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517A - A communication-linked device with built-in protocols dedicated to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 Google Patents

A communication-linked device with built-in protocols dedicated to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517A
KR20230076517A KR1020210163537A KR20210163537A KR20230076517A KR 20230076517 A KR20230076517 A KR 20230076517A KR 1020210163537 A KR1020210163537 A KR 1020210163537A KR 20210163537 A KR20210163537 A KR 20210163537A KR 20230076517 A KR20230076517 A KR 20230076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ata
smart
control device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진
Original Assignee
이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진 filed Critical 이호진
Priority to KR102021016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6517A/en
Publication of KR20230076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5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 G05B19/4186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by protocol, e.g. MAP, 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A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with a built-in protocol dedicated to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communication unit which communicates serially with a field control device based on a protocol designated by a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and receives field data from the field control device to transmit the data to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and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monitoring the field data, and generating signals for controlling the field control device.

Description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장치{A COMMUNICATION-LINKED DEVICE WITH BUILT-IN PROTOCOLS DEDICATED TO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Smart farm and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 built-in communication linking device {A COMMUNICATION-LINKED DEVICE WITH BUILT-IN PROTOCOLS DEDICATED TO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본 발명은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 제어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현장 데이터에 대한 종합관제시스템의 정밀 제어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프로토콜을 취급하여 통신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arm and a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which handles various protocols to enable precise control of a comprehensive control system for field data received from a field control system and performs a communication relay role. And it relates to a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 built-in communication link device.

스마트 팜(Smart farm)은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축사 등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여 원격 또는 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지능형 농장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팜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이용하여 농작물 재배 시설의 온도, 습도, 햇볕량, 이산화탄소, 토양 등을 측정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제어 장치를 구동하여 적절한 상태로 변화시키거나, 무선 디바이스(예: 모바일, 태블릿 등)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Smart farm is an intelligent farm that can remotely or automatically maintain and manage the growth environment of crops and livestock appropriately by apply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o vinyl houses, glass greenhouses, and barns. Specifically, the smart farm uses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to measure and analyze the temperature, humidity, amount of sunlight, carbon dioxide, soil, etc. It can be controlled remotely using a wireless device (eg mobile, tablet, etc.).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는 공장의 설비와 공정이 지능화되어 생산네트워크로 연결되고 모든 생산 데이터와 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 및 활용되어 최적화된 생산을 위한 운영이 가능한 지능형 공장이다. A smart factory is an intelligent factory in which factory facilities and processes are intelligent and connected to a production network, and all production data and information are shared and utilized in real time to operate for optimized production.

그러나, 스마트 팜 또는 스마트 팩토리 분야의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설비들이 서로 다른 제조사에서 생산됨에 따라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갖거나, 동종의 프로토콜을 갖더라도 폐쇄형 통신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현장 내에 설치된 여러 설비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현장 내 설비를 정밀 제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However, since the facilities used in the field of smart farms or smart factories have different protocols as they are produced by different manufacturers, or even if they have the same protocol, they are implemented as closed communication, so occurrences in various facilities installed in the field There are difficulties in mutually sending and receiving data, and in precise control of facilities in the field.

이에 따라, 스마트 팜 또는 스마트 팩토리의 구현을 위해, 현장에 설치되는 기기가 서로 다른 프로토콜(Protocol)을 갖더라도 각 기기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implement a smart farm or smart factory, there is a need for a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integratedly managing data generated by each device even if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field have different protocol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현장 설비를 제어하는 PLC의 제조사별 전용 프로토콜이 내장된 통신연계장치에 의해 종합관제장치와의 데이터 연계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종합관제장치와 PLC를 효율적으로 연동 및 관리하는 통신연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ata linkage with a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by a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in which a dedicated protocol for each manufacturer of a PLC controlling field facilities is embedded.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that efficiently interlocks and manages a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and a PLC.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이의 통신을 연계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분석하는 시간이 생략될 수 있어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통신연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link device that can reduce the time and cost for implementing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because the time for analyzing protocols to link communication between them can be omitted aims to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장치는, 종합관제장치로부터 지정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현장 제어장치와 시리얼 통신하며, 상기 현장 제어장치로부터 현장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종합관제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며 상기 현장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현장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smart farm and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erial communication with the field control device based on the protocol specified from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and field data from the field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o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and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generating a signal for monitoring the field data and controlling the field control device.

또한, 상기 현장 데이터를 로우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거나 상기 로우 데이터를 변환하여 엑셀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memory for storing the field data in the form of raw data or converting the raw data and storing it in the form of Excel data;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로우 데이터 형태의 현장 데이터를 기초로 비상 상황을 감지하고 비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의 비상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In addition, the processor detects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field data in the form of raw data, generates emergency data, and stores it in an emergency memory area of the memory;

상기 비상 데이터는 측정된 데이터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상이하거나 오차범위가 기준 이상인 경우에 해당하는 신호 데이터일 수 있다.The emergency data may be signal data corresponding to a case where measured data is different from preset reference data or an error ran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현장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현장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종합관제 장치에 문자 메시지 또는 메일 형식의 호출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a text message or e-mail call contents to the general control device when the field data is not normally received from the field control device.

또한, 상기 현장 데이터는, 상기 통신부가 스마트 팜과 통신을 연계하는 경우, pH농도계의 현재 값, 현재 온·습도 값, 배양액의 농도, 이산화탄소량, 조도 및 토지영양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가 스마트 팩토리와 통신을 연계하는 경우, 유량 밸브 제어 신호, 온실지붕 개폐 여부, 에어컨/난방기기 제어신호 및 온실제어 PID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eld data includes the current value of the pH densitometer, the current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 the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medium,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the illuminance and the state of soil nutrition when the communication unit link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farm, and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In the case of linking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factory, the flow valve control signal, whether the greenhouse roof is opened or closed, the air conditioner/heater control signal, and the greenhouse control PID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통신부는 시리얼 포트를 이용한 유선 통신 또는 LAN 및 WIFI를 이용한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any one of wired communication using a serial port 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LAN and WIFI.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시스템은,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 모니터링하는 종합관제장치;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산업현장 내의 설비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PLC를 포함하는 현장 제어장치; 및 상기 종합관제장치 및 상기 현장 제어장치 사이에서 통신을 연계하며 MVP 보드 형태의 구조를 갖는 통신연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연계장치는 상기 현장 제어장치의 제조사별 전용 프로토콜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smart farm and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for integrated monitoring of at least one of the smart farm and the smart factory; A field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facilities in smart farms and smart factory industrial sites and includes at least one PLC; and a communication linking device that link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and the field control device and has a structure in the form of an MVP board, wherein the communication link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dicated protocols for each manufacturer of the field control device. can

또한, 상기 종합관제장치는 생산운영관리시스템(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MES),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제품개발지원시스템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M) 및 공급망관리시스템(Supply Chain Management, SCM),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FEMS) 등) 등 중 적어도 하나의 관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rehensive control system includes a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MES),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M), and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Supply Chain Management). , SCM),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FEMS), etc.) can be used at least one control system.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embodiment specific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장치는, 복수개의 프로토콜을 갖는 PLC의 전용 프로토콜이 내장된 구조의 통신연계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종합관제장치와 PLC를 효율적으로 연동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mart farm and smart factory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ly interlocks and It has a manageable effect.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합관제장치와 PLC 사이의 통신을 연계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분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omit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protocol to link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and the PLC,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cost for implementing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There is an effect.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and reliability of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리얼 포트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의 펌웨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마스터 정보기준으로 실행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의 수집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집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추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ES연계설정 및 CSV 자동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mart farm and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 embedd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serial port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irmware of a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OT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data interface executed based on IOT mast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ollected data of a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transition diagram according to collecte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MES connection setting and CSV automatic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to 18 are views for explaining a safet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you.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the drawings.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sufficient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it is not going to be

한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Meanwhil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리얼 포트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시스템'을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시스템'으로 통칭하기로 한다.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mart farm and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 embedd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serial port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age system dedicated to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age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통신연계 시스템은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 종합관제장치(200) 및 현장 제어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는 IOT라고 지칭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mmunication link system may include a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 device 100, a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200, and a field control device 300. In this specification,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ing device 100 may be referred to as an IOT.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는 스마트 팜(Smart farm) 또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산업현장 내의 현장 설비들을 제어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포함하는 현장 제어장치(300)와 종합관제장치(200) 사이에서 통신을 연계해주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는 장치 구동을 위한 펌웨어(Firmware, F/W)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펌웨어는 통신연계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ing device 100 controls field facilities in a smart farm or smart factory industrial site, and includes a field control device 300 including at least on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and a comprehensive It is a device that link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devices 200. Specifically,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 device 100 may include firmware (Firmware, F/W) for driving the device. Here, firmware may be used as a meaning encompassing hardware (H/W) and software (S/W)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link device 100.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는 종합관제장치(200)에서 설정해주는 프로토콜을 처리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100 may include hardware capable of processing protocols set by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200 .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는 통합 기능이 집약된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 보드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에는 복수의 포트 및 전원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포트는 시리얼(Serial) 통신을 위한 포트(이하, 시리얼 포트), 4개의 입력 카운팅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부와 릴레이 타입으로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한 접점 입출력 모드, 4~20mV 전류 입력을 통한 보정값을 유틸리티 측에 전달하는 아날로그 포트, WIFI 무선 안테나와 같이 외부에 부착되는 무선통신 포트, DC24V 및 AC22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VP 보드는 정전보상 기능에 의한 내부 파라메타 기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시리얼 통신을 위한 포트는 RS232 방식, RS 422 방식 및 RS485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시리얼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시리얼 포트는 LS프로토콜 또는 범용 프로토콜(MODBUS RTU)을 이용하여 PLC와 통신을 연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interface 100 has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Minimum Viable Product (MVP) board in which integrated functions are integrated. Specifically, a plurality of ports and a power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ing device 100 . Multiple ports include ports for serial communication (hereafter referred to as serial ports), contact input/output mode including inputs that perform 4 input counting functions and outputs provided in relay type, and correction values through 4 to 20mV current inputs. It may include an analog port that delivers to the utility side, a wireless communication port attached to the outside such as a WIFI wireless antenna, and a power supply that can selectively use DC24V and AC220. In addition, the MVP board can perform an internal parameter storage function by a power failure compensation function. In this case, the port for serial communication may support serial communication of any one of the RS232 method, the RS 422 method, and the RS485 method. The serial port performs a function of linking communication with PLC using LS protocol or general purpose protocol (MODBUS RTU).

보다 상세하게,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 프로세서(130) 및 메모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 device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 a processor 130 and a memory 120 .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의 통신부(110)는 종합관제장치(200) 및/또는 현장 제어장치(300)와 통신하여 다양한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현장 내 다양한 설비를 제어하는 현장 제어장치(300)를 포함한 설비들로부터 생성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수신하거나, PLC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이를 종합관제장치(200)인 MES로 전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200 and/or the field control device 300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signals and data.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raw data generated from facilities including the field control device 300 that controls various facilities in the field,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LC, or This may be transmitted to the MES, which is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200.

구체적으로,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가 스마트 팜의 설비와 통신 연계되는 경우, 통신부(110)는 각종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현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pH농도계의 현재 값, 현재 온·습도 값, 배양액의 농도, 이산화탄소량, 조도, 토지영양상태 등이 로우 데이터로 수신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smart farm facilities,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field data input from various sensors. For example, the current value of the pH meter, the current temperature/humidity value, the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medium,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the state of soil nutrition may be received as raw data.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가 스마트 팩토리의 설비와 통신 연계되는 경우, 통신부(110)는 각종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현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유량 밸브 제어 신호, 온실지붕 개폐 여부, 에어컨/난방기기 제어신호, 온실제어 PID (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등이 로우 데이터로 수신될 수 있다. When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ing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smart factory facilities,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field data input from various controllers. For example, a flow valve control signal, whether the greenhouse roof is opened or closed, an air conditioner/heating device control signal, and a greenhouse control PID (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may be received as raw data.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의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선 통신 모듈인 시리얼 포트를 이용한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무선 통신 모듈인 LAN 또는 WIFI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LAN 또는 WIFI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통신부(110)는 프로토콜 변환부를 더 포함하여 유선 통신 프로토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무선 통신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100 may perform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pecifically,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in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serial port, which is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LAN or WIFI, which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ere, in the cas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LAN or WIFI,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protocol conversion unit to perform a function of converting data received from a wired communication protocol into wireless communication.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의 메모리(120)는 통신연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20)는 통신부(120)로부터 수신한 스마트 팜 또는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현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수신한 현장 데이터는 로우 데이터 형태로 메모리(120)에 바로 저장될 수도 있고, 엑셀 데이터로 변환하여 엑셀 파일 형식(예: xls, xlsx)으로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로우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변환 프로그램은 도 4 등에 도시된 'Multi Device Gateway Solution Version 1.0'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The memory 120 of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 device 100 may store various data used to provide a communication link service. Specifically, the memory 120 may store field data for a smart farm or smart factory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20 . At this time, the field data received may be stored directly in the memory 120 in the form of raw data, or may be converted into Excel data and stored in the memory 120 in an Excel file format (eg, xls, xlsx). Also, the memory 120 may store a conversion program for converting raw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rsion program may correspond to 'Multi Device Gateway Solution Version 1.0' shown in FIG. 4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20)는 스마트 팜 또는 스마트 팩토리의 PLC로부터 수신하는 현장 데이터 중 비상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는 비상 메모리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상 데이터는 스마트 팜의 경우 눈, 비가 내릴 때 온실지붕이 열려 있는 상태에 대한 데이터, 온도의 급격한 상승/하강 등일 수 있고, 스마트 팩토리의 경우 통신 끊김, 과전압 발생, 과전류 발생, 화재 발생 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비상 데이터는 측정된 데이터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상이하거나 오차범위가 기준 이상인 경우에 발생하는 신호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20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memory area for separately storing emergency data among field data received from a PLC of a smart farm or smart factory. Here, the emergency data may be data on the open state of the greenhouse roof when it snows or rains in the case of smart farms, rapid rise/fall in temperature, etc., and in the case of smart factories, communication disconnection, overvoltage, overcurrent, fire, etc. may mean That is, the emergency data may refer to signal data generated when the measured data is different from the preset reference data or the error rang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다양한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memory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 및 메모리(120)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통신연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현장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현장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이하, 종합관제장치)에게 통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펌웨어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동작은 도 4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즉, 도 4 내지 도 18에 도시된 과정은 프로세서(130)에 포함된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것일 수 있다.The processor 130 of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100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memory 120, and can execute various commands to provide a communication linkage service. The processor 130 may monitor whether field data is normally received, and may notify a user (hereinafter, a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when the field data is not normally received. The processor 130 may be a component that performs an operation of firmware for driving a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system, and a more detaile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like. That is, the processes shown in FIGS. 4 to 18 may be implemented by firmware included in the processor 130 .

종합관제장치(200)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제어장비 또는 기타 설비들을 정밀 제어하여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종합관제장치(200)는 현장 제어장비 또는 기타 설비들을 정밀 제어하여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 또는 프로그램(이하, 소프트웨어(S/W)) 등이 설치된 컴퓨터, 스마트폰, 태플릿 PC 등일 수 있다.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200 is a device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ata by precisely controlling control equipment or other facilities used in the field.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200 is a computer, smartphone, computer, mobile device, etc.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Application, APP) or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software (S/W))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ata by precisely controlling field control equipment or other facilities. Fleet PCs and the like.

종합관제장치(200)는 스마트 팜이나 스마트 팩토리를 통합 모니터링할 수 있는 관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관제장치(200)는 생산운영관리시스템(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MES),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제품개발지원시스템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M) 및 공급망관리시스템(Supply Chain Management, SCM),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FEMS) 등) 등 중 적어도 하나를 도입하여 스마트 팜이나 스마트 팩토리를 통합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200 may use a control system capable of integrated monitoring of smart farms or smart factories. For example,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MES), a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system, a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M) system, and a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Supply Chain Management, SCM),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FEMS), etc.) can be introduced for integrated monitoring of smart farms or smart factories.

종합관제장치(200)는 각종 제어장비 또는 설비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등을 수신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and/or store applications or programs for monitoring various control equipment or facilities.

종합관제장치(2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등을 통해,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와 연결된 복수의 포트(PORT) 정보를 지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합관제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리얼 포트의 종류, 시리얼 통신속도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포트 정보는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의 펌웨어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다.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200 may execute the application or program, and designat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orts connected to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 device 100 through the executed application or program.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200 may designate the type of serial port, serial communication speed,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 information may be designated by the firmware of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interface 100.

종합관제장치(200)는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복수의 포트 각각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리드(Read)하기 위한 프로토콜(Protocol)을 포트 별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200 may set a protocol for each port to read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each of a plurality of ports through a stored application or program.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의 펌웨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irmware of a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의 펌웨어는 '메인화면' 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리얼 포트를 설정하고, 네트워크를 조회 및 저장하고, 시리얼 포트를 상세 설정하고, 무선 LAN을 조회 및 저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s shown in the 'Main Screen' tab, the firmware of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interface 100 sets the serial port, searches and saves the network, sets the serial port in detail, and configures the wireless LAN. can be viewed and saved.

보다 상세하게, 시리얼 영역(401)을 참조하면, 통신연계장치의 포트 정보를 지정하고, 지정한 포트를 통해 통신연계장치(100)의 정보를 리드(read)할 수 있는 로직을 실행시킬 수 있다. In more detail, referring to the serial area 401, it is possible to designate port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and execute logic capable of reading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100 through the designated port.

네트워크 영역(402)을 참조하면, 통신연계장치(100)로부터 설정된 네트워크 설정값을 로딩하여 화면에 데이터 바인딩 처리를 진행하고, 네트워크 영역(402)에 표시된 제품 IP주소,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IP주소, DNS 서버 IP주소, 제품PORT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를 메모리(120)에 저장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the network area 402, the network settings set from the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100 are loaded and the data bind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screen, and the product IP address, subnet mask, gateway IP address, DNS server IP address and product PORT information may be input, and the inpu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20.

시리얼 상세 설정 영역(403)을 참조하면, 통신연계장치(100)로부터 설정된 시리얼 설정값을 로딩하여 데이터 바인딩 처리를 진행하고, 이를 메모리(12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시리얼 설정값은 시리얼 종류, 시리얼 통신 속도, 패리티 비트, 데이터 비트 및 정지 비트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시리얼 종류는 RS232, RS422 및 RS485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지정할 수 있고, 시리얼 통신 속도는 300bps 내지 11520bps 내에서 설정할 수 있고, 피리티 비트는 NONE, EVEN, ODD, MARK 및 SPACE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지정할 수 있고, 데이터 비트는 5 내지 8 내에서 설정할 수 있고, 정지 비트는 1, 1.5 및 2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지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etailed serial setting area 403 , serial setting values set from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00 may be loaded, data binding may be performed, and stored in the memory 120 . Here, the serial setting value may include setting values for serial type, serial communication speed, parity bit, data bit, and stop bit. The serial type can be designated as one of RS232, RS422 and RS485 types, the serial communication speed can be set within 300bps to 11520bps, and the Parity bit can be designated as one of NONE, EVEN, ODD, MARK and SPACE types, Data bits can be set within 5 to 8, and stop bits can be designated as one of 1, 1.5 and 2 types.

무선 LAN 영역(404)을 참조하면, 통신연계장치(100)가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와 직접 연결되도록 SSID(Service Set Identifier)와 공유키(Shared Key)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통신연계장치(100)로부터 설정된 무선 데이터를 로딩하여 화면에 데이터 바인딩 처리를 진행하고, SSD와 공유키 값을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wireless LAN area 404,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and a shared key may be set so that the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100 is directly connected to a wireless access point (AP). In addition, wireless data set from the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100 may be loaded, data binding may be performed on the screen, and a shared key value may be stored with the SS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OT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의 펌웨어는 '마스터 관리' 탭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통신연계장치인 IOT들에 대한 마스터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버튼 영역(501)을 참조하면, 초기화 버튼, 조회 버튼, 추가 버튼, 저장 버튼, 삭제 버튼 및 닫기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firmware of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100 may perform master management for IOTs, which are individual communication devices, as shown in the 'master management' tab. Referring to the button area 501, an initialization button, an inquiry button, an add button, a save button, a delete button, and a close button may be included.

구체적으로, 초기화 버튼으로는 화면에 조회된 IOT마스터 데이터 및 조회조건을 초기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회 버튼으로는 상단 조회조건에 부합한 IOT마스터 데이터를 조회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 버튼으로는 IOT마스터 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한 신규 행(row)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 버튼으로는 기존 데이터가 수정되거나 신규 행에 입력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메모리(12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삭제 버튼으로는 조회된 IOT마스터 중 선택된 IOT마스터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에서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닫기 버튼으로는 IOT마스터 메뉴 화면을 종료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itialization button can perform a function of initializing the IOT master data and inquiry conditions inquired on the screen. The search button can perform a function to search IOT master data that meets the above search conditions. The add button can perform a function of creating a new row for adding IOT master data. The save button may perform a function of storing modified existing data or data input to a new row in the memory 120 in the form of a database (DB). The delete button can perform a function of deleting selected IOT master data from the database (DB) among the IOT masters that have been inquired. The close button can perform the function of ending the IOT master menu screen.

조건 영역(502)을 참조하면, IOT마스터 데이터를 IOT코드, IOT명, 미사용보기의 조건으로 조회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condition area 502, IOT master data can be queried under the conditions of IOT code, IOT name, and unused view.

IOT마스터 리스트 영역(503)을 참조하면, 복수의 마스터 데이터 항목에 따라 IOT 정보를 나열할 수 있다. 예컨대, 마스터 데이터 항목은 선택, IOT코드, IOT명, IP, PORT, 포로토콜#, 프로토콜명, DATA시작번지, DATA클리어번지, 최종값, 클리어여부, 사용여부 및 메모에 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IOT master list area 503, IOT information can be listed according to a plurality of master data items. For example, the master data items may include items for selection, IOT code, IOT name, IP, PORT, protocol #, protocol name, DATA start address, DATA clear address, final value, clear status, use status, and memo. there is.

구체적으로, 선택 항목은 마스터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해 체크하는 용도로 기능할 수 있다. IOT코드 항목은 IOT마스터의 KEY로 사용하기 위한 유일한 코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IOT명 항목은 IOT장비를 구분하기 위한 이름을 표시할 수 있다. IP 항목은 IOT장비의 NETWORK 통신연결을 위한 IP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PORT 항목은 IOT장비의 NETWORK 통신연결을 위한 PORT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토콜# 항목은 IOT장비의 프로토콜을 지정하는 프로토콜 코드를 표시하며,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을 호출시키는 돋보기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팝업된 프로토콜 리스트 영역(504)에 표시된 각각의 프로토콜은 프로토콜별 개별 로직이 프로그램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토콜명 항목은 IOT장비의 프로토콜 코드와 함께 지정된 프로토콜명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팝업된 프로??콜 리스트 영역(504)이 표시된 창에서 프로토콜 선택시 프로토콜명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DATA시작번지 항목은 IOT장비에서 DATA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시작 번지를 표시하고, DATA클리어번지 항목은 DATA가 들어있는 번지를 0으로 클리어하기 위해 클리어번지에 '0'또는 '1'로 약속된 데이터를 반영하기 위한 번지를 표시할 수 있다. 최종값 항목은 IOT장비에서 프로그램으로 받아온 최종 값을 표시할 수 있다. 클리어여부 항목은 IOT마스터에서 클리어여부 FLAG로 IOT장비에 클리어 신호를 줄지 판단하기 위해 체크하는 용도로 기능할 수 있다. 사용여부 항목은 해당 IOT마스터를 사용할지 안할지 판단하기 위해 체크하는 용도로 기능할 수 있다. 메모 영역은 IOT마스터에 대한 메모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lection item may function for the purpose of checking to delete master data. IOT code item can display unique code data to be used as KEY of IOT master. The IOT name item can display a name to classify IOT equipment. IP item can display IP information for NETWORK communication connection of IOT equipment. PORT item can display PORT information for NETWORK communication connection of IOT equipment. The protocol # item displays a protocol code designating the protocol of the IOT device, and may include a magnifying glass button that calls a pop-up for selecting a protocol. In this case, for each protocol displayed in the popped-up protocol list area 504, individual logic for each protocol may be stored in a program. The protocol name item can display designated protocol name information along with the protocol code of the IOT device, and the protocol name can be automatically selected when a protocol is selected in the window in which the popped-up protocol list area 504 is displayed. The DATA start address item displays the start address for interfacing DATA in IOT equipment, and the DATA clear address item sets the promised data as '0' or '1' to the clear address to clear the address containing the DATA to 0. You can display the number to reflect. The final value item can display the final value received as a program from the IOT device. The item of whether to clear can function as a check to determine whether to give a clear signal to the IOT equipment as a clear flag in the IOT master. The use/non-use item may function for the purpose of checking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use the corresponding IOT master. The memo area may function to input memo data for the IOT master.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마스터 정보기준으로 실행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data interface executed based on IOT mast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 인터페이스(DATA I/F) 영역(601)은 Status 영역(602) 및 I/F log 영역(603)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a data interface (DATA I/F) area 601 may include a status area 602 and an I/F log area 603 .

Status 영역(602)에는 도 5에 도시된 IOT마스터 정보를 기준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컨트롤이 IOT마스터별 그룹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각 IOT마스터에서는 IP정보, IOT명, 수집값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각 그룹이 지정된 데이터 수집시간(수집Term(초))에 따라 개별 통신하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In the status area 602, controls to execute the data interface based on the IOT master information shown in FIG. 5 may be displayed in groups for each IOT master. In each IOT master, IP information, IOT name, and collection value can be displayed. At this time, each group can collect information through individu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designated data collection time (collection term (seconds)).

I/F log 영역(603)에는 시간별로 각각 IOT마스터가 실행하고 있는 통신에 대한 활동 및 상태값을 Text형태로 기록한 로그들이 표시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되는 로그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로그 파일(701)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In the I/F log area 603, logs recorded in text form of activity and status values for communication executed by the IOT master for each time may be displayed. The log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generated and displayed as a separate log file 701 as shown in FIG. 7 .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의 수집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집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추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to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ollected data of a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transition diagram according to collecte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의 펌웨어는 '수집데이터 이력현황' 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 데이터를 조회하고 상세항목에 따라 분류하고 인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firmware of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interface 100 may perform a function of inquiring collected data, classifying it according to detailed items, and printing it, as shown in the 'collected data history' tab.

버튼 영역(801)을 참조하면, 화면에 조회된 수집 데이터 이력현황 및 조회조건을 초기화 시키는 초기화 버튼, 상단 조회조건에 부합한 수집 데이터 현황을 조회하는 조회 버튼 및 수집데이터 이력현황 메뉴 화면을 종료하는 닫기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button area 801, an initialization button for initializing the collected data history status and inquiry conditions inquired on the screen, an inquiry button for inquiring the collected data status that meets the above inquiry conditions, and an exiting the collected data history status menu screen You can include a close button.

조건 영역(802)을 참조하면, 수집 데이터 이력현황을 기준일자(수집일자), IOT코드, IOT명의 조건으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condition area 802, the collected data history status can be inquired under the conditions of the reference date (collection date), IOT code, and IOT name.

수집 데이터 리스트 영역(803)을 참조하면, 수집 데이터를 SEQ, 수집일시, IOT코드, IOT명, IP, PORT 및 데이터값에 따라 나열할 수 있다. SEQ는 수집데이터가 등록된 순번을 나타내고, 수집일시는 데이터가 수집된 일시(년도-월-일 시:분:초)를 나타내고, IOT코드는 수집 대상 IOT기기 코드를 나타내고, IOT명은 수집 대상 IOT명을 나타내고, IP는 수집 대상 IOT기기의 설정 IP를 나타내고, PORT는 수집 대상 IOT기기의 설정 PORT를 나타내고, 데이터 값은 수집 대상 IOT기기의 수집 데이터 값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 collection data list area 803, collection data can be listed according to SEQ, collection date, IOT code, IOT name, IP, PORT, and data value. SEQ indicates the order in which collected data is registered, collection date indicates the date and time the data was collected (year-month-date hour:minute:second), IOT code indicates the code of the IOT device to be collected, and IOT name indicates the IOT to be collected Indicates the name, IP indicates the setting IP of the collection target IOT device, PORT indicates the setting PORT of the collection target IOT device, and the data value may indicate the collection data value of the collection target IOT device.

이때,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의 펌웨어는 도 9의 인쇄 영역(9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의 수집 데이터 리스트 영역(803)에 표시된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를 인쇄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mware of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interface 100, as shown in the print area 901 of FIG. 9, displays at least some data desired by the user for the data displayed in the collection data list area 803 of FIG. 8. It can perform more functions to print.

또한,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의 펌웨어는 도 8의 수집 데이터 리스트 영역(803)에 표시된 수집데이터 이력현황을 엑셀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나열된 리스트 중 엑셀로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IOT의 IOT명 셀을 우클릭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보기, 내보내기, 옵션 탭을 포함한 팝업창(8031)이 실행됨에 따라 원하는 엑셀 버전(엑셀2003(xls), 엑셀2007(xlsx))으로 내보내기를 실행하여 엑셀 파일(1001) 형태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mware of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 device 100 may further perform a function of downloading the collected data history status displayed in the collected data list area 803 of FIG. 8 to Excel. If you right-click the IOT name cell of the IOT you want to download to Excel from the listed list, as shown in FIG. 10, a pop-up window (8031) including preview, export, and option tabs is executed, and the desired Excel version (Excel 2003 (xls)) , Excel 2007 (xlsx)) and download it in the form of an Excel file (1001).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의 펌웨어는 도 8에 도시된 수집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추이도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추이도 그래프의 X축은 수집 데이터를 SEQ 순으로 표기한 것이며, Y축은 수집데이터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firmware of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interface 100 may generate a data trend graph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hown in FIG. 8 . The X-axis of the data trend graph indicates the collected data in SEQ order, and the Y-axis may indicate the value of the collected data.

'데이터 추이도' 탭에서 버튼 영역(1111)은 화면에 조회된 데이터 추이도 및 조회조건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버튼, 상단 조회조건에 부합한 데이터 추이도를 조회하는 조회 버튼 및 데이터 추이도 메뉴 화면을 종료하는 닫기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회조건은 기준일자(수집일자), IOT코드, IOT명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ata Trend' tab, the button area 1111 includes an initialization button for initializing the data trend chart and search conditions searched on the screen, a search button for querying the data trend chart that meets the above search conditions, and a data trend chart menu screen. You can include a close button to exit. Here, the search condition may include a reference date (collection date), an IOT code, and an IOT name.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ES연계설정 및 CSV 자동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to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MES connection setting and CSV automatic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의 펌웨어는 MES와의 연계를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화면 영역에는 MES 연계설정 버튼(1201)이 생성될 수 있고,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MES 연계설정 팝업창(1202)이 생성될 수 있다. MES 연계설정 팝업창(1202)에는 MES 접속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데이터 베이스에 직접 연결할 것인지 csv파일을 자동 생성할 것인지를 체크할 수 있는 두가지 옵션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에 직접 연결하는 경우, 타 시스템 연계 시 데이터 베이스에 직접 연결을 시도하여 게더링(gathering)된 데이터 테이블을 자동 생성 후 전송할 수 있다. csv파일을 자동 생성하는 경우 데이터 게더링 시 csv파일을 자동생성하여 해당 파일에 데이터를 누적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firmware of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100 may perform a function for linking with the MES. Accordingly, an MES linkage setting button 1201 may be created in the main screen area, and an MES linkage setting pop-up window 1202 may be created when the corresponding button is clicked. MES connec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MES connection setting pop-up window 1202, and two options for checking whether to directly connect to a database or automatically create a csv file may be created. In the case of direct connection to the database, when linking with other systems, direct connection to the database may be attempted and a gathered data table may be automatically created and then transmitted. When a csv file is automatically created When gathering data, a csv file can be automatically created and data can be accumulated in the file.

펌웨어가 MES와의 연계를 수행할 때, 연결할 대상 MES 데이터 베이스에 마스터 테이블 및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고, 도 13은 이에 대한 로직을 나타낸다.When the firmware performs linkage with the MES, it can create a master table and data table in the target MES database to be connected, and FIG. 13 shows the logic for this.

펌웨어가 MES와의 연계를 수행하는 도중, 통신연결이 끊겼을 때 계속 커넥션 연결을 시도하고, 커넥션연결 시도에 따른 재접속이 완료되었을 때 데이터 베이스에 직접 연결하여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수 있고, 도 14a는 이에 대한 로직을 나타낸다. try{} 구문(a)에서 이벤트 설정 로직인 rApi.ActiveSync.Active, rApi.ActiveSync.Disconnect, rApi.ActiveSync.Listen, rApi.ActiveSync.Answer 로직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While the firmware is linking with the MES, 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disconnected, it continuously tries to establish a connection, and when the reconnectio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attempt is completed, it can directly connect to the database and execute data transmission. represents the logic for An example of rApi.ActiveSync.Active, rApi.ActiveSync.Disconnect, rApi.ActiveSync.Listen, rApi.ActiveSync.Answer logic, event setting logic in try{} syntax (a) will be described.

rApi(1401)는 통신 연결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ActiveSync(1402)는 프로그램이 실행 중일 때 프로그램의 주요 기능과 별도로 상시 작동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rApi.ActiveSync.Active, rApi.ActiveSync.Disconnect, rApi.ActiveSync.Listen, rApi.ActiveSync.Answer(1403)'는 이벤트로서,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특정 동작들이 수행하는 이벤트 설정 변수를 의미할 수 있다. rApi (1401) means a module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ActiveSync (1402) may mean a function that can always operate separately from the main function of the program while the program is running. In addition, 'rApi.ActiveSync.Active, rApi.ActiveSync.Disconnect, rApi.ActiveSync.Listen, rApi.ActiveSync.Answer(1403)' are events, and may refer to event setting variables performed by specific actions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there is.

구체적으로, rApi.ActiveSync.Active는 통신연결이 활성화되는 이벤트 발생 시, 실행되는 동작이며, rApi.ActiveSync.Disconnect는 통신연결이 끊어졌을 때 실행되는 동작이며, rApi.ActiveSync.Listen는 통신을 수신받을 때 실행되는 동작이며, rApi.ActiveSync.Answer는 수신받은 통신에 대한 답변 필요시 실행하는 동작을 의미하는 것이다.Specifically, rApi.ActiveSync.Active is an action that is executed when an event that activat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occurs, rApi.ActiveSync.Disconnect is an action that is executed when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disconnected, and rApi.ActiveSync.Listen is an action that is executed when a communication is received. This is an action to be executed, and rApi.ActiveSync.Answer means an action to be executed when an answer to the received communication is required.

rApi(1401) 모듈은 각각의 통신 접속, 접속해제, 데이터 수신, 데이터 응답 이벤트 발생시, 각각의 핸들러를 통하여 필요한 동작을 트리거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연결이 활성화되는 이벤트 발생시, ActiveHandler(ActiveSync_Active)라는 핸들러를 통하여, 통신연결이 활성화(ActiveSync_Active) 된 후, 통신 연결이 끊기거나 크리티컬한 상황(예: 갑작스런 오류 데이터 발생 상황 등)이 발생한 경우 프로그램 작동을 무시하고, 'ActiveRefresh 함수(1415)' 동작을 수행하여 통신연결을 리프레시 시킬 수 있다. (도 14b 참조)The rApi 1401 module triggers necessary actions through respective handlers when each communication connection, disconnection, data reception, and data response event occurs. For example, when an event occurs in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activated, after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activated (ActiveSync_Active) through a handler called ActiveHandler (ActiveSync_Activ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disconnected or a critical situation (eg, a sudden error data occurrence situation, etc.) occurs. If it occur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can be refreshed by ignoring the program operation and performing the 'ActiveRefresh function (1415)' operation. (See Fig. 14b)

이 경우, 'ActiveRefresh'함수는 현재 통신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접속 또는 접속 종료를 시켜주기 위한 함수로서, 현재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재접속을 시도해 본 후, 접속 불가 시 정상적인 접속 종료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통신의 정상적인 접속 종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재접속이 불가능한 상황들이 자주 발생하게 될 수 있으므로, 통신 연결 상태를 항상 확인하고 접속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접속 종료를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예컨대, 기존 포트와 연결된 메모리 영역을 연결 해제시켜 추후 이용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정상 접속 종료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어야 한다. In this case, the 'ActiveRefresh' function is a function to check the current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us and connect or terminate the connection. After checking the current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us and attempting reconnection, if connection is not possible, the process for normal connection termination is performed. will do Since situations in which reconnection is impossible may occur frequently if normal connection termination of communication is not performed, it is necessary to always check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us and execute normal connection termination if there is a connection problem. For example, it should be possible to perform a normal connection termination process, such as disconnecting a memory area connected to an existing port so that it can be used later.

한편, If{} 구문(b)에서, 'rApi.DevicePresent(1407)'는 디바이스가 가동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의미하고, 'rApi.Connect(1408)'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연결을 진행하는 동작이다. 한편, 디바이스가 가동 상태인 경우, 통신 연결을 진행한 후, 전역 변수인 'DIRECT_CONNECTION(1409)'를 true로 변경하여 데이터 통신이 접속 중이라는 것을 전역변수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반해, else{} 구문(c)을 살펴보면, 전역 변수인 'DIRECT_CONNECTION(1409)'가 false이면 통신 접속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If{} syntax (b), 'rApi.DevicePresent (1407)' means an oper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device is in an operating state, and 'rApi.Connect (1408)' proceeds with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data communication. is an action Meanwhile, when the device is in an operating state, after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made, the global variable 'DIRECT_CONNECTION (1409)' may be changed to true to indicate that data communication is being connected as a global variable.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else{} syntax (c), if 'DIRECT_CONNECTION(1409)', a global variable, is false, a state in which no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can be displayed.

catch{}(1411) 구문(d)은, 상기 (a)~(c) 동작에서 오류가 발생했을 때 실행되는 구문이며, 프로그램의 작업 중지를 시키는 안내장을 실행하는 'waitForm(1412)' 로직과 오류에 대한 팝업 형태의 메시지 박스를 송출하는 'MSFMessageBox.Show(ex.Message)(1413)' 로직이 구현될 수 있다.The catch{} (1411) statement (d) is a statement that is executed when an error occurs in the above (a) to (c) operations, and the 'waitForm (1412)' logic that executes an invitation to stop the program's operation 'MSFMessageBox.Show(ex.Message) 1413' logic that transmits a message box in the form of a pop-up for an error can be implemented.

도 14b를 참조하면, 통신연결이 활성화(ActiveSync_Active)되었을 때 'InvokerDelegate (1414)' 프로그램 가동 중에 통신 연결이 끊기거나 크리티컬한 상황(예: 갑작스런 오류 데이터 발생 상황 등)이 발생한 경우 프로그램 작동을 무시하고, 'ActiveRefresh 함수(1415)' 동작을 수행하여 통신연결 리프레시 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B, 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activated (ActiveSync_Active), i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disconnected or a critical situation (eg, a sudden error data occurrence situation) occurs while the 'InvokerDelegate (1414)' program is running, the program operation is ignored and ,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refreshed by performing the 'ActiveRefresh function 1415' operation.

이하의 catch{} 구문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ActiveSync_Answer/Disconnect/Listen은 통신 연결이 활성화 되었을 때의 로직과 동일하게 'InvokerDelegate' 핸들러와 'ActiveRefresh 함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following catch{} syntax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ActiveSync_Answer/Disconnect/Listen can be implemented by the 'InvokerDelegate' handler and the 'ActiveRefresh function' in the same logic as 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activated.

도 14c를 참조하면, 'ActiveRefresh'함수는 현재 통신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접속 또는 접속 종료를 시켜주기 위한 로직을 의미하고, msgData는 현재 통신연결 상태에 대한 전역변수를 일반변수로 받아와서 사용하기 위함을 의미하고, 'lbConStatus.Text'는 프로그램 내에 표시되는 통신상태에 대한 컨트롤을 의미하고, 'If (msgData == MSG_DIS_CONNECTED || msgData == MSG_NOT_CONNECTED)'는 현재 통신이 끊어져있는 상태일 때 동작하는 로직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c, the 'ActiveRefresh' function means logic for checking the current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us and connecting or terminating the connection, and msgData is to receive and use global variables for the current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us as general variables. , 'lbConStatus.Text' means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status displayed in the program, and 'If (msgData == MSG_DIS_CONNECTED || msgData == MSG_NOT_CONNECTED)' is the logic that operates when the current communication is disconnected. can mean

'btnSend.Enabled = false; 및 btnReceive.Enabled = false;'는 통신이 끊어졌기 때문에 프로그램 내 동작하는 기능버튼을 동작하지 않도록 잠그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If (msgData == MSG_CONNECTED)'는 통신이 접속되었을 때 동작하는 함수이다. 이때, 'btnSend.Enabled = true; 및 btnReceive.Enabled = true;'는 통신이 연결되면 프로그램 내 동작하는 기능버튼을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btnSend.Enabled = false; and 'btnReceive.Enabled = false;'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function buttons operating in the program are locked so as not to operate because communication is disconnected. And, 'If (msgData == MSG_CONNECTED)' is a function that operates when communication is connected. At this time, 'btnSend.Enabled = true; and 'btnReceive.Enabled = true;' may mean that a function button operating in a program is operated when communication is connected.

도 14d를 참조하면, 'DBConnection()'은 통신이 연결되면 지정된 DB연결정보를 통해 각각의 DB(오라클, MSSQL, Mysql)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OracleConnection은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오라클DB에 접속하는 것을 의미하고, SqlConnection는 MS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MSSQL DB에 접속하는 것을 의미하고, MySqlConnection는 Mysql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Mysql DB에 접속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DBINFO.DBIP/.DBPORT/.DBNAME/.DBID/.DBPW는 프로그램에서 지정받은 데이터베이스 연결 IP/포트정보/명/ID/암호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D, 'DBConnection()' may mean to connect to each DB (Oracle, MSSQL, Mysql) through designated DB connection information when communication is connected. OracleConnection means connecting to Oracle DB using the library provided by Oracle, SqlConnection means connecting to MSSQL DB using the library provided by MS, and MySqlConnection means connecting to Mysql DB using the library provided by Mysql. It can mean connecting to. And, DBINFO.DBIP/.DBPORT/.DBNAME/.DBID/.DBPW may mean database connection IP/port information/name/ID/password designated by the program.

펌웨어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설치된 경로에 csv 파일을 저장할 폴더(1501)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이때, csv 파일 자동생성 옵션을 선택한 경우에는 해당 폴더(1501)에 대한 하부 파일(1502)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firmware may automatically create a folder 1501 to store a csv file in the path where the program is installed. At this time, when the automatic csv file creation option is selected, the lower file 1502 for the folder 1501 may be automatically created.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6 to 18 are views for explaining a safet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100)의 펌웨어는, 설정(Setup) 탭을 선택한 후, 팝업되는 세이프티 옵션 관리 탭(1601)을 클릭하여 세이프티(Safety) 옵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세이프티 옵션 관리 탭(1601)을 클릭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션지정 버튼(1701)이 포함된 '세이프티 옵션 관리 화면'이 생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firmware of the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Setup tab and then clicks the safety option management tab 1601 that pops up to perform safety option management. can do. When the safety option management tab 1601 is clicked, a 'safety option management screen' including an option designation button 1701 may be created as shown in FIG. 17 .

옵션지정 버튼(1701)을 클릭하면, 세이프티 옵션관리 팝업창(1702)이 생성되고, 여기에는 IOT마스터 별로 세이프티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 세이프티 조건 영역(1712)과 관리자 호출 영역(1722)이 포함될 수 있다. When the option designation button 1701 is clicked, a safety option management pop-up window 1702 is created, which may include a safety condition area 1712 and a manager call area 1722 where safety options can be set for each IOT master.

세이프티 조건 영역(1712)에서 세이프티 기능 활성화 ON버튼을 통해 세이프티 기능을 활성화할 경우, 통신끊김현상 및 데이터가 비상 조건에 해당하면 관리자 연락처 및 email로 호출 내용을 자동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PLC 단에서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으면서 일정 조건이 되면 전체 시스템을 정지시키거나, 통신연계장치(100)의 데이터의 저장기능을 구동하거나, 호출 내용을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연계장치(100)가 입출력 모드를 지원하기 때문에 화재 등으로 인해 통신이 끊겨도 비상 상황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의 특정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신 수복시 개발된 유틸리티를 통해 로그파일 형태로 전환하여 MES에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safety function is activated through the safety function activation ON button in the safety condition area 1712,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call contents to the manager contact number and email can be performed when communication is disconnected and data corresponds to an emergency condition. . More specifically, while collecting field data at the PLC stage, when a certain condition is met, the entire system may be stopped, the data storage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100 may be driven, or the contents of a call may be transmitted to a manager. At this time, since the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100 supports the input/output mode, emergency delivery can be performed even if communication is cut off due to a fire or the like. In addition, data stored in a specific area of the memory 120 can be converted into a log file form through a utility developed during communication recovery and transmitted to the MES.

관리자 호출 영역(17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서비스 가입자에 한해 관리자 연락처로 문자발송을 할 수 있고, 호출 내용을 직접 입력하여 email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호출 내용은 '{현재 일시/시각(NowDate)}{IOT장비명(IotNm)} 세이프티 조건에 따른 위험이 감지되었습니다. 관리자는 즉시 확인바랍니다.'와 같은 형식으로 수동/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문자 발송 또는 메일 발송 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직이 생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manager call area 1722, a text message can be sent to the manager contact only for additional service subscribers, and the contents of the call can be directly input and sent via email.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call is '{Current date/time (NowDate)} {IOT device name (IotNm)} Danger due to safety conditions has been detected. Administrator, please check immediately.' 18 logic may be generated when text message is sent or mail is s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장치는, 복수개의 프로토콜을 갖는 PLC의 전용 프로토콜이 내장된 구조의 통신연계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종합관제장치와 PLC를 효율적으로 연동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farm and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embedded communication link device efficiently interlocks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and PLC by using a communication link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C dedicated protocol having a plurality of protocols is embedd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nag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합관제장치와 PLC 사이의 통신을 연계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분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성 및 신뢰성이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protocol can be omitted to link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and the PLC,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ime and cost for implementing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and reliability of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 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 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 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블록들 또는 복수의 단계는 하나의 블록 또는 하나의 단계로 통합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each block in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 and each step in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an algorithm or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onfigured in firmware, software, or hardware. Since these algorithms or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loaded into the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the program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The instructions create the means to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 diagram. These algorithms or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functions in a particular way, such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can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that perform the function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 chart.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load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performing the data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 chart. Further,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possible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blocks or step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ir func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a plurality of blocks or a plurality of steps are integrated into one block or one step.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directly embodied in hardware executed by a processor, a software modul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A software module resides in RAM memory, flash memory, ROM memory, EPROM memory, EEPROM memory, registers, hard disk, a removable disk, a CD-ROM, or any other form of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nown in the art. You may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examples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장치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200: 종합관제장치
300: 현장 제어장치
100: protocol built-in communication linking device
110: communication department
120: memory
130: processor
200: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300: field control device

Claims (8)

종합관제장치로부터 지정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현장 제어장치와 시리얼 통신하며, 상기 현장 제어장치로부터 현장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종합관제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며 상기 현장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현장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팜 및 스마트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장치.
A communication unit that serially communicates with the field control device based on a protocol designated from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receives field data from the field control device, and transmits it to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and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monitoring the field data and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eld control device; including, a smart farm and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 embedded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데이터를 로우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거나 상기 로우 데이터를 변환하여 엑셀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팜 및 스마트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memory for storing the field data in the form of raw data or converting the raw data and storing it in the form of Excel data; further comprising a smart farm and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 built-in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로우 데이터 형태의 현장 데이터를 기초로 비상 상황을 감지하고 비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의 비상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비상 데이터는 측정된 데이터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상이하거나 오차범위가 기준 이상인 경우에 해당하는 신호 데이터인, 스마트팜 및 스마트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rocessor,
Based on the field data in the form of raw data, an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and emergency data is generated and stored in an emergency memory area of the memory;
The emergency data is signal data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measured data is different from the preset reference data or the error rang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mart farm and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 embedded communication link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현장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현장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종합관제 장치에 문자 메시지 또는 메일 형식의 호출 내용을 전송하는, 스마트팜 및 스마트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department,
When the field data is not normally received from the field control device, a smart farm and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 embedded communication linkage device for transmitting a text message or mail-type call to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데이터는,
상기 통신부가 스마트 팜과 통신을 연계하는 경우, pH농도계의 현재 값, 현재 온·습도 값, 배양액의 농도, 이산화탄소량, 조도 및 토지영양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가 스마트 팩토리와 통신을 연계하는 경우, 유량 밸브 제어 신호, 온실지붕 개폐 여부, 에어컨/난방기기 제어신호 및 온실제어 PID를 포함하는, 스마트팜 및 스마트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eld data,
In the case where the communication unit connect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farm, the current value of the pH densitometer, the current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 the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medium,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the illuminance and the state of soil nutrition,
When the communication unit link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factory, a smart farm and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 embedded communication link device, including a flow valve control signal, whether the greenhouse roof is opened or closed, an air conditioner / heating device control signal, and a greenhouse control P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시리얼 포트를 이용한 유선 통신 또는 LAN 및 WIFI를 이용한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팜 및 스마트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performs any one of wired communication using a serial port 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LAN and WIFI, a smart farm and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 embedded communication link device.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 모니터링하는 종합관제장치;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산업현장 내의 설비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PLC를 포함하는 현장 제어장치; 및
상기 종합관제장치 및 상기 현장 제어장치 사이에서 통신을 연계하며 MVP 보드 형태의 구조를 갖는 통신연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연계장치는 상기 현장 제어장치의 제조사별 전용 프로토콜을 복수 개 포함하는, 스마트팜 및 스마트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시스템.
A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for integrated monitoring of at least one of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A field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facilities in smart farms and smart factory industrial sites and includes at least one PLC; and
A communication linking device that link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rehensive control device and the field control device and has a structure in the form of an MVP board; includes,
The communication link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dedicated protocols for each manufacturer of the field control device, a smart farm and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 embedded communication link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관제장치는 생산운영관리시스템(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MES),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제품개발지원시스템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M) 및 공급망관리시스템(Supply Chain Management, SCM),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FEMS) 등) 등 중 적어도 하나의 관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스마트 팜 및 스마트 팩토리 전용 프로토콜 내장형 통신연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comprehensive control system includes the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MES),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M), and Supply Chain Management (SCM). ),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FEMS), etc.), using at least one control system, a smart farm and smart factory dedicated protocol built-in communication linkage system.
KR1020210163537A 2021-11-24 2021-11-24 A communication-linked device with built-in protocols dedicated to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KR202300765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537A KR20230076517A (en) 2021-11-24 2021-11-24 A communication-linked device with built-in protocols dedicated to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537A KR20230076517A (en) 2021-11-24 2021-11-24 A communication-linked device with built-in protocols dedicated to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517A true KR20230076517A (en) 2023-05-31

Family

ID=8654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537A KR20230076517A (en) 2021-11-24 2021-11-24 A communication-linked device with built-in protocols dedicated to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51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246B1 (en) * 2023-10-05 2023-12-04 (주)제이시스 Mes construction system for completing smart-factory without coding
KR102625337B1 (en) * 2023-10-23 2024-01-15 주식회사 제이시스 Universal PC-based smart factory construction system
KR102641624B1 (en) * 2023-10-30 2024-02-28 주식회사 제이시스 Universal mes construct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246B1 (en) * 2023-10-05 2023-12-04 (주)제이시스 Mes construction system for completing smart-factory without coding
KR102625337B1 (en) * 2023-10-23 2024-01-15 주식회사 제이시스 Universal PC-based smart factory construction system
KR102641624B1 (en) * 2023-10-30 2024-02-28 주식회사 제이시스 Universal mes construc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76517A (en) A communication-linked device with built-in protocols dedicated to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US9729383B2 (en) Flexible rules engine for managing connected consumer devices
US10178744B2 (en) Street ligh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CN110794800B (en) Intelligent factory information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CN102449618B (en) For the manufacture of the cloud computing of executive system
CN106899638A (en) A kind of fusions networking relationships system for solving Heterogeneous data and method
CN106094534A (en) The intelligent domestic system that a kind of wearable device intelligent watch controls
CN103869771A (en)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CN104954475A (en)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livestock and poultry house
CN110995859A (en) Intelligent transformer substation supporting platform system based on ubiquitous Internet of things
CN101335670A (en) Wireless sensor network warehous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n basis of ZigBee
US9170579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industrial energy equipment
WO2019071238A2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cloud-based data platform
CN105843871B (en)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of distributed application files
US20150256962A1 (en) M2m gateway device and applying method thereof
US10908627B2 (en) Edge analytics control devices and methods
JP2018509698A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analyzing system status
CN113190286B (en) MES system, loading method, terminal and medium for dynamically and remotely loading functional plug-ins
EP3232694B1 (en) User access to wireless low energy device
CN105678978A (en) Alarm control system
Lobachev et al. Smart sensor network for smart buildings
CN114285692B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identity determination method, distribution method and equipment
Shrivastava et al. Automatic irrigation system with data log creation
CN103997542A (en) Multi-sensor and multi-devi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cloud storage
CN103115414B (en) Communication equipment room energy-conserving controls system and method