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507A -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507A
KR20230091507A KR1020210180678A KR20210180678A KR20230091507A KR 20230091507 A KR20230091507 A KR 20230091507A KR 1020210180678 A KR1020210180678 A KR 1020210180678A KR 20210180678 A KR20210180678 A KR 20210180678A KR 20230091507 A KR20230091507 A KR 20230091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unit
rotating
horizontal
curren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용수
김창교
지상현
김상조
Original Assignee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주식회사 레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주식회사 레비텍 filed Critical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1507A/ko
Priority to PCT/KR2022/018140 priority patent/WO2023113262A1/ko
Priority to TW111146786A priority patent/TW202333171A/zh
Publication of KR20230091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73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magnetic field gen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lifting arrangement, e.g. lift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gnetic Bearings And Hydrostatic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부의 회전 오차를 보상하여 안정적인 자기부상 회전이 가능한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는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공형의 회전부; 상기 회전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부의 외측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부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과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을 구비하는 고정부;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수평 변위 센서부; 측정된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변위값을 상기 회전부의 형상공차에 따라 보정하는 변위값 보정부; 입력되는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류 출력값을 입력 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gnetic levitation rotation}
본 발명은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부의 회전 오차를 보상하여 안정적인 자기부상 회전이 가능한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반도체 소자에서는 반도체 소자를 구성하는 박막의 두께가 수 나노(nm)에 불과하며 그 두께 균일성이 수% 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균일성의 레벨은 고온 프로세싱 동안에 기판 전체의 온도 변화가 수℃를 초과할 수 없다는 요건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온도의 불균일성을 최소화시키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기판이 대형화되면서 이러한 균일 가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기판의 균일가열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급속열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기판을 수평회전시키는 기판 회전장치로서 자기부상 회전 장치(Maglev rotating apparatus)가 있다.
자기부상 회전 장치는 고정부(Stator)와 회전부(Rotor)를 포함하며, 회전부는 자기력에 의해 고정부에 비접촉된 상태로 부상되어 회전한다. 따라서 소음 및 진동이 적고, 파티클의 발생이 없으며 고속회전이 가능하여 짧은 시간동안 고온으로 가열되는 급속열처리장치에 적합하다. 회전부는 지지 실린더를 통하여 에지링을 지지하고, 에지링 상에는 기판이 올려 놓여진다.
일반적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센서를 이용하여 회전부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필요가 있다. 회전부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기 위해서는 변위 센서를 이용해서 정확한 변위값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중공형의 회전부는 가공 정밀도와 형상 오차등의 원인으로 진원으로 가공되기 어려워 회전부의 회전시에 급격한 변위값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중공형 회전부의 불균일한 질량 분포로 인해서 질량 중심과 회전 중심 사이의 불일치가 발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의 형상 공차나 질량 중심의 편심으로 인해서 회전부가 회전을 하면서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게 되고, 진동하는 회전부의 위치 제어를 위한 전자기력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서 전자석에 많은 부하가 발생되며 회전부의 속도와 위치를 제어하는 것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01-0111030호
본 발명은 회전부의 형상 공차를 보상하여 안정적인 회전운동과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의 질량 편심을 보상하여 안정적인 회전운동과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는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공형의 회전부; 상기 회전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부의 외측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부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과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을 구비하는 고정부;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수평 변위 센서부; 측정된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변위값을 상기 회전부의 형상공차에 따라 보정하는 변위값 보정부; 입력되는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류 출력값을 입력 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값 보정부는, 수평 변위 센서부에서 측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에 상기 회전부의 형상공차에 따른 형상 오프셋값(S)을 가감하여 얻어진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_r)을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변위 센서부는 복수(n)개로 제공되고, 상기 변위값 보정부는, 복수(n)중에서 i번째 수평 변위 센서부의 형상 오프셋값(S(i))을 아래 식에 의해서 산출하는 형상 오프셋값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i는 0, 1, 2, ... , n-1(복수의 수평 변위 센서부 중 임의의 기준 수평 변위 센서부를 0으로 하고, 원주를 따라 일방향으로 순서대로 부여된 정수), α는 형상 보정 계수, θ는 회전부 회전시 절대 각도, θe는 회전부 회전시 진동이 최소가 되는 위상 오프셋값임.
상기 변위값 보정부는, 위상 오프셋값(θe)을 상기 회전부를 회전하면서 복수의 수평 변위 센서부에서 측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각도로 결정하는 위상 오프셋값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값 보정부는, 형상 보정 계수(α)를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 변화의 진폭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결정하는 형상 보정 계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는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공형의 회전부; 상기 회전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부의 외측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부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과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을 구비하는 고정부;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수평 변위 센서부; 입력되는 상기 수평방향 변위값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는 제어부; 출력된 상기 전류 출력값을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따라 보정하는 전류 출력값 보정부; 및 보정된 전류 출력값을 입력 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출력값 보정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전류 출력값(DAC)에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따른 관성 보상값(C)을 가감하여 얻어진 보정된 전류 출력값(DAC_r)을 상기 전원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출력값 보정부는, 서로 교차하는 X축 내지 Y축에 대해서 아래 식에 의해서 상기 관성 보상값(E)을 산출하는 관성 보상값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여기서, β는 기하 중심에 대한 질량 중심의 거리 계수, θ는 회전부 회전시 절대 각도, θx는 x축 편심 각도(x축 편심 오프셋값), θy는 y축 편심 각도(y축 편심 오프셋값)임.
상기 전류 출력값 보정부는, 거리 계수(β)를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보정된 전류 출력값 변화의 진폭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결정하는 거리 계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방법은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과,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을 구비하는 고정부 내측에 제공된 중공형의 회전부를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과정; 수평 변위 센서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수평방향 변위값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는 과정; 출력된 상기 전류 출력값(DAC)에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따른 관성 보상값(C)을 가감하여 전류 출력값을 보정하는 과정; 및 보정된 전류 출력값을 입력 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변위 센서부는 복수(n)개로 제공되고, 상기 수평방향 변위값을 보정하는 과정은, 복수(n)중에서 i번째 수평 변위 센서부의 형상 오프셋값(S(i))을 아래 식에 의해서 산출하는 형성 오프셋값 산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i는 0, 1, 2, ... , n-1(복수의 수평 변위 센서부 중 임의의 기준 수평 변위 센서부를 0으로 하고, 원주를 따라 일방향으로 순서대로 부여된 정수), α는 형상 보정 계수, θ는 회전부 회전시 절대 각도, θe는 회전부 회전시 진동이 최소가 되는 위상 오프셋값임.
상기 수평방향 변위값을 보정하는 과정은, 위상 오프셋값(θe)를 상기 회전부를 회전하면서 복수의 수평 변위 센서부에서 측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각도로 결정하는 위상 오프셋값 결정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수평방향 변위값을 보정하는 과정은, 형상 보정 계수(α)를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 변화의 진폭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결정하는 형상 보정 계수 결정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방법은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과,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을 구비하는 고정부 내측에 제공된 중공형의 회전부를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과정;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수평방향 변위값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는 과정; 출력된 상기 전류 출력값(DAC)에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따른 관성 보상값(C)을 가감하여 전류 출력값을 보정하는 과정; 및 보정된 전류 출력값을 입력 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출력값을 보정하는 과정은, 서로 교차하는 X축 내지 Y축에 대해서 관성 보상값(E)을 아래 식에 의해서 산출하는 관성 보상값 산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여기서, β는 기하 중심에 대한 질량 중심의 거리 계수, θ는 회전부 회전시 절대 각도, θx는 x축 편심 각도(x축 편심 오프셋값), θy는 y축 편심 각도(y축 편심 오프셋값)임.
상기 전류 출력값을 보정하는 과정은, 거리 계수(β)를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보정된 전류 출력값 변화의 진폭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결정하는 거리 계수 결정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장치에 의하면, 중공형 회전부(Rotor)의 형상 공차와 질량 편심에 따른 런아웃 오차를 보상하여 회전부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회전부의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의 회전시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과 소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회전부의 수평 위치 이동을 위해서 사용되는 전자석에 걸리는 부하를 적절히 관리하여 회전부의 속도와 위치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량이 줄고, 제어 코일의 턴수와 직경 등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회전부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피회전체(예를 들어 반도체 웨이퍼)의 경우 회전부의 런아웃 오차로 인해 불안정한 회전을 하게 되면 반경 방향으로 밀림 현상이나 회전 방향으로 슬립현상 등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별도의 복잡한 장치 없이도 런아웃 오차를 보상함으로써 피회전체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에서 회전부의 형상 공차에 따른 회전부의 런아웃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에서 회전부의 형상 공차를 나타내는 수평 변위 센서부의 측정 데이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에서 수평방향 변위값의 변화를 나타낸 데이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에서 질량 편심에 따른 회전부의 런아웃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에서 질량 편심 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에서 수평방향 변위값과 전류 출력값을 나타낸 데이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방법의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방법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고,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정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크기가 부분적으로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에서 회전부의 형상 공차에 따른 회전부의 런아웃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에서 회전부의 형상 공차를 나타내는 수평 변위 센서부의 측정 데이터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에서 수평방향 변위값의 변화를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는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공형의 회전부(100); 상기 회전부(10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부(100)의 외측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부(100)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220)과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230)을 구비하는 고정부(200); 상기 회전부(100)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수평 변위 센서부(300); 측정된 상기 회전부(100)의 수평방향 변위값을 상기 회전부(100)의 형상공차에 따라 보정하는 변위값 보정부(400); 입력되는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는 제어부(500); 및 상기 전류 출력값을 입력 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하는 전원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형의 회전부(100)는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100)를 부상시키고 회전시키는 자기력은 회전부(100)로부터 이격되어 외측에 배치되는 고정부(200)에 의해서 제공되는데, 회전부(100)와 고정부(200) 사이에 자계의 상호 작용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서 중공형의 회전부(12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회전부(100)는 고정부(200)에 의해서 강한 자계가 유도될 수 있도록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공형 회전부(100)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자극 톱니가 링 형태로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부(100)의 외측에 제공되어 회전부(100)의 부상, 회전, 수평 이동, 수직 이동, 기울기 조절 등에 필요한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부(200)는 평판 형태로서 수직(Z-축)방향으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제공되는 자기 코어(211, 212), 및 한쌍의 자기 코어(211, 212)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등각간격(예를 들어, X-축 및 Y-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영구자석(220)을 포함한다.
자기 코어(211, 212)는 중공형의 회전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일체의 평판으로 방사상의 폐쇄 회로를 구성한다.
복수의 영구자석(220)은 강한 자계를 갖고 있어서 공기 혹은 진공의 갭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회전부(100)에 강한 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회전부(100)를 부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부(100)가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영구자석의 중심이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200)는 자기 코어(211, 212) 각각에 결합되고 입력되는 전류에 의해서 자속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 코일(미도시)과 위치 제어 코일(230, 240, 250)을 더 포함한다.
구동 코일은 복수의 단부 권선이 자기 코어의 내측면을 따라 등각격으로 배치되는 다상 권선으로, 회전부(100) 또는 그 외주면에 제공된 복수의 자극 톱니의 자계와 상호작용하여 수직축을 중심으로 한 토오크를 발생시켜 회전부(100)을 회전시키는 회전 전자계를 발생시킨다.
한편, 복수의 영구자석(220)의 자속은 고정부(200)과 회전부(100) 사이에 방사상의 흡인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흡인력은 방향에 따라 불안정성이 발생되면 회전부(100)을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회전부(100)의 위치 제어가 필요하게 되는데, 자속을 발생시키는 전류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는 위치 제어 코일을 이용하여 회전부(1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영구자석(220)의 자속과 위치 제어 코일의 자속의 상대적인 방향이 일치하는지 혹은 반대 방향인지에 따라 흡인력을 추가로 발생시키거나 흡인력을 상쇄시킴으로써 회전부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고정부(200)는 수직축(Z-축)에 교차하는 복수의 수평축(예를 들어, X-축 및 Y-축)을 따라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복수의 자석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자석 조립체 각각은, 회전부(100)에 흡인력을 발생시켜 회전부를 부상시키는 영구자석(220); 자속을 발생시키는 전류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회전부(100)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230); 및 자속을 발생시키는 전류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회전부(100)의 기울기를 제어하는 기울기 제어 코일(240);을 포함할 수 있다.
영구자석(220)은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제공되는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자기 코어(211, 212) 사이의 외주면 측에 배치된다.
수평 위치 제어 코일(230)과 기울기 제어 코일(240)은 각각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상측 자기 코어(211)의 돌출부와 하측 자기 코어(212)의 돌출부에 권취될 수 있다.
수직축을 중심으로 X-축과 Y-축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영구자석, 수평 위치 제어 코일, 및 기울기 제어 코일의 자속 방향과 자속 크기를 상대적으로 변화시킴에 따라서, 회전부(100)의 수평 방향 위치 제어와 기울기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고정부(200)는 회전부(100)의 외측벽을 따라 연장되어 회전부(100)을 감싸도록 제공되고, 자속을 발생시키는 전류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 회전부(100)의 수직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직 위치 제어 코일(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00)은 자중에 의해서 아랫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서 부상되어 있는 회전부가(100)가 수직방향으로 영구자석의 높이 중심이 맞추어지지 못하고, 정위치보다 아래로 쳐질 수가 있다. 이런 경우에서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영구자석에 의한 자기력과 중력의 상호작용으로 인해서 회전부가 회전하면서 요동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회전부(100)을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회전부(100)의 수직 방향 위치를 제어할 필요가 있는데, 수직 위치 제어 코일(250)에서 코일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회전부(100)의 수직 방향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위치 제어 코일(230, 240, 250)을 이용하여 회전부(10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회전부(100)의 위치 또는 변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 기울기, 수직 방향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변위 센서부를 이용하여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와 수직 방향 위치를 획득하여야 한다.
수평 변위 센서부(300)는 회전부의 내측 혹은 외측에 등각간격으로 복수개가 제공되어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즉 수평 방향 거리 또는 위치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수평 변위 센서부(300)는 와전류 변위 센서 또는 홀 센서일 수 있는데, 특별히 이들에 제한되는 것에 아니고 회전부의 위치 변화에 의해 유도되는 자기적 특성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면 족하다.
예를 들어, 와전류 변위센서를 와전류를 이용한 변위센서로서, 센서의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면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서 센서 주위에 도체가 접근하면 도체에 와전류가 생성된다. 이 와전류는 센서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영향을 준다. 이 전류의 크기 변화와 위상 변화 등을 이용하여 정밀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홀 센서는 자석에서 나오는 자속밀도(가우스)의 크기 변화(즉, 거리 변화)에 따라 선형적으로 출력값을 출력하는데, 이로부터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중공형의 회전부(10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회전부의 단면이 가공 정밀도와 형상 오차 등의 원인으로 진원(완전한 원형)으로 가공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중공형의 회전부(10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중공형의 회전부가 그리는 궤적이 진원을 그리지 않게 되어 회전축의 이동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서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평 변위 센서부(300)가 회전부(100)의 내주면 혹은 외주면을 따라 120o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어 회전부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회전부가 진원 형상인 경우에는 회전부의 기하 중심축(혹은 회전축) 이동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만 측정하고, 이에 따라 기하 중심축의 위치 이동을 시키면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회전부가 진원이 아닌 형상(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타원형)인 경우에는 회전부(100)가 일정한 기하 중심축(혹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수평 변위 센서부(300) 각각이 측정하는 회전부(100)의 변위값은 급격하게 변화한다. 도 2에서 타원형 회전부(100)의 장축이 '0'번 수평 변위 센서부(300)를 향한 경우(실선 표시)와 타원형 회전부(100)이 반시계반향으로 회전하여 타원형 회전부(100')의 장축이 '0'번 수평 변위 센서부와 '2'번 수평 변위 센서부 사이에 위치한 경우(점선 표시)에 타원형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서 수평 변위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거리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회전부가 4회전 할 때 120o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세개의 수평 변위 센서부(300)에서 측정한 회전부의 변위값 변화를 나타내는데,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진원의 회전부라면 시간에 따라 변위값이 일정하게 측정되어야한다. 그러나, 타원형의 회전부인 경우에는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다고 하더라도 타원형의 회전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거리(변위값)을 나타내므로 도 3에서와 같이 세개의 수평 변위 센서부(300)는 120o의 위상차를 가지면서 시간에 따라 변위값이 변화하면서 회전부의 1회전당 2개의 사인곡선을 그리게 된다. 즉, 수평 변위 센서부의 측정 변위값이 도 3과 같은 데이터를 나타내면 타원형의 형상 오차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100)의 급격한 변위값 변화는 회전부 혹은 회전축의 실질적인 이동에 의한 변위값 변화가 아니고, 회전부의 형상공차에 따른 변위값 변화에 기인한 것이다. 회전부가 회전할 때 발생되는 일반적인 회전축 런아웃(수평 방향 변위값 차이)은 ±30㎛ 이내이나, 타원 형상의 회전부가 회전할 때 발생되는 런아웃은 회전축 런아웃과 함께 형상공차 런아웃을 합쳐져서 발생되므로 일반적인 회전축 런아웃은 ±30㎛보다 훨씬 클 수 있다.
즉, 가공 오차 혹은 형상 오차로 인해서 회전부가 진원 형태가 아닌 타원 등의 형태로 가공되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수평 변위 센서부가 측정하는 변위값을 그대로 사용하여 회전부의 위치를 제어하게 되면, 위치 제어가 실제로 필요한 회전축(혹은 회전부) 수평 이동 뿐만 아니라, 회전축 이동 외에 회전부의 형상 공차로 인한 변위값을 포함한 변위값에 대한 제어를 하게 되므로 기하 중심축과 회전축이 일치하지 않게 되고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급격한 변위값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부의 수평 이동을 위해서 전자석의 자기력을 급격하게 변화시킴으로서 전자석의 부하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억제하기 위해서 회전부의 수평 위치에 대한 능동 제어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수평 변위 센서부(300)에서 측정한 회전부의 수평방향 변위값을 그대로 이용하여 제어부(500)에서 회전부(100)의 수평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변위값 보정부(400)가 수평 변위 센서부(300)에서 측정된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변위값을 제어부(500)로 제공되기 전에 상기 회전부의 형상공차에 따라 보정하여 생성한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을 이용하여 회전부의 수평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변위값 보정부(400)으로부터 입력되는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어 변수와 기준 입력 사이의 오차에 근거하여 계통의 출력이 기준 전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피드백 제어의 일종인 PID 제어부일 수 있다. 수평 변위 센서부(300)에서 측정한 회전부(100)의 수평 방향 변위값이 제어부에 입력되면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와 회전부가 부상 상태를 유지하려는 수평 변위 센서부 목표값(target reference) 사이의 차이값을 '0'으로 만들기 위해서 회전부의 수평 위치를 계속해서 피드백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측정 수평 방향 변위값에 대해서 회전부의 형상 공차를 보상하여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을 제어부(500)에 입력하면 형상 공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변위값을 제외하고 실질적인 회전축의 변위만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회전부의 회전시에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회전부의 회전축(기하 중심축)을 제어함에 있어서, 변위값 보정부(400)에서 회전부의 형상 공차에 따른 변위가 회전부가 회전하면서 최대 -> 최소 -> 최대 -> 최소 순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수평 변위 센서부의 측정값(혹은 거리값)을 평균값 혹은 중간값으로 변화시켜서 보상하여 출력한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을 제어부(500)는 입력받아 회전부(100)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혹은 최소로 측정된 수평방향 변위값을 중간값으로 보상하게 되면 회전부의 수평방향 변위값(거리)가 최대가 되었을 때에도 형상 공차에 따른 변위값 변화를 보상하여 흡인력을 강화하지 않도록(혹은 회전부를 당기지 않도록) 전류 출력값을 출력할 수 있다.
전원부(600)는 형상 공차에 따른 변위값 변화를 보상한 보정된 변위값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전류 출력값을 제어부(500)로부터 입력 받아, 전류 출력값에 대응하는 제어 전류를 수평 위치 제어 코일(2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수평 위치 제어 코일(230)은 형상 공차에 따른 변위값 변화를 제외하고 회전부의 회전축(기아 중심축)의 위치 변화만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회전부가 심하게 진동하지 않고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변위값 보정부(400)는 수평 변위 센서부(300)에서 측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에 회전부의 형상 공차에 따른 형상 오프셋값(S)을 가감하여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_r)을 얻고, 이를 제어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측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에서 회전부의 형상 공차에 따른 형상 오프셋값(S)을 가감함으로써 회전부가 회전하면서 형상 공차로 인하여 발생되는 수평 방향 변위값 진폭(도 3 참조)의 크기를 줄여줄 수 있다.
회전부(100)의 정확한 수평 방향 변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수평 변위 센서부(300)는 복수(n)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변위값 보정부(400)는 복수(n)중에서 i번째 수평 변위 센서부의 형상 오프셋값인 S(i)를 아래 식에 의해서 산출하는 형상 오프셋값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i는 0, 1, 2, ... , n-1(복수의 수평 변위 센서부 중 임의의 기준 수평 변위 센서부를 0으로 하고, 원주를 따라 일방향으로 순서대로 부여된 정수), α는 형상 보정 계수, θ는 회전부 회전시 절대 각도, θe는 회전부 회전시 진동이 최소가 되는 위상 오프셋값이다.
예를 들어, 회전부의 내주면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120o 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수평 변위 센서부를 사용하는 경우에 형상 오프셋값(S(i))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또는, 회전부의 내주면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90o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수평 변위 센서부를 사용하는 경우에 형상 오프셋값(S(i))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이때, 변위값 보정부(400)는 회전부(100)를 회전하면서 복수의 수평 변위 센서부 각각에서 측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모두 합한 모든 수평 변위 센서부의 수평방향 변위값(G)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각도를 위상 오프셋값(θe)으로 결정하는 위상 오프셋값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하늘색 선은 '0'번 수평 변위 센서부의 수평방향 변위값 데이터이고, 청색 선은 '1'번 수평 변위 센서부의 수평방향 변위값 데이터로서, 회전부의 형상 공차로 인해서 시간에 따라(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사인 곡선을 그리면서 심하게 변화한다. 빨간색 선으로 표시되는 위상 오프셋값을 0도부터 360도까지 변화시켜면서 수평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면 모든 수평 변위 센서부의 수평방향 변위값(G)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의 총합(검은 굵은 실선으로 표시)이 최소가 되는 각도 구간이 존재한다. 모든 수평 변위 센서부의 수평방향 변위값(G)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의 총합(검은 굵은 실선으로 표시)이 최소가 되는 각도를 회전부 회전시 진동이 최소가 되는 위상 오프셋값(θe)로 결정하여 형상 오프셋값(S(i))을 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데이터를 나타낸 회전부의 형상 공차에 따른 위상 오프셋값(θe)은 150도인데, 다른 형상 공차를 갖는 회전부는 서로 다른 위상 오프셋값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변위값 보정부(400)는 회전부를 하면서 얻어지는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_r) 변화의 진폭이 최소가 되는 값을 형상 보정 계수(α)로 결정하는 형상 보정 계수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를 회전하면서 측정되는 수평방향 변위값(G)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의 총합(검은 굵은 실선으로 표시)이 최소가 되는 각도로 결정된 위상 오프셋값(θe)를 이용하고, 형상 보정 계수(α)를 변화시키면서 제어부(500)에 입력되는 입력값(즉, 변위값 보정부에서 출력되는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_r))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나타내면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_r) 변화의 진폭이 최소이 되는 순간이 있는데, 이때의 형상 보정 계수(α)를 사용하여 형상 오프셋값(S)를 얻을 수 있다(도 9 참조).
일반적으로 회전부의 수평 위치 제어는 수평 변위 센서부에서 측정된 수평 방향 변위값을 제어부에 입력하고, 제어부는 입력된 수평 방향 변위값과 회전부가 부상 상태를 유지하려는 수평 변위 센서부 목표값을 비교하여 회전부의 수평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게 된다. 회전부의 형상 공차에 의한 회전 불안정성을 보상하기 위해서 회전부의 형상 자체를 기준으로 보상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형상 공차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평 방향 변위값이 변화하는 진폭을 줄이는 방향으로 제어부에 입력되기 전에 수평 방향 변위값을 보정하여 형상 공차를 보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에서 질량 편심에 따른 회전부의 런아웃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에서 질량 편심 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되는 사항들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는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공형의 회전부(100); 상기 회전부(10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부(100)의 외측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부(100)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220)과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100)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230)을 구비하는 고정부(200); 상기 회전부(100)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수평 변위 센서부(300); 입력되는 상기 수평방향 변위값에 따라 상기 회전부(100)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는 제어부(500); 출력된 상기 전류 출력값을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따라 보정하는 전류 출력값 보정부(700); 및 보정된 전류 출력값을 입력 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230)에 제공하는 전원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00)의 형상 공차에 따른 회전 불안정성과는 별도로 회전부가 기하 중심과 질량 중심이 일치하지 않고 많이 틀어져 있으면, 기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게 되면 회전부는 회전하면서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키게 될 수 있다. 중공형의 회전부는 기하 중심을 기준으로 불균일한 질량 분포를 가질 수 있는데, 질량 분포가 불균일에 의해서 기하 중심과 질량 중심이 일치하지 않고 편심되게 된다.
수평 변위 센서부는 측정하는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은 회전부의 기학하적 거리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제어부에서 기하학적 거리만을 기준으로 출력하는 전류 출력값을 그대로 이용하여 제어 전류를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한다면, 질량 중심이 편심되어 있어서 질량 중심이 기하 중심과 일치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행되는 회전부과 고정부의 진동, 피회전체를 지지하는 기구물의 진동 등으로 인해서 회전하는 회전부에 대한 수평 위치 제어는 매우 불안정해질 수 있다.
도 6은 질량 중심과 기하 중심의 차이로 인해서 발생되는 회전부의 회전 궤적과 질량 중심 궤적의 불안정성을 나타낸다. 고정부(200)과 수평 변위 센서부(300)는 중심점에 대해서 동심원 형태로 기하학적으로 정렬되고, 고정부(200)에 의해서 자기부상되어 회전하는 회전부(100)는 상기 중심점을 회전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부의 질량 분포가 불균일하여 질량 중심이 편심되어 있다면,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편심된 질량 중심의 관성에 의해서 상기 동일한 중심점에서 벗어난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부는 회전하면서 진동 등의 회전 불안정성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불안정성은 자기부상 회전 장치가 급속 열처리(Rapid Thermal Processing; RTP) 장치와 같은 기판 처리 장치에서 기판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많은 문제점을 나타낼 수 있다. 기판 처리 장치에서는 기판(웨이퍼)을 지지하는 에지링(Edge ring; 120)이 자기부상 회전 장치의 회전부에 연결된 서포트링(Support ring; 110) 상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기판과 에지링이 함께 회전한다. 기판과 에지링(120)은 서포트링(110) 또는 회전부(100)에 결합된 것이 아니라 서로 접촉되어 안착된 상태로서, 회전부의 기하 중심과 질량 중심이 일치한다면 기판과 에지링(120)은 회전시에도 움직이지 않지만 질량 중심이 편심된 회전부의 경우는 기판과 에지링은 한쪽으로 쉬프트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판은 반경방향으로 밀리거나, 회전방향으로 슬립되는 현상들이 발생되어 기판에 충격을 가하거나 기판 처리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는 제어부(500)가 수평 변위 센서부(300)로부터 입력되는 수평방향 변위값에 따라 회전부(100)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면, 전류 출력값 보정부(700)는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따라 출력된 상기 전류 출력값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대한 보상은 회전부의 기하 중심을 기준으로 질량 중심의 편심된 거리와 방향(각도)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므로, 회전부의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 대한 제어를 위하여 제어부(500)가 X축과 Y축에 대한 전류 출력값을 출력한 후에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대한 전류 출력값의 보정을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전원부(600)는 전류 출력값 보정부(700)가 보정된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면, 이를 입력 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하여 제어 전류량이 최소화되는 중심점(질량 중심점)을 제어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회전부의 회전축을 회전부의 중심점에 일치 혹은 근접시킴으로써 회전부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전류 출력값 보정부(700)는 제어부(500)에서 출력된 전류 출력값(DAC)에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따른 관성 보상값(E)을 가감하여 보정된 전류 출력값(DAC_r)을 얻고, 이를 전원부(6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류 출력값 보정부(700)는 서로 교차하는 X축 내지 Y축에 대해서 아래 식에 의해서 상기 관성 보상값(E)을 산출하는 관성 보상값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여기서, β는 기하 중심에 대한 질량 중심의 거리 계수, θ는 회전부 회전시 절대 각도, θx는 X축 편심 각도(X축 편심 오프셋값), θy는 Y축 편심 각도(Y축 편심 오프셋값)이다.
전류 출력값은 X축과 Y축 각각에 대해서 출력되어, X축 전류 출력값과 Y축 전류 출력값에 대응하는 제어 전류가 X축 수평 위치 제어 코일과 Y축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인가되는데, 회전부가 회전하면 X축 제어전류와 Y축 제어전류가 sin/cos인의 형태로 나타난다(90도 위상차). X축 제어전류 총량과 Y축 제어전류 총량의 합이 최소가 되는 각도를 각각 X축 편심 각도(θx), Y축 편심 각도(θy)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의 절대 각도(θ)에서 회전부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0도에서 360도까지 일정 간격으로 증가하면서 측정되는 X축 제어전류 총량과 Y축 제어전류 총량이 최소화되는 각도로 X축 편심 각도(θx), Y축 편심 각도(θy)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 X축 편심 각도(θx), Y축 편심 각도(θy)는 회전부 중심점의 움직임이 최소가 되고, 전류총량도 최소가 되는 각도이다.
전류 출력값 보정부(700)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보정된 전류 출력값 변화의 진폭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거리 계수(β)를 결정하는 거리 계수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X축 편심 각도(θx), Y축 편심 각도(θy)를 결정하여 반영한 X축 내지 Y축에 대해서 상기 관성 보상값(E)을 산출하는 상기 식에 거리 계수(β)를 변화시키면서 얻은 보정된 전류 출력값(DAC_r)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나타내면 보정된 전류 출력값(DAC_r) 변화의 진폭이 최소이 되는 순간이 있는데, 이때의 거리 계수(β)를 사용하여 관성 보상값(E)를 얻을 수 있다(도 9 참조).
도 7의 (a)는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대한 보상을 하지 않고 회전부의 수평 위치를 제어한 경우에 얻어진 회전부의 회전 중심 위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의 (b)는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대한 보상을 한 후에 회전부의 수평 위치를 제어한 경우에 회전부의 회전 중심 위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대한 보상을 하지 않은 경우는 회전부의 회전 중심 위치는 원점(중심점)에 대해서 X축과 Y축으로 약 ±90㎛ 정도 흔들렸으나,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대한 보상을 하지 않은 경우는 회전부의 회전 중심 위치는 원점(중심점)에 대해서 X축과 Y축으로 약 ±25㎛ 정도 흔들려서, 회전부의 진동이 약 4배정도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는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공형의 회전부(100); 상기 회전부(10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부(100)의 외측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부(100)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220)과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100)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230)을 구비하는 고정부(200);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수평 변위 센서부(300); 측정된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변위값을 상기 회전부의 형상공차에 따라 보정하는 변위값 보정부(400); 입력되는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는 제어부(500); 출력된 상기 전류 출력값을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따라 보정하는 전류 출력값 보정부(700); 및 보정된 전류 출력값을 입력 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하는 전원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자기부상 회전 장치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되는 사항들은 생략하도록 한다.
자기부상 회전 장치의 회전부(100)는 형상 공차에 의한 회전 불안정과 질량 중심 편심에 의한 회전 불안정을 동시에 갖게 되므로, 본 발명의 자기부상 회전 장치는 앞서 살펴본 변위값 보정부와 전류 출력값 보정부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에서 수평방향 변위값과 전류 출력값을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9에서 빨간색과 하늘색은 수평방향 변위값이고, 짙은 청색과 옅은 청색은 전류 출력값을 나타낸다. 도 9의 (a)는 형상 보정 계수(α)와 거리 계수(β)가 '0'으로서 형상 공차 혹은 질량 중심 편심에 대한 보상을 하지 않은 경우의 수평방향 변위값과 전류 출력값 변화이고, 도 9의 (b)와 (c)는 형상 보정 계수(α)와 거리 계수(β)를 변화시키면서 얻은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과 보정된 전류 출력값 변화를 나타낸다. 도 9의 (b)에서 알 수 있듯이 형상 공차 및 질량 중심 편심에 대한 보상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수평방향 변위값과 전류 출력값 변화의 진폭이 상당히 줄어드는 거을 확인할 수 있다. 수평방향 변위값과 전류 출력값 변화의 진폭이 줄어들면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 제어가 안정화되고 회전부가 튀지 않고 부드럽게 회전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진동을 효과적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형상 공차 혹은 질량 중심 편심에 대한 보상을 과도하게 하면, 수평방향 변위값과 전류 출력값 변화의 진폭이 다시 증가하여 회전부의 회전 안정성이 훼손됨을 알 수 있다(도 9의 (c) 참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되는 사항들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방법은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과,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을 구비하는 고정부 내측에 제공된 중공형의 회전부를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과정(S100); 수평 변위 센서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과정(S200); 측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에 상기 회전부의 형상공차에 따른 형상 오프셋값(S)을 가감하여 수평방향 변위값을 보정하는 과정(S300);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r)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는 과정(S400); 및 상기 전류 출력값을 입력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하는 과정(S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방법의 각 과정들은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순서에 따라 수행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서 각 과정들은 반대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고 혹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를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과정(S100)과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과정(S200)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우선,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220)과,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230)을 구비하는 고정부(200) 내측에 제공된 중공형의 회전부(100)를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S100 참조).
다음으로, 회전부의 내측 혹은 외측에 등각간격으로 복수개가 제공되는 수평 변위 센서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할 수 있다(S200 참조).
그리고, 측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에 상기 회전부의 형상공차에 따른 형상 오프셋값(S)을 가감하여 수평방향 변위값을 보정할 수 있다(S300 참조).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수평 변위 센서부(300)에서 측정한 회전부의 수평방향 변위값을 그대로 이용하여 제어부(500)에서 회전부(100)의 수평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변위값 보정부(400)가 수평 변위 센서부(300)에서 측정된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변위값을 제어부(500)로 제공되기 전에 상기 회전부의 형상공차에 따라 보정하여 생성한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을 이용하여 회전부의 수평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r)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할 수 있다(S400 참조). 측정된 수평 방향 변위값에 대해서 회전부의 형상 공차를 보상하여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을 이용하여 제어부(500)에서 회전부의 수평 위치를 제어하면, 형상 공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변위값을 제외하고 실질적인 회전축의 변위만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회전부의 회전시에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류 출력값을 입력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할 수 있다(S500 참조).
한편, 상기 수평 변위 센서부는 복수(n)개로 제공되고, 수평방향 변위값을 보정하는 과정(S300)은 복수(n)중에서 i번째 수평 변위 센서부의 형상 오프셋값(S(i))을 아래 식에 의해서 산출하는 형성 오프셋값 산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17
여기서, i는 0, 1, 2, ... , n-1(복수의 수평 변위 센서부 중 임의의 기준 수평 변위 센서부를 0으로 하고, 원주를 따라 일방향으로 순서대로 부여된 정수), α는 형상 보정 계수, θ는 회전부 회전시 절대 각도, θe는 회전부 회전시 진동이 최소가 되는 위상 오프셋값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방향 변위값을 보정하는 과정(S300)은 위상 오프셋값(θe)를 상기 회전부를 회전하면서 복수의 수평 변위 센서부에서 측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각도로 결정하는 위상 오프셋값 결정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상 오프셋값을 0도부터 360도까지 변화시켜면서 시간에 따라(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수평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면 모든 수평 변위 센서부의 수평방향 변위값(G)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의 총합(오렌지색으로 표시)이 최소가 되는 각도 구간이 존재한다. 모든 수평 변위 센서부의 수평방향 변위값(G)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의 총합(오렌지색으로 표시)이 최소가 되는 각도를 회전부 회전시 진동이 최소가 되는 위상 오프셋값(θe)로 결정하여 형상 오프셋값(S(i))을 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수평방향 변위값을 보정하는 과정(S300)은 형상 보정 계수(α)를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 변화의 진폭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결정하는 형상 보정 계수 결정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형상 보정 계수(α)를 변화시키면서 제어부(500)에 입력되는 입력값(즉, 변위값 보정부에서 출력되는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_r))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나타내면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_r) 변화의 진폭이 최소이 되는 순간이 있는데, 이때의 형상 보정 계수(α)를 사용하여 형상 오프셋값(S)를 얻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와 자기부상 회전 방법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되는 사항들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방법의 각 과정들은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순서에 따라 수행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서 각 과정들은 반대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고 혹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방법은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220)과,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230)을 구비하는 고정부(200) 내측에 제공된 중공형의 회전부(100)를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과정(S600); 상기 회전부(100)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과정(S700); 상기 수평방향 변위값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는 과정(S800); 출력된 상기 전류 출력값(DAC)에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따른 관성 보상값(C)을 가감하여 전류 출력값을 보정하는 과정(S900); 및 보정된 전류 출력값을 입력 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하는 과정(S100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를 부상하여 회전시키는 과정(S600)과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과정(S700) 각각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방법에서 (S100)과정과 (S200)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과정 이후에 측정된 수평방향 변위값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할 수 있다(S800 참조).
이후에 출력된 상기 전류 출력값(DAC)에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따른 관성 보상값(C)을 가감하여 전류 출력값을 보정할 수 있다(S900 참조).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대한 보상은 회전부의 기하 중심을 기준으로 질량 중심의 편심된 거리와 방향(각도)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므로, 회전부의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 대한 제어를 위하여 제어부(500)가 X축과 Y축에 대한 전류 출력값을 출력한 후에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대한 전류 출력값의 보정을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보정된 전류 출력값(DAC_r)을 입력 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할 수 있다(S1000 참조). 이를 통해서 회전부의 회전축을 회전부의 중심점에 일치 혹은 근접시킴으로써 회전부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전류 출력값을 보정하는 과정(S900)은 서로 교차하는 X축 내지 Y축에 대해서 관성 보상값(C)을 아래 식에 의해서 산출하는 관성 보상값 산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여기서, β는 기하 중심에 대한 질량 중심의 거리 계수, θ는 회전부 회전시 절대 각도, θx는 x축 편심 각도(x축 편심 오프셋값), θy는 y축 편심 각도(y축 편심 오프셋값)이다.
또한, 전류 출력값을 보정하는 과정(S900)은 거리 계수(β)를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보정된 전류 출력값 변화의 진폭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결정하는 거리 계수 결정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X축 내지 Y축에 대해서 상기 관성 보상값(E)을 산출하는 상기 식에 거리 계수(β)를 변화시키면서 얻은 보정된 전류 출력값(DAC_r)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나타내면 보정된 전류 출력값(DAC_r) 변화의 진폭이 최소이 되는 순간이 있는데, 이때의 거리 계수(β)를 사용하여 관성 보상값(E)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장치에 의하면, 중공형 회전부(Rotor)의 형상 공차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따른 런아웃 오차를 보상하여 회전부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회전부의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의 회전시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과 소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회전부의 수평 위치 이동을 위해서 사용되는 전자석에 걸리는 부하를 적절히 관리하여 회전부의 속도와 위치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량이 줄고, 제어 코일의 턴수와 직경 등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회전부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피회전체(예를 들어 반도체 웨이퍼)의 경우 회전부의 런아웃 오차로 인해 불안정한 회전을 하게 되면 반경 방향으로 밀림 현상이나 회전 방향으로 슬립현상 등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별도의 복잡한 장치 없이도 런아웃 오차를 보상함으로써 피회전체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사용한 "~ 상에"라는 의미는 직접 접촉하는 경우와 직접 접촉하지는 않지만 상부 또는 하부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상부면 또는 하부면 전체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위치상 떨어져 대향하거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직접 접촉한다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회전부 110: 서포트 링
120: 에지링 200: 고정부
211, 212: 자기 코어 220: 영구 자석
230: 수평 위치 제어 코일 240: 기울기 제어 코일
250: 수직 위치 제어 코일 300: 수평 변위 센서부
400: 변위값 보정부 500: 제어부
600: 전원부 700: 전류 출력값 보정부

Claims (16)

  1.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공형의 회전부;
    상기 회전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부의 외측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부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과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을 구비하는 고정부;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수평 변위 센서부;
    측정된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변위값을 상기 회전부의 형상공차에 따라 보정하는 변위값 보정부;
    입력되는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류 출력값을 입력 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자기부상 회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위값 보정부는,
    수평 변위 센서부에서 측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에 상기 회전부의 형상공차에 따른 형상 오프셋값(S)을 가감하여 얻어진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_r)을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자기부상 회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 변위 센서부는 복수(n)개로 제공되고,
    상기 변위값 보정부는,
    복수(n)중에서 i번째 수평 변위 센서부의 형상 오프셋값(S(i))을 아래 식에 의해서 산출하는 형상 오프셋값 산출부를 포함하는 자기부상 회전 장치.
    Figure pat00020

    여기서, i는 0, 1, 2, ... , n-1(복수의 수평 변위 센서부 중 임의의 기준 수평 변위 센서부를 0으로 하고, 원주를 따라 일방향으로 순서대로 부여된 정수), α는 형상 보정 계수, θ는 회전부 회전시 절대 각도, θe는 회전부 회전시 진동이 최소가 되는 위상 오프셋값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위값 보정부는,
    위상 오프셋값(θe)을 상기 회전부를 회전하면서 복수의 수평 변위 센서부에서 측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각도로 결정하는 위상 오프셋값 결정부를 포함하는 자기부상 회전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위값 보정부는,
    형상 보정 계수(α)를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 변화의 진폭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결정하는 형상 보정 계수 결정부를 포함하는 자기부상 회전 장치.
  6.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공형의 회전부;
    상기 회전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부의 외측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부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과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을 구비하는 고정부;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수평 변위 센서부;
    입력되는 상기 수평방향 변위값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는 제어부;
    출력된 상기 전류 출력값을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따라 보정하는 전류 출력값 보정부; 및
    보정된 전류 출력값을 입력 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자기부상 회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류 출력값 보정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전류 출력값(DAC)에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따른 관성 보상값(E)을 가감하여 얻어진 보정된 전류 출력값(DAC_r)을 상기 전원부에 제공하는 자기부상 회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류 출력값 보정부는,
    서로 교차하는 X축 내지 Y축에 대해서 아래 식에 의해서 상기 관성 보상값(E)을 산출하는 관성 보상값 산출부를 포함하는 자기부상 회전 장치.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여기서, β는 기하 중심에 대한 질량 중심의 거리 계수, θ는 회전부 회전시 절대 각도, θx는 x축 편심 각도(x축 편심 오프셋값), θy는 y축 편심 각도(y축 편심 오프셋값)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류 출력값 보정부는,
    거리 계수(β)를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보정된 전류 출력값 변화의 진폭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결정하는 거리 계수 결정부를 포함하는 자기부상 회전 장치.
  10.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과,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을 구비하는 고정부 내측에 제공된 중공형의 회전부를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과정;
    수평 변위 센서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과정;
    측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에 상기 회전부의 형상공차에 따른 형상 오프셋값(S)을 가감하여 수평방향 변위값을 보정하는 과정;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r)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전류 출력값을 입력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자기부상 회전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평 변위 센서부는 복수(n)개로 제공되고,
    상기 수평방향 변위값을 보정하는 과정은,
    복수(n)중에서 i번째 수평 변위 센서부의 형상 오프셋값(S(i))을 아래 식에 의해서 산출하는 형성 오프셋값 산출 과정을 포함하는 자기부상 회전 방법.
    Figure pat00023

    여기서, i는 0, 1, 2, ... , n-1(복수의 수평 변위 센서부 중 임의의 기준 수평 변위 센서부를 0으로 하고, 원주를 따라 일방향으로 순서대로 부여된 정수), α는 형상 보정 계수, θ는 회전부 회전시 절대 각도, θe는 회전부 회전시 진동이 최소가 되는 위상 오프셋값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 변위값을 보정하는 과정은,
    위상 오프셋값(θe)를 상기 회전부를 회전하면서 복수의 수평 변위 센서부에서 측정된 수평방향 변위값(G)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각도로 결정하는 위상 오프셋값 결정 과정을 포함하는 자기부상 회전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기 수평방향 변위값을 보정하는 과정은,
    형상 보정 계수(α)를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보정된 수평방향 변위값 변화의 진폭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결정하는 형상 보정 계수 결정 과정을 포함하는 자기부상 회전 방법.
  14.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과,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흡인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 위치 제어 코일을 구비하는 고정부 내측에 제공된 중공형의 회전부를 자기력에 의해서 부상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과정;
    상기 회전부의 수평 방향 변위값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수평방향 변위값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전류 출력값을 출력하는 과정;
    출력된 상기 전류 출력값(DAC)에 회전부 질량 중심의 편심에 따른 관성 보상값(C)을 가감하여 전류 출력값을 보정하는 과정; 및
    보정된 전류 출력값(DAC_r)을 입력 받아 제어 전류를 상기 수평 위치 제어 코일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자기부상 회전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류 출력값을 보정하는 과정은,
    서로 교차하는 X축 내지 Y축에 대해서 관성 보상값(C)을 아래 식에 의해서 산출하는 관성 보상값 산출 과정을 포함하는 자기부상 회전 방법.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여기서, β는 기하 중심에 대한 질량 중심의 거리 계수, θ는 회전부 회전시 절대 각도, θx는 x축 편심 각도(x축 편심 오프셋값), θy는 y축 편심 각도(y축 편심 오프셋값)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전류 출력값을 보정하는 과정은,
    거리 계수(β)를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보정된 전류 출력값 변화의 진폭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결정하는 거리 계수 결정 과정을 포함하는 자기부상 회전 방법.
KR1020210180678A 2021-12-16 2021-12-16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방법 KR20230091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678A KR20230091507A (ko) 2021-12-16 2021-12-16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방법
PCT/KR2022/018140 WO2023113262A1 (ko) 2021-12-16 2022-11-16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방법
TW111146786A TW202333171A (zh) 2021-12-16 2022-12-06 磁懸浮旋轉裝置以及磁懸浮旋轉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678A KR20230091507A (ko) 2021-12-16 2021-12-16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507A true KR20230091507A (ko) 2023-06-23

Family

ID=8677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678A KR20230091507A (ko) 2021-12-16 2021-12-16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91507A (ko)
TW (1) TW202333171A (ko)
WO (1) WO202311326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030A (ko) 2000-06-09 2001-12-15 마에다 시게루 기판 회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8137A (en) * 1995-10-26 1998-10-06 Satcon Technology, Inc. Integrated magnetic levitation and rotation system
JP3923696B2 (ja) * 1999-07-19 2007-06-06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回転装置
JP5533335B2 (ja) * 2009-07-22 2014-06-2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処理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JP5279890B2 (ja) * 2011-12-29 2013-09-04 株式会社大阪真空機器製作所 ラジアル方向制御器及び、それが適用された磁気軸受装置
CN104467545B (zh) * 2013-09-12 2018-04-17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磁悬浮***的轴控制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030A (ko) 2000-06-09 2001-12-15 마에다 시게루 기판 회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13262A1 (ko) 2023-06-22
TW202333171A (zh)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0987B2 (ja) 磁気スピンドル軸受を伴うロボット駆動装置
JP4165903B2 (ja) 集積された磁気浮揚及び回転装置
KR101691518B1 (ko) 감소된 복잡성을 갖는 블러시가 없는 자가 베어링 dc 모터
JP5421255B2 (ja) 揚上機能および低コギングの特性を伴うモータ固定子
KR20100051621A (ko) 셀프 베어링 모터를 위한 위치 피드백
JP5387760B2 (ja) θZ駆動装置およびステージ装置
CN113422539B (zh) 一种磁悬浮旋转运动装置
US20120038233A1 (en) Magnetic bearing, a rotary stage, and a reflective electron beam lithography apparatus
CN116325455A (zh) 电动机器装置
KR20230091506A (ko)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기판 처리 장치
CN114221580B (zh) 磁悬浮装置以及转子位置调节方法
KR20230091507A (ko)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자기부상 회전 방법
KR102424177B1 (ko) 자기부상 회전 장치 및 진공 처리 장치
WO2021014679A1 (ja) 磁気浮上ステージ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荷電粒子線装置または真空装置
TWI442672B (zh) 具有提升能力及降低頓轉特性的馬達
JP2004316756A (ja) 5軸制御磁気軸受
KR101773417B1 (ko) 자동 평형 장치
CN220254374U (zh) 磁悬浮装置及半导体加工设备
JP6017506B2 (ja) 磁気スピンドル軸受を伴うロボット駆動装置
JP4300344B2 (ja) 磁気軸受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23164058A (ja) 転写装置および物品製造方法
JP2023164057A (ja) 転写装置および物品製造方法
KR20230153268A (ko) 전자기 장치, 위치 맞춤 장치 및 물품제조방법
CN116979833A (zh) 磁悬浮装置及磁悬浮转台
JPH05122892A (ja) 直線動磁気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