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319A - Optical system - Google Patents

Optica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319A
KR20230088319A KR1020230072990A KR20230072990A KR20230088319A KR 20230088319 A KR20230088319 A KR 20230088319A KR 1020230072990 A KR1020230072990 A KR 1020230072990A KR 20230072990 A KR20230072990 A KR 20230072990A KR 20230088319 A KR20230088319 A KR 20230088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imaging optical
image
refractiv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9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0513B1 (en
Inventor
손주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3668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80775B1/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7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513B1/en
Publication of KR20230088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3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5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Gyr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 면이 볼록하고 상측 면이 오목한 제1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이 볼록한 제2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 면이 오목하고 상측 면이 볼록한 제5 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6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의 상기 물체측 면부터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를 TTL, 상기 촬상면의 대각 길이의 반을 ImgH라 할 때, TTL/(ImgH*2) ≤ 0.75 를 만족할 수 있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a first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an object-side surface being convex and an image-side surface being concave; a second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ving an object-side surface and an image-side surface convex; a third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a fourth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a fifth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n object-side surface being concave, and an image-side surface being convex; and a sixth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wherein when the distance on the optical axis from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to the imaging surface is TTL and the half of the diagonal length of the imaging surface is ImgH, TTL/(ImgH* 2) ≤ 0.75 can be satisfied.

Description

촬상 광학계{Optical system}Imaging optical system {Optical system}

본 발명은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ing optical system.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 및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가 차지하는 기능이 점차 커지면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의 고해상도 및 고성능화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다.Recent portabl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cameras to enable video calls and photo taking. In addition, as the function occupied by the camera in the portable terminal gradually increases, the demand for high resolution and high performance of the camera for the portable terminal is gradually increasing.

그런데 휴대용 단말기는 점차 소형화 또는 경량화되는 추세이므로, 고해상도 및 고성능의 카메라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since portable terminals tend to become smaller or lighter, there is a limit to implementing high-resolution and high-performance cameras.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카메라의 렌즈를 유리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고 있으며, 고해상도의 구현을 위해 5매 이상의 렌즈로 렌즈 모듈을 구성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a lens of a camera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at is lighter than glass, and a lens module is composed of 5 or more lenses to realize high resolu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넓은 화각을 구현하면서도 슬림한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m imaging optical system while implementing a wide angle of view.

또한, 수차 개선 효과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ing optical system capable of improving an aberration reducing effect and realizing high resolution.

또한, 이미지 센서의 중앙부에서의 상의 밝기와 주변부에서의 상의 밝기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ing optical system capable of reduc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of an image at the center of an image sensor and the brightness of an image at the periphe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 면이 볼록하고 상측 면이 오목한 제1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이 볼록한 제2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 면이 오목하고 상측 면이 볼록한 제5 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6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의 상기 물체측 면부터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를 TTL, 상기 촬상면의 대각 길이의 반을 ImgH라 할 때, TTL/(ImgH*2) ≤ 0.75 를 만족할 수 있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a first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an object-side surface being convex and an image-side surface being concave; a second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ving an object-side surface and an image-side surface convex; a third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a fourth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a fifth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n object-side surface being concave, and an image-side surface being convex; and a sixth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wherein when the distance on the optical axis from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to the imaging surface is TTL and the half of the diagonal length of the imaging surface is ImgH, TTL/(ImgH* 2) ≤ 0.75 can be satisf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 의하면, 넓은 화각을 구현하면서도 슬림한 촬상 광학계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lim imaging optical system while implementing a wide angle of view.

또한, 수차 개선 효과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erration improvement effect can be improved and high resolution can be realized.

또한, 이미지 센서의 중앙부에서의 상의 밝기와 주변부에서의 상의 밝기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of an image at the center of the image sensor and the brightness of an image at the periphery may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 특성을 나타낸 표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표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 특성을 나타낸 표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표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고,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 특성을 나타낸 표이고,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각 렌즈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표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curves showing aber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1;
4 is a table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n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1;
5 is a table showing aspheric coefficients of each len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1;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curves showing aber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6;
9 is a table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n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6;
10 is a table showing aspheric coefficients of each len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6;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curves showing aber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11;
14 is a table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n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11;
FIG. 15 is a table showing aspheric coefficients of each len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shown in FIG. 11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or delete other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through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idea can be easily suggested, but it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idea.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appearing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ar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이하의 렌즈 구성도에서 렌즈의 두께, 크기 및 형상은 설명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특히 렌즈 구성도에서 제시된 구면 또는 비구면의 형상은 일 예로 제시되었을 뿐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lens configuration diagram, the thickness, size, and shape of the lens are somewhat exaggerated for description, and in particular, the spherical or aspherical shape presented in the lens configuration diagram is only presented a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아울러, 제1 렌즈는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6 렌즈는 상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first lens means a lens closest to the object side, and the sixth lens means a lens closest to the image side.

또한, 앞쪽이라 함은 촬상 광학계에서 물체측에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뒤쪽이라 함은 촬상 광학계에서 이미지 센서 또는 상측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렌즈에서 제1 면은 물체 측에 가까운 면(또는, 물체측 면)을 의미하고, 제2 면은 상측에 가까운 면(또는, 상측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 두께 등에 대한 수치는 모두 ㎜ 단위이다.In addition, the front side means a side closer to the object side in the imaging optical system, and the rear side means a side closer to the image sensor or image side in the imaging optical system. Also, in each lens, the first surface means a surface close to the object side (or object-side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means a surface close to the image side (or image side surface). Furth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values for the radius of curvature and thickness of the lens are all in mm units.

또한, 근축 영역(Paraxial Region)이라 함은 광축 근처의 매우 좁은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광축으로부터 광선이 떨어지는 거리가 0인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Also, a paraxial region means a very narrow region near an optical axis. For example, it may refer to a region in which a distance at which a ray falls from an optical axis is zero.

또한,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 SL은 촬상 광학계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제한하는 조리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 ImgH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의 대각 길이의 반, BFL은 상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의 상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 EFL은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In addition, TTL is the distance from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mage sensor, SL is the distance from the aperture limiting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to the imaging optical system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mage sensor, and ImgH is the image Half of the diagonal length of the image surface of the sensor, BFL is the distance from the image surface of the lens closest to the image side to the image surface of the image sensor, EFL is the total focal length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6매의 렌즈를 포함한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6 lenses.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제6 렌즈를 포함한다.That is,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ns, a second lens, a third lens, a fourth lens, a fifth lens, and a sixth lens.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가 6매의 렌즈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간격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mposed of only 6 lenses and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s needed. For example, the imaging optica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diaphragm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In addition, the imaging optica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filter for blocking infrared rays. In addition, the imaging optica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an incident image of a subject into an electrical signal. In addition, the imaging optica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gap maintaining member for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len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to sixth lenses constituting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아울러,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비구면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ixth lenses has an aspheric surface.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may have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즉,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는 비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된다.That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may be an aspheric surface. Here, the aspheric surfaces of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are expressed by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c는 렌즈의 정점에서의 곡률(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Y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거리를 나타낸다. 아울러, 상수 A ~ F는 비구면 계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Z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나타낸다.In Equation 1, c is the curvature (reciprocal of the radius of curvature) at the apex of the lens, K is the conic constant, and Y represents the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n addition, the constants A to F mean aspheric coefficients. And Z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the apex of the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로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정/부/부/정/부의 굴절력을 가진다.An imaging optical system composed of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has negative/positive/negative/negative/positive/negative refractive power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수차 개선을 통해 광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각의 렌즈 구성에 의한 효과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imaging optical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improve optical performance through aberration improvement. Effects of each len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1을 만족한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Conditional Expression 1.

[조건식 1][conditional expression 1]

TTL/(ImgH*2) ≤ 0.75TTL/(ImgH*2) ≤ 0.75

조건식 1에서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 ImgH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의 대각 길이의 반을 의미한다.In Condition 1, TTL is the distance from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to the top surface of the image sensor, and ImgH is half of the diagonal length of the top surface of the image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2를 만족한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Conditional Expression 2.

[조건식 2][conditional expression 2]

TTL/(ImgH*2) ≤ 0.68TTL/(ImgH*2) ≤ 0.6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3을 만족한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Conditional Expression 3.

[조건식 3][conditional expression 3]

-5 < f1/EFL < -4.6-5 < f1/EFL < -4.6

조건식 3에서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 EFL은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In Conditional Expression 3, f1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and EFL is the total focal length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4를 만족한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Conditional Expression 4.

[조건식 4][conditional expression 4]

2.3 < f1/f3 < 2.62.3 < f1/f3 < 2.6

조건식 4에서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 f3은 상기 제3 렌즈의 초점거리이다.In Condition 4, f1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and f3 is the focal length of the third le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5를 만족한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Conditional Expression 5.

[조건식 5][conditional expression 5]

BFL/EFL < 0.31BFL/EFL < 0.31

조건식 5에서 BFL은 상기 제6 렌즈의 상측 면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까지의 거리, EFL은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In Condition 5, BFL is the distance from the image surface of the sixth lens to the image sensor, and EFL is the total focal length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6을 만족한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Conditional Expression 6.

[조건식 6][conditional expression 6]

0.95 < ER1/ER6 < 1.050.95 < ER1/ER6 < 1.05

조건식 6에서 ER1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유효반경, ER6은 상기 제3 렌즈의 상측 면의 유효반경이다.In Condition 6, ER1 is the effective radius of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and ER6 is the effective radius of the image-side surface of the third le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7을 만족한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Conditional Expression 7.

[조건식 7][conditional expression 7]

79 < FOV < 8379 < FOV < 83

조건식 7에서 FOV는 상기 촬상 광학계의 화각이다. 여기서, 상기 촬상 광학계의 화각의 단위는 Degree이다.In Conditional Expression 7, FOV is the angle of view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Here, the unit of the angle of view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is degree.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를 설명한다.Next, the first to sixth lenses constituting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1 렌즈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하고, 상기 제1 렌즈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lens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In addition, the first lens may have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object side. In other words,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lens may be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lens may be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1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lens may be an aspheric surface. For example, both surfaces of the first lens may be aspheric.

상기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2 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2 렌즈의 제1 면과 제2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The second lens has positive refractive power. In addition, the second lens may have a convex shape on both sides. In other words,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second lens may be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2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lens may be an aspherical surface. For example, both surfaces of the second lens may be aspherical.

상기 제3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3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3 렌즈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하고, 상기 제3 렌즈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The third lens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In addition, the third lens may have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object side. In other words, the first surface of the third lens may be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third lens may be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3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third lens may be an aspheric surface. For example, both surfaces of the third lens may be aspheric surfaces.

상기 제4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4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4 렌즈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하고, 상기 제4 렌즈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The fourth lens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In addition, the fourth lens may have a meniscus shape convex upward. In other words, the first surface of the fourth lens may be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ourth lens may be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4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ourth lens may be an aspheric surface. For example, both surfaces of the fourth lens may be aspheric surfaces.

상기 제5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5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5 렌즈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하고, 상기 제5 렌즈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The fifth lens has positive refractive power. In addition, the fifth lens may have a meniscus shape convex upward. In other words, the first surface of the fifth lens may be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fth lens may be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5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fth lens may be an aspheric surface. For example, both surfaces of the fifth lens may be aspherical.

상기 제6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6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6 렌즈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하고, 상기 제6 렌즈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The sixth lens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In addition, the sixth lens may have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object side. In other words, the first surface of the sixth lens may be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sixth lens may be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가 부의 굴절력을 가지도록 하여 넓은 화각을 구현할 수 있으며, 레트로 포커스 타입(Retro Focus Type)으로 촬상 광학계를 설계하도록 한다.In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ens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to realize a wide angle of view, and the imaging optical system is designed as a retro focus type.

화각이 넓어질수록 초점거리가 짧아지게 되는데, 이 경우 상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 사이의 거리인 백 포커스(Back Focus)가 짧아지게 되어 그 사이에 상기 적외선 필터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워지게 된다.The wider the angle of view, the shorter the focal length. In this case, Back Focus,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closest to the image 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mage sensor, becomes shorter, so that the infrared filter can be placed therebetween. It becomes difficult to secure spac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는 레트로 포커스 타입으로 촬상 광학계를 설계하여 넓은 화각을 구현하면서도 백 포커스를 상대적으로 길게 함으로써 상기 제6 렌즈와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상기 적외선 필터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rared filter is disposed between the sixth lens and the image sensor by designing the imaging optical system in a retro focus type to realize a wide angle of view and relatively long back focus. Make sure you have as much space as possible.

이때, 백 포커스를 상대적으로 길게 함으로써 전체 촬상 광학계의 길이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를 상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보다 짧게 형성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length of the entire imaging optical system from being increased by making the back focus relatively long, the combined focal length of the second lens and the third lens is formed shorter than the total focal length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색수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rrect chromatic aberration.

색수차란 파장에 따른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수차를 말하며, 긴 파장의 빛일수록 렌즈를 통과한 뒤에 다른 빛보다 초점이 렌즈에서 먼 쪽으로 맺히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색수차가 클 경우 파장에 따라 빛이 퍼지게 되므로 이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Chromatic aberration refers to the aberra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according to the wavelength, and it is a phenomenon that occurs because the longer wavelength light passes through the lens and is focused farther from the lens than other light. Therefore, when the chromatic aberration is large, light spreads according to the wavelength, so it is necessary to correct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는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3 렌즈의 굴절력을 서로 다르게 구성한다.In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ractive powers of the first lens to the third lens are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3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For example, the first lens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the second lens has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the third lens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따라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3 렌즈는 물체측 방향으로 인접한 렌즈와 서로 반대되는 굴절력을 가지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to third lenses have refractive powers opposite to those of lens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object-side direction.

인접한 렌즈들이 서로 반대되는 굴절력을 가지므로, 어느 하나의 렌즈에서는 빛을 발산하며, 다른 렌즈에서는 빛을 수렴시키게 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빛들을 서로 같은 초점에 모이도록 할 수 있다.Since adjacent lenses have opposite refractive powers, one lens diverges light and the other lens converges ligh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verge light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to the same focal poi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는 상기와 같은 색수차 보정의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3 렌즈 사이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하도록 한다.In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third lens is formed to be relatively narrow to maximize the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effect.

예를 들어, 근축 영역에서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의 간격을 다른 렌즈들 사이의 간격보다 좁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3 렌즈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삼중접합렌즈와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색수차 보정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lens and the third lens in the paraxial region may be narrow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lens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have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triple junction lens in which the first lens to the third lens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thus, the effect of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can be maximized.

또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3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촬상 광학계 전체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슬림한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by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third lens, the overall length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can be reduced, and as a result, a slim optical system can be implement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상기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len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may have a convex shape on both sides.

여기서, 상기 제2 렌즈는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의 절대값이 상측 면의 곡률 반경의 절대값보다 작다.Here, the absolute valu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second lens is small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mage-side surface.

예를 들어, 상기 제2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을 r3, 상기 제2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 반경을 r4라 할 때, |r4/r3| > 20 을 만족한다.For example,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second lens is r3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mage-side surface of the second lens is r4, |r4/r3| > 20 is satisfied.

따라서, 상기 제2 렌즈는 물체측 면이 상측 면보다 상대적으로 곡률이 크고, 상측 면이 물체측 면보다 상대적으로 곡률이 작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구면 수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second lens has a relatively greater curvature than the image-side surface, and the image-side surface has a relatively smaller curvature than the object-side surface. With this configuration, spherical aberration can be easily correc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상기 제3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며, 상기 제4 렌즈와 상기 제5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진다.Meanwhile, in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lens has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object side, and the fourth lens and the fifth lens have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image side.

이와 같이,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4 렌즈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5 렌즈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촬상 광학계에 입사된 광이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third lens and the fourth lens are configured to have symmetrical shapes, or the third lens and the fifth lens are configured to have symmetrical shapes so that the light incident to the imaging optical system is The incident light may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mage sensor.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중앙부에서의 상의 밝기와 주변부에서의 상의 밝기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Therefore,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ightness of an image at the center of the image sensor and the brightness of an image at the periphery.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의 주변부에서의 상이 상대적으로 어둡게 형성되는 현상인 렌즈 쉐이딩(Lens Shading)을 완화시킬 수 있다.Accordingly, lens shading,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an image at the periphery of the image sensor is formed to be relatively dark, can be alleviated.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제5 렌즈(150) 및 제6 렌즈(16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조리개, 적외선 필터(170) 및 이미지 센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ns 110, a second lens 120, a third lens 130, a fourth lens 140, a fifth lens 150, and a sixth lens. 160, and may further include an aperture, an infrared filter 170, and an image sensor 180.

여기서,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Thickness),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는 도 4와 같다.Here, the lens characteristics of each lens (radius of curvature, thickness of the lens or distance between lenses (thickness), index of refraction, and Abbe number) are as shown in FIG. 4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11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11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1 렌즈(11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ens 110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object side.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lens 11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lens 110 is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2 렌즈(12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렌즈(120)의 제1 면과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The second lens 120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with both sides convex.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second lens 120 are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3 렌즈(1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13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3 렌즈(13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third lens 130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object side.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third lens 13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third lens 130 is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4 렌즈(1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렌즈(14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4 렌즈(14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The fourth lens 140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convex upward.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fourth lens 140 is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ourth lens 14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5 렌즈(1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렌즈(15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5 렌즈(15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The fifth lens 150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convex upward.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fifth lens 150 is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fth lens 15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6 렌즈(1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렌즈(16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6 렌즈(16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sixth lens 160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object side.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sixth lens 16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sixth lens 160 is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또한, 상기 제6 렌즈(160)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inflection point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sixth lens 160 .

한편, 상기 제1 렌즈(110) 내지 상기 제6 렌즈(160)의 각 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Meanwhile, each surface of the first lens 110 to the sixth lens 160 has an aspherical surface coefficient as shown in FIG. 5 .

상기 조리개는 상기 촬상 광학계로 입사되는 빛을 양을 제한하는 제1 조리개 및 수차가 과도하게 발생하는 부분의 광을 차단하는 제2 조리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aphragm may include a first diaphragm that limits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to the imaging optical system and a second diaphragm that blocks light from a portion where aberrations excessively occur.

상기 제1 조리개는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조리개는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diaphragm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diaphragm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fourth lens.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ing optical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have aberration characteristics shown in FIGS. 2 and 3 .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210), 제2 렌즈(220), 제3 렌즈(230), 제4 렌즈(240), 제5 렌즈(250) 및 제6 렌즈(26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조리개, 적외선 필터(270) 및 이미지 센서(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ns 210, a second lens 220, a third lens 230, a fourth lens 240, a fifth lens 250, and a sixth lens. 260, and may further include an aperture, an infrared filter 270, and an image sensor 280.

여기서,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Thickness),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는 도 9와 같다.Here, the lens characteristics of each lens (radius of curvature, thickness of the lens or distance between the lenses (thickness), index of refraction, and Abbe number) are as shown in FIG. 9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21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21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1 렌즈(21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ens 210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object side.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lens 21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lens 210 is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2 렌즈(22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렌즈(220)의 제1 면과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The second lens 220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with both sides convex.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second lens 220 are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3 렌즈(2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23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3 렌즈(23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third lens 230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object side.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third lens 23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third lens 230 is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4 렌즈(2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렌즈(24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4 렌즈(14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The fourth lens 240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convex upward.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fourth lens 240 is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ourth lens 14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5 렌즈(1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렌즈(15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5 렌즈(25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The fifth lens 150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convex upward.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fifth lens 150 is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fth lens 25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6 렌즈(2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렌즈(26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6 렌즈(26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sixth lens 260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object side.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sixth lens 26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sixth lens 260 is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또한, 상기 제6 렌즈(260)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inflection point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sixth lens 260 .

한편, 상기 제1 렌즈(210) 내지 상기 제6 렌즈(260)의 각 면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Meanwhile, each surface of the first lens 210 to the sixth lens 260 has an aspherical surface coefficient as shown in FIG. 10 .

상기 조리개는 상기 촬상 광학계로 입사되는 빛을 양을 제한하는 제1 조리개 및 수차가 과도하게 발생하는 부분의 광을 차단하는 제2 조리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aphragm may include a first diaphragm that limits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to the imaging optical system and a second diaphragm that blocks light from a portion where aberrations excessively occur.

상기 제1 조리개는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조리개는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diaphragm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diaphragm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fourth lens.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Also, the imaging optical system configured as above may have aberration characteristics shown in FIGS. 7 and 8 .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5 .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310), 제2 렌즈(320), 제3 렌즈(330), 제4 렌즈(340), 제5 렌즈(350) 및 제6 렌즈(36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조리개, 적외선 필터(370) 및 이미지 센서(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ns 310, a second lens 320, a third lens 330, a fourth lens 340, a fifth lens 350, and a sixth lens. It includes an optical system including 360, and may further include an aperture, an infrared filter 370, and an image sensor 380.

여기서,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Thickness),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는 도 14와 같다.Here, the lens characteristics of each lens (radius of curvature, thickness of the lens or distance between lenses (thickness), index of refraction, and Abbe number) are as shown in FIG. 14 .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31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31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1 렌즈(31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ens 310 has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object side.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lens 31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lens 310 is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2 렌즈(32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양면이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렌즈(320)의 제1 면과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The second lens 320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with both sides convex.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second lens 320 are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3 렌즈(3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33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3 렌즈(33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third lens 330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object side.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third lens 33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third lens 330 is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4 렌즈(3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렌즈(34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4 렌즈(34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The fourth lens 340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convex upward.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fourth lens 340 is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ourth lens 34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5 렌즈(3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렌즈(35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5 렌즈(35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The fifth lens 350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convex upward.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fifth lens 350 is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fth lens 35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상기 제6 렌즈(3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렌즈(36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제6 렌즈(36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The sixth lens 360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object side.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of the sixth lens 36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sixth lens 360 is concave in the paraxial region.

또한, 상기 제6 렌즈(360)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inflection point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sixth lens 360 .

한편, 상기 제1 렌즈(310) 내지 상기 제6 렌즈(360)의 각 면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Meanwhile, each surface of the first lens 310 to the sixth lens 360 has an aspherical surface coefficient as shown in FIG. 15 .

상기 조리개는 상기 촬상 광학계로 입사되는 빛을 양을 제한하는 제1 조리개 및 수차가 과도하게 발생하는 부분의 광을 차단하는 제2 조리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aphragm may include a first diaphragm that limits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imaging optical system and a second diaphragm that blocks light from a portion where aberrations excessively occur.

상기 제1 조리개는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조리개는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diaphragm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diaphragm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fourth lens.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Also, the imaging optical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have aberration characteristics shown in FIGS. 12 and 13 .

한편,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앞서 설명한 조건식 1 내지 7을 만족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렌즈의 광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넓은 화각을 가지면서도 슬림한 촬상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imaging optical systems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y Conditional Expressions 1 to 7 described above, and through this,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lens can be improved. ,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lim imaging optical system while having a wide angle of view.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0, 210, 310: 제1 렌즈
120, 220, 320: 제2 렌즈
130, 230, 330: 제3 렌즈
140, 240, 340: 제4 렌즈
150, 250, 350: 제5 렌즈
160, 260, 360: 적외선 필터
170, 270, 370: 이미지 센서
110, 210, 310: first lens
120, 220, 320: second lens
130, 230, 330: third lens
140, 240, 340: fourth lens
150, 250, 350: 5th lens
160, 260, 360: infrared filter
170, 270, 370: image sensor

Claims (15)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 면이 볼록하고 상측 면이 오목한 제1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이 볼록한 제2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 면이 오목하고 상측 면이 볼록한 제5 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6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의 상기 물체측 면부터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를 TTL, 상기 촬상면의 대각 길이의 반을 ImgH라 할 때,
TTL/(ImgH*2) ≤ 0.75 를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a first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an object-side surface being convex, and an image-side surface being concave;
a second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ving an object-side surface and an image-side surface convex;
a third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a fourth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a fifth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n object-side surface being concave, and an image-side surface being convex; and
A sixth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includes,
When the distance on the optical axis from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to the imaging surface is TTL, and the half of the diagonal length of the imaging surface is ImgH,
An imaging optical system that satisfies TTL/(ImgH*2) ≤ 0.7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물체측 면이 볼록한 촬상 광학계.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lens is an imaging optical system having a convex object-side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상측 면이 오목한 촬상 광학계.
According to claim 2,
The third lens has a concave image-side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는 물체측 면이 볼록한 촬상 광학계.
According to claim 1,
The sixth lens is an imaging optical system having a convex object-side su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는 상측 면이 오목한 촬상 광학계.
According to claim 4,
The sixth lens has a concave image-side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의 상기 물체측 면 및 상기 상측 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갖는 촬상 광학계.
According to claim 5,
At least one of the object-side surface and the image-side surface of the sixth lens has at least one inflection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인 촬상 광학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are made of a plastic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상기 물체측 면의 유효반경을 ER1, 상기 제3 렌즈의 상측 면의 유효반경을 ER6라 할 때,
0.95 < ER1/ER6 < 1.05 를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effective radius of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is ER1 and the effective radius of the image-side surface of the third lens is ER6,
An imaging optical system that satisfies 0.95 < ER1/ER6 < 1.0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EFL이라 할 때, -5 < f1/EFL < -4.6를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According to claim 1,
Where f1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and EFL is the total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5 < f1/EFL < -4.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 상기 제3 렌즈의 초점거리를 f3이라 할 때, 2.3 < f1/f3 < 2.6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According to claim 1,
Where f1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and f3 is the focal length of the third lens, 2.3<f1/f3<2.6 is satisf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의 상측 면부터 촬상면까지의 거리를 BFL,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EFL이라 할 때, BFL/EFL < 0.31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According to claim 1,
Where BFL is the distance from the image side surface of the sixth lens to the imaging surface, and EFL is the total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BFL/EFL < 0.31.
제1항에 있어서,
근축 영역에서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의 간격은 각각,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4 렌즈 사이의 간격, 상기 제4 렌즈와 상기 제5 렌즈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5 렌즈와 상기 제6 렌즈 사이의 간격보다 좁은 촬상 광학계.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lens and the third lens in the paraxial region are, respectively,
An imaging optical system small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third lens and the fourth lens, a distance between the fourth lens and the fifth lens, and a distance between the fifth lens and the sixth le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는,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보다 짧은 촬상 광학계.
According to claim 1,
A combined focal length of the second lens and the third lens is shorter than a total focal length of the first to sixth len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의 상기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의 절대값은 상기 제2 렌즈의 상기 상측 면의 곡률 반경의 절대값보다 작은 촬상 광학계.
According to claim 1,
An absolute value of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second lens is smaller than an absolute value of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image-side surface of the second len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의 상기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을 r3, 상기 제2 렌즈의 상기 상측 면의 곡률 반경을 r4라 할 때, |r4/r3| > 20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According to claim 14,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second lens is r3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mage-side surface of the second lens is r4, |r4/r3| > Imaging optics that satisfies 20.
KR1020230072990A 2021-03-22 2023-06-07 Optical system KR1026205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990A KR102620513B1 (en) 2021-03-22 2023-06-07 Optica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684A KR102280775B1 (en) 2020-06-11 2021-03-22 Optical system
KR1020220076388A KR102542540B1 (en) 2021-03-22 2022-06-22 Optical system
KR1020230072990A KR102620513B1 (en) 2021-03-22 2023-06-07 Optical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388A Division KR102542540B1 (en) 2021-03-22 2022-06-22 Optica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319A true KR20230088319A (en) 2023-06-19
KR102620513B1 KR102620513B1 (en) 2024-01-03

Family

ID=7715540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629A KR102413684B1 (en) 2021-03-22 2021-07-16 Optical system
KR1020220076388A KR102542540B1 (en) 2021-03-22 2022-06-22 Optical system
KR1020230072990A KR102620513B1 (en) 2021-03-22 2023-06-07 Optical system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629A KR102413684B1 (en) 2021-03-22 2021-07-16 Optical system
KR1020220076388A KR102542540B1 (en) 2021-03-22 2022-06-22 Optica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1368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5865A (en) * 2010-07-16 2013-03-20 柯尼卡美能达先进多层薄膜株式会社 Image capture lens
CN103529538A (en) * 2012-07-04 2014-01-22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Image lens assembly
US20140043694A1 (en) * 2012-08-13 2014-02-13 Largan Precision Co., Ltd. Image lens assembly system
US20140092491A1 (en) * 2012-10-02 2014-04-03 Largan Precision Co., Ltd. Imaging lens assembly
US20140293458A1 (en) * 2013-04-01 2014-10-02 Sony Corporation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80574B (en) * 2014-01-24 2015-04-11 Largan Precision Co Ltd Image capturing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5865A (en) * 2010-07-16 2013-03-20 柯尼卡美能达先进多层薄膜株式会社 Image capture lens
CN103529538A (en) * 2012-07-04 2014-01-22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Image lens assembly
US20140043694A1 (en) * 2012-08-13 2014-02-13 Largan Precision Co., Ltd. Image lens assembly system
US20140226220A1 (en) * 2012-08-13 2014-08-14 Largan Precision Co., Ltd. Image lens assembly system
US20140092491A1 (en) * 2012-10-02 2014-04-03 Largan Precision Co., Ltd. Imaging lens assembly
US20140293458A1 (en) * 2013-04-01 2014-10-02 Sony Corporation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540B1 (en) 2023-06-13
KR20210092178A (en) 2021-07-23
KR20220093060A (en) 2022-07-05
KR102413684B1 (en) 2022-06-27
KR102620513B1 (en)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431B1 (en) Optical system
KR102416824B1 (en) Optical system
KR102246993B1 (en) Optical system
KR102126411B1 (en) Optical system
KR102375928B1 (en) Optical system
KR102542540B1 (en) Optical system
KR102280775B1 (en) Optical system
KR102232977B1 (en) Optical system
KR102574437B1 (en) Optical system
KR102494344B1 (en) Optical system
KR102231705B1 (en) Optical system
KR102470176B1 (en) Optical system
KR102548990B1 (en) Optical system
KR102527994B1 (en) Optical system
KR102231704B1 (en) Optical system
KR102246994B1 (en) Optical system
KR102393383B1 (en) Optical system
KR102500891B1 (en) Optical system
KR102126412B1 (en) Optical system
KR20230074462A (en) Optical imaging system
KR20210033964A (en) Optic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