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536A -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536A
KR20230101536A KR1020210191708A KR20210191708A KR20230101536A KR 20230101536 A KR20230101536 A KR 20230101536A KR 1020210191708 A KR1020210191708 A KR 1020210191708A KR 20210191708 A KR20210191708 A KR 20210191708A KR 20230101536 A KR20230101536 A KR 20230101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
identifier
server
controll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398B1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21019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398B1/ko
Publication of KR20230101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의 동작 방법은 제1 앱을 호출한 제2 앱으로부터, 제2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제2 식별자를 제1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된 제2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앱과 연동된 제2 서버에,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PPLICATIONS}
아래 실시예들은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비롯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이하, 디바이스라 지칭함)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수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보급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한 기능을 위해 서버와 통신을 하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앱 투 앱 통신이 가능해지면서, 미리 설정된 보안 정책에 따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의 사용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MDM(Mobile Device Management) 솔루션과 같은 디바이스 제어에 관한 솔루션의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 제어에 관한 효율 및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아래 실시 예들을 통해, 단일 디바이스에 대하여 서로 다른 식별자를 관리하는 복수의 앱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앱을 호출한 제2 앱으로부터, 상기 제2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식별자를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된 상기 제2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앱과 연동된 제2 서버에,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앱으로부터,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식별자에 매핑된 상기 제2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는 상기 제2 식별자가 지시하는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상기 제2 앱의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앱은 상기 제1 앱의 호출을 위한 앱 스킴(scheme)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앱을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앱은 상기 제어를 위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에 관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앱이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식별자를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2 앱의 동작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을 호출하여,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를 상기 제1 식별자로 교체하는 단계; 상기 교체된 제1 식별자를 상기 제2 앱과 연동된 제2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전송된 상기 제2 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앱의 호출을 위한 앱 스킴(scheme)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앱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에 응답한 상기 제1 앱에 상기 제1 식별자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앱으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앱으로부터 상기 호출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앱을 호출하는 단계를 일정 주기로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앱으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식별자를 요청하는 단계를 일정 주기로 반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는 상기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상기 제2 앱의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백그라운드에서 상기 제2 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실행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앱에 관하여 미리 정해진 호출 조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앱을 호출하여, 상기 제1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서버와 연동된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버가 상기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로 판단된 상기 제2 서버에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식별자가 공유된 서버로 판단된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제2 앱이 상기 제1 앱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1 식별자를, 상기 제2 앱이 설치된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는 상기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상기 제2 앱의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앱 및 제3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서버는 상기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는 상기 제1 앱을 호출한 제2 앱으로부터, 상기 제2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식별자를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된 상기 제2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앱과 연동된 제2 서버에,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제1 앱이 설치된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해당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앱에 대응하는 상기 해당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앱으로부터,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식별자에 매핑된 상기 제2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는 상기 제2 식별자가 지시하는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상기 제2 앱의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는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서버와 연동된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서버가 상기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로 판단된 상기 제2 서버에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서버가 상기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상기 제2 앱이 상기 제1 앱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1 식별자를, 상기 제2 앱이 설치된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앱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매핑 테이블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앱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2 앱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앱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시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앱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이 설치된 디바이스(130),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복수의 앱은 제1 앱(131) 및 제2 앱(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버(110)는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1 앱(131)과 연동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서버(110)는 디바이스(130)에 제1 앱(131)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앱(131)이 설치된 디바이스(130)는 제1 앱(131)의 제어에 따라 제1 서버(11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서버(120)는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2 앱(132)과 연동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서버(120)는 디바이스(130)에 제2 앱(132)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앱(132)이 설치된 디바이스(130)는 제2 앱(132)의 제어에 따라 제2 서버(12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앱(131)에는 제1 앱(131)의 호출을 위한 앱 스킴(scheme)이 정의될 수 있으며, 정의된 앱 스킴은 공개될 수 있다. 앱 스킴은 외부에서 해당 앱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로, 예를 들어 URL 스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앱(132)은 제1 앱(131)의 호출을 위한 앱 스킴에 기초하여 제1 앱(131)을 호출할 수 있다. 제2 앱(132)은 제1 앱(131)을 호출함으로써, 제1 앱(131)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앱(131)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앱(131) 및 제2 앱(132)은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앱(132)은 제1 앱(131)에 관하여 미리 정해진 호출 조건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앱(131)을 호출(101)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 조건은 미리 정해진 시점이 도달한 경우 혹은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만족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앱(132)은 호출 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점에 제1 앱(131)을 호출할 수 있다. 또 일 예로, 제2 앱(132)은 호출 조건에 따라 제2 앱(132)이 디바이스(130)에 설치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및/또는 제2 앱(132)에 로그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앱(131)을 호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앱(132)에 의하여 호출된 제1 앱(131)은 제2 앱(132)에 호출에 대한 응답을 전송(102)할 수 있다. 제2 앱(132)은 제1 앱(131)으로부터 호출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미리 정해진 주기로 제1 앱(131)을 호출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앱(131)이 디바이스(130)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제1 앱(131)의 호출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을 수 있고, 제1 앱(131)이 설치는 되었으나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제1 앱(131)의 호출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앱(132)은 제1 앱(131)의 호출(101) 시, 호출하려는 제1 앱(131)이 디바이스(130)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앱(131)이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2 앱(132)에서 제1 앱(131)을 호출할 수 있다. 제1 앱(131)이 디바이스(130)에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1 앱(131)의 설치를 위한 페이지에 연결되는 동작과 같이 제1 앱(131)의 설치를 요청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앱(131)으로부터 호출에 대한 응답이 수신(102)되어, 제1 앱(131)이 정상적으로 호출된 경우, 제2 앱(132)은 제1 앱(131)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앱(131)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2 앱(132)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의 식별자(이하, 제2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앱은 해당 디바이스(130)를 식별하기 위한 디바이스(130)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앱에 포함된 디바이스(130)의 식별자는 해당 앱에서 관리 및/또는 저장되는 디바이스(130)에 고유한 식별자로, 앱이 설치된 디바이스(130)가 서로 다른 경우 해당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의 식별자는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앱에 대응하는 제1 디바이스의 식별자는 ‘1122’이고, 동일한 특정 앱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의 식별자는 ‘1134’로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의 식별자는 해당 앱이 설치된 후부터 해당 앱이 삭제되거나 해당 앱의 앱 데이터가 삭제되기 전까지 유지되는 단일 앱 범위의 식별자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동일한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서로 다른 복수의 앱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의 식별자들은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30)에 제1 앱(131) 및 제2 앱(132)이 설치된 경우, 제1 앱(131)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의 식별자는 ‘1122’이고, 제2 앱(132)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의 식별자는 ‘9837’로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의 식별자는 앱 그룹의 범위의 식별자에 해당할 수 있다. 앱 그룹은 서명 키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앱의 집합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명 키가 서로 동일한 서로 다른 복수의 앱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의 식별자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서명 키가 서로 다른 복수의 앱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의 식별자들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은 제1 앱(131)의 호출(101) 이후에 제2 앱(132)에서 제1 앱(131)으로 데이터(예를 들어, 제2 식별자)가 전송(103)되는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앱(132)에서 제1 앱(131)으로의 데이터의 전송(103)은 제1 앱(131)의 호출(101)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앱(132)은 제1 앱(131)을 호출함(101)과 동시에 제1 앱(131)에 제2 식별자를 전송(103)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110)는 제1 앱(131)을 호출한 제2 앱(132)으로부터, 제2 앱(132)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의 제2 식별자를 획득(104)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앱(132)은 호출된 제1 앱(131)에 제2 식별자를 전송(103)할 수 있으며, 제2 앱(132)은 수신한 제2 식별자를 제2 서버(120)에 전송(104)할 수 있다. 또 일 예로, 제2 앱(132)은 제1 앱(131)으로부터 제1 서버(110)에 접근하기 위한 주소를 수신하여, 제1 서버(110)로 제2 식별자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식별자를 수신한 제1 서버(110)는 제1 앱(131)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의 식별자(이하,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매핑하여 저장(105)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앱(131)은 서로 다른 복수의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서버(110)는 제1 앱(131)이 설치된 디바이스를 구분하기 위하여, 제1 앱(131)이 설치된 복수의 디바이스들 각각의 제1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서버(110)는 저장된 복수의 디바이스들 각각의 제1 식별자 중 디바이스(130)의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디바이스(130)에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1 앱(131)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일 예로, 제1 서버(110)는 저장된 복수의 디바이스들 각각의 제1 식별자 중 디바이스(130)의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디바이스(1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1 앱(131)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110)는 디바이스(130)의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1 앱(131)으로부터 제2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서버(110)는 수신된 제2 식별자를 디바이스(130)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105)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서버(110)는 디바이스 별로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의 매핑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매핑 테이블)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일 예로, 제1 서버(110)는 디바이스 별로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의 매핑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별로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체적인 예시는 이하의 도 2를 통해 상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110)는 수신된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앱(132)이 제1 앱(131)의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앱(131)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에 관한 조건에 기초하여, 제2 앱(132)이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앱(131)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에 관한 조건은 제1 앱(131)이 제어할 수 있는 앱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제1 앱(131)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으로, 예를 들어 제1 앱(131)이 제어 가능한 것으로 미리 정해진 앱의 목록에 제2 앱(132)이 포함되는 경우 만족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앱(132)이 제어 대상에 관한 조건에 따라 제어 대상으로 판단된 경우, 제2 앱(132)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의 제2 식별자는 제1 식별자에 매핑되어 저장(105)될 수 있다. 한편, 제2 앱(132)이 제어 대상에 관한 조건에 따라 제어 대상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제2 식별자는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110)는 제1 식별자와 매핑된 제2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서버(120)에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2 앱(132)의 제어를 위한 신호(이하, 제어 신호)를 전송(107)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서버(110)는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1 앱(131)으로부터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2 앱(132)의 제어 요청을 수신(106)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제어 요청에 기초하여 제2 앱(132)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2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앱(131)으로부터 제2 앱(132)의 제어 요청을 수신한 제1 서버(110)는 제1 앱(131)이 설치된 디바이스(130)의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식별자에 매핑된 디바이스(130)의 제2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110)는 디바이스 별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매핑 테이블에서 제2 앱(132)의 제어를 요청한 디바이스(130)의 제1 식별자를 쿼리로, 해당 디바이스(130)의 제2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다. 제2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서버(110)는 제2 서버(120)에 해당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2 앱(132)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107)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앱(132)은 서로 다른 복수의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서버(120)는 제1 앱(132)이 설치된 디바이스를 구분하기 위하여, 제2 앱(132)이 설치된 복수의 디바이스들 각각의 제2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서버(120)는 저장된 복수의 디바이스들 각각의 제2 식별자 중 디바이스(130)의 제2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식별자가 지시하는 디바이스(120)에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디바이스(120)에 설치된 제2 앱(132)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일 예로, 제2 서버(120)는 저장된 복수의 디바이스들 각각의 제2 식별자 중 디바이스(120)의 제2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식별자가 지시하는 디바이스(1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2 앱(132)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서버(120)는 제1 서버(110)로부터 제2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앱(132)의 제어 신호를 수신(107)할 수 있다. 제2 서버(120)는 수신된 제2 앱(132)의 제어 신호를 제2 식별자가 지시하는 디바이스(130)에 전송되도록,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2 앱(132)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앱(132)의 제어를 위한 신호는 제2 식별자가 지시하는 디바이스(130)에 전송되는 제2 앱(132)의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서버(120)는 제1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제2 앱(132)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앱(132)의 제어를 위한 신호는 제2 앱(132)을 디바이스(130)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앱(132)은 제2 앱(132)의 제어를 위한 신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30)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매핑 테이블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서버(예를 들어, 도 1의 제1 서버(110))는 매핑 테이블(200)에 디바이스 별로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의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핑 테이블(200)은 제1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1 서버가 접근 가능한 저장소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매핑 테이블(200)의 각 행(210, 220, 230)은 제1 앱(예를 들어, 도 1의 제1 앱(131))이 설치된 각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1의 디바이스(130))에 대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서버는 제1 앱이 설치된 디바이스들 각각의 제1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2 앱(예를 들어, 도 1의 제2 앱(132))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 제2 식별자가 수신된 해당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수신된 제2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핑 테이블(200)의 제1행(210)은 제1 앱에 대응하는 제1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 '1123' 및 제2 앱에 대응하는 제1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 '3143'의 매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행(220)은 제1 앱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 '1124' 및 제2 앱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 '3142'의 매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3 행(230)을 참조하면, 제1 서버에 제2 앱에 대응하는 제3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제3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는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앱을 호출하여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앱은 복수 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앱은 공개된 제1 앱의 호출을 위한 앱 스킴에 기초하여, 제1 앱을 호출할 수 있으며, 제1 앱에 제3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제3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버는 제2 앱에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 뿐 아니라, 제3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제3 식별자를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핑 테이블(200)의 제1행(210)은 제1 앱에 대응하는 제1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 '1123', 제2 앱에 대응하는 제1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 '3143' 및 제3 앱에 대응하는 제1 디바이스의 제3 식별자 '9655'의 매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행(230)은 제1 앱에 대응하는 제3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 '1140' 및 제3 앱에 대응하는 제3 디바이스의 제3 식별자 '9456'의 매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앱 및 제3 앱 뿐 아니라, 제1 앱을 호출하여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앱은 더 존재할 수 있으며, 해당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식별자가 제1 서버에 전송된 경우, 제1 서버는 해당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에 매핑하여 해당 앱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제1 서버의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제1 서버(110)의 동작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의 동작 방법은 제1 앱을 호출한 제2 앱으로부터, 제2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310), 제2 식별자를 제1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320) 및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된 제2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앱과 연동된 제2 서버에,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310)에서 제2 앱은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앱은 제1 앱의 호출을 위한 앱 스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앱을 호출할 수 있다. 제2 앱은 제1 앱을 호출하여, 제1 앱에 제2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버는 제1 앱으로부터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2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320)는 제1 앱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에 관한 조건에 기초하여, 제2 앱이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식별자를 제1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330)에서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는 제2 식별자가 지시하는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제2 앱의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330)는 제1 앱으로부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에 매핑된 제2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버는 획득된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앱과 연동된 제2 서버에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앱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의 앱이 설치된 디바이스(130),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복수의 앱은 제1 앱(131) 및 제2 앱(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디바이스(130)는 도 1의 디바이스(130), 제1 서버(110)는 도 1의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는 도 1의 제2 서버(120)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2 앱(132)은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1 앱을 호출(401)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앱(132)의 제1 앱을 호출하는 동작(401)은 제1 앱(131)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의 제1 식별자를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앱(131)은 제2 앱(132)에 호출에 대한 응답을 전송(402)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앱(132)의 제1 앱을 호출하는 동작(401)은 제1 앱(131)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의 제1 식별자를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앱(131)의 호출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동작(402)은 요청된 디바이스(130)의 제1 식별자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호출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앱을 호출하는 동작(401)은 일정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앱(132)의 제1 식별자를 요청하는 동작은 제1 앱(131)을 호출하고, 제1 앱(131)으로부터 호출에 대한 응답이 수신(402)된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제1 앱(131)으로부터 제1 식별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제1 식별자를 요청하는 동작은 일정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앱(131)으로부터 제1 식별자를 수신한 제2 앱(132)은 제2 앱(132)에 포함된 디바이스(130)의 제2 식별자를 제1 식별자로 교체(403)할 수 있다. 제1 식별자로의 교체에 의해 제2 앱(132)에 포함된 디바이스(130)의 식별자는 제2 식별자가 아닌 제1 식별자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앱(132)은 제1 식별자를 제2 서버(120)와 공유(404)할 수 있으며, 제2 서버(120)는 해당 디바이스(130)에 대응하여 제1 식별자를 해당 디바이스(130)의 식별자로 관리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110)는 제2 앱(132)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획득(405)할 수 있다. 제2 앱(132)의 제어를 위한 신호는 제1 앱(131), 외부 앱 혹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제2 앱(132)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디바이스(130)에 전송하는 외부 앱 혹은 외부 서버는 디바이스(130)의 제1 식별자가 공유된 앱 혹은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3 앱과 연동된 서버로, 제3 앱은 제1 앱(131)을 호출하여 제1 앱(131)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30)의 제1 식별자를 수신하여 제3 서버에 공유할 수 있다. 제3 서버는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서버(110)에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2 앱(132)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110)는 디바이스(130)의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서버(120)에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2 앱(132)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406)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110)는 제2 앱(132)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2 앱(132)이 제1 앱(131)의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앱(131)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에 관한 조건에 기초하여, 제2 앱(132)이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대상에 관한 조건은 제1 앱(131)이 제어할 수 있는 앱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제1 앱(131)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으로, 예를 들어 제1 앱(131)이 제어 가능한 것으로 미리 정해진 앱의 목록에 제2 앱(132)이 포함되는 경우 만족되는 조건, 제2 서버(120)가 제1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만족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앱(132)이 제어 대상에 관한 조건에 따라 제어 대상으로 판단된 경우, 제2 서버(120)에 상기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상기 제2 앱(132)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2 앱(132)이 제어 대상에 관한 조건에 따라 제어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앱(132)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한 대상 혹은 제2 앱(132)의 제어를 요청한 대상에 제2 앱(132)을 제어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2 앱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제2 앱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제2앱(132)의 동작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2 앱의 동작 방법은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을 호출하여, 제1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510), 제2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를 제1 식별자로 교체하는 단계(520), 교체된 제1 식별자를 제2 앱과 연동된 제2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530) 및 제1 서버로부터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전송된 제2 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510)는 제1 앱의 호출을 위한 앱 스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앱을 호출하는 단계, 호출에 응답한 제1 앱에 제1 식별자를 요청하는 단계 및 제1 식별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앱으로부터 제1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앱은 제1 앱을 호출함과 동시에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를 요청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앱으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은 요청된 제1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510)는 제1 앱으로부터 제1 앱의 호출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2 앱은 제1 앱을 호출하는 단계를 일정 주기로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앱이 디바이스에 설치되지 않았거나, 제1 앱의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에 제1 앱으로부터 제1 앱의 호출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앱은 제1 앱의 호출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어 제1 앱의 호출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때까지 일정한 주기로 제1 앱을 호출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510)는 제1 앱으로부터 제1 식별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식별자를 요청하는 단계를 일정 주기로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앱이 디바이스에 설치되지 않았거나, 제1 앱의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거나, 제1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에 제1 앱으로부터 제1 앱의 호출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앱은 제1 앱으로부터 제1 식별자가 정상적으로 수신될 때까지 일정한 주기로 제1 식별자를 요청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510)는 제1 앱에 관하여 미리 정해진 호출 조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앱을 호출하여, 제1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호출 조건은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시점이 도달한 경우 혹은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만족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520)는 제2 앱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제2 식별자에서 제1 식별자로 교체하는 단계로, 교체에 의해 제2 앱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식별자는 제2 식별자가 아닌 제1 식별자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530)는 단계(520)에서 교체된 제2 식별자를 제2 앱과 연동된 제2 서버에 공유하는 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서버는 해당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제1 식별자를 해당 디바이스의 식별자로 관리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서버는 제1 식별자로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으며,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디바이스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도록 해당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2 앱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540)에서, 제2 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는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제2 앱의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540)는 제2 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포함된 실행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앱은 디바이스의 백그라운드에서 제2 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포함된 실행 명령이 실행되도록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제1 서버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제1 서버(110)의 동작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의 동작 방법은 제1 앱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서버와 연동된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610), 제2 서버가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20) 및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로 판단된 제2 서버에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610)는 제1 앱 및 제3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서버는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는 제3 앱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으며, 제3 앱은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앱 혹은 서버는 디바이스의 식별자로 제1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는 앱 혹은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는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제2 앱의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 혹은 앱은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디바이스에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서버에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620)에서 제2 서버 혹은 제2 앱에 제1 앱으로부터 획득한 제1 식별자가, 제2 앱이 설치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저장된 경우, 제2 서버는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로 판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서버는 제1 앱에 제1 식별자를 요청한 앱 혹은 서버의 목록 혹은 제1 식별자의 요청이 허용된 앱 혹은 서버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서버는 제2 서버 혹은 제2 서버와 연동된 제2 앱이 저장된 목록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2 서버가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630)는 단계(620)에서 제2 서버가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로 판단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는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2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서버가 제2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서버는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제2 서버에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6을 통하여 전술한 제1 앱은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 앱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앱은 관리 서비스 앱에 의해 제어되는 백신 서비스 앱에 해당할 수 있다. 관리 서비스 앱인 제1 앱과 연동된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서버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전술한 방법을 통해 백신 서비스 앱인 제2 앱과 연동된 백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서버에 백신 서비스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디바이스에서 백신 서비스 앱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6을 통하여 전술한 제1 앱은 보안 키보드를 이용하는 앱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앱은 보안 키보드를 이용하는 앱에 의해 제어되는 보안 키보드를 실행하는 앱에 해당할 수 있다. 보안 키보드를 이용하는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전술한 방법을 통해 보안 키보드를 실행하는 제2 앱과 연동된 제2 서버에 보안 키보드를 실행하는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디바이스에서 제2 앱의 보안 키보드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6을 통하여 전술한 제1 앱은 디지털 가계부 앱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앱은 가계부 앱에 의해 제어되는 모바일 뱅킹 앱에 해당할 수 있다. 디지털 가계부 앱인 제1 앱과 연동된 디지털 가계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서버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전술한 방법을 통해 모바일 뱅킹 앱인 제2 앱과 연동된 제2 서버에 모바일 뱅킹 앱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여 계좌의 잔액 정보를 제1 앱에 전송하도록 제2 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앱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및/또는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네트워크(730)를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130)(예를 들어, 도 1의 디바이스(130) 또는 도 4의 디바이스(130)), 제1 서버(110)(예를 들어, 도 1의 제1 서버(110) 또는 도 4의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예를 들어, 도 1의 제2 서버(120) 또는 도 4의 제2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30)는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일 예로, 디바이스(13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730)를 통해 제1 서버(110), 제2 서버(120) 및/또는 다른 전자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는 디바이스(130) 및/또는 다른 서버와 네트워크(73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73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예: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73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버(110) 및/또는 제2 서버(120)는 네트워크(730)를 통해 접속한 디바이스(13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30)는 제1 서버(11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제1 앱을 설치할 수 있으며, 제2 서버(12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제2 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3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예: 브라우저 또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제1 서버(110) 및/또는 제2 서버(120)에 접속하여 제1 서버(110) 및/또는 제2 서버(12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30)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73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제1 서버(110)로 전송하면, 제1 서버(11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디바이스(130)로 전송할 수 있고, 디바이스(13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30) 및 제1 서버(110)는 메모리(711, 721), 프로세서(713, 723), 통신 모듈(715, 725)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717, 72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713, 723)는 도 1 내지 도 6를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13)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하여 전술한 디바이스(130)에 설치된 제2 앱(예를 들어, 도 1의 제2 앱(132) 또는 도 4의 제2 앱(132))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프로세서(723)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하여 전술한 제1 서버(110)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713, 723)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711, 721) 또는 통신 모듈(715, 725)에 의해 프로세서(713, 723)로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711, 7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711, 721)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하여 전술한 복수의 앱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메모리(721)는 전술한 제1 앱을 설치한 디바이스 별 제1 식별자, 혹은 제1 앱을 설치한 디바이스 별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의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711)는 제1 서버(110)에서 네트워크(73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디바이스(13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제1 앱을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서버(120)에서 네트워크(73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디바이스(13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제2 앱을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721)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하여 전술한 제1 서버에서 수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동작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모듈(715, 725)은 네트워크(730)를 통해 디바이스(130), 제1 서버(110) 및 제2 서버(12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디바이스(130)의 프로세서(713)가 메모리(7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제1 앱에 관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715)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730)를 통해 제1 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 또 일 예로, 디바이스(130)의 프로세서(713)가 메모리(7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제2 앱에 관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715)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730)를 통해 제2 서버(120)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서버(110)의 프로세서(723)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725)과 네트워크(730)를 거쳐 디바이스(130)의 통신 모듈(715)을 통해 디바이스(130)로 수신될 수 있으며, 혹은 제2 서버(120)로 수신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717, 727)는 입출력 장치(719)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717)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디바이스(130)의 프로세서(713)는 메모리(7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제1 서버(110) 혹은 제2 서버(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717)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출력 장치(719)를 통한 입력은 입출력 인터페이스(717)를 통해 디바이스(130)의 프로세서(713)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30) 및 제1 서버(110)는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3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719)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앱을 호출한 제2 앱으로부터, 상기 제2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식별자를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된 상기 제2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앱과 연동된 제2 서버에,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 서버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앱으로부터,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식별자에 매핑된 상기 제2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는
    상기 제2 식별자가 지시하는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상기 제2 앱의 실행 명령을 포함하는,
    제1 서버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앱은
    상기 제1 앱의 호출을 위한 앱 스킴(scheme)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앱을 호출하는,
    제1 서버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앱은
    상기 제어를 위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1 서버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에 관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앱이 제어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식별자를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 서버의 동작 방법.
  6.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2 앱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을 호출하여,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를 상기 제1 식별자로 교체하는 단계;
    상기 교체된 제1 식별자를 상기 제2 앱과 연동된 제2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전송된 상기 제2 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2 앱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앱의 호출을 위한 앱 스킴(scheme)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앱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에 응답한 상기 제1 앱에 상기 제1 식별자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앱으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2 앱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앱으로부터 상기 호출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앱을 호출하는 단계를 일정 주기로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앱으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식별자를 요청하는 단계를 일정 주기로 반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제2 앱의 동작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는
    상기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상기 제2 앱의 실행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백그라운드에서 상기 제2 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실행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2 앱의 동작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앱에 관하여 미리 정해진 호출 조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앱을 호출하여, 상기 제1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2 앱의 동작 방법.
  11.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서버와 연동된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버가 상기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로 판단된 상기 제2 서버에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 서버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가 공유된 서버로 판단된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제2 앱이 상기 제1 앱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1 식별자를, 상기 제2 앱이 설치된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저장하는,
    제1 서버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는
    상기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상기 제2 앱의 실행 명령을 포함하는,
    제1 서버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앱 및 제3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서버는 상기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제1 서버의 동작 방법.
  15.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식별자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1 앱을 호출한 제2 앱으로부터, 상기 제2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식별자를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된 상기 제2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앱과 연동된 제2 서버에,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제1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앱이 설치된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해당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앱에 대응하는 상기 해당 디바이스의 제2 식별자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제1 서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앱으로부터,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식별자에 매핑된 상기 제2 식별자를 획득하며,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는
    상기 제2 식별자가 지시하는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상기 제2 앱의 실행 명령을 포함하는, 제1 서버.
  19.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1 앱과 연동된 제1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1 앱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서버와 연동된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서버가 상기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로 판단된 상기 제2 서버에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상기 제2 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제1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서버가 상기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상기 제2 앱이 상기 제1 앱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1 식별자를, 상기 제2 앱이 설치된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제1 식별자를 공유하는 서버로 판단하는, 제1 서버.

KR1020210191708A 2021-12-29 2021-12-29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82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708A KR102582398B1 (ko) 2021-12-29 2021-12-29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708A KR102582398B1 (ko) 2021-12-29 2021-12-29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536A true KR20230101536A (ko) 2023-07-06
KR102582398B1 KR102582398B1 (ko) 2023-09-25

Family

ID=8718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708A KR102582398B1 (ko) 2021-12-29 2021-12-29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3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403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펀앤뉴 모바일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403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펀앤뉴 모바일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398B1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6911B2 (en) Gateway enrollment for Internet of Things device management
US11509537B2 (en) Internet of things device discovery and deployment
EP2989543B1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client
US9603011B1 (en) Selective regulation of information transmission from mobile applications to third-party privacy compliant target systems
KR20210027400A (ko) 구성 시나리오 준수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준수 설정 구현
KR20130142961A (ko) 자동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CN104050201A (zh) 用于多租户分布式环境中的数据管理的方法和设备
JP2021502735A (ja) ゲートウェイ管理コンソールにアクセス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502732A (ja) ゲートウェイ管理コンソール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処理方法、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1924210B2 (en) Protected resource authorization using autogenerated aliases
JP2021502624A (ja) ゲートウェイ管理コンソール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処理方法、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9922181B2 (en) Security model for network information service
US9271146B2 (en) Mobile privacy information proxy
US11165783B1 (en) Quantifying permissiveness of access control policies using model counting techniques and automated policy downscaling
CN109391658B (zh) 一种账号数据同步方法及其设备、存储介质、终端
CN111937013B (zh) 电子设备管理
US202300746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forgery of mobile application by using user identifier and signature collection
US10482397B2 (en) Managing identifiers
KR102582398B1 (ko)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1601476B2 (en) Gateway action framework
CN111447080B (zh) 私有网络去中心化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80069859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95562B1 (ko)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563639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159078B2 (en) Managing identif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