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053A -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053A
KR20230098053A KR1020220181540A KR20220181540A KR20230098053A KR 20230098053 A KR20230098053 A KR 20230098053A KR 1020220181540 A KR1020220181540 A KR 1020220181540A KR 20220181540 A KR20220181540 A KR 20220181540A KR 20230098053 A KR20230098053 A KR 20230098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adish
respiratory diseases
preven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윤영
김동선
손은정
육흥주
이윤미
김영숙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3009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황새냉이 추출물이 호흡기 세포인 기관지 상피세포로부터 염증유도 매개인자인 케모카인 RANTES의 생성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천식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의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또는 사료첨가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 comprising Cardamine flexuosa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알레르기비염, 진해 거담, 급만성기관지염, 세기관지염, 인후염, 편도염, 후두염 등은 호흡기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이다. 천식(asthma)은 기도, 특별히, 기관지에 생기는 만성 염증을 일컫는다. 천식으로 인해 유발되는 염증은 매연, 알레르기성 항원, 찬바람, 운동, 호흡기 감염 등 매우 다양한 소인에 의하여 악화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염증은 기도의 변형 및 기도의 과민성(hyper-responsiveness)을 야기한다. 이러한 원인들에 의하여 천명(wheezing, 기도가 좁아져 쌕쌕거리거나 가랑가랑하는 호흡음이 나타나는 증상)이나,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과도한 객담이 배출되는 등의 일반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호흡기도는 크게 점막과 기관지평활근이라는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고 점막에는 많은 분비샘들이 있어 필요한 분비물을 계속 분비하고 있으며 기관지 평활근이 수축하면 호흡기도가 좁아지게 된다. 매연, 알레르기성 항원, 찬바람, 운동, 호흡기 감염 등 매우 다양한 소인에 의하여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분비샘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더욱 증가하게 되고 이 분비물이 기도를 막아 점막이 기도 안쪽으로 부어오르게 되어 기도를 더욱 좁게 만든다. 이로 인해, 천명을 동반한 발작적인 기침과 호흡곤란이 심하게 나타나며, 발작 시에는 마른기침이 발생되고 흉부압박감을 느끼게 된다. 천명이 없이 만성적 기침과 흉부압박감이 있는 원인을 알 수 없는 호흡곤란 증상만 있는 천식도 많은데 이 증상들은 일상생활 중에서 갑자기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한편, 황새냉이(Cardamine flexuosa)는 논밭 근처와 습지에서 자란다.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서 퍼지고 높이 10∼30cm이며 밑부분은 털이 있고 검은 자주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17개이고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며 끝의 작은잎이 가장 크다. 꽃은 4∼5월에 피고 백색이며 20개 내외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십자 모양의 꽃이 10여 송이 정도 달린다. 꽃받침은 4개이고 흑자색이 돌며 꽃잎은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다. 꽃잎의 모양의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다. 6개의 수술 중 4개가 길고 열매는 각과로 길이 2cm, 지름 1mm 정도로서 털이 없으며, 성숙하면 두 조각으로 갈라져서 뒤로 말린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동아시아·히말라야·유럽 및 북아메리카의 온대에서 난대에 걸쳐 분포한다.
황새냉이 추출물 관련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2021-0145578호에 큰황새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본 발명의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언급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황새냉이 추출물이 호흡기 세포인 기관지 상피세포로부터 염증유발 매개인자인 케모카인 RANTES의 생성량을 감소시키며,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TNF-α 및 MUC5AC)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동물모델에서 총 BAL 세포 수 및 BAL 내 호중구 수를 감소시키며, BALF 내의 IL-1α, TNF-α, IL-17, MIP2, CXCL-1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TNF-α, MIP2, CXCL-1, MUC5AC 유전자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폐조직 손상억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황새냉이 추출물이 호흡기 세포인 기관지 상피세포로부터 염증유발 매개인자인 케모카인 RANTES의 생성량을 감소시키며,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TNF-α 및 MUC5AC)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동물모델에서 총 BAL 세포 수 및 BAL 내 호중구 수를 감소시키며, BALF 내의 IL-1α, TNF-α, IL-17, MIP2, CXCL-1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TNF-α, MIP2, CXCL-1, MUC5AC 유전자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폐조직 손상억제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관지상피세포(BEAS-2B)에서, 황새냉이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RANTES 생성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Dexa는 양성대조군으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0.5μM을 처리한 군이다. ###은 대조군(Control) 대비 10ng/㎖의 TNF-α 처리군에서의 RANTES 생성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고, ***은 10ng/㎖의 TNF-α 처리군 대비 황새냉이 추출물 처리 군 및 양성대조군(Dexa)에서의 RANTES 생성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도 2는 기관지상피세포에서 LPS로 염증을 유도한 후,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은 Control(정상 대조군) 대비 LPS 처리군(LPS20)의 IL-6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고, ***은 LPS 군 대비 본 발명의 50㎍/㎖의 황새냉이 추출물 처리군(CF50)의 IL-6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도 3은 기관지상피세포에서 LPS로 염증을 유도한 후,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은 Control(정상 대조군) 대비 LPS 처리군(LPS20)의 TNF-α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고, ***은 LPS 군 대비 본 발명의 50㎍/㎖의 황새냉이 추출물 처리군(CF50)의 TNF-α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도 4는 기관지상피세포에서 LPS로 염증을 유도한 후, 염증성 사이토카인 MUC5AC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은 Control(정상 대조군) 대비 LPS 처리군(LPS20)의 MUC5AC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고, **은 LPS 군 대비 본 발명의 50㎍/㎖의 황새냉이 추출물 처리군의 MUC5AC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다.
도 5는 호흡기 손상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황새냉이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호흡기 손상 동물모델에 본 발명의 황새냉이 추출물을 투여한 후 총 BAL 세포 수를 확인한 결과이다. ###은 정상군 대비 LPS+CS(표준 담배 추출물)로 유도한 호흡기 손상 대조군의 총 BAL 세포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고, **, ***은 대조군 대비 본 발명의 황새냉이 추출물 투여군 또는 양성대조군의 총 BAL 세포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1이고, ***는 p<0.001이다.
도 7은 호흡기 손상 동물모델에 본 발명의 황새냉이 추출물을 투여한 후 BAL 내 호중구 수를 확인한 결과이다. ###은 정상군 대비 LPS+CS(표준 담배 추출물)로 유도한 호흡기 손상 대조군의 BAL 내 호중구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고, ***은 대조군 대비 본 발명의 황새냉이 추출물 투여군 또는 양성대조군의 BAL 내 호중구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도 8은 호흡기 손상 동물모델에 본 발명의 황새냉이 추출물을 투여한 후 BALF 내의 IL-1α, TNF-α, IL-17, MIP2, CXCL-1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 ###은 정상군 대비 LPS+CS(표준 담배 추출물)로 유도한 호흡기 손상 대조군의 BALF 내의 IL-1α, TNF-α, IL-17, MIP2, CXCL-1의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1이고, ###은 p<0.001이다. *, **은 대조군 대비 본 발명의 황새냉이 추출물 투여군 또는 양성대조군에서 BALF 내의 IL-1α, TNF-α, IL-17, MIP2, CXCL-1의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1이다.
도 9는 호흡기 손상 동물모델에 본 발명의 황새냉이 추출물을 투여한 후 폐조직에서 TNF-α, MIP2, CXCL-1, MUC5AC 유전자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 ###은 정상군 대비 LPS+CS(표준 담배 추출물)로 유도한 호흡기 손상 대조군의 폐조직에서 TNF-α, MIP2, CXCL-1, MUC5AC 유전자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1이고, ###은 p<0.001이다. *, **은 대조군 대비 본 발명의 황새냉이 추출물 투여군 또는 양성대조군의 폐조직에서 TNF-α, MIP2, CXCL-1, MUC5AC 유전자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1이다.
도 10은 호흡기 손상 동물모델에 본 발명의 황새냉이 추출물 투여한 후 폐조직의 병리적 손상억제를 확인한 H&E 염색 및 M-T 염색 결과이다.
본 발명은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기관지염, 인후염, 편도염 및 후두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황새냉이 추출물은 황새냉이의 전초를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특정부위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황새냉이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건조 황새냉이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액을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황새냉이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20~1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5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1~3시간이 더욱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 (3)에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황새냉이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황새냉이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캐러멜,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즉,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덱스트린, 사이클로 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이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g에 대하여, 0.01~0.04g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03g을 포함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새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황새냉이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황새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새냉이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황새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1일 0.0001~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세탄올, 스테아릴알콜, 유동파라핀,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신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고,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좌제, 멸균 주사용액, 멸균 외용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의 유효한 양은 동물의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 내지 상태의 중증도,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또는 성별에 따른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대한 민감도, 투여 경로, 투여 기간, 상기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다른 조성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생리 내지 수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 끼 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황새냉이 추출물의 제조
건조 황새냉이 전초를 70%(v/v) 에탄올로 2시간 동안 2회 환류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 건조하여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실시예 2. 기관지 상피세포(BEAS-2B)에서 호흡기 염증 억제 활성 확인
황새냉이 추출물의 호흡기 염증 억제 활성은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주를 이용하여 염증유발 케모카인 RANTES의 분비 억제 활성을 평가하였다.
FBS(fetal bovine serum) 및 PS(penicillin-streptomycin)를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으로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주인 BEAS-2B(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 ATCC, USA) 세포를 배양하였으며, BEAS-2B (5×104 cells/well)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0%가 포함된 DMEM 배지에 18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여 혈청-프리 DMEM으로 배지를 교체하고, 100 및 200㎍/㎖의 황새냉이 추출물과 10ng/㎖의 TNF-α를 동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RANTES 분비량은 ELISA 키트(R&D systems,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세포 상등액에 존재하는 RANTE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통계적 차이는 스튜던트 t-테스트를 이용하여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대조군(Control) 대비 TNF-α처리군에서 RANTES 생성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이에 대비하는 본 발명의 황새냉이 추출물을 처리한 군 및 양성대조군(Dexa)에서는 RANTES 생성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실시예 3. 기관지상피세포에서 LPS로 염증을 유도한 후,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TNF-α, 점액 분비 단백질 MUC5AC 발현량 변화 확인
LPS로 염증을 유도한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주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TNF-α, 점액 분비 단백질 MUC5AC 발현량 변화를 평가하였다.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주인 BEAS-2B(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 ATCC, USA) 세포는 FBS,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S)를 첨가한 DMEM 배지에 18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여 혈청-프리 DMEM으로 배지를 교체하고, 50㎍/㎖의 황새냉이 추출물 및 20㎍/㎖의 LPS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상층액을 회수하여 IL-6, TNF-α 및 MUC5AC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CON) 대비 LPS 유도군의 IL-6, TNF-α 및 MUC5AC 발현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이에 대비하여 황새냉이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의 IL-6, TNF-α 및 MUC5AC 발현량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도 2 내지 도 4).
실시예 4. LPS+CS(표준 담배 추출물)로 유도한 호흡기 손상모델에서 호흡기 염증 개선 효과 확인
7주령 BALB/c 수컷 생쥐에 LPS+CS(표준 담배 추출물)을 2주간 3회 코와 입을 통하여 50㎕씩 총 100㎕를 흡인시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를 유발시켰다. 실험군은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정상군(Normal), COPD 유도물질을 처리한 대조군(Control), COPD 유도물질과 양성대조군 덱사메타손(3mg/kg) 투여군, COPD 유도물질과 황새냉이 추출물(200mg/kg) 투여군(CF 200), COPD 유도물질과 황새냉이 추출물(100 mg/kg) 투여군(CF 100)으로 하였다. 약물은 14일 동안 매일 경구투여하였고, 실험이 끝난 후 각 실험군의 마우스 폐포세척액(BALF) 및 폐조직을 분리하였다(도 5).
(1) 기관지 폐포 세척액 분리
실험 마지막 날에 채혈한 후, 개흉하여 기도를 노출시켜 FBS free DMEM 배지 1㎖을 넣은 주사기를 기관지 (trachea)에 삽입하여 주입시키고, 끈으로 묶어 고정한 후에 기관지 폐포세척을 3회 순환하여 세척액(BALF)을 얻었다. 기관지폐포 세척액을 4℃, 2,000rpm,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에, 상층액은 세포원심분리를 측정하기 위해 냉동보관하였고, BALF에서 분리한 세포는 ACK 액을 3분 동안 처리하여 적혈구를 용해시키고, 다시 1% FBS 프리 DMEM 배양액으로 세척한 후, 혈구계수기를 사용하여 총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2) 기관지 폐포 세척액(BALF) 분리 및 총 호중구 세포 수 확인
혈액을 채혈한 후 해부하여 호중구의 BALF 내 세포 계수를 위해 원심분리 후. 침전된 혈구를 분리하여 0.04% 트리판블루(trypan blue)로 염색한 후 총세포수를 측정하였다. Diff-Quick 염색(Romanowsky stain)을 3회에 걸쳐 처리하였고, 이후 PBS로 2회 세척한 후, 군당 9개의 슬라이드를 제작하여 400× 배율의 광학현미경(Light microscope, Nikon, Japan)을 통해 계수하였다.
그 결과 생쥐에 LPS와 표준담배추출물을 INT 방법으로 주입한 대조군에서 호중구 수가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이 결과로부터 폐에서의 염증 수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투여군 및 황새냉이 추출물(CF) 투여군에서는 BAL 총 세포수와 호중구 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도 6 및 도 7).
(3) 효소면역분석법(ELISA)
BALF 내의 IL-1α, TNF-α, IL-17, MIP2, CXCL-1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ELISA를 수행하였다. 포획 항체를 넣고, 4℃에서 밤샘(overnight)한 후, 세척용 완충용액으로 4회 세척하였다. 비오틴이 결합된 항체 시약을 각각의 웰에 100㎕씩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2회 세척한 다음, 스트렙타비딘-HRP 용액을 각각의 웰에 100㎕씩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에 다시 세척용 완충용액으로 2회 세척하였다. 여기에 기질용액을 100㎕씩 처리하여 20분 동안 반응시킨 후에, 50㎕의 반응정지 용액을 처리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뒤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BALF에서 염증관련 사이토카인 케모카인인 IL-1α, TNF-α, IL-17, MIP2, CXCL-1의 생산량은 LPS+CS(표준 담배 추출물) 유도 대조군에서 모두 증가하였고, 이에 대비하여 양성대조군과 황새냉이 추출물(CF) 투여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도 8).
(4) 폐조직에서 TNF-α, MIP2, CXCL-1, MUC5AC 유전자 발현량 확인
생쥐의 폐조직을 적출한 후에 RNA 추출용액 500㎕를 넣고 용해될 때까지 분쇄하였다. 13,000rpm으로 원심분리한 후에 에탄올로 수세하고 건조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RNA는 first strand cDNA 합성에 사용하였다.
합성한 cDNA를 실시간 중합연쇄반응은 Applied Biosystem 7500 Real-Time PCR 시스템(Applied Biosystems, US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TNF-α, MIP2, CXCL-1, MUC5AC 프라이머를 사용하였으며 G3PDH 프로브(VIC, Applied Biosystems, USA)를 사용하였다. 실시간 중합연쇄반응 조건은 프리-변성(pre-denaturation)은 50℃에서 2분, 94℃에서 10분, 및 40사이클을 95℃에서 0.15분, 60℃에서 1분 수행하였다. 황새냉이 추출물 투여군과 대조군은 내부 표준물질(internal strandard)로 G3PDH를 사용하여 RQ(relative quantitative)를 계산하였다.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서열
유전자 방향 서열(5′->3′) 서열번호
TNF-α 정방향 CCTGTAGCCCACGTCGTAGC 1
역방향 TTGACCTCAGCGCTGAGTTG 2
MIP2 정방향 ATGCCTGAAGACCCTGCCAAG 3
역방향 GGTCAGTTAGCCTTGCCTTTG 4
CXCL-1 정방향 CCGAAGTCATAGCCACAC 5
역방향 GTGCCATCAGAGCAGTCT 6
MUC5AC 정방향 AGAATATCTTTCAGGACCCCTGCT 7
역방향 ACACCAGTGCTGAGCATACTTTT 8
G3PDH 프로브 CATGTTCCAGTATGACTCCACTCACG 9
그 결과, 염증관련 사이토카인 TNF-α, MIP2, CXCL-1과 점액 단백질 MUC5AC의 유전자 발현은 LPS+CS(표준 담배 추출물) 유도 대조군에서 증가하였고, 양성대조군과 황새냉이 추출물(CF)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는 수준으로 감소하였다(도 9).
(5) 조직병리검사
폐조직의 병리적 손상 정도를 관찰하기 위해 폐조직을 절취하여 10% 중화 포르말린(neutral-buffered formalin)에 24시간 동안 고정시킨 다음 알코올로 탈수시키고 파라핀으로 포매하여 블럭을 제작한 다음 마이크로톰으로 4㎛ 두께의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H&E(Hematoxylin & Eosin) 염색과 콜라겐 deposition 염색인 M-T(Masson-Trichrome) 염색, 배상세포(goblet cell) 및 분비된 점액질을 관찰하기 위해 PAS 염색을 수행하였다. 염색 후 400× 배율의 광학현미경(Nikon, Japan)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LPS+CS(표준 담배 추출물) 유도 대조군의 H&E 염색법을 통해 염증세포 침윤, 폐세포 벽이 두꺼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M-T 염색법을 통해 교원섬유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비하여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투여군과 황새냉이 추출물(CF) 투여군은 얇은 폐세포 벽과 염증세포 감소, 교원섬유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10).
[통계처리]
결과는 평균±오차로 기록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스튜던트 t-테스트 및 일원분석 ANOVA에 따른 던컨의 다중비교분석법(SPSS statistics version 19.0 statistic software, Inc, IBM, USA)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Claims (9)

  1. 황새냉이(Cardamine flexuo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새냉이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기관지염, 인후염, 편도염 및 후두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새냉이 추출물은 황새냉이의 전초를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1항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황새냉이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
  9.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
KR1020220181540A 2021-12-23 2022-12-22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98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86404 2021-12-23
KR1020210186404 2021-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053A true KR20230098053A (ko) 2023-07-03

Family

ID=8690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540A KR20230098053A (ko) 2021-12-23 2022-12-22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98053A (ko)
WO (1) WO20231213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5534A (ja) * 2010-03-23 2011-10-06 Shiseido Co Ltd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抗老化剤およびしわ改善剤
JP2011195533A (ja) * 2010-03-23 2011-10-06 Shiseido Co Ltd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および抗老化剤
KR101863731B1 (ko) * 2017-05-18 2018-06-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큰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20422A (ko) * 2020-03-26 2021-10-07 애경산업(주) 꽃황새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1334A1 (ko)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013B1 (ko) 백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356050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ndigo pulverata levis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KR101397841B1 (ko) 택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34464B1 (ko) 오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9855B1 (ko) 산초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875823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s, containing phyllostachys nigra munro var. henosis stap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2197445B1 (ko) 생약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성 염증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57675B1 (ko)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21738A (ko) 장수만리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98053A (ko)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4756B1 (ko)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51924B1 (ko) 배암차즈기 잎 추출물 및 발효 삼채 뿌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치료용조성물
KR20230098052A (ko) 갯까치수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9596B1 (ko) 편백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염증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96889A (ko) 담배풀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87151A1 (ko) 병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96888A (ko) 게박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2888B1 (ko) 시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0501B1 (ko) 나한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71544B1 (ko)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230167297A (ko) 섬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7997B1 (ko) 증숙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1-데하이드로-6-진저다이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관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7701B1 (ko) 기관지염 또는 호흡기 질환 개선효능을 갖는 병풀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80042729A (ko) 상지 주정 추출물을 함유하는 장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20230149563A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