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538A -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538A
KR20230116538A KR1020220013598A KR20220013598A KR20230116538A KR 20230116538 A KR20230116538 A KR 20230116538A KR 1020220013598 A KR1020220013598 A KR 1020220013598A KR 20220013598 A KR20220013598 A KR 20220013598A KR 20230116538 A KR20230116538 A KR 20230116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ice
art
fac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민
Original Assignee
박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민 filed Critical 박경민
Priority to KR1020220013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6538A/ko
Publication of KR20230116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53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Bio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실시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주 관리자 측에서 미술활동에 적합한 특정한 다양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만들어서, 여러 분야의 미술활동 서비스 제공자 등에게 우선적으로 각각의 서비스에 맞는 기본 저작도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미술활동 서비스 분야는 예를 들어, 기본적인 미술작품 그리기와 미술치료, 혹은 더 나아가 영상치료 등이다.
그리고, 이러한 여러 서비스 제공자 등은 이러한 상태에서, 고객 등으로부터 다양한 이벤트와 콘텐츠를 요청받아, 이러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로부터 각기 요청 정보에 따라 VR 콘텐츠를 상이하게 커스트마이징하여, 미술활동 분야와 요청별로 제공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고객 분들이 여러 미술활동을 할려고 할 경우, 이러한 VR 콘텐츠로부터 해당 활동을 조금은 개인의 프라이버시 등의 보호를 더하면서, 원하는 곳에서 편리한 상황 등에서 하므로, 여러 진단 등에 관한 혜택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실시예는 가상현실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미술활동에 적합한 특정 VR 콘텐츠 제작 툴로부터 콘텐츠를 여러 상황별로 커스트마이징하므로, 가상현실로 미술활동을 지원하고 진단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아울러,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VR 콘텐츠가 자산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어, NFT(Non Fungible Token)증명을 통해 소유권 정보를 검증하거나 거래함으로써, 메타브러쉬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에서 NFT증명을 통한 디지털콘텐츠 판매와 액자를 통한 전시를 서비스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digital-art contents employing virtual reality}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가상현실을 이용한 서비스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렇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여러 가지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통해서 미술활동을 제공하여, 진단 등에 관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미술활동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예를 들어, 그 중에 하나인 미술 치료는 심리 치료사의 주제 제시에 따라 그림을 그리며 심리 치료 효과를 유도하며, 그 과정과 결과를 옆에서 지켜 본 후 심리와 성격, 지능 등에 대한 진단을 내리기도 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진단을 통해 상태를 호전시키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미술 치료는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오프라인상에서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전문가 등이 직접 확인하거나 또는 설문에 대한 응답을 확인함으로써 진단이 이루어지고, 또한 미술 치료 자체도 오프라인상에서 수행되고 있다.
그리고, 아울러 그림을 그리는 동안 같이 있어야 하고, 함께하기가 그러한 경우에는,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촬영하고 나중에 확인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러한 미술활동에 관하여 조금은 개인의 프라이버시 등의 보호를 더할 수 있도록 하면서, 원하는 곳에서 편리한 상황 등에서 이러한 내용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편한 곳에서 미술활동에 관한 콘텐츠 등을 쉽게 제공받아 여유가 있는 상황에서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점들은 여러 주변 상황 등을 다양한 콘텐츠로 하여 제공할 수 있기도 하다.
한편으로, 이러한 콘텐츠에 대하여 조금 더 설명하면, 가상현실은 이렇게 특정한 상황을 만들어서 마치 실제 주변 상황과 상호 작용을 하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점을 사용한 관련 상황을 살펴보면, 아래의 내용이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형식을 사용하여 차량의 상태 등을 진단하는 것으로, 특정한 콘텐츠로부터 진단을 하므로 이러한 조금 더 나은 내용을 보여주기도 한다.
구체적으로는, 진단모듈을 이용하여 ECU의 차량정보에 기초한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러한 콘텐츠를 각종 서비스에 활용한다.
참고적으로, 이러한 배경의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의 문헌 정도이다.
(특허문헌 1) KR100927597 Y1
부가적으로, 위의 특허문헌 1은 위의 내용을 반영하여,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특정한 가상현실에 따른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 콘텐츠를 각종 서비스에 활용한다는 내용을 알려준다.
개시된 내용은, 가상현실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미술활동에 적합한 특정 VR 콘텐츠 제작 툴로부터 콘텐츠를 여러 상황별로 커스트마이징하므로, 가상현실로 미술활동을 지원하고 진단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은,
먼저 주 관리자 측에서 미술활동에 적합한 특정한 다양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만들어서, 여러 분야의 미술활동 서비스 제공자 등에게 우선적으로 각각의 서비스에 맞는 기본 저작도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미술활동 서비스 분야는 예를 들어, 기본적인 미술작품 그리기와 미술치료, 혹은 더 나아가 영상치료 등이다.
그리고, 이러한 여러 서비스 제공자 등은 이러한 상태에서, 고객 등으로부터 다양한 이벤트와 콘텐츠를 요청받아, 이러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로부터 각기 요청 정보에 따라 VR 콘텐츠를 상이하게 커스트마이징하여, 미술활동 분야와 요청별로 제공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고객 분들이 여러 미술활동을 할려고 할 경우, 이러한 VR 콘텐츠로부터 해당 활동을 조금은 개인의 프라이버시 등의 보호를 더하면서, 원하는 곳에서 편리한 상황 등에서 하므로, 여러 진단 등에 관한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가상현실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미술활동에 적합한 특정 VR 콘텐츠 제작 툴로부터 콘텐츠를 여러 상황별로 커스트마이징하므로, 가상현실로 미술활동을 지원하고 진단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도 1과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시스템에 적용한 주 관리 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3의 시스템에 적용한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적용한 팔레트와 브러쉬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과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은 먼저, 가상현실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미술활동에 적합한 특정 VR 콘텐츠 제작 툴로부터 콘텐츠를 여러 상황별로 커스트마이징하므로, 가상현실로 미술활동을 지원하고 진단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먼저, 주 관리자 측에서 미술활동에 적합한 특정한 다양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만들어서, 여러 분야의 미술활동 서비스 제공자 등에게 우선적으로 각각의 서비스에 맞는 기본 저작도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미술활동 서비스 분야는 예를 들어, 기본적인 미술작품 그리기와 미술치료, 혹은 더 나아가 영상치료 등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미술치료에서는 기본 저작도구로서 팔레트 도구와 브러쉬 도구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여러 서비스 제공자 등은 이러한 상태에서, 고객 등으로부터 다양한 이벤트와 콘텐츠를 요청받아, 이러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로부터 각기 요청 정보에 따라 VR 콘텐츠를 상이하게 커스트마이징하여, 미술활동 분야와 요청별로 제공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고객 분들이 여러 미술활동을 할려고 할 경우, 이러한 VR 콘텐츠로부터 해당 활동을 조금은 개인의 프라이버시 등의 보호를 더하면서, 원하는 곳에서 편리한 상황 등에서 하므로, 여러 진단 등에 관한 혜택을 제공한다.
한편, 그리고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고객 등을 통해 완성될 수 있는 VR 콘텐츠 저작도구를 제공하여, 이를 다루는 과정에서 미술치료 등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또한 고객에 의하여 완성된 미술작품 등으로부터 고객의 심리상태를 진단하여 적합한 미술작품과 음원 등을 제공함으로써,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우선적으로 서비스 제공자들이 예를 들어, 다양한 미술인들이 VR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이를 갤러리 등을 통해 여러 방식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각각의 콘텐츠는 라이센스화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모델과 관련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VR 콘텐츠는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제작된다.
즉, 상기 VR 콘텐츠는 미술인들이 직접 그린 그림에는 의미가 있으나 그 이상의 가치를 부여할 필요성이 있기에 요구된 것이다.
예컨대, VR 기술을 아트 콘텐츠 일예로서, 트릭아트 콘텐츠에 접목하여, HMD기기 등을 통하여 감상하도록 해서 동적이면서도 다이나믹한 표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는, 미술인들이 직접 VR 콘텐츠 저작도구를 사용하여 그리기도 한다.
그래서, 고객 분들은 현재 새로운 트릭아트콘텐츠 등을 통해 여러 경험을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크게, 주 관리 정보처리장치(100)와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200) 및, 고객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200)에 연결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연계하는 곳으로, 고장수리처 정보처리장치(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부가해서, 이때 상기 각각의 장치는 상호 간에 자가망을 통해 연결한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장치는 TCP/IP 또는, 무선 중에서 어느 하나로 연결한다. 그리고, 무선통신 방식으로 와이파이 또는 LTE를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100)는 주 관리자 측으로, 다양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만들어서, 여러 미술활동 분야의 서비스 제공자 등에게 각각의 서비스에 맞는 기본 저작도구를 제공하므로, 이를 가공하여 고객 분들에게 적합하게 서비스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미술활동 분야로는 예를 들어, 미술치료와 사진치료, 영상치료 등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관리 정보처리장치(100)는 아래의 동작을 구비한다. 즉, 먼저 관리 정보처리장치(100)는 a) 일실시예에 따라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만드는 제 1 포맷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 1 포맷은 먼저 각각의 서비스 유형별로 각기 서비스에 맞는 예를 들어, 미술치료와 사진치료, 영상치료 등에 맞게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앱)를 미리 설정한다. 그래서, 이러한 상이한 서비스별로 각기 여러 미술활동 분야의 외부에 서비스 제공자와 매칭하여 해당하는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일괄 서비스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서비스를 할 경우마다, 각각의 서비스 유형별로와 서비스별로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만듦으로써, 포맷을 완료하여 미리 등록한다. b) 그래서, 이러한 서비스 유형별로의 각 서비스마다 즉, 미술치료 등의 미술활동별로 등록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의 요청이 있을 경우마다, 상기 제 1 포맷으로부터 해당하는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만든다. c) 그래서, 이를 통해 해당하는 VR 콘텐츠 기본 조작도구의 패치를 각각의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에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200)는 여러 미술활동 분야의 서비스 제공자 등에서 서비스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태에서, 고객으로부터 다양한 이벤트와 콘텐츠를 받아,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그에 따라 상이하게 만들어서 서비스한다. 즉, 상기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200)는 a) 먼저 전술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로 VR 콘텐츠를 만드는 제 2 포맷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 2 포맷은 먼저 각각의 서비스 유형별로 서비스마다에 설정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서비스 제공자의 해당 서비스에 맞게 요청하여, 해당하는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제공받는다. 그래서, 해당하는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다수의 상이한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각기 VR 콘텐츠로 커스터마이징 저작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회신받아 설정 정상 사용 서비스 정보와 비교 분석해서, 사용 정보를 등록, 관리함으로써, 제 2 포맷을 완료하여 미리 등록한다. b) 그래서, 이러한 VR 콘텐츠 저작에 따른 등록 고객 단말기의 요청이 있을 경우마다, 상기 제 2 포맷으로부터 해당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VR 콘텐츠를 상이하게 저작한다. c) 그래서, 이를 통해 여러 가지의 VR 콘텐츠를 해당하는 고객 단말기에 제공한다.
상기 고객 단말기(300)는 고객 분들께서 보유하며 여러 미술활동을 할 경우, 이러한 VR 콘텐츠로부터 해당 활동을 조금은 개인의 프라이버시 등의 보호를 더하면서, 원하는 곳에서 편리한 상황 등에서 하므로, 여러 진단 등에 관한 혜택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또한. 상기 고객 단말기(300)는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에, 이에 관한 내용에 대하여 회신을 받으므로, 서비스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이러한 고객 단말기(300)는 a) 이를 위해 먼저 위에서와 같이 제 3 포맷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 3 포맷은 각각의 서비스 이벤트별로 콘텐츠마다 저작되는 VR 콘텐츠를 고객의 요청 서비스 콘텐츠에 맞게 요청하여, 해당하는 VR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이렇게 해당하는 VR 콘텐츠를 사용할 경우마다,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만듦으로써, 제 3 포맷을 완료하여 미리 등록한다. b) 그래서, 이러한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등록 고객의 요청이 있을 경우마다, 상기 제 3 포맷으로부터 해당하는 VR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에 요청하고, 해당하는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사용할 경우마다 만들어 회신한다.
도 4와 도 5는 도 2의 시스템에 각기 적용한 주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정보처리장치(100)는 크게, I/F부(101)와 메인 처리부(102), 데이터베이스(103), 키신호 입력부(104) 및 표시부(105)를 포함한다(도 4 참조).
그리고 또한, 일실시예의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200)는 모션센서(201)와, 촬영 수단(202),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부(203),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204), 제어부(205), 디스플레이부(206) 및 출력 수단(207)을 포함한다(도 4 참조).
여기에서, 먼저 주 관리 정보처리장치(100)를 살펴보면, 상기 I/F부(101)는 다양한 미술활동 분야의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200)와 연결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다.
상기 메인 처리부(102)는 이러한 상태에서, 상이한 서비스 유형별로의 각 서비스마다 즉, 미술치료 등의 미술활동별로 등록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의 요청이 있을 경우마다, 일실시예의 제 1 포맷으로부터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만든다. 그래서, 이를 통해 여러 가지의 VR 콘텐츠를 해당하는 고객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03)는 이러한 서비스 제공자별로 각종 콘텐츠와 등록정보 등을 저장, 관리한다.
상기 키신호입력부(104)는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각종 사용자 설정정보를 입력받고, 이 사용자 설정정보를 통해 여러 상황과 상태에 맞게 서비스와 기능 등을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105)는 이렇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화면에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 등의 UI를 표시하여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20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직접 현장에 설치하는 장치임).
먼저, 상기 모션센서(201)는 전시관 등의 특정 장소를 방문하는 고객 등에 대한 깊이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여 고객 등을 인식하고 움직임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모션센서(201)는 적외선 소스 모듈 및 CMOS 적외선 카메라 센서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CMOS 적외선 카메라 센서 모듈은 이미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부(203)는 고객을 인식하기 위한 키 정보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부(203)는 복수 개의 키 범위 정보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을 저장한다. 즉, 상기 모션센서(201)가 고객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키 등에 따라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고 오차 범위도 크기 때문에 적절한 범위의 키 범위 등이 정해지고 이에 따라 모션센서(201)가 인식 과정을 수행하면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고객을 인식한다. 이때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부(203)는 모션센서(201)가 고객을 인식하기 위해 필요한 키 정보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204)는 다양한 서비스 또는 이벤트 등에 따라 여러 가지의 VR 콘텐츠 등을 저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6)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204)의 콘텐츠를 고객이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6)는 해당하는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스크린 타입 또는 화상 디스플레이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5)는 먼저 일실시예에 따라, VR 콘텐츠 저작에 따른 등록 고객 단말기의 요청이 있을 경우마다, 전술한 제 2 포맷으로부터 해당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VR 콘텐츠를 상이하게 저작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해당하는 VR 콘텐츠를 해당 고객 단말기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어부(205)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하기도 한다. 즉, 먼저 제어부(205)는 상기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부(203)에 저장된 키 정보에 기초하여 모션센서(201)가 고객을 인식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05)는 고객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6)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204)에 저장된 콘텐츠의 위치 및 내용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5)는 모션센서(201)를 통해 인식한 고객의 움직임이 뷰 포인트에 대한 선택 동작인 경우에 뷰 포인트에 해당하는 상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5)는 기 제공된 특정한 콘텐츠에서 모션센서(201)가 인식한 고객의 움직임이 해당하는 콘텐츠 상에 특정된 부분인 뷰 포인트에 대한 선택 동작인 경우에 해당 뷰 포인트에 해당하는 상세 콘텐츠(확대 이미지 또는 설명 내용)를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현장의 고객 정보 등을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전술한 제 2 포맷으로부터 해당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VR 콘텐츠를 상이하게 저작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해당하는 VR 콘텐츠를 해당 고객 단말기에 제공한다.
상기 촬영 수단(202)은 고객의 얼굴을 촬영하여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제어부(205)는 촬영 수단(202)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06)가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모션센서(201)를 통해 측정되는 고객의 움직임(제스쳐)에 따라 콘텐츠와 촬영 영상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5)는 고객에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특정한 콘텐츠 상에 촬영 수단(202)을 통해 얻어지는 고객 이미지를 나타내고, 움직임을 모션센서(201)가 인식하여, 움직임이 콘텐츠에 대한 이동을 위한 것인 경우 등에 각 움직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시키기도 한다.
상기 출력 수단(207)은 디스플레이부(206)가 표시하는 콘텐츠 및 이미지 등을 사진 등으로 출력한다. 즉, 출력 수단(207)은 제어부(205)의 제어 동작에 따라 콘텐츠 및 촬영 영상을 이미지화 한 뒤 고객의 선택이 있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사진 등으로 출력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먼저 다수의 상이한 미술활동 분야별로 각기 가상현실(VR) 서비스를 수행하는 앱을 구성하여 제공하는 관리 정보처리장치(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100)에 의해 앱을 제공받아 고객의 요청에 따라 실제 가상현실 서비스를 처리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200)와, 이러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여러 가지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먼저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100)에서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즉, 관리 정보처리장치(100)는 먼저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포맷을 구비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제 1 포맷은 상이한 서비스 유형별로 각기 서비스에 맞는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앱)를 미리 설정해서, 상이한 서비스별로 각기 외부의 서비스 제공자와 매칭하여 해당하는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일괄 서비스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를 할 경우마다, 각각의 서비스 유형별로와 서비스별로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만들어서 구성하며, 이러한 정보를 미리 등록한다.
b) 그래서, 이러한 서비스 유형별로의 각 서비스마다 등록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의 요청이 있을 경우마다, 상기 제 1 포맷으로부터 해당하는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만든다.
c) 그래서, 이를 통해 해당하는 VR 콘텐츠 기본 조작도구의 패치를 해당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에 제공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200)는 이러한 동작과 연계하여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먼저,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200)는 일실시예에 따라 먼저, 제 2 포맷을 전술한 바대로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제 2 포맷은 상이한 서비스 유형별로의 서비스별로 설정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서비스 제공자의 해당 서비스에 맞게 요청하여, 해당하는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또한 해당하는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다수의 상이한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각기 VR 콘텐츠로 서비스 객체로서 커스터마이징 저작한다.
아울러, 상기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회신받아 설정 정상 사용 서비스 정보와 비교 분석해서, 사용 정보를 등록, 관리하여 구성하며, 이러한 정보를 미리 등록한다.
b) 그래서, 이러한 VR 콘텐츠 저작에 따른 등록 고객 단말기의 요청이 있을 경우마다, 상기 제 2 포맷으로부터 해당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VR 콘텐츠를 상이하게 저작한다.
c) 그리고, 이러한 해당하는 VR 콘텐츠를 해당 고객 단말기에 제공한다.
그래서, 이에 따라 상기 고객 단말기(300)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즉, 고객 분들이 여러 미술활동을 할 경우, 이러한 VR 콘텐츠로부터 해당 활동을 조금은 개인의 프라이버시 등의 보호를 더하면서, 원하는 곳에서 편리한 상황 등에서 하므로, 여러 진단 등에 관한 혜택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또한. 상기 고객 단말기(300)는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에, 이에 관한 내용에 대하여 회신을 받으므로, 서비스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a) 이를 위해, 상기 고객 단말기(300)는 먼저 일실시예의 제 3 포맷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 3 포맷은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별로 저작되는 VR 콘텐츠를 고객의 요청 서비스 콘텐츠에 맞게 요청하여, 해당하는 VR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또한 해당하는 VR 콘텐츠를 사용할 경우마다,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만들어 구성하며, 이러한 정보를 미리 등록한다.
b) 그래서, 이를 통해 상이한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등록 고객의 요청이 있을 경우마다, 상기 제 3 포맷으로부터 해당하는 VR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에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해당하는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사용할 경우마다 만들어 회신한다.
참고적으로, 이러한 고객 단말기(300)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내용에서 아래와 같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기(300)는 모바일 단말로, 미술활동 콘텐츠를 제공받는 앱을 설치하며, 이러한 앱으로부터 여러 미술활동 분야별로 적합한 콘텐츠를 편리하게 제공받으므로, 고객이 원하는 곳에서 원활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가상 단말에서는 가상현실장치의 제어에 의해서, 미술활동 콘텐츠를 가상현실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상 단말은 HMD(Head mounted Display)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가상 단말에서는 색과 그림도구 등이 포함된 툴(메뉴) 바를 제공하여 선택받을 수 있으며, 그리기 정보 등이 화면 상에 나타나고, 이러한 그리기 정보 등은 피드백받기도 한다. 참고로, 이러한 피드백 정보는 서비스 제공?? 정보처리장치(200)에 전달하도록 하므로, 미술활동에 관한 서비스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예를 들어, 먼저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100)는 아래의 동작을 구비한다.
즉, 관리 정보처리장치(100)는 상기한 제 1 포맷에 따라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만들 경우, 상이한 서비스 유형별로의 서비스마다로서 각기 서비스의 기본 프레임을 만들 패브릭 도구와, 서비스의 기본 프레임을 구성할 서포트 도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패치를 만든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200)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즉,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200)는 상기한 제 2 포맷에 따라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로 VR 콘텐츠를 저작할 경우, 각각의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각기 대응하는 패브릭 도구와 서포트 도구를 사용하여 VR 콘텐츠로서 커스터마이징 저작한다.
b) 그래서, 이러한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회신받을 경우에는, 상기 패브릭 도구와 상기 서포트 도구별로 각기 정상 사용 서비스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상호 간에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용 정보를 등록, 관리한다.
그래서, 상기 고객 단말기(300)는 아래의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즉, 고객 단말기(300)는 상기 제 3 포맷에 따라 VR 콘텐츠를 사용하여 각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만들 경우, 저작한 정보별로 각기 구분해서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만듦으로써, 상세 사용 서비스 결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주 관리자 측에서 미술활동에 적합한 특정한 다양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만들어서, 여러 분야의 미술활동 서비스 제공자 등에게 우선적으로 각각의 서비스에 맞는 기본 저작도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미술활동 서비스 분야는 예를 들어, 기본적인 미술작품 그리기와 미술치료, 혹은 더 나아가 영상치료 등이다.
그리고, 이러한 여러 서비스 제공자 등은 이러한 상태에서, 고객 등으로부터 다양한 이벤트와 콘텐츠를 요청받아, 이러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로부터 각기 요청 정보에 따라 VR 콘텐츠를 상이하게 커스트마이징하여, 미술활동 분야와 요청별로 제공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고객 분들이 여러 미술활동을 할려고 할 경우, 이러한 VR 콘텐츠로부터 해당 활동을 조금은 개인의 프라이버시 등의 보호를 더하면서, 원하는 곳에서 편리한 상황 등에서 하므로, 여러 진단 등에 관한 혜택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가상현실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미술활동에 적합한 특정 VR 콘텐츠 제작 툴로부터 콘텐츠를 여러 상황별로 커스트마이징하므로, 가상현실로 미술활동을 지원하고 진단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미술활동 시스템에 적용한 팔레트와 브러쉬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팔레트와 브러쉬 부재는 틸트브러쉬 오픈소스를 바탕으로 구성하며, 틸트브러쉬의 기능에 제작한 오브젝트를 웹에 저장 및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콘텐츠를 메타버스 공간 및 증강현실에서 구현하는 기능을 구비하기도 한다. 그리고 사용자간 협업 및 쌍방향 소통을 통한 콘텐츠 제작 및 공유가 가능하도록 한다.
먼저, 이러한 일실시예의 팔레트 부재는 먼저 팔레트 컨트롤러로서 구성하고, 여기에는 세 개의 팔레트 면이 있으며,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썸패드 또는 썸스틱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스와이프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페인트 컨트롤러를 팔레트쪽으로 기울이고 포인터에 초점을 맞춘 후 방아쇠를 당기면 팔레트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페인팅 컨트롤러의 그립을 사용하여 기존 팔레트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월드에 생성된 패널을 잡아 팔레트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실행 취소(썸패드 왼쪽, X 혹은 A 버튼) 또는, 다시 실행(썸패드 오른쪽, Y 또는 B)단축키를 클릭하면 실행취소와 다시실행 단축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빠르게 실행취소/다시실행하려면 지정된 컨트롤러 버튼을 누른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부재는 다양한 브러쉬들을 선택할 수 있는 파레트를 구비하며, 브러쉬 파레트는 각각 특징이 있는 브러쉬들이 모여있고, 한 스트로크는 하나의 개체임으로 상황에 맞게 한번에 그리거나 끊어서 그리기도 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브러쉬 종류로는 유화/페인트 질감 형과 물감질감, 점도있는(또는, 점도적은) 페인트 단색, 일반적인 선, 뾰족한 선 등이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이러한 경우, 미술활동 중에서 어느 하나인 미술치료에서 전술한 구성을 적용하므로, 적절하게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상이한 서비스 유형별로의 서비스가 미술 치료일 경우, 해당하는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에 대해서 아래의 구성을 포함하여, 해당 저작도구를 만든다.
그리고 또한, 상기 구성은 아래와 같다.
a) 즉, 상기 구성은 먼저 상기 패브릭 도구와 상기 서포트 도구를 각기 미술 작품의 팔레트와 브러쉬 부재(또는, 도화지와 채색 부재)로 구성한다.
b) 그리고, 상기 패브릭 도구와 상기 서포트 도구를 구성할 경우, 상이한 미술 작품별로 각기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고객의 상이한 감정 상태별로 VR 영상을 미리 설정하여 매칭하고, 상기 VR 영상은 상이한 아트(VRt)별로도 매칭해서 각기 등록한다.
c) 그래서, 이러한 아트별로 각기 미술 작품을 감상할 경우에, 고객 얼굴을 연속적으로 인식한다.
d) 다음, 이러한 고객 얼굴에서의 얼굴 요소 변화 상태에 매칭된 감정 상태를 검출한다.
e) 그래서, 이러한 고객의 감정 상태별로 매칭된 VR 영상을 각각의 아트마다 상이하게 해당하는 미술 작품 주변에 연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먼저,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패브릭 도구와 서포트 도구로 상기 팔레트와 브러쉬 부재(또는, 도화지 도구와 채색 도구)를 사용하여, 상이한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각기 미술 작품을 VR 콘텐츠로서 커스터마이징 저작한다.
b) 그리고, 이러한 미술 작품을 저작할 경우, 각각의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각기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고객의 상이한 감정 상태별로 VR 영상을 미리 설정하여 매칭하고, 상기 VR 영상은 상이한 아트별로도 매칭해서 각기 등록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상기 감정은 분노, 혐오, 두려움, 행복, 슬픔, 놀람, 무표정 총 7가지의 감정을 판단하며, 각각의 감정에 대한 세분화를 실시하여 하나의 감정에 높음, 보통, 낮음으로 판별함으로써 총 21가지의 감정을 판단한다.
c) 그래서, 이러한 아트별로 각기 미술 작품을 감상할 경우에, 고객 얼굴을 연속적으로 인식한다.
d) 다음, 고객 얼굴에서의 얼굴 요소 변화 상태에 매칭된 감정 상태를 검출한다.
e) 그리고 나서, 이러한 고객의 감정 상태별로 매칭된 VR 영상을 각각의 아트마다 상이하게 해당하는 미술 작품 주변에 연출한다.
f) 그래서, 이러한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회신받을 경우에는, 상기 도화지 도구와 채색 도구별로 각기 정상 사용 서비스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상호 간에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용 정보를 등록, 관리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기는 아래와 같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즉, 고객 단말기는 이러한 VR 콘텐츠를 사용하여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만들 경우, 저작한 정보별로 각기 구분해서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만듦으로써, 상세 사용 서비스 결과를 제공받는다.
한편으로는 부가적으로, 이러한 경우 각각의 장치에서는 아래의 구성을 통해 얼굴의 요소와 감정 상태를 원활하게 추출함으로써, 조금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a) 먼저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고객의 감정 상태를 검출할 경우, 각 얼굴 요소의 영역과, 시간 데이터를 포함한 각 얼굴 요소의 메타데이터에 의해 데이터 분포를 작성하고 영상 내에서 각 얼굴 요소의 활동영역을 특정화하여 감시 여부를 설정해서 빅데이터 패턴을 분석한다.
b) 그리고 나서, 이러한 빅데이터 패턴의 분석 결과로부터 설정 각 얼굴 요소의 특징을 적용하여 각 얼굴 요소를 분류하여 추출한다.
c) 그리고 또한,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하기도 한다.
즉, 상기 얼굴 요소를 추출할 경우에는, 얼굴의 영역을 분할하기 전에 미리 다수의 상이한 RGB영상만으로부터의 2D얼굴 영역분할을 위한 딥러닝 학습을 통해 얼굴 영역에 관한 딥러닝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얼굴2D영역분할 딥러닝 모델을 구축한다.
d) 그리고, 또한 RGB-D카메라로부터의 RGB영상으로부터 얼굴2D영역분할을 상기 얼굴2D영역분할 딥러닝 모델에 의해 수행한다.
e) 다음으로, 이러한 얼굴2D영역분할 결과와, 상기 RGB-D카메라로부터의 깊이(Depth)데이터 간에 논리적 AND를 수행함으로써, 얼굴의 깊이 정보를 획득한다.
f) 그리고, 이러한 얼굴의 깊이 정보에 원근변환을 적용하여 얼굴의 3D객체영역분할을 수행함으로써, 얼굴의 xyz와 RGB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g) 또한, 얼굴의 xyz와 RGB 정보를 적용하여 각 얼굴 요소의 메타데이터를 얼굴 요소별로 추출한다.
h) 그래서, 이러한 얼굴2D영역분할 딥러닝 모델은 미리 다수의 상이한 RGB영상으로부터의 2D얼굴 영역분할을 위한 마스크 R-CNN형 딥러닝 학습을 통해 2D얼굴 영역별로 대표 임계값을 추출하여 이진 마스크를 생성함으로써, 마스크 R-CNN 기반의 얼굴2D영역분할 딥러닝 모델이 제공하도록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이러한 경우, 다양한 콘텐츠에 대해서 아래의 구성을 사용하여 인증함으로써, 작품을 그리는 분들의 권리를 보호하고 작품을 감상하는 경우에도 보호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VR 콘텐츠 등은 즉, 객체는 자산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어, 타인과의 거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해당 객체를 거래하는 과정에서는 명확한 소유권을 확인 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 Fungible Token)를 이용하여 해당 객체에 대한 소유권 정보를 검증하거나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메타브러쉬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에서 NFT증명을 통한 디지털콘텐츠 판매와 액자를 통한 전시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이러한 시스템은 먼저 고객 단말기에 의한 콘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예를 들어, 상이한 콘텐츠(또는, 서비스 등)별로 암호화 인증키를 작성, 제공하여, 이에 대한 복호화 키를 고객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아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참고적으로 이러한 키를 고객 단말기의 단말번호와 인증 결과에 함께 저장한다.
그래서,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한 경우, 요청받은 콘텐츠에 대해서 NFT증명을 함으로써, 저작을 수행해서 고객에게 안심하여 콘텐츠를 사용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이러한 경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서 아래의 구성을 사용해서,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경우에 이에 맞는 통신과, 비교적 간단한 정보에 적합하게 암호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A) 상기 고객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경우, 아래의 인증 구성으로부터 인증을 수행하여 고객 단말기에 NFT 증명을 함으로써,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B) 그리고 또한, 상기 인증 구성은,
a) 먼저 상기 고객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경우, 등록키와 암호화 키 값을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 키 값은 상이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별로 각기 구성하며, 상기 등록키 값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키 값을 암호화한다.
b) 그리고, 상기 암호화 결과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해서 응답 패킷을 전송받는다.
c) 이러한 경우, 또한 상기 응답 패킷은 상기 등록키 값으로 비암호화하고, 또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별로의 랜덤 키와, 개인정보 입력프로그램의 호스트 랜덤 키를 포함한다.
d) 반면에, 상기 응답 패킷 내 암호화 키 값과 자신의 암호화 키 값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등록키와, 암호화 키 값을 재생성하고, 응답 패킷 내의 암호화 키 값과 자신의 암호화 키 값이 일치 할 경우에 인증을 확인한다.
e) 그래서, 상기 고객 단말기로 NFT증명을 위한 해당 코드를 제공하므로, 해당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NFT증명을 통한 디지털콘텐츠를 서비스하거나 또는, 액자를 통해 전시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전시는 전시관 등에서 콘텐츠를 제공받아 액자를 통해 전시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인증 구성은 아래와 같다.
a) 즉, 상기 인증을 수행할 경우, 아래의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암호화 구성을 이용한다.,
b) 상기 AES 암호화 구성은 먼저, 상기 개인정보를 암호화할 경우에, 평문과 비밀키, 라운드를 설정하여 반복실행해서 암호문을 획득하고, 상기 라운드는 비밀키 크기별로 정해진 키 덧셈 함수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암호문을 획득한 경우, 평문/비밀키와 스크램블러를 상이한 암호화 데이터 사이즈별로 대응하는 배타적 연산패턴으로 변조한다.
또한, 상기 평문/비밀키와 스크램블러의 배타적 연산시점 또는 각 함수 부분을 이벤트발생시점으로 정해서 정보를 추출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키 덧셈 함수를 실행할 때에 상기 스크램블러를 시스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상용 AES와 동일한 형태로 암호문을 획득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기준사이즈는 16바이트이고, 현재 암호화 데이터의 사이즈가 16의 배수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0xFF를 패딩하여 16의 배수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 여부를 확인할 경우, 우선적으로는 AES 암호화를 이용하는데, 부가하면 기본적으로, AES 암호화 알고리즘으로는 개인정보를 AES 암호화를 이용하여 암호화와 복호화를 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암호화를 할 경우에는, 평문을 입력받 비밀키를 평문에 따라 상이하게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또한 비밀키 크기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라운드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여 반복실행함으로써 암호문을 획득하며, 각 라운드별 함수는 라운드 키 덧셈과 치환 계층, 확산 계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AES 암호화는 아래의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이러한 정보를 암호화할 경우에, 평문과 비밀키, 라운드를 설정하여 반복실행해서 암호문을 획득하고, 상기 라운드는 비밀키 크기별로 정해진 키 덧셈 함수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렇게 암호문이 획득될 때, 평문/비밀키와 스크램블러를 상이한 암호화 데이터 사이즈별로 대응하는 배타적 연산패턴으로 변조한다.
이러한 경우, 이러한 배타적 연산패턴은 다수의 상이한 데이터 유형별로 데이터 사이즈를 데이터 특성종류에 따라 세분화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배타적 연산패턴은 평문/비밀키가 입력될 때마다 미리 설정된 비트단위로 예를 들어, 1비트 단위로 스크램블에 의해 값을 변환해서, 평문/비밀키와 배타적 논리합을 하여 이루어진다.
그래서, 키 덧셈 함수를 실행할 때에 상기 스크램블러를 시스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상용 AES와 동일한 형태로 암호문을 획득한다.
이때, 암호화 데이터의 기준사이즈는 16바이트이고, 현재 암호화 데이터의 사이즈가 16의 배수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0xFF를 패딩하여 16의 배수로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AES 암호화는 AES의 평문과 비밀키에 대한 배타적 연산 즉, XOR 연산시점 또는 각 함수 부분을 이벤트발생시점으로 해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보안을 할 정보를 원활하게 추출하여 복호화 등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으로, 이에 더하여 이러한 시스템은 이렇게 AES암호를 수행할 경우에, 복호화에 대한 성능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연산결과의 차이가 없어 기존의 암호환경을 사용하면서, 암호 알고리즘의 성능저하는 없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암호화 방법은 전술한 라운드가 설정될 경우에, 아래의 구성으로부터 라운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효과를 얻는다.
a) 즉, 상기 라운드는 반복적인 구조로서, 반복이 될 때마다 AES암호화된 데이터를 갱신한다.
b) 그리고, 상기 갱신된 AES암호화된 데이터의 보상 데이터를 구비한다.
c) 또한, 상기 갱신된 AES암호화된 데이터의 해밍 거리와 상기 보상 데이터의 해밍 거리는 합이 미리 설정된 값으로 일정하도록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이러한 경우, 여러 미술인들이 작품을 만든 상황에서 미술작품을 아트로서 전시 등으로 활용하여, 여러 작품들을 상호 간에 제공하여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주문제작에 필요한 작품 및 해당 작품의 상세 정보 입력신호에 반응하여 VR 콘텐츠를 ??춤 구성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주문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재질 등의 선택신호에 반응하여 해당 작품, 상세정보와 선택된 재질과 결합하고 완성된 VR 콘텐츠 즉, 상품 이미지를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경우 이 이미지는 아래의 전시관 형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다음, 이러한 주문자의 확인신호에 반응하여 제작시스템으로 상품정보를 전송하여 상품이 제작되고 주문자에게 배송되도록 한다.
이때, 이러한 VR 콘텐츠를 맞춤 구성하는 상황에서는 운영자가 상품의 이미지를 직접 등록하고 용도 별로 분류하고, 이미지별 키워드를 생성하도록 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 시상내역과 작품의 간단한 설명, 개최자, 성명, 장소 등의 상세정보의 입력 단계가 포함되도록 하기도 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아래의 구성으로부터 콘텐츠를 전시하여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기존의 전시회의 장소와 정해진 시간 등의 틀을 벗어나서 다양한 형식의 디지털 장치를 이용해 같은 장소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누구나 손쉽게 접근하여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서버 등에 공연 저작권이 확보된 미술품이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인 미디어 아트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이렇게 저장된 미디어 아트를 미디어 아트 전시관에 마련된 전시관 단말기로 스트리밍 전송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 미디어 아트 전시관에 마련되어, 관람객 감성에 매칭되는 미디어 아트를 표시하는 디지털 액자를 구비한다. 그래서, 이러한 미디어 아트 전시관에 마련된 전시관 단말기를 구비하여, 이러한 서버로부터의 미디어 아트를 상기 디지털 액자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관람객 감성은 전술한 얼굴 표정 분석 내용과 얼굴 표정에 따른 감성을 파악하는 내용(종래 기술 참조)을 조합하여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먼저 위의 서버는, 미디어 아트 형태로 전시하고자 하는 미술품에 대한 공연 저작권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또한 공연 저작권이 확보된 미술품이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인 미디어 아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미디어 아트별로 보조 음향, 및 보조 영상이 할당되고, 미디어 아트별로 작가 정보와 감성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아트 속성 정보와 함께 분류하여 미디어 아트를 저장한다.
예컨대, 이러한 미디어 아트 전시관은, 보조 음향을 출력하는 지향성 스피커; 및 보조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를 하나이상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서버는, 미디어 아트를 전송할 때 미디어 아트에 할당된 보조 음향과 보조 영상을 전시관 단말기로 함께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전시관 단말기는, 수신한 미디어 아트를 디지털 액자를 통해 표시할 때, 표시되는 미디어 아트에 할당된 보조 음향을 지향성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표시되는 미디어 아트에 할당된 보조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하기도 한다.
한편, 추가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이렇게 각종 정보를 제공할 경우에, 서비스 정보처리장치 등과 사용자 단말기 간에 데이터베이스를 일치 유지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서비스 정보처리장치 등은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먼저 관리 정보처리장치와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 등의 장치등록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한 테이블을 상호 간에 동일하게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에 대한 정합 관계를 미리 설정 등록한다.
b) 그래서, 상호 간에 테이블 내의 정보를 변경할 경우, 상기 정합 관계에 따라서 테이블을 각기 동기화한다.
c) 그리고, 상기 테이블을 동기화할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장치와 서비스 또는, 콘텐츠 유형별로의 데이터 유형마다 정보를 다원화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일치한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방법은 이렇게 사용자 측 또는, 관리 측에 각종 정보를 제공할 경우에,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 등에 연결을 확보하므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 등과 통신을 할 경우에는, 1차적으로 등록 로컬 통신망의 연결 여부를 확인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로컬 통신망을 연결한 경우에는 상이한 관리자위치별로 대응하는 설정 관리자 공용 계정으로서 연결한다.
b)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로컬 통신망을 연결하지 않은 경우에는 2차적으로 등록 무선 통신망의 연결 여부를 확인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무선 통신망을 연결한 경우에는 개별 IP 주소로 연결한다.
c)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무선 통신망을 연결하지 않은 경우에는 등록 이동 통신망의 단말기 식별 번호로 연결하므로,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을 확보한다.
한편으로, 또한 이렇게 단말기와 연결을 할 경우에는, 연결의 보안을 위해서 IP테이블을 이용하여 등록 IP의 감시 및 비인가자의 접속에 따른 모니터링(또는, 로그)을 관리하도록 한다.
a) 구체적으로는, 이를 위해 먼저 상기 로컬 통신망의 관리자 공용 계정과 상기 무선 통신망의 개별 IP 주소를 등록한 IP 테이블을 미리 구성한다.
b) 그리고, 이렇게 관리자 단말기로 알람을 제공할 경우에, 해당하는 통신망의 헬로우(HELLO) 메시지를 송신해서 응답 결과 내의 다음 홉(next hop) 스위치 IP 주소를 추출한다.
c) 다음, 이러한 다음 홉 스위치 IP 주소와 동일한 스위치 IP 주소를 스위치 인접지 연결 관계 리스트에서 확인한다.
d)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다음 홉 스위치 IP 주소와 동일한 스위치 IP 주소가 있는 경우, 해당하는 관리자 공용 계정 또는, 개별 IP 주소가 상기 IP 테이블에도 있는지 확인하므로, 비인가자의 접속 여부를 확인한다.
e) 상기 확인 결과, 해당하는 관리자 공용 계정 또는, 개별 IP 주소가 상기 IP 테이블에도 있는 경우에 조인/정리(JOIN/PRUNE) 메시지를 송신하므로, 해당하는 통신망과 연결한다.
100 : 관리 정보처리장치
200 :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
300 : 고객 단말기

Claims (6)

  1. 다수의 상이한 미술활동 분야별로 각기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 서비스를 수행하는 앱을 구성하여 제공하는 관리 정보처리장치;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앱을 제공받아 고객의 요청에 따라 실제 가상현실(VR) 서비스를 처리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 단말기;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a) 미술활동 분야별로의 가상현실 서비스 유형별과 서비스마다 각기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앱)를 미리 설정해서, 상이한 서비스별로 각기 서비스 제공자와 매칭하여 해당하는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일괄 서비스하고,
    상기 서비스를 할 경우마다, 각각의 서비스별로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patch)를 만드는 제 1 포맷을 미리 등록하고,
    b) 각각의 서비스별로 등록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의 요청이 있을 경우마다, 상기 제 1 포맷으로부터 해당하는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만들며,
    c) 만들어진 VR 콘텐츠 기본 조작도구의 패치를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는,
    a) 각각의 서비스별로 설정된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를 서비스 제공자의 해당 서비스에 맞게 요청하여, 해당하는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다수의 상이한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각기 VR 콘텐츠로 커스터마이징 저작하고,
    상기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회신받아 설정 정상 사용 서비스 정보와 비교 분석해서, 사용 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제 2 포맷을 미리 등록하고,
    b) 상기 VR 콘텐츠 저작에 따른 등록 고객 단말기의 요청이 있을 경우마다, 상기 제 2 포맷으로부터 해당하는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VR 콘텐츠를 상이하게 저작하며,
    c) 저작한 VR 콘텐츠를 해당하는 고객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a)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저작된 VR 콘텐츠를 고객의 요청 서비스 콘텐츠에 맞게 요청하여, 해당하는 VR 콘텐츠를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VR 콘텐츠를 사용할 경우마다,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만드는 제 3 포맷을 미리 등록하고,
    b)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등록 고객의 요청이 있을 경우마다, 상기 제 3 포맷으로부터 해당하는 VR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에 요청하고, 해당하는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사용할 경우마다 만들어 회신하는 것;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제 1 포맷에 따라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의 패치를 만들 경우, 상이한 서비스 유형별로의 서비스마다로서 각기 서비스의 기본 프레임을 만들 패브릭 도구와, 서비스의 기본 프레임을 구성할 서포트 도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패치를 만들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는,
    a) 상기 제 2 포맷에 따라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로 VR 콘텐츠를 저작할 경우, 각각의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각기 대응하는 패브릭 도구와 서포트 도구를 사용하여 VR 콘텐츠로서 커스터마이징 저작하고,
    b) 상기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회신받을 경우에는, 상기 패브릭 도구와 상기 서포트 도구별로 각기 정상 사용 서비스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상호 간에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용 정보를 등록, 관리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제 3 포맷에 따라 VR 콘텐츠를 사용하여 해당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만들 경우, 저작한 정보별로 각기 구분해서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만듦으로써, 상세 사용 서비스 결과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서비스 유형별로의 서비스가 미술 치료일 경우, 해당하는 VR 콘텐츠 기본 저작도구에 대해서 아래의 구성을 포함하여, 해당 저작도구를 만들며,
    상기 구성은,
    a) 상기 패브릭 도구와 상기 서포트 도구를 각기 미술 작품의 팔레트 부재와 브러쉬 부재(또는, 도화지 부재와 채색 부재)로 구성하고,
    b) 상기 패브릭 도구와 상기 서포트 도구를 구성할 경우, 상이한 미술 작품별로 각기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고객의 상이한 감정 상태별로 VR 영상을 미리 설정하여 매칭하고, 상기 VR 영상은 상이한 아트(VRt)별로도 매칭해서 각기 등록하고,
    c) 상기 아트별로 각기 미술 작품을 감상할 경우에, 고객 얼굴을 연속적으로 인식해서,
    d) 상기 고객 얼굴에서의 얼굴 요소 변화 상태에 매칭된 감정 상태를 검출하고,
    e) 상기 고객의 감정 상태별로 매칭된 VR 영상을 각각의 아트마다 상이하게 해당하는 미술 작품 주변에 연출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는,
    a) 상기 패브릭 도구와 서포트 도구로 상기 팔레트 부재와 브러쉬 부재(또는, 도화지 도구와 채색 도구)를 사용하여, 상이한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각기 미술 작품을 VR 콘텐츠로서 커스터마이징 저작하고,
    b) 상기 미술 작품을 저작할 경우, 각각의 서비스 이벤트별로의 콘텐츠마다 각기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고객의 상이한 감정 상태별로 VR 영상을 미리 설정하여 매칭하고, 상기 VR 영상은 상이한 아트별로도 매칭해서 각기 등록하며,
    c) 각각의 아트별로 각기 미술 작품을 감상할 경우에, 고객 얼굴을 연속적으로 인식해서,
    d) 상기 고객 얼굴에서의 얼굴 요소 변화 상태에 매칭된 감정 상태를 검출하고,
    e) 상기 고객의 감정 상태별로 매칭된 VR 영상을 각각의 아트마다 상이하게 해당하는 미술 작품 주변에 연출하며,
    f) 상기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회신받을 경우에는, 상기 도화지 도구와 상기 채색 도구별로 각기 정상 사용 서비스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상호 간에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용 정보를 등록, 관리하며,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VR 콘텐츠를 사용하여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만들 경우, 저작한 정보별로 각기 구분해서 VR 콘텐츠의 사용 서비스 결과에 대한 패치를 만듦으로써, 상세 사용 서비스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미술활동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a) 상기 미술 작품을 구성할 경우, 고객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아트별로의 작품 주제별로 인터랙티브 콘텐츠별 선택사양으로서 스토리의 발단과, 진행, 결론 상의 터닝 포인트 부분을 선택받고,
    b) 선택받은 정보를 조합하여 영화로서 시스템적으로 연결시키고,
    c) 상기 VR 영상 정보(고객 얼굴과 VR 영상 포함)를 해당하는 터닝 포인트 부분에 채우거나 설정 음향을 녹음하여 영화를 제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정보처리장치는,
    A) 상기 고객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경우, 아래의 인증 구성으로부터 인증을 수행하여 고객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고,

    B) 그리고 또한, 상기 인증 구성은,
    a) 먼저 상기 고객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경우, 등록키와 암호화 키 값을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 키 값은 상이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별로 각기 구성하며, 상기 등록키 값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키 값을 암호화하며,
    b) 상기 암호화한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해서 응답 패킷을 전송받으며,
    c) 상기 응답 패킷은 상기 등록키 값으로 비암호화하고, 또한 콘텐츠 또는 서비스별로의 랜덤 키와, 개인정보 입력프로그램의 호스트 랜덤 키를 포함하며,
    d) 상기 응답 패킷 내 암호화 키 값과 자신의 암호화 키 값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등록키와, 암호화 키 값을 재생성하고, 응답 패킷 내의 암호화 키 값과 자신의 암호화 키 값이 일치 할 경우에 인증을 확인하고,
    e) 상기 고객 단말기로 해당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며,

    그리고, 또한, 상기 인증 구성은,
    a) 상기 인증을 수행할 경우, 아래의 AES 암호화 구성을 이용하며,
    b) 상기 AES 암호화 구성은,
    상기 개인정보를 암호화할 경우에, 평문과 비밀키, 라운드를 설정하여 반복실행해서 암호문을 획득하고, 상기 라운드는 비밀키 크기별로 정해진 키 덧셈 함수를 사용하며,
    상기 암호문을 획득한 경우, 평문/비밀키와 스크램블러를 상이한 암호화 데이터 사이즈별로 대응하는 배타적 연산패턴으로 변조하고,
    상기 평문/비밀키와 스크램블러의 배타적 연산시점 또는 각 함수 부분을 이벤트발생시점으로 정해서 정보를 추출하도록 하고,
    상기 키 덧셈 함수를 실행할 때에 상기 스크램블러를 시스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상용 AES와 동일한 형태로 암호문을 획득하고,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기준사이즈는 16바이트이고, 현재 암호화 데이터의 사이즈가 16의 배수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0xFF를 패딩하여 16의 배수로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처리장치는,
    a) 상기 고객의 감정 상태를 검출할 경우, 각 얼굴 요소의 영역과, 시간 데이터를 포함한 각 얼굴 요소의 메타데이터에 의해 데이터 분포를 작성하고 영상 내에서 각 얼굴 요소의 활동영역을 특정화하여 감시 여부를 설정해서 빅데이터 패턴을 분석하고,
    b) 상기 빅데이터 패턴의 분석 결과로부터 설정 각 얼굴 요소의 특징을 적용하여 각 얼굴 요소를 분류하여 추출하고,
    c) 상기 얼굴 요소를 추출할 경우에는, 얼굴의 영역을 분할하기 전에 미리 다수의 상이한 RGB영상만으로부터의 2D얼굴 영역분할을 위한 딥러닝 학습을 통해 얼굴 영역에 관한 딥러닝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얼굴2D영역분할 딥러닝 모델을 구축하고,
    d) RGB-D카메라로부터의 RGB영상으로부터 얼굴2D영역분할을 상기 얼굴2D영역분할 딥러닝 모델에 의해 수행하며,
    e) 상기 얼굴2D영역분할 결과와, 상기 RGB-D카메라로부터의 깊이(Depth)데이터 간에 논리적 AND를 수행함으로써, 얼굴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고,
    f) 상기 얼굴의 깊이 정보에 원근변환을 적용하여 얼굴의 3D객체영역분할을 수행함으로써, 얼굴의 xyz와 RGB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며,
    g) 상기 얼굴의 xyz와 RGB 정보를 적용하여 각 얼굴 요소의 메타데이터를 얼굴 요소별로 추출하고,
    h) 상기 얼굴2D영역분할 딥러닝 모델은 미리 다수의 상이한 RGB영상으로부터의 2D얼굴 영역분할을 위한 마스크 R-CNN형 딥러닝 학습을 통해 2D얼굴 영역별로 대표 임계값을 추출하여 이진 마스크를 생성함으로써, 마스크 R-CNN 기반의 얼굴2D영역분할 딥러닝 모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 시스템.



KR1020220013598A 2022-01-28 2022-01-28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방법 및 시스템 KR20230116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598A KR20230116538A (ko) 2022-01-28 2022-01-28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598A KR20230116538A (ko) 2022-01-28 2022-01-28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538A true KR20230116538A (ko) 2023-08-04

Family

ID=8756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598A KR20230116538A (ko) 2022-01-28 2022-01-28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65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40187A (zh) * 2023-11-27 2024-03-01 联通沃音乐文化有限公司 基于vr的可穿戴设备的交互***及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40187A (zh) * 2023-11-27 2024-03-01 联通沃音乐文化有限公司 基于vr的可穿戴设备的交互***及其方法
CN117640187B (zh) * 2023-11-27 2024-04-19 联通沃音乐文化有限公司 基于vr的可穿戴设备的交互***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2715B2 (ja) 認証を行うことにより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7209821B (zh) 用于对电子文件进行数字签名的方法以及认证方法
JP4636058B2 (ja) 会議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出力方法およびデータ出力プログラム
US200802793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puter Program For Achiev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of Storing the Computer Program
CA2806607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nabling signing and dedication of information objects
EP1447751A1 (en) NETWORK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ANAGEMENT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8885537A (zh) 经由设备进行投影
CN104170394A (zh) 共享视频的***和方法
KR102423989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의상 재조합 시스템 및 방법
JPWO2017026356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E1451161A1 (sv)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rom an electronic device to a central server
KR20230116538A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아트 콘텐츠 제작방법 및 시스템
CN104038663B (zh) 分布式扫描***中的设备管理
US201600801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Processing, and Revealing of Hidden Portions of Images
JP2004326241A (ja) データ送信サーバ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101603201B1 (ko) 영상의 색 히스토그램 및 질감 정보를 이용한 영상 키 인증 방법 및 시스템
JP3221969U (ja) 暗号化ギャラリー管理システム
KR20230126285A (ko) 다양한 현실과 가상 세계에서의 단일형 건물 거래 운용 방법
KR101717079B1 (ko) 색 히스토그램 정보 중복성에 관한 영상 키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N111860726A (zh) 二维码显示方法、验证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8118606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101753835B1 (ko) 앱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715655B1 (ko) 영상의 색 히스토그램 및 질감 정보를 이용한 영상 키 인증 방법 및 시스템
WO2017130711A1 (ja) 電子サイン管理システム
CN115134473B (zh) 图像加密方法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