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049A - 편평 세포 암종 치료용 IL-2/IL-15Rβγ 작용제 - Google Patents

편평 세포 암종 치료용 IL-2/IL-15Rβγ 작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049A
KR20230096049A KR1020237017699A KR20237017699A KR20230096049A KR 20230096049 A KR20230096049 A KR 20230096049A KR 1020237017699 A KR1020237017699 A KR 1020237017699A KR 20237017699 A KR20237017699 A KR 20237017699A KR 20230096049 A KR20230096049 A KR 20230096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15rβγ
agonist
days
treatment
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파노 페르라라
유리히 모에비우스
데이비드 붸차드
이레나 애드킨스
나다 포드짐코바
Original Assignee
싸이튠 파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싸이튠 파마 filed Critical 싸이튠 파마
Publication of KR20230096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0Interleukins [IL]
    • A61K38/2086IL-13 to IL-1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편평 세포 암종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인터루킨-2/인터루킨-15 수용체 βγ (IL-2/IL- 15Rβγ) 작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편평 세포 암종 환자를 IL-2/IL- 15Rβγ 작용제로 치료하기 위한 투여 방식이 추가로 제공된다.

Description

편평 세포 암종 치료용 IL-2/IL-15Rβγ 작용제
본 발명은 편평 세포 암종 치료용 IL-2/IL-15Rβγ 작용제에 관한 것이다.
암 및 감염성 질환 치료의 최근 발전에도 불구하고 더 효과적이고 내약성이 높은 치료에 대한 의학적 요구는 여전히 충족되지 않았다. 면역치료법, 즉 질병 퇴치를 돕기 위해 신체 자체의 면역계를 사용하는 치료는 건강한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악성 종양 세포 또는 감염된 세포를 죽이는 면역계의 힘을 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면역계는 악성 종양을 찾아 제거하는 고유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반면, 종양과 지속적인 감염은 면역 감시를 피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개발하였다(Robinson and Schluns 2017). 면역 관용의 잠재적인 이유에는 선천적 면역 활성화 실패, 물리적 장벽으로서 조밀한 기질의 관여, 면역 억제 종양유전자 경로의 가능한 기여 등이 있다(Gajewski et al. 2013). 일부 임상적 성공을 거둔 면역치료법의 한 그룹은 사이토카인 치료, 보다 구체적으로 NK 세포를 통한 선천적 면역 반응 및 CD8+ T 세포를 통한 후천적 면역 반응 둘 다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알데스류킨/PROLEUKIN®(Prometheus Laboratories Inc.)으로 시판되는 인터루킨 2(IL-2) 및 인터루킨 15(IL-15) 치료법이다(Steel et al. 2012, Conlon et al. 2019). IL-2 치료법에서 인상적인 종양 퇴행이 관찰되었지만 반응은 소수의 환자에게만 국한되었으며 생명을 위협하는 높은 수준의 독성을 수반한다. 또한, IL-2는 T 세포의 활성화-유도된 세포 죽음의 유도 및 면역억제 조절 T 세포(Tregs)의 확장을 통해 면역-강화 뿐만 아니라 면역억제 활성을 나타냈다(Robinson and Schluns 2017).
IL-2와 IL-15는 모두 α, β 및 γ 서브유닛을 갖는 이종삼량체 수용체를 통해 작용하는 반면, 그들은 IL-4, IL-7, IL-9 및 IL-21과 함께 공통 감마-사슬 수용체(γc 또는 γ) 및 IL-2/IL-15Rβ(IL-2Rβ, CD122라고도 함)를 공유한다. 세 번째 서브유닛으로서 이종삼량체 수용체는 IL-2 또는 IL-15에 대한 특정 서브유닛, 즉 IL-2Rα(CD25) 또는 IL-15Rα(CD215)를 포함한다. 다운스트림에서 IL-2 및 IL-15 이종삼량체 수용체는 유사한 기능을 유도하는 세포내 신호전달을 위해 JAK1(야누스 키나아제 1), JAK3 및 STAT3/5(전사 3 및 5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화제) 분자를 공유하지만 두 사이토카인도 Waldmann(2015, 표 1 참조) 및 Conlon(2019)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별개의 역할이 있다. 따라서, IL-2, IL-15 또는 이들의 유도체의 결합에 의한 상이한 이종삼량체 수용체의 활성화는 잠재적으로 면역계의 특이적 조절 및 잠재적인 부작용으로 이어진다. 최근에, NK 세포 및 CD8+ T 세포의 활성화를 특이적으로 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새로운 화합물이 설계되었다.
이들은 중간-친화성 IL-2/IL-15Rβγ, 즉 NK 세포, CD8+ T 세포, NKT 세포 및 γδ T 세포에서 발현되는 IL-2/IL-15Rβ 및 γc 서브유닛으로 구성된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화합물이다. 이것은 IL-15 트랜스-제시에 의해 매개되는 안전하고 강력한 면역 자극에 중요한 반면, 설계된 화합물 SO-C101 (SOT101, RLI-15), 노가펜데킨-알파/인바키셉트(nogapendekin-alfa/inbakicept) (ALT-803) 및 hetIL-15는 이미 IL-15Rα 서브유닛(의 일부)을 포함하므로 항원제시세포에 의한 α 서브유닛의 트랜스-제시를 시뮬레이션한다. SO-C101은 IL-15Rα의 공유적으로 부착된 스시+도메인을 포함하기 때문에 중간-친화성 IL-15Rβγ에만 결합한다. 차례로, SO-C101은 IL-15Rα 또는 IL-2Rα에 결합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ALT-803 및 hetIL-15는 각각 IL-15Rα 스시 도메인 또는 가용성 IL-15Rα를 보유하므로 중간-친화성 IL-15Rβγ 수용체에 결합한다. 그러나 비공유 결합으로 인해 복합체가 생체내에서 해리되어 적용된 복합체의 해리된 부분이 다른 결합을 추가로 발휘할 가능성이 있다(아래 참조). ALT-803은 IL-15에 대한 부분적 결합만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진 IL-15Rα의 스시 도메인만을 포함하므로, 해리 가능성은 hetIL-15에 비해 ALT-803이 더 높을 가능성이 있는 반면 스시+ 도메인은 완전 결합에 필요하다(Wei et al. 2001).
중간-친화성 IL-2/IL-15Rβ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또 다른 예는 NKTR-214이며, 이의 가장 활성적인 1-PEG-IL-2 상태로의 가수분해는 IL-2/IL-2Rα 경계면에서 PEG 사슬의 위치가 고-친화성 IL-2Rα에 대한 결합을 방해하는 한편 중간-친화성 IL-2/IL-15Rβ에 대한 결합은 교란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는 종을 생성한다(Charych et al. 2016). 또한, IL-2Rα 서브유닛에 대한 결합이 제거된 돌연변이 IL-2 IL2v는 이러한 종류의 화합물의 한 예이다(Klein et al. 2013, Bacac et al. 2016). 또한, IL-2Rα의 세포 외 도메인과 원형으로 순열된(β 및 v 수용체 사슬과 링커의 상호작용을 피하기 위해) IL-2로 구성된 IL-2/IL-2Rα 융합 단백질 넴발루킨 알파(ALKS 4230)는 α-결합면이 이미 IL-2Rα 융합 성분에 의해 점유되므로 βv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표적화한다(Lopes et al. 2020). 중간-친화성 IL-2/IL-15Rβγ 수용체의 표적화는 IL-2에 의해 유도된 T 조절 세포(Tregs) 활성화 또는 고농도의 가용성 IL-2 또는 IL-15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혈관 누출 증후군과 같은 고-친화성 IL-2 및 IL-15 수용체 표적화와 관련된 책임을 피한다.
이는 IL-2Rαβγ 고 친화성 수용체가 CD4+ Tregs 및 혈관 내피에서 추가로 발현되고 IL-2 시스-제시에 의해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친화성 IL-2Rαβγ를 표적으로 하는 화합물은 천연 IL-2 또는 가용성 IL-15에서 관찰된 바와 같이 잠재적으로 Treg 확장 및 혈관 누출 증후군(VLS)을 유발할 수 있다(Conlon et al. 2019). 잠재적으로 VLS는 탈-페길화된 NKTR-214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탈-페길화된 NKT2-214는 반감기가 짧고 이러한 부작용이 어느 정도 역할을 하는지 여부는 임상 개발에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
IL-15 시스-제시에 의해 활성화된 고-친화성 IL-15Rαβγ 수용체는 T 세포 백혈병에서 구성적으로 발현되고 염증성 NK 세포, 염증성 CD8+ T 세포 및 섬유아세포 유사 활막세포에서 상향조절된다(Kurowska et al. 2002, Perdreau et al. 2010), 즉 이들 세포는 또한 IL-15Rα 서브유닛을 발현한다. 이러한 활성화는 이러한 세포에 대한 IL-15 시스-제시가 T 세포 백혈병의 발병 및 면역 반응의 악화와 관련되어 잠재적으로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하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유사하게, 고-친화성 IL-15Rαβγ 수용체는 혈관 내피에서 발현되고 가용성 IL-15는 또한 VLS를 유도할 수 있다. IL-15/IL-15Rα 복합체는 이종삼량체 IL-15Rαβγ 수용체에 대한 결합을 입체적으로 방해하는 IL-15Rα의 스시 도메인을 적어도 이미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고-친화성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는다. 고 친화성 IL-15Rαβγ 수용체의 결합을 통해 유발된 이러한 부작용은 천연 IL-15에 의해 유발되지만 복합체의 분해가 생체내에서 발생하는 경우 ALT-803 및 hetIL-15와 같은 비공유 IL-15/IL-15Rα 복합체에 의해서도 유발된다.
마지막으로, 고-친화성 IL-15Rα는 골수 세포, 대식세포, B 세포 및 호중구에서 구성적으로 발현되며(Chenoweth et al. 2012), 천연 IL-15에 의해 활성화되고, 복합체의 분해가 생체내에서 발생하는 경우 ALT-803 및 hetIL-15와 같은 비공유 IL-15/IL-15Rα 복합체에 의해 다시 활성화될 수 있다.
요약하면, IL-15는 IL-2와 유사한 면역 강화 특성을 갖지만 Treg 세포의 활성화와 같은 면역-억제 활성을 공유하지 않는 것으로 믿어지고 임상에서 VLS를 유발하지 않는 반면(Robinson and Schluns 2017), IL-15 치료의 단점은 생체내 반감기가 짧고 다른 세포 유형에 의한 트랜스-제시에 대한 의존도를 포함한다(Robinson and Schluns 2017). 이것은 조작된 IL-2/IL-15Rβγ 작용제의 개발로 이어지며, 그 중 일부는 최근에 임상 개발에 들어갔다.
고-용량 IL-2 치료는 신세포암종 및 전이성 흑색종에서 승인되었지만(600,000 IU/kg에서 최대 14회 투여를 위해 8시간마다 15분에 걸쳐 i.v. 볼루스 투여, 이어서 환자가 견딜 수 있는 경우 요법을 반복하기 전에 9일 휴식), IL-2는 예를 들어, 확장된 NK 세포 풀의 활성화를 제공하기 위해 IL-2의 중간 펄스로 저-용량 확장 NK 세포에서 90일 이상 주입하여 더 나은 내약성 안전성 프로파일과 함께 충분한 면역 활성화를 제공하는 저-용량 일정을 정의하기 위해 계속 조사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른 면역치료제와 병용하여 제공되는 기타 많은 저-용량 i.v. 또는 s.c. 치료가 평가되었지만 결정적인 결과는 없었다(Conlon et al. 2019). 저-용량 s.c. 요법(1-3천만 IU/m2/d)은 독성을 감소시키나 효능을 손상시킬 수 있음에도(Fyfe et al. 1995) Tregs를 우선적으로 활성화하기 때문에 조사되었다. 따라서 저용량 IL-2는 면역억제 치료에 사용된다(Rosenzwajg et al. 2019).
따라서, 조작된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 투여량 및 투여 일정은 예를 들어, 다른 약물과 조합하여 효능, 부작용, 환자 순응도 및 편의성과 관련된 여러 요인에 의해 주도되는 그들의 임상 성공을 위한 핵심이 될 것이다.
최근 히말라야원숭이에서 hetIL-15의 약동학 및 약력학이 발표되었다(Bergamaschi et al. 2018). hetIL-15는 1, 3, 5, 8, 10 및 12일(주기 1) 및 29, 31, 33, 36, 38 및 40일(투여 주기 2)에 투여하는 투여 주기로 0.5, 5 또는 50 ㎍/kg의 고정 용량으로 s.c. 투여되었다. 추가로, 원숭이에게 2, 4, 8, 16, 32 및 64㎍/kg의 용량으로 1일, 3일, 5일, 8일, 10일 및 12일에 주사로 2배 단계-용량 요법(doubling step-dose regimen)을 투여하였다. i.v. 투여는 약 1.5시간의 반감기로 주사 후 10분에 IL-15 혈장 수준의 피크에 이르는 반면 hetIL-15의 s.c. 투여는 약 12시간의 T½을 초래하였다. AUC와 Cmax 둘 다 1일 내지 40일에 고정 용량으로 s.c. 처리 시 5 ㎍/kg의 고정 용량에서 2배 및 4배, 그리고 심지어 50 ㎍/kg의 고정 용량에서 9배 및 8배 감소하였다. 저자들은 "투여된 hetIL-15의 소비는 IL-15에 반응하는 세포 풀의 증가를 반영하여 치료 주기 동안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그리고, "고정-용량 요법은 2주 주기 초기에는 과량의 IL-15를 제공하지만 치료 주기 후반에는 사이토카인이 충분하지 않았다" 라고 결론내렸다. 따라서 저자는 2주 동안 hetIL-15를 2에서 64 ㎍/kg으로 점진적으로 두 배로 늘리는 6회 투여 계획을 계속했으며, 이는 전신 노출 및 필적할만한 최저 수준의 점진적인 증가로 이어지며, 전반적으로 치료 중 표적 세포의 확장된 풀에 의해 증가하는 IL-15 요구와 더 잘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CD8+ T 세포의 증식과 관련하여 저자는 고정-용량 요법으로 15일째에 증식하는 Ki67+CD8+ T 세포에 대한 감소를 관찰한 반면 단계-용량 요법으로 처리된 원숭이는 8일과 15일에 높은 필적할만한 수준의 CD8+ T 세포 증식을 보였다.
설계된 IL-2/IL-15Rβγ 작용제의 대부분은 IL-15, IL-2 또는 이들의 변이체를 다른 단백질, 예를 들어, 가용성 IL-15Rα(hetIL-15, 수용체와의 복합체화가 반감기의 상당한 연장과 함께 진행됨)에 융합하거나, 항체의 Fc 부분을 US 10,206,980에 개시된 복합체(ALT-803) 또는 IL-15/IL-15Rα Fc 융합체(P22339) 및 연장된 반감기를 갖는 IL15/IL15Rα 이종이량체 Fc-융합체(Bernett et al 2017)(WO 2014/145806), 비결합 IgG(IgG-IL2v) 또는 알부민 결합 도메인(WO 2018/151868A2 참조)에 첨가하여 생체내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IL-2/IL-15Rβγ 작용제의 다른 예는 CT101-IL2(Ghasemi et al. 2016, Lazear et al. 2017), 페길화된 IL-2 분자 유사 및 NKTR-214(Charych et al. 2016) 및 THOR-924(Caffaro et al. 2019)(WO 2019/028419, WO 2019/028425), 고분자 코팅된 IL-15 NKTR-255(Miyazaki et al. 2018), NL-201/NEO-291(Silva et al.), RGD-표적화된 IL-15/IL-15Rα Fc 복합체(US 2019/0092830), Rubius Therapeutics의 RTX-240(IL-15/IL-15Rα 융합 단백질을 발현하는 적혈구, WO 2019/173798) 및 THOR-707(Joseph et al. 2019)이다. 또한, 작용제가 특정 세포, 예를 들어, 종양, 종양 미세환경 또는 면역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결합 분자에 융합된 표적화된 IL-2/IL-15Rβγ 작용제는 생체내 반감기가 증가한다(RG7813, RG7461, WO 2012/175222A1의 면역사이토카인, WO 2015/018528A1의 모듈로카인 및 KD033(Kadmon, WO 2015/109124).
연구에 따르면 ALT-803은 IL-15에서 관찰된 40분 미만과 비교하여 생쥐에서 7.5시간(Liu et al. 2018), 시노몰구스 원숭이(Rhode et al. 2016)에서 7.2 내지 8시간의 혈청 반감기를 나타낸다(Han et al. 2011). 임상에서 ALT-803은 연속 4주 동안 매주 I상 용량 증량 시험에서 i.v. 또는 s.c. 투여되었고, 이어서 0.3 ㎍/kg에서 최대 20 ㎍/kg까지 시작하는 2회의 6주 주기 요법 동안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한 2주 휴식 기간이 주어졌다. 시험 결과에 따라 ALT-803의 최적 용량 및 전달 경로로 매주 20 ㎍/kg/dose으로 s.c.를 선택하였다(Margolin et al. 2018).
NKTR-214는 생체내에서 긴 반감기로 인해 사이토카인보다 항체처럼 더 많이 투여되는 고도로 "조합가능한 사이토카인"으로 설명된다. 인간에서 예상되는 투여 일정은 21일에 한 번이다. 그러나 NKTR-214는 사이토카인 특유의 직접적인 면역 자극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페길화는 IL-2와 비교하여 NKTR-214의 약동학을 극적으로 변경하여 IL-2 등가 용량과 비교하여 종양에서 AUC의 500배 증가를 제공한다. NKTR-214의 약동학은 마우스에 i.v. 투여 후 측정되었으며, 결과적으로 NKTR-214의 가장 활성적인 종(즉, 2-PEG-IL2, 1-PEG-IL2, 유리 IL2)이 점차 증가하여 투여 후 16시간에 Cmax에 도달하고 17.6시간의 t½로 감소하였다(Charych et al. 2017). 페길화로 인해 증가된 반감기를 기반으로 NKTR-214는 NCT02983045에서 니볼루맙과 조합하여 5가지 용량 요법으로 검사되었다(www.clinicaltrials.gov 참조)
- 3주마다 0.006 mg/kg NKTR-214(q3w)와 2주마다 240 mg의 니볼루맙(q2w),
- 0.003 mg/kg NKTR-214 q2w 및 240 mg 니볼루맙 q2w,
- 0.006 mg/kg NKTR-214 q2w 및 240 mg 니볼루맙 q2w,
- 0.006 mg/kg NKTR-214 q3w 및 360 mg 니볼루맙 q3w,
- 0.009 mg/kg NKTR-214 q3w 및 360 mg 니볼루맙 q3w.
연구의 첫 번째 부분이 완료된 후 0.006 mg/kg NKTR-214 q3w 및 360 mg 니볼루맙 q3w의 용량으로 계속하였다.
최근에 IL-2/IL-15 모방체가 컴퓨터 접근 방식에 의해 설계되었으며(Silva et al. 2019), IL-2Rβγ 이종이량체에 결합하지만 IL-2Rα에 대한 결합 부위가 없어 IL-2/IL-15Rβγ 작용제로도 자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약 15kDa의 작은 크기로 인해(보충 정보 도 S13 참조) 생체내 반감기가 다소 짧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IL-2 기반 IL-2/IL-15Rβγ 작용제의 또 다른 예는 항체를 이용한 융합 단백질에 사용되는 Roche의 IL-2 변이체(IL2v)이다. IL2v를 포함하는 예인 RO687428은 임상에서 i.v.로 투여된다.
- 1일, 15일, 29일에 및 29일 이후부터 2주에 1회 5 mg의 시작 용량 및 이후에 증량 또는 q3w 일정으로(NCT03063762, www.clinicaltrials.gov 참조),
- 단일요법으로 5 mg의 시작 용량으로 매주 1회(qw),
- 세툭시맙과 병용하여 5 mg의 시작 용량으로 qw 및
- 트라스투주맙과 병용하여 10 mg의 시작 용량(NCT02627274, www.clinicaltrials.gov 참조)으로 qw,
또는 아테졸리주맙과 조합하여,
- 처음 4회 투여의 경우 qw, 및 최대 36개월까지 나머지 투여의 경우 10 mg의 1차 용량으로 시작하고, 2차 및 다음 투여의 경우 15 mg으로 2주에 1회(q2w),
- 처음 4회 투여의 경우 qw, 및 최대 36개월까지 나머지 투여의 경우 10 mg의 시작 용량으로 그리고 2차 및 다음 투여의 경우 15 mg으로 q2w,
- 최대 36개월까지 10 mg 용량으로 q3w,
- 4주 동안 qw 후 2차 투여부터 15 mg 및 20 mg의 시작 용량으로 q2w, 또는
- 15 mg 용량으로 q3w(NCT03386721, www.clinicaltrials.gov 참조).
IL-15 및 IL-2/IL-15Rβγ 작용제의 생체내 반감기
T ½ 마우스 s.c. T ½ 인간 최적화된 인간 투여
IL-15 (rhIL-15) < 40 분 s.c. 볼루스 i.v. 후 Tmax 4h
T½ = 2.7h
s.c. 1-8일 및 22-29ㅇ일 또는
i.v. 5일 또는 10일 연속 계속 주입, 또는
i.v. 12일 연속 매일
NCT03388632
NCT01572493
NCT01021059
(Han et al. 2011)
(Miller et al. 2018)
(Conlon et al. 2015)
ALT-803 i.v.의 경우 7.5h 대 s.c.의 경우 l7.7h s.c > 96h,
i.v.는 그렇지 않음
6h 후 Cmax 는 24h에도 검출가능
20 ㎍/kg s.c. qw (Romee et al. 2018)
(Wrangle et al. 2018)
hetIL-15, NIZ985 ~12 h 2주에 걸쳐 2에서 64 ㎍/kg까지 점차 2배씩 6회 투여
1 ㎍/kg (주 3회, 2주 투여/2주 휴식)
(Bergamaschi et al. 2018)


(Conlon et al. 2019)
RLI-15 3.5 h (자체 데이터) 약 4 시간 후 s.c. 자체 데이터
NKT-214 수일 투여 후
T½ 20h,
Cmax 1-2일
6 ㎍/kg i.v. q3w (Charych et al. 2017)(Bentebibel et al. 2017)
NKTR-214 가장 활성적인 종 17.6 h (Charych et al. 2017)
RO687428 ≥ mg i.v. qw 또는 q3w NCT03386721
그러나 천연 IL-15에 대한 수용체를 발현하는 IL-15(10 ng/mL)가 있는 세포에 이미 15분 미만의 노출은 최대 수준의 Stat5 활성화 및 후속 약력학적 효과로 이어진다(Castro et al. 2011).
요약하면, 현재 IL-2/IL-15Rβγ 작용제는 환자에서 분자의 지속적인 이용을 달성하기 위해 투여되며, 수명이 짧은 분자를 지속적으로 주입하거나 페길화 또는 Fc 단편 또는 항체에 대한 융합을 통해 IL-2/IL-15Rβγ 작용제의 반감기를 크게 연장한다. 이는 NK 세포의 종양 귀환과 생체내 항종양 활성이 모두 IL-2 또는 IL-15의 지속적인 이용에 의존한다는 일반적인 이해와 일치한 반면, NK 세포가 IL-15에 의해 자주 자극되지 않으면 빠르게 죽는다(Larsen et al. 2014). 또한, 이러한 치료법은 CD8+ T-세포 확장을 최대화하는 데 매우 중점을 두는 반면, 동시에 Treg 확장을 최소화하려고 한다(Charych et al. 2013).
한편, Frutoso et al.는 IL-15 또는 IL-15 작용제의 2주기 주사가 면역 적격 마우스에서 생체내에서 NK 세포의 약하거나 심지어 전혀 확장되지 않는 결과를 유발한 반면 CD44+ CD8+ T 세포는 IL-15 또는 그 작용제로 2차 자극 주기 후에도 여전히 반응성이 있음을 마우스에서 입증하였다(Frutoso et al. 2018). 2차 주기에 대한 용량을 증량하는 것은 현저한 차이를 만들지 않았다. 또한 2주기의 자극 후 마우스에서 추출한 NK 세포는 1주기 이후와 비교하여 더 낮은 IFN-γ 분비를 가졌으며 이는 처리되지 않은 마우스의 것과 동일하다(Frutoso et al. 2018). 이 현상은 강한 활성화 신호로 NK 세포를 장기간 자극하면 활성화가 변경되고 기능적 능력이 감소된 성숙한 NK 세포가 우선적으로 축적된다는 발견으로 설명될 수 있다(Elpek et al. 2010). 유사하게, IL-15의 연속 처리는 인간 NK 세포를 소진시키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며 이 효과는 NK 세포의 활성에 대한 지방산 산화의 영향과 관련이 있어 지방산 산화 유도가 IL-15 매개 NK 세포 면역 요법을 크게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Felices et al. 2018).
사이토카인 치료와 관련된 선천성 및 적응성 면역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기다려온 IL-15를 단독 요법으로 사용한 초기 단일 제제 임상 시험은 전임상 실험에서 나타난 효능에 대한 약속을 충족시키지 못한 반면, 병용 시험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Conlon et al. 2019). IL-2 및 IL-15 작용제/수퍼아고니스트가 실제로 어떤 적응증에서 환자에게 상당한 치료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는 아직 매우 불분명하다. 전이성 흑색종 및 전이성 신세포암에 대한 고용량 IL-2의 효능과 전이성 흑색종(기껏해야 질병 안정, 1상, 매일 대량 주입)에 대한 IL-15의 효능의 일부 징후로 인해(Conlon et al. 2019), 아마도 높은 면역원성(Haanen 2013, Prattichizzo 외. 2016) 때문에 흑색종과 신세포암이 βγ 작용제가 테스트되는 주요 적응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onlon은 암 치료에 큰 영향을 미치려면 암 치료에 부적절하지만 이미 작용하는 약제와 병용 투여해야한다는 것이 임상 시험을 통해 분명하다고 결론지었다 (Conlon et al. 2019). 따라서 βγ 작용제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또는 약칭: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항암 항체와 함께 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ADCC), 항암 백신 또는 세포 요법을 증가시키기 위해 광범위하게 테스트되고 있다.
따라서 IL-2/IL-15Rβγ 작용제의 기능에 대한 이해가 진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IL-2/IL-15Rβγ 작용제의 최적 용량과 치료 요법에 통합하는 방법, 흑색종 및 신세포암 환자 외에 어떤 환자가 βγ 작용제를 단독으로 또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지 여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WO 2005/085282A1 WO 2007/046006A2 WO 2008/003473A2 WO 2008/143794A1 WO 2009/135031A1 WO 2012/065086A1 WO 2012/107417A1 WO 2012/175222A1 WO 2014/066527A2 WO 2014/145806A2 WO 2014/207173A1 WO 2015/018528A1 WO 2015/109124A2 WO 2016/060996A2 WO 2016/095642 WO 2016/142314A1 WO 2017/046200A1 WO 2017/112528A2 WO 2018/071918A1 WO 2018/071919A1 WO 2018/102536A1 WO 2018/151868A2 WO 2018/213341A1 WO 2019/028419A1 WO 2019/028425A1 WO 2019/165453A1 WO 2019/173798A1 WO 2020/069398A1 WO 2020/232305A1 WO 2021/081193A1 WO 2021/156720A1 US 2003/0124678 US 2006/0057680 US 2007/0036752 US 2017/0088597 US 2018/0118805 US 2019/0092830 US 5,229,109 US 10,206,980 NCT02983045 at www.clinicaltrials.gov, as of 16.08.2018 NCT03386721 at www.clinicaltrials.gov, as of 16.08.2018 NCT02627284 at www.clinicaltrials.gov, as of 16.08.2018 NCT03063762 at www.clinicaltrials.gov , as of 16.08.2018 NCT03388632, at www.clinicaltrials.gov, as of 16.08.2018 NCT01572493, at www.clinicaltrials.gov, as of 16.08.2018 NCT01021059, at www.clinicaltrials.gov, as of 14.05.2019
Abramson, H. N. (2018). "Monoclonal Antibodies for the Treatment of Multiple Myeloma: An Update." Int J Mol Sci 19(12). Arenas-Ramirez, N., et al. (2016). "Improved cancer immunotherapy by a CD25-mimobody conferring selectivity to human interleukin-2." Sci Transl Med 8(367): 367ra166. Augustin, J. G., et al. (2020). "HPV Detection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s: What Is the Issue?" Front Oncol 10: 1751. Bacac, M., et al. (2017). "Abstract 1594: Enhancement of the anti-tumor activity of CEA TCB via combination with checkpoint blockade by PD-L1 and interleukin-2 variant immunocytokine." Cancer Research 77(13 Supplement): 1594. Bacac, M., et al. (2016). "A Novel Carcinoembryonic Antigen T-Cell Bispecific Antibody (CEA TCB) for the Treatment of Solid Tumors." Clin Cancer Res 22(13): 3286-3297. Bentebibel, S. E., et al. (2017). The Novel IL-2 Cytokine Immune Agonist NKTR-214 Harnesses the Adaptive and Innate Immune System for the Treatment of Solid Cancers. 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2017 Annual Meeting. National Harbor, MD. Bergamaschi, C., et al. (2018). "Optimized administration of hetIL-15 expands lymphocytes and minimizes toxicity in rhesus macaques." Cytokine 108: 213-224. Bernett, M. J., et al. (2017). "IL15/IL15Rα heterodimeric Fc-fusions with extended half-live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58: 408. Bouda, M., et al. (2000). ""High risk" HPV types are frequently detected in potentially malignant and malignant oral lesions, but not in normal oral mucosa." Mod Pathol 13(6): 644-653. Caffaro, C. E., et al. (2019). Discovery of pharmacologically differentiated Interleukin 15 (IL-15) agonists employing a synthetic biology platform. SITC 2019. National Harbor, Maryland. Castro, I., et al. (2011). "The basis of distinctive IL-2- and IL-15-dependent signaling: weak CD122-dependent signaling favors CD8+ T central-memory cell survival but not T effector-memory cell development." J Immunol 187(10): 5170-5182. Charych, D., et al. (2017). "Modeling the receptor pharmacology,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NKTR-214, a kinetically-controlled interleukin-2 (IL2) receptor agonist for cancer immunotherapy." PLoS One 12(7): e0179431. Charych, D., et al. (2013). "Abstract 482: Tipping the balance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An engineered cytokine (NKTR-214) with altered IL2 receptor binding selectivity and improved efficacy." Cancer Research 73(8 Supplement): 482. Charych, D. H., et al. (2016). "NKTR-214, an Engineered Cytokine with Biased IL2 Receptor Binding, Increased Tumor Exposure, and Marked Efficacy in Mouse Tumor Models." Clinical Cancer Research 22(3): 680. Chenoweth, M. J., et al. (2012). "IL-15 can signal via IL-15Ralpha, JNK, and NF-kappaB to drive RANTES production by myeloid cells." J Immunol 188(9): 4149-4157. Conlon, K., et al. (2019). Phase I/Ib study of NIZ985 with and without spartalizumab (PDR001) in patients with metastatic/unresectable solid tumors. AACR Annual Meeting, Atlanta, GA. Conlon, K. C., et al. (2015). "Redistribution, hyperproliferation, activation of natural killer cells and CD8 T cells, and cytokine production during first-in-human clinical trial of recombinant human interleukin-15 in patients with cancer." J Clin Oncol 33(1): 74-82. Conlon, K. C., et al. (2019). "Cytokines in the Treatment of Cancer." J Interferon Cytokine Res 39(1): 6-21. Darvin, P., et al. (2018).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recent progress and potential biomarkers." Exp Mol Med 50(12): 165. De Sousa Linhares, A., et al. (2018). "Not All Immune Checkpoints Are Created Equal." Frontiers in Immunology 9(1909). Edgar, R. C. (2004). "MUSCL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with high accuracy and high throughput." Nucleic Acids Res 32(5): 1792-1797. Elpek, K. G., et al. (2010). "Mature natural killer cells with phenotypic and functional alterations accumulate upon sustained stimulation with IL-15/IL-15Ralpha complexes." Proc Natl Acad Sci U S A 107(50): 21647-21652. Felices, M., et al. (2018). "Continuous treatment with IL-15 exhausts human NK cells via a metabolic defect." JCI Insight 3(3). Frutoso, M., et al. (2018). "Emergence of NK Cell Hyporesponsiveness after Two IL-15 Stimulation Cycles." J Immunol 201(2): 493-506. Fyfe, G., et al. (1995). "Results of treatment of 255 patients with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who received high-dose recombinant interleukin-2 therapy." J Clin Oncol 13(3): 688-696. Gajewski, T. F., et al. (2013). "Cancer immunotherapy strategies based on overcoming barriers with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Curr Opin Immunol 25(2): 268-276. Gearing, A. J. and R. Thorpe (1988).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human interleukin-2. Calibration by international collaborative study." J Immunol Methods 114(1-2): 3-9. Ghasemi, R., et al. (2016). "Selective targeting of IL-2 to NKG2D bearing cells for improved immunotherapy." Nat Commun 7: 12878. Giron-Michel, J., et al. (2005). "Membrane-bound and soluble IL-15/IL-15Ralpha complexes display differential signaling and functions on human hematopoietic progenitors." Blood 106(7): 2302-2310. Goujon, M., et al. (2010). "A new bioinformatics analysis tools framework at EMBL-EBI." Nucleic Acids Res 38(Web Server issue): W695-699. Haanen, J. B. (2013). "Immunotherapy of melanoma." EJC Suppl 11(2): 97-105. Han, K. P., et al. (2011). "IL-15:IL-15 receptor alpha superagonist complex: high-level co-expression in recombinant mammalian cells,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Cytokine 56(3): 804-810. Heaton, K. M., et al. (1993). "Human interleukin 2 analogues that preferentially bind the intermediate-affinity interleukin 2 receptor lead to reduced secondary cytokine secretion: implications for the use of these interleukin 2 analogues in cancer immunotherapy." Cancer Res 53(11): 2597-2602. Hori, T., et al. (1987). "Establishment of an interleukin 2-dependent human T cell line from a patient with T cell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who is not infected with human T cell leukemia/lymphoma virus." Blood 70(4): 1069-1072. Howley, P. M. and H. J. Pfister (2015). "Beta genus papillomaviruses and skin cancer." Virology 479-480: 290-296. Hu, P., et al. (2003). "Generation of low-toxicity interleukin-2 fusion proteins devoid of vasopermeability activity." Blood 101(12): 4853-4861. Hu, Q., et al. (2018). "Discovery of a novel IL-15 based protein with improved developability and efficacy for cancer immunotherapy." Sci Rep 8(1): 7675.
Figure pct00001
Joseph, I. B., et al. (2019). "THOR-707, a novel not-alpha IL-2, elicits durable pharmacodynamic responses in non-human primates and effcacy as single agent and in combination with anti PD-1 in multiple syngeneic mouse models. ."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60: 838. Kinter, A. L., et al. (2008). "The common gamma-chain cytokines IL-2, IL-7, IL-15, and IL-21 induce the expression of programmed death-1 and its ligands." J Immunol 181(10): 6738-6746. Klein, C. (2014). "S41. Novel CEA-targeted IL2 variant immunocytokine for immunotherapy of cancer." 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 2(Suppl 2): I8-I8. Klein, C., et al. (2013). "Abstract PR8: Novel tumor-targeted, engineered IL-2 variant (IL-2v)-based immunocytokines for immunotherapy of cancer." Cancer Research 73(1 Supplement): PR8. Klein, C., et al. (2017). "Cergutuzumab amunaleukin (CEA-IL2v), a CEA-targeted IL-2 variant-based immunocytokine for combination cancer immunotherapy: Overcoming limitations of aldesleukin and conventional IL-2-based immunocytokines." Oncoimmunology 6(3): e1277306. Kurowska, M., et al. (2002). "Fibroblast-like synoviocytes from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express functional IL-15 receptor complex: endogenous IL-15 in autocrine fashion enhances cell proliferation and expression of Bcl-x(L) and Bcl-2." J Immunol 169(4): 1760-1767. Larsen, S. K., et al. (2014). "NK cells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Crit Rev Oncog 19(1-2): 91-105. Lazear, E., et al. (2017). "Targeting of IL-2 to cytotoxic lymphocytes as an improved method of cytokine-driven immunotherapy." Oncoimmunology 6(2): e1265721. Liu, B., et al. (2018). "Evaluation of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IL-15 superagonist complex, ALT-803, following intravenous versus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 murine models." Cytokine 107: 105-112. Lopes, J. E., et al. (2020). "ALKS 4230: a novel engineered IL-2 fusion protein with an improved cellular selectivity profile for cancer immunotherapy." J Immunother Cancer 8(1). Margolin, K., et al. (2018). "Phase I Trial of ALT-803, a Novel Recombinant Interleukin-15 Complex, in Patients with Advanced Solid Tumors." Clin Cancer Res 24(22): 5552-5561. Miller, J. S., et al. (2018). "A First-in-Human Phase I Study of Subcutaneous Outpatient Recombinant Human IL15 (rhIL15) in Adults with Advanced Solid Tumors." Clin Cancer Res 24(7): 1525-1535. Miyazaki, T., et al. (2018).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Study of NKTR-255, a Polymer-Conjugated Human IL-15, in Cynomolgus Monkey." Blood 132(Suppl 1): 2952-2952. Needleman, S. B. and C. D. Wunsch (1970). "A general method applicable to the search for similarities in the amino acid sequence of two proteins." J Mol Biol 48(3): 443-453. Paradisi, A., et al. (2020). "Concomitant seropositivity for HPV 16 and cutaneous HPV types increases the risk of recurrent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kin." Eur J Dermatol 30(5): 493-498. Pearson, W. R. and D. J. Lipman (1988). "Improved tools for biological sequence comparison." Proc Natl Acad Sci U S A 85(8): 2444-2448. Perdreau, H., et al. (2010). "Different dynamics of IL-15R activation following IL-15 cis- or trans-presentation." Eur Cytokine Netw 21(4): 297-307. Prattichizzo, C., et al. (2016).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highly immunogenic human renal carcinoma cell line." International journal of oncology 49(2): 457-470. Rhode, P. R., et al. (2016). "Comparison of the Superagonist Complex, ALT-803, to IL15 as Cancer Immunotherapeutics in Animal Models." Cancer Immunol Res 4(1): 49-60. Ring, A. M., et al. (2012). "Mechanistic and structural insight into the functional dichotomy between IL-2 and IL-15." Nat Immunol 13(12): 1187-1195. Robinson, T. O. and K. S. Schluns (2017). "The potential and promise of IL-15 in immuno-oncogenic therapies." Immunol Lett 190: 159-168. Romee, R., et al. (2018). "First-in-human Phase 1 Clinical Study of the IL-15 Superagonist Complex ALT-803 to Treat Relapse after Transplantation." Blood 131(23): 2515-2527. Rosenzwajg, M., et al. (2019). "Immunological and clinical effects of low-dose interleukin-2 across 11 autoimmune diseases in a single, open clinical trial." Ann Rheum Dis 78(2): 209-217. Shanafelt, A. B., et al. (2000). "A T-cell-selective interleukin 2 mutein exhibits potent antitumor activity and is well tolerated in vivo." Nat Biotechnol 18(11): 1197-1202. Sharma, P., et al. (2017). "Primary, Adaptive, and Acquired Resistance to Cancer Immunotherapy." Cell 168(4): 707-723. Silva, D.-A., et al. (2019). "De novo design of potent and selective mimics of IL-2 and IL-15." Nature 565(7738): 186-191. Smith, T. F. and M. S. Waterman (1981). "Comparison of biosequences." Advances in Applied Mathematics 2(4): 482-489. Smola, S. (2017). "Immunopathogenesis of HPV-Associated Cancers and Prospects for Immunotherapy." Viruses 9(9). Solomon, B. L. and I. Garrido-Laguna (2018). "TIGIT: a novel immunotherapy target moving from bench to bedside." Cancer Immunol Immunother 67(11): 1659-1667. Soman, G., et al. (2009). "MTS dye based colorimetric CTLL-2 cell proliferation assay for product release and stability monitoring of interleukin-15: assay qualification, standardiz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J Immunol Methods 348(1-2): 83-94. Steel, J. C., et al. (2012). "Interleukin-15 biology and its therapeutic implications in cancer." Trends Pharmacol Sci 33(1): 35-41. Sterling, J. C. (2005). "Human papillomaviruses and skin cancer." J Clin Virol 32 Suppl 1: S67-71. Thaysen-Andersen, M., et al. (2016). "Recombinant human heterodimeric IL-15 complex displays extensive and reproducible N- and O-linked glycosylation." Glycoconj J 33(3): 417-433. Toutain, P. L. and A. Bousquet-Melou (2004). "Plasma terminal half-life." J Vet Pharmacol Ther 27(6): 427-439. Tumban, E. (2019). "A Current Update on Human Papillomavirus-Associated Head and Neck Cancers." Viruses 11(10). Tumban, E. (2019). "A Current Update on Human Papillomavirus-Associated Head and Neck Cancers." Viruses 11(10). Wadhwa, M., et al. (2013). "The 2nd International standard for Interleukin-2 (IL-2) Report of a collaborative study."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397(1): 1-7. Waldmann, T. A. (2015). "The shared and contrasting roles of IL2 and IL15 in the life and death of normal and neoplastic lymphocytes: implications for cancer therapy." Cancer Immunol Res 3(3): 219-227. Wei, X., et al. (2001). "The Sushi domain of soluble IL-15 receptor alpha is essential for binding IL-15 and inhibiting inflammatory and allogenic responses in vitro and in vivo." J Immunol 167(1): 277-282. Wrangle, J. M., et al. (2018). "ALT-803, an IL-15 superagonist, in combination with nivolumab in patients with metastatic non-small cell lung cancer: a non-randomised, open-label, phase 1b trial." Lancet Oncol 19(5): 694-704.
본 발명자들은 인터루킨-2/인터루킨-15 수용체 βγ (IL-2/IL-15Rβγ) 작용제가 암 치료에서 단일 제제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또한, 이 약제는 체크포인트 억제제 치료에 불응하는 암 환자에게 예기치 않게 항종양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영장류에서 IL-2/IL-15Rβγ 작용제의 펄스 주기적 투여가 NK 세포 및 CD8+ T 세포의 최적 활성화로 이어진다는 것, 즉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가 Ki-67+ NK 세포 및 CD8+ T 세포의 현저한 증가 및/또는 NK 세포 및 CD8+ T 세포 수의 증가를 초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여러 차례 투여하는 동안 반복/유지된다. 이러한 펄스 주기적 투여 스케줄은 현재 진행 중인 최초의 인간 대상 연구에서 매우 양호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였으며, 놀랍게도 말기 체크포인트 억제제 불응성 피부 편평세포암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단일 제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치료 성공은 IL-2/IL-15Rβγ 작용제의 효능에 대해 그리고 IL-2/IL-15Rβγ 작용제 치료에 취약한 적응증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열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새로운 종양 적응증 및 환자 그룹에 대한 IL-2/IL-15Rβγ 작용제 치료법을 제공한다.
정의, 약어 및 줄임말
"IL-2/IL-15Rβγ 작용제"는 중간-친화성 IL-2/IL-15Rβγ를 표적으로 하고 IL-2Rα 또는 IL-15Rα의 감소 또는 중단된 결합을 갖는 IL-2 또는 IL-2 유도체 또는 IL-15 또는 IL-15 유도체의 복합체를 지칭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감소된 결합은 각각 야생형 IL-15 또는 IL-2와 비교하여 각각의 수용체 α에 대한 결합이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특히 적어도 90% 감소됨을 의미한다. 하기에 기술되고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IL-15Rα에 대한 IL-15의 감소되거나 중단된 결합은 IL-15Rα 유도체와 복합체(공유 또는 비공유)를 형성하여, 또는 감소 또는 중단된 결합을 초래하는 IL-15의 돌연변이에 의해, 또는 감소 또는 중단된 결합을 초래하는 IL-15의 부위-특이적인 페길화 또는 다른 번역후 수식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 유사하게, 각각의 IL-2Rα에 대한 IL-2의 감소 또는 중단된 결합은 감소 또는 중단된 결합을 초래하는 IL-2의 돌연변이에 의해, 또는 감소 또는 중단된 결합을 초래하는 IL-15의 부위-특이적인 PEG화 또는 다른 번역후 수식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
"인터루킨-2", "IL-2" 또는 "IL2"는 NCBI 참조 서열 AAB46883.1 또는 UniProt ID P60568(SEQ ID NO: 1)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은 인간 사이토카인을 지칭한다. 그것의 전구체 단백질은 20-aa 펩타이드 리더를 갖는 153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며, 133-aa 성숙한 단백질을 생성한다. 이의 mRNA는 NCBI GenBank Reference S82692.1에 기술되어 있다.
"IL-2 유도체"는 성숙한 인간 IL-2의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2)과 적어도 9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6%,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의 동일성 백분율을 갖는 단백질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IL-2 유도체는 림프구 증식 바이오어세이에 의해 측정되는 경우, 인간 IL-2의 활성의 적어도 약 0.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를 갖는다. 인터루킨은 매우 강력한 분자이기 때문에 특히 더 높은 용량을 투여하거나 연장된 반감기가 활성 손실을 보상하는 경우 인간 IL-2의 0.1%와 같은 낮은 활성도 여전히 충분히 강력할 수 있다. 그것의 활동은 인터루킨-2(인간)에 대한 세계보건기구 제1 국제 표준에 의해 제정된 국제 단위로 표현되며, 이는 제2 국제 표준으로 대체되었다(Gearing and Thorpe 1988, Wadhwa et al. 2013). 효능과 단백질 질량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800만 IU 프로류킨 = 1.1mg 단백질. 전술한 바와 같이, THOR-707(Joseph et al. 2019)(WO2019/028419A1)에 대해 수행된 바와 같이 반감기를 연장하기 위해 또는 분자의 결합 특성을 변형하기 위해, 예를 들어 L72, F42 및/또는 Y45, 특히 F42A, F42G, F42S, L42T, F42Q, F42E, F42N, F42D, F42R, F42K, Y45A, Y45G, Y45S, Y45T, Y45Q, Y45E, Y45N, Y45D, Y45R, Y45K, L72G, L72A, L72G, L72A, L2 L72R 및 L72K, 바람직하게는 돌연변이 F42A, Y45A 및 L72G의 돌연변이에 의해 IL2v(Klein et al. 2013, Bacac et al. 2016)(WO 2012/107417A1)에 대해 수행된 바와 같이 IL-2α 수용체에 대한 결합을 감소하기 위해 PEG를 IL-2에 특이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돌연변이(치환)가 도입될 수 있다. IL-2의 다양한 다른 돌연변이가 기술되어 있다: 혈관 투과성 활성의 감소로 인한 독성 감소를 위한 R38W(Hu et al. 2003)(US 2003/0124678); NK 세포에 비해 T 세포에 대한 선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N88R(Shanafelt et al. 2000); NK 세포로부터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R38A 및 F42K((Heaton et al. 1993)(US 5,229,109); VLS를 감소시키기 위한 D20T, N88R 및 Q126D(US 2007/0036752); CD25와의 상호작용을 감소시키고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Treg 세포의 활성화를 위한 R38W 및 F42K(WO 2008/003473); 및 응집을 피하기 위한 T3A 및 O-글리코실화를 없애기 위한 C125A와 같은 추가 돌연변이가 도입될 수 있다(Klein et al. 2017). 상기의 다른 돌연변이 또는 조합은 유전 공학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아미노산 번호는 133개 아미노산의 성숙한 IL-2 서열을 지칭한다.
"인터루킨-15", "IL-15" 또는 "IL15"는 NCBI 참조 서열 NP_000576.1 또는 UniProt ID P40933(SEQ ID NO: 3)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은 인간 사이토카인을 지칭한다. 그것의 전구체 단백질은 긴 48-aa 펩타이드 리더를 갖는 162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며, 114-aa 성숙한 단백질(SEQ ID NO: 4)을 생성한다. 그것의 mRNA, 완전한 코딩 서열은 NCBI GenBank Reference U14407.1에 기술되어 있다. IL-15Rα 스시 도메인(또는 IL-15Rαsushi, SEQ ID NO: 6)은 IL-15에 대한 결합에 필수적인 IL-15Rα의 도메인이다.
"IL-15 유도체" 또는 "IL-15의 유도체"는 성숙한 인간 IL-15의 아미노산 서열(114 aa)(SEQ ID NO: 4)과 적어도 9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6%,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의 동일성 백분율을 갖는 단백질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IL-15 유도체는 IL-15 활성의 적어도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IL-15 유도체는 인간 IL-15의 활성의 적어도 0.1%, 바람직하게는 1%,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및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을 갖는다. 위에서 설명한 IL-2의 경우 인터루킨은 매우 강력한 분자이며, 특히 인간 IL-15의 0.1%와 같은 낮은 활성도 여전히 충분히 강력할 수 있다. 특히 더 높은 용량을 투여하거나 연장된 반감기가 활성 손실을 보상한다면 더욱 그렇다. 또한 IL-15의 경우, 분자에 대한 다양한 정의된 변화를 달성하기 위해 과도한 돌연변이가 설명되었다: IL-15Rβγβγc 수용체에 대한 결합을 감소시키기 위한 D8N, D8A, D61A, N65D, N65A, Q108R(WO 2008/143794A1); 활성화 돌연변이로서의 N72D(ALT-803에서); 증식 활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N1D, N4D, D8N, D30N, D61N, E64Q, N65D 및 Q108E(US 2018/0118805); IL-15Rα에 대한 결합을 감소시키기 위한 L44D, E46K, L47D, V49D, I50D, L66D, L66E, I67D 및 I67E(WO 2016/142314A1); IL-15Rb의 결합을 제거하기 위한 N65K 및 L69R(WO 2014/207173A1); IL-15의 기능을 억제하기 위한 Q101D 및 Q108D(WO 2006/020849A2); IL-15Rβ 결합을 감소시키기 위한 S7Y, S7A, K10A, K11A(Ring et al. 2012); IL-15Rα에 대한 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해 D, E, K 또는 R로 치환된 L45, S51, L52 및 D, E, R 또는 K로 치환된 E64, I68, L69 및 N65(WO 2005/085282A1); N71은 S, A 또는 N으로, N72는 S, A 또는 N으로, N77은 Q, S, K, A 또는 E로, N78은 탈아미드화를 감소시키기 위해 S, A 또는 G로 대체됨(WO 2009/135031A1); WO 2016/060996A2는 IL-15의 특정 영역을 치환에 적합한 것으로 정의하고(para. 0020, 0035, 00120 및 00130 참조), 구체적으로 PEG 또는 기타 변형에 대한 앵커를 제공하기 위한 잠재적인 치환을 식별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para. 0021 참조); CD122에 대한 친화성이 증가하고 IL-2 및 IL-15 효과기 기능을 억제하기 위한 CD132의 동원이 손상된 Q108D 및 CD122 친화성을 폐지하기 위한 N65K(WO 2017/046200A1); NK 세포 및 CD8 T 세포의 활성화에 관한 각 IL-15/IL-15Rα 복합체의 활성을 서서히 감소시키기 위한 N1D, N4D, D8N, D30N, D61N, E64Q, N65D 및 Q108E(도 51, WO 2018/ 071918A1, WO 2018/071919A1 참조).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당업자는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을 쉽게 만들 수 있다.
IL-2 및 IL-15 둘 다의 활성은 Hori et al. (1987)에 기술된 바와 같이 kit225 세포의 증식 유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색 또는 형광과 같은 방법은 Soman et al.에 의해 기술된 예시와 같이(Soman et al. 2009), CTLL-2 세포를 이용하여 IL-2 또는 IL-15 자극에 의한 증식 활성화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kit225 세포와 같은 세포주에 대한 대안으로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PBMC) 또는 버피 코트를 사용할 수 있다. IL-2 또는 IL-15의 활성을 결정하는 바람직한 바이오어세이는 STAT5-RE CTLL-2 세포를 사용하는 IL-2/IL-15 바이오어세이 키트이다(Promega Catalog number CS2018B03/B07/B05).
IL-15 뮤테인은 표준 유전 공학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WO 2005/085282, US 2006/0057680, WO 2008/143794, WO 2009/135031, WO 2014/207173, WO 2016/142314, WO 2016/060996, WO 2017/046200, WO 2018/071918, WO 2018/071919, US 2018/0118805로부터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IL-15 유도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수식, 예를 들어, 페길화 또는 다른 번역 후 수식에 의해 추가로 생성될 수 있다(WO 2017/112528A2, WO 2009/135031 참조).
"IL-2Rα"는 인간 IL-2 수용체 α 또는 CD25를 지칭한다.
"IL-15Rα"는 NCBI 참조 서열 AAI21142.1 또는 UniProt ID Q13261(SEQ ID NO: 5)에 의해 기재된 바와 같은 인간 IL-15 수용체 α 또는 CD215를 지칭한다. 그것의 전구체 단백질은 30-aa 펩타이드 리더를 갖는 267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며, 231-aa 성숙한 단백질을 생성한다. 이의 mRNA는 NCBI GenBank Reference HQ401283.1에 설명되어 있다. IL-15Rα 스시 도메인(또는 IL-15Rαsushi, SEQ ID NO: 6)은 IL-15에 대한 결합에 필수적인 IL-15Rα의 도메인이다(Wei et al. 2001). 스시 도메인 및 힌지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스시+ 단편(SEQ ID NO: 7)은 상기 스시 도메인에 대한 C-말단 위치에서 이 IL-15Rα의 스시 도메인 뒤에 위치하는 14개의 아미노산으로 정의된다. 즉, 상기 IL-15Rα 힌지 영역은 상기 (C4) 시스테인 잔기 다음의 첫 번째 아미노산에서 시작하여 14번째 아미노산에서 끝난다(표준 "N-말단에서 C-말단" 방향으로 계산). 스시+ 단편은 IL-15에 대한 완전한 결합 활성을 재구성한다(WO 2007/046006).
"수용체α"는 IL-2Rα 또는 IL-15Rα를 나타낸다.
"IL-15Rα 유도체"는 인간 IL-15Rα의 스시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SEQ ID NO: 6) 및 바람직하게는 인간 IL-15Rα의 스시+도메인(SEQ ID NO: 7)과 적어도 9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6%,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동일한 동일성 백분율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IL-15Rα 유도체는 N- 및 C-말단이 절단된 폴리펩타이드인 반면, 신호 펩타이드(SEQ ID NO: 5의 아미노산 1-30)가 결실되고, IL-15Rα의 막횡단 도메인 및 세포질내 부분이 결실된다(SEQ ID NO: 5의 아미노산 210 내지 267). 따라서, 바람직한 IL-15Rα 유도체는 적어도 스시 도메인(aa 33-93)을 포함하지만 SEQ ID NO: 5의 아미노산 31-209가 되는 성숙한 IL-15Rα의 세포외 부분을 넘어서 확장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IL-15Rα 유도체는 IL-15Rα의 스시 도메인(SEQ ID NO: 6), IL-15Rα의 스시+도메인(SEQ ID NO: 7) 및 IL-15Rα의 가용성 형태(e.g. SEQ ID NO: 5의 아미노산 31에서 아미노산 172,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또는 205 중 하나까지, WO 2014/066527 참조, (Giron-Michel et al. 2005)) 또는 IL-15Rα의 세포 외 도메인이다. 이 정의에 의해 제공된 제한 내에서 IL-15Rα 유도체는 자연 발생 또는 도입된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다. 천연 변이체 및 대체 서열은 예를 들어 UniProtKB 항목 Q13261에 설명되어 있다(https://www.uniprot.org/uniprot/Q13261). 또한, 당업자는 여전히 기능적인 유도체를 생성하기 위해 포유류 IL-15Rα 동족체 또는 영장류 IL-15Rα 동족체 사이에서 덜 보존된 아미노산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포유동물 IL-15Rα 동족체의 각 서열은 WO 2007/046006, 18페이지 및 19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당업자는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을 쉽게 만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IL-15Rα 유도체는 예를 들어, Wei et al. 2001에서 측정된 바와 같이, 인간 IL-15에 대한 인간 스시 도메인의 결합 활성의 적어도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이다.
"IL-2Rβ"는 인간 IL-Rβ 또는 CD122를 지칭한다.
"IL-2Rγ"는 IL-4, IL-7, IL-9, IL-15 및 IL-21이 공유하는 공통 사이토카인 수용체 γ 또는 γc 또는 CD132를 지칭한다.
"RLI-15"는 인간 IL-15Rα 스시+단편과 인간 IL-15의 수용체-링커-인터루킨 융합 단백질인 IL-15/IL-15Rα 복합체를 지칭한다. 적합한 링커는 WO 2007/046006 및 WO 2012/175222에 기재되어 있다.
"RLI2" 또는 "SO-C101"은 RLI-15의 특정 버전이며 SEQ ID NO: 8을 갖는 링커를 사용한 인간 IL-15Rα 스시+ 단편과 인간 IL-15(SEQ ID NO: 9)의 수용체-링커-인터루킨 융합 단백질인 IL-15/IL-15Rα 복합체를 지칭한다.
"ALT-803"(nogapendikin alfa/inbakicept)은 Altor BioScience Corp.의 IL-15/IL-15Rα 복합체를 지칭하며, 최적화된 아미노산 치환된(N72D) 인간 IL-15 "수퍼작용제"의 2 분자, 즉 이량체 인간 IgG1 Fc에 융합된 인간 IL-15α 수용체 "스시" 도메인 2분자를 포함하는 복합체이며, IL-15N72D:IL-15Rαsushi-Fc 복합체의 안정성을 부여하고 반감기를 연장한다(예를 들어 US 2017/0088597 참조).
"이종이량체 IL-15:IL-Rα", "hetIL-15" 또는 "NIZ985"는 IL-15와 유사한 Novartis의 IL-15/IL-15Rα 복합체를 지칭하며, 가용성 IL-15Rα와 안정한 분자 복합체로 순환하며, 인간 IL-15와 가용성 인간 IL-15Rα(sIL-15Rα)의 재조합적으로 공동 발현된 비공유 복합체, 즉, 신호 펩타이드와 막횡단 및 세포질 도메인이 없는 IL-15Rα의 170개 아미노산이다((Thaysen-Andersen et al. 2016, 예를 들어 표 1 참조) 및 WO 2021/156720A1(SEQ ID NO: 3인 IL-15, SEQ ID NO: 5 또는 14인 IL-15Rα 유도체) 참조).
"IL-2/IL-15Rβγ 작용제"는 IL-2Rα 및/또는 IL-15Rβγ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아 Treg 자극이 없는 중간-친화성 IL-2/IL-15Rβγ 수용체를 주로 표적으로 하는 분자 또는 복합체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IL-15가 IL-15Rα의 스시 도메인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트랜스-제시 또는 세포-세포 상호작용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장점과 분자의 증가된 크기로 인해 생체내 반감기가 더 길다는 장점이 있으며,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천연 IL-15보다 훨씬 더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다(Robinson and Schluns 2017). IL-15/IL-15Rα 기반 복합체 외에도, 이는 IL-2/15Rβ 및 γc 수용체에 대한 결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IL-2α 수용체에 대한 결합이 현저히 감소하거나 적시에 지연된 돌연변이 또는 화학적으로 수식된 IL-2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NKTR-214"(bempegaldesleukin)는 6개의 방출 가능한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사슬에 의해 결합된 IL-2로 구성된 생물학적 전구약물인 IL-2를 기반으로 하는 IL-2/IL-15Rβγ 작용제를 지칭한다(WO 2012/065086A1). 다중 PEG 사슬의 존재는 비활성 전구약물을 생성하여 투여 시 신속한 전신 면역 활성화를 방지한다. 방출 가능한 링커를 사용하면 PEG 사슬이 천천히 가수분해되어 2-PEG 또는 1-PEG에 의해 결합된 활성 컨쥬게이트된 IL-2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IL-2/IL-2Rα 경계면에서 PEG 사슬의 위치는 친화성이 높은 IL-2Rα에 대한 결합을 방해하는 반면, 친화성이 낮은 IL-2Rβ에 대한 결합은 방해받지 않고 종양에서 억제보다 면역 활성화를 선호한다(Charych et al. 2016, Charych et al. 2017).
"IL2v"는 로슈(Roche)의 IL-2를 기반으로 하는 IL-2/IL-15Rβγ 작용제를 지칭하며, SEQ ID NO: 10의 IL-2Rα 서브유닛에 대한 결합이 폐지된 IL-2 변이체이다. IL2v는 예를 들어 항체의 C-말단에 융합된 융합 단백질에 사용된다. IL2v는 아미노산 치환 F42A, Y45A 및 L72G(인간, 마우스 및 비인간 영장류 사이에서 보존됨)를 통해 IL-2Rα에 대한 결합 능력을 파괴하고, 뿐만 아니라 아미노산 치환 T3A를 통해 O-글리코실화를 폐지하도록, 그리고 알데스류킨(신호 펩타이드를 제외한 UniProt ID P60568에 기반한 넘버링)과 같은 C125A 돌연변이에 의한 응집을 회피하도록 설계되었다(Klein et al. 2017). IL2v는 항체, 즉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표적화되지 않은 IgG(IgG-IL2v)와의 융합 파트너로 사용된다(Bacac et al. 2017). RG7813(또는 세르구투주맙 아뮤날류킨, RO-6895882, CEA-IL2v)에서 IL2v는 FcγR 및 C1q 결합이 없는 이종이량체 Fc를 사용하여 암배아 항원(CEA)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에 융합된다(Klein 2014, Bacac et al., Klein et al. 20). 2017). 그리고 RG7461(또는 RO6874281 또는 FAP-IL2v)에서 IL2v는 섬유아세포 활성화 단백질-알파(FAP)를 표적으로 하는 종양 특이적 항체에 융합된다(Klein 2014).
"THOR-707"은 중간-친화성 IL-2Rβγ 신호전달 복합체에 대한 결합을 유지하면서 감소된/결핍된 IL2Rα 사슬 결합을 갖는 부위 지향적, 단일 페길화 형태의 IL-2를 기반으로 하는 IL-2/IL-15Rβγ 작용제를 나타낸다(Joseph et 2019)(WO 2019/028419A1, P65_30KD 분자).
"ALKS 4230"은 IL-2Rα의 세포 외 도메인을 가진 원형으로 순열된(β 및 γ 수용체 사슬과 링커의 상호 작용을 피하기 위해) IL-2가 α-결합면은 이미 IL-2Rα 융합 성분이 차지하고 있으므로 βγ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표적화한다(Lopes et al. 2020).
"P-22339"는 IL-15/IL-15Rα 스시 복합체를 지칭하며, 여기서 IL-15는 하나의 Fc 사슬의 N-말단에 결합하고 IL-15Rα 스시 도메인은 WO 2016/095642 및 Hu et al. (2018)에 기술된 바와 같이 IL-15 폴리펩타이드(SEQ ID NO: 15)의 L52C 치환 및 IL-15Rα 스시+ 폴리펩타이드(SEQ ID NO: 16)의 S40C 치환이 이황화 결합을 형성하여 두 번째 Fc 사슬의 N-말단에 결합되어 있다.
"NL-201"은 IL-2/IL-15Rβγ 작용제를 의미하며, 이는 IL-2를 모방하여 IL-2 수용체 βγc 헤테로다이머(IL-2Rβγc)에 결합하지만 IL-2Rα 또는 IL-15Rα에 대한 결합 부위가 없는 전산 설계 단백질이다((Silva et al. 2019) 및 WO 2021/081193A1(NEO 2-15 E62C, SEQ ID NO: 17)).
"NKRT-255"는 IL-15Rα에 대한 결합 친화성을 유지하고 지속적인 약력학적 반응을 제공하기 위해 감소된 제거를 나타내는 PEG-컨쥬게이트된 인간 IL-15를 기반으로 하는 IL-2/IL-15Rβγ 작용제를 지칭한다(WO 2018/213341A1, 컨쥬게이트 1).
"XmAb24306"은 돌연변이 IL-15가 하나의 Fc 사슬의 N-말단에 결합되고 IL-15Rα 스시 도메인이 두 번째 Fc 사슬의 N-말단에 결합된 IL-15/IL-15Rα 스시 복합체를 말하며, 이는 US 2018/0118805(도 94C의 XENP024306, SEQ ID NO: 18 및 SEQ ID NO: 19 참조)에 설명된 대로 설명되어 있다.
"ANV419"는 (Arenas-Ramirez et al.(2016), SITC Annual Meeting 2020, Huber et al. 포스터 #571에 기술된 바와 같이) IL-2와 IL-2 특이적 항체의 융합 단백질을 지칭한다.
"XTX202"(CLN-617)는 WO 2020/069398 및 O'Neil J et al., ASCO Annual Meeting 2021 포스터에 설명된 대로 활성이 마스킹된 엔지니어링된 IL-2 전구물질을 의미한다.
"AB248"은 Moynihan K et al., "Selective activation of CD8+ T cells by a CD8-targeted IL-2 results in enhanced anti-tumor efficacy and safety" SITC 2021 포스터에 설명된 대로 항-CD8 항체와 IL-2의 융합 단백질을 지칭한다.
"WTX-124"는 Salmeron A. et al., "WTX-124 is an IL-2 Pro-Drug Conditionally Activated in Tumors and Able to Induce Complete Regressions in Mouse Tumor Models", AACR Annual Meeting 2021 및 WO 2020/232305A1 포스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반감기 연장 도메인, IL-2 및 절단 가능한 비활성화 도메인의 융합 단백질을 의미한다.
"THOR-924, -908, -918"은 부위 특이적인 페길화에 사용되는 비천연 아미노산으로 IL-15Rα에 대한 결합이 감소된 PEG-컨쥬게이트된 IL-15를 기반으로 하는 IL-2/IL-15Rβγ 작용제를 지칭한다(WO 2019/165453A1).
2개의 아미노산 서열 사이의 "동일성 백분율"은 비교될 2개의 서열 사이의 동일한 아미노산의 백분율을 의미하며, 상기 서열의 최상의 정렬로 수득되며, 이 백분율은 순전히 통계적이며 이 두 서열 간의 차이는 아미노산 서열에 무작위로 퍼진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최상의 정렬" 또는 "최적의 정렬"은 결정된 동일성 백분율(하기 참조)이 가장 높은 정렬을 의미한다. 두 아미노산 서열 사이의 서열 비교는 일반적으로 최상의 정렬에 따라 이전에 정렬된 이들 서열을 비교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비교는 유사성의 로컬 영역을 식별하고 비교하기 위해 비교 세그먼트에서 실현된다. 비교를 수행하기 위한 최상의 서열 정렬은 수동 방식 외에 Smith와 Waterman(1981)이 개발한 전역 상동성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Needleman과 Wunsch(1970)에 의해 개발된 국소 상동성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Pearson과 Lipman(1988)이 개발한 유사성 방법을 사용하여, 이러한 알고리즘(GAP, BESTFIT, BLAST P, BLAST N, FASTA, TFASTA in the Wisconsin Genetics software Package, Genetics Computer Group, 575 Science Dr., Madison, WI USA)을 사용하여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MUSCLE 다중 정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Edgar 2004), 또는 CLUSTAL을 사용하여(Goujon et al. 2010) 실현할 수 있다. 최상의 로컬 정렬을 얻으려면 BLOSUM 62 매트릭스와 함께 BLAST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미노산의 두 서열 사이의 동일성 백분율은 최적으로 정렬된 이들 두 서열을 비교함으로써 결정되며, 아미노산 서열은 이들 두 서열 사이의 최적 정렬을 얻기 위해 참조 서열과 관련하여 추가 또는 결실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성 백분율은 이 두 서열 사이의 동일한 위치의 수를 결정하고 이 숫자를 비교된 위치의 총수로 나눈 다음 얻은 결과에 100을 곱하여 이 두 서열 간의 동일성 백분율을 구하여 계산된다.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은 아미노산의 치환을 지칭하되, 지방족 아미노산(즉, 글리신, 알라닌, 발린, 루신, 이소루신)은 다른 지방족 아미노산으로 치환되고, 하이드록실 또는 황/셀레늄 함유 아미노산(즉, 세린, 시스테인, 셀레노시스테인, 트레오닌, 메티오닌)은 다른 하이드록실 또는 황/셀레늄 함유 아미노산으로 치환되며, 방향족 아미노산(예: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이 다른 방향족 아미노산으로 치환되고, 염기성 아미노산(즉, 히스티딘, 리신, 아르기닌)은 다른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치환되고, 또는 산성 아미노산 또는 그 아미드(아스파테이트, 글루타메이트, 아스파라긴, 글루타민)는 다른 산성 아미노산 또는 그 아미드로 대체된다.
"생체내 반감기". T½ 또는 말단 반감기는 제거 반감기 또는 말단 단계의 반감기를 의미하며, 즉 투여 후 생체내 반감기는 분포의 유사-평형이 달성된 후 혈장/혈액 농도를 50%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이다(Toutain and Bousquet-Melou 2004). 혈액/혈장에서 약물(여기서 IL-2/IL-15βγ 작용제는 폴리펩타이드임)의 측정은 일반적으로 폴리펩타이드 특이적 ELISA를 통해 수행된다.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줄여서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T 세포와 같은 일부 유형의 면역계 세포 및 일부 암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특정 단백질을 차단하는 약물 유형을 지칭한다. 이러한 단백질은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며, T 세포가 암세포를 죽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단백질이 차단되면 면역 계에 대한 "브레이크"가 해제되고 T 세포는 암세포를 더 잘 죽일 수 있다. 따라서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면역 억제 체크포인트 분자의 길항제 또는 억제성 체크포인트 분자의 작용성 리간드의 길항제이다. T 세포 또는 암세포에서 발견되는 체크포인트 단백질의 예로는 예를 들어 Darvin et al. (2018)에 의해 검토된 바와 같이 PD-1/PD-L1 및 CTLA-4/B7-1/B7-2가 있다(국립보건원 국립암연구소의 정의, https:// www.cancer.gov/publications/dictionaries/cancer-terms/def/immune-checkpoint-inhibitor). 이러한 체크포인트 억제제의 예는 항-PD-L1 항체, 항-PD-1 항체, 항-CTLA-4 항체뿐 아니라 LAG-3 또는 TIM-3에 대한 항체, 또는 현재 임상에서 검사중인 BTLA의 차단제이다(De Sousa Linhares et al. 2018). 추가로 유망한 체크포인트 억제제로 항TIGIT 항체가 있다(Solomon 및 Garrido-Laguna 2018).
"PD-1 길항제" 또는 "PD-1 억제제"는 PD-1 체크포인트를 길항하거나 억제하는 모든 약제를 지칭한다. PD-1 길항제 또는 PD-1 억제제는 프로그램된 사멸 리간드 1(PD-L1, CD274) 및/또는 프로그램된 사멸 리간드 2(PD-L2, CD273)와 그 수용체,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 단백질 1(PD-1, CD279)의 결합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면역 체계의 억제에 관여하며 많은 암이 면역 체계를 회피하는 데 사용된다. PD-1 길항제/억제제에는 항 PD1 항체와 항 PD-L1 항체가 포함된다.
"항-PD-L1 항체"는 PD-L1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체 단편을 지칭한다. 예는 아벨루맙, 아테졸리주맙, 더발루맙, KN035, MGD013(PD-1 및 LAG-3에 대해 이중특이성)이 있다.
"항-PD-1 항체"는 PD-1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체 단편을 지칭한다. 예는 펨브롤리주맙, 니볼루맙, 세미플리맙(REGN2810), BMS-936558, SHR1210, IBI308, PDR001, βγB-A317, BCD-100, JS001이 있다.
"항-PD-L2 항체"는 항-PD-L2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체 단편을 지칭한다. 예는 sHIgM12이 있다.
"항-CTLA4 항체"는 CTLA-4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체 단편을 지칭한다. 예로는 이필리무맙과 트레멜리무맙(티실리무맙)이 있다.
"항-LAG-3" 항체는 LAG-3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체 단편을 지칭한다. 항-LAG-3 항체의 예는 렐라틀리맙(BMS 986016), Sym022, REGN3767, TSR-033, GSK2831781, MGD013(PD-1 및 LAG-3에 대해 이중특이성), LAG525(IMP701)이 있다.
"항-TIM-3 항체"는 TIM-3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체 단편을 지칭한다. 예는 TSR-022 및 Sym023이 있다.
"항-TIGIT 항체"는 TIGIT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체 단편을 지칭한다. 예는 티라골루맙(MTIG7192A, RG6058) 및 에티길리맙(WO 2018/102536)이 있다.
"치료 항체" 또는 "종양 표적화 항체"는 치료되는 종양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된 표적에 항체의 결합을 통해 종양 세포에 직접적인 치료 효과를 갖는 항체 또는 이의 항체 단편을 지칭한다. 이러한 치료 활성은 세포에서 변형된 신호전달, 항체-의존성 세포독성(ADCC), 보체-의존성 세포독성(CDC) 또는 종양 세포의 다른 항체-매개 살상을 초래하는 수용체 결합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항-CD38 항체"는 사이클릭 ADP 리보스 가수분해효소로도 알려진 CD38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체 단편을 의미한다. 항-CD38 항체의 예는 다라투무맙, 이사툭시맙(SAR650984), MOR-202(MOR03087), TAK-573 또는 TAK-079(AbRαmson 2018) 또는 GEN1029(HexaBody®-DR5/DR5)이 있다.
"HPV 유발 종양" 또는 "HPV 유발 암"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에 의해 유발되거나 이와 연관된 종양 또는 암을 의미한다. HPV 유발 종양 또는 암은 자궁경부암, 두경부 편평세포암, 구강 신생물, 구인두암(인두 편평세포암), 음경암, 항문암, 질암, 외음부암, HPV 관련 피부암(예: 피부 편평세포암 또는 각질세포암) 등 모든 유형의 종양 또는 암일 수 있다. HPV 유발 종양 또는 암은 E6 및/또는 E7 유전자/전사체의 존재/발현 또는 혈액 내 E6 단백질에 대한 체액 반응 등을 통해 적어도 한 가지 유형의 HPV에 양성으로 확인된다(Augustin et al. 2020, 특히 표 1 참조). HPV 유발 종양 또는 암은 HPV 16, 18, 26, 31, 33, 35, 39, 45, 51, 52, 53, 56, 58, 59, 66, 68, 73, 82형 중 하나 이상, 특히 16, 18, 31, 33, 45형에 양성 반응을 보일 수 있다.
"병용 투여"라고 명시된 경우, 이는 일반적으로 두 약제가 공동 조제 및 공동 투여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한 약제가 다른 약제와 함께 사용하도록 명시하는 라벨이 부착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IL-2/IL-15Rβγ 작용제는 암 치료 또는 관리에 사용되며, 이 경우 IL-2/IL-15Rβγ 작용제와 추가 치료제를 동시에, 개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포함된다. 그러나 이 신청서에서 두 가지 복합제가 번들 또는 키트로 제공되거나 투여 스케줄이 일치하는 경우 함께 조제 및 투여되는 것을 배제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병용 투여"에는 (i) 약물이 공동 주입, 공동 주사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함께 투여되는 경우, (ii) 약물이 개별적으로 투여되지만 각 약물의 주어진 투여 방식에 따라 병렬로 투여되는 경우, (iii) 약물이 개별적으로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경우 등이 포함된다.
이 맥락에서 병행 투여는 두 치료가 함께 시작되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치료 요법 내에서 각 약물의 첫 번째 투여는 같은 날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재적으로 다른 치료 일정을 고려할 때 다음 날/주/월 동안 투여가 항상 같은 날에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병행 투여는 각 치료 주기가 시작될 때 두 약물이 동시에 체내에 존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순차 투여는 두 치료가 순차적으로 시작되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첫 번째 약물의 첫 번째 투여는 두 번째 약물이 활성화되기 전에 첫 번째 약물에 대한 신체의 약역학적 반응을 허용하기 위해 두 번째 약물의 첫 번째 투여보다 적어도 하루, 바람직하게는 며칠 또는 일주일 전에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치료 일정이 겹치거나 간헐적으로 또는 서로 바로 뒤따를 수 있다.
용어 "체크포인트 억제제 치료에 내성"은 체크포인트 억제제 투여 시 치료 반응을 보이지 않는 환자를 의미한다.
용어 "체크포인트 억제제 치료에 불응성"은 처음에 체크포인트 억제제 치료에 치료 반응을 보였으나 시간이 지나도 치료 반응이 유지되지 않는 환자를 의미한다.
용어 "약"은 값과 함께 사용될 때 그 값의 ±10%, 바람직하게는 5%, 특히 1%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로 구성된"이라는 용어는 "로 이루어진"이라는 용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간주된다. 이하에서 그룹이 적어도 특정 수의 구체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면, 이것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구체예로만 구성된 그룹을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 명사를 언급할 때 부정관사나 정관사가 사용되는 경우 "a", "an" 또는 "the"는, 다른 것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는 한 해당 명사의 복수가 포함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화학요법제"와 같은 용어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화학요법제를 의미할 수 있다. 동일한 맥락에서 용어 "이의 조합"은 하나 이상의 화학요법제를 포함하는 조합을 지칭한다.
기술 용어는 상식적으로 사용된다. 특정 용어에 특정한 의미가 전달되는 경우, 용어의 정의는 해당 용어가 사용되는 맥락에서 다음과 같다.
"qxw", 라틴어 quaque/each에서 유래하며, 매 x주마다 매번, 예를 들어, q2w는 2주마다 매번.q3w는 3주마다 매번.
"s.c."는 피하로
"i.v."는 정맥내로
"i.p."는 복강내로
발명의 설명
편평 세포 암종
본 발명은 인간 환자의 편평 세포 암종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인터루킨-2/인터루킨-15 수용체 βγ (IL-2/IL-15Rβγ) 작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IL-2/IL-15Rβγ 작용제는 흑색종 세포의 높은 면역원성 및 이러한 적응증에서 IL-2의 승인으로 인해 효능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는 적응증으로 흑색종과 신장 세포 암종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반면,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편평 세포 암종 치료에서도 효능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편평 세포 암종(이 경우 피부 편평 세포 암종) 환자에게 조영제를 사용한 CT 스캔으로 측정한 병변의 합이 치료 전 CT 스캔과 비교하여 약 50%, 나중에는 약 60%까지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전 치료로 국소 방사선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말기 환자의 경우, 1차 전신 치료로 항암 항체(세툭시맙)와 함께 두 가지 화학 요법(도세탁셀과 시스플라틴)을 병용하고 2차로 PD-1을 표적으로 하는 면역 관문 억제제 치료를 병행했다, 이 환자는 면역항암제(SO-C101)만 투여받았기 때문에 단일제 치료에서 면역항암제 작용기전만으로 종양 병변이 이렇게 크게 감소한 것은 매우 놀라운 결과였다. 4.5개월 후 종양이 다시 진행되기 시작하자 환자는 SO-C101과 PD-1을 표적으로 하는 다른 체크포인트 억제제를 병용하여 치료한 결과 치료 3개월 만에 종양이 62% 더 감소하였다. 1.5개월 후 PET-CT 검사에서는 종양이 증식하는 '핫스팟'이 발견되지 않았다. 환자 병력의 다른 시점에 대한 면역 조직 화학 데이터와 함께 SO-C101 치료 시작 시점에 환자는 종양 침윤 면역 효과 세포 (NK 세포, CD8+ T 세포)의 낮은 수준으로 인해 체크 포인트 억제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SO-C101 단독 요법은 면역 세포의 대규모 활성화를 유도하여 종양에 대한 새로운 면역 반응을 일으켜 처음 관찰된 부분 반응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치료 성공에도 불구하고 종양은 PD-L1의 상향 조절로 인해 면역 효과 세포를 침묵시켜 치료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내성은 SO-C101(즉, IL-2/IL-15Rβγ 작용제)과 항 PD-1 항체(즉, 체크포인트 억제제)의 병용 요법으로 치료를 계속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실시예 2 참조).
또한, 갑상선암 환자(실시예 3), 피부 편평세포암 환자(실시예 4), 자궁경부 선암 환자(실시예 5), 항문암 환자(실시예 6) 등 말기 환자가 SO-C101과 펨브롤리주맙 병용 치료군에서 임상 반응을 나타냈다.
중간 결과로서, 데이터는 SO-C101이 선천성 면역 반응과 적응성 면역 반응을 모두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놀랍게도 펨브롤리주맙과 병용한 SO-C101 6μg/kg 코호트에서 말기 종양 환자 6명 중 5명(SSCC, 자궁경부암, 간암, 위암, 대장암)이 치료의 혜택을 받은 반면(부분 반응 환자 2명 - SSCC 및 피부 흑색종, 3명 - 자궁경부암, 간암, 위암, 5명 모두 여전히 치료 지속), 1명만 치료의 혜택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코호트의 환자 1명은 부작용(대장암)으로 인해 치료를 빨리 중단했기 때문에 집계에 포함되지 않았다.
편평세포암종(SCC) 또는 표피암은 피부 표면과 신체의 속이 빈 장기, 호흡기 및 소화관의 내벽에 형성되는 퇴화된 편평세포로 인해 발생하는 암종 그룹이다. 구강 편평상피세포암, 구인두 편평상피세포암, 후두 편평상피세포암 등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의 하위 집합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과 연관되어 있다(Tumban 2019). 또한 항문암, 음경암, 질암의 하위 집합은 HPV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편평 세포 암종은 피부 편평 세포 암종 (피부 편평 상피세포 암종이라고도 함), 비소 세포 폐암 (NSCLC), 특히 폐 편평 세포 암종 (SCC), 편평 세포 갑상선 암종,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 (HNSCC), 구강 편평 세포 암종,구인두 편평세포암, 후두 편평세포암, 식도 편평세포암, 식도 및 위식도 접합부암 편평세포암, 질 편평세포암, 음경 편평세포암, 항문 편평세포암, 전립선 편평세포암, 방광 편평세포암 군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궁경부암, 두경부 편평세포암, 구강 신생물, 구인두(특히 구인두 편평세포암), 음경암, 항문암, 질암, 외음부암, HPV 관련 피부암(예, 피부 편평 세포 암종 또는 각질 세포 암종) (Bouda et al.2000, Sterling 2005, Howley and Pfister 2015, Augustin et al. 2020)이 바람직하다. 피부 편평세포암은 특히 예시 2 및 4의 환자 치료 성공 사례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고위험 유형(여기서는 HPV-16)의 혈청 양성인 환자에서 피부 편평 세포 암종 재발의 5년 확률이 증가하므로(Paradisi et al. 2020), 고위험 유형(16, 18, 26, 31, 33, 35, 39, 45, 51, 52, 53, 56, 58, 59, 66, 68, 73 및 82형, 특히 16, 18, 31, 33 및 45형)의 HPV 양성인 환자의 치료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현재 일상적인 진료에서 가능한 HPV 검출 방법은 HPV PCR, E6/E7 mRNA RT-PCT, E6/E7 mRNA 현장 혼성화, HPV DNA 현장 혼성화, P16 면역화학법이다. 혈액을 이용한 비침습적 기술로는 E6 체액 반응과 ddPCR을 이용한 HPVct DNA 검출이 있으며,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반 "HPV 포획"은 순환하는 DNA 물질(및 생검)에서 가능한 기술이다(Augustin et al. 2020, 특히 표 1 참조).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환자는 적어도 하나의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치료에 대해 (일차적) 내성 또는 (후천적 내성으로 인한) 불응성이 있다. 한편, PD-1 길항 항체(예, 항-PD-1 항체 또는 항-PD-L1 항체) 또는 CTLA-4 길항 항체(예, 항-CTLA-4 항체)와 같은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높은 반응률을 갖는 많은 종양 적응증에 대한 표준 치료법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환자는 PD-1 길항제, 특히 항 PD-1 항체에 대한 일차 내성 또는 불응성인 경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환자는 치료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원발성 내성), 반응 기간이 지나면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후천성 내성)(Sharma et al. 2017). 항원 단백질의 부재, 항원 제시의 부재, 유전적 T 세포 배제, T 세포의 무감각, T 세포의 부재, (추가) 억제성 면역 체크포인트 또는 면역 억제 세포의 존재 등 다양한 메커니즘이 면역 요법에 대한 이러한 내성을 유발하거나 기여할 수 있다. 면역 요법에 대한 내성을 극복하는 것은 여전히 큰 도전이며, 내인성 T 세포 기능 강화, 항원 특이적 T 세포 또는 조작된 T 세포 (CAR 또는 TCR)의 입양, 백신 접종, 분자 표적 전략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복잡한 치료 방식이 테스트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전략은 조합 전략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조합 접근 방식을 테스트 할 필요가 시급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Sharma et al. 2017). 따라서, 본 발명의 IL-2/IL-15Rβγ 작용제는 면역 요법, 이 경우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인 항 PD-1 항체인 세미플리맙에 대한 불응성(여기서는 SO-C101 치료 전에 관찰된 면역 세포의 낮은 침윤을 고려할 때 일차 내성일 가능성이 높음) 환자에서 관찰된 치료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 않았다. 이 효과는 SO-C101 단독 요법의 결과로 관찰되었으므로 치료 효과는 IL-2/IL-15Rβγ 작용제의 활성에서만 비롯된 것으로 가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병용 투여되지 않는다. 실시예 2의 환자에서 관찰된 바와 같이, 치료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 추가 치료가 필요하지 않았으며, IL-2/IL-15Rβγ 작용제는 놀랍게도 단일제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로 환자를 치료하지 않는 것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이다. 분명히, 다른 공지된 또는 미래의 치료 방식이 본 발명의 IL-2/IL-15Rβγ 작용제와 병용하는 것이 여전히 의미가 있을 수 있다.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가 없는 상태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로 치료받은 환자는 PD-1 길항제, 특히 항 PD-1 항체에 대한 일차 내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PD-1 길항제와 병용하여 투여되지 않는다. 실시예 2의 환자는 PD-1 길항제에 불응성이었으므로, PD-1 길항제 치료에 내성 또는 불응성이 있는 환자는 IL-2/IL-15Rβγ 작용제와 병용하는 경우 그러한 치료로부터 더 이상의 혜택을 얻지 못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PD-1 길항제 치료에 불응성이거나 내성이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환자가 불응성 또는 내성이 있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병용 투여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환자가 불응성 또는 내성이 있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병용 투여되지 않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가 PD-1 길항제인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다. 실시예 2의 환자에 대해 관찰된 바와 같이, 치료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하지 않았고,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에 대한 내성이 주어진 경우, 그러한 환자에게 그러한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로 더 이상 치료하지 않는 것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이다. 명확하게, 본 발명의 IL-2/IL-15Rβγ 작용제와 병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공지 또는 미래 치료 양태에 의미가 있을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환자는 이전에 체크포인트 억제제로 치료받은 적이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환자는 이전에 PD-1 길항제로 치료받은 적이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환자는 이전에 단일 요법으로 체크포인트 억제제로 치료받은 적이 있습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환자는 이전에 단일 요법으로서 PD-1 길항제로 치료받은 적이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환자는 이전에 유일한 항암제로서 체크포인트 억제제로 치료받은 적이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환자는 이전에 유일한 항암제로서 PD-1 길항제로 치료받은 적이 있다.
한편,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병용 투여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에 PD-1 길항제와 병용하여 투여된다. IL-2 및 IL-15를 포함한 일반적인 γ-사슬 사이토카인은 PD-1 및 그 리간드와 같은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의 발현을 상향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합은 의미가 있다(Kinter et al. 2008). 본 발명의 IL-2/IL-15Rβγ 작용제로 내성 또는 불응성 환자를 치료하면,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치료에 대해 해당 환자를 다시 민감하게 하여 종양의 내성 메커니즘을 상쇄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실시예 2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는데, 이 환자는 항 PD-1 항체 치료에 내성이 있었고, SO-C101 치료에 반응하여 종양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이후 SO-C101 치료에 대한 내성이 진행되었으나, SO-C101과 펨브롤리주맙(항 PD-1 항체)의 병용 치료에 다시 반응하였다. 따라서 SO-C101이 종양 세포에서 PD-L1의 상향 조절(종양 생검에서 관찰됨)로 인해 종양의 감작을 유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어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종양 침윤이 낮은 환자는 종양이 면역계에 의해 인식되지 않아 면역 반응이 아직 체크포인트 억제제(예, PD-L1 - PD-1 상호 작용)를 통해 하향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체크포인트 억제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일차 내성을 나타낸다. IL-2/IL-15Rβγ 작용제로 치료하면 두 번째 단계에서 면역 효과 세포에서 PD-1과 같은 수용체의 상향 조절을 유도하는 새로운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PD-L1과 같은 체크포인트 양성 종양 세포를 선택하도록 유도하여 종양을 체크포인트 억제제 치료(예, PD-1/PD-L1 표적 체크포인트 억제제 치료)에 종양을 민감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일차 내성이거나 이펙터 세포에서 PD-1 발현을 하향 조절하여 항 PD-1 항체 치료 중 내성이 생긴 경우, IL-2/IL-15Rβγ 작용제로 치료하면 PD-1 발현이 다시 상향 조절되어 환자가 항 PD-1 항체에 (다시) 감작될 수 있다. 또한, IL-2/IL-15Rβγ 작용제 치료는 NK 세포를 강력하게 활성화하여 항원 특이적 T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을 새롭게 활성화할 수 있다. 이렇게 새로 모집/침투된 CD8+ T 세포는 다시 PD-1 차단에 민감해진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환자에게 투여되는 유일한 항암제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환자가 불응성 또는 내성을 갖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병용 투여되며, 바람직하게는 환자가 불응성 또는 내성을 갖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병용 투여되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PD-1 길항제이다. IL-2/IL-15Rβγ 작용제의 활성으로 인한 불응성 환자의 잠재적 감작 가능성에 근거하여, 환자가 불응성 또는 내성이 있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로도 환자를 치료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실시예 2의 환자에게서 관찰되었다. 또한, 실시예 4 및 6의 환자들은 항 PD-1 항체와 병용하는 SO-C101 임상시험에 들어가기 전에 항 PD-1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내성이 생겼다. 현재 PD-1 길항제의 광범위한 적용과 IL-2/IL-15Rβγ 작용제 활성으로 인한 PD-1의 상향 조절을 고려할 때, IL-2/IL-15Rβγ 작용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PD-1 내성 또는 불응성 환자를 치료하는 것은 막대한 치료 혜택을 가져올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IL-2/IL-15Rβγ 작용제에 의한 암 치료는 치료 전에 존재하는 종양의 크기가 적어도 약 30% 감소하고, 바람직하게는 치료 후 16주 이내에 약 30% 감소하며, 바람직하게는 치료 후 16주 이내에 약 50%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피부 편평 세포 암종 환자의 경우, 치료 12주 후 종양 병변이 49%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종양 크기 감소는 일반적으로 조영제, 자기공명영상 또는 기타 영상 기술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CT 스캔을 통해 측정하며, 치료 전에 얻은 값을 치료 중 또는 치료 후 특정 시점(또는 치료 주기)의 값과 비교한다. 종양의 질량/부피 또는 종양의 지름을 비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값은 치료(기준선) 전에 이미 발견할 수 있었던 병변을 기준으로 하며, 즉 치료 중에 발생한 새로운 병변은 이러한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에 대한 반응은 NK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선천성 면역 반응에 의해 매개된다. 실시예 2의 고반응성 환자는 잠재적으로 비활성화/소진된 CD8+ T 세포로 인해 항-PD-1 항체에 불응하는 것으로서, 환자에 대해 관찰된 많은 수의 활성화된 NK 세포가 신규 항원 특이적 T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을 프라이밍한 반면, 그러한 신규 모집된 CD8+ T 세포는 PD-1 차단에 다시 민감할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인터루킨 15(IL-15)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인터루킨-15 수용체 알파(IL-15Rα) 또는 이의 유도체로 구성된 복합체이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복합체는 IL-15 또는 이의 유도체와 IL-15Rα 또는 이의 유도체 사이의 비공유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복합체는 IL-15 또는 이의 유도체와 IL-15Rα 또는 이의 유도체 사이의 공유 결합을 포함한다. 공유 결합은 IL-15 유도체의 도입된 시스테인과 IL-15Rα 유도체의 스시 도메인 사이의 이황화 결합일 수 있다(예를 들어, WO 2016/095642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IL-15 또는 이의 유도체 및 IL-15Rα 또는 이의 유도체로 구성된 융합 단백질이다. 융합 단백질은 IL-15 또는 이의 유도체와 IL-15Rα 또는 이의 유도체 사이의 유연한 링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IL-15Rα의 유도체는 IL-15Rα의 용해성 형태이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IL-15Rα의 유도체는 IL-15Rα의 세포 외 도메인이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인터루킨 15(IL-15) 또는 이의 유도체와 인터루킨-15 수용체 알파(IL-15Rα)의 스시 도메인 또는 이의 유도체로 구성된 복합체이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복합체는 IL-15 또는 이의 유도체와 IL-15Rα 또는 이의 유도체 스시 도메인 사이의 비공유 상호 작용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복합체는 IL-15 또는 이의 유도체와 IL-15Rα의 스시 도메인 또는 이의 유도체 사이의 공유 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WO 2016/095642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공유 결합은 IL-15 유도체의 도입된 시스테인과 IL-15Rα 유도체의 스시 도메인 사이의 이황화 결합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IL-15 또는 이의 유도체 및 IL-15Rα 또는 이의 유도체 스시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이다. 융합 단백질은 IL-15 또는 이의 유도체와 IL-15Rα 또는 이의 유도체 스시 도메인 사이의 유연한 링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링커는 SEQ ID NO: 8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IL-15Rα에 대한 스시 도메인은 SEQ ID NO: 6 또는 SEQ ID NO: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IL-15는 SEQ ID NO: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SEQ ID NO: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SEQ ID NO: 9를 포함하는 단백질,
노가펜디킨 알파/인바키셉트(US 2017/0088597에 기술된 ALT-803),
WO 2021/156720A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종이합체 IL-15:IL-Rα(hetIL-15 또는 NIZ985), (SEQ ID NO: 3을 갖는 IL-15, 서열 SEQ ID NO: 5 또는 SEQ ID NO: 14를 갖는 IL-15Rα 유도체),
Robinson과 Schluns(2017)에 설명된 IL-2/IL-15Rβγ 작용제,
벰페갈데스루킨(WO 2012/065086A1, 및 Charych 외(2016) 및 Charych 외(2017)에 기술된 NKTR-214),
SEQ ID NO: 10에 따른 IL2v,
Joseph 외(2019) 및 WO 2019/028419A1(P65_30KD 분자)에 설명된 THOR-707,
Lopes 외(2020)에 기술된 넴발루킨 알파(ALKS 4230),
WO 2016/095642 및 Hu 외(2018)에 기술된 바와 같이, IL-15 폴리펩타이드에 L52C 치환(SEQ ID NO:15)이 있고 IL-15Rα 스시+ 폴리펩타이드에 S40C 치환(SEQ ID NO:16)이 있는 P-22339,
Silva 외(2019) 및 WO 2021/081193A1(NEO 2-15 E62C, SEQ ID NO: 17)에 기술된 NL-201,
WO 2018/213341A1(컨쥬게이트 1)에 기술된 NKRT-255,
US 2018/0118805에 기술된 XmAb24306(도 94C의 XENP024306, SEQ ID NO: 18 및 SEQ ID NO: 19 참조)
(Arenas-Ramirez 외(2016), SITC 연례회의 2020 포스터 #571에 기술된 바와 같이) IL-2와 IL-2 특이적 항체의 ANV419 융합 단백질,
WO 2020/069398 및 O'Neil J 외. 2021 ASCO 연례 회의 포스터에 기술된 XTX202(CLN-617),
Moynihan K 외, "CD8 표적 IL-2에 의한 CD8+ T 세포의 선택적 활성화로 항종양 효능 및 안전성 향상" 포스터(SITC 2021)에 기술된 AB248,
Salmeron A. 외, "WTX-124는 종양에서 조건부로 활성화되고 마우스 종양 모델에서 완전한 퇴행을 유도할 수 있는 IL-2 전구약물", AACR 연례회의 2021 포스터및 WO 2020/232305A1에 기술된 WTX-124, 및
WO 2019/165453A1에 기술된 THOR-924, -908 및 -918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i) SEQ ID NO: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
(ii) SEQ ID NO: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IL-15 및 SEQ ID NO: 14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SEQ ID NO: 5의 아미노산 31에서 아미노산 172,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또는 205 중 하나에 대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IL-15Rα 유도체를 포함하는 단백질 복합체,
(iii) SEQ ID NO: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
(iv) SEQ ID NO: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IL-15 및 SEQ ID NO: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IL-15Rα 스시 도메인을 포함하는 단백질 복합체,
(v) SEQ ID NO: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 또는
(vi) SEQ ID NO: 1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 및 SEQ ID NO: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복합체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펄스 주기적 투여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IL-2/IL-15Rβγ 작용제에 관한 것으로, 주기적 투여요법을 사용하여 인간 환자에게 IL-2/IL-15Rβγ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 포함하며, 상기 주기적 투여 요법은
(a) 제1 기간의 시작부터 y 연속일 동안 IL-2/IL-15Rβγ 작용제가 일일 용량으로 투여된 후 x-y일 동안 IL-2/IL-15Rβγ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x일의 제1 기간,
여기서, x는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또는 21일이고, 바람직하게는 7 또는 14일이며, 및
y는 2, 3 또는 4일이고,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일이며;
(b) 제1 기간의 적어도 1회 반복; 및
(c) IL-2/IL-15Rβγ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z일의 제2 기간을 포함하되,
여기서, z는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8, 35, 42, 49, 56, 63 또는 70일이고, 바람직하게는 7, 14, 21 또는 56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 14 또는 21일이다. 예시를 위해, 투여의 그래픽 표현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y는 2일이고 x는 7일이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암 치료 또는 관리에 사용하기 위한 인터루킨-2/인터루킨-15 수용체 βγ (IL-2/IL-15Rβγ) 작용제에 관한 것으로, 주기적 투여 요법을 사용하는 인간 환자에게 IL-2/IL-15Rβγ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주기적 투여 요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기간의 시작부터 y 연속일 동안 IL-2/IL-15Rβγ 작용제가 일일 용량으로 투여된 후 x-y일 동안 IL-2/IL-15Rβγ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x일의 제1 기간,
여기서, x는 5, 6, 7, 8 또는 9일이고 y는 2, 3 또는 4일이며;
(b) 제1 기간의 적어도 1회 반복; 및
(c) IL-2/IL-15Rβγ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z일의 제2 기간, 여기서, z는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또는 20일이다. 예시를 위해, 투여의 그래픽 표현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투여 계획은 예를 들어, NK 및 CD8+ T 세포 둘 다 활성화 및 확장시키는 한 주의 1일 및 2일에 IL-2/IL-15Rβγ 작용제가 투여되고("펄스"), 이어서 그 주의 나머지 동안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경우 "펄스 주기적" 투여-"펄스"로 기술될 수 있다(단계 (a)). 이 온/오프 투여는 예를 들어 2주 또는 3주 동안 적어도 1회 반복되고(단계 (b)), IL-2/IL-15Rβγ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또 다른 기간, 예를 들어 또 다른 주(단계 (c))가 이어진다. 따라서, 주기의 예는 (a)-(a)-(c)((a)가 1회 반복) 또는 (a)-(a)-(a)-(c)((a)가 2회 반복)이다. 펄스 투여는 단계 (a)에 따른 제1 기간과 단계 (b)에서 제1 기간의 반복에서 생긴다. 단계 (a), (b) 및 (c)를 함께, 즉 IL-2/IL-15Rβγ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제2 기간과 조합하여 펄스 투여하는 것을 1 주기 또는 1 치료 주기라고 지칭한다. 이 전체 치료 주기(제1 기간 및 제2 기간)는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연속일에 IL-2/IL-15Rβγ 작용제 RLI-15/SO-C101의 펄스 투여가 i.v.s.c. 투여 둘 다 NK 세포 및 CD8+ T 세포의 강력한 용량 의존적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Ki67의 발현을 측정하여 측정됨, 즉, Ki67+가 됨). 동시에 Tregs는 유도되지 않았다. 1일에 영장류에게 IL-2/IL-15Rβγ 작용제의 1차 투여 후, 2일에 동일한 용량의 2차 투여가 NK 세포 및 CD8+ T 세포 둘 다의 활성화를 추가로 증가시킨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었다. 4일에 4차 투여는 활성화의 더이상 증가하지 않았지만 여전히 높은 활성화 수준을 유지하였다. 며칠 중 나머지 기간은 2차 펄스에서 비슷한 수준의 활성화를 달성하기에 충분하였다.
RLI-15는 영장류에서 주당 2일 연속 투여로 NK 세포 및 CD8+ T 세포의 최적 활성화를 제공한다. RLI-15의 반감기가 비교적 짧아 첫 번째 투여 4일 후에도, 두 번째 투여 3일 후에도 여전히 높은 수준의 NK 세포와 CD8+ T 세포 증식으로 이어지는 것은 놀라운 결과이다.
중간-친화성 IL-2/IL-15Rβγ 수용체의 장기간 지속적인 자극은 RLI-15와 같은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IL-2/IL-15Rβγ 수용체 작용제로 2일 연속 투여에 의한 상대적 단기 자극과 비교하여 NK 세포 및 CD8+ T 세포의 자극에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너무 빈번한 투여 또는 상당히 긴 반감기를 가진 작용제에 의한 지속적인 자극은 영장류에서 NK 세포 및 CD8+ T 세포의 피로와 무감각을 유발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제공된 펄스 주기적 투여 및 펄스 투여는 고전적인 약물과 유사하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AUC 및 Cmax를 최적화하려고 시도하면서, 즉, 일정한 약물 수준을 목표로 하여 효과기 세포의 지속적인 자극을 위해 이러한 작용제의 연속 투여를 적용하는 영장류 및 인간에서 시험된 IL-2/IL-15Rβγ 작용제에 대한 이전에 기술된 투여 요법과는 대조적이다.
예를 들어, IL-2와 IL-15는 연속적으로 투여된다: 8시간 마다 15분 이상 IL-2 i.v. 볼루스; 및 IL-15 1-8일 및 22-29일 s.c. 또는 5일 또는 10일 연속해서 i.v. 연속 주입, 또는 12일 연속해서 매일 i.v.(임상 시험 참조: NCT03388632, NCT01572493, NCT01021059). IL-2/IL-15Rβγ 작용제 hetIL-15는 영장류에게 1일, 3일, 5일, 8일, 10일, 12일 및 29일, 31일, 33일, 36일, 38일 및 40일에 연속 투여되었다(즉, 한 주의 1, 3 및 5일 항상). 반응성 부족은 IL-2/IL-15Rβγ 작용제의 용량을 64 ㎍/kg의 높은 용량까지 증가시켜 극복하려고 시도했으며(Bergamaschi et al. 2018), 이는 인간에서 허용되는 것보다 훨씬 높다(Conlon et al. 2019). 인간에서 hetIL-15(NIZ985)는 0.25 내지 4.0 ㎍/kg으로 2주-온/2주-오프로 s.c. 투여되고 다시 일주일에 3회(TIW) 투여되었다(Conlon et al. 2019). 이에 비해 ALT-803은 인간 임상 시험에서 주당 1회(4회의 6주 주기 중 1 내지 5주에) 투여되었다(Wrangle et al. 2018). 그리고 NKT-214는 3주 마다 1회 투여된다.
본 발명자들의 발견은 Frutoso et al.의 보고와 더욱 대조적이며, 여기서 마우스의 펄스 투여(1일 및 3일에 치료 중단)에서 IL-15 또는 IL-2/IL-15Rβγ 작용제로 2차 자극은 생체내에서 NK 세포의 현저한 활성화로 이어지지 않았다(Frutoso et al. 2018).
일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x는 6, 7 또는 8일, 바람직하게는 7일이다. 편의상, 특히 이러한 리듬이 여러 주에 걸쳐 반복되어야 하는 경우, 즉 x는 바람직하게는 7일인 경우 매주 리듬으로 환자를 치료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리듬을 6일 또는 8일로 변경하면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합리적으로 가정할 수 있다. 치료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며 6일 또는 8일도 바람직한 구체예를 만든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 y는 2 또는 3일, 바람직하게는 2일이다. 시노몰구스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1주일에 2일 연속으로 매일 투여하면 NK 세포와 CD8+ T 세포의 최적 활성화(Ki67+로 측정)에 도달할 수 있는 반면, 1주 이내에 4일 연속 투여는 활성화된 NK 세포 및 CD8+ T 세포 측면에서 어떠한 추가적인 이점도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NK 세포와 CD8+ T 세포의 활성화는 2차 투여와 4차 투여 사이에 정체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약물에 대한 환자의 노출을 최소화하지만 여전히 효과기 세포의 높은 수준의 활성화를 달성하기 위해 2일 및 3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2일 연속 투여가 바람직하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z는 6, 7 또는 8일이다. 환자의 편의를 위해 주간 리듬을 유지하기 위해 IL-2/IL-15Rβγ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기간 z는 바람직하게는 7일 또는 14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7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여 요법은 IL-2/IL-15Rβγ 작용제가 더 낮은 일일 용량으로 투여되거나, 덜 빈번하게 투여되거나, 또는 환자의 반응을 검사하거나 치료에 사용된 환자를 얻거나 차후의 더 높은 면역 세포 반응에 대해 면역계를 준비시키기 위해 연장된 치료 중단이 적용되는 전-처리 기간에 의해 선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 기간 x(예, 7일)에서 y일의 치료(예, 2 또는 3일)를 포함하는 전처리로서 하나의 추가 치료 주기가 있는 반면 z는 다음 치료 주기와 비교하여 연장되는 것으로 예상된다(예, 7일이 아닌 14일).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x는 7일, y는 2일 및 z는 7일이다. 2일 연속 2회 투여 후 투여되지 않는 7-2=5일의 치료 주기가 특히 바람직하며, 따라서 매주 주기를 만드는 것은 환자를 위한 편리한 매주 주기로 NK 세포 및 CD8+ T 세포의 최대 활성화를 달성하는 IL-2/IL-15Rβγ 작용제의 2회 투여의 최소 노출을 결합하는 것이다. RLI-15/SO-C101을 단독요법으로 사용하는 최초의 인간 대상 임상시험은 현재 이 계획에 따라 1일차와 2일차에 치료한 후 5일간 비-치료로 첫주/기간을 완료하고(즉, x = 7, y는 2), 이 첫 치료 기간을 한 번 반복한 후 1주일간 무투여(z = 7)로 진행한다. 그런 다음 질병이 진행될 때까지 이 21일 주기를 반복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x는 7일이고, y는 2, 3 또는 4일이고 z는 7일이다. 2일 연속 2회 투여는 이미 NK 세포 및 CD8+ 세포의 최대 활성화를 나타낸 반면, 4일 연속 4회 투여는 활성화된 NK 세포 및 CD8+ 세포의 현저한 감소를 초래하지 않고 또 다른 2일 동안 이러한 활성화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대안의 바람직한 치료 요법은 x가 7일, y는 3일 및 z는 7일, 즉 3일 연속 3회 투여한 후 투여 없이 7-3=4일로 이어지는 것이며, 이는 NK 세포 및 CD8+ T 세포의 장기간 활성화가 더 높은 효능으로 해석되는 경우 유익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대안의 바람직한 치료 요법은 x가 7일, y는 4일 및 z는 7일, 즉 4일 연속 4회 투여한 후 투여 없이 7-4=3일로 이어지는 것이며, 이는 NK 세포 및 CD8+ T 세포의 장기간 활성화가 더 높은 효능으로 해석되는 경우 유익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일일 용량은 IL-2/IL-15Rβγ 작용제의 0.1 ㎍/kg(0.0043μM) 내지 50 ㎍/kg(2.15μM)이다.
일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일일 용량은 IL-2/IL-15Rβγ 작용제의 0.0043 μM 내지 2.15 μM이다.
본 발명자들은 인간 NK 세포 및 CD8+ T 세포에 대해 시험관내에서 그리고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얻은 생체내 데이터에서 RLI-15/SO-C101(여기서 1μM은 23 ㎍/kg)과 NK 및 CD8+ T 세포 증식 간의 좋은 상관관계를 보여줄 수 있었다. 이 상관관계로부터, RLI-15 및 IL-2/IL-15Rβγ 작용제, 바람직하게는 거의 동일한 분자량을 갖는 IL-2/IL-15Rβγ 작용제에 대해 약 0.25 ㎍/kg에서 최소 예상 생물학적 효과 수준(MABEL), 약 0.6 ㎍/kg 내지 10 ㎍/kg의 약리학적 활성 용량(PAD)과 약 25 ㎍/kg의 관찰되지 않는 부작용 수준(NOAEL) 및 약 32 ㎍/kg의 최대 허용 용량(Maximum Tolerated Dose)을 예측할 수 있다. 이들 값은 IL-2/IL-15Rβγ 작용제의 약 0.011 μM의 MABEL, 약 0.026 μM 내지 0.43 μM의 IL-2/IL-15Rβγ 작용제의 PAD, IL-2/IL-15Rβγ 작용제의 약 1.1 μM에서 NOAEL 및 IL-2/IL-15Rβγ 작용제의 약 1.38 μM에서 MTD과 일치한다.
예측과의 잠재적 편차를 고려하여 임상 시험을 위한 시작 용량은 0.1 ㎍/kg(0.0043 μM)이 결정되었으며, 인간에서 관찰된 MTD는 최대 50 ㎍/kg(2.15 μ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용량은 0.25 ㎍/kg(0.011 μM)(MABEL) 내지 25 ㎍/kg(1.1 μM)(NOAEL),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kg(0.026 μM) 내지 10 ㎍/kg(0.43 μM)(PAD), 보다 바람직하게는 1 ㎍/kg(0.043 μM) 내지 15 ㎍/kg(0.645 μM), 특히 2 ㎍/kg(0.087 μM) 내지 12 ㎍/kg(0.52 μM)이다.
따라서, 또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일일 용량은 IL-2/IL-15Rβγ 작용제의 0.0043 μM 내지 2.15 μM이고, 바람직하게 용량은 0.011 μM(MABEL) 및 1.1 μM(NOAEL),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6 μM 내지 0.52 μM(PAD)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일일 용량은 0.1 내지 50 ㎍/kg,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25 ㎍/kg,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2 ㎍/kg의 용량 범위 내에서 선택되며, 특히 2 내지 12 ㎍/kg은 투여 요법 동안 실질적으로 증가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용량은 투여 요법 동안 유지된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투여 요법은 NK 세포 및 CD8+ T 세포의 반복된 활성화를 나타내었고 시간 경과에 따른 용량 증가를 필요로 하지 않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hetIL-15에 사용된 용량 요법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2 내지 64 ㎍/kg으로 용량을 점진적으로 두 배로 늘려 보상하였다(Bergamaschi et al. 2018). 따라서, 0.1 내지 50 ㎍/kg 범위 내에서 선택된 일일 용량은 최초 투여 기간을 반복하거나 또는 한 주기에서 다음 주기로 증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중요한 이점이다. 따라서 독성 용량에 도달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료 효과가 떨어질 위험 없이 치료 주기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투여 요법 동안 동일한 일일 용량을 유지하면 의사나 간호사가 치료마다 용량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일일 용량은 3 ㎍/kg(0.13 μM) 내지 20 ㎍/kg(0.87 μM), 바람직하게는 6 ㎍/kg(0,26 μM) 내지 12 ㎍/kg(0,52 μM)의 IL-2/IL-15Rβγ 작용제이다. .
일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일일 용량은 7 ㎍ 내지 3500 ㎍(0.30 mol 내지 150 mol), 바람직하게는 17.5 ㎍ 내지 1750 ㎍(0.76 mol 내지 76 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42 ㎍ 내지 700㎍(1.8 mol 내지 30 mol), 특히 140 ㎍ 내지 700 ㎍(6.1 mol 내지 30 mol)이다.
일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일일 용량은 투여 요법 동안 증가된다. IL-2/IL-15Rβγ 작용제가 IL-2/IL-15Rβγ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확장시키고 표면에서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동일한 용량의 작용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작용제 분자가 세포에 결합될 것이기 때문에 작용제의 혈장 농도가 감소한다. 표적 세포에 점점 더 많이 포획되는 분자를 보상하기 위해, 투여 요법 동안 일일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일 용량의 증가는 바람직하게는 x일의 각 기간 후에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증가는 x일의 각 펄스 후에 증가가 발생하는 경우 운영상 가장 잘 관리할 수 있다. 특히 CD8+ T 세포는 x일의 펄스 처리 후 IL-2/IL-15Rβγ 작용제에 의한 자극에 대한 민감성을 잃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각 펄스 치료 후 x일마다 일일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일일 허용 용량의 상한에 도달할 때까지).
일 구체예에서, 다음 치료 주기는 초기 일일 용량에서 다시 시작하고 각 펄스 x일 후에 다시 증가한다(도 6, 옵션 A 참조). 또는, 다음 치료 주기는 이전 펄스의 마지막 일일(증가된) 용량과 동일한 일일 용량으로 x일 동안 시작한다(참조(도 6, 옵션 B 참조).
일 구체예에서, 일일 용량은 표적 세포의 확장을 보상하기 위해 x일의 각 기간 후에 약 20%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50% 증가된다.
이러한 증가는 예를 들어 용량 제한 독성으로 인해 초과될 수 없는 상한으로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표적 세포에 대한 작용제의 결합을 감안할 때, 이 상한은 표적 세포의 수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즉, 표적 세포 구획이 확장된 환자는 표적 세포 수가 적은 (치료받지 않은) 환자에 비해 더 높은 용량의 작용제를 견딜 것으로 예상된다. 여전히, 용량 증가 후 허용되는 일일 용량의 상한은 50 ㎍/kg(2.15 μM), 바람직하게는 32 ㎍/kg(1.4 μM), 보다 바람직하게 20 μg/kg (0.87 μM) 및 특히 12 ㎍/kg(0.52 μM)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일일 용량은 x일의 제1 기간 후에 단 한번, 바람직하게는 x일의 제1 기간 후에 약 20%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50%만큼 증가된다. 이미 일일 용량의 1회 증가가 허용되는 일일 용량의 상한에 도달할 수 있고 더 나아가, IL-2/IL-15Rβγ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z일 동안 NK 세포 및 CD8+ 세포의 수준은 거의 정상 수준으로 돌아가서 한 번의 증가로 충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일일 용량은 펄스 기간 y 내에 각각의 일일 용량 후에 증가된다. 바람직한 구체예는 동일한 주기 내의 다음 치료 기간 x 동안, 다음 일일 용량이 추가로 증가될 수 있거나(도 6, 옵션 C 참조) 이전 치료 기간 x의 마지막 일일 용량과 동일한 일일 용량 수준에서 계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도 6, 옵션 D 참조). 치료 주기 사이에 일일 용량은 항상 초기 용량 수준에서 다시 시작하거나(도 6, 옵션 C 및 B 참조) 이전 치료 기간 x의 1차 치료일부터 증가된 용량 수준으로 계속할 수 있다(도 6, 옵션 E 참조). 다시 말하지만, 이러한 증가는 예를 들어 용량 제한 독성으로 인해 초과할 수 없는 상한으로 제한된다. 그러나 표적 세포에 대한 작용제의 결합을 감안할 때, 이 상한은 표적 세포의 수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즉, 표적 세포 구획이 확장된 환자는 표적 세포 수가 적은 (치료받지 않은) 환자에 비해 더 높은 용량의 작용제를 견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전히, 용량 증가 후 내약성 일일 용량의 상한은 50 ㎍/kg(2.15 μM), 바람직하게는 32 ㎍/kg(1.4 μM), 및 특히 20 ㎍/kg(0.87 μM)으로 가정한다.
일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일일 용량이 단일 주사로 투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1일 1회 주사는 환자와 의료진에게 편리하므로 선호된다.
그러나, 분자의 짧은 반감기 및 면역 세포의 활성화가 이러한 작용제의 지속적인 수준보다 IL-2/IL-15Rβγ 작용제의 증가에 의존한다는 가설을 고려할 때, 일일 용량이 하루 이내에 투여되는 2 또는 3회분으로 분할되고, 회분의 투여 시간 간격은 적어도 약 4시간,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하인 것이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이다(고밀도 펄스 주기적 투여, dense pulsed cyclic dosing). 동일한 양의 작용제(여러 용량으로 나누어 낮 동안 투여)는 인간 환자의 NK 세포, 특히 CD8+ 세포를 자극하는 데 더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되며, 후자는 단 한 번의 주사로 투여된 것 보다 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낮다. 이것은 놀랍게도 마우스에서 관찰되었다. 실제로 이러한 다중 투여는 병원의 일상 업무, 의사의 진료 또는 외래 환자 환경에 포함될 수 있어야 하므로 8시간 내지 12시간의 교대를 포함하여 업무 시간 동안 동일한 용량을 2 내지 3회 투여하는 것은 여전히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첫 번째와 마지막 투여 사이의 최대 시간 차이로 8시간 또는 10시간 간격이 선호된다. 따라서, 일일 용량을 하루 이내에 투여되는 3회분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체예이며, 여기서 회분의 투여 시간 간격은 약 5 내지 약 7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6시간이다. 이는 환자에게 예를 들어 매일 오전 7시, 오후 2시 및 오후 7시(6시간 간격) 또는 오전 7시, 오후 1시 및 오후 6시(5시간 간격)에 투여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일일 용량은 하루 이내에 투여되는 2회분으로 분할되되, 회분의 투여 시간 간격은 약 6시간 내지 약 10시간, 바람직하게는 8시간이다. 2회 투여의 경우, 환자에게 예를 들어, 오전 8시와 오후 4시(8시간 간격)에 투여될 수 있다. 병원의 일과를 고려할 때 투여 간격은 하루 내 또는 매일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IL-2/IL-15Rβγ 작용제는 피하(s.c.) 또는 복강내(i.p.), 바람직하게는 피하(s.c.) 투여된다. 본 발명자들은 시노몰구스 연구에서 s.c. 투여는 NK 세포 및 CD8+ T 세포의 활성화 측면에서 i.v. 투여보다 더 강력함을 관찰하였다. i.p. 투여는 s.c. 투여와 유사한 약력학적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i.p. 투여는 특히 복강내 기관에서 기원하는 암, 예를 들어, 난소암, 췌장암, 결장직장암, 위암 및 간암, 그리고, 국소전이에 의한 복막전이 및 복막외암의 원격전이에 대한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단계 (a)에서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는 IL-2/IL-15Rβγ 작용제를 투여하지 않는 것과 비교하여 총 NK 세포의 Ki-67+ NK의 % 증가를 초래하되, 단계 (b)에서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는 단계 (a)의 Ki-67+ NK 세포의 적어도 70%인 Ki-67+ NK 세포 수준을 초래한다. Ki-67은 증식하는 세포에 대한 마커이므로 전체 NK 세포 중 Ki-67+ NK 세포의 백분율은 각 NK 세포 집단의 활성화 상태를 결정하는 척도이다. 놀랍게도, 작용제를 투여하지 않은 x-y일 이후에 매일 연속 투여를 반복하면 x일(단계 a) 동안 일일 투여를 이용한 제1 기간 동안 NK 세포의 강력한 활성화가 다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K 세포 활성화 수준은 전체 NK 세포 중 Ki-67+ NK 세포의 %로 측정된다.
여전히, 또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IL-2/IL-15Rβγ 작용제 투여는 제1 기간의 적어도 1회 반복 후, 바람직하게는 제1 기간의 적어도 2회 반복 후 IL-2/IL-15Rβγ 작용제를 투여하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NK 세포 수를 유지하거나 바람직하게는 NK 세포 수를 적어도 110%까지 증가시킨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NK 세포의 활성화를 측정하기 위해 NK 세포의 총 수가 중요하며, 그것은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x-y일 후에 매일 연속 투여를 반복하면 제1 기간(a)의 1회 또는 2회 반복에 걸쳐 평균적으로 총 NK 세포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대 수치로 IL-2/IL-15Rβγ 작용제 투여는 제1 기간의 적어도 1회 반복 후, 바람직하게는 제1 기간의 적어도 2회 반복 후에 적어도 약 1.1×103 NK 세포/㎕의 NK 세포 수를 초래하였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주기적 투여는 적어도 3 주기, 바람직하게는 5 주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주기 및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질병 진행까지 반복된다. 4일 연속 매일 투여한 후 18일의 치료 중단이 이어진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의 약동학 및 약력학 연구의 임상 1 단계에서 NK 세포 및 CD8+ T 세포의 초기 강력한 활성화 후 NK 세포 및 CD8+ T 세포가 다시 강력하게 활성화될 수 있다는 본 발명자들의 발견을 감안할 때, 매일 연속 투여의 2 또는 3회 반복은 치료 중단 후에 다시 반복될 수 있다고 합리적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면역계를 부스팅하기 위한 적어도 3 주기, 바람직하게는 5 주기 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주기의 반복이 예상된다. 종양은 종종 대부분의 치료 양식에서 내성을 나타내므로 종양 치료의 경우 특히 질병 진행까지 주기를 반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IL-2/IL-15Rβγ 작용제는 3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2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6시간의 생체내 반감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생체내 반감기는 30분 내지 1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6시간의 마우스에서 측정된 생체내 반감기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생체내 반감기는 1시간 내지 24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12시간의 시노몰구스 또는 마카크 원숭이에서 측정된 생체내 반감기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측정된 생체내 반감기는 30분 내지 12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6시간이다.
본 발명의 IL-2/IL-15Rβγ 작용제의 약동학적 및 약력학적 특성은 이러한 작용제의 생체내 반감기에 의존한다. 다양한 조작 기술로 인해 생체내 반감기는 예를 들어, 항체(예: ALT-803, RO687428) 또는 항체들(RG7813, RG7461, WO 2012/175222A1, WO 2015/018528A1, WO 2015/109124의 면역사이토카인)의 Fc 부분에 융합되어 더 큰 단백질을 생성함으로써 또는 페길화(NKT-214)에 의해 증가되었다. 그러나 반감기가 너무 길면 실제로 NK 세포를 너무 오랫동안 자극하여 활성화가 변경되고 기능적 능력이 감소된 성숙한 NK 세포가 우선적으로 축적될 수 있다(Elpek et al. 2010, Felices et al. 2018). 따라서, 바람직한 IL-2/IL-15Rβγ 작용제는 생체내 반감기가 3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6시간, 또는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2시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6시간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생체내 반감기는 인간에서의 반감기를 의미한다. 그러나 공개되지 않은 경우 인간의 생체내 반감기를 측정하는 것이 비윤리적일 수 있으므로 마우스 또는 시노몰구스 원숭이 또는 마카크와 같은 영장류의 생체내 반감기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마우스에서 일반적으로 더 짧은 반감기를 감안할 때, 마우스에서 측정된 생체내 반감기는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6시간 또는 30분 내지 6시간이고, 시노몰구스 또는 마카크 원숭이에서 생체내 반감기는 1시간 내지 24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12시간 또는 30분 내지 6시간으로 측정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IL-2/IL-15Rβγ 작용제는 적어도 70%의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의 단량체이다. 이러한 작용제의 응집체는 작용제의 약동학 및 약력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재현 가능한 결과를 위해 피해야 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IL-2/IL-15Rβγ 작용제는 인터루킨 15(IL-15)/인터루킨-15 수용체 알파(IL-15Rα) 복합체, IL-15/IL-15Rα 복합체, 즉 IL-15 또는 이의 유도체 및 IL-15Rα 또는 이의 유도체의 적어도 스시 도메인을 포함하는 복합체(공유 또는 비공유)이다. 이들은 중간-친화성 IL-2/IL-15Rβγ, 즉 NK 세포, CD8+ T 세포, NKT 세포 및 γδT 세포에서 발현되는 IL-2/IL-15Rβ 및 γc 서브유닛으로 구성된 수용체를 표적으로 한다. 이들 복합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그들의 결합 능력은 잘 이해되어 있는 반면, IL-2Rα 결합을 감소/포기하기 위해 IL-2를 변형시키는 다른 시도 또는 합성 접근법은 예측할 수 없는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체는 인간 IL-15 또는 이의 유도체 및 IL-15Rα의 스시 도메인(SEQ ID NO: 6), IL-15Rα의 스시+도메인(SEQ ID NO: 7) 또는 IL-15Rα의 가용성 형태(SEQ ID NO: 5의 아미노산 31에서 아미노산 172,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또는 205 중 어느 하나까지, WO 2014/066527 참조, Giron-Michel et al. 2005))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IL-15/IL-15Rα 복합체는 인간 IL-15Rα 스시 도메인 또는 이의 유도체, 가요성 링커 및 인간 IL-15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이고,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인간 IL-15Rα는 15Rα 스시 도메인은 SEQ ID NO: 6의 서열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시+ 단편(SEQ ID NO: 7)을 포함하되, 인간 IL-15는 SEQ ID NO: 4의 서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융합 단백질은 바람직하게는 (N-말단에서 C-말단까지) IL-15Rα-linker-IL-15(RLI-15)의 순서이다. 특히 바람직한 IL-2/IL-15Rβγ 작용제는 SEQ ID NO: 9의 서열을 갖는 RLI2(SO-C101)로 명명된 융합 단백질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IL-15/IL-15Rα는 CAS 등록 번호 1416390-27-6 에 따라 등록된 분자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 치료제는 IL-2/IL-15Rβγ 작용제와 병용 투여된다. 지난 몇 년 동안 암 치료법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작용 방식을 통해 종양을 치료하기 위해 기존 또는 새로운 치료제와 조합되었다. 동시에 기존 치료법을 새로운 치료법으로 대체하는 것이 어렵거나 비윤리적이므로 일반적으로 새로운 치료법은 환자에게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하기 위해 표준 치료와 조합된다. 따라서, 또한 제공된 투여 요법에 대해, 이들은 다른 치료 약물의 요법과 조합되어야 한다. 추가 치료제 및 IL-2/IL-15Rβγ 작용제는 같은 날 및/또는 상이한 날에 투여될 수 있다. 같은 날 투여는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의사의 방문을 최소화하므로 환자에게 더 편리하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작용제와 다른 약물 사이에 원치 않는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는 특정 조합의 경우 상이한 날에 투여 일정을 잡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일반적인 임상 개발 경로는 표준 치료와의 조합이므로 조합 제제의 투여가 유지되며 따라서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 요법과는 무관하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 치료제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또는 단기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는 각 주기의 각 기간(a)의 시작에 투여된다. 치료제의 적시 투여에 대한 높은 순응도를 보장하고 절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작용제와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의 치료 주기는 이상적으로는 함께, 예를 들어 같은 주에 시작된다. 작용제와 조합된 항체 사이의 잠재적인 상호작용에 따라 같은 날이 될 수도 있고 같은 주의 상이한 날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를 추가하기 전에 1, 2, 3 또는 4일 동안 NK 세포 및 CD8+ T 세포를 먼저 확장하면 치료 효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사용을 위한 것으로, x일 및 z일은 x일+z일의 중적분(n×x+z{nε{2, 3, 4, 5,,,})가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의 1회 치료 주기의 일과 같거나,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의 치료 주기가 시간 경과에 따라 변하는 경우,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의 각 개별 치료 주기와 같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어,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는 일반적으로 3주 또는 4주마다 투여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IL-2/IL-15Rβγ 작용제의 치료 일정은 IL-2/IL-15Rβγ 작용제와 체크포인트 억제제가 제1 기간(a)의 시작(치료 기간 x), 바람직하게는 제1 기간(a)의 제1 일에 투여되고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는 치료 주기의 나머지 동안 추가로 투여되지 않는 경우 체크포인트 억제제의 치료 일정과 일치한다. 이후의 모든 치료 주기에 대해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는 기간 (a)의 시작, 바람직하게는 제1 일에 다시 투여된다. 따라서 x가 7(즉, 일주일)이고 (a)가 한 번 반복되고(따라서 중적분 n은 2) z가 7이면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는 3주마다 투여될 수 있(2×7 + 7=3 주), 또는 x가 7이고 (a)가 두 번 반복되고(따라서 중적분 n은 3) z가 7인 경우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는 4주마다 투여된다(3×7 + 7 = 4 주).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의 6주 일정의 경우, 작용제는 3주 주기(2×7 + 7) 또는 1회의 6주 주기(5×7 + 7 또는 4×7 + 14)로 계획될 수 있다.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의 치료 요법이 시간 경과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일정의 리듬은 리듬을 동기화하기 위해 기간 z를 확장하여 예를 들어, z=7을 z=14로 확장하여 조정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항-PD-L2 항체, 항-LAG3, 항-TIM-3, 항-CTLA4 항체 또는 항-TIGIT 항체, 바람직하게는 항-PD-L1 항체 또는 항-PD-1 항체일 수 있다. 이들 항체는 면역 세포, 특히 T 세포가 암세포를 죽이는 것을 차단하거나 하향 조절하는 세포 상호작용을 차단/길항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항체는 모두 길항 항체이다. 항-PD-1 항체의 예는 펨브롤리주맙, 니볼루맙, 세미플리맙(REGN2810), BMS-936558, SHR1210, IBI308, PDR001, BGB-A317, BCD-100 및 JS001이고; 항-PD-L1 항체의 예는 아벨루맙, 아테졸리주맙, 더발루맙, KN035 및 MGD013(PD-1 및 LAG-3에 대해 이중특이성)이고; PD-L2 항체의 예는 sHIgM12이며; 항-LAG-3 항체의 예는 렐라틀리맙(BMS 986016), Sym022, REGN3767, TSR-033, GSK2831781, MGD013(PD-1 및 LAG-3에 대해 이중특이성) 및 LAG525(IMP701)이고; 항-TIM-3 항체의 예는 TSR-022 및 Sym023이고; 항-CTLA-4 항체의 예는 이필리무맙 및 트레멜리무맙(티실리무맙)이며; 항-TIGIT 항체의 예는 티라골루맙(MTIG7192A, RG6058) 및 에티길리맙이다.
펨브롤리주맙과의 주기적 투여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 특히 SO-C101의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현재 펨브롤리주맙은 3주마다 투여된다. 따라서, 작용제가 3주 주기로도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한 구체예이다. 즉, x는 7일이고 y는 2, 3 또는 4일이며 z는 7일로 2회 반복된다. 일 구체예에서, 체크포인트 억제제를 첨가하기 전에 NK 세포 및 CD8+ T 세포의 확장/활성화를 허용하기 위해 펨브롤리주맙은 작용제와 같이 각 치료 주기의 제1 일, 또는 이러한 치료 주기 내의 임의의 다른 날,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치료 주기의 3일, 4일 또는 5일에 투여된다. 본 발명의 시험관내 실험은 동시 처리 및 순차적 처리 모두가 PBMC로부터 IFNγ 생산의 현저한 증가를 초래함을 보여주었다. 최근에 펨브롤리주맙의 라벨은 6주마다 투여도 가능하도록 확대되었다. 상기 이 섹션에 설명된 일정과 비교할 때 작용제의 일정은 바람직하게는 2회의 3주 주기(예: x=7이 1회 반복, z =7) 또는 6주 주기(예: x=7이 4회 반복, z=7 또는 x=7이 3회 반복, z=14)로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치료 항체 또는 종양 표적화 항체는 항-CD38 항체, 항-CD19 항체, 항-CD20 항체, 항-CD30 항체, 항-CD33 항체, 항-CD52 항체, 항-CD79B 항체, 항-EGFR 항체, 항-HER2 항체, 항-VEGFR2 항체, 항-GD2 항체, 항-넥틴 4 항체 및 항-Trop-2 항체, 바람직하게는 항-CD38 항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 항체 또는 종양 표적화 항체는 독소에 연결될 수 있으며, 즉 항체 약물 접합체이다. 치료 항체는 종양 세포의 표면에 발현된 표적에 결합함으로써 종양 표적 세포에 직접적인 세포독성 효과를 발휘한다. 치료 활성은 세포에서 변형된 신호전달, 항체-의존성 세포독성(ADCC), 보체-의존성 세포독성(CDC) 또는 종양 세포의 다른 항체-매개 살상을 초래하는 수용체 결합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자들은 IL-2/IL-15Rβγ 작용제 RLI-15/SO-C101이 시험관내에서 순차 및 동시 설정 모두 Daudi 세포의 종양 세포 살상에서 항-CD38 항체(다라투무맙)와 상승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생체내 다발성 골수종 모델에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항-CD38 항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항-CD38 항체의 예는 다라투무맙, 이사툭시맙(SAR650984), MOR-202(MOR03087), TAK-573 또는 TAK-079 또는 GEN1029(HexaBody®-DR5/DR5)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다라투무맙이다. 바람직하게는 다라투무맙은 그것의 라벨에 따라 투여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i.v. 주입 및/또는 라벨에서 권장하는 용량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16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용도를 위한 것으로, 항-CD38 항체, 바람직하게는 다라투무맙은 IL-2/IL-15Rβγ 작용제와 병용 투여되되, (i) 항-CD38 항체는 8주의 제1 기간 동안 주 1회 투여되고, (ii) 4주(16주)의 4 섹션으로 구성된 제2 기간이 이어지되, 각 4주 섹션 동안 항-CD38 항체는 섹션의 처음 2주 동안 매주 투여된 후 2주 동안 투여되지 않으며, (iii) 질병 진행까지 4주마다 1회씩 항-CD38 항체를 투여하는 제3 기간이 이어진다. 따라서 항-CD38 항체는 초기 8주 동안은 주 1회, 이후 16주 동안 주당 한 번 2회 처리, 이후 2주간 처리 중단, 및 그 후 질병 진행까지 4주 마다 한 번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L-2/IL-15Rβγ 작용제의 처리 일정에 맞춰 작용제로 첫 처리를 시작한 날부터 계산하고, 항-CD38 항체 투여로 몇 주 안에, 항-CD38 항체는 그 주의 제1 일(동시 치료) 또는 3일(순차 치료)에 투여된다. x=7이 한 번 반복되고 z=14인 처리 일정은 8주 항-CD38 처리의 제1 기간, x=7이 한 번 반복되고 z=14인 제2 기간 및 이어서 x=7이 한 번 반복되고 z=14인 제3 기간과 일치한다. 대안으로, 작용제 일정은 항-CD38 항체의 4주 리듬과 일치하도록 x=7이 2회 반복되고 z=7일 수 있다.
항-CD19 항체의 예는 클리나투모맙(CD19 및 CD3에 대해 이중특이성)이고, 항-CD20 항체의 경우 오파투무맙 및 오비누투주맙, 항-CD30 항체는 브렌툭시맙, 항-CD33 항체는 겜쿠주맙, 항-CD52의 경우 항체는 알렘투주맙, 항-CD79B 항체는 폴라투주맙, 항-EGFR 항체는 세툭시맙, 항-HER2 항체는 트라스투주맙, 항-VEGFR2 항체는 라무시루맙, 항-GD2 항체는 항-넥틴 4인 디누툭시맙 항체는 엔포르투맙이고 항-Trop-2 항체는 사시투주맙이다.
정렬된 투여 일정의 예는 적응증에 따라 2 내지 3주마다 주입되는 라무시루맙과 SO-C101의 조합이다. 라무시루맙의 3주 주기 동안 SO-C101은 x=7이 1회 반복, z=7로 투여될 수 있다. 라무시루맙의 2회 2주 주기 동안 SO-C101은 x=7을 2회 반복, z=7로 투여할 수 있다.
고밀도 펄스 투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IL-2/IL-15Rβγ 작용제를 고밀도 펄스 투여 요법을 사용하는 인간 환자에 IL-2/IL-15Rβγ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고밀도 투여 요법은 ("고밀도 펄스")은 다음을 포한다:
(a) 제1 기간의 시작부터 y 연속일 동안 IL-2/IL-15Rβγ 작용제가 일일 용량으로 투여된 후 x-y일 동안 IL-2/IL-15Rβγ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x일의 제1 기간, 여기서 x는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또는 21일, 바람직하게는 7 또는 14일이고, y는 2, 3 또는 4일,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일이며;
(b) 제1 기간의 적어도 1회 반복; 및
여기서, 일일 용량은 하루 이내에 투여되는 2 또는 3회분으로 분할되되, 회분의 투여 시간 간격은 적어도 약 4시간,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투여 요법은 (c) IL-2/IL-15Rβγ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z일의 제2 기간("고밀도 펄스 주기")을 추가로 포함하되, z는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8, 35, 42, 49, 56, 63 또는 70일, 바람직하게는 7, 14, 21 또는 56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7일 또는 21일이다.
동일한 양의 작용제(여러 용량으로 나누어 하루 동안 투여)가 NK 세포, 특히 CD8+ 세포를 자극하는 데 더 효과적일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자는 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단일 주사로 투여하는 것보다 낮다.
이러한 다중 투여는 병원, 의사의 진료 또는 외래 환자 환경의 일상 업무에 포함될 수 있어야 하므로 8시간 내지 12시간 교대를 포함하여 업무 시간 동안 2 내지 3개의 동일한 용량을 투여해도 첫 번째 투여와 마지막 투여 사이의 최대 시간 차이로 선호되는 8시간 또는 10시간 간격으로 여전히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일일 용량을 하루 이내에 투여되는 3회분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체예이며, 여기서 회분의 투여 시간 간격은 약 5 내지 약 7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6시간이다. 이는 환자에게 예를 들어 매일 오전 7시, 오후 2시, 오후 7시(6시간 간격) 또는 오전 7시, 오후 1시 및 오후 6시(5시간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일일 용량은 하루 이내에 투여되는 2회분으로 분할되되, 회분의 투여 시간 간격은 약 6시간 내지 약 10시간, 바람직하게는 8시간이다. 2회 투여의 경우, 환자에게 오전 8시와 오후 4시(8시간 간격)에 투여될 수 있다. 병원의 일상을 감안할 때 투여 간격은 하루 또는 나날이 다를 수 있다. 놀랍게도, 마우스에서 동일한 양(약 40 ㎍/kg)의 SO-C101을 하루에 3회 용량(13 ㎍/kg)으로 분할하여 투여하면 다음과 같이 CD8+ T 세포 수와 증식하는 CD8+ T 세포의 측도로서 Ki67+ CD8 T 세포 수가 급격히 증가하며, 심지어 3×7 ㎍/kg으로 분할된 양은 CD8+ T 세포의 훨씬 더 높은 확장 및 활성화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일일 용량을 하루 이내에 투여되는 3회분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체예이며, 여기서 회분의 투여 시간 간격은 약 5 내지 약 7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6시간이다. 이는 환자에게 예를 들어 매일 오전 7시, 오후 2시, 오후 7시(6시간 간격) 또는 오전 7시, 오후 1시 및 오후 6시(5시간 간격)에 투여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일일 용량은 하루 이내에 투여되는 2회분으로 분할되되, 회분의 투여 시간 간격은 약 6시간 내지 약 10시간, 바람직하게는 8시간이다. 2회 투여의 경우, 환자에게 오전 8시와 오후 4시(8시간 간격)에 투여될 수 있다. 병원의 일상을 감안할 때 투여 간격은 하루 또는 나날이 다를 수 있다.
펄스 주기적 투여에 대한 상기 구체예는 고밀도 펄스 주기적 투여(및 고밀도 펄스 투여의 하위 형태로서의 고밀도 펄스 주기적 투여)에 적용된다. 이것은 특히 투여할 IL-2/IL-15Rβγ 작용제의 용량, 투여 방식(예: s.c. 또는 i.p.), NK 세포 활성화 및 NK 세포 수에 대한 영향, 치료할 상태, IL-2/IL-15Rβγ 작용제의 반감기, IL-2/IL-15Rβγ 작용제 및 체크포인트 억제제의 공동 투여와 관련된 구체예에 적용한다.
바람직하게는 IL-2/IL-15Rβγ 작용제는 고밀도 펄스 또는 고밀도 펄스 주기적 투여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일일 용량은 0.1 ㎍/kg(0.0043 μM) 내지 50 ㎍/kg(2.15 μM), 바람직하게는 0.25 ㎍/kg(0.011 μM) 내지 25 ㎍/kg(1.1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kg(0.026 μM) 내지 12 ㎍/kg(0.52 μM), 특히 2 ㎍/kg(0.087 μM) 내지 12 ㎍/kg(0.52 μM)이며, 바람직하게는 0.1 ㎍/kg(0.0043 μM) 내지 50 ㎍/kg(2.15 μM)의 용량 범위 내에서 선택된 일일 용량은 투여 요법 동안 실질적으로 증가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투여 요법 동안 용량이 유지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고밀도 펄스 투여는 일일 용량을 적용하되, 일일 용량은 7 ㎍ 내지 3500 ㎍, 바람직하게는 17.5 ㎍ 내지 17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42 ㎍ 내지 700 ㎍, 특히 140 ㎍ 내지 700 ㎍의 체중과 무관한 고정 용량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고밀도 펄스 투여는 일일 용량을 적용하되, 일일 용량은 투여 요법 동안 증가된다. 바람직하게는 일일 용량은 x일의 각 기간 후에 증가된다. 추가 구체예에서, 일일 용량은 x일의 각 기간 후에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증가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일일 용량은 제1 주기 후에 1회 증가된다. 바람직하게는 일일 용량은 제1 주기 후에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증가된다.
고밀도 펄스 투여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피하(s.c.) 또는 복강내(i.p.), 바람직하게는 피하(s.c.) 투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로 기재된 바와 같이, 단계 (a)에서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는 (1) IL-2/IL-15Rβγ 작용제를 투여하지 않는 것과 비교하여 총 NK 세포의 Ki-67+ NK의 % 증가를 초래하되, 단계 (b)에서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는 단계 (a)의 Ki-67+ NK 세포의 적어도 70%인 Ki-67+ NK 세포 수준을 초래하며, 또는 (2) NK 세포 수의 유지 또는 바람직하게는 제1 기간의 적어도 1회 반복 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1 기간의 2회 반복 후 IL-2/IL-15Rβγ 작용제를 투여하지 않는 것과 비교하여 NK 세포 수의 유지 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0%의 NK 세포 수의 증가를 초래하며, 및/또는 (3) 제1 기간의 적어도 1회 반복 후, 바람직하게는 제1 기간의 적어도 2회 반복 후 적어도 1.1×103 NK cells/㎕의 NK 세포 수를 초래한다.
주기적 투여가 적어도 5 주기, 바람직하게는 8 주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주기 및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질병 진행까지 반복되는 고밀도 펄스 주기적 투여이 추가로 바람직하다.
고밀도 펄스 투여 요법에 대한 또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3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6시간의 생체내 반감기를 갖는다.
고밀도 펄스 투여 요법에 대한 또 다른 구체예에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인터루킨 15(IL-15)/인터루킨-15 수용체 알파(IL-15Rα) 복합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인간 IL-15Rα 스시 도메인 또는 이의 유도체, 가요성 링커 및 인간 IL-15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이며, 바람직하게는 인간 IL-15Rα 스시 도메인은 SEQ ID NO: 6의 서열을 포함하되, 인간 IL-15는 SEQ ID NO: 4의 서열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IL-15/IL-15Rα 복합체는 SEQ ID NO: 9이다.
또한, 고밀도 펄스 투여에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는 추가 치료제와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치료제 및 IL-2/IL-15Rβγ 작용제는 같은 날 및/또는 상이한 날에 투여된다. 추가로, 추가 치료제의 투여는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 요법과 독립적인 투여 요법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 펄스 투여 요법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추가 치료제는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항-PD-1 항체, 항-PD-L1 항체, 항-PD-L2 항체, 항-LAG-3 항체, 항-TIM-3 항체, 항-CTLA4 항체 또는 항-TIGIT 항체, 바람직하게는 항-PD-L1 항체 또는 항-PD-1 항체로부터 선택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치료 항체는 항-CD38 항체, 항-CD19 항체, 항-CD20 항체, 항-CD30 항체, 항-CD33 항체, 항-CD52 항체, 항-CD79B 항체, 항-EGFR 항체, 항-HER2 항체, 항-VEGFR2 항체, 항-GD2 항체, 항-넥틴 4 항체 및 항-Trop-2 항체, 바람직하게는 항-CD38 항체, 바람직하게는 항-CD38 항체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본 발명의 IL-2/IL-15Rβγ 작용제의 여러 용량, 상기 임의의 구체예에 따른 주기적 투여 요법에서 이러한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에 대한 설명서 및 선택적으로 IL-2/IL-15Rβγ 작용제를 위한 투여 장치를 포함하는 부품 키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본 발명의 IL-2/IL-15Rβγ 작용제의 여러 용량, 상기 임의의 구체예에 따른 펄스 투여 요법에서 이러한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에 대한 설명서 및 선택적으로 IL-2/IL-15Rβγ 작용제를 위한 투여 장치를 포함하는 부품 키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본 발명의 IL-2/IL-15Rβγ 작용제의 여러 용량, 상기 임의의 구체예에 따른 고밀도 펄스 투여 요법에서 이러한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에 대한 설명서 및 선택적으로 IL-2/IL-15Rβγ 작용제를 위한 투여 장치를 포함하는 부품 키트이다.
또 다른 구체예는 암 치료를 위한 부품 키트의 제조에서의 IL-2/IL-15Rβγ 작용제의 용도로, 부품 키트는 본 발명의 IL-2/IL-15Rβγ 작용제의 여러 용량, 상기 임의의 구체예에 따른 주기적 투여 요법에서 이러한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에 대한 설명서 및 선택적으로 IL-2/IL-15Rβγ 작용제를 위한 투여 장치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는 암 치료를 위한 부품 키트의 제조에서의 IL-2/IL-15Rβγ 작용제의 용도로, 부품 키트는 본 발명의 IL-2/IL-15Rβγ 작용제의 여러 용량, 상기 임의의 구체예에 따른 펄스 투여 요법에서 이러한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에 대한 설명서 및 선택적으로 IL-2/IL-15Rβγ 작용제를 위한 투여 장치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는 암 치료를 위한 부품 키트의 제조에서의 IL-2/IL-15Rβγ 작용제의 용도로, 부품 키트는 본 발명의 IL-2/IL-15Rβγ 작용제의 여러 용량, 상기 임의의 구체예에 따른 고밀도 펄스 투여 요법에서 이러한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에 대한 설명서 및 선택적으로 IL-2/IL-15Rβγ 작용제를 위한 투여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키트는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체크포인트 억제제 또는 치료 항체의 사용을 위한 설명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재된 펄스 주기적, 펄스 및 고밀도 펄스 투여 요법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된 펄스 주기적 및 고밀도 펄스 투여 요법을 포함하는 NK 세포 및/또는 CD8+ T 세포를 자극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고밀도 투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인터루킨-2/인터루킨-15 수용체 βγ(IL-2/IL-15Rβγ) 작용제는 고밀도 투여 요법을 이용하여 인간 환자에게 IL-2/IL-15Rβγ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을 치료 또는 관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고밀도 투여 요법은 일일 용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일일 용량은 하루 이내에 투여되는 2 또는 3회분으로 분할되되, 회분의 투여 시간 간격은 적어도 약 4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하이다.
회분의 투여 시간 간격은 상기 구체예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을 수 있다. IL-2/IL-15Rβγ 작용제의 양은 또한 상기 구체예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서열목록
SEQ ID NO: 1 - 인간 IL-2
1 MYRMQLLSCI ALSLALVTNS APTSSSTKKT QLQLEHLLLD LQMILNGINN YKNPKLTRML
61 TFKFYMPKKA TELKHLQCLE EELKPLEEVL NLAQSKNFHL RPRDLISNIN VIVLELKGSE
121 TTFMCEYADE TATIVEFLNR WITFCQSIIS TLT 153
SEQ ID NO: 2 - 성숙한 인간 IL-2
APTSSSTKKT QLQLEHLLLD LQMILNGINN YKNPKLTRML
61 TFKFYMPKKA TELKHLQCLE EELKPLEEVL NLAQSKNFHL RPRDLISNIN VIVLELKGSE
121 TTFMCEYADE TATIVEFLNR WITFCQSIIS TLT 153
SEQ ID NO: 3 - 인간 IL-15
1 MRISKPHLRS ISIQCYLCLL LNSHFLTEAG IHVFILGCFS AGLPKTEANW VNVISDLKKI
061 EDLIQSMHID ATLYTESDVH PSCKVTAMKC FLLELQVISL ESGDASIHDT VENLIILANN
121 SLSSNGNVTE SGCKECEELE EKNIKEFLQS FVHIVQMFIN TS 162
SEQ ID NO: 4 - 성숙한 인간 IL-15
NW VNVISDLKKI
061 EDLIQSMHID ATLYTESDVH PSCKVTAMKC FLLELQVISL ESGDASIHDT VENLIILANN
121 SLSSNGNVTE SGCKECEELE EKNIKEFLQS FVHIVQMFIN TS 162
SEQ ID NO: 5 - 인간 IL-15Ra
1 MAPRRARGCR TLGLPALLLL LLLRPPATRG ITCPPPMSVE HADIWVKSYS LYSRERYICN
61 SGFKRKAGTS SLTECVLNKA TNVAHWTTPS LKCIRDPALV HQRPAPPSTV TTAGVTPQPE
121 SLSPSGKEPA ASSPSSNNTA ATTAAIVPGS QLMPSKSPST GTTEISSHES SHGTPSQTTA
181 KNWELTASAS HQPPGVYPQG HSDTTVAIST STVLLCGLSA VSLLACYLKS RQTPPLASVE
241 MEAMEALPVT WGTSSRDEDL ENCSHHL
SEQ ID NO: 6 - IL-15Ra의 스시 도메인
CPPPMSVE HADIWVKSYS LYSRERYICN SGFKRKAGTS SLTECVLNKA TNVAHWTTPS LKC
SEQ ID NO: 7 - IL-15Ra의 스시+ 단편
ITCPPPMSVE HADIWVKSYS LYSRERYICN SGFKRKAGTS SLTECVLNKA TNVAHWTTPS LKCIRDPALV HQRPAPP
SEQ ID NO: 8 - 링커
SGG SGGGGSGGGS GGGGSGG
SEQ ID NO: 9 - SO-C101 (RLI2)
001 ITCPPPMSVE HADIWVKSYS LYSRERYICN SGFKRKAGTS SLTECVLNKA TNVAHWTTPS
061 LKCIRDPALV HQRPAPPSGG SGGGGSGGGS GGGGSGGNWV NVISDLKKIE DLIQSMHIDA
121 TLYTESDVHP SCKVTAMKCF LLELQVISLE SGDASIHDTV ENLIILANNS LSSNGNVTES
181 GCKECEELEE KNIKEFLQSF VHIVQMFINT S 211
SEQ ID NO: 10 - IL2v
1 APASSSTKKT QLQLEHLLLD LQMILNGINN YKNPKLTRML
41 TAKFAMPKKA TELKHLQCLE EELKPLEEVL NGAQSKNFHL RPRDLISNIN VIVLELKGSE
101 TTFMCEYADE TATIVEFLNR WITFAQSIIS TLT
SEQ ID NO: 11 - (IL-15 N72D ) 2 :IL-15Ra sushi -Fc의 리더 펩타이드:
METDTLLLWV LLLWVPGSTG
SEQ ID NO: 12 - IL-15Ra sushi (65aa)-Fc (IgG1 CH2-CH3):
1 ITCPPPMSVE HADIWVKSYS LYSRERYICN SGFKRKAGTS SLTECVLNKA TNVAHWTTPS
61 LKCIREPKSC DKTHTCPPCP APELLGGPSV FLFPPKPKDT LMISRTPEVT CVVVDVSHED
120 PEVKFNWYVD GVEVHNAKTK PREEQYNSTY RVVSVLTVLH QDWLNGKEYK CKVSNKALPA
180 PIEKTISKAK GQPREPQVYT LPPSRDELTK NQVSLTCLVK GFYPSDIAVE WESNGQPENN
240 YKTTPPVLDS DGSFFLYSKL TVDKSRWQQG NVFSCSVMHE ALHNHYTQKS LSLSPGK
SEQ ID NO: 13 - IL-15 N72D
NW VNVISDLKKI
061 EDLIQSMHID ATLYTESDVH PSCKVTAMKC FLLELQVISL ESGDASIHDT VENLIILAN D
121 SLSSNGNVTE SGCKECEELE EKNIKEFLQS FVHIVQMFIN TS
SEQ ID NO: 14 - 가용성 IL-15Ra
MAPRRARGCRTLGLPALLLLLLLRPPATRGITCPPPMSVEHADIWVKSYSLYSRERYICN
SGFKRKAGTSSLTECVLNKATNVAHWTTPSLKCIRDPALVHQRPAPPSTVTTAGVTPQPE
SLSPSGKEPAASSPSSNNTAATTAAIVPGSQLMPSKSPSTGTTEISSHESSHGTPSQTTA
KNWELTASASHQPPGVYPQGHSDTT
SEQ ID NO: 15 - IL-15 L52C
NWVNVISDLKKIEDLIQSMHIDATLYTESDVHPSCKVTAMKCFLLELQVIS C ESGDASIH
DTVENLIILANNSLSSNGNVTESGCKECEELEEKNIKEFLQSFVHIVQMFINTS
SEQ ID NO: 16 - IL-15Ra 스시+ S40C -Fc
ITCPPPMSVE HADIWVKSYS LYSRERYICN SGFKRKAGT C SLTECVLNKA TNVAHWTTPS
LKCIRDPALV HQRGGGGSGG GGSEPKSSDK THTCPPCPAP ELLGGPSVFL FPPKPKDTLM
ISRTPEVTCV VVDVSHEDPE VKFNWYVDGV EVHNAKTKPR EEQYNSTYRV VSVLTVLHQD
WLNGKEYKCK VSNKALPAPI EKTISKAKGQ PREPQVYTLP PSREEMTKNQ VSLTCLVKGF
YPSDIAVEWE SNGQPENNYK TTPPVLDSDG SFFLYSKLTV DKSRWQQGNV FSCSVMHEAL
HNHYTQKSLS LSPGK
SEQ ID NO: 17 - NEO 2-15 E62C
PKKKIQLHAEHALYDALMILNIVKTNSPPAEEKLEDYAFNFELILEEIARLFESGDQKDE
ACKAKRMKEWMKRIKTTASEDEQEEMANAIITILQSWIFS
SEQ ID NO: 18 - XENP024306 체인 1: 인간 IL-15 D30N/E64Q/N65D (GGGGS)1-Fc(216)_IgG1_pI(-) 아이소스테릭 A C2205/PVA_/S267K/L368D/K370S/M428L/N434S
NWVNVISDLKKIEDLIQSMHIDATLYTESNVHPSCKVTAMKCFLLELQVISLESGDASIH
DTVQDLIILANNSLSSNGNVTESGCKECEELEEKNIKEFLQSFVHIVQMFINTSGGGGSE
PKSSDKTHTCPPCPAPPVA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KHEDPEVKFNW
YVDGVEVHNAKTKPREEE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
KAKGQPREPQVYTLPPSREEMTKNQVSLTCDVSGFYPSDIAVEWESDGQPENNYKTTPPV
LDSDGSFFLYSKLTVDKSRWEQGDVFSCSVLHEALHSHYTQKSLSLSPGK
SEQ ID NO: 19 - XENP024306 체인 2: 인간 IL15Ra(sushi) (GGGGS)1-Fc(216)_IgG1_C2205/PVA_/S267K/S364K/E357Q/M428L/N434S
ITCPPPMSVEHADIWVKSYSLYSRERYICNSGFKRKAGTSSLTECVLNKATNVAHWTTPS
LKCIRGGGGSEPKSSDKTHTCPPCPAPPVA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
K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
ALPAPIEKTISKAKGQPREPQVYTLPPSREQMTKNQVKLTCLVKGFYPSDIAVEWESNGQ
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LHEALHSHYTQKSLSLSPG
K
본 발명은 다음의 구체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 여기서 IL-2/IL-15Rβγ 작용제의 일일 용량은 0.1 μg/kg 내지 50 μg/kg, 바람직하게는 0.25 μg/kg 내지 25 μg/kg, 더 바람직하게는 0.6 μg/kg 내지 12 μg/kg, 더 바람직하게는 2 μg/kg 내지 12 μg/kg, 바람직하게는 3 μg/kg 내지 20 μg/kg, 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μg/kg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는, 투여 요법 동안 0.1 내지 50 μg/kg의 용량 범위 내에서 선택된 일일 용량이 실질적으로 증가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투여 요법 동안 용량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 여기서 일일 용량은 체중과 무관한 고정 용량으로 7μg 내지 3500μg, 바람직하게는 17.5μg 내지 1750μg, 더 바람직하게는 42μg 내지 700μg, 특히 140μg 내지 700μg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 여기서 일일 용량은 투여 요법 동안 증가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 여기서 일일 용량은 매 x일 기간 후에 증가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 여기서, 일일 용량은 매 x일마다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증가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 여기서, 일일 용량은 첫 번째 기간 x일 후에 한 번 증가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 여기서, 일일 용량은 첫 번째 기간 x일 후에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까지 증가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 여기서 일일 용량은 1회 주사로 투여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 여기서 일일 용량은 1일 이내에 투여되는 2 또는 3개의 개별 용량으로 분할되고, 여기서 개별 용량의 투여 사이의 시간 간격은 적어도 약 4시간, 바람직하게는 14시간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 여기서 1일 용량은 1일 이내에 투여되는 3회의 개별 용량으로 분할되고, 여기서 개별 용량의 투여 사이의 시간 간격은 약 5 내지 약 7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6시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 여기서 일일 용량은 1일 이내에 투여되는 2개의 개별 용량으로 분할되고, 여기서 개별 용량의 투여 사이의 시간 간격은 약 6시간 내지 약 10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8시간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 여기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피하(s.c.) 또는 복강 내(i.p.), 바람직하게는 피하로 투여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작용제, 여기서 (a) 단계에서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는 (1) IL-2/IL-15Rβγ 작용제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총 NK 세포 중 Ki-67+ NK의 비율의 증가를 초래하고, 및 (b)단계에서 IL-2/IL-15Rβγ 작용제의 투여가 (a)단계의 Ki-67+ NK 세포의 적어도 70%의 Ki-67+ NK 세포 수준을 초래하거나, 또는
(2) 제 1 기간의 적어도 1회 반복 후, 바람직하게는 제 1 기간의 적어도 2회 반복 후, IL-2/IL-15Rβγ 작용제를 투여하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NK 세포 수의 유지 또는 바람직하게는 NK 세포 수의 최소 110%로 증가를 초래하고, 및/또는
(3) 제 1 기간을 적어도 1회 반복 후, 바람직하게는 제 1 기간의 적어도 2회 반복 후, 적어도 1.1 x 103 NK 세포/μl의 NK 세포 수를 초래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 여기서 주기적 투여는 적어도 3주기, 바람직하게는 5주기,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주기, 더 바람직하게는 질병이 진행될 때까지 반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IL-2/IL-15Rβγ작용제, 여기서 IL-2/IL-15Rβγ 작용제는 3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6시간의 생체 내 반감기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 항목에서 설명한다:
1. 인간 환자의 HPV 유발 종양 또는 HPV 유발 암 치료용 인터루킨-2/인터루킨-15 수용체βγ(IL-2/IL-15Rβγ) 작용제.
2. 항목 1의 사용을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에 있어서, 상기 HPV 유발 종양 또는 HPV 유발 암은 자궁경부암, 두경부 편평세포암, 구강 신생물, 구인두암(구인두 편평세포암), 음경암, 항문암, 질암, 외음부암 및 HPV 관련 피부암(예: 피부 편평세포암 또는 각질세포암)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다.
3. 항목 1 또는 항목 2의 사용을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에 있어서, 상기 HPV 유발 종양 또는 HPV 유발 암은 16, 18, 26, 31, 33, 35, 39, 45, 51, 52, 53, 56, 58, 59, 66, 68, 73 및 82형, 특히 16, 18, 31, 33 및 45형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양성이다.
4. 항목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적어도 하나의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치료에 내성 또는 불응성이다.
5. 항목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병용 투여되지 않는다.
6. 항목 1 또는 2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PD-1 길항제와 병용 투여되지 않는다.
7. 항목 4의 사용을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환자가 불응성 또는 내성을 보이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병용 투여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환자가 불응성이거나 내성이며 병용 투여되지 않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PD-1 길항제이다.
8. 항목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병용 투여된다.
9. 항목 1 내지 4 및 8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PD-1 길항제와 병용 투여된다.
10. 항목 4, 8 및 9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환자가 불응성 또는 내성을 보이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병용 투여되며, 바람직하게는 환자가 불응성이거나 내성이며 병용 투여되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PD-1 길항제이다.
11. 항목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에 있어서, 상기 HPV 유발 종양의 치료는 치료 전에 존재하는 종양의 적어도 약 30% 크기 감소, 바람직하게는 치료 16주 이내에 약 30% 크기 감소, 바람직하게는 치료 16주 이내에 약 50% 크기 감소를 초래한다.
12. 항목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에 대한 반응은 NK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선천적 면역 반응에 의해 매개된다.
13. 항목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되며, 여기서 주기적 투여 요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기간의 시작부터 y 연속일 동안 IL-2/IL-15Rβγ 작용제가 일일 용량으로 투여된 후 x-y일 동안 IL-2/IL-15Rβγ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x일의 제1 기간,
여기서, x는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또는 21일이고, 바람직하게는 7 또는 14일이며, 및 y는 2, 3 또는 4일이고,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일이며;
(b) 제1 기간의 적어도 1회 반복; 및
(c) IL-2/IL-15Rβγ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z일의 제2 기간을 포함하되,
여기서, z는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8, 35, 42, 49, 56, 63 또는 70일이고, 바람직하게는 7, 14, 21 또는 56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 14 또는 21일이다.
14. 항목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에 있어서, 상기 x는 7일이고, y는 2, 3 또는 4일이고 z는 7일이며, 바람직하게는 y는 2일이고 z는 7일이다.
15. 항목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의 일일 용량은 0.1 ㎍/kg 내지 50 ㎍/kg, 바람직하게는 0.25 ㎍/kg 내지 25㎍/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kg 내지 12 ㎍/kg, 더욱 바람직하게는 2㎍/kg 내지 12㎍/kg 및 바람직하게는 3㎍/kg 내지 20㎍/kg,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kg이다..
16. 항목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인터루킨 15(IL-15)/인터루킨-15 수용체 알파(IL-15Rα) 복합체, 바람직하게는 인간 IL-15Rα 스시 도메인 또는 이의 유도체, 가요성 링커 및 인간 IL-15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이고, 바람직하게는 인간 IL-15Rα 스시 도메인은 SEQ ID NO: 6의 서열을 포함하며, 인간 IL-15는 SEQ ID NO: 4의 서열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IL-15/IL-15Rα 복합체는 SEQ ID NO: 9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IL-2/IL-15Rβγ 작용제로 치료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도 1: 최초 인간 임상 시험에서 투여 일정. * ± 1일; DLT 용량-제한 독성;
(A) 파트 A: SO-C101 투여 일정
(B) 파트 B: 펨브롤리주맙 투여 일정과 조합된 SO-C101.
도 2: (A) 환자 선별검사 당시 62세 여성 환자의 피부 편평세포암 사진; (B) A 부위의 해당 부위 CT 스캔; (C) SO-C101 단독요법 4주기/12주 후 환자의 피부 편평세포암(SSCC) 사진; (D) C 부위의 해당 부위 CT 스캔; (E) 상단 패널: 선별 검사 시(왼쪽, 2020년 6월 3일) 및 SO-C101 치료 중(2020년 7월 3일, 2020년 9월 2일, 2020년 9월 23일, 2020년 10월 14일) SSCC 사진; 하단 패널: SO-C101과 펨브롤리주맙 병용 요법 시작 시(2020년 11월 25일) 및 병용 요법 중(2020년 12월 15일, 2021년 1월 14일)의 SSCC 사진. (F)~(M) SO-C101 치료 전(기준선 - 패널 F, G, H, I) 또는 SO-C101 치료 후(18주째 - 패널 J, K, L, M) 채취한 생검의 면역 조직화학. 패널 F 및 J: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염색, 패널 G 및 K: CD8 염색, 패널 H 및 L: PD-L1/CD8 염색, 패널 I 및 M: NKp46 염색.
도 3: SO-C101/펨브롤리주맙 치료 전(기준선 - 패널 A, B, C, D) 또는 SO-C101/펨브롤리주맙 치료 후(6주차 - 패널 E, F, G, H) 채취한 갑상선암 환자 생검의 면역 조직화학. 패널 A 및 E: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염색, 패널 B 및 F: CD8 염색, 패널 C 및 G: PD-L1/CD8 염색, 패널 D 및 H: NKp46 염색.
도 4: 74세 여성 환자의 피부 편평세포암 환자 선별검사 당시(2021년 3월 18일) 및 SO-C101 6μg/kg 및 펨브롤리주맙 200mg 병용요법 2주기 후(2021년 5월 6일) 사진.
도 5: SO-C101/펨브롤리주맙 치료 전(기준선 - 패널 A, B, C, D) 또는 SO-C101/펨브롤리주맙 치료 후(6주차 - 패널 E, F, G, H) 채취한 항문 편평세포암 환자 생검의 면역 조직화학 분석. 패널 A 및 E: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염색, 패널 B 및 F: CD8 염색, 패널 C 및 G: PD-L1/CD8 염색, 패널 D 및 H: NKp46 염색.
도 6: 펄스 주기적 투여 요법의 그래픽 표현. 0은 초기 일일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주기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나타낸다. A~E는 일일 용량 증가의 다양한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A - 각 치료 주기의 제 1 처리 기간 x 후, 각 처리 주기는 초기 용량에서 다시 시작된다, B - 각 치료 주기 x의 각 치료 기간 후, 일일 용량은 중단 z 이후에 증가하지 않는 경우, C - 각 치료 기간 x 내의 매일 치료 후, 여기서 각각의 치료 주기는 초기 용량에서 다시 시작된다, D - 각 치료 기간 x 내의 매일 처리 후, 여기서 일일 용량은 주기 내에서 한 치료 기간 x에서 다음 치료 주기으로 증가하지 않고. 여기서 각각의 치료 주기는 초기 용량에서 다시 시작한다; E - 각 치료 기간 x 내의 매일 처리 후, 여기서, 일일 용량은 주기 내에서 한 치료기간 x에서 다음 치료 기간까지 증가하지 않으며. 여기서 새로운 주기의 제1 치료 기간 x의 일일 용량은 이전 치료 기간 x의 1일차 일일 용량으로 시작한다.
도 7: 말초 혈액에서 SO-C101 및 SO-C101과 펨브롤리주맙 치료 후 CD8+ T 세포 및 NK 세포의 증가된 증식. SO-C101 용량 수준에 따른 0.25 ~ 15 μg/kg SO-C101 단독요법 및 1.5 ~ 5 μg/kg 펨브롤리주맙과 C101 병용 요법의 (A) Ki-67+ CD8+ T 세포 % 및 (B) Ki-67+ NK 세포 %. 임상적으로 반응하는 환자(PR 또는 ≥2SD)는 #로 표시된다.
도 8: 종양 조직에서 SO-C101 및 SO-C101과 펨브롤리주맙 치료 후 CD3+ 및 CD8+ T 세포의 밀도 증가 및 CD8+ T 세포/Treg 비율 증가. SO-C101 용량 수준에 따른 0.25~15μg/kg SO-C101 단일 요법 및 1.5~5μg/kg SO-C101과 펨브롤리주맙 병용 요법의 (A) 종양 조직의 CD3+ T 세포 밀도(세포/mm²), (B) CD8+ T 세포 밀도(세포/mm²), (C) 종양 조직의 CD8+ T 세포/Treg 비율. 임상적으로 반응하는 환자(PR 또는 ≥2SD)는 #로 표시된다.
도 9: SO-C101은 T 세포와 NK 세포 활성화 및 면역 매개 종양 퇴행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유도한다. (A) Immunosign® 21 유전자 서명 점수(HalioDx) 프로파일링 T 세포 활성화, 유인, 세포독성 및 T 세포 배향을 반영하는 미리 정의된 유전자 세트, (B) 항원 처리 및 제시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및 (C) NK 세포 기능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각 점(dot)은 다른 환자를 나타낸다. 18명의 환자 중 15명은 SO-101 단독 요법(검은색)으로 치료받았고, 3명은 SO-C101과 펨브롤리주맙을 병용(회색)하여 치료하였다. 임상적으로 반응하는 환자(PR 또는 ≥2SD)는 #로 표시된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어떤 식으로든 개시 내용의 나머지 부분을 제한하지 않는다. 여기에 인용된 모든 간행물은 여기에 언급된 목적 또는 주제를 위해 참조로 포함된다.
실시예
1. RLI-15/SO-C101 임상시험
선별된 진행성/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SO-C101 단독요법 및 펨브롤리주맙 병용 요법의 안전성 및 예비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인간 최초의 다기관 공개 라벨 1/1b상 연구(EurdraCT 번호 2018-004334-15, Clinicaltrials.gov 번호 NCT04234113). RLI-15는 1, 2, 8, 9일에 0.25μg/kg의 시작 용량과 최대 48μg/kg으로 s.c. 투여된다. 임상 시험의 조합 부분에서 RLI-15는 Keytruda® 25mg/ml/펨브롤리주맙과 병용되어 200 mg q3w의 용량으로 i.v. 투여될 것이다.
이 연구는 선택된 재발성/불응성 진행성/전이성 고형 종양 환자(신세포암종, 비소세포폐암, 소세포폐암, 방광암, 흑색종, 메르켈세포암, 피부편평세포암, 미세부수체 불안정성 고형암, 삼중음성 유방암, 중피종, 갑상선암, 흉선암, 자궁경부암, 담도암, 간세포암, 난소암, 위암, 두경부 편평세포암, 항문암), 즉, 자신의 상태에 대한 임상적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진 기존 치료법에 대해 난치성 또는 불내성인 사람에게 단일요법(파트A) 및 항-PD-1 항체(펨브롤리주맙)와 함께 투여되는(파트 B) SO-C101의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할 것이다.
주요 포함 기준은 다음과 같다.
스크리닝 시 성인 ≥ 18세; 조직학적 또는 세포학적으로 확인된 진행성 및/또는 기존 요법에 불응성 또는 내약성이 없는 전이성 고형 종양; 이전 치료의 부작용에서 등급 ≤1 독성으로 회복됨; 적절한 혈액학적, 심혈관, 간 및 신장 기능; 적절한 실험실 매개변수; 새로운 생검에 이용 가능한 접근 가능한 종양 조직; 동부 협력 종양학 그룹(ECOG) 수행 상태 0-1; iRECIST에 따라 측정 가능한 질병.
주요 제외 기준은 다음과 같다.
치료되지 않은 CNS 전이 및/또는 연수막 암종증이 있는 환자; 활동성 자가면역 질환(AD) 또는 전신 스테로이드(허용 용량 제외) 또는 면역억제제를 필요로 하는 증후군의 병력; IL-2 또는 IL-15의 작용제인 약물에 대한 사전 노출; 알려진 HIV 또는 활동성 B형 또는 C형 간염;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수축기 >160mmHg 및/또는 이완기 >110mmHg) 또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심혈관 질환, 뇌혈관 사고/뇌졸중, 또는 첫 번째 연구 투약 전 6개월 이내의 심근경색.
파트 As.c. 투여되는 0.25 ㎍/kg에서 48 ㎍/kg SO-C101까지 SC101 단일요법 용량 증량으로 시작되고, 최대 내약 용량(MTD)까지 계속되며, 및/또는 SO-C101 단일요법의 권장된 임상 2 단계 용량(RP2D)이 정의된다. 환자는 21일 주기의 1일(±1일, 수요일), 2일(목요일), 8일(수요일) 및 9일(목요일)에 SO-C101로 처리된다(도 1A). 처리 시작(1일)은 평일 바이오마커 샘플링(신선한 말초 혈액 단핵 세포(PBMC)를 중앙검사실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최대한 수요일에 시작할 예정이다. 그러나 다음 날(1일 및 2일)에 주당 2회 투여하고 1일 후 7일에 제2 주 투여(8일 및 9일)가 발생하는 한, 화요일 또는 목요일에 발생하는 1일 투여에 대해 ±1일 유연성이 있을 것이다. 파트 A에 모집된 환자는 할당된 용량 수준에서 치료를 계속할 것이다. 환자는 다음 사건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연구 치료를 중단할 것이다: (i) 방사선학적 질병 진행; (ii) 임상적 질병 진행(조사자 평가); (iii) AE(연구자의 판단에 따라 상당한 정도로 임상 상태 평가에 영향을 미치거나 연구 치료의 중단을 요하는 동시 질병 또는 연구 치료 관련 독성, 용량 제한 독성 포함).
파트 B의 시작 용량은 파트 A에서와 같이 투여되는 1.5 ㎍/kg SO-C101로 계획되며, 이는 고정 용량의 펨브롤리주맙(200 mg i.v. 3주마다)과 병용될 것이다. 환자는 SO-C101 투여 1일에 고정 용량의 펨브롤리주맙(3주마다 200 mg i.v.)을 함께 1일(±1일)(수요일), 2일(목요일), 8일(수요일) 및 9일(목요일)에 SO-C101의 용량을 증량하여 처리할 것이다(도 1B). 펨브롤리주맙은 SO-C101의 제1 투여 후 30분 이내에 패키지 삽입물에 요약된대로 투여된다. 처리 시작(1일)은 평일 바이오마커 샘플링(신선한 PBMC를 중앙 연구소로 이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최대한 수요일에 시작할 계획이다. 그러나 주당 2회 용량의 SO-C101이 이어지는 날(1일 및 2일)에 제공되고 제2 주 SO-C101 투여(8일 및 9일)가 1일 후 7일에 발생하는 한, ±1일의 유연성이 있다. 환자는 SO-C101의 할당된 용량 수준에서 SO-C101 및 펨브롤리주맙 처리를 계속할 것이다. 질병 진행 이외의 이유로 SO-C101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 환자가 진행되지 않고 처리를 견딜 수 있는 경우 DEC에서 평가한 대로 펨브롤리주맙 처리를 최대 1년 동안 계속할 수 있다. 펨브롤리주맙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 SO-C101 처리는 질병이 진행되거나 허용할 수 없는 독성이 나타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환자는 다음 사건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연구 치료를 중단할 것이다: (i) 방사선학적 질병 진행; (ii) 임상적 질병 진행(조사자 평가); (iii) AE(연구자의 판단에 따라 상당한 정도로 임상 상태 평가에 영향을 미치거나 연구 치료의 중단을 요하는 동시 질병 또는 연구 치료 관련 독성, 용량 제한 독성 포함).
예비 결과
파트 A 등록은 2019년 7월에 시작되었고 MTD는 용량 수준 15μg/kg에 도달하였다. 중앙값이 3개(범위 1-9)인 이전 전신 요법을 받은 30명의 환자는 용량 수준 0.25, 0.75, 1.5, 3.0, 6.0, 9.0, 12.0 및 15μg/kg BW로 치료를 받았다. 15μg/kg의 MTD는 2개의 DLT(간 기능 검사 증가, 후유증 없이 연구 약물 중단 후 신속하게 해결됨)로 인해 정의되었다. 환자의 적응증과 최상의 전체 반응은 표 2에 나와 있다. NK 세포 활성화의 최대 수준은 저용량 수준에서 이미 도달했으며 최대 CD8+ T 세포 활성화는 9 - 12 μg/kg에서 도달하였다. 따라서 RP2D는 12μg/kg으로 선택되었다. 8가지 용량 수준으로 치료받은 30명의 환자로부터 얻은 안전성 데이터는 SO-C101 단독 요법이 내약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AE는 열, 림프구 감소증, 국소 주사 부위 반응, 오한, 트랜스아미나제 증가, 독감 유사 증상 및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의 증상(림프구 감소증을 제외하고 주로 2등급 이하)이었다. 림프구 감소증은 작용 방식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되며 일반적으로 며칠 내에 해결된다.
이전에 CPI 불응성이었던 SSCC가 있는 62세 여성 pt.에서 부분 반응이 나타났다. 3명의 환자에서 지속성 안정 질환(SD)이 관찰되었다.
- 71세 남성 pt. 신장암, 이전 7 라인, CPI 재발, 93일 동안 SD
- 47세 남성 pt. NSCLC, 이전 5 라인, CPI 재발, 155일 동안 SD
- 57세 여성 pt. 담관 암종, 이전 4 라인, CPI 재발, 148일 동안 SD
예비 PK 결과는 투여 후 약 5~6시간의 Tmax와 약 4시간의 최종 반감기로 PK 프로파일이 용량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트 B 등록은 2020년 7월에 시작되었으며 2021년 10월 8일 현재 이전 전신 요법의 중간값이 2(범위 1-6) 라인인 3명의 환자가 용량 수준 1.5, 3.0, 6.0 및 9μg/kg BW에서 치료를 받았다. 용량 수준 9μg/kg이 진행 중이다.
환자들은 등록 당시 31세-80세였다. 치료 기간은 1일부터 393일까지(2021년 10월 8일 기준)였다. 환자의 적응증과 최상의 전체 반응은 표 3에 나와 있다. SO-C101과 펨브롤리주맙의 조합은 내약성이 좋았다. 부작용 프로파일은 단일 제제 화합물의 단일 요법 AE 프로파일과 일치하였다. DLT로 인해 용량 수준 6μg/kg이 7명의 환자로 확장되었다. DLT는 첫 번째 투여 후 1명의 환자에서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CRS) 등급 3이었다. 환자는 감소된 용량(3μg/kg)으로 연구를 계속하였다.
표 2: 파트 A SO-C101 단일 치료(코호트 1-8) - 최상의 전체 반응(SD - 질병 안정, PR - 부분 반응)
Figure pct00002
표 3: 파트 B SO-C101 + 펨브롤리주맙 병용 치료(코호트 1-4, 진행 중) - 최상의 전체 반응(SD - 질병 안정, PR - 부분 반응)
Figure pct00003
2. 피부 편평 세포 암종 환자 사례 보고
피부 편평세포암을 앓고 있는 62세 여성 환자(인종 및 민족은 보고되지 않음)는 2020년 6월 4일(당초 임상시험 센터에서 2020년 5월 15일을 시작일로 잘못 보고했으나 현재는 정정됨)부터 임상시험 SC 103 파트 A(예시 1, ICF 버전 5 및 프로토콜 버전 5)에서 단독 요법으로 SO-C101을 6 μg/kg으로 투여했으며, 2020년 10월 14일까지 단독 요법으로 치료가 진행되었다.
병력으로는 과거 충수 절제술과 2019년 뇌 뇌졸중이 있었으며, 피로, 종양 통증 및 식욕 부진을 포함한 다른 모든 병력은 연구 대상 질환과 관련이 있었다. 피부 편평세포암의 최초 진단은 2014년에 이루어졌으며 돌연변이/발현 상태는 p53, TERT로 알려졌다. 환자는 2014년에 초기 수술을 받았으며 종양 부위에 66 그레이 선량을, 귀의 왼쪽 림프절 부위에 50 그레이 선량을 조사하는 선행 항암 비전신 요법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환자는 이전에 두 차례의 전신 항암 치료를 받았다: 1차 치료는 2019년 3월부터 2019년 6월까지 도세탁셀, 시스플라틴, 세툭시맙(TPEx)을 환자에게 투여하였다. 2차 치료에서 환자는 2020년 1월 31일부터 2020년 4월 23일까지 항 PD-1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인 세미플리맙을 투여받았다. 환자는 체크 포인트 억제제 치료 후 재발하였다.
임상시험이 진행되는 동안 3등급의 미주신경 반응(SO-C101과 관련이 없음)과 연하 곤란증이 기록되었다. 연하곤란으로 인해 환자는 비위 삽관술을 받았으며 9월 18일 현재도 계속 진행 중이다. 2등급 빈혈, 피로 및 식욕부진이 보고되었으며 다른 모든 부작용은 1등급이었다. 심각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2020년 6월 3일 환자 선별검사에서 1개의 표적 병변이 존재하였으며, 직경 50 mm의 결절성, 좌측 경부 림프절병증이 있었다. 또한, 3개의 비표적 병변, 모두 결절성, 좌우 경부 림프절병증 및 간 분절 III이 확인되었다. 대비가 있는 CT 스캔을 종양 평가에 사용하였다. SO-C101 치료는 2020년 6월 4일에 6μg/kg의 일일 용량으로 시작되었다. 4주기에 걸쳐 임상 반응의 지속적인 개선이 관찰되었다. 2020년 7월 3일 종양 평가(SO-C101의 4주기에서)는 표적 병변이 직경 40mm로 감소하여 20%의 질병 감소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반응은 안정적인 질병으로 평가되었다. 2020년 8월 17일의 3차 종양 평가(SO-C101의 12주차)에서 표적 병변이 26mm로 추가로 축소된 것이 관찰되었다(도 2 참조). 이는 병변 합계의 49% 감소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전체 반응을 부분 반응으로 평가하였다. 9월 18일 현재 환자는 병용 치료, 삼킴곤란에 대한 영양 지원, 빈혈 및 저마그네슘혈증에 대한 약물 치료로 오피오이드와 진통제를 받고 있었다. SO-C101 치료의 2주기 후 오피오이드와 진통제에 대한 필요성이 감소하였다.
2020년 10월 2일에 추가 종양 병기를 시행하여 목표 병변이 21mm로 더 축소되어 부분 반응(58% 감소)이 확인되었다(도 2 E 참조). 2020년 10월 14일의 다음 종양 병기에서 환자는 목표 병변의 직경이 37mm(이전 병기 대비 +76%)로 종양이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이전 병기 대비). SO-C101 단독 요법은 진행성 질환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놀랍게도 SO-C101 단독 요법은 방사선 치료와 항 PD-1 항체인 면역항암제 세미플리맙을 포함한 두 가지 추가 요법을 받은 피부 편평세포암 말기 환자에서 목표 병변이 58% 감소하는 부분 반응이 4개월 이상 지속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관찰된 부분 반응은 혈액에서 71%의 NK 세포 증식과 38%의 CD8+ T 세포 증식과 함께 관찰되었다.
환자는 2020년 11월 26일에 1.5 μg/kg SO-C101(단독 요법 일정에 따라)과 펨브롤리주맙 200mg q3w를 병용하여 치료를 계속하였다. 2주 만에 환자는 2020년 12월 15일과 2021년 1월 14일에 촬영한 사진에서 목표 병변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임상 반응을 다시 보였다(도 2 E 참조). 2021년 2월 5일과 3월 19일의 CT 스캔에서는 연구 시작 시점 대비 62%, 최저점 대비 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5월 5일의 PET-CT에서는 "핫스팟", 즉 증식하는 종양이 보이지 않았다.
이 환자는 SO-C101로 치료하기 전에 세미플리맙(항 PD-1 항체) 치료에서 재발한 적이 있었고, SO-C101 단독 요법에서 부분 반응이 확인된 후 질병이 더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SO-C101과 또 다른 항 PD-1 항체인 펨브롤리주맙의 병용 치료에서 다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놀랍게도 SO-C101 단독 요법이 종양을 감작시켜 항 PD-1 치료에 (다시) 반응하도록 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면역 세포의 종양 내 침윤은 기저시점과 SO-C101 EOT(18주차) 후에 얻은 종양 생검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을 통해 결정되었다. 간단히 말해서, PD-L1 발현은 특허받은 PD-L1 mAb(클론 HDX3) 및 CD8 mAb(클론 HDX1)를 사용한 Halioseek™ PD-L1/CD8 분석법(Veracyte, 프랑스)을 사용하여 Ventana Benchmark XT에서 결정하였다. PD-L1 검출은 OptiView Universal DAB 검출 키트를 사용하여 2차 mAb로 수행하였다. 헤마톡실린 & 블루잉 시약을 사용하여 카운터 염색을 수행하였다. 슬라이드를 NanoZoomer-XR로 스캔하여 디지털 이미지(20배)를 생성하였다. NKp46, Ki-67, CD8, CD3, AE1/AE3로 구성된 Brightplex® 멀티플렉스 IHC 패널을 사용하여 CD8 및 NKp46 발현을 측정하였다. 다음 mAb가 사용되었다: 항NKp46 mAb cat.n. MOG1-M-H46-2/3, 베라사이트; 항-Ki-67 mAb cat.n. HD-RM-000539 / 9027S, 베라사이트/세포 시그널링; 항-CD8 mAb cat.n. HD-FG-000019, 베라사이트); 항-CD3 mAb cat.n. HD-FG-000013, 베라사이트; 및 항AE1/AE3 cat.n. HD-RM-000502/ Sc81714, 산타 크루즈. 간단히 설명하면, 라이카 본드 RX를 사용하여 동일한 슬라이드에 연속 염색을 수행하였다. 신호 검출은 2차 항체로서 MACH2 토끼 범용 HRP 폴리머, MACH2 마우스 범용 HRP 폴리머 또는 MACH4 마우스 범용 HRP 폴리머와 ImmPACT™ AMEC Red 검출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염색 워크플로우 마지막에 헤마톡실린을 사용한 세포 핵의 카운터 염색을 수행하였다. 슬라이드를 Nanozoomer XR(x20)로 스캔하였다. 각 샘플은 HalioDx 디지털 병리 플랫폼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미지는 Brightplex®-fuse(사내 소프트웨어)로 정렬되었다.
표 4: 면역 세포 침윤
Figure pct00004
SO-C101 치료 전에는 종양에 CD8+ T 세포의 낮은 침윤과 NK 세포의 침윤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PD-L1은 주로 종양 세포에서 발현되었다. SO-C101 치료 후 종양 생검 결과, 높은 수준의 CD8+ T 세포 침윤, 악성 세포 및 면역 세포에서 PD-L1 발현이 강력하게 증가했으며 NK 세포 수준도 증가하였다(표 4 및 도 2 F~M 참조).
따라서 SO-C101 치료 시 종양은 관찰된 부분 반응에 따라 SO-C101 치료에 반응하는 중간 정도의 면역 세포 침윤 종양에서 강력한 PD-L1 체크포인트 발현을 보이는 고도의 면역 세포 침윤 "핫" 종양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또한 SO-C101 치료에 대한 후천적 내성을 시사한다. PD-L1의 초기 낮은 발현은 세미플리맙(항 PD-1 항체)을 사용한 초기 치료에 대한 환자의 약한 반응이 다소 제한적인 성공을 보인 것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자들은 IL-2/IL-15βγ 작용제 치료로 인한 종양 세포의 PD-L1 발현 유도가 종양을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여기서는 항 PD-1 항체 펨브롤리주맙)로 (다른) 치료하기 위해 종양을 (재)감작시켰다고 결론지었다.
3. 갑상선 암종 환자 사례 보고
갑상선암을 앓고 있는 47세 여성 환자(인종 및 민족은 보고되지 않음)는 2020년 11월 20일 첫 투여부터 임상시험 SC 103 파트 B(실시예 1)에서 SO-C101을 3 μg/kg으로 200 mg 펨브롤리주맙과 병용하여 치료하였다.
병력에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갑상선 부분 절제술과 이후 좌측 경부 림프절 절제술을 포함한 갑상선 전절제술을 여러 차례 받았다. 2017년에는 간 병변을 방사선 치료로 치료하였다. 환자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키나아제 억제제인 반덴타닙으로 이전에 한 차례 전신 항암 치료를 받았다. 마지막으로 기록된 질병 진행은 2020년 7월이었다.
치료 시작 전 간 세그먼트 II의 표적 병변의 직경은 22mm(CT 스캔)였으며 간과 뼈에 두 개의 비표적 병변이 추가로 있었다. 2020년 12월 29일(직경 25mm, +13%)과 2021년 2월 11일(직경 18mm, -18%)의 종양 병기는 안정적인 질병을 보였으며, 치료 6주기 후인 2021년 3월 5일 부분 반응(직경 15mm, 31%)으로 바뀌었고, 8주기 후인 5월 5일(직경 14mm, -36%)에 확인되었다. 2021년 7월 21일, 10주기 치료 후에도 여전히 치료가 계속되고 있었다.
면역 세포의 종양 내 침윤은 실시예 2에 설명된 대로 기준 시점과 SO-C101 치료 6주 후에 얻은 종양 생검에 대한 면역 조직 화학에 의해 결정되었다.
표 5: 면역 세포 침윤
Figure pct00005
SO-C101과 펨브롤리주맙 치료 전 종양의 단계는 종양 미세환경에서 CD8+ T 세포와 NK 세포의 침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콜드" 종양으로 설명할 수 있다. SC-101과 펨브롤리주맙으로 치료한 후 약 10배 더 많은 CD8+ T 세포가 기질에 축적되어 있고 종양 둥지 전체에 흩어져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침윤된 NK 세포는 종양 내 기질과 종양 둥지 전체에 흩어져 있었다. 흥미롭게도 펨브롤리주맙과 병용 치료 시 종양 세포에서 PD-L1의 발현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표 5, 도 3 참조)
4. 피부 편평 세포 암종 환자 사례 보고
왼쪽 다리에 피부 편평세포암(SSCC)이 있는 74세 여성 환자(인종 및 민족은 보고되지 않음)는 2021년 3월 11일 첫 투여를 시작으로 임상시험 SC 103 파트 B(실시예 1)에서 SO-C101을 6μg/kg과 200mg 펨브롤리주맙 q3w를 병용하여 치료하였다.
병력에서 SSCC는 2006년에 처음 진단된 후 총 22회에 걸쳐 여러 차례 수술을 받았다. 환자는 2020년 11월 6일부터 2021년 1월 29일까지 항 PD-1 항체 세미플리맙을 4회 주입받았으나 시장 반응이 없었다. 따라서 환자는 항 PD-1 치료에 대한 일차 내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SO-C101 6μg/kg 및 펨브롤리주맙 200mg 병용 요법은 2021년 3월 11일에 시작되었다. 2주기 후 사진(도 4 참조) 또는 CT 스캔에서 육안으로 부분 반응이 관찰되었으며, 목표 병변의 감소가 -39% 미만이었고, 4주기(CT 스캔) 후에 다시 확인되었다. 치료는 8주기 이후에도 계속된다.
따라서 이번 임상 1상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환자에도 불구하고 이미 두 명의 항 PD 항체 치료에 내성/불응성인 진행성 SSCC 환자가 SO-C101 단독 또는 항 PD1 항체와의 병용 치료에 뚜렷한 반응을 보였다.
5. 자궁경부 선암 환자 사례 보고
자궁경부 선암을 앓고 있는 63세 여성 환자(인종 및 민족은 보고되지 않음)는 2021년 5월 27일부터 임상시험 SC 103 파트 B(실시예 1)에서 SO-C101을 6μg/kg으로 200mg 펨브롤리주맙 q3w와 병용하여 치료하였다.
병력에서 자궁경부 선암은 2017년에 진단된 후 방사선 요법, 근접 치료 및 수술을 받았다. 2017년 6월부터 2017년 8월까지 카보플라틴을 사용한 전신 화학 요법에 이어 2018년 3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카보플라틴과 파클리탁셀을 병용하였다. 3차 치료에서 환자는 2020년 7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카보잔티닙을 투여받았다. 마지막 질병 진행은 2021년 3월 29일에 기록되었다.
SO-C101 6μg/kg 및 펨브롤리주맙 200mg 병용 요법은 2021년 5월 27일에 시작되었다. 첫 번째 및 두 번째 기준선 후 평가에서 안정적인 질병이 관찰되었다. 4주기는 2021년 7월 29일에 시작되었으며 치료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6. 항문암 환자 사례 보고
항문 편평세포암을 앓고 있는 49세 여성 환자는 이전에 두 번의 치료에도 불응한 상태로, 가장 최근 치료는 2019년 11월부터 2020년 4월까지 레티판리맙(항 PD-1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치료였다. 환자는 2020년 5월 9일부터 1.5μg/kg SO-C101과 200mg 펨브롤리주맙 Q3W를 병용하여 치료를 받았다. SO-C101 및 펨브롤리주맙 치료 후 약 48주 동안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질병이 관찰되었으며 18주기 치료 후 질병 진행으로 인해 치료가 중단되었다. 가장 좋은 반응은 8주기 후에 종양 크기가 9%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면역 세포의 종양 내 침윤은 실시예 2에 설명된 대로 기준 시점과 SO-C101 치료 후 6주 후에 얻은 종양 생검에 대한 면역 조직 화학에 의해 결정되었다.
표 6: 면역 세포 침윤
Figure pct00006
이 환자는 SO-C101 및 펨브롤리주맙 치료 전 종양 미세환경이 '핫' 상태였으며, CD8+ T 세포의 높은 침윤과 PD-L1+ 세포의 높은 종양 내 밀도가 특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SO-C101 및 펨브롤리주맙 치료 후 종양 둥지뿐만 아니라 기질에서도 CD8+ T 세포 및 PD-L1+ 세포의 침윤이 더욱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새로 침윤된 NK 세포는 종양 내 기질과 종양 둥지 전체에 흩어져 있었다(표 6 참조).
7. SO-C101 임상 시험에서의 약력학적 반응 및 항종양 면역 활성화
SO-C101 단독요법으로 치료받은 26명의 환자와 SO-C101과 펨브롤리주맙으로 치료받은 6명의 환자로부터 치료 1일차, 1주기(C1D1) 및 치료 6일차, 1주기(C1D6)에 치료 전과 치료 후 PBMC를 채취하였다. CD8+ T 세포 및 (B) NK 세포 내 Ki-67+ 세포의 비율을 유세포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말초 혈액에서 SO-C101 및 SO-C101과 펨브롤리주맙으로 치료한 후 모든 환자에서 CD8+ T 세포와 NK 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CD8+ T 세포의 경우 0.25~12μg/kg의 전체 범위에서 용량에 따라 증가가 나타난 반면, NK 세포 활성화는 약 1.5μg/kg에서 이미 정체기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두 번의 종양 평가(# 표시)에서 부분 반응이 있거나 적어도 질병이 안정된 임상적 반응 환자는 무반응 환자와 비교하여 혈액 내 면역 세포 활성화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도 7 참조).
18명의 환자(SO-C101 단독 요법으로 치료한 15명, SO-C101과 펨브롤리주맙으로 치료한 3명)로부터 기준선과 치료 후(2주기, 15일째; C2D15)에 종양 생검을 채취하여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면역조직화학(IHC) 분석을 실시하였다. 18명 중 9명(50%)의 환자에서 CD3+ T 세포의 증가된 침윤이 관찰되었고(도 8 A), 18명 중 9명(50%)의 환자에서 CD8+ T 세포의 증가된 침윤이 관찰되었으며(도 8 B), 18명 중 10명(55%)의 환자에서 CD8+ T 세포/Treg 비율의 증가가 관찰되었다(도 8 C). 임상적으로 반응이 있는 환자(PR 또는 ≥2SD, # 표시)는 종양 조직에서 CD3+ 및 CD8+ T 세포의 밀도가 증가하고 CD8+ T 세포와 Treg의 비율이 증가한 반면, 반응이 없는 환자는 면역 세포 침윤이 일부 증가하고 일부는 감소하는 등 매우 이질적인 양상을 보였다.
SO-C101 치료 환자의 종양 조직에 대한 나노스트링 프로파일링은 HalioDX에 의해 수행되었다. 나노스트링 분석은 일치하는 스크리닝 및 치료 중(2주기 15일) 생검에 대해 수행되었다. SO-C101은 18명의 환자 중 11명(61%, 도 9 A 참조)에서 T 세포 활성화, 유인, 세포 독성 및 T 세포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사전 정의된 HalioDX Immunosign® 21 유전자 시그니처 점수 세트를 증가시켰다. 또한 SO-C101은 18명 중 11명(61%, 도 9 B 참조)의 환자에서 항원 처리 및 제시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또한, SO-C101은 18명 중 13명의 환자에서 NK 세포 기능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켰다(72%, 도 9 C 참조). 임상적으로 반응한 환자에서 강력한 면역 세포 침윤이 위에서 설명한 환자에서 추가로 육안으로 관찰되었다(도 2 F~M, 도 3 A~H, 도 5 A~H 참조).
혈액에서 측정된 면역 세포의 활성화는 IL-2/IL-15Rβγ 작용제 치료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지표가 좋지 않은 반면, 이펙터 면역 세포의 종양 내 침윤 증가는 필요하지만 모든 환자에서 임상 반응을 일으키는 데 충분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임상적으로 반응하는 환자들은 T 세포 활성화, 유인, 세포 독성 및 T 세포 방향, 항원 처리 및 NK 세포 기능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많이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EQUENCE LISTING <110> CYTUNE PHARMA <120> IL-2/IL-15Rbetagamma agonist for treating squamous cell carcinoma <130> C10889WO_CYT-B0011-PC <140> EP20203908.7 <141> 2020-10-26 <160> 19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5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Met Tyr Arg Met Gln Leu Leu Ser Cys Ile Ala Leu Ser Leu Ala Leu 1 5 10 15 Val Thr Asn Ser Ala Pro Thr Ser Ser Ser Thr Lys Lys Thr Gln Leu 20 25 30 Gln Leu Glu His Leu Leu Leu Asp Leu Gln Met Ile Leu Asn Gly Ile 35 40 45 Asn Asn Tyr Lys Asn Pro Lys Leu Thr Arg Met Leu Thr Phe Lys Phe 50 55 60 Tyr Met Pro Lys Lys Ala Thr Glu Leu Lys His Leu Gln Cys Leu Glu 65 70 75 80 Glu Glu Leu Lys Pro Leu Glu Glu Val Leu Asn Leu Ala Gln Ser Lys 85 90 95 Asn Phe His Leu Arg Pro Arg Asp Leu Ile Ser Asn Ile Asn Val Ile 100 105 110 Val Leu Glu Leu Lys Gly Ser Glu Thr Thr Phe Met Cys Glu Tyr Ala 115 120 125 Asp Glu Thr Ala Thr Ile Val Glu Phe Leu Asn Arg Trp Ile Thr Phe 130 135 140 Cys Gln Ser Ile Ile Ser Thr Leu Thr 145 150 <210> 2 <211> 13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Ala Pro Thr Ser Ser Ser Thr Lys Lys Thr Gln Leu Gln Leu Glu His 1 5 10 15 Leu Leu Leu Asp Leu Gln Met Ile Leu Asn Gly Ile Asn Asn Tyr Lys 20 25 30 Asn Pro Lys Leu Thr Arg Met Leu Thr Phe Lys Phe Tyr Met Pro Lys 35 40 45 Lys Ala Thr Glu Leu Lys His Leu Gln Cys Leu Glu Glu Glu Leu Lys 50 55 60 Pro Leu Glu Glu Val Leu Asn Leu Ala Gln Ser Lys Asn Phe His Leu 65 70 75 80 Arg Pro Arg Asp Leu Ile Ser Asn Ile Asn Val Ile Val Leu Glu Leu 85 90 95 Lys Gly Ser Glu Thr Thr Phe Met Cys Glu Tyr Ala Asp Glu Thr Ala 100 105 110 Thr Ile Val Glu Phe Leu Asn Arg Trp Ile Thr Phe Cys Gln Ser Ile 115 120 125 Ile Ser Thr Leu Thr 130 <210> 3 <211> 16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 Met Arg Ile Ser Lys Pro His Leu Arg Ser Ile Ser Ile Gln Cys Tyr 1 5 10 15 Leu Cys Leu Leu Leu Asn Ser His Phe Leu Thr Glu Ala Gly Ile His 20 25 30 Val Phe Ile Leu Gly Cys Phe Ser Ala Gly Leu Pro Lys Thr Glu Ala 35 40 45 Asn Trp Val Asn Val Ile Ser Asp Leu Lys Lys Ile Glu Asp Leu Ile 50 55 60 Gln Ser Met His Ile Asp Ala Thr Leu Tyr Thr Glu Ser Asp Val His 65 70 75 80 Pro Ser Cys Lys Val Thr Ala Met Lys Cys Phe Leu Leu Glu Leu Gln 85 90 95 Val Ile Ser Leu Glu Ser Gly Asp Ala Ser Ile His Asp Thr Val Glu 100 105 110 Asn Leu Ile Ile Leu Ala Asn Asn Ser Leu Ser Ser Asn Gly Asn Val 115 120 125 Thr Glu Ser Gly Cys Lys Glu Cys Glu Glu Leu Glu Glu Lys Asn Ile 130 135 140 Lys Glu Phe Leu Gln Ser Phe Val His Ile Val Gln Met Phe Ile Asn 145 150 155 160 Thr Ser <210> 4 <211> 114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 Asn Trp Val Asn Val Ile Ser Asp Leu Lys Lys Ile Glu Asp Leu Ile 1 5 10 15 Gln Ser Met His Ile Asp Ala Thr Leu Tyr Thr Glu Ser Asp Val His 20 25 30 Pro Ser Cys Lys Val Thr Ala Met Lys Cys Phe Leu Leu Glu Leu Gln 35 40 45 Val Ile Ser Leu Glu Ser Gly Asp Ala Ser Ile His Asp Thr Val Glu 50 55 60 Asn Leu Ile Ile Leu Ala Asn Asn Ser Leu Ser Ser Asn Gly Asn Val 65 70 75 80 Thr Glu Ser Gly Cys Lys Glu Cys Glu Glu Leu Glu Glu Lys Asn Ile 85 90 95 Lys Glu Phe Leu Gln Ser Phe Val His Ile Val Gln Met Phe Ile Asn 100 105 110 Thr Ser <210> 5 <211> 26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 Met Ala Pro Arg Arg Ala Arg Gly Cys Arg Thr Leu Gly Leu Pro Ala 1 5 10 15 Leu Leu Leu Leu Leu Leu Leu Arg Pro Pro Ala Thr Arg Gly Ile Thr 20 25 30 Cys Pro Pro Pro Met Ser Val Glu His Ala Asp Ile Trp Val Lys Ser 35 40 45 Tyr Ser Leu Tyr Ser Arg Glu Arg Tyr Ile Cys Asn Ser Gly Phe Lys 50 55 60 Arg Lys Ala Gly Thr Ser Ser Leu Thr Glu Cys Val Leu Asn Lys Ala 65 70 75 80 Thr Asn Val Ala His Trp Thr Thr Pro Ser Leu Lys Cys Ile Arg Asp 85 90 95 Pro Ala Leu Val His Gln Arg Pro Ala Pro Pro Ser Thr Val Thr Thr 100 105 110 Ala Gly Val Thr Pro Gln Pro Glu Ser Leu Ser Pro Ser Gly Lys Glu 115 120 125 Pro Ala Ala Ser Ser Pro Ser Ser Asn Asn Thr Ala Ala Thr Thr Ala 130 135 140 Ala Ile Val Pro Gly Ser Gln Leu Met Pro Ser Lys Ser Pro Ser Thr 145 150 155 160 Gly Thr Thr Glu Ile Ser Ser His Glu Ser Ser His Gly Thr Pro Ser 165 170 175 Gln Thr Thr Ala Lys Asn Trp Glu Leu Thr Ala Ser Ala Ser His Gln 180 185 190 Pro Pro Gly Val Tyr Pro Gln Gly His Ser Asp Thr Thr Val Ala Ile 195 200 205 Ser Thr Ser Thr Val Leu Leu Cys Gly Leu Ser Ala Val Ser Leu Leu 210 215 220 Ala Cys Tyr Leu Lys Ser Arg Gln Thr Pro Pro Leu Ala Ser Val Glu 225 230 235 240 Met Glu Ala Met Glu Ala Leu Pro Val Thr Trp Gly Thr Ser Ser Arg 245 250 255 Asp Glu Asp Leu Glu Asn Cys Ser His His Leu 260 265 <210> 6 <211> 6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6 Cys Pro Pro Pro Met Ser Val Glu His Ala Asp Ile Trp Val Lys Ser 1 5 10 15 Tyr Ser Leu Tyr Ser Arg Glu Arg Tyr Ile Cys Asn Ser Gly Phe Lys 20 25 30 Arg Lys Ala Gly Thr Ser Ser Leu Thr Glu Cys Val Leu Asn Lys Ala 35 40 45 Thr Asn Val Ala His Trp Thr Thr Pro Ser Leu Lys Cys 50 55 60 <210> 7 <211> 7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 Ile Thr Cys Pro Pro Pro Met Ser Val Glu His Ala Asp Ile Trp Val 1 5 10 15 Lys Ser Tyr Ser Leu Tyr Ser Arg Glu Arg Tyr Ile Cys Asn Ser Gly 20 25 30 Phe Lys Arg Lys Ala Gly Thr Ser Ser Leu Thr Glu Cys Val Leu Asn 35 40 45 Lys Ala Thr Asn Val Ala His Trp Thr Thr Pro Ser Leu Lys Cys Ile 50 55 60 Arg Asp Pro Ala Leu Val His Gln Arg Pro Ala Pro Pro 65 70 75 <210> 8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nker Sequence <400> 8 Ser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Ser Gly Gly Gly 1 5 10 15 Gly Ser Gly Gly 20 <210> 9 <211> 2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LI2 <400> 9 Ile Thr Cys Pro Pro Pro Met Ser Val Glu His Ala Asp Ile Trp Val 1 5 10 15 Lys Ser Tyr Ser Leu Tyr Ser Arg Glu Arg Tyr Ile Cys Asn Ser Gly 20 25 30 Phe Lys Arg Lys Ala Gly Thr Ser Ser Leu Thr Glu Cys Val Leu Asn 35 40 45 Lys Ala Thr Asn Val Ala His Trp Thr Thr Pro Ser Leu Lys Cys Ile 50 55 60 Arg Asp Pro Ala Leu Val His Gln Arg Pro Ala Pro Pro Ser Gly Gly 65 70 75 80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85 90 95 Gly Asn Trp Val Asn Val Ile Ser Asp Leu Lys Lys Ile Glu Asp Leu 100 105 110 Ile Gln Ser Met His Ile Asp Ala Thr Leu Tyr Thr Glu Ser Asp Val 115 120 125 His Pro Ser Cys Lys Val Thr Ala Met Lys Cys Phe Leu Leu Glu Leu 130 135 140 Gln Val Ile Ser Leu Glu Ser Gly Asp Ala Ser Ile His Asp Thr Val 145 150 155 160 Glu Asn Leu Ile Ile Leu Ala Asn Asn Ser Leu Ser Ser Asn Gly Asn 165 170 175 Val Thr Glu Ser Gly Cys Lys Glu Cys Glu Glu Leu Glu Glu Lys Asn 180 185 190 Ile Lys Glu Phe Leu Gln Ser Phe Val His Ile Val Gln Met Phe Ile 195 200 205 Asn Thr Ser 210 <210> 10 <211> 13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0 Ala Pro Ala Ser Ser Ser Thr Lys Lys Thr Gln Leu Gln Leu Glu His 1 5 10 15 Leu Leu Leu Asp Leu Gln Met Ile Leu Asn Gly Ile Asn Asn Tyr Lys 20 25 30 Asn Pro Lys Leu Thr Arg Met Leu Thr Ala Lys Phe Ala Met Pro Lys 35 40 45 Lys Ala Thr Glu Leu Lys His Leu Gln Cys Leu Glu Glu Glu Leu Lys 50 55 60 Pro Leu Glu Glu Val Leu Asn Gly Ala Gln Ser Lys Asn Phe His Leu 65 70 75 80 Arg Pro Arg Asp Leu Ile Ser Asn Ile Asn Val Ile Val Leu Glu Leu 85 90 95 Lys Gly Ser Glu Thr Thr Phe Met Cys Glu Tyr Ala Asp Glu Thr Ala 100 105 110 Thr Ile Val Glu Phe Leu Asn Arg Trp Ile Thr Phe Ala Gln Ser Ile 115 120 125 Ile Ser Thr Leu Thr 130 <210> 11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eader peptide of (IL-15N72D)2:IL-15Ra sushi-Fc <400> 11 Met Glu Thr Asp Thr Leu Leu Leu Trp Val Leu Leu Leu Trp Val Pro 1 5 10 15 Gly Ser Thr Gly 20 <210> 12 <211> 29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5Ra sushi (65aa)-Fc (IgG1 CH2-CH3) <400> 12 Ile Thr Cys Pro Pro Pro Met Ser Val Glu His Ala Asp Ile Trp Val 1 5 10 15 Lys Ser Tyr Ser Leu Tyr Ser Arg Glu Arg Tyr Ile Cys Asn Ser Gly 20 25 30 Phe Lys Arg Lys Ala Gly Thr Ser Ser Leu Thr Glu Cys Val Leu Asn 35 40 45 Lys Ala Thr Asn Val Ala His Trp Thr Thr Pro Ser Leu Lys Cys Ile 50 55 60 Arg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65 70 75 80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85 90 95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100 105 110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115 120 125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130 135 140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145 150 155 160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165 170 175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180 185 190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Asp Glu Leu 195 200 205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210 215 220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225 230 235 240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245 250 255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n Gly Asn Val 260 265 270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275 280 285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290 295 <210> 13 <211> 1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5N72D <400> 13 Asn Trp Val Asn Val Ile Ser Asp Leu Lys Lys Ile Glu Asp Leu Ile 1 5 10 15 Gln Ser Met His Ile Asp Ala Thr Leu Tyr Thr Glu Ser Asp Val His 20 25 30 Pro Ser Cys Lys Val Thr Ala Met Lys Cys Phe Leu Leu Glu Leu Gln 35 40 45 Val Ile Ser Leu Glu Ser Gly Asp Ala Ser Ile His Asp Thr Val Glu 50 55 60 Asn Leu Ile Ile Leu Ala Asn Asp Ser Leu Ser Ser Asn Gly Asn Val 65 70 75 80 Thr Glu Ser Gly Cys Lys Glu Cys Glu Glu Leu Glu Glu Lys Asn Ile 85 90 95 Lys Glu Phe Leu Gln Ser Phe Val His Ile Val Gln Met Phe Ile Asn 100 105 110 Thr Ser <210> 14 <211> 20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4 Met Ala Pro Arg Arg Ala Arg Gly Cys Arg Thr Leu Gly Leu Pro Ala 1 5 10 15 Leu Leu Leu Leu Leu Leu Leu Arg Pro Pro Ala Thr Arg Gly Ile Thr 20 25 30 Cys Pro Pro Pro Met Ser Val Glu His Ala Asp Ile Trp Val Lys Ser 35 40 45 Tyr Ser Leu Tyr Ser Arg Glu Arg Tyr Ile Cys Asn Ser Gly Phe Lys 50 55 60 Arg Lys Ala Gly Thr Ser Ser Leu Thr Glu Cys Val Leu Asn Lys Ala 65 70 75 80 Thr Asn Val Ala His Trp Thr Thr Pro Ser Leu Lys Cys Ile Arg Asp 85 90 95 Pro Ala Leu Val His Gln Arg Pro Ala Pro Pro Ser Thr Val Thr Thr 100 105 110 Ala Gly Val Thr Pro Gln Pro Glu Ser Leu Ser Pro Ser Gly Lys Glu 115 120 125 Pro Ala Ala Ser Ser Pro Ser Ser Asn Asn Thr Ala Ala Thr Thr Ala 130 135 140 Ala Ile Val Pro Gly Ser Gln Leu Met Pro Ser Lys Ser Pro Ser Thr 145 150 155 160 Gly Thr Thr Glu Ile Ser Ser His Glu Ser Ser His Gly Thr Pro Ser 165 170 175 Gln Thr Thr Ala Lys Asn Trp Glu Leu Thr Ala Ser Ala Ser His Gln 180 185 190 Pro Pro Gly Val Tyr Pro Gln Gly His Ser Asp Thr Thr 195 200 205 <210> 15 <211> 1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5 L52C <400> 15 Asn Trp Val Asn Val Ile Ser Asp Leu Lys Lys Ile Glu Asp Leu Ile 1 5 10 15 Gln Ser Met His Ile Asp Ala Thr Leu Tyr Thr Glu Ser Asp Val His 20 25 30 Pro Ser Cys Lys Val Thr Ala Met Lys Cys Phe Leu Leu Glu Leu Gln 35 40 45 Val Ile Ser Cys Glu Ser Gly Asp Ala Ser Ile His Asp Thr Val Glu 50 55 60 Asn Leu Ile Ile Leu Ala Asn Asn Ser Leu Ser Ser Asn Gly Asn Val 65 70 75 80 Thr Glu Ser Gly Cys Lys Glu Cys Glu Glu Leu Glu Glu Lys Asn Ile 85 90 95 Lys Glu Phe Leu Gln Ser Phe Val His Ile Val Gln Met Phe Ile Asn 100 105 110 Thr Ser <210> 16 <211> 3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5Ra-sushi+S40C-Fc <400> 16 Ile Thr Cys Pro Pro Pro Met Ser Val Glu His Ala Asp Ile Trp Val 1 5 10 15 Lys Ser Tyr Ser Leu Tyr Ser Arg Glu Arg Tyr Ile Cys Asn Ser Gly 20 25 30 Phe Lys Arg Lys Ala Gly Thr Cys Ser Leu Thr Glu Cys Val Leu Asn 35 40 45 Lys Ala Thr Asn Val Ala His Trp Thr Thr Pro Ser Leu Lys Cys Ile 50 55 60 Arg Asp Pro Ala Leu Val His Gln Arg Gly Gly Gly Gly Ser Gly Gly 65 70 75 80 Gly Gly Ser Glu Pro Lys Ser Ser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85 90 95 Cys Pro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100 105 110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115 120 125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130 135 140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145 150 155 160 Glu Glu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165 170 175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180 185 190 Asn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195 200 205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Glu 210 215 220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225 230 235 240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245 250 255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260 265 270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n Gly 275 280 285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290 295 300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305 310 315 <210> 17 <211> 10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EO 2-15 E62C <400> 17 Pro Lys Lys Lys Ile Gln Leu His Ala Glu His Ala Leu Tyr Asp Ala 1 5 10 15 Leu Met Ile Leu Asn Ile Val Lys Thr Asn Ser Pro Pro Ala Glu Glu 20 25 30 Lys Leu Glu Asp Tyr Ala Phe Asn Phe Glu Leu Ile Leu Glu Glu Ile 35 40 45 Ala Arg Leu Phe Glu Ser Gly Asp Gln Lys Asp Glu Ala Cys Lys Ala 50 55 60 Lys Arg Met Lys Glu Trp Met Lys Arg Ile Lys Thr Thr Ala Ser Glu 65 70 75 80 Asp Glu Gln Glu Glu Met Ala Asn Ala Ile Ile Thr Ile Leu Gln Ser 85 90 95 Trp Ile Phe Ser 100 <210> 18 <211> 35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ENP024306 chain 1: human IL-15 D30N/E64Q/N65D (GGGGS)1-Fc(216)_IgG1_pI(-) Isosteric A C2205/PVA_/S267K/L368D/K370S/M428L/N434S <400> 18 Asn Trp Val Asn Val Ile Ser Asp Leu Lys Lys Ile Glu Asp Leu Ile 1 5 10 15 Gln Ser Met His Ile Asp Ala Thr Leu Tyr Thr Glu Ser Asn Val His 20 25 30 Pro Ser Cys Lys Val Thr Ala Met Lys Cys Phe Leu Leu Glu Leu Gln 35 40 45 Val Ile Ser Leu Glu Ser Gly Asp Ala Ser Ile His Asp Thr Val Gln 50 55 60 Asp Leu Ile Ile Leu Ala Asn Asn Ser Leu Ser Ser Asn Gly Asn Val 65 70 75 80 Thr Glu Ser Gly Cys Lys Glu Cys Glu Glu Leu Glu Glu Lys Asn Ile 85 90 95 Lys Glu Phe Leu Gln Ser Phe Val His Ile Val Gln Met Phe Ile Asn 100 105 110 Thr Ser Gly Gly Gly Gly Ser Glu Pro Lys Ser Ser Asp Lys Thr His 115 120 125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Pro Val Ala Gly Pro Ser Val Phe 130 135 140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145 150 155 160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Lys His Glu Asp Pro Glu Val 165 170 175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180 185 190 Lys Pro Arg Glu Glu Glu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195 200 205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210 215 220 Lys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Ser 225 230 235 240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245 250 255 Ser Arg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Asp Val 260 265 270 Ser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p Gly 275 280 285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290 295 300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305 310 315 320 Glu Gln Gly Asp Val Phe Ser Cys Ser Val Leu His Glu Ala Leu His 325 330 335 Ser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340 345 350 <210> 19 <211> 30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ENP024306 chain 2: human IL15R (sushi) (GGGGS)1-Fc(216)_IgG1_C2205/PVA_/S267K/S364K/E357Q/M428L/N434S <400> 19 Ile Thr Cys Pro Pro Pro Met Ser Val Glu His Ala Asp Ile Trp Val 1 5 10 15 Lys Ser Tyr Ser Leu Tyr Ser Arg Glu Arg Tyr Ile Cys Asn Ser Gly 20 25 30 Phe Lys Arg Lys Ala Gly Thr Ser Ser Leu Thr Glu Cys Val Leu Asn 35 40 45 Lys Ala Thr Asn Val Ala His Trp Thr Thr Pro Ser Leu Lys Cys Ile 50 55 60 Arg Gly Gly Gly Gly Ser Glu Pro Lys Ser Ser Asp Lys Thr His Thr 65 70 75 80 Cys Pro Pro Cys Pro Ala Pro Pro Val Ala Gly Pro Ser Val Phe Leu 85 90 95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100 105 110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Lys His Glu Asp Pro Glu Val Lys 115 120 125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130 135 140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145 150 155 160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165 170 175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Ser Lys 180 185 190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195 200 205 Arg Glu Gln Met Thr Lys Asn Gln Val Lys Leu Thr Cys Leu Val Lys 210 215 220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225 230 235 240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245 250 255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260 265 270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Leu His Glu Ala Leu His Ser 275 280 285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290 295 300

Claims (15)

  1. 인간 환자의 편평 세포 암종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인터루킨-2/인터루킨-15 수용체 βγ(IL-2/IL-15Rβγ) 작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 세포 암종은 피부 편평 세포 암종, 비소세포 폐암종(NSCLC), 특히 폐의 편평 세포 암종(SCC), 편평 세포 갑상선 암종,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HNSCC), 구강 편평 세포 암종, 구인두 편평 세포 암종, 후두 편평 세포 암종, 식도 편평 세포 암종, 식도 및 위-식도 접합부 암 편평 세포 암종, 질 편평 세포 암종, 음경 편평 세포 암종, 항문 편평 세포 암종, 전립선 편평 세포 암종 및 방광 편평 세포 암종, 특히 피부 편평 세포 암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IL-2/IL-15Rβγ작용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적어도 하나의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치료에 내성 또는 불응성인 IL-2/IL-15Rβγ 작용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병용 투여되지 않는 IL-2/IL-15Rβγ 작용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PD-1 길항제와 병용 투여되지 않는 IL-2/IL-15Rβγ 작용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환자가 불응성 또는 내성이 있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병용 투여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환자가 불응성 또는 내성이 있고 병용 투여되지 않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PD-1 길항제인 IL-2/IL-15Rβγ 작용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병용 투여되는 IL-2/IL-15Rβγ 작용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PD-1 길항제와 병용 투여되는 IL-2/IL-15Rβγ 작용제.
  9. 제 3 항, 제 7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환자가 불응성 또는 내성이 있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병용 투여되며, 바람직하게는 환자가 불응성 또는 내성이 있고 병용 투여되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PD-1 길항제인 IL-2/IL-15Rβγ 작용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의 치료는 치료 전에 존재하는 종양의 크기가 적어도 약 30% 감소하고, 바람직하게는 치료 후 16주 이내에 약 30% 감소하며, 바람직하게는 치료 후 16주 이내에 약 50% 감소하는 것을 초래하는 IL-2/IL-15Rβγ 작용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에 대한 반응은 NK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선천적 면역 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IL-2/IL-15Rβγ 작용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주기적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되며, 상기 주기적 투여 요법은
    (a) 제 1 기간의 시작부터 y 연속일 동안 IL-2/IL-15Rβγ 작용제가 일일 용량으로 투여된 후 x-y일 동안 IL-2/IL-15Rβγ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x일의 제1 기간,
    여기서, x는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또는 21일이고, 바람직하게는 7 또는 14일이며, 및 y는 2, 3 또는 4일,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일이고,
    (b) 제1 기간의 적어도 1회 반복; 및
    (c) L-2/IL-15Rβγ 작용제가 투여되지 않는 z 일의 제 2 기간을 포함하되,
    여기서, z는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8, 35, 42, 49, 56, 63 또는 70일, 바람직하게는 7, 14, 21 또는 56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 14 또는 21일인 IL-2/IL-15Rβγ 작용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x는 7일이고, y는 2, 3 또는 4일이고 z는 7일이며, 바람직하게는 y는 2일이고 z는 7일인 IL-2/IL-15Rβγ 작용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의 일일 용량은 0.1 ㎍/kg 내지 50 ㎍/kg, 바람직하게는 0.25 ㎍/kg 내지 25㎍/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kg 내지 12 ㎍/kg, 더욱 바람직하게는 2㎍/kg 내지 12㎍/kg 및 바람직하게는 3㎍/kg 내지 20㎍/kg,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kg인 IL-2/IL-15Rβγ 작용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L-2/IL-15Rβγ 작용제는 인터루킨 15(IL-15)/인터루킨-15 수용체 알파(IL-15Rα) 복합체, 바람직하게는 인간 IL-15Rα 스시 도메인 또는 이의 유도체, 가요성 링커 및 인간 IL-15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간 IL-15Rα 스시 도메인은 SEQ ID NO: 6의 서열을 포함하며, 상기 인간 IL-15는 SEQ ID NO: 4의 서열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L-15/IL-15Rα 복합체는 SEQ ID NO: 9인 IL-2/IL-15Rβγ 작용제.
KR1020237017699A 2020-10-26 2021-10-26 편평 세포 암종 치료용 IL-2/IL-15Rβγ 작용제 KR202300960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3908.7 2020-10-26
EP20203908 2020-10-26
PCT/EP2021/079636 WO2022090203A1 (en) 2020-10-26 2021-10-26 IL-2/IL-15Rβү AGONIST FOR TREATING SQUAMOUS CELL CARCINOM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049A true KR20230096049A (ko) 2023-06-29

Family

ID=7302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699A KR20230096049A (ko) 2020-10-26 2021-10-26 편평 세포 암종 치료용 IL-2/IL-15Rβγ 작용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390361A1 (ko)
EP (1) EP4232069A1 (ko)
JP (1) JP2023550685A (ko)
KR (1) KR20230096049A (ko)
AU (1) AU2021367887A1 (ko)
CA (1) CA3195627A1 (ko)
IL (1) IL302321A (ko)
MX (1) MX2023004879A (ko)
WO (1) WO2022090203A1 (ko)

Citation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9109A (en) 1992-04-14 1993-07-2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Low toxicity interleukin-2 analogues for use in immunotherapy
US20030124678A1 (en) 2001-08-13 2003-07-03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Interleukin-2 mutants with reduced toxicity
WO2005085282A1 (en) 2004-02-27 2005-09-15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l-15 binding site for il15-ralpha and specific il-15 mutants having agonists/antagonists activity
US20060057680A1 (en) 2004-08-11 2006-03-16 Zheng Xin X Mutant interleukin-15 polypeptides
US20070036752A1 (en) 2001-12-04 2007-02-15 Emd Lexigen Research Center Corp. IL-2 fusion proteins with modulated selectivity
WO2007046006A2 (en) 2005-10-20 2007-04-26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Il-15ralpha sushi domain as a selective and potent enhancer of il-15 action through il-15rbeta/gamma, and hyperagonist (ilralpha sushi-il 15) fusion proteins
WO2008003473A2 (en) 2006-07-06 2008-01-10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the efficacy of il-2 mediated immune responses
WO2008143794A1 (en) 2007-05-11 2008-11-27 Altor Bioscience Corporation Fusion molecules and il-15 variants
WO2009135031A1 (en) 2008-04-30 2009-11-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 Substituted il-15
WO2012065086A1 (en) 2010-11-12 2012-05-18 Nektar Therapeutics Conjugates of an il-2 moiety and a polymer
WO2012107417A1 (en) 2011-02-10 2012-08-16 Roche Glycart Ag Mutant interleukin-2 polypeptides
WO2012175222A1 (en) 2011-06-24 2012-12-27 Cytune AN IL-15 AND IL-15Rα SUSHI DOMAIN BASED IMMUNOCYTOKINES
WO2014066527A2 (en) 2012-10-24 2014-05-01 Admune Therapeutics Llc Il-15r alpha forms, cells expressing il-15r alpha forms, and therapeutic uses of il-15r alpha and il-15/il-15r alpha complexes
WO2014145806A2 (en) 2013-03-15 2014-09-18 Xencor, Inc. Heterodimeric proteins
WO2014207173A1 (en) 2013-06-27 2014-12-31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Interleukin 15 (il-15) antagonists and use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and inflammatory diseases
WO2015018528A1 (en) 2013-08-08 2015-02-12 Cytune Pharma Il-15 and il-15raplha sushi domain based modulokines
WO2015109124A2 (en) 2014-01-15 2015-07-23 Kadmon Corporation, Llc Immunomodulatory agents
WO2016060996A2 (en) 2014-10-14 2016-04-21 Armo Biosciences, Inc. Interleukin-15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16095642A1 (zh) 2014-12-19 2016-06-23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白细胞介素15蛋白复合物及其用途
WO2016142314A1 (en) 2015-03-06 2016-09-15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FUSION PROTEINS COMPRISING A BINDING PROTEIN AND AN INTERLEUKIN-15 POLYPEPTIDE HAVING A REDUCED AFFINITY FOR IL15Ra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WO2017046200A1 (en) 2015-09-16 2017-03-23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Specific interleukin-15 (il-15) antagonist polypeptide and use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and auto-immune diseases
US20170088597A1 (en) 2015-09-25 2017-03-30 Altor Bioscience Corporation Interleukin-15 superagonist significantly enhances graft-versus-tumor activity
WO2017112528A2 (en) 2015-12-21 2017-06-29 Armo Biosciences, Inc. Interleukin-15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18071919A1 (en) 2016-10-14 2018-04-19 Xencor, Inc. IL15/IL15Rα HETERODIMERIC FC-FUSION PROTEINS
WO2018102536A1 (en) 2016-11-30 2018-06-07 Oncomed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treatment of cancer comprising tigit-binding agents
WO2018151868A2 (en) 2017-02-16 2018-08-23 Sonnet Bio Therapeutics Albumin binding domain fusion proteins
WO2018213341A1 (en) 2017-05-15 2018-11-22 Nektar Therapeutics Long-acting interleukin-15 receptor agonists and related immunotherapeutic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19028419A1 (en) 2017-08-03 2019-02-07 Synthorx, Inc. CYTOKINE CONJUGATES FOR THE TREATMENT OF PROLIFERATIVE AND INFECTIOUS DISEASES
US10206980B2 (en) 2014-01-08 2019-02-19 Shanghai Hengrui Pharmaceutical Co., Ltd. IL-15 heterodimeric protein and uses thereof
US20190092830A1 (en) 2015-07-02 2019-03-28 Numab Biopharmaceuticals (Hangzhou) Ltd. Interleukin 15 fusion protein for tumor target therapy
WO2019165453A1 (en) 2018-02-26 2019-08-29 Synthorx, Inc. Il-15 conjugates and uses thereof
WO2019173798A1 (en) 2018-03-08 2019-09-12 Rubius Therapeutics, Inc. Therapeutic cell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and infectious diseases
WO2020069398A1 (en) 2018-09-27 2020-04-02 Akrevia Therapeutics Inc. Masked cytokine polypeptides
WO2020232305A1 (en) 2019-05-14 2020-11-19 Werewolf Therapeutics, Inc. Separation moieties and methods and use thereof
WO2021081193A1 (en) 2019-10-25 2021-04-29 Neoleukin Therapeutics, Inc. Methods of administration of if-2 receptor agonists
WO2021156720A1 (en) 2020-02-05 2021-08-12 Novartis Ag Cho cell expressing il-15 heterodimer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07671A1 (en) * 2015-12-17 2017-06-22 Novartis Ag Antibody molecules to pd-1 and uses thereof
US20180200366A1 (en) * 2016-10-21 2018-07-19 Altor Bioscience Corporation Multimeric il-15-based molecules
MX2019008196A (es) * 2017-01-06 2019-12-16 Synlogic Operating Co Inc Microorganismos programados para producir moduladores inmunes y productos terapéuticos anti-cáncer en células tumorales.
EP3570870A1 (en) * 2017-01-20 2019-11-27 Novartis AG Combination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ancer
WO2020021465A1 (en) * 2018-07-25 2020-01-30 Advanced Accelerator Applications (Italy) S.R.L. Method of treatment of neuroendocrine tumors
BR112021013965A2 (pt) * 2019-01-21 2021-09-21 Sanofi Rna terapêutico e anticorpos anti-pd1 para cânceres de tumor sólido em estágio avançado
KR20220012296A (ko) * 2019-05-20 2022-02-03 싸이튠 파마 암 또는 감염성 질환 치료를 위한 IL-2/IL-15Rβγ 작용제 투여 요법

Patent Citation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9109A (en) 1992-04-14 1993-07-2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Low toxicity interleukin-2 analogues for use in immunotherapy
US20030124678A1 (en) 2001-08-13 2003-07-03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Interleukin-2 mutants with reduced toxicity
US20070036752A1 (en) 2001-12-04 2007-02-15 Emd Lexigen Research Center Corp. IL-2 fusion proteins with modulated selectivity
WO2005085282A1 (en) 2004-02-27 2005-09-15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l-15 binding site for il15-ralpha and specific il-15 mutants having agonists/antagonists activity
US20060057680A1 (en) 2004-08-11 2006-03-16 Zheng Xin X Mutant interleukin-15 polypeptides
WO2007046006A2 (en) 2005-10-20 2007-04-26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Il-15ralpha sushi domain as a selective and potent enhancer of il-15 action through il-15rbeta/gamma, and hyperagonist (ilralpha sushi-il 15) fusion proteins
WO2008003473A2 (en) 2006-07-06 2008-01-10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the efficacy of il-2 mediated immune responses
WO2008143794A1 (en) 2007-05-11 2008-11-27 Altor Bioscience Corporation Fusion molecules and il-15 variants
WO2009135031A1 (en) 2008-04-30 2009-11-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 Substituted il-15
WO2012065086A1 (en) 2010-11-12 2012-05-18 Nektar Therapeutics Conjugates of an il-2 moiety and a polymer
WO2012107417A1 (en) 2011-02-10 2012-08-16 Roche Glycart Ag Mutant interleukin-2 polypeptides
WO2012175222A1 (en) 2011-06-24 2012-12-27 Cytune AN IL-15 AND IL-15Rα SUSHI DOMAIN BASED IMMUNOCYTOKINES
WO2014066527A2 (en) 2012-10-24 2014-05-01 Admune Therapeutics Llc Il-15r alpha forms, cells expressing il-15r alpha forms, and therapeutic uses of il-15r alpha and il-15/il-15r alpha complexes
WO2014145806A2 (en) 2013-03-15 2014-09-18 Xencor, Inc. Heterodimeric proteins
WO2014207173A1 (en) 2013-06-27 2014-12-31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Interleukin 15 (il-15) antagonists and use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and inflammatory diseases
WO2015018528A1 (en) 2013-08-08 2015-02-12 Cytune Pharma Il-15 and il-15raplha sushi domain based modulokines
US10206980B2 (en) 2014-01-08 2019-02-19 Shanghai Hengrui Pharmaceutical Co., Ltd. IL-15 heterodimeric protein and uses thereof
WO2015109124A2 (en) 2014-01-15 2015-07-23 Kadmon Corporation, Llc Immunomodulatory agents
WO2016060996A2 (en) 2014-10-14 2016-04-21 Armo Biosciences, Inc. Interleukin-15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16095642A1 (zh) 2014-12-19 2016-06-23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白细胞介素15蛋白复合物及其用途
WO2016142314A1 (en) 2015-03-06 2016-09-15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FUSION PROTEINS COMPRISING A BINDING PROTEIN AND AN INTERLEUKIN-15 POLYPEPTIDE HAVING A REDUCED AFFINITY FOR IL15Ra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US20190092830A1 (en) 2015-07-02 2019-03-28 Numab Biopharmaceuticals (Hangzhou) Ltd. Interleukin 15 fusion protein for tumor target therapy
WO2017046200A1 (en) 2015-09-16 2017-03-23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Specific interleukin-15 (il-15) antagonist polypeptide and use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and auto-immune diseases
US20170088597A1 (en) 2015-09-25 2017-03-30 Altor Bioscience Corporation Interleukin-15 superagonist significantly enhances graft-versus-tumor activity
WO2017112528A2 (en) 2015-12-21 2017-06-29 Armo Biosciences, Inc. Interleukin-15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18071918A1 (en) 2016-10-14 2018-04-19 Xencor, Inc. Bispecific heterodimeric fusion proteins containing il-15/il-15ralpha fc-fusion proteins and pd-1 antibody fragments
US20180118805A1 (en) 2016-10-14 2018-05-03 Xencor, Inc. IL15/IL15Ralpha HETERODIMERIC Fc-FUSION PROTEINS
WO2018071919A1 (en) 2016-10-14 2018-04-19 Xencor, Inc. IL15/IL15Rα HETERODIMERIC FC-FUSION PROTEINS
WO2018102536A1 (en) 2016-11-30 2018-06-07 Oncomed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treatment of cancer comprising tigit-binding agents
WO2018151868A2 (en) 2017-02-16 2018-08-23 Sonnet Bio Therapeutics Albumin binding domain fusion proteins
WO2018213341A1 (en) 2017-05-15 2018-11-22 Nektar Therapeutics Long-acting interleukin-15 receptor agonists and related immunotherapeutic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19028419A1 (en) 2017-08-03 2019-02-07 Synthorx, Inc. CYTOKINE CONJUGATES FOR THE TREATMENT OF PROLIFERATIVE AND INFECTIOUS DISEASES
WO2019028425A1 (en) 2017-08-03 2019-02-07 Synthorx, Inc. CONJUGATES OF CYTOKINE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WO2019165453A1 (en) 2018-02-26 2019-08-29 Synthorx, Inc. Il-15 conjugates and uses thereof
WO2019173798A1 (en) 2018-03-08 2019-09-12 Rubius Therapeutics, Inc. Therapeutic cell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and infectious diseases
WO2020069398A1 (en) 2018-09-27 2020-04-02 Akrevia Therapeutics Inc. Masked cytokine polypeptides
WO2020232305A1 (en) 2019-05-14 2020-11-19 Werewolf Therapeutics, Inc. Separation moieties and methods and use thereof
WO2021081193A1 (en) 2019-10-25 2021-04-29 Neoleukin Therapeutics, Inc. Methods of administration of if-2 receptor agonists
WO2021156720A1 (en) 2020-02-05 2021-08-12 Novartis Ag Cho cell expressing il-15 heterodimers

Non-Patent Citations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bramson, H. N. (2018). "Monoclonal Antibodies for the Treatment of Multiple Myeloma: An Update." Int J Mol Sci 19(12).
Arenas-Ramirez, N., et al. (2016). "Improved cancer immunotherapy by a CD25-mimobody conferring selectivity to human interleukin-2." Sci Transl Med 8(367): 367ra166.
Augustin, J. G., et al. (2020). "HPV Detection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s: What Is the Issue?" Front Oncol 10: 1751.
Bacac, M., et al. (2016). "A Novel Carcinoembryonic Antigen T-Cell Bispecific Antibody (CEA TCB) for the Treatment of Solid Tumors." Clin Cancer Res 22(13): 3286-3297.
Bacac, M., et al. (2017). "Abstract 1594: Enhancement of the anti-tumor activity of CEA TCB via combination with checkpoint blockade by PD-L1 and interleukin-2 variant immunocytokine." Cancer Research 77(13 Supplement): 1594.
Bentebibel, S. E., et al. (2017). The Novel IL-2 Cytokine Immune Agonist NKTR-214 Harnesses the Adaptive and Innate Immune System for the Treatment of Solid Cancers. 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2017 Annual Meeting. National Harbor, MD.
Bergamaschi, C., et al. (2018). "Optimized administration of hetIL-15 expands lymphocytes and minimizes toxicity in rhesus macaques." Cytokine 108: 213-224.
Bernett, M. J., et al. (2017). "IL15/IL15Rα heterodimeric Fc-fusions with extended half-live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58: 408.
Bouda, M., et al. (2000). ""High risk" HPV types are frequently detected in potentially malignant and malignant oral lesions, but not in normal oral mucosa." Mod Pathol 13(6): 644-653.
Caffaro, C. E., et al. (2019). Discovery of pharmacologically differentiated Interleukin 15 (IL-15) agonists employing a synthetic biology platform. SITC 2019. National Harbor, Maryland.
Castro, I., et al. (2011). "The basis of distinctive IL-2- and IL-15-dependent signaling: weak CD122-dependent signaling favors CD8+ T central-memory cell survival but not T effector-memory cell development." J Immunol 187(10): 5170-5182.
Charych, D. H., et al. (2016). "NKTR-214, an Engineered Cytokine with Biased IL2 Receptor Binding, Increased Tumor Exposure, and Marked Efficacy in Mouse Tumor Models." Clinical Cancer Research 22(3): 680.
Charych, D., et al. (2013). "Abstract 482: Tipping the balance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An engineered cytokine (NKTR-214) with altered IL2 receptor binding selectivity and improved efficacy." Cancer Research 73(8 Supplement): 482.
Charych, D., et al. (2017). "Modeling the receptor pharmacology,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NKTR-214, a kinetically-controlled interleukin-2 (IL2) receptor agonist for cancer immunotherapy." PLoS One 12(7): e0179431.
Chenoweth, M. J., et al. (2012). "IL-15 can signal via IL-15Ralpha, JNK, and NF-kappaB to drive RANTES production by myeloid cells." J Immunol 188(9): 4149-4157.
Conlon, K. C., et al. (2015). "Redistribution, hyperproliferation, activation of natural killer cells and CD8 T cells, and cytokine production during first-in-human clinical trial of recombinant human interleukin-15 in patients with cancer." J Clin Oncol 33(1): 74-82.
Conlon, K. C., et al. (2019). "Cytokines in the Treatment of Cancer." J Interferon Cytokine Res 39(1): 6-21.
Conlon, K., et al. (2019). Phase I/Ib study of NIZ985 with and without spartalizumab (PDR001) in patients with metastatic/unresectable solid tumors. AACR Annual Meeting, Atlanta, GA.
Darvin, P., et al. (2018).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recent progress and potential biomarkers." Exp Mol Med 50(12): 165.
De Sousa Linhares, A., et al. (2018). "Not All Immune Checkpoints Are Created Equal." Frontiers in Immunology 9(1909).
Edgar, R. C. (2004). "MUSCL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with high accuracy and high throughput." Nucleic Acids Res 32(5): 1792-1797.
Elpek, K. G., et al. (2010). "Mature natural killer cells with phenotypic and functional alterations accumulate upon sustained stimulation with IL-15/IL-15Ralpha complexes." Proc Natl Acad Sci U S A 107(50): 21647-21652.
Felices, M., et al. (2018). "Continuous treatment with IL-15 exhausts human NK cells via a metabolic defect." JCI Insight 3(3).
Frutoso, M., et al. (2018). "Emergence of NK Cell Hyporesponsiveness after Two IL-15 Stimulation Cycles." J Immunol 201(2): 493-506.
Fyfe, G., et al. (1995). "Results of treatment of 255 patients with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who received high-dose recombinant interleukin-2 therapy." J Clin Oncol 13(3): 688-696.
Gajewski, T. F., et al. (2013). "Cancer immunotherapy strategies based on overcoming barriers with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Curr Opin Immunol 25(2): 268-276.
Gearing, A. J. and R. Thorpe (1988).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human interleukin-2. Calibration by international collaborative study." J Immunol Methods 114(1-2): 3-9.
Ghasemi, R., et al. (2016). "Selective targeting of IL-2 to NKG2D bearing cells for improved immunotherapy." Nat Commun 7: 12878.
Giron-Michel, J., et al. (2005). "Membrane-bound and soluble IL-15/IL-15Ralpha complexes display differential signaling and functions on human hematopoietic progenitors." Blood 106(7): 2302-2310.
Goujon, M., et al. (2010). "A new bioinformatics analysis tools framework at EMBL-EBI." Nucleic Acids Res 38(Web Server issue): W695-699.
Haanen, J. B. (2013). "Immunotherapy of melanoma." EJC Suppl 11(2): 97-105.
Han, K. P., et al. (2011). "IL-15:IL-15 receptor alpha superagonist complex: high-level co-expression in recombinant mammalian cells,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Cytokine 56(3): 804-810.
Heaton, K. M., et al. (1993). "Human interleukin 2 analogues that preferentially bind the intermediate-affinity interleukin 2 receptor lead to reduced secondary cytokine secretion: implications for the use of these interleukin 2 analogues in cancer immunotherapy." Cancer Res 53(11): 2597-2602.
Hori, T., et al. (1987). "Establishment of an interleukin 2-dependent human T cell line from a patient with T cell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who is not infected with human T cell leukemia/lymphoma virus." Blood 70(4): 1069-1072.
Howley, P. M. and H. J. Pfister (2015). "Beta genus papillomaviruses and skin cancer." Virology 479-480: 290-296.
Hu, P., et al. (2003). "Generation of low-toxicity interleukin-2 fusion proteins devoid of vasopermeability activity." Blood 101(12): 4853-4861.
Hu, Q., et al. (2018). "Discovery of a novel IL-15 based protein with improved developability and efficacy for cancer immunotherapy." Sci Rep 8(1): 7675.
Joseph, I. B., et al. (2019). "THOR-707, a novel not-alpha IL-2, elicits durable pharmacodynamic responses in non-human primates and effcacy as single agent and in combination with anti PD-1 in multiple syngeneic mouse models. ."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60: 838.
Kinter, A. L., et al. (2008). "The common gamma-chain cytokines IL-2, IL-7, IL-15, and IL-21 induce the expression of programmed death-1 and its ligands." J Immunol 181(10): 6738-6746.
Klein, C. (2014). "S41. Novel CEA-targeted IL2 variant immunocytokine for immunotherapy of cancer." 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 2(Suppl 2): I8-I8.
Klein, C., et al. (2013). "Abstract PR8: Novel tumor-targeted, engineered IL-2 variant (IL-2v)-based immunocytokines for immunotherapy of cancer." Cancer Research 73(1 Supplement): PR8.
Klein, C., et al. (2017). "Cergutuzumab amunaleukin (CEA-IL2v), a CEA-targeted IL-2 variant-based immunocytokine for combination cancer immunotherapy: Overcoming limitations of aldesleukin and conventional IL-2-based immunocytokines." Oncoimmunology 6(3): e1277306.
Kurowska, M., et al. (2002). "Fibroblast-like synoviocytes from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express functional IL-15 receptor complex: endogenous IL-15 in autocrine fashion enhances cell proliferation and expression of Bcl-x(L) and Bcl-2." J Immunol 169(4): 1760-1767.
Larsen, S. K., et al. (2014). "NK cells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Crit Rev Oncog 19(1-2): 91-105.
Lazear, E., et al. (2017). "Targeting of IL-2 to cytotoxic lymphocytes as an improved method of cytokine-driven immunotherapy." Oncoimmunology 6(2): e1265721.
Liu, B., et al. (2018). "Evaluation of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IL-15 superagonist complex, ALT-803, following intravenous versus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 murine models." Cytokine 107: 105-112.
Lopes, J. E., et al. (2020). "ALKS 4230: a novel engineered IL-2 fusion protein with an improved cellular selectivity profile for cancer immunotherapy." J Immunother Cancer 8(1).
Margolin, K., et al. (2018). "Phase I Trial of ALT-803, a Novel Recombinant Interleukin-15 Complex, in Patients with Advanced Solid Tumors." Clin Cancer Res 24(22): 5552-5561.
Miller, J. S., et al. (2018). "A First-in-Human Phase I Study of Subcutaneous Outpatient Recombinant Human IL15 (rhIL15) in Adults with Advanced Solid Tumors." Clin Cancer Res 24(7): 1525-1535.
Miyazaki, T., et al. (2018).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Study of NKTR-255, a Polymer-Conjugated Human IL-15, in Cynomolgus Monkey." Blood 132(Suppl 1): 2952-2952.
NCT01021059, at www.clinicaltrials.gov, as of 14.05.2019
NCT01572493, at www.clinicaltrials.gov, as of 16.08.2018
NCT02627284 at www.clinicaltrials.gov, as of 16.08.2018
NCT02983045 at www.clinicaltrials.gov, as of 16.08.2018
NCT03063762 at www.clinicaltrials.gov , as of 16.08.2018
NCT03386721 at www.clinicaltrials.gov, as of 16.08.2018
NCT03388632, at www.clinicaltrials.gov, as of 16.08.2018
Needleman, S. B. and C. D. Wunsch (1970). "A general method applicable to the search for similarities in the amino acid sequence of two proteins." J Mol Biol 48(3): 443-453.
Paradisi, A., et al. (2020). "Concomitant seropositivity for HPV 16 and cutaneous HPV types increases the risk of recurrent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kin." Eur J Dermatol 30(5): 493-498.
Pearson, W. R. and D. J. Lipman (1988). "Improved tools for biological sequence comparison." Proc Natl Acad Sci U S A 85(8): 2444-2448.
Perdreau, H., et al. (2010). "Different dynamics of IL-15R activation following IL-15 cis- or trans-presentation." Eur Cytokine Netw 21(4): 297-307.
Prattichizzo, C., et al. (2016).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highly immunogenic human renal carcinoma cell line." International journal of oncology 49(2): 457-470.
Rhode, P. R., et al. (2016). "Comparison of the Superagonist Complex, ALT-803, to IL15 as Cancer Immunotherapeutics in Animal Models." Cancer Immunol Res 4(1): 49-60.
Ring, A. M., et al. (2012). "Mechanistic and structural insight into the functional dichotomy between IL-2 and IL-15." Nat Immunol 13(12): 1187-1195.
Robinson, T. O. and K. S. Schluns (2017). "The potential and promise of IL-15 in immuno-oncogenic therapies." Immunol Lett 190: 159-168.
Romee, R., et al. (2018). "First-in-human Phase 1 Clinical Study of the IL-15 Superagonist Complex ALT-803 to Treat Relapse after Transplantation." Blood 131(23): 2515-2527.
Rosenzwajg, M., et al. (2019). "Immunological and clinical effects of low-dose interleukin-2 across 11 autoimmune diseases in a single, open clinical trial." Ann Rheum Dis 78(2): 209-217.
Shanafelt, A. B., et al. (2000). "A T-cell-selective interleukin 2 mutein exhibits potent antitumor activity and is well tolerated in vivo." Nat Biotechnol 18(11): 1197-1202.
Sharma, P., et al. (2017). "Primary, Adaptive, and Acquired Resistance to Cancer Immunotherapy." Cell 168(4): 707-723.
Silva, D.-A., et al. (2019). "De novo design of potent and selective mimics of IL-2 and IL-15." Nature 565(7738): 186-191.
Smith, T. F. and M. S. Waterman (1981). "Comparison of biosequences." Advances in Applied Mathematics 2(4): 482-489.
Smola, S. (2017). "Immunopathogenesis of HPV-Associated Cancers and Prospects for Immunotherapy." Viruses 9(9).
Solomon, B. L. and I. Garrido-Laguna (2018). "TIGIT: a novel immunotherapy target moving from bench to bedside." Cancer Immunol Immunother 67(11): 1659-1667.
Soman, G., et al. (2009). "MTS dye based colorimetric CTLL-2 cell proliferation assay for product release and stability monitoring of interleukin-15: assay qualification, standardiz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J Immunol Methods 348(1-2): 83-94.
Steel, J. C., et al. (2012). "Interleukin-15 biology and its therapeutic implications in cancer." Trends Pharmacol Sci 33(1): 35-41.
Sterling, J. C. (2005). "Human papillomaviruses and skin cancer." J Clin Virol 32 Suppl 1: S67-71.
Thaysen-Andersen, M., et al. (2016). "Recombinant human heterodimeric IL-15 complex displays extensive and reproducible N- and O-linked glycosylation." Glycoconj J 33(3): 417-433.
Toutain, P. L. and A. Bousquet-Melou (2004). "Plasma terminal half-life." J Vet Pharmacol Ther 27(6): 427-439.
Tumban, E. (2019). "A Current Update on Human Papillomavirus-Associated Head and Neck Cancers." Viruses 11(10).
Wadhwa, M., et al. (2013). "The 2nd International standard for Interleukin-2 (IL-2) Report of a collaborative study."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397(1): 1-7.
Waldmann, T. A. (2015). "The shared and contrasting roles of IL2 and IL15 in the life and death of normal and neoplastic lymphocytes: implications for cancer therapy." Cancer Immunol Res 3(3): 219-227.
Wei, X., et al. (2001). "The Sushi domain of soluble IL-15 receptor alpha is essential for binding IL-15 and inhibiting inflammatory and allogenic responses in vitro and in vivo." J Immunol 167(1): 277-282.
Wrangle, J. M., et al. (2018). "ALT-803, an IL-15 superagonist, in combination with nivolumab in patients with metastatic non-small cell lung cancer: a non-randomised, open-label, phase 1b trial." Lancet Oncol 19(5): 694-7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95627A1 (en) 2022-05-05
MX2023004879A (es) 2023-05-11
IL302321A (en) 2023-06-01
AU2021367887A1 (en) 2023-06-01
JP2023550685A (ja) 2023-12-05
WO2022090203A1 (en) 2022-05-05
US20230390361A1 (en) 2023-12-07
EP4232069A1 (en)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87599B (zh) 嵌合抗原和t細胞受體及使用方法
CN110958888A (zh) Cd47阻断疗法
US20180147257A1 (en) Btn3a ectodomain proteins and methods of use
Cai et al. Targeting LAG-3, TIM-3, and TIGIT for cancer immunotherapy
KR20210030956A (ko) Pd-l1 및 cd137에 결합하는 항체 분자
US20220241375A1 (en) Il-2/il-15r beta gamma agonist dosing regimens for treating cancer or infectious diseases
WO2021207290A1 (en) Engineered immune cells
US20200283518A1 (en) Il-4/il-13 pathway inhibitors for enhanced efficacy in treating cancer
Miljkovic et al. Interleukin-15 augments NK cell–mediated ADCC of alemtuzumab in patients with CD52+ T-cell malignancies
US20230390361A1 (en) Il-2/il-15r-beta-gamma agonist for treating squamous cell carcinoma
US20230398185A1 (en) Il-2/il-15r-beta-gamma agonist for treating non-melanoma skin cancer
TW202146437A (zh) Cd80胞外域fc融合蛋白療法
WO2020163692A1 (en) Treatment of cutaneous t cell lymphoma with targeting of cd47 pathway
WO2023160721A1 (en) Heterodimeric polypeptide complexes comprising il-15 variants and uses thereof
WO2023081718A1 (en) Multimeric t-cell modulatory polypeptid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240043797A (ko) 암 치료용 IL-2/IL-15Rβγ 작용제와 항체-약물 접합체 조합
Bergamaschi et al. Heterodimeric IL-15 in Cancer Immunotherapy. Cancers 2021, 13, 837
WO2023288283A9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use in cell therapy of neoplastic disease
Johnson Improving adoptive T cell therapy with IL-12 priming and lymphodeple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