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118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118A
KR20230111118A KR1020220029561A KR20220029561A KR20230111118A KR 20230111118 A KR20230111118 A KR 20230111118A KR 1020220029561 A KR1020220029561 A KR 1020220029561A KR 20220029561 A KR20220029561 A KR 20220029561A KR 20230111118 A KR20230111118 A KR 20230111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water
passage
dru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한
제해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11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filters or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드럼, 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순환유로부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집수부와 상기 순환유로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받아 열교환기로 배출하는 세척유로부가 제공되는 베이스, 상기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저수탱크, 상기 집수부에 수집된 물을 이동시키는 펌프모듈, 상기 펌프모듈과 연결되는 유로전환밸브,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저수탱크 및 상기 세척유로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유로 및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유로가 형성된 전달공급유로, 및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 중 어느 하나로 물을 전달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공급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로로 상기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펌프모듈 작동하여 물 배출 동작하며, 상기 펌프모터의 토크인 제1토크 측정하고, 상기 제2유로로 상기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펌프모듈 작동하여 물 배출 동작하며 상기 펌프모터의 토크인 제2토크 측정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값으로부터 배수계통의 이상이 발생한 것인지 판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 및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물리력을 가하여 의류에 부착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로서 세탁기, 건조기, 리프레셔(스타일러) 등을 포함한다.
세탁기는 의류에 물과 세제를 공급하여 의류의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건조기는 배기식 건조기 또는 순환식 건조기로 구분되는데, 공통적으로 히터를 통해 고온의 열풍을 생산하고 열풍을 의류에 노출시킴으로 의류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근자에는, 건조기는 의류 내부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는 구성을 생략하고 캐비닛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터브도 생략하여 건조행정을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건조기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에 열풍을 직접 공급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었다.
이러한 건조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와,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건조기는 드럼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여 드럼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하되,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의 표면이 열풍에 고르게 노출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의류의 표면 전체가 고르게 열풍과 접촉하여 건조가 완료될 수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건조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건조기는 캐비닛(1)과 드럼(2)을 포함하며, 드럼(2)의 공기를 외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4)와, 순환유로(4)에 수용되어 공기를 응축하고 다시 가열하는 히트펌프(6)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6)에서 응축된 물은 펌프(8)를 이용하여 저수탱크(9)에 수집될 수 있다.
구동부(3)는 캐비닛(1)의 바닥에 고정되는 모터부(34)와, 모터부(34)에 회전하는 회전축(37)과, 회전축(37)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35)와, 드럼(2)의 외주면과 풀리(35)의 외주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벨트(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모터부(34)가 회전축(37)을 회전시키면 풀리(35)가 벨트(36)를 회전시키게 되고, 벨트(36)는 드럼(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종래 건조기의 베이스(5)에는 모터부(34)를 설치할 수 있는 모터설치부(531)와, 드럼의 공기가 유동하는 순환유로부(520)와, 순환유로부(520)의 외측에 압축기(61)를 설치하는 압축기설치부(532)와, 순환유로부(520)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집수부(534)를 포함한다. 순환유로부(520)에는 증발기(64)가 고정되는 증발기고정부(524)와, 응축기가 고정되는 응축기고정부(523)가 구비될 수 있다. 증발기고정부(524)에서 응축된 물은 연통홀(551)을 통해서 집수부(534)에 수집될 수 있다.
증발기(64)에는 린트가 끼이는 문제가 있다. 집수부(534)에 수집된 물은 증발기(64)로 전달되어 증발기(64)에 끼인 린트를 세정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집수부(534)가 만수인 경우 저수탱크(9)로 전달되어 수집될 수 있다. 저수탱크(9)가 만수인 경우 저수탱크(9)의 물은 집수부(534)로 회수될 수 있다. 집수부(534)에는 수위센서가 제공되고, 수위센서(미도시)는 집수부(534)의 수위를 측정한다.
집수부(534)의 수위가 만수위로 측정되어 사용자에게 알람이 제공되는 경우는, 저수탱크(9)가 만수인 경우와, 배수계통에 오류가 생겨서 집수부(534)에서 물이 배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수위센서(미도시)로는 i) 저수탱크(9)가 만수인지, ii) 배수계통에 오류가 생겨서 집수부에서 물이 배출되지 않는 것인지 확인할 수 없음에 따라, 사용자에게는 두 경우 모두 저수탱크(9)가 만수라는 알림을 제공하였다.
이에, 배수계통에 오류가 생겨서 집수부에서 물이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저수탱크(9)를 비우라는 안내를 받게 되고, 저수탱크(9)를 비웠음에도 계속하여 에러가 발생함에 따라, 이러한 문제는 사용자 불만으로 이어졌다.
본 발명은 저수탱크가 만수위인지 배수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구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배수계통에 별도의 센서를 부가하지 않고도 배수계통(예컨대, 유로전환밸브의 불량, 배수계통에 린트등의 찌꺼기가 낌, 펌프 불량 등)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순환유로부와, 상기 순환유로부와 연통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집수부와, 상기 순환유로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받아 열교환기로 배출하는 세척유로부가 제공되는 베이스,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저수탱크, 상기 집수부에 수집된 물을 이동시키는 펌프모듈, 상기 펌프모듈과 연결되는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펌프모듈 및 상기 유로전환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모듈은, 물을 이동시키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저수탱크 및 상기 세척유로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유로 및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유로가 형성된 전달공급유로, 및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 중 어느 하나로 물을 전달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공급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로로 상기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펌프모듈을 작동하여 물 배출 동작하며, 상기 펌프모터의 토크인 제1토크 측정하고, 상기 제2유로로 상기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펌프모듈을 작동하여 물 배출 동작하며 상기 펌프모터의 토크인 제2토크 측정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값으로부터 배수계통의 이상이 발생한 것인지 판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의 구경은 상기 제2유로의 구경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토크를 제1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작으면 배수계통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크면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를 제2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작으면 배수계통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크면 상기 저수탱크가 만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토크를 제1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작으면 사용자에게 배수계통 이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크면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를 제2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작으면 사용자에게 배수계통 이상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크면 사용자에게 상기 저수탱크의 만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토크는 상기 물 배출 동작을 행하는 제1시간 동안의 평균값이고, 상기 제2토크는 상기 물 배출 동작을 행하는 제2시간 동안의 평균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토크는, 상기 제1시간 동안의 물 배출 동작을 복수회 행하여 측정된 복수의 평균값 중 최대값이고, 상기 제2토크는, 상기 제2시간 동안의 물 배출 동작을 복수회 행하여 측정된 복수의 평균값 중 최대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토크 측정 후에 상기 제2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세척유로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저수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관점에 의하면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순환유로부와, 상기 순환유로부와 연통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집수부와, 상기 순환유로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받아 열교환기로 배출하는 세척유로부가 제공되는 베이스,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저수탱크, 상기 집수부에 수집된 물을 이동시키는 펌프모듈, 상기 펌프모듈과 연결되는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펌프모듈 및 상기 유로전환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모듈은, 물을 이동시키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저수탱크 및 상기 세척유로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유로 및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유로가 형성된 전달공급유로, 및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 중 어느 하나로 물을 전달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공급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유로로 상기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펌프모듈을 작동하여 물 배출 동작하며, 상기 펌프모터의 토크인 제1토크 측정하고, 상기 제2유로로 상기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펌프모듈을 작동하여 물 배출 동작하며 상기 펌프모터의 토크인 제2토크 측정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값으로부터 배수계통의 이상이 발생한 것인지 판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토크를 제1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작으면 배수계통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크면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를 제2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작으면 배수계통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크면 상기 저수탱크가 만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토크를 제1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작으면 사용자에게 배수계통 이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크면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를 제2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작으면 사용자에게 배수계통 이상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크면 사용자에게 상기 저수탱크의 만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토크는 상기 물 배출 동작을 행하는 제1시간 동안의 평균값이고, 상기 제2토크는 상기 물 배출 동작을 행하는 제2시간 동안의 평균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토크는, 상기 제1시간 동안의 물 배출 동작을 복수회 행하여 측정된 복수의 평균값 중 최대값이고, 상기 제2토크는, 상기 제2시간 동안의 물 배출 동작을 복수회 행하여 측정된 복수의 평균값 중 최대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토크 측정 후에 상기 제2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저수탱크가 만수위인지 배수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배수계통에 별도의 센서를 부가하지 않고도 배수계통(예컨대, 유로전환밸브의 불량, 배수계통에 린트등의 찌꺼기가 낌, 펌프 불량 등)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별도의 센서 없이도 높은 신뢰도로 배수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건조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베이스에서 덕트커버부와 집수커버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노즐커버부가 결합된 덕트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덕트커버부의 상면에 구비된 세척유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덕트커버부의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유로전환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펌프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할 때, 응축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0),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150),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40) 및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플레이트(420,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패널(140)은 좌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패널(141)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10)에는 캐비닛(10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개구부(111) 및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부(111)를 개폐하는 도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전면패널(110)에는 조작패널(117)이 설치될 수 있다. 조작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명령은 일련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건조 코스 또는 건조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0) 내부에는 입력부(118)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을 수행하도록 내부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9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구성들과 연결되어 입력된 명령을 수행하도록 해당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18)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 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119)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을 별도로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저수탱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탱크(120)는 전면패널(110)의 일측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탱크(120)는 건조 행정 중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저수탱크(120)를 캐비닛(100)에서 인출하여 응축수를 제거한 뒤, 다시 캐비닛(10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하수구 등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도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저수탱크(120)는 도어(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저수탱크(120)를 전면패널(110)에서 인출할 때 허리를 상대적으로 적게 굽힐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100) 내부에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과,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드럼(200)에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교환부(900), 및 순환유로부(820)가 구비되는 베이스(800)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유로부(820)는 드럼(200)과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순환유로부(820)로 공급돨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는 다시 드럼(200)에 공급될 수 있다.
구동부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도록 드럼(200)과 직접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구동부는 DD(Direct Drive unit)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구동부는 벨트와 풀리 등의 구성을 생략하여 드럼(200)을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드럼(200)의 회전 방향 또는 드럼(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부(500)는 고속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어, 드럼(200) 내부의 의류를 드럼(200) 내벽에 부착된 채로 회전할 수 있는 RPM 보다 훨씬 더 큰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드럼(200) 내부의 의류는 드럼(200) 내벽에 지속적으로 붙어 회전하면 드럼내벽에 부착된 부분이 열풍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건조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드럼(200) 내부에서 의류가 드럼(200) 내벽에 부착되지 않고 구르거나 교반되기 위해 로터(520)를 저속 RPM으로 회전시키면, 구동부가 발생시킬 수 있는 출력이나 토크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는 RPM을 저감시켜 모터부(500)의 최대 출력을 활용하면서도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감속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드럼(200)과 연결되어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6341)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2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세탁에 이용되는 드럼과 달리, 건조에만 이용되는 드럼(200) 내부에는 물이 투입될 필요가 없고, 드럼(200) 내부에 응축된 액체 상태의 물이 드럼(200) 외부로 배출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드럼(200)에는 원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관통홀이 생략될 수 있다. 즉, 건조에만 이용되는 드럼(200)은 세탁에 이용되는 드럼(200)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드럼(200)은 일체의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원주면을 포함하는 드럼바디(210)와 후방면을 형성하는 드럼배면판(220)이 결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드럼바디(210)의 전방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배면판(220)의 후방에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연결될 수 있다. 드럼바디(210)와 드럼배면판(220)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드럼바디(210)와 드럼배면판(22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드럼바디(210)의 원주면에는 강화비드(212)가 형성될 수 있다. 강화비드(212)는 드럼(200)의 원주면을 따라 내/외부에서 함몰 또는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강화비드(21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강화비드(212)는 일정한 패턴을 이루며 원주면에의 내/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강화비드(212)에 의해 드럼바디(210)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바디(210)에 다량의 의류가 수용되거나, 구동부를 통해 갑작스런 회전력을 전달받더라도 드럼바디(210)가 비틀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강화비드(212)가 구비될 경우 드럼바디(210)의 원주면이 평탄한 면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의류와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드럼(200)에 공급되는 열풍이 더욱 효과적으로 의류와 드럼(200)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강화비드(212)에 의해 드럼의 내구성이 높아지고, 의류처리장치의 건조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드럼바디(210)에는 회전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의류가 섞일 수 있도록, 내부의 의류를 상부로 견인하는 리프트(213)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200)이 회전할 때, 내부에 수용된 의류는 리프트(213)에 의해 상승 및 낙하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드럼(200)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는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면서 열풍에 골고루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효율이 증가되고, 건조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통상적으로 DD타입 세탁기인 경우에는 구동부는 드럼(200)을 수용하는 터브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드럼(200)은 구동부와 결합되어 터브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드럼(200)을 수용하기 위해 캐비닛(100)에 고정되는 터브(tub)가 생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200) 또는 구동부를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하거나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00)는 드럼(200)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드럼(200)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플레이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드럼(200)의 전방과 후방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의 간격은 드럼(2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드럼(2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는 캐비닛(100)의 바닥면이나 베이스(80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캐비닛(100)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0, 도3 참조)과 드럼(20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플레이트(410)에는 투입구(211)와 연통하는 투입연통홀(412)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에 투입연통홀(412)이 구비되므로, 드럼(200)의 전방면이 지지되면서도, 드럼(200)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투입연통홀(412)의 하측에 구비되는 덕트연결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연결부(416)는 프론트플레이트(410)의 하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덕트연결부(416)를 관통하는 덕트연통홀(417)을 포함할 수 있다. 덕트연통홀(417)은 중공의 형태로 구비되어 드럼의 투입구(21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드럼(200)의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덕트연통홀(417)은 투입구(21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드럼(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순환유로부(820)로 안내할 수 있다.
덕트연통홀(417)에는 의류에서 발생하는 린트 또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필터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미도시)는 드럼(2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여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미도시)는 이물질이 축적되어 공기의 순환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투입구(211)가 전방에 배치되므로, 구동부는 프론트플레이트(410) 보다는 리어플레이트(4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는 리어플레이트(420)에 장착되어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구동부는 리어플레이트(420)를 통해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드럼(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드럼(200)의 전단 또는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드럼(200)의 전방은 프론트플레이트(4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드럼(200)의 후방은 리어플레이트(420)와 이격되지만, 리어플레이트(420)에 장착되는 모터부(500)에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리어플레이트(4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드럼(200)이 지지부(400)에 접촉되거나 마찰되는 영역이 최소화되고 불필요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물론, 드럼(200)은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 모두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의 하부에는 드럼(200)의 전방을 지지하는 지지휠(415)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지지휠(415)은 프론트플레이트(410)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휠(415)은 회전 가능하다. 지지휠(415)은 드럼(200)의 하부에 접촉된 채로 회전될 수 있다.
드럼(200)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경우 드럼(200)은 후방에 연결된 드럼회전축(63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200)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면, 의류에 의해 드럼회전축(6341)에 부과되는 하중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회전축(6341)은 하중에 의해 휘어질 위험이 있다. 지지휠(415)이 드럼(200)의 전방 하부를 지지할 경우 드럼회전축(6341)에 걸리는 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회전축(6341)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휠(415)은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휠(415)은 드럼(20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드럼(2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휠(415)은 드럼(200)의 좌우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드럼(200)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드럼(200)의 작동 환경에 따라 더 많은 개수의 지지휠(415)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800)에 구비되는 순환유로부(820)는 드럼(200) 내부에 있는 공기를 순환시켜 다시 드럼(200) 내부로 투입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순환유로부(820)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821), 드럼(200)에 공기를 공급하는 배출덕트(823), 유입덕트(821)와 배출덕트(823)를 연결하는 이동덕트(82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200)의 전방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이동덕트(822)는 순환유로부(820)의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덕트(823)는 순환유로부(820)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배출덕트(823)는 순환유로부(820)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부(8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8231)는 배출덕트(823)의 후방측에 구비될 수 있다. 송풍부(8231)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드럼(2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순환유로부(820)의 상측에는 덕트커버부(830)가 결합되어, 순환유로부(820)의 개방된 상면을 일부 차폐할 수 있다. 덕트커버부(830)는 순환유로부(820)의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 덕트커버부(830)는 공기가 순환되는 유로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순환유로부(820) 내부에는 열교환부(900)가 구비된다. 열교환부(900)는 공기를 냉각하는 제1열교환기(910)와, 제1열교환기(910)에서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9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가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910)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제2열교환기(920)는 제습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기는 다시 드럼(200)에 공급되어 드럼(200)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될 수 있다.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될 경우 제1열교환기(910)는 증발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열교환기(920)는 응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910)와 제2열교환기(920)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가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와 열교환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부(900)는 순환유로부(820)에 설치되어 순환유로부(820)의 내부의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순환팬(9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900)는 순환팬(950)을 회전시키는 순환팬모터(9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950)은 순환팬모터(951)에 의해 회전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다. 순환팬(950)이 작동하면, 제1열교환기(910)에서 제습되고, 제2열교환기(920)에서 가열된 공기가 드럼(200)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순환팬(950)은 유입덕트(821), 이동덕트(822), 배출덕트(823)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순환팬(950)은 회전하도록 구비되므로, 순환팬(950)이 작동할 때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순환팬(950)이 순환유로부(8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팬(950)은 송풍부(823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순환팬모터(951)는 송풍부(823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순환팬모터(951)에 의해 순환팬(950)이 회전하면, 순환유로부(820) 내부의 공기는 송풍부(8231)를 통해 순환유로부(8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드럼(200) 내부에 위치한 의류를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하여 드럼(200)의 투입구(211)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순환유로부(820) 및 열교환부(900)는 드럼(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드럼(200)의 후방에는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를 드럼(200)으로 안내하는 리어플레이트(420)가 구비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배면판(220)과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순환유로부(820)는 프론트플레이트(410)를 통하여 드럼(200) 내부의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순환유로부(820)의 공기는 리어플레이트(420)를 통해 드럼(2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는 리어플레이트(420)를 지나서 드럼(200)으로 안내될 수 있다.
베이스(800)는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리어플레이트(420)로 안내하는 커넥터(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850)는 배출되는 공기가 리어플레이트(420)의 전역으로 골고루 퍼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리어플레이트(420)에 안내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로 공급된 열풍은 드럼배면판(220)을 통해 드럼(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은 벨트 등에 결합되어 간접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드럼(200)의 후방에 위치되는 구동부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건조기의 드럼이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구비되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의 후방은 차폐되어 구동부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2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바디(210)와 드럼바디(210)의 후방에 결합되어 드럼의 배면을 형성하는 드럼배면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배면판(220)은 구동부와 직접 결합되는 결합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드럼배면판(220)은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공급받아 드럼(200)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럼배면판(220)에는 구동부와 드럼배면판(220)을 연결하는 구동축결합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축결합부(300)는 드럼배면판(220)에 구비되어 드럼(200)의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구동축결합부(300)는 드럼배면판(220)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드럼배면판(220) 보다 강성이나 내구성이 더 큰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축결합부(300)는 드럼배면판(220)의 회전중심과 동축을 이루도록 드럼배면판(220)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동축결합부(300)는 드럼회전축(6341)과 결합되는 부싱 또는 너트로 제공될 수 있다.
드럼배면판(220)은 드럼바디(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둘레판(221)과 둘레판(221)의 내측에 구비되어 구동부와 결합될 수 있는 장착판(2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결합부(300)는 장착판(222)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은 구동축결합부(300)를 통해 장착판(222)에 결합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럼배면판(22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착판(222)과 구동부가 결합되는 부분 및 장착판(222)과 둘레판(221)이 결합되는 부분은 커버부재(229)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즉, 둘레판(221)은 드럼(200)의 내부에서 노출되지만, 장착판(222)과 구동부가 결합되는 부분 및 장착판(222)과 둘레판(221)이 결합되는 부분은 커버부재(229)에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드럼배면판(220)에는 둘레판(221)을 관통하는 연통홀(224)이 형성된다. 연통홀(224)에 의해 드럼배면판(220)의 전후방이 연통된다. 연통홀(224)을 통해 드럼(200)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순환유로부(820)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은 연통홀(224)을 통해 드럼(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연통홀(224)은 드럼배면판(22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홀로 구비되거나 메쉬(MESH) 형태의 그물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위치될 수 있다. 구동부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500)와 모터부(500)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드럼(200)에 전달하는 감속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500)는 감속기(600)를 통해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의 배면에 고정되고, 모터부(500)는 감속기(60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420)는 감속기(600) 또는 모터부(500)가 지지되는 지지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부(500)는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습도센서(236)는 드럼(200)의 전방측에 제공될 수 있다. 습도센서(236)는 드럼(200)에 수용된 의류의 함습량을 감지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습도센서(236)는 프론트플레이트(4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의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내부 구성들의 서로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 드럼의 전방면을 지지하는 프론트플레이트(410),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플레이트(420), 드럼(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드럼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거나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응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800), 드럼(200)의 후방에 위치되어 드럼(20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00), 모터부(500)의 회전을 감속하여 드럼(200)에 전달하는 감속기(600),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되어 모터부(50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어커버(4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800)는 드럼(200)과 연통하여 드럼에서 공기가 유입되거나 드럼(200)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순환유로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411), 프론트패널(411)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드럼(200)과 연통되는 투입연통홀(41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패널(411)의 배면에는 투입연통홀(412)의 반경방향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전방가스켓(413)이 제공될 수 있다. 전방가스켓(413)은 드럼바디(21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전방가스켓(413)은 드럼바디(2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전방가스켓(413)은 투입구(21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방가스켓(413)은 드럼바디(210)와 프론트플레이트(410) 사이로 드럼(200) 내부의 열풍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방가스켓(413)은 플라스틱 수지 계열 또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실링부재가 전방가스켓(413) 에 추가로 결합되어 드럼바디(210)에서 의류 또는 열풍이 프론트플레이트(410)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플레이트(410)는 투입연통홀(412)의 내주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덕트연통홀(41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플레이트(410)는 덕트연통홀(417)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드럼바디(210)와 순환유로부(820)를 연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연결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연결부(416)는 덕트연통홀(417)을 통해 드럼바디(210)와 연통될 수 있으며, 드럼바디(210)에서 배출된 공기는 덕트연통홀(417)을 통해 덕트연결부(416)로 유입되어, 순환유로부(820)로 안내될 수 있다. 드럼바디(210)에서 배출된 공기는 덕트연결부(416)에 의해 순환유로부(820)로 안내되므로, 드럼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덕트연결부(416)에는 드럼(200)에서 토출된 공기에서 이물질 또는 린트를 여과하여, 순환유로부(82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프론트패널(411)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럼(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휠(415)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휠(415)이 드럼(200)의 전방을 지지하여 드럼에 연결된 회전축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프론트패널(411)을 관통하게 구비되어 건조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120, 도 2 참조)가 인출되거나 지지될 수 있는 저수탱크지지홀(414)이 형성될 수 있다. 저수탱크지지홀(414)이 상측에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저수탱크(120)를 인출할 때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은 전방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211)가 구비되는 드럼바디(210)와, 후방면을 형성하는 드럼배면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배면판(220)은 드럼바디(210)와 연결되는 둘레판(221), 둘레판(221)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연통홀(224), 및 드럼배면판(220)의 회전 중심에 구비되어 드럼회전축(6341)과 결합되는 장착판(222)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홀(224)은 드럼배면판(220)에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배열되어 형성된다. 드럼배면판(220)은 둘레판(221)로부터 회전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보강리브(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리브(225)는 연통홀(224)을 회피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보강리브(225)는 연통홀(224)로 인해 드럼배면판(220)의 강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강리브(225)는 장착판(222)의 외주면에서 둘레판(221)의 내주면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럼배면판(220)은 보강리브(225)를 서로 연결하도록 드럼배면판(22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원주리브(2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리브(225)와 원주리브(227)는 드럼배면판(220)이 모터부(500)에서 회전력을 전달받더라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입덕트(821)는 프론트플레이트(410)의 덕트연통홀(417)에 연통되어 프론트플레이트(410) 내부에 설치된 유로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동덕트(822)는 유입덕트(821)의 말단에서 드럼(20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배출덕트(823)는 이동덕트(822)의 말단에 구비되어 공기를 드럼(200)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송풍부(8231)는 배출덕트(823)의 하류측에 위치비될 수 있으며, 송풍부(8231)는 순환팬(950, 도 3 참조)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순환팬(950)이 작동하면 유입덕트(821)로 유입된 공기가 송풍부(8231)의 상부로 배출될 수 있다.
베이스(800)에는 드럼(200)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를 냉각하고 가열할 수 있는 열교환부(900)가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부(900)는 제1열교환기(910, 도 3 참조), 제2열교환기(920, 도 3 참조) 및 제2열교환기(920, 도 3 참조)에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93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930)는 순환되는 공기와 직접 열교환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으므로, 순환유로부(820)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900)는 송풍부(8231)의 후방에 지지되어 순환팬(950)을 회전시키는 순환팬모터(951)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모터(951)는 송풍부(8231)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순환유로부(820)에 결합되어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드럼(200)의 후방 또는 리어플레이트(420)로 안내하는 커넥터(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850)는 배출덕트(823)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2열교환기(920)를 통과하여 가열된 열풍을 배출덕트(823) 보다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의 상측에 구비된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850)는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850)는 순환팬(950)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을 리어플레이트(420)에 골고루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넥터(850)는 송풍부(8231)에서 멀어질수록 유로의 면적이 증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는 베이스(800)에 결합되거나 베이스(800)에 지지되어 드럼(2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는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리어패널(421), 리어패널(421)에서 함몰되게 구비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순환유로부(820)에서 배출된 공기를 드럼(200)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덕트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는 구동부가 결합되거나 지지되는 장착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425)는 리어패널(4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425)는 덕트부(423)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425)는 덕트부(423)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속기(600)와 모터부(500)의 결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는 모터부(500)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동력을 발생시키고, 회전동력을 드럼에 전달하는 구성을 구동부로 지칭할 수 있다.
구동부는 장착부(425)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425)는 구동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구동부는 장착부(425)에 지지된 채로 드럼(200)과 연결될 수 있다.
덕트부(423)는 드럼배면판(22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덕트부(423)는 드럼배면판(220)과 함께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동부는 덕트부(423)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장착부(425)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구동부는 덕트부(423)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는 장착부(425)에 설치되되, 후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구동부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500)는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510)와, 스테이터(51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로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520)는 스테이터(510)를 수용하며 스테이터(5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아우터 로터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로터(520)에는 구동축이 결합되어 스테이터(510)와 장착부(425)를 관통하여 드럼(2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로터(520)가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로터(520)는 와셔부(540)를 통해 구동축(530)과 결합될 수 있다. 와셔부(540)는 구동축(530)과 로터(520)를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와셔부(540)에 의해 로터(520)와 구동축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로터(520)의 회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감속기(600)는 모터부(500)와 드럼(200)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감속기(600)는 모터부(500)의 동력을 변환하여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감속기(600)는 모터부(500)와 드럼(200) 사이에 배치되어 모터부(5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를 변환하여 드럼(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감속기(600)는 로터(520)의 RPM을 작은 RPM으로 변환하되 토크 값을 증가시켜 드럼(200)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속기(600)는 로터(520)와 결합되어 로터(520)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530)과 결합될 수 있다. 감속기(600)는 내부에 구동축(530)과 맞물려 회전하여 구동축(530)의 rpm을 변형하되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어결합체를 포함하고, 기어결합체는 드럼(200)에 결합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6341)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530)이 회전하면 드럼회전축(6341)은 구동축(530) 보다는 느린 rpm으로 회전하지만 더 큰 토크로 회전할 수 있다.
캐비닛(100)의 리어플레이트(420)는 상대적으로 얇은 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는 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의류처리장치는 모터부(500)를 감속기(600)에 결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감속기(600) 자체가 구동부 전체의 기준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감속기(600)가 구동부 전체의 진동 및 기울어지는 각도량의 기준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때문에, 구동부에 진동이 전달되거나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감속기(600)가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때 모터부(500)는 항상 감속기(600)와 동시에 기울어지거나 동시에 진동될 수 있다. 그 결과, 감속기(600)와 모터부(500)는 하나의 진동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감속기(600)와 모터부(500)는 서로를 기준으로 상대 운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모터부(500) 중 스테이터(510)가 직접 감속기(6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구동축(530)이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설치된 위치가 가변되지 않을 수 있다. 구동축(530)의 중심과 감속기(600)의 중심은 서로 일치된 상태에 배치될 수 있고, 구동축(530)은 감속기(600)의 중심과 동축을 유지하는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축(530)이 감속기(600)를 기준으로 회전하지만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스테이터(510)도 감속기(6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테이터(510)와 로터(520)의 간격은 항상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스테이터(510)와 로터(520)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고, 로터(520)가 스테이터(510)를 회전하면서 회전중심이 가변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이나 진동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드럼회전축(6341)은 감속기(600) 내부에서 드럼(200)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럼회전축(6341)은 감속기(600)와 함께 진동하고 감속기(600)와 함께 기울어질 수 있다. 즉, 드럼회전축(6341)은 감속기(600)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될 뿐 설치된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드럼회전축(6341)과 구동축(530)은 항상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말해, 드럼회전축(6341)의 중심과 구동축(530)의 중심은 서로 일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울어지거나 진동할 것이므로, 리어플레이트(420)가 감속기(600) 및 모터부(500), 드럼(200)을 포함하는 진동계의 중심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전술한 동축 및 일치의 의미는 물리적으로 완벽한 동축 및 일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공학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오차범위 또는 당업자가 동축 또는 일치라고 인정할 만한 수준의 범위는 허용하는 개념이다. 예를들어, 구동축(530)과 드럼회전축(6341)이 5도 이내로 틀어진 범위를 동축 또는 일치인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각도 값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설계상 허용되는 오차는 변경될 수 있다.
드럼배면판(220)과 리어플레이트(420) 사이에는 실링부(450)가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450)는 리어플레이트(420)의 덕트부(423)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연통홀(224)로 유입되도록 드럼배면판(220)과 리어플레이트(42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실링부(450)는 덕트부(423)의 외측면과 내측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덕트부(423)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제1실링(451)이 구비될 수 있다. 덕트부(423)의 반경방향 내측에는 제2실링(45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451)은 드럼배면판(220)과 덕트부(423)의 사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열풍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실링(452)은 드럼배면판(220)과 덕트부(423)의 사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열풍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링부(450)는 연통홀(224)의 반경방향 외측과 내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실링(451)은 연통홀(224)의 반경방향 외측에, 제2실링(452)은 연통홀(224)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450)가 열풍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드럼배면판(220)과 리어플레이트(420) 모두에 접촉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200)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회전하므로 실링부(450)에는 드럼배면판(220)에 의해 지속적인 마찰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실링부(450)는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 마찰열에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드럼배면판(220)과 덕트부(423) 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는 모터부(500) 또는 감속기(600)가 결합될 수 있는데, 리어플레이트(420)는 얇은 철판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감속기(600) 및 드럼(200)에 의해 감속기(600)에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즉, 감속기(600), 모터부(500) 등을 설치하기 위해 리어플레이트(420)의 강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리어플레이트(420)는 결합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브라켓(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에는 추가적으로 브라켓(700)이 결합될 수 있고 감속기(600) 및 모터부(500)는 브라켓(700)에 의해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될 수 있다.
감속기(600)는 브라켓(700) 및 리어플레이트(420)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감속기(600), 리어플레이트(420), 브라켓(700)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는 브라켓(700)과 결합되어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강성이 확보된 리어플레이트(420)에는 구동부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700)에 감속기(600)가 먼저 결합되고 브라켓(700)이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즉, 감속기(600)는 리어플레이트(420)에는 직접 결합되지 않고 브라켓(700)을 통해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구동부가 결합될 경우 모터부(500)와 감속기(60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결합되어 모터부(500) 또는 감속기(60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덕트부(423)는 열풍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덕트부(423)의 후면을 단열할 필요가 발생될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결합되어 덕트부(423)와 모터부(500) 또는 감속기(60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덕트부(423) 및 구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모터부(500)가 외부의 간섭을 받아 파손되거나, 덕트부(423)를 통해 열손실이 발생되어 건조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800)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베이스에서 덕트커버부와 집수커버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베이스(800)는 순환유로부(820)를 포함한다. 순환유로부(820)는 베이스(8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베이스(800)의 타측에는 건조기의 작동에 필요한 구성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설치부(810)가 구비될 수 있다. 장치설치부(810)는 순환유로부(82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장치설치부(810)에는 압축기(930)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930)는 열교환에 필요한 냉매를 압축하는 구성이다.
장치설치부(810) 상에는 제어부(19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컨트롤박스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압축기(930), 모터부 등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어부(190)는 베이스(800)에 설치되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와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들을 연결하는 연결선들 또한 베이스(80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800)는 집수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부(860)는 압축기(930)와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집수부(860)는 순환유로부(820)와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집수부(860)는 순환유로부(82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수집한다. 집수부(860)는 압축기(930)와 순환유로부(8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집수부(860)는 압축기(930)와 순환유로부(820) 사이에 배치되지 않고, 압축기(93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집수부(860)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집수바디(862)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부(860)는 집수바디(862)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집수커버(8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집수부(860)의 주변에는 수분에 취약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집수바디(862)에 수집된 응축수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집수커버(863)는 집수바디(862)에 결합되어 응축수가 집수바디(862)의 상면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집수부(860)는 집수바디(862)의 내부에 수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펌프모듈(880)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모듈(880)이 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집수바디(862)의 내부가 충분히 밀폐되어야 한다. 집수커버(863)는 집수바디(862)의 내부를 밀폐시켜 펌프모듈(880)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집수커버(863)는 집수바디(862)의 차폐면을 형성하는 집수커버바디(86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집수커버(863)는 집수커버바디(8631)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바디(8635) 및 집수커버바디(8631)를 집수바디(862)에 결합시키도록 구비되는 체결후크(86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디(8635)는 집수커버바디(8631)의 둘레에서 돌출되어 베이스(800)에 안착될 수 있다. 체결후크(8636)는 집수커버바디(8631)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따. 체결후크(8636)는 집수커버바디(8631)를 집수바디(86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후크(8636)는 후술할 후크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집수바디(862)의 내부에는 순환유로부(820)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수집된다. 집수바디(862)의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응축수가 외부로 비산될 수 있다. 그런데, 집수바디(862)는 제어부(190), 압축기(930) 등과 인접하게 위치되므로, 응축수가 집수바디(862)의 외부로 비산될 경우 기계장치의 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집수커버(863)는 집수커버바디(8631)를 이용하여 집수바디(862)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여 응축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바디(8635) 및 체결후크(8636)는 집수커버바디(9631)를 집수바디(86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가 비산되어 장치의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펌프모듈(88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펌프모듈(880)이 물을 배수하는 공간 내부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커버(863)는 지지바디(8635) 및 체결후크(8636)를 이용하여 집수바디(86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용이하게 밀폐할 수 있다. 이로써, 펌프모듈(880)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집수커버(863)와 집수바디(862)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링이 추가될 수 있다.
집수커버(863)는 집수바디(862)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집수바디(862)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집수바디(862) 내부에는 제1열교환기(91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에 포함된 린트 등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입자가 큰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펌프모듈(880)의 작동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집수바디(862)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 제거를 위해 집수커버(863)를 탈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집수커버(863)는 집수바디(862)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체결후크(8636)를 이용하여 집수커버(863)를 집수바디(862)에서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 지지바디(8635) 및 체결후크(8636)는 집수바디(862)의 개방된 상면을 견고하게 차폐하여 응축수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집수 집수바디(862)에 적층된 이물질 제거를 위해 집수커버(863)의 탈거가 필요한 경우에는 체결후크(8636)를 이용하여 집수커버(863)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집수커버(863)는 펌프설치부(8634)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설치부(8634)는 집수커버바디(8631)를 관통하여 펌프모듈(880)이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집수커버(863)는 드레인유로(8637)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유로(8637)는 집수커버바디(863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집수바디(86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펌프설치부(8634)에는 집수바디(862)의 내부에 수집된 응축수를 집수바디(862)의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펌프모듈(880)이 설치될 수 있다. 펌프모듈(880)이 작동되면 집수바디(862)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는 드레인유로(8637)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드레인유로(8637)에는 호스(미도시)가 연결되어 배출되는 응축수를 집수바디(862)의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호스(미도시)의 일단은 드레인유로(8637)에 결합되고, 타단은 유로전환밸브(870)에 연결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870)는 호스(미도시)에 의해 저수탱크(120, 도 2 참고)에 연결되고, 집수바디(862)에 수집된 응축수를 저수탱크(120)로 안내할 수 있다.
집수커버(863)는 드레인유로(8637)에서 이격되며 집수바디(86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리턴유로(86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턴유로(8638)는 집수바디(862)와 저수탱크(120)를 연통하게 구비될 수 있다. 리턴유로(8638)는 저수탱크(120)의 물을 다시 집수바디(862)로 안내할 수 있다.
리턴유로(8638)는 호스(미도시)를 통해 저수탱크(120)와 연결될 수 있다. 저수탱크(120)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수탱크(120)에 물이 가득찬 경우 리턴유로(8638)와 저수탱크(120)를 연결하는 호스(미도시)를 통해 저수탱크(120)에 저장된 물이 다시 집수바디(862)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물을 배수하는 빈도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집수커버(863)에는 수위감지센서(8639)가 설치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8639)는 다양한 방식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수위감지센서(8639)는 두 개의 전극으로 제공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8639)는 집수바디(862)에 수용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베이스(800)의 측면에는 캐비닛(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40, 도 2 참조)이 결합될 수 있다. 측면패널(140)은 제1측면패널(141)과 제2측면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장치설치부(810) 상에 설치되되 측면패널(140) 중 어느 하나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의류처리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90)를 점검 또는 수리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될 수 있다. 제어부(190)가 제1측면패널(141)에 인접하게 구비될 경우, 사용자는 제1측면패널(141)만 탈거하면 제어부(190)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의 용이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제1측면패널(141)을 탈거할 경우 압축기(930), 제어부(190) 등 다양한 구성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제1측면패널(141)은 서비스패널로 지칭될 수 있다. 도 5는 장치설치부(810)가 베이스(800)의 좌측에 위치되어 제1측면패널(141)을 탈거하면 제어부(190)에 접근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순환유로부(820)가 좌측에 형성되고 장치설치부(810)가 우측에 형성된다면, 제2측면패널(미도시)을 탈거하여 제어부(190) 또는 압축기(930) 등을 수리 및 점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순환유로부(820)는 순환유로부(820)의 상측에 위치되어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커버부(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덕트커버부(830)는 순환유로부(820)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유입덕트(821)와 이동덕트(822)의 상면은 개방되어 개방된 상면을 통해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다. 덕트커버부(830)는 이동덕트(822)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덕트커버부(830)는 유입덕트(821)를 통해 드럼(200)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유입덕트(821)로 유입된 공기가 이동덕트(822)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덕트커버부(830)는 유입덕트(8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덕트(823)까지 안내하는 유로의 일면를 형성할 수 있다. 배출덕트(823)는 배출덕트(823)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부(8231)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8231)는 유입덕트(821)와 이동덕트(822)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덕트(823)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송풍부(8231)는 드럼(20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95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순환팬(950)은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켜 공기의 순환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의류의 건조 속도가 증가되어 소요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순환팬(950)이 회전하면, 송풍부(8231)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방식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송풍부(8231)에서 배출된 공기는 다시 드럼(200) 내부로 유입되어 의류를 건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순환팬(950)은 다양한 형태의 팬이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시로코팬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 목적에 맞게 다양한 팬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덕트커버부(830)는 유입덕트(821)의 상측에 결합되는 연통커버바디(8312)와 이동덕트(822)의 상측에 결합되는 차폐커버바디(8311)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커버바디(8311)는 연통커버바디(8311)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차폐커버바디(8311)는 연통커버바디(8312)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연통커버바디(8312)는 드럼(200)과 유입덕트(821)를 연통하는 유입연통홀(8314)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커버바디(8312)가 유입덕트(821)에 결합되더라도 유입연통홀(8314)은 드럼(2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덕트(821)로 안내할 수 있다.
차폐커버바디(8311)는 이동덕트(822)의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므로, 유입덕트(821)로 유입된 공기는 이동덕트(822)를 통해 순환유로부(820)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배출덕트(823)로 안내될 수 있다.
차폐커버바디(8311)는 상면에 구비되어 물이 유동될 수 있는 세척유로부(83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는 물을 공급받아 덕트커버부(830) 하측에 위치하는 제1열교환기(910)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의 하류측에는 차폐커버바디(8311)를 상하로 관통하는 커버관통홀(8313)이 구비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를 따라 이동하는 물은 커버관통홀(8313)을 통해 차폐커버바디(8311)의 하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 커버관통홀(8313)의 하부에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하는 제1열교환기(91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관통홀(8313)을 통과한 물은 제1열교환기(910)를 향해 분사되어 제1열교환기(910)를 세척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의 상측에는 노즐커버부가 결합될 수 있다. 노즐커버부(840, 도 6 참조)는 세척유로부(833)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노즐커버부(840)는 이동덕트(822)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커버관통홀(8313)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커버부(840)는 세척유로부(833)의 상면을 차폐하여 세척유로부(833)를 따라 이동되는 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덕트커버부(830)는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커버장착후크(839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유로부(820)는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커버장착후크(8391)와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덕트돌기(82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장착후크(8391)는 덕트돌기(824)에 결합되어 덕트커버부(830)를 순환유로부(82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덕트커버부(830)는 유입덕트(821)와 이동덕트(822)의 둘레에 안착된 상태에서 커버장착후크(8391)를 이용하여 덕트돌기(824)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덕트커버부(830)와 순환유로부(820)의 접촉면에는 실링이 추가되어 순환유로부(820)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순환유로부(820)는 제1열교환기(9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유입덕트(821)를 통과한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덕트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덕트필터(미도시)는 유입덕트(821)와 제1열교환기(910) 사이에 배치되어 제1열교환기(910)의 전면에 이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열교환기(910)의 건조 효율 및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덕트필터(미도시)에 이물질이 적층되는 경우, 유입덕트(821) 및 이동덕트(822)를 통과하는 공기의 순환을 방해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척유로부(833)는 덕트필터(미도시)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수압에 의해 덕트필터(미도시)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덕트필터(미도시)가 생략되게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순환유로부(820)는 제1열교환기(910)와 이동덕트(822)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는 워터커버(8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워터커버(826)는 이동덕트(822)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워터커버(826)는 제1열교환기(910) 및/또는 제2열교환기(9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1열교환기(910) 및/또는 제2열교환기(92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워터커버(826)는 제1열교환기(910) 및/또는 제2열교환기(920)를 이동덕트(822)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워터커버(826)는 제1열교환기(910) 및/또는 제2열교환기(920)를 이동덕트(822)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여 이동덕트(822)의 바닥면과 워터커버(826)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열교환기(910)에서는 드럼(200)에서 배출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다. 응축수가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배출되지 못하고 잔류할 경우 악취가 발생하거나 건조효율이 감소될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응축수를 제1열교환기(910) 또는 제2열교환기(920)와 이격된 채로 수집하고,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할 필요가 있다. 워터커버(82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따라 응축수는 집수부(860)로 흘러갈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870)는 집수부(860)에 수집된 응축수가 이동되는 유로를 전환한다. 펌프모듈(880)은 호스(미도시)를 통해 유로전환밸브(870)와 연결될 수 있다. 집수바디(862)에 저장된 물은 펌프모듈(880)에 의해 이동되어 유로전환밸브(870)로 이동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870)는 이동된 물을 다양한 경로로 안내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870)는 세척유로부(833)와 연결되어 물을 세척유로부(833)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로 안내된 물은 제1열교환기(910)를 세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870)는 급수원과 연결되어 세척유로부(833)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원은 집수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870)는 집수부(860)와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집수부(860)에 수집된 물을 세척유로부(833)에 안내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870)는 집수부(860)에 수집된 물을 저수탱크(120, 도 2 참고)로 안내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870)는 호스(미도시)에 의해 저수탱크(120)와 연결되어 집수바디(862)에서 이동된 응축수를 저수탱크(120)로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응축수가 저장된 저수탱크(120)를 인출하여 직접 배수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870)는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870)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시점에 따라 달리 작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건조 사이클에서 제1열교환기(910)의 작동이 모두 끝난 경우, 제어부(190)는 유로전환밸브(870)가 응축수를 세척유로부(833)로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열교환기(910)의 세척이 모두 종료된 시점에는, 제어부(190)는 유로전환밸브(870)가 응축수를 저수탱크(120)로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노즐커버부가 결합된 덕트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순환유로부(820)는 노즐커버부(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커버부(840)는 세척유로부(833, 도 6 참조)를 차폐하여 세척유로부(833)를 유동하는 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노즐커버부(840)는 차폐커버바디(8311)의 상부에서 세척유로부(833)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노즐커버부(840)의 상측에서 차폐커버바디(8311)를 바라볼 때, 노즐커버부(840)가 세척유로부(833)를 수용하며 세척유로부(833)의 상단에 결합되어 세척유로부(833)는 노즐커버부(84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노즐커버부(840)는 세척유로부(833)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노즐커버부(840)는 유로전환밸브(870)가 배치된 일측에서 유입연통홀(8314)이 배치된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일측은 유로전환밸브(870)가 밸브연결부(838. 도 8 참조)에서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고, 타측은 유입연통홀(8314)이 배치된 전방(X방향)일 수 있다.
노즐커버부(840)는 유로형성부(8341. 도 8)의 상단에 결합되어 세척유로부(833)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노즐커버부(840)는 도 8에서 도시된 제1세척유로(833a), 제2세척유로(833b) 및 제3세척유로(833c)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1세척유로(833a), 제2세척유로(833b) 및 제3세척유로(833c)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노즐커버부(840)는 세척유로부(833)를 유동하는 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덕트커버부의 상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덕트커버부의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덕트커버부(830)는 차폐커버바디(8311)와 연통커버바디(8312)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커버바디(8311)는 이동덕트(822)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차폐커버바디(8311)는 이동덕트(822)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1열교환기(910) 및 제2열교환기(920)를 차폐한다. 연통커버바디(8312)는 유입덕트(821)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통커버바디(8312)는 차폐커버바디(831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유입덕트(821)의 상부에 결합된다. 차폐커버바디(8311) 및 연통커버바디(8312)는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덕트커버부(830)의 조립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고, 이동덕트(822) 및 유입덕트(821) 내부의 공기가 차폐커버바디(8311) 및 연통커버바디(8312) 사이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연통커버바디(8312)에는 유입연통홀(8314)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연통홀(8314)은 일면을 관통하여 드럼(200)과 유입덕트(821)를 연통시킨다. 유입연통홀(8314)은 덕트연통홀(417, 도 3 참조)에 연통될 수 있고, 이로써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연통홀(8314)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유입덕트(821)는 이동덕트(822)의 너비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입덕트(821)의 상면에 안착되는 연통커버바디(8312)는 차폐커버바디(8311)보다 너비가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유입연통홀(8314)은 차폐커버바디(8311)보다 너비가 크게 구비되어 드럼(200)과 연통되는 유입연통홀(8314)로 드럼(200)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유입연통홀(8314)의 일단은 차폐커버바디(8311)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유입연통홀(8314)의 타단은 전환연결부(879)를 향하여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전환연결부(879)를 통해 세척유로부(833)로 공급된 물은 차폐커버바디(8311)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어 제1열교환기(910)로 배출되고, 이로써 제1열교환기(910)의 전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차폐커버바디(8311)는 커버관통홀(831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관통홀(8313)은 차폐커버바디(8311)의 상면을 관통하여 제1열교환기(910)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한다. 커버관통홀(8313)은 세척유로부(833)의 단부에 배치되어 세척유로부(833)와 제1열교환기(91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커버관통홀(8313)은 세척유로부(833)의 출구가 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를 따라 이동된 물은 커버관통홀(8313)을 통해 제1열교환기(910)로 분사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제1열교환기(910)를 분리하여 별도로 세척할 필요 없이, 제1열교환기(910)에 부착된 이물질은 세척유로부(833)에서 커버관통홀(8313)을 통과하여 배출된 물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커버관통홀(8313)은 차폐커버바디(8311)의 너비방향과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커버관통홀(8313)은 밸브연결부(838)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커버관통홀(8313)의 너비(W5)는 차폐커버바디(8311)의 너비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커버관통홀(8313)의 너비는 제1열교환기(910, 도 6 참조)의 너비와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환연결부(879)는 전달부(872, 도 10)에 연결되어 세척유로부(833)로 물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환연결부(879)는 전달부(872)와 연통되어 전달부(872)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 및 배수유로(879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는 밸브연결부(838)를 관통하여 세척유로부(833)와 연통되어 전달부(872)로부터 공급받은 응축수를 세척유로부(833)로 전달할 수 있다. 배수유로(8792)는 저수탱크(120, 도 2 참조)와 연통되어 전달부(872)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수탱크(120)로 이동시키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는 바닥면을 관통하여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와 연통되는 밸브연통홀(838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는 복수의 세척유로부(833)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밸브연통홀(8382)은 복수의 세척유로부(833)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로부터 공급된 응축수는 밸브연통홀(8382)을 통해 세척유로부(833)로 유입될 수 있다. 밸브연통홀(8382)은 밸브연결부(838)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의 연장방향을 따라 차폐커버바디(83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는 차폐커버바디(8311)의 상면에 배치되어 밸브연통홀(8382)로부터 유입된 물을 커버관통홀(8313)까지 안내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는 밸브연통홀(8382)로부터 커버관통홀(8313)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밸브연통홀(8382)은 세척유로부(833)의 시작점에 해당될 수 있고, 커버관통홀(8313)은 세척유로부(833)의 종점에 해당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의 일단은 밸브연결부(838)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의 타단은 커버관통홀(8313)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세척유로부(833)는 일단이 밸브연결부(838)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타단이 커버관통홀(8313)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밸브연통홀(8382)을 통해 세척유로부(833)로 공급된 응축수는 세척유로부(833)를 이동하면서 세척유로부(833)의 내면과 마찰이 발생할 수 있고, 유속이 점점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유로부(833) 내부의 응축수는 세척유로부(833)에서 미처 배출되지 못하고 잔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폐커버바디(8311)는 상면 중 일부가 전방을 향하며 경사지며 연장되는 경사면(8316)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면(8316)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에서 배출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잔수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세척유로부(833)를 이동하는 물은 경사면(8316)을 따라 이동되면서 유속이 자연스럽게 증가되어 제1열교환기(910)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일례로, 경사면(8316)은 차폐커버바디(8311)의 상면에서 전방을 향하며 경사지며 연장되는 제1경사면(8316a)과, 제1경사면(8316a)에서 연통커버바디(8312)를 향해 경사지며 연장되는 제2경사면(831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경사면(8316a)은 제2경사면(8316b)보다 더 경사지며 연장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는 밸브연통홀(8382)과 연통되어 밸브연통홀(8382)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안내유로(8331)와, 안내유로(8331)에 연결되어 커버관통홀(8313)로 연장되는 배출유로(8332)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유로(8331)는 경사면(8316)보다 높게 형성되는 차폐커버바디(83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배출유로(8332)는 경사면(8316)에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배출유로(8332)는 제1배출유로(8332a)와 제2배출유로(83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유로(8332a)는 안내유로(8331)에 연결되어 제1경사면(8316a)에 배치된다. 제2배출유로(8332b)는 제1배출유로(8332a)에 연결되어 제2경사면(8316b)에 배치된다.
안내유로(8331)는 일단이 밸브연결부(838)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1경사면(8316a)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1배출유로(8332a)는 일단이 안내유로(8331)와 연통되고 타단이 제2배출유로(8332b)와 연통되어 안내유로(8331)에서 이동된 물을 제2배출유로(8332b)로 안내할 수 있다. 제2배출유로(8332b)는 일단이 제1배출유로(8332a)와 연통되고 타단이 커버관통홀(8313)과 연결되어 제1배출유로(8332a)에서 이동된 물이 커버관통홀(8313)로 안내될 수 있다.
이로써, 밸브연통홀(8382)로부터 안내유로(8331)로 공급된 물은 제1배출유로(8332a)와 제2배출유로(8332b)를 지나면서 유속이 자연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배출유로(8332a) 및 제2배출유로(8332b)가 경사지게 연장됨에 따라 안내유로(8331)로부터 커버관통홀(8313)까지 이동하는 물은 유속이 자연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 내부의 물은 제1배출유로(8332a) 및 제2배출유로(8332b)를 따라 커버관통홀(8313)로 이동되므로 세척유로부(833) 내부의 물이 커버관통홀(8313)로 미처 배출되지 못하고 세척유로부(833) 내부에 잔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액체는 이동할수록 유속이 빨라지면 직경이 점점 좁아지게 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세척유로부(833)의 내부의 물은 세척유로부(833)의 말단에서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밸브연통홀(8382)을 통해 안내유로(8331)로 유입된 응축수는 제1배출유로(8332a)와 제2배출유로(8332b)를 지나면서 유속이 자연스럽게 증가되어, 커버관통홀(8313) 중 특정 영역에만 집중되어 배출될 수 있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제1열교환기(910)의 표면에 고르게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세척유로부(833)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세척유로부(833)의 말단은 커버관통홀(831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세척유로부(833) 중 어느 하나의 말단의 너비는 세척유로부(833)가 단수로 구비되는 경우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세척유로부(833)는 응축수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너비가 증가되도록 구비되어 말단에서 응축수가 넓게 퍼지도록 유도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는 복수의 세척유로부(833) 중 차폐커버바디(8311)의 일단에 가장 가깝게 구비되는 제1세척유로(833a)와, 복수의 세척유로부(833) 중 차폐커버바디(8311)의 타단에 가장 가깝게 구비되는 제2세척유로(833b)와, 제1세척유로(833a)와 제2세척유로(833b) 사이에 구비되는 제3세척유로(83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세척유로(833a)의 말단은 커버관통홀(8313)의 일단과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세척유로(833b)의 말단은 커버관통홀(8313)의 타단과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커버관통홀(8313)은 제1세척유로(833a), 제2세척유로(833b) 및 제3세척유로(833c)의 말단과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세척유로(833a), 제2세척유로(833b) 및 제3세척유로(833c)의 너비는 각각 균일할 수 있으나, 세척유로부(833)의 구조상 특정영역에 물이 분산되기 어렵다면 제1세척유로(833a), 제2세척유로(833b) 및 제3세척유로(833c)의 너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세척유로(833a), 제2세척유로(833b) 및 제3세척유로(833c)의 일단은 밸브연결부(838)의 상면에서 서로 접촉되어 구비될 수 있고, 응축수의 이동방향을 따라 분리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세척유로(833a), 제2세척유로(833b) 및 제3세척유로(833c)의 타단은 커버관통홀(831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870, 도 6 참조)는 제1세척유로(833a), 제2세척유로(833b) 및 제3세척유로(833c)와 연통되어 제1세척유로(833a), 제2세척유로(833b) 및 제3세척유로(833c)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결공급유로(8791)는 제1세척유로(833a)와 연통되는 제1연결공급유로(8791a)와, 제2세척유로(833b)와 연통되는 제2연결공급유로(8791b)와, 제3세척유로(833c)와 연통되는 제3연결공급유로(879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공급유로(8791a), 제2연결공급유로(8791b) 및 제3연결공급유로(8791c)는 유로전환밸브(870, 도 6)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급전환부(871, 도 10)를 통해 응축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연결공급유로(8791a), 제2연결공급유로(8791b) 및 제3연결공급유로(8791c)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되고, 복수의 세척유로부(833) 중 어느 하나에 순차적으로 물이 공급되어 커버관통홀(8313)로 배출될 수 있다.
복수의 세척유로부(833) 중 어느 하나에서 배출되는 물의 수압은 유로전환밸브(870)로부터 응축수가 복수의 세척유로부(833) 모두에 공급하는 경우보다 증가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에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이 증가됨에 따라 제1열교환기(910)에서 생생된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는 밸브연통홀(8382)로 유입된 물이 커버관통홀(8313)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8341)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부(8341)는 차폐커버바디(8311)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차폐커버바디(8311)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는 차폐커버바디(8311)에 별도로 결합시킬 필요가 없어, 덕트커버부(830)의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조립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8341)는 밸브연통홀(8382)로부터 커버관통홀(8313)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8341)는 세척유로부(833)의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로형성부(8341)는 안내유로(8331)의 내주면 및 배출유로(8332)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로형성부(8341)는 제1배출유로(8332a) 및 제2배출유로(8332b)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는 유로배출리브(835)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배출리브(835)는 세척유로부(833)에서 배출된 물이 제1열교환기(910)로 안내되도록 구비된다. 유로배출리브(835)는 제2배출유로(8332b)의 말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로배출리브(835)는 하부로 연장되어 유로배출리브(835)의 말단은 커버관통홀(8313)에 위치될 수 있고 제1열교환기(910)를 향하여 더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세척유로부(833)에서 배출된 물은 유로배출리브(835)를 따라 제1열교환기(910)를 향해 일정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세척유로부(833)는 제1세척유로(833a), 제2세척유로(833b) 및 제3세척유로(833c)를 구획하도록 구비되는 유로구획리브(836)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구획리브(836)는 제1유로형성부(834a)의 말단과 제3유로형성부(834c)의 말단으로부터 커버관통홀(8313)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유로형성부(834a)의 말단과 제3유로형성부(834c)의 말단이 접촉되는 지점으로부터 커버관통홀(8313)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제2배출유로(8332b)에서 배출되는 물은 유로구획리브(836)를 따라 균일하게 커버관통홀(8313)로 배출될 수 있다. 유로구획리브(836)는 유로형성부(8341)에서 유로배출리브(835)를 향하여 연장되어 유로배출리브(835)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는 연통유로(83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유로(8333)는 배출유로(8332)와 커버관통홀(8313)을 연통시킨다. 연통유로(8333)는 커버관통홀(8313)의 상단에 구비되어 커버관통홀(8313)과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통유로(8333)는 배출유로(8332)에서 배출될 물이 커버관통홀(8313)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8341)는 연통유로(8333)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배출유로(8332)에서 배출된 물이 커버관통홀(8313)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세척유로부(833)는 유로형성부(8341)를 지지하는 유로지지부(837)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부(8341)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로지지부(837)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지지부(837)는 차폐커버바디(8311) 상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유로지지부(837)는 유로형성부(834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유로형성부(8341)를 지지할 수 있다. 유로지지부(837)는 유로형성부(8341)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유로지지부(837)는 유로형성부(8341)를 지지하여 유로형성부(8341는 내부의 물의 수압을 견딜 수 있고, 유로형성부(8341)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덕트커버부(830)는 제1방열리브(8315a) 및 제2방열리브(83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방열리브(8315a) 및 제2방열리브(8315b)는 제1열교환기(910)에서 세척유로부(833)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한다. 제1방열리브(8315a)는 차폐커버바디(8311)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커버관통홀(8313)에서 멀어지며 연장될 수 있다. 제2방열리브(8315b)는 차폐커버바디(8311)는 하면에서 돌출되어 커버관통홀(8313)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방열리브(8315a) 및 제2방열리브(8315b)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방열리브(8315b)는 제1방열리브(8315a)와 수직하게 구비되어 복수의 제1방열리브(8315a)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방열리브(8315a) 및 제2방열리브(8315b)는 제1열교환기(910)와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방열리브(8315a) 및 제2방열리브(8315b)를 통해 제1열교환기(910)로부터 세척유로부(833)로 열이 전달되는 것이 감소될 수 있다.
차폐커버바디(8311)는 증발기커버바디(83111)와 응축기커버바디(83112)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커버바디(83111)는 제1열교환기(910)와 마주한다. 응축기커버바디(83112)는 증발기커버바디(831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2열교환기(920)와 마주한다. 증발기커버바디(83111)의 하면에는 제1방열리브(8315a) 및 제2방열리브(8315b)가 구비될 수 있다. 증발기커버바디(83111)의 하면에는 커버관통홀(8313)이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덕트커버부(830)는 하면에서 함몰되어 유로형성부(8341)를 형성하는 유로인입홈(8349)이 형성될 수 있다. 유로인입홈(8349)은 차폐커버바디(8311)의 하면에서 함몰되어 유로형성부(8341)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로인입홈(8349)은 유로형성부(8341)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유로인입홈(8349)은 유로형성부(8341)를 사출성형하는 과정에 생성될 수 있으며, 유로형성부(8341가 받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어 유로형성부(8341)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덕트커버부(830)는 덕트커버연장부(832)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커버연장부(832)는 차폐커버바디(8311) 및 연통커버바디(8312)의 둘레를 따라 차폐커버바디(8311) 및 연통커버바디(8312)의 외면에서 두께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동덕트(822, 도 6 참조) 및 유입덕트(821, 도 6 참조)가 덕트커버연장부(832)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커버연장부(832)는 차폐커버바디(8311) 및 연통커버바디(8312)의 양측면 및 전면, 배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두께방향으로 돌출되어 차폐커버바디(8311) 및 연통커버바디(831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차폐커버바디(8311) 및 연통커버바디(8312)의 상부에 별도의 구성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덕트커버연장부(832)는 커버삽입부(8322)와 커버단차부(822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단차부(8223)는 커버삽입부(8322)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이격되고 두께방향(Z)으로 연장되어 이동덕트(822) 및 유입덕트(821) 외면에 결합된다.
커버단차부(8223)의 내주면과 커버삽입부(8322) 외주면 사이에는 이동덕트(822) 및 유입덕트(821) 상단이 삽입되는 실링안착부(8324)가 구비될 수 있다. 순환유로부(820)의 이동덕트(822) 및 유입덕트(821)는 실링안착부(8324)에 삽입되어 커버단차부(8223)와 커버삽입부(8322)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이동덕트(822) 및 유입덕트(821)는 차폐커버바디(8311) 및 연통커버바디(8312)에 각각 결합되어 개방된 상면이 차폐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유로전환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복수의 세척유로부(833)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전환밸브(870)의 세부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유로전환밸브(870)를 하측에서 상측으로(Z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유로전환밸브(870)는 공급전환부(871), 전환연결부(879), 전달부(87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전환부(871)는 펌프모듈(880)과 연통되어 펌프모듈(88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전환연결부(879)는 공급전환부(871)와 연통되고 밸브연결부(838)에 연결되어 물을 세척유로부(833)로 전달한다. 전달부(872)는 공급전환부(871)와 전환연결부(879) 사이에 배치되어 공급전환부(871) 및 전환연결부(879)와 결합된다.
전환연결부(879)는 전달부(872)에 연통되어 전달부(872)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배수유로(879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유로(8792)는 저수탱크(120)와 연통되어 전달부(872)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수탱크(120)로 이동시키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저수탱크(120)는 유로전환밸브(870)를 통해 펌프모듈(880)에서 유로전환밸브(870)로 이동된 물을 배수유로(8792)를 통해 공급받아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배수유로(8792)는 일단이 전달부(872)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타단이 저수탱크(120)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배수유로(8792)는 일단과 타단이 서로 마주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배수유로(8792)는 일단과 타단이 직선상에서 마주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급전환부(871)는 스크롤수용부(8712)와 전환유입부(871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롤수용부(8712)는 전달부(872)와 결합된다. 전환유입부(8711)는 스크롤수용부(8712)에서 집수부(860)를 향하여 연장되어 제1집수배수관과 연결된다. 전환유입부(8711)는 스크롤수용부(8712)의 내부와 연통되어 제1집수배수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크롤수용부(8712)의 내부로 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공급전환부(871)는 구동부설치부(8713)와 밸브구동부(873)와 밸브회전부(874)와 전환스크롤(875)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설치부(8713)는 전달부(872)로부터 멀어지며 스크롤수용부(8712)에서 연장된다. 밸브구동부(873)는 구동부설치부(8713)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한다. 밸브회전부(874)는 스크롤수용부(8712) 내에 배치되고 밸브구동부(873)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공급전환부(871)는 밸브구동부(873)를 구동부설치부(8713)에 고정시키는 구동부고정부재(8716)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스크롤(875)은 스크롤수용부(8712)에 수용되고 밸브회전부(874)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밸브회전부(874)는 밸브구동부(873)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밸브회전축(8742)과, 제2밸브회전축(8742)과 전환스크롤(875)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밸브회전축(8741)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872)는 전달바디(8721)와 전달접촉부(8726)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바디(8721)는 스크롤수용부(8712)와 결합된다. 전달접촉부(8726)는 전달바디(8721)에서 전환연결부(879)를 향해 연장되어 전환연결부(879)와 결합된다.
전달부(872)는 전달바디(8721) 및 전달접촉부(8726)를 관통하여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 및 배수유로(8792)와 연통되는 전달공급유로(872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공급유로(8722)는 전달접촉부(8726)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 및 배수유로(8792)에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전달공급유로(8722)는 복수의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와 각각 연결되는 제1전달공급유로(8722a), 제2전달공급유로(8722b), 제3전달공급유로(8722c)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공급유로(8722)는 배수유로(8792)와 연결되는 제4전달공급유로(8722d)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스크롤(875)은 전환스크롤판(8751)을 포함한다. 전환스크롤판(8751)은 스크롤수용부(8712)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구성이다. 전환스크롤판(8751)에는 전환스크롤판(8751)을 관통하여 복수의 전달공급유로(872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스크롤연통홀(8752)이 형성된다. 전환스크롤판(8751)에는 전환스크롤판(8751)을 관통하여 제1밸브회전축(8741)이 결합되는 스크롤결합홈(8753)이 형성될 수 있다.
전환스크롤판(8751)은 전달공급유로(8722)의 일단과 접촉되어 회전할 수 있다. 스크롤연통홀(8752)은 전환스크롤판(8751)의 회전에 따라 전달공급유로(8722)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전환스크롤판(8751)의 회전에 따라 전환유입부(8711)로 유입된 물이 배수유로(8792) 및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로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배수유로(8792)로 물이 공급되면 집수부(860)에 저장된 물은 저수탱크(12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 중 어느 하나에 물이 공급되면 세척유로부(833) 중 어느 하나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로써, 유로전환밸브(870)의 작동에 따라 저수탱크(120) 또는 세척유로부(833) 중 어느 하나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세척유로부(833) 중 어느 하나에 물이 공급되면, 복수의 세척유로부(833) 모두에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보다 제1열교환기(910)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유로전환밸브(870)로 공급된 물이 전환연결부(879)와 밸브연결부(838) 사이로 유출되면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다양한 장치들이 물에 접촉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는 밸브연결부(838)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전환연결부(879)와 밸브연결부(838) 사이에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는 밸브연결부(838)의 하면을 관통하여 세척유로부(833)와 연통될 수 있다.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는 밸브연결부(838)에서 1차적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2차적으로 밸브연결부(83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는 밸브연결부(838)의 상면보다 낮게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는 밸브연결부(838)를 관통하여 일단이 세척유로부(833)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전환연결부(879)는 배수유로(8792)의 외주면 및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의 외주면에서 확장되는 전환연장부(8793)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연장부(8973)는 배수유로(8792)와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 결합할 수 있다. 전환연장부(8793)는 배수유로(8792) 및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유로(8792) 및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달부(872)는 전달접촉부(8726)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전환연장부(8793)에 결합되는 전달체결부(8725)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연결부(879)는 전환연장부(8793)에서 전달체결부(8725)로 연장되어 전달체결부(8725)에 결합되는 전환고정부(8794)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고정부(8794)와 전달체결부(8725)는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전달체결부(8725)는 일단이 전환고정부(8794)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고정부(8794)는 전환연장부(8793)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전달체결부(8725)는 전달접촉부(8726)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어 전환고정부(8794)와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전환연결부(879)는 전환연장부(8793)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전환고정부(8794)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연결돌기(879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달부(872)는 전달접촉부(8726)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연결돌기(8795)가 삽입되는 전달장착후크(872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장착후크(8724)는 연결돌기(8795)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연결돌기(8795)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돌기(8795)는 전환연장부(8793)의 높이방향(Z방향)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전달장착후크(8724)는 전달접촉부(8726)의 높이방향(Z방향)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전달부(872)는 연결돌기(8795) 및 전환고정부(8794)를 통하여 전환연장부(8793)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전달부(872)가 전환연장부(8793)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달부(872)는 전달접촉부(8726)의 중앙에서 전환연장부(8793)를 향하여 돌출되어 전환연장부(8793)에 삽입되는 전달돌출부(8727)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돌출부(8727)는 전환연장부(8793)에 삽입되어 전달부(872)가 전환연결부(879)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달부(872)는 스크롤수용부(8712)를 전달바디(8721)에 고정하는 전달바디고정부재(8723)를 포함할 수 있고, 스크롤수용부(8712)는 전달바디고정부재(8723)가 삽입되는 공급전환고정홈(87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급전환부(871)는 스크롤수용부(8712)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전달바디(8721)에 결합되는 공급전환후크(8717)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870)는 전환연결부(879)와 전달부(872)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실링부재(877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실링부재(8773)는 전환연장부(8793)와 전달접촉부(8726)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와 전달공급유로(8722) 사이의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실링부재(8773)는 전달접촉부(8726) 또는 전환연장부(8793)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연결실링부재(8773)는 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환실링부(877)는 제2밸브회전축(8742)과 제1밸브회전축(8741) 사이에는 밸브구동부(873)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축실링부재(8772)와, 전환스크롤판(8751)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스크롤수용부(8712)와 전달바디(8721) 사이로 물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스크롤실링부재(8771)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스크롤(875)과 제1밸브회전축(8741) 사이에는 전환스크롤(875)을 제1밸브회전축(87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유로전환탄성부재(87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펌프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1를 참조하여 펌프모듈(880)을 설명한다.
펌프모듈(880)은 펌프모터(882)와 회전체(887)를 포함한다. 펌프모듈(880)은 집수커버(8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펌프모터(882)는 회전체(887)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펌프모터(882)는 펌프하우징(881) 내부에 수용된다. 펌프모터(882)는 펌프모터로터(883)와 펌프모터스테이터(884)를 포함한다. 펌프모터로터(883)에는 회전축(885)이 결합된다. 회전축(885)은 펌프모터로터(883)에 결합되어 회전한다. 펌프모터스테이터(884)는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펌프모터로터(883)는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자석을 포함한다. 펌프모터스테이터(884)에 의해 펌프모터로터(883)가 회전할 수 있다. 펌프모터(882)는 이너 로터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펌프모터(882)의 회전축(885)은 펌프하우징(88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회전축(885)이 펌프하우징(881)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에는 펌프실링부재(888)가 제공된다. 펌프실링부재(888)는 펌프하우징(881)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펌프모터(882)를 보호한다.
회전체(887)는 물을 드레인유로(8637)로 배출시킨다. 드레인유로(8637)는 호스(미도시)에 의해 유로전환밸브(870)와 연결된다. 펌프모터(882)가 작동하면 집수바디(862)에 수집된 물이 드레인유로(8637)를 통해 배출된다.
제어부(190)는 펌프모터(882)의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펌프모터(882)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펌프모터(882)의 회전속도와 전류량을 통해 펌프모터(882)가 회전하는 동안의 토크값을 측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 펌프모터(882)의 토크값을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할 때, 응축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 13 및 도 14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위감지센서(8639)가 센싱하는 집수바디(862)에 수용된 응축수의 양이 만수위(滿水位; full water level)인 경우, 제어부(190)는 n회 이상 만수위가 측정되는지 감지한다(S1). n회 이상 만수위가 측정되는지 감지함으로써, 초기 만수위 측정이 오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n회는 5회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가감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집수바디(862)의 수위가 만수위가 판단되면, 저수탱크(120)가 만수 상태인지, 배수계통의 불량인지를 판단한다.
저수탱크(120)가 만수 상태이면, 저수탱크(120)의 물이 집수바디(862)로 리턴되므로, 집수바디(862)에서 저수탱크(120)로 물을 배출하여도, 집수바디(862)의 수위는 지속적으로 만수상태로 관찰된다.
저수탱크(120)가 만수 상태가 아니라도, 배수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여, 집수바디(862)의 배수가 일어나지 않으면 집수바디(862)의 수위는 지속적으로 만수상태로 관찰된다.
수위감지센서(8639)로는 저수탱크(120)가 만수 상태인지, 배수계통에 문제가 생겼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알고리즘을 통해 저수탱크(120)가 만수 상태인지, 배수계통에 문제가 생겼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한다. 제어부(190)는 만수위가 n회 이상 감지되면(S1), 유로전환밸브(870)를 제어하여 제1유로(8791)로 물의 경로를 형성하도록 한다(S2). 실시 예에 있어서, 제1유로(8791)는 제1연결공급유로 내지 제3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유로로 물 배출 경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배수동작(제1배수동작)을 행하며, 펌프모터(882)의 토크값인 제1토크(T1)를 측정한다(S3). 제1토크(T1)의 측정은, 제1시간 동안 배수하며 측정되는 평균 토크로 결정될 수 있다. 제1시간은 100ms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가감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시간 동안 배수하는 동작을 n회 행하고, n회 측정된 평균 토크 중 가장 큰값을 제1토크(T1)로 결정할 수 있다. n회는 10회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가감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2와 도 14를 참조한다. 제1토크(T1)의 측정 이후, 제어부(190)는 유로전환밸브(870)를 제어하여 제2유로로 물의 경로를 형성하도록 한다(S4). 실시 예에 있어서, 제2유로는 배수유로(8792)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2유로로 물 배출 경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배수동작(제2배수동작)을 행하며, 펌프모터(882)의 토크값인 제2토크(T2)를 측정한다(S5). 제2토크(T2)의 측정은, 제2시간 동안 배수하며 측정되는 평균 토크로 결정될 수 있다. 제2시간은 100ms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가감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2시간 동안 배수하는 동작을 n회 행하고, n회 측정된 평균 토크 중 가장 큰값을 제2토크(T2)로 결정할 수 있다. n회는 10회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가감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2토크(T2)가 제1값보다 큰지 연산한다(S6). 제어부(190)는 제2토크(T2)가 제1값보다 작으면, 배수계통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90)는 제2토크(T2)가 제1값보다 작으면, 사용자에게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안내한다. 안내는 표시부(119)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에러는 유로전환밸브(870)의 불량, 배수계통에 린트등의 찌꺼기가 낌, 펌프 불량 등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2토크(T2)가 제1값보다 크면, 제2유로로 물 배출 경로가 형성된 상태의 배수계통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후술하는 연산을 실행한다.
제어부(190)는 제1토크(T1)와 제2토크(T2)의 차가 제2값보다 큰지 판단한다. 다른 말로, 제어부(190)는 제1토크(T1)에서 제2토크(T2)를 뺀 값(T1-T2)이 제2값보다 큰지 판단한다. T1-T2가 제2값보다 작으면, 배수계통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90)는 T1-T2가 제2값보다 작으면, 사용자에게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안내한다.
제어부(190)는 T1-T2가 제1값보다 크면, 제1유로로 물 배출 경로가 형성된 상태의 배수계통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배수계통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저수탱크(120)가 만수인 것을 판단한다. 제어부(190)는 사용자에게 저수탱크(120)를 비우라는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는 표시부(119)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제1유로 이후 제2유로 순으로 펌프모터(882)의 토크를 측정함으로써, 제1토크 측정 이후에도 집수바디(862)의 수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측정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펌프모터(882)의 토크값의 변화는 유로의 구경에 의해 발생한다. 유로가 커지면 배출해야하는 물의 양이 많아지고, 높은 토크가 발생한다. 유로가 작아지면, 배출해야하는 물의 양이 적어지고, 낮은 토크가 발생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1유로는 제2유로보다 구경이 크다. 다시 말해, 제1연결공급유로 내지 제3연결공급유로(8791a, 8791b, 8791c) 중 제1유로로 선택된 유로의 구경은, 배수유로(8792)의 구경보다 작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계통에 별도의 센서를 부가하지 않아도 배수계통(예컨대, 유로전환밸브(870)의 불량, 배수계통에 린트등의 찌꺼기가 낌, 펌프 불량 등)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18)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순환유로부와, 상기 순환유로부와 연통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집수부와, 상기 순환유로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받아 열교환기로 배출하는 세척유로부가 제공되는 베이스;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저수탱크;
    상기 집수부에 수집된 물을 이동시키는 펌프모듈;
    상기 펌프모듈과 연결되는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펌프모듈 및 상기 유로전환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모듈은,
    물을 이동시키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저수탱크 및 상기 세척유로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유로 및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유로가 형성된 전달공급유로; 및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 중 어느 하나로 물을 전달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공급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로로 상기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펌프모듈을 작동하여 물 배출 동작하며, 상기 펌프모터의 토크인 제1토크 측정하고,
    상기 제2유로로 상기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펌프모듈을 작동하여 물 배출 동작하며 상기 펌프모터의 토크인 제2토크 측정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값으로부터 배수계통의 이상이 발생한 것인지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의 구경은 상기 제2유로의 구경보다 큰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토크를 제1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작으면:
    배수계통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크면: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를 제2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작으면:
    배수계통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크면:
    상기 저수탱크가 만수인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토크를 제1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작으면:
    사용자에게 배수계통 이상 알림을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크면: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를 제2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작으면:
    사용자에게 배수계통 이상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크면:
    사용자에게 상기 저수탱크의 만수 알림을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크는 상기 물 배출 동작을 행하는 제1시간 동안의 평균값이고,
    상기 제2토크는 상기 물 배출 동작을 행하는 제2시간 동안의 평균값인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크는, 상기 제1시간 동안의 물 배출 동작을 복수회 행하여 측정된 복수의 평균값 중 최대값이고,
    상기 제2토크는, 상기 제2시간 동안의 물 배출 동작을 복수회 행하여 측정된 복수의 평균값 중 최대값인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토크 측정 후에 상기 제2토크를 측정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세척유로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저수탱크와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순환유로부와, 상기 순환유로부와 연통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집수부와, 상기 순환유로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받아 열교환기로 배출하는 세척유로부가 제공되는 베이스;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저수탱크;
    상기 집수부에 수집된 물을 이동시키는 펌프모듈;
    상기 펌프모듈과 연결되는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펌프모듈 및 상기 유로전환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모듈은,
    물을 이동시키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저수탱크 및 상기 세척유로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유로 및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유로가 형성된 전달공급유로; 및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 중 어느 하나로 물을 전달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공급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유로로 상기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펌프모듈을 작동하여 물 배출 동작하며, 상기 펌프모터의 토크인 제1토크 측정하고,
    상기 제2유로로 상기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펌프모듈을 작동하여 물 배출 동작하며 상기 펌프모터의 토크인 제2토크 측정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값으로부터 배수계통의 이상이 발생한 것인지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토크를 제1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작으면:
    배수계통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크면: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를 제2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작으면:
    배수계통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크면:
    상기 저수탱크가 만수인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토크를 제1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작으면:
    사용자에게 배수계통 이상 알림을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토크가 상기 제1값보다 크면: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를 제2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작으면:
    사용자에게 배수계통 이상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제1토크와 상기 제2토크의 차가 상기 제2값보다 크면:
    사용자에게 상기 저수탱크의 만수 알림을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크는 상기 물 배출 동작을 행하는 제1시간 동안의 평균값이고,
    상기 제2토크는 상기 물 배출 동작을 행하는 제2시간 동안의 평균값인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크는, 상기 제1시간 동안의 물 배출 동작을 복수회 행하여 측정된 복수의 평균값 중 최대값이고,
    상기 제2토크는, 상기 제2시간 동안의 물 배출 동작을 복수회 행하여 측정된 복수의 평균값 중 최대값인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크 측정 후에 상기 제2토크를 측정하는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KR1020220029561A 2022-01-17 2022-03-0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KR202301111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06887 2022-01-17
KR1020220006887 2022-0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118A true KR20230111118A (ko) 2023-07-25

Family

ID=8742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561A KR20230111118A (ko) 2022-01-17 2022-03-0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1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01589A1 (en)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11111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CN114908537B (zh)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KR101752415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CN114908508B (zh) 衣物处理装置
CN114908539B (zh) 衣物处理装置
KR20230076780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14908540B (zh) 衣物处理装置
US20220251766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11111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11119A (ko) 의류처리장치
KR101752414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TWI847096B (zh) 衣物處理裝置
US2022025176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25176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3039979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251768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04554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2465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7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7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1105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AU2022398833A1 (en) Garment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