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590A - 전기 레인지 - Google Patents

전기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590A
KR20230076590A KR1020210163675A KR20210163675A KR20230076590A KR 20230076590 A KR20230076590 A KR 20230076590A KR 1020210163675 A KR1020210163675 A KR 1020210163675A KR 20210163675 A KR20210163675 A KR 20210163675A KR 20230076590 A KR20230076590 A KR 20230076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working coils
container
switc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김동현
이의순
성연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6590A/ko
Publication of KR2023007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3Heating plates made out of a matrix of heating elements that can define heating areas adapted to cookware randomly placed on the heating pl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4Heating plates with overheat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화구와,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전원부와, 스위치를 포함하고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직류 전력을 고주파 전력으로 변환하여 복수의 워킹 코일에 각각 출력하는 인버터부와, 복수의 워킹 코일에 대상 용기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용기 감지 센서와, 스위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복수의 용기 감지 센서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대상 용기의 안착 여부 신호를 기초로 대상 용기가 복수의 워킹 코일에 안착된 것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스위치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알람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알람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에게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조리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여 용기, 예컨대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전기 레인지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기 레인지가 전기를 이용하여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저항 가열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 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용기에 전달함으로써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유도 가열 방식은 일정 크기의 고주파 전력을 워킹 코일에 인가할 때 워킹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와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켜 용기 자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유도 가열 방식의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 레인지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일정 크기의 고주파 전력이 워킹 코일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전기 레인지 내부에 배치되는 워킹 코일 주변에는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유도 자계의 자력선이 전기 레인지 상부에 안착된 금속 성분을 포함한 용기의 바닥을 통과하면, 용기 바닥의 내부에 와전류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와전류가 용기 바닥에 흐르면 용기 자체가 가열된다.
전기 레인지는,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구, 워킹 코일에 고주파 전력을 출력하는 복수의 인버터 및 복수의 인버터에 화력 단계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최근 화구에 복수의 워킹 코일을 구비하고,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화구의 정해지지 않은 임의의 위치에 안착하고 가열할 수 있는, 이른바 자유 화구(Full Free) 전기 레인지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자유 화구 전기 레인지는 하나의 용기가 복수의 워킹 코일에 걸쳐 안착되는 경우 인버터에 구비된 스위치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즉, 인버터가 화력 단계 신호에 따라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함에도 불구하고, 용기가 하나의 워킹 코일 중 일부만 점유하기 때문에 화력 단계 신호에 해당하는 고주파 전력 보다 작은 전력이 출력된다. 이에 따라, 인버터는, 화력 단계 신호에 해당하는 고주파 전력를 출력하기 위해, 스위치의 온오프 듀티비를 더 빠르게 제어하게 되어 스위치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발생되는 스위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워킹 코일에 출력되는 고주파 전력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워킹 코일이 용기를 충분히 가열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쿠첸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813168호 “프리존 영역을 구비한 전기 레인지”는 프리존 영역을 구비한 전기 레인지로서, 프리존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워킹 코일보다 적은 스위칭부와 적은 릴레이부를 사용하여 복수의 워킹 코일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전기 레인지를 개시하고 있으나, 용기가 복수의 워킹 코일에 안착되면 출력이 저감되어 용기를 충분히 가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가 복수의 워킹 코일에 안착되어 가열되고 복수의 워킹 코일을 구동하는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용기를 적절한 위치에 이동하게 하여 대상 용기를 충분히 가열시킬 수 있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화구와,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전원부와, 스위치를 포함하고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직류 전력을 고주파 전력으로 변환하여 복수의 워킹 코일에 각각 출력하는 인버터부와, 복수의 워킹 코일에 대상 용기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용기 감지 센서와, 스위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복수의 용기 감지 센서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대상 용기의 안착 여부 신호를 기초로 대상 용기가 복수의 워킹 코일에 안착된 것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스위치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알람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알람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에게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스위치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보다 높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인버터부를 제어하여 복수의 워킹 코일에 출력되는 고주파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알람이 출력된 후, 대상 용기가 복수의 워킹 코일 중 어느 하나에만 안착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스위치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미만이면 알람 해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는 알람 해제 신호를 입력 받아 알람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는 알람 해제 신호를 입력 받을 때까지 일정 주기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용기 감지 센서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화구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대상 용기를 감지한 용기 감지 센서 각각의 위치를 기초로 대상 용기가 상기 복수의 워킹 코일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워킹 코일은 화구에 복수의 행과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대상 용기가 적어도 3개의 워킹 코일에 걸쳐 안착되면 알람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위치와 인버터에 구비된 스위치의 온도를 감지하여, 용기가 복수의 워킹 코일에 안착되어 가열되고 복수의 워킹 코일을 구동하는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용기를 적절한 위치에 이동하게 하여 대상 용기를 충분히 가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화구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인버터부 및 용기 감지 센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대상 용기가 복수의 워킹 코일에 안착된 경우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는, 케이스(101), 커버(102), 안착 플레이트(103),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 및 조작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는 단일의 화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화구(110)는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화구(110)의 정해지지 않은 임의의 위치에 안착하고 가열할 수 있는 화구를 의미하며,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구(110)가 복수의 행과 열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6 워킹 코일(111~116)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101)는 내부에 제1 내지 제6 워킹 코일(111~116)을 수용하고, 커버(102)는 케이스(101)와 결합되어 케이스(101) 상부를 덮는다.
안착 플레이트(103)는, 커버(102) 상부에 배치되며, 피가열 물체, 즉,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용기가 안착된다. 여기서, 안착 플레이트(103)는 투명하며 열에 강한 소재, 예컨대, 세라믹 글래스와 같은 강화 유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안착 플레이트(103)는 케이스(10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워킹 코일(111~116)은, 프리존 화구(110)에서 워킹 코일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각 형태로 권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내지 제6 워킹 코일(111~116)이 원형으로 권선되면 각 워킹 코일(111~116) 사이에 워킹 코일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비교적 많아지며, 이 영역에는 열이 상대적으로 적게 전달되기 때문에 화구(1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커버(102) 또는 안착 플레이트(103) 상부 표면에는 프리존 화구(110)의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리존 화구(110)의 영역이 외부로 시인되어, 사용자는 안착 플레이트(103) 상에 용기를 안착시킬 때 용기를 화구(110)의 임의의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다.
조작부(120)는 제1 내지 제6 워킹 코일(111~116)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기 레인지(100)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조작부(120)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제1 내지 제6 워킹 코일(111~116)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작부(120)는 사용자가 전기 레인지(100)의 전원을 인가하거나, 제1 내지 제6 워킹 코일(111~116)의 화력 단계를 조절할 때 사용된다. 여기서, 조작부(12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정보 입력 및 표시가 가능한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커버(102) 또는 안착 플레이트(103)의 상부 표면에 조작부(120)의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120)의 영역에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정보 표시를 위한 특정 문자나 이미지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이나 전기 레인지(100)의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작부(120)의 영역에 표시된 문자나 이미지를 참고하여 조작부(120)의 영역의 특정 지점을 터치함으로써 전기 레인지(100)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고, 전기 레인지(100)의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화구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구(110)의 영역은 제1 워킹 코일(111)이 위치한 제1 가열 영역(111a)과, 제2 워킹 코일(112)이 위치한 제2 가열 영역(112a)과, 제3 워킹 코일(113)이 위치한 제3 가열 영역(113a)과, 제4 워킹 코일(114)이 위치한 제4 가열 영역(114a)과, 제5 워킹 코일(115)이 위치한 제5 가열 영역(115a)과, 제6 워킹 코일(116)이 위치한 제6 가열 영역(116a)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1 가열 영역(111a)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1 용기(1a)를 제1 가열 영역(111a)에 안착시켜 제1 워킹 코일(111)을 동작시키고, 제2 가열 영역(112a)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2 용기(1b)를 제2 가열 영역(112a)에 안착시켜 제2 워킹 코일(112)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5 가열 영역(115a) 및 제6 가열 영역(116a) 전체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3 용기(2)를 제5 가열 영역(115a) 및 제6 가열 영역(116a)에 안착시켜 제5 워킹 코일(115) 및 제6 워킹 코일(116)을 각각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는, 화구(110)의 정해지지 않은 임의의 위치에 복수의 용기를 안착하고 동시 또는 이시에 조리할 수 있고, 화구(110)를 이용해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가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인버터부 및 용기 감지 센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는, 전원부(130), 인버터부(140), 용기 감지 센서(150), 온도 센서(160), 제어부(170) 및 알람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들은 케이스(10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입력 받아 이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인버터부(140)로 출력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인버터부(140)는, 복수의 스위치(145)를 포함하며, 복수의 스위치(145)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원부(130)로부터 입력 받은 직류 전력을 고주파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1 내지 제6 워킹 코일(111~116)에 출력한다.
인버터부(140)는 복수의 인버터(140a, 140b, 140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버터부(140)가 제1 내지 제3 인버터(140a, 140b, 140c)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인버터부(140)는 하나의 인버터가 2 개의 워킹 코일에 고주파 전력을 동시 또는 이시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버터(140a)가 서로 이웃한 제1 및 제2 워킹 코일(111, 112)에 각각 고주파 전력을 출력할 수 있고, 제2 인버터(140b)가 서로 이웃한 제3 및 제4 워킹 코일(113, 114)에 각각 고주파 전력을 출력할 수 있고, 제3 인버터(140c)가 서로 이웃한 제5 및 제6 워킹 코일(115, 116)에 각각 고주파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용기 감지 센서(150)는 제1 내지 제6 워킹 코일(111~116)에 대상 용기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용기 감지 센서(15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화구(110)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용기 감지 센서(150)는 대상 용기를 감지하면, 용기 안착 여부 신호를 제어부(17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용기 안착 여부 신호를 기초로 화구(110)에서 대상 용기가 안착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 감지 센서(150)는 루프 코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도 센서(160)는 인버터부(140)에 구비된 스위치(145)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센서(160)는 제1 내지 제3 인버터(140a, 140b, 140c)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온도 센서(160)는 제1 내지 제3 인버터(140a, 140b, 140c)에 각각 구비된 스위치(145)의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 신호를 제어부(17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온도 신호를 기반으로 제1 내지 제3 인버터(140a, 140b, 140c)에 각각 구비된 스위치(145)의 온도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20)를 통해 제1 내지 제6 워킹 코일(111~116)의 화력 단계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화력 단계 선택에 따라 제1 내지 제6 워킹 코일(111~116)의 화력 단계를 조절하기 위한 화력 단계 신호를 제1 내지 제3 인버터(140a, 140b, 140c)에 각각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내지 제3 인버터(140a, 140b, 140c)는, 제어부(170)로부터 입력 받은 화력 단계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스위치(145)의 온오프 듀티비가 조절되어 전원부(130)로부터 입력 받은 직류 전력을 고주파 전력으로 변환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대상 용기가 복수의 워킹 코일에 안착된 경우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복수의 용기 감지 센서(150)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용기 안착 여부 신호를 기초로 대상 용기(10)가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에 안착된 것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인버터부(140)에 구비된 스위치(145)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알람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대상 용기(10)를 감지한 용기 감지 센서(150)의 위치를 기초로 대상 용기(10)가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에 걸쳐 안착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알람부(180)는 제어부(170)로부터 알람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에게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은 화구(110)에 복수의 행과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대상 용기(10)가 적어도 3개의 워킹 코일에 안착되면, 알람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는, 사용자가 대상 용기(10)를 화구(110)의 임의의 위치에 안착하더라도 대상 용기(10)를 감지하여 대상 용기(10)가 안착된 워킹 코일(111~116)을 동작시킴으로써 대상 용기(10)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용기(10)가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111~114)이 위치한 제1 내지 제4 가열 영역(111a~114a)에 안착된 경우, 즉, 대상 용기(10)가 제1 내지 제4 가열 영역(111a~114a)에 걸쳐서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용기 감지 센서(150)로부터 용기 안착 여부 신호를 입력 받아 대상 용기(10)가 안착된 가열 영역 위치(121)를 표시하고,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111~114)을 동작시킨다.
이 때, 대상 용기(10)가 제1 내지 제4 가열 영역(111a~114a) 중 일부(예컨대, 각 가열 영역의 1/3)에만 안착되면,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111~114)을 동작시키는 제1 및 제2 인버터(140a, 140b)에 구비된 스위치(145)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즉, 제1 및 제2 인버터(140a, 140b)가 화력 단계 신호에 따라 스위치(145)를 스위칭 제어함에도 불구하고, 대상 용기(10)가 제1 내지 제4 가열 영역(111a~114a) 중 일부에만 안착되기 때문에 화력 단계 신호에 해당하는 고주파 전력 보다 작은 전력이 출력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인버터(140a, 140b)는, 화력 단계 신호에 해당하는 고주파 전력을 출력하기 위해, 스위치(145)의 온오프 듀티비를 더 빠르게 제어하게 되어 스위치(145)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170)는,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발생되는 스위치(145)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온도 센서(160)로부터 온도 신호를 입력 받아 스위치(145)의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1 및 제2 인버터(140a, 140b)를 제어하여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111~114)에 출력되는 고주파 전력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111~114)이 대상 용기(10)를 충분히 가열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는 스위치(145)의 온도를 감지하여 고주파 전력이 감소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용기 감지 센서(150)로부터 용기 안착 여부 신호를 입력 받아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에 안착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온도 센서(160)로부터 온도 신호를 입력 받아 인버터부(140)의 스위치(145)의 온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대상 용기(10)가 제1 내지 제4 워킹 코일(111~114)에 걸쳐 안착된 것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인버터부(140)의 스위치(145)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알람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제1 기준 온도는 제2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온도일 수 있다.
그러면, 알람부(180)는 제어부(170)로부터 알람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에게 알람(122)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알람(122)은 사용자에게 대상 용기(10)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시각적 알람 및 청각적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알람(122)이 출력된 후, 대상 용기(10)가 이동되어 대상 용기(10)가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 중 어느 하나에만 안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 해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대상 용기(10)가 이동되어 제1 기준 온도 이상인 스위치(145)를 통해 구동되는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에 대상 용기(10)가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 해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대상 용기(10)가 이동되어 인버터부(140)에 구비된 스위치(145)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미만이면 알람 해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알람부(180)는 제어부(170)로부터 알람 해제 신호를 입력 받아 알람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알람부(180)는 알람 해제 신호를 입력 받을 때까지 일정 주기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알람부(180)의 알람(122)에 따라 대상 용기(10)를 제1 워킹 코일(111)이 위치한 제1 가열 영역(111a)으로 이동시키면, 제어부(170)는 용기 감지 센서(150)로부터 용기 안착 여부 신호를 입력 받아 대상 용기(10)가 제1 가열 영역(111a)에만 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알람 해제 신호를 출력하고, 대상 용기(10)가 위치한 가열 영역 위치(121)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알람부(180)는 알람 해제 신호에 따라 알람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화력 단계 신호를 제1 인버터(140a)에 출력할 수 있고, 제1 인버터(140a)는 제어부(170)로부터 화력 단계 신호를 입력 받아 스위치(145)를 스위칭 제어하여 화력 단계 신호에 해당하는 고주파 전력을 제1 워킹 코일(111)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는, 대상 용기(10)의 위치와 스위치(145)의 온도를 감지하여, 인버터부(140)가 출력하는 고주파 전력이 감소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용기를 이동하게 하여 대상 용기(10)를 충분히 가열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되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의 제어 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화구(110)에 대상 용기(10)를 안착하면, 대상 용기(10)가 안착된 워킹 코일에 전원을 공급한다(S10).
이 때, 사용자는 조작부(120)를 통해 화력 단계를 선택할 수 있고, 제어부(170)는 선택된 화력 단계에 해당하는 화력 단계 신호를 인버터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버터부(140)는 제어부(170)로부터 입력 받은 화력 단계 신호를 기반으로 고주파 전력을 워킹 코일에 출력한다.
다음, 용기 감지 센서(150)로부터 용기 안착 여부 신호를 입력 받아 대상 용기(10)가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다음, 대상 용기(10)가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에 걸쳐 안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온도 센서(160)로부터 온도 신호를 입력 받아 인버터부(140)에 구비된 스위치(145)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지 판단한다(S30).
다음, 인버터부(140)에 구비된 스위치(145)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알람부(180)는 사용자에게 알람(122)을 출력한다(S40).
이 때, 알람부(180)는 대상 용기(10)가 이동 가능한 워킹 코일(111~116)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부(180)는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 중 대상 용기(10)가 점유하는 면적이 가장 넓은 워킹 코일을 구비한 가열 영역 위치(121)를 점멸함으로써, 대상 용기(10)가 점멸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용기(10)가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을 점유하는 면적을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겠다.
다음, 알람(122)이 출력된 후 대상 용기(10)가 이동하였는지 판단한다(S50). 즉, 사용자가 대상 용기(10)를 이동하여, 대상 용기(10)가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 중 어느 하나에만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대상 용기(10)가 이동하여 인버터부(140)에 구비된 스위치(145)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다음, 대상 용기(10)가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 중 어느 하나에만 안착되거나, 대상 용기(10)가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을 점유하는 면적이 기준 면적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 해제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알람부(180)는 알람(122)을 해제한다(S60).
여기서, 대상 용기(10)가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을 점유하는 면적은 용기 감지 센서(150)의 개수 및 위치를 기초로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용기 감지 센서(150)는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에 분산 배치되어 있고, 각 용기 감지 센서(150) 별로 워킹 코일(111~116)의 면적 비율이 미리 설정되어 있어, 대상 용기(10)를 감지한 복수의 용기 감지 센서(150)의 개수에 설정된 면적 비율을 곱하면 대상 용기(10)가 복수의 워킹 코일(111~116)을 점유하는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대상 용기(10)가 이동하여 인버터부(140)에 구비된 스위치(145)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 해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람부(180)는 알람(122)을 해제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선택된 화력 단계에 따라 화력 단계 신호를 인버터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버터부(140)는 제어부(170)로부터 입력 받은 화력 단계 신호를 기반으로 고주파 전력을 워킹 코일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대상 용기(10)가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부(180)가 일정 주기로 알람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의 제어 방법은, 대상 용기(10)의 위치와 스위치(145)의 온도를 감지하여, 인버터부(140)가 출력하는 고주파 전력이 감소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용기를 적절한 위치에 이동하게 하여 대상 용기(10)를 충분히 가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전기 레인지
110: 화구
111~116: 복수의 워킹 코일
120: 조작부
130: 전원부
140: 인버터부
150: 용기 감지 센서
160: 온도 센서
170: 제어부
180: 알람부

Claims (9)

  1. 복수의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화구;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전원부;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직류 전력을 고주파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워킹 코일에 출력하는 인버터부;
    상기 복수의 워킹 코일에 대상 용기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용기 감지 센서;
    상기 스위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복수의 용기 감지 센서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상 용기의 안착 여부 신호를 기초로 상기 대상 용기가 상기 복수의 워킹 코일에 안착된 것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알람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알람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에게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부
    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 온도 보다 높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워킹 코일에 출력되는 고주파 전력을 감소시키는
    전기 레인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이 출력된 후, 상기 대상 용기가 상기 복수의 워킹 코일 중 어느 하나에만 안착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스위치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 온도 미만이면 알람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전기 레인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알람 해제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알람을 해제하는
    전기 레인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알람 해제 신호를 입력 받을 때까지 일정 주기로 상기 알람을 출력하는
    전기 레인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감지 센서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화구에 분산 배치되는
    전기 레인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 용기를 감지한 상기 용기 감지 센서 각각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대상 용기가 상기 복수의 워킹 코일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기 레인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워킹 코일은
    상기 화구에 복수의 행과 열로 배치되는
    전기 레인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 용기가 적어도 3개의 워킹 코일에 안착되면 상기 알람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기 레인지.
KR1020210163675A 2021-11-24 2021-11-24 전기 레인지 KR20230076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675A KR20230076590A (ko) 2021-11-24 2021-11-24 전기 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675A KR20230076590A (ko) 2021-11-24 2021-11-24 전기 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590A true KR20230076590A (ko) 2023-05-31

Family

ID=8654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675A KR20230076590A (ko) 2021-11-24 2021-11-24 전기 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5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313B1 (ko) 전기조리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유도코일유닛
JP5423412B2 (ja) 加熱調理器
JP2010073384A (ja) 誘導加熱調理器
JP6268613B2 (ja) 誘導加熱装置
WO2016181653A1 (ja) 誘導加熱調理器
JPWO2014174828A1 (ja) 誘導加熱調理器
JP5423260B2 (ja) 電磁調理器
KR20100010249A (ko) 조리기기
CN110691943B (zh) 灶具的用户界面
JP5404826B2 (ja) 加熱調理器
KR20230076590A (ko) 전기 레인지
JP5233862B2 (ja) 電磁調理器
JP5395533B2 (ja) コンロ装置及びコンロ付き調理台装置
KR20230076591A (ko) 전기 레인지
JP2010282739A (ja) 誘導加熱装置
KR101919893B1 (ko) 인덕션 렌지의 구동 장치 및 방법
JP5257542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230225017A1 (en) Electric stove having single free-zone bur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535062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하프 플렉스 타입 유도 가열 장치
KR102646390B1 (ko) 화구의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전기레인지
JP4998420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0113855A (ja) 加熱調理器
JP2011028880A (ja) 電磁調理器
JP2011028881A (ja) 電磁調理器
JP2013140815A (ja) 誘導加熱調理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