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187A - 빔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링크 통신 - Google Patents

빔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링크 통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187A
KR20230113187A KR1020230008788A KR20230008788A KR20230113187A KR 20230113187 A KR20230113187 A KR 20230113187A KR 1020230008788 A KR1020230008788 A KR 1020230008788A KR 20230008788 A KR20230008788 A KR 20230008788A KR 20230113187 A KR20230113187 A KR 20230113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terminal
beams
transmitting termi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형
노고산
김일규
박만호
성낙운
송재수
이남석
정희상
최민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8/099,46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292300A1/en
Publication of KR20230113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04B7/06954Sidelink beam training with support from third instance, e.g. the third instance being a base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40Resource management for direct mode communication, e.g. D2D or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이드링크 자원 선택을 선택하고, 통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단말의 방법으로서, 빔포밍 가능한 복수의 빔들 중에서 수신 단말과 사이드링크 통신에 활용 가능한 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하는 빔 후보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의 각 빔에 대하여 자원 센싱을 통해 미리 결정된 후보 자원 이상이 되도록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빔 후보 세트와 상기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과 사이드링크 통신에 사용할 빔과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빔과 선택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노드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빔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링크 통신{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RESOURCE FOR BEAM-BASED SIDELINK COMMUNICATION AND SIDELINK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사이드링크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빔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V2X(Vehicle to Everything)는 유/무선망을 통하여 다른 차량 및 도로 등 인프라가 구축된 사물과 교통 정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기술이다. V2X는 차량 간 통신(Vehicle to Vehicle, V2V), 차량과 도로 인프라/네트워크 간 통신(Vehicle to Infrastructure/Network, V2I/N), 차량과 보행자 간 통신(Vehicle to Pedestrian, V2P) 등을 포함한다. V2X 통신의 한 예로 일정 범위 내에 있는 자동차들이 V2V 통신을 통해 각자의 위치/속도 정보와 주변 교통 상황 정보 등을 주고받음으로써 갑작스러운 교통사고를 예방하거나, 또는 V2V 통신으로 연결된 복수의 차량이 고속도로에서 줄지어 주행하는 군집 주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V2I/N 통신을 통해 차량에 고속의 무선 백홀 서비스 제공하여 차량 내 사용자가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고, V2I/N 무선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차량을 주행/제어할 수 있다.
한편, 5G 뉴 라디오(New Radio, NR) 규격은 보다 높은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면서 빔포밍 기법을 보다 고속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이드링크 통신에서도 빔포밍 기반의 이용한 자원의 할당 및 통신 방식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목적은, 빔포밍 기반의 사이드링크 자원 선택과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송신 단말의 방법으로, 빔포밍 가능한 복수의 빔들 중에서 수신 단말과 사이드링크 통신에 활용 가능한 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하는 빔 후보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의 각 빔에 대하여 자원 센싱을 통해 미리 결정된 후보 자원 이상이 되도록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빔 후보 세트와 상기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과 사이드링크 통신에 사용할 빔과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빔과 선택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노드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의 둘 이상의 빔들 각각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의 빔들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비선호 빔 세트 또는 선호 빔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호 빔 세트의 각 빔에 제1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비선호 빔 세트의 각 빔에 대해 제2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제1가중치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빔과 상기 제2가중치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빔의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빔 후보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가중치는 상기 제2가중치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송신 단말의 비활성화 시간(inactive time) 동안에 센싱을 수행해야 하는 빔 별 최소 자원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빔에 대한 자원 센싱 시 상기 수신된 최소 자원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단말의 비활성화 시간에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에 포함된 빔들 각각에 대해 자원 센싱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최소 자원량 정보는 논리적 슬롯 개수를 포함하며, 상기 최소 자원량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빔포밍 가능한 복수의 빔들에서 둘 이상의 빔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및 상기 빔 센싱 시 그룹 단위로 빔 센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후보 세트에서 브로드캐스트에 사용할 빔들의 선택할 때, 상기 자원 센싱을 통해 측정한 각 빔의 수신 신호 수신 전력(RSRP)이 미리 설정된 제1문턱 값 이상인 빔들을 상기 브로드캐스트에 사용할 빔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빔 후보 세트에서 브로드캐스트에 사용할 빔들의 선택할 때, 상기 빔 후보 세트에서 채널 번잡 비율(Channel Busy Ratio, CBR)이 미리 설정된 제1 문턱 값 이상인 제1 빔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로서,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송신 단말이, 빔포밍 가능한 복수의 빔들 중에서 수신 단말과 사이드링크 통신에 활용 가능한 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하는 빔 후보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의 각 빔에 대하여 자원 센싱을 통해 미리 결정된 후보 자원 이상이 되도록 자원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빔 후보 세트와 상기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과 사이드링크 통신에 사용할 빔과 자원을 선택하고; 및 상기 선택된 빔과 선택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노드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이,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의 둘 이상의 빔들 각각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및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의 빔들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이,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비선호 빔 세트 또는 선호 빔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이, 상기 선호 빔 세트의 각 빔에 제1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비선호 빔 세트의 각 빔에 대해 제2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제1가중치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빔과 상기 제2가중치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빔의 점수를 계산하고; 및 상기 계산된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빔 후보 세트를 결정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1가중치는 상기 제2가중치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이,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송신 단말의 비활성화 시간(inactive time) 동안에 센싱을 수행해야 하는 빔 별 최소 자원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각 빔에 대한 자원 센싱 시 상기 수신된 최소 자원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단말의 비활성화 시간에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에 포함된 빔들 각각에 대해 자원 센싱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최소 자원량 정보는 논리적 슬롯 개수를 포함하며, 상기 최소 자원량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이, 상기 빔포밍 가능한 복수의 빔들에서 둘 이상의 빔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및 빔 센싱 시 그룹 단위로 빔 센싱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이, 상기 빔 후보 세트에서 브로드캐스트에 사용할 빔들의 선택할 때, 상기 자원 센싱을 통해 측정한 각 빔의 수신 신호 수신 전력(RSRP)이 미리 설정된 제1문턱 값 이상인 빔들을 상기 브로드캐스트에 사용할 빔으로 설정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이, 상기 빔 후보 세트에서 브로드캐스트에 사용할 빔들의 선택할 때, 상기 빔 후보 세트에서 채널 번잡 비율(Channel Busy Ratio, CBR)이 미리 설정된 제1 문턱 값 이상인 제1 빔들을 선택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의 방법으로서, 복수의 빔들을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이 가능한 송신 단말과 송신 단말의 제1 빔을 이용하여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비선호 빔 세트 또는 선호 빔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송신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단말이 사이드링크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송신 단말의 DRX 비활성화 시간(inactive time) 동안 센싱을 수행해야 하는 빔 별 최소 자원량 정보를 상기 송신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소 자원량 정보는 논리적 슬롯 개수를 포함하며, 상기 최소 자원량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빔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 환경에서 단말은 효율적인 빔 별 자원 선택 절차와 빔 기반 사이드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빔포밍 기술이 필수로 적용되어야 하는 고주파대역에서도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에 따란 사이드링크 통신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b는 NR V2X에서 제공하는 브로드캐스트, 그룹 캐스트 및 유니캐스트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NR V2X의 자원 할당 모드 2로 동작하는 단말에서 자원 센싱 윈도우와 자원 선택 윈도우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 모드 2로 동작하는 단말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자원 할당 모드 2로 동작하는 단말에서 자원 센싱 및 자원 선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유니캐스트에 대한 빔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에 따른 빔 유니캐스트 빔 별 자원 선택 과정 중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b는 본 개시에 따른 빔 유니캐스트 빔 별 자원 선택 과정 중 다른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c는 본 개시에 따른 빔 유니캐스트 빔 별 자원 선택 과정 중 또 다른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d는 본 개시에 따른 빔 유니캐스트 빔 별 자원 선택 과정 중 또 다른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송신 단말이 빔 선호도 점수에 따라 선택된 빔을 센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f는 본 개시에 따라 사이드링크 송신 장치가 빔들을 그룹핑하여 빔 그룹 단위로 센싱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망(network)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은 접근점(access point),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기지국,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4G 통신(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 통신(예를 들어, NR(new radio)) 등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고, 5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G 통신 및 5G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iltered 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CP(cyclic prefix)-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4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5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UPF(user plane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 및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RSU(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eNB, gNB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UE(user equipment),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IoT(Internet of Thing) 장치, 탑재 장치(mounted module/device/terminal 또는 on board device/terminal 등)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ideal backhaul link)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CA(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를 제어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제어에 의해 D2D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이 설명될 것이다.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예를 들어,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 기저대역(baseband)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은 TRP(transmission reception point)(예를 들어, f(flexible)-TRP)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기저대역 처리 기능은 BBU(baseband unit) 블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RP는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등일 수 있다. BBU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BBU 또는 적어도 하나의 DU(digita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BBU 블록은 "BBU 풀(pool)", "집중화된(centralized) BBU"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TRP는 유선 프론트홀(fronthaul) 링크 또는 무선 프론트홀 링크를 통해 BBU 블록에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링크 및 프론트홀 링크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분리(function split)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TRP는 BBU의 일부 기능 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RLC(radio link control)의 일부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V2X(Vehicle to Everything)는 유/무선망을 통하여 다른 차량 및 도로 등 인프라가 구축된 사물과 교통 정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기술이다. V2X는 차량 간 통신(Vehicle to Vehicle, V2V), 차량과 도로 인프라/네트워크 간 통신(Vehicle to Infrastructure/Network, V2I/N), 차량과 보행자 간 통신(Vehicle to Pedestrian, V2P) 등을 포함한다. V2X 통신의 한 예로 일정 범위 내에 있는 자동차들이 V2V 통신을 통해 각자의 위치/속도 정보와 주변 교통 상황 정보 등을 주고받음으로써 갑작스러운 교통사고를 예방하거나, 또는 V2V 통신으로 연결된 복수의 차량이 고속도로에서 줄지어 주행하는 군집 주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V2I/N 통신을 통해 차량에 고속의 무선 백홀 서비스 제공하여 차량 내 사용자가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고, V2I/N 무선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차량을 주행/제어할 수 있다.
3GPP 4G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를 포함한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V2X 서비스와 기타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노드를 통과하지 않고 단말 간 직접 통신하는 방식인 장치 대 장치(device-to-device, D2D) 통신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3GPP의 경우, 단말 간의 직접 통신 링크를 사이드링크(Sidelink, SL)로 정의하고 있다. LTE의 경우,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사이드링크를 통한 단말 간의 통신이 가능하고 LTE 사이드링크는 LTE Rel-12에서 D2D 통신 용도로 처음 표준화되었다. 그 후, 3GPP에서는 사이드링크를 V2X 통신에 적합하게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표준화 노력이 있었다.
2018년 6월 3GPP는 5G NR Rel-15 규격을 완성하였고 2018년 8월 RAN1#94 회의부터 3GPP V2X phase 3인 NR V2X 표준화를 시작하였다. NR V2X는 기존의 LTE 기반 V2X 서비스 외에도 향상된 V2X 서비스를 지원하고, LTE V2X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대체하는 형태가 아닌 LTE V2X 서비스를 보완하고 LTE V2X와 연동함으로써 향상된 V2X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한다. 따라서 NR V2X는 LTE V2X 보다 높은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현재 NR V2X 표준화는 우선적으로 사이드링크 설계에 초점을 맞춰 진행 중에 있다. 사이드링크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단말 간 직접 데이터 패킷을 교환할 수 있는 통신 링크로이다.
도 3a는 본 개시에 따란 사이드링크 통신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기지국(Base Station, BS)(311)은 기지국 통신 영역(310)을 가질 수 있다. 기지국 통신 영역(310) 내에는 복수의 차량 단말들(301, 302, 303, 304, 305, 306)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로변 장치(Road Side Unit, RSU)(321)는 사이드링크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도로변 장치 통신 영역(320)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로변 장치 통신 영역(320) 내에는 복수의 단말들(305, 306, 307)이 위치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단말들(301, 302, 303, 304, 305, 306)과 사이드링크 통신이 가능한 단말(307)을 소지한 사용자를 예시하였다. 차량 단말은 차량에 탑재된(또는 차량에 부착된 또는 차량의 운전자나 승객이 소지하거나 휴대하거나 착용한) 단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단말들(301-30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사이드링크 통신이 가능한 단말(307)을 소지한(또는 휴대하거나 또는 착용한) 보행자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행자 또는 사용자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 3a는 본 개시에 따른 사이드링크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므로, 사이드링크에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면, 이하에서 다양한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기지국(311)과 차량(301) 간 사이드링크 통신을 V2N(Vehicle to Network) 통신(331)이라 한다. V2N 통신(331)은 기지국(311)로부터 차량(301)으로의 다운링크(Downlink, DL)와 차량(301)로부터 기지국(311)로의 업링크(Uplink, UL)로 구성될 수 있다.
도로변 장치(RSU)(321)와 차량(305) 간 사이드링크 통신을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332)이라 한다. V2I 통신(332)은 다운링크(Downlink, DL)와 업링크(Uplink, UL) 및/또는 사이드링크(Sidelink, SL)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305)과 차량(306) 간은 V2V(Vehicle to Vehicle) 통신(333)이라 한다. V2V 통신(333)은 차량 상호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기지국이나 도로변 장치의 제어 없이 차량 상호간에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306)과 보행자(307) 간은 V2P(Vehicle to Pedestrian) 통신(334)이라 한다. 차량(306)과 보행자(307) 간의 통신은 고속의 이동체와 보행하는 저속의 이동체 간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V2P 통신(334)은 보행자들 간 통신 또는 차량과 자전거 등의 저속 이동체에 탑승한 사용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b는 NR V2X에서 제공하는 브로드캐스트, 그룹 캐스트 및 유니캐스트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b를 도 3a와 대비하여 살펴보면, 도 3a에서 사용자(307) 대신 새로운 차량(308)이 예시된 점과 기지국(311)의 통신 영역을 예시하지 않은 점 및 도로변 장치(321)의 통신 영역을 예시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면, 구성 요소들은 모두 동일한 형태이다.
LTE V2X에서 주로 제공하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브로드캐스트 영역(360)은 특정한 통신 장치에 의해 비콘 프레임이 전송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NR V2X에서는 브로드캐스트 기반 사이드링크 외에도 보다 다양한 V2X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유니캐스트(Unicast) 및 그룹캐스트(Groupcast)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도입하였다.
도 3b에서는 차량들(301, 302, 303, 304)이 속한 그룹의 하나의 그룹캐스트 통신 영역(340)을 예시하고 있으며, 차량 단말들(305, 306) 간에 유니캐스트 통신을 위한 유니캐스트 통신 영역(350)을 예시하고 있다.
그룹캐스트 통신 영역(340) 내에서 차량(301)이 그룹 내의 다른 차량들(302, 303)로 그룹캐스트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전송(341, 342)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특히 도 3b에서 예시한 형태는 차량의 군집 주행(Vehicle platooning)의 형태가 될 수 있다. 군집 주행의 경우 함께 이동하는 차량 그룹에서 선두 차량(301)이 다른 차량들(302, 303)로 사이드링크 메시지를 전송하여 차량 간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b에서는 그룹 내의 단말인 차량(301)이 그룹캐스트 통신 영역(340) 내의 차량들(302, 303)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그룹 외의 단말이 그룹캐스트 통신을 통해 그룹 내의 차량들(301-304)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유니캐스트 통신의 경우 유니캐스트 통신 영역(350) 내에 차량들(305, 306)이 존재하며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NR V2X 시스템은 유니캐스트 통신을 통해 차량들(305, 306) 상호간 즉, 단말 상호간에 직접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NR V2X에서는 기지국의 제어 없이 사이드링크 만을 통해 통신하는 방식인 자원 할당 모드 2(Resource Allocation Mode 2)를 지원한다. 자원 할당 모드 2를 지원함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기술은 단말에 할당된 사이드링크 자원에 대한 자원 센싱(Resource Sensing)과 자원 선택(Resource Selection) 방법이다. 그러면 도 4를 참조하여 자원 센싱과 자원 선택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NR V2X의 자원 할당 모드 2로 동작하는 단말에서 자원 센싱 윈도우와 자원 선택 윈도우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사이드링크에서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자원 풀(Resource Pool)은 시간 축으로는 슬롯(들)(예컨대, 401), 주파수축으로는 서브-채널(들)(Sub-Channel(s))(예컨대, 40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자원 할당 모드 2로 동작하는 단말이 슬롯 n에서 자원 선택 트리거(Trigger)를 수신한 일 예를 도시하였다. 슬롯 n에서 자원 선택 동작이 트리거 되었을 경우, 단말은 자원 센싱 윈도우(410)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의 슬롯들에서 자원을 센싱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자원 센싱 윈도우(410)에 의해 센싱되는 시간 구간의 일 예로, [n-T0, n-Tproc,0]의 시간 구간을 예시하였다. 단말은 자원 센싱 윈도우(410)에서 자원을 센싱한 결과에 기반하여 자원 선택 윈도우(420)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 내에서 송신을 위한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자원 선택 윈도우(420)의 시간 구간에 대한 예로, [n+T1, n+T2]의 시간 구간을 예시하였다.
도 5는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 모드 2로 동작하는 단말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S500단계에서 자원 할당 모드 2를 위한 다양한 설정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설정 정보는 자원 풀(Resource Pool) 설정 정보, 우선순위 정보, 데이터 패킷 지연 버짓(Budget) 정보, 자원 예약 간격 정보, 후보 자원 세트 정보, 자원 선택 윈도우 크기 정보, 자원 센싱 윈도우 크기 정보,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이하 RSRP) 임계값 정보 등 자원 선택 및 자원 센싱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S502단계에서 사이드링크 제어채널에 해당하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S504단계에서, PSCCH 모니터링으로부터 검출한 PSCCH의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와 해당 PSCCH가 스케쥴링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인 물리적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SCH)의 DMRS에 대한 RSRP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은 S506단계에서 설정 정보에서 수신된 임계값 보다 높은 RSRP가 측정된 자원을 미리 설정된 후보 자원 세트에서 배제할 수 있다.
단말은 S508단계에서 배제된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후보 자원 세트 내의 자원들 중에서 전송에 사용할 자원을 선택 및 예약할 수 있다.
단말은 S510단계에서 예약된 자원에 대한 재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S512단계에서 해당 자원에 대한 재선택(Re-selection)이 트리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512단계의 판단 결과 전송에 사용할 자원에 대한 재선택이 트리거 되었다면, 단말은 S504단계에서부터 이후의 절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S512단계의 판단 결과 전송에 사용할 자원에 대한 재선택이 트리거되지 않았다면, 단말은 S514단계에서 해당 자원으로 PSCCH 및 PSSCH 전송을 그대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이드링크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할당 모드 2로 동작하는 단말에 대하여 슬롯 n에서 자원 선택 절차가 트리거 되었을 경우, 단말은 하기의 단계에 따라 자원 선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자원 선택 절차는 3GPP의 표준 규격인 TS 38.214의 8.1.4절에 기재된 내용에 기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1: 후보 자원 세트 Rx,y를 결정한다. Rx,y는 단말에 설정된 자원 풀 내에서 시간축으로는 ty번째 슬롯, 주파수축으로는 x번째 서브채널을 시작지점으로 연속적인 LsubCH개 서브채널들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주파수축으로 서브채널 x, x+1, x+2, …, 및 x+LsubCH로 구성된 자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단말은 자원 선택 윈도우(420)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 즉 [n+T1, n+T2] 내의 모든 시간 내의 자원 풀에 존재하는 Rx,y에 해당하는 후보 자원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T1과 T2는 하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T1은 0 ≤ T1 ≤ Tproc,1를 만족하는 값으로 단말의 구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Tproc,1은 하기 <표 1>과 같이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slots]
0 3
1 5
2 9
3 17
만약 T2min 값이 남은(remaining) 패킷 지연 버짓(Packet Delay Budget, PDB) 보다 작다면, "T2min ≤T2 ≤ 남은 PDB"를 만족하는 값으로 단말의 구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만약 T2min 값이 남은 PDB 보다 크거나 같다면, T2 값은 남은 PDB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단계 1을 통해 결정된 후보 자원 세트 내의 후보 자원 수를 Mtotal로 정의한다.
단계 2: 자원 센싱 윈도우(410)를 결정한다. 자원 센싱 윈도우(410)는 []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때 T0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sl-SensingWindow 파라미터로 설정된 값에 해당할 수 있고, 은 하기 <표 2>와 같이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slots]
0 1
1 1
2 2
3 4
단말은 앞서 도 5의 S502단계 및 S054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원 센싱 윈도우(410) 내의 자원 풀에 해당하는 슬롯들에서 PS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PSCCH 및 PSSCH에 대한 RSRP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자원 센싱 윈도우(410) 내에서 해당 단말이 자신의 전송을 위해 사용한 자원은 센싱에서 제외할 수 있다.
단계 3: 단말은 초기 임계값 파라미터 Th(pi,pj)를 결정할 수 있다. Th(pi,pj) 값은 sl-ThresPSSCH-RSRP-List 파라미터로 설정된 i 번째 값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 때 i 값은 i=pi+(pj-1)*8로 정의될 수 있다.
단계 4: 단말은 자원 세트 SA를 초기화할 수 있다. 이때, SA는 가능한 모든 후보 자원 Rx,y로 초기화될 수 있다.
단계 5: 단말은 자원 세트 SA에서 하기의 조건들을 만족하는 후보 자원 Rx,y를 제외시킬 수 있다.
조건1: 단말이 단계 2에서 모니터링 하지 않은 슬롯 ,
조건2: 단말이 모니터링 하지 못한 슬롯에서 제1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 포맷(또는 SCI 포맷 1-A)가 수신되었다고 가정한 경우, 해당 자원 풀에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ResourceReservePeriodList로 설정된 주기 값들 중 해당 제1 SCI 포맷의 'Resource reservation period' 필드로 지시된 임의의 주기 값에 대응되는 슬롯들과 자원 풀 내의 모든 서브-채널들이 자원 할당되었음을 가정하였 때, 아래에서 설명할 단계 6의 조건 c를 만족하였을 경우
단계 6: 단말은 자원 세트 SA에서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 자원 Rx,y를 제외시킬 수 있다.
조건 a: 단말이 제1 SCI 포맷을 슬롯 에서 수신하였고, 해당 제1 SCI 포맷의 'Resource reservation period' 필드가 Prsvp_RX 값을 지시하였고, '우선 순위 (Priority)' 필드가 prioRX를 지시하였을 경우,
조건 b: 해당 제1 SCI 포맷에 대하여 측정된 RSRP 값이 Th(prioRX,prioTX) 보다 크고,
조건 c: 슬롯 에서 수신한 제1 SCI 포맷 또는 'Resource reservation period' 필드 로 지시된 주기 값에 의하여 슬롯 (q=1, 2, …, Q)에서 수신될 것이라 간주되는 제1 SCI 포맷에 의해 결정된 자원 블록 세트 및 슬롯들 중에서 후보 자원 (j=0, 1, …, Cresel-1)과 겹치는 자원들. 여기서 으로 정의되고, Tscal은자원 자원 선택 윈도우(420) 길이인 T2를 밀리초(msec) 단위로 변환한 값에 해당한다.
단계 7: 만약 자원 세트 SA 내에 남은 후보 자원의 수가 X·Mtotal 보다 작다면, 단말은 Th(pi,pj) 값을 3 dB 증가시키고, 단계 4에서부터 절차를 재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절차를 통해 결정된 자원 세트 SA를 상위 계층으로 보고 할 수 있다.
만약 재평가 대상 자원인 (r0,r1,r2,…) 내의 임의의 자원 ri가 상기 절차를 통해 선택된 자원 세트 SA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단말은 해당 자원 ri의 재평가를 상위 계층으로 보고할 수 있다.
만약 선취(pre-emption, 이하 "프리-엠션"이라 함) 대상 자원인 내의 임의의 자원 가 상기 단계 6에 따라 제외되어 자원 세트 SA 내에 포함되지 않고, 하기의 조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만족한다면, 단말은 해당 자원 의 프리-엠션을 상위 계층으로 보고할 수 있다.
조건 1: sl-PreemptionEnable 파라미터가 'enable'로 설정되었고, prioTX > prioRX를 만족할 경우
조건 2: sl-PreemptionEnable 파라미터가 설정되었으나 'enable'로 설정되지는 않았고, prioRX < priopre와 prioTX > prioRX를 모두 만족하였을 경우
이상에서 설명된 방식을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자원 할당 모드 2로 동작하는 단말에서 자원 센싱 및 자원 선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앞서 단계1에서 설명한 주파수축으로는 x번째 서브채널을 시작지점으로 연속적인 LsubCH개 서브 채널들을 2로 설정하면, 서브 채널 x(610)와 서브 채널 x+1(620)이 해당하는 서브 채널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자원 선택 윈도우(420)의 시간 구간인 [n+T1, n+T2]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자원 선택 윈도우(420) 내에서 주파수 자원은 서브 채널 x(610)와 서브 채널 x+1(620)이고, 자원 선택 윈도우(420)의 시간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자원이 특정되면, 후보 자원 세트 내의 후보 자원 수인 Mtotal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자원 센싱 윈도우(410) 또한 시간 구간은 단계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위 계층으로부터 sl-SwnsingWindow 파라미터로 설정된 값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T0와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정의되는 에 의해 시간 구간이 결정되므로, 센싱 윈도우(410)가 결정될 수 있다.
자원 센싱 윈도우(410)가 결정되면, 단말은 자원 센싱 윈도우(410) 내의 자원들에서 PS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PSCCH 및 PSSCH에 대한 RSRP를 측정할 수 있다. 만일 PSCCH 및/또는 PSSCH이 검출되는 경우 해당 자원은 다른 단말에서 사용하도록 예약된(Reserved) 자원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단말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된 자원을 도 6에서는 "검출된 예약 자원"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단말이 자원 선택을 위해 단계 4에서 초기화한 자원 세트 SA에 대하여 단계 2에서 모니터링하지 않는 검출된 예약 자원을 포함하여, 위에서 설명된 자원들을 제외할 수 있다. 이처럼 자원 세트 SA에서 위에서 설명한 방식들에 기반하여 제외해야 하는 자원들을 모두 제외하고 나면, 실제 전송에 이용될 수 있는 자원들(611, 612, 621, 622)만으로 자원 세트 SA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자원 세트 SA에 남은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실제 전송할 수 있는 자원들(611, 612, 621, 622)만으로 자원 세트 SA가 구성되는 경우 후보 자원 세트 Rx,y 및 Rx,y+1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Rx,y는 슬롯 에서 서브 채널 x(610)의 자원(611)과 슬롯 에서 서브채널 x+1(620)의 자원(621)이고, Rx,y+1는 슬롯 에서 서브 채널 x(610)의 자원(612)과 슬롯 에서 서브채널 x+1(620)의 자원(622)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자원 센싱 및 자원 선택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은 자원 센싱을 위한 PSCCH 모니터링 및 PSCCH/PSSCH에 대한 RSRP 측정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소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Release 17 NR 사이드링크 표준화 회의에서는 단말의 전력 절감을 위한 사이드링크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과 부분 센싱(Partial Sensing)에 대해 규격화가 진행 중에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에서는 우선적으로 향후 Release 18 사이드링크 표준 아이템으로 포함된 빔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Release 17 이전의 사이드링크 규격에서는 고주파대역에 해당하는 FR2에 대한 빔 관리 기법을 명시적으로 지원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3GPP RAN Plenary 회의에서 FR2 면허 대역에서의 사이드링크 빔 관리 동작 방법에 대한 표준화를 향후 이루어질 Release 18 표준화에서 추진하기로 합의하였다. 3GPP RAN#94-e 회의에서 논의된 기고서 RP-213678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Release 18에서는 현재의 사이드링크 CSI framework와 NR Uu 링크에 적용된 빔 관리 기법을 최대한 재활용함으로써 초기 전송 빔 선택, 빔 변경, 빔 실패 복구 절차 등을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빔 관리 동작을 지원하도록 할 예정이다. 비록 현재까지 논의되는 내용에 따르면 빔 관리 기법에 대한 Release 18 표준화 작업은 유니캐스트(Unicast)에 한정해 진행할 계획이지만 Release 19 이후의 표준화에서 브로드캐스트(Broadcast)와 그룹캐스트(Groupcast)를 위한 빔 관리 기법도 논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빔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 환경에서 단말이 빔 별 자원 선택 절차와 빔 기반 사이드링크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유니캐스트에 대한 빔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들(711, 712, 713, 714, 721, 72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된(또는 차량에 부착된 또는 차량의 운전자나 승객이 소지하거나 휴대하거나 착용한) 차량 단말들(301-306)을 의미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711)이 송신 단말인 경우로 가정하며, 도 7의 설명에서 차량(711)을 송신 단말로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송신 단말(711)과 차량(711)이 혼용되거나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711)은 사이드링크 통신에 빔포밍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로, 차량(711)은 복수의 빔들(731, 732, 733, 734-1, 734-2, 734-3, 735, 736)을 이용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에 빔포밍 기법을 사용하여 복수의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빔을 통해 사이드링크 데이터(또는 신호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을 특별히 "송신 단말"이라 칭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복수의 빔들(731, 732, 733, 734-1, 734-2, 734-3, 735, 736)을 이용하는 송신 단말(711)은 적어도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과 브로드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유니캐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711)은 그룹캐스트 통신 영역(710) 내에 위치한 차량들(712, 713, 714)과 그룹캐스트에 기반한 사이드링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단말(711)은 빔(734-1)을 이용하여 차량(714)과 그룹캐스트에 기반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송신 단말(711)은 빔(734-2)을 이용하여 차량(713)과 그룹캐스트에 기반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송신 단말(711)은 빔(734-3)을 이용하여 차량(712)과 그룹캐스트에 기반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송신 단말(711)은 그룹캐스트 통신 영역(710)의 밖에 위치하는 차량들(721, 722)과 브로드캐스트/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단말(711)은 차량(721)과 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신 단말(711)은 차량(722)과 브로드캐스트에 기반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이드링크 통신 시 브로드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유니캐스트의 각 방식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 빔들의 용도에 따라 다르게 표현하였으며, 점선의 빔들(732, 735, 736)은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빔들이 될 수 있다.
한편 3GPP RAN1#106-e 회의에서 합의된 내용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DRX 비활성 시간(inactive time) 동안에도 센싱을 위한 PSCCH 수신과 RSRP 측정을 허용한다고 합의하였다. 해당 동작 즉, SL DRX 비활성 시간 동안 단말의 센싱 동작을 규격에 명시적으로 지원할 것인지 아니면 단말 자체 구현에 맡길 것인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하지만 RAN1#107-e 회의에서 추가적으로 합의된 내용에 따르면, 송신 단말의 물리계층(Physical Layer)이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MAC Layer)에게 보고하는 자원 후보(SA)의 하위 집합은 적어도 수신 단말의 DRX 활성 시간(active time)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합의하였다. 만약 송신 단말이 SL DRX 비활성 시간 동안에 충분한 센싱 동작을 수행하지 못한다면 수신 단말의 DRX active time 내 일부 후보 자원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센싱 결과 또한 정확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추가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제1실시예: 유니캐스트 빔 별 자원 선택 절차]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개시에 따른 빔 유니캐스트 빔 별 자원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차량(801)은 송신 단말이 될 수 있고, 차량(802)는 수신 단말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빔포밍 기법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빔을 통해 데이터(또는 신호 또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차량을 송신 단말이라 하였다. 이하에서는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빔포밍 기법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빔을 통해 데이터(또는 신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차량을 "수신 단말"이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8a 내지 도 8d에 예시한 차량들(801, 802)을 송신 단말(801)과 수신 단말(802)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송신 단말(801)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빔포밍 방식으로 복수의 빔들(811, 812, 813, 814, 815, 816, 817, 818, 819)을 사용할 수 있다. 송신 단말(801)은 임의의 초기 빔(815)을 이용하여 수신 단말(802)과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a에서는 송신 단말(801)이 결정한 초기 빔(815)이 수신 단말(802)과 가시선(Line of Sight, LOS) 방향의 빔으로 예시하였으나, 초기 빔으로 도 8a에 예시된 초기 빔(815)가 아닌 다른 빔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초기 접속 절차는 본 개시의 주요 내용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송신 단말(801)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초기 접속 절차(초기 빔 결정)를 통해 복수의 빔들(811, 812, 813, 814, 815, 816, 817, 818, 819) 중에서 수신 단말(802)과 사이드링크 통신에 활용 가능한 빔 후보 세트 B init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 단말(801)은 사이드링크 통신에 활용 가능한 빔 후보 세트 B init 결정 시 수신 단말(802)과의 빔 센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초기 접속 절차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에 활용 가능한 빔 후보 세트 B init를 초기 빔 후보 세트라 칭할 수 있다. 도 8b에서는 초기 빔 후보 세트 B init로 3개의 빔들(813, 815, 816)이 선택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에 활용 가능한 빔 후보 세트 B init 내에 포함되는 빔의 수는 둘 이상의 빔이 될 수 있으며, 빔 후보 세트 B init 내에 포함되는 빔의 수는 단말 자체적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상위계층에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단말(801)은 앞서 설명한 TS 38.214의 8.1.4절에 따른 자원 선택 절차의 단계 1 내지 단계 7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계 1 내지 단계 7은 각 빔 에 대해 수행할 수 있다. 즉, 송신 단말(801)은 각 빔 별로 자원 선택 절차인 단계 1 내지 단계 7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b는 빔 인덱스이다.
또한 송신 단말(801)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면서 초기 빔 후보 세트 B init 내 빔 각각에 대해 신호 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단말(801)은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빔 관리 메커니즘에서 빔 후보 세트 B init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초기 빔 후보 세트가 업데이트되면, 이를 업데이트된 빔 후보 세트라 칭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초기 빔 후보 세트와 업데이트된 빔 후보 세트를 모두 총칭하여 빔 후보 세트라 할 수 있다. 단지 초기 접속 절차에서 획득된 빔 후보 세트인 경우 초기 빔 후보 세트라 칭하며, 이후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업데이트된 빔 후보 세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히 시점을 구분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빔 후보 세트라 칭하기로 한다.
빔 후보 세트 B init가 업데이트 되면 송신 단말(801)은 자원 선택 절차 수행 시 업데이트 된 빔 후보 세트 B init를 이용하여 빔을 재선택할 수 있다. 만약 b번 빔에 대한 자원 선택 절차 즉, 앞서 설명한 단계 1 내지 단계 7의 절차에서 단계 7에 도달하였고, b번 빔의 자원 세트 S A,b 내에 남은 후보 자원의 수가 미리 결정된 자원 임계값 X b·M total 보다 작다면, 단말은 b번 빔을 통신 빔 후보 B A 에서 제외한다. 하지만 모든 빔(B init)에 대한 절차가 완료된 후, 빔 후보 개수 가 미리 설정된 최소 빔 후보 개수 N min,beam 보다 작은 경우, 빔 별 임계값 Th(p i ,p j ,b)을 3dB 증가시키고, 각 빔 에 대해 단계 4에서부터 절차를 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p i 는 수신 단말(802)로부터 수신된 SCI 포맷 1-A 내의 우선순위 필드의 값이고, p j 는 자원을 선택하는 송신 단말(801)의 전송 우선순위이다.
이상의 절차를 통해 빔의 수가 빔 후보들의 최소 수보다 많고 그리고 빔들 각각이 자원 임계치 이상의 후보 자원을 가지는 경우, 송신 단말(801)은 통신 빔 후보 세트 B A 와 통신 빔 후보 세트 내의 각각의 빔들에 대한 후보 자원 S A,b 을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송신 단말(810)의 물리계층에서의 획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단말(801)의 물리계층은 통신 빔 후보 B A 와 빔 후보 세트 내의 각각의 빔들에 대한 후보 자원 S A,b 을 상위계층에 보고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송신 단말(801)이 물리계층은 "통신 빔 후보 세트 B A "로 2개의 빔들(815, 816)을 결정하고, 빔들 각각에 대한 후보 자원 S A,b 들을 상위계층으로 보고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즉, 도 8b에서 결정된 초기 빔 후보 세트 B initB A로 설정된다. 그리고 초기 빔 후보 세트 B init는 주기적인 신호 세기 측정을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물리계층은 자원 선택 절차의 단계 1에서 B A의 초기 값으로 B init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런 후 단계 1에서 단계 7을 거쳐 업데이트된 B A 세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의 과정 거쳐 획득한 통신 빔 후보 B A 에 속한 2개의 빔들(815, 816)이 결정될 수 있다. 즉, 통신 빔 후보 B A 에 속한 빔들(815, 816)과 각 자원 후보들 S A,b 를 함께 상위계층으로 보고할 수 있다. 여기서 상위 계층은 MAC 계층 및/또는 RRC 계층이 될 수 있다.
송신 단말(801)의 상위계층은 이러한 보고에 기반하여 전송 빔 과 빔 내에서 유니캐스트 통신을 위한 자원 즉, 적어도 하나의 특정 빔과 해당 빔에서 사용할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d에서는 송신 단말(801)의 상위계층이 통신 빔 후보 세트 B A 에서 하나의 빔(816)을 유니캐스트 통신을 위한 빔으로 선택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송신 단말(801)의 상위계층은 통신 빔 후보 B A 에서 통신에 사용하도록 결정된 통신 빔(816)에서 사용할 자원(자원 세트 에서 선택)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단말(801)의 물리계층은 사이드링크 통신 시에 유니캐스트 통신을 위해 결정된 통신 빔(816)과 통신 빔(816)에서 사용할 자원을 이용하여 유니캐스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빔 기반 사이드링크 자원 선택 절차에서는 모든 빔에 대한 지속적인 센싱 수행이 불가하기 때문에 위에서 설명한 초기 접속 절차(초기 빔 결정) 또는 빔 관리 메커니즘에 의해 결정되는 빔 후보 세트 B int 내 빔의 개수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정확한 센싱 결과를 얻는데 유리하다.
[제2실시예: 단말 간 정보 공유를 위한 유니캐스트 빔 별 자원 선택 절차]
송신 단말(801)은 수신 단말(802)이 SCI 또는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를 통해 알려주는 비선호 빔 세트와 선호 빔 세트를 위에서 설명한 빌 별 자원 선택 절차에 활용할 수 있다. 수신 단말(802)은 송신 단말(801)에게 미리 비선호 빔 세트와 선호 빔 세트를 알려줌으로써 송신 단말(801)이 아래의 동작 A 내지 동작 D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동작 A. 비선호 빔 세트 내의 빔을 초기 후보 세트 B init에서 제외한다.
동작 B. 비선호 빔 세트 내의 빔에 대한 X b 의 값을 나머지 빔에 설정된 값보다 높게 설정하여, 수신 단말의 비선호 빔이 선택될 확률이 낮아지도록 한다.
동작 C. 선호 빔 세트 내의 빔에 대한 X b 의 값을 나머지 빔에 설정된 값보다 작게 설정하도록 하여 수신 단말의 선호 빔이 선택될 확률이 높아지도록 한다.
동작 D. 비선호 빔 세트와 선호 빔 세트 정보를 바탕으로 빔 후보 세트 B init에서 빔을 제외하는 동작은 제5 실시예에서 후술할 빔 별 선호도 평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3실시예: DRX 모드 유니캐스트 빔 별 자원 선택 절차 지원을 위한 단말 간 정보 공유]
앞서 설명한 송신 단말이 수신 단말의 DRX 활성 시간(active time) 내 일부 후보 자원에 대해 충분한 센싱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정확한 센싱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송신 단말(801)이 자신의 비활성화 시간(inactive time) 내에서 최대한 많은 횟수의 자원 센싱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수신 단말(802)은 자신의 active time 내의 자원이 최대한 많이 선택될 수 있도록 송신 단말(801)에게 송신 단말(801)의 inactive time 동안에 센싱을 수행해야 하는 빔 별 최소 자원 량 M min,b, 예를 들어 논리적(logical) 슬롯의 개수를 SCI 또는 MAC CE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inactive time 동안에 센싱을 수행해야 하는 빔 별 최소 자원 량 M min,b을 수신한 DRX를 수행하는 송신 단말(801)은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inactive time 동안 빔 후보 세트 내의 빔들 각각에 대하여 최소 자원량 이상의 자원들에 대해 자원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빔 기반 브로드캐스트 전송 방법]
5G NR에서 고려되고 있는 FR2 대역에서는 V2X 사용 케이스(Use Case) 별로 필요한 커버리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좁은 빔 폭의 빔을 형성할 필요가 있고, 다양한 방향에 위치한 수신 단말에게 신호를 그룹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빔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송신 단말이 빔을 번갈아 가면서 모든 빔에 대해 자원 센싱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빔 별 자원 센싱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통신의 경우, 일반적으로 주위의 모든 단말들에게 전달해야 하는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가용한 모든 빔을 이용하여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불필요한 전송을 최소화함으로써 복잡도와 모든 빔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정보를 전달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연시간을 줄일 필요가 있다.
본 개시에서는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송신 단말(801)은 가용한 빔 중에서 빔이 가리키는 방향에 정보를 수신하여야 하는 수신 단말(802)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신호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송신 단말(801)은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각 빔에 대해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가용한 빔 중에서 브로드캐스트 전송에 사용될 빔 세트를 결정하고, 결정된 빔 세트를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송신 단말(801)은 브로드캐스트할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브로드캐스트 전송 빔 세트 결정 방법은 아래의 방법들 중 하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방법 1: 송신 단말(801)은 자원 센싱을 통해 측정한 사이드링크에 대한 RSRP 예를 들어, PSSCH에 대한 RSRP 또는 PSCCH에 대한 RSRP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단말(801)은 각 빔 별로 자원 센싱 시에 PSSCH에 대해 측정한 RSRP 또는 PSCCH에 대해 측정한 RSRP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문턱 값 RSRP thre,1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빔을 전송 빔 세트로 포함시킬 수 있다. 반면에 송신 단말(801)은 각 빔 별로 센싱 시에 PSSCH에 대해 측정한 RSRP 또는 PSCCH에 대해 측정한 RSRP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문턱 값 RSRP thre,2 미만인 경우, 전송 빔 세트에서 제외될 수 있다. 만약 PSSCH에 대해 측정한 RSRP 또는 PSCCH에 대해 측정한 RSRP 값이 두 문턱 값 사이 값인 경우에는 송신 단말(801)은 해당 빔의 송신 여부를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방법 2: 방법 1과 비슷하게 송신 단말(801)은 빔 별로 채널의 번잡도 예를 들어 채널 번잡 비율(Channel Busy Ratio, CBR)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송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CBR은 3GPP 규격에 정의된 지표이고, 서브프레임 n에서 측정된 CBR은 정의는 다음과 같다. CBR은, PSSCH에 대하여, 서브프레임 [n-100, n-1] 동안 송신 단말(801)에 의해 측정된 사이드링크 RSSI가 미리 설정된 문턱 값을 넘는 것으로 감지된 리소스 풀에서의 서브 채널의 포션(Portion)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방법 2에 따른 송신 단말(801)은 번잡도가 미리 설정된 제1 문턱값 CBR thre,1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빔을 전송 빔 세트로 포함시킬 수 있다. 반면에 송신 단말(801)은 빔 별로 채널의 번잡도가 미리 설정된 제2 문턱 값 CBR thre,2 미만인 경우, 전송 빔 세트에서 해당 빔을 제외할 수 있다. 만약 측정된 값이 두 문턱 값 사이 값인 경우에 송신 단말(801)은 해당 빔의 송신 여부를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측정된 값이 두 문턱 값 사이 값인 경우에 빔의 송신 여부 결정 시 송신 단말(801)의 전력 상태를 고려하거나, 메시지의 중요도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위에서 설명한 방법 1에 따른 제1 문턱 값과 방법 2에 따른 제1 문턱 값은 서로 다른 값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방법 1에 따른 제2 문턱 값과 방법 2에 따른 제2 문턱 값이 서로 다른 값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제5실시예: 그룹캐스트에서 빔 별 선호도 기반 빔 후보 세트 결정 방법]
그룹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 단말(801)은 그룹캐스트 통신 그룹 내 수신 단말들과 초기 접속 절차(초기 빔 결정)에서 자원 선택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은 그룹캐스트 통신 그룹 내 수신 단말들과 빔 관리 절차 후 결정된 빔 별 자원 선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위의 2가지 절차 중 어느 한 절차에서 빔 후보 세트 B init 내 빔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M을 초과하는 경우, 송신 단말(801)은 그룹 내 수신 단말이 알려주는 비선호 빔 세트와 선호 빔 세트를 고려하여 빔 별 자원 선택 절차 수행 초기에 설정되는 빔 후보 세트 B init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 8e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송신 단말이 빔 선호도 점수에 따라 선택된 빔을 센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e를 참조하면, 송신 단말(801)은 복수의 송신 빔들(811-819)을 이용하여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e에서 빔들을 식별하기 위해 송신 단말(810)이 빔포밍할 수 있는 빔들이 제1빔(811), 제2빔(812), 제3빔(813), 제4빔(814), 제5빔(815), 제6빔(816), 제7빔(817), 제8빔(818) 및 제9빔(819)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에 따라 제1빔(811)의 빔 인덱스는 1, 제2빔(812)의 빔 인덱스는 2, 제3빔(813)의 빔 인덱스는 3, 제4빔(814)의 빔 인덱스는 4, 제5빔(815)의 빔 인덱스는 5, 제6빔(816)의 빔 인덱스는 6, 제7빔(817)의 빔 인덱스는 7, 제8빔(818)의 빔 인덱스는 8 및 제9빔(819)의 빔 인덱스는 9로 가정하기로 한다.
송신 단말(801)은 수신 단말들(803, 804, 805)가 각각 알려준(전송한 또는 제공한) 비선호 빔 세트와 선호 빔 세트를 미리 수신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송신 단말(801)은 수신 단말들(803, 804, 805)이 알려준 비선호 빔 세트와 선호 빔 세트를 고려하여 빔 각각에 대한 점수 Score b 를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는 송신 단말(802)이 그룹 내 i번째 수신 단말로부터 b번째 송신 빔을 선호한다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적용하는 점수 값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 단말(801)은 i번째 수신 단말로부터 b번째 송신 빔을 선호한다는 정보를 받은 경우 b번째 송신 빔의 값을 1로, 수신 단말로부터 b번째 송신 빔을 선호한다는 정보를 받지 못한 경우 b번째 송신 빔의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는 송신 단말(801)이 그룹 내 i번째 수신 단말로부터 b번째 송신 빔을 비선호한다는 정보를 받았을 때 적용하는 점수 값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 단말(801)은 i번째 수신 단말로부터 b번째 송신 빔을 비선호한다는 정보를 받은 경우 b번째 송신 빔의 값을 1로, i번째 수신 단말로부터 b번째 송신 빔을 비선호한다는 정보를 받지 못한 경우 b번째 송신 빔의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는 송신 단말(801)의 입장에서 선호하는 빔에 따라 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 단말(801)이 b번째 빔을 선호하는 경우, 값을 0.5보다 큰 값인 0.7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단말(801)은 선택된 빔의 개수 M은 아래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빔 후보 세트 B init를 선택하여야 한다.
<수학식 2>에서 M minM max는 상위계층에 의해 구성되거나(configuration) 또는 미리 구성(pre-configuration)된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위의 <수학식 1>에 의해 각 빔에 대하여 점수가 계산되면, 송신 단말(801)은 최종적으로 점수가 높은 M개의 빔을 그룹캐스트 빔 별 자원 선택 절차의 초기 빔 후보 세트 B init로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후보 세트 B init로 제3빔(813), 제4빔(814), 제5빔(815) 및 제6빔(816)이 결정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를 빔 인덱스로 표현하면 초기 빔 후보 세트 B init = {3, 4, 5, 6}이 될 수 있다. 이때, 빔 선호도 점수에 따라 빔이 재설정된 경우 초기 빔 후보 세트 B init = {3, 5, 6}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빔 후보 세트 B init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M은 3이라고 가정하면, 초기 빔 후보 세트 B init = {3, 5, 6}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e에서는 빔 선호도 점수에 따라 빔이 재설정된 경우 초기 빔 후보 세트 B init = {3, 5, 6}으로 결정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한편, 송신 단말(801)의 입장에서 센싱을 수행하여야 하는 빔 후보 세트 B init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M 이하인 경우에는 초기 빔 후보 세트 B init 세트 내 모든 빔에 대해 순차적으로 자원 선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위의 <수학식 1>에 의해 각 빔의 점수 계산 방법은 유니캐스트 빔에 대한 자원을 선택할 때 사용할 수도 있다. 유니캐스트 빔에 대한 자원을 선택하는 경우 <수학식 1>에서 설명한 방식을 이용하여 각 빔들 중에서 가장 높은 점수의 빔 하나만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유니캐스트 빔을 선택하는 경우 빔 후보 세트 B init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 M 간 비교하는 단계는 필요하지 않다.
[제6실시예: 그룹 빔 기반 자원 센싱 방법]
일반적으로 인접한 빔 간에는 유사한 자원 센싱 결과를 얻을 확률이 매우 높다. 따라서 송신 단말(801)은 가용한 빔을 그룹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 8f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f는 본 개시에 따라 사이드링크 송신 장치가 빔들을 그룹핑하여 빔 그룹 단위로 센싱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f를 참조하면, 제1빔(811) 내지 제3빔(813)이 제1그룹(821)으로 그룹핑하고, 제4빔(814) 내지 제6빔(816)을 제2그룹(822)으로 그룹핑하며, 제7빔(817) 내지 제9빔(819)을 제3그룹(823)으로 그룹핑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8f에 예시한 바와 같이 송신 단말(801)은 둘 이상의 빔들을 하나의 그룹 단위로 센싱할 수 있도록 그룹핑할 수 있다. 만일 송신 단말(801)이 동시에 복수 개의 빔을 생성할 수 있는 경우에는 한 그룹 내의 빔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센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그룹(821)의 센싱 시에 제1그룹(821)에 포함된 빔들(811, 812, 813) 모두를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송신 단말(801)이 한 시점에 한 그룹 내에서 하나의 빔만 형성 가능한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송신 단말(801)은 하나의 그룹 내에서 하나의 빔을 선택할 때, 아래의 방법들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빔 선택 방법 1: 송신 단말(801)은 하나의 그룹 내에서 복수의 빔들 중 하나의 빔을 선택할 시 랜덤으로 센싱에 사용할 빔을 선택할 수 있다.
빔 선택 방법 2: 송신 단말(801)은 하나의 그룹 내에서 복수의 빔들 중 하나의 빔을 선택할 시 송신 단말(801)의 선호도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그룹 내에서 선호도가 가장 높은 빔을 선택하여 자원 센싱에 사용할 수 있다.
빔 선택 방법 3: 송신 단말(801)은 하나의 그룹 내에서 복수의 빔들 중 하나의 빔을 선택할 시 수신 단말로부터 보고된 선호도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그룹 내에서 선호도가 가장 높은 빔을 선택하여 자원 센싱에 사용할 수도 있다.
빔 선택 방법 4: 송신 단말(801)은 하나의 그룹 내에서 복수의 빔들 중 하나의 빔을 선택 시 해당 그룹 내의 빔들 각각에 대하여 수신 단말로부터 보고된 선호도와 송신 단말(801)의 선호도에 기반한 점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점수가 가장 높은 빔을 선택하여 자원 센싱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식들 중 하나의 방식에 기반하여 제1그룹(821)에서 선택된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자원 센싱을 수행하고, 다음으로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제2그룹(822)에서 선택된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자원 센싱을 수행하며, 제3그룹(823)도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선택된 하나의 빔을 이용하여 자원 센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인접한 복수의 빔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그 중 하나의 빔을 해당 그룹의 대표 빔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자원 센싱의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다만,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되는 빔들은 유사한 자원 센싱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확률이 높은 빔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그룹핑에 기반한 자원 센싱 방법은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방식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제7실시예: 그룹 빔 기반 자원 센싱 후 전송 빔 선택 방법]
그룹 빔 기반 센싱을 수행하여 자원 세트를 결정한 경우, 최종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빔은 기본적으로는 자원 센싱에 사용된 빔을 선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송신 단말(801)의 상위계층 또는 수신 단말의 요청에 의해 아래의 몇 가지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빔 그룹 내 기 선택된 빔(센싱에 사용된 빔) 외의 다른 빔을 선택하여 통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방법1: 빔 그룹 내 나머지 빔 중에서 랜덤으로 선택하는 방법
방법2: 빔 그룹 내 나머지 빔 중에서 송신 단말의 선호도 및/또는 수신 단말의 선호도에 기반한 점수가 가장 높은 빔을 선택하는 방법
방법3: 빔 그룹 내 센싱 빔과 가장 인접한 빔 중에서 랜덤으로 선택하는 방법
방법4: 빔 그룹 내 센싱 빔과 준 유사-위치(Quasi Co-Location, QCL)인 빔 중에서 랜덤으로 선택하는 방법
이상에서 설명한 자원 센싱 후 전송 빔의 선택 방법 또한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방식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 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송신 단말의 방법으로서,
    빔포밍 가능한 복수의 빔들 중에서 수신 단말과 사이드링크 통신에 활용 가능한 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하는 빔 후보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의 각 빔에 대하여 자원 센싱을 통해 미리 결정된 후보 자원 이상이 되도록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빔 후보 세트와 상기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과 사이드링크 통신에 사용할 빔과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빔과 선택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단말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의 둘 이상의 빔들 각각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의 빔들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단말의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비선호 빔 세트 또는 선호 빔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단말의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선호 빔 세트의 각 빔에 제1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비선호 빔 세트의 각 빔에 대해 제2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제1가중치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빔과 상기 제2가중치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빔의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빔 후보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가중치는 상기 제2가중치보다 큰 값인,
    송신 단말의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송신 단말의 비활성화 시간(inactive time) 동안에 센싱을 수행해야 하는 빔 별 최소 자원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빔에 대한 자원 센싱 시 상기 수신된 최소 자원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단말의 비활성화 시간에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에 포함된 빔들 각각에 대해 자원 센싱이 수행되는,
    송신 단말의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최소 자원량 정보는 논리적 슬롯 개수를 포함하며,
    상기 최소 자원량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에 포함되는,
    송신 단말의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가능한 복수의 빔들에서 둘 이상의 빔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및
    상기 빔 센싱 시 그룹 단위로 빔 센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단말의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 후보 세트에서 브로드캐스트에 사용할 빔들을 선택할 때, 상기 자원 센싱을 통해 측정한 각 빔의 수신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이 미리 설정된 제1문턱 값 이상인 빔들을 상기 브로드캐스트에 사용할 빔으로 설정하는,
    송신 단말의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 후보 세트에서 브로드캐스트에 사용할 빔들의 선택할 때, 상기 빔 후보 세트에서 채널 번잡 비율(Channel Busy Ratio, CBR)이 미리 설정된 제1 문턱 값 이상인 제1 빔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단말의 방법.
  10. 송신 단말로서,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송신 단말이,
    빔포밍 가능한 복수의 빔들 중에서 수신 단말과 사이드링크 통신에 활용 가능한 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하는 빔 후보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의 각 빔에 대하여 자원 센싱을 통해 미리 결정된 후보 자원 이상이 되도록 자원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빔 후보 세트와 상기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과 사이드링크 통신에 사용할 빔과 자원을 선택하고; 및
    상기 선택된 빔과 선택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송신 단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이,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의 둘 이상의 빔들 각각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및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의 빔들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송신 단말.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이,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비선호 빔 세트 또는 선호 빔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송신 단말.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이,
    상기 선호 빔 세트의 각 빔에 제1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비선호 빔 세트의 각 빔에 대해 제2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제1가중치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빔과 상기 제2가중치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빔의 점수를 계산하고; 및
    상기 계산된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빔 후보 세트를 결정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1가중치는 상기 제2가중치보다 큰 값인,
    송신 단말.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이,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송신 단말의 비활성화 시간(inactive time) 동안에 센싱을 수행해야 하는 빔 별 최소 자원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각 빔에 대한 자원 센싱 시 상기 수신된 최소 자원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단말의 비활성화 시간에 상기 빔 후보 세트 내에 포함된 빔들 각각에 대해 자원 센싱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송신 단말.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최소 자원량 정보는 논리적 슬롯 개수를 포함하며,
    상기 최소 자원량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에 포함되는,
    송신 단말.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이,
    상기 빔포밍 가능한 복수의 빔들에서 둘 이상의 빔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및
    빔 센싱 시 그룹 단위로 빔 센싱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송신 단말.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이,
    상기 빔 후보 세트에서 브로드캐스트에 사용할 빔들의 선택할 때, 상기 자원 센싱을 통해 측정한 각 빔의 수신 신호 수신 전력(RSRP)이 미리 설정된 제1문턱 값 이상인 빔들을 상기 브로드캐스트에 사용할 빔으로 설정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송신 단말.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이,
    상기 빔 후보 세트에서 브로드캐스트에 사용할 빔들의 선택할 때, 상기 빔 후보 세트에서 채널 번잡 비율(Channel Busy Ratio, CBR)이 미리 설정된 제1 문턱 값 이상인 제1 빔들을 선택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송신 단말.
  19. 수신 단말의 방법으로서,
    복수의 빔들을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이 가능한 송신 단말과 상기 송신 단말의 제1 빔을 이용하여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비선호 빔 세트 또는 선호 빔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송신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단말이 사이드링크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송신 단말의 DRX 비활성화 시간(inactive time) 동안 센싱을 수행해야 하는 빔 별 최소 자원량 정보를 상기 송신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의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최소 자원량 정보는 논리적 슬롯 개수를 포함하며,
    상기 최소 자원량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에 포함되는,
    수신 단말의 방법.
KR1020230008788A 2022-01-21 2023-01-20 빔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링크 통신 KR20230113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99,464 US20230292300A1 (en) 2022-01-21 2023-01-20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resources for beam-based sidelink communication and sidelink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09266 2022-01-21
KR1020220009266 2022-0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187A true KR20230113187A (ko) 2023-07-28

Family

ID=8742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788A KR20230113187A (ko) 2022-01-21 2023-01-20 빔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링크 통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292300A1 (ko)
KR (1) KR2023011318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92300A1 (en)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0994B2 (ja) 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方法
JP6511436B2 (ja)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サウンディング方法及びこれをサポートする装置
US1095216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signal and apparatus
CN108886800B (zh) 用户装置
CN114128322A (zh) 侧链路通信中的资源分配方法
KR20190095341A (ko) 전력 절감 모드에서 단말을 구분하는 방법 및 전력 절감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을 깨우는 페이징 신호 전송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EP4304269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5191401A (zh) 通信***中确定具有双连接的用户设备的移动性的方法
JP2023532069A (ja) サイドリンクueのためのリソース予約の予測
CN107534984A (zh) 一种分量载波组的配置方法及设备
KR20210023711A (ko)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자원들의 설정 방법
KR20210018023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비주기적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4051742A (zh) 通信***中组切换的方法及装置
JP7136773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ユーザ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20230113187A (ko) 빔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링크 통신
KR20220071950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추가 pqi를 사용한 데이터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20069853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페이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107796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bwp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13733A (ko)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주행 그룹 간의 송신 자원을 고려한 송신 자원의 재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96413A (ko)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7537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230292348A1 (en) Beam-based sidelink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2703791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2301648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32379A (ko) 빔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