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718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718A
KR20230076718A KR1020220035989A KR20220035989A KR20230076718A KR 20230076718 A KR20230076718 A KR 20230076718A KR 1020220035989 A KR1020220035989 A KR 1020220035989A KR 20220035989 A KR20220035989 A KR 20220035989A KR 20230076718 A KR20230076718 A KR 20230076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ffusion region
light emitting
reflective layer
color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대규
박다영
박희진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76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청색광 누출을 방지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서로 다른 색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 유닛들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픽셀 유닛; 및 상기 픽셀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픽셀 유닛은, 기판 상에 형성되며 광을 상면으로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의 발광면을 덮는 투사 영역과, 상기 투사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발광부의 외측 영역으로 연장되는 확산 영역을 포함하고, 기설정된 대역의 파장을 흡수하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색 변환층; 및 상기 색 변환층의 상기 투사 영역을 덮는 제1 반사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에서 생성되는 광은 상기 확산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청색광 누출이 억제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 장치는 스스로 발광하여 발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초소형 제작이 가능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청색광이 누출되며 색재현성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양자점은 반도체 입자의 크기를 수~수십 나노 미터 크기로 제조한 발광 재료로 입자크기를 변화시켜 기존의 벌크 반도체와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양자점 발광 재료는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밴드갭이 넓어지고 입자의 크기 조절을 통해 가시광선 영역에서 색순도가 우수한 발광 재료를 만들 수 있다. 양자점의 적용을 통해 기존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보다 높은 색재현성을 가진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07-0037356호 (2007.04.04)
본 발명은 청색광의 누출이 억제되어 영상 품질이 향상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다른 색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 유닛들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픽셀 유닛; 및 상기 픽셀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픽셀 유닛은, 기판 상에 형성되며 광을 상면으로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의 발광면을 덮는 투사 영역과, 상기 투사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발광부의 외측 영역으로 연장되는 확산 영역을 포함하고, 기설정된 대역의 파장을 흡수하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색 변환층; 및 상기 색 변환층의 상기 투사 영역을 덮는 제1 반사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에서 생성되는 광은 상기 확산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된다.
또한, 상기 제1 반사층의 너비는, 상기 발광부의 상기 발광면의 너비와 같거나 상기 발광면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반사층과 상기 발광면 사이의 거리는 0.1 um 내지 15 u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색 변환층의 상기 확산 영역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확산 영역에 입사된 광을 상기 확산 영역의 상면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제2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반사층 및 상기 제2 반사층은, 단일 금속 산화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반사층과 상기 기판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 영역의 상방에는 상기 광이 외부로 투과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너비는 상기 제1 반사층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반사층의 넓이는, 상기 개구부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 영역은, 상기 투사 영역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제1 확산 영역과, 상기 투사 영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는 제2 확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색 변환층의 중심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확산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제2 확산 영역의 크기는 상호 동일하며, 상기 제1 확산 영역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확산 영역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반사층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색 변환층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확산 영역 및 상기 제2 확산 영역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확산 영역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확산 영역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2 개구부 중 어느 하나의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제1 반사층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에너지 피크가 400 nm 내지 500 nm 파장 대역에 배치되는 광을 발산하며, 상기 색 변환층은, 400 nm 내지 500 nm 파장 대역의 광을 흡수하며, 적색 양자점 소자 및 녹색 양자점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서브 픽셀 및 이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서브 픽셀 사이에는, 상기 서브 픽셀들 간의 광 누설을 억제하기 위한 격벽 유닛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 유닛 중 하나는 상기 색 변환층의 어느 하나의 단부에 밀착되며, 상기 격별 유닛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색 변환층의 다른 하나의 단부와 밀착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청색광 누출이 억제되어 영상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청색광 변환층에 양자점 소재를 사용하여 기존의 발광소자보다 높은 색재현성을 가질 수 있으며, 반사시트를 청색광 변환층과 함께 사용하면 더욱 높은 색재현성의 특성을 보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픽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서브 픽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서브 픽셀 유닛의 Ⅲ-Ⅲ 선도에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 유닛의 Ⅲ-Ⅲ 선도에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 유닛의 Ⅲ-Ⅲ 선도에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 유닛의 Ⅲ-Ⅲ 선도에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될 수 있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며,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인 바, 도면에 도시된 내용은 실제 발명의 구현모습에 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청색광 변환층과 청색광 반사시트를 통해 청색광의 누출을 감소시킨다. 청색광 변환층은 화소에서 방출되는 광의 진행 방향에 위치하며 반사시트는 색변환층의 위 또는 (위,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청색광 변환층은 발광부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약간 클 수 있으며, 반사시트는 발광부의 크기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청색광 변환층은 발광부에서 누출되는 청색광을 흡수하고, 반사시트는 청색광 변환층에 흡수되는 청색광을 반사하여 방출되는 청색광의 누출을 감소시킨다. 발광 소자에서 방출된 청색광은 청색광 변환층에서 일부 흡수되고 일부는 반사시트를 통해 빛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켜 청색광의 누출을 감소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픽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복수의 픽셀 유닛(1)들을 포함하며, 픽셀 유닛(1)들은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 유닛(10,11,12,13)을 포함한다. 또한, 픽셀 유닛(1)을 구동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표시장치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마이크로 LED로써 유기 화합물 층으로 이루어진 LED 반도체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서브 픽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복수의 서브 픽셀 유닛(10)은 격벽 유닛(700)에 의하여 격리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서브 픽셀 유닛의 Ⅲ-Ⅲ 선도에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서브 픽셀 유닛(10)은 기판(100), 기판(100) 상에 형성되어 광을 상면으로 조사하는 발광부(200), 상기 발광부(200)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200)의 발광면을 덮는 투사 영역(A1)과, 상기 투사 영역(A1)과 연결되며 상기 발광부(200)의 외측 영역으로 연장되는 확산 영역(A2)을 포함하고, 기설정된 대역의 파장을 흡수하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색 변환층(400) 및 색 변환층(400)의 상기 투사 영역(A1)을 덮는 제1 반사층(310)을 포함한다.
이때, 발광부(200)에서 생성되는 광은 투사 영역(A1)을 투과하여 제1 반사층(310)에서 반사되어 확산되며, 확산 영역(A2)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된다.
이때, 제1 반사층(310)은 단일 금속 또는 단일 금속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 금속은 바람직하게, Al, Ca, Au 이며, 단일 금속 산화물은 바람직하게 SiO, ZnO, Al2O3 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색 변환층(400)과 상기 기판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600)이 형성되어, 발광부(200)에서 생성된 상기 광이 하방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확산 영역(A2)의 상방에는 상기 광이 외부로 투과되기 위한 개구부(500)가 형성되며, 개구부(500)의 너비는 제1 반사층(310)의 너비(L2)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반사층(300)의 넓이는, 상기 개구부(500)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반사층(310)의 너비(L2)는, 발광부(200)의 발광면의 너비(L1)와 같거나 상기 발광면의 너비(L1)보다 크게 형성되며, 제1 반사층(310)과 발광면 사이의 거리는 0.05 um 내지 15 um의 크기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0.1 um 내지 10 um의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색 변환층(400)의 두께는 0.05 um 내지 15 um, 바람직하게는 0.1 um 내지 10 u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 영역(A2)은, 상기 투사 영역(A1)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제1 확산 영역(A21)과, 상기 투사 영역(A1)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는 제2 확산 영역(A22)을 포함한다.
이때, 제1 확산 영역(A21)의 크기 및 제2 확산 영역(A22)의 크기는 상호 동일하며, 상기 제1 확산 영역(A21)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1 개구부(510) 및 상기 제2 확산 영역(A22)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2 개구부(520)는 상기 제1 반사층(310)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발광부(200)에서 발산되는 광은, 에너지 피크가 400 nm 내지 500 nm 파장 대역이며, 색 변환층(400)은 400 nm 내지 500 nm 파장 대역의 광을 흡수하며, 적색 양자점 소자 및 녹색 양자점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어느 하나의 서브 픽셀(10,11,12,13) 및 이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서브 픽셀(10,11,12,13) 사이에는, 상기 서브 픽셀(10,11,12,13)들 간의 광 누설을 억제하기 위한 격벽 유닛(700)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 유닛(700) 중 하나는 색 변환층(400)의 어느 하나의 단부에 밀착되며, 상기 격벽 유닛(700)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색 변환층(400)의 다른 하나의 단부와 밀착되어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부(200)에서 방출된 광은, 색 변환층(400)에서 일부 흡수되고, 다른 일부는 제1 반사층(310)를 통해 파장이 증가되어 상기 광의 파장 영역이 다른 파장대로 변환되어, 청색광 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어, 높은 색재현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 유닛의 Ⅲ-Ⅲ 선도에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반사층(31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표시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반사층(310)의 너비(L2`)는 발광부(200)의 발광면의 너비(L1)보다 크게 형성되어, 발광부(200)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제1 반사층(310)에서 반사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반사층(310)은 발광부(200)에서 방출되는 광의 진행 길이를 증가시켜, 파장 대역이 증가하고, 따라서 에너지 피크가 400 nm 내지 500 nm인 청색광의 누출이 감소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 유닛의 Ⅲ-Ⅲ 선도에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반사층(300,310,320)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표시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색 변환층(400)의 확산 영역(A2)과 기판(100) 사이에 제2 반사층(320)이 배치되며, 상기 확산 영역(A2)에 입사된 광을 상기 확산 영역(A2)의 상면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층(310) 및 제2 반사층(320)은, 단일 금속 또는 단일 금속 산화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반사층과 상기 기판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이 형성된다.
이때, 단일 금속은 바람직하게, Al, Ca, Au 이며, 단일 금속 산화물은 바람직하게 SiO, ZnO, Al2O3 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 유닛의 Ⅲ-Ⅲ 선도에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반사층(300,310,320)과 발광부(200)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표시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발광부는(200)는 색 변환층(400)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며, 제1 확산 영역(A21) 및 제2 확산 영역(A22)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확산 영역(A21)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1 개구부(510) 및 상기 제2 확산 영역(A21)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2 개구부(520) 중 어느 하나의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제1 반사층(310) 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같은 크기로 형성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400 nm 내지 500 nm 파장 대역의 광을 흡수하는 색 변환층(400)의 확산 영역(A2) 중 상기 제1 반사층(310) 보다 작게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확산 영역은 다른 하나의 확산 영역 보다 작은 개구부의 크기를 갖여 상기 400 nm 내지 500 nm 파장 대역의 광이 상대적으로 적게 흡수된 광은 상대적으로 적게 외부로 발산되어 청색광의 누출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픽셀 유닛
10 : 서브 픽셀 유닛 11 : 제1 서브 픽셀 유닛
12 : 제2 서브 픽셀 유닛 13 : 제3서브 픽셀 유닛
100 : 기판
200 : 발광부
300 : 반사층 310 : 제1 반사층
320 : 제2 반사층
400 : 색 변환층
500 : 개구부
510 : 제1 개구부 520 : 제2 개구부
600 : 층간 절연막
700 : 격벽 유닛
A1 : 투사 영역
A2 : 확산 영역 A21 : 제1 확산 영역
A22 : 제2 확산 영역

Claims (10)

  1. 표시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색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 유닛들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픽셀 유닛; 및
    상기 픽셀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픽셀 유닛은,
    기판 상에 형성되며 광을 상면으로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의 발광면을 덮는 투사 영역과, 상기 투사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발광부의 외측 영역으로 연장되는 확산 영역을 포함하고, 기설정된 대역의 파장을 흡수하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색 변환층; 및
    상기 색 변환층의 상기 투사 영역을 덮는 제1 반사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에서 생성되는 광은 상기 확산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층의 너비는, 상기 발광부의 상기 발광면의 너비와 같거나 상기 발광면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반사층과 상기 발광면 사이의 거리는 0.1 um 내지 15 um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색 변환층의 상기 확산 영역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확산 영역에 입사된 광을 상기 확산 영역의 상면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제2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층 및 상기 제2 반사층은, 단일 금속 산화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반사층과 상기 기판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이 형성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영역의 상방에는 상기 광이 외부로 투과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너비는 상기 제1 반사층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반사층의 넓이는, 상기 개구부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영역은, 상기 투사 영역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제1 확산 영역과, 상기 투사 영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는 제2 확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색 변환층의 중심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확산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제2 확산 영역의 크기는 상호 동일하며, 상기 제1 확산 영역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확산 영역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반사층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색 변환층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확산 영역 및 상기 제2 확산 영역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확산 영역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확산 영역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2 개구부 중 어느 하나의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제1 반사층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에너지 피크가 400 nm 내지 500 nm 파장 대역에 배치되는 광을 발산하며,
    상기 색 변환층은, 400 nm 내지 500 nm 파장 대역의 광을 흡수하며, 적색 양자점 소자 및 녹색 양자점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서브 픽셀 및 이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서브 픽셀 사이에는, 상기 서브 픽셀들 간의 광 누설을 억제하기 위한 격벽 유닛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 유닛 중 하나는 상기 색 변환층의 어느 하나의 단부에 밀착되며, 상기 격별 유닛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색 변환층의 다른 하나의 단부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20035989A 2021-11-24 2022-03-23 표시장치 KR202300767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62929 2021-11-24
KR1020210162929 2021-1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718A true KR20230076718A (ko) 2023-05-31

Family

ID=8654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989A KR20230076718A (ko) 2021-11-24 2022-03-23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7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356A (ko) 2005-09-30 2007-04-04 유니비젼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향상된 채도를 가진 풀컬러 oled 디스플레이 및 이의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356A (ko) 2005-09-30 2007-04-04 유니비젼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향상된 채도를 가진 풀컬러 oled 디스플레이 및 이의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545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0304813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bank structures
US20190280247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414886B2 (ja) 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TWI539591B (zh) 有機電致發光裝置及其製造方法
US11404492B2 (en) Display device
US20130015483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EP3624198B1 (en) Display device
JP7266387B2 (ja) 表示装置
TWI596748B (zh) 顯示裝置
WO2021120314A1 (zh) 一种显示面板
CN112582525A (zh) 发光二极管及背光单元
KR102579289B1 (ko) 색변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90206848A1 (en) Display apparatus
US11552139B2 (en) Display device
KR20170052455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30066285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149017A1 (en) Display device
WO2020100432A1 (ja) 表示装置
JP5695620B2 (ja) 表示装置
JP2013065773A (ja) 半導体発光素子
CN112349751A (zh) 发光显示设备
KR20230076718A (ko) 표시장치
US10553648B2 (en)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JP2008052950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