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466A - Cosmetic Compos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Fraction of Ginseng Flower Extract - Google Patents

Cosmetic Compos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Fraction of Ginseng Flower Extra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466A
KR20230111466A KR1020220007363A KR20220007363A KR20230111466A KR 20230111466 A KR20230111466 A KR 20230111466A KR 1020220007363 A KR1020220007363 A KR 1020220007363A KR 20220007363 A KR20220007363 A KR 20220007363A KR 20230111466 A KR20230111466 A KR 20230111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alcohol
ginseng flower
ginseng
ski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3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희
조혜선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220007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466A/en
Publication of KR2023011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466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꽃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여 인삼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인삼꽃 추출물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분획하는 단계, 및 분획 후에 알코올 층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인삼꽃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꽃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은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뛰어나므로, 피부의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n alcohol fraction of a ginseng flower extract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preparing a ginseng flower extract by extracting ginseng flower with an extraction solvent, fractionating the ginseng flower extract by adding alcohol, and recovering an alcohol layer after the fractionation. Since the alcohol fraction of the ginseng flower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Description

인삼꽃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Fraction of Ginseng Flower Extract}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a fraction of ginseng flower extract {Cosmetic Compos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Fraction of Ginseng Flower Extract}

본 발명은 인삼꽃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 fraction of a ginseng flower extract.

피부 미백은 여성들에게 가장 관심이 큰 화장품 분야 중 하나이다. '피부 미백'이란 자외선,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이상 및 임신 등과 같은 환경 변화에 의해 피부 내에 색소의 생성이 과하게 일어나 발생하는 피부색의 변화를 정돈하여 주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는 피부 색소인 멜라닌이다.Skin whitening is one of the cosmetic fields that women are most interested in. 'Skin whitening' is to adjust the change in skin color caused by excessive generation of pigment in the skin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ultraviolet rays, stress, abnormal secretion of hormones, and pregnancy.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is regard is melanin, the skin pigment.

멜라닌은 표피 내 기저층에 존재하는 색소세포인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고, 주변의 각질세포로 전이되어 피부색을 결정한다. 티로시나제는 멜라닌 생합성을 촉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티로시나제는 기질인 L-티로신을 L-DOPA(L-3,4-dihydroxyphenylalanine)로 수산화시키고, L-DOPA를 도파퀴논으로 산화시키며, 이후 도파퀴논은 효소의 촉매 작용 없이 세포 내의 pH 조건에 따라 멜라닌으로 전환된다. 멜라닌은 생물체에서 발견된 색소로는 특이하게 안정된 색소로서 멜라닌의 화학적인 특성에 대해 밝혀지지 않은 점들이 많고 연구의 진보도 부진한 편이다.Melanin is synthesized in melanocytes, which are pigment cells present in the basal layer of the epidermis, and is transferred to nearby keratinocytes to determine skin color. Tyrosinase is known to catalyze melanin biosynthesis. Tyrosinase hydroxylates L-tyrosine, a substrate, into L-DOPA (L-3,4-dihydroxyphenylalanine), oxidizes L-DOPA to dopaquinone, and then dopaquinone is converted into melanin according to intracellular pH conditions without enzyme catalysis. Melanin is an unusually stable pigment as a pigment found in living organisms, and there are many unknowns about the chemical properties of melanin, and research progress is also sluggish.

피부의 과색소침착(hyperpigmentation)은 피부의 염증 반응 이후의 체내 호르몬 이상, 유전질환 및 자외선 조사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데, 주된 요인은 멜라닌 색소 합성 이상 및 분포 이상에 의한 것이다. 멜라닌의 주요한 기능은 산소 라디칼을 제거하여 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으로 멜라닌이 많다는 것은 물리적, 화학적 독성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kin hyperpigmentation (hyperpigmentation) may be caus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hormone abnormalities in the body after an inflammatory reaction of the skin, genetic diseases, and ultraviolet irradiation, the main factor being due to abnormal synthesis and distribution of melanin pigment. The main function of melanin is to protect the skin from damage by removing oxygen radicals, and the high amount of melanin means that it has an effective countermeasure system to protect the skin from physical and chemical toxic substances.

하지만, 과도한 멜라닌의 침착은 피부 등의 병리적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기미, 주근깨, 점, 검버섯과 같은 미용적인 측면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멜라닌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미백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부터 이러한 피부에 색소가 침착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양한 미백 화장료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글루타티온 등의 환원제, 과산화수소, 태반 추출물, 코지산 등의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을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However, excessive deposition of melanin may cause pathological problems such as skin, and is recognized as a cosmetic problem such as melasma, freckles, dots, and age spots. Therefore, interest in whitening agents capable of inhibiting melanin formation is increasing and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Conventionally, various whitening cosmetics have been propo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deposition of pigments on the skin. For example, it is known to use reducing agents such as vitamin C and its derivatives, glutathione, hydrogen peroxide, placenta extract, and melanin production inhibitors such as kojic acid.

그러나, 비타민 C는 산화되기 쉽고, 비타민 C를 배합한 화장료가 변색, 변취되어 버리는 단점이 있다. 글루타티온 등의 환원제는 불쾌한 냄새가 있을 뿐만 아니라, 경피 흡수성에도 문제가 있고, 과산화수소는 안전성이나 안정성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태반 추출물과 같은 동물 조직 추출계의 것은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또한 그 안정성이나 색상, 악취 등의 점에서도 문제가 있다. 또한 코지산도 소량으로는 피부의 흑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작은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미백 화장료의 유효성분으로서는 모두 충분한 것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vitamin C is easily oxidized, and the cosmetics containing vitamin C are discolored and deodorized. Reducing agents such as glutathione not only have an unpleasant odor, but also have problems in percutaneous absorption, and hydrogen peroxide has problems in terms of safety and stability. In addition, those of the animal tissue extraction system, such as placenta extract, are not sufficiently effective, and also have problems in terms of stability, color, odor, and the like. In addition, since kojic acid also has problems such 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rkening of the skin in a small amoun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all of them are sufficient as active ingredients of whitening cosmetics.

따라서, 상술한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들은 이들만을 이용하였을 때, 효과가 불충분하므로,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미백 효과가 우수한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since the effect of the above-mentioned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substances is insufficient when only these substances are us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aterial having excellent whitening effect even when used alone.

한편, 인삼(Panax Ginseng)은 한의학뿐만 아니라 민간요법으로 널리 알려져 사용되는 오가피과 인삼속의 한방 약제로서, 오랜 기간 약재로 사용되면서 안전성과 효능이 검증된 소재이다. 인삼은 방사선에 대한 방어 효과, 알킬화제에 의한 염색체 이상 및 미세핵 방어 효과, 배양세포에서 돌연변이 감소 및 세포 변형 감소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On the other hand, ginseng ( Panax Ginseng ) is an oriental medicine of the genus Ginseng, which is widely known and used not only in oriental medicine but also in folk remed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ginseng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radiation, an effect of protecting against chromosomal abnormalities and micronuclei caused by alkylating agents, and reducing mutations and cell transformation in cultured cells (Patent Document 1).

최근 천연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되고 동시에 한방 소재를 활용하는 많은 화장품들이 출시되면서 인삼도 화장품의 중요한 피부효능을 가진 식물소재로 연구되고 있으나, 대부분 인삼근을 이용한 추출물 또는 인삼근의 진세노사이드 성분과 인삼다당체를 활용한 것일 뿐 인삼꽃과 같은 인삼의 다양한 부위의 성분에 의한 효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뿐 아니라, 인삼꽃은 오래 전부터 효용 가치가 알려져 있지 않고 인삼씨에 밀려 거의 폐기하고 있으며, 최근에 와서야 인삼꽃이 갖고 있는 특유의 신선한 향취를 이용한 항료 조성물이 개발되기 시작한 실정이다(특허문헌 2).Recently, as consumers' interest in natural cosmetics increases and many cosmetics using herbal ingredients are released, ginseng is also being studied as a plant material with important skin effects in cosmetics. In addition, ginseng flowers have not been known for their utility value for a long time and are almost discarded due to ginseng seeds, and only recently have a fragrance composition using the unique fresh fragrance of ginseng flowers begun to be developed (Patent Document 2).

본 발명자들은 인삼꽃 유래 추출물을 특정한 유기용매를 이용해 분획한 분획물의 피부 미백 효과를 확인하였고, 인삼꽃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이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e skin whitening effect of a fraction obtained by fractionating a ginseng flower-derived extract using a specific organic solvent,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the alcohol fraction of the ginseng flower extract had an excellent skin whitening effec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672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1672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822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8226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꽃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n alcohol fraction of a ginseng flower ex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인삼꽃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여 인삼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인삼꽃 추출물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분획하는 단계, 및 분획 후에 알코올 층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인삼꽃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n alcohol fraction of a ginseng flower extract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preparing a ginseng flower extract by extracting ginseng flower with an extraction solvent, fractionating by adding alcohol to the ginseng flower extract, and recovering an alcohol layer after the fractionation.

한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염기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water or a base.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염기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슘(Ca(OH)2), 탄산수소나트륨(NaHCO3), 또는 탄산나트륨(Na2CO3)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base may be sodium hydroxide (NaOH), calcium hydroxide (Ca(OH) 2 ), sodium bicarbonate (NaHCO 3 ), or sodium carbonate (Na 2 CO 3 ),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 용매는 0.1∼20%(w/v) NaOH 수용액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 용매는 2.5∼7%(w/v) NaOH 수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0.1 to 20% (w / v) NaOH aqueous solution, preferably,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2.5 to 7% (w / v) NaOH aqueous solu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은 수포화 부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lcohol may be a C 1 to C 4 lower alcohol, preferably the alcohol may be saturated butan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갈색반, 주근깨, 피부 균열, 광노화, 피부 표면의 주름 생성, 또는 피부 탄력 감소의 증상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reat, or improve symptoms of brown spots, freckles, skin cracks, photoaging, wrinkles on the skin surface, or reduced skin elasticity.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인삼꽃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0.01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lcohol fraction of the ginseng flower extract may be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mount of 0.01 to 30%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인삼꽃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은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뛰어나므로, 피부의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Since the alcohol fraction of the ginseng flower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시료 1 내지 시료 5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시료 1 내지 시료 5의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인삼 잎, 줄기, 및 홍삼의 수추출물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시료 1 및 시료 2의 인삼꽃 수추출물 및 인삼꽃 수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나타내는 표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amples 1 to 5 prepared in Examples 1 to 5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 of Samples 1 to 5 prepared in Examples 1 to 5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able showing the ginsenoside content of ginseng leaves, stems, and aqueous extracts of red ginseng, extracts of ginseng flowers of Samples 1 and 2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and alcohol fractions of the aqueous extracts of ginseng flowers.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1) 인삼꽃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여 인삼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1) preparing a ginseng flower extract by extracting ginseng flower with an extraction solvent;

(2) 상기 인삼꽃 추출물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분획하는 단계; 및(2) adding alcohol to the ginseng flower extract to fractionate; and

(3) 분획 후에 알코올 층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인삼꽃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3) recovering the alcohol layer after the fractiona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alcohol fraction of the ginseng flower extract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원료로부터 임의의 방법으로 추출된 물질을 의미하며, 이렇게 추출된 추출액,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농축액, 상기 농축액의 건조물 및 분말을 제한 없이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인삼꽃 추출물은 원료 또는 이의 건조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의 원료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 refers to a material extracted from a raw material by any method, and is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all of the extracted extract, the concentrate obtained therefrom, and the dried product and powder of the concentrate without limitation. In addition, the ginseng flower extract can be obtained by extracting from a raw material or a dried product thereof, and the raw material of the extrac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such as cultivated or commercially available.

상기 추출물을 원료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할 때, 추출 방법으로는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 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고,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추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When the extract is obtained by extraction from a raw material, all known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such as solvent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filtration and reflux extraction may be used as the extraction method, and preferably solvent extraction or reflux extraction. It can be prepared by using. The extraction process may be repeated several times, and then additional steps such as concentration or lyophilization may be performed. Specifically, the obtained extract may be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concentrate, and the concentrate may be lyophilized and then a high-concentration extract powder may be prepared using a grinder.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삼은 통상적으로 상용되는 인삼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화기삼(Panax quinquefolium), 전칠삼(Panax notoginseng), 죽절삼(Panax japonicum), 삼엽삼(Panax trifolium) 또는 히말라야삼(Panax pseudoginseng) 등과 같은 인삼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ginseng is used as a meaning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commonly used ginseng, preferably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ginseng (Panax quinquefolium), ginseng (Panax notoginseng), Panax japonicum, Samyeopsam (Panax trifolium), or ginseng such as Himalayan ginseng (Panax pseudoginse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추출 용매로는 물 또는 염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ater or a base may be used as the extraction solvent in step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 구현예에서, 상기 염기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슘(Ca(OH)2), 탄산수소나트륨(NaHCO3), 또는 탄산나트륨(Na2CO3)과 같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염기가 비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NaOH)이다.In one embodiment, the base is sodium hydroxide (NaOH), calcium hydroxide (Ca(OH) 2 ), sodium hydrogen carbonate (NaHCO 3 ), or sodium carbonate (Na 2 CO 3 ) Any bas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nd is preferably sodium hydroxide (NaOH).

다른 구현예에서, 염기 처리시 사용되는 용액은 0.1∼20%(w/v) NaOH 수용액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15%(w/v) NaOH 수용액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w/v) NaOH 수용액일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5∼7%(w/v) NaOH 수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aOH 수용액이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인삼꽃 중의 유효성분들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고, 추출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NaOH 수용액이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작업자가 위험해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olution used in the base treatment may be a 0.1 to 20% (w / v) aqueous NaOH solution, preferably a 0.5 to 15% (w / v) aqueous NaOH solution, more preferably a 1 to 10% (w / v) NaOH aqueous solution, particularly preferably a 2.5 to 7% (w / v) NaOH aqueous solu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NaOH aqueous solution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active ingredients in ginseng flowers may not be sufficiently extrac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xtraction time is excessively long. If the NaOH aqueous solution exceeds the upper limit, workers preparing the extract may be at risk.

상기 추출 용매의 첨가량은 인삼꽃 건조 중량 대비 1 내지 30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배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mount of the extraction solvent added may be 1 to 30 times, preferably 5 to 20 times, and more preferably 7 to 15 times the dry weight of ginseng flow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삼꽃의 추출은 60℃ 내지 100℃에서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5℃에서 실시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에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ion of ginseng flower may be performed at 60 ° C to 100 ° C, preferably at 65 ° C to 95 ° C, more preferably at 70 ° C to 90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추출은 1시간 내지 20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16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extraction may be performed for 1 hour to 20 hours, preferably for 2 hours to 16 hours, and more preferably for 3 hours to 12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추출은 1회 내지 8회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6회 실시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5회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물은 각 추출에서 얻어진 단독 추출물 또는 각 추출에서 얻어진 추출물들의 혼합 추출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 추출에서 얻어진 추출물들의 혼합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extraction may be performed 1 to 8 times, preferably 1 to 6 times, and more preferably 1 to 5 tim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xtract may be a single extract obtained from each extraction or a mixed extract of the extracts obtained from each extraction, preferably a mixed extract of the extracts obtained from each extra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단계 (2)의 알코올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알코올은 수포화 부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alcohol of step (2) may be a C 1 to C 4 lower alcoh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ne embodiment, the alcohol may be saturated butan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삼꽃 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알코올은 5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코올이 하한값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인삼꽃 추출물 중의 유효성분들이 충분히 분획되지 않을 수 있고, 알코올이 상한값을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에는 이후의 농축 과정에서 소요 시간이 과도하게 증가하며, 잔류 알코올을 제거하기 위해 재처리를 1회 내지 수회 반복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ginseng flower extract, the alcohol may be added at 5 parts by weight to 30 parts by weight, preferably added at 5 parts by weight to 2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5 parts by weight to 15 parts by weight. It may be ad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alcohol is added below the lower limit, the active ingredients in the ginseng flower extract may not be sufficiently fractionated, and when the alcohol is added in excess of the upper limit, the time required in the subsequent concentration process is excessively increase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reprocessing must be repeated once or several times to remove residual alcohol.

상기 분획물은 항산화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분획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물,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으로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물도 본 발명의 분획물에 포함된다. 여러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분획물을 농도 구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통해 활성 성분의 성질에 따라 분리하여 보다 항산화 효과가 높은 특정 활성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The fraction may be additionally subjected to a conventional fractionation process in order to increase the antioxidant effect. For example, fractions obtained by passing the fra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ertain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active fractions obtained through various purification methods additionally carried out such as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de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are also included in the fra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active fraction having a higher antioxidant effect can be prepared by separating a fraction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mix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active component through concentration gradient column chromatography or the like.

상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세파덱스, LH-20, ODS 겔, RP-18, 폴리아미드, 도요펄(Toyopearl) 및 XAD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충진제를 이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활성 분획물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충진제를 선택하여 수차례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함에 있어 용출 용매, 용출 속도 및 용출 시간은 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매, 속도 또는 시간을 비제한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column chromatography may be performed to separate and purify active fractions by performing column chromatography using a fill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gel, Sephadex, LH-20, ODS gel, RP-18, polyamide, Toyopearl, and XAD resin. Column chromatography may be performed several times by selecting an appropriate filler as necessa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using the chromatography, the elution solvent, elution rate, and elution time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to solvents, rates, or times generally used in the art.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인삼꽃 수추출물 또는 염기 추출물을 알코올, 예컨대 부탄올로 분획한 분획물은 단순히 인삼꽃을 물로 추출한 추출물보다도 멜라닌 합성 저해 효능이 뛰어나며, 특히 인삼꽃 염기 추출물을 알코올로 분획한 분획물은 가장 우수한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 즉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과 대조적으로, 인삼꽃 수추출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분획하거나 인삼꽃을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에는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도 2 참조).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ction obtained by fractionating a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 or a base extract with alcohol, such as butanol, has superior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 than an extract simply obtained by simply extracting ginseng flower with water. It does not show synthesis inhibitory effect (see Fig. 2).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인삼꽃 수추출물 및 이의 알코올 분획물은 인삼 잎, 줄기, 및 홍삼의 수추출물과 비교하여 월등한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나타내고, 특히 본 발명의 인삼꽃 수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은 인삼꽃 수추출물과 비교하여 더욱 뛰어난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고 있다(도 3 참조).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 and its alcohol fraction show superior ginsenoside content compared to the water extract of ginseng leaves, stems, and red ginseng, and in particular, the alcohol fraction of the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more superior ginsenosides compared to the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 (see FIG. 3).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근본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뛰어난 미백 효과를 제공하고, 피부 색소 침착 및 피부톤 다운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은 멜라닌의 합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색소의 피부 침착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나타내며, 상기 색소의 피부 침착은 멜라닌의 합성 증가로 인해 피부의 색깔이 어두워지는 모든 작용 또는 그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인삼꽃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은 항산화 활성이 있으므로, 화장료 조성물 자체의 산화를 방지함으로써 조성물의 품질을 유지하는데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cellent whitening effect by fundamentally suppressing melanin production, and can improve skin pigmentation and skin tone down. The skin whitening refers to any action of suppressing or preventing the deposition of melanin pigment by inhibiting the synthesis of melanin, and the deposition of the pigment refers to any action or condition in which the color of the skin darkens due to the increase in melanin synthesis. In addition, since the alcohol fraction of the ginseng flower extract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tioxidant activity, it can be very useful for maintaining the quality of the cosmetic composition by preventing oxidation of the composition itself.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인삼꽃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인삼꽃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에 의한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입 농도 대비 분획물에 의한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cohol fraction of the ginseng flower extract may be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at 0.01 to 30% by weight, preferably at 0.01 to 20% by weight, more preferably at 0.01 to 10% by weight,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t 0.01 to 5% by weight.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1% by weight, the effect of the alcohol fraction of the ginseng flower extract may be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30% by weight, the effect of the fraction compared to the input concentration may be relatively low.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화장수, 크림제, 로션제, 입욕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liquid or solid form using bases, adjuvants and additive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cosmetics. Cosmetics in liquid or solid form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osmetic products, creams, lotions, and bath products.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세틸알코올, 유동 파라핀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ases, adjuvants, and additives commonly used in the cosmetic fiel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water, alcohol, propylene glycol, stearic acid, glycerol, cetyl alcohol, and liquid paraffin.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인삼꽃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not only the alcohol fraction of the ginseng flow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compon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lavoring agents, and carriers.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임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nventionally prepared in the art, and may be formulated into, for example, a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and spr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softening lotion, nourishing lotion,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or powder.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오일, 식물성 오일,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h,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오스, 탈크,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powder or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it may additionally contain a propellant such as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butane or dimethyl ether.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olution or emulsion, a solvent, solubiliz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s,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s of sorbitan.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uspension,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h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오일,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fatty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 taurate, sarcosinate,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 alkylamidobetaine, fatty alcohol, fatty acid glyceride, fatty acid diethanolamide, vegetable oil, lanolin derivative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 etc. can be us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 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used alone or overlappingly applied, or overlappingly applied with other cosmetic composition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of use,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user's skin condition or taste.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를 들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r surfactant-free cleansing formulation, it may be applied to the skin and then wiped off, removed, or washed with water. As specific examples, the soap may include liquid soap, powdered soap, solid soap, and oil soap, the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formulations include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cleansing towels, and cleansing packs, and the surfactant-free cleansing formulation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cleansing cream, cleansing lotion, cleansing water, and cleansing gel.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amples.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for exemplif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 인삼꽃 수추출물의 제조 (시료 1)Example 1. Preparation of ginseng flower water extract (sample 1)

인삼꽃 10 g을 건조 및 분쇄한 후, 10배의 증류수를 가해 6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인삼꽃 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인삼꽃 수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였고, 진공회전농축기를 이용해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After drying and pulverizing 10 g of ginseng flowers, 10-fold distilled water was added and extracted at 60° C. for 8 hours to prepare a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s. The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 was centrifuged to remove the precipitate, and the solvent was removed by concentrating using a vacuum rotary concentrator.

실시예 2. 인삼꽃 수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의 제조 (시료 2)Example 2. Preparation of Alcohol Fraction of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 (Sample 2)

인삼꽃 10 g을 건조 및 분쇄한 후, 10배의 증류수를 가해 6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인삼꽃 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인삼꽃 수추출물 100 ㎖에 수포화 부탄올 100 ㎖를 가하여 6시간 동안 정치한 후 부탄올 분획물 100 ㎖를 수득하였고, 진공회전농축기를 이용해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After drying and pulverizing 10 g of ginseng flowers, 10-fold distilled water was added and extracted at 60° C. for 8 hours to prepare a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s. 100 ml of water saturated butanol was added to 100 ml of the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 and allowed to stand for 6 hours. Then, 100 ml of a butanol fraction was obtained, and concentrated using a vacuum rotary evaporator to remove the solvent.

실시예 3. 인삼꽃 염기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의 제조 (시료 3)Example 3. Preparation of Alcohol Fraction of Ginseng Flower Base Extract (Sample 3)

인삼꽃 10 g을 건조 및 분쇄한 후, 10배의 5% NaOH를 가해 6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인삼꽃 NaOH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인삼꽃 NaOH 추출물 100 ㎖에 수포화 부탄올 100 ㎖를 가하여 6시간 동안 정치한 후 부탄올 분획물 100 ㎖를 수득하였고, 진공회전농축기를 이용해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After drying and pulverizing 10 g of ginseng flower, 10 times 5% NaOH was added and extracted at 60° C. for 8 hours to prepare a NaOH extract of ginseng flower. 100 ml of saturated butanol was added to 100 ml of the ginseng flower NaOH extract, allowed to stand for 6 hours, and then 100 ml of a butanol fraction was obtained, and concentrated using a vacuum rotary evaporator to remove the solvent.

실시예 4. 인삼꽃 수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의 제조 (시료 4)Example 4. Preparation of Organic Solvent Fraction of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 (Sample 4)

인삼꽃 10 g을 건조 및 분쇄한 후, 10배의 증류수를 가해 6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인삼꽃 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인삼꽃 수추출물 100 ㎖에 메틸렌클로라이드 100 ㎖를 가하여 6시간 동안 정치한 후 물 분획물 100 ㎖를 수득하였고, 여기에 에탄올 160 ㎖를 가하여 12시간 동안 정치한 후 여과하여 당을 제거하였으며, 진공회전농축기를 이용해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After drying and pulverizing 10 g of ginseng flowers, 10-fold distilled water was added and extracted at 60° C. for 8 hours to prepare a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s. 100 ml of methylene chloride was added to 100 ml of the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 allowed to stand for 6 hours, and then 100 ml of a water fraction was obtained. 160 ml of ethanol was added thereto, allowed to stand for 12 hours, filtered to remove sugar, and concentrated using a vacuum rotary evaporator to remove the solvent.

실시예 5. 인삼꽃 알코올 추출물의 제조 (시료 5)Example 5. Preparation of ginseng flower alcohol extract (sample 5)

인삼꽃 10 g을 건조 및 분쇄한 후, 10배의 70% 에탄올을 가해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인삼꽃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인삼꽃 에탄올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였고, 진공회전농축기를 이용해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After drying and pulverizing 10 g of ginseng flower, 10 times 70% ethanol was added and extracted for 8 hours to prepare an ethanol extract of ginseng flower. The ginseng flower ethanol extract was centrifuged to remove the precipitate, and concentrated using a vacuum rotary concentrator to remove the solvent.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기재된 시료 1 내지 시료 5의 제조 공정을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amples 1 to 5 described in Examples 1 to 5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1 .

실시예 6. 인삼꽃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의 피부 미백 효과Example 6. Skin whitening effect of alcohol fraction of ginseng flower extract

쥐 멜라닌형성세포(murine melanocyte)를 6웰 플레이트에 각 1×104 세포/웰로 접종하였다. 접종 24시간 후 100 ㎍/㎖, 200 ㎍/㎖로 계열희석한 시료와 양성대조군(arbutin)을 세포에 처리하였다. 음성대조군에는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는 IBMX(isobutylmethylxanthine)를 처리하였다. 처리 72시간 후 세포를 회수하고 1 N NaOH로 용해하여 세포 내 멜라닌을 검출하였다. 무처리군(배양액만 처리), 음성 대조군(IBMX만 처리), 양성 대조군(IBMX와 알부틴을 농도별 처리), 시험군(IBMX와 각 시료를 농도별 처리)의 흡광도(OD405)를 측정하고 음성 대조군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0으로, 무처리군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100으로 하여 각 군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시료 1 내지 시료 5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Rat melanocytes (murine melanocyte) were seeded in each 1×10 4 cells/well in a 6-well plate. 24 hours after inoculation, cells were treated with samples serially diluted to 100 μg/ml and 200 μg/ml and a positive control (arbut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IBMX (isobutylmethylxanthine), which induces melanin production. After 72 hours of treatment, the cells were harvested and lysed with 1 N NaOH to detect intracellular melanin. The absorbance (OD 405 ) of the untreated group (treatment only with culture medium), negative control group (only IBMX treatment), posi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IBMX and arbutin by concentration), and test group (treated with IBMX and each sample by concentration) was measured, and the melanin production inhibition rate of the negative control group was set as 0, and the melanin production inhibition rate of the untreated group was set as 100, and the melanin production inhibition rate of each group was measured. At this time, as samples, Samples 1 to 5 prepared in Examples 1 to 5 were diluted by concentration and used.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시료 1 내지 시료 3은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중에서 인삼꽃 추출물을 부탄올로 분획한 시료 2 및 시료 3은 단순히 인삼꽃을 물로 추출한 시료 1보다도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뛰어났으며, 특히 인삼꽃 염기 추출물을 부탄올로 분획한 시료 3은 가장 우수한 피부 미백 효능을 보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인삼꽃 수추출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분획하거나 인삼꽃을 에탄올로 추출한 실시예 4 및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시료 4 및 시료 5는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2).As a result, Samples 1 to 3 prepared in Examples 1 to 3 exhibited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among them, Samples 2 and 3 in which ginseng flower extract was fractionated with butanol were simply ginseng flowers extracted with water. The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 was superior to that of Sample 1, and in particular, Sample 3 in which ginseng flower base extract was fractionated with butanol showed the best skin whitening effect. In contrast, samples 4 and 5 prepared in Examples 4 and 5 in which the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 was fractionated with methylene chloride or the ginseng flower was extracted with ethanol did not show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 (FIG. 2).

실시예 7. 인삼꽃 추출물 및 분획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Example 7. Analysis of ginsenoside content of ginseng flower extracts and fractions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인삼꽃 수추출물 및 인삼꽃 수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 인삼 잎, 인삼 줄기, 및 홍삼의 수추출물을 각각 메탄올에 용해한 후, HPLC로 분석하여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정량하였다.Water extracts of ginseng flowers and alcohol fractions of water extracts of ginseng flowers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and water extracts of ginseng leaves, ginseng stems, and red ginseng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ere dissolved in methanol, and then analyzed by HPLC to quantify the content of ginsenosides.

그 결과, 인삼꽃 수추출물 및 인삼꽃 수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은 인삼 잎, 줄기, 및 홍삼의 수추출물과 비교하여 월등한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나타내었고, 특히 본 발명의 인삼꽃 수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은 인삼꽃 수추출물과 비교하여 더욱 뛰어난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3).As a result, the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 and the alcohol fraction of the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 showed superior ginsenoside content compared to the water extract of ginseng leaves, stems, and red ginseng, an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alcohol fraction of the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ed more superior ginsenosides compared to the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 (FIG. 3).

제조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cosmetic composition

<1-1> 에센스의 제조<1-1> Preparation of essence

실시예 2의 인삼꽃 수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시료 2)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중량부)에 따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Essenc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ntent (parts by weight) shown in Table 1 below using the alcohol fraction (sample 2) of the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s of Example 2.

조성Furtherance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250.25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xyvinyl polymer 0.220.22 글리세린glycerin 44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22 시료 2의 분획물Fraction of Sample 2 1.51.5 밀납beeswax 0.50.5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1One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1One 스쿠알렌squalene 44 정제수Purified water 적량Appropriate amount

<1-2> 유연 화장수의 제조<1-2> Preparation of softening lotion

실시예 3의 인삼꽃 염기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시료 3)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는 하기 표 2와 같이 제조하였다.Softening lotion containing the alcohol fraction (sample 3) of the ginseng flower base extract of Example 3 as an active ingredient was prepared as shown in Table 2 below.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1.001.00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 0.050.05 알란토인allantoin 0.10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0.050.05 시트릭애씨드Citric Acid 0.010.01 소듐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0.020.02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1.001.00 알부틴Arbutin 2.002.00 PEG-40
수소화 캐스터오일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1.001.00
에탄올ethanol 30.0030.00 시료 3의 분획물Fraction of sample 3 0.50.5 착색제coloring agent 미량a very small amount 착향제flavoring agent 미량a very small amount 정제수Purified water 잔량balance

<1-3> 영양 크림의 제조<1-3> Manufacture of nutritional cream

실시예 2의 인삼꽃 수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시료 2)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영양크림은 하기 표 3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A nourishing cream containing the alcohol fraction (sample 2) of the water extract of ginseng flower of Example 2 as an active ingredient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3 below.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7.07.0 글리세린glycerin 1.01.0 D-판테놀D-panthenol 0.10.1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Magnesium aluminum silicate 0.30.3 PEG-40 스테아레이트PEG-40 Stearate 1.21.2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2.02.0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1.5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Lipophilic Glyceryl Stearate 2.0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1.51.5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3.03.0 미네랄오일mineral oil 4.04.0 스쿠알렌squalene 3.83.8 시료 2의 분획물Fraction of Sample 2 1.51.5 식물성 오일vegetable oil 1.81.8 디메치콘dimethicone 0.4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미량a very small amount 알란토인allantoin 미량a very small amount 소듐히아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미량a very small amount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적량Appropriate amount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적량Appropriate amount 착향제flavoring agent 적량Appropriate amount 정제수Purified water 잔량balance

<1-4> 로션의 제조<1-4> Manufacture of Lotion

실시예 3의 인삼꽃 염기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시료 3)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로션을 하기 표 4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A lotion containing the alcohol fraction (sample 3) of the ginseng flower base extract of Example 3 as an active ingredient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4 below.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1.6 1.6 스테아린산stearic acid 1.41.4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Glycerin lipophilic monostearate 1.81.8 PEG-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2.62.6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Sorbital Sesquioleate 0.60.6 스쿠알렌squalene 4.84.8 마카다이아오일macadamia oil 2 2 호호바오일jojoba oil 2 2 초산토코페롤Tocopherol Acetate 0.40.4 메틸폴리실록산Methylpolysiloxane 0.20.2 초산토코페롤Tocopherol Acetate 0.4 0.4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4 4 산탄검xanthan gum 0.10.1 글리세린glycerin 44 d-판데놀d-pandenol 0.150.15 시료 3의 분획물Fraction of sample 3 1.01.0 알란토인allantoin 0.10.1 카르보머(2% aq. Sol)Carbomer (2% aq. Sol) 4 4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50.15 에탄올ethanol 33 정제수Purified water 적량Appropriate amount

Claims (10)

(1) 인삼꽃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여 인삼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인삼꽃 추출물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분획하는 단계; 및
(3) 분획 후에 알코올 층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인삼꽃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 preparing a ginseng flower extract by extracting ginseng flower with an extraction solvent;
(2) adding alcohol to the ginseng flower extract to fractionate; and
(3) recovering the alcohol layer after the fractionation; 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alcohol fraction of the ginseng flower extract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염기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raction solvent is water or a bas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염기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슘(Ca(OH)2), 탄산수소나트륨(NaHCO3), 및 탄산나트륨(Na2CO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e is sodium hydroxide (NaOH), calcium hydroxide (Ca (OH) 2 ), sodium hydrogen carbonate (NaHCO 3 ), and sodium carbonate (Na 2 CO 3 )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염기는 수산화나트륨(NaOH)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e is sodium hydroxide (NaOH)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0.1∼20%(w/v) NaOH 수용액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raction solvent is a 0.1 to 20% (w / v) NaOH aqueous solutio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2.5∼7%(w/v) NaOH 수용액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raction solvent is a 2.5 to 7% (w / v) NaOH aqueous solutio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alcohol is a C 1 to C 4 lower alcohol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수포화 부탄올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alcohol is saturated butanol,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청구항 1에 있어서,
갈색반, 주근깨, 피부 균열, 광노화, 피부 표면의 주름 생성, 및 피부 탄력의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개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that improves at least one sympto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rown spots, freckles, skin cracks, photoaging, wrinkles on the skin surface, and a decrease in skin elasticity.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삼꽃 추출물의 알코올 분획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1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0,
The alcohol fraction of the ginseng flower extract i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30% by weight in the cosmetic composition.
KR1020220007363A 2022-01-18 2022-01-18 Cosmetic Compos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Fraction of Ginseng Flower Extract KR202301114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363A KR20230111466A (en) 2022-01-18 2022-01-18 Cosmetic Compos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Fraction of Ginseng Flower Extr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363A KR20230111466A (en) 2022-01-18 2022-01-18 Cosmetic Compos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Fraction of Ginseng Flower Extra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466A true KR20230111466A (en) 2023-07-25

Family

ID=8742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363A KR20230111466A (en) 2022-01-18 2022-01-18 Cosmetic Compos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Fraction of Ginseng Flower Extra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46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725A (en) 2015-08-04 2017-02-1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Cosmetic Composion for Anti-oxidation Containing Purified Extract of Red Ginseng Ethanol Extract
KR20180088226A (en) 2017-01-26 2018-08-03 (주)아모레퍼시픽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g flower extracts with enhanced ginsenoside cont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725A (en) 2015-08-04 2017-02-1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Cosmetic Composion for Anti-oxidation Containing Purified Extract of Red Ginseng Ethanol Extract
KR20180088226A (en) 2017-01-26 2018-08-03 (주)아모레퍼시픽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g flower extracts with enhanced ginsenoside cont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6688B1 (en) Use of an extract of magnolia sieboldii for skin whitening
KR10108622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milax china as Active Ingredient
CN111201012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centella asiatica adventitious root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2289957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raction of Extract Derived from Passiflora edulis for Skin-Whitening
KR10166154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s of fermented rhodiola rosea having whitening activits
KR101203504B1 (en) Composition for Wrinkle-Care or Skin Whitening Containing Fermentation Liquor of Extract from Stewartia koreana
KR20170137549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comprising herb extracts mixture
KR101854766B1 (en) Skin whitening complex containing trihydroxyisoflavone and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s
KR20120036417A (en)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extract of saccharina japonica as active ingredient
KR102632084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oxidation, skin whitening, and improving of skin wrinkle containing Sanguisorba officinalis extract
KR101176526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Spiraea prunifolia var.simpliciflora as Active Ingredient
KR101061722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light green col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20090117364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of the skin comprising the extract of brucea javanica as active ingredient
KR102168533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or improving the facial color containing herb extracts
KR10117652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cer tegmentosum Maxim as Active Ingredient
KR20230111466A (en) Cosmetic Compos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Fraction of Ginseng Flower Extract
KR20130123490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aackia amurensis extract for skin whitening
WO2011065699A2 (en) Method for extracting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component using a polished-rice steaming method
KR20170137560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comprising herb extracts mixture
KR20040087644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yrus communis L. Extract for Skin Whitening
KR101317433B1 (e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mixture of extract of Hovenia dulcia, Platycodon grandiflorum, wheat bud and sage
KR102303414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Glehnia littoralis Extracts or Fraction thereof
JP2006241033A (en) Skin care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for amelioration of skin somberness
KR102491296B1 (en) 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using pear peel
US8268295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extract of Magnolia sieboldii as active ingred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