 인장 밴드(34621), 제1 인장 밴드(34621)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양 팔에 각각 착용되어 어깨를 감싸는 한 쌍의 제2 인장 밴드(34622), 한 쌍의 제2 인장 밴드(34622)를 연결하고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제3 인장 밴드(34623) 및 제3 인장 밴드(34623)를 조여주는 제4 인장 밴드(346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면에서 도시한 인장부재(346)의 구성 및 형상은 하나의 예시로서, 사용자의 특정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특정 신체의 관절을 인장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것도 채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300)는 인장부재(346)를 통해 도립 운동시 사용자의 관절을 함께 인장시킬 수 있어 도립 운동과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 관절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400)는 등받이 지지부(410), 등받이부(420), 다리부(430) 및 모니터링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지지부(410), 등받이부(420) 및 다리부(43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지지부(110), 등받이부(120) 및 다리부(13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450)는 근전도 센서(451) 및 디스플레이 부재(452)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전도 센서(451)는 등받이부(420) 및 다리부(43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근전도 센서(451)는 등받이부(420)의 등받이 베드(422) 및 다리부(430)의 다리 베드(432)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근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근전도 센서(451)는 디스플레이 부재(452)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452)는 등받이부(420)의 등받이 프레임(421)에 설치되고, 근전도 센서(451)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근전도 센서(451)에서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452)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고정 프레임(4521)으로 등받이 프레임(421)에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452)는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452)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부재(452)를 통해 근전도 센서(451) 각각에서의 근전도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부재(452)를 통해 등받이부(42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고, 다리부(4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400)는 모니터링부(450)를 통해 도립 상태를 제어하고 근전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운동 상태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100, 200, 300, 400)는 각각의 실시예를 독립적으로 하여 실시될 수도 있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실시예들을 결합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400: 운동 보조 장치
110, 210, 310, 410: 등받이 지지부
120, 220, 320, 420: 등받이부
130, 230, 330, 430: 다리부
340: 인장부
450: 모니터링부

Claims (6)

  1. 등받이 지지부;
    상기 등받이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등받이 베드를 포함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길이 조절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리 프레임, 상기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리 베드 및 상기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리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일단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길이 조절부재 및 상기 길이 조절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도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프레임은 제1 다리 프레임 및 제2 다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 베드는 상기 제1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다리 베드 및 상기 제2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다리 베드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부는 일단이 상기 제1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다리 프레임에 결합되는 간격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지지부와 상기 등받이부에 연결되는 인장부를 더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는,
    상기 등받이 지지부에 결합되는 인장 프레임, 상기 인장 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회전 드럼, 상기 인장 프레임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 회전 드럼, 상기 제1 회전 드럼과 상기 제2 회전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는 이동 로프,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상기 이동 로프에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이동 로프에 연결되는 인장부재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및 상기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근전도 센서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근전도 센서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부재를 포함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0220024389A 2022-02-24 2022-02-24 운동 보조 장치 KR20230126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389A KR20230126931A (ko) 2022-02-24 2022-02-24 운동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389A KR20230126931A (ko) 2022-02-24 2022-02-24 운동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931A true KR20230126931A (ko) 2023-08-31

Family

ID=8784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389A KR20230126931A (ko) 2022-02-24 2022-02-24 운동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9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708B1 (ko) 2014-08-14 2016-04-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형 도립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708B1 (ko) 2014-08-14 2016-04-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형 도립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4875B2 (en) Portabl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knee joint
US7794367B2 (en) Foot exerciser and associated methods
US5938573A (en) Stretch therapy apparatus for physical fitness, rehabilitation and medical treatment
US5645516A (en) Therapeutic lower extremity exerciser and foot rest
KR101425558B1 (ko) 좌석형 재활 운동장치
US20160271443A1 (en) Leg stretcher
KR101287134B1 (ko)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US20160106613A1 (en) Whole body exercise machine capable of circular orbital movement of waist
KR101459696B1 (ko) 전동식 정형용 다리관절 운동장치
JP6091647B2 (ja) シャドウ脚付きの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US5520615A (en) Shoulder stretching and rotation machine
KR20140071164A (ko) 체형 교정기
WO2016043576A1 (en) An apparatus for physical exercises
KR102671071B1 (ko) 무릎 재활훈련기구
GB2389533A (en) Stretching apparatus
KR102036743B1 (ko) 하지 근육 운동 장치
KR101252723B1 (ko)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KR20230126931A (ko) 운동 보조 장치
KR20170001181U (ko) 아암부독립복합운동기구
KR101611385B1 (ko) 거꾸리 운동기구
KR102001346B1 (ko) 반전 운동이 가능한 수동 거꾸리 운동장치
KR101527593B1 (ko) 전보행 재활 훈련기
KR20220073598A (ko) 상지 및 하지의 근력 강화 재활운동 로봇장치
US7766852B2 (en) Nerve treatment apparatus
KR101559703B1 (ko) 거꾸리 운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