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399A - dust coll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dust collec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399A
KR20230089399A KR1020210177998A KR20210177998A KR20230089399A KR 20230089399 A KR20230089399 A KR 20230089399A KR 1020210177998 A KR1020210177998 A KR 1020210177998A KR 20210177998 A KR20210177998 A KR 20210177998A KR 20230089399 A KR20230089399 A KR 20230089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st
air
housing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지원
유현선
손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7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399A/en
Publication of KR2023008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3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5Suction cleaners or attachments adapted to collect dust or waste from pow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ounting of a cordless vacuum cleaner and the purification of indoor air to be selectively performed, and allows indoor air to be sucked in from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n discharged to the top through a suction part.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ir purifier to collect dust in a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or to purify indoor air, as needed. As a result, a first suction part can be used continuously.

Description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dust collecting device}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dust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무선 청소기의 먼지통 비움과 거치 보관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먼지 수거운전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 실내 공기의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new type of vacuum cleaner capable of purifying indoor air when a dust collection operation is not performed while performing functions for emptying and storing a dust bin of a cordless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공기 흡입력을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수집하고 공기만 배출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sucked air using air suction force and performs cleaning while discharging only air.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전원선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으면서 모터를 구동하는 유선 청소기와, 배터리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무선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Such a vacuum cleaner may be divided into a wired cleaner that drives a motor while being supplied with electricity through a power line, and a wireless cleaner that drives a motor using a battery.

상기 무선 청소기의 경우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기능과 해당 무선 청소기를 거치하여 보관하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충전 거치대가 제공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wireless cleaner, a charger for continuously charging the battery is required. 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a charging cradle is provided that simultaneously performs the function of a charger for charging a battery of a wireless cleaner and a function of a charging station for holding and storing the corresponding wireless cleaner.

상기한 무선 청소기의 충전 거치대에 관련하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63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638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27318호가 제공되고 있다.Regarding the charging cradle of the wireless vacuum cleane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26379,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26387,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27318 are provided.

특히,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02057호의 기술과 같이 충전 거치 스테이션(도킹 스테이션) 내에 팬모터를 구비하여 무선 청소기가 먼지통에 집진한 이물질을 충전 거치대 내의 수거 공간에 수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충전 거치대 내에 흡입장치가 포함되는 기술의 경우 무선 청소기가 충전 거치대에 결합될 때 동작되면서 먼지통 내에 집진된 이물질을 수거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수시로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In particular, recently, as in the technology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02057, a fan motor is provided in the charging station (docking station) so that the wireless cleaner can collect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bin in the collection space in the charging cradle. . That is, in the case of the technology in which the suction device is included in the charging cradle, the wireless cleaner is operated when coupled to the charging cradle to collect dust collected in the dust bin. Accordingly, the user's inconvenience of having to empty the dust bin frequently can be eliminated.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의 경우 먼지통 내의 이물질을 수거하지 않는 나머지 시간 동안에는 팬모터가 전혀 사용되지 않는 비사용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먼지통 내의 이물질 수거시에만 일시적으로 흡입장치가 동작될 뿐 그 이외의 상황에서 상기 팬모터는 대기 상태로만 유지된다. 이로써, 해당 충전 거치대의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사용이 많지 않아 사용자의 불만이 발생되었던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fan motor is not used at all during the remaining time during which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bin are not collected. That is, the suction device is temporarily operated only when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in the dust bin, and the fan motor is maintained only in a standby state in other situations. As a result, despite the high price of the corresponding charging cradle,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user dissatisfaction occurred because there was not much use.

특히, 먼지의 수거를 위해 사용되는 팬모터는 빠른 먼지의 흡입을 위해 고용량의 모터가 사용됨을 고려한다면 간헐적인 사용으로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fan motor used for dust collec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efficient due to intermittent use, considering that a high-capacity motor is used for fast dust suction.

한편, 종래에는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기 청정기가 별도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사용 목적이나 처리 용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공되고 있다.Meanwhile, conventionally,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indoor air is provided separately. These air purifiers are provided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r processing capacity.

하지만,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단독의 제품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구입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is used as a single product,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urchase cost is high.

더욱이, 종래에는 전술된 충전 거치대와 공기 청정기가 각각 별개로 제공되기 때문에 각 기기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다.Moreover, since the charging cradle and the air purifier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separately in the prior ar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a space for installing each device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637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2637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638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2638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2731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27318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0205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02057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청소기의 거치를 위한 거치 스테이션이 공기 청정기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거치 스테이션 내에 제공되는 팬모터의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mounting station for mounting a wireless cleaner to also function as an air cleaner. That is, the usability of the fan motor provided in the mounting station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먼지 수거를 위한 유로와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가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 청정기로의 사용시 더욱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cleaner air when used as an air purifier by allowing a flow path for dust collection and a flow path for sucking indoor air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화된 공기가 실내의 상측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by allowing purified air to be discharged to an upper space inside the room.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화된 공기가 실내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거치 스테이션 내에 구비된 팬모터의 흡입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suction power loss of a fan motor provided in a station by allowing purified air to be smoothly discharged into a roo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하우징 내에는 서로 다른 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먼지통으로부터 수거되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의 유동과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기의 유동이 서로 구분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wo different flow paths may be formed in the main housing. Accordingly, a flow of air containing dust collected from the dust bin and a flow of air for purifying indoor air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하우징 내에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는 제1흡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하우징은 청소기의 먼지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먼지 수거장치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uction unit generating an air suction force may be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Accordingly, the main housing may function as a dust collection device that sucks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하우징의 어느 한 면에는 흡입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실내 공기가 제1흡입부의 흡입력으로 메인하우징 내에 흡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ction opening may be formed on either side of the main housing. Accordingly, indoor air may be sucked into the main housing by the suction force of the first suction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개구는 메인하우징의 어느 한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하우징의 둘레에 부유하는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opening may be formed on any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housing. As a result, dust floating around the main housing can be sucked in.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개구는 메인하우징의 전면 중 장착부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실내의 상측 공간을 부유하는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ake opening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housing. As a result, dust floating in the upper space inside the room can be sucked in.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하우징 내에는 장착부의 개방된 후면으로부터 제1흡입부에 이르기까지 먼지의 수거를 위한 제1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flow path for collecting dust may be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from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unit to the first suction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하우징에는 메인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흡입개구로부터 제1흡입부에 이르기까지 실내 공기의 흡입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2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flow path for guiding the intake flow of indoor air from the intake opening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to the first intake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하우징의 어느 한 면에는 배출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정화된 공기는 원하는 방향을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charge opening may be formed on either side of the main housing. Thus, the purified air can be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a desired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유로는 일단이 장착부의 개방된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청소기의 먼지통에 수집된 먼지는 제1유로를 따라 수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first passage may be connected to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unit. Accordingly,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may be collected along the first passage.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유로의 타단은 집진하우징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청소기의 먼지통에 수집된 먼지는 집진하우징 내의 집진통에 저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flow path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housing. Accordingly,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may be stored in the dust collection bin in the dust collection housing.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유로는 일단이 흡입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흡입부의 공기 흡입력으로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low path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housing. Accordingly, indoor air may be sucked by the air suction force of the first suction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개구에는 실내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공기 청정기로 사용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opening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for removing dust sucked from the room. Accordingly,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an be used as an air purifier.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하우징과 흡입하우징 사이를 지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제3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흡입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는 먼지가 포함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filter for removing dust passing between the dust collecting housing and the suction housing may be provided. As a result, dust is not includ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housing.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하우징의 공기 유출측에 제3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재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filter may be provided on the air outlet side of the suction housing. In this way, foreign substances in the discharged air can be removed again.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개구에는 토출베인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흡입개구를 향하지 않도록 안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opening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vane. As a result,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can be guided so as not to face the intake opening.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하우징 내에는 제1유로 및 제2유로와는 별개의 제3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흡입부를 지나 배출개구로 배출되는 공기 유동이 안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flow path separate from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may be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As a result, the flow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ion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opening can be guided.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개구는 메인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하우징 내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는 실내의 상측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opening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As a result, the air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main housing may be discharged to the upper space inside the room.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개구는 탑커버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청정기로의 기능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배출개구가 개방됨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opening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top cover. This can prevent the discharge opening from opening when the function as an air cleaner is not used.

본 발명에 따르면, 제3유로는 메인하우징 내의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하우징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passage may be formed on a wall surface of the main hous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main housing.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유로는 제1유로와 제3유로 사이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하우징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low path may be formed to pass between the first flow path and the third flow path.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main housing.

본 발명에 따르면, 제3유로에는 제2흡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부족한 정압성능이 회복될 수 있어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suction unit may be provided in the third flow path. As a result, insufficient static pressure performance can be recovered, so that th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can be increased.

본 발명에 따르면, 제3유로 내부는 살균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3유로 내를 지나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이 살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third passage may be configured to be sterilized. As a result, contaminant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passage can be sterilized.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하우징은 상단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하단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housing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end an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end.

본 발명에 따르면, 제3유로의 일단은 흡입하우징 하단의 배출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흡입하우징 하단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메인하우징의 상측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third flow path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opening at the bottom of the suction housing.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to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housing may be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main housing.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개구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3유로를 통한 공기나 먼지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opening may be configured to be openable and openable. Accordingly, a reverse flow of air or dust through the third passage may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개구는 먼지 수거를 위한 운전시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opening may be configured to be closed during operation for dust coll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제3유로의 공기 유출측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outlet side of the third passage may be formed inclined toward the fron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필요에 따라 청소기의 먼지통에 대한 먼지 수거 혹은,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기 청정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흡입부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ir purifier for collecting dust in a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or purifying indoor air, if necessary. Thus, the first suction unit can be continuously used.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실내 공기가 메인하우징의 상단측 부위에서 흡입되기 때문에 실내 바닥에 쌓인 먼지의 날림이나 흡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housing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dust accumulated on the indoor flo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lown away or sucked in.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2흡입부가 제1흡입부와 함께 동작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청정기로의 사용시 넓은 면적의 공기 정화가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uction unit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together with the first suction unit, it is possible to purify air in a large area when used as an air purifier.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흡입개구가 메인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ction opening formed on the front of the main housing, it is possible to suck in and purify front air.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배출개구가 메인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실내의 상측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opening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charge air into the upper space of the room.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배출개구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흡입개구로 곧장 흡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Further,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is directed upward,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sucked into the suction open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탑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중 받침덮개의 동작을 위한 구조 및 조작동작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메인하우징 및 제1유로의 일부를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제3유로를 추가로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중 받침덮개의 동작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중 받침덮개의 동작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2은 도 6의 “B”부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중 제3유로의 공기 출구측 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각 유로에 대한 배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먼지 수거시 조작동작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실내 공기 정화를 위한 운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단면도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이루는 개폐판의 각 운전별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각 운전별 제1유로와 제2유로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각 운전별 배출덕트와 제3유로의 연결 부위에 대한 개폐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terior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top cover is opened;
3 is a front view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parts of a main housing and a first flow path are omitted in order to explain a structure for operating a base cover and a structure of an operating unit in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third flow path is additionally omitted in FIG. 5
7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6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of main parts of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base cover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base cover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6
1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ir outlet side of the third flow path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each flow path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to 18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perating states of the operating unit when collecting dust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for purifying indoor air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and 23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main parts of the opening/closing plate constituting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each operation state;
24 and 2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pen and closed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for each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and 27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n/closed state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scharge duct and the third flow path for each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7 attached.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사용하는 청소기는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는 무선 청소기가 될 수 있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 vacuum cleaner using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attery-powered wireless cleaner.

예컨대, 상기 청소기(10)는 흡입모터(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된 청소기 본체(11), 배터리(도시는 생략됨)가 수용되는 배터리 하우징(12), 연장관(13) 및 흡입노즐(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11)에는 상기 흡입노즐(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집진되는 먼지통(15)이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leaner 10 includes a cleaner body 11 equipped with a suction motor (not shown), a battery housing 12 accommodating a battery (not shown), an extension tube 13, and a suction nozzle 14 ). The cleaner body 11 may include a dust container 15 in which dust included in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14 is collected.

상기 먼지통(15)은 바닥면(도면상 우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바닥면에는 먼지통덮개(1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먼지통덮개(16)는 탄성부재(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상기 먼지통(15)의 바닥에 탄력적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먼지통덮개(16)는 구속부(17)에 의해 상기 먼지통(15)의 바닥을 폐쇄한 상태로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구속부(17)의 구속이 해제될 경우 먼지통덮개(16)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먼지통(15)의 바닥을 완전히 개방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The dust bin 15 is formed with an open bottom surface (right side in the drawing), and a dust bin cover 16 is installed on the open bottom surface. At this time, the dust bin cover 16 is installed to rotate elastically on the bottom of the dust bin 15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In addition, the dust bin cover 16 is configured to be restrained by the restraining part 17 while the bottom of the dust bin 15 is closed. Accordingly, when the restriction of the restraining part 17 is released, the dust bin cover 16 can be operated to completely open the bottom of the dust bin 15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상기 청소기(10)의 먼지통(15)에 수집된 먼지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청정기로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dust collected in the dust bin 15 of the cleaner 10 and to provide a function of an air purifier that purifies indoor air.

이러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를 설명한다.First,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내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1 to 3 show the appearance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show an internal state of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거치될 수 있고, 상기 청소기(10)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으며, 먼지통(15) 내의 먼지를 수거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bin 15 of the cleaner 10 can be mounted, and the battery of the cleaner 10 can be charged. Dust in the dust bin 15 may be collect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메인하우징(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housing 110 .

상기 메인하우징(110)은 청소기(10)를 세워서 보관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하로 세워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housing 110 is configured to store the cleaner 10 in an upright position. The main housing 110 may have an internal space and may be formed in a vertically erected structure.

상기 메인하우징(110)에는 상기 청소기(10)의 먼지통(15)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11)가 제공된다. 상기 장착부(111)는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어느 한 둘레면에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장착부(111)는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전면에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111)의 위치는 청소기(10)의 연장관(13)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11)의 후면(먼지통의 바닥과 대향되는 면)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15)의 바닥(도면상 우측면)은 상기 장착부(111) 내의 후면(개방된 면)에 위치되도록 장착된다.A mounting portion 111 for mounting the dust container 15 of the cleaner 10 is provided on the main housing 110 . The mounting portion 111 may be concave on any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 For example, the mounting portion 111 may be reces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art 111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ipe 13 of the cleaner 10 .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11 (a surface facing the bottom of the dust bin) may be formed to be open. The bottom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dust bin 15 is mounted to be located on the rear side (open side) of the mounting part 111.

상기 장착부(111)의 후면에는 받침덮개(1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덮개(112)는 상기 장착부(111)의 개방된 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받침덮개(112)는 청소기(10)를 이루는 먼지통(15)의 먼지통덮개(16)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 support cover 112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11 . The support cover 112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11 . The support cover 112 may be operably install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ust box cover 16 of the dust box 15 constituting the cleaner 10 rotates.

첨부된 도 7 내지 도 11과 같이 상기 받침덮개(112)는 덮개 동작모터(113)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연결링크(114)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링크(114)와 함께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덮개 동작모터(113)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받침덮개(112)는 상기 장착부(111)의 개방된 후면을 개방하거나 혹은, 폐쇄하게 된다.7 to 11, the support cover 11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ink 114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ver operating motor 113 and can be operated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link 114. That is, by the operation of the cover operation motor 113, the support cover 112 opens or closes the opened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11.

상기 메인하우징(110)에는 상기 먼지통(15)의 구속부(17)를 자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동작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동작부(120)는 제어 신호의 수신시 동작되면서 상기 구속부(17)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housing 110 may include a manipulation unit 120 for automatically manipulating the restricting portion 17 of the dust bin 15 . The operation operation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restraining unit 17 while being operated upon receiving a control signal.

첨부된 도 12와 도 16 내지 도 18과 같이 상기 조작동작부(120)는 제어 신호의 수신으로 동작되는 모터(121)와, 상기 모터(121)의 모터축에 구비되는 피니언(122)과, 상기 피니언(122)에 맞물려 동작되는 랙기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랙기어(123)의 상면에는 조작돌기(124)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돌기(124)에는 상기 구속부(17)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연동부재(124a)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조작동작부(120)로 제어 신호가 제공되면 모터(121)와 랙기어(123) 및 조작돌기(124)와 연동부재(124a)의 순차적인 동작으로 구속부(17)의 구속이 해제된다.12 and 16 to 18, the operation unit 120 includes a motor 121 operated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a pinion 122 provided on a motor shaft of the motor 121, A rack gear 123 engaged with the pinion 122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an operating protrusion 12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ck gear 123, and an interlocking member 124a for releasing the restriction of the restraining part 17 may be coupled to the operating protrusion 124. Accordingly, when a control signal is provided to the operating unit 120, the restraint of the restraining unit 17 is released through sequential operations of the motor 121, the rack gear 123, the operating protrusion 124, and the interlocking member 124a. do.

상기 메인하우징(110)에는 청소기(1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부(111)에 장착될 경우 상기 청소기(10)의 배터리가 상기 충전부(130)의 충전단자에 접속되면서 배터리 충전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부(130)에 배터리가 접속되면 해당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부(111)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서 충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A charging unit 130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cleaner 10 may be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110 . That is, when the dust bin 15 of the cleaner 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11, the battery of the cleaner 1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charging part 130 so that the battery can be charged. At this time, when the battery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130, it is determined that the dust bin 15 of the cleaner 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111, and the charg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집진하우징(140)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집진하우징(140)의 제공을 통해 먼지통(15)으로부터 수거된 먼지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집진하우징(140)은 상기 장착부(111)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A dust collecting housing 1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housing 110 . That is, the dust collected from the dust bin 15 can be stored through the provision of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mounting part 111 .

상기 집진하우징(140) 내에는 집진통(141)이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집진하우징(140) 내로 유입된 먼지는 상기 집진통(141)에 집진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진통(141)은 예컨대, 종이로 이루어진 봉투로 형성될 수도 있다.A dust collection container 141 may be located in the dust collection housing 140 . As a result,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41 and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and discharg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t this time, the dust collector 141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envelope made of paper.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상면에는 제1연결공(1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공(142)에는 후술될 제1유로(181)가 연결되며, 이로써 제1유로(181)를 따라 수거되는 먼지는 상기 집진하우징(140) 내로 유입될 수 있다.A first connection hole 142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 A first flow path 181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hole 142, and thus dust collected along the first flow path 181 may flow into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제1흡입부(160)가 설치되는 흡입하우징(150)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제공을 통해 흡입부(160)의 동작으로 발생된 공기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 suction housing 150 in which a first suction unit 160 is installed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housing 110 . That is, air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unit 160 can be provided through the provision of the suction housing 150 .

상기 흡입하우징(150)은 상기 집진하우징(140)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uction housing 150 may be located below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저면과 흡입하우징(150)의 상면은 서로 마주보면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집진하우징(140)의 저면과 흡입하우징(150)의 상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집진하우징(140) 내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바닥을 통과하여 흡입하우징(150) 내로 유입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housing 15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hile facing each other.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housing 150 may be formed to be open. As a result, the air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may pass through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and b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housing 150 .

상기 집진하우징(140)과 흡입하우징(15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필터(171)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바닥면 혹은, 흡입하우징(150)의 상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상기 제1필터(171)가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first filter 171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and the suction housing 150 . For example, the first filter 171 may be installed on either a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or an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housing 150 .

상기 제1필터(171)는 상기 집진하우징(140)을 통과하여 흡입하우징(150)으로 유동되는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흡입부(160)의 구동에 의한 공기 흡입력으로 상기 집진하우징(140)을 통과하여 흡입하우징(150)으로 유동되는 공기 중의 미세 이물질은 상기 제1필터(171)에서 걸러진다.The first filter 171 serves to filter fine dust in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housing 150 through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 That is, the fine foreign matter in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housing 150 through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by the air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first suction unit 160 is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171.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저면에는 배출덕트(15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155)는 상기 흡입하우징(150) 내의 제1흡입부(160)를 통과한 공기의 배출 유동을 안내한다.A discharge duct 155 may b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housing 150 . The discharge duct 155 guides the discharge flow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suction part 160 in the suction housing 150 .

상기 배출덕트(155)는 상부로부터 공기를 제공받아 둘레면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덕트(155)의 상면은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개방된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배출덕트(155)의 어느 한 둘레 부위는 개방되면서 후술될 제3유로(183)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흡입하우징(150) 내의 흡입부(160)를 경유한 공기는 상기 배출덕트(155)의 안내를 받아 제3유로(183)로 유동될 수 있다.The discharge duct 155 may be formed to receive air from the top and discharge the air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duct 155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housing 150 . In addition, on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discharge duct 155 may be opened and connected to a third passage 183 to be described later. As a resul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art 160 in the suction housing 150 may be guided by the discharge duct 155 and flow into the third flow path 183 .

상기 메인하우징(110)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개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개구(101)는 제1흡입부(160)의 흡입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A suction opening 101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may be formed in the main housing 110 . At this time, the suction opening 10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suction force of the first suction part 160 .

상기 흡입개구(101)는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어느 한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하우징(110)의 둘레 방향에서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The suction opening 101 may be formed on any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 Accordingly, indoor air may be sucked i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housing 110 .

상기 흡입개구(101)에는 제2필터(1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172)에 의해 흡입개구(101)를 통과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필터(172)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프리필터(Pre-Filter),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헤파필터(HEPA Filter), 냄새 성분의 제거를 위한 탈취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필터(172)는 전술된 적어도 둘 이상의 필터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A second filter 172 may be provided in the suction opening 101 .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opening 101 may be removed by the second filter 172 . At this time, the second filter 172 is a pre-filter for removing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a HEPA filter for removing relatively small foreign substances, and a deodorizing filter for removing odor components. At least one may be included. Of course, the second filter 172 may be provided as a modul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r more filter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흡입개구(101)는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전면 중 장착부(11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실내의 상측 공간에 부유하는 먼지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uction opening 10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11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 As a result, dust floating in the upper space inside the room can be sucked in.

물론, 상기 흡입개구(101)는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하단측 둘레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흡입개구(101)가 실내 바닥에 가깝게 위치될 수록 실내 바닥에 쌓인 먼지까지 흡입되고, 이로써 상기 제1필터(171)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실내 바닥에 쌓인 먼지가 흩날리거나 흡입되지 않을 정도의 위치(높이)에 흡입개구(10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suction opening 101 may be formed on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 However, as the suction opening 101 is located closer to the indoor floor, dust accumulated on the indoor floor is also sucked in, and thus the life of the first filter 171 may be shortened. Considering this,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uction opening 101 at a position (height) at which dust accumulated on the indoor floor is not scattered or sucked.

상기 메인하우징(110)에는 배출개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개구(102)는 상기 메인하우징(110) 내를 경유하면서 정화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개구이다.A discharge opening 102 may be formed in the main housing 110 . At this time, the discharge opening 102 is an opening for guiding purified air to be discharged into the room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main housing 110 .

이러한 배출개구(102)는 메인하우징(110)의 어느 한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출개구(102)는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하우징(110) 내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는 실내의 상측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discharge opening 102 may be formed on one out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 For example, the discharge opening 102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 As a result, the air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main housing 110 may be discharged to the upper space inside the room.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상면에는 배출개구(102)를 개폐하는 탑커버(1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115)는 먼지 수거 기능이나 공기 청정기로의 기능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배출개구(102)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A top cover 115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opening 102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 The top cover 115 serves to close the discharge opening 102 when the dust collection function or the air purifier function is not used.

상기 배출개구(102)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다수의 토출베인(2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토출베인(210)은 해당 배출개구(102)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개구(102)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각 토출베인(210)의 안내를 받아 상부로 유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배출개구(102)를 통과한 공기가 메인하우징(110)의 전면에 위치된 흡입개구(101)로 곧장 흡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각 토출베인(210)이 유선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경우 상기 배출개구(102)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각 토출베인(210)의 표면을 타고 흐르면서 해당 토출베인(210)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ischarge vanes 210 may be provided in the discharge opening 102 to guide the direction of discharged air. At this time, each of the discharge vanes 210 may be inclined or rounded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discharge opening 102 faces upward. That i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02 is guided by the respective discharge vanes 210 and flows upward. Accordingly,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0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sucked into the intake opening 101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housing 110 . In particular, when each discharge vane 210 is formed in a streamlined and rounded shap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02 flows along the surface of each discharge vane 210 in the direction the corresponding discharge vane 210 guides. can flow smoothly.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1흡입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uction unit 160 .

상기 제1흡입부(160)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는 구성요소로써 흡입하우징(150) 내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suction unit 160 may be installed in the suction housing 150 as a component that generates air suction force.

상기 제1흡입부(160)는 흡입팬(161) 및 팬모터(1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팬모터(162)의 구동에 의한 흡입팬(161)의 회전으로 공기 흡입력이 발생된다.The first suction unit 160 may include a suction fan 161 and a fan motor 162 . That is, air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suction fan 161 by driving the fan motor 162 .

한편,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내부 공간 중 제1흡입부(160)의 공기 유출측(흡입하우징의 공기 유출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필터(173)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흡입하우징(150)의 개방된 저면에 상기 제3필터(173)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흡입부(16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3필터(173)를 지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third filter 173 may be installed on the air outlet side of the first suction unit 160 (the air outlet side of the suction hous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housing 110 . For example, the third filter 173 may be installed on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housing 150 . Accordingly, foreign substances may be filtered ou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160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filter 173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1유로(1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passage 181 .

상기 제1유로(181)는 상기 장착부(111)에 장착된 먼지통(15) 내의 이물질의 흡입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유로이다. 즉, 상기 제1유로(181)에 의해 제1흡입부(160)의 동작에 따른 공기 흡입력이 장착부(111)로 전달되고, 이로써 먼지통(15) 내의 이물질에 대한 흡입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The first passage 181 is a passage for guiding the suction flow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bin 15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11 . That is, the air suction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suction part 160 is transmitted to the mounting part 111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81, and thus the suction flow for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bin 15 is guided.

상기 제1유로(181)는 상기 메인하우징(110) 내에 구비된다. 상기 제1유로(181)는 관체로 형성되면서 일단은 상기 장착부(111)의 개방된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집진하우징(140)의 상면에 형성된 제1연결공(142)에 연결(혹은, 인접하게 위치)된다.The first passage 181 is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110 . The first flow path 181 is formed as a tubular body,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1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hole 14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or,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1유로(181)의 일단은 그의 내부에서 받침덮개(112)가 동작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장착부(111)에 장착되는 먼지통(15)의 먼지통덮개(16)가 개방될 수 있을 정도의 제1유로(181)의 일단에 대한 폭과 깊이가 결정된다.One end of the first passage 181 may be formed to have a space enough to allow the support cover 112 to operate therein. That is, the width and depth of one end of the first passage 181 to the extent that the dust box cover 16 of the dust box 15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11 can be opened is determined.

상기 제1유로(181)는 공기 유입측과 공기 유출측의 유로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유로(181)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유로가 협소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먼지통(15)으로부터 배출되는 먼지가 집진통(141)에 원활히 집진될 수 있다.In the first flow path 181 , air inlet and air outlet flow paths may have different sizes. For example, the first flow path 18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low path gradually narrow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Due to this structure, the dust discharged from the dust bin 15 can be smoothly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in 141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2유로(1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 passage 182 .

상기 제2유로(182)는 흡입개구(101)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흡입 유동을 안내하는 유로이다. 즉, 상기 제2유로(182)에 의해 제1흡입부(160)의 동작에 따른 공기 흡입력이 흡입개구(101)로 전달되고, 이로써 실내 공기가 흡입개구(101)로 흡입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flow path 182 is a flow path for guiding the intake flow of indoor air sucked into the intake opening 101 . That is, the air suction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suction part 160 is transferred to the suction opening 101 by the second flow path 182, and thus indoor air can be sucked into the suction opening 101.

상기 제2유로(182)는 상기 메인하우징(110) 내에 구비된다. 상기 제2유로(182)는 덕트로 형성되면서 일단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흡입개구(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하우징(15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유로(182)의 타단은 상기 흡입하우징(150)의 상면(혹은, 상단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2연결공(152)을 관통하여 흡입하우징(150) 내에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passage 182 is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110 . The second passage 182 is formed as a duct,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101 of the main housing 1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housing 150.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ssage 182 penetrates the second connection hole 15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housing 150 to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in the suction housing 150. ca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3유로(1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hird passage 183.

상기 제3유로(183)는 흡입부(160)를 지난 공기가 배출개구(102)로 토출되도록 토출 유동을 안내하는 유로이다. 즉, 상기 제3유로(183)에 의해 메인하우징(110) 내의 하측 공간에 위치된 제1흡입부(160)를 지난 공기가 메인하우징(110)의 상면에 위치된 배출개구(102)로 원활히 안내될 수 있게 된다.The third passage 183 is a passage for guiding the discharge flow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art 160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opening 102 . That i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suction part 160 located in the lower space in the main housing 110 by the third flow path 183 smoothly flows into the discharge opening 102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can be guided.

상기 제3유로(183)는 상기 메인하우징(110) 내에 구비된다. 상기 제3유로(183)의 일단은 상기 흡입하우징(150)에 형성된 배출덕트(155)의 공기 출구에 연결된다.The third passage 183 is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110 . One end of the third passage 183 i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of the discharge duct 155 formed in the suction housing 150 .

한편, 상기 제3유로(183)는 상기 메인하우징(110) 내의 어느 한 벽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하우징(110)의 어느 한 벽면이 상기 제3유로(183)의 일 벽면을 형성함으로써 제3유로(183)의 형성을 위한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메인하우징(110)의 크기(전후 크기)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Meanwhile, the third passage 183 may be formed along any one wall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 That is, since one wall of the main housing 110 forms one wall of the third passage 183, the space for forming the third passage 183 can be reduced. Accordingly, an increase in the size (front and rear size) of the main housing 110 can be minimized.

예컨대, 상기 제3유로(183)는 상기 메인하우징(110) 내의 후벽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제2유로(182)는 상기 제1유로(181)와 제3유로(183) 사이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14와 같다.For example, the third passage 183 may be formed along a rear wall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 In this case, the second passage 182 may be formed to pass between the first passage 181 and the third passage 183 . This is the same as the attached Figure 14.

또한, 상기 제3유로(183)에는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단(18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단(183a)은 상기 제3유로(183)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정화된 공기가 메인하우징(110)의 상면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정 각도만큼 전방을 향하여 토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실내의 더욱 먼 곳에 이르기까지 정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n inclined end 183a inclined toward the front may be formed in the third passage 183 . In this case, the inclined end 183a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third passage 183 . That is, the purified air can be discharged for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purified air to farther parts of the room.

첨부된 도 3 및 도 13과 같이 상기 제3유로(183)에는 제2흡입부(18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부(183b)는 통상의 박스팬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유로(183) 내의 부족한 정압 성능을 보충하여 유속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3유로(183)의 길이로 인해 제1흡입부(160)의 부족한 공기 토출력이 상기 제2흡입부(183b)의 구동으로 보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3 and 13, a second suction part 183b may be provided in the third passage 183. The second suction part 183b may be formed as a general box fan, and serves to increase the flow rate by supplementing the insufficient static pressure performance in the third flow path 183. That is, due to the length of the third flow path 183, the insufficient air discharge power of the first suction part 160 can be supplemented by driving the second suction part 183b.

상기 제2흡입부(183b)는 상기 제3유로(183) 중 공기 유출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제2흡입부(183b)의 교체와 같은 유지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second suction part 183b may be provided on an air outlet side of the third flow path 183 . Through this, maintenance such as replacement of the corresponding second suction unit 183b can be easily performed.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무선 청소기(10)의 거치 혹은, 먼지통(15) 내의 먼지 수거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First,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mounting the wireless cleaner 10 or for collecting dust in the dust bin 15 .

이러한 먼지통 비움을 위한 먼지 수거는,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 비움을 위한 제1동작 조건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Dust collection for emptying the dust bin may be performed when the first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first operating condition for emptying the dust bin may be variously configured.

일 예로써, 상기 제1동작 조건에는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부(111)에 장착된 상태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먼지통(15)이 장착부(111)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면 제1동작 조건은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먼지통덮개(16)를 구속하는 구속부(17)는 조작동작부(120)의 조작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놓인다.As an example, the first operating condition may include a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15 of the cleaner 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11 . That is, if the dust container 15 is not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11,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operating condition is not satisfied. At this time, the restraining part 17 that restrains the dust box cover 16 is placed in a position where it can be manipulated by the operating unit 120 .

다른 예로써, 상기 제1동작 조건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버튼(먼지통 비움을 위한 조작버튼, 도시는 생략됨)이 조작되는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시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condition in which a user manipulates an operation button (an operation button for emptying a dust bin, not shown). That is,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operat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oper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nd an operation for emptying the dust box may be performed.

또 다른 예로써, 상기 제1동작 조건에는 청소기(10)가 메인하우징(110)에 장착되어 청소기(10)의 배터리가 충전부(130)에 접속된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청소기(10)가 메인하우징(110)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도 있다. 즉, 메인하우징(110)의 장착부(111)에 청소기(10)의 먼지통(15)이 장착되면 먼지통 비움을 위한 조작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먼지통(15)의 장착 여부는 별도의 센서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operating condition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cleaner 10 is mounted on the main housing 110 and the battery of the cleaner 10 is connected to the charger 130 . That is, when the cleaner 10 is mounted on the main housing 11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That is, when the dust bin 15 of the cleaner 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11 of the main housing 11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to empty the dust bin has occurred and the operation to empty the dust bin is performed. Although not shown, whether or not the dust container 15 is installed may be checked through a separate sensor.

그리고, 상기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탑커버(115)가 개방된 배출개구(102)를 폐쇄하도록 동작된다. 만일 탑커버(115)가 배출개구(102)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일 경우에는 추가적인 동작(배출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동작)이 생략될 수 있다.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top cover 115 is operated to close the discharge opening 102 that is opened. If the top cover 115 is in a state of closing the discharge opening 102, an additional operation (operation for closing the discharge opening) may be omitted.

그리고, 상기한 제1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장착부(111)에 구비된 받침덮개(112)가 동작되면서 상기 장착부(111)의 후면 개구를 개방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15와 같다.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operat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support cover 112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111 is operated to open the rear opening of the mounting portion 111 . This is the same as the attached figure 15.

상기 받침덮개(112)가 회전되어 장착부(111)의 후면 개구가 개방된 이후에는 조작동작부(120)가 동작된다. 즉, 첨부된 도 16 내지 도 18과 같은 조작동작부(120)의 동작으로 청소기(10)의 구속부(17)가 구속 해제 위치로 동작되는 것이다. 이로써 먼지통덮개(16)의 구속이 해제됨과 동시에 해당 먼지통덮개(16)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회전되면서 먼지통(15)의 바닥면(첨부된 도 18의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우측 벽면)을 개방하게 된다.After the support cover 112 is rotated to open the rear opening of the mounting portion 111, the operating unit 120 is operated. That is, the restraint part 17 of the vacuum cleaner 10 is operated to the restraint release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operation unit 120 as shown in the attached FIGS. 16 to 18 . As a result, the restraint of the dust bin cover 16 is rel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rresponding dust bin cover 16 is momentarily rota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bin 15 (the right side wall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FIG. 18 attached) ) is opened.

상기 조작동작부(120)의 동작으로 상기 먼지통(15)이 개방된 이후에는 제1흡입부(160)의 팬모터(162)가 동작된다. 이로써 흡입팬(161)의 동작에 의한 공기 흡입력으로 상기 먼지통(15) 내에 집진된 이물질이 제1유로(181)를 따라 집진하우징(210) 내로 유동된다.After the dust container 15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20, the fan motor 162 of the first suction unit 160 is operated. As a result,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bin 15 are flowed into the dust collecting housing 210 along the first flow path 181 by air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fan 161 .

이후, 상기 공기는 상기 집진하우징(140) 내의 집진통(14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만 해당 집진통(141) 내에 집진된다. 상기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상기 집진통(141)를 통과한 후 흡입하우징(150)을 통과한다. 계속해서 상기 공기는 배출덕트(155)의 안내를 받아 제3유로(183)에 제공된 후 실내로 배출된다.Then, while the air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141 in the dust collection housing 140, only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collected in the corresponding dust collection container 141. The air from which the foreign matter has been filtered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or 141 and then through the suction housing 150 . Subsequently, the air is supplied to the third passage 183 under the guidance of the discharge duct 155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room.

상기 제1흡입부(160)의 동작은 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하여 제1흡입부(160)의 동작이 정지되면 덮개 동작모터(113)가 동작되면서 받침덮개(112)를 전진 이동시킨다. 이의 경우 상기 받침덮개(112)가 접촉된 먼지통덮개(16)도 받침덮개(112)와 함께 닫힘 방향으로 이동(전진 이동)된 후 먼지통(15)의 개방된 바닥면을 폐쇄하면서 구속부(17)에 의해 구속된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suction unit 160 may be performed for a set time.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suction unit 160 is stopped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the cover operation motor 113 is operated to move the support cover 112 forward. In this case, the dust bin cover 16 in contact with the base cover 112 is also moved (forward) along with the base cover 112 in the closing direction, and then the restraining part 17 closes the open bottom surface of the dust bin 15. ) is constrained by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공기 청정기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Next,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ir cleaner.

이러한 공기 청정기로의 사용은, 제2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로의 사용을 위한 제2동작 조건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Use as such an air purifier may be performed when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for use as the air purifier may be variously made.

제2동작 조건의 일 예로써,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가 제2동작 조건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먼지통 비움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는 도중에는 공기 청정기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As an example of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a case in which an operation for emptying the dust bin is not performed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That is, while the operation for emptying the dust bin is being performed, the function of the air purifier is not performed.

제2동작 조건의 다른 예로써, 사용자에 의한 조작버튼(공기 청정기의 기능 수행을 위한 조작버튼, 도시는 생략됨)이 조작될 경우가 제2동작 조건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시 제2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공기 청정기의 기능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a case in which a user manipulates an operating button (an operating button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an air purifier, not shown)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That is,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opera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and an operation for the function of the air purifier can be set to be performed.

제2동작 조건의 또 다른 예로써, 사용자에 의해 탑커버(115)가 개방되는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탑커버(115)를 개방할 경우 공기 청정기의 기능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a case in which the top cover 115 is opened by the user may be included. That is, when the user opens the top cover 115, an operation for the function of the air purifier may be set to be performed.

제2동작 조건의 또 다른 예로써, 먼지통 비움을 위한 운전의 종료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가 제2동작 조건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먼지통 비움을 위한 운전의 종료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수동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공기 청정기의 기능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a case where a set time elapses after the end of the operation to empty the dust box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That is, when a set time elapses after the operation for emptying the dust bin is completed, the operation for the function of the air purifier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without manual manipulation.

제2동작 조건의 또 다른 예로써, 설정 주기에 도달되는 경우가 제2동작 조건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설정된 주기가 도래되면 수동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공기 청정기의 기능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a case where the set period is reached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That is, when the set period arrives, the operation for the function of the air purifier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without manual manipulation.

그리고, 상기 제2동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는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운전이 수행된다. 즉, 상기 제2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장착부(111)에 구비된 받침덮개(112)가 동작되면서 상기 장착부(111)의 후면 개구를 폐쇄한다. 이로써 제1유로(181)로는 공기가 유동되지 않게 된다.And, when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an operation for purifying indoor air is performed. That i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support cover 112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111 is operated to close the rear opening of the mounting portion 111 . As a result, air does not flow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81 .

또한, 상기 제2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탑커버(115)가 배출개구(102)를 개방하도록 동작된다. 이로써 상기 제2유로(182) 및 제3유로(183)는 공기 유동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19와 같다.In addi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top cover 115 is operated to open the discharge opening 102 . As a result, the second flow path 182 and the third flow path 183 achieve a state in which air flow is possible. This is the same as the attached Figure 19.

또한, 상기 제2동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1흡입부(160)가 동작되면서 공기 흡입력이 발생된다. 상기 공기 흡입력은 제2유로(182)를 통해 흡입개구(101)로 전달되고, 이로써 실내 공기는 흡입개구(101)를 통해 제2유로(182)에 흡입된다.In addi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econ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air suction force is generated while the first suction unit 160 operates. The air suction force is transferred to the intake opening 101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82 , whereby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second flow path 182 through the intake opening 101 .

상기 실내 공기는 흡입개구(101)를 통과하는 도중 해당 흡입개구(101)에 위치된 제2필터(172)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져 정화된다. 즉, 상기 실내 공기는 제2필터(172)를 지나는 과정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 또는, 냄새 성분이 제거되면서 정화된다.While passing through the intake opening 101, the indoor air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er 172 located at the intake opening 101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nd purify it. That is, while the indoor air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er 172,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odor components are removed and purified.

계속해서, 상기 제2필터(172)를 지나면서 정화된 공기는 제2유로(182), 흡입하우징(150), 배출덕트(155), 제3유로(183)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배출개구(10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이로써,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기 청정기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pur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172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82, the suction housing 150, the discharge duct 155, and the third flow path 183, and then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It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102. Thus,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functions as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indoor air.

한편, 상기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가 공기 청정기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에는 제2흡입부(183b)도 함께 구동된다. 이로써 더욱 큰 공기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어서 더욱 넓은 공간에 대한 공기 정화가 가능하게 된다.Meanwhile, the second suction unit 183b is also driven while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functions as an air purifier. As a result, a greater air suction power can be provided, so that air purification for a wider space is possible.

상기 제2흡입부(183b)의 동작으로 배출덕트(155)를 통과한 후 제3유로(183)에 제공되는 공기가 상기 제3유로(183)를 따라 더욱 원활히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흡입부(160)만으로는 부족한 정압 성능이 상기 제2흡입부(183b)의 동작에 의해 보충될 수 있고, 공기는 충분한 유속을 가지면서 배출개구(102)를 통과하여 실내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Air supplied to the third flow path 183 afte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duct 155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uction part 183b can more smoothly flow along the third flow path 183 . That is, the static pressure performance insufficient only by the first suction unit 160 can be supplemen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uction unit 183b, and air can be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02 while having a sufficient flow rate. be able to

또한, 상기 제3유로(183)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제3유로(183)의 경사단(183a)이 이루는 경사 구조의 안내를 받는다. 즉, 정화된 공기는 메인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개구(10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정 각도만큼 전방을 향하여 토출된다. 이로써 실내의 더욱 먼 곳에 이르기까지 정화된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flowing along the third flow path 183 is guided by the inclined structure formed by the inclined end 183a of the third flow path 183 . That is,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forward at a certain angle whil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0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 This allows purified air to be provided even to farther parts of the room.

또한, 상기 공기가 배출개구(102)를 통과하는 도중에는 해당 배출개구(102)에 구비된 각 토출베인(210)의 표면을 타고 흐르면서 상측을 향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공기는 전술된 제3유로(183)의 상단 경사 구조에 의해 전방을 향하여 토출된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배출개구(102)를 통과한 공기가 메인하우징(110)의 전면에 위치된 흡입개구(101)로 곧장 유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while the air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02, it flows along the surface of each discharge vane 210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discharge opening 102 and is directed upward. In particular, the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front by the upper inclined structure of the third passage 183 described above. Considering thi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02 can be prevented from directly flowing into the intake opening 101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housing 110 .

그리고,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동작이 수행되는 도중 공기 청정 기능의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제1흡입부(160)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료 조건은 주변 공기가 미리 설정된 청정도에 해당될 경우, 설정 동작 시간이 경과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될 경우, 청소기 먼지통의 먼지 수거 동작이 수행될 경우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2흡입부(183b)는 단독으로 동작되거나 혹은, 제1흡입부(160)와 함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nd condition of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satisfied while an operation for purifying indoor air is being performed, driving of the first suction unit 160 may be stopped. In this case, the end condition may include any one of a case in which the ambient air corresponds to a preset cleanliness level, a case in which a set operating time has elapsed, a case in which a user's manipulation occurs, and a case in which a dust collection operation of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is performed. . At this time, the second suction unit 183b may operate independently or may be stopped together with the first suction unit 160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필요에 따라 청소기의 먼지통에 대한 먼지 수거 혹은,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기 청정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흡입부(160)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ir purifier for collecting dust from a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or purifying indoor air, if necessary. Thus, the first suction unit 160 can be continuously used.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실내 공기가 메인하우징(110)의 상단측 부위에서 흡입되기 때문에 실내 바닥에 쌓인 먼지의 날림이나 흡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ndoor air is sucked in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housing 110, dust accumulated on the indoor flo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lown away or sucked in.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제2흡입부(183b)가 제1흡입부(160)와 함께 동작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청정기로의 사용시 넓은 면적의 공기 정화가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uction part 183b can be operated together with the first suction part 160,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urify air in a large area when used as an air cleaner.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흡입개구(101)가 메인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opening 10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ck in and purify front air.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배출개구(102)가 메인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실내의 상측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opening 10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charge air into the upper space of the room.

또한,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배출개구(102)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흡입개구(101)로 곧장 흡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02 is directed upward,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sucked into the suction opening 101 .

한편,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전술된 제1실시예와는 달리 다양한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이를 각 형태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un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of each form is as follows.

첨부된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가 도시되고 있다.20 shows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하우징(110) 내에 살균모듈(1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116)은 제2필터(172)를 통과한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rilization module 116 may be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110 . The sterilization module 116 serves to sterilize contaminant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172 .

상기 살균모듈(116)은 살균용 자외선(UVC)를 조사하는 UV LED를 포함하는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116)은 제2유로(182) 혹은, 제3유로(183)의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살균모듈(116)의 제공에 의해 제2필터(172)를 통과한 후 제2유로(182) 혹은, 제3유로(183)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의 각종 세균이 제거될 수 있다. 실시예의 도면에서와 같이 제2유로(182)와 제3공기유(183)로 모두에 상기 살균모듈(116)이 제공될 수도 있다.The sterilization module 116 may be composed of a substrate including a UV LED irradiating ultraviolet (UVC) for sterilization. The sterilization module 116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part of the inside of the second flow path 182 or the third flow path 183 . That is, by providing the sterilization module 116, various bacteria in the air flowing along the second flow path 182 or the third flow path 183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172 can be removed. As shown in the drawing of the embodiment, the sterilization module 116 may be provided to both the second flow path 182 and the third air oil 183.

다음으로, 첨부된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가 도시되고 있다.Next, attached FIGS. 21 to 23 illustrate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흡입하우징(150)과 제2유로(182)의 연결 부위에는 개폐판(15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156)은 상기 흡입하우징(110)과 상기 제2유로(182)의 연결 부위를 개폐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컨대, 먼지통(15)의 먼지 수거를 위한 운전이 수행되는 도중에는 상기 개폐판(156)은 상기 연결 부위를 폐쇄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즉, 먼지 수거를 위한 운전이 수행되는 도중 흡입하우징(150)은 집진하우징(140)에만 연통되기 때문에 먼지통(15) 내의 먼지가 더욱 원활히 수거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closing plate 156 may be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uction housing 150 and the second flow path 182 . The opening/closing plate 156 may be operated to open/close a connection between the suction housing 110 and the second passage 182 . For example, while the dust bin 15 is being operated to collect dust, the opening/closing plate 156 may be operated to close the connection portion. That is, since the suction housing 150 communicates only with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while the dust coll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e dust in the dust bin 15 can be collected more smoothly.

이때, 상기 개폐판(156)은 도시되지 않은 동력원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1유로(181)와 제2유로(182) 내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동력원의 구동없이 스스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opening/closing plate 156 may be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operated using a power source not shown, and operates by itself us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flow path 181 and the second flow path 182 without driving a power source.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다음으로, 첨부된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가 도시되고 있다.Next, attached FIGS. 24 and 25 illustrate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제1유로(181)와 집진하우징(140) 간의 연결 부위에 개폐부재(310)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closing member 31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flow path 181 and the dust collecting housing 140 .

즉,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운전이 수행될 경우 상기 개폐부재(310)가 상기 연결 부위를 폐쇄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청정기로의 사용시 제2유로(182)에 제공되는 공기 흡입력의 누설이 최소화될 수 있다. That is, when an operation to purify indoor air is performed, the opening/closing member 310 may be operated to close the connection portion. Accordingly, leakage of the air suction force provided to the second passage 182 when used as an air purifier can be minimized.

상기 개폐부재(310)는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제1유로(181)와 집진통(141) 간의 연결 부위 혹은, 제2유로(18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먼지통(15)의 먼지 수거를 위한 운전시에는 제2유로(182)를 폐쇄(첨부된 도 24 참조)하고,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운전시에는 상기 제1유로(182)와 집진통(141) 간의 연결 부위를 폐쇄하도록 동작(첨부된 도 25 참조)된다.The opening/closing member 310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flow path 181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141 or the second flow path 182 while moving horizontally. For example, the second flow passage 182 is closed (refer to attached FIG. 24) when the dust bin 15 is operated to collect dust, and when operated to purify indoor air, the first flow passage 182 and the dust collection box are closed. 141 is operated to close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m (see attached FIG. 25).

다음으로, 첨부된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가 도시되고 있다.Next, attached FIGS. 26 and 27 illustrate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배출덕트(155)와 제3유로(183) 간의 연결 부위가 차단부재(320)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먼지통(15)의 먼지 수거를 위한 운전시에는 상기 차단부재(320)가 상기 연결 부위를 폐쇄(첨부된 도 26 참조)하고,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운전시에는 상기 차단부재(320)가 상기 연결 부위를 개방하도록 동작(첨부된 도 27 참조)된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discharge duct 155 and the third flow path 183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using the blocking member 320 . For example, the blocking member 320 closes the connecting portion during operation to collect dust from the dust bin 15 (see attached FIG. 26), and during operation to purify indoor air, the blocking member 320 is operated to open the connection portion (see attached FIG. 27).

이렇듯, 본 발명의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As such,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10. 청소기 11. 청소기 본체
12. 배터리 하우징 13. 연장관
14. 흡입노즐 15. 먼지통
16. 먼지통덮개 17. 구속부
110. 메인하우징 101. 흡입개구
102. 배출개구 111. 장착부
112. 받침덮개 113. 덮개 동작모터
114. 연결링크 115. 탑커버
116. 살균모듈 120. 조작동작부
121. 모터 122. 피니언
123. 랙기어 124. 조작돌기
130. 충전부 140. 집진하우징
141. 집진통 142. 제1연결공
150. 흡입하우징 152. 제2연결공
155. 배출덕트 160. 제1흡입부
161. 흡입팬 162. 팬모터
156. 개폐판 171. 제1필터
172. 제2필터 173. 제3필터
181. 제1유로 182. 제2유로
183. 제3유로 183a. 경사단
183b. 제2흡입부 210. 토출베인
310. 개폐부재 320. 차단부재
10. Cleaner 11. Cleaner body
12. Battery housing 13. Extension tube
14. Suction nozzle 15. Dust bin
16. Dust cover 17. Restraint part
110. Main housing 101. Suction opening
102. Discharge opening 111. Mounting part
112. Support cover 113. Cover motion motor
114. Connection link 115. Top cover
116. Sterilization module 120. Operating unit
121. Motor 122. Pinion
123. Rack gear 124. Operating protrusion
130. Charging part 140. Dust collection housing
141. Dust collector 142. 1st connector
150. Suction housing 152. Second connection hole
155. Discharge duct 160. First suction part
161. Suction fan 162. Fan motor
156. Opening plate 171. First filter
172. Second filter 173. Third filter
181. 1st Euro 182. 2nd Euro
183. Third Euro 183a. ramp
183 b. Second suction part 210. Discharge vane
310. Opening and closing member 320. Blocking member

Claims (20)

청소기의 먼지통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개구가 형성된 메인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제1흡입부가 구비되는 흡입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 내에 위치되며, 먼지통으로부터 수거된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통이 구비되는 집진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에 위치된 먼지통으로부터 집진하우징 내를 향해 먼지가 흡입되도록 먼지의 흡입 유동을 안내하는 제1유로;
상기 메인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개구로부터 흡입되는 실내 공기에 대한 흡입 유동을 안내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 main housing having a mounting portion to which a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is mounted, and a suction opening through which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at least one portion of the main housing;
a suction housing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and provided with a first suction unit for generating air suction force;
a dust collection housing located in the main housing and equipped with a dust collection container for collecting dust collected from the dust container;
a first passage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and guiding a suction flow of dust so that the dust is sucked from the dust bin located in the mounting part toward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housing;
and a second passage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to guide a suction flow of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opening.
제 1 항에 있어서,
흡입개구는 메인하우징의 어느 한 둘레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opening is formed on any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흡입개구는 메인하우징의 전면 중 장착부의 상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opening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개구에는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opening is provided with a filt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sucked 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일단이 장착부의 개방된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집진하우징의 상면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low path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는 일단이 흡입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하우징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low path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hous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하우징과 상기 제2유로의 연결 부위에는 해당 연결 부위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uction housing and the second passage is provid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먼지 수거를 위한 운전시 상기 연결 부위를 폐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opening/closing plate is configured to close the connecting portion during operation for collecting du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하우징은 상기 흡입하우징과 장착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집진하우징과 흡입하우징 사이에는 집진하우징을 통과하여 흡입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2필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 collecting housing is located between the suction housing and the mounting part,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filter is provided between the dust collecting housing and the suction housing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housing and flowing into the suction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하우징의 공기 유출측에는 해당 흡입하우징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필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filter is provided on the air outlet side of the suction housing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corresponding suction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실내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개구는 메인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ischarge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is formed in at least one part of the main housing;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opening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면에는 배출개구를 개폐하는 탑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1,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top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opening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실내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베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ischarge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is formed in at least one part of the main housing;
The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discharge vane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opening to guide a direction of discharged ai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베인은 상기 공기가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discharge vane is formed to be inclined or rounded so that the air is directed up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실내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하우징 내에는 배출개구로 배출되는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제3유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ischarge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is formed in at least one part of the main housing;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flow path for guiding air flow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is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로는 상기 메인하우징 내의 후벽면을 따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third passage is formed along a rear wall of the main housing.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제1유로와 제3유로 사이를 지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second flow path is formed to pass between the first flow path and the third flow path.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로에는 제2흡입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5,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uction part is provided in the third passag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로 내에는 배출되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5,
A sterilization unit for sterilizing pollutants in the discharged air is provided in the third passag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로의 공기 유출측은 상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air outlet side of the third passage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as it goes upward.
KR1020210177998A 2021-12-13 2021-12-13 dust collecting device KR202300893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998A KR20230089399A (en) 2021-12-13 2021-12-13 dust coll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998A KR20230089399A (en) 2021-12-13 2021-12-13 dust collec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399A true KR20230089399A (en) 2023-06-20

Family

ID=8699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998A KR20230089399A (en) 2021-12-13 2021-12-13 dust collec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399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379A (en) 2016-05-09 2017-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ging device for cleaner
KR20200027318A (en) 2018-09-04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leaner charging s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02057A (en) 2020-07-03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379A (en) 2016-05-09 2017-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ging device for cleaner
KR20170126387A (en) 2016-05-09 2017-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ging device for cleaner
KR20200027318A (en) 2018-09-04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leaner charging s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02057A (en) 2020-07-03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4606B2 (en) Autonomous vacuum cleaner
AU2018100954B4 (en) Cleaning apparatus
JP5758437B2 (en) Autonomous vacuum cleaner
TWI687195B (en) System comprising a vacuum cleaner and a base station, vacuum cleaner, base station, and method for emptying a dust chamber of a vacuum cleaner
US9155435B2 (en) Cyclone separation device and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9529383A (en)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cyclone array
RU2007112397A (en) VACUUM CLEANER (OPTIONS)
EP2561786A1 (en) Vacuum cleaner
KR20070061643A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JP2021078685A (en) Vacuum cleaner
KR20140041905A (en) Cleaning robot
KR20230089399A (en) dust collecting device
CN210124714U (en)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device assembly
KR20230089620A (en) dust collecting device
US20240065499A1 (en)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30089398A (en)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the air cleaner and air cleaner
KR20230089402A (en) dust collecting device
KR20230089396A (en)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JP2002349918A (en) Air cleaner
KR20100093442A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20230089397A (en)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20230089400A (en) dust collecting device
JP2007190234A (en) Dust collecting device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20230089403A (en)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JP2014030545A (en) Vacuum clea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