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117A - Roof attached type solar panel fixung device - Google Patents

Roof attached type solar panel fixu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117A
KR20230092117A KR1020210181175A KR20210181175A KR20230092117A KR 20230092117 A KR20230092117 A KR 20230092117A KR 1020210181175 A KR1020210181175 A KR 1020210181175A KR 20210181175 A KR20210181175 A KR 20210181175A KR 20230092117 A KR20230092117 A KR 20230092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clearance hole
solar panel
roof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티
Priority to KR1020210181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2117A/en
Publication of KR2023009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1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설치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상부에 제1슬라이더 트랙이 형성된 세로빔, 세로빔들 사이 위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부에 제2슬라이더 트랙이 형성된 가로빔, 세로빔과 가로빔 사이에 설치되고 상부에 가로빔이 끼워져 결합되는 받침홈이 형성되고 하부 양쪽에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 클램프, 세로빔과 클램프의 하부 양쪽에 고정되고 세로빔의 상면에 밀착 결합되고 중앙 부분에 제1클리어런스 홀이 뚫린 외수평부와 클램프의 측면에 밀착 결합되는 수직부 및 고정홈 내의 바닥면에 밀착 결합되는 내수평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1브래킷, 가로빔에 고정되고 중앙 부분에 제1클리어런스 홀이 뚫린 수평부 및 수평부의 적어도 한쪽에 가로빔의 상면에 올려놓이는 솔라 패널의 테두리에 밀착 결합되는 후크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2브래킷을 포함하는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를 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vertical beam fix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having a first slider track formed thereon, a horizontal beam installed across the top between the vertical beams and having a second slider track formed thereon, and between the vertical beams and the horizontal beams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and has a support groove formed on the upper part where the horizontal beam is inserted and coupled, and a clamp having fixing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fixed to both sides of the vertical beam and the lower part of the clamp, close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beam, and the first clearance in the central part The outer horizontal part with a hole, the vertical part tight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clamp, and the inner horizontal part tight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in the fixing groove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bracket, fixed to the horizontal beam and with the first clearance hole drilled in the central part. Disclosed is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including a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bracket integrally formed with a hook portion closely coupled to an edge of a solar panel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a horizontal beam on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portions.

Description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ROOF ATTACHED TYPE SOLAR PANEL FIXUNG DEVICE}Roof attached solar panel fixing device {ROOF ATTACHED TYPE SOLAR PANEL FIXUNG DEVICE}

본 발명은 비스듬한 지붕 위에 솔라 패널을 튼튼하게 부착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솔라 패널의 설치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솔라 패널을 받쳐주는 가로빔의 수평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맞추어 건물의 옥상 경사면이나 지붕면에 균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device for firmly attaching a solar panel on a slanted roof, and more particularly, can firmly and stably maintain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olar panel, and conveniently level the horizontal beam supporting the solar panel. It relates to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ture that can be easily fitted and balanced on the roof slope or roof surface of a building.

오늘날 태양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의 복사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태양열 발전과 달리 반도체 혹은 염료, 고분자 등의 물질로 이루어진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햇빛을 받아 바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므로 미래의 성장산업에 가장 부합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Today's solar cell/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directly converts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es a solar cell made of materials such as semiconductors, dyes, or polymers to receive sunlight, unlike solar power generation that converts radiant energy from the sun into thermal energy Since it generates electric energy right away,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most suitable technology for future growth industries.

이러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수십 매의 태양전지 셀(solar cell)을 일정한 틀에 고정한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solar panel)을 직렬, 병렬로 조합하여 패널 형태로 만든 태양전지 어레이(solar array), 인버터, 태양전지 어레이를 지붕이나 지상에 설치 및 고정하는 구조물 등으로 구성된다.This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consists of a solar array, an inverter, and , It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installs and fixes a solar cell array on a roof or on the ground.

한편, 태양전지 어레이는 강풍이나 지진 등에 의해 진동 및 기계적인 하중을 받을 경우 변형 및 피로가 일어나며, 태양전지를 연결하는 구리선 등의 소재는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어 장수명화를 위해서는 이를 지지하는 구조물에 대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olar cell array is subjected to vibration and mechanical loads caused by strong winds or earthquakes, deformation and fatigue occur, and materials such as copper wires connecting the solar cells are likely to be easily damaged. It is important to keep it stable and stable.

그런데 종래의 태양전지 어레이용 구조물은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관리가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각 부품들 간의 결합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설치 및 해체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olar cell array structure is not easy to manage because it is composed of a number of parts, and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parts is quite complicated, so it takes a long time to install and dismantle.

특히 건물의 옥상이나 경사 지붕면에 설치 시 설치면의 레벨 차이에 의해 태양전지 어레이의 수평도가 쉽게 틀어질 뿐만 아니라 설치 후 설치면이 부분적으로 내려앉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수평 조절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installing on a rooftop or sloped roof surface of a building, the horizontality of the solar cell array is easily distorted due to the difference in level of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if the installation surface partially sinks after installation,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o level it. There is a problem with this cost.

이에 따라 태양전지 어레이를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 경사면에 시공 시 설치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향상시켜 공기를 단축하고, 아울러 장기간 사용되는 태양광 어레이의 자중과 다양한 풍압 및 돌풍, 적설 하중과 지진 등을 고려하여 지지력과 내구성 및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 관련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when constructing the solar cell array on the roof or roof slope of a building,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he installation work is improved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self-weight of the solar array used for a long time, various wind pressure and gusts, snow load and earthquake, etc. In consideration of this, it is required to develop technologies related to roof-mounted solar panel fixtures to ensure bearing capacity, durability, and safety.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background art or prior art described above herein is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present inventor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only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technical signific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ology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t should be noted that it does not mean widely known technologies in the field.

KRKR 10-121823710-1218237 B1(2012.12.27)B1(2012.12.27) KRKR 10-137019910-1370199 B1(2014.02.26)B1(2014.02.26) KRKR 10-144481810-1444818 B1(2014.09.19)B1(2014.09.19) KRKR 20-2021-000096320-2021-0000963 U(2021.05.07)U(2021.05.07) KRKR 10-219248010-2192480 B1(2020.12.11)B1(2020.12.11) KRKR 10-209968910-2099689 B1(2020.04.06)B1(2020.04.06) KRKR 10-208386010-2083860 B1(2020.02.26)B1(2020.02.26)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솔라 패널 고정장치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솔라 패널의 설치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지지력과 내구성 및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고, 아울러 솔라 패널을 받쳐주는 가로빔의 수평, 즉 길이 방향의 기울기(고저의 차)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맞추어 건물의 옥상 경사면이나 지붕면에 설치 시 작업성과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solve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solar panel fixing device technology, maintain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olar panel firmly and stably, thereby providing bearing capacity, durability and safe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hance workability and convenience when installing on the roof slope or roof surface of a building by simply and easily adjusting the horizontal, that is, the inclination (height difference) of the horizontal beam supporting the solar pan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develop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of a new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as a result of continuous research with painstaking efforts.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솔라 패널의 설치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that can firmly and stably maintain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olar pane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솔라 패널의 수평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that can simply and easily level the solar panel.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are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ose who have it will be able to clearly understan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고정되고, 상부에 제1슬라이더 트랙이 형성된 세로빔, 상기 세로빔들 사이 위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부에 제2슬라이더 트랙이 형성된 가로빔, 상기 세로빔과 상기 가로빔 사이에 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가로빔이 끼워져 결합되는 받침홈이 형성되고, 하부 양쪽에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 클램프, 상기 세로빔과 상기 클램프의 하부 양쪽에 고정되고, 상기 세로빔의 상면에 밀착 결합되고 중앙 부분에 제1클리어런스 홀이 뚫린 외수평지지부와, 상기 클램프의 측면에 밀착 결합되는 수직지지부 및 상기 고정홈 내의 바닥면에 밀착 결합되는 내수평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의 제1클리어런스 홀을 통해 상기 세로빔의 제1슬라이더 트랙 내로 삽입되는 제1관통볼트, 상기 세로빔의 제1슬라이더 트랙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관통볼트와 체결되는 제1너트, 상기 가로빔에 고정되고, 중앙 부분에 제1클리어런스 홀이 뚫린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가로빔의 상면에 올려놓이는 솔라 패널의 테두리에 밀착 결합되는 후크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2브래킷, 상기 제2브래킷의 제2클리어런스 홀을 통해 상기 가로빔의 제2슬라이더 트랙 내로 삽입되는 제2관통볼트, 상기 가로빔의 제2슬라이더 트랙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2관통볼트와 체결되는 제2너트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를 제시한다.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ffectively achieving a specific technical purpose while embodying a new idea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specific distance on the roof or roof surface of a building A plurality of fixed, vertical beams with a first slider track formed on the upper part, installed across the top between the vertical beams, and a horizontal beam with a second slider track formed on the upper part,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beams and the horizontal beams, , A clamp in which a support groove into which the horizontal beam is fitted and coupled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and fix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the vertical beam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lamp are fixed to both sides, and are close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beam, and the center portion A first bracket integrally formed with an outer horizontal support portion having a first clearance hole, a vertical support portion close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lamp, and an internal horizontal support portion close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in the fixing groove; 1 A first through bolt inserted into the first slider track of the vertical beam through a clearance hole, a first nut inserted into the first slider track of the vertical beam and fastened with the first through bolt, fixed to the horizontal beam a second bracket integrally formed with a horizontal portion having a first clearance hole in the central portion and a hook portion closely coupled to the rim of the solar panel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eam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A second through bolt inserted into the second slider track of the transverse beam through the second clearance hole, a second nut inserted into the second slider track of the transverse beam, and fastened with the second through bolt. Suggests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ture characterized in that.

이로써 본 발명은 솔라 패널의 설치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지지력과 내구성 및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olar panel firmly and stably, thereby enhancing bearing capacity, durability and safet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클램프는, 하단의 상면 중앙 부분에 상하로 통하는 제3클리어런스 홀이 뚫리고, 그 제3클리어런스 홀의 하면 주위에 홀더홈이 형성된 승강부, 상기 홀더홈 내에 삽입 고정된 제3너트, 상기 승강부와 상하로 나뉘어 밑면이 상기 세로빔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면 중앙 부분에 상기 제3클리어런스 홀과 통하는 제4클리어런스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4클리어런스 홀의 하단에 앞뒤 방향으로 돌출구멍이 뚫린 지지부, 상기 제4클리어런스 홀과 상기 제3클리어런스 홀을 통해 상기 제3너트와 체결되어 회전 조작에 따라 제자리에서 돌면서 상기 지지부가 제자리를 유지하는 반작용으로 상기 승강부와 상기 제3너트를 동시에 승강시키고, 하면이 볼록한 둥근 모양의 라운드 헤드가 상기 돌출구멍으로 돌출된 조절나사, 상기 지지부의 상기 라운드 헤드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조절나사의 원활하고 수월한 회전 조작을 위해 그 라운드 헤드와 대응되는 모양으로 오목하게 패인 회전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가로빔의 수평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이로 인해 솔라 패널을 수평 상태로 설치하기 위한 작업성과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 has a third clearance hole that runs vertically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and a lifting part with a holder groove formed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clearance hole, the holder groove A third nut inserted and fixed inside, divided up and down with the lifting part, the bottom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beam, a fourth clearanc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clearance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fourth clearance hole A support portion having a protruding ho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t the lower end, the fourth clearance hole and the third clearance hole are engaged with the third nut, and the support portion maintains its position while rotating in plac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lifting portion. and the third nut are simultaneously lifted, and an adjustment screw having a round head with a convex lower surface protrudes into the protruding hole, for smooth and easy rotation of the adjustment screw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ound head of the support part. By further comprising a concave rotation groov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und head, the horizontal beam can be leveled simply and easily,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convenience for installing the solar panel in a horizontal state.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가로빔의 하부 양쪽에 변형유도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홈의 양쪽 측벽은 상기 가로빔이 끼워져 결합될 때 상기 변형유도홈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가운데 부분이 서로 마주하는 안쪽으로 휘어진 모양의 플렉스 포인트가 형성되며, 상기 라운드 헤드와 상기 회전홈의 사이에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라운드 헤드의 테두리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널링이 형성됨으로써 수평을 맞추기 위한 조절나사의 회전 조작이 한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ormation guid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ross beam, and both side walls of the supporting groove ar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deformation guiding groove when the cross beam is fitted and coupled. A flex point bent inward is formed so that the middle part faces each other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firmly adhered to each other, and a pad is attached between the round head and the rotation groove to smoothly rotate, and a pad is attached to the rim of the round head Since the knurling for preventing slipping is formed, rotation of the adjustment screw for leveling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조절나사의 스레드 상면에 드라이버로 돌릴 수 있도록 형성된 공구홈, 상기 조절나사의 공구홈에 끝부분이 각각 끼워진 채로 상기 승강부에 탑재되고 전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조절나사를 조이거나 푸는 전동 드라이버, 수평면에 대한 상기 가로빔의 한쪽 끝부분 경사 및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1클리노미터, 수평면에 대한 상기 가로빔의 다른 쪽 끝부분 경사 및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2클리노미터 및 상기 제1 및 제2클리노미터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전동 드라이버들의 조임 및 풀림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가로빔의 한쪽 끝부분과 다른 쪽 끝부분 높낮이와 경사도를 일치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가로빔의 높낮이 및 경사도(수평)를 자동으로 더욱 정밀하면서 신속하게 맞출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ol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read of the adjusting screw to be turned with a screwdriver, and an end portion of the adjusting screw being mounted on the elevating unit while being fitted into the tool groove, respectively, and An electric screwdriver for tightening or loosening the adjusting screw while rotating by driving force, a first clinometer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and inclination of one end of the horizontal beam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inclination and inclination of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eam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 second clinometer for measur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ightening and loosening operations of the electric drivers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clinometers to match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ross beam By being configured to includ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height and inclination (horizontal) of the horizontal beam more accurately and quickly.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태양전지 어레이를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 경사면에 설치 시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향상시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 어레이의 자중과 다양한 풍압 및 돌풍, 적설 하중과 지진 등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고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력과 내구성 및 안전성을 강화하여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a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which a unique solution is based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work are improved when installing a solar cell array on the roof or roof slope of a building. Not only can the construction period be shortened, but also the weight of the photovoltaic array, various wind pressure and gusts, resistance to snow loads and earthquakes, etc. can be increased, and the bearing capacity, durability and safety to maintain stability can be strengthened to maintain a solid installation state.

또한, 솔라 패널을 받쳐주는 가로빔의 수평 및 길이 방향의 균형(기울기)을 작업자 혼자서도 적은 힘으로 손쉽고 간단하게 맞출 수 있어 건물의 옥상 경사면이나 불균일한 지붕면에 설치 시 작업성과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imply adjust the horizontal and longitudinal balance (inclination) of the horizontal and longitudinal beams supporting the solar panel by a single worker with little force, improving workability and convenience when installing on a roof slope or uneven roof surface of a building. there is.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 중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 중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 중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 중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 중 가로빔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 중 조절나사와 제3너트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local portion of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local portion of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local portion of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local area to help understand the operating state of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Fig.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local portion of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a horizontal beam of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djusting screw and a third nut in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pecifies that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anings commonly used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될 수 있고, 그 도면상의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simplified in part for explan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convenience and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it is not that each component on the drawing exactly matches the actual size and shape. reveal that it is not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 / or is meant to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described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described, and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is particularly the opposite description. As long as there is no ,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included more than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That is, terms such as 'include', 'include', or 'hav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ean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operating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top, bottom,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re used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the relativ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an upper part in the drawing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an upper part, a lower part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a lower part, a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a front-back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a left-right direc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at i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ly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세로빔(10), 가로빔(20), 클램프(30), 제1브래킷(40) 및 제2브래킷(50)을 포함하고 있다.1 to 3, the main elements constituting the roof-attach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vertical beam 10, a horizontal beam 20, a clamp 30, a first It includes a bracket 40 and a second bracket 50.

세로빔(10)은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면 등 설치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결피스 등으로 고정하기 위해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그 횡단면이 마치 내부가 빈 공동(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vertical beam 10 has a certain length to be fixed with a direct piec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stallation surface such as the roof or roof surface of a building, and its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ipe with an empty cavity (hollow) inside there is.

그리고 세로빔(10)의 상부에는 클램프(30)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고, 제1관통볼트(B1)의 나사부를 관통시키며 제1너트(N1)의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슬라이더 트랙(1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first slider track for adjusting the fixing position of the clamp 30 on the top of the vertical beam 10, penetrating the threaded portion of the first through bolt B1, and preventing the rotation and separation of the first nut N1. (11)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제1슬라이더 트랙(11)은 제1관통볼트(B1)와 제1너트(N1)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면서 제1관통볼트(B1)와 제1너트(N1)의 조임으로 세로빔(10) 위에 클램프(30)의 고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first slider track 11 guide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irst through bolt B1 and the first nut N1 and tightens the first through bolt B1 and the first nut N1 to form a vertical beam ( 10) is formed so that the fixing position of the clamp 30 can be adjusted.

여기서 제1관통볼트(B1)는 제1브래킷(40)의 제1클리어런스 홀(42)을 통해 세로빔(10)의 제1슬라이더 트랙(11)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제1너트(N1)는 세로빔(10)의 제1슬라이더 트랙(11) 내에 삽입된 채로 제1관통볼트(B1)와 체결될 수 있다.Here, the first through bolt B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lider track 11 of the vertical beam 10 through the first clearance hole 42 of the first bracket 40, and the first nut N1 Can be fastened with the first through bolt (B1)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slider track 11 of the vertical beam (10).

한편, 세로빔(10)은 휨 강성 및 강도를 보장하여 구조적 변형을 방지하고, 하중에 대한 저항성 확보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알루미늄 합금제, 아연도 강판 등으로 홈이 파인 채널 바(channel bar)와 같은 소정의 단면 형상으로 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beam 10 is made of aluminum alloy, galvanized steel sheet, etc. to have a thickness that prevents structural deformation by guaranteeing bending rigidity and strength, and secures resistance to load. It can be extruded and molded into the same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가로빔(20)은 세로빔(10)들 사이 위로 가로질러 클램프(30)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The transverse beams 20 are installed by clamps 30 across upward between the vertical beams 10 .

그리고 가로빔(20)의 상부에는 솔라 패널(P)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고, 제2관통볼트(B2)의 나사부를 관통시키며 제2너트(N2)의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슬라이더 트랙(2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And, on the top of the horizontal beam 20, a second slider for adjusting the fixing position of the solar panel P, penetrating the threaded portion of the second through bolt B2, and preventing the rotation and separation of the second nut N2. A track 21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제2슬라이더 트랙(21)은 제2관통볼트(B2)와 제2너트(N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면서 제2관통볼트(B2)와 제2너트(N2)의 조임으로 가로빔(20) 위에 솔라 패널(P)의 고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second slider track 21 guide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econd through bolt B2 and the second nut N2 and tightens the second through bolt B2 and the second nut N2 to cross the beam ( 20) It is formed so that the fixing position of the solar panel P can be adjusted.

또한, 가로빔(20)의 하부 양쪽에는 클램프(30)와 결합을 위한 변형유도홈(22)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deformation guide grooves 22 for coupling with the clamp 3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verse beam 20 .

한편, 가로빔(20)은 휨 강성 및 강도를 보장하여 구조적 변형을 방지하고, 하중에 대한 저항성 확보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알루미늄 합금제, 아연도 강판 등으로 홈이 파인 채널 바(channel bar)와 같은 소정의 단면 형상으로 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ross beam 20 is a channel bar with grooves made of aluminum alloy, galvanized steel, etc. to have a thickness that prevents structural deformation by guaranteeing bending rigidity and strength, and secures resistance to load. It can be extruded and molded into the same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클램프(30)는 세로빔(10)과 가로빔(2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가로빔(20)이 끼워져 결합되는 받침홈(3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양쪽에는 제1브래킷(40)으로 고정하기 위해 횡단면상의 측방향 입구가 좁은 고정홈(32)이 형성되어 있다.The clamp 30 is installed to connect between the vertical beam 10 and the horizontal beam 20, and a support groove 31 into which the horizontal beam 20 is fitted and coupled is formed at the upper part, an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In order to fix with one bracket 40, a fixing groove 32 with a narrow lateral entrance on the cross section is formed.

그리고 받침홈(31)의 양쪽 측벽에는 서로 마주하는 가운데 부분이 안쪽으로 휘어진 모양의 플렉스 포인트(31b)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 both side walls of the support groove 31, flex points 31b are formed in which the middle portions facing each other are bent inward.

즉, 플렉스 포인트(31b)는 가로빔(20)이 끼워져 결합될 때 변형유도홈(22)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작용한다.That is, the flex point 31b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deformation guiding groove 22 when the transverse beam 20 is inserted and coupled to act so as to be tightly adhered to.

제1브래킷(40)은 클램프(30)의 하부를 제1관통볼트(B1)와 제1너트(N1)의 조임으로 세로빔(10) 위에 직립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세로빔(10)과 클램프(30)의 하부 양쪽에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bracket 40 is a vertical beam 10 and a clamp to fix the lower portion of the clamp 30 in an upright state on the vertical beam 10 by tightening the first through bolt (B1) and the first nut (N1). It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30).

그리고 제1브래킷(40)은 클램프(30)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세로빔(10)의 상면에 밀착 결합되는 외수평지지부(41)와, 클램프(30)의 하부 측면에 밀착 결합되는 수직지지부(43) 및 클램프(30)의 고정홈(32) 내 바닥면에 끝부분이 밀착 결합되는 절곡형 내수평지지부(4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racket 40 is tightly coupled to the outer horizontal support 41 and the lower side of the clamp 30 close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beam 10 to stabl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clamp 30 The vertical support part 43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32 of the clamp 30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bent inner horizontal support part 44, the end of which is tightly coupled.

아울러 외수평지지부(41)의 중앙 부분에는 제1관통볼트(B1)의 나사부가 관통하도록 제1클리어런스 홀(42)이 뚫려 있다.In addition, a first clearance hole 42 is drill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external horizontal support portion 41 so that the threaded portion of the first through bolt B1 passes through.

즉, 제1브래킷(40)의 외수평지지부(41)를 제1관통볼트(B1)와 제1너트(N1)의 조임으로 세로빔(10) 위에 고정함으로써 수직지지부(43)가 클램프(30)의 하부 측면을 직립 상태로 지지하고, 내수평지지부(44)가 클램프(30)의 고정홈(32) 내 중심부 바닥면을 강하게 눌러서 지지하는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at is, by fixing the external horizontal support part 41 of the first bracket 40 on the vertical beam 10 by tightening the first through bolt B1 and the first nut N1, the vertical support part 43 is clamped 30 It is possible to firmly and stably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 is supported in an upright state and the inner horizontal support 44 strongly presses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er in the fixing groove 32 of the clamp 30.

제2브래킷(50)은 솔라 패널(P)의 테두리를 제2관통볼트(B2)와 제2너트(N2)의 조임으로 가로빔(20) 위에 고정하기 위해 가로빔(2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bracket 50 is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 beam 20 in order to fix the edge of the solar panel P on the horizontal beam 20 by tightening the second through bolt B2 and the second nut N2. placed and placed.

그리고 제2브래킷(50)은 솔라 패널(P)의 테두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수평부(51) 및 후크부(53)를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racket 50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51 and a hook portion 53 to stably support the edge of the solar panel P.

즉, 제2브래킷(50)은 지진 진동이나 강풍에 의해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가로빔(20)의 상면과 마주하는 수평부(51)의 중앙 부분에는 제2관통볼트(B2)의 나사부가 관통하는 제2클리어런스 홀(52)이 뚫려 있고, 아울러 수평부(51)의 적어도 한쪽에는 가로빔(20)의 상면에 올려놓는 솔라 패널(P)의 테두리에 밀착 결합되는 후크부(5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threaded part of the second through-bolt (B2) passe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51)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eam (20) so that the second bracket (50) is not shaken or separated by earthquake vibration or strong wind. In addition, at least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51 has a hook portion 53 closely coupled to the edge of the solar panel P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eam 20. is formed with

또한, 후크부(53)의 솔라 패널(P)의 테두리 상면에 밀착되는 면에는 마찰력을 강화하여 흔들림과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ok part 53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of the solar panel P to prevent shaking and sliding by enhancing frictional force.

여기서 제2관통볼트(B2)는 제2브래킷(50)의 제2클리어런스 홀(52)을 통해 가로빔(20)의 제2슬라이더 트랙(21)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제2너트(N2)는 가로빔(20)의 제2슬라이더 트랙(21) 내에 삽입된 채로 제2관통볼트(B2)와 체결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through bolt B2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lider track 21 of the horizontal beam 20 through the second clearance hole 52 of the second bracket 50, and the second nut N2 Can be fastened with the second through bolt (B2)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slider track 21 of the horizontal beam (20).

아울러 수평부(51)의 양쪽에 후크부(53)가 대칭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제2브래킷(50)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솔라 패널(P)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ok parts 53 are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art 51, two adjacent solar panels P can be simultaneously fixed with one second bracket 5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는 태양전지 어레이를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 경사면에 설치 시 여러 장의 솔라 패널(P)을 수평 상태 및 균형적으로 이어서 배치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roof-attach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arrange several solar panels P in a horizontal state and balance when the solar cell array is installed on the roof or roof slope of a building. I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work and shorten the required time.

또한, 태양광 어레이의 자중과 다양한 풍압 및 돌풍, 적설 하중과 지진 등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고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력과 내구성 및 안전성을 강화하여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olid installation state by increasing resistance to self-weight, various wind pressure and gusts, snow loads and earthquakes of the photovoltaic array, and strengthening bearing capacity, durability and safety for maintaining stability.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세로빔(10), 가로빔(20), 클램프(30), 제1브래킷(40) 및 제2브래킷(50)을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4 to 6, the main elements constituting the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vertical beams 10, horizontal beams 20, clamps 30, It includes a first bracket (40) and a second bracket (50).

이 중에서 클램프(30)는 솔라 패널(P)의 수평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맞추기 위해 승강부(33)와 지지부(36)가 상하로 나누어져 있고, 그 지지부(36)에 대한 승강부(33)의 높낮이를 조절나사(39)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Among them, the clamp 30 has a lifting part 33 and a support part 36 divided up and down in order to simply and easily level the solar panel P, and the lifting part 33 for the support part 36 It is provided so that the height of the adjustment screw 39 can be freely adjusted.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는 클램프(30)의 조절나사(39)를 나사 조임방식으로 좌우로 돌려 솔라 패널(P)의 수평과 경사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That is, in the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l and inclination of the solar panel P can be easily adjusted by turning the adjustment screw 39 of the clamp 30 left and right in a screw-fastening method. .

이를 위해 승강부(33)의 하단의 상면 중앙 부분에는 상하로 통하는 제3클리어런스 홀(34)이 뚫려 있고, 그 제3클리어런스 홀(34)의 하면 주위에는 제3너트(N3)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의 홀더홈(35)이 형성되어 있다.To this end, a third clearance hole 34 is ope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elevation part 3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nut N3 is formed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clearance hole 34. A holder groove 35 having a shape is formed.

즉, 홀더홈(35) 내에는 제3너트(N3)가 회전되지 않게 매입 고정되어 있다.That is, in the holder groove 35, the third nut N3 is embedded and fixed so as not to rotate.

그리고 지지부(36)의 밑면은 세로빔(10)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고, 상면 중앙 부분에는 제3클리어런스 홀(34)과 통하는 제4클리어런스 홀(37)이 뚫려 있으며, 그 제4클리어런스 홀(37)의 하단에는 앞뒤 방향으로 돌출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beam 10, and a fourth clearance hole 37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clearance hole 34 is dri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fourth clearance hole ( 37) has protruding holes 38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또한, 지지부(36)의 하부 중 조절나사(39)의 라운드 헤드(39a)와 접촉되는 면에는 회전홈(36a)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rotation groove 36a is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36 that is in contact with the round head 39a of the adjusting screw 39.

즉, 회전홈(36a)은 조절나사(39)의 원활하고 수월한 회전 조작을 위해 그 라운드 헤드(39a)와 대응되는 모양으로 오목하게 패여 있다.That is, the rotation groove 36a is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und head 39a for smooth and easy rotation of the adjusting screw 39.

그리고 조절나사(39)는 회전 조작에 따라 제자리에서 돌면서 지지부(36)가 제자리를 유지하는 반작용으로 승강부(33)와 제3너트(N3)를 동시에 승강시키기 위해 제4클리어런스 홀(37)과 제3클리어런스 홀(34)을 통해 제3너트(N3)와 체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screw 39 rotates in plac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operation, and the fourth clearance hole 37 and It is fastened with the third nut N3 through the third clearance hole 34 .

또한, 조절나사(39)는 하면이 볼록한 둥근 모양의 라운드 헤드(39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라운드 헤드(39a)는 돌출구멍(38)을 통해 외부로 튀어나와 았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screw 39 is integrally formed with a round head 39a having a convex lower surface, and the ground head 39a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protruding hole 38.

아울러 라운드 헤드(39a)의 테두리에는 손가락으로 회전 조작 시 헛돌거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널링(39b)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knurling 39b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round head 39a to prevent it from spinning or slipping when rotating with a finger.

그리고 라운드 헤드(39a)와 회전홈(36a)의 사이에는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내구성이 있는 나일론, 폴리우레탄 등으로 만들어진 패드(36b)가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a pad 36b made of durable nylon, polyurethane, or the like is attached between the round head 39a and the rotation groove 36a so as to smoothly rotate.

여기서 지지부(36) 중 조절나사(39)의 라운드 헤드(39a)를 장착하기 위한 돌출구멍(38)이 있는 부분은 상부와 하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진 채로 이탈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더브테일 이음(dovetail joint)으로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part with the protruding hole 38 for mounting the round head 39a of the adjusting screw 39 of the support part 36 is a dovetail joint ( dovetail join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는 클램프(30)의 돌출구멍(38)을 통해 외부로 튀어나온 조절나사(39)의 라운드 헤드(39a)를 좌우로 돌리는 간단한 조작으로 여러 장의 솔라 패널(P)을 받쳐주는 가로빔(20)의 수평 및 길이 방향의 균형(기울기)을 맞출 수 있다.The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imple to turn the round head 39a of the adjustment screw 39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protruding hole 38 of the clamp 30 to the left and right. It is possible to balance (tilt) the horizont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beams 20 supporting the plurality of solar panels P by manipulation.

예를 들어, 가로빔(20)이 길이 방향의 한쪽으로 기울어질 경우 그 낮아진 쪽의 조절나사(39)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그 조절나사(39)와 나사 체결된 제3너트(N3)는 홀더홈(35) 내에서 접촉 간섭에 의해 회전되지 않아 조절나사(39)만 회전하게 되고, 아울러 지지부(36)가 세로빔(10) 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3너트(N3)가 상승하면서 승강부(33)를 서서히 상승시켜 수평 상태로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horizontal beam 20 is inclin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lowered adjusting screw 39 is rotated in the loosening direction, the adjusting screw 39 and the third nut screwed (N3 ) is not rotated by contact interference in the holder groove 35, so only the adjusting screw 39 rotates, and since the support 36 is fixed on the vertical beam 10, the third nut N3 rises. It can be adjusted to a horizontal state by gradually raising the lifting part 33 while doing so.

이 과정에서 조절나사(39)의 회전 조작을 멈추면 제3너트(N3)의 나사 체결에 따른 조임력으로 인해 승강부(33)가 지지부(36)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when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adjusting screw 39 is stopped, the lifting part 33 can maintain a state in which it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36 due to the tightening force caused by the screw fastening of the third nut N3. .

이때, 가로빔(20)과 제1브래킷(40)은 승강부(33)가 회전됨 없이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하면이 볼록한 라운드 헤드(39a) 및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홈(36a)이 조절나사(39)의 부드럽고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여 승강부(39)가 자연스럽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절나사(39)를 통해 전달되는 상부 하중을 지지부(36)에 고르게 분산시켜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rizontal beam 20 and the first bracket 40 serve to guide the lifting part 33 to move up and down without being rotated, and the lower surface is convex round head 39a and a rotation groove mad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it ( 36a) induces smooth and smooth rotation of the adjusting screw 39 so that the lifting part 39 can move up and down naturally, and evenly distributes the upper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adjusting screw 39 to the support part 36 so as to achieve stable The installed state can be maintained.

따라서 건물의 옥상 경사면이나 불균일한 지붕면에 여러 장의 솔라 패널(P)을 연결하여 설치 시 안정성은 물론 작업성과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ability and convenience as well as stability during installation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olar panels P to a roof slope or an uneven roof surface of a building.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 among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roof-attach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or similar action and effect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repetitive and specific descriptions thereof are given. omit

한편,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세로빔(10), 가로빔(20), 클램프(30), 제1브래킷(40), 제2브래킷(50), 전동 드라이버(60), 제1클리노미터(71), 제2클리노미터(72) 및 제어부(80)를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7 to 9, the main elements constituting the roof-mount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vertical beams 10, horizontal beams 20, clamps 30 , a first bracket 40, a second bracket 50, an electric screwdriver 60, a first clinometer 71, a second clinometer 72, and a control unit 80.

조절나사(39)의 스레드 상면에는 육각렌치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끼워서 돌릴 수 있도록 공구홈(39c)이 파여 있다.A tool groove 39c is du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read of the adjusting screw 39 so that a tool such as a hexagon wrench or a screwdriver can be inserted and turned.

즉, 조절나사(39)는 조임 및 풀림에 따라 그 스레드의 제3너트(N3)와 나사 체결 위치가 변동되면서 가로빔(20)의 끝부분 높낮이와 경사도를 조절하여 수평 상태로 일치시킬 수 있다.That is, the adjustment screw 39 adjusts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end of the cross beam 20 while the screw fastening position of the third nut N3 of the thread changes according to tightening and loosening to match the horizontal state. .

전동 드라이버(60)는 전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조절나사(39)를 조이거나 푸는 작용을 하기 위해 승강부(33)에 탑재되어 있다.The electric driver 60 is mounted on the elevation part 33 to tighten or loosen the adjusting screw 39 while rotating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즉, 전동 드라이버(60)는 전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드라이버 부분이 조절나사(39)의 공구홈(41)에 끼워진 채로 승강부(33)에 장착되어 있어 제어부(8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전동기가 작동하면 조절나사(39)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That is, the electric screwdriver 60 is mounted on the elevation part 33 while the driver part rotating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is inserted into the tool groove 41 of the adjusting screw 39, and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80 When the motor is running, the adjusting screw (39) can be tightened or loosened.

여기서 전동기는 모터 드라이브와 같이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전동력을 얻으며, 제어부(80)로부터 신호 전류에 의해 시동(구동) 및 운전이 용이하고, 부하에 적합한 기종을 선택하기 쉽고, 소음 및 진동이 작고, 배기공해가 없는 통상의 전동기(전동 모터)를 사용하여 기계를 구동시키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Here, the motor, like a motor drive,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to obtain rotational power, and is easy to start (drive) and operate by a signal current from the control unit 80, easy to select a model suitable for the load, and nois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machine using a normal electric motor (electric motor) with low vibration and no exhaust pollution can be adopted.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은 제어 신호에 따른 전압입력을 회전각으로 바꾸어 정지 및 반전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서보 모터나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스테핑 모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 고정자 권선에 흐르는 교류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 자기장과 로터부에 발생하는 유도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기는 회전력으로 작동하는 인덕션 모터 또는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구동에 필요한 힘으로 출력하도록 조절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기어드 모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employ a servo motor or a stepping motor that rotates at a certain angle, in which a stop and reverse operation is performed quickly by changing a voltage inpu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such as a remote controller into a rotation angle, and an alternating current flowing in the stator winding. Geared including an induction motor that operates with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otating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urrent and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in the rotor unit, or a reducer that reduc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otor and outputs the force necessary for driving A motor may be employed.

제1클리노미터(71)는 기준 수평면에 대한 가로빔(20)의 한쪽 끝부분 경사 및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해 승강부(33)에 장착되어 있다.The first clinometer 71 is mounted on the elevation part 33 to measure the inclination and inclination of one end of the cross beam 20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horizontal plane.

즉, 제1클리노미터(71)는 가로빔(20)의 한쪽 상면 기울기 값을 측정하여 제어부(80)로 전송한다.That is, the first clinometer 71 measures the inclination value of one side of the top surface of the horizontal beam 2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80.

제2클리노미터(72)는 기준 수평면에 대한 가로빔(20)의 다른 쪽 끝부분 경사 및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해 승강부(33)에 장착되어 있다.The second clinometer 72 is mounted on the elevation part 33 to measure the inclination and inclination of the other end of the cross beam 20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horizontal plane.

즉, 제2클리노미터(72)는 가로빔(20)의 다른 쪽 상면 기울기 값을 측정하여 제어부(80)로 전송한다.That is, the second clinometer 72 measures the inclination value of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beam 2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80 .

여기서 제1 및 제2클리노미터(71)(72)로는 스위치 조작에 따라 레이저 포인트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두 지점 사이의 수평, 수직 및 기울어짐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레이저 수직 수평기를 채용할 수 있다.Here, as the first and second clinometers 71 and 72, a laser vertical leveler that accurately measures the horizontal, vertical, and inclination between two points by radiating a laser from a laser point according to a switch operation may be employed.

제어부(80)는 제1 및 제2클리노미터(71)(72)로부터 측정신호를 전달받아 전동 드라이버(60)들의 조임 및 풀림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80 receives measurement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clinometers 71 and 72 and controls the tightening and loosening operations of the electric drivers 60 as a whole.

즉, 제어부(80)는 가로빔(20)의 한쪽 끝부분과 다른 쪽 끝부분 높낮이와 경사도를 수평 상태로 일치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클리노미터(71)(72)의 측정값을 비교하고, 그 결과값에 따라 전동 드라이버(60)들의 조임 및 풀림 작동을 각각 제어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80 compares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clinometers 71 and 72 in order to match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eam 20 in a horizontal state, Depending on the resulting value, the tightening and loosening operations of the electric drivers 60 are respectively controlled.

예를 들면, 제어부(80)는 전동 드라이버(60) 및 조절나사(39)의 1회전에 소요되는 시간과, 승강부(33)의 이동거리와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 제1 및 제2클리노미터(71)(72)의 측정값에 따른 높낮이 비 및 기울기 비 등을 비교 및 종합하여 가로빔(20)의 높낮이와 경사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time required for one rotation of the electric screwdriver 60 and the adjusting screw 39, the movement distance and time required for the movement of the elevation unit 33, and the first and second clinometers.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match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horizontal beam 20 by comparing and synthesizing the height ratio and tilt ratio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s of (71) and (72).

이처럼 제어부(80)가 제1클리노미터(71)로부터 전달받은 가로빔(2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 기울기 측정값과, 다른 쪽 끝부분의 기울기 측정값을 비교하고, 그 차이값에 따라 전동 드라이버(60)들의 조임 및 풀림 작동을 제어하여 가로빔(20)의 높낮이와 경사도를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조절나사(39)에 대한 제3너트(N3)의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s such, the control unit 80 compares the measured value of the inclination of one end of the longitudinal beam 20 received from the first clinometer 71 with the measured value of the inclination of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eam 20, and compar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ic screwdriver and the screwdriver.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third nut N3 to the adjustment screw 39 can be adjusted so that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horizontal beam 20 are horizontal by controlling the tightening and loosening operations of the 60.

즉, 제1클리노미터(71)로 측정한 가로빔(20)의 기울기와 제2클리노미터(72)로 측정한 가로빔(20)의 경사 및 기울기를 비교한 후, 그 결과값에 따라 전동 드라이버(60)로 조절나사(39)를 조이거나 풀어서 가로빔(20)의 높낮이 및 경사도(수평)와 길이 방향의 균형을 자동으로 더욱 정확하면서 신속하게 맞출 수 있다.That is, after comparing the inclination of the horizontal beam 20 measured by the first clinometer 71 and the inclination and inclination of the horizontal beam 20 measured by the second clinometer 72, the electric driver ( By tightening or loosening the adjusting screw 39 with 60), the height and inclination (horizontal) of the cross beam 20 and the bal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automatically more accurately and quickly adjusted.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 among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roof-attached solar pane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or similar action and effect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repeated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each It is clea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components can be widely applied by substitution of components and changes to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세로빔 11: 제1슬라이더 트랙
20: 가로빔 21: 제2슬라이더 트랙
22: 변형유도홈 30: 클램프
31: 받침홈 31a: 플렉스 포인트
32: 고정홈 33: 승강부
34: 제3클리어런스 홀 35: 홀더홈
36: 지지부 36a: 회전홈
36b: 패드 37: 제4클리어런스 홀
38: 돌출구멍 39: 조절나사
39a: 라운드 헤드 39b: 널링
40: 제1브래킷 41: 외수평지지부
42: 제1클리어런스 홀 43: 수직지지부
44: 내수평지지부 50: 제2브래킷
51: 수평부 52: 제2클리어런스 홀
53: 후크부
10: vertical beam 11: first slider track
20: horizontal beam 21: second slider track
22: deformation guide groove 30: clamp
31: support groove 31a: flex point
32: fixing groove 33: lifting part
34: third clearance hole 35: holder groove
36: support 36a: rotation groove
36b: pad 37: fourth clearance hole
38: protruding hole 39: adjusting screw
39a: round head 39b: knurling
40: first bracket 41: external horizontal support
42: first clearance hole 43: vertical support
44: internal horizontal support 50: second bracket
51: horizontal portion 52: second clearance hole
53: hook part

Claims (3)

설치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고정되고, 상부에 제1슬라이더 트랙(11)이 형성된 세로빔(10);
상기 세로빔(10)들 사이 위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부에 제2슬라이더 트랙(21)이 형성된 가로빔(20);
상기 세로빔(10)들과 상기 가로빔(20)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가로빔(20)이 끼워져 결합되는 받침홈(31)이 형성되고, 하부 양쪽에 고정홈(32)이 형성된 클램프(30);
상기 세로빔(10)들과 상기 클램프(30)들의 하부 양쪽에 걸어 장착되고, 상기 세로빔(10)의 상면에 밀착 결합되고 중앙 부분에 제1클리어런스 홀(42)이 뚫린 외수평지지부(41)와, 상기 클램프(30)의 측면에 밀착 결합되는 수직지지부(43) 및 상기 고정홈(32) 내의 바닥면에 밀착 결합되는 내수평지지부(44)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제1브래킷(40);
상기 제1브래킷(40)의 제1클리어런스 홀(42)을 통해 상기 세로빔(10)의 제1슬라이더 트랙(11) 내로 삽입되는 제1관통볼트(B1);
상기 세로빔(10)의 제1슬라이더 트랙(11)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관통볼트(B1)와 체결되는 제1너트(N1);
상기 가로빔(20)에 고정되고, 중앙 부분에 제2클리어런스 홀(52)이 뚫린 수평부(51) 및 상기 수평부(51)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가로빔(20)의 상면에 올려놓는 솔라 패널(P)의 양쪽 테두리에 걸어주는 후크부(53)가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제2브래킷(50);
상기 제2브래킷(50)의 제2클리어런스 홀(52)을 통해 상기 가로빔(20)의 제2슬라이더 트랙(21) 내로 삽입되는 제2관통볼트(B2); 및
상기 가로빔(20)의 제2슬라이더 트랙(21)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2관통볼트(B2)와 체결되는 제2너트(N2);
를 포함하는,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
A plurality of vertical beams 10 fix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having a first slider track 11 formed thereon;
A transverse beam 20 installed across the upper portion between the vertical beams 10 and having a second slider track 21 formed thereon;
It is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beams 10 and the horizontal beam 20, respectively, and a support groove 31 into which the horizontal beam 20 is fitted and coupled is formed on the upper part, and fixing grooves 3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formed clamp 30;
An external horizontal support 41 that is hooked to both the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beams 10 and the clamps 30, is close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beam 10 and has a first clearance hole 42 drilled in the central portion. ), a pair of first brackets ( 40);
A first through bolt (B1) inserted into the first slider track (11) of the vertical beam (10) through the first clearance hole (42) of the first bracket (40);
a first nut (N1) inserted into the first slider track (11) of the vertical beam (10) and fastened with the first through bolt (B1);
A horizontal portion 51 fixed to the horizontal beam 20 and having a second clearance hole 52 drill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sola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eam 20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51 a plurality of second brackets 50 integrally formed with hook parts 53 hooked to both edges of the panel P;
a second through bolt (B2) inserted into the second slider track (21) of the transverse beam (20) through the second clearance hole (52) of the second bracket (50); and
a second nut (N2) inserted into the second slider track (21) of the cross beam (20) and fastened with the second through bolt (B2);
Including,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30)는,
하단의 상면 중앙 부분에 상하로 통하는 제3클리어런스 홀(34)이 뚫리고, 그 제3클리어런스 홀(34)의 하면 주위에 홀더홈(35)이 형성된 승강부(33);
상기 홀더홈(35) 내에 삽입 고정된 제3너트(N3);
상기 승강부(33)와 상하로 나뉘어 밑면이 상기 세로빔(10)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면 중앙 부분에 상기 제3클리어런스 홀(34)과 통하는 제4클리어런스 홀(37)이 형성되고, 상기 제4클리어런스 홀(37)의 하단에 앞뒤 방향으로 돌출구멍(38)이 뚫린 지지부(36);
상기 제4클리어런스 홀(37)과 상기 제3클리어런스 홀(34)을 통해 상기 제3너트(N3)와 체결되어 회전 조작에 따라 제자리에서 돌면서 상기 지지부(36)가 제자리를 유지하는 반작용으로 상기 승강부(33)와 상기 제3너트(N3)를 동시에 승강시키고, 하면이 볼록한 둥근 모양의 라운드 헤드(39a)가 상기 돌출구멍(38)으로 돌출된 조절나사(39);
상기 지지부(36)의 상기 라운드 헤드(39a)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조절나사(39)의 원활하고 수월한 회전 조작을 위해 그 라운드 헤드(39a)와 대응되는 모양으로 오목하게 패인 회전홈(36a);
을 더 포함하는,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lamp 30,
a lifting part 33 in which a third clearance hole 34 is ope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and a holder groove 35 is formed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clearance hole 34;
a third nut (N3) inserted and fixed into the holder groove (35);
Divided up and down with the elevation part 33, the low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beam 10, and a fourth clearance hole 37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clearance hole 3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 support part 36 having a protruding hole 38 drill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fourth clearance hole 37;
It is fastened with the third nut N3 through the fourth clearance hole 37 and the third clearance hole 34, and rotates in plac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operation so that the support part 36 maintains its original position. an adjustment screw (39) which simultaneously lifts the portion (33) and the third nut (N3) and has a round head (39a) protruding into the protruding hole (38);
A rotation groove (36a)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und head (39a) for smooth and easy rotation of the adjustment screw (39)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6) in contact with the round head (39a) ;
Further comprising a, roof-mounted solar panel fix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빔(20)의 하부 양쪽에 변형유도홈(22)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홈(31)의 양쪽 측벽에 상기 가로빔(20)이 끼워져 결합될 때 상기 변형유도홈(22)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가운데 부분이 서로 마주하는 안쪽으로 휘어진 모양의 플렉스 포인트(31b)가 형성되며,
상기 라운드 헤드(39a)와 상기 회전홈(36a)의 사이에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패드(36b)가 부착되고, 상기 라운드 헤드(39a)의 테두리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널링(39b)이 형성된, 지붕 부착형 솔라 패널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2,
Deformation guide grooves 2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verse beam 20,
When the transverse beam 20 is inserted into both side walls of the support groove 31 and coupled, the center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deformation inducing groove 22 and firmly adhered to each other. Flex points bent inward to face each other (31b) is formed,
A pad 36b for smooth rotation is attached between the round head 39a and the rotation groove 36a, and a knurl 39b for preventing slipping is provided on the edge of the round head 39a. Formed, roof-mounted solar panel fixtures.
KR1020210181175A 2021-12-17 2021-12-17 Roof attached type solar panel fixung device KR202300921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175A KR20230092117A (en) 2021-12-17 2021-12-17 Roof attached type solar panel fixu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175A KR20230092117A (en) 2021-12-17 2021-12-17 Roof attached type solar panel fixu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117A true KR20230092117A (en) 2023-06-26

Family

ID=8694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175A KR20230092117A (en) 2021-12-17 2021-12-17 Roof attached type solar panel fixu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2117A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37B1 (en) 2010-07-29 2013-01-18 주식회사 썬트랙이앤아이 a slope type of a solar cell generating system
KR101370199B1 (en) 2012-04-12 2014-03-10 주식회사대영금속 A roof fixing type support structure of solar panel
KR101444818B1 (en) 2014-03-31 2014-10-02 주식회사 고강알루미늄 Photovoltaic module support for roof of factory
KR102083860B1 (en) 2018-07-17 2020-03-03 김을호 Solar cell module support for steel frame
KR102099689B1 (en) 2019-11-04 2020-04-10 (주)비에이엠이엔지 Structure for supporting solar panel
KR102192480B1 (en) 2020-05-28 2020-12-17 성호티에스(주) Structure of installing solar panel
KR20210000963U (en) 2019-10-28 2021-05-07 린노알미늄 주식회사 Solar cell module fixing bracke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37B1 (en) 2010-07-29 2013-01-18 주식회사 썬트랙이앤아이 a slope type of a solar cell generating system
KR101370199B1 (en) 2012-04-12 2014-03-10 주식회사대영금속 A roof fixing type support structure of solar panel
KR101444818B1 (en) 2014-03-31 2014-10-02 주식회사 고강알루미늄 Photovoltaic module support for roof of factory
KR102083860B1 (en) 2018-07-17 2020-03-03 김을호 Solar cell module support for steel frame
KR20210000963U (en) 2019-10-28 2021-05-07 린노알미늄 주식회사 Solar cell module fixing bracket
KR102099689B1 (en) 2019-11-04 2020-04-10 (주)비에이엠이엔지 Structure for supporting solar panel
KR102192480B1 (en) 2020-05-28 2020-12-17 성호티에스(주) Structure of installing solar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7634B1 (en) Height-adjustable rail-less solar panel mounting device for roofs
JP2020503828A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and use of the device
KR101733976B1 (en) Solar cell module mount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on veranda
KR101429633B1 (en) Supporting apparatus of solar cell module for railing
JP4795649B2 (en) Solar power plant
JP2019085710A (en) Fixing structure of panel member and fixing device of panel member
KR102142064B1 (en) Photovoltaic panel support structure
US20130318893A1 (en) Mounting Device and Method of Installing of a Solar Panel
KR101770091B1 (en) Solar Generator Array with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natural disasters
JP2013044114A (en) Fixing structure for solar cell module
CN106602985A (en) Novel optimum tilt angle flat single-axis photovoltaic tracking system
KR101971726B1 (en) Sunlight Module Array Mounting System Mounted On Rooftop Provided With Reinforced Part
CN110921498A (en) Quick lifting appliance for concrete precast box girder
KR20230092117A (en) Roof attached type solar panel fixung device
JP5915986B2 (en) Support structure for solar panels
KR102293811B1 (en) supporting apparatus
JP2006057357A (en) Functional panel installation method
EP2596296B1 (en) Cable support structure
KR20210000963U (en) Solar cell module fixing bracket
EP0692056A1 (en) Safety rail system
KR102202709B1 (en) Photovoltaic equipment
JP2006328775A (en) Angle adjustable stairs
CN210405165U (en) Photovoltaic panel support
FR2951814A1 (en) ASSEMBLY OF A SUPPORT OR GUARD DEVICE AND A SOLAR PANEL
CN219535976U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rural building house integrated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