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755A -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 및 이의 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 및 이의 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755A
KR20230096755A KR1020210186577A KR20210186577A KR20230096755A KR 20230096755 A KR20230096755 A KR 20230096755A KR 1020210186577 A KR1020210186577 A KR 1020210186577A KR 20210186577 A KR20210186577 A KR 20210186577A KR 20230096755 A KR20230096755 A KR 20230096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acket
access control
unit
media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6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6755A/ko
Priority to PCT/KR2022/021234 priority patent/WO2023121407A1/ko
Publication of KR2023009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5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1Inter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or service data unit [SDU] definitions; Interfaces between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의 테스트 방법은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을 포함하여 구현된 컨트롤러 유닛의 테스트 방법이고,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관리 데이터 핀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에 연결된 물리 계층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의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의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 및 이의 테스트 방법{NETWORK TEST DEVICE, NETWORK TEST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HEREOF}
실시 예는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MAC 계층의 네트워크 라인의 검증을 위한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및 이의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부품의 전자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차량에 탑재되는 전자 장치(예를 들어,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종류와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전자 장치는 크게 파워 트레인(power train) 제어 시스템, 바디(body) 제어 시스템, 새시(chassis) 제어 시스템, 차량 네트워크(network), 멀티미디어(multimedia) 시스템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제어 시스템은 엔진 제어 시스템, 자동 변속 제어 시스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바디 제어 시스템은 바디 전장품 제어 시스템, 편의 장치 제어 시스템, 램프(lamp) 제어 시스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새시 제어 시스템은 조향 장치 제어 시스템, 브레이크(brake) 제어 시스템, 서스팬션(suspension) 제어 시스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차량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기반의 네트워크,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기반의 네트워크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항법 장치 시스템, 텔레메틱스(telematics) 시스템, 인포테이먼트(infotainment) 시스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 및 시스템들 각각을 구성하는 전자 장치들은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 장치들 각각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차량 네트워크가 요구되고 있다. CAN은 최대 1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으며, 충돌된 프레임의 자동 재전송, CRC(cycle redundancy check) 기반의 오류 검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플렉스레이 기반의 네트워크는 최대 10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으며, 2채널을 통한 데이터의 동시 전송, 동기 방식의 데이터 전송 등을 지원할 수 있다. MOST 기반의 네트워크는 고품질의 멀티미디어를 위한 통신 네트워크로, 최대 150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텔레메틱스 시스템, 인포테이먼트 시스템, 향상된 안전 시스템 등은 높은 전송 속도, 시스템 확장성 등을 요구하며, CAN, 플렉스레이 기반의 네트워크 등은 이를 충분히 지원하지 못한다. MOST 기반의 네트워크는 CAN 및 플렉스레이 기반의 네트워크에 비해 높은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으나, 차량의 모든 네트워크에 MOST 기반의 네트워크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이러한 문제들에 의해, 차량 네트워크로 이더넷(ethernet) 기반의 네트워크가 고려될 수 있다.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는 한 쌍의 이더넷 네트워크 라인을 통한 양방향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최대 10G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차량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에 따라 차량 내부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기존 CAN 기반의 통신 적용 네트워크와 대비하여 외부와의 연결성 측면 확장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통신 장치 및 커넥티드카 대응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와의 통신 등 보다 넓음 적용 범위를 고려하여 차량 내부에 이더넷 통신을 적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 장치는 미디어 접근 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유닛과 물리 계층 유닛(PHY)을 포함한다. 이때, 대부분의 네트워크 장치는 미디어 접근 제어 유닛과 물리 계층 유닛을 분리하여 생산하고 있다.
이때,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유닛은 기본적으로 물리 계층 유닛과 연결된 상태에서 동작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물리 계층 유닛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이더넷 네트워크 라인을 통해 전송 가능한 형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유닛에 연결된 물리 계층 유닛이 없는 경우,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유닛의 동작이 불가하며, 이에 따라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유닛의 동작 테스트를 진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유닛의 테스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실시 예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에 물리 계층이 미연결된 상태에서도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및 이의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다양한 테스트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및 이의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의 테스트 방법은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을 포함하여 구현된 컨트롤러 유닛의 테스트 방법이고,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관리 데이터 핀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에 연결된 물리 계층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의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의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 데이터 핀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MDIO(Management Data Input/Output) 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리 계층의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에 물리 계층이 연결된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물리 계층의 식별 정보가 획득되지 않으면,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이 상기 물리 계층이 미연결된 상태인 것으로 인식한다.
또한, 상기 테스트 방법은 상기 컨트롤러 유닛의 GPIO(General-Purpose Input/Output)의 특정 핀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핀을 통해 제1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수행되고, 상기 특정 핀을 통해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제3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의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테스트 방법은 제1 테스트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제1 테스트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에 대응되는 제2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2 테스트 패킷을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테스트 패킷과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의 송신 경로 및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의 수신 경로는 다르다.
또한,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으로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송신 핀과 수신 핀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제2 테스트 모드에서의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송신 핀에서 송신된 테스트 패킷이고, 상기 제2 테스트 모드에서의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수신핀에서 수신된 테스트 패킷이다.
또한,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3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에 연결된 서브 또는 슬레이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으로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또는 슬레이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에 대응하는 제2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테스트 방법은 상기 생성된 제1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 유닛의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암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유닛은, 제1 테스트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 상기 생성된 제1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하는 패킷 암호화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에서 수신한 제2 테스트 패킷을 복호화하는 패킷 복호화부; 상기 제1 테스트 패킷과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테스트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테스트 모드에 대응되는 테스트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의 송신 및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의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른 테스트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MDIO(Management Data Input/Output) 핀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MDIO 핀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에 연결된 물리 계층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이 존재하면, 제1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테스트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의 송신 및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의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2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테스트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의 송신 및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의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제1 테스트 라인과 상기 제2 테스트 라인은 서로 다르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MDIO 핀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가 특정 물리 계층의 식별 정보이면,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이 존재하는 것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GPIO(General-Purpose Input/Output)의 특정 핀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핀을 통해 수신된 신호가 제1 신호이면, 상기 MDIO 핀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테스트 모드 또는 제2 테스트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특정 핀을 통해 수신된 신호가 제2 신호이면, 제3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제3 테스트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의 송신 및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의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테스트 라인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 및 상기 물리 계층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테스트 라인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송신 핀과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수신 핀 사이를 직접 연결하며, 상기 제3 테스트 라인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과 서브 또는 슬레이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 사이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의 암호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유닛은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을 포함하여 구현된 컨트롤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유닛은 구축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조건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게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테스트 환경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이 실제 사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게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에 물리 계층이 연결된 제1 상태, 상기 물리 계층이 연결되지 않은 제2 상태 및 서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이 연결된 제3 상태를 인식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 모드를 결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유닛은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를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유닛은 현재 구성된 테스트 환경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테스트 환경에 대응하는 테스트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테스트 진행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네트워크 유닛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네트워크 유닛에 대해 다양한 테스트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제품 신뢰성 및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비교 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네트워크 유닛에 포함된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유닛의 컨트롤러 유닛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제1 테스트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제2 테스트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다른 제3 테스트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의 테스트 모드 결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제1 테스트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제2 테스트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세팅 동작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실시 예에 따른 제3 테스트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 앞서, 비교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비교 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교 예에서는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를 위해서는 동일한 기종 또는 테스트 대상의 상태가 되는 또 다른 네트워크 유닛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유닛은 미디어 접근 제어(MAC) 계층 및 물리(PHY) 계층 중 어느 하나의 계층을 포함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네트워크 장치는 미디어 접근 제어(MAC) 계층 및 물리(PHY) 계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테스트를 위해서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MAC) 계층 및 물리(PHY) 계층을 각각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장치 및 제2 네트워크 장치가 구비된 상태이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비교 예의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은 제1 네트워크 장치(10) 및 제2 네트워크 장치(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10)는 마스터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10)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장치(20)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10)의 테스트를 위해 필요한 상대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장치(20)는 상기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제1 네트워크 장치(10)의 테스트를 위해 제공되는 슬레이브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10)는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MAC1, 11) 및 제1 물리 계층(PHY1, 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20)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10)와 동일하게 제2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MAC2, 21) 및 제2 물리 계층(PHY2, 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10)의 테스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10)의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MAC1, 11)은 테스트 패킷을 상기 제1 물리 계층(PHY1, 12)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1 물리 계층(PHY1, 12)은 상기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을 이더넷 라인(ETH)을 통해 전송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물리 계층(PHY1, 12)은 상기 변환된 테스트 패킷을 이더넷 라인(ETH)을 통해 상기 제2 물리 계층(PHY2, 22)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2 물리 계층(PHY2, 22)은 상기 제1 물리 계층(PHY1, 12)으로부터 전송되는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제2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MAC2, 21)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2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MAC2, 21)은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을 다시 상기 제2 물리 계층(PHY2, 22)을 통해 상기 제1 물리 계층(PHY1, 12)으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MAC1, 11)은 상기 제1 물리 계층(PHY1, 12)을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20)로부터 재전송한 테스트 패킷을 수신한다. 이후, 상기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MAC1, 11)은 상기 전송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을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MAC1, 11)은 상기 2개의 테스트 패킷의 비교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동작 상태를 검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교 예의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은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생산 시에, 이더넷 라인(ETH)의 검증 및 네트워크 동작 상태를 검증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할애되고, 이에 따른 양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비교 예의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은,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유닛을 생산하는 하는 경우, 이의 테스트를 위해서는 동일한 기종 또는 상대가 되는 제품이 추가로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비교 예의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은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하여, 마스터와 슬레이브 기종의 구분이 필요하다. 그리고 비교 예의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은 핑을 사용하여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서 테스트를 위한 신호를 주고 받는다. 이에 따라, 비교 예의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는 상기 핑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대기해야 하며, 이에 따른 테스트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비교 예의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구분된 2개의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해야 하며, 이에 따른 테스트 진행을 위한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여러 제품의 테스트를 동시에 진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비교 예의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은 복잡한 테스트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이의 확인 과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일반적으로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만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유닛을 생산하고, 상기 생산된 네트워크 유닛(물리 계층이 미포함 또는 미연결된 상태)만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길 원한다. 그러나 비교 예에서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만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유닛을 단독적으로 동작시켜 이의 테스트를 진행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비교 예에서는 다양한 테스트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테스트 모드를 적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에 물리 계층이 미연결된 상태에서도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실시 예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다양한 테스트 모드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는 네트워크 유닛(100) 및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유닛(100)은 테스트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유닛(100)은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을 포함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유닛(100)은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을 포함하여 구현된 컨트롤러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은 컨트롤러 유닛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 유닛은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은 실제 구축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물리 계층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유닛(100)은 상기 물리 계층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들(예를 들어, 인포테인먼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네트워크 장치에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유닛인 네트워크 유닛(100)은 상기 물리 계층과 하나의 SoC(System on 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유닛인 네트워크 유닛(100)과 상기 물리 계층이 별도의 칩으로 구성된다.
즉, 실시 예에서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유닛을 하나의 네트워크 유닛으로 제작하고, 이와 별도로 상기 물리 계층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물리 계층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에 대해, 이의 단독적인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도록 테스트 환경을 구축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네트워크 환경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다양한 테스트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테스트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은 상기 물리 계층과 매체 독립 인터페이스(media independent interface, MII)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은 상기 매체 독립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핀(추후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네트워크 구축 환경에 따라 상기 물리 계층과 연결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체 독립 인터페이스는 IEEE 8023에 규정된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과 상기 물리 계층 사이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관리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과 상기 물리 계층은 RMII(reduced MII), GMII(gigabit MII), RGMII(reduced GMII), SGMII(serial GMII), XGMII(10 GMII)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전송 채널(channel) 및 수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채널들 각각은 독립적인 클럭(clock),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가질 수 있다. 관리 인터페이스는 2-신호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는 클록을 위한 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데이터를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위한 환경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복수의 핀들과 연결되는 테스트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스트 라인은 복수 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위한 복수의 테스트 모드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상기 복수의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테스트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이 장착되는 지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테스트 라인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테스트 라인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테스트 지그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네트워크 유닛에 포함된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은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복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제1 그룹의 핀 및 관리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제2 그룹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의 핀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과 물리 계층 사이에서 패킷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송신 채널에 대응한 송신 핀과, 수신 채널에 대응한 수신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이를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송신 핀과 수신 핀 각각은 상기 차동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제1 송신 핀(P1) 및 제2 송신 핀(P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신 핀(P1) 및 제2 송신 핀(P2)은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 데이터를 차동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제1 수신 핀(P3) 및 제2 수신 핀(P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신 핀(P3) 및 제4 수신 핀(P4)은 차동 신호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상기 물리 계층을 리셋하기 위한 리셋 핀(P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상기 물리 계층에 인터럽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인터럽트 핀(P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제1 그룹의 핀은 상기 제1 송신 핀(P1), 제2 송신 핀(P2), 제1 수신 핀(P3), 제2 수신 핀(P4), 리셋 핀(P5) 및 인터럽트 핀(P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관리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제2 그룹의 핀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상기 물리 계층과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관리 데이터 핀(P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데이터 핀(P7)은 MDIO(Management Data Input/Output) 핀일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상기 MDIO 핀에 대응하는 관리 데이터 핀(P7)을 이용하여 상기 물리 계층의 상태 정보를 읽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상기 관리 데이터 핀(P7)을 이용하여 상기 물리 계층의 배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상기 관리 데이터 핀(P7)을 이용하여 상기 물리 계층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상기 물리 계층에 기준 클록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클록 핀(P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록 핀(P8)은 MDC(Management Data Clock)핀일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상기와 같이 제1 송신 핀(P1), 제2 송신 핀(P2), 제1 수신 핀(P3) 및 제2 수신 핀(P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상기 제1 송신 핀(P1) 및 제2 송신 핀(P2)을 통해 테스트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상기 제1 수신 핀(P3) 및 제2 수신 핀(P4)을 통해 상기 전송한 테스트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응답 패킷은 상기 전송한 테스트 패킷에 대응하는 테스트 패킷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위해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제1 송신 핀(P1) 및 제2 송신 핀(P2)을 통해 테스트 패킷을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제1 수신 핀(P3) 및 제2 수신 핀(P4)을 통해 상기 전송한 테스트 패킷과 동일한 테스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은 상기 전송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의 비교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동작 상태 및 네트워크 환경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제1 수신 핀(P3) 및 제2 수신 핀(P4)을 통해 수신되는 테스트 패킷은 테스트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대상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를 지원한다.
제1 테스트 모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에 물리 계층이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 유닛이 구비된 상태에서 테스트를 진행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테스트 모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에 물리 계층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이 독립적으로 자가 테스트를 진행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테스트 모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에 물리 계층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과 동일한 서브 네트워크 유닛과 테스트 패킷을 주고 받음에 따라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상기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 라인을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을 통해 구성되는 테스트 라인을 포함한 테스트 환경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유닛의 컨트롤러 유닛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는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서, 패킷 생성부(120), 패킷 암호화부(130), 패킷 복호화부(140), 비교부(150), 테스트 결과 출력부(160) 및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킷 생성부(120)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한 테스트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패킷 생성부(120)는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한 랜덤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스트 패킷은 일정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스트 패킷이 너무 단순한 경우,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결과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 패킷이 너무 복잡할 경우,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패킷 생성부(120)는 10바이트 내지 20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랜덤의 테스트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패킷 암호화부(130)는 상기 패킷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된 테스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는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는 복수의 암호화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을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테스트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할 수 있다. 즉, 상기 테스트 모드는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구축된 테스트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테스트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에 따른 테스트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제1 테스트 모드에서 제1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제2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제1 암호화 알고리즘과 다른 제2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제3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암호화 알고리즘과 다른 제3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테스트 환경에 따라, 최적의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테스트 패킷의 암호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테스트 정확도를 높이면서, 테스트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테스트 모드와 관계 없이 상기 테스트 패킷의 암호화 알고리즘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는 상기 테스트 모드와 관계없이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을 랜덤으로 결정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하여, 이에 따른 테스트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패킷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된 테스트 패킷의 페이로드(payload)가 짧거나 단순한 경우(예를 들어, 0xfffff 패킷인 경우), 신호 왜곡에 의한 패킷과 상기 테스트 패킷의 구분이 어렵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패킷 암호화부(130)를 통해 상기 테스트 패킷의 암호화를 진행하고, 이에 따라 수신된 테스트 패킷의 복호화를 진행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좀 더 복잡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테스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를 통해 암호화된 테스트 패킷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제1 송신 핀(P1) 및 제2 송신 핀(P2)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패킷 복호화부(140)는 수신되는 테스트 패킷을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킷 복호화부(140)는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테스트 패킷을 복호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킷 복호화부(140)은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에서 사용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수신된 테스트 패킷을 복호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킷 복호화부(140)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제1 수신 핀(P3) 및 제2 수신 핀(P4)을 통해 상기 테스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비교부(150)는 상기 송신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된 테스트 패킷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교부(150)는 상기 송신 핀(P1, P2)을 통해 송신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 핀(P3, P4)을 통해 수신된 테스트 패킷이 서로 동일한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교부(15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프로세서(17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교부(150)는 상기 송신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된 테스트 패킷 사이의 일치 여부 및 일치 정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170)에 제공할 수 있다.
테스트 결과 출력부(160)는 실시 예에 따라 진행된 테스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스트 결과 출력부(160)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테스트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광을 출력하는 광 출력부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70)는 실시 예의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 환경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스트 환경의 인식은 외부로부터 상기 프로세서(170)의 특정 핀으로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 환경의 인식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특정 핀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테스트 환경이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테스트 환경에 따른 특정 테스트 모드를 진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70)에는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인식한 테스트 환경에 따라 상기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의 동작 프로그램을 로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로딩한 동작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테스트 모드가 결정되면, 상기 패킷 생성부(120)를 통해 테스트 진행을 위한 테스트 패킷이 생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를 통해 상기 생성된 테스트 패킷의 암호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암호화 알고리즘 중 상기 결정된 테스트 모드 또는 램덤으로 어느 하나의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암호화 알고리즘을 기준으로(또는 기초하여) 상기 테스트 패킷의 암호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를 통해 암호화된 테스트 패킷이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송신 핀(P1, P2)을 통해 송신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송신 핀(P1, P2)을 통해 송신되는 테스트 패킷의 수신 목적지는 상기 결정된 테스트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수신 핀(P3, P4)을 통해 테스트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테스트 패킷을 상기 패킷 복호화부(14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패킷 복호화부(140)를 통해 상기 수신된 테스트 패킷의 복호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에 적용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복호화 알고리즘을 기준으로(또는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테스트 패킷의 복호화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패킷 복호화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송신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된 테스트 패킷 사이의 일치 여부가 비교되도록 상기 비교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비교부(150)를 통해 비교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정상 동작 여부 및 네트워크 라인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판단한 상태에 대한 정보가 상기 테스트 결과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네트워크 유닛 연결부(210), 테스트 라인 제공부(220), 제1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30), 제1 커넥터(240), 제2 커넥터(250), 제2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60) 및 제2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 유닛 연결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설명에 앞서, 도 5에 도시된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환경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테스트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유닛(100)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지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 모드에 따라 각각 구분된 지그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3개의 테스트 모드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일체형 지그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제1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는 제1 유닛과, 제2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는 제2 유닛과, 제3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제3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테스트 환경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하나의 일체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이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를 모두 지원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3 테스트 환경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3개의 유닛으로 구분 및 분리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네트워크 유닛 연결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유닛 연결부(210)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유닛(1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유닛 연결부(210)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유닛(100)이 장착되는 장착부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제조가 완료되어 테스트를 진행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유닛(100)을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의 네트워크 유닛 연결부(210)에 장착하여,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유닛 연결부(210)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과 연결되는 연결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유닛 연결부(210)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송신 핀(P1), 제2 송신 핀(P2), 제1 수신 핀(P3), 제2 수신 핀(P4), 리셋 핀(P5), 인터럽트 핀(P6), 관리 데이터 핀(P7) 및 클록 핀(P8)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내지 제8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라인 제공부(220)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 연결부(21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라인 제공부(220)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 연결부(210)에 연결된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테스트 라인 제공부(220)는 제1 테스트 모드에서의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위한 제1 테스트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 라인 제공부(220)는 제2 테스트 모드에서의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위한 제2 테스트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 라인 제공부(220)는 제3 테스트 모드에서의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위한 제3 테스트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라인 제공부(220)는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게, 상기 제1 내지 제3 테스트 라인 중 어느 하나의 테스트 라인과 상기 네트워크 유닛 연결부(210)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이 각각의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게 구분된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유닛은 상기 제1 내지 제3 테스트 라인 중 어느 하나의 테스트 라인만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테스트 라인 제공부(220)에서 제공되는 제1 내지 제3 테스트 라인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30)는 제1 물리 계층이 장착되는 장착부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30)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 연결부(210)에 연결된 네트워크 유닛(100)과 상기 제1 물리 계층을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30)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 연결부(210)에 장착된 네트워크 유닛(100)과 상기 제1 물리 계층 사이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라인(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30)에는 제1 물리 계층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을 제1 테스트 모드로 테스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30)에는 제1 물리 계층이 장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40)는 상기 제1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3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240)는 상기 제1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30)과 이더넷 네트워크 라인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커넥터(240)는 이더넷 네트워크 포트(미도시)의 일단이 삽입되는 커넥터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커넥터(250)는 상기 제1 커넥터(24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커넥터(250)는 이더넷 네트워크 라인을 통해, 슬레이브로 설정되는 제2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1 물리 계층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커넥터(250)는 이더넷 네트워크 포트(미도시)의 타단이 삽입되는 커넥터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60)는 제2 물리 계층이 장착되는 장착부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60)는 이더넷 네트워크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30)에 연결된 제1 물리 계층과 연결되는 제2 물리 계층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60)에는 제2 물리 계층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을 제1 테스트 모드로 테스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60)에는 슬레이브로 설정된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제2 물리 계층이 장착될 수 있다.
제2 미디어 접근 제어 유닛 연결부(270)는 제2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이 장착되는 장착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미디어 접근 제어 유닛 연결부(270)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위해, 이의 상대가 되는 제2 네트워크 장치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미디어 접근 제어 유닛 연결부(270)에는 슬레이브로 설정되는 제2 네트워크 장치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유닛이 장착되는 장착부일 수 있다. 상기 제2 미디어 접근 제어 유닛 연결부(270)에 장착되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은, 이전에 설명한 네트워크 유닛과 같이,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을 포함한 컨트롤러 유닛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유닛일 수 있다.
상기 제2 미디어 접근 제어 유닛 연결부(270)에 장착된 제2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은 슬레이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2 미디어 접근 제어 유닛 연결부(270)에 장착된 슬레이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은 테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테스트 라인 제공부(220)에 연결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상기 제2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6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미디어 접근 제어 유닛 연결부(270)에 장착된 슬레이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은, 제1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제2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60)에 장착된 제2 물리 계층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미디어 접근 제어 유닛 연결부(270)에 장착된 슬레이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은, 제3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테스트 라인 제공부(220)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유닛 연결부(210)에 장착된 네트워크 유닛(100)과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다양한 테스트 모드의 지원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상대가 되는 제품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테스트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테스트 라인 제공부(220)에서 제공되는 테스트 라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제1 테스트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제2 테스트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실시 예에 다른 제3 테스트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테스트 라인은 제1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경로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테스트 모드는 네트워크 유닛(100)에 제1 물리 계층이 연결된 상태에서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테스트 모드는 상기 제1 물리 계층에 이의 상대가 되는 제2 네트워크 장치 또는 슬레이브 네트워크 장치의 제2 물리 계층 및 제2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이 연결된 상태에서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테스트 라인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 연결부(210)에 장착된 네트워크 유닛(100)과 상기 제1 물리 계층 유닛 연결부(230)에 장착된 제1 물리 계층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물리 계층은 복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물리 계층은 제1 내지 제8 핀(P1a, P2a, P3a, P4a, P5a, P6a, P7a, P8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물리 계층은 차동 신호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제1 핀(P1a) 및 제2 핀(P2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물리 계층은 차동 신호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제3 핀(P3a) 및 제4 핀(P4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물리 계층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리셋 핀(P5)과 연결되는 제5 핀(P5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물리 계층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인터럽트 핀(P6)과 연결되는 제6 핀(P6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물리 계층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관리 데이터 핀(P7)과 연결되는 제7 핀(P7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물리 계층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클록 핀(P8)과 연결되는 제8 핀(P8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테스트 라인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에서 송신되는 테스트 패킷을 상기 제1 물리 계층으로 전송하는 제1 라인(Tx1, Tx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Tx1, Tx2)은 차동 신호로 상기 테스트 패킷을 전달하는 제1-1 라인(Tx1) 및 제1-2 라인(Tx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라인(Tx1)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제1 송신 핀(P1)과 상기 제1 물리 계층의 상기 제1 핀(P1a)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라인(Tx2)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제2 송신 핀(P2)과 상기 제2 물리 계층의 상기 제2 핀(P2a)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1 라인(Tx1) 및 제1-2 라인(Tx2)은 제1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상기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에서 제공되는 테스트 패킷을 상기 제1 물리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테스트 라인은 상기 제1 물리 계층에 수신된 테스트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에 송신하는 제2 라인(Rx1, Rx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라인(Rx1, Rx2)은 차동 신호로 상기 테스트 패킷을 전달하는 제2-1 라인(Rx1) 및 제2-2 라인(Rx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라인(Rx1)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제1 수신 핀(P3)과 상기 제1 물리 계층의 제3 핀(P3a)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 라인(Rx2)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2 수신 핀(P4)과 상기 제1 물리 계층의 제4 핀(P4a)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1 라인(Rx1) 및 제2-2 라인(Rx2)은 제1 테스트 모드에서, 슬레이브 네트워크 장치에서 송신된 테스트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제1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제1 테스트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물리 계층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제1 테스트 모드에서, 테스트 패킷을 상기 제1 물리 계층으로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1 물리 계층으로부터 송신되는 테스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제2 테스트 라인은 제2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경로를 형성한다.
이때, 제2 테스트 모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에 제1 물리 계층이 미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이 단독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테스트 라인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송신 핀과 수신 핀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테스트 라인은 제1 라인(TX1, Rx1) 및 제2 라인(Tx2, Rx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Tx1, Rx1)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제1 송신 핀(P1)과 제1 수신 핀(P3) 사이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라인(Tx2, Rx2)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제2 송신 핀(P2)과 제2 수신 핀(P2) 사이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은 제2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제1 송신 핀(P1) 및 제2 송신 핀(P2)을 통해 출력한 테스트 패킷을 제1 수신 핀(P3) 및 제2 수신 핀(P4)을 통해 직접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제3 테스트 라인은 제3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경로를 형성한다.
이때, 제3 테스트 모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에 제1 물리 계층이 미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과 서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400, 예를 들어, 슬레이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 사이에서 주고받은 테스트 패킷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테스트 라인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송신 핀과 서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400)의 수신 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라인(Tx1, Tx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테스트 라인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수신핀과 상기 서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400)의 송신 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라인(Rx1, Rx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400)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에 포함된 복수의 핀에 대응하는 핀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400)은 상기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제1 송신 핀(P1)에 대응하는 제1' 송신 핀(P1b)과, 제2 송신 핀(P2)에 대응하는 제2' 송신 핀(P2b)과, 제1 수신 핀(P3)에 대응하는 제1' 수신 핀(P3b)과, 제2 수신 핀(P4)에 대응하는 제2' 수신 핀(P4b)과, 리셋 핀(P5)에 대응하는 리셋 핀(P5b)과, 인터럽트 핀(P6)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핀(P6b)과, 관리 데이터 핀(P7)에 대응하는 관리 데이터 핀(P7b)과, 클록 핀(P8)에 대응하는 클록 핀(P8')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라인은 상기 제1 송신 핀(P1)과 제1' 수신 핀(P3b) 사이를 연결하는 제1-1 라인(Tx1)과, 상기 제2 송신 핀(P2)과 제2' 수신 핀(P4b) 사이를 연결하는 제1-2 라인(Tx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제1 수신 핀(P3)과 제1' 송신 핀(P1b) 사이를 연결하는 제2-1 라인(Rx1)과, 상기 제2 수신 핀(P4)과 제2' 송신 핀(P2b) 사이를 연결하는 제2-2 라인(Rx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은 상기 제3 테스트 라인을 통해, 상기 서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400)으로 테스트 패킷을 송신한다. 이후,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은 상기 서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400)에서 송신되는 테스트 패킷을 수신한다. 이후,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은 상기 송신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된 테스트 패킷을 비교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유닛은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을 포함하여 구현된 컨트롤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유닛은 구축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조건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게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테스트 환경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이 실제 사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게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에 물리 계층이 연결된 제1 상태, 상기 물리 계층이 연결되지 않은 제2 상태 및 서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이 연결된 제3 상태를 인식하고, 이를 기준으로(또는 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 모드를 결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유닛은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를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유닛은 현재 구성된 테스트 환경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테스트 환경에 대응하는 테스트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테스트 진행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네트워크 유닛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네트워크 유닛에 대해 다양한 테스트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제품 신뢰성 및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모드 결정 방법 및 결정된 테스트 모드에 따라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를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의 테스트 모드 결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는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에 네트워크 유닛(100)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프로세서(170)의 동작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에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장착된 네트워크 유닛(100)에 전원을 공급(전원 온)할 수 있다(S100).
이후,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컨트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프로세서(170)의 특정 핀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확인한다(S110).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프로세서(170)의 GPIO(General-Purpose Input/Output)의 특정 핀과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의 특정 핀을 연결한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프로세서(170)의 GPIO의 특정 핀을 통해 테스트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기본이 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200)은 풀-업 회로 또는 풀-다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풀-업 회로 또는 풀-다운 회로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170)의 GPIO의 특정 핀으로 하이 레벨의 신호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물리 계층 없이,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을 포함한 컨트롤러 유닛들 사이에서 직접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네트워크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일 예로, HDBASE-T 등의 신규 네트워크 규격에서는, 물리계층 없이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들이 서로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 가상의 물리 계층 드라이버를 통해 상호 신호를 주고받게 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진행할 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들 사이에서의 네트워크 테스트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들 사이에서의 네트워크 테스트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프로세서(170)의 특정 핀으로 이에 대한 하이 레벨의 신호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GPIO의 특정 핀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제1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MAC-MAC 사이의 테스트를 위한 제3 테스트 모드로 진행할 것을 요청하는 제2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아니면 제1 또는 제2 테스트 모드로 진행할 것을 요청하는 제1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GPIO의 특정 핀을 통해 획득한 신호가 제1 신호인 경우, 상기 제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관리 데이터 핀(P7)을 통해 물리 계층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130).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에 연결된 제1 물리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관리 데이터 핀(P7)을 통해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의 식별 정보 등을 읽을 수 있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관리 데이터 핀(P7)을 통해 상기 제1 물리 계층의 식별 정보가 획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제1 물리 계층의 식별 정보의 획득 여부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에 연결된 제1 물리 계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제1 물리 계층의 식별 정보가 획득된 경우(또는 상기 연결된 제1 물리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 제1 테스트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제1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진행한다(S150).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제1 물리 계층의 식별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또는 상기 연결된 제1 물리 계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테스트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제2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진행한다(S160).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GPIO의 특정 핀을 통해 제2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3 테스트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제3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를 진행한다(S170).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제1 테스트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제1 테스트 모드에 따른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유닛(100)은 프로세서(170)의 GPIO의 특정 핀을 통해 제1 신호(예를 들어, 로우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고,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관리 데이터 핀(P7)을 통해 물리 계층의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제1 테스트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70)는 제1 테스트 모드의 진행을 위한 드라이버를 로드할 수 있다.
이후,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유닛(100)의 패킷 생성부(120)는 제1 테스트 모드에 따른 테스트 진행을 위해 테스트 패킷을 생성한다(S200). 이때, 상기 패킷 생성부(120)는 랜덤의 테스트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유닛(100)의 패킷 암호화부(130)는 상기 패킷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된 테스트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는 상기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한다(S210). 이를 위해, 네트워크 유닛(100)의 프로세서(170)는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를 통해 암호화를 진행하기 위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를 통해 상기 테스트 패킷의 암호화가 진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의 선택은 랜덤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의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의 선택은 테스트 모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유닛(100)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송신 핀(P1, P2)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테스트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S220). 이때,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제1 물리 계층과 연결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상기 암호화된 테스트 패킷은 상기 연결된 제1 물리 계층으로 송신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수신 핀(P3, P4)을 통해, 상기 제1 물리 계층으로부터 전송되는 테스트 패킷을 수신한다(S23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물리 계층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으로부터 송신되는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을 이더넷 네트워크 라인을 통해 연결된 슬레이브 네트워크 장치 또는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제2 물리 계층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네트워크 장치 또는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테스트 패킷이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예를 들어, 이와 동일한) 테스트 패킷을 다시 상기 제1 물리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레이브 네트워크 장치 또는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테스트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테스트 패킷을 다시 상기 제1 물리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물리 계층은 상기 슬레이브 네트워크 장치 또는 제2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패킷 복호화부(140)는 상기 수신된 테스트 패킷을 복호화한다(S240). 예를 들어, 상기 패킷 복호화부(140)는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에서 사용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을 복호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유닛(100)의 비교부(150)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에서 송신한 테스트 패킷과 수신한 테스트 패킷을 비교하고, 이에 따른 비교 결과 정보를 프로세서(170)로 출력한다(S250). 예를 들어, 상기 비교부(150)는 상기 패킷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패킷 복호화부(140)에서 복호화된 테스트 패킷을 비교한 후에 이의 비교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유닛(100)의 프로세서(170)는 상기 비교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비교 결과 정보를 토대로 테스트 결과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프로세서(17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송신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의 동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60).
다음으로, 프로세서(170)는 상기 송신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이 동일하면, 테스트 결과를 정상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테스트 결과 출력부(160)를 통해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 결과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S270).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송신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이 서로 다르면, 테스트 결과를 비정상 또는 이상 상태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테스트 결과 출력부(160)를 통해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 결과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S280).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제2 테스트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세팅 동작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제2 테스트 모드에 따른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의 S30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유닛(100)은 프로세서(170)의 GPIO의 특정 핀을 통해 제1 신호(예를 들어, 로우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고,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관리 데이터 핀(P7)을 통해 물리 계층의 식별 정보가 획득되지 않으면(예를 들어, 연결된 물리 계층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2 테스트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70)는 제2 테스트 모드의 진행을 위한 드라이버를 로드할 수 있다.
이후,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유닛(100)의 프로세서(170)는 상기 제2 테스트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세팅 동작을 진행한다(S300). 상기 세팅 동작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3 테스트 모드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세팅 동작은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에 연결된 물리 계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상으로 상기 물리 계층이 연결된 상태인 것으로 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세팅 동작은 이후의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세팅 동작이 진행되면, 상기 패킷 생성부(120)는 제2 테스트 모드에 따른 테스트 진행을 위해 테스트 패킷을 생성한다(S310). 이때, 상기 패킷 생성부(120)는 랜덤의 테스트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킷 생성부(120)는 테스트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테스트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패킷 생성부(120)는 테스트 모드에 관계없이, 랜덤의 테스트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유닛(100)의 패킷 암호화부(130)는 상기 패킷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된 테스트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는 상기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한다(S320). 이를 위해, 네트워크 유닛(100)의 프로세서(170)는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를 통해 암호화를 진행하기 위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를 통해 상기 테스트 패킷의 암호화가 진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의 선택은 랜덤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의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의 선택은 테스트 모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유닛(100)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송신 핀(P1, P2)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테스트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S330).
이때,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송신 핀과 수신 핀의 서로 직접 연결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송신 핀(P1, P2)을 통해 송신되는 테스트 패킷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의 수신 핀(P3, P4)을 통해 직접 수신될 수 있다(S340).
다음으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패킷 복호화부(140)는 상기 수신된 테스트 패킷을 복호화한다(S350). 예를 들어, 상기 패킷 복호화부(140)는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에서 사용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을 복호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유닛(100)의 비교부(150)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에서 송신한 테스트 패킷과 수신한 테스트 패킷을 비교하고, 이에 따른 비교 결과 정보를 프로세서(170)로 출력한다(S360). 예를 들어, 상기 비교부(150)는 상기 패킷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패킷 복호화부(140)에서 복호화된 테스트 패킷을 비교한 후에 이의 비교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유닛(100)의 프로세서(170)는 상기 비교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비교 결과 정보를 토대로 테스트 결과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프로세서(17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송신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의 동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70).
다음으로, 프로세서(170)는 상기 송신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이 동일하면, 테스트 결과를 정상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테스트 결과 출력부(160)를 통해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 결과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S380).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송신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이 서로 다르면, 테스트 결과를 비정상 또는 이상 상태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테스트 결과 출력부(160)를 통해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 결과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S390).
도 1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유닛(100)의 프로세서(170)는 상기 제2 테스트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로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테스트 모드를 진행하기 위한 드라이버를 로딩할 수 있다(S400).
다음으로, 네트워크 유닛(100)의 프로세서(170)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에 연결된 물리 계층이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이 가상으로 존재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상의 물리 계층 드라이버를 로딩할 수 있다(S410). 상기 가상의 물리 계층 드라이버가 로딩됨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가상의 물리 계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실시 예에서는 네트워크 유닛(100)의 프로세서(170)는 상기 로딩된 가상의 물리 계층 드라이버와 가상의 링크를 통해 연결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상의 링크의 속도를 설정한다(S420).
다음으로,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상의 물리 계층과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 사이의 연결 상태를 유지시키고(S430), 상기 연결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S310 내지 S39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 예에 따른 제3 테스트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제3 테스트 모드에 따른 네트워크 유닛(100)의 테스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유닛(100)은 프로세서(170)의 GPIO의 특정 핀을 통해 제2 신호(예를 들어,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면, 제3 테스트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70)는 제3 테스트 모드의 진행을 위한 드라이버를 로드할 수 있다.
이후,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유닛(100)의 패킷 생성부(120)는 제1 테스트 모드에 따른 테스트 진행을 위해 테스트 패킷을 생성한다(S500). 이때, 상기 패킷 생성부(120)는 랜덤의 테스트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유닛(100)의 패킷 암호화부(130)는 상기 패킷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된 테스트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는 상기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한다(S510). 이를 위해, 네트워크 유닛(100)의 프로세서(170)는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를 통해 암호화를 진행하기 위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를 통해 상기 테스트 패킷의 암호화가 진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의 선택은 랜덤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의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의 선택은 테스트 모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유닛(100)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송신 핀(P1, P2)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테스트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S520). 이때,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슬레이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과 연결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상기 암호화된 테스트 패킷은 상기 연결된 슬레이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으로 송신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은 수신 핀(P3, P4)을 통해, 상기 슬레이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으로부터 전송되는 테스트 패킷을 수신한다(S530). 구체적으로, 상기 슬레이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으로부터 송신되는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을 다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패킷 복호화부(140)는 상기 수신된 테스트 패킷을 복호화한다(S540). 예를 들어, 상기 패킷 복호화부(140)는 상기 패킷 암호화부(130)에서 사용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을 복호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유닛(100)의 비교부(150)는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110)에서 송신한 테스트 패킷과 수신한 테스트 패킷을 비교하고, 이에 따른 비교 결과 정보를 프로세서(170)로 출력한다(S550). 예를 들어, 상기 비교부(150)는 상기 패킷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패킷 복호화부(140)에서 복호화된 테스트 패킷을 비교한 후에 이의 비교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유닛(100)의 프로세서(170)는 상기 비교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비교 결과 정보를 토대로 테스트 결과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유닛(100)의 프로세서(17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송신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의 동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60).
다음으로, 프로세서(170)는 상기 송신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이 동일하면, 테스트 결과를 정상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테스트 결과 출력부(160)를 통해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 결과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S570).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송신된 테스트 패킷과 상기 수신한 테스트 패킷이 서로 다르면, 테스트 결과를 비정상 또는 이상 상태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테스트 결과 출력부(160)를 통해 이에 대응하는 테스트 결과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S580).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유닛은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을 포함하여 구현된 컨트롤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유닛은 구축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조건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게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테스트 환경에서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이 실제 사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게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유닛에 물리 계층이 연결된 제1 상태, 상기 물리 계층이 연결되지 않은 제2 상태 및 서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이 연결된 제3 상태를 인식하고, 이를 기준으로(또는 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 모드를 결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유닛은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를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유닛은 현재 구성된 테스트 환경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테스트 환경에 대응하는 테스트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테스트 진행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네트워크 유닛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네트워크 유닛에 대해 다양한 테스트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제품 신뢰성 및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은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 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을 포함하여 구현된 컨트롤러 유닛의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관리 데이터 핀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에 연결된 물리 계층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의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의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스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데이터 핀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MDIO(Management Data Input/Output) 핀을 포함하는,
    테스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리 계층의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에 물리 계층이 연결된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물리 계층의 식별 정보가 획득되지 않으면,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이 상기 물리 계층이 미연결된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는,
    테스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의 GPIO(General-Purpose Input/Output)의 특정 핀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핀을 통해 제1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수행되고,
    상기 특정 핀을 통해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제3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의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스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1 테스트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제1 테스트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에 대응되는 제2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2 테스트 패킷을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테스트 패킷과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의 송신 경로 및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의 수신 경로는 다른,
    테스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으로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스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송신 핀과 수신 핀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제2 테스트 모드에서의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송신 핀에서 송신된 테스트 패킷이고,
    상기 제2 테스트 모드에서의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수신핀에서 수신된 테스트 패킷인,
    테스트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3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에 연결된 서브 또는 슬레이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으로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또는 슬레이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에 대응하는 제2 테스트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스트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제1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스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 유닛의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암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스트 방법.
  11.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유닛은,
    제1 테스트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
    상기 생성된 제1 테스트 패킷을 암호화하는 패킷 암호화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에서 수신한 제2 테스트 패킷을 복호화하는 패킷 복호화부;
    상기 제1 테스트 패킷과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테스트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테스트 모드에 대응되는 테스트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의 송신 및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의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른 테스트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MDIO(Management Data Input/Output) 핀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MDIO 핀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에 연결된 물리 계층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이 존재하면, 제1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테스트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의 송신 및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의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2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테스트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의 송신 및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의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제1 테스트 라인과 상기 제2 테스트 라인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MDIO 핀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가 특정 물리 계층의 식별 정보이면, 상기 연결된 물리 계층이 존재하는 것을 판단하는,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GPIO(General-Purpose Input/Output)의 특정 핀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핀을 통해 수신된 신호가 제1 신호이면, 상기 MDIO 핀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테스트 모드 또는 제2 테스트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특정 핀을 통해 수신된 신호가 제2 신호이면, 제3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제3 테스트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의 송신 및 상기 제2 테스트 패킷의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라인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 및 상기 물리 계층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테스트 라인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송신 핀과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의 수신 핀 사이를 직접 연결하며,
    상기 제3 테스트 라인은 상기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과 서브 또는 슬레이브 미디어 접근 제어 계층 사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테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테스트 패킷의 암호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16. 네트워크 유닛; 및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를 위한 복수의 테스트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테스트 라인 중 선택된 테스트 라인에 대응하게 상기 네트워크 유닛의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는 테스트 환경 구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유닛은, 제11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의 컨트롤러 유닛이며,
    상기 복수의 테스트 라인은 제1 내지 제3 테스트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테스트 라인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
KR1020210186577A 2021-12-23 2021-12-23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 및 이의 테스트 방법 KR20230096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577A KR20230096755A (ko) 2021-12-23 2021-12-23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 및 이의 테스트 방법
PCT/KR2022/021234 WO2023121407A1 (ko) 2021-12-23 2022-12-23 네트워크 테스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577A KR20230096755A (ko) 2021-12-23 2021-12-23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 및 이의 테스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755A true KR20230096755A (ko) 2023-06-30

Family

ID=8690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577A KR20230096755A (ko) 2021-12-23 2021-12-23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 및 이의 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96755A (ko)
WO (1) WO202312140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93B1 (ko) * 2009-02-13 2016-10-25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관리된 접속성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212823B1 (ko) * 2012-05-24 2012-12-21 주식회사 아이티엔티 테스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KR20150096495A (ko) * 2012-12-20 2015-08-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Mdio를 sgmii 송신들로 인코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980223B (zh) * 2017-03-22 2020-10-16 深圳配天智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以太网互联电路及装置
JP7219566B2 (ja) * 2018-08-27 2023-02-08 日本無線株式会社 無線通信テスト装置、無線通信テスト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1407A1 (ko)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2221B2 (en)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in vehicle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1086810B2 (en) Intelligent controller and sensor network bus, system and method including multi-layer platform security architecture
US10525911B2 (en) Gateway device, vehicle network system, and transfer method
US20150180840A1 (en) Firmware upgrade method and system thereof
US11156987B2 (en) Intelligent controller and sensor network bus,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 message retransmission mechanism
US200600831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n automotive switch fabric network
US10581739B2 (en) System for verification of unregistered device based on information of Ethernet switch and method for the same
US107497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network
US11258538B2 (en) Intelligent controller and sensor network bus,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n error avoidance and correction mechanism
WO2017203905A1 (ja) ネットワークハブ、転送方法及び車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15811536B (zh) 一种基于多核异构的汽车中央网关***及实现方法
KR102234210B1 (ko)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를 위한 보안 방법
KR102471004B1 (ko) 차량용 이더넷 통신 시스템 및 이의 통신 방법
US11637743B2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of communications
WO2021146174A1 (en) Intelligent controller and sensor network bus, system and method including multi-layer platform security architecture
JP7380671B2 (ja) 管理装置、車両通信システム、車両通信管理方法および車両通信管理プログラム
CN117376339A (zh) 基于ota的车辆ecu升级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230096755A (ko) 네트워크 테스트 장치, 네트워크 테스트 시스템 및 이의 테스트 방법
Elhadeedy et al. 60 GHz Wi-Fi as a Tractor-Trailer Wireless Harness
CN114208258B (zh) 智能控制器和传感器网络总线以及包括消息重传机制的***和方法
US11677727B2 (en) Low-latency MACsec authentication
KR102262081B1 (ko) 통신 노드의 적합성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228331B1 (ko)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US20190052459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secret in a network having at least two transmission channels
CN108141357B (zh) 用于在网络中生成秘密的电路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