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941A - Water purifier and filter module therefo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and filter module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941A
KR20230122941A KR1020220019809A KR20220019809A KR20230122941A KR 20230122941 A KR20230122941 A KR 20230122941A KR 1020220019809 A KR1020220019809 A KR 1020220019809A KR 20220019809 A KR20220019809 A KR 20220019809A KR 20230122941 A KR20230122941 A KR 20230122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rbon block
water
filter modu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8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수혜
김종필
이상덕
최유승
이진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9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2941A/en
Priority to PCT/KR2023/002126 priority patent/WO2023158184A1/en
Publication of KR2023012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9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및 이를 위한 필터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은, 원수가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원수를 정화하는 중공의 원통형인 카본블럭과, 상기 카본블럭 내에 구비되어 상기 카본블럭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를 하단에서 유입하여 상측으로 안내하며 정화하는 이너필터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and a filter module therefor.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into which raw water flows, a hollow cylindrical carbon block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purify the raw water, and a carbon block provided in the carbon block to purify the raw water. It includes an inner filter that guides purified water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purifies it.

Description

정수기 및 이를 위한 필터모듈 {WATER PURIFIER AND FILTER MODULE THEREFOR}Water purifier and filter module for it {WATER PURIFIER AND FILTER MODULE THEREFOR}

본 발명은 정수기 및 이를 위한 필터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and a filter module therefor.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와 같은 원수를 정화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다양한 정화방법을 통하여 원수를 정수로 전화하여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A water purifier refers to a device that purifies raw water such as tap water or ground water. That is, it refers to a device for converting raw water into purified water through various purification methods and providing it.

정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침전, 여과 그리고 살균 등의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 등을 통해 유해 물질이 제거됨이 일반적이다.In order to produce purified water, processes such as precipitation, filtration, and sterilization may be performed, and harmful substances are generally removed through such processes.

일반적으로, 정수기에는 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필터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들은 그 기능에 따라 세디먼트 필터, 활성탄 필터, UF 중공사막 필터, RO 멤브레인 필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general, water purifiers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filters to purify raw water. These filters may be classified into a sediment filter, an activated carbon filter, a UF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an RO membrane filter,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상기 세디먼트 필터는 원수 내의 입자가 큰 오염물이나 부유물을 침전시키기 위한 필터라 할 수 있으며, 활성탄 필터는 입자가 작은 오염물, 잔류 염소,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나 냄새 발생 인자들을 흡착하여 제거하기 위한 필터라 할 수 있다.The sediment filter may be referred to as a filter for precipitating large-particle contaminants or suspended matter in raw water, and the activated carbon filter may be referred to as a filter for adsorbing and removing small-particle contaminants, residual chlorine, volatile organic compounds, or odor generating factors. can

또한, 상기 활성탄 필터는 일반적으로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즉, 원수 측에 구비되는 프리 활성탄 필터(pre carbon filter)와 정수 측에 구비되는 포스트 활성탄 필터(post carbon filte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활성탄 필터는 주로 정수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냄새 유발 물질을 제거하여 물맛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tivated carbon filter may be generally provided with two. That is, it may be provided with a pre-activated carbon filter provided on the raw water side and a post-activated carbon filter provided on the purified water side. The post-activated carbon filter may be provided to improve the taste of water by removing odor-causing substances that mainly affect the taste of purified water.

또한, UF 중공사막 필터와 RO 멤브레인 필터는 양자가 선택적으로 사용됨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it is common that both the UF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and the RO membrane filter are selectively used.

최근 정수기의 수요가 현저히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요구 조건이 발생되고 이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water purifiers has increased remarkably. Accordingly, various requirements are generated, and it is difficult to simultaneously satisfy them.

일례로, RO 멤브레인 필터를 적용하는 중금속의 제거가 가능하나, 정수 유량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원하는 만큼의 정수량을 얻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heavy metals can be removed by applying an RO membrane filter, but it is difficult to secure purified water flow rate.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obtain a desired amount of purified water.

반면, UF 중공사막 필터의 경우, 고유량 확보는 가능하나, 수중의 중금속 제거가 어렵기 때문에 지하수 또는 오염 지역의 수돗물을 원수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UF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it is possible to secure a high flow rate, but since it is difficult to remove heavy metals from water, it is difficult to use underground water or tap water from a polluted area as raw water.

따라서, 중금속 제거와 고유량 확보는 서로 모순되는 문제로 인식될 수밖에 없었다. 왜냐하면, 중금속 제거를 위해 RO 멤브레인 필터 사용 시 고유량의 확보가 어렵고, 고유량 확보를 위해 UF 중공사막 필터 사용 시 중금속 제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Therefore, heavy metal removal and high flow rate were inevitably recognized as contradictory issues.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high flow rate when an RO membrane filter is used to remove heavy metals, and it is difficult to remove heavy metals when a UF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is used to secure a high flow rate.

또한, 종래의 경우, 수중의 중금속 중 비소(As), 카드뮴(Cd), 납(Pb), 알루미늄(Al), 수은(Hg), 철(Fe), 구리(Cu)를 포함한 총 7종의 제거를 주목적으로 중금속 제거 필터가 제작되어 왔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 total of seven kinds of heavy metals including arsenic (As), cadmium (Cd), lead (Pb), aluminum (Al), mercury (Hg), iron (Fe), and copper (Cu) Heavy metal removal filters have been manufactured for the main purpose of removal.

그러나, 최근에는 상기 7종의 중금속은 물론, 수중의 세레늄(Se), 크롬(Cr), 망간(Mn), 아연(Zn)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중금속 제거까지 필요한 상황에 놓였다.However, 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necessary to remove not only the above seven heavy metals but also various types of heavy metals including selenium (Se), chromium (Cr), manganese (Mn), and zinc (Zn) in water.

하지만, 종래 정수기 필터의 경우, 고유량을 확보하면서, 상기 7종의 중금속을 완벽하게 제거하기에 역부족인 것은 물론, 수중의 세레늄(Se), 크롬(Cr), 망간(Mn), 아연(Zn) 등의 제거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filter, it is not enough to completely remove the above seven heavy metals while securing a high flow rate, as well as selenium (Se), chromium (Cr), manganese (Mn), and zinc (Zn) in water.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moval of the etc. is not performed at al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레늄(Se), 크롬(Cr), 망간(Mn), 아연(Zn)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정수기 및 이를 위한 필터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various types of heavy metals including selenium (Se), chromium (Cr), manganese (Mn), and zinc (Zn) and a filter module therefo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은, 원수가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원수를 정화하는 중공의 원통형인 카본블럭과, 상기 카본블럭 내에 구비되어 상기 카본블럭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를 하단에서 유입하여 상측으로 안내하며 정화하는 이너필터를 포함한다.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into which raw water flows, a hollow cylindrical carbon block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purify the raw water, and a carbon block provided in the carbon block to purify the raw water. It includes an inner filter that guides purified water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purifies it.

상기 카본블럭은 활성탄, 수산화철(Ferric Hydroxide), 티타늄산화물(Titania)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carbon block may be prepared by mixing activated carbon, ferric hydroxide, titanium oxide, and a binder.

상기 카본블럭은 0가철(Zero Valent Iron)을 더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carbon block may be prepared by further mixing zero valent iron.

상기 카본블럭은 활성탄 28~45중량%, 수산화철 15~20중량%, 티타늄산화물 20~40중량%, 바인더 16~2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carbon block may be prepared by mixing 28 to 45% by weight of activated carbon, 15 to 20% by weight of iron hydroxide, 20 to 40% by weight of titanium oxide, and 16 to 25% by weight of a binder.

상기 이너필터는 상기 정수에서 크롬(Cr) 또는 세레늄(Se)을 포함하는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inner filter may remove ionic materials including chromium (Cr) or selenium (Se) from the purified water.

상기 이너필터는, 정수를 하단에서 상측으로 안내하는 원통형의 이너코어; 및 상기 이너코어 내에 충진된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는 이온교환을 할 수 있는 이온을 지닌 불용성 합성수지일 수 있다.The inner filter may include a cylindrical inner core for guiding purified wa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a filler filled in the inner core, and the filler may be an insoluble synthetic resin having ions capable of ion exchange.

상기 충진재는, 3차원적으로 가교된 고분자 모체와, 황산기, 아민(Amine)기 및 디메틸에탄올아민(Dimethylethanolamine)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기로 구성The filler is composed of a three-dimensionally crosslinked polymer matrix and at least one exchange group of a sulfate group, an amine group, and a dimethylethanolamine group

고분자 모체는 아크릴(Acrylic) 수지일 수 있다.The polymer matrix may be an acrylic resin.

상기 이너필터는, 상기 이너코어의 하단에 결합되며 정수가 통과되는 이너홀이 형성되는 이너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filter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cap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inner core and having an inner hol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passes.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카본블럭의 저면에 결합되는 필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캡은 상기 필터베이스의 상측에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bas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arbon block, and the inner cap may be spaced apart from an upper side of the filter base.

상기 이너코어는 최대 외경이 상기 카본블럭의 최소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The inner core may have a maximum outer diameter smaller than a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carbon block.

상기 이너코어는 상기 카본블럭에서 정화된 정수를 하단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inner core may guide purified water purified from the carbon block to a lower side.

상기 이너코어는 상기 카본블럭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inner core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carbon block.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카본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는 필터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탑은 상기 원수가 유입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카본블럭 사이로 안내할 수 있다.The filte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towe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arbon block, and the filter tower may introduce the raw water and guide it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arbon block.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탑의 둘레에 배치되는 하우징캡과, 상기 하우징캡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캡은 상기 필터탑과의 사이에 상기 이너필터에서 정화된 정수가 유출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housing includes a housing cap disposed around the filter top and a cylindrical housing body with an open top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cap, and the housing cap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filter and the filter top. It is possible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purified purified water flows out.

상기 이너필터는 상부가 상기 필터탑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filter may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to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은, 원수가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원수를 정화하는 중공의 원통형인 카본블럭과, 상기 카본블럭의 중공 내에 구비되고 상기 카본블럭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에서 크롬(Cr) 또는 세레늄(Se)을 포함하는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이너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into which raw water flows, a hollow cylindrical carbon block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purify the raw water, and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carbon block by the carbon block. An inner filter filled with an ion exchange resin for removing ionic substances including chromium (Cr) or selenium (Se) from purified purified water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원수로부터 정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모듈을 포함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상술한 필터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filter module to generate purified water from raw water, and the filter module may be formed of the filter module described abov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정수기 및 이를 위한 필터모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purifier and the filter module for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첫째, 비소(As), 카드뮴(Cd), 납(Pb), 알루미늄(Al), 수은(Hg), 철(Fe), 구리(Cu) 외 망간(Mn), 아연(Zn), 세레늄(Se), 크롬(Cr)을 포함한 11종의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arsenic (As), cadmium (Cd), lead (Pb), aluminum (Al), mercury (Hg), iron (Fe), copper (Cu), manganese (Mn), zinc (Zn), selenium (Se ),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move 11 kinds of heavy metals including chromium (Cr).

둘째, 카본블럭 혼합층 내에 티타늄산화물 적절하게 혼합하여 망간(Mn), 아연(Zn)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Second,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manganese (Mn) and zinc (Zn) can be removed by appropriately mixing titanium oxide in the carbon block mixed layer.

셋째, 기존과 동일한 필터 공간에 이온교환수지를 추가하되 물과 이온교환수지의 접촉시간을 최적화하여 세레늄(Se), 크롬(Cr)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elenium (Se) and chromium (Cr) can be removed by adding an ion exchange resin to the same filter space as before, but optimizing the contact time between water and the ion exchange resi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관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헤드 및 필터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하우징캡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하우징바디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필터탑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필터탑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이노코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이노캡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필터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에서 원수 및 정수가 유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에서 활성탄의 중금속 제거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에서 음이온교환수지의 중금속 제거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에서 원수 및 정수가 유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pipe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head and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cap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body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top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er tower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ocore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ocap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base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that raw water and purified water flow in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heavy metal removal mechanism of activated carbon in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heavy metal removal mechanism of an anion exchange resin in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that raw water and purified water flow in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of course.

이하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ntervening" or that each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element.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includ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it says "A and/or B", it means A, B or A and B,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when it says "C to D", it means no particular contrary description As long as there is no, it means C or more and D or les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및 이를 위한 필터모듈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water purifier and a filter module therefo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대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한 후 정화된 정수를 냉각 또는 가열시켜 취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직수형 냉온 정수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wate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purifies raw water directly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nd then cools or heats the purified water to take it out. For example, it may be a direct water type cold/hot water purifier. there is.

여기서, 직수형 정수기란 정수가 저장되는 저수조가 없이 사용자의 정수 추출 동작시에 정수가 추출되는 형태의 정수기를 말한다.Here, the direct water purifier refers to a type of water purifier in which purified water is extracted during a user's operation of extracting purified water without a water tank for storing purified water.

정수기(10)는 다수의 패널의 결합에 의해 외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1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과, 양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12)과,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 패널(13)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미도시)과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 패널(미도시)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으로 대략 육면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패널들이 결합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정수를 위한 다수의 부품들이 장착된다.The water purifier 10 may have an external appearanc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anels. More specifically, the water purifier 10 includes a front panel 11 forming a front exterior, a side panel 12 forming both side exteriors, an upper panel 13 forming an upper exterior, and a rear exterior. It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s a whole by combining a rear panel (not shown) forming the and a base panel (not shown) forming the lower surface. In addition, a plurality of parts for water purification are moun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combining the panels.

전면 패널(11)에는, 사용자가 정수기(10)의 동작 명령을 입력함과 동시에, 정수기(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조작표시부(14)가 구비된다.The front panel 11 includes an operation display unit 14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water purifier 10 when a user inputs an operation command of the water purifier 10 .

조작표시부(14)는 다수의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제공되면서 각 버튼으로 빛의 조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가 조작 표시부(14)의 버튼을 가압하거나 터치하게 되면, 선택된 버튼에는 빛이 조사됨으로써 버튼의 선택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도 있으며, 표시부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The operation display unit 14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buttons or a touch screen and is formed to enable light irradiation with each button. When the user presses or touches a button of the operation display unit 14, light is irradiated on the selected button,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button is selected or not, and the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is performed simultaneously.

조작표시부(14)에는 취수하고자 하는 정수의 종류 다시 말해, 냉수, 온수 또는 상온수를 선택하는 버튼과, 연속 출수를 위한 버튼 등이 제공되며, 온수의 전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버튼과 온수와 냉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제공된다. 조작표시부(14)에는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일부 버튼이 생략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The operation display unit 14 is provided with a button for selecting the type of purified water to be consumed, that is, cold water, hot water, or normal temperature water, and a button for continuous water dispen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emperature is provided. Buttons for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s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operation display unit 14,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some buttons may be omitted may be possible.

조작표시부(14)의 하측에는 사용자가 정수를 출수하기 위하여 조작 가능한 워터 슈트(15)가 구비된다. 워터 슈트(15)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정수를 출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워터 슈트(15)는 사용자가 정수를 출수하기 위하여 취출구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므로, 개폐장치 또는 개폐노즐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A water chute 15 operable by the user to extract purified water is provided below the operation display unit 14 . The water chute 15 is provided so that purified water can be extracted by a user's manipulation. Since the water chute 15 functions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for the user to extract purified water, it can be expressed as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r an opening and closing nozzle.

워터 슈트(15)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수기(10)의 기능에 따라 정수, 냉수 또는 온수 등을 출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워터 슈트(15)의 하측, 상세하게는 전면 패널(11)의 전면 하단부에는 워터 슈트(15)에서 낙하하는 정수를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가 구비된다.The water chute 15 is configured to discharge purified water, cold water, or hot water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water purifier 10 by a user's manipula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water chute 15, in detail, the front panel 11 A tray for accommodating purified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chute 15 is provided at the lower front portion of the water chute 15.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관에 대한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ipe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급수원(S)으로부터 정수기(10)의 워터 슈트(15)에 이르기까지 급수 라인(L)이 형성되며, 급수 라인(L)에는 각종 밸브와 정수 부품이 연결될 수 있다.A water supply line L is form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S to the water chute 15 of the water purifier 10, and various valves and water purification parts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line L.

급수 라인(L)은 급수원(S), 예컨대 가정의 수도꼭지 등에 연결되고, 급수 라인(L)의 어느 지점에는 필터 어셈블리(17)가 배치된다. 필터 어셈블리(17)는 급수원(S)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화한다.The water supply line (L)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S), for example, a faucet at home, and a filter assembly 17 is disposed at a certain point of the water supply line (L). The filter assembly 17 purifies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S).

필터 어셈블리(17)의 출구단에 연결되는 급수 라인(L)에는 급수 밸브(61)와 유량 센서(7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유량 센서(70)에 의하여 감지되는 공급량이 설정 유량에 도달하면 급수 밸브(61)가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 water supply valve 61 and a flow sensor 7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water supply line L connected to the outlet end of the filter assembly 17 . When the supply amount sensed by the flow sensor 70 reaches the set flow rate, the water supply valve 61 may be controlled to be closed.

유량 센서(70)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급수 라인(L)은 어느 지점에서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과,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 및 냉각수 공급용 급수 라인(L2)이 분지될 수 있다.In the water supply line (L) extending from the outlet end of the flow sensor 70, at some point, the water supply line (L1) for supplying hot water, the water supply line (L3) for supplying cold water, and the water supply line (L2) for supplying cool water are branched. can

유량 센서(70)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급수 라인(L)의 단부에는 정수 출수 밸브(66)가 장착되고,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의 단부에는 온수 출수 밸브(64)가 장착된다.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의 단부에는 냉수 출수 밸브(65)가 장착되고, 냉각수 공급용 급수라인(L2)의 어느 지점에는 냉각수 밸브(63)가 장착된다. 냉각수 밸브(63)는 냉수 생성 유닛(2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을 조절한다.A purified water outlet valve 66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line L extending from the outlet end of the flow sensor 70, and a hot water outlet valve 64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line L1 for supplying hot water. A cold water outlet valve 65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water supply line L3 for supplying cold water, and a cooling water valve 63 is installed at a point in the water supply line L2 for supplying cooling water. The cooling water valve 63 controls the amount of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20 .

온수 출수 밸브(64)와, 냉수 출수 밸브(65) 및 정수 출수 밸브(66)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급수 라인은 모두 워터 슈트(15)에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라, 정수, 냉수 및 온수가 단일의 취출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립된 취출구들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Water supply lines extending from outlet ends of the hot water outlet valve 64, the cold water outlet valve 65, and the purified water outlet valve 66 are all connected to the water chute 15. Depending on the embodiment,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single outlet, or in some cases,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independent outlets, respectively.

이하, 냉수 및 온수 공급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supplying cold water and hot water will be described.

먼저, 냉수의 경우, 냉각수 밸브(63)가 열려 냉수 생성 유닛(20)으로 정수가 공급되면, 냉수 생성 유닛(20)을 통과하는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의 정수가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면서 냉수가 생성된다.First, in the case of cold water, when the cooling water valve 63 is opened and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20, the purified water of the cold water supply line L3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20 is cooled by the cooling water. Cold water is produced.

이때, 냉각수 공급용 급수라인(L2)에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매 사이클을 구비할 수 있다. 냉매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변, 증발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 refrigerant cycle for cooling the cooling water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line L2 for supplying the cooling water. A refrigerant cycle may include a compressor, condenser, expansion valve, evaporator, and the like.

이후, 조작표시부의 냉수선택 버튼을 눌러 냉수 출수 밸브(65)가 개방되면 워터 슈트(15)를 통하여 냉수가 취출될 수 있다.Then, when the cold water selection button of the operation display unit is pressed and the cold water dispensing valve 65 is opened, cold water can be dispensed through the water chute 15 .

온수의 경우,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을 따라 흐르는 정수가 온수 히터(30)에 의해 가열되면서 온수가 생성되고, 조작표시부의 온수선택 버튼을 눌러 온수 출수 밸브(64)가 개방되면 워터 슈트(15)를 통하여 온수가 취출될 수 있다.In the case of hot water, hot water is generated as the purified water flowing along the water supply line L1 for hot water supply is heated by the hot water heater 30, and when the hot water selection button on the operation display unit is pressed, the hot water outlet valve 64 is opened, the water chute Hot water can be dispensed through (15).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에 대한 사시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17)는 프리필터(100)와, 복합 필터(200)와, 프리필터(100) 및 복합필터(200)가 결합되는 헤드유닛(900)을 포함한다.The filter assembly 1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filter 100, a composite filter 200, and a head unit 900 to which the pre-filter 100 and the composite filter 200 are coupled. .

프리필터(100)는 입자가 작은 오염물, 잔류 염소,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나 냄새 발생 인자들을 흡착하여 제거하기기 위한 카본블럭이 내장된다.The pre-filter 100 has a built-in carbon block for adsorbing and removing small particle contaminants, residual chlorine, volatile organic compounds or odor generating factors.

복합필터(200)는, 입자성물질 및 박테리아 제거를 위한 중공사막과, 입자성 물질,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제거를 위한 정전흡착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e filter 200 may include a hollow fiber membrane for removing particulate matter and bacteria, and an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for removing particulate matter, bacteria and viruses.

헤드유닛(900)는 급수 라인(L)에 배치되어 원수와 정수가 유동되는 유로와 연결된다.The head unit 900 is disposed in the water supply line L and is connected to a flow path through which raw water and purified water flow.

프리필터(100) 및 복합필터(200) 각각은 원수를 정화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모듈(120)과, 필터모듈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필터헤드(110)를 포함한다.Each of the pre-filter 100 and the composite filter 200 includes a filter module 120 that purifies raw water to generate purified water, and a filter head 110 to which the filter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본 실시예에서 헤드유닛(900)은 프리필터(100)와 복합필터(200)를 직렬로 연결하여, 프리필터(100)에서 정화된 정수를 복합필터(200)로 안내한다. 실시예에 따라, 프리필터(100)와 복합필터(200)는 동일한 필터로 구성되고 헤드유닛(900)은 두 필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두 필터에 동시에 원수를 공급하고 동시에 출수되는 정수를 급수 라인(L)으로 보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ead unit 900 connects the pre-filter 100 and the composite filter 200 in series, and guides the purified water purified in the pre-filter 100 to the composite filt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re-filter 100 and the composite filter 200 are composed of the same filter, and the head unit 900 connects the two filters in series to supply raw water to the two filters at the same time and to supply the purified water simultaneously to the water supply line. can be sent to (L).

이하에서, 필터헤드(110) 및 필터모듈(120)은 프리필터(100)에 포함된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lter head 110 and the filter module 120 will be describ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filter 100 as an exampl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헤드 및 필터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head and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필터헤드(110)는 헤드유닛(900)에 결합되어 원수와 정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필터헤드(110)는 필터모듈(120)의 결합시 원수를 필터모듈(120)로 안내하고, 필터모듈(120)에서 생성된 정수를 외부로 안내한다. 필터헤드(110)의 하부에는 필터모듈(120)이 착탈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헤드(110)는 필터모듈(120)의 분리시 원수가 하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The filter head 110 is coupled to the head unit 900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raw water and purified water flow. The filter head 110 guides raw water to the filter module 120 when the filter module 120 is coupled, and guides purified water generated in the filter module 120 to the outside. A filter module 120 is detachably disposed below the filter head 110 . The filter head 110 prevents raw water from leaking downward when the filter module 120 is separated.

필터모듈(120)은 필터헤드(110)을 통하여 유입된 원수를 정화하여 정수를 생성한다. 필터모듈(120)은 내부에 카본블럭, 중공사막 및 정전흡착 부직포 등과 같은 필터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카본블럭 및 이온교환수지가 구비된다.The filter module 120 purifies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lter head 110 to generate purified water. The filter module 120 may include a filter member such as a carbon block, a hollow fiber membrane, and an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In this embodiment, a carbon block and an ion exchange resin are provided.

필터모듈(120)은 필터헤드(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필터모듈(120)은 하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된다. 필터모듈(120)은 결합된 상태에서 하측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분리된다.The filter module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lter head 110 . The filter module 120 is coupled by rotating clockwise when viewed from the bottom. The filter module 120 is separated when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bottom in a coupled state.

본 실시예에서, 필터모듈(120)은 90도를 회전하여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즉, 필터모듈(120)은 하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결합되고,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분리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lter module 120 is coupled or separated by rotating 90 degrees. That is, the filter module 120 is combined when rotated 90 degrees clockwise when viewed from the bottom side, and separated when rotated 90 degrees counterclockwis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6 and 7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120)은, 외관을 형성하며 필터헤드(110)로부터 안내되는 원수가 유입되는 하우징(121, 122)과, 하우징(121, 122)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정화하는 중공의 원통형인 카본블럭(129)과, 카본블럭(129) 내에 구비되어 카본블럭(129)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를 하단에서 유입하여 상측으로 안내하며 정화하는 이너필터(125, 126, 128)와, 카본블럭(129)의 상면에 결합되어 필터헤드(110)에서 유입된 원수를 하우징(121, 122)과 카본블럭(129) 사이로 안내하는 필터탑(123)과, 카본블럭(129)의 저면에 결합되는 필터베이스(127)와, 필터탑(123)이 상단에 결합되어 필터헤드(110)와 필터탑(123) 사이를 밀봉하는 필터실러(124)를 포함한다.The filter modul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external appearance and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s 121 and 122 into which raw water guided from the filter head 110 flows, and the housings 121 and 122 to obtain raw water A hollow cylindrical carbon block 129 for purifying the water, and an inner filter provided in the carbon block 129 and purifying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carbon block 129 by flowing in from the bottom and guiding it to the upper side (125, 126, 128), a filter tower 123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rbon block 129 and guiding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filter head 110 between the housings 121 and 122 and the carbon block 129, and the carbon block 129 ) and a filter sealer 124 coupled to the top of the filter top 123 to seal between the filter head 110 and the filter top 123.

하우징(121, 122)은 필터모듈(120)의 외관을 형성하며 대략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21, 122)은 내부에 필터탑의 둘레에 배치되는 하우징캡(121)과, 하우징캡(121)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바디(122)를 포함한다.The housings 121 and 122 form the exterior of the filter module 120 and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housings 121 and 122 include a housing cap 121 dispos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filter top and a cylindrical housing body 122 with an open top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cap 121.

하우징캡(121)은, 필터모듈(12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며 필터헤드(110)에 결합된다. 하우징캡(121)은 상부가 좁은 역깔대기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캡(121)은 상단이 필터헤드(110)의 내부로 삽입된다. 하우징캡(121)의 내부에는 필터탑(123)이 배치된다. 하우징캡(121)의 하부에는 하우징바디(122)가 결합된다. 하우징캡(121)은, 필터탑(123)과의 사이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로와 정수가 유출되는 유로를 형성한다.The housing cap 121 forms an upper exterior of the filter module 120 and is coupled to the filter head 110 . The housing cap 121 is formed in an inverted funnel shape with a narrow top.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cap 121 is inserted into the filter head 110 . A filter tower 123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cap 121 . A housing body 122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cap 121 . The housing cap 121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in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out between the filter top 123 and the filter tower 123 .

하우징바디(122)은 하우징캡(121)과 결합되어 필터모듈(120)의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바디(122)의 내부에는 카본블럭(129), 이너코어(125), 이너캡(126) 및 필터베이스(127)가 수용된다. 하우징바디(122)은 카본블럭(129)과 이격되어 원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한다.The housing body 122 is combined with the housing cap 121 to form the exterior of the filter module 120 . Inside the housing body 122, the carbon block 129, the inner core 125, the inner cap 126, and the filter base 127 are accommodated. The housing body 122 is spaced apart from the carbon block 129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카본블럭(129)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둘레면으로 원수가 통과하여 정화된다. 카본블럭(129)은 하우징바디(122) 내부에 수용된다. 카본블럭(129)은 상단에 필터탑(123)이 결합되어 상면이 필터탑(123)에 의하여 커버된다. 카본블럭(129)은 하단에 필터베이스(127)가 결합되어 하면이 필터베이스(127)에 의하여 커버된다.The carbon block 129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purified. The carbon block 129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body 122. A filter top 123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carbon block 129 so that the top surface is covered by the filter top 123. A filter base 127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arbon block 129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covered by the filter base 127.

카본블럭(129)은 중공 내부에 이너필터(125, 126, 128)가 배치된다. 카본블럭(129)은 이너필터(125, 126, 128)와 이격되어 카본블럭(129)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가 하측으로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카본블럭(129)은 활성탄, 바인더, 수산화철(Ferric Hydroxide) 및 티타늄산화물(Titania)을 혼합하고, 중공의 원통형으로 성형하여 제조된다. 카본블럭(129)은 0가철(zero valent iron)이 혼합될 수 있다. 카본블럭(129)은 원수에서 수은(Hg), 납(Pb), 철(Fe), 알루미늄(Al), 카드뮴(Cd), 비소(As), 구리(Cu), 망간(Mn) 및 아연(Zn)을 제거한다.Inner filters 125, 126, and 128 are disposed inside the hollow of the carbon block 129. The carbon block 129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ilters 125, 126, and 128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carbon block 129 flows downward. The carbon block 129 is manufactured by mixing activated carbon, a binder, ferric hydroxide, and titanium oxide, and molding it into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carbon block 129 may be mixed with zero valent iron. The carbon block 129 is mercury (Hg), lead (Pb), iron (Fe), aluminum (Al), cadmium (Cd), arsenic (As), copper (Cu), manganese (Mn) and zinc ( Zn) is removed.

카본블럭(129)에 대한 성분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Components and functions of the carbon block 129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8.

이너필터(125, 126, 128)는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너필터(125, 126, 128)는 카본블럭(129)의 중공에 카본블럭(129)과 이격하여 배치된다. 이너코어(125)는 최대 외경이 카본블럭(129)의 최소 내경보다 작다.The inner filters 125, 126, and 128 are formed in a vertically long cylindrical shape. The inner filters 125 , 126 , and 128 are spaced apart from the carbon block 129 in the hollow of the carbon block 129 .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inner core 125 is smaller than the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carbon block 129.

이너필터(125, 126, 128)는 카본블럭(129)과의 사이에 카본블럭(129)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가 하측으로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너필터(125, 126, 128)는 카본블럭(129)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를 하단으로 안내한다. 이너필터(125, 126, 128)는 정수가 하단으로 유입되도록 하단에 홀이 형성된다. 이너필터(125, 126, 128)는 하단으로 유입된 정수를 다시 정화하며 상측으로 안내한다. 이너필터(125, 126, 128)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되어 카본블럭(129)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에서 이온성 물질인 탄산염, 다가 산소, 납(Pb)이나 우라늄(U) 등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음이온 상태로 물에 존재하는 크롬(Cr) 및 세레늄(Se)을 제거한다.Between the inner filters 125, 126, and 128 and the carbon block 129, a flow path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carbon block 129 flows downward is formed. The inner filters 125, 126, and 128 guide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carbon block 129 to the bottom. The inner filters 125, 126, and 128 have a hole formed at the bottom so that purified water flows into the bottom. The inner filters 125, 126, and 128 purify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lower part again and guide it to the upper part. The inner filters (125, 126, 128) are filled with ion exchange resin to remove ionic substances such as carbonate, polyvalent oxygen, heavy metals such as lead (Pb) or uranium (U) from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carbon block (129). In particular, it removes chromium (Cr) and selenium (Se) present in water in an anionic state.

이너필터(125, 126, 128)는 상부가 필터탑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너필터(125, 126, 128)에서 정화된 정수는 이너필터(125, 126, 128)로 유동되어 이너필터(125, 126, 128)와 하우징캡(121) 사이로 유출된다.Upper portions of the inner filters 125, 126, and 128 ar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tower. The purified water from the inner filters 125 , 126 , and 128 flows into the inner filters 125 , 126 , and 128 and flows out between the inner filters 125 , 126 , and 128 and the housing cap 121 .

이너필터(125, 126, 128)는, 정수를 하단에서 상측으로 안내하는 원통형의 이너코어(125)와, 이너코어(125) 내에 충진된 충진재(128)와, 이너코어(125)의 하단에 결합되며 정수가 통과되는 홀이 형성된 이너캡(126)을 포함한다.The inner filters 125, 126, and 128 include a cylindrical inner core 125 that guides purified wa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a filler 128 filled in the inner core 125, and a lower end of the inner core 125. It includes an inner cap 126 coupled with a hol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passes.

이너코어(125)는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너코어(125)는 카본블럭(129)의 중공 내부에 배치되어 카본블럭(129)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를 하측으로 안내한다. 이너코어(125)는 상부가 필터탑(123)과 결합되고, 하단이 이너캡(126)과 결합된다. 이너코어(125)는 최하단이 카본블럭(129)의 최하단보다 높게 배치된다.The inner core 12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The inner core 125 is disposed inside the hollow of the carbon block 129 and guides the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carbon block 129 to the lower side.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ore 125 is coupled to the filter tower 123 and the lower part is coupled to the inner cap 126 .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core 125 is disposed high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carbon block 129 .

이너캡(126)은 원판과 낮은 둘레면으로 구성된 원반형으로 형성된다. 이너캡(126)은 이너코어(125)의 하단에 결합된다. 이너캡(126)은 홀이 형성되어 카본블럭(129)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가 하측으로 상측으로 통과될 수 있다. 이너캡(126)은 카본블럭(129)의 중공 내 하부에 배치된다. 이너캡(126)은 필터베이스(127)의 상측에 이격하여 배치된다.The inner cap 126 is formed in a disk shape composed of a disk and a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inner cap 126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core 125 . A hole is formed in the inner cap 126 so that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carbon block 129 can pass through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inner cap 126 is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llow of the carbon block 129. The inner cap 126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base 127 .

충진재(128)는 이너코어(125) 내부에 충진되어 이너코어(125) 내를 유동하는 정수를 정화한다. 충진재(128)는 크롬(Cr) 또는 세레늄(Se)을 포함하는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온교환을 할 수 있는 이온을 지닌 불용성 합성수지인 이온교환수지이다. 충진재(128)는, 3차원적으로 가교된 고분자 모체와, 황산기, 아민(Amine)기 및 디메틸에탄올아민(Dimethylethanolamine)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분자 모체는 아크릴(Acrylic) 수지일 수 있다.The filler 128 is filled in the inner core 125 to purify purified water flowing in the inner core 125 . The filler 128 may be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removing ionic substances including chromium (Cr) or selenium (Se), and in this embodiment, an ion that is an insoluble synthetic resin having ions capable of ion exchange. It is a balance of exchange. The filler 128 may be composed of a three-dimensionally crosslinked polymer matrix and at least one exchange group selected from a sulfate group, an amine group, and a dimethylethanolamine group, and the polymer matrix is an acrylic resin can be

충진재(128)인 이온교환수지에 대한 성분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Components and actions of the ion exchange resin as the filler 128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8 .

필터탑(123)은 카본블럭(129)의 상면을 커버하며 필터헤드(110)로 유입된 원수를 하우징바디(122)과 카본블럭(129) 사이로 안내한다. 필터탑(123)은 상부가 필터헤드(110) 하부에 밀착되어 끼워진다. 필터탑(123)은 하우징캡(121)과 원수가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필터탑(123)은 하우징캡(121)과 정수가 유출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필터탑(123)은 하우징캡(121)의 내부에 배치된다. 필터탑(123)은 상단에 필터실러(124)가 결합되며 하부에 카본블럭(129)과 이너코어(125)가 결합된다.The filter top 123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carbon block 129 and guides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head 110 between the housing body 122 and the carbon block 129.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tower 123 is closely fit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head 110. The filter tower 123 forms a channel through which the housing cap 121 and raw water flow. The filter tower 123 forms a channel through which the housing cap 121 and purified water flow out. The filter top 123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cap 121. The filter top 123 has a filter sealer 124 coupled to the top and a carbon block 129 and an inner core 125 coupled to the bottom.

필터베이스(127)는 원판과 낮은 둘레면으로 구성된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카본블럭(129)의 하단에 결합된다. 필터베이스(127)는 카본블럭(129)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가 하우징바디(122)의 저면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카본블럭(129)의 저면을 커버한다. 필터베이스(127)는 카본블럭(129)의 하단 중공 부분까지 커버하여 하우징바디(122)의 저면에서 유동되는 원수가 카본블럭(129)의 중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필터베이스(127)는 중앙부 상측에 이너캡(126)이 이격하여 배치된다.The filter base 127 is formed in a disk shape composed of a disk and a low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arbon block 129. The filter base 127 covers the lower surface of the carbon block 129 so that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carbon block 129 does not leak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22 . The filter base 127 covers up to the lower hollow portion of the carbon block 129 to block raw water flow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22 from entering the hollow of the carbon block 129. In the filter base 127, the inner cap 126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하우징캡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하우징바디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필터탑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필터탑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이노코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이노캡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필터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cap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body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tower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xample,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er tower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innocore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ocap of the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base of the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캡(121)은, 원통형의 하우징캡상부(1211)와, 하우징캡상부(1211)의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대략적으로 원반형인 하우징캡본체(1212)와, 하우징캡본체(1212)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의 하우징캡하부(121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 a housing cap 1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housing cap upper portion 1211 and a substantially disk-shaped housing cap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cap upper portion 1211. It includes a main body 1212 and a cylindrical housing cap lower part 1213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cap main body 1212 .

하우징캡상부(1211)는 필터헤드(11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하우징캡상부(1211)의 둘레면에는 돌출된 헤드결합돌기(1211a)가 형성된다. 헤드결합돌기(1211a)가 필터헤드(110)에 형성된 돌기와 맞물려 필터모듈(120)이 결합된다.The housing cap upper part 1211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lter head 110 . A protruding head coupling protrusion 1211a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cap 1211. The head coupling protrusion 1211a engages with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filter head 110, and the filter module 120 is coupled.

하우징캡상부(1211)는 이너필터(125, 126, 128)에서 정화된 정수를 필터헤드(110)로 안내한다. 하우징캡상부(1211)는 적어도 일부가 필터탑상부(1231)의 둘레에 이격하여 배치된다. 하우징캡상부(1211)는 필터탑상부(1231)와의 사이에 이너필터(125, 126, 128)에서 정화된 정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한다.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cap 1211 guides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inner filters 125, 126, and 128 to the filter head 110.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cap upper portion 1211 is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filter top upper portion 1231.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cap 121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top 1231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inner filters 125, 126, and 128 flows.

하우징캡본체(1212)는 상측에 하우징캡상부(1211)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우징캡하부(1213)가 형성된다. 하우징캡본체(1212)는 적어도 일부가 필터탑하부(1235)의 상측에 이격하여 배치된다. 하우징캡본체(1212)는 필터탑하부(1235)와의 사이에 원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한다.The housing cap body 1212 has an upper housing cap 1211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 lower housing cap 1213 formed on the lower side. At least a part of the housing cap body 1212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art 1235 of the filter tower. The housing cap body 1212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between the lower part 1235 of the filter tower.

하우징캡하부(1213)는 하우징캡본체(1212)의 하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하우징캡하부(1213)는 하우징바디(122)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하우징바디(122)의 하우징바디상부(122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하우징캡하부(1213)은 카본블럭(129)의 상부 둘레에 이격하여 배치되어 카본블럭(129)과의 사이에 원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한다.The housing cap lower part 121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cap body 1212 .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cap 1213 is coupled to the housing body 122 and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upper part 1222 of the housing body 122 .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cap 1213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carbon block 129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between the carbon block 129 and the lower portion 1213 .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바디(122)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중공의 원통형인 하우징바디본체(1221)와, 하우징바디본체(1221)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의 하우징바디상부(122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housing body 1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cylindrical housing body body 1221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housing body body 1221. and an upper portion 1222 of the housing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하우징바디상부(1222)는 하우징캡(121)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내경이 하우징바디본체(122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우징캡하부(1213)가 삽입되어 결합된다.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body 1222 is coupled to the housing cap 121 and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housing body body 1221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cap 1213 is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하우징바디본체(1221)는 저면이 있으며 상측이 개구되어 하우징바디상부(1222)가 형성된다. 하우징바디본체(1221)는 내부에 카본블럭(129), 이너코어(125), 이너캡(126) 및 필터베이스(127)를 수용한다. 하우징바디본체(1221)은 내둘레면이 카본블럭(129)과 이격되어 원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하우징바디본체(1221)의 저면 상측에는 필터베이스(127)가 이격하여 배치된다. 하우징바디본체(1221)는 필터베이스(127)와의 사이에 원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한다.The housing body body 1221 has a lower surface and an upper portion is opened to form a housing body upper portion 1222 . The housing body body 1221 accommodates the carbon block 129, the inner core 125, the inner cap 126, and the filter base 127 there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body body 1221 is spaced apart from the carbon block 129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A filter base 127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body 1221 . The housing body body 1221 and the filter base 127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탑(123)은, 대략 중공의 원통형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필터유입구(1232)가 형성된 필터탑상부(1231)와, 원판형인 필터탑하부(1235)와, 필터탑하부(1235)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코어결합부(1236)를 포함한다.11 and 12, the filter tower 1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lter tower upper part 1231 formed with a filter inlet 1232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into a substantially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disc shape. A lower part of the phosphorus filter tower 1235 and a core coupling part 1236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tower 1235 are included.

필터탑상부(1231)는 상단에 필터실러(124)가 결합된다. 필터탑상부(1231)는 상부가 원수가 유입되는 필터유입구(1232)를 형성한다. 필터탑상부(1231)는 하단 일부가 개구되어 원수가 유출되는 필터탑원수유출구(1238)가 형성된다.The filter sealer 124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top portion 1231.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top part 1231 forms a filter inlet 1232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A part of the bottom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top 1231 is opened to form a filter top raw water outlet 1238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out.

필터탑상부(1231)는 중단 일부가 개구되어 정수가 유출되는 필터탑정수유출구(1239)가 형성된다. 필터탑상부(1231)는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필터캠(1237)이 형성된다. 필터캠(1237)는 필터모듈(120)이 필터헤드(110)에 결합될 때 필터헤드(110)의 밸브와 접촉되어 밸브를 개방하여 원수가 필터모듈(1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tower 1231 is opened to form a filter tower purified water outlet 1239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out. A filter cam 1237 protruding inward is formed inside the filter top portion 1231. The filter cam 1237 contacts the valve of the filter head 110 when the filter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filter head 110 to open the valve so that raw water can flow into the filter module 120 .

필터탑하부(1235)는 하우징캡본체(1212)의 하측에 이격하여 배치되어 하우징캡본체(1212)와의 사이에 원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필터탑하부(1235)는 필터탑상부(1231)의 하단에 연결되어 카본블럭(129)의 상면을 커버한다. 필터탑하부(1235)는 필터탑원수유출구(1238)에서 유출되는 원수가 카본블럭(129) 및 이너코어(125)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filter top lower portion 1235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cap body 1212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between the housing cap body 1212 and the housing cap body 1212 . The filter tower lower part 1235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lter tower upper part 1231 and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carbon block 129.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tower 1235 blocks raw water flowing out from the filter tower raw water outlet 1238 from flowing into the carbon block 129 and the inner core 125.

코어결합부(1236)는 카본블럭(129)의 중공에 삽입되어 외둘레면이 카본블럭(129)의 내면에 밀착된다. 코어결합부(1236)는 내부에 이너코어(125)의 이너코어상부(1252)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코어결합부(1236)는 이너코어상부(1252)가 필터탑정수유출구(1239)와 연통되도록 한다.The core coupling part 1236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carbon block 129 so that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dher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rbon block 129. The inner core upper part 1252 of the inner core 125 is inserted into the core coupling part 1236 and coupled thereto. The core coupling part 1236 allows the inner core upper part 1252 to communicate with the filter tower pure water outlet 1239.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코어(125)는, 내부에 충진재가 채워지는 중공의 원통형인 이너코어본체(1251)와, 이너코어본체(1251)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너코어상부(125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 the inner core 12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cylindrical inner core body 1251 filled with a filler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inner core body 1251. It includes the formed inner core upper part 1252.

이너코어본체(1251)는 상하로 긴 원통형이다. 이너코어본체(1251)는 카본블럭(129)의 중공에 배치된다. 이너코어본체(1251)는 외둘레면이 카본블럭(129)의 내둘레면과 이격하여 배치되어 카본블럭(129)과의 사이에 카본블럭(129)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너코어본체(1251)는 카본블럭(129)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를 하측으로 안내한다.The inner core body 1251 has a vertically long cylindrical shape. The inner core body 1251 is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carbon block 129.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re body 1251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bon block 129 to form a passag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arbon block 129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carbon block 129 flows. do. The inner core body 1251 guides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carbon block 129 downward.

이너코어본체(1251)는 하단으로 유입된 정수를 상측으로 안내한다. 이너코어본체(1251)는 내부에 충진재(128)가 충진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정수에서 크롬(Cr) 또는 세레늄(Se)을 포함하는 이온성 물질을 제거한다.The inner core body 1251 guides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e inner core body 1251 is filled with a filler 128 to remove ionic substances including chromium (Cr) or selenium (Se) from purified water flowing therein.

이너코어본체(1251)는 하단에 이너캡(126)이 결합된다. 이너코어본체(1251)는 하단에 홀 형태의 이너코어체결부(1253)가 형성되어 이너캡(126)의 이너캡체결부(1263)와 체결된다.The inner cap 126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core body 1251 . A hole-shaped inner core fastening part 1253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core body 1251 to be fastened with the inner cap fastening part 1263 of the inner cap 126 .

이너코어상부(1252)는 이너코어(125)가 필터탑(123)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필터탑(123)의 코어결합부(1236)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너코어상부(1252)는 충진재(128)에서 정화된 정수를 필터탑상부(1231)의 필터탑정수유출구(1239)로 안내한다.The upper part of the inner core 1252 is a part where the inner core 125 is coupled to the filter tower 123, and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re coupling part 1236 of the filter tower 123. The inner core upper part 1252 guides the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filler 128 to the filter tower pure water outlet 1239 of the filter tower upper part 1231.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캡(126)은, 원판형의 이너캡본체(1261)와, 이너캡본체(1261)의 둘레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너캡측부(126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4 , the inner cap 12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k-shaped inner cap body 1261 and an inner cap side part extending downward around the inner cap body 1261. (1262).

이너캡본체(1261)는 이너코어본체(1251)의 하부에 삽입되어 이너코어본체(1251)의 하단을 커버한다. 이너캡본체(1261)는 이너코어본체(1251)의 하단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이너캡본체(1261)는 정수가 통과하는 이너홀(1261a)이 형성된다. 정수가 충분한 유량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이너홀(1261a)이 이너캡본체(1261)의 대부분 면적을 차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너캡본체(1261)는 필터베이스(127)의 상측에 이격하여 배치된다.The inner cap body 1261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ore body 1251 and covers the lower end of the inner core body 1251 . The inner cap body 1261 is dispos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inner core body 1251 . The inner cap body 1261 is formed with an inner hole 1261a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passes. A plurality of inner holes 1261a are formed to occupy most of the area of the inner cap body 1261 so that purified water can pass through with a sufficient flow rate. The inner cap body 1261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base 127 .

이너캡측부(126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이너코어본체(1251) 하단에 결합된다. 이너캡측부(1262)는 돌출된 이너캡체결부(1263)가 형성된다. 이너캡체결부(1263)는 이너코어체결부(1253)에 삽입되어 이너캡(126)이 이너코어(125)에 체결된다. 이너캡측부(1262)는 하단 둘레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이너캡림(1264)이 형성된다. 이너캡림(1264)은 이너코어본체(1251) 하단에 걸림되어 이너캡측부(1262)가 이너코어본체(1251)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이너캡측부(1262)는 필터베이스(127)의 상측에 이격하여 배치된다.The inner cap side part 126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core body 1251. In the inner cap side portion 1262, a protruding inner cap fastening portion 1263 is formed. The inner cap fastening part 1263 is inserted into the inner core fastening part 1253 so that the inner cap 126 is fastened to the inner core 125 . The inner cap side portion 1262 has an inner cap rim 1264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round a lower end thereof. The inner cap rim 1264 is caught on the lower end of the inner core body 1251 to prevent the inner cap side portion 1262 from entering the inner core body 1251 . The inner cap side part 1262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base 127 .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베이스(127)는, 원판형의 필터베이스본체(1271)와, 필터베이스본체(1271)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필터베이스측부(127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5 , the filter base 12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k-shaped filter base body 1271 and a filter base sid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filter base body 1271. (1272).

필터베이스본체(1271)는 카본블럭(129)의 하면에 결합되어 카본블럭(129)의 하면을 커버한다. 필터베이스본체(1271)는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필터베이스리브(1271a)가 형성된다.The filter base body 1271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rbon block 129 and covers the lower surface of the carbon block 129 . The filter base body 1271 has a filter base rib 1271a protruding upward on its upper surface.

필터베이스측부(1272)는 카본블럭(129)의 둘레면 하단에 결합되어 카본블럭(129)의 둘레면 하단을 커버한다.The filter base side part 1272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bon block 129 and covers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bon block 129.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에서 원수 및 정수가 유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에서 활성탄의 중금속 제거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에서 음이온교환수지의 중금속 제거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raw water and purified water in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view showing a heavy metal removal mechanism of activated carbon in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showing a heavy metal removal mechanism of an anion exchange resin in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도 16 내지 도 1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8 .

급수원(S)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는 헤드유닛(900)으로 유입된 후 필터헤드(110)로 유동된다. 필터헤드(110)로 유동된 원수는 필터모듈(120)의 필터탑(123)의 필터탑상부(1231)로 유입된다. 필터탑상부(1231)의 필터유입구(1232)로 유입된 원수는 필터탑원수유출구(1238)로 유출되어 하우징캡본체(1212)와 필터탑하부(1235) 사이로 유동된다. 하우징캡본체(1212)와 필터탑하부(1235) 사이로 유동된 원수는 하우징캡하부(1213) 및 하우징바디본체(1221)의 내둘레면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되며 카본블럭(129)의 둘레면으로 유입된다. 카본블럭(129)으로 유입된 원수는 카본블럭(129)을 통과하며 정화된다. Raw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S) flows into the head unit (900) and then flows into the filter head (110). The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filter head 110 flows into the filter top portion 1231 of the filter top 123 of the filter module 120 .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inlet 1232 of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tower 1231 flows out through the raw water outlet 1238 of the filter tower and flows between the housing cap body 1212 and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tower 1235. The raw water flowing between the housing cap body 1212 and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tower 1235 flows downward along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cap 1213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body body 1221 and towar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bon block 129. is introduced Raw water flowing into the carbon block 129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arbon block 129.

카본블럭(129)은 활성탄, 수산화철, 티타늄산화물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되며, 실시예에 따라 0가철을 더 혼합할 수 있다. 티타늄산화물은, 이산화티타늄(TiO2) 및/또는 오르토티탄산나트륨(Na4TiO4)일 수 있다.The carbon block 129 is prepared by mixing activated carbon, iron hydroxide, titanium oxide, and a binder, and zero valent iron may be further mix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itanium oxide may be titanium dioxide (TiO 2 ) and/or sodium orthotitanate (Na 4 TiO 4 ).

카본블럭(129)은 외경 43~90mm, 내경 25~50mm, 길이 143~160mm의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rbon block 129 is preferably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of 43 to 90 mm, an inner diameter of 25 to 50 mm, and a length of 143 to 160 mm.

카본블럭(129)은 총중량 95~340g이고, 이 중 활성탄 30~150g, 수산화철 16~60g, 티타늄산화물 35~70g, 바인더 17~60g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rbon block 129 has a total weight of 95 to 340 g, and is preferably composed of 30 to 150 g of activated carbon, 16 to 60 g of iron hydroxide, 35 to 70 g of titanium oxide, and 17 to 60 g of binder.

본 실시예에서 카본블럭(129)은 활성탄 28~45중량%, 수산화철 15~20중량%, 티타늄산화물 20~40중량%, 바인더 16~25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rbon block 129 may include 28 to 45% by weight of activated carbon, 15 to 20% by weight of iron hydroxide, 20 to 40% by weight of titanium oxide, and 16 to 25% by weight of a binder.

도 17을 참조하면, 활성탄은 원수에서 수은(Hg), 납(Pb)을 제거한다. 활성탄은 카본에 카르복실기(-COOH) 작용기에서 H+ 2개를 내어 놓고, 2가 양이온 중금속(수은, 납)이온을 흡착하여 제거한다.Referring to FIG. 17, activated carbon removes mercury (Hg) and lead (Pb) from raw water. Activated carbon releases two H + from the carboxyl group (-COOH) functional group in carbon, and adsorbs and removes divalent cation heavy metal (mercury, lead) ions.

수산화철(Ferric Hydroxide)은 합성수산화철(α-FeOOH)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합성 수산화철(α-FeOOH) 화합물은 복수 개의 철(Fe)이 각각 수산화기(-OH)와 이온 결합을 하고, 각각의 철(Fe)이 하나의 산소(O)와 이온 결합 또는 공유 결합하는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Iron hydroxide (Ferric Hydroxide) may mean a synthetic iron hydroxide (α-FeOOH) compound. The synthetic iron hydroxide (α-FeOOH) compound is a functional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iron (Fe) forms an ionic bond with a hydroxyl group (-OH) and each iron (Fe) forms an ionic or covalent bond with one oxygen (O). can include

이러한 합성 수산화철(α-FeOOH) 화합물의 일례로, 랑세스(LanXess)사에서 제공되는 상표명 '베이옥사이드 E33HCF'가 사용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synthetic iron hydroxide (α-FeOOH) compound, a trade name 'Bay Oxide E33HCF' provided by LanXess may be used.

수산화철은 하기 식(1)과 같은 화학반응을 통해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다.Iron hydroxide can remove heavy metals through a chemical reaction as shown in Formula (1) below.

(1) (One)

여기서 'A'는 중금속을 의미하여, 중금속은 수용성 화합물 형태로 물에 녹아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중금속(A)은 비소(As)일 수 있으며, 수산화철은 OH- 2개를 내어 놓고, 비소 2가 음이온 형태 중금속을 킬레이션 반응으로 제거한다. 수산화철은 원수에서 철(Fe), 알루미늄(Al), 카드뮴(Cd), 비소(As), 구리(Cu)를 제거한다.Here, 'A' means a heavy metal, and the heavy metal may be dissolved in water in the form of a water-soluble compound. For example, the heavy metal (A) may be arsenic (As), and iron hydroxide releases OH-2, and the heavy metal in the form of an arsenic divalent anion is removed through a chelation reaction. Iron hydroxide removes iron (Fe), aluminum (Al), cadmium (Cd), arsenic (As), and copper (Cu) from raw water.

티타늄산화물은 복수의 산소(O)가 하나의 티타늄(Ti)과 공유결합하는 작용기를 갖는다.Titanium oxide has a functional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oxygens (O) are covalently bonded to one titanium (Ti).

이산화티타늄(TiO2)은 하기 식(2)과 같은 화학반응을 통해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다.Titanium dioxide (TiO 2 ) can remove heavy metals through a chemical reaction as shown in Formula (2) below.

(2) (2)

이산화티타늄은 H+ 2개를 내어 놓고, 망간(또는 아연) 2가 양이온 형태 중금속을 킬레이션 반응으로 제거한다. Titanium dioxide releases H + 2 and removes heavy metals in the form of manganese (or zinc) divalent cations through a chelation reaction.

이산화티타늄은 원수에서 망간(Mn), 아연(Zn)을 제거한다.Titanium dioxide removes manganese (Mn) and zinc (Zn) from raw water.

오르토티탄산나트륨(Na4TiO4)은 하기 식(3)과 같은 화학반응을 통해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다.Sodium orthotitanate (Na4TiO4) can remove heavy metals through a chemical reaction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Na4TiO4 + 2Me++ → Me2TiO4 + 4Na+ (3)Na 4 TiO 4 + 2Me ++ → Me 2 TiO 4 + 4Na + (3)

여기서, 'Me'는 중금속을 의미하고, 중금속은 수용성 화합물의 형태로 물에 녹아있는 상태이다. 일례로, 'Me'는 카드뮴(Cd)이 해당될 수 있다. 오르토티탄산나트륨 은 Na+ 4개를 내어 놓고, 카드뮴 등 2가 양이온 형태 중금속을 이온교환으로 제거한다.Here, 'Me' means a heavy metal, and the heavy metal is in the form of a water-soluble compound dissolved in water. For example, 'Me' may correspond to cadmium (Cd). Sodium orthotitanate releases 4 Na+ and removes heavy metals in the form of divalent cations such as cadmium through ion exchange.

카본블럭(129)을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는 이너코어본체(1251)의 외둘레면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된다. 이너코어본체(1251)이 하측으로 유동된 정수는 이너캡본체(1261)의 이너홀(1261a)을 통과하여 이너코어본체(1251) 내부로 유입된다. 이너코어본체(1251) 내부로 유동된 정수는 상측으로 유동하며 충진재(128)에 의하여 크롬(Cr) 및 세레늄(Se)이 정화된다.Purified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carbon block 129 flows down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re body 1251 . The purified water flowing downward through the inner core body 1251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core body 1251 through the inner hole 1261a of the inner cap body 1261 .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core body 1251 flows upward, and chromium (Cr) and selenium (Se) are purified by the filler 128 .

충진재(128)가 충진된 이너필터(125, 126, 128)는 외경이 23~45mm이고 길이가 130~143mm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재(128)는 25-100g이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filters 125, 126, and 128 filled with the filler 128 are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of 23 to 45 mm and a length of 130 to 143 mm. The filler 128 is preferably filled with 25-100g.

충진재(128)는 이온교환을 할 수 있는 이온을 지닌 불용성 합성수지인 이온교환수지이다. 이온교환수지는 미세한 3차원 구조의 고분자 기체에 이온교환기(functional group)를 결합시킨 합성수지이다. 이온교환수지는 내부 가동 이온이 용액 중의 다른 이온과 서로 치환되며 오염물질을 분리 및 제거한다. 이온교환수지는 양이온을 교환하는 양이온교환수지와 음이온을 교환하는 음이온교환수지를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서 충진재(128)는 음이온교환수지이다. 음이온교환수지인 충진재(128)는 이온성 물질인 탄산염, 다가 산소, 납(Pb)이나 우라늄(U) 등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음이온 상태로 물에 존재하는 크롬(Cr) 및 세레늄(Se)을 제거한다.The filler 128 is an ion exchange resin, which is an insoluble synthetic resin having ions capable of ion exchange. The ion exchange resin is a synthetic resin in which a functional group is bound to a polymer substrate having a fine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 ion exchange resin separates and removes contaminants by exchanging internally working ions with other ions in the solution. Ion exchange resins are classified into cation exchange resins that exchange cations and anion exchange resins that exchange anions. In this embodiment, the filler 128 is an anion exchange resin. The filler 128, which is an anion exchange resin, can remove ionic substances such as carbonate, polyvalent oxygen, and heavy metals such as lead (Pb) and uranium (U). In particular, chromium (Cr) and selenium ( Se) is removed.

도 18을 참조하면, 아민 작용성 아크릴(Acrylic) 수지가 아민(amine)기를 교환기로 사용하여 세레늄(Se)이 산소와 결합하여 음이온 상태로 물에 존재하는 SeO3 2-과, 염소처리된 물에서 6가 크롬(Cr)이 음이온 상태로 물에 존재하는 HCrO4 -를 제거한다.Referring to FIG. 18, an amine-functional acrylic resin uses an amine group as an exchanger, so that selenium (Se) is combined with oxygen to form SeO 3 2- present in water in an anionic state and chlorinated water Hexavalent chromium (Cr) removes HCrO 4 - present in water in an anionic state.

충진재(128)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는 이너코어상부(1252)를 통하여 필터탑상부(1231)로 유동된다. 필터탑상부(1231)로 유동된 정수는 필터탑정수유출구(1239)를 통하여 하우징캡상부(1211)와 필터탑상부(1231) 사이로 유출된다. 하우징캡상부(1211)와 필터탑상부(1231) 사이로 유출된 정수는 필터헤드(110)로 유동되고 필터헤드(110)로 유동된 정수는 복합 필터(200)로 유동되거나 급수 밸브(61)로 유동된다.The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filler 128 flows to the filter top part 1231 through the inner core upper part 1252. The purified water flowing to the filter tower upper part 1231 flows out between the housing cap upper part 1211 and the filter tower upper part 1231 through the filter tower purified water outlet 1239 . The purified water flowing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cap 1211 and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top 1231 flows into the filter head 110, and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head 110 flows into the complex filter 200 or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 61. it flows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에서 원수 및 정수가 유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view showing that raw water and purified water flow in the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120-1)은, 외관을 형성하며 필터헤드(110)로부터 안내되는 원수가 유입되는 하우징(121-1, 122-1)과, 하우징(121-1, 122-1)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정화하는 중공의 원통형인 카본블럭(129-1)과, 카본블럭(129-1) 내에 구비되어 카본블럭(129-1)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를 하단에서 유입하여 상측으로 안내하며 정화하는 이너필터(125-1, 126-1, 128-1)와, 카본블럭(129-1)의 상면에 결합되어 필터헤드(110)에서 유입된 원수를 하우징(121-1, 122-1)과 카본블럭(129-1) 사이로 안내하는 필터탑(123-1)과, 카본블럭(129-1)의 저면에 결합되는 필터베이스(127-1)를 포함한다.The filter module 12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housings 121-1 and 122-1 that form an external appearance and into which raw water guided from the filter head 110 flows, and the housing 121-1 , 122-1) a hollow cylindrical carbon block 129-1 provided inside to purify raw water, and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carbon block 129-1 provided in the carbon block 129-1 at the bottom Inner filters (125-1, 126-1, 128-1), which flow in from the inside and guide and purify the upper side, and ar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rbon block 129-1 to remov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filter head 110 into the housing ( It includes a filter top 123-1 guiding between 121-1 and 122-1 and the carbon block 129-1, and a filter base 127-1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arbon block 129-1. .

하우징(121-1, 122-1)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하우징바디(121-1)와, 하우징바디(121-1) 하부에 결합되는 하우징캡(122-1)을 포함한다. 하우징바디(121-1)는 상측에 원수가 유입되는 하우징원수유입구(1211-1)와 정수가 유출되는 하우징정수유출구(1212-1)가 형성된다.The housings 121-1 and 122-1 include a cylindrical housing body 121-1 with an open bottom and a housing cap 122-1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121-1. The housing body 121-1 has a housing raw water inlet 1211-1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in and a housing constant water outlet 1212-1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out.

이너필터(125-1, 126-1, 128-1)는 정수를 하단에서 상측으로 안내하는 원통형의 이너코어(125-1)와, 이너코어(125-1) 내에 충진된 충진재(128-1)와, 이너코어(125-1)의 하단에 결합되며 정수가 통과되는 홀이 형성된 이너캡(126-1)을 포함한다.The inner filters 125-1, 126-1, and 128-1 include a cylindrical inner core 125-1 that guides purified wa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a filler 128-1 filled in the inner core 125-1. ) and an inner cap 126-1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core 125-1 and having a hol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passes.

필터탑(123-1)은 카본블럭(129-1)의 상면을 커버하며 이너필터(125-1, 126-1, 128-1)에서 정화된 정수를 하우징정수유출구(1212-1)로 안내한다.The filter top (123-1)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carbon block (129-1) and guides the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inner filters (125-1, 126-1, 128-1) to the housing water purification outlet (1212-1). d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120-1)은 하우징(121-1, 122-1) 및 필터탑(123-1)의 형상 및/또는 기능이 상이하며,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120)과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다.In the filter module 12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s 121-1 and 122-1 and the filter tower 123-1 have different shapes and/or functions, and other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same as or almost similar to the filter module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120-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filter module 12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급수원(S)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는 헤드유닛(900)으로 유입된 후 필터헤드(110)로 유동된다. 필터헤드(110)로 유동된 원수는 필터모듈(120-1)의 하우징바디(121-1)의 하우징원수유입구(1211-1)로 유입된다. 하우징원수유입구(1211-1)로 유입된 원수는 필터탑(123-1)에 의하여 하우징바디(121-1)의 내둘레면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되며 카본블럭(129-1)의 둘레면으로 유입된다. 카본블럭(129-1)으로 유입된 원수는 카본블럭(129-1)을 통과하며 정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본블럭(129-1)의 성분, 조성 또는 기능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본블럭(129)과 동일하다.Raw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S) flows into the head unit (900) and then flows into the filter head (110).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head 110 flows into the housing raw water inlet 1211-1 of the housing body 121-1 of the filter module 120-1.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housing raw water inlet (1211-1) flows downwar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21-1) by the filter tower (123-1) and flows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bon block (129-1). is introduced Raw water flowing into the carbon block 129-1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arbon block 129-1. Components, compositions, or functions of the carbon block 129-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arbon block 129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본블럭(129-1)을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는 이너코어(125-1)의 외둘레면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된다. 이너코어(125-1)이 하측으로 유동된 정수는 이너캡(126-1)의 홀을 통과하여 이너코어(125-1) 내부로 유입된다. 이너코어(125-1) 내부로 유동된 정수는 상측으로 유동하며 충진재(128-1)에 의하여 크롬(Cr) 및 세레늄(Se)이 정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재(128-1)의 성분, 조성 또는 기능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재(128)와 동일하다.Purified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carbon block 129-1 flows down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re 125-1. The purified water flowing down the inner core 125-1 passes through the hole of the inner cap 126-1 and flows into the inner core 125-1.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core 125-1 flows upward, and chromium (Cr) and selenium (Se) are purified by the filler 128-1. Components, compositions, or functions of the filler 128-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ller 128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충진재(128-1)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는 필터탑(123-1)으로 유동된다. 필터탑(123-1)로 유동된 정수는 하우징바디(121-1)의 하우징정수유출구(1212-1)로 유출된다. 하우징정수유출구(1212-1)로 유출된 정수는 필터헤드(110)로 유동되고 필터헤드(110)로 유동된 정수는 복합 필터(200)로 유동되거나 급수 밸브(61)로 유동된다.The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filler 128-1 flows to the filter tower 123-1.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tower 123-1 flows out through the housing purified water outlet 1212-1 of the housing body 121-1.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ousing purified water outlet 1212-1 flows into the filter head 110, and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head 110 flows into the complex filter 200 or the water supply valve 6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 정수기 17: 필터 어셈블리
100: 프리필터 110: 필터헤드
120: 필터모듈 121: 하우징캡
122: 하우징바디 123: 필터탑
124: 필터실러 125: 이너코어
126: 이너캡 127: 필터베이스
128: 충진재 129: 카본블럭
200: 복합필터 900: 헤드유닛
10: water purifier 17: filter assembly
100: pre-filter 110: filter head
120: filter module 121: housing cap
122: housing body 123: filter top
124: filter sealer 125: inner core
126: inner cap 127: filter base
128: filler 129: carbon block
200: composite filter 900: head unit

Claims (18)

원수가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원수를 정화하는 중공의 원통형인 카본블럭; 및
상기 카본블럭 내에 구비되어 상기 카본블럭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를 하단에서 유입하여 상측으로 안내하며 정화하는 이너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a housing into which raw water flows;
a hollow cylindrical carbon block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purify the raw water; and
A filter module including an inner filter provided in the carbon block to guide and purify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carbon block from a lower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럭은 활성탄, 수산화철(Ferric Hydroxide), 티타늄산화물(Titania)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필터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carbon block is a filter module manufactured by mixing activated carbon, ferric hydroxide, titanium oxide, and a bind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럭은 0가철(Zero Valent Iron)을 더 혼합하여 제조된 필터모듈.
According to claim 2,
The carbon block is a filter module manufactured by further mixing zero valent ir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럭은 활성탄 28~45 중량%, 수산화철 15~20 중량%, 티타늄산화물 20~40 중량%, 바인더 16~25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필터모듈.
According to claim 2,
The carbon block is a filter module manufactured by mixing 28 to 45% by weight of activated carbon, 15 to 20% by weight of iron hydroxide, 20 to 40% by weight of titanium oxide, and 16 to 25% by weight of a bin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필터는 상기 정수에서 크롬(Cr) 또는 세레늄(Se)을 포함하는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filter removes ionic substances including chromium (Cr) or selenium (Se) from the purified w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필터는,
정수를 하단에서 상측으로 안내하는 원통형의 이너코어; 및
상기 이너코어 내에 충진된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는 이온교환을 할 수 있는 이온을 지닌 불용성 합성수지인 필터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filter,
A cylindrical inner core for guiding purified wa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Including a filler filled in the inner core,
The filter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filler is an insoluble synthetic resin having ions capable of ion exchan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고분자 모체와, 황산기, 아민(Amine)기 및 디메틸에탄올아민(Dimethylethanolamine)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기로 구성되는 필터모듈.
According to claim 6,
The filler is a filter module composed of a polymer matrix and at least one exchanger of a sulfate group, an amine group, and a dimethylethanolamine group.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모체는 아크릴(Acrylic) 수지인 필터모듈.
According to claim 7,
The polymer matrix is an acrylic resin filter modu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필터는 상기 이너코어의 하단에 결합되며 정수가 통과되는 이너홀이 형성되는 이너캡을 더 포함하는 필터모듈.
According to claim 6,
The inner filter further includes an inner cap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inner core and having an inner hol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pass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럭의 저면에 결합되는 필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캡은 상기 필터베이스의 상측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필터모듈.
According to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filter bas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rbon block,
The filter module of claim 1 , wherein the inner cap is spaced apart from an upper side of the filter bas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코어는 최대 외경이 상기 카본블럭의 최소 내경보다 작은 필터모듈.
According to claim 6,
The inner core has a maximum outer diameter smaller than a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carbon block.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코어는 상기 카본블럭에서 정화된 정수를 하단으로 안내하는 필터모듈.
According to claim 6,
The inner core is a filter module for guiding the purified water from the carbon block to the botto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코어는 상기 카본블럭과 이격하여 배치되는 필터모듈.
According to claim 6,
The inner core is a filter modul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carbon blo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는 필터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탑은 상기 원수가 유입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카본블럭 사이로 안내하는 필터모듈.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lter top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rbon block,
The filter tower is a filter module through which the raw water flows in and guides it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arbon block.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탑의 둘레에 배치되는 하우징캡; 및
상기 하우징캡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캡은 상기 필터탑과의 사이에 상기 이너필터에서 정화된 정수가 유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필터모듈.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housing,
a housing cap disposed around the filter top; and
It includes a cylindrical housing body with an open top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cap,
The filter module of claim 1 , wherein the housing cap forms a channel between the filter tower and the flow path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inner filter flows ou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필터는 상부가 상기 필터탑의 하부에 결합되는 필터모듈.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inner filter is a filter module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top.
원수가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원수를 정화하는 중공의 원통형인 카본블럭; 및
상기 카본블럭의 중공 내에 구비되고 상기 카본블럭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에서 크롬(Cr) 또는 세레늄(Se)을 포함하는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이너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a housing into which raw water flows;
a hollow cylindrical carbon block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purify the raw water; and
A filter module comprising an inner filter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carbon block and filled with an ion exchange resin for removing ionic substances including chromium (Cr) or selenium (Se) from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carbon block.
원수로부터 정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모듈을 포함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필터모듈로 이루어지는 정수기.
In the water purifier including at least one filter module to generate purified water from raw water,
The filter module is a water purifier composed of any one filter module selected from claims 1 to 17.
KR1020220019809A 2022-02-15 2022-02-15 Water purifier and filter module therefor KR2023012294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809A KR20230122941A (en) 2022-02-15 2022-02-15 Water purifier and filter module therefor
PCT/KR2023/002126 WO2023158184A1 (en) 2022-02-15 2023-02-14 Water purifier and filter modul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809A KR20230122941A (en) 2022-02-15 2022-02-15 Water purifier and filter module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941A true KR20230122941A (en) 2023-08-22

Family

ID=8757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809A KR20230122941A (en) 2022-02-15 2022-02-15 Water purifier and filter module theref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2941A (en)
WO (1) WO2023158184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9205B1 (en) * 2006-06-19 2013-05-14 John E. Nohren, Jr. Portable universal flow filter
KR100884847B1 (en) * 2008-09-29 2009-02-20 윤명순 Filter for water purifier
KR102304264B1 (en) * 2016-12-06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KR20180069340A (en)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ter medi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Filter unit comprising the same
KR20210144408A (en) * 2020-05-22 2021-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184A1 (en)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264B1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KR102304266B1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JP2006527080A (en) Water treatment equipment using iron-doped ion exchanger
CN103908877B (en) The method and device thereof of gas filtration and carbon dioxide collection
KR20230145970A (en) filter module for water dispensing apparatus
CN102884005A (en) Water softener having timer control valve
KR20230122941A (en) Water purifier and filter module therefor
KR20230145967A (en) filter module for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20150007128A (en) filter for a water purifier and the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KR20210144408A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US20230191363A1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US20230227328A1 (en) Water purifier filter and water purifier comprising same
US11919773B2 (en) Method for modifying surface of activated carbon and filter for water purifier
US11479483B2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KR20210135816A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KR20210144406A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KR20210144407A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KR102285122B1 (en) Water softening apparatus
KR20210144409A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US20210024372A1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KR102481177B1 (en) Filter assembly
KR100487789B1 (en) Water filter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WO2006052161A1 (en) Filtering cartridge
RU67981U1 (en) HOUSEHOLD WATER CLEANER FOR DRINKING WATER
KR200168960Y1 (en) A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