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261A - Slackline apparatus for assembly - Google Patents

Slackline apparatus f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261A
KR20230089261A KR1020210177749A KR20210177749A KR20230089261A KR 20230089261 A KR20230089261 A KR 20230089261A KR 1020210177749 A KR1020210177749 A KR 1020210177749A KR 20210177749 A KR20210177749 A KR 20210177749A KR 20230089261 A KR20230089261 A KR 20230089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lackline
prefabricated
suppor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7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2586B1 (en
Inventor
유혜선
Original Assignee
힐링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힐링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힐링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7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586B1/en
Publication of KR20230089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2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5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00Freely-suspended gymnastic apparatus
    • A63B7/08Apparatus for rope-dancing
    • A63B7/085Balancing on a band tensioned between two anchor points, e.g. Slacklin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에 양단의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되는 센터 베이스; 하단이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와 각각 결합되며, 상단이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의 상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당겨지며 양단이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에 각각 고정되는 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is presented. A plurality of side base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enter bas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ide bas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both ends slid and fitted to the plurality of side bases;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having lower end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ide bases and upper ends extending upward; And it may include a line that is pulled tight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top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plurality of side bases, respectively.

Description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SLACKLINE APPARATUS FOR ASSEMBLY}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SLACKLINE APPARATUS FOR ASSEMBLY}

아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휴대 가능한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relate to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is portable.

슬랙라인(Slackline)은 벨트 모양의 편평하고 탄성이 있는 줄 위에서 균형을 잡으며 다양한 동작을 선보이는 스포츠이다. 슬랙라인은 지상 30~50m 높이에 납작한 형태의 폭 5cm 내외의 줄을 팽팽하게 설치하고, 줄 위에서 걷거나 점프와 공중 회전 등의 묘기를 부림으로써 균형 감각과 신체 조정 능력에 도움이 된다.Slackline is a sport that shows various movements while balancing on a belt-shaped flat and elastic rope. The slackline is a flat rope with a width of about 5cm that is stretched 30 to 50m above the ground, and it helps the sense of balance and body coordination by walking on the rope or performing stunts such as jumping and spinning in the air.

균형 잡기는 슬랙라인의 가장 기본이 되는 동작으로, 몸의 균형과 심부 근육 발달에 도움이 된다. 이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줄 위에 올라가 시선은 줄의 끝을 향한 채 상체는 곧게 펴고 무릎은 살짝 구부린 후 발 끝은 앞쪽을 향하도록 하고, 팔을 양쪽으로 벌려 균형을 잡는다. 균형 잡기 이후에는 줄 위에서 걷기, 두 발로 앉기, 360도 회전 등과 같은 각종 심화 동작을 시도해 볼 수 있다. Balancing is the most basic movement of the slackline, and it is helpful for body balance and deep muscle development. As a way to use it, stand on top of the rope, keep your eyes on the end of the rope, straighten your upper body, slightly bend your knees, point your toes forward, and spread your arms out to balance for balance. After balancing, you can try various advanced movements such as walking on a rope, sitting on two feet, and rotating 360 degrees.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29261호는 외줄타기용 민속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야외에 설치하여 줄타기를 하면서 균형감각을 유지하는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9261 relates to folk exercise equipment for tightrope walking, and describes a technique for a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outdoors to maintain a sense of balance while walking on a tightrope.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29261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926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휴대 가능한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provide a technology related to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is portab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길이가 긴 베이스부를 복수개의 조립 구조로 구성하고, 베이스부 및 지지부를 슬라이딩 방식과 끼움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나사의 체결 없이 간편하고 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 a long base part with a plurality of assembly structures to increase portability, and the base part and the support part can be simply and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without screw fastening by using a sliding method and a fitting coupling method. It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that allow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베이스부의 결합 시 핀고정 홀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전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by selectively using a pin fixing hole when the base unit is coup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에 양단의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되는 센터 베이스; 하단이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와 각각 결합되며, 상단이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의 상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당겨지며 양단이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에 각각 고정되는 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base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enter bas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ide bas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both ends slid and fitted to the plurality of side bases;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having lower end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ide bases and upper ends extending upward; And it may include a line that is pulled tight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top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plurality of side bases, respectively.

상기 센터 베이스는 단면이 십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이드 베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센터 베이스를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베이스의 홈부에 상기 센터 베이스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The center base has a cross-section, and grooves accommodating the center base are formed inside the side bases, and the center base can slide horizontally into the grooves of the side bases and be fitted.

상기 센터 베이스는, 단면이 십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심 바의 양측에 나비 형상의 날개 바가 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사이드 베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홈부에 상기 센터 베이스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The center base has a cross section, and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butterfly-shaped wing bars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bar, and the center base is sli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to grooves formed inside the side base to be fitted. can

상기 사이드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고정 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고정 홀에 핀을 체결함에 따라 상기 센터 베이스의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At least one pin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side base, and as a pin is fastened to the pin fixing hole, sliding movement of the center base may be restricted.

상기 사이드 베이스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핀고정 홀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핀고정 홀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핀을 체결함에 따라 상기 센터 베이스의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센터 베이스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The side base has at least two pin fixing hole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s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in fixing holes and fastens the pin,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enter base is restricted,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center base. Length can be adjusted.

상기 사이드 베이스는,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지지부 삽입 홈이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사이드 베이스의 상기 지지부 삽입 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The side base includes a support portio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and the support portion may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upport portion insertion groove of the side base.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 홈에 수용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pedestal for supporting the support and a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and accommodated in a coupling groov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사이드 베이스의 상기 지지부 삽입 홈을 따라 하측으로 삽입된 후, 상기 지지부의 결합 홈에 상기 받침부의 돌기부가 수용됨에 따라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를 바닥에 놓는 경우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가 수용된 상기 결합 홈이 상기 지지부 삽입 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사이드 베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조립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is inserted downward along the support part insertion groove of the side base, and then coupled as the protrusion part of the support part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of the support part, when the support part is placed on the floor, the protrusion part and the protrusion part The accommodated coupling groove may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support portion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side base.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는, 상측이 외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줄을 팽팽하게 당길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are arranged so that their upper sides are inclined out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string can be pulled tight.

상기 줄은, 양단에 갈고리부가 구성되어,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사이드 베이스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The line may be configured with hooks at both ends, and the hooks may be caught and fixed to the hanging parts formed on the side bas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길이가 긴 베이스부를 복수개의 조립 구조로 구성하고, 베이스부 및 지지부를 슬라이딩 방식과 끼움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나사의 체결 없이 간편하고 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portability, a long base par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ssembly structures, and the base part and the support part are simply and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without screw fastening by using a sliding method and a fitting coupling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that enables this.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베이스부의 결합 시 핀고정 홀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전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by selectively using a pin fixing hole when the base unit is coup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B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part A of FIG. 1 .
3 is a view showing a side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enter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part B of FIG. 1 .
6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several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100)는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110), 센터 베이스(120), 복수개의 지지부(130) 및 줄(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100)는 복수개의 받침부(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bases 110, a center base 120,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30 and a string 150, It can be don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ing parts 140.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110 내지 150)은 하나의 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줄(150), 하나의 센터 베이스(120), 두 개의 사이드 베이스들(110), 두 개의 지지부들(130) 및 두 개의 받침부들(140)이 하나의 키트를 구성할 수 있다. 키트는 후술될 슬랙라인 장치(100)의 길이 조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핀(또는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onents 110 to 150 included in the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100 may constitute one kit. For example, one string 150, one center base 120, two side bases 110, two support parts 130 and two support parts 140 may constitute one kit. . The k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in (or bol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lackline device 100 to be described later.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100)는 하나의 장치를 몇 개의 파트로 분리하여 휴대 및 이동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수평 방향으로 길이를 길게 구성해야 하는 베이스부를 사이드 베이스(110) 및 센터 베이스(120)의 슬라이딩 방식의 조립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쉽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다.The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separates one device into several parts to enable portability and mobile installation. In particular, by configuring the base part, which should be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sliding assembly structure of the side base 110 and the center base 120, assembly and disassembly are easily possible.

사이드 베이스(Side Base, 11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개가 구성될 수 있다. 사이드 베이스(110)의 내측에는 홈부(112)가 길게 형성되어 센터 베이스(12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일부 수용할 수 있다. The side base (Side Base, 110)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A long groove 112 is formed inside the side base 110 to partially accommodate the center base 120 in a sliding manner.

이 때, 사이드 베이스(110)의 내측에 홈부(112)를 형성하기 위해 내부부재(111)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베이스(110)는 소정 간격 이격된 2개의 외부부재가 구성되고, 외부부재의 내부에 4개의 바 형상의 내부부재(111)를 십자 형상의 홈부(112)가 형성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베이스(110)의 내측에 지지부 삽입 홈(113)이 형성되도록 내부부재(111)와 이격되도록 별도의 내부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member 111 may be configured to form the groove 112 on the inside of the side base 110. For example, the side base 110 is composed of two external member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ur bar-shaped internal members 111 are disposed inside the external member so that a cross-shaped groove 112 is formed. there is. In addition, a separate inner member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member 111 so that the support member insertion groove 113 is formed inside the side base 110.

센터 베이스(Center Base, 12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다. 센터 베이스(120)는 사이드 베이스(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센터 베이스(120)는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110)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110)에 센터 베이스(120)의 양단의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됨으로써 사이드 베이스(110)와 센터 베이스(120)가 고정될 수 있다. Center Base (Center Base, 120)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configured at least one. The center base 120 may be fitted and fixed to the side base 110 in a sliding manner. In other words, the center base 120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ide bases 110, and at least a part of both ends of the center base 120 is slid and fitted to the plurality of side bases 110 so that the side bases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base 110 and the center base 120 may be fixed.

이와 같이 사이드 베이스(110) 및 센터 베이스(120)는 슬라이딩 방식의 끼움 결합을 통해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100)의 베이스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베이스(110)는 2개 구성되고, 2개의 사이드 베이스(110)의 사이에 1개의 센터 베이스(120)가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이드 베이스(110)는 3개 구성되고, 3개의 사이드 베이스(110)의 사이에 2개의 센터 베이스(120)가 교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110) 및 복수개의 센터 베이스(120)를 교번하여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ide base 110 and the center base 120 may configure the base part of the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100 through sliding fitting. For example, two side bases 110 may be configured, and one center base 120 may be configured between the two side bases 110 . As another example, three side bases 110 may be configured, and two center bases 120 may be alternately configured between the three side bases 110 . In this way, the plurality of side bases 110 and the plurality of center bases 120 may be alternately configured.

한편, 여기에서는 사이드 베이스(110)의 내측으로 센터 베이스(12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사이드 베이스(110)와 센터 베이스(120)의 결합이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센터 베이스(120)의 내측으로 사이드 베이스(11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center base 120 is inserted into the side base 110 and slides has been described herein, the coupling between the side base 110 and the center base 120 may be revers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a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 base 11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base 120 and slid may be formed.

지지부(130)는 복수개가 구성되며, 하단이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110)와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상단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줄(150)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지지부(130)는 상측이 외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줄(150)을 팽팽하게 당기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앵글 컬럼으로 명명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1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the lower end may be coupled with the plurality of side bases 110, respectively, and the upper end may extend upward to support the line 150. Here,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30 may be arranged so that their upper sides are inclined out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pull the string 150 taut. The support 130 may be referred to as an angle column.

지지부(130)를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하되 상단을 각진 부분이 없이 라운딩 처리하여 줄(150)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지지부(130)의 상단에 고무 패드부를 부착하여 줄(15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거나 진동에 의해 줄(150)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고무 패드부는 슬랙라인 장치(100)의 각 구성의 엣지에 부착되어 패드부는 슬랙라인 장치(100)의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130 may be installed in a diagonal direction, but the upper end may be rounded without an angled portion to prevent the string 150 from being worn. Furthermore, by attaching a rubber pad part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130, vibration generated by the string 150 may be absorbed or the string 15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worn by the vibration. Meanwhile, the rubber pad part is attached to the edge of each component of the slackline device 100, and the pad part can also be used for preventing the user of the slackline device 100 from being injured.

줄(150)은 복수개의 지지부(130)의 상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당겨지며 양단이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11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줄(150)은 소정 면적을 갖는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줄(150) 위에서 걷거나 다양한 동작을 선보일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줄(150)의 일측에 래칫(ratchet)을 구성하여 줄(15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tring 150 is pulled tight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top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30, and both ends may be fixed to the plurality of side bases 110,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rope 150 is made of a flat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so that the rope 150 can walk on it or perform various motions. In addition, by configuring a ratchet on one side of the string 150, the length of the string 150 can be freely adjusted.

더욱이, 줄(150)의 양단에 갈고리부를 구성할 수 있다. 줄(150)의 양단에 갈고리부를 구성하는 경우, 갈고리부가 사이드 베이스(110)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사이드 베이스(110)에 형성된 걸림부는 고정핀(115)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는 고정핀(115)뿐 아니라 갈고리부가 걸려서 고정되는 구조이면 다양한 형상 및 구조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줄(150)의 양단에 갈고리부를 형성하는 경우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100)에 쉽게 줄(150)을 연결하고 제거할 수 있다.Moreover, hook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ring 150 . When the hook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ring 150, the hook portion may be caught and fixed to the hanging portion formed on the side base 110. At this time, the hanging portion formed on the side base 110 may be composed of a fixing pin 115 or the like. In addition, the hooking portion may be formed of various shapes, structures, and materials,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in which not only the fixing pin 115 but also the hook portion is caught and fixed. In this way, when the hook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ine 150, the line 150 can be easily connected to and removed from the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100.

또한, 실시예에 따라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100)는 복수개의 받침부(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ing parts 140.

받침부(140)는 지지부(130)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지부(13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 홈(131)에 수용되는 돌기부(141, 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ing portion 140 may include a pedestal supporting the supporting portion 130 and protrusions 141 and 142 formed on the pedestal and accommodated in a coupling groove 131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ing portion 130 .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100)는 줄(150)을 제외하고 목재로 이루어져 슬라이딩 방식과 일부 짜맞춤 방식으로 볼트 및 너트의 체결 없이 간편하게 조립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는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100)를 목재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목재뿐 아니라 철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할 수 있다. The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made of wood, except for the string 150, and can be easily assembled without fastening bolts and nuts using a sliding method and some interlocking methods. Here, although the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100 is described using wood as an example, various materials such as steel and plastic as well as wood can be used.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part A of FIG. 1 . 3 is a view showing a side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center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센터 베이스(120)는 그 단면이 십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이드 베이스(110)의 내측에는 십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센터 베이스(120)를 수용하는 홈부(112)가 길게 형성되어, 사이드 베이스(110)의 홈부(112)에 센터 베이스(120)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to 4 , the center base 120 may have a cross section, and a groove portion 112 accommodating the center base 120 having a cross section inside the side base 110 ) is formed long, and the center base 120 can sl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be fitted into the groove 112 of the side base 110.

특히, 센터 베이스(120)는 단면이 십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심 바 및 나비 형상(또는 리본 형상)의 날개 바(121)의 결합으로 그 단면이 십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센터 베이스(120)는 중심 바의 양측에 나비 형상의 날개 바(121)가 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이드 베이스(110)의 내측에 형성된 홈부(112)에 센터 베이스(120)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사이드 베이스(110)는 중심 바 및 나비 형상의 날개 바(121)를 수용하되 이와 맞물려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enter base 120 has a cross-section, and the cross-section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center bar and the butterfly-shaped (or ribbon-shaped) wing bar 121 . The center base 12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butterfly-shaped wing bars 121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bar, and the center base 120 sl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groove part 112 formed inside the side base 110. and can be fitted together. At this time, the side base 110 accommodates the center bar and the wing bar 121 of the butterfly shape, but may be configured to slide in engagement therewith.

이와 같이 센터 베이스(120) 및 사이드 베이스(110)의 끼움 결합 구조를 십자 구조, 특히 중심 바 및 나비 형상의 날개 바(121)의 결합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진동 등에도 흔들리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forming the fitting coupling structure of the center base 120 and the side base 110 in a cross structure, in particula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enter bar and the butterfly-shaped wing bar 121, it can be firmly fixed without shaking even in vibration. .

사이드 베이스(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고정 홀(116)이 형성되어, 핀고정 홀(116)에 핀을 체결함에 따라 센터 베이스(120)의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At least one pin fixing hole 116 is formed in the side base 110, and as a pin is fastened to the pin fixing hole 116,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enter base 120 may be restricted.

여기서, 사이드 베이스(110)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핀고정 홀(116)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핀고정 홀(116)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핀을 체결함에 따라 센터 베이스(120)의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어 센터 베이스(12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베이스(110)에 200mm 간격으로 핀고정 홀(116)이 있고 핀을 조정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이드 베이스(110)에 형성된 핀고정 홀(116) 중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베이스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Here, the side base 110 has at least two pin fixing holes 116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s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in fixing holes 116 and fastens the pin, the center base 120 The length of the center base 120 can be adjusted by limit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enter base 120 . For example, the side base 110 has pin fixing holes 116 at intervals of 200 mm and can be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by adjusting the pins. That is, the user can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base part by selecting one of the pin fixing holes 116 formed in the side base 110 .

도 5는 도 1의 B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part B of FIG. 1,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이드 베이스(110)의 일측에는 지지부(130)가 삽입되는 지지부 삽입 홈(113)이 구성되어, 지지부(130)는 사이드 베이스(110)의 지지부 삽입 홈(11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5 and 6, the support portion insertion groove 113 into which the support portion 130 is inserted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side base 110, and the support portion 130 is the support portion insertion groove 113 of the side base 110. ) can be inserted and fixed.

한편, 받침부(140)는 지지부(130)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지부(13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 홈(131)에 수용되는 돌기부(141, 1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받침대는 바닥에 지지하기 위해 소정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며, 받침대의 중간 부분에 'ㅜ' 형상의 돌기부(141, 142)가 구성될 수 있다. 'ㅜ' 형상의 돌기부(141, 142)는 중심 돌기(141)가 구성되고, 중심 돌기(141)의 양측에 사이드 돌기(142)가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130)의 하단에는 'ㅜ' 형상의 결합 홈(131)이 구성되어 돌기부(141, 142)를 수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ing portion 140 may include a pedestal supporting the supporting portion 130 and protrusions 141 and 142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and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13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portion 130. there is. For example, the pedestal is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for support on the floor, and 'TT'-shaped protrusions 141 and 142 may b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edestal. The 'TT' shaped protrusions 141 and 142 may include a central protrusion 141 and side protrusions 142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rotrusion 141 . At this time, a 'TT' shaped coupling groove 13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130 to accommodate the protrusions 141 and 142 .

여기서 지지부(130)와 받침부(140)가 먼저 결합된 후 지지부(130)와 사이드 베이스(110)가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30)는 사이드 베이스(110)의 지지부 삽입 홈(113)을 따라 하측으로 깊이 삽입되어 관통된 후, 지지부(130)의 결합 홈(131)에 받침부(140)의 돌기부(141, 142)가 수용됨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이후, 받침부(140)를 바닥에 놓는 경우 지지부(130)와 받침부(140)가 결합된 상태로 사이드 베이스(110)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부(130)가 사이드 베이스(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받침부(140)를 바닥에 놓는 경우 돌기부(141, 142)와 돌기부(141, 142)가 수용된 결합 홈(131)이 지지부 삽입 홈(113)으로 삽입되어 지지부(130)가 사이드 베이스(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조립될 수 있다. Here, after the support part 130 and the support part 140 are first coupled, the support part 130 and the side base 110 may be fixed.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part 130 is deeply inserted downward along the support part insertion groove 113 of the side base 110 and penetrated, and then the protrusion part of the support part 140 in the coupling groove 131 of the support part 130 (141, 142) can be combined as accepted. After that, when the support part 140 is placed on the floor, the support part 130 and the support part 140 are fixed to the side base 110 in a coupled state to prevent the support part 1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ide base 110 can That is, when the support part 140 is placed on the floor, the protrusions 141 and 142 and the coupling groove 131 in which the protrusions 141 and 142 are accommodated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part insertion groove 113 so that the support part 130 is installed on the side base ( 110) can be assemb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이 때, 받침부(140)의 돌기부(141, 142)는 사이드 베이스(110)의 홈부(112)에 적어도 일부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14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고정핀(114)을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s 141 and 142 of the supporting part 140 may slide at least partially into the groove part 112 of the side base 110 . A fixing pin 114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upporting portion 140 .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100)는 장치는 3개의 사이드 베이스(110), 2개의 센터 베이스(120), 2개의 지지부(130) 및 줄(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100)는 2개의 받침부(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three side bases 110, two center bases 120, two supports 130, and a string 150. It can be done b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two supporting parts 140.

베이스부의 가로 길이를 보다 길게 구성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110) 및 복수개의 센터 베이스(120)를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110) 및 복수개의 센터 베이스(120)는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암수 결합될 수 있다.In order to configure a longer horizontal length of the base portion, a plurality of side bases 110 and a plurality of center bases 120 may be fitted and couple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ide bases 110 and the plurality of center bases 120 may be alternately disposed and coupled with each other.

여기에서는 3개의 사이드 베이스(110) 및 2개의 센터 베이스(120)를 서로 교대로 배치하여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보다 많은 수의 사이드 베이스(110) 및 센터 베이스(120)를 서로 교대로 배치하여 베이스부를 구성할 수 있다.Here, although three side bases 110 and two center bases 120 are alternately arranged to configure the base part, as an example, a larger number of side bases 110 and center bases are provided as needed. 120 may b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to configure the base par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2개의 사이드 베이스(110) 및 1개의 센터 베이스(120)가 사용된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10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Here,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100 using two side bases 110 and one center base 12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100)는 2개의 사이드 베이스(110)의 사이에 센터 베이스(12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수평 방향으로의 베이스부를 구성할 수 있다. 1 to 6, the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lides the center base 120 between two side bases 110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base part to.

이 때, 센터 베이스(120)의 단면은 십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이드 베이스(110)는 십자 형태의 센터 베이스(120)를 수용하도록 길게 홈부(112)가 형성되어 조립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센터 베이스(120)의 단면은 십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심 바 및 나비 형상의 날개 바(121)의 결합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ross section of the center base 120 is formed in a cross shape, and the side base 110 has a long groove 112 formed to accommodate the cross shape center base 120, so that it cannot be easily separated after assembly. there is. In particular, the cross section of the center base 120 is formed in a cross shape, and it can be fixed without shaking by form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enter bar and the wing bar 121 in the shape of a butterfly.

사이드 베이스(110)의 내부로 센터 베이스(120)가 슬라이딩될 때 더 이상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이드 베이스(110)에 형성된 핀 고정 홀을 관통하도록 핀을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 베이스(110)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핀고정 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핀고정 홀(116)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핀을 체결함으로써 센터 베이스(120)의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므로 센터 베이스(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center base 120 slides into the side base 110 , in order to limit further sliding movement, a user may fasten a pin through a pin fixing hole formed in the side base 110 . Here, the side base 110 may be formed with at least two or more pin fixing holes 116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user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center base 120 becaus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enter base 120 is restricted by selecting one of the pin fixing holes 116 and fastening the pin.

또한, 2개의 사이드 베이스(110)의 양측에 2개의 지지부(130)를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먼저, 지지부(130)를 사이드 베이스(110)의 지지부 삽입 홈(113)을 따라 하측으로 깊이 삽입하여 적어도 일부 관통되도록 한 후, 지지부(130)의 결합 홈(131)에 받침부(140)의 돌기부(141, 142)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받침부(140)를 바닥에 놓으면 지지부(130)와 받침부(140)가 결합된 상태로 사이드 베이스(110)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부(130)가 사이드 베이스(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wo support parts 130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wo side bases 110, respectively. First, the support part 130 is deeply inserted downward along the support part insertion groove 113 of the side base 110 so that at least part of it penetrates, and then the support part 14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31 of the support part 130. The protrusions 141 and 142 may be accommodated. After that, when the support part 140 is placed on the floor, the support part 130 and the support part 140 are fixed to the side base 110 in a coupled state, so that the support part 130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side base 110. there is.

마지막으로, 줄(150)의 일단에 구성된 갈고리부를 사이드 베이스(110)에 구성된 고정핀(115)에 걸어서 고정시킨 후 지지부(130)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하면서 팽팽하게 당겨 타단에 구성된 갈고리부를 다른 사이드 베이스(110)에 구성된 고정핀(115)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줄(150)의 길이 조절을 위해 래칫을 이용할 수 있다. Finally, after fixing the hook formed at one end of the string 150 by hooking it to the fixing pin 115 formed in the side base 110, while supporting it at the top of the support part 130, pull it tight to the other end of the hook formed on the other side. It can be fixed by hanging on the fixing pin 115 configured in the base 110. At this time, a ratchet may be us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tring 150.

이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장치를 몇 개의 파트로 분리하여 휴대 및 이동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볼트 및 너트의 체결 없이 슬라이딩 방식 및 끼움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조립함으로써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여성 등 힘이 약한 사람도 혼자서도 쉽고 빠르게 조립 및 분해를 할 수 있다.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the device is separated into several parts to facilitate carrying and moving installation, and it is assembled using a sliding method and a fitting method without fastening bolts and nuts, so that it can be easily assembled. Accordingly, even a person with weak strength, such as a woman, can easily and quickly assemble and disassemble by herself.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베이스부의 결합 시 핀고정 홀(116)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의 길이를 3,200mm ~ 2,400mm 범위에서 200mm 단위로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overall length can be adjusted by selectively using the pin fixing hole 116 when the base unit is coupled.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base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units of 200 mm in the range of 3,200 mm to 2,400 mm.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ach drawing are not limitedly applied only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and may be implemented to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maint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so separate Even if the description is omitted, it is natural that a plurality of embodiments may be re-implemented as an integrated embodime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related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0)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에 양단의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되는 센터 베이스;
하단이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와 각각 결합되며, 상단이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의 상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당겨지며 양단이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 베이스에 각각 고정되는 줄
을 포함하는,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
A plurality of side base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enter bas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ide bas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both ends slid and fitted to the plurality of side bases;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having lower end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ide bases and upper ends extending upward; and
A string that is pulled tight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top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plurality of side bases, respectively
Containing,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베이스는 단면이 십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이드 베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센터 베이스를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베이스의 홈부에 상기 센터 베이스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er base has a cross section in the shape of a cross,
A groove portion accommodating the center base is formed inside the side base, and the center base slides in the groove portion of the side bas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fitted.
Characterized in that,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베이스는,
단면이 십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심 바의 양측에 나비 형상의 날개 바가 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사이드 베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홈부에 상기 센터 베이스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끼움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er base,
The cross section is made in the shape of a cross, but it is made of a shape in which butterfly-shaped wing bars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bar, so that the center base sl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to the groove formed inside the side base and is fitted.
Characterized in that,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고정 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고정 홀에 핀을 체결함에 따라 상기 센터 베이스의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base,
At least one pin fixing hole is formed, and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enter base is restricted by fastening a pin to the pin fixi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베이스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핀고정 홀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핀고정 홀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핀을 체결함에 따라 상기 센터 베이스의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센터 베이스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base,
At least two pin fixing hol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s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in fixing holes and fastens the pin,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enter base is limited and the length of the center base is adjusted.
Characterized in that,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베이스는,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지지부 삽입 홈이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사이드 베이스의 상기 지지부 삽입 홈에 삽입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base,
A support portio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s configured,
the support,
To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upport part insertion groove of the side base
Characterized in that,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 홈에 수용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받침부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
According to claim 6,
A support portion including a pedestal supporting the support portion and a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and accommodated in a coupling groov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사이드 베이스의 상기 지지부 삽입 홈을 따라 하측으로 삽입된 후, 상기 지지부의 결합 홈에 상기 받침부의 돌기부가 수용됨에 따라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를 바닥에 놓는 경우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가 수용된 상기 결합 홈이 상기 지지부 삽입 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사이드 베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조립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support,
After being inserted downward along the support insertion groove of the side base, the protrusion of the support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support as it is accommodated, and when the support is placed on the floor, the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in which the protrusion is accommodate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insertion groove and assembled so that the support portion is not separated from the side base.
Characterized in that,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는,
상측이 외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줄을 팽팽하게 당기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supports,
Arranged so that the upper side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outward, pulling the line taut
Characterized in that,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은,
양단에 갈고리부가 구성되어,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사이드 베이스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려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슬랙라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said line,
Hooks are formed at both ends, and the hooks are hooked and fixed to the hooks formed on the side base.
Characterized in that, prefabricated slackline device.
KR1020210177749A 2021-12-13 2021-12-13 Slackline apparatus for assembly KR1026625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749A KR102662586B1 (en) 2021-12-13 2021-12-13 Slackline apparatus f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749A KR102662586B1 (en) 2021-12-13 2021-12-13 Slackline apparatus f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261A true KR20230089261A (en) 2023-06-20
KR102662586B1 KR102662586B1 (en) 2024-05-03

Family

ID=86995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749A KR102662586B1 (en) 2021-12-13 2021-12-13 Slackline apparatus f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58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133Y1 (en) * 2005-07-06 2005-09-28 심종수 slide for furniture structure
KR200429261Y1 (en) 2006-07-22 2006-10-20 한각수 sport apparatus of ethnic customs for a rope play
EP2548621A2 (en) * 2011-05-19 2013-01-23 Heinz Budin Balancing device with a supporting structure
US20150157890A1 (en) * 2010-11-18 2015-06-11 Slackbow Llc Slackline apparatus and training method
KR101856102B1 (en) * 2018-01-03 2018-05-09 세진기술산업 주식회사 assembling furni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133Y1 (en) * 2005-07-06 2005-09-28 심종수 slide for furniture structure
KR200429261Y1 (en) 2006-07-22 2006-10-20 한각수 sport apparatus of ethnic customs for a rope play
US20150157890A1 (en) * 2010-11-18 2015-06-11 Slackbow Llc Slackline apparatus and training method
EP2548621A2 (en) * 2011-05-19 2013-01-23 Heinz Budin Balancing device with a supporting structure
KR101856102B1 (en) * 2018-01-03 2018-05-09 세진기술산업 주식회사 assembling furni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586B1 (en) 2024-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6126B2 (en) Balancing device and method
AU2014353864B2 (en) Trampolines
US9314658B2 (en) Strength training and stretching system
US8328695B2 (en) Trampoline and cage ball game device
US8480543B1 (en) Supporting device for waist or neck portion
US9694224B1 (en) Integrated step and jump exercise device
US10799746B2 (en) Trampolines
US5033737A (en) Adjustable hurdle
KR102022311B1 (en) Stretching instrument for indoor
US3503390A (en) Portable traction device
KR20230089261A (en) Slackline apparatus for assembly
KR100890352B1 (en) Portable assembly badminton net
US11052275B1 (en) Elastic band resistance device and method for physical therapy and rehabilitation
US10456613B1 (en) Adjustable stretching apparatus
KR20210008208A (en) Multifunctional exercise equipment capable of whole body exercise in various places
KR101791558B1 (en) Playing device for jumping
KR20140033835A (en) Indoor mounted parallel bars apparatus
KR101266149B1 (en) Health apparatus
US9901507B2 (en) Muscle-stretching apparatus
KR200488993Y1 (en) A sports equipment kit
KR200490424Y1 (en) Trampoline combined desk
KR101045433B1 (en) The whole body sporting goods
KR101134650B1 (en) Steretching devices
KR20150097985A (en) Pet exercise device using running machine
KR20220092254A (en)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