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509A -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 Google Patents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509A
KR20230083509A KR1020210171555A KR20210171555A KR20230083509A KR 20230083509 A KR20230083509 A KR 20230083509A KR 1020210171555 A KR1020210171555 A KR 1020210171555A KR 20210171555 A KR20210171555 A KR 20210171555A KR 20230083509 A KR20230083509 A KR 20230083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tact switch
lock device
recognition
electrost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수
Original Assignee
(주)하이원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원플러스 filed Critical (주)하이원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171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3509A/ko
Publication of KR20230083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도어락 내측 본체의 소정 개소에 안착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중앙에 위치하는 텍트 스위치, 상기 지지 브라켓에서 상기 텍트 스위치 주위에 위치하는 정전 인식 패턴부, 상기 텍트 스위치 및 정전 인식 패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수용되며, 상기 텍트 스위치와 대응하는 개소에 누름편이 형성된 터치부 및 상기 정전 인식 패턴부와 대응하는 개소에 위치하는 정전 인식 스프링을 포함하는 상기 수동 조작 모듈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텍트 스위치의 누름 동작과 정전 인식 패턴부의 정전 인식이 함께 발생한 경우에만 데드볼트의 락킹 상태를 해정할 수 있어, 외부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Open structure of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락 내측 본체의 버튼 구조를 정전 방식과 텍트 스위치 방식이 동시에 적용되게 개선함으로써, 외부에서 불법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며, 또 필요에 따라 정상 인증된 경우에만 내부에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장소의 출입문에는 인가(인증)되지 않은 외부인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도어락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락 장치에는 실외에서 출입문을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잠금 장치가 설치되는데, 가장 일반적인 형태가 열쇠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락의 잠금과 해정을 하는 기계식 자물쇠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자물쇠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보안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비밀번호, 지문인식 또는 카드인식 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서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락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사이에 설치되고 문의 내부에 장착된 모티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티스에는 데드 볼트와 래치 볼트가 설치된다. 또 도어락 장치의 해정을 위해 핸들 타입 또는 푸시풀 타입의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어락 장치는, 일반적으로 도어의 내측에서 수동으로 데드 볼트를 조작할 수 있는 수동 조작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수동 조작 장치는 샤프트 장치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터리 노브, 구동모터를 임의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내측 본체에 설치되는 푸시 버튼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이때 푸시 버튼은 제어보드에 설치된 텍트 스위치(tact switch; 22a)를 누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푸시 버튼의 누름 동작에 따라 텍트 스위치가 눌러지고, 이에 제어보드가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샤프트 장치의 회전운동으로 데드 볼트를 해정시킨다. 그러면 손잡이를 조작하여 도어를 해정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도어락 장치는 이처럼 푸시 버튼을 누르기만 텍트 스위치가 조작되어 도어가 개방되는 구조이다. 이럴 경우 외부에서 침입자가 각종 이물을 이용하여 도어 내측에 있는 푸시 버튼을 누를 수 있다면 도어가 불법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안전상의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 구조 상 철사나 봉 등의 물체가 삽입될 수 있다면 푸시 버튼의 조작만으로도 외부에서 충분히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어 내측에서는 손잡이만 조작하면 바로 출입이 가능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실내에서 실외로 나갈 경우에도 인증이 필요할 경우가 있다. 병원이나 경찰서 등에 설치된 도어락의 경우 불특정 다수가 인증절차 없이 실내에서 실외로 출입할 경우 예기치 않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464590호(2013. 01. 0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 내측에 마련된 푸시 버튼에 정전 방식과 텍트 스위치 방식을 적용하여, 외부에서 도어를 불법으로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는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정상 인증된 경우에만 도어 내측에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는, 도어락 장치의 내측 본체에 설치되는 수동 조작 모듈은 포함하고, 상기 수동 조작 모듈은, 상기 내측 본체의 소정 개소에 안착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의 중앙에 위치하는 텍트 스위치; 상기 지지 브라켓에서 상기 텍트 스위치 주위에 위치하는 정전 인식 패턴부; 상기 텍트 스위치 및 정전 인식 패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수용되며, 상기 텍트 스위치와 대응하는 개소에 누름편이 형성된 터치부 및 상기 정전 인식 패턴부와 대응하는 개소에 위치하는 정전 인식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부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누름편 및 정전 인식 스프링은 상기 텍트 스위치 및 정전 인식 패턴부와 접촉하고, 상기 터치부의 누름 동작이 해제되면 상기 정전 인식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누름편 및 정전 인식 스프링은 상기 텍트 스위치 및 정전 인식 패턴부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보드; 상기 제어보드의 제어동작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데드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보드는 텍트 스위치의 누름 동작과 정전 인식 패턴부의 정전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데드볼트의 락킹상태를 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동 조작 모듈을 분리하고 동일한 개소에 조립되는 지문 인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이 조립되면 상기 지문 인식 모듈과 상기 제어보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은 내부에서 외부로의 출입을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어락 장치는, 핸들이나 손잡이가 고정된 핸들 고정형 도어락 장치이고, 상기 수동 조작 모듈을 이용하여 도어를 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의 내측 본체에 스위치 조작 및 정전 인식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는 수동 조작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도어 외부에서 부정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기회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의 내측 본체에 지문 인식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에서 외부로의 출입을 통제하는 기관 등에 설치할 경우 내부에서도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 조작 모듈과 지문 인식 모듈을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도어락 장치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픈 구조체만을 보여준 분리 사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오프 구조체의 동작 상태를 보여준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 타입의 도어가 아니고, 좌수형 또는 우수형 타입으로 도어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모든 종류의 도어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어락 장치는 핸들 고정형 도어락 장치이다. 도어락 장치는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었는데, 예를 들면 핸들 타입이나 푸쉬풀 타입 등을 말할 수 있다. 핸들 타입은 외측 본체나 내측 본체에 마련된 핸들(즉 손잡이나 레버)을 회전시켜 출입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푸쉬풀 타입은 핸들 일체형이다. 보통 패닉릴리즈 핸들(panic release handle) 방식이라 부르며 밀고 당겨 도어를 열 수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방식은 보통 키 입력이나 생체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모티스 내의 모터 구동력으로 데드 볼트가 잠금 해제되고, 이후 핸들을 회전하거나 당겨 래치 볼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반면 핸들 고정형 도어락 장치는 기계적 움직임 없이 핸들이 고정된 구조이다. 외측 본체(아웃바디), 내측 본체(인바디) 및 데드 볼트와 래치 볼트를 갖는 모티스를 포함한 구조에서 사용자 인증이 정당하면 내측 본체 내의 모터 구동력에 의해 데드 볼트 및 래치 볼트가 동시에 잠금 해제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는 상기한 핸들 고정형 도어락 장치에 적용되어 도어를 해정하기 위한 것이고, 특히 도어의 내측에 마련된 도어락 본체(내측 본체)에 설치되는 바, 본 명세서는 도어락 내측 본체만을 도시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픈 구조체만을 보여준 분리 사시도면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어락 본체는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도어 외측에 설치된 본체, 그리고 내/외측 본체 사이에 위치하고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설치된 모티스가 협력하여 도어의 내/외부에서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내측 본체(10)는, 수동 조작 모듈(100)을 포함한다. 수동 조작 모듈(100)은 내측 본체(10)의 일부를 개폐하는 덮개(20)를 활용하여 내측 본체(10)에 설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 조작 모듈(100)은, 터치부(110), 정전인식 스프링(120), 텍트 스위치(130), 정전 인식 패턴부(140), 그리고 이들 구성들을 지지하면서 내측 본체에 안착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150)과 지지 브라켓(150) 상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160)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 브라켓(150)은 내측 본체(10)의 소정 개소에 안착 고정된다. 내측 본체(10)와 완전히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지만, 고장 발생 시 수리나 교체 등을 위해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분리 및 장착 구조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체결홈(152)이 형성된다.
텍트 스위치(130) 및 정전 인식 패턴부(140)는 지지 브라켓(150)의 일면에 구비되고, 도어락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보드(170, 도 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텍트 스위치(130)와 정전 인식 패턴부(140)의 배치는 지지 브라켓(150)의 중앙에 텍트 스위치(130)가 위치하고 텍트 스위치(130)의 주위에 정전 인식 패턴부(140)가 위치한다. 여기서 정전 인식 패턴부(140)는 점 형태로 형성되거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형상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터치부(110)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정전 인식 스프링(120)이 접촉되어 이를 인식할 수 있으면 상관없다.
터치부(110) 및 정전 인식 스프링(120)은 가이드 부재(160)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터치부(110)는 중앙에 누름편(112)이 텍트 스위치(1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정전 인식 스프링(120)은 정전 인식 패턴부(140)와 대응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누름편(112) 및 정전 인식 스프링(120)은 텍트 스위치(130) 및 정전 인식 패턴부(140)와 일정 간격 이격되며, 터치부(110)가 눌러진 경우에만 누름편(112)은 텍트 스위치(130)를 누르고 정전 인식 스프링(120)은 정전 인식 패턴부(140)와 접촉하게 된다. 누름 동작 후에 누름 동작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정전 인식 스프링(120)의 복원력에 의해 터치부(110)는 최초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누름편(112)과 텍트 스위치(130), 또 정전 인식 스프링(120)과 정전 인식 패턴부(140)는 이격되는 초기 상태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보면, 위에서 설명한 수동 조작 모듈인(100) 터치부(110), 정전인식 스프링(120), 텍트 스위치(130), 정전 인식 패턴부(140)가 제공된다.
그리고 텍트 스위치(130) 및 정전 인식 패턴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보드(170), 제어보드(170)의 제어동작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모터(180), 구동모터(180)의 구동력에 의해 도어를 록킹 시키거나 해정 시키는 데드볼트(190)가 제공된다.
도 4을 참조하여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측에서 내측 본체(10)에 마련된 터치부(110)를 누른다. 그러면 터치부(110)는 가이드 부재(160)의 내부에서 가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에 따라 터치부(110)의 누름편(112)은 텍트 스위치(130)를 누르게 되며 정전 인식 스프링(120)은 정전 인식 패턴부(140)와 접촉하게 된다.
제어보드(170)는 텍트 스위치(130)의 누름 동작과 정전 인식 패턴부(140)의 정전 인식 결과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위의 2가지 결과 값을 전달받는 경우에만 제어보드(170)는 구동모터(18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구동모터(180)의 구동력에 의해 데드볼트(190)와 연결된 샤프트(shift)가 회전운동하고, 이러한 회전운동에 따라 데드볼트(190)는 도어의 내측으로 운동된다. 결국, 록킹된 도어를 해정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부(110)의 누름 조작이 해제되면 정전 인식 스프링(120)의 복원력에 의해 터치부(110)는 최초 위치로 복귀한다.
이처럼 본 실시 예는 텍트 스위치의 동작과 정전 인식이 함께 된 경우에만 도어 개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종래에 외부에서 정당하지 않는 방법으로 터치부를 눌러 도어를 불법으로 개방했던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에 따르면 수동 조작 모듈(100)의 터치조작 및 정전인식기능 대신 지문을 인식하는 모듈을 채용할 수도 있다. 즉 지문 인식을 위해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 인식 모듈이 제공되며, 지문 인식 모듈은 내부 본체(10)에 조립하면 제어보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제어보드(170)와 연결된 저장매체(미도시)에는 지문 정보가 등록 저장된다.
따라서 제어보드(170)는 지문 인식 모듈이 인식하는 지문의 정당성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구동모터(180)를 구동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하여 데드볼트(190)를 해정시킨다.
기존 도어락 장치에도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 인식기능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유사할 수 있지만, 기존 도어락 장치는 외부 본체에 설치되어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는 것이고, 본 실시 예의 도어락 장치에서는 내부 본체(10)에 설치되어 외부로의 출입을 통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은 수동 조작 모듈(100)과 교체가 가능하다. 수동 조작 모듈(100)을 분리하고 동일한 개소에 지문 인식 모듈을 끼워 조립하기만 하면 지문 인식 모듈과 내측 본체(10)에 있는 제어보드(17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편의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성비가 높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의 내측 본체에 스위치 조작 및 정전 인식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는 수동 조작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도어 외부에서 부정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기회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고, 나아가 지문 인식 모듈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도어락 장치의 활용 가능성이 큼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도어락 장치의 내측 본체
100: 수동 조작 모듈
110: 터치부
112: 누름편
120: 정전 인식 스프링
130: 텍트 스위치
140: 정전 인식 패턴부
150: 지지 브라켓
152: 체결홈
160: 가이드 부재
170: 제어보드
180: 구동모터
190: 데드볼트

Claims (5)

  1. 도어락 장치의 내측 본체에 설치되는 수동 조작 모듈은 포함하고,
    상기 수동 조작 모듈은,
    상기 내측 본체의 소정 개소에 안착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의 중앙에 위치하는 텍트 스위치;
    상기 지지 브라켓에서 상기 텍트 스위치 주위에 위치하는 정전 인식 패턴부;
    상기 텍트 스위치 및 정전 인식 패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수용되며, 상기 텍트 스위치와 대응하는 개소에 누름편이 형성된 터치부 및 상기 정전 인식 패턴부와 대응하는 개소에 위치하는 정전 인식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부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누름편 및 정전 인식 스프링은 상기 텍트 스위치 및 정전 인식 패턴부와 접촉하고,
    상기 터치부의 누름 동작이 해제되면 상기 정전 인식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누름편 및 정전 인식 스프링은 상기 텍트 스위치 및 정전 인식 패턴부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보드;
    상기 제어보드의 제어동작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데드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보드는 텍트 스위치의 누름 동작과 정전 인식 패턴부의 정전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데드볼트의 락킹상태를 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조작 모듈을 분리하고 동일한 개소에 조립되는 지문 인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이 조립되면 상기 지문 인식 모듈과 상기 제어보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은 내부에서 외부로의 출입을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핸들이나 손잡이가 고정된 핸들 고정형 도어락 장치이고,
    상기 수동 조작 모듈을 이용하여 도어를 해정하는,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KR1020210171555A 2021-12-03 2021-12-03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KR20230083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555A KR20230083509A (ko) 2021-12-03 2021-12-03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555A KR20230083509A (ko) 2021-12-03 2021-12-03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509A true KR20230083509A (ko) 2023-06-12

Family

ID=8677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555A KR20230083509A (ko) 2021-12-03 2021-12-03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35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590Y1 (ko) 2012-02-17 2013-01-09 주식회사 엔터로직 디지털도어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590Y1 (ko) 2012-02-17 2013-01-09 주식회사 엔터로직 디지털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3875B1 (en) Locking arrangement for a door
US5715713A (en) Door latch locking actuator assembly
US4807455A (en) Electromagnetically blocking and unblocking a lock for a safety deposit box, strong box or the like
JP2013509516A (ja) 二重ロック機構を有する金庫
US20070137267A1 (en) Lock set to deadbolt interlock
CN114096732A (zh) 用于机动车的开门设备和开门***
CN107355139B (zh) 电子锁及应用其的门禁***
KR100825446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1895216B1 (ko) 도어록용 모티스
KR100763884B1 (ko) 도어록 장치
KR20230083509A (ko)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CA2895850A1 (en) Latch mechanism for an exit device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US20050044909A1 (en) Knob cylinder with biometrical sensor
KR100856743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082544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20230032566A (ko) 래치 볼트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고정형 도어락 장치
KR102670960B1 (ko) 도어락 모티스
KR200205791Y1 (ko) 출입문 잠금장치의 개폐기
KR20110048400A (ko) 도어록 장치
KR100439113B1 (ko) 도어록킹장치
KR200438043Y1 (ko) 도어용 핸들 장치
KR200363944Y1 (ko)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KR101979142B1 (ko) 안전 개폐 기능을 가진 도어 록
KR200282709Y1 (ko) 도어락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