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912A -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912A
KR20230093912A KR1020210182918A KR20210182918A KR20230093912A KR 20230093912 A KR20230093912 A KR 20230093912A KR 1020210182918 A KR1020210182918 A KR 1020210182918A KR 20210182918 A KR20210182918 A KR 20210182918A KR 20230093912 A KR20230093912 A KR 20230093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device
rotating member
rod
disposed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진
주상아
오동국
조경서
Original Assignee
이오플로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플로우(주) filed Critical 이오플로우(주)
Priority to KR102021018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3912A/ko
Publication of KR20230093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61B5/4839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combined with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2005/1450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mechanically driven, e.g. spring or clock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61M2005/172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the body parameters being measured at, or proximate to, the infusion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Diabet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시스템을 제공하며, 베이스 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에 장착되며, 내부에 플런저가 배치되는 레저버와,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구동 휠과, 상기 로드와 상기 구동 휠의 사이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로드와 상기 구동 휠을 커플링시키는 커플러, 및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안테나 패턴을 가지며, 회전시에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상기 커플러를 가력하거나 상기 구동 휠을 가력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시스템{Needle assembly and drug injec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슐린 주입장치와 같은 약액 주입 장치는 환자의 몸 안에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약액 주입 장치는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전문 의료진에 의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환자 자신 또는 보호자와 같은 일반인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당뇨 환자 특히, 소아 당뇨 환자의 경우에는 인슐린과 같은 약물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인체에 주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정한 기간 동안 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패치 형태의 약액 주입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약액 주입 장치는 환자의 복부 또는 허리 등의 인체에 일정한 기간 동안 패치 형태로 부착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는 인체에 부착될 경우 착용감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저전력으로 구동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약액 주입장치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므로, 사용자가 간단하고 편리하게 니들이나 캐뉼러 등을 환자의 피부에 삽입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외부의 장치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베이스 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에 장착되며, 내부에 플런저가 배치되는 레저버와,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구동 휠과, 상기 로드와 상기 구동 휠의 사이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로드와 상기 구동 휠을 커플링시키는 커플러, 및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안테나 패턴을 가지며, 회전시에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상기 커플러를 가력하거나 상기 구동 휠을 가력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약액 주입 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이 배치되는 바디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안테나 패턴과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패턴에서 회로 기판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라인이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신호 라인이 상기 회전 부재의 샤프트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커플러를 가력하고, 상기 커플러가 상기 로드와 상기 구동 휠을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구동 모듈에서 구동력을 전달 받아, 제1 암과 제2 암이 교번하여 상기 구동 휠을 가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외부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회로기판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용자에게 부착되어, 약물을 전달하는 약액 주입 장치, 및 상기 약액 주입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약액 주입 장치는 베이스 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에 장착되며, 내부에 플런저가 배치되는 레저버와,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구동 휠과, 상기 로드와 상기 구동 휠의 사이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로드와 상기 구동 휠을 커플링시키는 커플러, 및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안테나 패턴을 가지며, 회전시에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상기 커플러를 가력하거나 상기 구동 휠을 가력하는 회전 부재를 가지는 약액 주입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커플러를 가력하고, 상기 커플러가 상기 로드와 상기 구동 휠을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액 주입 장치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구동 모듈에서 구동력을 전달 받아, 제1 암과 제2 암이 교번하여 상기 구동 휠을 가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시스템은 신호 전달 효율이 높으며,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는 안테나 패턴을 가지어, 외부의 장치와 효과적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시스템은 안테나 패턴을 가지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가지지 않고, 약액 주입 장치의 구동을 위한 회전 부재에 배치되어, 약액 주입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이 배치된 회전 부재는 회로 기판인 제어 모듈에서 이격되므로, 안테나 패턴에서의 신호 방사 방향에 대한 구속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이 배치된 회전 부재는 약액 주입 장치가 부착되는 사용자에서 이격되므로, 신호의 전달 효율이 높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약액 주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3의 레저버 어셈블리의 구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제1 회전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1 회전 부재의 배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3의 약액 주입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2 회전 부재의 배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시스템(1)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약액 주입 시스템(1)은 약액 주입 장치(10), 사용자 단말(20), 컨트롤러(30) 및 생체 정보 센서(40)를 구비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2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시스템을 구동 및 제어할 수 있으며, 생체 정보 센서(40)에서 모니터링되는 혈당 정보를 기초로, 약액 주입 장치(10)에서 약액을 주기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생체 정보 센서(40)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주입되어야 하는 약물 예컨대, 인슐린, 글루카곤, 마취제, 진통제, 도파민, 성장 호르몬, 금연 보조제 등을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약액 주입 장치(10)는 장치의 잔여 배터리 용량 정보, 장치의 부팅 성공 여부, 주입 성공 여부 등을 포함하는 장치 상태 메시지를 컨트롤러(3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30)로 전달된 메시지들은 사용자 단말(20)로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30)는 수신된 메시지들을 가공한 개량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는 생체 정보 센서(40)와 별도로 구비되며, 대상체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와 생체 정보 센서(40)는 하나의 디바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는 사용자의 몸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는 동물에도 장착되어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약액 주입 시스템(1)을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컨트롤러(30)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30)를 제어하여 약액 주입 장치(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생체 정보 센서(40)로부터 측정된 생체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약액 주입 장치(1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카메라가 탑재된 디바이스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미리 등록된 컨트롤러(30)와 1대1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외부의 장치로부터의 컨트롤러(30)가 구동 및 제어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컨트롤러(30)와 암호화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과 컨트롤러(30)는 각각 분리되어 별도의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30)는 약액 주입 장치(10)가 장착된 대상자에게 구비되고, 사용자 단말(20)은 대상자 또는 제3 자에게 구비될 수 있다. 보호자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20)이 구동되어, 약액 주입 시스템(1)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과 컨트롤러(30)는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과 하나로 구비된 컨트롤러(30)가 약액 주입 장치(10)와 통신하여, 약물의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약액 주입 장치(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약액 주입 장치(10)로 인슐린 등의 약물의 주입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생체 정보 센서(40)로부터 혈당 등의 생체값의 측정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일 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로 사용자의 현 상태를 측정하라는 지시 요청을 전송하고, 지시 요청의 응답으로 약액 주입 장치(10)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40)는 목적에 따라 사용자의 혈당값, 혈압, 심박수 등의 생체값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40)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컨트롤러(3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측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약물이 주기 및/또는 주입량이 설정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40)에서 측정된 데어터는 사용자 단말(20)로 전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생체 정보 센서(40)는 대상체의 혈당량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센서일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 센서는 대상체에 부착되어 연속적으로 혈당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 컨트롤러(30) 및 약액 주입 장치(10)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5G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 컨트롤러(30), 생체 정보 센서(40) 중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내부에 배치된 부품에 안테나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을 통해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20), 컨트롤러(30), 생체 정보 센서(40)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약액 주입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약액 주입 장치(10)는 약액을 주입할 사용자에 부착되고, 내부에 저장된 약액을 사용자에게 설정된 정량으로 주입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주입되는 약액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약액은 당뇨병 환자를 위한 인슐린 계열 약액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췌장을 위한 약액, 심장용 약액 기타 다양한 종류의 약액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약액은 인슐린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약액 주입 장치(10)의 일 실시예는 외측을 커버하는 하우징(11), 사용자의 피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부착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하우징(11)과 부착부(12)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복수개의 부품을 포함한다. 부착부(12)와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는 별도의 접합 수단(미도시)이 더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접합 수단에 의해 약액 주입 장치(10)는 피부에 고정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니들 조립체(100), 레저버 유닛(200), 구동 모듈(300), 배터리(350), 구동 유닛(400), 클러치 유닛(500), 제1 회전 부재(600), 니들 커버 조립체(700), 알람 유닛(800), 제2 회전 부재(900) 및 복수개의 센서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베이스 바디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디가 내부 부품을 지지하는 틀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바디는 약액 주입 장치(10)의 내부 부품의 위치를 설정하는 부품으로 약액 주입 장치(10)의 부품들의 형상, 배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바디는 단수개 또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베이스 바디는 제1 바디(13), 제2 바디(14) 및 제3 바디(15)를 가지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바디(13)는 하우징(11)의 아래에 배치되며, 각 개구 또는 홈에 니들 조립체(100), 레저버 유닛(200), 구동 모듈(300), 배터리(350) 등이 지지될 수 있다. 제2 바디(14)는 제1 바디(13)의 아래에 배치되며, 부착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바디(14)는 약액 주입 장치(1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3 바디(15)는 제1 바디(13)의 상측에 배치되어, 각 개구 또는 홈에 레저버 유닛(200), 구동 모듈(300), 배터리(350), 구동 유닛(400) 등을 지지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의 내부에는 제어 모듈(16)이 배치될 수 있다(도 11 및 도 13 참조). 제2 바디(14)의 아래에는 회로 기판인 제어 모듈(16)이 배치되며, 약액 주입 장치(10)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6)은 구동 모듈(300), 배터리(350), 알람 유닛(800) 및 복수개의 센서 유닛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이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니들 조립체(100)는 제1 바디(13)에 장착될 수 있다. 니들 조립체(100)는 슬리브의 회전에 의해서 니들(N) 및/또는 캐뉼러(미도시)가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니들(N)의 일단은 레저버 유닛(200)에 연결되어 약액이 전달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캐뉼러에 삽입되어 상기 캐뉼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캐뉼러는 니들(N)을 수용할 수 있는 도관 형상을 가지므로, 니들(N)에서 토출된 약액이 사용자로 주입될 수 있다.
캐뉼러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나, 니들(N)은 상승하여 대상체에서 분리된다. 다만, 캐뉼러와 니들(N)은 유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여, 레저버(210)에서 주입되는 약액은 니들(N)과 캐뉼러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주입될 수 있다(도 6 내지 도 9 참조).
약액 주입 장치(10)는 사용자가 간단하게 니들 조립체(100)를 회전하여, 캐뉼러를 대상체에 삽입하고, 약액 주입을 개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3의 레저버 유닛(200)의 구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레저버 유닛(200)은 제1 바디(13) 및 제3 바디(15)에 장착되며, 니들 조립체(100)와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레저버 유닛(200)은 내부공간에 약액(D)이 저장되며, 플런저(230)의 이동에 따라 약액을 니들(N)로 정량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레저버 유닛(200)은 레저버(210), 캡 커버(220), 플런저(230) 및 실링링(240)을 구비할 수 있다.
레저버(210)는 베이스 바디에 장착되며, 내부에 플런저(230)가 배치될 수 있다. 레저버(210)는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어, 내부 공간에 약액을 저장할 수 있다. 레저버(210)는 플런저(230)의 이동으로 약액이 니들(N)로 토출될 수 있다. 레저버(210)의 단부에는 캡 커버(220)가 장착되며, 캡 커버(220)에 배치된 개구(미도시)를 통해서 로드(410) 및/또는 연결 부재(520)가 이동할 수 있다.
레저버(210)는 입구단과 출구단을 가질 수 있다. 입구단으로는 약액이 주입되며, 출구단에 니들(N)이 설치되며, 니들(N)로 약액은 배출될 수 있다.
플런저(230)는 레저버(210)의 내부에 배치되며, 구동 모듈(300) 및 구동 유닛(400)의 구동에 의해서 선형 이동 할 수 있다. 플런저(230)의 전진에 따라, 약액은 내부공간에서 니들(N)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플런저(230)는 엔드단(231)과 경사면(232)을 가질 수 있다. 엔드단(231)은 레저버(210)의 전방(210F)을 향하여 이동하여, 약액을 이동시킬 수 있다. 경사면(232)은 레저버(210)의 경사부에 밀착될 수 있다.
플런저(230)는 레저버(210)의 내측벽과 접촉하는 부분에 실링부(240)가 구비되어, 플런저(230)의 이동시에 약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 모듈(300)은 구동력을 생성하여 구동 유닛(40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 모듈(300)은 약액 주입 장치(10)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부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동 모듈(300)에서 구동 유닛(400)에 전달된 구동력은 플런저(230)를 레저버(210)의 내부에서 선형 이동시켜서, 약액을 니들(N)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동 모듈(300)은 전기에 의해 약액 흡입력과 약액 토출력을 갖는 모든 종류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 변위형 마이크로펌프와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 등의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압력차를 일으키도록 기어나 다이어그램과 같은 고체 혹은 유체의 운동을 이용하는 펌프로서, 다이어프람 변위 펌프(Diaphragm displacement pump), 유체 변위 펌프(Fluid displacement pump), 회전 펌프(Rotary pump) 등이 있다.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형태의 에너지를 바로 유체의 이동에 이용하는 펌프로서, 전기유체역학 펌프(Electro hydrodynamic pump, EHD), 전기삼투식 펌프(Electro osmotic pump), 자기유체역학 펌프(Magneto hydrodynamic pump), 전기습식 펌프(Electro wetting pump)등이 있다.
일 실시예로, 구동 모듈(300)은 형상 기억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모듈에 전기가 인가되면, 형상 기억 합금으로 형성된 구동 모듈은 길이나 형상이 변화하여, 그 변화가 구동 유닛(400)에 구동력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클러치 유닛(500)은 로드(410)와 구동 휠(420)을 연결하여, 구동력이 플런저(230)로 전달 될 수 있다. 클러치 유닛(500)에 의해서 구동 유닛(400)들이 서로 연결되면(engaged), 구동 모듈(300)은 구동 유닛(400)의 구동 휠(420)을 회전시키고, 구동 휠(420)의 회전으로 로드(410)가 선형 이동하여 플런저(230)가 이동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약액 주입 장치(10)에 전기를 공급하여, 각 부품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한 쌍의 배터리(350)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약액 주입 장치(10)의 용량, 사용범위, 사용 시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구동 유닛(4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구동 유닛(400)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50)는 제어 모듈(16)과 연결되며, 센서 유닛(미도시)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구동 유닛(400)의 회전수 또는 회전 속도, 레저버(210)에 저장된 약액 량, 사용자에게 주입된 약액량 등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구동 유닛(400)은 구동 모듈(300)과 레저버 유닛(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 모듈(300)에서 생성된 구동력으로 레저버(210) 내에 배치된 플런저(230)를 이동 시킬 수 있다. 다만, 구동 유닛(400)은 로드(410)와 구동 휠(420)이 클러치 유닛(500)에 의해서 커플링 또는 연결되어야만 플런저(230)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다.
로드(410)는 플런저(230)에 연결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로드(410)는 캡 커버(220)의 개구에 삽입되고, 로드(410)는 플런저(23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레저버(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드(410)는 표면에 나사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로드(410)는 연결 부재(520)에 삽입되며, 액액을 정량 토출시에는, 클러치 유닛(500)에 의해서 구동 휠(420)과 연결되어, 로드(410)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 휠(420)은 로드(4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휠(420)은 구동 모듈(300)에 구동적으로 연결되며, 구동 모듈(300)의 구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휠(420)과 구동 모듈(300)의 사이에는 제2 회전 부재(900)가 배치되고, 구동 모듈(300)에서 생성된 구동력은 제2 회전 부재(900)를 통해서 구동 휠(420)로 전달 될 수 있다.
클러치 유닛(500)은 구동 모듈(300)과 구동 유닛(400)을 구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클러치 유닛(500)은 로드(410)와 구동 휠(420) 사이에 배치되며, 커플러(510)와 연결 부재(520)를 구비할 수 있다.
커플러(510)는 로드(410)와 구동 휠(420)의 사이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로드(410)와 구동 휠(420)을 커플링시킬 수 있다. 커플러(510)는 연결 부재(520)의 외측에 배치되며, 비활성화시에는 연결 부재(52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도 6 및 도 7), 활성화시에는 로드(410)와 구동 휠(420)을 연결할 수 있다(도 8 및 도 9). 커플러(510)는 탄성력으로 연결 부재(520)의 외측을 가력할 수 있는 부품이며,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코일 스프링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 부재(520)는 적어도 일부가 로드(410)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520)는 로드(41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연결 부재(520)는 커플러(510)의 동작에 따라 구동 모듈(300)과 로드(410)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로드(410)와 연결 부재(520)는 각각 나사와 나사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로드(4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연결 부재(520)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연결 부재(520)는 일단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나, 타단에는 나사산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연결 부재(520)의 제1 구간(L1)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 구간(L1)에서만 로드(410)와 나사 결합된다. 또한, 제1 구간(L1)의 직경은 로드(410)에 대응되며 D1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부재(520)의 제2 구간(L2)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제2 구간(L2)의 직경(D2)은 제1 구간(L1)의 직경(D1)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구간(L2)에서는 연결 부재(520)가 로드(410)와 접촉하지 않는다.
제1 구간(L1)의 길이는 연결 부재(520)가 후방으로 이동시에 커플러(510)와 중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보면, 플런저(230)가 최후방으로 연장될 때, 제1 구간(L1)의 적어도 일부는 커플러(510)와 중첩되도록, 즉 적어도 일부가 커플러(5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커플러(510)가 활성화시에 커플러(510)가 제1 구간(L1)의 적어도 일부를 그립하도록, 연결 부재(520)에서 제1 구간(L1)의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로드(410)는 연결 부재(520)의 제1 구간(L1)에서만 나사 결합되므로, 연결 부재(520)가 회전하여 로드(410)를 전방으로 이동 시킬시에, 연결 부재(520)와 로드(410)의 나사 결합에 의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커플러(510)가 활성화되면 커플러(510)가 연결 부재(520)를 그립하고, 구동 휠(420)의 회전에 따라 연결 부재(520)도 함께 회전한다. 연결 부재(520)와 로드(410)는 제1 구간(L1)에서만 나사 결합이 되어 있으므로, 구동 휠(420)이 적은 토크로 회전하더라도 연결 부재(520)가 로드(4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구간(L1)에서만 로드(410)와 연결 부재(520)가 나사결합을 하므로, 구동 유닛(400)의 구동에 의해서 플런저(230)는 다소 약한 힘에 의해서도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제1 회전 부재(6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제1 회전 부재(600)의 배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도 5,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회전 부재(600)는 약액 주입 장치(10)의 약액이 주입되는 기계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600)는 제3 바디(15)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회전 부재(600)가 회동하여 구동 모듈(300)의 구동을 개시하고, 동시에 클러치 유닛(500)이 구동 유닛(400)을 구동 연결 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6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커플러(510)를 가력하고, 커플러(510)가 로드(410)와 구동 휠(4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세히, 제1 회전 부재(600)는 제1 축(AX1)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 부재(600)는 커플러(510)의 단부(511)을 가력하고, 커플러(510)는 로드(410)와 구동 휠(420)을 커플링 시킬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600)는 제1 베이스(610), 제1 샤프트(620), 제1A 단(630), 제1B 단(640)을 가질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600)는 제1 안테나 패턴(AP1)과 연결되어, 제1 안테나 패턴(AP1)에서 회로 기판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신호 라인(SL1)이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제1 베이스(610)는 제1 샤프트(620)에 연결되며, 제1 안테나 패턴(AP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6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제1A 단(630)과 제1B 단(6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610)는 제1 샤프트(6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베이스(610)의 일측에는 제1 플렌지(611)가 배치되고, 제1 플렌지(611)는 니들 조립체(100)의 회전에 의해서 니들 조립체(100)의 노브(101)와 접촉될 수 있다.
제1 샤프트(620)는 단부가 제어 모듈(16)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제1 신호 라인(SL1)은 제어 모듈(16)과 컨택될 수 있다. 제1 샤프트(620)는 약액 주입 장치(10)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베이스(610)가 제1 샤프트(62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1A 단(630)의 가력부(631)는 커플러(510)의 단부(511)를 가력하여 클러치 유닛(5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610)가 제1 샤프트(62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1B 단(640)은 구동 모듈(300)의 일부를 가력하고, 구동 모듈(300)의 구동을 개시시킬 수 있다.
상세히, 도 4에서 사용자가 니들 조립체(100)를 회전시키면, 니들 조립체(100)의 노브가 제1 회전 부재(600)의 단부를 가력하여, 제1 회전 부재(600)의 회동이 개시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600)가 회전하면, 제1 회전 부재(600)의 제1A 단(630)은 커플러(510)의 단부를 가력하고, 커플러(510)는 연결 부재(520)와 결합되어 클러치 유닛(500)이 활성화 된다.
제1 회전 부재(600)는 제1 안테나 패턴(AP1)을 가질 수 있다. 제1 안테나 패턴(AP1)은 제1 회전 부재(600)의 내부에 매립되거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패턴(AP1)은 외부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회로 기판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패턴(AP1)은 외부의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제1 신호 라인(SL1)을 통해 신호를 제어 모듈(16)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패턴(AP1)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 패턴(AP1)은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하여 패턴화된 신호 라인과 그라운드 라인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안테나 패턴(AP1)이 제1 베이스(610)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회전 부재(600)에서 외부 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제1 신호 라인(SL1)은 제1 안테나 패턴(AP1)과 제어 모듈(16)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신호 라인(SL1)의 일부는 제1 안테나 패턴(AP1)과 연결되며, 다른 일부는 제1 샤프트(620)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신호 라인(SL1)의 다른 일부는 제1 샤프트(620)의 중심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니들 커버 조립체(700)는 니들 조립체(100)의 아래에 장착될 수 있다. 니들 커버 조립체(700)는 약액을 주입하기 전에 레저버 유닛(200)에 저장된 에어를 프라이밍(Priming) 할 수 있다. 약액이 레저버(210)에 주입 시에 레저버(210)에 잔류된 기체(공기)는 니들 커버 조립체(70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니들 커버 조립체(700)는 제1 커버(710), 제2 커버(720), 필터 부재(미도시) 및 접착층(740)을 가질 수 있다.
제1 커버(710)는 약액 주입 장치(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710)의 개구에는 제2 커버(720)가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제1 커버(710)의 일측에는 제2 바디(14)에 삽입되어 니들 커버 조립체(700)를 고정하는 삽입 돌기(711)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720)는 제1 커버(710)에 조립되며, 중앙에 니들(N) 및/또는 캐뉼러가 정렬될 수 있다. 제2 커버(720)는 중앙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되며, 약액(D)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2 커버(720)의 중앙에는 제3 바디(15)에 삽입되는 돌출부(721)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 부재(미도시)는 제2 커버(720)에 장착된다. 필터 부재는 제2 커버(720)의 저장공간의 아래에 배치되며, 공기 등의 기체는 필터 부재를 통과하나, 약액과 같은 액체는 필터 부재를 통과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니들(N)에서 토출된 공기는 필터 부재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나, 니들에서 토출된 약액은 제2 커버(720)와 필터 부재로 정의되는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필터 부재는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약액의 양에 따라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공간에 약액이 채워지면, 필터 부재가 아래 방향으로 팽창하여, 사용자가 니들 커버 조립체(700)에 약액이 유입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접착층(740)은 니들 커버 조립체(700)의 일면에 배치되며, 부착부(12)에 니들 커버 조립체(7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알람 유닛(800)은 약액 주입 장치(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며, 약액 주입 장치(10)의 정상작동이나 오작동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예로, 알람 유닛(800)은 하우징(11)의 아래에 배치되며,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알람 유닛(800)은 경고음을 생성하거나, 빛을 생성하여, 외부 사용자에게 알람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2는 도 3의 약액 주입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제2 회전 부재의 배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2 회전 부재(900)에 의해서 구동 휠(420)이 구동 될 수 있다. 구동 모듈(300)의 커넥터(310)는 제2 회전 부재(900)에 연결되고, 커넥터(310)로 전달되는 구동력은 제2 회전 부재(90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제2 회전 부재(900)는 구동 모듈(300)에서 구동력을 전달 받아, 제1 암(A1)과 제2 암(A2)이 교번하여 구동 휠(420)을 가력할 수 있다.
구동 휠(420)은 제1 연결단(421)과 제2 연결단(422)을 가지며, 내부에는 로드(41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연결단(421) 및 제2 연결단(422)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회전 부재(900)에 의해서 구동 모듈(300)과 항상 구동적으로 연결되므로, 구동 모듈(300)의 구동으로 구동 휠(420)이 회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연결단(421)과 제2 연결단(422)은 기어 티스 형상을 질 수 있다. 구동 모듈(300)과 연결되는 제2 회전 부재(900)가 기어 티스를 가력하여 구동 휠(420)이 회전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2 회전 부재(900)는 커넥터(310)의 선형 왕복운동에 따라 제2 축(AX2)을 기준으로 반복적으로 회동한다. 제2 회전 부재(900)의 단부는 제1 연결단(421) 및 제2 연결단(422) 중 적어도 하나를 가력하여, 구동 휠(4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회전 부재(900)의 제1 암(A1)은 제1 연결단(421)을 가력하도록 배치되고, 제2 회전 부재(900)의 제2 암(A2)은 제2 연결단(422)을 가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 부재(900)가 제2 축(AX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제1 컨택 센서(CS1)와 제2 컨택 센서(CS2)는 접촉여부를 통해서 제2 회전 부재(900)의 구동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컨택 센서(CS1)와 제2 컨택 센서(CS2)는 제2 회전 부재(900)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구동 모듈(300)의 구동력이 구동 휠(420)로 전달되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컨택 센서(CS1)와 제2 컨택 센서(CS2)에서 접촉된 횟수가 카운팅되면, 컨트롤러는 구동 휠(420)의 회전량이 산출되며, 구동 휠(420)의 회전량을 기초로 플런저(230)의 이동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회전 부재(900)는 제2 베이스(910), 제2 샤프트(920) 및 제2 단(930)을 가질 수 있다. 제2 회전 부재(900)는 제2 안테나 패턴(AP2)과 연결되어, 제2 안테나 패턴(AP2)에서 회로 기판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신호 라인(SL2)이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제2 베이스(910)는 제2 샤프트(920)에 연결되며, 제2 안테나 패턴(AP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910)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고, 끝단에 제2 단(930)이 배치되고, 제2 베이스(910)가 제2 축(AX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2 단(930)이 제1 컨택 센서(CS1)와 제2 컨택 센서(CS2)를 교번하게 접촉할 수 있다.
제2 샤프트(920)는 단부가 제어 모듈(16)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제2 신호 라인(SL2)은 제어 모듈(16)과 컨택될 수 있다. 제2 샤프트(920)는 제2 축(AX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회전 부재(900)는 제2 안테나 패턴(AP2)을 가질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AP2)은 제2 회전 부재(900)의 내부에 매립되거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AP2)은 외부의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제2 신호 라인(SL2)을 통해 신호를 제어 모듈(16)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AP2)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안테나 패턴(AP2)은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하여 패턴화된 신호 라인과 그라운드 라인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안테나 패턴(AP2)이 제2 베이스(910)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회전 부재(900)에서 외부 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제2 신호 라인(SL2)은 제2 안테나 패턴(AP2)과 제어 모듈(16)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신호 라인(SL2)의 일부는 제2 안테나 패턴(AP2)과 연결되며, 다른 일부는 제2 샤프트(920)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신호 라인(SL2)의 다른 일부는 제2 샤프트(920)의 중심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0) 및 약액 주입 시스템(1)은 안테나 패턴이 회전 부재에 배치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제1 회전 부재(600) 및 제2 회전 부재(90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는 제1 회전 부재(600)에 배치된 제1 안테나 패턴(AP1)만 가질 수 있으며, 제1 안테나 패턴(AP1)을 통해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는 제2 회전 부재(900)에 배치된 제2 안테나 패턴(AP2)만 가질 수 있으며, 제2 안테나 패턴(AP2)을 통해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약액 주입 장치(10)는 제1 회전 부재(600) 및 제2 회전 부재(900)에 모두 안테나 패턴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안테나 패턴(AP1)을 통해서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2 안테나 패턴(AP2)을 통해서 송수신하는 신호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외부 장치와 송신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종류나 파장 대역에 따라 약액 주입 장치(10)는 각각 서로 다른 안테나 패턴을 통해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0) 및 약액 주입 시스템(1)은 신호 전달 효율이 높으며,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안테나 패턴을 가지어, 외부의 장치와 효과적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회전 부재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을 가지고, 안테나 패턴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20), 컨트롤러(30), 생체 정보 센서(40) 중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10)는 안테나 패턴을 가지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가지지 않고, 약액 주입 장치(10)의 구동을 위한 회전 부재에 배치되어, 약액 주입 장치(10)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이 배치된 회전 부재는 회로 기판인 제어 모듈에서 이격되게 배치되어 신호 방사 방향에 대한 구속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이 배치된 회전 부재는 약액 주입 장치(10)가 부착되는 사용자에서 이격되므로, 신호의 전달 효율이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약액 주입 시스템
10: 약액 주입 장치
100: 니들 조립체
200: 레저버 유닛
300: 구동 모듈
400: 구동 유닛
600: 제1 회전 부재
700: 니들 커버 조립체
800: 알람 유닛
900: 제2 회전 부재

Claims (10)

  1.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장착되며, 내부에 플런저가 배치되는 레저버;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구동 휠;
    상기 로드와 상기 구동 휠의 사이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로드와 상기 구동 휠을 커플링시키는 커플러; 및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안테나 패턴을 가지며, 회전시에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상기 커플러를 가력하거나 상기 구동 휠을 가력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약액 주입 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이 배치되는 바디부;를 구비하는, 약액 주입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안테나 패턴과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패턴에서 회로 기판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라인이 내부에 매립되는, 약액 주입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신호 라인이 상기 회전 부재의 샤프트를 따라 연장되는, 약액 주입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커플러를 가력하고, 상기 커플러가 상기 로드와 상기 구동 휠을 연결시키는, 약액 주입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구동 모듈에서 구동력을 전달 받아, 제1 암과 제2 암이 교번하여 상기 구동 휠을 가력하는, 약액 주입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외부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회로기판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약액 주입 장치.
  8. 사용자에게 부착되어, 약물을 전달하는 약액 주입 장치; 및
    상기 약액 주입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약액 주입 장치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장착되며, 내부에 플런저가 배치되는 레저버;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구동 휠;
    상기 로드와 상기 구동 휠의 사이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로드와 상기 구동 휠을 커플링시키는 커플러; 및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안테나 패턴을 가지며, 회전시에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상기 커플러를 가력하거나 상기 구동 휠을 가력하는 회전 부재;를 가지는, 약액 주입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커플러를 가력하고, 상기 커플러가 상기 로드와 상기 구동 휠을 연결시키는, 약액 주입 시스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주입 장치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구동 모듈에서 구동력을 전달 받아, 제1 암과 제2 암이 교번하여 상기 구동 휠을 가력하는, 약액 주입 시스템.
KR1020210182918A 2021-12-20 2021-12-20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시스템 KR20230093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918A KR20230093912A (ko) 2021-12-20 2021-12-20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918A KR20230093912A (ko) 2021-12-20 2021-12-20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912A true KR20230093912A (ko) 2023-06-27

Family

ID=8694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918A KR20230093912A (ko) 2021-12-20 2021-12-20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39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17554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093912A (ko)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시스템
KR102528584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662719B1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564963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515616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515617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662715B1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619176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669673B1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515615B1 (ko) 약액 주입 장치
US20230211081A1 (en) Liquid medicine injection device, drug inj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maining amount of drug thereof
KR102674250B1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05632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05625A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548189B1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05630A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463878B1 (ko)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20240058506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027661A (ko)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05614A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20240097296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007269A (ko) 약물 주입 장치 및 그의 약물 잔량을 결정하는 방법
KR20220036799A (ko)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