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125A - 볏짚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볏짚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125A
KR20230101125A KR1020210190956A KR20210190956A KR20230101125A KR 20230101125 A KR20230101125 A KR 20230101125A KR 1020210190956 A KR1020210190956 A KR 1020210190956A KR 20210190956 A KR20210190956 A KR 20210190956A KR 20230101125 A KR20230101125 A KR 20230101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traw
frame
circular
inclined surface
gr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용
박우경
고희순
Original Assignee
박우용
박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용, 박우경 filed Critical 박우용
Priority to KR102021019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125A/ko
Publication of KR20230101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볏짚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사의 펜스 전방에 설치되어 원형 볏짚을 수용하고 지지하되, 원형 볏짚의 압축 상태가 불규칙하여 그 형태가 무너지지 않아도 공급 프레임이 회동되어 소가 원형 볏짚이 무너지는 위치까지 취식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사육사가 무너지지 않는 원형 볏짚을 일일이 무너트리지 않아도 되어 볏짚이 소진될 때까지 볏짚의 공급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볏짚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볏짚 공급 장치{Rice-roofed feeder}
본 발명은, 볏짚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사의 펜스 전방에 설치되어 원형 볏짚을 수용하고 지지하되, 원형 볏짚의 압축 상태가 불규칙하여 그 형태가 무너지지 않아도 공급 프레임이 회동되어 소가 원형 볏짚이 무너지는 위치까지 취식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원형 볏짚의 파괴를 촉진하고, 사육사가 무너지지 않는 원형 볏짚을 일일이 무너트리지 않아도 되어 볏짚이 소진될 때까지 볏짚의 공급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볏짚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소의 사료용으로 볏짚 또는 목초 등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수확이 끝난 볏짚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거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추수가 끝난 논을 보면, 볏짚이 원통형으로 처리되어 있는 곤포 사일리지를 흔히 볼 수 있다.
곤포 사일리지는 볏짚을 말아 발효 첨가제를 넣은 뒤 곤포라고 불리는 하얀 비닐로 싸서 시간을 두고 숙성시킨 사료를 말하는 것으로, 영양 많고 비교적 저렴하여 일반 사료 값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축산 농가에서는 널리 활용되고 있다.
곤포 사일리지를 생산하는 방법은 주로 논에서 이용하는 농용 트랙터의 후방에 원형 베일러를 설치한 후 농용 트랙터를 주행하면 논바닥에 흩어져 있는 볏짚을 원형 베일러가 수거하면서 압축, 결속시킨다. 그런 다음, 별도의 장비로 볏짚에 발효 첨가제를 넣고 곤포를 씌워서 곤포 사일리지를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곤포 사일리지는 직경과 폭이 각각 1m를 넘고 무게도 500kg을 초과하여 인력으로 운반하기 매우 곤란하며, 축사농가에서는 이를 구입하여 수작업도구를 사용하여 곤포를 벗긴 후 사일리지 사료를 여물통에 펼쳐서 일일이 분산 공급함으로써, 상당한 노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가 사일리지 사료를 먹을 때 여물통 밖으로 버려져 낭비되는 양이 많았을 뿐만 아니라 사육사가 매일 사일리지 사료를 갖다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8342호 볏짚 자동 급이 장치, 등록특허 제10-0972457호 및 제10-0994487호 사일리지 사료 자동 공급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볏짚 자동 급이 장치 및 사일리지 사료 자동 공급장치는 볏짚이 기준치 이상으로 무거울 경우 볏짚의 공급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고, 축사팬스의 먹이구와 공급되는 볏짚의 거리가 적절해야 가축이 볏짚을 편하게 취식할 수 있으나 종래에는 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KR 10-0778342 (등록번호) 2007.11.15. KR 10-0972457 (등록번호) 2010.07.20. KR 10-0994487 (등록번호) 2010.11.09.
본 발명은, 축사의 펜스 전방에 설치되어 원형 볏짚을 수용하고 지지하되, 원형 볏짚의 압축 상태가 불규칙하여 그 형태가 무너지지 않아도 공급 프레임이 회동되어 소가 원형 볏짚이 무너지는 위치까지 취식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사육사가 무너지지 않는 원형 볏짚을 일일이 무너트리지 않아도 되어 볏짚이 소진될 때까지 볏짚의 공급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볏짚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형 볏짚이 전면 프레임에 형성된 접촉부에 일정 각도를 유지하며 접촉되고 경사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원형 볏짚의 측면 방향으로 작용되는 하중을 개방부 방향으로 유도하여 원형 볏짚이 자연스럽게 슬립하여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볏짚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와 송아지가 전면 프레임의 개방부를 통해 공급 프레임과 바닥 프레임의 바닥면에 배치된 볏짚을 안정적으로 편안하게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부 하부에서 바닥면 상부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볏짚이 걸림부에 걸리도록 하여 소나 송아지가 축사 안으로 볏짚을 끌고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 볏짚이 축사 바닥에 떨어져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볏짚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형 볏짚이 어느 한 측면 프레임에 치우치게 공급되더라도 소가 원형 볏짚의 볏짚을 뽑아 먹기 용이한 볏짚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축사 펜스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고, 소의 머리가 진입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부를 포함하는 전면 프레임;
상기 개방부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접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서, 상기 경사면의 일측에 원형 볏짚이 접하여 지지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폐쇄부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단바와, 상기 상단바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상기 경사면에 지지되는 하단바와, 상기 상단바와 상기 하단바 사이를 잇는 복수의 창살을 포함하여서, 상기 창살 사이로 볏짚이 통과되는 공급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공급 프레임의 상기 하단바는 상기 창살에 축사 방향으로부터 가압력의 작용시에 전면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경사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하단바가 상부로 상승할 때에 상기 상단바는 동일 높이에서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창살은 하나 이상의 하향 절곡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면 프레임은, 상기 폐쇄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되 상부로 갈수록 돌출폭이 넓어지는 접촉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접촉부의 전방 단부가 원형 볏짚의 일 외주연과 접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면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을 잇는 형태로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며 그 사이로 원형 볏짚이 수용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간의 거리는 원형 볏짚의 양단 길이보다 제 1 설정 길이만큼 더 넓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급 프레임의 양 측단 창살로부터 인접한 내측 창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 설정 길이보다 더 넓은 제 2 설정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급 프레임의 중앙부에 위치된 창살 사이의 간격은 중앙부와 양측단 사이에 위치된 창살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볏짚 공급 장치는 축사의 펜스 전방에 설치되어 원형 볏짚을 수용하고 지지하되, 원형 볏짚의 압축 상태가 불규칙하여 그 형태가 무너지지 않아도 공급 프레임이 회동되어 소가 원형 볏짚이 무너지는 위치까지 취식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원형 볏짚의 파괴를 촉진하고, 사육사가 무너지지 않는 원형 볏짚을 일일이 무너트리지 않아도 되어 볏짚이 소진될 때까지 볏짚의 공급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볏짚 공급 장치는 원형 볏짚이 전면 프레임에 형성된 접촉부에 일정 각도를 유지하며 접촉되고 경사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원형 볏짚의 측면 방향으로 작용되는 하중을 개방부 방향으로 유도하여 원형 볏짚이 자연스럽게 슬립하여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볏짚 공급 장치는 소와 송아지가 전면 프레임의 개방부를 통해 공급 프레임과 바닥 프레임의 바닥면에 배치된 볏짚을 안정적으로 편안하게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부 하부에서 바닥면 상부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볏짚이 걸림부에 걸리도록 하여 소나 송아지가 축사 안으로 볏짚을 끌고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 볏짚이 축사 바닥에 떨어져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볏짚 공급 장치는 원형 볏짚이 어느 한 측면 프레임에 치우치게 공급되더라도 소가 원형 볏짚의 볏짚을 뽑아 먹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볏짚 공급 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볏짚 공급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볏짚 공급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볏짚 공급 장치의 공급 프레임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볏짚 공급 장치의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볏짚 공급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7 은 도 6 의 1단계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 은 도 6 의 2단계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9 는 도 6 의 3단계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 펜스(11)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고 소의 머리가 진입 가능하게 개방된 개방부(110)와, 개방부(110)의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부(120)를 포함하는 전면 프레임(100), 개방부(1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바닥면(210)과, 바닥면(210)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면(220)과, 경사면(22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여 지면에 접하는 받침부(230)를 포함하여서, 경사면(220)의 일측에 원형 볏짚(1)이 접하여 지지되는 바닥 프레임(200), 폐쇄부(120)의 하단부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경사면(220)의 상면에 하단이 지지되되, 상단과 하단 사이를 잇는 복수의 창살(310)이 형성되어, 창살(310) 사이로 볏짚이 통과되는 공급 프레임(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전면 프레임(100)의 양측 전방에 설치되어 원형 볏짚(1)이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 프레임(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 프레임(100)은, 축사의 먹이 투입벽(10) 및 먹이 투입벽(10) 상단의 축사 펜스(11) 전방에 설치되어서 원형 볏짚(1)을 소가 빼먹을 때 원형 볏짚(1)의 중앙 하방을 먹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전면 프레임(100)은, 소의 머리가 진입 가능하게 개방된 개방부(110)와, 개방부(110)의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 프레임(100)은 폭이 150cm, 높이가 210cm 정도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는 다리(140)가 구성된다. 그리고, 다리(140) 사이부터 상방으로는 개방된 공간으로 이루어져 소의 머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부(110)가 형성되고, 개방부(110)의 상부에는 소의 머리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폐쇄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개방부(110)의 최대 높이, 즉, 폐쇄부(120)의 하단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약 145c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소가 머리를 들어 너무 높은 곳에서 원형 볏짚(1)의 볏짚을 뽑아먹게 되면 뽑아진 볏짚이 축사 안으로 낙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축사 내부는 소들이 이동하며 밟거나 변과 접촉될 수 있고, 축사 내부로 낙하된 볏짚을 소들이 먹으면 소의 위생이 나빠질 위험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축사 내부로 낙하되는 볏짚의 양이 최소화되도록 개방부(110)의 상방에 폐쇄부(120)를 마련하여 소가 설정 높이 이상의 볏짚을 뽑아먹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개방부(110)는 그 상하 폭이 100c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소의 머리가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는 높이로 이루어진다.
한편, 폐쇄부(120)에는 원형 볏짚(1)의 하중이 개방부(110)를 향하여 더욱 강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폐쇄부(12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접촉부(130)가 형성된다. 접촉부(130)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돌출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서 원형 볏짚(1)이 바닥 프레임(200)의 경사면(220)에 의해 후방, 즉, 축사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힘을 받을 때 이의 측면 방향 성분을 경사진 전면 단부로서 개방부(110)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소가 원형 볏짚(1)의 중단 하방의 볏짚을 뽑아먹어 발생되는 공백 방향으로 원형 볏짚(1)의 하중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원형 볏짚(1)의 구조가 개방부(110) 방향으로 용이하게 붕괴될 수 있게 된다.
접촉부(130)는 폐쇄부(120)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므로 그 단부가 얇은 선형일 경우 원형 볏짚(1)의 안으로 파고들어 원형 볏짚(1)의 측방향 하중을 개방부(110) 방향으로 충분히 안내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원형 볏짚(1)이 폐쇄부(120)의 단부와 면접촉할 수 있도록 폐쇄부(120)의 전방 단부는 절곡되어 접촉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 프레임(200)은, 원형 볏짚(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개방부(1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바닥면(210)과, 바닥면(210)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면(220)과, 경사면(22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접한느 받침부(230)를 포함하여서, 경사면(220)의 일측에 원형 볏짚(1)이 접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바닥면(210)은 전면 프레임(100)의 설정 높이에서 전면 프레임(100)의 개방부(110) 하부측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바닥면(210)은 지면으로부터 44cm 정도의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축사의 먹이 투입벽(10) 높이 부근이 된다. 그리고, 바닥면(210)의 총 연장 길이는 30cm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서 원형 볏짚(1)으로부터 떨어진 볏짚이 바로 축사 내부로 떨어지지 않고 체류되며 송아지같은 작은 소가 능히 먹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때에 혹여 바닥면(210)을 벗어나 축사 내부로 떨어지는 볏짚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방부(110)의 소정 높이, 즉, 바닥면(210)의 후방 단부로부터 지면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부 방향으로 복수의 빗살이 돌출된 걸림부(150)가 구비된다. 따라서, 걸림부(150)의 빗살은 축사의 먹이 투입벽(10)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노출됨으로써 소가 볏짚을 먹을때 소가 먹는 볏짚에 딸려오다 축사 바닥으로 떨어지는 볏짚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바닥면(210)의 전방으로는 바닥면(210)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경사면(220)이 연장 형성된다. 경사면(220)은 원형 볏짚(1)의 하중을 대부분 지지하며, 원형 볏짚(1)으로부터 뽑힌 볏짚이 바닥면(210)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약 28도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220)은 그 연장 길이가 약 113.5cm로 이루어지고, 경사면(220)이 받는 원형 볏짚(1)의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고 경사면(220)을 지지하기 위하여 받침부(230)가 경사면(220)의 하부로 연장된다. 받침부(230)는 경사면(220)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사면(220)의 양 측단으로부터 전면 프레임(100)의 사이에는 원형 볏짚(1)이 양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측면 프레임(400)이 설치된다. 측면 프레임(400)은 원형 볏짚(1)이 그 사이로 수용되며, 소가 원형 볏짚(1)을 지속적으로 먹어 원형 볏짚(1)의 형태가 어느 정도 변경되어도 좌우로 볏짚이 낙하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측면 프레임(400)은 내측에 그물망 또는 철판이 형성되어 원형 볏짚(1)을 양측에서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측면 프레임(400)은 전면 프레임(100)과 바닥 프레임(200)을 상하에서 고정하여 견고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한다.
공급 프레임(300)은 상단이 전면 프레임(100)의 폐쇄부(120)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이 바닥 프레임(200)의 경사면(220)에 접하여 경사면(220)에 의해 지지된다. 이를 위하여 공급 프레임(300)은 지면에 수평한 방향의 상단바(320)와, 상단바(320)와 평행하게 이격되는 하단바(330)와, 상단바(320)와 하단바(330) 사이를 잇는 복수의 창살(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창살(310) 사이로 원형 볏짚(1)이 급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단바(320)는 막대형으로 형성되며, 전면 프레임(100)의 폐쇄부(120)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전면 프레임(100)의 폐쇄부(120) 하단에는 힌지 결합부(340)가 구비된다. 힌지 결합부(340)는 폐쇄부(120) 하단에 결합되되 'ㄷ'자 모양으로 전방이 개구되고 그 내측으로 상단바(320)가 수용되는 힌지 홀더(341)와, 힌지 홀더(341)의 개구부를 막아 상단바(3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힌지 홀더(341)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힌지 볼트(3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힌지 결합부(340)는 복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급 프레임(300)의 유지 보수가 필요할 때에 언제든지 힌지 볼트(342)만 풀면 공급 프레임(300)의 탈거가 이루어지므로 신속한 유지 보수가 가능한 장점을 갖게 된다.
상단바(320)의 하방으로는 복수의 막대형 창살(310)이 상단바(32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창살(310)은 원형 볏짚(1)의 외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창살(310) 사이로 소가 원형 볏짚(1)의 볏짚을 뽑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살(310)은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원형 볏짚(1)의 외주연과 접촉된 부분을 제외하면 나머지 부분은 원형 볏짚(1)의 외주연과 먼 거리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창살(310)은 원형 원형 볏짚(1)의 외주연이 창살(310)의 가장 가까운 부분과 이루는 거리가 설정 거리 이내가 되도록 하여 소가 창살(310)들의 사이로 볏짚을 뽑아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곳 이상이 하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창살(310)의 절곡부(311)는 각 창살(310)들이 동일한 위치에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창살(310)은 절곡부(311)를 기준으로 상단바(320)와의 사이를 상단 창살(312, 하단바(330)와의 사이를 하단 창살(313이라 할 때, 전면 프레임(100)의 폐쇄부(120) 또는 접촉부(130)와 바닥 프레임(200)의 경사면(220)이 형성하는 각을 등분하는 가상의 선상에 절곡부(311)가 위치되고, 이 가상의 선이 상단 창살(312과 하단 창살(313이 형성하는 각을 등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원형 볏짚(1)의 외주연이 가장 가까운 창살(310)이 부분과 이루는 거리의 평균이 낮아지는, 즉, 소가 창살(310) 사이로 원형 볏짚(1)의 외측에 혀를 넣어 볏짚을 빼먹기 용이한 상태가 된다.
한편, 원형 볏짚(1)은 하나의 무게가 매우 무거워 지게차 또는 트랙터 등 장비를 이용하여 바닥 프레임(200)의 상부로부터 공급하여야 하는데, 장비를 미세하게 조절하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원형 볏짚(1)의 수용 이후 원형 볏짚(1)의 양 측면과 측면 프레임(400)이 각각 이루는 거리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때, 만일 원형 볏짚(1)의 어느 한 측면이 측면 프레임(400)에 밀착하여 공급된 경우, 원형 볏짚(1)에 측방으로부터 압력이 가해져 소가 해당 방향의 원형 볏짚(1)을 뽑아먹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볏짚이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공급 프레임(300)의 최측단 방향의 창살(310)과 이에 인접한 내측의 창살(310)이 이루는 거리는 그보다 더 내측의 창살(310)간의 간격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경우, 원형 볏짚(1)의 반대측 측면은 측면 프레임(400)과의 이격 거리가 최대가 될 것인데, 이 때에도 소가 반대 방향의 원형 볏짚(1)을 뽑아먹을 수 있도록 공급 프레임(300)의 최측단 방향의 창살(310)과 이에 인접한 내측의 창살(310)이 이루는 거리는 두 측면 프레임(400) 사이의 거리에서 원형 볏짚(1)이 양단 사이 길이를 뺀 길이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원형 볏짚(1)은 그 제조 과정 중 많은 경우에 중단의 밀도가 양측단의 밀도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이 경우 소가 원형 볏짚(1)의 중단 부분의 볏짚을 뽑아먹으려 할 때에 창살(310) 사이의 거리가 좁게 형성되면 볏짚을 뽑아 먹기 힘든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공급 프레임(300)의 중앙부 창살(310) 사이의 거리는 중앙부와 양 측단 사이의 창살(310) 사이의 거리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창살(310)로부터 양 방향으로 인접한 두 창살(310) 사이의 거리(a)와, 양측 최측단 창살(310)로부터 인접한 창살(310) 사이의 거리(c)가 동일하고, 그 외의 창살(310)들 사이이 간격(b)은 a, c 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권장하나, a와 c의 넓이가 같지 않은 것 역시 가능하며, a와 c가 b보다 넓게 형성되기만 하면 어느 것이든 상관없다.
한편, 창살(310)사이의 거리(a, b, c)는 모두 자연 상태에서 볏짚이 지중에 의해 용이하게 통과되지 못하는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소가 혀를 이용하여 뽑아먹지 않아도 볏짚이 계속 떨어지게 되면 과잉 급여가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공급 프레임(300)은 원형 볏짚(1)의 대부분의 하중을 지지하지는 않으나, 원형 볏짚(1)의 하중이 작용하는 때도 있게 된다. 이때 원형 볏짚(1)의 무게에 의해 공급 프레임(300)이 필요 이상 하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바닥 프레임(200)의 경사면(220)에는 스토퍼(350)가 설치된다.
스토퍼(350)는 하단바(330)의 후면을 지지하여 공급 프레임(300)이 더 이상 후방으로 회동되지 못하게 하며, 경사면(220)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공급 프레임(300)은 축사 방향으로부터의 가압력이 작용시에, 즉, 소가 볏짚을 먹기 위해 머리를 더욱 들이 밀어 창살(310)을 머리로 밀어올릴 때에, 창살(310)과 원형 볏짚(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경우라면 창살(310)이 상단바(320)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된다. 즉, 하단바(330)가 경사면(220)으로부터 이격되어 전면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원형 볏짚(1)과 창살(31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소가 볏짚을 뽑아먹을 수 있는 거리가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사육사가 바닥 프레임(200)의 경사면(220)에 원형 볏짚(1)을 올려놓게 되면 경사면(220)과 전면 프레임(100)의 접촉부(130)에 원형 볏짚(1)이 직접 접촉되어 지지되며, 원형 볏짚(1)과 공급 프레임(300) 사이는 소정 간격 이격되거나 또는 접촉된다. 그리고, 소가 개방부(110)를 통해 머리를 집어 넣어 공급 프레임(300)의 창살(310) 사이로 혀를 집어 넣어 볏짚을 잡아 당겨 취식하며, 일부 볏짚이 하부의 바닥면(210)에 떨어지게 되면 송아지가 바닥면(210)에 떨어진 볏짚을 취식하게 된다. 이때 송아지가 개방부(110)를 통해 바닥면(210)에서 볏짚을 취식하다가 축사 안으로 끌고 들어가려 하면 개방부(110)에 설치된 걸림부(150)에 볏짚이 걸려서 볏짚이 축사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과정에서 소의 습성상 공급 프레임(300)의 도 7 ① 과 같이 상단과 하단 부근의 비교적 밀도가 낮은 양측 부근부터 원형 볏짚(1)의 볏짚을 뽑아먹는다. 이후, 비교적 밀도가 높으나 혀가 닿기 좋은 위치인 공급 프레임(300)의 상단과 하단 부근의 중단 부위의 원형 볏짚(1)을 뽑아먹는다.
그리고나서, ① 위치의 볏짚에 혀가 닿지 않게 되면 소는 도 8 ② 와 같이 공급 프레임(300)의 중단 부근의 볏짚을 뽑아먹는다. 이후 만일 원형 볏짚(1)의 형태가 무너져 볏짚들이 공급 프레임(300)에 접촉되면 다시 ① 위치와 ② 위치의 볏짚을 뽑아먹는다. 그러나, 만일 원형 볏짚(1)의 형태가 무너지지 않고 유지되는 경우에도 소가 볏짚을 먹을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공급 프레임(300)은 폐쇄부(12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소가 원형 볏짚(1)을 먹기 위해 머리를 들이밀게 되면, 도 9 와 같이 축사 방향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창살(310)이 상단바(320)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하단바(330)가 경사면(220)으로부터 이격된다. 즉, 공급 프레임(300)이 폐쇄부(120)의 하단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여 창살(310)들과 원형 볏짚(1)의 거리가 좁아지게 된다. 이후 소는 혀가 닿은 위치인 도 9 ③ 위치인 공급 프레임(300)의 중단 부근의 볏짚을 뽑아먹는다. 그러면 원형 볏짚(1)은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힘의 중심이 무너져 경사면(220)과 접촉부(130)에 의해 개방부(110)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결국 그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공급 프레임(300) 방향으로 무너지게 된다. 따라서, 원형 볏짚(1)의 형성 밀도와 접촉부(130) 및 경사면(220)이 이루는 힘의 균형이 절묘하여 원형 볏짚(1)이 파괴되지 않아도, 소가 공급 프레임(300)을 밀어올리며 볏짚을 취식함으로써, 원형 볏짚(1)의 파괴를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에는 다시 도 7 과 같이 공급 프레임(300)의 상단과 하단 부근의 볏짚을 소가 먹게 되고 원형 볏짚(1)을 모두 먹을때까지 도 7 에서부터 도 9 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볏짚 공급 장치는 축사의 펜스(11) 전방에 설치되어 원형 볏짚(1)을 수용하고 지지하되, 원형 볏짚(1)의 압축 상태가 불규칙하여 그 형태가 무너지지 않아도 공급 프레임(300)이 회동되어 소가 원형 볏짚(1)이 무너지는 위치까지 취식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원형 볏짚의 파괴를 촉진하고, 사육사가 무너지지 않는 원형 볏짚(1)을 일일이 무너트리지 않아도 되어 볏짚이 소진될 때까지 볏짚의 공급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볏짚 공급 장치는 원형 볏짚(1)이 전면 프레임(100)에 형성된 접촉부(130)에 일정 각도를 유지하며 접촉되고 경사면(22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원형 볏짚(1)의 측면 방향으로 작용되는 하중을 개방부(110) 방향으로 유도하여 원형 볏짚(1)이 자연스럽게 슬립하여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볏짚 공급 장치는 소와 송아지가 전면 프레임(100)의 개방부(110)를 통해 공급 프레임(300)과 바닥 프레임(200)의 바닥면(210)에 배치된 볏짚을 안정적으로 편안하게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부(110) 하부에서 바닥면(210) 상부에 걸림부(150)를 형성하여 볏짚이 걸림부(150)에 걸리도록 하여 소나 송아지가 축사 안으로 볏짚을 끌고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 볏짚이 축사 바닥에 떨어져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볏짚 공급 장치는 원형 볏짚(1)이 어느 한 측면 프레임(400)에 치우치게 공급되더라도 소가 원형 볏짚(1)의 볏짚을 뽑아 먹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1: 원형 볏짚
10 : 먹이 투입벽 11 : 축사 펜스
100 : 전면 프레임 110 : 개방부
120 : 폐쇄부 130 : 접촉부
140 : 다리 150 : 걸림부
200 : 바닥 프레임 210 : 바닥면
220 : 경사면 230 : 받침부
300 : 공급 프레임 310 : 창살
311 : 절곡부 312 : 상단 창살
313 : 하단 창살 320 : 상단바
330 : 하단바 340 : 힌지 결합부
341 : 힌지 홀더 342 : 힌지 볼트
350 : 스토퍼
400 : 측면 프레임

Claims (6)

  1. 축사 펜스(11)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고, 소의 머리가 진입되는 개방부(110)와, 상기 개방부(110)의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부(120)를 포함하는 전면 프레임(100);
    상기 개방부(110)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는 바닥면(210)과, 상기 바닥면(210)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면(220)과, 상기 경사면(22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접하는 받침부(230)를 포함하여서, 상기 경사면(220)의 일측에 원형 볏짚(1)이 접하여 지지되는 바닥 프레임(200);
    상기 폐쇄부(120)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단바(320)와, 상기 상단바(320)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상기 경사면(220)에 지지되는 하단바(330)와, 상기 상단바(320)와 상기 하단바(320) 사이를 잇는 복수의 창살(310)을 포함하여서, 상기 창살(310) 사이로 볏짚이 통과되는 공급 프레임(300);
    을 포함하되,
    상기 공급 프레임(300)의 상기 하단바(330)는 상기 창살(310)에 축사 방향으로부터 가압력의 작용시에 전면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경사면(220)에서 이격되고, 상기 하단바(330)가 상부로 상승할 때에 상기 상단바(320)는 동일 높이에서 회전하는 볏짚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살(310)은 하나 이상의 하향 절곡부(311)가 형성되는 볏짚 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100)은, 상기 폐쇄부(12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되 상부로 갈수록 돌출폭이 넓어지는 접촉부(130)가 형성되어서, 상기 접촉부(130)의 전방 단부가 원형 볏짚(1)의 일 외주연과 접하는 볏짚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100)과 상기 바닥 프레임(200)을 잇는 형태로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며 그 사이로 원형 볏짚(1)이 수용되는 측면 프레임(400);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400)간의 거리는 원형 볏짚(1)의 양단 길이보다 제 1 설정 길이만큼 더 넓게 형성되는 볏짚 공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프레임(300)의 양 측단 창살(310)로부터 인접한 내측 창살(31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 설정 길이보다 더 넓은 제 2 설정 길이로 형성되는 볏짚 공급 장치.
  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프레임(300)의 중앙부에 위치된 창살(310) 사이의 간격(a)은 중앙부와 양측단 사이에 위치된 창살(310) 사이의 간격(b)보다 넓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볏짚 공급 장치.
KR1020210190956A 2021-12-29 2021-12-29 볏짚 공급 장치 KR20230101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956A KR20230101125A (ko) 2021-12-29 2021-12-29 볏짚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956A KR20230101125A (ko) 2021-12-29 2021-12-29 볏짚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125A true KR20230101125A (ko) 2023-07-06

Family

ID=8718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956A KR20230101125A (ko) 2021-12-29 2021-12-29 볏짚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12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42B1 (ko) 2006-09-06 2007-11-30 한정교 볏짚 자동 급이 장치
KR100972457B1 (ko) 2010-04-07 2010-07-26 최대식 사일리지 사료 자동 공급장치
KR100994487B1 (ko) 2009-12-30 2010-11-15 최대식 사일리지 사료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42B1 (ko) 2006-09-06 2007-11-30 한정교 볏짚 자동 급이 장치
KR100994487B1 (ko) 2009-12-30 2010-11-15 최대식 사일리지 사료 자동 공급장치
KR100972457B1 (ko) 2010-04-07 2010-07-26 최대식 사일리지 사료 자동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63597A1 (en) Hay feeder
US4976222A (en) Horse feeder
US20080156270A1 (en) Livestock Feeder
US5000122A (en) Horse feeder
US4706609A (en) Livestock feeder for cylindrical bales
US5158040A (en) Animal feeder
US20100212597A1 (en) J bale feeder
US10064385B2 (en) Horse feeder for slow and controlled grazing
KR100994487B1 (ko) 사일리지 사료 자동 공급장치
US8919286B2 (en) Modular baled hay feeding system and method for livestock
US11252936B1 (en) Animal feeding reservoir and dispenser
US4962632A (en) Agricultural baler with movable feeder floor
KR20230101125A (ko) 볏짚 공급 장치
US7007633B2 (en) Feeding apparatus for livestock
US11109565B2 (en) Hay bale cradle
DE102012108021A1 (de) Futterraufe
US6606962B2 (en) Horse feeder
US5947055A (en) Movable livestock feeder for baled hay with solid trough
CA3067896C (en) Plant material feeder for animals
KR101509912B1 (ko) 염소 또는 양용 주사료 및 조사료 급이기
KR101331707B1 (ko) 염소 또는 양용 사료 급이기
KR102378867B1 (ko) 볏짚 공급기
KR101507286B1 (ko) 사각 베일러
CA1324929C (en) Hay bale feeder
KR101458709B1 (ko) 염소 또는 양용 사료 급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